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
http://21erick.org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2015-8-13)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
강의 주제
1. 문제 해결의 시작점은 무엇인가?
2. 학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3. 학습동기 유발과 주의집중 어떻
게 시키나?
4. 느린 학습자도 어떻게 학습에 성
공할 수 있는가?
목표1
문제 해결의
시작점은 무엇인가?
• 아동의 이해
• 도덕적 교육목적
(moral purpose)
• 비범한 학교 사례 배우기
• 교사의 마음 챙기기
• 비폭력 대화
• 회복적 갈등해결
21세기 학교가 마주한 도전
“말이 이미 가고
자 하는 방향으로
말을 타기는 쉬운
일이다.”
(공자)
“It is easier to ride a
horse in the
direction that he is
already headed.”
아동의 이해 – 뇌가 다른 신인류
 컴퓨터, 비디오, 영상물에 대한 과다노출로 인한 뇌의 변화
 빠른 처리나 검색
 몰입과 집중의 어려움
 사회성, 감성 발달 저해
 공감능력 부족
5
아동청소년의 이해 -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세)
발달(%)
위 그림은 연령에 따른 뇌의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을
보여준다. 전두엽(이성의 뇌)은 변연계(감정의 뇌)보다 완
전히 발달하는데 10~12년 더 걸리기 때문에 많은 청소년
들이 위험한 상황에 잘 말려든다.
100
80
60
40
20
0
변연
계
전두
엽
출처: 공부하는 우리 아이들 머릿속의 비밀(교육을 바꾸는 책, 2013)
전두엽
전두엽
편도체
편도체
성인과 미성년자 간의 대화시
사용하는 뇌의 차이
어른들의 잘못된 기대 바루기
교실/가정에서 일어나는 행동/태도 문제들의 다
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의 기대’로부터 시작된다
아이들에게 상황에 따라 어떻
게 감성적으로 반응해야 하는
지 지도가 필요하다.
많은 아이들은 어떤 상황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 것이 적
절한지 알지 못한다.
 각각의 감정들을 하나의 키보드에 비유해보자.
 타고난 감정만으로는 소수의 계이름으로만 연주가능
 사회적으로 중요한 감정들은 학습이 필요
학습 되는 감정들
• 겸손
• 관대함
• 공감능력
• 낙관주의
• 열정
사회성-감성 키보드의 수선
학습 되는 감정들타고난 감정들
 슬픔
 기쁨
 역겨움
 분노
 놀라움
 두려움
• 동정심
• 인내심
• 수치심
• 협동심
• 감사
(Ekman, 2003)
뇌는 경험과 학습에 의해 일생 동안 지속
적
으로 변한다.
•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 반복적 운동 등과 같이
새로운 자극과 활동이 주어지면, 근육이 강화되듯이 뇌
의 신경회로망도 강화된다. 학습의 종류에 따라 뇌는
그에 맞는 특정 구조적 변화를 겪는다.
“Neuroplasticity is simply the ability of the brain to
change as a result of daily learning(Sousa, 2006).”
• 신경세포의 생성(neuro-genesis) – 해마, 소뇌 등에서
는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성되며, 운동, 영양, 스트레스
감소 등에 의해 자란다.
지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필요!
지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필요!
• 특정 과제에 대한 현재의 수행능력
은 각자의 고유한 뇌가 지금까지
경험하고 습득한 인지적 자산
(cognitive assets)을 반영한 것일
뿐이지, 그 과제의 수행능력에 대
한 절대적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 “더 열심히 배우면, 더 많이 알게
되고, 머리가 더 좋게 변한다!”
• 학습에 대한 민감기(sensitive
periods)는 있어도, 결정적 시기
(critical periods)는 없다!
“지능은 고정되어 있
지 않고 향상된다!”
[고정관점] 아이들이 할 수 없
는 과제를 용기를 내서 해보도
록 장려하는 것은 부질없는 일
이다. 또 한 번의 실패 경험을
하게 할 필요가 없다. 몇 달 관
찰하면 잘 할 아이와 못할 아
이가 다 판별이 난다.
[성장관점] 우리 학교는 모든 아동이 학기 초 얼마나 잘 하느냐와
상관없이 높은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도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학기 초 형편없어서 실망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끈질기게
노력하면 놀라운 발전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우리는 아동이
지금 어떤 상태와 수준에 있는지 알기 위해 형성평가를 자주 실시
하고 피드백을 준다. 그리고 계속 관찰하면서 능력을 키워주고
(empower)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이끌어 준다.
(Five Big Ideas, 2013)
아동의 잠재력에 대한 교사의 관점
과제: 고정관점을 성장관점으로 바꾸기
1. “그가 그걸 해낼 수 있을까요? 아마 그런 능력
없을 걸요.”
2. “그가 이걸 해낼 능력이 있었으면 진작 해냈겠
지요.”
3. “학습부진 문제의 발생은 학교의 잘못은 아녜
요. 그것은 가정배경과 국가의 제도 때문인 면이
커요.”
교사의 도덕적 교육목적(Moral Purpose)
‘도덕적인 교육목적’이란 지도하는 학생들
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주려는
다음의 4가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
을 의미한다.
• 성취기준을 낮추지 않는다
• 높은 기대를 유지한다
• 격차를 줄인다
• 공동체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서로
돕는다
(Michael Fullan, 2010)
도덕적인 교육목적(Moral Purpose)
‘비범한 학교(Uncommon School)’ 닮기
15
http://www.uncommon
schools.org/uncommo
n-impact
‘비범한 학교’의 핵심 가치
http://www.uncommonschools.org/our-approach/core-values
남다른 가치
남다른 학교 역사를 바꾸자!
우리의 신념
100% 정답 추구
모두의 참여
최대한 능력발휘
즐거운 수업
우리는 모든 아이들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우리는 현명하고 전략적으로 선택하며 판단한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와 서로에게
흔치 않게 높은 기준을 갖는다.
우리는 어렵더라도 우리의 학생을 위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한다.
우리는 철저한 토론을 권장하고,
최선의 생각에 대해 목소리를 내며, 공손하게 의사소통한
다.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으며, 서로를 최고라고 여긴다.
우리는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의 발전에 투자한
다.
우리는 실현 가능한 피드백을 통해
서로를 탁월하도록 격려한다.
우리는 학습이 재미있어야 하며
모두가 똑같이 느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크든 작든 성공을 축하하고,
서로를 인정하는 시간을 갖는다.
 우리는 모든 아동들이 대학에 갈 자질을 갖추었
다고 믿는다.
 우리는 끊임없이 시스템을 정교하게 개선해 교사
가 학생을 가르치는 것을 돕는다.
 진정한 스승과 리더가 가장 중요하다. 학습에는
어떤 한계도 없다고 믿는다.
우리의 목표는
• 학업성취도 격차 줄이기
• 수백만의 빈곤층 아동을 도와 대학을 졸업시키기
• 학교의 역사를 바꾸기
http://www.uncommonschools.org/uncommon-impact
‘비범한 학교(Uncommon School)’의 교육목표!
비범한 학교들의 공통점
1. 일련의 5~6개의 분야에서 탁월한 기술(전문성)을 지닌다.
2. 학교의 성공은 이런 탁월함에서 오고, 기술(전문성)의 구
성은 교사마다 다르다.
3. 강점을 강화하고 강점에서 더욱 탁월해지도록 노력한다.
4. 탁월한 분야를 기반으로 해서 약한 부분을 향상시킨다.
 어떤 기술부터 시작하면 좋은가?
1. 교사가 예고 없이 학생을 선택해 질문하는 것(cold call)을 통
해 모든 아동들은 매 수업시간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기대를 유
지한다(Starting with Cold Call).
2. 일상적으로 꼭 지켜야 할 규칙을 몸에 배도록 자동화/습관화
시킴으로써 수업의 효율을 높이고 아동들로 하여금 학습에 탁월
할 수 있도록 한다(Starting from Mundane Routines).
3. 최종 도달할 수업의 목표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한다
(Starting from Planning).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대답회피 방지 기술(No Opt Out)
“몰라요” 답변/활동 회피를 방지하는 기술
• 방법1: 교사가 답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답
을 따라 말한다.
• 방법2: 다른 학생이 답을 제공하고, 처음 학
생이 이를 평가한다/따라 말한다.
• 방법3: 교사가 단서를 제공하고, 학생은 이를
이용해 답을 찾도록 한다.
• 방법4: 다른 학생이 단서를 제공하고, 처음
학생은 이를 이용해 답을 찾도록 한다.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친사회적 교실 (The Prosocial Classroom)
교사의 사회성감성 역량과 학생의 성과 모델
http://www.garrisoninstitute.org/component/docman/doc_view/692-jennings-2011-promoting-
teachers-social-and-emotional-competencies?Itemid=1203
사회성감성 역량
(SEC)
마음챙기기
(mindfulness)
비폭력 대화
(NVC)
회복적 갈등해
결
(RP)
교육뇌과학
(HBW-HPL)
힘든 현실을 보람찬 삶으로 바꾸는 5가지 필수역량
사회성-감성 교육부터!!
자기인식능
력
self-awareness
자기관리능
력
self-management
책임 있는
의사결정능
력
responsible
decision-making
관계 능력
relation skills
사회적 신호
인식능력
social awareness
사회
성감
성
교육
타인을 이해하
고 공감하는 능
력
목표달성을 위해 감
정과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강점과 한계
는 물론 자신의 감
정과 지향하는 가치
를 인식하는 능력
개인적, 사회적 행
동을 할 때 윤리
적, 건설적인 판단
능력
긍정적 관계형성, 팀워
크,
효과적인 갈등해결 능력
http://casel.org/why-it-matters/what-is-sel/22
교실 수업에 SEL 통합 기술 5
1. 반(classroom) 회의 개최를 통해 인사, 공감, 경청,
요청, 사과 등 가르치기
2. 갈등해결을 통해 문제해결능력 키우기
3. 하루의 일과 및 시작과 종료를 ‘정서적 샌드위치’
로 만들기(emotional sandwiching)’
4. 교사를 위한 정서자본(emotional capital) 구축
5. 학생을 위한 정서자본(emotional capital) 구축
http://www.edutopia.org/blog/social-emotional-learning-education-sel-mary-kate-land
SEL의 적용
“오늘 하루 서
로 도운 것 한
가지씩 말해
볼까?”
Morning Meeting Closing Circle
“강아지가
다쳤는데
심하지는
않아”
SEL의 적용
24
수업을 통한 SEL 역량 키우기 전략 5
1. 마음을 다해 현재에 집중하기(mindfulness)
2. 자신 생각의 문제점 깨닫기(challenge thinking)
3. 성취를 위해서는 노력, 참을성, 불굴의 정신
(perseverance)이 필요함을 깨닫기
4.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공감(empathy)과 경청
“준호, 이게 왜 이해가 안 돼?”
->“ 준호, 나랑 같이 이해해 볼까?”
5. 감사의 생활화를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삶
(wellbeing) 실현하기
http://www.teachthought.com/learning/5-strategies-for-incorporating-social-emotional-learning-into-your-
classroom/
부정적인 생각 – 도전해 떨치기
맞는 생각인
가?
다른 각도에
서 생각해
볼 수는 없
는가?
나의 이런 생
각으로 인해
나는 어떤 기
분인가?
이런 생각을 갖
지 않는다면 상
황은 어떻게 달
라질까?
http://www.westernregionalcac.org/thoughts-are-not-facts-infographic-3/
아이들 맞이할 준비 - 교사의 마음 챙기기
호흡 바라보며
감정 가라앉히기
• 수업 들어가기 전
• 수업 중
수업 중 상호작용 과정에서
마음 챙기기(mindfulness)
• 학습자 얘기 온전히 집중해서 경청하기
•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나와 학습자의 감정 인
식하기
• 열린 마음 및 평가와 판단 않기
• 학습자의 생각과 감정에 반응적이기
• 자기조절 능력을 발휘해서 청소년들의 흔한
행동에 반사적으로 대응 않기
• 아동의 개인적인 욕구 인식하고 반응적이기
• 교사 자신과 학생들의 생각에 공감 표현하기
출처: Mindfulness in the Classroom!
교실에서의 마음 다함(mindfulness)
마음챙김 역량 및 회복력 함양하기(CARE: Cultivating
Awareness and Resilience in Education)
CARE 연수 프로그램은 아래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 심호흡 3회 하기
• 호흡에 마음 집중하기
• 걷기에 마음 집중하기
• 타인에 대한 배려 연습하기
• 신체 각 부위를 훑으며 이완하기
• 먹는 것에 마음챙기기
• 감성과 정서 일지 기록하기
아이들 맞이할 준비 - 교사를 위한 CARE
CARE 지도 3요소
1. 정서회복 기술지도
(SEC)
2. 마음 다함과 스트레
스 완화 연습
(mindfulness)
3. 경청과 공감 연습
(NVC)
29
• 우리가 자신을 변화시킨다면 이는 세
상을 변화시키는 일이다. 우리 자신의
변화의 시작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와 소통방식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
(Marshall Rosenberg).
• 인간이면 누구나 매 순간 자신의 욕구
를 우리가 알고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충족시키려고 한다(Marshall Rosenberg).
• 비판과 폭력은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비극적으로 표현한 것이다(Marshall
Rosenberg).
• 평가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인간 지성이 최고의 형태이다
(Krishnamurti).
비폭력 대화(상호욕구 충족을 위한 평화적 대화)
비폭력 대화 – ‘폭력’에 대한 정의
30
폭력에 대한 새로운 정의
1. 보상과 처벌(reward and punishment)
처벌이 폭력의 뿌리다.
2. 죄책감을 느끼게 함(guilt)
우리의 감정이 타인 탓이라고 표현: “너 진짜 나 화나게
하고 있어.”
3. 망신을 주거나 창피스럽게 느끼게 함(shame)
타인이 내가 원하는 대로 해주지 않을 때 부정적 꼬리표
를 붙임: “너는 너무 무례해.”
4.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기책임 부정(denying
responsibility for our actions)
“...해야 해.” “...하면 안 돼.” http://www.nonviolentcommunication.com/pdf_files/
parenting_communication_mrose.pdf
비폭력 대화의 효과
삶을 바꾸는 비폭력 대화의 효과
•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 관계 개선(personal relationships)
• 학교와 교육의 성공
(education and schools)
• 효과적인 부모역할과 가족의 삶 바꾸기
(parenting and families)
비폭력 대화 실천포인트1
32
비폭력 대화의 핵심
▷목적: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내가 원하
는 것을 상대방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이해와 공감적 연결(empathic
connection)을 통해 서로의 욕구를 상호
호혜적으로 충족시키는 것
▷비폭력 대화(NVC)의 핵심은 가슴과 가슴
사이에의 진정한 연결이다. 이런 연결을
위해서는 2가지 접근이 필요하다.
하나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어떻게 연
결을 방해하는지 아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을 강화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일이다.
비폭력 대화 실천포인트2
33
비폭력 대화(NVC)란?
사람들이 서로 상대방을 평가/비판하거나 타
인의 탓으로 돌리는 습성만 극복할 수 있으면
각자의 내면의 감정이나 욕구와 진정한 연결
을 이룰 수 있다. 연결이 이루어지고 나면
•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고
• 관찰 후 이해하게 된 감정과 욕구에 공감적
경청을 하고 표현한다.
• 이렇게 관찰을 통해 감정과 욕구를 파악하
고 나서 이 욕구해결을 위해 요구가 아닌
부탁’을 한다.
• 이런 비폭력 대화를 통해 거의 해결이 불가
능해 보이는 갈등까지 해결할 수 있다!
비폭력 대화 실천 포인트3
34
다른 사람에 대한 비판은 충족되지 않은 자기 욕구의 왜곡
된 표현이다.
우리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다른 사람의 탓
으로 돌리는 것에 익숙하다. 다른 사람을 판단이나 평가하
고, 비판하고, 진단하고, 해석하는 것은 자신의 욕구가 충
족되지 못한 것이 투사된 것이다.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면 그 욕구가 충족될 가능성이 커진다.
불행하게도 우리 대부분은 필요나 욕구라는 측면에서 생각
하는 것을 배운 적이 없다. 우리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
지 않았을 때 다른 사람의 잘못 때문으로 돌리는 것에 익
숙하다. 그래서 우리는 아이들의 옷이 옷걸이에 걸려 있기
를 바라는데 소파 위에 내팽개쳐져 있다면 아이들을 게으
르고 비난한다. 또 팀원이 우리가 원하는 방식대로 일하지
않으면 이들을 무책임하다고 비판한다.
35
공감적 경청 원리4
1. 이해의(판단과 평가가 아닌)
자세로 듣는다.
2.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 판단/
평가를 유보한다.
3. 동의하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
서도 공유해주어 고맙다고 말하
며 너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
고 말한다.
4. 나의 생각은 상대방이 이해할
기분일 때만 공유한다.
http://www.buzzquotes.com/quotes-on-
empathic-listening
비폭력 대화 - 공감적 경청
비폭력 대화 – 삶을 풍요롭게 하는 학교 만들기
36
교문 안으로 들어올 수 없는 사람들
• 옳다/그르다
• 맞다/틀리다
• 정상이다/비정상이다
• 공손하다/불손하다
• 머리가 좋다/머리가 나쁘다
• “해야 돼/안 하면 안 돼”
등의 단어를 갖고 있으면 아무도 학교 문을 들
어설 수 없다.
(Life-Enriching Education, 2003)
비폭력 대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
교실 하나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으로 꾸며졌다. 어떤 학생
이 다른 학생들을 방해하면, 교사가 그 학생에게 ‘아무것도 하
지 않는 방’으로 가달라고 부탁하곤 했다. 실제로 ‘아무것도 하
지 않는 방’에는 할 일들이 아주 많이 있었다.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읽을 책도 있었다. 우리는 그 방에 보내는 의도가 벌을 주
기 위해서가 아니라는 점을 전달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에서는 좋은 소통이 많이 이루어졌다.
사실, 수업 분위기를 흐려놓는 학생들의 특징은 내적 고통을
많이 겪고 있으며, 이것이 파괴적인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것
이다. 그래서 그래서 그 방에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가장 잘 들
어주는 재능을 가진 교사가 배정되었다.
(Life-Enriching Education, 2003)
징벌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 비교
징벌적 정의 회복적 정의
어떤 규칙을 어겼는가? 어떤 상처가 발생했는가?
누가 규칙을 어겼는가? 욕구와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 누가 상처회복의 책임 당사자인가?
회복적 정의란?
• 피해자가 얘기할 기회를 제공한다.
•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질 기회를 제공한다.
• 가해자에게 자신의 행동에 의해 상처받은 사람의 얘기를 경청할 기회
를 제공한다.
• 어떻게 하면 잘못된 행동을 고칠 수 있는지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한다.
징벌적 생활지도와 회복적 갈등해결 비교
징벌적 생활지도 회복적 갈등해결
• 한 학생이 수업 중 문제
있는 행동을 한다.
• 교사는 학생을 분리시킨
다.
• 학생은 정학기간이 끝나
고 다시 돌아온다.
•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
다.
• 아무것도 회복된 것도 없
다.
• 학생이 잘못에 대한 책임
을 받아들인다.
• 교사는 학생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
다.
• 상처를 아물게 하고 비행
의 재발을 위한 대책을
세운다.
• 관계는 회복되고 공동체
는 단단해 진다.
목표2
학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학습이 일어나는 곳 – 블랙박스 안
“뇌 속에서 학습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모르
