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
www.21erick.org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2015. 7. 13.
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강의 개요
 21세기 아동 청소년의 이해
 교사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 두뇌구조와 발달이해
 두뇌학습시스템의 이해
 정보처리와 기억시스템의 이해
 작업기억과 인지부하의 이해
 주의 시스템의 이해
 부호화의 이해
 저장의 이해
 인출의 이해
 감정과 정서의 이해
 사회성감성 지능 높이기
 동기의 이해
2
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활동명 나눗셈 문제 만들기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20분 ○ ○
수업전략
(모둠협력을 통한
복습활동)
학습주제: (세 자리 수 ÷ 두 자리 수)의 나눗셈 원리를 익힌다.
※ 교사와 함께 학습주제에 대한 학습을 한 후에, 복슴 활동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① 4-5명 모둠을 구성하고, 친구들이 나를 위해 만들어줄 문제 수준(상, 중, 하)을 선택하고 노트에 적는다.
② 모둠별로 서로 노트를 돌려가면서, 각자 선택한 수준의 문제를 작성한다.
- 문제 수준(상) 예시 :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는 400명이다. 39인 버스를 타고 현장학습을 갈 경우 버
스가 몇 대 필요할까?
- 문제 수준(중) 예시 : 322÷25를 계산하시오.
- 문제 수준(하) 예시 : 132÷11=12 위 식을 검산식으로 나타내시오.
③ 친구들에게 낸 문제의 정답 및 풀이과정을 노트 뒷면에 적는다.
④ 3문제가 다 만들어지면, 노트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 문제를 풀게 한다. 만약 문제를 풀었을 때의 답(앞면),
친구가 쓴 풀이과정 및 답(뒷면)이 다를 경우 교사에게 가지고 나온다.
[출처: 화성 도이초등학교 4학년 수업]
준비물 북아트 재료
예상결과
/기대효과
- 수업시간에 교사와 함께 공부한 ‘나눔셈의 원리’를 다양한 문제 만들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BBE9: 학습성
찰과 자기평가).
- 각자 문제 수준(난이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나눗셈을 문제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
할 수 있다.
- 친구들이 만든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된다(BBE2: 사
회적 상호작용).
BBE2 사회적 상호 작용
활동명 Class Survey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20분 ○
수업전략
(직소모형)
① 반 친구들을 만나 ‘얼마나 자주 무엇을 하는지’ 묻고, ‘Class Survey’를 완성하는 활동 (주제어: “How often do
you~?")
② 기본 모둠(Home group)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해야 할 질문을 연습한다.
 그룹 1: How often do you exercise?
 그룹 2: How often do you eat snacks?
 그룹 3: How often do you read books?
 그룹 4: How often do you play computer games?
 그룹 5: How often do you study English?
③ 각 학생들에게 질문지를 주며 A, B, C, D, E 라고 지정해준다.④ 학생들은 자신이 받은 알파벳과 일치하는 테이블을
찾아간다. 가령, A를 받은 학생은 A라고 적힌 테이블로 이동한다(전문가 그룹).⑤ 학생들은 다른 친구들에게 원래의 그
룹에서 연습했던 질문을 하고, 질문지에 있는 차트에 학생 수를 표시한다.⑥ 질문 및 대답이 모두 끝나면, 학생들은 다
시 원래의 그룹으로 돌아와, 각자 수합한 자료를 Class Survey라는 종이에 결과를 옮긴다. 교사는 각 질문에 해당하는
‘Class Sruvey’ 다섯 장을 교실 벽면에 게시하여 학생들이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준비물 Survey Sheet, Group Sign
예상결과
/기대효과
- 다른 친구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해당 구문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 기본 그룹에서 질문을 충분히 연습하여, 전문가 그룹에서 어떤 결과를 가지고 오는 데서 도전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모둠활동에 필요한 규칙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터득할 수 있다.
-인터뷰를 진행하는 동안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잔잔한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좋다.
BBE3 의미 탐색
활동명 어떻게 분류할까?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2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패턴화하기-
실생활과 연결)
① 학생들이 좋아할만한 물건을 넣은 상자를 모둠 수대로 준비한다(이때 각 모둠별로 서로 다른 물건을 넣는
다).
②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을 꺼내어 분류한다.
③ 각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들이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었는지를 논의하고,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모둠학습
지에 답을 쓴 뒤에, 상자 밑에 있는 답을 확인하고, 틀렸을 경우 다시 분류한다.
④ 다른 모둠의 상자에 들어 있는 물건도 분류해보고, 학습지에 기록한다.
⑤ 모둠별로 정한 기준에 대해 발표한다.
준비물 사탕, 초콜릿, 학용품, 단추, 과자, 상자, 모둠학습지, 기준/정답카드
예상결과
/기대효과
- 분류 기준을 스스로 생각해봄으로써 추론 능력과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 사물을 인지하고 특성을 알아내고 비슷한 속성끼리 묶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인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BBE5: 부분과 전체)
- 학생들이 좋아하는 간식 등을 담아두고, 수업이 끝난 후에 나누어먹으면서 내용을 자연스럽게 복습하게 할
수 있다(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상호 협력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수업이 가능하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학습 속에서 패턴을 찾아 실생활과 연결하여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
BBE4 정서 연결고리
활동명 Classroom Olympic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15분 ○
수업전략
(지각적 주의환기)
※ 학습주제: ‘I’m faster than you‘ 단원에서 비교하는 활동을 실제로 하면서 목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① 학생들에게 주제를 제시하고(예: I’m taller than you), 비교 대상이 되어볼 지원자를 앞으로 나오게 한다. 본 예시에
시에서는 키가 큰 친구 두 명이 자원하여 나오게 된다.
② PPT 슬라이드의 다음 화면에서 비교하게 되는 대상은 키가 아니고 ‘sitting height(앉은 키)’가 나오면, 학생들은 깜
깜짝 놀라며 재미있어한다. 이 때 ‘Minsu’s sitting height is taller than Jieun’s sitting height.‘라는 문장을 연습시킨다.
준비물 Classroom Olympic 진행 PPT
예상결과
/기대효과
- 예상했던 내용에서 벗어난 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내용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면서 집중하게 된다.
- 영어에 대한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다소 위축될 수 있는 학생도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신체 활동과 연계하여 기
억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BBE6: 신체동작 활용).
BBE5 부분과 전체
활동명 이야기 수학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자기주도
탐색활동)
① 그림이나 동영상을 보여주고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예시) 민데렐라 이야기(등장인물:. 민데렐라, 문지기)
민데렐라: 아~ 여기가 요정 나라 정문이구나. 얼른 마법 호박을 들고 나가야지.
문지기: 잠깐! 굉장히 무거워 보이는데.. 마법 호박은 한 번에 5kg밖에 가지고 나갈 수 없소!
지금 가지고 있는 마법 호박이 모두 몇 kg이지?
민데렐라: 가만 있어보자. 1.6 kg짜리 최상급 호박 3개를 챙겨왔는데, 이게 모두 몇 kg이지? 5kg이 넘으면 큰일인데...
