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뇌기반교육(BBE) 원리
와
교실 적용 방법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
www.21erick.org
www.leechanseung.pe.kr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12-03)
단체 소개
• 본질에 충실한 교육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교육
• 모두에게 꿈과 희망이 있는 교육

가난하고 혜택 받지 못한 아동 청소년들도 각자 타고난 잠재
력을 조기 발견하고 이를 크게 키워 모두가 행복하고 가치 있
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 학교, 교원, 국가를 돕
습니다.
하는 일 소개
뇌기반교육연구

21세기교육연구

<정책 토론회>

<연구보고서
-공교육 미래방향 제
안>

교육지원사업

<빈곤소외계층 영어교육지원>

<교사연구모임 &
교사 학습동아리 지원>

<연구보고서

- 뇌기반교육원리가 적용된
수업활동 77가지>

출판사업

<뇌기반 교육 교수과학시리즈, 교육정책시리즈 등
목차
1.
2.
3.
4.
5.
6.
7.
8.

수업지도, 생활지도 불변의 법칙
디지털 원주민의 이해와 희망 만들기
뇌에 관한 기초 지식
뇌과학에서의 학습의 의미
뇌의 정보처리와 기억
감정, 동기, 주의, 학습
뇌기반 교수학습 원리
뇌기반 교수학습 연구모임
들어가는 질문 10
1.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수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을까?
2. 학습 동기가 낮은 아이들은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가?
3. 아이들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언행을 습관화시켜 줄 수 있을까?
4. 가르쳐주어도 금방 잊는 것은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5. 만성적 스트레스는 아이들을 바보로 만든다고 하는데, 스트레스
를 줄여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6. 사회성, 감성 교육이 왜 중요한가? 사회성 감성 교육은 어떻게 해
야 하는가?
7. 빈곤 계층 아동들의 특성은 무엇인가?
8. 빈곤 계층 아동들의 미래 삶에도 희망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들
에게 희망을 만들어 주는 방법은 무엇인가?
9. 오늘날의 이 벅찬 도전적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수준과 학
교수준에서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
10.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 그 의미와 사명은 무엇인가?
수업지도,생활지도 불
변의 법칙
“교사가 설명을 많이 할수록,
학생들은 배움에서 더 멀어진다.”
The longer we talk, the more students we lose.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교사가 자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학생들의 행동을 관리할 수 없다. ”
You cannot manage student behavior
if you cannot manage your own behavior.

목소리 톤을 통제하여 감정 자제하기
학급경영계획을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기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교사가 흔히 범하는 7가지 실수
1. 교사가 다루기 힘든 학생들에게 화내고 소리를 지를 때,
교정은커녕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
2. 반항적인 학생을 또래들이 보는 앞에서 맞서는 것은
그 학생을 더 용감하고 더 반항적으로 만든다.
3. 무계획적, 무원칙적인 교사는 교실을 혼란에 빠뜨린다.
4. 가르치는 것을 즐기지 않는 교사는
가장 가르치기 힘든 학생들을 만나게 된다.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교사가 흔히 범하는 7가지 실수
5. 수업 연구와 준비에 시간을 덜 투자하면 할 수록 지도부담
은 더 늘어난다.
6. 만약 교사가 다루기 어려운 학생이 과거 자신처럼
행동이 바르기를 기대하면 할 수록 이는
더 다루기 어려운 학생으로 만들 뿐이다.
7. 교실을 지배하는 위대한 법칙:“성장하라 or 죽는다”
여러분은 교사다.
성장하고 배우고 교사 자신을 변화시켜라.
그렇지 않으면 현재대로 굳어져 죽고 만다.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배운 내용 굳히기
왜 그럴까?
디지털 원주민의 이해와
희망 만들기
청소년 학습자의 이해
 컴퓨터, 비디오, 영상물에 대한 과다노출로 인한 뇌의 변
화





빠른 처리나 검색
몰입과 집중의 어려움
감성, 사회성 발달 저해
공감능력 부족
청소년 학습자의 이해 – 망상활성계(RAS)
자극적 정보(컴퓨터, 휴대폰 등)에 과
다
노출로 인해 RAS 시스템 변화 초래
망상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
• 더 빠른 검색

• 더 많은 자극 기대
• 집중 시간 짧아 짐
RAS를 통과하는 정보
• 가치있는 것

• 위협적인/위험한 것
• 새롭고 신기한 것

망상활성계의
기능

• 감각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경로
• 외부 감각자극의 필터
• 뇌의 각성, 흥분, 집중
등에 관여
• 각성 체계를 통합하고
조절
• 의식을 명료하게 유지
해 주는 각성제
디지털 콘텐츠 과다노출의 부정적 요인
미래 학교에 대한 예측

출처: Susan Greenfield (2008), a leading
neuroscientist and former director of the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1. 분석적 사고보다는 상황설명
적(episodical) 사고 증가
2. 성찰적이기보다는 반응적/반
사적 언행 증가
3. 주의 집중가능 시간 짧아짐
4. 문자언어보다 비쥬얼 자료로
소통
5. 학습부진아 증가
6. 충동 및 감정 통제능력 저하
발달(%)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
변연
계
전두
엽

10
0

80

60

40

20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세)

위 그림은 연령에 따른 뇌의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을
보여준다. 전두엽(이성의 뇌)은 변연계(감정의 뇌)보다
완전히 발달하는데 10~12년 더 걸리기 때문에 많은 청
소년들이 위험한 상황에 잘 말려든다.

출처: 공부하는 우리 아이들 머릿속의 비밀(교육을 바꾸는 책, 2013)
전두엽

편도체

전두엽

편도체
청소년 뇌의 이해
사고의 뇌(Thinking Brain)
 뇌 안의 CEO(집행기능) 전전두엽(Prefrontal
lobe)아직 덜 성숙함
 미리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기능이 완
전하지 않음
감정의 뇌(Feeling Brain)
 변연계(Limbic system) 발달은 최고조
 감정에 따라 행동하며,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
을 수 있음
생존의 뇌(Survival Brain)
 스트레스를 받으면 재빨리 생존 모드로 돌입!
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방해, 살기 위해 방
어적으로 반응하는 뇌간(Brain stem) 활성
사회적 뇌의 운영시스템 - 핵심적인 사회적 속성 6
가지

보상 및 상대방감정에 대한 화답

사회화

(구성원으로 살아
가기 위한)

감정상태 통제 능
력

공감능력

Theory of Mind

소속감
(가족,친구,
교사와의 유
대감)

사회적 감각 인지
(서로 주고 받는 사회적 신호 감
지)

 사회적 속성 6가지가 수업분위기, 학교분위기, 학생의
성공을 결정한다.
출처: Teaching with poverty in mind(Eric Jensen) 6장
학생-학생 관계를 강화하라
 학생들끼리 서로 믿고 협동하는 반은 성적도 좋다.
 학년에 시작되고 30일 안에 아래의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간
관계 수립의 시작점으로 삼아 보자.
1. 학교를 안전하다고 느끼나요? 왜 그런가요? 혹시 불안하다면, 어떻게 해야 안
전하다고 느낄 수 있을까요?
2. 그룹에 소속되어 친구들과 잘 어울리나요? 잘 어울린다면, 어떤 점이 그렇게
느끼게 하나요?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해야 소속감을 느낄 수 있을까요?

3.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나요? 어떤 것들이 스스로가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하나요? 그렇지 않다면 자신의 중요성을 키울 수
있는 일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4. 필요한 도움을 받고 있나요? 어떤 면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고 있다고 느끼나
요? 그렇지 못하다면, 어떻게 해야 더욱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
부모 혹은 양육자와
의

 긍정적인 태도
 자신이 주변을 통제한다
는 생각

안정적인 유대감 형

 자기 유능감(self-efficacy)

성

 자기 존중감(self-esteem)

(Attachment)

(Sroufe, 2005)

 호기심, 각성상태, 독립
성, 사회기술

 빈곤 아동들은 자신이 소외되어 있고, 사랑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
는 경향
☞ 학업 성적 저조, 문제 행동, 자퇴 및 약물 남용으로 이어질 가능
성

☞ 대학 진학 자체를 염두 하지 않는 경향
학습 태도를 결정하는 3가지 관계
1. 지지자와의 관계(담임, 부모, 상담교사 등)
-일차적인 안정감 속에서 믿고 의지하고 싶어한다.
-교사-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목표, 사회화, 동기, 학습 성취를 결정한다.

2. 친구들과의 관계
-친구들과 함께 의논하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배운다.

-또래 문화 속에서 동질감, 소속감, 유대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

요

3. 집단에서의 자신의 위치 확보(집단과의 관계)
- 누군가에게 관심 받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 집단 속에서 학생들 각자의 입지를 확보해주는
위 3가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 사항것이 중요하다.
1. 학생 (존중)을 체화하라.
2. (사회성)을 교수요목에 넣어 가르쳐라.
3. (가족적) 분위기를 연출하라.
사회성, 감성 발달 문제 - 감정의 키보드
교실내에서 일어나는 기강 및 질서 문제들의 다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의 기대’로부터 시작된다
아이들에게 상황에 따라
어떻게 감성적으로 반응해
야 하는지 지도가 필요하
다.
많은 아이들은 어떤 상황
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 것
이 적절한지 알지 못한다.
생각의 틀을 바꿔라!
당신이 ( 가 ) 주기 전이라면, 아이들이 다음과 같은 행동
을 보일 것을 예상하라.
 버릇없는 행동
 충동성과 조바심
 불성실함
 어른에게 대들고 제멋대로 구는 행동
 부적절한 감정 반응
 공감 능력 부족
부적절
한 행동

학습되지

호통치기보다는 적절한 행동

않았기 때

을 배울 수 있도록 환경을 조

문

성
긍정적인 감성 마침표 – 긍정적 감정 강화로 기억
생성을 돕자!

긍정적인 사

건(Episode)

기억
향상

긍정적인
감성 마침표

가정이나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들
긍정적인 발언, 웃음, 몸짓, 고개 끄덕임, 칭찬, 신나는 음악,
축하, 이름 불러주기, 미리 정해진 축하 의식들
학교 단위 사회성, 감성 교육의 모습
교사-학부모 회의
복도

운동장

현관

버스

교사 휴게실

스포츠 행사

방과후 학교/
특별활동

사회성,감
성학교

식당

교실
화장실
희망을 만드는 8가지 요인
1. 지원하고 지지하는 사람들
2. 능력, 태도, 지식의 향상
3. 롤 모델의 발견
4. 타인들로부터 긍정적 지지
5. 목표의 수립과 목표의 달성
6. 강하게 끌리는 미래의 비전
7.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는
수준으로!
8. 나아지고 있다는 느낌!
배운 내용 굳히기
Q1. 집중 가능한 시간이 짧고 쉽게 지루해하는 청소년 뇌
는 왜 그렇게 변했으며, 이의 교수학습적 함의는 무엇인
가?
1.
2.
3.
Q2. 청소년의 뇌는 왜 감정적 반응을 담당하는 변연계는
10~12세면 성숙하고, 이성을 담당하는 전두엽은 22~24
세가 되어야 성숙한다. 인간의 뇌는 왜 감성이 이성보다
더 빨리 발달할까?
뇌에 관한 기초지식
뇌 - 왜 알아야 하는가?

“교육이 일어나는 곳은 교실이 아
니라
아이들의 뇌 속이다.”
…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니까
뇌기반 교수학습의 목표
두뇌가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수
업에 활용함으로써
 수업 환경을 최적화한다.

 학생을 몰입시킨다.
 의미있는 학습(meaningful learning)을 강화한다.
 현재의 교수학습법이 뇌가 학습하고 기억하는 원리와 일
치하는지 확인한다.
 교수전략, 커리큘럼 디자인, 수업환경개선, (문제)행동관
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주요 원리로 삼는다.
사람의 뇌의 구조
신경세포
(neuron)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뇌교

후두엽
뇌의 3층 구조
신피질(이성의
뇌)
-사고
-의미
-논리
-연합
-감정 지각
변연계(포유류의
뇌)
-감정반응과 기억

뇌간(파충류의 뇌)
-„싸움-도주‟반응
- 자율신경반응
- 식욕, 수면욕, 성욕
뇌 영상기술의 발전

MRI/
fMRI

PET

EEG/
MEG

• 살아 있는 뇌의 활동 관찰
• 뇌의 기능과 학습기제에 대
한 연구
• 뇌가 어떻게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며, 평생에 걸쳐 어떻
게 그것을 다루는지에 대한
이해
뇌과학이 교육에 던지는 몇 가지 시사점
“뇌는 변한다”
„마음‟은 뇌에 있다
 뇌
 1000억개 신경세포
 신경세포간의 수많은 네트워크(시냅스)를
통해 기능 수행

 뇌의 기능






생체기관 조절
감각, 운동
의식, 주의
감정, 사고, 언어
인지, 판단

 모든 정신과정은 뇌의 작동에 의해 이루
어짐
뇌과학 지식의 활용

교수-학
습 원리
뇌기반 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

 Geoffrey Caine & Renate Nummela Caine

http://www.cainelearning.com/

12가지 뇌기반 교육 원리 제시
12 Brain/Mind Natural Learning Principles
뇌기반 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
1981년 슈퍼캠프 공동설립
퀀텀학습법(두뇌 성장강화 학습프로그램)
교사 대상 강연/워크샵
뇌기반 교육 관련 저서 다수

 Eric Jensen

http://www.jensenlearning.com
뇌기반 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 David A.
Sousa
교육 신경과학 분야 교육 컨설턴트
학부 화학 전공, 과학교육 석사, 박사
고교 과학교사, 대학 부교수, 미국 전국 교사연
수협회 회장 등 역임, 저서 15권, 교육자 워
크숍과 발표회 다수 창설, 수상 다수
TV, 라디오에 출연하여 뇌 연구를 이용한 학교
교육을 왕성하게 소개
학습의 뇌과학적 의
미
학습의 뇌과학적 이해
뇌기반 교수학습이란?
[정의1]교육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교육학 등 과학적 연구에서 나온 뇌
의 (학 )원리를 (상 )과 (목 )에 맞
게 교육에 (적 )하는 것이다.
[정의2]최적의 학습을 위해 ( )가 필
요한 것을 이해하고, 그런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 )을
만드는 것이다.
학습의 이해 -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신경가소성
(Neuroplasticity)

해마

해마에서 신경세포 생
성

학습, 기억, 정서 조
절

신경세포 활동 증가

 외부의 자극, 경험, 학
습
→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

 학습은 신경세포 간의
연결이 추가적으로 이
루어지거나 제거될 때,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
성되면서 일어난다.
학습의 이해

인간의 지능과 마음
의 모든 속성은 결국
신경세포와 연결 패
턴에서 나오는 것
신경세포가 어떤 통
로로 어떤 연결망을
형성하는가의 문제
학습의 이해
학습이란?
 “아하”하는 순간 -> “장기기억”으로 가는 과정
 “무엇인지 안다” -> “사용할 줄 안다”로 가는 과정
1단계

패턴 찾기 정보를 인식(recognition)하고,

Input

Pattern-

무엇인지 구별하여(identification),

Seeking

의미를 이해하는(understanding) 과
정

2단계

프로그램

Output 화

이해한 내용을 연습하고 반복해서 사
용하는 능력

Program-

학습한 내용이 내재화/자동화되어 크

Building

게 힘을 들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수

* 참고문헌: Kovalik, 2009, 36 Olsen, 2009, 3.2 Caulfield & Jennings, 2006

행

카니자 삼각형
(Kanizsa Triangle)
학습의 이해 -“가르치면 배울 것이다??”
가르침의 착각

“가르치는 행위는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마
련하는 것일 뿐!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
은 본질적으로 관련이 없
다. 학습의 많은 부분은 가
르침 없이 일어나며, 또 가
르침의 많은 부분 역시 배
움 없이 일어난다. ”

“가르친다고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다!!
학습은 학습자에 의해 일어난
다.
학습은 <주의, 호기심, 배운
것 정리하기, 복습하기, 의미
도출하기, 좀더 상세하게 논
의하기, 적용하기, 선험지식
과 연결짓기, 배운 내용에 대
해 옆사람과 자기생각 말하기,
자신의 삶과 관련지우며 가치
를 부여하기> 등을 통해 일어
난다.