고 가르치는 것은
사람의 손가락이 어떤 모양으로 생겼고, 어떻
게 움직이는지를 모르면서
장갑을 디자인하는 것과 같다.”
(Leslie Hart, 1983)
http://designshack.net/articles/business-articles/using-the-black-box-model-to-design-better-websites
뇌의 학습원리 – 전뇌의 사용
최적의 수업은 3가지 뇌(생명의 뇌, 감정의 뇌, 이성의 뇌) 기능
의
최적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통적인 교육은 이성의 뇌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비과학적, 비효율적이다.
신포유
류
구포유
류
파충류
대뇌피
질
변연계 감정
뇌간
생명유
지
이성
명칭 뇌의 부위 기능
사고의 뇌(Thinking Brain)
 뇌 안의 CEO(집행기능) 전전두엽(Prefrontal lobe)아
직 덜 성숙함
 미리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기능이 완전하
지 않음
감정의 뇌(Feeling Brain)
 변연계(Limbic system) 발달은 최고조
 감정에 따라 행동하며,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생존의 뇌(Survival Brain)
 스트레스를 받으면 재빨리 생존 모드(fight-flight-
freeze)로 돌입!
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방해, 살기 위해 방어적
으로 반응하는 뇌간(Brain stem) 활성
청소년의 뇌 이해
뇌의 이해 - 정보처리 우선순위
3차: 새로운 학습 정보
(성찰적 - 전두엽, frontal lobe)
2차: 감정 정보
(반사적 - 변연계, limbic area)
1차: 생존 정보
(반사적 - 뇌간, brainstem)
 생존과 감정에 대한 강력한 자극이 주어질 때, 새로 학습된 정보는 처리
우선순위에서 나중으로 밀린다.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이론 (Maslow, 1943)
자아실현의 욕구
(Self-
Actualization)
존경의 욕구
(Esteem)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
(Love & Belonging)
생리적 욕구
(Physiological)
안전의 욕구
(Safety)
인격적 성장과 잠재력의 실현 등 자신의 꿈을 펼치고자 하
는 욕구
자기존중, 성취나 책임, 평판 등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욕구
특정 집단이나 가족에 소속되어 사람들과 교류하며
사랑 받고 싶은 욕구
위협적인 요소를 피하고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
공기, 음식, 음료, 주거, 난방, 생식, 수면
등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
☞ 기본적 욕구(음식, 주거, 의료 서비스, 안전, 가족, 우정)가 채워
지지 않으면 상위 단계에 위치한 학습에서의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46
학습은 뇌세포(neuron)가 물리적으
로
성장한 결과다.
• 학습과 기억의 물리적 기반은 신경세포
의 축색종말(axon terminal)과 다른 신
경세포의 수상돌기(dendrite) 사이로 전
기적 자극(impulse)이 신경접합부
(synaps)의 간극을 뛰어넘는 현상.
•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전기화학적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시냅스 기능의 효율성을 높이
뇌의 학습원리 – 학습의 생물학적 정의
학습(learning)은 지식과 스킬을 부호화하여 장
기기억으로 저장한 다음 이를 나중에 필요할 때
다시 불러와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
학습은 패턴을 탐색하고(patterning-seeking) 잦은 활
용을
통한 자동화(program-building)의 과정이다.
• 뇌는 혼란스런 상황에서 본능적으로 질서를 찾는다(The brain
seeks to make order out of chaos).
• 뇌가 사물, 상황, 관계 등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패턴을 스스
로 찾을 수 있는 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탁월하다.
• 학습은 뇌가 선험지식을 바탕으로 확률에 의거하여 패턴을 찾
아 이해하고, 연결짓고, 패턴을 통합하고 이를 활용을 통해 자
동화해 가는 과정이다.
• 패턴찾기 예
Mary went to the to swim but she found that she
학습 - 뇌의 패턴 탐색과 자동화
뇌의 패턴 탐색과 자동화
1단계
Input 단계
패턴 찾기 1) 패턴 발견하기
전두엽
(우뇌)
Pattern-
Seeking
2) 패턴의 의미 이해하기
전두엽
(좌뇌)
2단계
Output 단계
프로그램화 3) 이해한 것을 활용하기
전두엽에서
후두엽으로
Program-
Building
4) 자동화
후두엽에서
소뇌로
 스스로 패턴을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라.
 뇌가 싫어하는 것: 이미 패턴이 정리되어 있는 정보. 교과서나 문제집.
(Caulfield & Jennings,2006)
학습의 2단계
감정[정서]은 패턴을 찾는 작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다.
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로부터 의미를 탐색하고자 할 때 감정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뇌는 외부 정보를 평가하여 의미있는 것
에만 주의를 기울여 학습을 담당하는 이성의 뇌로 올려 보낸다.
 뇌는 정서적 가치가 있는 정보일 때 의미 탐색을 더 효율적으로
하게 된다. 그래서 감정과 정서를 학습으로 가는 온오프 스위치
혹은 문지기라고도 부른다.
 감정과 인지는 분리할 수 없는 영역이다. 감정은 주의를 어디에
기울일지를 결정하고, 주의는 인지기능을 작동시키며, 인지작
용은 기억의 회로를 만든다. 이렇게 긍정적 감정과 정서는 학습
과 기억작용에 필수적이다.
뇌기반 교수학습원리 24
정서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경로
교실 분위기
긍정적 분위기는 혈액 내 엔
도르핀 수치를 높여 행복감
을 느끼도록 하며 전두엽을
자극한다.
부정적 분위기는 혈액 내 코
티솔을 증가시켜 불안 수준
을 높이며 전두엽이 ‘저항/회
피’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학습 활동
감정이 실린 경험은 더 높은 흥
미와 적극적인 참여, 활발한 기
억 유지가 일어나도록 한다.
교수 활동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
가?
정서
(Emotions)
(비명시적 기억) (명시적 기억)
학습이 일어나는 곳 - 작업기억
입력 단기기억 장기기억
작업기억
출력
잊어버
린
정보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과 중요성
출처: How the Brain Learns David Sousa, 2011 p50
작업기억
IQ
습관
3Rs
출처: 수업혁명I: 학습부진 탈출편
문국
송배
필방연
냉더
위명
탈신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사전지식
방송국
신문
연필
냉면
더위
배탈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사전지식
인지부하 전략
글자 글자 글자
내재적 본질적
외생적
전체
인지부하
내재적 인지부하가
높다면…
본질적 인지부하를
높이기 위해
벨소리와 휘파람소리를
없애라
작업기억 용량 수준
인지부하를 줄이는 수업 스킬
• 수업 속도를 늦춘다 .
• 단원의 학습목표를 다시 한 번 복습한다 .
• 속도를 조절하고, 학습자를 일으켜 세워 간단한 신체를 움직이는 활
동을 하고 옆의 동료와 배운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한다.
• 비주얼과 그래픽 자료를 사용한다.
• 수업할 때 이해하기 쉬운 용어, 표현, 예, 안내성 질문을 사용한다 .
• 끊임없이 배경지식과 연결지으며 수업을 진행하고, 배경지식을 필
요할 때 다시 언급한다.
• 양식이 다른 자료는 분리하여 제시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제시한다.
• 복잡하거나 어려운 과제는 작은 단위로 쪼개서 인지부하를 줄인다.
• 주업 중 수시로 질문을 던져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cf. thumbs up).
•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절차, 방법에 익숙하게 한다.
• 학습부진 아동, 한국어 사용이 미숙한 다문화가정의 아동의 경우, 2
중고를 고려한 수업을 진행한다.
인지부하(cognitive load) 낮추기
1. 연습, 연습, 연습
기본적인 어휘, 개념, 공식, 내용 등은 처리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0”이 될 때까지 연습한다.
스키마(schema)의 구축과 자동화가 중요하다.
2. 배경지식제공, 사전지식과 연결
이해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또 작업기억의
인지부담을 줄이기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사전
지식과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3. 전체와 부분의 연결을 돕기
낱개 정보는 기억에 부담이 크다. 하지만 이런
부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큰 개념과 연결시
킬 때 더 인지부하도 줄이고 기억도 더 잘 할 수
있다.
주의와 인지부하의 원리
1. 학습자가 한 요소에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이면 기울일
수록 다른 요소에 기울일 주의의 양은 그만큼 줄어든
다.
2. 교사가, 수업이 학습자에게 얼마나 인지부담을 주는
지 측정하는 데 숙련되면 될수록, 수업의 성공가능성
은 더 높아지고, 학습자는 더 많이 배울 수 있게 된다.
(Francis Bailey 외, 2014)
주의와 인지부하(cognitive load)의 원리
<전략1> 정보를 덩어리로 묶어 작업기억의 부담을
줄인다.
예: 5813476297 -> 581-347-6297
It’s winter, but I stayed ( ) because it was too hot ( ).
겨울이었지만, 안이 너무 더워서 나는 밖에 있었다.
->
It’s winter, but I stayed because it was too hot .
겨울이었지만/ 나는 밖에 있었다/ 안은 너무 더웠기 때문에
인지부하 낮추기
예: <소, 테이블, 사과, 소파, 체리, 사자, 말,
컴퓨터, 복숭아>라는 단어를 외워보자.
아마 쉽게 외워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 물건, 과일>로 범주를 나누어 외워보
라.
• 동물 - 소, 사자, 말
• 물건 - 테이블, 소파, 컴퓨터
• 과일 - 사과, 체리, 복숭아
아마 더 쉽게 단어를 외울 수 있었을 것이다.
<전략2> 정보를 연관된 것끼리 묶는다.
인지부하 낮추기
61
<전략3> 시각자료와 문자정보를 인접시켜 통합적
으로 제시한다.
http://www.learnnc.org/lp/editions/every-learner/6693
인지부하 낮추기
<전략4> 정보를 그래픽 오거나이저로 제시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정보의 저장과 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인지부하 낮추기
63
<전략5> 이야기 문법을 지도해서 이야기를 구조적으
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지부하 낮추기
<전략6> 정보를 위계(hierarchy)에 따라 조직한다.
Adapted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Collins and Quillian (1969)
인지부하 낮추기
거꾸로 수업(flipped classroom)
http://3.bp.blogspot.com/-7fSAuC3i0Cc/UUNkWhk2OMI/AAAAAAAAHfU/eTdEual3Xyc/s1600/AESR+Heading+3.jpg
• 주의 - 세상을 경험할 때 수많은 자극들 중 필요한 것만 선
별한다.
• 부호화 - 선별되어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자극(외부정보)을
개별 신경세포 혹은 신경망 차원에서 전기적 활동으로 변
환하는 과정이다. (기억=신정보와 구정보의 연결)
• 저장 - 마음속으로 들어 온 정보를 선별하고 시연(試演)을
통해 저장한다.
• 인출 -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속해서 이를 다시 불러낸다.
인지적 학습 4단계
http://www.senseandsensation.com/2013/03/encoding-how-to-make-
memories-stick.html#!/2013/03/encoding-how-to-make-memories-stick.html
부호화(학습은 신정보와 구정보의 연결/결합)
부호화는 …
… 새로운 감각, 정서 정보가 …
사전지식에 연결될 때 일어난다.
예: <소, 테이블, 사과, 소파, 체리, 사자, 말,
컴퓨터, 복숭아>라는 단어를 외워보자.
아마 쉽게 외워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 물건, 과일>로 범주를 나누어 외워보
라.
• 동물 - 소, 사자, 말
• 물건 - 테이블, 소파, 컴퓨터
• 과일 - 사과, 체리, 복숭아
아마 더 쉽게 단어를 외울 수 있었을 것이다.
정보를 연관된 것끼리 묶는다.
인지부하 낮추는 부호화
69
인출은 부호화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부호화
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인출될 수 없다. 인출의 성공과 실패는 존
재여부(availability)와 접근성(accessibility)으로 설명된다. 즉, 저장
된 정보는 장기기억의 어딘가에는 분명 존재하고 있지만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정보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인출(引出, retrieval)
효과적인 부호화
http://theelearningcoach.com/learning/what-is-cognitive-load/
작업기억 향상 - 볼 패스하며 말/문장 이어가기
• 학생1- 나는 축구를 좋아한다(I like
playing soccer).
• 학생2 – 나는 축구와 피아노 치기를 좋아한
다(I like playing soccer and playing
piano).
• 학생3 – 나는 축구와 피아노 치기 그리고
수영을 좋아한다(I like playing soccer,
playing piano, and swimming).
작업기억의 4가지 특성
작업기억 일상생활에서 수행되는
인지적 과제를 위해
정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
작업기억의 정보는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만 잠시 유지된다.
작업기억은 동시에 3~5개만 유지할 수 있다.
작업기억은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곳이다.
학습에는 작업기억과 주의력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출처: http://www.learnnc.org/lp/editions/every-learner/6693 변형
배경지식의 영향
72
• 배경[사전]지식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 배경[사전]지식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어떻게
조직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 배경[사전]지식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와 구정보
를 얼마나 쉽게 연결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http://podnetwork.org/content/uploads/V5-N4-Svinicki.pdf
• 학습은 기억을
기반으로 한다.
• 장기기억은 신정
보와 구정보의
연결을 통해 이
루어진다.
• 신정보와 구정보
를 연결을 돕는
것은 배경지식이
다.
• 배경지식은 학업
성취에 영향이
가장 큰 요소다!
(cf. 교사의 수업스킬,
학생의 흥미, 내용의
복잡성)
http://www.ascd.org/publications/books/104017/chapters/The-
Importance-of-Background-Knowledge.aspx
배경지식의 중요성
배경지식의 평가, 활성화, 구축
74
배경지식 관련 주요 학습활동 4
1. 배경지식의 평가
(배경지식을 갖춘 정도 파악)
2. 배경지식의 활성화
3. 배경지식과의 연결 모델링(cf. thinking
out loud)
• 자신의 경험과의 연결(to self)
• 세상과의 연결(to world)
• 사전 교과지식과의 연결(to text)
4. 배경지식의 구축
배경지식 활성화 기술
75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4
 새로운 지식으로 수업을 시작하면 학습자는 수업
을 따라갈 수 없게 된다.
 학습전략의 지도보다 배경지식 활성화와 구축이
먼저다.
• 이미지 브레인스토밍
• 그림책 활용하기
• ㄱㄴㄷ 브레인스토밍
(기후변화-고온, 농수산물, 돌고래, 라니뇨, 무더위..)
• 주제에 관해 아는 것 쓰기(Quickwrites)
• KWL 차트 활용하기
• 체크리스트 활용하기(지식, 기능 등)
• 문자/단원 틀 제공하기
출처: http://tfabaltimore.wikispaces.com/file/view/KWL+charts.pdf
효과적인 수업전략 – K-W-L 접근법
배경지식 활동 예
예측을 가능케 하는 가이드 제공
1. 앞으로 나올 내용에 대한 단서 제공
2.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의 양과 질을 확인할 수 있게 함
3. 학습목표의 설정을 도움
4. 중요한 동기유발 요소
예:
※ 다음 서술을 읽고 동의하면 A, 동의하지 않으면 D로 표시
하시오.
① 확률이 0(zero)란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다.
② 확률을 공부할 때 주사위를 던지는 활동을 하기도 한다.
③ 모든 가능한 결과에 대한 확률의 합은 1이다.
④ 상호 배타적인 두 가지 사건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⑤ 확률을 배우기 전에 분수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예측 가이드 작성법
1. 소단원 내용을 훑어보고 나서 주제에 관련된 가
장 중요한 내용을 찾는다.
2. ‘절대로’, ‘가장...한’ 등과 같은 절대적 용어를
피하면서 간결한 문장으로 표현한다.
3. 재미있고 우스운 예측 내용도 포함시켜 활동이
흥미롭도록 해본다.
4. 너무 어렵거나 특수한 용어는 사용을 피한다.
5. 소단원 내용을 그대로 반영할 필요는 없으며 탐
구정신을 발휘해 질문과 생각을 표현한다.
배경지식 활동 예
회전목마 브레인스토밍
1. 신체 움직임과 대화를 통해 새로운 학습을 위한 배경지식 활성화에 매
우 유익한 활동이다.
2. 학습자들이 소모둠 형태로 교실을 돌면서 각 질문(흑은 개념)이 게시된
장소에 가서 지정된 시간 동안 브레인스토밍을 한다.
3. 도출된 아이디어들은 다른 모둠도 공유할 수 있도록 각 게시 장소에 기
록한다.
게시 질문의 예:
① 잘 된 웹페이지는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하나?
② 잘 된 웹페이지에는 어떤 유형의 정보가 있어야 하나?
③ 웹페이지에 올라가서 안 되는 정보는 어떤 것들이 있나?
④ 가장 이상적인 웹페이지를 디자인한다면 어떤 특징을 보여주고 싶은
가?
⑤ 한국을 소개하는 웹페이지에는 어떤 정보가 소개되기를 기대하나?
⑥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는 어떤 내용을 어떻게 소개하는 것이 좋은가?
배경지식 활동 예
경제
국경
산업
원인
농업
해결
영향질병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예
생산비용이
가격과 경제
에 영향 줌 비료, 살충제
등의 살포가
대지를 오염
시킴
해결을 위해
행위의 변화
필요
산업생산이
일차 원인임
산업은 환경
보호 법제화
에 영향을 줌
어떤 암은 대
기 오염과 관
련됨 대기오염이
국경을 넘어
세계 시민에
영향 줌
산업과 경제
에 전반적인
영향 줌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예
2분 대화 나누기
수업 예정인 소단원 주제에 관련해 이미 알고 있
는 지식을 파트너와 공유하는 브레인스토밍을 각
자 2분 동안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학습을 위한
기초 지식을 마련한다.
예:
① 화산 폭발은 왜 일어나는가?
② 화산 폭발이 일어나기 전에 어떤 징후가 있는
가?
③ 백두산에 화산이 폭발할 경우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배경지식 활동 예
생각해보고 짝과 얘기 나누기
(Think-Pair-Share)
• 소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각자 생각할 시간을 갖는다.
• 짝과 함께 그 생각을 나눈다.
• 두 사람은 반 전체와 공유하기 위
해 나눈 생각 중 중요한 것 한 가지
를 선택한다.
주제 예:
“학교에서 휴대폰을 활용해서 수업을
하는 것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배경지식 활동 예
돌아다니며 조사하기
(Walk Around Survey)
•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거나
정리하기 위해 실시한다.
• 연구 주제를 제시하고 교
실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
니며 급우를 대상으로 대
화를 통해 조사한다.
• 이런 조사활동 중에 자신
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상대방과 공유하고 상대
방의 사전지식을 새롭게
배운다.
주제 예:
“어떤 것이 책임있는 인터넷
사용자인가?” http://www.classhelp.info/Biology/Strategies%20for%20Activating%20Prior%20Knowledge.pdf
배경지식 활동 예
뜨거운 의자(hot seats)에 앉은 사람이 대답하기
“뜨거운 의자”에 앉은 4-5명의 학습자가 사전에 교사가 준비한
질문에 답한다.
1.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교사는 오늘의 학습 주제와 관련된 질
문을 포스트잇에 써서 학습자 4-5명을 선정해 책상이나 의자 아
래 보이지 않게 붙여 둔다.
2. 수업이 시작되면 교사는 이런 사실을 공표하고 각자 자신의