준비물 사진 자료 및 PPT 또는 플래시 동영상
예상 결과 /실행
결과
- 학생들이 이야기 속의 ‘민데렐라’ 입장이 되어 문제를 풀게 함으로써, 수학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 다른 분야나 실생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BBE7: 패턴 연결).
- 수학적 개념(활동, 원리)뿐만 아니라 수학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BBE6 신체동작 활용
활동명 원주율을 구하라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5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신체활동 활용)
① 운동장에서 모둠별로 3~5m 노끈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② 중심과 반지름, 지름을 확실하게 표시하여 원을 그린다.
③ 그려진 원을 가지고 원주가 무엇인지 알려준다(‘원주는 원의 둘레의 길이입니다’)
④ 모둠별로 주어진 3-5m의 노끈이나 아이들의 발자국 개수(자신의 신발 사이즈, 가령 220mm)를 이용하여 원주
의 길이를 잰다.
⑤ 우리 모둠의 측정한 원주는 지름의 몇 배가 나오는 지 계산한다.
⑥ 다른 모둠의 결과와 비교한다.
※ 움직인 활동이 가능한 학습 내용
가. 4학년 1학기 3단원 - 각도
부채의 펼쳐진 정도를 각도로 말해보거나 말한 각도를 부채나 자를 이용하여 그리고 확인한다.
나. 5학년 1학기 8단원 - 여러 가지 단위
㎡(1m × 1m), a(10m × 10m)의 단위를 운동장에 그려보도록 한다.
준비물 대못 2개, 3m, 4m, 5m 노끈
예상결과 /기대효과
- 교실 분위기보다 자유롭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학습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자기 모둠과 다른 모둠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주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교과서 지식이
아닌 움직임을 통해 배울 수 있다.
BBE7 패턴 연결
활동명 스토리텔링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5분 ○
수업전략
① 본시 학습과제와 관련된 문제 상황을 스토리텔링으로 제시한다.
마법나라에서 생일 선물이 도착했습니다. 선물은 보물 상자와 마법카드 3장입니다.
보물 상자는 자물쇠로 잠겨 있는데 이를 열기 위해서는 마법카드로 열쇠 3개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의 <조건>에 맞게 열쇠 3개를 만들어 그리시오.
[조건] 각각의 마법카드를 잘라 3개의 삼각형을 만든다.
㉮ 열쇠는 세 각의 크기가 모두 9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인 삼각형 모양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② 학생들에게 다양한 발문을 통해 문제 상황을 인식하도록 안내한다.
- 받은 선물은 무엇입니까?
- 보물 상자를 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③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학습목표를 세우게 한다.
준비물 마법나라 생일선물 이야기 PPT
예상결과
/기대효과
-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여 ‘생일선물’이라는 자신의 생활 및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 학습내용이 스토리텔링형태로 문제 상황과 관련지어 제시됨으로써 배운 내용들이 포괄적인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
가 있고 얼마나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BBE5: 부분과 전체).
BBE8 발달단계 고려
활동명 상호 피드백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공통/초6 진행시간 5분 ○
수업전략
※ 루브릭은 수행을 완수하기 위한 ‘일종의 지도’ 역할을 하므로,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학생들과 협의하여 작성하
고, 나누어준다. 루브릭을 통해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게 된다.
①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나누어준 루브릭을 꺼내놓고, 항목에 대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여, 1점부터 4번까지 점
수를 매긴다.
② 프로젝트를 함께 한 모둠원과 서로의 루브릭 용지를 바꾸어, 서로의 수행에 대해 평가한다.
③ 교사는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최종 점수를 매긴다.
[예시]
준비물 루브릭 평가지
예상결과
/기대효과
- 학생들은 과제 수행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기에, 자신의 수행과정에 좀 더 집중하게 된다.
- ‘루브릭’이라는 설계도 하에, 학습 계획을 세우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면서 최종 목표에 단계적으로 도달하게 한다.
- 자기 평가와 친구의 평가, 교사의 평가를 종합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스스로 깨닫게 된다(BBE2: 학습성찰과 자
기평가).
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활동명 학습정리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20분 ○
수업전략
①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발문을 한다.
- 이 답이 문제에서 묻고 있는 답이라고 확신하는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 자신의 풀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
- 이 문제를 풀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는가?
-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구할 수는 없는가?
- 다른 문제에 이 결과나 방법을 적용할 수는 있는가?
② 교사의 발문에 대한 각자의 답을 배움 노트에 정리한다.
③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보거나, 오늘 배운 문제풀이 방법 외에 다른 해결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게
한다.
④ 정리 형식은 각자 이해하고 정리하기 편한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 사전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배움 노트’ 정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정리하는 기술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점판형> <일반형>
대부분의 도형 학습
도형의 이동 및 대칭
점판(지오보드) 활용 학습
문장제 해결 학습
수학일기 및 일반 활용
학년 고려
준비물 배움 노트
예상결과
/기대효과
-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고,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보충지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 각자의 성향을 존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정리를 할 수 있게 한다(BBE10: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BBE10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활동명 너도 짱, 나도 짱!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선택형 모둠활동을
통한 복습활동)
① 4명이 한 모둠이 되도록 모둠을 구성한다.
② 설명자, 도우미, 답변자, 격려자 중 하나로 역할을 분배한다.
③ 서로 돌아가면서 원하는 역할을 해볼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한다.
준비물 직업 관련 플래시 카드
예상결과 /기대효과
-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여, 각자 원하는 역할을 선택하게 한다.
- 복습 내용을 즐겁게 집중하여 상기시킬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모둠활동을 통해 역할을 나누고, 질문을 묻고 답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BBE2: 사회적 상호작용).
역할자 주요 활동
1번(설명자) 직업에 관련된 카드를 보고 몸동작 및 영어로 설명하기
2번(도우미)
3번 학생의 뒤에서 그림카드 넘기기
3번 학생이 도움을 청하면 답 이외의 힌트를 줄 수 있음
3번(답변자) 정답 말하기(잘 모르겠으면 ‘패스’ 하기)
4번(격려자)
시간재기 (모둠에서 1명에게 1분 또는 30초로 정하기)
답이 맞으면, “Good Job!”, 틀리면, “Cheer up!” 말하기
과제1
문제의 해결의
시작점은 무엇인가?
• 수업태도 불량
• 충동적이며 통제 어려움
• 무기력함
• 자기유능감, 자존감 낮음
• 사회성, 감성 부족
• 학습의욕 없음
• 학습에 대한 두려움 큼
• 주의 집중력 떨어짐
• 이해력 떨어짐
• 기억력 떨어짐
14
출처: http://www.mindfulschools.org/about-mindfulness/mindfulness/
마음챙김(mindfulness; awareness)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
그램은 교사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줄임
으로써 정서적 웰빙은 물론 교사를 위한 사회성-감성 역량을 키우
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교사가 정서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
면 이것이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아래 도
표처럼 마음챙김을 통해 외부 자극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사적 대
응을 하지 않고 매우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효과적인 수업전략 - 교사의 마음챙기기
15
교수학습의 사회적-정의적 차원(SEDTL: Social
and Emotional Dimens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 교사가 자신의 SEL 역량(지식, 스킬, 마음 습관)을
갖춘다.