.
배운 내용 굳히기
뇌과학에서의 학습은 전통적인 학습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
가, 그리
고 교육적 함의는?
1.
2.
3.
4.
5.
뇌의 정보처리와 기억
의 이해
학생들은 왜 배운 것을 쉽게 잊을까?
 방금 전 수업시간에 배웠
는데 왜 기억하지 못할까?
 오늘 풀 수 있었던 문제를
내일을 왜 풀지 못할까?
뇌의 이해 – 정보의 처리
1. 감각정보 입력(Sensory Input)
: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고, 냄새 맡는
모든 감각정보
2. 정보 처리시스템(Active Processing
System)

: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주목하고, 분
석하고, 과거의 정보와 비교해서, 가치
를 평가한다. ☞ 작업기억력, 주의력
학습부진을 보이는 학생 중,

10-15%는 입출력의 문제
85-90%는 정보 처리능력의 문
제

3. 운동 출력(Motor Output)
: 처리된 정보가 외부로 보이는 반응
: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신체 움직임 등
http://www.processingskills.com/ps/02_step2.htm
다음의 능력이 부족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주의

일정 시간 동안 과제에 집중하지 못할 경우, 다른 핵심기술이 발

Attention

휘하지 못한다.

작업기억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유지되지 않고 잊혀진

Working memory

다면, 학습 자체가 곤란하다.

처리 속도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가 느리면, 작업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사

Processing speed

용되기 전에 사라져버린다.

시각정보 처리

시각적인 정보를 조작하거나 마음 속에 그려보는 처리 능력이

Visual processing

부족하다면, 수학적 개념이나 용어를 이해하기가 힘들다.

장기기억

정보를 장기간 저장/유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결론(학생들

Long-term memory

의 대답)이 잘못될 수 있다.

청각정보 처리

필요한 소리 정보만을 조합하고 분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부

Auditory processing

족하다면, 단어를 발음하거나 철자를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논리/추론

논리/추론 능력이 부족한 경우, 문제 해결과 개념 이해에서 어려

Reasoning and logic

움이 있다.

이해력

이해가 부족하면, 새로운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고 배우는 것이

Comprehension

어렵다.
http://www.processingskills.com/ps/02_step2.htm
시각
청각
촉각
미각

단기기억

감각기억
30초

후각

망각

작업기억

감각기억

5분-20분
혹은
의식적으로 사고하면 시연과
더 길어진다.
반복연습

뇌의 여러 부위에 걸
쳐 정보를 조작하고
연결하고 연합한다.

감각기억
장기기억
서술적(의식적)

정보나 개념, 일화에 대
한 기억

절차적(무의식적)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순서나 과제에 대한
기억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이란 무엇인가?
 뇌가 어떤 일을 수행하는 동안 필
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하는 능력/시스템

“뇌 속의 메모지”
☞ 기억해야 하는 정보 조각을 마음
속에 메모하고, 그것을 이용해 정
보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
으로 처리하고 관리한다.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

출처: How the Brain Learns
Mathematics, David Sousa, 2008 p52

3Rs
습관

IQ
작업기억
기억의 조건
“장기 기억의 조건 = 이해+의미+처리시
간”
Criteria for Long-Term Storage

1. 이해
(Does this make sense?)
2. 의미
(Does it have meaning?;
Why do I have to know this?)
3. 깊은 사고처리에 필요한 시
간(time for deep processing)

출처: Sousa, D. (2009). How the brain learns
작업 기억력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1. "잠깐 멈춤" 기법.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몇 분간 멈춘다.
Use the “pause” technique. Every few minutes, pause to let content sink in.

2. 이해를 돕기 위해 기억 단위를 짧게, 그 다음 다시 반복
Chunk content into smaller chunks to aid understanding, then review.

3. 내용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사전 활동 실시
Prime the learning to create an attentional bias to the content.

4.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전두엽을 자극시키기
위한 신체 움직임을 먼저
Do a fast physical activity 1st to activate frontal lobe uppers like dopamine and
norepinephrine.
기억의 이해 – 기억의 종류
기억의 종류





의미기억 semantic memory
사건[일화]기억 event memory
절차기억 procedural memory
감정기억 emotional memory
기억의 이해 – 의미기억의 전환
나눗샘의 정교화시연
예

15 ÷ 1/4 = 15 x 4/1 = 60

⊗⊗⊗⊗⊗⊗⊗⊗
15개 피자의 각
각을 4쪽으로 나
⊗⊗⊗⊗⊗⊗⊗
누면 총 60쪽이
된다.
의미 연결망 Semantic Networks

의미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어휘는 그렇지
않은 어휘에 비해 더 가까이 위치한다
(예: lemon-yellow vs. lemon-bird).
http://www.sagepub.com/upm-data/38056_Chapter_1.pdf
저장방식의 이해 - 의미 연결망
„동물‟의미 연결망 Semantic Networks

Adapted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Collins and Quillian (1969)
http://en.wikipedia.org/wiki/Mental_lexicon
저장방식의 이해 – 이중부호화(Dual-Coding) 이론
 항목을 문자부호와 영상부
호로 표상하면 기억이 향상
된다는 이론
 각 시스템은 동일 개념에 대
한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를
처리하며, 하나의 정보가 활
성화되면 연결되어 있는 다
른 정보가 함께 활성화된다.
예) „고양이‟를 부호화할 때 „고양이‟라는
단어뿐만 아니라 영상(image)까지 기
억하면, 단어나 영상 중 하나만 인출
해도 그 항목을 재생할 수 있다.
출처: Cognitive Psychology: Mind, Research, and Everyday Experience, 2nd Ed. by Bruce Goldstein.
수동적인 학습양식 – 기억 유지

읽기만 한 경우
듣기만 한 경우
보기만 한 경우

듣기와 보기를
함께한 경우

•
•
•
•

비디오 감상
전시회 관람
설명해주는 영상 보기
그 자리에서 하는 것을
지켜보는 경우

14일 후에 기억한 내용의 비율(%)
http://theweek.com/article/index/248669/12-things-we-knowabout-how-the-brain-works
그림 vs 글

그림만 있는 경
우
글만 있는 경
우

구체적인 내용
추상적인 내용

내용이 구체적일 경
우, 시각적으로 장면
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기억률이 약
간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http://theweek.com/article/index/248669/12-things-we-knowabout-how-the-brain-works
기억의 이해 – 저장과 응고화

<시냅스 차원의 응
고>

<시스템 차원의 응
고>
배운 내용 굳히기
어떻게 수업에 적용할 것인가?
1.

2.
3.
4.
5.
감정-동기-주의-학습
학습의 이해 - 감정의 중요성

감정

주의

인지

 감정은 생각, 행동, 학습과정의 일부이자 기본배경이다.
(Caine et al. 2009)

 감정에 의해 어떤 자극에 주의(Attention)를 줄지, 무엇을 학
습하고 기억할지 결정된다. (Kovalik, 2009) 감정은 주의를 이끌고
, 주의는 학습을 이끈다.
 감정을 적절하게 수반하는 학습, 자기 감정을 의식하고 조
절하면서 이루어지는 학습이 효과적이다. (Jensen, 2008; Caine et al.
2009),

 감성적 사건은 더 잘 기억된다. 기억을 돕는 것은 정보의 중
요성보다 감성의 고조(emotional arousal)다.
주의의 이해

“학습자의 <주의, 흥미, 시간>을 어떤 것
이 먼저 차지하는가?”
이에 대해 교사는 경쟁관계에 있다.

Teachers need to know how the brain learns,
remembers and forgets. Teachers compete with
other environmental factors for students’ attention,
interest and time.
학습과 주의
 "너무 지루하지도 않고 아주 재미있지
도 않은, 일반적인 수준의 수업을 들을
때, 학생들은 수업 시작 후 언제부터 흥

미를 잃기 시작할까?"

10분
동기의 이해
동기의 유발
 동기란?

동기(motivation)란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나 욕망

 동기의 종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 내적 동기의 주요 요소

-학습 내용, 방법, 수준, 속도를 학습자가 결정
-공부의 희열(intellectual orgasm) 경험

“동기가 없는 학생은 없다”
▶ 동기기 부족한 이유는?
동기의 이해
관점 전환
동기가 없어 보이는 아동 청소년 이해 - 동기가 없다는 것은 불가
능한 일이다. 모든 아동청소년은 동기가 유발되어 있다. 무엇에
동기가 유발되어 있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동기가 없어 보이는
아동청소년이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
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의 지시에 따르고 싶지 않은 쪽으로 동기
가 유발되어 있을 뿐이다. 아무런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지 않도
록 동기가 유발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
를 위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이들은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
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공부하
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동기의 이해
동기 유발 전략
1. 학습 과제의 의미/가치를 이해시킨다
-습득 가치
-흥미 가치
-사용 가치
2. 학습 목표 수립을 도와준다
3. 남과 비교하지 말고 자신의 목표와 비교하게 한다
4. 성공 경험의 축적으로 자기유능감을 향상시킨다
5. 선택권을 준다
6. 학습의 주인이 되게 한다
7. 성공과 실패 모두 자신이 책임을 지게 한다
8.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칭찬한다
9. 기대 수준을 낮추지 말고 성공의 기회를 만들어 준다
10. 학업 성과란 갑자기 좋아지지 않고 점차 나아지는 것임을 알게
한다
동기의 이해
자아존중감 저하 - 부정적 피드백
 초중고 12년 동안 학생이 받는 부정적 피드백의 수:
15,000회(Reasoner, 1989)
 유치원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80%
 초등6학년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12%
자아존중감 저하 - 복합 요인







학습결손의 발생과 보정기회 놓침
학습을 저해하는 두려움 증가
부정적 자아상
부정적 호칭 갖기
심한 질책 받음
처벌 받음
학습자 동기관리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
대
교사의 기대: 자기충족예언
(A Self-Fulfilling Prophecy)
 학생들은 교사가 자신들을 어떻게 대하는가를 보면서 교사
의 기대차이를 감지한다.
 시간이 지날수록 학생들의 성취도 및 행동은 교사의 기대
수준에 점점 더 가까워진다.

높은 기대를 전하는 방법

발전이 있는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심어린 칭찬을 한다.
이해가능하게 자주 하라.
학습자가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춰라.
대답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어라.
가끔 도전적인 과제도 부여하라.
동기와 노력을 유지시키는 방법

1.학생들의 아이디어 반영

열정적으
로
시작

학생
참여
학습에의 몰입

하기
2.위험요소 예방하기
3.학습자의 마음가짐 세우

기
4.피드백 제공하기
5.시도 유도하기
학습부진아동의 학습
학습부진학생의 몰입을 위한 7가지 해법
1. 건강과 영양
2. 어휘력과 언어사용능력
3. 의욕과 에너지
4. 마음가짐과 태도
5. 인지능력
6. 관계
7. 스트레스 수준
배운 것 굳히기
Q1. 어떤 기억은 수년이 지나도 생생하게 기억이 나고, 또 어
떤 기억은 시간이 지나며 쉽게 잊는 원인은 무엇일까?
1.
2.
3.
Q2. 학습자를 정서적으로 몰입시키는 수업방법에는 어떤 것
들이 있나?
1.
2.
3.
뇌기반 교수학습원리
몰입을 위한 “Big 4” 참여 영역
뭐든 기꺼이
하고자 함

의욕

태도
마음가짐 성장

행동
인지
능력
어휘력과
집행기능

친절, 공정, 협동
의욕을 만드는 것
 강화/피드백: 감정 마침표 사용, 학생들이 발전시키고 설
명하도록 돕기, 분명하고 건설적일 것
 학생 참여: 학생들의 호기심 자극하기, 통합적인 질문하기
, “bite-size”움직임으로 긴장 풀기, 자발적인 손 들기 독려
하기, 의견 공유하도록 하기, 내용 선택 제공하기, 학생들
이 규칙을 쓰도록 하기

 교실 분위기: 교실에 “응원단장”역할 만들기, 평등한 위치
임을 보장하기, 긍정적인 교실 반응을 북돋우기, 다양한
박수치기 세레머니 하기
태도를 만드는 것
 희망과 학습 마음가짐: 학생들의 학습 능력 확언하기, 학
생들의 선택과 태도, 노력을 확언하기, 학생들의 능력을
확언하기, 학습 목표를 확실히 말하기, 대학 진학 잠재력
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북돋우기
 학생 에너지: 리더 따르기, gallery walk 비평, 활력을 주는
역할을 하도록 학생 팀 요청하기, scavenger 사냥 나가기,
cross-laterals
 정서적 확신: 앞선 모든 작은 성공에 대해 확실히 언급하
기, 학생들 존중하기, 상호 언어 향상시키기, 긍정적인 면
강조하기
행동을 만드는 것
 적절한 사회/정서적 반응: 적절한 반응 모형 만들기, 재미
있는 활동이 있는 반응 가르치기, 참가자 규칙 게시 및 시
행하기
 마음-몸 상태/교실 의식(rituals): 강의 시간 줄이기, “fight,
flight, or freeze”반응 없애기, 학생들에게 더 많은 통제력
주기, 의식(ritual)으로 수업 마치기, 교실 주의 집중시키기
, 높은 음으로 두기, 중요 시점 축하하기, 방해 다루기
 협력/협동: 협동 그룹 짜기(초등), 협동 팀 짜기(중등), 서
로 알아가기 활동을 통해 “class glue”만들기, 팀 인사 만
들기, 팀에서 하도록 넘기기
인지 능력을 만드는 것
 작업 기억: 회상 게임 하기, 단어 바구니와 숫자 가방 이용
하기, 점점 늘어나는 내용 복습하기
 주의 지속 시간: buy-in 몰입 늘리기, 예측 사용하기, 멈추
고 덩어리로 묶기, 빠른 신체 활동에 참여시키기, 학생들
이 움직이도록 하기, 박자 박수, 균형과 요점
 자기 통제: 교실 질의응답 시간에“calendar delays”사용하
기, 혼합 박수 과제 이용하기, 목표의 힘 가르치기, 방향
따라가기, Simon Says.
BBE 大원리 - 학습의 최적 조건 만들기
학습