의자 아래 포스트잇 유무를 확인하게 한다.
3. 해당 학생은 각 질문을 읽고 자신의 사전지식을 말한다.
질문 예:
①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검색엔진은 무엇이고 왜 그런가?
② 친구에게 웹사이트 하나를 추천한다면 어떤 것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③ 학생들이 인터넷을 수업 중에 접속하는 것을 아무런 조건 없
이 허용해야 하는가 하지 말아야 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뇌기반교육(BBE) 핵심원리 10
1. 정보는 뇌의 2개 이상의 영역에 저장된다. 다중 기억과 다중 신경회로
를 통해 회상할 수 있다.
2. 모든 학습은 마음과 몸(mind-body)이 동시에 관여한다. 몸의 움직임,
음식, 주의 사이클, 신경전달물질 등이 학습을 이끌고(drive) 조정한다
(modulate).
3. 정서는 의미 패턴을 찾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주의를 어디에 기
울일까를 결정하고 또 의미해석과 기억에도 영향을 끼친다.
4. 정보 자체보다는 정보에 대한 개인적 의미(personal meaning)가 더 중
요하다.
5. 기억에는 공간적 기억(정보에 관한 환경적 요소와 공간적 방향까지 저
장하는)(spatial memory)과 기계적 암기에 의한 기억(rote memory) 두
가지가 있다.
6. 사람은 정보가 자연스런 공간적 기억(natural spatial memory)에 내재
될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7. 뇌는 사회적이다(social). 다른 뇌와 협력을 통해 더 잘 발달한다.
8. 수준 높은 학습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과제가 도전할 만한 것일 때 강
화된다.
9. 모든 뇌는 유기적 조직과 구조가 각기 다르다(unique).
10. 학습은 발달적이다(developmental).
(Cane and Cane) http://thesecondprinciple.com/optimal-learning/brainbased-education-an-overview/
목표3
학습동기 유발과
주의집중, 어떻게 시키나?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http://www.vaniercollege.qc.ca/pdo/2013/04/teaching-tip-learning-with-marzano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자기체계
몰입여부 결정
상위인지 체계
목표와 전략 수립,
자기조절, 평가
인지
체계
지식 영역
정보 정신적 절차 신체적 절차
정보의 처리
지식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
재인하기
회상하기
실행하기
합성하기
표현하기
통합하기
기호화하기
대응하기
분류하기
오류 분석
일반화하기
명시하기
의사 결정하기
문제 해결하기
실험적 탐구
조사하기
출처: 10 Best Teaching Practices, Donna Walker, 2011 P6
학습동기 자물쇠 풀기 – 자기체계 3가지 질문
자기체계 3요소
1. 나는 저것을 배우고 싶
고, 배울 필요가 있는가?
(학습과제에 대한 태도/
중요성 인식)
2. 나도 배울 수 있을까?
(자기 유능감 – 달성 가능
성에 대한 믿음)
3. 과제에 대한 나의 기분
은 부정적인가 긍정적인
가?
(학습과제에 연계된 감정)
자신감의 상실 요인 이해
자신감을 잃게 하는 교사요인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
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 유전요인, 환경요인, 다른 조건들 때문에 학습
잠재력이 낮다고 믿는다.
•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을 거라
생각하고 대충 가르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한다.
• 강점보다는 잘못된 것부터 찾아낸다.
91
학습동기 저하 요인 이해
학습동기를 떨어뜨리는 10가지 요인
1 오늘의 수업 내용이 오직 고교과정 이후의 미래를 위해 필
요하다는 도입 설명(지금의 삶에 의미가 있도록 해야!).
2.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교사가 말하고, 잘 못했을 때 훈시
를 길게 하는 경우
3. 해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숙제나 과제의 부여
4. 자신에 대해 (교사/부모가)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5. 실패를 나타내는 기호나 점수
6. 강점보다는 약점,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7. 실력이 부족하다고 인지수준에 맞지 않는 자료로 수업
8. 학생 자신에게는 심각한 감정적 문제이나 이를 하찮게 여
기는 경우
9. 개인의 욕구, 필요, 재능, 학습속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
로 부여하는 수업
10. 비꼬는 일
92
동기관련 교사의 잘못된 인식 5
 통제가 필요하다 -> 동기유발이 필요하다“자신이 또 하나의 시
험 점수의 채점 대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면 잘하거나 열심히
할 이유가 없다”
“이미 (교사/부모가) 자신은 실패할 거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자
신이 노력할 이유가 없다”
 틀린 것은 지적한다 -> 교육적인 피드백을 하고 질문 자체와
논의의 깊이를 더한 것에 고맙다고 말한다
 학습에 게으르다 -> 교사가 알지 못하는 이유가 있거나, 열심
히 하는 것이 따로 있다
 말을 듣지 않는다 ->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존중하는 교사에게
는 태산이라도 움직이려고 한다
 수업을 지루해 한다 ->
 10-15분 마다 수업의 모드를 바꾼다
 잘못된 판단과 실패에 대해 회복을 돕는다
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교사가 열정을 보인다
 학생의 출신 문화를 고려해 과제를 내준다
학습관련 교사의 미신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동기향상의 원리
학습자 스스로 선택(choice)하고 통제(control)할 수 있을 때 동
기가
향상되고 학습이 강화된다.
•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방식, 평가방식을 선택(choice)
하고 주도할(control) 수 있을 때 학습에 대한 책임감, 주인의식
, 동기, 성과가 향상된다.
• 무언가를 ‘선택’한다는 것은 엄청난 힘을 지닌다. 우리는 스스
로 선택한 것에 대해 책임 지려하기 때문이다.
동기향상의 원리 – 학습자의 선택과 통제
학습자들에게 긍정적 기대와 믿음
을
보낼 때 학습자들의 뇌는 이에 긍정
적
으로 반응한다.
• 기대효과(The expectation effect)
–자신 혹은 타인에 대한 기대의 결
과,인식과 행동이 변하는 현상•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그 대상에게 그대로
실현되는 경향
• 로젠탈효과(Rosenthal effect) - 피그말리온 효과를 교
육학에 접목한 것
동기향상의 원리 – 기대와 믿음
주의 집중의 기술
흥미 끌기(The Hook)
• 매 수업 마다 흥미를 끌 장치를 마련하여
수업 안에 포함시킨다.
• 언어적 정보 외에 시각적 정보를 적소에 추
가한다.
• 짧은 질문을 포함시켜 수업 안을 짠다.
• 한 수업 안이 다음 수업 안으로 긴밀히 이
어질 때 흥미끌기 요소도 다음 차시로 연장
되도록 한다(예: 뱀의 해부학적 구조 -> 뱀
의 습성).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주의 집중의 기술
단계로 나누기(Break It Down)
학습자가 과제 수행에 실패 했을 때는 아래와 같이 과제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재도전하게 한다.
1. 예를 제공한다.
2. 맥락을 제공한다.
3. 단서로 관련 규칙을 말해준다.
“완전한 문장은 주어를 가지고 있어야 하죠.”
4. 문제해결의 첫 단계를 말해준다.
“분수의 덧셈을 할 때 분모가 다르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하지?”
5. 학생의 오답을 교사가 반복해 준다.
“준규, 서울을 기준으로 볼 때 부산은 ‘동쪽’이라 말했는데 그럴
까?”
6. 정답의 범위를 좁히거나 오답을 제거한다.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주의 집중의 기술
<과제> 다음 두 질문의 주의 집중효과 차
이는?
• 질문1: “승준, 세계 제1차 대전의 원인
하나를 든다면 무엇이지?”
• 질문2: “세계 제1차 대전의 원인 하나
를 든다면 무엇이지 (휴지), 승준?”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주의 집중의 기술 – “기다려 주기”의 활용
1. 더 많은 학생들이 손들게 기다려 준다.
“세 사람만 손들었네요. 선생님은 최소한 12명은 필요해. 넷, 다섯...”
2. 더 많은 참여를 촉구한다.
“여러분 모두 생각이 다양할 텐데. 선생님은 여러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싶
어요.”
3. 학생들이 생각할 시간이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것은 좀 어려울 거예요. 천천히 생각해요. 10초 동안은 손들지 마세요.”
4. 신중한 답을 요청한다.
“곰곰이 생각해보고 답하는 것이 좋아요. 토끼보다는 거북이가 되세요.”
5. 답을 찾을 수 있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암시한다.
“그래프에는 무엇이 보이지요?” “관련된 단계를 잘 생각해 봐요.”
6. 틀리는 것 두려워 말고 도전하게 한다.
“틀리더라도 시도해 봐요. 누구나 다 틀리면서 배우니까요.”
7. 긍정적 행동과 자세를 유도한다.
“선생님이 보니까 승준이도 집중하고 있네요.”
8. 답의 재확인을 촉구한다.
“1분 줄 테니 여러분이 낸 답이 맞는지 안 맞는지 재확인 하세요.”
9. 추론을 촉구한다.
“답을 어떻게 냈는지 설명할 준비가 되었나요?”
10. 다른 가능성도 열어두고 검토하게 한다.
“설명 방법/답이 두 가지 이상 있을 수도 있어요.”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아동 주의력 한계 – 10/15분!
"너무 지루하지도 않고 아주 재미있지도 않은,
일반적인 수준의 수업을 들을 때, 학생들은 수
업 시작 후 언제부터 흥미를 잃기 시작할까?"
10분
 지도포인트: 10-20분 마다 수업의 모드 바꾸기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는 집중시간이 길어진다.
• 신체 움직임 갖기 : 일어서서 혹은 돌아다니며 하는 활동하기
• 언어의 사용: 짝과 함께 배운 내용 공유하거나 소 모둠 토론하
기, 배운 내용을 글로 정리하기
• 주제 바꾸기: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관련 이야기 해주기
중앙집행기능 스킬
뇌는 배울 내용(정보와 기술)을 맥락과 함께 제시하고, 경험을
통해
배울 때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하고, 회상할 수 있다.
• 교육은 가르칠 내용을 학습자의 삶의 경험과 통합시킬 때 몰입
하고 더 잘 배운다.
• 지식을 삶과 연결시키는 것이 뇌친화적 교수학습 원리 중 가장
중요하다.
• 모국어를 배울 때 어휘와 문법을 실제의 삶 속에서 풍부한 상호
작용을 통해 가장 잘 배우는 것이 전형적인 예다.
 교육적 함의
• (범교과)프로젝트 수업, 시연, 스토리텔링, 비유, 역할극, 현장
실습, 견학 등의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을 강화한다.
• 강의는 경험학습의 수단이거나 부분이 되게 한다.
인지부하 낮추기 – 맥락이 있는 수업!
학습의 주도성 이양 – 교사에서 학생으로!
수업안이 아무리 흥미
있고, 자극적이고, 화
려하며, 학습자의 삶과
관련이 있게 짜여진다
하더라도 학습할 내용
과의 상호작용을 교사
가 주도한다면 학습은
학습자의 뇌 속이 아니
라 교사의 뇌에 일어난
다.
단
계
수업의
단위
수업의 주도권 전형적인 진술
1 나 주도 - 교사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분모를 같게 해야 해.”
2 우리
주도 – 교사
보조 – 학생
“자 마틴, 이제 직접 해보자. 분모를 같게
하려면 어떻게 한다고 했지?”
3 우리
주도 – 학생
보조 – 교사
“자, 카밀라. 이 문제 해결의 전 과정을 네가 주도
해야 해. 내가 도와줄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
4 여러분
낮은 수준의 주도
- 학생
“우리는 예제를 하나 풀어봤으니 이젠 네
혼자서 해봐.”
5 여러분
높은 수준의 주도
- 학생
“훌륭했어, 우리는 이것을 할 텐데 여섯 개의 문제
야.6분을 줄 테니 몇 문제나 정확하게 푸는지 볼까
? 자, 시작!”
학습의 주도권 이양 5단계 - ‘나우리여러분’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2010
학습의 주도권 균형 갖추기
105
교사-학생의 수업 주도역할 균형 갖추기 기술
교사가 주도하는 말하기, 생각하기, 쓰기, 분석하기 등의 인지적 노력을
어떻게 학생주도로 이전할 것인가?
1. 질문을 잘 게 쪼개서 여러 학생들에게 돌아가며 던진다.
2. 서술 내용을 반쯤만 말하고 나머지는 학생들이 생각해내게 한다.
3. “다음 단계는 뭐지?”라고 질문한다.
4. 교사가 모르는 척하고 학생이 답하게 한다.
5. 왜(why) 어떻게(how)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
6. 틀린 부분을 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질문을 던진다.
7. 학생들에게 더 많은 예를 들도록 요청한다.
8. 학생들이 다시 풀어서 말하게 하든가 내용을 추가하게 한다.
9. 주장에 대한 뒷받침 내용을 요청한다.
10. 학습자가 어느 정도 준비가 된 상태라면 교사가 개입하지 말고 전 과
정을 학습자가 일괄해서 주도하게 한다.
11. 비디오 클립 등을 시청하고 관련 쟁점을 토론 목표로 설정한다.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목표4
느린 학습자도 어떻게
학습에 성공할 수 있는가?
수업의 마무리 활동으로 상위인지활용 활동
(metacognitive activity)과 배운 내용 되돌아
보기(self-reflection)가 효과적이다.
상위인지능력 - ‘자신의 인지/사고에 관한
지식’ 과 ‘자신의 인지/사고에 관한 조절,
조정’ 의 두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 인지능
력.
효과적인 수업전략 – 상위인지전략
• 전자는 자신의 사고 상태와 내용, 능력에 대해 알고 있는 지
식(초인지적 지식)을 말하며, 후자는 문제 해결 과정에 있어
계획하고, 적절한 전략을 선택·사용하고, 과정을 점검·통제하
고, 결과를 반성·평가하는 사고 능력(초인지적 스킬)을 말한
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시그마프레스)
• 학습부진을 겪는 학습자들은 상위인지능력을 활용하는 능력
이 매우 부족하여, 이를 가르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앙집행기능(EFs)
http://www.smartspeechtherapy.com/the-executive-functions-test-
elementary-what-slps-and-parents-need-to-know/
http://cogx.info/executive-functioning/
• 중앙집행기능 활용기술은 효과적인 수업기술을 의미한
다.
• 정보와 개념의 학습에 실패하는 학생은 배우는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중앙집행기능의 활용 기
술의 부족이 문제다.
“교과 내용의 지도에 집중하면 할수록, 공부 못하는 학생
의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 아동들마다 다양한 이유로 중앙집행기능의 활용 기술
이 다 다르다.
중앙집행기능 스킬
학습 효율성 피라미드
강의 듣
기 5%
읽기 10%
시청각 수업듣기 20%
시범강의 보기 30%
능동적
수동적
구체적
추상적
학생 참여 과제 종류
활동 유형에 따른 <회상, 전이, 적용> 효율
집단토의 50%
실제 해보기 75%
서로 설명하기 90%
원인과 해법의 이해
감성과 사회성 발달 문제Emotional and Social Challengers
급성/만성 스트레스 요인들Acute/Chronic Stressors
인지기능의 저하Cognitive Lags
건강과 안전 문제Health and Safety Issues
능력 키우기(주의력, 작업기억 등)Skill-Building
희망/성장을 위한 마음 갖추기Hope & Growth Mindset
기본적인 지원과 조정Accommodations
교사-학생 관계성 증진Relationships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Enriched Engagement
문제가 무엇인가?
열악한 환경이 학업
에 미치는 4가지 영
향
해법은 무엇인
가?
변화를 만들기 위한
5가지 성공 열쇠
빈곤아동의 학습부진
이해와 해법
학습부진 – 해결전략은 무엇인가?
학습부진 해결의 핵심
Moral Purpose +
EACH + SHARE +
ISP
1. 학습자가 배우고 싶어하는 실제적 욕구(real learning needs)
에서 출발한다.
2. 인지부하를 최소화하는 수업을 한다.
3. 지도내용, 지도방법, 지도속도, 배운 것의 표현/평가 방법의 개
별화와 학습자의 통제와 선택의 강화로 출발한다.
4. 뇌의 학습능력을 키우고, 학습부진의 원인은 능력보다 노력이
란 인식을 심어주고, 상위인지능력을 가르친다.
"Movement is Good 4 the Brain"
움직임은
정신을 맑게 하고
스트레스 줄여주며
전반적인 몸 상태를 좋게 한다.
학습효율 높이기 - 신체 움직이기!
음악 수업을 하면 뇌의 감
각피질이 20-40% 변한다!
감각피
질
예술 활동은 인지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
• 예술 교육 vs. 예술 통합교육
• 예술교육과 주의력, 인지능력 향상과 상관 큼
두뇌 학습능력 개선 - 예술활동
두뇌학습능력 개선 - 음악활동
https://plus.google.com/+Musicteacherla/posts/K5EMpSFhPmp?pid=6152885726593894018&oid=112079593126166923793
뇌와 기억 발달
학업 수행
문화적 이해와 사회적 기술
책임감과 성취감
인내의 가치
팀워크와 규율
자기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신적 연결
듣는 기술
목표 설정과 행동 계획
두려움 극복하고 위험 감수하기
음악을
배우는 것의
이점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조화와 집중
빈곤층 vs 부유층 아동의 인지 능력 편차
언어능
력
(어휘력)
작업기
억
인지처
리
보상처리 기억
공간인
지
시각인
지
효과크기
빈곤층 아동의 인지 능력은 언어능력(어휘력)
에서 부유층 아동과 가장 큰 표준편차를 보인
다. (Nobel et al.,2005)
☞ 왜 언어능력(어휘력)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이
는가, 또 대안은?
언어중추(좌뇌 측두엽)
아동의 연령(개월) (Huttenlocher et al.,1991)
아동의 연령(개월) (Hart & Risley,1995)
아동의어휘수준
아동에게말해주는단어
수
저소득층
고소득층
중간소득층
아동에게 어휘력/언
어 지원을 잘해주는
경우
아동에게 어휘력/언어 지
원을 잘해주지 못하는 경
우
느린 학습자를 지도하는 핵심원리!
http://www.ccl-cca.ca/pdfs/otherreports/WDYDIST_National_Report_EN.pdf
http://www.edu.gov.on.ca/eng/general/elemsec/speced/LearningforAll2013.pdf
느린 학습자를 지도하는 핵심원리!
느린 학습자를 지도하는 핵심원리 -개별화 지도!
http://www.edu.gov.on.ca/eng/general/elemsec/speced/LearningforAll2013.pdf
뇌친화적 학습부진 지도원리
맞춤형 학습부진 지도를 위한 지침
1. 조급함을 버린다.
2. 한 번에 1-2가지 지시사항을 준다. (정보처리능력, 순서처리능력, 기억력)
3.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성취목표를 정해준다. (자존감, 성취감)
4. 아이들이 쉽게 예측할 수 없도록 다양한 수업전략을 사용한다. (재미, 흥미
, 호기심)
5. 학생에게 내준 과제나 지시사항을 학생의 입을 통해 다시 말하게 한다. (정
보처리능력, 순서처리능력, 기억력)
6. 학생들에게 전달해줄 내용을 학생들의 현재 상황이나 실생활에 연결하여
설명한다.(주의력, 기억력)
7. 학생들이 집에서 해올 숙제를 수업시간 중에 교사와 함께 시작한다. 교사
는 학생들이 숙제의 내용을 완벽히 이해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파악했는지 확인한다. 다 함께 숙제를 하도록 하고,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개별지도를 한다.
전통적 품행지도 버리기 -긍정행동지원 PBIS!
전통적 품행지도와 긍정적 행동지원(PBIS)의 비교
전통적 품행지도 긍정적 행동지원(PBIS)
‘개인’을 문제로 본다 ‘시스템, 환경, 스킬 부족’을 문제로 본다
‘개인’을 교정하려(fix) 한다 ‘시스템, 환경, 스킬’을 바꾸려 한다
‘문제행동 제거’를 중시한다 ‘새로운 만남, 경험, 관계, 스킬’을 중시한다
문제행동에 대해 제제를 규정한다 긍정적 행동을 발견하고 지지한다
며칠, 몇 주만에 행동을 교정하려 한다
학생의 요구를 오랜 기간에 걸쳐 시스템적
으로 수용하고, 개인을 고려한 환경을 마련
하며, 적절한 행동을 가꾸어 낸다
행동교정 전문가가 지도한다
역동성 있고, 협력적 팀이 사람 중심의 계
획을 통해 지도한다
제도가 경직적이다 제도가 유연하다
교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교사 자신의 행동뿐!
“교사들은 흔히 학생이 자신의 뜻대로만 하려고
한다고 생각에 학생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려고
한다. 하지만 강조되어야 할 사실은 학생의 통제
가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의 소통방식과 인간관
계의 개선이다.”
“교사들은 역량을 갖추어 학생의 행동개선을 바
라지만, 오랜 컨설팅 경험을 통해서 보면 효과가
있었던 것은 교사 스스로가 행동을 변화시켜 생
산적이고 예방적 방식으로 아동과 상호작용을 했
을 때이다.
학생을 바꾸는 원리 – 교사자신 바꾸기 먼저!
출처: The Behavior Code 2012 Harvard Education Press 24쪽
We can Change Every
Student’s Life for the
Better!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12 pattern recognition
12 pattern recognition12 pattern recognition
12 pattern recognition
Talal Khaliq
 