• 교사가 교실의 사회적-감성적 환경을 관리하는
능력을 갖춘다.
• 교사가 학생의 SEL 스킬을 키우고 ‘마음습관’을
강화하는 능력을 갖춘다.
효과적인 수업전략 – 교사의 사회성감성 역량
16
마음챙김 역량 및 회복력 함양하기(CARE: Cultivating
Awareness and Resilience in Education)
CARE 연수 프로그램은 아래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 심호흡 3회 하기
• 호흡에 마음 집중하기
• 걷기에 마음 집중하기
• 타인에 대한 배려 연습하기
• 신체 각 부위를 훑으며 이완하기
• 먹는 것에 마음챙기기
• 감성과 정서 일지 기록하기
효과적인 수업전략 – 교사를 위한 CARE 프로그램
17
저를 예쁘게 봐 주세요
(Red and Kathy Grammer)
저를 예쁘게 봐 주세요.
저 안에 숨어 있는 가장 좋은 점을 찾아내
주세요.
그게 진정한 저이니까요.
또 그게 제가 그렇게 되고 싶은 모습이니까요.
그러나 시간이 좀 걸릴 거예요.
발견하기가 쉽지 않을 거예요.
그래도 예쁘게 봐 주세요.
비폭력대화 (NVC)- 아이들의 바람
18
더 나은 선택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리는 생각하는 법, 경청하
는 법, 대화하는 법, 행동하는 법에 대해 좀 더 선택적
일 수 있다.
 우리는 선택의 주체다.
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 우리는 행동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는 생각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는 상대방 얘기를 듣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는 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비폭력대화 (NVC)- 더 나은 선택
NVC 모델
솔직하게
말하기
공감으로
듣기
내가 를 보았을 때 당신은 를 보았을 때
나는 라고 느껴
왜냐하면 나는 가
중요하기 때문에
해 줄 수 있겠니?
당신은 라고 느껴?
왜냐하면 당신은 가
중요하기 때문에?
당신은 내가 하기를
원해?
관찰
Observation
느낌
Feeling
욕구
Need
부탁
Request
NVC 의사소통 순서도
자기 공감
내가 보고, 듣는 것은?
느끼는 것은?
필요한 것은?
원하는 것은?
의도
나는 내 생각대로 하고 싶어.
의도
나는 연결시키고 싶어.
내가 선택할 것:
다른 사람의 이야기 듣기
그녀가 보고, 듣는 것은?
느끼는 것은?
필요한 것은?
원하는 것은?
내가 선택할 것:
나 자신을 표현하기
내가 보고, 듣는 것은?
느끼는 것은?
필요한 것은?
원하는 것은?
비폭력대화 - 구성 요소
21
비폭력대화는 다음 요소들을 인식하면서 자신을 명
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우리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는가를 관찰한다.
• 우리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지 못하는가를 관
찰한다.
• 우리는 지금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필요로 하며
원하는가를 안다.
•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대방에게 어
떻게 부탁하는가.
• 의견과 신념을 단지 의견과 신념이라고 표현하며
사실이라고 발하지 않는다.
22
비폭력대화는 다음과 같은 것을 공감으로 듣게
해준다.
• 다른 사람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는가를 공
감한다.
• 다른 사람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지 못하는
가를 공감한다.
• 다른 사람이 지금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필요
로 하는가를 공감한다.
• 다른 사람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행동을 부탁하고 있는가를 공감한다.
비폭력대화 - 공감하기
관찰을 위한 노래1
23
평가대신 관찰을(루스 베버 마이어)
나는 게으른 사람을 본 적이 없어요.
내가 지켜보고 있을 동안엔
나보고 엉뚱하다고 하기 전에 한 번 생각
해보실래요?
그가 정말 게으른 사람인지, 아니면 그저
우리가 ‘게으르다’고 이름 붙인 일들을 했
을 뿐인지.
24
평가대신 관찰을(루스 베버 마이어)
나는 바보 같은 아인 본 적이 없어요.
가끔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일이나
예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하는 아이는 보았어요.
그 아일 바보라고 부르기 전에 생각해보
시겠어요?
그 아이가 바보 같은 아이인지 아니면
당신과는 다른 것들을 알고 있을 뿐인지.
관찰을 위한 노래2
평가와 관찰 – 전환 연습
평 가 관 찰
너는 인심이 너무 후해 네 점심값을 전부 다른 사람에게 주는 걸
보니 걱정된다. 너도 돈이 필요할지 모르는
데, 다 줘버리는 것 같아서 말이야
철수는 꾸물대는 버릇이 있어 철수는 시험 전날에야 공부한다
그 사람은 일을 끝내지 못할 거야 그 사람은 오늘까지 내기로 한 보고서를
내지 않았다
요즘 젊은이들은 예의가 없어 내 옆자리의 20대로 보이는 청년은 할머니
가 서 계시는데도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다
김진우는 형편없는 축구 선수야 김진우는 20경기에서 한 골도 못 넣었어
태호는 못 생겼어 난 태호의 외모에 끌리지 않아
26
관찰인가, 평가인가?
1. “내가 한 학생에게 내 말을 주의해서 들으라고 하자 버릇없이 말대꾸
를 했다.”
2. “자기가 숙제한 것을 개가 먹어버렸다고 우진이가 말했어.”
3. “6학년 아이가 3학년 아이한테 ‘야! 이 멍청아’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
어.”
4. “그 여자애는 아주 똘똘하다.”
5. “너는 훌륭한 작가야.”
6. “내 기억으로는 이번 주 내내 그 아이가 시간 맞춰 등교한 적이 없었
어.”
7. “걔는 약한 애들을 괴롭혀.”
8. “그 여자애가 자기는 학습장애가 있다고 말했어.”
9. “난 걔가 다른 여자애 세 명과 함께 새로 전학 온 아이한테 손가락질
하면서 웃고 떠드는 걸 보았어.”
10. “걔네들은 수업을 무척 방해가고 있었어.”
평가와 관찰 – 전환 연습
학습 태도를 결정하는 3가지 관계
1. 지지자와의 관계(담임, 부모, 상담교사 등)
-일차적인 안정감 속에서 믿고 의지하고 싶어한다.
-교사-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목표, 사회화, 동기, 학습 성취를 결정한다.
2. 친구들과의 관계
-친구들과 함께 의논하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배운다.
-또래 문화 속에서 동질감, 소속감, 유대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3. 집단에서의 자신의 위치 확보(집단과의 관계)
- 누군가에게 관심 받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 집단 속에서 학생들 각자의 입지를 확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위 3가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 사항
1. 학생 (존중)을 체화하라.
2. (사회성)을 교수요목에 넣어 가르쳐라.
3. (가족적) 분위기를 연출하라.
빈곤 계층 초등학생들 중 선생님들과 친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
는 집단은 읽기와 어휘 능력이 개선되었다 (Pianta &Stuhlman, 2004).
27
 각각의 감정들을 하나의 키보드에 비유해보자.