편안한
각성상태
(왕성한 식욕)

다양한 경험에 몰입
(다양한 음식과 반찬)

경험의
활발한 처리
(활발한 소화작
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학생들은 마음 편히 도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기운을 북돋아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스트레스: 신체적 혹은 심리적 위협으로부터 개체를 방어하기
위한 생리적 반응. 인간은 동물과 달리 실재적인 위협뿐만 아니
라 과거의 경험이나 상상으로 지어낸 위협에도 스트레스 반응
을 보인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학습을 촉진하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뇌와
신체, 면역체계를 무너뜨리며, 만성화되면 무기력에 빠진다. 심
신이 안정된 상태에서는 뇌의 에너지 대부분이 인지적인 부분
을 처리하는 데 쓰이지만, 위협적인 상황에서는 에너지가 생존
을 유지하는 데 쓰인다. 또피곤하고 지친 상태(Downshifting),
즉 에너지 수준이 떨어진 상태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야
기한다.
최적의 학습 상태 조직하기
도입기 상
태
따분함
좌절감
현기증
배고픔
분노
회의론
무관심
짜증
분개
절망
공포
졸림
짓궂음

상태

목표 상태

교사의
행동

예측
자신감
호기심
긴장감
호기심이 많음
흥미진진함
기대
얼떨떨함
도전

목표상
태
BBE2 사회적 상호 작용
☞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뇌는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어 무언
가
를 할 때 더욱 활발하게 움직인다. 서로
대화를 통해 감정을 공유하고, 주제에
대
해 토론하고, 브레인스토밍을 하거나
문제
를 직접 해결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
의 학생들은 친구의 학습과정을 보고 자신의 학습과정에서
학습이 일어난다(Jensen, 1998). 따라 배우기도 한다. 또한 다
잘못된 점을 고치기도 하고,

른 사람과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자존감과 학업 성공에 대한 확신으로 이어지게 된다.
BBE3 의미 탐색
☞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와 생각이 반영되어 있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

뇌는 외부 정보가 자신과 무관하게 느껴지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도대체 이걸 왜 배워야 할까?‟

→ 학생의 내재적 동기를
유발하고 수업의 주체가
되어 직접 참여하게 함으
로써, 학생 스스로 학습을
의미 있게 느껴 학습을 즐
기게 된다.
BBE4 정서 연결고리
☞ 학생들은 배우는 과정에서 감정이 동요될 때 효과적으로 학습
한다.

[과거] 감정과 인지 분리: 감정을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는 비
합리적인 요소로 간주
[현재] 학습에서 감정의 역할이 중요: 감정이 동요되는 순간,
눈이 번쩍 뜨이고 정신이 맑아지면서 집중
주변 환경이 변화하면
생존기제가 작동하면서 각
성
→ 학습을 위한 최적의 순
간
BBE5 부분과 전체
☞학생들은 세부적인 정보(교과 내용)가 전체 맥락(실생활,
다른 정보와의 연계 등)을 통해 이해될 때 효과적으로 배
운다.

주변 세계를 경험함으로써, 부분 정보만이 아니라
전체를 하나의 문맥으로 인식. 뇌는 큰 그림을 먼
저 그리고, 그 다음에 부분 정보를 파악하려는 속
성
→ 전체 맥락을 파악하게 되면, 개별 정보를 알아
야 하는 의미를 찾을 수 있고, 생각하는 수준이
깊어진다.
BBE6 신체동작 활용
☞ 학생들은 다양한 감각이 자극되고, 몸을 움직일 때 효과
적으로 학습한다.
수업 중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 순환활동을 촉진하여
뇌의 신경세포가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신경세포 성장인자의 분비를 촉진하여 뇌가 효율적
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 신체 동작은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
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를 촉진하며,
스트레스 완화와 감정 조절에도 효과
적
핛학습과 운동 - 신경재생을 촉진

하루 동안 새로 생긴 신경세포 수

 운동을 하면 새로 생긴 신경세포 수가 두 배로 증가한다.
(Broen et al, 2003)
600
0
500
0
400
0
300
0
200
0
100
0
0
운동을 병행한 경우

운동을 병행하지 않은
경우
BBE7 패턴 연결
☞ 학생들은 기존 지식과 새로운 정보가 서로 연결될 때 효과적으
로 학습한다.

무언가를 배울 때, 그 정보가 어떤 의미인지를 파악하고,
정보들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패턴
을 만든다. 얼핏 보기에는 정보를 무작위로 받아들이는 것
같지만, 실제 뇌는 많은 정보 중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낼
패턴을 찾는다. 이렇게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어떤 정보와
연결하여 패턴을 만들지를 예측하는 동안 지식이 생성되
는 문맥이 만들어진다.
BBE7 패턴 연결
◉ 실행 방안
1) 칠판에 큰 개념의 주제를 몇 개 적어놓고, 학생들로 하여
금 궁금한 부분을 질문하게 하여, 그 부분을 수업 주제로
삼는다.
2) 패턴 기법 및 각종 시각화 도구(그래픽 오거나이저, 표, 순
서도, 과정 일람표, 개념도 등) 적극 활용
3) 은유, 직유, 유추 등 여러 비교기법을 활용하여 자신이 이
해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BBE7 패턴 연결
◉ 실행 방안
4) 실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현장 체험학습 등 활용
5) 패턴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기법으로서 미술과 공연을 활
용
가령, 학생들에게 물의 순환 과정을 교실 바닥에 큰 도형
으로 그리게 하거나 춤으로 표현하게 한다.
6) 비교, 대조, 분류, 예측 등을 통해 연관성을 파악하게끔 하
는 질문기법을 활용한다.
학습이란 패턴을 찾고 프로그램화 하는 과정
 “아하”하는 순간 -> “장기기억”으로 가는 과정
 “무엇인지 안다” -> “사용할 줄 안다”로 가는 과정

1단계

패턴 찾기

정보를 인식(recognition)하고,

Input

Pattern-Seeking

무엇인지 구별하여(identification),

의미를 이해하는(understanding) 과정
2단계

프로그램화

이해한 내용을 연습하고 반복해서 사용하는 능

Output

Program-Building

력
학습한 내용이 내재화되어 크게 힘을 들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수행

* 참고문헌: Kovalik, 2009, 36 Olsen, 2009, 3.2 Caulfield & Jennings, 2006
패턴이란?
 수많은 정보 단서들에서 공통 성분을 찾아 하나의 패턴으로 인
식
 물체, 행동, 절차, 상황, 관계, 시스템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물체
주전자/ 머리빗
강아지/ 고양이

행동
달리기/ 수영하
기
걷기

옷 입기/ 장보러 가
기
운전하기/ 목욕하기

포식자-먹
이/
원인-결과

시험 치르기/ 생일잔
치

패턴 찾기
물체
가족/ 컴퓨
터법/ 정치

시스템

절차

관계

상황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BBE8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특성, 개성, 능력, 장점을 존중 받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아이들은 개별적인 존재로서, 동일한 상황이더라도 동일
하게 느끼거나 배우는 것은 아니다. 모두 똑같은 잣대로
비교하거나, 같은 내용을 동일한 방법으로 배우게 하는 것
은 성장 잠재력을 키워주지 못하는 일이 될 수 있다.
뇌는 생존을 위해 설계된 기관으로, 타고난 유전 특성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유의 특성을 지님. 사람은 약
99%이상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지만, 수많은 사회·문화
적 변인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인지와 행동발달
에 차이가 존재.
BBE8 –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실행 방안
1) 학생들이 학습과정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스스로 결
정.
각자 세운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내용을 친구
들과 공유하게 한다. 계획에 대해 비난하거나 과도하게
칭찬하지 말고, 학생들이 직접 다룰 수 있다고 느끼게끔
한다.
2) 교사 중심 수업이 아닌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진행한다.
BBE8 –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실행 방안
3) 도달해야 하는 과정과 성취목표가 명시된 „레시피‟를 줄
게 아니라, 학습 방향을 조정시켜주는 „맵‟을 주는 게 맞다.
4) 자신의 수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을 교사와
각 학생의 협의 하에 세운다.
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학생들은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다시 되새겨보면서 평가
할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학습 성찰이란 배운 내용을 뇌에 단단히 새겨 두기 위해
학습 과정과 내용을 곰곰이 살펴보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
정을 통해 기존 지식과 새로운 정보가 연결되면, 뇌의 신
경회로의 연결 패턴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학습이 일어난
다. 즉, 수업 중에 배운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서 이
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위인지란 자신의 학습과정에
대해 자기 자신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자기평가 과정은 학습을 지속하는 데 있어 절대적으로 중
요하다.
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실행 방안
1)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을 되짚어보게 하는 질문을 만
든다. (예.„오늘 수업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를 하는 데 어떤 부분이 가장 도움이 되는가?‟등의 질문)

2) 여러 과목을 연계하여 수업한다.
(예: 역사 시간에 고대 그림벽화를 감상하고, 그 시대의 생활상을 유추
)

3) 학습 과정 중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상세한 피드백을 제공
한다. 학습 과정에서 잘한 점은 무엇이고 개선할 점은 무
엇인지, 학습 목표에 도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
해 구체적인 조언이나 정보를 적절히 제공한다.
BBE9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실행 방안
1) 기초설문지, 학부모 설문지, 담당교사와의 사전면담 등
을 통해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2) 일괄적인 기준(학년별, 연령별, 성별, 학교별 등)에 따라
학습자를 비교하지 않는다.

3) 과제를 제공할 때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 문제까지 수준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4) 수행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안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한다.
BBE9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5)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과업을 조정한다(수행해야 하
는 학습량에 기준을 두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마다 해낼
수 있는 양만큼의 과업 성취도를 평가).
6) 학습자의 장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역할(role)을 줌으로써
, 책임감을 갖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함.
(예: 산만하고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아동-아이들에게 학습지를 나
누어주는 역할, 노래를 좋아하는 아동- 수업과정 중에 노래를 부를 때
선창하기, 유난히 떠드는 아동-하루 동안 교사의 말에 제일 귀 기울였
던 „최고의 청취자‟를 선정하도록 권한 주기)

7) 각자의 생각을 보여줄 수 있는 광범위한 질문을 던지기
(예: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에 대해 각자 돌아가면서 1분씩 말하기
)
BBE10 – 개략적인 밑그림 먼저 그리기
그림을 그릴 때를 생각해보자.
1. 연필로 대충 밑그림을 그린다.(Rough Draft) 2. 틀린 부분은 수정하고 정확한 선을 남겨
둔다.

 밑그림을 먼저 그리면, 어떤 선이 정확한 선인지(중요한 정보인
지) 알아가기 쉽다.
 처음부터 정확한 선을 그리기는 어렵고 힘들다.
피드백(feedback)과 오류 교정이 왜 중요한가
?
 뇌는 학습 내용을 한번에 정확히 습득하지 않는다.
 새로운 정보가 주어지면, 뇌는 다소 정확하지 않은 밑그

림(Rough draft)을 먼저 그린다. (세부적인 내용 X, 요점
중심 O)
☞ 처음 이해한 내용(Draft)이 제대로 되었는지 피드백이 필

요하다.
☞ 이 과정을 통해 학생은 "무엇이 중요한지",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알게 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 방식이 괜찮

은지
생각해봅시다."
피드백 - 즉각적인 피드백 vs 지연된 피드백

덧셈

뺄셈

곱셈

즉각적인 피드백

나눗셈

지연된 피드백

 수학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해준 경우와 피드백
을 늦게 해준 경우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Brosvic et al., 2006)
BBE11 – 전체와 부분의 동시처리
• 외부 세상으로부터의 들어오는 수많은 정보로부터 의미를 추출하
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것과 부분적인 것에 동시에 주의를 기울려야
한다.
• 학습자는 부분과 연결된 ‘전체에 관한 감을 잡을 수 있는 경험을 제
공할 때’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 깊이있는 학습은 전체와 부분을 모두 아우를 때만 가능하다.
• 전체에 대한 감과 전체와 부분간의 연결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의미의
이해도 일어나지 않는다.
• 전체와 부분은 최고집행기관인 전전두엽이 통합한다.
BBE12 – 선택되어 처리되는 정보의 한계

감각 부호기 주
(감각기억) 의
Sensory Buffers

단기기억
Short-Term
Memory

반복(되새기
기)
Rehearsal

작업기억

장기기억

Working
Memory

Long-Term
Memory

정교
화
회상

Becoming a "Wiz" at Brain-based Teaching, p.135
시연(試演, rehearsal)
감각기관에 들어오는 정보(=자극)에 대한 기억과 회상을 촉진하기 위해 그
정보를 을 반복적으로 되뇌는 기억 전략의 하나이다. 시연 전략을 통해 학습
자는 단기 기억에 있는 정보를 장기기억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정보가 단
기기억에서 더 많이 시연될수록 장기기억에 저장되기 쉬워진다.
단순히 그 정보를 마음속에서 그대로 반복하여 잊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시연
을 유지시연(maintenance rehearsal) 혹은 단순반복시연(rote rehearsal)이라
하고, 기억하고자 하는 정보를 몇 차례의 재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장기기억
속의 기존의 관련 정보와 연관시키는 것을 정교화시연(elaborative rehearsal)
이라고 한다.
뇌기반 교수학습 연구모
임
[초등] BBE 교사연구모임
기간: 3월 9일 ~ 6월 29일
월 2회(총 8회) 3시간/1회
참여교사: 초등교사 5인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수업활동 77가지”
수업활동 연구과정[초등]
2주

개별 학습

X 8회

수업활동 과제

상호 피드백

총정리

α

- 교사연수자료 <„뇌‟를 알
면 수업이 즐겁다>
- 동영상: 온라인 연수
- 참고자료(연구소 업로드)

- 6가지 주제
- 주제별 수업활동 과제
- 각자 3개씩(도입, 전개,
정리)
- 모임 3일 전 업로드

- 모임에서 발표/시연
- 상호 피드백

- 모임일지 작성(리더)
- 과제 수정하여 재제출

- 교육원리 분류 수정
및 수업활동 재배치
- 뇌기반 교육 원리를
적용한 수업활동
77가지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나눗셈 문제 만들기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도입

정리

○

20분

전개

○

 학습주제: (세 자리 수 ÷ 두 자리 수)의 나눗셈 원리를 익힌다.
※ 교사와 함께 학습주제에 대한 학습을 한 후에, 복습 활동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① 4-5명 모둠을 구성하고, 친구들이 나를 위해 만들어줄 문제 수준(상, 중, 하)을 선택하고 노트에 적는다.
② 모둠별로 서로 노트를 돌려가면서, 각자 선택한 수준의 문제를 작성한다.
수업전략
(모둠협력을 통한
복습활동)

- 문제 수준(상) 예시 :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는 400명이다. 39인 버스를 타고 현장학습을 갈 경우 버스가 몇
대 필요할까?
- 문제 수준(중) 예시 : 322÷25를 계산하시오.
- 문제 수준(하) 예시 : 132÷11=12 위 식을 검산식으로 나타내시오.
③ 친구들에게 낸 문제의 정답 및 풀이과정을 노트 뒷면에 적는다.
④ 3문제가 다 만들어지면, 노트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 문제를 풀게 한다. 만약 문제를 풀었을 때의 답(앞면), 친
구가 쓴 풀이과정 및 답(뒷면)이 다를 경우 교사에게 가지고 나온다.
[출처: 화성 도이초등학교 4학년 수업]

준비물

북아트 재료
- 수업시간에 교사와 함께 공부한 ‘나눔셈의 원리’를 다양한 문제 만들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BBE9: 학습성찰과 자
기평가).