Brain Computer Interface PPT
Brain Computer Interface PPTBrain Computer Interface PPT
Brain Computer Interface PPT
Devendra Singh Tomar
 
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Nagarajan
 
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Sonal Patil
 
Deep Generative Models
Deep Generative ModelsDeep Generative Models
Deep Generative Models
Mijung Kim
 
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Simplilearn
 
Artificial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networkArtificial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network
PavanpreetKaur1
 
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
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
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
20269vinay
 
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
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
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
Giorgio Carbone
 
Brain machine interface
Brain machine interfaceBrain machine interface
Brain machine interfaceAnup72
 
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nitish_kumar
 
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
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
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
Red Innovators
 
Neurotechnology
NeurotechnologyNeurotechnology
Neurotechnology
GraceTrosin1
 
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
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
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Osama Madbooly
 
Brain to Brain Interface
Brain to Brain Interface Brain to Brain Interface
Brain to Brain Interface
ThivyaPriyaa Baskaran
 
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
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
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
Heba Essawy, MD
 
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
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
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
taeseon ryu
 
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
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
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
رؤية للحقائب التدريبية
 
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
Sabaragamuwa University
 
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
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
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
Riddhi Jain
 

What's hot (20)

12 pattern recognition
12 pattern recognition12 pattern recognition
12 pattern recognition
 
Brain Computer Interface PPT
Brain Computer Interface PPTBrain Computer Interface PPT
Brain Computer Interface PPT
 
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ntroduc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
 
Deep Generative Models
Deep Generative ModelsDeep Generative Models
Deep Generative Models
 
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Deep Learning With Python |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networkArtificial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network
 
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
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
neuralinktechnicalseminar-1.pptx
 
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
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
Ident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
 
Brain machine interface
Brain machine interfaceBrain machine interface
Brain machine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
 
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
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
Artificial nueral network slideshare
 
Neurotechnology
NeurotechnologyNeurotechnology
Neurotechnology
 
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
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
قواعد ذهبية في التعامل مع الاطفال ذوي الاحتياجات الخاصة
 
Brain to Brain Interface
Brain to Brain Interface Brain to Brain Interface
Brain to Brain Interface
 
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
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
الأطفال ضحايا العنف الأسري.ppt
 
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
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
InternImage: Exploring Large-Scale Vision Foundation Models with Deformable C...
 
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
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
التقويم المتمركز حول المتعلم
 
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Brain computer interface
Brain computer interface
 
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
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
EEG Based BCI Applications with Deep Learning
 

Viewers also liked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
 
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
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
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
21ERICK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CS_Lee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21ERICK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21ERICK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ChansunP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21ERICK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21ERICK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ollehktsocial
 
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
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
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21ERICK
 
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
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
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화영 이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CS_Lee
 
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
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
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Jinju Jinju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21ERICK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21ERICK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1ERICK
 
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
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
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
Jinho Jung
 

Viewers also liked (19)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
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
2015. 5. 18.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5월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경계선경계선
경계선
 
공감리더
공감리더공감리더
공감리더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블로그 서밋 - 기업 소셜미디어의 성공전략
 
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
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
가평지원청(Sv)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4-11-11)
 
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
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
첫번째 Ignite Jeonju 김성원-적극적 경청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
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
2기 1 팀빌딩 및 커뮤니케이션_교재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
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
생각정리를 위한 Mindmap 시작하기
 

Similar to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21ERICK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Minsoo Jung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21ERICK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21ERICK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21ERICK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21ERICK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21ERICK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경희 배
 
최부열
최부열최부열
최부열6K5XKC
 
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
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
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
은영 김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bskks606
 
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
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
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
소 현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견지 심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Kyubok Cho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THE LAB h
 
00 갈등 Disc
00 갈등 Disc00 갈등 Disc
00 갈등 Discparkds2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dstop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gayoung07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21ERICK
 

Similar to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20)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최부열
최부열최부열
최부열
 
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
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
학부모신문 251호 (20120805)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
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
213140002 박소현 213140004 김소희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00 갈등 Disc
00 갈등 Disc00 갈등 Disc
00 갈등 Disc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Test
TestTest
Test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More from 21ERICK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21ERICK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21ERICK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21ERICK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21ERICK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21ERICK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21ERICK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21ERICK
 