 타고난 감정만으로는 소수의 계이름으로만 연주가능
 사회적으로 중요한 감정들은 학습이 필요
학습 되는 감정들
• 겸손
• 관대함
• 공감능력
• 낙관주의
• 열정
고장난 감성 키보드의 수선
학습 되는 감정들타고난 감정들
 슬픔
 기쁨
 역겨움
 분노
 놀라움
 두려움
• 동정심
• 인내심
• 수치심
• 협동심
• 감사
(Ekman, 2003)
28
어른들의 잘못된 기대 바루기
교실/가정에서 일어나는 행동/태도 문제들의 다
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의 기대’로부터 시작된다
아이들에게 상황에 따라 어떻
게 감성적으로 반응해야 하는
지 지도가 필요하다.
많은 아이들은 어떤 상황에 어
떤 반응을 보이는 것이 적절한
지 알지 못한다.
30
"Movement is Good 4 the Brain"
움직임은
정신을 맑게 하고
스트레스 줄여주며
전반적인 몸 상태를 좋게 한다.
뇌의 학습원리 - 학습과 신체의 움직임
음악 수업을 하면 뇌의 감
각피질이 20-40% 변한다!
감각피
질
예술 활동은 인지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
• 예술 교육 vs. 예술 통합교육
• 예술교육과 주의력, 인지능력 향상과 상관 큼
효과적인 수업전략 - 예술활동
감정과 운동-포도당 생산 -기억에 영향
32
출처: Gore JB, Krebs DL, Parent MB(2006)
감정과 신체활동은
포도당 생산을 촉진
하고, 포도당 공급
은 기억에 영향을
준다.
과제2
학습 동기는
어떻게 유발되는가?
34
출처: 10 Best Teaching Practices, Donna Walker, 2011 P6
교육패러다임의 전환 -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
자기체계 3요소
1. 나는 저것을 배우고 싶
고, 배울 필요가 있는가?
(학습과제에 대한 태도/
중요성 인식)
2. 나도 배울 수 있을까?
(자기 유능감 – 달성 가능
성에 대한 믿음)
3. 과제에 대한 나의 기분
은 부정적인가 긍정적인
가?
(학습과제에 연계된 감정)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http://www.vaniercollege.qc.ca/pdo/2013/04/teaching-tip-learning-with-marzano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자기체계
몰입여부 결정
상위인지 체계
목표와 전략 수립,
자기조절, 평가
인지
체계
지식 영역
정보 정신적 절차 신체적 절차
정보의 처리
지식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
재인하기
회상하기
실행하기
합성하기
표현하기
통합하기
기호화하기
대응하기
분류하기
오류 분석
일반화하기
명시하기
의사 결정하기
문제 해결하기
실험적 탐구
조사하기
36
• 희망은 긍정적 기대다.
• 희망은 긍정적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 희망은 기분과 끈기를 향상시
켜 성공 확률을 높인다.
• 부모/교사가 자녀/학생에게
모든 것을 다 잘해주더라도
만약 자녀/학생이 잘 해낼 것
이라는 믿음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은 허사가 된다.
• 너무나 많은 아동이 부정적
피드백을 받는다. 그들에게는
지속적으로 희망이 필요하다.
희망은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
가장 중요한 것은 - 희망
37
학습무기력 극복과 희망 만들기
1. 교사-학생 간의 관계 강화
2. 성공적 경험제공
3. 성공의 롤 모델 제공
4. 목표수립과 달성방법 지도
5. 시간관리 방법 지도
6. 자신의 생활관리 체크리스트 활용
7. 더 좋은 선택을 하는 방안 지도
8. 자신의 꿈 찾아 말하고, 그림으로 그리고, 이를 노
래로 만들어 부르고, 말하고 쓰기
희망 만들기
자신감 관리
38
자신감 키워주기
• 잘 해낼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은 허사
가 된다. 예상되는 성과와 상관없이 교사는 높은 기대
와 목표를 유지한다.
• 가정배경, 유전요인에도 불구하고 좋은 교수법 적용을
통해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믿는다.
•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생을 통해 성장한다는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인다.
• 아래와 같이 희망을 주고 재도전을 장려하는 피드백을
자주 한다.
“네가 이번에 잘 하지 못한 것 안다. 그러나 나는 항상 널
믿고 널 지지해. 너는 결국은 해낼 거야. 포기하지 말고
좀 더 끈기를 발휘해보자.”
• 학생에게 부정적인 꼬리표를 달지 않는다.
자신감 잃게 하기
39
교사는 왜 느린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지
못하는가?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
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 유전요인, 환경요인, 다른 조건들 때문에 학습
잠재력이 낮다고 믿는다.
•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을 거라
생각하고 대충 가르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한다.
• 강점보다는 잘못된 것부터 찾아낸다.
자신감 심어주기
40
어떻게 해야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가?
• 잘 해낼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은 허사
가 된다. 예상되는 성과와 상관없이 교사는 높은 기대
와 목표를 유지한다.
• 가정배경, 유전요인에도 불구하고 좋은 교수법 적용을
통해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믿는다.
•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생을 통해 성장한다는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인다.
• 아래와 같이 희망을 주고 재도전을 장려하는 피드백을
자주 한다.
“네가 이번에 잘 하지 못한 것 안다. 그러나 나는 항상 널
믿고 널 지지해. 너는 결국은 해낼 거야. 포기하지 말고
좀 더 끈기를 발휘해보자.”
• 학생에게 부정적인 꼬리표를 달지 않는다.
능력보다 노력/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1. 노력과 전략 사용을 강조하는 피드백을 준다.
• 노력: “스펠링 추가 연습의 덕을 많이 봤구나. 너의 스펠링 시험 점수가 96점이란
다.”
• 전략: “너 나누기 문제를 순서를 잘 지켜 풀어서 다 맞았구나!”
2. 학습자가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경우, 그 실패를 노력/전략과
연결시킨다.
• 노력: “너 철자시험이 52점이더라. 선생님이 보니까 너 이번 주는 단어 시험만큼
연습을 덜한 것 같더라. 시간을 내어 좀 더 연습을 하면 좋은 성적이 나올 거야!”
• 전략: “너, 문제 푼 것 보니까 묶기(grouping)를 잘못해서 6문제 틀렸더라. 다음
번에는 묶기 전략을 잘 써봐. 다시 해보지 않겠니?”
3.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가르쳐 준다.
4. 노력이 어떻게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보여준다.
5. 학습자에게 전략을 알려 준다.
6. 똑똑하게 되는 것은 공부 기술과 전략을 얼마나 잘 갖추고 있느냐에 달
렸음을 강조한다.
7. 성적의 오름과 내림의 원인은 자신의 내부에 있음을 강조한다. 성적이
올랐다면 노력 및 바른 전략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한다.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42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유발의 원리
학습자 스스로 선택(choice)하고 통제(control)할 수 있을 때 동기
가
향상되고 학습이 강화된다.
•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방식, 평가방식을 선택(choice)
하고 주도할(control) 수 있을 때 학습에 대한 책임감, 주인의식
, 동기, 성과가 향상된다.