예상결과

- 각자 문제 수준(난이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나눗셈을 문제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기대효과

있다.
- 친구들이 만든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된다(BBE2: 사회적 상
호작용).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수업 단계

Class Survey

활동명
과목/학년

영어/초6

도입
진행시간

20분

전개

정리

○

① 반 친구들을 만나 ‘얼마나 자주 무엇을 하는지’ 묻고, ‘Class Survey’를 완성하는 활동 (주제어: “How often do you~?")
② 기본 모둠(Home group)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해야 할 질문을 연습한다.
 그룹 1: How often do you exercise?

 그룹 2: How often do you eat snacks?
 그룹 3: How often do you read books?
수업전략
(직소모형)

 그룹 4: How often do you play computer games?
 그룹 5: How often do you study English?
③ 각 학생들에게 질문지를 주며 A, B, C, D, E 라고 지정해준다.④ 학생들은 자신이 받은 알파벳과 일치하는 테이블을 찾
아간다. 가령, A를 받은 학생은 A라고 적힌 테이블로 이동한다(전문가 그룹).⑤ 학생들은 다른 친구들에게 원래의 그룹에
서 연습했던 질문을 하고, 질문지에 있는 차트에 학생 수를 표시한다.⑥ 질문 및 대답이 모두 끝나면, 학생들은 다시 원래
의 그룹으로 돌아와, 각자 수합한 자료를 Class Survey라는 종이에 결과를 옮긴다. 교사는 각 질문에 해당하는 ‘Class
Sruvey’ 다섯 장을 교실 벽면에 게시하여 학생들이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준비물

Survey Sheet, Group Sign
- 다른 친구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해당 구문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예상결과
/기대효과

- 기본 그룹에서 질문을 충분히 연습하여, 전문가 그룹에서 어떤 결과를 가지고 오는 데서 도전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

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모둠활동에 필요한 규칙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터득할 수 있다.
- 인터뷰를 진행하는 동안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잔잔한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좋다.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어떻게 분류할까?
수학/초2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학생들이 좋아할만한 물건을 넣은 상자를 모둠 수대로 준비한다(이때 각 모둠별로 서로 다른 물건을 넣는다).
수업전략
(패턴화하기실생활과 연결)

②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을 꺼내어 분류한다.
③ 각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들이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었는지를 논의하고,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모둠학습지

에 답을 쓴 뒤에, 상자 밑에 있는 답을 확인하고, 틀렸을 경우 다시 분류한다.
④ 다른 모둠의 상자에 들어 있는 물건도 분류해보고, 학습지에 기록한다.
⑤ 모둠별로 정한 기준에 대해 발표한다.

준비물

사탕, 초콜릿, 학용품, 단추, 과자, 상자, 모둠학습지, 기준/정답카드
- 분류 기준을 스스로 생각해봄으로써 추론 능력과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 사물을 인지하고 특성을 알아내고 비슷한 속성끼리 묶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인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예상결과
/기대효과

있다(BBE5: 부분과 전체)
- 학생들이 좋아하는 간식 등을 담아두고, 수업이 끝난 후에 나누어먹으면서 내용을 자연스럽게 복습하게 할 수
있다(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상호 협력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수업이 가능하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학습 속에서 패턴을 찾아 실생활과 연결하여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Classroom Olympic
영어/초6

진행시간

도입
15분

전개

정리

○

※ 학습주제: ‘I’m faster than you‘ 단원에서 비교하는 활동을 실제로 하면서 목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① 학생들에게 주제를 제시하고(예: I’m taller than you), 비교 대상이 되어볼 지원자를 앞으로 나오게 한다. 본 예시에
서는 키가 큰 친구 두 명이 자원하여 나오게 된다.
수업전략
(지각적 주의환기)

② PPT 슬라이드의 다음 화면에서 비교하게 되는 대상은 키가 아니고 ‘sitting height(앉은 키)’가 나오면, 학생들은 깜
짝 놀라며 재미있어한다. 이 때 ‘Minsu’s sitting height is taller than Jieun’s sitting height.‘라는 문장을 연습시킨다.
③ 계속해서 ‘I’m stronger than you.‘라는 주제를 주고 지원자를 나오게 하고, 학생들은 여전히 힘센 듯 보이는 친구들
에게 나가라고 권유한다. 하지만 실제로 비교하는 대상은 머리카락이다. ’Taeho’s hair is stronger than Mina’s.‘ 학생들
은 다시 한 번 놀라서 웃고, 점점 다음 비교 대상에 집중하게 된다.

준비물

예상결과
/기대효과

Classroom Olympic 진행 PPT
- 예상했던 내용에서 벗어난 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내용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면서 집중하게 된다.
- 영어에 대한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다소 위축될 수 있는 학생도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신체 활동과 연계하여 기억
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BBE6: 신체동작 활용).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이야기 수학
수학/초4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그림이나 동영상을 보여주고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수업전략
(자기주도
탐색활동)

(예시) 민데렐라 이야기(등장인물:. 민데렐라, 문지기)
민데렐라: 아~ 여기가 요정 나라 정문이구나. 얼른 마법 호박을 들고 나가야지.
문지기: 잠깐! 굉장히 무거워 보이는데.. 마법 호박은 한 번에 5kg밖에 가지고 나갈 수 없소!
지금 가지고 있는 마법 호박이 모두 몇 kg이지?
민데렐라: 가만 있어보자. 1.6 kg짜리 최상급 호박 3개를 챙겨왔는데, 이게 모두 몇 kg이지? 5kg이 넘으면 큰일인데...

준비물
예상 결과 /실행
결과

사진 자료 및 PPT 또는 플래시 동영상
- 학생들이 이야기 속의 „민데렐라‟ 입장이 되어 문제를 풀게 함으로써, 수학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 다른 분야나 실생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BBE7: 패턴 연결).
- 수학적 개념(활동, 원리)뿐만 아니라 수학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원주율을 구하라
수학/초5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운동장에서 모둠별로 3~5m 노끈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② 중심과 반지름, 지름을 확실하게 표시하여 원을 그린다.
③ 그려진 원을 가지고 원주가 무엇인지 알려준다(‘원주는 원의 둘레의 길이입니다‟)
④ 모둠별로 주어진 3-5m의 노끈이나 아이들의 발자국 개수(자신의 신발 사이즈, 가령 220mm)를 이용하여 원주의
길이를 잰다.

수업전략
(신체활동 활용)

⑤ 우리 모둠의 측정한 원주는 지름의 몇 배가 나오는 지 계산한다.
⑥ 다른 모둠의 결과와 비교한다.
※ 움직인 활동이 가능한 학습 내용
가. 4학년 1학기 3단원 - 각도
부채의 펼쳐진 정도를 각도로 말해보거나 말한 각도를 부채나 자를 이용하여 그리고 확인한다.
나. 5학년 1학기 8단원 - 여러 가지 단위
㎡(1m × 1m), a(10m × 10m)의 단위를 운동장에 그려보도록 한다.

준비물

대못 2개, 3m, 4m, 5m 노끈
- 교실 분위기보다 자유롭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학습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예상결과 /기대효과

- 자기 모둠과 다른 모둠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주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교과서 지식이 아
닌 움직임을 통해 배울 수 있다.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스토리텔링
수학/초4

진행시간

도입
5분

전개

정리

○

① 본시 학습과제와 관련된 문제 상황을 스토리텔링으로 제시한다.
마법나라에서 생일 선물이 도착했습니다. 선물은 보물 상자와 마법카드 3장입니다.
보물 상자는 자물쇠로 잠겨 있는데 이를 열기 위해서는 마법카드로 열쇠 3개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의 <조건>에 맞게 열쇠 3개를 만들어 그리시오.
[조건] 각각의 마법카드를 잘라 3개의 삼각형을 만든다.
수업전략

㉮ 열쇠는 세 각의 크기가 모두 9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인 삼각형 모양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② 학생들에게 다양한 발문을 통해 문제 상황을 인식하도록 안내한다.
- 받은 선물은 무엇입니까?
- 보물 상자를 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③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학습목표를 세우게 한다.

준비물
예상결과
/기대효과

마법나라 생일선물 이야기 PPT
-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여 „생일선물‟이라는 자신의 생활 및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 학습내용이 스토리텔링형태로 문제 상황과 관련지어 제시됨으로써 배운 내용들이 포괄적인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가
있고 얼마나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BBE5: 부분과 전체).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상호 피드백

과목/학년

공통/초6

진행시간

도입

전개

5분

정리
○

※ 루브릭은 수행을 완수하기 위한 ‘일종의 지도’ 역할을 하므로,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학생들과 협의하여 작성하고,
나누어준다. 루브릭을 통해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게 된다.
①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나누어준 루브릭을 꺼내놓고, 항목에 대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여, 1점부터 4번까지 점수
를 매긴다.

수업전략

② 프로젝트를 함께 한 모둠원과 서로의 루브릭 용지를 바꾸어, 서로의 수행에 대해 평가한다.
③ 교사는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최종 점수를 매긴다.
[예시]

준비물

루브릭 평가지
- 학생들은 과제 수행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기에, 자신의 수행과정에 좀 더 집중하게 된다.

예상결과

- ‘루브릭’이라는 설계도 하에, 학습 계획을 세우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면서 최종 목표에 단계적으로 도달하게 한다.

/기대효과

- 자기 평가와 친구의 평가, 교사의 평가를 종합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스스로 깨닫게 된다(BBE9: 학습성찰과 자기
평가).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학습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도입
진행시간

전개

20분

정리
○

①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발문을 한다.
- 이 답이 문제에서 묻고 있는 답이라고 확신하는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 자신의 풀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
- 이 문제를 풀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는가?
-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구할 수는 없는가?
- 다른 문제에 이 결과나 방법을 적용할 수는 있는가?
② 교사의 발문에 대한 각자의 답을 배움 노트에 정리한다.
③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보거나, 오늘 배운 문제풀이 방법 외에 다른 해결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게 한
수업전략

다.
④ 정리 형식은 각자 이해하고 정리하기 편한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 사전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배움 노트‟ 정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정리하는 기술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점판형>

<일반형>

대부분의 도형 학습
도형의 이동 및 대칭

수학일기 및 일반 활용

점판(지오보드) 활용 학습
준비물

문장제 해결 학습
학년 고려

배움 노트

예상결과

-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고,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보충지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기대효과

- 각자의 성향을 존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정리를 할 수 있게 한다(BBE10: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너도 짱, 나도 짱!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4명이 한 모둠이 되도록 모둠을 구성한다.
② 설명자, 도우미, 답변자, 격려자 중 하나로 역할을 분배한다.
③ 서로 돌아가면서 원하는 역할을 해볼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한다.
역할자

수업전략

1번(설명자)

(선택형 모둠활동을
2번(도우미)

통한 복습활동)

3번(답변자)

4번(격려자)

준비물

주요 활동
직업에 관련된 카드를 보고 몸동작 및 영어로 설명하기
3번 학생의 뒤에서 그림카드 넘기기
3번 학생이 도움을 청하면 답 이외의 힌트를 줄 수 있음
정답 말하기(잘 모르겠으면 ‘패스’ 하기)
시간재기 (모둠에서 1명에게 1분 또는 30초로 정하기)
답이 맞으면, “Good Job!”, 틀리면, “Cheer up!” 말하기

직업 관련 플래시 카드
-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여, 각자 원하는 역할을 선택하게 한다.