More from 21ERICK (7)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1)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 1.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 http://21erick.org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2015-8-13)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
  • 2. 강의 주제 1. 문제 해결의 시작점은 무엇인가? 2. 학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3. 학습동기 유발과 주의집중 어떻 게 시키나? 4. 느린 학습자도 어떻게 학습에 성 공할 수 있는가?
  • 3. 목표1 문제 해결의 시작점은 무엇인가? • 아동의 이해 • 도덕적 교육목적 (moral purpose) • 비범한 학교 사례 배우기 • 교사의 마음 챙기기 • 비폭력 대화 • 회복적 갈등해결
  • 4. 21세기 학교가 마주한 도전 “말이 이미 가고 자 하는 방향으로 말을 타기는 쉬운 일이다.” (공자) “It is easier to ride a horse in the direction that he is already headed.”
  • 5. 아동의 이해 – 뇌가 다른 신인류  컴퓨터, 비디오, 영상물에 대한 과다노출로 인한 뇌의 변화  빠른 처리나 검색  몰입과 집중의 어려움  사회성, 감성 발달 저해  공감능력 부족 5
  • 6. 아동청소년의 이해 -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세) 발달(%) 위 그림은 연령에 따른 뇌의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을 보여준다. 전두엽(이성의 뇌)은 변연계(감정의 뇌)보다 완 전히 발달하는데 10~12년 더 걸리기 때문에 많은 청소년 들이 위험한 상황에 잘 말려든다. 100 80 60 40 20 0 변연 계 전두 엽 출처: 공부하는 우리 아이들 머릿속의 비밀(교육을 바꾸는 책, 2013)
  • 8. 어른들의 잘못된 기대 바루기 교실/가정에서 일어나는 행동/태도 문제들의 다 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의 기대’로부터 시작된다 아이들에게 상황에 따라 어떻 게 감성적으로 반응해야 하는 지 지도가 필요하다. 많은 아이들은 어떤 상황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 것이 적 절한지 알지 못한다.
  • 9.  각각의 감정들을 하나의 키보드에 비유해보자.  타고난 감정만으로는 소수의 계이름으로만 연주가능  사회적으로 중요한 감정들은 학습이 필요 학습 되는 감정들 • 겸손 • 관대함 • 공감능력 • 낙관주의 • 열정 사회성-감성 키보드의 수선 학습 되는 감정들타고난 감정들  슬픔  기쁨  역겨움  분노  놀라움  두려움 • 동정심 • 인내심 • 수치심 • 협동심 • 감사 (Ekman, 2003)
  • 10. 뇌는 경험과 학습에 의해 일생 동안 지속 적 으로 변한다. •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 반복적 운동 등과 같이 새로운 자극과 활동이 주어지면, 근육이 강화되듯이 뇌 의 신경회로망도 강화된다. 학습의 종류에 따라 뇌는 그에 맞는 특정 구조적 변화를 겪는다. “Neuroplasticity is simply the ability of the brain to change as a result of daily learning(Sousa, 2006).” • 신경세포의 생성(neuro-genesis) – 해마, 소뇌 등에서 는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성되며, 운동, 영양, 스트레스 감소 등에 의해 자란다. 지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필요!
  • 11. 지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필요! • 특정 과제에 대한 현재의 수행능력 은 각자의 고유한 뇌가 지금까지 경험하고 습득한 인지적 자산 (cognitive assets)을 반영한 것일 뿐이지, 그 과제의 수행능력에 대 한 절대적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 “더 열심히 배우면, 더 많이 알게 되고, 머리가 더 좋게 변한다!” • 학습에 대한 민감기(sensitive periods)는 있어도, 결정적 시기 (critical periods)는 없다! “지능은 고정되어 있 지 않고 향상된다!”
  • 12. [고정관점] 아이들이 할 수 없 는 과제를 용기를 내서 해보도 록 장려하는 것은 부질없는 일 이다. 또 한 번의 실패 경험을 하게 할 필요가 없다. 몇 달 관 찰하면 잘 할 아이와 못할 아 이가 다 판별이 난다. [성장관점] 우리 학교는 모든 아동이 학기 초 얼마나 잘 하느냐와 상관없이 높은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도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학기 초 형편없어서 실망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끈질기게 노력하면 놀라운 발전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우리는 아동이 지금 어떤 상태와 수준에 있는지 알기 위해 형성평가를 자주 실시 하고 피드백을 준다. 그리고 계속 관찰하면서 능력을 키워주고 (empower)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이끌어 준다. (Five Big Ideas, 2013) 아동의 잠재력에 대한 교사의 관점
  • 13. 과제: 고정관점을 성장관점으로 바꾸기 1. “그가 그걸 해낼 수 있을까요? 아마 그런 능력 없을 걸요.” 2. “그가 이걸 해낼 능력이 있었으면 진작 해냈겠 지요.” 3. “학습부진 문제의 발생은 학교의 잘못은 아녜 요. 그것은 가정배경과 국가의 제도 때문인 면이 커요.”
  • 14. 교사의 도덕적 교육목적(Moral Purpose) ‘도덕적인 교육목적’이란 지도하는 학생들 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주려는 다음의 4가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 을 의미한다. • 성취기준을 낮추지 않는다 • 높은 기대를 유지한다 • 격차를 줄인다 • 공동체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서로 돕는다 (Michael Fullan, 2010) 도덕적인 교육목적(Moral Purpose)
  • 15. ‘비범한 학교(Uncommon School)’ 닮기 15 http://www.uncommon schools.org/uncommo n-impact
  • 16. ‘비범한 학교’의 핵심 가치 http://www.uncommonschools.org/our-approach/core-values 남다른 가치 남다른 학교 역사를 바꾸자! 우리의 신념 100% 정답 추구 모두의 참여 최대한 능력발휘 즐거운 수업 우리는 모든 아이들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우리는 현명하고 전략적으로 선택하며 판단한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와 서로에게 흔치 않게 높은 기준을 갖는다. 우리는 어렵더라도 우리의 학생을 위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한다. 우리는 철저한 토론을 권장하고, 최선의 생각에 대해 목소리를 내며, 공손하게 의사소통한 다.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으며, 서로를 최고라고 여긴다. 우리는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의 발전에 투자한 다. 우리는 실현 가능한 피드백을 통해 서로를 탁월하도록 격려한다. 우리는 학습이 재미있어야 하며 모두가 똑같이 느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크든 작든 성공을 축하하고, 서로를 인정하는 시간을 갖는다.
  • 17.  우리는 모든 아동들이 대학에 갈 자질을 갖추었 다고 믿는다.  우리는 끊임없이 시스템을 정교하게 개선해 교사 가 학생을 가르치는 것을 돕는다.  진정한 스승과 리더가 가장 중요하다. 학습에는 어떤 한계도 없다고 믿는다. 우리의 목표는 • 학업성취도 격차 줄이기 • 수백만의 빈곤층 아동을 도와 대학을 졸업시키기 • 학교의 역사를 바꾸기 http://www.uncommonschools.org/uncommon-impact ‘비범한 학교(Uncommon School)’의 교육목표!
  • 18. 비범한 학교들의 공통점 1. 일련의 5~6개의 분야에서 탁월한 기술(전문성)을 지닌다. 2. 학교의 성공은 이런 탁월함에서 오고, 기술(전문성)의 구 성은 교사마다 다르다. 3. 강점을 강화하고 강점에서 더욱 탁월해지도록 노력한다. 4. 탁월한 분야를 기반으로 해서 약한 부분을 향상시킨다.  어떤 기술부터 시작하면 좋은가? 1. 교사가 예고 없이 학생을 선택해 질문하는 것(cold call)을 통 해 모든 아동들은 매 수업시간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기대를 유 지한다(Starting with Cold Call). 2. 일상적으로 꼭 지켜야 할 규칙을 몸에 배도록 자동화/습관화 시킴으로써 수업의 효율을 높이고 아동들로 하여금 학습에 탁월 할 수 있도록 한다(Starting from Mundane Routines). 3. 최종 도달할 수업의 목표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한다 (Starting from Planning).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19. 대답회피 방지 기술(No Opt Out) “몰라요” 답변/활동 회피를 방지하는 기술 • 방법1: 교사가 답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답 을 따라 말한다. • 방법2: 다른 학생이 답을 제공하고, 처음 학 생이 이를 평가한다/따라 말한다. • 방법3: 교사가 단서를 제공하고, 학생은 이를 이용해 답을 찾도록 한다. • 방법4: 다른 학생이 단서를 제공하고, 처음 학생은 이를 이용해 답을 찾도록 한다.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20. 친사회적 교실 (The Prosocial Classroom) 교사의 사회성감성 역량과 학생의 성과 모델 http://www.garrisoninstitute.org/component/docman/doc_view/692-jennings-2011-promoting- teachers-social-and-emotional-competencies?Itemid=1203
  • 21. 사회성감성 역량 (SEC) 마음챙기기 (mindfulness) 비폭력 대화 (NVC) 회복적 갈등해 결 (RP) 교육뇌과학 (HBW-HPL) 힘든 현실을 보람찬 삶으로 바꾸는 5가지 필수역량
  • 22. 사회성-감성 교육부터!! 자기인식능 력 self-awareness 자기관리능 력 self-management 책임 있는 의사결정능 력 responsible decision-making 관계 능력 relation skills 사회적 신호 인식능력 social awareness 사회 성감 성 교육 타인을 이해하 고 공감하는 능 력 목표달성을 위해 감 정과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강점과 한계 는 물론 자신의 감 정과 지향하는 가치 를 인식하는 능력 개인적, 사회적 행 동을 할 때 윤리 적, 건설적인 판단 능력 긍정적 관계형성, 팀워 크, 효과적인 갈등해결 능력 http://casel.org/why-it-matters/what-is-sel/22
  • 23. 교실 수업에 SEL 통합 기술 5 1. 반(classroom) 회의 개최를 통해 인사, 공감, 경청, 요청, 사과 등 가르치기 2. 갈등해결을 통해 문제해결능력 키우기 3. 하루의 일과 및 시작과 종료를 ‘정서적 샌드위치’ 로 만들기(emotional sandwiching)’ 4. 교사를 위한 정서자본(emotional capital) 구축 5. 학생을 위한 정서자본(emotional capital) 구축 http://www.edutopia.org/blog/social-emotional-learning-education-sel-mary-kate-land SEL의 적용 “오늘 하루 서 로 도운 것 한 가지씩 말해 볼까?” Morning Meeting Closing Circle “강아지가 다쳤는데 심하지는 않아”
  • 24. SEL의 적용 24 수업을 통한 SEL 역량 키우기 전략 5 1. 마음을 다해 현재에 집중하기(mindfulness) 2. 자신 생각의 문제점 깨닫기(challenge thinking) 3. 성취를 위해서는 노력, 참을성, 불굴의 정신 (perseverance)이 필요함을 깨닫기 4.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공감(empathy)과 경청 “준호, 이게 왜 이해가 안 돼?” ->“ 준호, 나랑 같이 이해해 볼까?” 5. 감사의 생활화를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삶 (wellbeing) 실현하기 http://www.teachthought.com/learning/5-strategies-for-incorporating-social-emotional-learning-into-your- classroom/
  • 25. 부정적인 생각 – 도전해 떨치기 맞는 생각인 가? 다른 각도에 서 생각해 볼 수는 없 는가? 나의 이런 생 각으로 인해 나는 어떤 기 분인가? 이런 생각을 갖 지 않는다면 상 황은 어떻게 달 라질까? http://www.westernregionalcac.org/thoughts-are-not-facts-infographic-3/
  • 26. 아이들 맞이할 준비 - 교사의 마음 챙기기 호흡 바라보며 감정 가라앉히기 • 수업 들어가기 전 • 수업 중
  • 27. 수업 중 상호작용 과정에서 마음 챙기기(mindfulness) • 학습자 얘기 온전히 집중해서 경청하기 •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나와 학습자의 감정 인 식하기 • 열린 마음 및 평가와 판단 않기 • 학습자의 생각과 감정에 반응적이기 • 자기조절 능력을 발휘해서 청소년들의 흔한 행동에 반사적으로 대응 않기 • 아동의 개인적인 욕구 인식하고 반응적이기 • 교사 자신과 학생들의 생각에 공감 표현하기 출처: Mindfulness in the Classroom! 교실에서의 마음 다함(mindfulness)
  • 28. 마음챙김 역량 및 회복력 함양하기(CARE: Cultivating Awareness and Resilience in Education) CARE 연수 프로그램은 아래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 심호흡 3회 하기 • 호흡에 마음 집중하기 • 걷기에 마음 집중하기 • 타인에 대한 배려 연습하기 • 신체 각 부위를 훑으며 이완하기 • 먹는 것에 마음챙기기 • 감성과 정서 일지 기록하기 아이들 맞이할 준비 - 교사를 위한 CARE CARE 지도 3요소 1. 정서회복 기술지도 (SEC) 2. 마음 다함과 스트레 스 완화 연습 (mindfulness) 3. 경청과 공감 연습 (NVC)
  • 29. 29 • 우리가 자신을 변화시킨다면 이는 세 상을 변화시키는 일이다. 우리 자신의 변화의 시작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와 소통방식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 (Marshall Rosenberg). • 인간이면 누구나 매 순간 자신의 욕구 를 우리가 알고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충족시키려고 한다(Marshall Rosenberg). • 비판과 폭력은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비극적으로 표현한 것이다(Marshall Rosenberg). • 평가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인간 지성이 최고의 형태이다 (Krishnamurti). 비폭력 대화(상호욕구 충족을 위한 평화적 대화)
  • 30. 비폭력 대화 – ‘폭력’에 대한 정의 30 폭력에 대한 새로운 정의 1. 보상과 처벌(reward and punishment) 처벌이 폭력의 뿌리다. 2. 죄책감을 느끼게 함(guilt) 우리의 감정이 타인 탓이라고 표현: “너 진짜 나 화나게 하고 있어.” 3. 망신을 주거나 창피스럽게 느끼게 함(shame) 타인이 내가 원하는 대로 해주지 않을 때 부정적 꼬리표 를 붙임: “너는 너무 무례해.” 4.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기책임 부정(denying responsibility for our actions) “...해야 해.” “...하면 안 돼.” http://www.nonviolentcommunication.com/pdf_files/ parenting_communication_mrose.pdf
  • 31. 비폭력 대화의 효과 삶을 바꾸는 비폭력 대화의 효과 •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 관계 개선(personal relationships) • 학교와 교육의 성공 (education and schools) • 효과적인 부모역할과 가족의 삶 바꾸기 (parenting and families)
  • 32. 비폭력 대화 실천포인트1 32 비폭력 대화의 핵심 ▷목적: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내가 원하 는 것을 상대방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이해와 공감적 연결(empathic connection)을 통해 서로의 욕구를 상호 호혜적으로 충족시키는 것 ▷비폭력 대화(NVC)의 핵심은 가슴과 가슴 사이에의 진정한 연결이다. 이런 연결을 위해서는 2가지 접근이 필요하다. 하나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어떻게 연 결을 방해하는지 아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을 강화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일이다.
  • 33. 비폭력 대화 실천포인트2 33 비폭력 대화(NVC)란? 사람들이 서로 상대방을 평가/비판하거나 타 인의 탓으로 돌리는 습성만 극복할 수 있으면 각자의 내면의 감정이나 욕구와 진정한 연결 을 이룰 수 있다. 연결이 이루어지고 나면 •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고 • 관찰 후 이해하게 된 감정과 욕구에 공감적 경청을 하고 표현한다. • 이렇게 관찰을 통해 감정과 욕구를 파악하 고 나서 이 욕구해결을 위해 요구가 아닌 부탁’을 한다. • 이런 비폭력 대화를 통해 거의 해결이 불가 능해 보이는 갈등까지 해결할 수 있다!
  • 34. 비폭력 대화 실천 포인트3 34 다른 사람에 대한 비판은 충족되지 않은 자기 욕구의 왜곡 된 표현이다. 우리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다른 사람의 탓 으로 돌리는 것에 익숙하다. 다른 사람을 판단이나 평가하 고, 비판하고, 진단하고, 해석하는 것은 자신의 욕구가 충 족되지 못한 것이 투사된 것이다.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면 그 욕구가 충족될 가능성이 커진다. 불행하게도 우리 대부분은 필요나 욕구라는 측면에서 생각 하는 것을 배운 적이 없다. 우리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 지 않았을 때 다른 사람의 잘못 때문으로 돌리는 것에 익 숙하다. 그래서 우리는 아이들의 옷이 옷걸이에 걸려 있기 를 바라는데 소파 위에 내팽개쳐져 있다면 아이들을 게으 르고 비난한다. 또 팀원이 우리가 원하는 방식대로 일하지 않으면 이들을 무책임하다고 비판한다.
  • 35. 35 공감적 경청 원리4 1. 이해의(판단과 평가가 아닌) 자세로 듣는다. 2.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 판단/ 평가를 유보한다. 3. 동의하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 서도 공유해주어 고맙다고 말하 며 너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 고 말한다. 4. 나의 생각은 상대방이 이해할 기분일 때만 공유한다. http://www.buzzquotes.com/quotes-on- empathic-listening 비폭력 대화 - 공감적 경청
  • 36. 비폭력 대화 – 삶을 풍요롭게 하는 학교 만들기 36 교문 안으로 들어올 수 없는 사람들 • 옳다/그르다 • 맞다/틀리다 • 정상이다/비정상이다 • 공손하다/불손하다 • 머리가 좋다/머리가 나쁘다 • “해야 돼/안 하면 안 돼” 등의 단어를 갖고 있으면 아무도 학교 문을 들 어설 수 없다. (Life-Enriching Education, 2003)
  • 37. 비폭력 대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 교실 하나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으로 꾸며졌다. 어떤 학생 이 다른 학생들을 방해하면, 교사가 그 학생에게 ‘아무것도 하 지 않는 방’으로 가달라고 부탁하곤 했다. 실제로 ‘아무것도 하 지 않는 방’에는 할 일들이 아주 많이 있었다.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읽을 책도 있었다. 우리는 그 방에 보내는 의도가 벌을 주 기 위해서가 아니라는 점을 전달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에서는 좋은 소통이 많이 이루어졌다. 사실, 수업 분위기를 흐려놓는 학생들의 특징은 내적 고통을 많이 겪고 있으며, 이것이 파괴적인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것 이다. 그래서 그래서 그 방에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가장 잘 들 어주는 재능을 가진 교사가 배정되었다. (Life-Enriching Education, 2003)
  • 38. 징벌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 비교 징벌적 정의 회복적 정의 어떤 규칙을 어겼는가? 어떤 상처가 발생했는가? 누가 규칙을 어겼는가? 욕구와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 누가 상처회복의 책임 당사자인가? 회복적 정의란? • 피해자가 얘기할 기회를 제공한다. •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질 기회를 제공한다. • 가해자에게 자신의 행동에 의해 상처받은 사람의 얘기를 경청할 기회 를 제공한다. • 어떻게 하면 잘못된 행동을 고칠 수 있는지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한다.