• 무언가를 ‘선택’한다는 것은 엄청난 힘을 지닌다. 우리는 스스
로 선택한 것에 대해 책임 지려하기 때문이다.
43
효과적인 수업전략 – 학습자의 선택과 통제
44
동기관리에 대한 교사의 잘못된 인식 5
 통제가 필요하다 -> 동기유발이 필요하다“자신이 또 하나의 시
험 점수의 채점 대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면 잘하거나 열심히
할 이유가 없다”
“이미 (교사/부모가) 자신은 실패할 거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자
신이 노력할 이유가 없다”
 틀린 것은 지적한다 -> 교육적인 피드백을 하고 질문 자체와
논의의 깊이를 더한 것에 고맙다고 말한다
 학습에 게으르다 -> 교사가 알지 못하는 이유가 있거나, 열심
히 하는 것이 따로 있다
 말을 듣지 않는다 ->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존중하는 교사에게
는 태산이라도 움직이려고 한다
 수업을 지루해 한다 ->
 10-15분 마다 수업의 모드를 바꾼다
 잘못된 판단과 실패에 대해 회복을 돕는다
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교사가 열정을 보인다
 학생의 출신 문화를 고려해 과제를 내준다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유발의 원리
45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유발의 원리
학습자의 동기를 떨어뜨리는 10가지 요인
1 오늘의 수업 내용이 오직 고교과정 이후의 미래를 위해 필
요하다는 도입 설명(지금의 삶에 의미가 있도록 해야!).
2.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교사가 말하고, 잘 못했을 때 훈시
를 길게 하는 경우
3. 해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숙제나 과제의 부여
4. 자신에 대해 (교사/부모가)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5. 실패를 나타내는 기호나 점수
6. 강점보다는 약점,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7. 실력이 부족하다고 인지수준에 맞지 않는 자료로 수업
8. 학생 자신에게는 심각한 감정적 문제이나 이를 하찮게 여
기는 경우
9. 개인의 욕구, 필요, 재능, 학습속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
로 부여하는 수업
10. 비꼬는 일
학습자들에게 긍정적 기대와 믿음을
보낼 때 학습자들의 뇌는 이에 긍정
적
으로 반응한다.
 기대효과(The expectation effect) - 자신
혹은 타인에 대한 기대의 결과, 인식과 행동
이 변하는 현상
46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
음이나 기대, 예측이 그 대상에게 그대로 실현되는 경향
• 로젠탈효과(Rosenthal effect) - 피그말리온 효과를 교육학에 접목
한 것
효과적인 학습전략 - 기대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47
동기유발의 원리
동기유발의 원리 – 목표/몰입 중심 수업
48
▷ 목표 중심
• 질문1 – “내가 오늘 해야 할 수업은 무엇인가?”
• 질문2 – “나는 어떻게 하면 오늘의 학습목표를
학생들이 달성하게 할 수 있을까?”(=수업이 끝
났을 때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기를 바라는
가?)
▷ 몰입 중심
• 질문3 – “나는 어떻게 하면 쉽고 재미있게 가르
칠 수 있을까?”
• 질문4 – “나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수업에 몰
입하게 할 수 있을까?”
목표에 집중하기
49
수업 목표를 정하는 4가지 기준(4Ms)
• 감당/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운다
(Manageable).
• 수업이 끝나면 목표의 도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목표를 기록한다(Measurable).
• 목표를 최우선시 함으로써 목표가 수업을 이
끌어 가도록 한다(Made First).
• 대학진학에 필요한 학업성취도 향상을 가장
중요시 한다(Most Important).
목표에 집중하기
50
▷과제
다음의 단원 목표의 서술을 4Ms에 비추어
평가해보자.
1. 학생들은 분모가 같은 분수와 다른 분수
를 더하거나 뺄 수 있다.
2. 학생들은 시련(The Crucible)이란 희곡
을 영화화 한 것을 시청한다.
3. 학생들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일을
위해 기념 포스터를 만든다.
과제3
학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52
http://3.bp.blogspot.com/-7fSAuC3i0Cc/UUNkWhk2OMI/AAAAAAAAHfU/eTdEual3Xyc/s1600/AESR+Heading+3.jpg
• 주의 - 세상을 경험할 때 수많은 자극들 중 필요한 것만 선
별한다.
• 부호화 - 선별되어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자극(외부정보)을
개별 신경세포 혹은 신경망 차원에서 전기적 활동으로 변
환하는 과정이다.
• 저장 - 마음속으로 들어 온 정보를 선별하고 시연(試演)을
통해 저장한다.
• 인출 -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속해서 이를 다시 불러낸다.
인지적 학습의 4단계
인출과 부호화
Retrieval strengthens memory.
Organization of encoding influences retrieval.
Successful retrieval depends greatly on environment.
인출이 기억을 강화한다.
어떻게 부호화하느냐가 인출에 영향을 미친다.
성공적인 인출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53
• 인출이 기억을 강화한다.
(Retrieval strengthens memory.)
• 어떻게 부호화하느냐가 인출에 영향을 미친다.
(Organization of encoding influences retrieval.)
• 성공적인 인출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Successful retrieval depends greatly on environment.)
54http://www.senseandsensation.com/2013/03/storage-ii-sleep-and-memory-part-7-of-
14.html#!/2013/03/storage-ii-sleep-and-memory-part-7-of-14.html
• 1~2시간: 해마에서의 기억의 응고화가 일어난다.
• 2~6시간: 장기기억을 위해 해마에서 대뇌피질로 옮겨진다.
• 6~9시간: 대뇌피질에서 시연의 과정이 일어난다.
정보의 저장
뇌는 <감각등록, 단기기억(작업기억), 장기기억>이
긴밀하게 서로 협력하여 정보를 처리한다.
작업기억의 중요성
입력 단기기억 장기기억
작업기억
출력
잊어버
린
정보
57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
출처: How the Brain Learns
David Sousa, 2011 p50
작업기억
IQ
습관
3Rs
① WM은 정보를 유지하
고 조작하는 곳이다.
② WM은 주의를 기울이
는 동안만 잠시 유지된다.
③ WM은 동시에 3-5개의
정보만 유지할 수 있다.
④ 학습에는 WM과 주의
력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작업 기억력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1. "잠깐 멈춤" 기법.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몇 분간 멈춘다.
Use the “pause” technique. Every few minutes, pause to let content sink in.
2. 이해를 돕기 위해 기억 단위를 짧게, 그 다음 다시 반복
Chunk content into smaller chunks to aid understanding, then review.
3. 내용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사전 활동 실시
Prime the learning to create an attentional bias to the content.
4.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전두엽을 자극시키기 위한
신체 움직임을 먼저
Do a fast physical activity first to activate frontal lobe uppers like dopamine and
norepinephrine.
볼 패스하며 말/문장 이어가기
59
• 학생1- I like playing soccer.
• 학생2 - I like playing soccer and playing
piano.
• 학생3 - I like playing soccer, playing
piano, and swimming.
작업 기억을 위한 전략들
1. 부르고 응답하는 노래들 Call-response songs
2. 게임 Games (Simon Says, cards, etc.)