예상결과 /기대효과

- 복습 내용을 즐겁게 집중하여 상기시킬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
거)
- 모둠활동을 통해 역할을 나누고, 질문을 묻고 답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BBE2: 사회적 상호작용).
감사합니다. 주제
프레젠테이션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21ERICK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21ERICK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21ERICK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21ERICK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21ERICK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21ERICK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1ERICK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CS_Lee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ChansunP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21ERICK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21ERICK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지현 김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Kyubok Cho
 
(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
(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
(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
Bob Core Riddle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Hyunjeong Joo
 
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미진 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21ERICK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Kyubok Cho
 
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ChansunP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What's hot (20)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
(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
(교양뇌과학)건강하고 행복한 성공의 뇌과학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Similar to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
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
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
Kyubok Cho
 
뇌의 이해(요지)
뇌의 이해(요지)뇌의 이해(요지)
뇌의 이해(요지)
Kyubok Cho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Jung Hyojung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지현 김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Hyunjeong Joo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견지 심
 
00 갈등 Disc
00 갈등 Disc00 갈등 Disc
00 갈등 Discparkds2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Jeeyun Park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Minsoo Jung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경희 배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Jahee Lee
 

Similar to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16)

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
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
뇌기반학습과학중간시험자료
 
뇌의 이해(요지)
뇌의 이해(요지)뇌의 이해(요지)
뇌의 이해(요지)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00 갈등 Disc
00 갈등 Disc00 갈등 Disc
00 갈등 Disc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How to improve your memory 기억력 높이는 방법
 

More from 21ERICK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21ERICK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21ERICK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21ERICK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21ERICK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21ERICK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21ERICK
 