  • 39. 징벌적 생활지도와 회복적 갈등해결 비교 징벌적 생활지도 회복적 갈등해결 • 한 학생이 수업 중 문제 있는 행동을 한다. • 교사는 학생을 분리시킨 다. • 학생은 정학기간이 끝나 고 다시 돌아온다. •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 다. • 아무것도 회복된 것도 없 다. • 학생이 잘못에 대한 책임 을 받아들인다. • 교사는 학생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 다. • 상처를 아물게 하고 비행 의 재발을 위한 대책을 세운다. • 관계는 회복되고 공동체 는 단단해 진다.
  • 41. 학습이 일어나는 곳 – 블랙박스 안 “뇌 속에서 학습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모르 고 가르치는 것은 사람의 손가락이 어떤 모양으로 생겼고, 어떻 게 움직이는지를 모르면서 장갑을 디자인하는 것과 같다.” (Leslie Hart, 1983) http://designshack.net/articles/business-articles/using-the-black-box-model-to-design-better-websites
  • 42. 뇌의 학습원리 – 전뇌의 사용 최적의 수업은 3가지 뇌(생명의 뇌, 감정의 뇌, 이성의 뇌) 기능 의 최적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통적인 교육은 이성의 뇌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비과학적, 비효율적이다. 신포유 류 구포유 류 파충류 대뇌피 질 변연계 감정 뇌간 생명유 지 이성 명칭 뇌의 부위 기능
  • 43. 사고의 뇌(Thinking Brain)  뇌 안의 CEO(집행기능) 전전두엽(Prefrontal lobe)아 직 덜 성숙함  미리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기능이 완전하 지 않음 감정의 뇌(Feeling Brain)  변연계(Limbic system) 발달은 최고조  감정에 따라 행동하며,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생존의 뇌(Survival Brain)  스트레스를 받으면 재빨리 생존 모드(fight-flight- freeze)로 돌입! 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방해, 살기 위해 방어적 으로 반응하는 뇌간(Brain stem) 활성 청소년의 뇌 이해
  • 44. 뇌의 이해 - 정보처리 우선순위 3차: 새로운 학습 정보 (성찰적 - 전두엽, frontal lobe) 2차: 감정 정보 (반사적 - 변연계, limbic area) 1차: 생존 정보 (반사적 - 뇌간, brainstem)  생존과 감정에 대한 강력한 자극이 주어질 때, 새로 학습된 정보는 처리 우선순위에서 나중으로 밀린다.
  • 45.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이론 (Maslow, 1943) 자아실현의 욕구 (Self- Actualization) 존경의 욕구 (Esteem)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 (Love & Belonging) 생리적 욕구 (Physiological) 안전의 욕구 (Safety) 인격적 성장과 잠재력의 실현 등 자신의 꿈을 펼치고자 하 는 욕구 자기존중, 성취나 책임, 평판 등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욕구 특정 집단이나 가족에 소속되어 사람들과 교류하며 사랑 받고 싶은 욕구 위협적인 요소를 피하고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 공기, 음식, 음료, 주거, 난방, 생식, 수면 등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 ☞ 기본적 욕구(음식, 주거, 의료 서비스, 안전, 가족, 우정)가 채워 지지 않으면 상위 단계에 위치한 학습에서의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 46. 46 학습은 뇌세포(neuron)가 물리적으 로 성장한 결과다. • 학습과 기억의 물리적 기반은 신경세포 의 축색종말(axon terminal)과 다른 신 경세포의 수상돌기(dendrite) 사이로 전 기적 자극(impulse)이 신경접합부 (synaps)의 간극을 뛰어넘는 현상. •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전기화학적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시냅스 기능의 효율성을 높이 뇌의 학습원리 – 학습의 생물학적 정의 학습(learning)은 지식과 스킬을 부호화하여 장 기기억으로 저장한 다음 이를 나중에 필요할 때 다시 불러와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
  • 47. 학습은 패턴을 탐색하고(patterning-seeking) 잦은 활 용을 통한 자동화(program-building)의 과정이다. • 뇌는 혼란스런 상황에서 본능적으로 질서를 찾는다(The brain seeks to make order out of chaos). • 뇌가 사물, 상황, 관계 등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패턴을 스스 로 찾을 수 있는 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탁월하다. • 학습은 뇌가 선험지식을 바탕으로 확률에 의거하여 패턴을 찾 아 이해하고, 연결짓고, 패턴을 통합하고 이를 활용을 통해 자 동화해 가는 과정이다. • 패턴찾기 예 Mary went to the to swim but she found that she 학습 - 뇌의 패턴 탐색과 자동화
  • 48. 뇌의 패턴 탐색과 자동화 1단계 Input 단계 패턴 찾기 1) 패턴 발견하기 전두엽 (우뇌) Pattern- Seeking 2) 패턴의 의미 이해하기 전두엽 (좌뇌) 2단계 Output 단계 프로그램화 3) 이해한 것을 활용하기 전두엽에서 후두엽으로 Program- Building 4) 자동화 후두엽에서 소뇌로  스스로 패턴을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라.  뇌가 싫어하는 것: 이미 패턴이 정리되어 있는 정보. 교과서나 문제집. (Caulfield & Jennings,2006) 학습의 2단계
  • 49. 감정[정서]은 패턴을 찾는 작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다. 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로부터 의미를 탐색하고자 할 때 감정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뇌는 외부 정보를 평가하여 의미있는 것 에만 주의를 기울여 학습을 담당하는 이성의 뇌로 올려 보낸다.  뇌는 정서적 가치가 있는 정보일 때 의미 탐색을 더 효율적으로 하게 된다. 그래서 감정과 정서를 학습으로 가는 온오프 스위치 혹은 문지기라고도 부른다.  감정과 인지는 분리할 수 없는 영역이다. 감정은 주의를 어디에 기울일지를 결정하고, 주의는 인지기능을 작동시키며, 인지작 용은 기억의 회로를 만든다. 이렇게 긍정적 감정과 정서는 학습 과 기억작용에 필수적이다. 뇌기반 교수학습원리 24
  • 50. 정서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경로 교실 분위기 긍정적 분위기는 혈액 내 엔 도르핀 수치를 높여 행복감 을 느끼도록 하며 전두엽을 자극한다. 부정적 분위기는 혈액 내 코 티솔을 증가시켜 불안 수준 을 높이며 전두엽이 ‘저항/회 피’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학습 활동 감정이 실린 경험은 더 높은 흥 미와 적극적인 참여, 활발한 기 억 유지가 일어나도록 한다. 교수 활동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 가? 정서 (Emotions) (비명시적 기억) (명시적 기억)
  • 51. 학습이 일어나는 곳 - 작업기억 입력 단기기억 장기기억 작업기억 출력 잊어버 린 정보
  • 52.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과 중요성 출처: How the Brain Learns David Sousa, 2011 p50 작업기억 IQ 습관 3Rs 출처: 수업혁명I: 학습부진 탈출편
  • 55. 인지부하 전략 글자 글자 글자 내재적 본질적 외생적 전체 인지부하 내재적 인지부하가 높다면… 본질적 인지부하를 높이기 위해 벨소리와 휘파람소리를 없애라 작업기억 용량 수준
  • 56. 인지부하를 줄이는 수업 스킬 • 수업 속도를 늦춘다 . • 단원의 학습목표를 다시 한 번 복습한다 . • 속도를 조절하고, 학습자를 일으켜 세워 간단한 신체를 움직이는 활 동을 하고 옆의 동료와 배운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한다. • 비주얼과 그래픽 자료를 사용한다. • 수업할 때 이해하기 쉬운 용어, 표현, 예, 안내성 질문을 사용한다 . • 끊임없이 배경지식과 연결지으며 수업을 진행하고, 배경지식을 필 요할 때 다시 언급한다. • 양식이 다른 자료는 분리하여 제시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제시한다. • 복잡하거나 어려운 과제는 작은 단위로 쪼개서 인지부하를 줄인다. • 주업 중 수시로 질문을 던져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cf. thumbs up). •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절차, 방법에 익숙하게 한다. • 학습부진 아동, 한국어 사용이 미숙한 다문화가정의 아동의 경우, 2 중고를 고려한 수업을 진행한다.
  • 57. 인지부하(cognitive load) 낮추기 1. 연습, 연습, 연습 기본적인 어휘, 개념, 공식, 내용 등은 처리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0”이 될 때까지 연습한다. 스키마(schema)의 구축과 자동화가 중요하다. 2. 배경지식제공, 사전지식과 연결 이해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또 작업기억의 인지부담을 줄이기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사전 지식과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3. 전체와 부분의 연결을 돕기 낱개 정보는 기억에 부담이 크다. 하지만 이런 부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큰 개념과 연결시 킬 때 더 인지부하도 줄이고 기억도 더 잘 할 수 있다.
  • 58. 주의와 인지부하의 원리 1. 학습자가 한 요소에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이면 기울일 수록 다른 요소에 기울일 주의의 양은 그만큼 줄어든 다. 2. 교사가, 수업이 학습자에게 얼마나 인지부담을 주는 지 측정하는 데 숙련되면 될수록, 수업의 성공가능성 은 더 높아지고, 학습자는 더 많이 배울 수 있게 된다. (Francis Bailey 외, 2014) 주의와 인지부하(cognitive load)의 원리
  • 59. <전략1> 정보를 덩어리로 묶어 작업기억의 부담을 줄인다. 예: 5813476297 -> 581-347-6297 It’s winter, but I stayed ( ) because it was too hot ( ). 겨울이었지만, 안이 너무 더워서 나는 밖에 있었다. -> It’s winter, but I stayed because it was too hot . 겨울이었지만/ 나는 밖에 있었다/ 안은 너무 더웠기 때문에 인지부하 낮추기
  • 60. 예: <소, 테이블, 사과, 소파, 체리, 사자, 말, 컴퓨터, 복숭아>라는 단어를 외워보자. 아마 쉽게 외워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 물건, 과일>로 범주를 나누어 외워보 라. • 동물 - 소, 사자, 말 • 물건 - 테이블, 소파, 컴퓨터 • 과일 - 사과, 체리, 복숭아 아마 더 쉽게 단어를 외울 수 있었을 것이다. <전략2> 정보를 연관된 것끼리 묶는다. 인지부하 낮추기
  • 61. 61 <전략3> 시각자료와 문자정보를 인접시켜 통합적 으로 제시한다. http://www.learnnc.org/lp/editions/every-learner/6693 인지부하 낮추기
  • 62. <전략4> 정보를 그래픽 오거나이저로 제시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정보의 저장과 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인지부하 낮추기
  • 63. 63 <전략5> 이야기 문법을 지도해서 이야기를 구조적으 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지부하 낮추기
  • 64. <전략6> 정보를 위계(hierarchy)에 따라 조직한다. Adapted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Collins and Quillian (1969) 인지부하 낮추기
  • 66. http://3.bp.blogspot.com/-7fSAuC3i0Cc/UUNkWhk2OMI/AAAAAAAAHfU/eTdEual3Xyc/s1600/AESR+Heading+3.jpg • 주의 - 세상을 경험할 때 수많은 자극들 중 필요한 것만 선 별한다. • 부호화 - 선별되어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자극(외부정보)을 개별 신경세포 혹은 신경망 차원에서 전기적 활동으로 변 환하는 과정이다. (기억=신정보와 구정보의 연결) • 저장 - 마음속으로 들어 온 정보를 선별하고 시연(試演)을 통해 저장한다. • 인출 -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속해서 이를 다시 불러낸다. 인지적 학습 4단계
  • 67. http://www.senseandsensation.com/2013/03/encoding-how-to-make- memories-stick.html#!/2013/03/encoding-how-to-make-memories-stick.html 부호화(학습은 신정보와 구정보의 연결/결합) 부호화는 … … 새로운 감각, 정서 정보가 … 사전지식에 연결될 때 일어난다.
  • 68. 예: <소, 테이블, 사과, 소파, 체리, 사자, 말, 컴퓨터, 복숭아>라는 단어를 외워보자. 아마 쉽게 외워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동물, 물건, 과일>로 범주를 나누어 외워보 라. • 동물 - 소, 사자, 말 • 물건 - 테이블, 소파, 컴퓨터 • 과일 - 사과, 체리, 복숭아 아마 더 쉽게 단어를 외울 수 있었을 것이다. 정보를 연관된 것끼리 묶는다. 인지부하 낮추는 부호화
  • 69. 69 인출은 부호화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부호화 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인출될 수 없다. 인출의 성공과 실패는 존 재여부(availability)와 접근성(accessibility)으로 설명된다. 즉, 저장 된 정보는 장기기억의 어딘가에는 분명 존재하고 있지만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정보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인출(引出, retrieval) 효과적인 부호화 http://theelearningcoach.com/learning/what-is-cognitive-load/
  • 70. 작업기억 향상 - 볼 패스하며 말/문장 이어가기 • 학생1- 나는 축구를 좋아한다(I like playing soccer). • 학생2 – 나는 축구와 피아노 치기를 좋아한 다(I like playing soccer and playing piano). • 학생3 – 나는 축구와 피아노 치기 그리고 수영을 좋아한다(I like playing soccer, playing piano, and swimming).
  • 71. 작업기억의 4가지 특성 작업기억 일상생활에서 수행되는 인지적 과제를 위해 정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 작업기억의 정보는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만 잠시 유지된다. 작업기억은 동시에 3~5개만 유지할 수 있다. 작업기억은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곳이다. 학습에는 작업기억과 주의력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출처: http://www.learnnc.org/lp/editions/every-learner/6693 변형
  • 72. 배경지식의 영향 72 • 배경[사전]지식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 배경[사전]지식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어떻게 조직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 배경[사전]지식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와 구정보 를 얼마나 쉽게 연결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http://podnetwork.org/content/uploads/V5-N4-Svinicki.pdf
  • 73. • 학습은 기억을 기반으로 한다. • 장기기억은 신정 보와 구정보의 연결을 통해 이 루어진다. • 신정보와 구정보 를 연결을 돕는 것은 배경지식이 다. • 배경지식은 학업 성취에 영향이 가장 큰 요소다! (cf. 교사의 수업스킬, 학생의 흥미, 내용의 복잡성) http://www.ascd.org/publications/books/104017/chapters/The- Importance-of-Background-Knowledge.aspx 배경지식의 중요성
  • 74. 배경지식의 평가, 활성화, 구축 74 배경지식 관련 주요 학습활동 4 1. 배경지식의 평가 (배경지식을 갖춘 정도 파악) 2. 배경지식의 활성화 3. 배경지식과의 연결 모델링(cf. thinking out loud) • 자신의 경험과의 연결(to self) • 세상과의 연결(to world) • 사전 교과지식과의 연결(to text) 4. 배경지식의 구축
  • 75. 배경지식 활성화 기술 75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4  새로운 지식으로 수업을 시작하면 학습자는 수업 을 따라갈 수 없게 된다.  학습전략의 지도보다 배경지식 활성화와 구축이 먼저다. • 이미지 브레인스토밍 • 그림책 활용하기 • ㄱㄴㄷ 브레인스토밍 (기후변화-고온, 농수산물, 돌고래, 라니뇨, 무더위..) • 주제에 관해 아는 것 쓰기(Quickwrites) • KWL 차트 활용하기 • 체크리스트 활용하기(지식, 기능 등) • 문자/단원 틀 제공하기
  • 77. 배경지식 활동 예 예측을 가능케 하는 가이드 제공 1. 앞으로 나올 내용에 대한 단서 제공 2.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의 양과 질을 확인할 수 있게 함 3. 학습목표의 설정을 도움 4. 중요한 동기유발 요소 예: ※ 다음 서술을 읽고 동의하면 A, 동의하지 않으면 D로 표시 하시오. ① 확률이 0(zero)란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다. ② 확률을 공부할 때 주사위를 던지는 활동을 하기도 한다. ③ 모든 가능한 결과에 대한 확률의 합은 1이다. ④ 상호 배타적인 두 가지 사건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⑤ 확률을 배우기 전에 분수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78. 예측 가이드 작성법 1. 소단원 내용을 훑어보고 나서 주제에 관련된 가 장 중요한 내용을 찾는다. 2. ‘절대로’, ‘가장...한’ 등과 같은 절대적 용어를 피하면서 간결한 문장으로 표현한다. 3. 재미있고 우스운 예측 내용도 포함시켜 활동이 흥미롭도록 해본다. 4. 너무 어렵거나 특수한 용어는 사용을 피한다. 5. 소단원 내용을 그대로 반영할 필요는 없으며 탐 구정신을 발휘해 질문과 생각을 표현한다. 배경지식 활동 예
  • 79. 회전목마 브레인스토밍 1. 신체 움직임과 대화를 통해 새로운 학습을 위한 배경지식 활성화에 매 우 유익한 활동이다. 2. 학습자들이 소모둠 형태로 교실을 돌면서 각 질문(흑은 개념)이 게시된 장소에 가서 지정된 시간 동안 브레인스토밍을 한다. 3. 도출된 아이디어들은 다른 모둠도 공유할 수 있도록 각 게시 장소에 기 록한다. 게시 질문의 예: ① 잘 된 웹페이지는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하나? ② 잘 된 웹페이지에는 어떤 유형의 정보가 있어야 하나? ③ 웹페이지에 올라가서 안 되는 정보는 어떤 것들이 있나? ④ 가장 이상적인 웹페이지를 디자인한다면 어떤 특징을 보여주고 싶은 가? ⑤ 한국을 소개하는 웹페이지에는 어떤 정보가 소개되기를 기대하나? ⑥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는 어떤 내용을 어떻게 소개하는 것이 좋은가? 배경지식 활동 예
  • 81. 생산비용이 가격과 경제 에 영향 줌 비료, 살충제 등의 살포가 대지를 오염 시킴 해결을 위해 행위의 변화 필요 산업생산이 일차 원인임 산업은 환경 보호 법제화 에 영향을 줌 어떤 암은 대 기 오염과 관 련됨 대기오염이 국경을 넘어 세계 시민에 영향 줌 산업과 경제 에 전반적인 영향 줌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예
  • 82. 2분 대화 나누기 수업 예정인 소단원 주제에 관련해 이미 알고 있 는 지식을 파트너와 공유하는 브레인스토밍을 각 자 2분 동안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학습을 위한 기초 지식을 마련한다. 예: ① 화산 폭발은 왜 일어나는가? ② 화산 폭발이 일어나기 전에 어떤 징후가 있는 가? ③ 백두산에 화산이 폭발할 경우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배경지식 활동 예
  • 83. 생각해보고 짝과 얘기 나누기 (Think-Pair-Share) • 소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각자 생각할 시간을 갖는다. • 짝과 함께 그 생각을 나눈다. • 두 사람은 반 전체와 공유하기 위 해 나눈 생각 중 중요한 것 한 가지 를 선택한다. 주제 예: “학교에서 휴대폰을 활용해서 수업을 하는 것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배경지식 활동 예
  • 84. 돌아다니며 조사하기 (Walk Around Survey) •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거나 정리하기 위해 실시한다. • 연구 주제를 제시하고 교 실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 니며 급우를 대상으로 대 화를 통해 조사한다. • 이런 조사활동 중에 자신 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상대방과 공유하고 상대 방의 사전지식을 새롭게 배운다. 주제 예: “어떤 것이 책임있는 인터넷 사용자인가?” http://www.classhelp.info/Biology/Strategies%20for%20Activating%20Prior%20Knowledge.pdf 배경지식 활동 예