3. 박수를 치면서 반복 Clapping repeats
4. 지시문 반복 Repeat the directions
5. 파트너/그룹 활동 Partner/group practice w/add-ons
6. 사전 노력을 반복, 그 다음 소리, 단어, 문장
Repeat prior effort, then
add a sound, word, or sentence
7. 파트너, 친구, 교사가 말하고, 학생은 내용을 쓴다.
Partner, buddy or teacher speaks, student writes the content
왜 두뇌과학적 교수학습법인가?
61
“뇌 속에서 학습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모르
고 가르치는 것은
사람의 손가락이 어떤 모양으로 생겼고, 어떻
게 움직이는지를 모르면서
장갑을 디자인하는 것과 같다.”
(Leslie Hart, 1983)
http://designshack.net/articles/business-articles/using-the-black-box-model-to-design-better-websites
학습은 사전지식,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에 의해 재구성되
는 과정이다. 학습은 백지상태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62
• 사전지식은 학습자가 학습할 내
용을 정확히 그리고 깊이 학습할
수 있는지 또 어떤 방법으로 학
습할지를 결정한다.
• 사전지식은 개인마다 다르고 매
우 복잡한 형태며 변화에 저항감
이 높다.
• 최선의 교수법은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새
롭게 확장해 가는 것이다.
• 사람이 보는 것, 기억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것에 의해 결정된
다.
http://www.hebisd.edu/news/article.asp?ArticleID=1882
학습은 새로운 정보와 사전지식의 연결
63
인출은 부호화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부호화
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인출될 수 없다. 인출의 성공과 실패는 존
재여부(availability)와 접근성(accessibility)으로 설명된다. 즉, 저장
된 정보는 장기기억의 어딘가에는 분명 존재하고 있지만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정보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인출(引出, retrieval)
부호와와 인출 용이성
http://theelearningcoach.com/learning/what-is-cognitive-load/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CBwQFjAA&url=http%3A%2F%2Fcollege.cengage.com%2Feducation%2Fcooper%2Fliteracy%2F7e%2Fassets%2Fppt%2Fcooper_ppt_ch03.ppt&ei=gWWcVfbiAoK3mwXTw4XQBQ&usg=AFQjCNF4Sc9FdRKE5dgDuXlT75LC1oZAew&bvm=bv.96952980,d.dGY&cad=rjt
연결짓기 전략
내 경험과
주제를 연결
세상과
주제를 연결
내가 읽은
다른 책과
주제를 연결
65http://www.senseandsensation.com/2013/03/encoding-how-to-make-
memories-stick.html#!/2013/03/encoding-how-to-make-memories-stick.html
부호화
부호화는 …
… 새로운 감각, 정서 정보가 …
사전지식에 연결될 때 일어난다.
66http://www.senseandsensation.com/2013/03/storage-i-how-memory-works-
redux-part-6.html#!/2013/03/storage-i-how-memory-works-redux-part-6.html
기억 시스템의 이해
최적의 학습 상태 조직하기
상태
교사의
행동
목표상
태
도입기 상
태
따분함
좌절감
현기증
배고픔
분노
회의론
무관심
짜증
분개
절망
공포
졸림
짓궂음
목표 상태
예측
자신감
호기심
긴장감
호기심이 많
음
흥미진진함
기대
얼떨떨함
도전
학생들은 교사가 얼마나 알고 있는가보
다는 자신들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져
주는가에 관심이 있다.
They won’t care how much you know
until they know how much you care.
과제4
학습에
왜 실패하는가?
69
자아존중감 저하 - 부정적 피드백
• 초중고 12년 동안 학생이 받는 부정적 피드백의
수: 15,000회(Reasoner, 1989)
• 유치원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80%
• 초등6학년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12%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
자아존중감 저하 - 복합 요인
• 학습결손의 발생과 보정기회 놓침
• 학습을 저해하는 두려움 증가
• 부정적 자아상
• 부정적 호칭 갖기
• 심한 질책 받음
• 처벌 받음
감정과 정서는 패턴탐색, 의사결정, 학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감정의 뇌와 이성의 뇌의 협력이 중요하다. 감정에 의해 어떤
자극에 주의(attention)를 줄 지, 무엇을 학습하고 기억할지 결
정된다(Kovalik, 2009; Jensen, 2008). 결국 감정은 학습능력
을 향상시키기도 하고 떨어뜨리기도 한다. 감정과 정서는 학습
으로 가는 온오프 스위치라고도 부른다.
• 적절한 감정을 수반하는 학습과 감정이 실린 경험은 더 높은 흥
미와 적극적인 참여, 활발한 기억 유지가 일어나도록 한다.
• 긍정적 감정은 도파민 분비를 촉진해 장기기억을 돕는다. 70
효과적인 수업전략 – 학습자의 기분 관리
• 외부 정보의 의미를 탐색할 때 감정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감정은 모든 생각, 행동, 학습
과정의 일부이자 배경이다(Caine et al. 2009).
• 안전(safe)하고 안심이 되며
(secure), 소외되지 않고
(accepted), 심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환경 속에서 학습은
최적화된다.
• 흥미있고, 의미있는 학습 경험
은 좋은 신경전달물질이나 호
르몬을 분비해서 주의력을 높
이고 기억을 담당하는 뇌부위
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71
정서적 건강(emotional health)이 학습에 중요하다!
http://www.peakachievement.com/transf
orming-seniors-lives
주의 모드 관리의 실패
72
• 생존모드(survival mode)
인간이나 동물은 생존하기 위해 생존에 관계되는 정보나 자극에 가장 먼저 주
의를 기울인다.
• 흥미모드(interest mode)
이는 학습자가 흥미로운 자극에 주의를 기울일 때의 뇌의 모드다.
• 선별모드(selective mode)
학습자의 뇌가 다른 여러 자극들 중에서 교사의 수업 내용에 선택적으로 주의
를 집중하게 되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학습을 위해 최적의 준비상태에 이른
것을 의미한다.
http://21erick.org/bbs/board.php?bo_table=11_5&wr_id=100158
주의력 유지 한도를 초과한 수업진행
"너무 지루하지도 않고 아주 재미있지도 않은,
일반적인 수준의 수업을 들을 때, 학생들은 수
업 시작 후 언제부터 흥미를 잃기 시작할까?"
10분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74
동기유발의 실패
75
동기관리에 대한 교사의 잘못된 인식 5
 통제가 필요하다 -> 동기유발이 필요하다“자신이 또 하나의 시
험 점수의 채점 대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면 잘하거나 열심히
할 이유가 없다”
“이미 (교사/부모가) 자신은 실패할 거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자
신이 노력할 이유가 없다”
 틀린 것은 지적한다 -> 교육적인 피드백을 하고 질문 자체와
논의의 깊이를 더한 것에 고맙다고 말한다
 학습에 게으르다 -> 교사가 알지 못하는 이유가 있거나, 열심
히 하는 것이 따로 있다
 말을 듣지 않는다 ->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존중하는 교사에게
는 태산이라도 움직이려고 한다
 수업을 지루해 한다 ->
 10-15분 마다 수업의 모드를 바꾼다
 잘못된 판단과 실패에 대해 회복을 돕는다
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교사가 열정을 보인다
 학생의 출신 문화를 고려해 과제를 내준다
교사의 잘못된 인식
76
동기를 꺽는 요인 과다
학습자의 동기를 떨어뜨리는 10가지 요인
1 오늘의 수업 내용이 오직 고교과정 이후의 미래를 위해 필
요하다는 도입 설명(지금의 삶에 의미가 있도록 해야!).