More from 21ERICK (7)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 1. 뇌기반교육(BBE) 원리 와 교실 적용 방법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 www.21erick.org www.leechanseung.pe.kr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12-03)
  • 2. 단체 소개 • 본질에 충실한 교육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교육 • 모두에게 꿈과 희망이 있는 교육 가난하고 혜택 받지 못한 아동 청소년들도 각자 타고난 잠재 력을 조기 발견하고 이를 크게 키워 모두가 행복하고 가치 있 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 학교, 교원, 국가를 돕 습니다.
  • 3. 하는 일 소개 뇌기반교육연구 21세기교육연구 <정책 토론회> <연구보고서 -공교육 미래방향 제 안> 교육지원사업 <빈곤소외계층 영어교육지원> <교사연구모임 & 교사 학습동아리 지원> <연구보고서 - 뇌기반교육원리가 적용된 수업활동 77가지> 출판사업 <뇌기반 교육 교수과학시리즈, 교육정책시리즈 등
  • 4. 목차 1. 2. 3. 4. 5. 6. 7. 8. 수업지도, 생활지도 불변의 법칙 디지털 원주민의 이해와 희망 만들기 뇌에 관한 기초 지식 뇌과학에서의 학습의 의미 뇌의 정보처리와 기억 감정, 동기, 주의, 학습 뇌기반 교수학습 원리 뇌기반 교수학습 연구모임
  • 5. 들어가는 질문 10 1.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수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을까? 2. 학습 동기가 낮은 아이들은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가? 3. 아이들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언행을 습관화시켜 줄 수 있을까? 4. 가르쳐주어도 금방 잊는 것은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5. 만성적 스트레스는 아이들을 바보로 만든다고 하는데, 스트레스 를 줄여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6. 사회성, 감성 교육이 왜 중요한가? 사회성 감성 교육은 어떻게 해 야 하는가? 7. 빈곤 계층 아동들의 특성은 무엇인가? 8. 빈곤 계층 아동들의 미래 삶에도 희망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들 에게 희망을 만들어 주는 방법은 무엇인가? 9. 오늘날의 이 벅찬 도전적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수준과 학 교수준에서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 10.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 그 의미와 사명은 무엇인가?
  • 7. “교사가 설명을 많이 할수록, 학생들은 배움에서 더 멀어진다.” The longer we talk, the more students we lose.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 8. “교사가 자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학생들의 행동을 관리할 수 없다. ” You cannot manage student behavior if you cannot manage your own behavior. 목소리 톤을 통제하여 감정 자제하기 학급경영계획을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기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 9. 교사가 흔히 범하는 7가지 실수 1. 교사가 다루기 힘든 학생들에게 화내고 소리를 지를 때, 교정은커녕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 2. 반항적인 학생을 또래들이 보는 앞에서 맞서는 것은 그 학생을 더 용감하고 더 반항적으로 만든다. 3. 무계획적, 무원칙적인 교사는 교실을 혼란에 빠뜨린다. 4. 가르치는 것을 즐기지 않는 교사는 가장 가르치기 힘든 학생들을 만나게 된다.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 10. 교사가 흔히 범하는 7가지 실수 5. 수업 연구와 준비에 시간을 덜 투자하면 할 수록 지도부담 은 더 늘어난다. 6. 만약 교사가 다루기 어려운 학생이 과거 자신처럼 행동이 바르기를 기대하면 할 수록 이는 더 다루기 어려운 학생으로 만들 뿐이다. 7. 교실을 지배하는 위대한 법칙:“성장하라 or 죽는다” 여러분은 교사다. 성장하고 배우고 교사 자신을 변화시켜라. 그렇지 않으면 현재대로 굳어져 죽고 만다. 출처: Whole Brain Teaching for Challenging Kids
  • 13. 청소년 학습자의 이해  컴퓨터, 비디오, 영상물에 대한 과다노출로 인한 뇌의 변 화     빠른 처리나 검색 몰입과 집중의 어려움 감성, 사회성 발달 저해 공감능력 부족
  • 14. 청소년 학습자의 이해 – 망상활성계(RAS) 자극적 정보(컴퓨터, 휴대폰 등)에 과 다 노출로 인해 RAS 시스템 변화 초래 망상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 • 더 빠른 검색 • 더 많은 자극 기대 • 집중 시간 짧아 짐 RAS를 통과하는 정보 • 가치있는 것 • 위협적인/위험한 것 • 새롭고 신기한 것 망상활성계의 기능 • 감각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는 경로 • 외부 감각자극의 필터 • 뇌의 각성, 흥분, 집중 등에 관여 • 각성 체계를 통합하고 조절 • 의식을 명료하게 유지 해 주는 각성제
  • 15. 디지털 콘텐츠 과다노출의 부정적 요인 미래 학교에 대한 예측 출처: Susan Greenfield (2008), a leading neuroscientist and former director of the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1. 분석적 사고보다는 상황설명 적(episodical) 사고 증가 2. 성찰적이기보다는 반응적/반 사적 언행 증가 3. 주의 집중가능 시간 짧아짐 4. 문자언어보다 비쥬얼 자료로 소통 5. 학습부진아 증가 6. 충동 및 감정 통제능력 저하
  • 16. 발달(%)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 변연 계 전두 엽 10 0 80 60 40 20 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세) 위 그림은 연령에 따른 뇌의 변연계와 전두엽의 발달을 보여준다. 전두엽(이성의 뇌)은 변연계(감정의 뇌)보다 완전히 발달하는데 10~12년 더 걸리기 때문에 많은 청 소년들이 위험한 상황에 잘 말려든다. 출처: 공부하는 우리 아이들 머릿속의 비밀(교육을 바꾸는 책, 2013)
  • 18. 청소년 뇌의 이해 사고의 뇌(Thinking Brain)  뇌 안의 CEO(집행기능) 전전두엽(Prefrontal lobe)아직 덜 성숙함  미리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기능이 완 전하지 않음 감정의 뇌(Feeling Brain)  변연계(Limbic system) 발달은 최고조  감정에 따라 행동하며,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 을 수 있음 생존의 뇌(Survival Brain)  스트레스를 받으면 재빨리 생존 모드로 돌입! 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방해, 살기 위해 방 어적으로 반응하는 뇌간(Brain stem) 활성
  • 19. 사회적 뇌의 운영시스템 - 핵심적인 사회적 속성 6 가지 보상 및 상대방감정에 대한 화답 사회화 (구성원으로 살아 가기 위한) 감정상태 통제 능 력 공감능력 Theory of Mind 소속감 (가족,친구, 교사와의 유 대감) 사회적 감각 인지 (서로 주고 받는 사회적 신호 감 지)  사회적 속성 6가지가 수업분위기, 학교분위기, 학생의 성공을 결정한다. 출처: Teaching with poverty in mind(Eric Jensen) 6장
  • 20. 학생-학생 관계를 강화하라  학생들끼리 서로 믿고 협동하는 반은 성적도 좋다.  학년에 시작되고 30일 안에 아래의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간 관계 수립의 시작점으로 삼아 보자. 1. 학교를 안전하다고 느끼나요? 왜 그런가요? 혹시 불안하다면, 어떻게 해야 안 전하다고 느낄 수 있을까요? 2. 그룹에 소속되어 친구들과 잘 어울리나요? 잘 어울린다면, 어떤 점이 그렇게 느끼게 하나요?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해야 소속감을 느낄 수 있을까요? 3.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나요? 어떤 것들이 스스로가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하나요? 그렇지 않다면 자신의 중요성을 키울 수 있는 일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4. 필요한 도움을 받고 있나요? 어떤 면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고 있다고 느끼나 요? 그렇지 못하다면, 어떻게 해야 더욱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 21.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 부모 혹은 양육자와 의  긍정적인 태도  자신이 주변을 통제한다 는 생각 안정적인 유대감 형  자기 유능감(self-efficacy) 성  자기 존중감(self-esteem) (Attachment) (Sroufe, 2005)  호기심, 각성상태, 독립 성, 사회기술  빈곤 아동들은 자신이 소외되어 있고, 사랑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 는 경향 ☞ 학업 성적 저조, 문제 행동, 자퇴 및 약물 남용으로 이어질 가능 성 ☞ 대학 진학 자체를 염두 하지 않는 경향
  • 22. 학습 태도를 결정하는 3가지 관계 1. 지지자와의 관계(담임, 부모, 상담교사 등) -일차적인 안정감 속에서 믿고 의지하고 싶어한다. -교사-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목표, 사회화, 동기, 학습 성취를 결정한다. 2. 친구들과의 관계 -친구들과 함께 의논하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배운다. -또래 문화 속에서 동질감, 소속감, 유대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 요 3. 집단에서의 자신의 위치 확보(집단과의 관계) - 누군가에게 관심 받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 집단 속에서 학생들 각자의 입지를 확보해주는 위 3가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 사항것이 중요하다. 1. 학생 (존중)을 체화하라. 2. (사회성)을 교수요목에 넣어 가르쳐라. 3. (가족적) 분위기를 연출하라.
  • 23. 사회성, 감성 발달 문제 - 감정의 키보드 교실내에서 일어나는 기강 및 질서 문제들의 다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의 기대’로부터 시작된다 아이들에게 상황에 따라 어떻게 감성적으로 반응해 야 하는지 지도가 필요하 다. 많은 아이들은 어떤 상황 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 것 이 적절한지 알지 못한다.
  • 24. 생각의 틀을 바꿔라! 당신이 ( 가 ) 주기 전이라면, 아이들이 다음과 같은 행동 을 보일 것을 예상하라.  버릇없는 행동  충동성과 조바심  불성실함  어른에게 대들고 제멋대로 구는 행동  부적절한 감정 반응  공감 능력 부족 부적절 한 행동 학습되지 호통치기보다는 적절한 행동 않았기 때 을 배울 수 있도록 환경을 조 문 성
  • 25. 긍정적인 감성 마침표 – 긍정적 감정 강화로 기억 생성을 돕자! 긍정적인 사 건(Episode) 기억 향상 긍정적인 감성 마침표 가정이나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들 긍정적인 발언, 웃음, 몸짓, 고개 끄덕임, 칭찬, 신나는 음악, 축하, 이름 불러주기, 미리 정해진 축하 의식들
  • 26. 학교 단위 사회성, 감성 교육의 모습 교사-학부모 회의 복도 운동장 현관 버스 교사 휴게실 스포츠 행사 방과후 학교/ 특별활동 사회성,감 성학교 식당 교실 화장실
  • 27. 희망을 만드는 8가지 요인 1. 지원하고 지지하는 사람들 2. 능력, 태도, 지식의 향상 3. 롤 모델의 발견 4. 타인들로부터 긍정적 지지 5. 목표의 수립과 목표의 달성 6. 강하게 끌리는 미래의 비전 7.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는 수준으로! 8. 나아지고 있다는 느낌!
  • 28. 배운 내용 굳히기 Q1. 집중 가능한 시간이 짧고 쉽게 지루해하는 청소년 뇌 는 왜 그렇게 변했으며, 이의 교수학습적 함의는 무엇인 가? 1. 2. 3. Q2. 청소년의 뇌는 왜 감정적 반응을 담당하는 변연계는 10~12세면 성숙하고, 이성을 담당하는 전두엽은 22~24 세가 되어야 성숙한다. 인간의 뇌는 왜 감성이 이성보다 더 빨리 발달할까?
  • 30. 뇌 - 왜 알아야 하는가? “교육이 일어나는 곳은 교실이 아 니라 아이들의 뇌 속이다.”
  • 31. …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니까
  • 32. 뇌기반 교수학습의 목표 두뇌가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수 업에 활용함으로써  수업 환경을 최적화한다.  학생을 몰입시킨다.  의미있는 학습(meaningful learning)을 강화한다.  현재의 교수학습법이 뇌가 학습하고 기억하는 원리와 일 치하는지 확인한다.  교수전략, 커리큘럼 디자인, 수업환경개선, (문제)행동관 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주요 원리로 삼는다.
  • 34. 뇌의 3층 구조 신피질(이성의 뇌) -사고 -의미 -논리 -연합 -감정 지각 변연계(포유류의 뇌) -감정반응과 기억 뇌간(파충류의 뇌) -„싸움-도주‟반응 - 자율신경반응 - 식욕, 수면욕, 성욕
  • 35. 뇌 영상기술의 발전 MRI/ fMRI PET EEG/ MEG • 살아 있는 뇌의 활동 관찰 • 뇌의 기능과 학습기제에 대 한 연구 • 뇌가 어떻게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며, 평생에 걸쳐 어떻 게 그것을 다루는지에 대한 이해
  • 36. 뇌과학이 교육에 던지는 몇 가지 시사점 “뇌는 변한다”
  • 37. „마음‟은 뇌에 있다  뇌  1000억개 신경세포  신경세포간의 수많은 네트워크(시냅스)를 통해 기능 수행  뇌의 기능      생체기관 조절 감각, 운동 의식, 주의 감정, 사고, 언어 인지, 판단  모든 정신과정은 뇌의 작동에 의해 이루 어짐
  • 39. 뇌기반 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  Geoffrey Caine & Renate Nummela Caine http://www.cainelearning.com/ 12가지 뇌기반 교육 원리 제시 12 Brain/Mind Natural Learning Principles
  • 40. 뇌기반 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 1981년 슈퍼캠프 공동설립 퀀텀학습법(두뇌 성장강화 학습프로그램) 교사 대상 강연/워크샵 뇌기반 교육 관련 저서 다수  Eric Jensen http://www.jensenlearning.com
  • 41. 뇌기반 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 David A. Sousa 교육 신경과학 분야 교육 컨설턴트 학부 화학 전공, 과학교육 석사, 박사 고교 과학교사, 대학 부교수, 미국 전국 교사연 수협회 회장 등 역임, 저서 15권, 교육자 워 크숍과 발표회 다수 창설, 수상 다수 TV, 라디오에 출연하여 뇌 연구를 이용한 학교 교육을 왕성하게 소개
  • 43. 학습의 뇌과학적 이해 뇌기반 교수학습이란? [정의1]교육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교육학 등 과학적 연구에서 나온 뇌 의 (학 )원리를 (상 )과 (목 )에 맞 게 교육에 (적 )하는 것이다. [정의2]최적의 학습을 위해 ( )가 필 요한 것을 이해하고, 그런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 )을 만드는 것이다.
  • 44. 학습의 이해 -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신경가소성 (Neuroplasticity) 해마 해마에서 신경세포 생 성 학습, 기억, 정서 조 절 신경세포 활동 증가  외부의 자극, 경험, 학 습 →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  학습은 신경세포 간의 연결이 추가적으로 이 루어지거나 제거될 때,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 성되면서 일어난다.
  • 45. 학습의 이해 인간의 지능과 마음 의 모든 속성은 결국 신경세포와 연결 패 턴에서 나오는 것 신경세포가 어떤 통 로로 어떤 연결망을 형성하는가의 문제
  • 46. 학습의 이해 학습이란?  “아하”하는 순간 -> “장기기억”으로 가는 과정  “무엇인지 안다” -> “사용할 줄 안다”로 가는 과정 1단계 패턴 찾기 정보를 인식(recognition)하고, Input Pattern- 무엇인지 구별하여(identification), Seeking 의미를 이해하는(understanding) 과 정 2단계 프로그램 Output 화 이해한 내용을 연습하고 반복해서 사 용하는 능력 Program- 학습한 내용이 내재화/자동화되어 크 Building 게 힘을 들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수 * 참고문헌: Kovalik, 2009, 36 Olsen, 2009, 3.2 Caulfield & Jennings, 2006 행 카니자 삼각형 (Kanizsa Triangle)
  • 47. 학습의 이해 -“가르치면 배울 것이다??” 가르침의 착각 “가르치는 행위는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마 련하는 것일 뿐!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 은 본질적으로 관련이 없 다. 학습의 많은 부분은 가 르침 없이 일어나며, 또 가 르침의 많은 부분 역시 배 움 없이 일어난다. ” “가르친다고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다!! 학습은 학습자에 의해 일어난 다. 학습은 <주의, 호기심, 배운 것 정리하기, 복습하기, 의미 도출하기, 좀더 상세하게 논 의하기, 적용하기, 선험지식 과 연결짓기, 배운 내용에 대 해 옆사람과 자기생각 말하기, 자신의 삶과 관련지우며 가치 를 부여하기> 등을 통해 일어 난다. .
  • 48. 배운 내용 굳히기 뇌과학에서의 학습은 전통적인 학습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 가, 그리 고 교육적 함의는? 1. 2. 3. 4. 5.
  • 50. 학생들은 왜 배운 것을 쉽게 잊을까?  방금 전 수업시간에 배웠 는데 왜 기억하지 못할까?  오늘 풀 수 있었던 문제를 내일을 왜 풀지 못할까?
  • 51. 뇌의 이해 – 정보의 처리 1. 감각정보 입력(Sensory Input) :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고, 냄새 맡는 모든 감각정보 2. 정보 처리시스템(Active Processing System) :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주목하고, 분 석하고, 과거의 정보와 비교해서, 가치 를 평가한다. ☞ 작업기억력, 주의력 학습부진을 보이는 학생 중, 10-15%는 입출력의 문제 85-90%는 정보 처리능력의 문 제 3. 운동 출력(Motor Output) : 처리된 정보가 외부로 보이는 반응 :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신체 움직임 등 http://www.processingskills.com/ps/02_step2.htm
  • 52. 다음의 능력이 부족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주의 일정 시간 동안 과제에 집중하지 못할 경우, 다른 핵심기술이 발 Attention 휘하지 못한다. 작업기억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유지되지 않고 잊혀진 Working memory 다면, 학습 자체가 곤란하다. 처리 속도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가 느리면, 작업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사 Processing speed 용되기 전에 사라져버린다. 시각정보 처리 시각적인 정보를 조작하거나 마음 속에 그려보는 처리 능력이 Visual processing 부족하다면, 수학적 개념이나 용어를 이해하기가 힘들다. 장기기억 정보를 장기간 저장/유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결론(학생들 Long-term memory 의 대답)이 잘못될 수 있다. 청각정보 처리 필요한 소리 정보만을 조합하고 분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부 Auditory processing 족하다면, 단어를 발음하거나 철자를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논리/추론 논리/추론 능력이 부족한 경우, 문제 해결과 개념 이해에서 어려 Reasoning and logic 움이 있다. 이해력 이해가 부족하면, 새로운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고 배우는 것이 Comprehension 어렵다. http://www.processingskills.com/ps/02_step2.htm
  • 53. 시각 청각 촉각 미각 단기기억 감각기억 30초 후각 망각 작업기억 감각기억 5분-20분 혹은 의식적으로 사고하면 시연과 더 길어진다. 반복연습 뇌의 여러 부위에 걸 쳐 정보를 조작하고 연결하고 연합한다. 감각기억 장기기억 서술적(의식적) 정보나 개념, 일화에 대 한 기억 절차적(무의식적)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순서나 과제에 대한 기억
  • 54.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이란 무엇인가?  뇌가 어떤 일을 수행하는 동안 필 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하는 능력/시스템 “뇌 속의 메모지” ☞ 기억해야 하는 정보 조각을 마음 속에 메모하고, 그것을 이용해 정 보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 으로 처리하고 관리한다.
  • 55.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 출처: How the Brain Learns Mathematics, David Sousa, 2008 p52 3Rs 습관 IQ 작업기억
  • 56. 기억의 조건 “장기 기억의 조건 = 이해+의미+처리시 간” Criteria for Long-Term Storage 1. 이해 (Does this make sense?) 2. 의미 (Does it have meaning?; Why do I have to know this?) 3. 깊은 사고처리에 필요한 시 간(time for deep processing) 출처: Sousa, D. (2009). How the brain learns
  • 57. 작업 기억력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1. "잠깐 멈춤" 기법.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몇 분간 멈춘다. Use the “pause” technique. Every few minutes, pause to let content sink in. 2. 이해를 돕기 위해 기억 단위를 짧게, 그 다음 다시 반복 Chunk content into smaller chunks to aid understanding, then review. 3. 내용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사전 활동 실시 Prime the learning to create an attentional bias to the content. 4.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전두엽을 자극시키기 위한 신체 움직임을 먼저 Do a fast physical activity 1st to activate frontal lobe uppers like dopamine and norepinephrine.