  • 85. 뜨거운 의자(hot seats)에 앉은 사람이 대답하기 “뜨거운 의자”에 앉은 4-5명의 학습자가 사전에 교사가 준비한 질문에 답한다. 1.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교사는 오늘의 학습 주제와 관련된 질 문을 포스트잇에 써서 학습자 4-5명을 선정해 책상이나 의자 아 래 보이지 않게 붙여 둔다. 2. 수업이 시작되면 교사는 이런 사실을 공표하고 각자 자신의 의자 아래 포스트잇 유무를 확인하게 한다. 3. 해당 학생은 각 질문을 읽고 자신의 사전지식을 말한다. 질문 예: ①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검색엔진은 무엇이고 왜 그런가? ② 친구에게 웹사이트 하나를 추천한다면 어떤 것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③ 학생들이 인터넷을 수업 중에 접속하는 것을 아무런 조건 없 이 허용해야 하는가 하지 말아야 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 86. 뇌기반교육(BBE) 핵심원리 10 1. 정보는 뇌의 2개 이상의 영역에 저장된다. 다중 기억과 다중 신경회로 를 통해 회상할 수 있다. 2. 모든 학습은 마음과 몸(mind-body)이 동시에 관여한다. 몸의 움직임, 음식, 주의 사이클, 신경전달물질 등이 학습을 이끌고(drive) 조정한다 (modulate). 3. 정서는 의미 패턴을 찾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주의를 어디에 기 울일까를 결정하고 또 의미해석과 기억에도 영향을 끼친다. 4. 정보 자체보다는 정보에 대한 개인적 의미(personal meaning)가 더 중 요하다. 5. 기억에는 공간적 기억(정보에 관한 환경적 요소와 공간적 방향까지 저 장하는)(spatial memory)과 기계적 암기에 의한 기억(rote memory) 두 가지가 있다. 6. 사람은 정보가 자연스런 공간적 기억(natural spatial memory)에 내재 될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7. 뇌는 사회적이다(social). 다른 뇌와 협력을 통해 더 잘 발달한다. 8. 수준 높은 학습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과제가 도전할 만한 것일 때 강 화된다. 9. 모든 뇌는 유기적 조직과 구조가 각기 다르다(unique). 10. 학습은 발달적이다(developmental). (Cane and Cane) http://thesecondprinciple.com/optimal-learning/brainbased-education-an-overview/
  • 88.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http://www.vaniercollege.qc.ca/pdo/2013/04/teaching-tip-learning-with-marzano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자기체계 몰입여부 결정 상위인지 체계 목표와 전략 수립, 자기조절, 평가 인지 체계 지식 영역 정보 정신적 절차 신체적 절차 정보의 처리 지식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 재인하기 회상하기 실행하기 합성하기 표현하기 통합하기 기호화하기 대응하기 분류하기 오류 분석 일반화하기 명시하기 의사 결정하기 문제 해결하기 실험적 탐구 조사하기
  • 89. 출처: 10 Best Teaching Practices, Donna Walker, 2011 P6 학습동기 자물쇠 풀기 – 자기체계 3가지 질문 자기체계 3요소 1. 나는 저것을 배우고 싶 고, 배울 필요가 있는가? (학습과제에 대한 태도/ 중요성 인식) 2. 나도 배울 수 있을까? (자기 유능감 – 달성 가능 성에 대한 믿음) 3. 과제에 대한 나의 기분 은 부정적인가 긍정적인 가? (학습과제에 연계된 감정)
  • 90. 자신감의 상실 요인 이해 자신감을 잃게 하는 교사요인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 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 유전요인, 환경요인, 다른 조건들 때문에 학습 잠재력이 낮다고 믿는다. •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을 거라 생각하고 대충 가르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한다. • 강점보다는 잘못된 것부터 찾아낸다.
  • 91. 91 학습동기 저하 요인 이해 학습동기를 떨어뜨리는 10가지 요인 1 오늘의 수업 내용이 오직 고교과정 이후의 미래를 위해 필 요하다는 도입 설명(지금의 삶에 의미가 있도록 해야!). 2.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교사가 말하고, 잘 못했을 때 훈시 를 길게 하는 경우 3. 해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숙제나 과제의 부여 4. 자신에 대해 (교사/부모가)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5. 실패를 나타내는 기호나 점수 6. 강점보다는 약점,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7. 실력이 부족하다고 인지수준에 맞지 않는 자료로 수업 8. 학생 자신에게는 심각한 감정적 문제이나 이를 하찮게 여 기는 경우 9. 개인의 욕구, 필요, 재능, 학습속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 로 부여하는 수업 10. 비꼬는 일
  • 92. 92 동기관련 교사의 잘못된 인식 5  통제가 필요하다 -> 동기유발이 필요하다“자신이 또 하나의 시 험 점수의 채점 대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면 잘하거나 열심히 할 이유가 없다” “이미 (교사/부모가) 자신은 실패할 거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자 신이 노력할 이유가 없다”  틀린 것은 지적한다 -> 교육적인 피드백을 하고 질문 자체와 논의의 깊이를 더한 것에 고맙다고 말한다  학습에 게으르다 -> 교사가 알지 못하는 이유가 있거나, 열심 히 하는 것이 따로 있다  말을 듣지 않는다 ->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존중하는 교사에게 는 태산이라도 움직이려고 한다  수업을 지루해 한다 ->  10-15분 마다 수업의 모드를 바꾼다  잘못된 판단과 실패에 대해 회복을 돕는다 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교사가 열정을 보인다  학생의 출신 문화를 고려해 과제를 내준다 학습관련 교사의 미신
  • 93.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동기향상의 원리
  • 94. 학습자 스스로 선택(choice)하고 통제(control)할 수 있을 때 동 기가 향상되고 학습이 강화된다. •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방식, 평가방식을 선택(choice) 하고 주도할(control) 수 있을 때 학습에 대한 책임감, 주인의식 , 동기, 성과가 향상된다. • 무언가를 ‘선택’한다는 것은 엄청난 힘을 지닌다. 우리는 스스 로 선택한 것에 대해 책임 지려하기 때문이다. 동기향상의 원리 – 학습자의 선택과 통제
  • 95. 학습자들에게 긍정적 기대와 믿음 을 보낼 때 학습자들의 뇌는 이에 긍정 적 으로 반응한다. • 기대효과(The expectation effect) –자신 혹은 타인에 대한 기대의 결 과,인식과 행동이 변하는 현상•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그 대상에게 그대로 실현되는 경향 • 로젠탈효과(Rosenthal effect) - 피그말리온 효과를 교 육학에 접목한 것 동기향상의 원리 – 기대와 믿음
  • 96. 주의 집중의 기술 흥미 끌기(The Hook) • 매 수업 마다 흥미를 끌 장치를 마련하여 수업 안에 포함시킨다. • 언어적 정보 외에 시각적 정보를 적소에 추 가한다. • 짧은 질문을 포함시켜 수업 안을 짠다. • 한 수업 안이 다음 수업 안으로 긴밀히 이 어질 때 흥미끌기 요소도 다음 차시로 연장 되도록 한다(예: 뱀의 해부학적 구조 -> 뱀 의 습성).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97. 주의 집중의 기술 단계로 나누기(Break It Down) 학습자가 과제 수행에 실패 했을 때는 아래와 같이 과제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재도전하게 한다. 1. 예를 제공한다. 2. 맥락을 제공한다. 3. 단서로 관련 규칙을 말해준다. “완전한 문장은 주어를 가지고 있어야 하죠.” 4. 문제해결의 첫 단계를 말해준다. “분수의 덧셈을 할 때 분모가 다르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하지?” 5. 학생의 오답을 교사가 반복해 준다. “준규, 서울을 기준으로 볼 때 부산은 ‘동쪽’이라 말했는데 그럴 까?” 6. 정답의 범위를 좁히거나 오답을 제거한다.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98. 주의 집중의 기술 <과제> 다음 두 질문의 주의 집중효과 차 이는? • 질문1: “승준, 세계 제1차 대전의 원인 하나를 든다면 무엇이지?” • 질문2: “세계 제1차 대전의 원인 하나 를 든다면 무엇이지 (휴지), 승준?”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99. 주의 집중의 기술 – “기다려 주기”의 활용 1. 더 많은 학생들이 손들게 기다려 준다. “세 사람만 손들었네요. 선생님은 최소한 12명은 필요해. 넷, 다섯...” 2. 더 많은 참여를 촉구한다. “여러분 모두 생각이 다양할 텐데. 선생님은 여러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싶 어요.” 3. 학생들이 생각할 시간이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것은 좀 어려울 거예요. 천천히 생각해요. 10초 동안은 손들지 마세요.” 4. 신중한 답을 요청한다. “곰곰이 생각해보고 답하는 것이 좋아요. 토끼보다는 거북이가 되세요.” 5. 답을 찾을 수 있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암시한다. “그래프에는 무엇이 보이지요?” “관련된 단계를 잘 생각해 봐요.” 6. 틀리는 것 두려워 말고 도전하게 한다. “틀리더라도 시도해 봐요. 누구나 다 틀리면서 배우니까요.” 7. 긍정적 행동과 자세를 유도한다. “선생님이 보니까 승준이도 집중하고 있네요.” 8. 답의 재확인을 촉구한다. “1분 줄 테니 여러분이 낸 답이 맞는지 안 맞는지 재확인 하세요.” 9. 추론을 촉구한다. “답을 어떻게 냈는지 설명할 준비가 되었나요?” 10. 다른 가능성도 열어두고 검토하게 한다. “설명 방법/답이 두 가지 이상 있을 수도 있어요.”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100. 아동 주의력 한계 – 10/15분! "너무 지루하지도 않고 아주 재미있지도 않은, 일반적인 수준의 수업을 들을 때, 학생들은 수 업 시작 후 언제부터 흥미를 잃기 시작할까?" 10분
  • 101.  지도포인트: 10-20분 마다 수업의 모드 바꾸기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는 집중시간이 길어진다. • 신체 움직임 갖기 : 일어서서 혹은 돌아다니며 하는 활동하기 • 언어의 사용: 짝과 함께 배운 내용 공유하거나 소 모둠 토론하 기, 배운 내용을 글로 정리하기 • 주제 바꾸기: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관련 이야기 해주기 중앙집행기능 스킬
  • 102. 뇌는 배울 내용(정보와 기술)을 맥락과 함께 제시하고, 경험을 통해 배울 때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하고, 회상할 수 있다. • 교육은 가르칠 내용을 학습자의 삶의 경험과 통합시킬 때 몰입 하고 더 잘 배운다. • 지식을 삶과 연결시키는 것이 뇌친화적 교수학습 원리 중 가장 중요하다. • 모국어를 배울 때 어휘와 문법을 실제의 삶 속에서 풍부한 상호 작용을 통해 가장 잘 배우는 것이 전형적인 예다.  교육적 함의 • (범교과)프로젝트 수업, 시연, 스토리텔링, 비유, 역할극, 현장 실습, 견학 등의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을 강화한다. • 강의는 경험학습의 수단이거나 부분이 되게 한다. 인지부하 낮추기 – 맥락이 있는 수업!
  • 103. 학습의 주도성 이양 – 교사에서 학생으로! 수업안이 아무리 흥미 있고, 자극적이고, 화 려하며, 학습자의 삶과 관련이 있게 짜여진다 하더라도 학습할 내용 과의 상호작용을 교사 가 주도한다면 학습은 학습자의 뇌 속이 아니 라 교사의 뇌에 일어난 다.
  • 104. 단 계 수업의 단위 수업의 주도권 전형적인 진술 1 나 주도 - 교사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분모를 같게 해야 해.” 2 우리 주도 – 교사 보조 – 학생 “자 마틴, 이제 직접 해보자. 분모를 같게 하려면 어떻게 한다고 했지?” 3 우리 주도 – 학생 보조 – 교사 “자, 카밀라. 이 문제 해결의 전 과정을 네가 주도 해야 해. 내가 도와줄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 4 여러분 낮은 수준의 주도 - 학생 “우리는 예제를 하나 풀어봤으니 이젠 네 혼자서 해봐.” 5 여러분 높은 수준의 주도 - 학생 “훌륭했어, 우리는 이것을 할 텐데 여섯 개의 문제 야.6분을 줄 테니 몇 문제나 정확하게 푸는지 볼까 ? 자, 시작!” 학습의 주도권 이양 5단계 - ‘나우리여러분’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2010
  • 105. 학습의 주도권 균형 갖추기 105 교사-학생의 수업 주도역할 균형 갖추기 기술 교사가 주도하는 말하기, 생각하기, 쓰기, 분석하기 등의 인지적 노력을 어떻게 학생주도로 이전할 것인가? 1. 질문을 잘 게 쪼개서 여러 학생들에게 돌아가며 던진다. 2. 서술 내용을 반쯤만 말하고 나머지는 학생들이 생각해내게 한다. 3. “다음 단계는 뭐지?”라고 질문한다. 4. 교사가 모르는 척하고 학생이 답하게 한다. 5. 왜(why) 어떻게(how)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 6. 틀린 부분을 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질문을 던진다. 7. 학생들에게 더 많은 예를 들도록 요청한다. 8. 학생들이 다시 풀어서 말하게 하든가 내용을 추가하게 한다. 9. 주장에 대한 뒷받침 내용을 요청한다. 10. 학습자가 어느 정도 준비가 된 상태라면 교사가 개입하지 말고 전 과 정을 학습자가 일괄해서 주도하게 한다. 11. 비디오 클립 등을 시청하고 관련 쟁점을 토론 목표로 설정한다. 출처: Teach like a Champion Field Guide, 2012
  • 107. 수업의 마무리 활동으로 상위인지활용 활동 (metacognitive activity)과 배운 내용 되돌아 보기(self-reflection)가 효과적이다. 상위인지능력 - ‘자신의 인지/사고에 관한 지식’ 과 ‘자신의 인지/사고에 관한 조절, 조정’ 의 두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 인지능 력. 효과적인 수업전략 – 상위인지전략 • 전자는 자신의 사고 상태와 내용, 능력에 대해 알고 있는 지 식(초인지적 지식)을 말하며, 후자는 문제 해결 과정에 있어 계획하고, 적절한 전략을 선택·사용하고, 과정을 점검·통제하 고, 결과를 반성·평가하는 사고 능력(초인지적 스킬)을 말한 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시그마프레스) • 학습부진을 겪는 학습자들은 상위인지능력을 활용하는 능력 이 매우 부족하여, 이를 가르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109. • 중앙집행기능 활용기술은 효과적인 수업기술을 의미한 다. • 정보와 개념의 학습에 실패하는 학생은 배우는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중앙집행기능의 활용 기 술의 부족이 문제다. “교과 내용의 지도에 집중하면 할수록, 공부 못하는 학생 의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 아동들마다 다양한 이유로 중앙집행기능의 활용 기술 이 다 다르다. 중앙집행기능 스킬
  • 110. 학습 효율성 피라미드 강의 듣 기 5% 읽기 10% 시청각 수업듣기 20% 시범강의 보기 30% 능동적 수동적 구체적 추상적 학생 참여 과제 종류 활동 유형에 따른 <회상, 전이, 적용> 효율 집단토의 50% 실제 해보기 75% 서로 설명하기 90%
  • 111. 원인과 해법의 이해 감성과 사회성 발달 문제Emotional and Social Challengers 급성/만성 스트레스 요인들Acute/Chronic Stressors 인지기능의 저하Cognitive Lags 건강과 안전 문제Health and Safety Issues 능력 키우기(주의력, 작업기억 등)Skill-Building 희망/성장을 위한 마음 갖추기Hope & Growth Mindset 기본적인 지원과 조정Accommodations 교사-학생 관계성 증진Relationships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Enriched Engagement 문제가 무엇인가? 열악한 환경이 학업 에 미치는 4가지 영 향 해법은 무엇인 가? 변화를 만들기 위한 5가지 성공 열쇠 빈곤아동의 학습부진 이해와 해법
  • 112. 학습부진 – 해결전략은 무엇인가? 학습부진 해결의 핵심 Moral Purpose + EACH + SHARE + ISP 1. 학습자가 배우고 싶어하는 실제적 욕구(real learning needs) 에서 출발한다. 2. 인지부하를 최소화하는 수업을 한다. 3. 지도내용, 지도방법, 지도속도, 배운 것의 표현/평가 방법의 개 별화와 학습자의 통제와 선택의 강화로 출발한다. 4. 뇌의 학습능력을 키우고, 학습부진의 원인은 능력보다 노력이 란 인식을 심어주고, 상위인지능력을 가르친다.
  • 113. "Movement is Good 4 the Brain" 움직임은 정신을 맑게 하고 스트레스 줄여주며 전반적인 몸 상태를 좋게 한다. 학습효율 높이기 - 신체 움직이기!
  • 114. 음악 수업을 하면 뇌의 감 각피질이 20-40% 변한다! 감각피 질 예술 활동은 인지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 • 예술 교육 vs. 예술 통합교육 • 예술교육과 주의력, 인지능력 향상과 상관 큼 두뇌 학습능력 개선 - 예술활동
  • 115. 두뇌학습능력 개선 - 음악활동 https://plus.google.com/+Musicteacherla/posts/K5EMpSFhPmp?pid=6152885726593894018&oid=112079593126166923793 뇌와 기억 발달 학업 수행 문화적 이해와 사회적 기술 책임감과 성취감 인내의 가치 팀워크와 규율 자기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신적 연결 듣는 기술 목표 설정과 행동 계획 두려움 극복하고 위험 감수하기 음악을 배우는 것의 이점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조화와 집중
  • 116. 빈곤층 vs 부유층 아동의 인지 능력 편차 언어능 력 (어휘력) 작업기 억 인지처 리 보상처리 기억 공간인 지 시각인 지 효과크기 빈곤층 아동의 인지 능력은 언어능력(어휘력) 에서 부유층 아동과 가장 큰 표준편차를 보인 다. (Nobel et al.,2005) ☞ 왜 언어능력(어휘력)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이 는가, 또 대안은? 언어중추(좌뇌 측두엽)
  • 117. 아동의 연령(개월) (Huttenlocher et al.,1991) 아동의 연령(개월) (Hart & Risley,1995) 아동의어휘수준 아동에게말해주는단어 수 저소득층 고소득층 중간소득층 아동에게 어휘력/언 어 지원을 잘해주는 경우 아동에게 어휘력/언어 지 원을 잘해주지 못하는 경 우
  • 118. 느린 학습자를 지도하는 핵심원리! http://www.ccl-cca.ca/pdfs/otherreports/WDYDIST_National_Report_EN.pdf
  • 120. 느린 학습자를 지도하는 핵심원리 -개별화 지도! http://www.edu.gov.on.ca/eng/general/elemsec/speced/LearningforAll2013.pdf
  • 121. 뇌친화적 학습부진 지도원리 맞춤형 학습부진 지도를 위한 지침 1. 조급함을 버린다. 2. 한 번에 1-2가지 지시사항을 준다. (정보처리능력, 순서처리능력, 기억력) 3.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성취목표를 정해준다. (자존감, 성취감) 4. 아이들이 쉽게 예측할 수 없도록 다양한 수업전략을 사용한다. (재미, 흥미 , 호기심) 5. 학생에게 내준 과제나 지시사항을 학생의 입을 통해 다시 말하게 한다. (정 보처리능력, 순서처리능력, 기억력) 6. 학생들에게 전달해줄 내용을 학생들의 현재 상황이나 실생활에 연결하여 설명한다.(주의력, 기억력) 7. 학생들이 집에서 해올 숙제를 수업시간 중에 교사와 함께 시작한다. 교사 는 학생들이 숙제의 내용을 완벽히 이해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파악했는지 확인한다. 다 함께 숙제를 하도록 하고,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개별지도를 한다.
  • 122. 전통적 품행지도 버리기 -긍정행동지원 PBIS! 전통적 품행지도와 긍정적 행동지원(PBIS)의 비교 전통적 품행지도 긍정적 행동지원(PBIS) ‘개인’을 문제로 본다 ‘시스템, 환경, 스킬 부족’을 문제로 본다 ‘개인’을 교정하려(fix) 한다 ‘시스템, 환경, 스킬’을 바꾸려 한다 ‘문제행동 제거’를 중시한다 ‘새로운 만남, 경험, 관계, 스킬’을 중시한다 문제행동에 대해 제제를 규정한다 긍정적 행동을 발견하고 지지한다 며칠, 몇 주만에 행동을 교정하려 한다 학생의 요구를 오랜 기간에 걸쳐 시스템적 으로 수용하고, 개인을 고려한 환경을 마련 하며, 적절한 행동을 가꾸어 낸다 행동교정 전문가가 지도한다 역동성 있고, 협력적 팀이 사람 중심의 계 획을 통해 지도한다 제도가 경직적이다 제도가 유연하다
  • 123. 교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교사 자신의 행동뿐! “교사들은 흔히 학생이 자신의 뜻대로만 하려고 한다고 생각에 학생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려고 한다. 하지만 강조되어야 할 사실은 학생의 통제 가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의 소통방식과 인간관 계의 개선이다.” “교사들은 역량을 갖추어 학생의 행동개선을 바 라지만, 오랜 컨설팅 경험을 통해서 보면 효과가 있었던 것은 교사 스스로가 행동을 변화시켜 생 산적이고 예방적 방식으로 아동과 상호작용을 했 을 때이다. 학생을 바꾸는 원리 – 교사자신 바꾸기 먼저! 출처: The Behavior Code 2012 Harvard Education Press 24쪽
  • 124. We can Change Every Student’s Life for the Better!