2.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교사가 말하고, 잘 못했을 때 훈시
를 길게 하는 경우
3. 해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숙제나 과제의 부여
4. 자신에 대해 (교사/부모가)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5. 실패를 나타내는 기호나 점수
6. 강점보다는 약점,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7. 실력이 부족하다고 인지수준에 맞지 않는 자료로 수업
8. 학생 자신에게는 심각한 감정적 문제이나 이를 하찮게 여
기는 경우
9. 개인의 욕구, 필요, 재능, 학습속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
로 부여하는 수업
10. 비꼬는 일
자신감 잃게 하기
77
교사는 왜 느린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지
못하는가?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
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 유전요인, 환경요인, 다른 조건들 때문에 학습
잠재력이 낮다고 믿는다.
•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을 거라
생각하고 대충 가르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한다.
• 강점보다는 잘못된 것부터 찾아낸다.
주의 끌기의 실패
주의의 유지(staying focused) 여부는 배우는 내용의, 새로움
(novelty), 삶과 관련성(relevance), 의미(meaning)에 달렸다.
• 뇌는 새로운 것의 탐색을 좋아하며, 끊임없이 세상을 이해하고
정보가 의미가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한다.
• 학습자는 주어지는 정보(=수업의 내용)에 관심이 가고 중요하
다고 여길 때 주의를 집중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를 몰입시
키기 위해서는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는 것보다는 우선적으로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이 의미있는 것이어야 한다.
• 정보는 이해가능하고 의미가 있는 것일 때 주의를 받고, 장기기
억에 저장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적용
• 수업환경과 수업방식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78
79
모든 수업은 학습자의 마음상태 변경이 먼저다.
상태관리 4가지 원
칙
• 상태를 신속히 읽
는다.
• 상태를 정확히 읽
는다.
• 현재의 상태에 맞
게 반응한다.
•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상태를 사
전에 관리한다.
마음상태 관리의 실패
인지부하 - 과제 해결 과정에서 인지적 요구량
어떤 정보가 학습되기 위해서는 작업기억 용량 내에서 정보가 처
리되어야 하는데, 작업기억이 처리해 낼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가 더 많으면 인지과부하가 발생한다.
80
효과적인 인지부하(cognitive load) 관리
http://www.simulations.co.uk/Cognitive%20
Load%20Theory.htm
http://www.speakingaboutpresenting.com/desig
n/new-evidence-bullet-points/
효과적인 인지부하 전략
글자 글자 글자
내재적 본질적
외생적
전체
인지부하
내재적 인지부하가
높다면…
본질적 인지부하를
높이기 위해
벨소리와 휘파람소리를
없애라
작업기억 용량 수준
주의와 인지부하의 원리
1. 학습자가 한 요소에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이면 기울일
수록 다른 요소에 기울일 주의의 양은 그만큼 줄어든
다.
2. 교사가, 수업이 학습자에게 얼마나 인지부담을 주는
지 측정하는 데 숙련되면 될수록, 수업의 성공가능성
은 더 높아지고, 학습자는 더 많이 배울 수 있게 된다.
(Francis Bailey 외, 2014) 82
인지부하(cognitive load) 원리의 적용
인지부하(cognitive load) 낮추기
1. 연습, 연습, 연습
기본적인 어휘, 개념, 공식, 내용 등은 처리
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0”이 될 때까지 연
습한다. 스키마(schema)의 구축과 자동화
가 중요하다.
2. 배경지식제공, 사전지식과 연결
이해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또 작업기억
의 인지부담을 줄이기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 사전지식과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3. 전체와 부분의 연결을 돕기
낱개 정보는 기억에 부담이 크다. 하지만 이
런 부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큰 개념과
연결시킬 때 더 인지부하도 줄이고 기억도
더 잘 할 수 있다. 83
인지부하를 낮추는 방법
과제5
어떻게 해야 느린 학습자도
학습에 성공하는가?
주의집중과 몰입의 조건4
 주의
1. 현재의 나의 기분은?(How do I feel?)
2. 나는 흥미를 느끼는가?(Am I interested?)
 몰입
3. 이것은 내게 중요한가?(Is this important?)
4. 나는 이것을 해낼 수 있는가?(Can I do this?)
 교사의 확인질문 2가지
1. 나는 학습자의 주의를 차지하고 있는가?(Do I have their
attention?)
2. 그들은 수업에 몰입할 상태인가?(Are they engaged?)
(Marzano, 2011)
85
음악활동이 뇌에 주는 영향
https://plus.google.com/+Musicteacherla/posts/K5EMpSFhPmp?pid=6152885726593894018&oid=112079593126166923793
뇌와 기억 발달
학업 수행
문화적 이해와 사회적 기술
책임감과 성취감
인내의 가치
팀워크와 규율
자기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신적 연결
듣는 기술
목표 설정과 행동 계획
두려움 극복하고 위험 감수하기
음악을
배우는 것의
이점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조화와 집중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 인치처리의 깊이
고려
강의 듣
기 5%
읽기 10%
시청각 수업듣기 20%
시범강의 보기 30%
능동적
수동적
구체적
추상적
학생 참여 과제 종류
활동 유형에 따라 내용을 회상, 전이, 적용하는 평균
정도
집단토의 50%
실제 해보기 75%
서로 설명하기 90%
10 분 1 일 1 주 1 개월 6 개월
회상률
분산학습의 효과
(David Sousa, How the Brain Learns. 2011)
기억률을 높이기 위한 책략
1. 반복시연(rehearsal)
시연이란 나중에 회상해 낼 것을 생각하고 미리 기억해야 할 대상이나 정보를 눈
으로 여러 번 보아 두거나 말로 되풀이하는 것.
2. 정보를 더 큰 단위로 묶기(chunking)
3. 범주화(categorization)
자료들 중 속성이 같거나 비슷한 것들을 상위 부류로 묶는 과정.
예: 사과, 나팔꽃, 제비꽃, 배, 귤, 복숭아, 코끼리 등의 단어를 암기할 때는 동물
끼리, 과일끼리, 꽃끼리 묶어서 기억하는 것.
4. 정교화(elaboration)
기억해야 할 둘 이상의 자료간의 공유하는 의미나 공통된 참조물을 찾아 이들 자
료들을 어떤 의미를 가지도록 연결시켜 기억에 저장하는 방법.
예: ‘TV-토끼’를 기억해야 할 경우, ‘TV안테나처럼 귀를 쫑끗 세운 토끼가...’처
럼 심상(mental image)을 이용하여 기억하는 것.