  • 58. 기억의 이해 – 기억의 종류 기억의 종류     의미기억 semantic memory 사건[일화]기억 event memory 절차기억 procedural memory 감정기억 emotional memory
  • 59. 기억의 이해 – 의미기억의 전환 나눗샘의 정교화시연 예 15 ÷ 1/4 = 15 x 4/1 = 60 ⊗⊗⊗⊗⊗⊗⊗⊗ 15개 피자의 각 각을 4쪽으로 나 ⊗⊗⊗⊗⊗⊗⊗ 누면 총 60쪽이 된다.
  • 60. 의미 연결망 Semantic Networks 의미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어휘는 그렇지 않은 어휘에 비해 더 가까이 위치한다 (예: lemon-yellow vs. lemon-bird). http://www.sagepub.com/upm-data/38056_Chapter_1.pdf
  • 61. 저장방식의 이해 - 의미 연결망 „동물‟의미 연결망 Semantic Networks Adapted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Collins and Quillian (1969) http://en.wikipedia.org/wiki/Mental_lexicon
  • 62. 저장방식의 이해 – 이중부호화(Dual-Coding) 이론  항목을 문자부호와 영상부 호로 표상하면 기억이 향상 된다는 이론  각 시스템은 동일 개념에 대 한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를 처리하며, 하나의 정보가 활 성화되면 연결되어 있는 다 른 정보가 함께 활성화된다. 예) „고양이‟를 부호화할 때 „고양이‟라는 단어뿐만 아니라 영상(image)까지 기 억하면, 단어나 영상 중 하나만 인출 해도 그 항목을 재생할 수 있다. 출처: Cognitive Psychology: Mind, Research, and Everyday Experience, 2nd Ed. by Bruce Goldstein.
  • 63. 수동적인 학습양식 – 기억 유지 읽기만 한 경우 듣기만 한 경우 보기만 한 경우 듣기와 보기를 함께한 경우 • • • • 비디오 감상 전시회 관람 설명해주는 영상 보기 그 자리에서 하는 것을 지켜보는 경우 14일 후에 기억한 내용의 비율(%) http://theweek.com/article/index/248669/12-things-we-knowabout-how-the-brain-works
  • 64. 그림 vs 글 그림만 있는 경 우 글만 있는 경 우 구체적인 내용 추상적인 내용 내용이 구체적일 경 우, 시각적으로 장면 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기억률이 약 간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http://theweek.com/article/index/248669/12-things-we-knowabout-how-the-brain-works
  • 65. 기억의 이해 – 저장과 응고화 <시냅스 차원의 응 고> <시스템 차원의 응 고>
  • 66. 배운 내용 굳히기 어떻게 수업에 적용할 것인가? 1. 2. 3. 4. 5.
  • 68. 학습의 이해 - 감정의 중요성 감정 주의 인지  감정은 생각, 행동, 학습과정의 일부이자 기본배경이다. (Caine et al. 2009)  감정에 의해 어떤 자극에 주의(Attention)를 줄지, 무엇을 학 습하고 기억할지 결정된다. (Kovalik, 2009) 감정은 주의를 이끌고 , 주의는 학습을 이끈다.  감정을 적절하게 수반하는 학습, 자기 감정을 의식하고 조 절하면서 이루어지는 학습이 효과적이다. (Jensen, 2008; Caine et al. 2009),  감성적 사건은 더 잘 기억된다. 기억을 돕는 것은 정보의 중 요성보다 감성의 고조(emotional arousal)다.
  • 69. 주의의 이해 “학습자의 <주의, 흥미, 시간>을 어떤 것 이 먼저 차지하는가?” 이에 대해 교사는 경쟁관계에 있다. Teachers need to know how the brain learns, remembers and forgets. Teachers compete with other environmental factors for students’ attention, interest and time.
  • 70. 학습과 주의  "너무 지루하지도 않고 아주 재미있지 도 않은, 일반적인 수준의 수업을 들을 때, 학생들은 수업 시작 후 언제부터 흥 미를 잃기 시작할까?" 10분
  • 71. 동기의 이해 동기의 유발  동기란? 동기(motivation)란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나 욕망  동기의 종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 내적 동기의 주요 요소 -학습 내용, 방법, 수준, 속도를 학습자가 결정 -공부의 희열(intellectual orgasm) 경험 “동기가 없는 학생은 없다” ▶ 동기기 부족한 이유는?
  • 72. 동기의 이해 관점 전환 동기가 없어 보이는 아동 청소년 이해 - 동기가 없다는 것은 불가 능한 일이다. 모든 아동청소년은 동기가 유발되어 있다. 무엇에 동기가 유발되어 있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동기가 없어 보이는 아동청소년이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 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의 지시에 따르고 싶지 않은 쪽으로 동기 가 유발되어 있을 뿐이다. 아무런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지 않도 록 동기가 유발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 를 위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이들은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 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공부하 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73. 동기의 이해 동기 유발 전략 1. 학습 과제의 의미/가치를 이해시킨다 -습득 가치 -흥미 가치 -사용 가치 2. 학습 목표 수립을 도와준다 3. 남과 비교하지 말고 자신의 목표와 비교하게 한다 4. 성공 경험의 축적으로 자기유능감을 향상시킨다 5. 선택권을 준다 6. 학습의 주인이 되게 한다 7. 성공과 실패 모두 자신이 책임을 지게 한다 8.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칭찬한다 9. 기대 수준을 낮추지 말고 성공의 기회를 만들어 준다 10. 학업 성과란 갑자기 좋아지지 않고 점차 나아지는 것임을 알게 한다
  • 74. 동기의 이해 자아존중감 저하 - 부정적 피드백  초중고 12년 동안 학생이 받는 부정적 피드백의 수: 15,000회(Reasoner, 1989)  유치원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80%  초등6학년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12% 자아존중감 저하 - 복합 요인       학습결손의 발생과 보정기회 놓침 학습을 저해하는 두려움 증가 부정적 자아상 부정적 호칭 갖기 심한 질책 받음 처벌 받음
  • 75. 학습자 동기관리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 대 교사의 기대: 자기충족예언 (A Self-Fulfilling Prophecy)  학생들은 교사가 자신들을 어떻게 대하는가를 보면서 교사 의 기대차이를 감지한다.  시간이 지날수록 학생들의 성취도 및 행동은 교사의 기대 수준에 점점 더 가까워진다. 높은 기대를 전하는 방법 발전이 있는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심어린 칭찬을 한다. 이해가능하게 자주 하라. 학습자가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춰라. 대답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어라. 가끔 도전적인 과제도 부여하라.
  • 76. 동기와 노력을 유지시키는 방법 1.학생들의 아이디어 반영 열정적으 로 시작 학생 참여 학습에의 몰입 하기 2.위험요소 예방하기 3.학습자의 마음가짐 세우 기 4.피드백 제공하기 5.시도 유도하기
  • 77. 학습부진아동의 학습 학습부진학생의 몰입을 위한 7가지 해법 1. 건강과 영양 2. 어휘력과 언어사용능력 3. 의욕과 에너지 4. 마음가짐과 태도 5. 인지능력 6. 관계 7. 스트레스 수준
  • 78. 배운 것 굳히기 Q1. 어떤 기억은 수년이 지나도 생생하게 기억이 나고, 또 어 떤 기억은 시간이 지나며 쉽게 잊는 원인은 무엇일까? 1. 2. 3. Q2. 학습자를 정서적으로 몰입시키는 수업방법에는 어떤 것 들이 있나? 1. 2. 3.
  • 80. 몰입을 위한 “Big 4” 참여 영역 뭐든 기꺼이 하고자 함 의욕 태도 마음가짐 성장 행동 인지 능력 어휘력과 집행기능 친절, 공정, 협동
  • 81. 의욕을 만드는 것  강화/피드백: 감정 마침표 사용, 학생들이 발전시키고 설 명하도록 돕기, 분명하고 건설적일 것  학생 참여: 학생들의 호기심 자극하기, 통합적인 질문하기 , “bite-size”움직임으로 긴장 풀기, 자발적인 손 들기 독려 하기, 의견 공유하도록 하기, 내용 선택 제공하기, 학생들 이 규칙을 쓰도록 하기  교실 분위기: 교실에 “응원단장”역할 만들기, 평등한 위치 임을 보장하기, 긍정적인 교실 반응을 북돋우기, 다양한 박수치기 세레머니 하기
  • 82. 태도를 만드는 것  희망과 학습 마음가짐: 학생들의 학습 능력 확언하기, 학 생들의 선택과 태도, 노력을 확언하기, 학생들의 능력을 확언하기, 학습 목표를 확실히 말하기, 대학 진학 잠재력 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북돋우기  학생 에너지: 리더 따르기, gallery walk 비평, 활력을 주는 역할을 하도록 학생 팀 요청하기, scavenger 사냥 나가기, cross-laterals  정서적 확신: 앞선 모든 작은 성공에 대해 확실히 언급하 기, 학생들 존중하기, 상호 언어 향상시키기, 긍정적인 면 강조하기
  • 83. 행동을 만드는 것  적절한 사회/정서적 반응: 적절한 반응 모형 만들기, 재미 있는 활동이 있는 반응 가르치기, 참가자 규칙 게시 및 시 행하기  마음-몸 상태/교실 의식(rituals): 강의 시간 줄이기, “fight, flight, or freeze”반응 없애기, 학생들에게 더 많은 통제력 주기, 의식(ritual)으로 수업 마치기, 교실 주의 집중시키기 , 높은 음으로 두기, 중요 시점 축하하기, 방해 다루기  협력/협동: 협동 그룹 짜기(초등), 협동 팀 짜기(중등), 서 로 알아가기 활동을 통해 “class glue”만들기, 팀 인사 만 들기, 팀에서 하도록 넘기기
  • 84. 인지 능력을 만드는 것  작업 기억: 회상 게임 하기, 단어 바구니와 숫자 가방 이용 하기, 점점 늘어나는 내용 복습하기  주의 지속 시간: buy-in 몰입 늘리기, 예측 사용하기, 멈추 고 덩어리로 묶기, 빠른 신체 활동에 참여시키기, 학생들 이 움직이도록 하기, 박자 박수, 균형과 요점  자기 통제: 교실 질의응답 시간에“calendar delays”사용하 기, 혼합 박수 과제 이용하기, 목표의 힘 가르치기, 방향 따라가기, Simon Says.
  • 85. BBE 大원리 - 학습의 최적 조건 만들기 학습 편안한 각성상태 (왕성한 식욕) 다양한 경험에 몰입 (다양한 음식과 반찬) 경험의 활발한 처리 (활발한 소화작
  • 86. 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학생들은 마음 편히 도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기운을 북돋아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스트레스: 신체적 혹은 심리적 위협으로부터 개체를 방어하기 위한 생리적 반응. 인간은 동물과 달리 실재적인 위협뿐만 아니 라 과거의 경험이나 상상으로 지어낸 위협에도 스트레스 반응 을 보인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학습을 촉진하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뇌와 신체, 면역체계를 무너뜨리며, 만성화되면 무기력에 빠진다. 심 신이 안정된 상태에서는 뇌의 에너지 대부분이 인지적인 부분 을 처리하는 데 쓰이지만, 위협적인 상황에서는 에너지가 생존 을 유지하는 데 쓰인다. 또피곤하고 지친 상태(Downshifting), 즉 에너지 수준이 떨어진 상태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야 기한다.
  • 87. 최적의 학습 상태 조직하기 도입기 상 태 따분함 좌절감 현기증 배고픔 분노 회의론 무관심 짜증 분개 절망 공포 졸림 짓궂음 상태 목표 상태 교사의 행동 예측 자신감 호기심 긴장감 호기심이 많음 흥미진진함 기대 얼떨떨함 도전 목표상 태
  • 88. BBE2 사회적 상호 작용 ☞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뇌는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어 무언 가 를 할 때 더욱 활발하게 움직인다. 서로 대화를 통해 감정을 공유하고, 주제에 대 해 토론하고, 브레인스토밍을 하거나 문제 를 직접 해결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 의 학생들은 친구의 학습과정을 보고 자신의 학습과정에서 학습이 일어난다(Jensen, 1998). 따라 배우기도 한다. 또한 다 잘못된 점을 고치기도 하고, 른 사람과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자존감과 학업 성공에 대한 확신으로 이어지게 된다.
  • 89. BBE3 의미 탐색 ☞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와 생각이 반영되어 있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 뇌는 외부 정보가 자신과 무관하게 느껴지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도대체 이걸 왜 배워야 할까?‟ → 학생의 내재적 동기를 유발하고 수업의 주체가 되어 직접 참여하게 함으 로써, 학생 스스로 학습을 의미 있게 느껴 학습을 즐 기게 된다.
  • 90. BBE4 정서 연결고리 ☞ 학생들은 배우는 과정에서 감정이 동요될 때 효과적으로 학습 한다. [과거] 감정과 인지 분리: 감정을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는 비 합리적인 요소로 간주 [현재] 학습에서 감정의 역할이 중요: 감정이 동요되는 순간, 눈이 번쩍 뜨이고 정신이 맑아지면서 집중 주변 환경이 변화하면 생존기제가 작동하면서 각 성 → 학습을 위한 최적의 순 간
  • 91. BBE5 부분과 전체 ☞학생들은 세부적인 정보(교과 내용)가 전체 맥락(실생활, 다른 정보와의 연계 등)을 통해 이해될 때 효과적으로 배 운다. 주변 세계를 경험함으로써, 부분 정보만이 아니라 전체를 하나의 문맥으로 인식. 뇌는 큰 그림을 먼 저 그리고, 그 다음에 부분 정보를 파악하려는 속 성 → 전체 맥락을 파악하게 되면, 개별 정보를 알아 야 하는 의미를 찾을 수 있고, 생각하는 수준이 깊어진다.
  • 92. BBE6 신체동작 활용 ☞ 학생들은 다양한 감각이 자극되고, 몸을 움직일 때 효과 적으로 학습한다. 수업 중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 순환활동을 촉진하여 뇌의 신경세포가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신경세포 성장인자의 분비를 촉진하여 뇌가 효율적 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 신체 동작은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 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를 촉진하며, 스트레스 완화와 감정 조절에도 효과 적
  • 93. 핛학습과 운동 - 신경재생을 촉진 하루 동안 새로 생긴 신경세포 수  운동을 하면 새로 생긴 신경세포 수가 두 배로 증가한다. (Broen et al, 2003) 600 0 500 0 400 0 300 0 200 0 100 0 0 운동을 병행한 경우 운동을 병행하지 않은 경우
  • 94. BBE7 패턴 연결 ☞ 학생들은 기존 지식과 새로운 정보가 서로 연결될 때 효과적으 로 학습한다. 무언가를 배울 때, 그 정보가 어떤 의미인지를 파악하고, 정보들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패턴 을 만든다. 얼핏 보기에는 정보를 무작위로 받아들이는 것 같지만, 실제 뇌는 많은 정보 중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낼 패턴을 찾는다. 이렇게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어떤 정보와 연결하여 패턴을 만들지를 예측하는 동안 지식이 생성되 는 문맥이 만들어진다.
  • 95. BBE7 패턴 연결 ◉ 실행 방안 1) 칠판에 큰 개념의 주제를 몇 개 적어놓고, 학생들로 하여 금 궁금한 부분을 질문하게 하여, 그 부분을 수업 주제로 삼는다. 2) 패턴 기법 및 각종 시각화 도구(그래픽 오거나이저, 표, 순 서도, 과정 일람표, 개념도 등) 적극 활용 3) 은유, 직유, 유추 등 여러 비교기법을 활용하여 자신이 이 해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 96. BBE7 패턴 연결 ◉ 실행 방안 4) 실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현장 체험학습 등 활용 5) 패턴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기법으로서 미술과 공연을 활 용 가령, 학생들에게 물의 순환 과정을 교실 바닥에 큰 도형 으로 그리게 하거나 춤으로 표현하게 한다. 6) 비교, 대조, 분류, 예측 등을 통해 연관성을 파악하게끔 하 는 질문기법을 활용한다.
  • 97. 학습이란 패턴을 찾고 프로그램화 하는 과정  “아하”하는 순간 -> “장기기억”으로 가는 과정  “무엇인지 안다” -> “사용할 줄 안다”로 가는 과정 1단계 패턴 찾기 정보를 인식(recognition)하고, Input Pattern-Seeking 무엇인지 구별하여(identification), 의미를 이해하는(understanding) 과정 2단계 프로그램화 이해한 내용을 연습하고 반복해서 사용하는 능 Output Program-Building 력 학습한 내용이 내재화되어 크게 힘을 들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수행 * 참고문헌: Kovalik, 2009, 36 Olsen, 2009, 3.2 Caulfield & Jennings, 2006
  • 98. 패턴이란?  수많은 정보 단서들에서 공통 성분을 찾아 하나의 패턴으로 인 식  물체, 행동, 절차, 상황, 관계, 시스템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물체 주전자/ 머리빗 강아지/ 고양이 행동 달리기/ 수영하 기 걷기 옷 입기/ 장보러 가 기 운전하기/ 목욕하기 포식자-먹 이/ 원인-결과 시험 치르기/ 생일잔 치 패턴 찾기 물체 가족/ 컴퓨 터법/ 정치 시스템 절차 관계 상황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CLUE
  • 99. BBE8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특성, 개성, 능력, 장점을 존중 받을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아이들은 개별적인 존재로서, 동일한 상황이더라도 동일 하게 느끼거나 배우는 것은 아니다. 모두 똑같은 잣대로 비교하거나, 같은 내용을 동일한 방법으로 배우게 하는 것 은 성장 잠재력을 키워주지 못하는 일이 될 수 있다. 뇌는 생존을 위해 설계된 기관으로, 타고난 유전 특성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유의 특성을 지님. 사람은 약 99%이상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지만, 수많은 사회·문화 적 변인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인지와 행동발달 에 차이가 존재.
  • 100. BBE8 –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실행 방안 1) 학생들이 학습과정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스스로 결 정. 각자 세운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내용을 친구 들과 공유하게 한다. 계획에 대해 비난하거나 과도하게 칭찬하지 말고, 학생들이 직접 다룰 수 있다고 느끼게끔 한다. 2) 교사 중심 수업이 아닌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진행한다.
  • 101. BBE8 –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실행 방안 3) 도달해야 하는 과정과 성취목표가 명시된 „레시피‟를 줄 게 아니라, 학습 방향을 조정시켜주는 „맵‟을 주는 게 맞다. 4) 자신의 수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을 교사와 각 학생의 협의 하에 세운다.
  • 102. 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학생들은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다시 되새겨보면서 평가 할 때 효과적으로 배운다. 학습 성찰이란 배운 내용을 뇌에 단단히 새겨 두기 위해 학습 과정과 내용을 곰곰이 살펴보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 정을 통해 기존 지식과 새로운 정보가 연결되면, 뇌의 신 경회로의 연결 패턴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학습이 일어난 다. 즉, 수업 중에 배운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서 이 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위인지란 자신의 학습과정에 대해 자기 자신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자기평가 과정은 학습을 지속하는 데 있어 절대적으로 중 요하다.
  • 103. 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실행 방안 1)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을 되짚어보게 하는 질문을 만 든다. (예.„오늘 수업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를 하는 데 어떤 부분이 가장 도움이 되는가?‟등의 질문) 2) 여러 과목을 연계하여 수업한다. (예: 역사 시간에 고대 그림벽화를 감상하고, 그 시대의 생활상을 유추 ) 3) 학습 과정 중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상세한 피드백을 제공 한다. 학습 과정에서 잘한 점은 무엇이고 개선할 점은 무 엇인지, 학습 목표에 도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 해 구체적인 조언이나 정보를 적절히 제공한다.
  • 104. BBE9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실행 방안 1) 기초설문지, 학부모 설문지, 담당교사와의 사전면담 등 을 통해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2) 일괄적인 기준(학년별, 연령별, 성별, 학교별 등)에 따라 학습자를 비교하지 않는다. 3) 과제를 제공할 때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 문제까지 수준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4) 수행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안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한다.