Editor's Notes

  1. Strategy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006 10쪽(인용문)
  2. 1. “그가 지금 당장 그걸 해낼 수 있을지 확신하지는 못하지만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면 그도 해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요.” 2. 그건 잘못된 생각입니다. 마이클 조든이 최고의 농구선수가 된 것도, 토마스 에디슨이 유명한 과학자가 될 수 있었던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죠. 3. “학교가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요. 정말 해결하기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부진 해결을 위해 좀 더 많은 것을 배우겠어요.”
  3. Cold Calling의 세가지 목적 -pacing; engagement; checking for understanding Exit Ticket The ‘exit ticket’ get passed at the end of class and include three or four questions (in various formats) that assess one or more parts of the objective.
  4. The earlier in the year that No Opt Out becomes the norm, the less students will slow things down by trying to opt out. In the long run, you will have more time to teach. Build culture: Say, “Thank you, Jeremy. It’s great you struggled the first time around. It helped us all see this is challenging. Say the answer now to solidify.”
  5. “I am beginning to feel very frustrated by the talking because no one can hear me and I don’t want to raise my voice,” she calmly remarked. “I am going to take some deep breaths to calm myself down and wait for everyone to be quiet so I can continue.” Not only did she show her students how to calm down in the midst of an emotionally heated situation, she also 10_611_Cohan.indb 136 10_611_Cohan.indb 136 10/18/10 8:10 AM 10/18/10 8:10 AM Supporting Performance and Reducing Burnout 137 took full responsibility for her emotional state and gave her students the autonomy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behavior so she could proceed with her lesson.
  6. Students who see their classroom as a refuge come to school with light steps, anticipating their interactions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We can help promote this type of warmth by starting and ending every school day with a personal connection. This doesn't have to be an elaborate or time-consuming ritual. It can be as simple as providing a warm greeting to welcome each person as they arrive in the morning, and then closing with a short reflective circle before dismissal. Some classrooms like to appoint a student as the official greeter. Students enjoy suggesting topics for the closing group, and this can be a great time to focus attention on enriching events the class is planning for the near future. The main idea of this exercise is to help students to be mindful of the importance of their work, and the implications it has for all of their lives.
  7. 마음챙김(mindfulness; awareness)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줄임으로써 정서적 웰빙은 물론 교사를 위한 사회성-감성 역량을 키우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교사가 정서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이것이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아래 도표처럼 마음챙김을 통해 외부 자극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사적 대응을 하지 않고 매우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8. When a teacher recognizes and understands students’ emotions and the roles they play in the students’ behavior, the teacher can more effectively respond to the students’ needs and instill trust and respect. For example, because Mrs. Rivera understands that Joe’s challenging behavior and difficulty with self-control result from emotions stemming from the troubles he faces at home, she can show empathy and concern for his situation. Her caring, yet firm response may be more effective in helping Joe learn self-control and on-task behavior than if she were to resort to punitive or coercive tactics that often provoke resentment and defensiveness.
  9. Projection is less complex, in my humble opinion. Projection happens when a person projects their own qualities, feelings, behaviors, etc., onto another person. Whereas transference takes three people, projection only requires two: This time we have I and Other Person. I woke up on the wrong side of the bed and have been a grouchy wretch all day. After an encounter with Other Person, I walk away irritated, complaining to myself about Other Person's grouchiness. The classic example, right? You are acutely aware of the horrible qualities, behaviors, attitudes, etc., of that super-annoying person next to you, only to be informed that it is you who have the horribleness. When you look at that person, you don't see that person, you see you! Horror of all horrors! The image below depicts a possible instance of projection in therapy. [NOTE: I'm not really bitter. I just couldn't think of any of my bad qualities because I'm by myself and I have no one to project them onto right now. Clever, huh?]
  10. After further discussion, we all agreed that the students with me in that meeting would go to all the classrooms and suggest that we try out the following: If someone was too upset to do any school work and their behavior was interfering with the learning of others, the teacher would request that they go to a “Do Nothing Room” where they would stay until ready to come back to class without disrupting others. I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s making clear to the other students that the rule was Will’s suggestion. I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making clear that the intention was to protect the students who wanted to learn and not to punish the students who were not in a mood to learn. The students did a good job of making these two points clear to the other students and the plan worked beautifully bringing more order into the classroom. A room was designated as the “Do Nothing Room.” If a students is disrupting others, the teacher (and sometimes the students being disrupted) would ask the students to go to the “Do Nothing Room.” Actually there was plenty to do in the “Do Nothing Room” such as music for students to listen to, books to read, etc. We wanted to do everything we could to communicate that the intention of being sent to the room was not to punish. A lot of good communication happened in the “Do Nothing Room.” The students creating the disruptions in the classrooms were typically experiencing a good deal of inner distress that led to their disruptive behavior. The teacher was assigned to that room on the basis on his good listening skills, which put to very good use. The first two weeks the rule was in effect the “Do Nothing Room” was packed with students. However, all of s sudden there were fewer and fewer students whose behavior led to their being requested to go to the “Do Nothing Room.”
  11. Howard Zehr describes the difference between restorative justice and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in terms of the guiding questions each system asks. In Changing Lenses, Zehr asserts that restorative justice asks: Who has been hurt? What are their needs? Whose obligations are these? What are the causes? Who has a stake in the situation? What is the appropriate process to involve stakeholders in an effort to address causes and put things right?[6] This contrasts with the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which seeks answers to three questions: What laws have been broken? Who did it? What do the offender(s) deserve?[7]
  12. Howard Zehr describes the difference between restorative justice and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in terms of the guiding questions each system asks. In Changing Lenses, Zehr asserts that restorative justice asks: Who has been hurt? What are their needs? Whose obligations are these? What are the causes? Who has a stake in the situation? What is the appropriate process to involve stakeholders in an effort to address causes and put things right?[6] This contrasts with the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which seeks answers to three questions: What laws have been broken? Who did it? What do the offender(s) deserve?[7]
  13. Teaching without an awareness of how the brain learns is like designing a glove with no sense of what a hand looks like–its shape, how it moves.”
  14. For Short-Term Memory, Call in Emotion Because our senses are constantly bombarded with stimuli, our brains rely on a pecking order to filter out most of them. Stimuli that trigger fight-or-flight responses get our attention first, followed by those with emotional weight. Experiences that offer new learning without emotional content are less likely to make it past the filter and into our sensory registry (Souza, 2011). This hierarchy suggests that students must feel safe and emotionally engaged before much learning occurs, supporting what most educators intuitively know—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re crucial to student success (Goodwin & Hubbell, 2013). It also confirms the value of including an emotional hook at the launch of a lesson. A study of 104 college students found that students who were shown films designed to elicit positive emotions like amusement or contentment demonstrated better attention and greater openness to new knowledge, contemplation, and effort than did students who viewed films designed to elicit negative emotions like anger or anxiety (Fredrickson & Branigan, 2005).
  15. 어린 아이를 보자. 학습은 패턴을 찾고 엄마의 친근한 목소리와 얼굴 표정을 익히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어서 아이의 신호에 화답을 하면 이것이 역동적인 학습시스템이 되었다. 청소년의 학습도 마찬가지다. *swimming place/pool; swimming suit, swimsuit, swimming trunks
  16. "Emotion is the highest part of our mind-body survival kit.(Antonio Damasio)" One of their key roles is to tell the brain what's worth attending to and the attitude with which one attends.
  17. How Knowledge Helps You Remember New InformationKnowledge also helps when you arrive at the final stage of learning new information—remembering it. Simply put, it is easier to fix new material in your memory when you already have some knowledge of the topic (Arbuckle et al, 1990; Beier and Ackerman, 2005; Schneider, Korkel, and Weinert, 1989; Walker, 1988). Many studies in this area have subjects with either high or low amounts of knowledge on a particular topic read new material and then take a test on it some time later; inevitably those with prior knowledge remember more. - See more at: http://www.aft.org/periodical/american-educator/spring-2006/how-knowledge-helps#sthash.ruIF5LPc.dpuf
  18. neural encoding Neural encoding is the study of how neurons represent information with electrical activity (action potentials) at the level of individual cells or in networks of neurons. Studies of neural encoding aim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stimuli or behavioural output and neural signals. 부호화(符號化)나 인코딩(encoding)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변환하는 처리나 처리 방식이다. Encoding is what happens when information meets the brain. During exposure to new information, the brain does two things: first, it processes sensory and emotional information, and then second, it tries to attach this new information to old information, to prior knowledge. And the richer the sensori-emotional experience and the deeper the well of prior knowledge, the more strongly the new information is encoded into memory. But equally as important is how richly that information is contextualized. When students have prior experience with a subject, they have a context within which they can understand the new information. The value of this cannot be overstated. Information without anchors--information that is abstract and incomprehensible, or information that has no connection to what we already know--it passes through us, like the little white boxes with question marks above, sinking off the page and out of sight. Information with anchors--richly encoded one way or another--that is what we learn and remember. ---------------- Neural coding is a neuroscience-related field concerned with characte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imulus and the individual or ensemble neuronal respons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neurons in the ensemble.[1] Based on the theory that sensory and other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the brain by networks of neurons,
  19. ① WM은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곳이다. ② WM의 정보는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만 잠시 유지된다. ③ WM은 동시에 3-5개의 정보만 유지할 수 있다. ④ 학습에는 WM과 주의력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20. The clear message from the research is that schools can make a difference. If the knowledge and skill that students from advantaged backgrounds possess is learned rather than innate, then students who do not come from advantaged backgrounds can learn it too. Indeed, even aspects of intelligence once thought to be genetically based appear to be amenable to change through schooling. To accomplish such a task, schools must be willing to dedicate the necessary time and resources to enhancing the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of students, particularly those who do not come from affluent backgrounds. But how does a school do this? -------------------- How We Acquire Background Knowledge We acquire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wo factors: (1) our abil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and (2) the number and frequency of our academically oriented experiences. The abil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is a component of what cognitive psychologists refer to as fluid intelligence. As described by Cattell (1987), fluid intelligence is innate. One of its defining features is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and store it in permanent memory. High fluid intelligence is associated with enhanced abil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Low fluid intelligence is associated with diminished abil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Our abil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dictates whether our experiences parlay into background knowledge. To illustrate, consider two students who visit a museum and see exactly the same exhibits. One student has an enhanced capac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or high fluid intelligence; the other has a diminished capacity to process and store information, or low fluid intelligence. The student with high fluid intelligence will retain most of the museum experience as new knowledge in permanent memory. The student with low fluid intelligence will not. In effect, the student with the enhanced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has translated the museum experience into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the other has not. As Sternberg (1985) explains: “What seems to be critical is not sheer amount of experience but rather what one has been able to learn from and do with experience” (p. 307). The second factor t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is our academically oriented experiential base—the number of experiences that will directly add to our knowledge of content we encounter in school. The more academically oriented experiences we have, the more opportunities we have to store those experiences as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Again, consider our two students at the museum. Assume that one student has an experience like visiting a museum once a week and the other student has experiences like this once a month. The second student might have an equal number of other types of experiences, but they are nonacademic and provide little opportunity to enhance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In effect, the first student has four times the opportunities to generate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as the second, at least from “museum-type” experiences. It is the interaction of students' information-processing abilities and their access to academically oriented experiences, then, that produces their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create differences in their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and, consequently, difference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21. 계획, 실행, 통제를 자신이 주도할 수 있다는 인식; 사고와 행위의 주인이 나 자신이란 인식은 책임감, 동기, 성과를 높인다.(BTT Model for 21C Schools 49쪽) 주도 의식내용의 선택(예: 주제, 자료) 방법의 선택(예: 요약, 분석, 적용) 평가의 선택(예: layered curriculum)
  22. 시각적 맥락 Visual Context  시각적 맥락visual context은 뇌의 가장 강력한 기억 보조 수단 중 하나이다. 어떤 것의 위치를 바꾸는 것은 신선함을 주고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뇌가 나중에 그것을 기억할 수 있게 해준다. 수업 시간에 교사와 학생들이 있는 위치를 바꾼다거나 학생들의 자리배치를 바꾸는 등의 위치 변화는 학생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며, 이는 우리가 맥락에 의존하여 기억하는 방식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집중적인 개별 학습(자습)과 같은 몇몇 활동에는 전통적인 자리배치가 더 효과적이지만, 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교실 내에서의 급우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데에는 그룹별 자리배치가 효과적이다. 한 연구에서 교실의 자리배치를 그룹에서 분단row 또는 짝으로 변경하였더니 학생들이 과제에 집중하는 시간이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Hastings & Wood, 2002). 그러나 수업에서 기대하는 결과가 협력, 팀워크, 문제 해결, 공동체 형성이라면 모둠형 자리배치를 추천한다. 수업 활동의 성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자리배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맥락[ context ] 주어진 대상 이외에 그 대상과 함께 제시된 모든 정보. 지각, 기억은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어떤 사건을 회상하거나 재인할 때, 그 사건이 발생했던 원래 맥락이 많이 제시될수록 기억이 잘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맥락 [context]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시그마프레스㈜)
  23. No matter how well planned, how interesting, stimulating, colorful or relevant the lesson, if the teacher does all the interacting with the material, the teacher’s’, not the student’s, brain will grow(Pat Wolfe).
  24. Metacognition is the highest state of awareness. It’s actually thinking about thinking. Or, it’s being aware that one is aware. Metacognition is being aware of one’s thinking and directing one’s thinking in a deliberate and strategic way. It’s choosing which way to think. REFLECTION Any activity through which the brain recalls a concept, skill, or process. Reflection activities will prompt the brain to re-stimulate the new connections among neurons, which helps strengthen them. 배운 개념을 개인적 삶과 연결시킨다 배운 내용이 왜 중요하고 자신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생각한다 배운 내용을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지를 생각해본다. ```````````````````````````````````````````````````
  25. What is Executive Functioning? Executive functions include the ability to initiate, plan and organize, set goals, solve problems, regulate emotions, and monitor behavior. These abilities are critical for success in today’s high-pressure society, and deficient executive function can lead to disorganization, poor work habits, impulsive behavior, and a variety of other undesirable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