  • 105. BBE9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5)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과업을 조정한다(수행해야 하 는 학습량에 기준을 두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마다 해낼 수 있는 양만큼의 과업 성취도를 평가). 6) 학습자의 장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역할(role)을 줌으로써 , 책임감을 갖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함. (예: 산만하고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아동-아이들에게 학습지를 나 누어주는 역할, 노래를 좋아하는 아동- 수업과정 중에 노래를 부를 때 선창하기, 유난히 떠드는 아동-하루 동안 교사의 말에 제일 귀 기울였 던 „최고의 청취자‟를 선정하도록 권한 주기) 7) 각자의 생각을 보여줄 수 있는 광범위한 질문을 던지기 (예: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에 대해 각자 돌아가면서 1분씩 말하기 )
  • 106. BBE10 – 개략적인 밑그림 먼저 그리기 그림을 그릴 때를 생각해보자. 1. 연필로 대충 밑그림을 그린다.(Rough Draft) 2. 틀린 부분은 수정하고 정확한 선을 남겨 둔다.  밑그림을 먼저 그리면, 어떤 선이 정확한 선인지(중요한 정보인 지) 알아가기 쉽다.  처음부터 정확한 선을 그리기는 어렵고 힘들다.
  • 107. 피드백(feedback)과 오류 교정이 왜 중요한가 ?  뇌는 학습 내용을 한번에 정확히 습득하지 않는다.  새로운 정보가 주어지면, 뇌는 다소 정확하지 않은 밑그 림(Rough draft)을 먼저 그린다. (세부적인 내용 X, 요점 중심 O) ☞ 처음 이해한 내용(Draft)이 제대로 되었는지 피드백이 필 요하다. ☞ 이 과정을 통해 학생은 "무엇이 중요한지",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알게 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 방식이 괜찮 은지 생각해봅시다."
  • 108. 피드백 - 즉각적인 피드백 vs 지연된 피드백 덧셈 뺄셈 곱셈 즉각적인 피드백 나눗셈 지연된 피드백  수학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해준 경우와 피드백 을 늦게 해준 경우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Brosvic et al., 2006)
  • 109. BBE11 – 전체와 부분의 동시처리 • 외부 세상으로부터의 들어오는 수많은 정보로부터 의미를 추출하 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것과 부분적인 것에 동시에 주의를 기울려야 한다. • 학습자는 부분과 연결된 ‘전체에 관한 감을 잡을 수 있는 경험을 제 공할 때’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 깊이있는 학습은 전체와 부분을 모두 아우를 때만 가능하다. • 전체에 대한 감과 전체와 부분간의 연결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의미의 이해도 일어나지 않는다. • 전체와 부분은 최고집행기관인 전전두엽이 통합한다.
  • 110. BBE12 – 선택되어 처리되는 정보의 한계 감각 부호기 주 (감각기억) 의 Sensory Buffers 단기기억 Short-Term Memory 반복(되새기 기) Rehearsal 작업기억 장기기억 Working Memory Long-Term Memory 정교 화 회상 Becoming a "Wiz" at Brain-based Teaching, p.135
  • 111. 시연(試演, rehearsal) 감각기관에 들어오는 정보(=자극)에 대한 기억과 회상을 촉진하기 위해 그 정보를 을 반복적으로 되뇌는 기억 전략의 하나이다. 시연 전략을 통해 학습 자는 단기 기억에 있는 정보를 장기기억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정보가 단 기기억에서 더 많이 시연될수록 장기기억에 저장되기 쉬워진다. 단순히 그 정보를 마음속에서 그대로 반복하여 잊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시연 을 유지시연(maintenance rehearsal) 혹은 단순반복시연(rote rehearsal)이라 하고, 기억하고자 하는 정보를 몇 차례의 재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장기기억 속의 기존의 관련 정보와 연관시키는 것을 정교화시연(elaborative rehearsal) 이라고 한다.
  • 113. [초등] BBE 교사연구모임 기간: 3월 9일 ~ 6월 29일 월 2회(총 8회) 3시간/1회 참여교사: 초등교사 5인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수업활동 77가지”
  • 114. 수업활동 연구과정[초등] 2주 개별 학습 X 8회 수업활동 과제 상호 피드백 총정리 α - 교사연수자료 <„뇌‟를 알 면 수업이 즐겁다> - 동영상: 온라인 연수 - 참고자료(연구소 업로드) - 6가지 주제 - 주제별 수업활동 과제 - 각자 3개씩(도입, 전개, 정리) - 모임 3일 전 업로드 - 모임에서 발표/시연 - 상호 피드백 - 모임일지 작성(리더) - 과제 수정하여 재제출 - 교육원리 분류 수정 및 수업활동 재배치 - 뇌기반 교육 원리를 적용한 수업활동 77가지
  • 115.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나눗셈 문제 만들기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도입 정리 ○ 20분 전개 ○  학습주제: (세 자리 수 ÷ 두 자리 수)의 나눗셈 원리를 익힌다. ※ 교사와 함께 학습주제에 대한 학습을 한 후에, 복습 활동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① 4-5명 모둠을 구성하고, 친구들이 나를 위해 만들어줄 문제 수준(상, 중, 하)을 선택하고 노트에 적는다. ② 모둠별로 서로 노트를 돌려가면서, 각자 선택한 수준의 문제를 작성한다. 수업전략 (모둠협력을 통한 복습활동) - 문제 수준(상) 예시 :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는 400명이다. 39인 버스를 타고 현장학습을 갈 경우 버스가 몇 대 필요할까? - 문제 수준(중) 예시 : 322÷25를 계산하시오. - 문제 수준(하) 예시 : 132÷11=12 위 식을 검산식으로 나타내시오. ③ 친구들에게 낸 문제의 정답 및 풀이과정을 노트 뒷면에 적는다. ④ 3문제가 다 만들어지면, 노트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 문제를 풀게 한다. 만약 문제를 풀었을 때의 답(앞면), 친 구가 쓴 풀이과정 및 답(뒷면)이 다를 경우 교사에게 가지고 나온다. [출처: 화성 도이초등학교 4학년 수업] 준비물 북아트 재료 - 수업시간에 교사와 함께 공부한 ‘나눔셈의 원리’를 다양한 문제 만들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BBE9: 학습성찰과 자 기평가). 예상결과 - 각자 문제 수준(난이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나눗셈을 문제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기대효과 있다. - 친구들이 만든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된다(BBE2: 사회적 상 호작용).
  • 116.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수업 단계 Class Survey 활동명 과목/학년 영어/초6 도입 진행시간 20분 전개 정리 ○ ① 반 친구들을 만나 ‘얼마나 자주 무엇을 하는지’ 묻고, ‘Class Survey’를 완성하는 활동 (주제어: “How often do you~?") ② 기본 모둠(Home group)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해야 할 질문을 연습한다.  그룹 1: How often do you exercise?  그룹 2: How often do you eat snacks?  그룹 3: How often do you read books? 수업전략 (직소모형)  그룹 4: How often do you play computer games?  그룹 5: How often do you study English? ③ 각 학생들에게 질문지를 주며 A, B, C, D, E 라고 지정해준다.④ 학생들은 자신이 받은 알파벳과 일치하는 테이블을 찾 아간다. 가령, A를 받은 학생은 A라고 적힌 테이블로 이동한다(전문가 그룹).⑤ 학생들은 다른 친구들에게 원래의 그룹에 서 연습했던 질문을 하고, 질문지에 있는 차트에 학생 수를 표시한다.⑥ 질문 및 대답이 모두 끝나면, 학생들은 다시 원래 의 그룹으로 돌아와, 각자 수합한 자료를 Class Survey라는 종이에 결과를 옮긴다. 교사는 각 질문에 해당하는 ‘Class Sruvey’ 다섯 장을 교실 벽면에 게시하여 학생들이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준비물 Survey Sheet, Group Sign - 다른 친구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해당 구문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예상결과 /기대효과 - 기본 그룹에서 질문을 충분히 연습하여, 전문가 그룹에서 어떤 결과를 가지고 오는 데서 도전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 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모둠활동에 필요한 규칙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터득할 수 있다. - 인터뷰를 진행하는 동안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잔잔한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좋다.
  • 117.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어떻게 분류할까? 수학/초2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학생들이 좋아할만한 물건을 넣은 상자를 모둠 수대로 준비한다(이때 각 모둠별로 서로 다른 물건을 넣는다). 수업전략 (패턴화하기실생활과 연결) ②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을 꺼내어 분류한다. ③ 각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들이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었는지를 논의하고,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모둠학습지 에 답을 쓴 뒤에, 상자 밑에 있는 답을 확인하고, 틀렸을 경우 다시 분류한다. ④ 다른 모둠의 상자에 들어 있는 물건도 분류해보고, 학습지에 기록한다. ⑤ 모둠별로 정한 기준에 대해 발표한다. 준비물 사탕, 초콜릿, 학용품, 단추, 과자, 상자, 모둠학습지, 기준/정답카드 - 분류 기준을 스스로 생각해봄으로써 추론 능력과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 사물을 인지하고 특성을 알아내고 비슷한 속성끼리 묶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인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예상결과 /기대효과 있다(BBE5: 부분과 전체) - 학생들이 좋아하는 간식 등을 담아두고, 수업이 끝난 후에 나누어먹으면서 내용을 자연스럽게 복습하게 할 수 있다(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상호 협력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수업이 가능하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학습 속에서 패턴을 찾아 실생활과 연결하여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
  • 118.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Classroom Olympic 영어/초6 진행시간 도입 15분 전개 정리 ○ ※ 학습주제: ‘I’m faster than you‘ 단원에서 비교하는 활동을 실제로 하면서 목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① 학생들에게 주제를 제시하고(예: I’m taller than you), 비교 대상이 되어볼 지원자를 앞으로 나오게 한다. 본 예시에 서는 키가 큰 친구 두 명이 자원하여 나오게 된다. 수업전략 (지각적 주의환기) ② PPT 슬라이드의 다음 화면에서 비교하게 되는 대상은 키가 아니고 ‘sitting height(앉은 키)’가 나오면, 학생들은 깜 짝 놀라며 재미있어한다. 이 때 ‘Minsu’s sitting height is taller than Jieun’s sitting height.‘라는 문장을 연습시킨다. ③ 계속해서 ‘I’m stronger than you.‘라는 주제를 주고 지원자를 나오게 하고, 학생들은 여전히 힘센 듯 보이는 친구들 에게 나가라고 권유한다. 하지만 실제로 비교하는 대상은 머리카락이다. ’Taeho’s hair is stronger than Mina’s.‘ 학생들 은 다시 한 번 놀라서 웃고, 점점 다음 비교 대상에 집중하게 된다. 준비물 예상결과 /기대효과 Classroom Olympic 진행 PPT - 예상했던 내용에서 벗어난 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내용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면서 집중하게 된다. - 영어에 대한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다소 위축될 수 있는 학생도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신체 활동과 연계하여 기억 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BBE6: 신체동작 활용).
  • 119.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이야기 수학 수학/초4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그림이나 동영상을 보여주고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수업전략 (자기주도 탐색활동) (예시) 민데렐라 이야기(등장인물:. 민데렐라, 문지기) 민데렐라: 아~ 여기가 요정 나라 정문이구나. 얼른 마법 호박을 들고 나가야지. 문지기: 잠깐! 굉장히 무거워 보이는데.. 마법 호박은 한 번에 5kg밖에 가지고 나갈 수 없소! 지금 가지고 있는 마법 호박이 모두 몇 kg이지? 민데렐라: 가만 있어보자. 1.6 kg짜리 최상급 호박 3개를 챙겨왔는데, 이게 모두 몇 kg이지? 5kg이 넘으면 큰일인데... 준비물 예상 결과 /실행 결과 사진 자료 및 PPT 또는 플래시 동영상 - 학생들이 이야기 속의 „민데렐라‟ 입장이 되어 문제를 풀게 함으로써, 수학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 다른 분야나 실생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BBE7: 패턴 연결). - 수학적 개념(활동, 원리)뿐만 아니라 수학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 120.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원주율을 구하라 수학/초5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운동장에서 모둠별로 3~5m 노끈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② 중심과 반지름, 지름을 확실하게 표시하여 원을 그린다. ③ 그려진 원을 가지고 원주가 무엇인지 알려준다(‘원주는 원의 둘레의 길이입니다‟) ④ 모둠별로 주어진 3-5m의 노끈이나 아이들의 발자국 개수(자신의 신발 사이즈, 가령 220mm)를 이용하여 원주의 길이를 잰다. 수업전략 (신체활동 활용) ⑤ 우리 모둠의 측정한 원주는 지름의 몇 배가 나오는 지 계산한다. ⑥ 다른 모둠의 결과와 비교한다. ※ 움직인 활동이 가능한 학습 내용 가. 4학년 1학기 3단원 - 각도 부채의 펼쳐진 정도를 각도로 말해보거나 말한 각도를 부채나 자를 이용하여 그리고 확인한다. 나. 5학년 1학기 8단원 - 여러 가지 단위 ㎡(1m × 1m), a(10m × 10m)의 단위를 운동장에 그려보도록 한다. 준비물 대못 2개, 3m, 4m, 5m 노끈 - 교실 분위기보다 자유롭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학습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예상결과 /기대효과 - 자기 모둠과 다른 모둠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주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교과서 지식이 아 닌 움직임을 통해 배울 수 있다.
  • 121.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과목/학년 수업 단계 스토리텔링 수학/초4 진행시간 도입 5분 전개 정리 ○ ① 본시 학습과제와 관련된 문제 상황을 스토리텔링으로 제시한다. 마법나라에서 생일 선물이 도착했습니다. 선물은 보물 상자와 마법카드 3장입니다. 보물 상자는 자물쇠로 잠겨 있는데 이를 열기 위해서는 마법카드로 열쇠 3개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의 <조건>에 맞게 열쇠 3개를 만들어 그리시오. [조건] 각각의 마법카드를 잘라 3개의 삼각형을 만든다. 수업전략 ㉮ 열쇠는 세 각의 크기가 모두 9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인 삼각형 모양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② 학생들에게 다양한 발문을 통해 문제 상황을 인식하도록 안내한다. - 받은 선물은 무엇입니까? - 보물 상자를 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③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학습목표를 세우게 한다. 준비물 예상결과 /기대효과 마법나라 생일선물 이야기 PPT -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여 „생일선물‟이라는 자신의 생활 및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 학습내용이 스토리텔링형태로 문제 상황과 관련지어 제시됨으로써 배운 내용들이 포괄적인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가 있고 얼마나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BBE5: 부분과 전체).
  • 122.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상호 피드백 과목/학년 공통/초6 진행시간 도입 전개 5분 정리 ○ ※ 루브릭은 수행을 완수하기 위한 ‘일종의 지도’ 역할을 하므로,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학생들과 협의하여 작성하고, 나누어준다. 루브릭을 통해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게 된다. ①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나누어준 루브릭을 꺼내놓고, 항목에 대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여, 1점부터 4번까지 점수 를 매긴다. 수업전략 ② 프로젝트를 함께 한 모둠원과 서로의 루브릭 용지를 바꾸어, 서로의 수행에 대해 평가한다. ③ 교사는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최종 점수를 매긴다. [예시] 준비물 루브릭 평가지 - 학생들은 과제 수행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기에, 자신의 수행과정에 좀 더 집중하게 된다. 예상결과 - ‘루브릭’이라는 설계도 하에, 학습 계획을 세우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면서 최종 목표에 단계적으로 도달하게 한다. /기대효과 - 자기 평가와 친구의 평가, 교사의 평가를 종합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스스로 깨닫게 된다(BBE9: 학습성찰과 자기 평가).
  • 123.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학습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도입 진행시간 전개 20분 정리 ○ ①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발문을 한다. - 이 답이 문제에서 묻고 있는 답이라고 확신하는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 자신의 풀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 - 이 문제를 풀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는가? -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구할 수는 없는가? - 다른 문제에 이 결과나 방법을 적용할 수는 있는가? ② 교사의 발문에 대한 각자의 답을 배움 노트에 정리한다. ③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보거나, 오늘 배운 문제풀이 방법 외에 다른 해결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게 한 수업전략 다. ④ 정리 형식은 각자 이해하고 정리하기 편한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 사전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배움 노트‟ 정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정리하는 기술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점판형> <일반형> 대부분의 도형 학습 도형의 이동 및 대칭 수학일기 및 일반 활용 점판(지오보드) 활용 학습 준비물 문장제 해결 학습 학년 고려 배움 노트 예상결과 -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고,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보충지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기대효과 - 각자의 성향을 존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정리를 할 수 있게 한다(BBE10: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124. BBE 교사연구모임 활동 예 활동명 수업 단계 너도 짱, 나도 짱!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도입 10분 전개 정리 ○ ① 4명이 한 모둠이 되도록 모둠을 구성한다. ② 설명자, 도우미, 답변자, 격려자 중 하나로 역할을 분배한다. ③ 서로 돌아가면서 원하는 역할을 해볼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한다. 역할자 수업전략 1번(설명자) (선택형 모둠활동을 2번(도우미) 통한 복습활동) 3번(답변자) 4번(격려자) 준비물 주요 활동 직업에 관련된 카드를 보고 몸동작 및 영어로 설명하기 3번 학생의 뒤에서 그림카드 넘기기 3번 학생이 도움을 청하면 답 이외의 힌트를 줄 수 있음 정답 말하기(잘 모르겠으면 ‘패스’ 하기) 시간재기 (모둠에서 1명에게 1분 또는 30초로 정하기) 답이 맞으면, “Good Job!”, 틀리면, “Cheer up!” 말하기 직업 관련 플래시 카드 -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여, 각자 원하는 역할을 선택하게 한다. 예상결과 /기대효과 - 복습 내용을 즐겁게 집중하여 상기시킬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 거) - 모둠활동을 통해 역할을 나누고, 질문을 묻고 답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BBE2: 사회적 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