89
기억의 효율성 높이기
90
http://isites.harvard.edu/fs/do
cs/icb.topic951136.files/power
OfTestingMemory-
roedigerKarpicke.pdf
효과적인 수업전략 – 테스트를 통한 인출
인지부하 - 과제 해결 과정에서 인지적 요구량
어떤 정보가 학습되기 위해서는 작업기억 용량 내에서 정보가 처
리되어야 하는데, 작업기억이 처리해 낼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가 더 많으면 인지과부하가 발생한다.
• 내재적 인지부하((intrinsic cognitive load)
학습자료나 과제의 난이도와 복잡성에 의해 결정되는 인지부하
• 외생적 인지부하(extraneous cognitive load)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투입된 인지적 노력. 학
습방법, 자료제시방법, 교수전략 등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
• 본질적 인지부하(germane cognitive load)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지식체계에 통합시키려는 정신적인 노력
91
효과적인 인지부하(cognitive load) 관리
뇌는 배울 내용(정보와 기술)을 맥락과 함께 제시하고, 경험을 통
해
배울 때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하고, 회상할 수 있다.
• 교육은 가르칠 내용을 학습자의 삶의 경험과 통합시킬 때 몰입
하고 더 잘 배운다.
• 지식을 삶과 연결시키는 것이 뇌친화적 교수학습 원리 중 가장
중요하다.
• 모국어를 배울 때 어휘와 문법을 실제의 삶 속에서 풍부한 상호
작용을 통해 가장 잘 배우는 것이 전형적인 예다.
 교육적 함의
• (범교과)프로젝트 수업, 시연, 스토리텔링, 비유, 역할극, 현장
실습, 견학 등의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을 강화한다.
• 강의는 경험학습의 수단이거나 부분이 되게 한다.
92
효과적인 수업전략 – 맥락이 있는 수업내용
학습이 실제 일어나는 곳 – 누구의 뇌 속?
93
수업안이 아무리 흥미
있고, 자극적이고, 화
려하며, 학습자의 삶과
관련이 있게 짜여진다
하더라도 학습할 내용
과의 상호작용을 교사
가 주도한다면 학습은
학습자의 뇌 속이 아니
라 교사의 뇌에 일어난
다.
학습자가 집중하는 10가지
학습자가 집중
하는 10가지
이야기
비교
대조
질문
문제해결
목록
정서
시각자료
간결함
논쟁
http://info.shiftelearning.com/blog/bid/351150/10-Things-That-
Learners-Pay-Attention-To-And-How-to-Use-Them-in-eLearning
단
계
수업의
단위
수업의 주도권 전형적인 진술
1 나 주도 - 교사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을 위해서는 가
장 먼저 분모를 같게 해야 해.”
2 우리
주도 – 교사
보조 – 학생
“자 마틴, 이제 직접 해보자. 분모를 같게
하려면 어떻게 한다고 했지?”
3 우리
주도 – 학생
보조 – 교사
“자, 카밀라. 이 문제 해결의 전 과정을 네
가 주도해야 해. 내가 도와줄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
4 여러분
낮은 수준의
주도 - 학생
“우리는 예제를 하나 풀어봤으니 이젠 네
혼자서 해봐.”
5 여러분
높은 수준의
주도 - 학생
“훌륭했어, 우리는 이것을 할 텐데 여섯
개의 문제야.6분을 줄 테니 몇 문제나 정
확하게 푸는지 볼까? 자, 시작!”
학습의 주도권 이양 5단계 - ‘나우리여러분’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96
교사는 도입, 질서유지, 핵심 개념, 지시, 강의, 이야기, 마
무리 등에 최대한 주의를 아껴 쓰고
나머지 시간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정보처리, 프로젝트, 토
론, 모둠활동, 자기평가, 학습일지, 피드백, 계획세우기, 연
구, 인터뷰, 복습과 암기 등에 쓰도록 한다.
• 50분 수업이라면 교사의 설명 시간이 15-20분이 넘지
않게 한다.
• 수업시간의 55-80%를 학생들 스스로 깊이있는 학습에
쓰도록 한다.
교사-학습자 간의 수업시간 사용비
율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97
1. 답변할 시간을 준다.
2. 학생의 질문에 교사대신 다른
학생이 답변할 기회를 준다.
3. 모둠 활동을 한다.
4. 과제 수행을 위한 지시문을 학
생이 읽거나 설명하게 한다.
5. yes/no 질문 대신 열린 질문을
한다.
6. 꼭 필요할 때만 말한다.
7. 답을 알려주지 말고 학생들로부
터 이끌어 낸다.
학생의 말하는 시간을 늘리는 7가지 요령
http://busyteacher.org/13959-how-to-increase-student-talking-time-7-
techniques.html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98
1. 학생이 곰곰이 생각할 시간을 빼앗지 않는다.
2. 교단에서 내려와 학생이 직접 보여주는 시간을
늘린다.
3. 자주 사용하는 표현은 몸짓이나 신호를 사용한
다.
4. 수업 중 문제행동에 대한 훈육을 삼간다. 대신
다른 대안을 사용한다.
5. 교사가 진술할 것은 질문으로 바꾼다.
6. “이것, 이해할 수 있니?” 대신 “그것을 네 자신
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니?”로 바꾼다.
7. 첫 지시에 귀를 기울이게 하고 습관적으로 지시
를 반복하지 않는다.
8. 교사가 다시 요약하거나 복습하는 대신에 학생
들로 하여금 이를 하게 한다.
http://thecornerstoneforteachers.com/2014/09/8-ways-teachers-can-talk-
less-get-kids-talking.html
교사가 말하는 시간을 줄이는 8가지 요령
선험지식 활성화시키기
http://www.nbss.ie/model-of-support/level-1/literacy-learning-behaviour/academic-literacy-learning-and-study-skills-sup
선험지식
읽는 것은 생각하는 것이다
활성화시키기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 당신의
선험지식 – 지금 읽고 있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읽기 전, 읽는 동안, 읽기 후 전략들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이해가 잘 돼
내가 알고 있는 것과
새로운 사실을 연결한다면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더 쉬워져
그것은 내가 …을
다시 떠올리도록 해
<전략10>
근본적인 접근
http://www.ccl-cca.ca/pdfs/otherreports/WDYDIST_National_Report_EN.pdf
근본적인 접근
http://www.edu.gov.on.ca/eng/general/elemsec/speced/LearningforAll2013.pdf
근본적인 접근
http://www.edu.gov.on.ca/eng/general/elemsec/speced/LearningforAll2013.pdf
과제6
어떤 교수학습전략이
효과적인가?
배경지식의 활성화
104
• 주어진 주제에 대한 배
경지식과 학습자가 새로
운 내용을 학습할 가능
성의 상관관계는 0.66이
다(Marzano, 2004).
• 사전지식(prior
knowledge)이 학습자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30~60% 이다
(Docy, Segers, & Buehl, 1999).
오늘 배운 지식 = 내일의 배경지식
장기기억으로 전환하기 위해
-직접 가르친다
-완전히 숙달시킨다
-지식을 도식화한다
-반복 시연한다
배경지식의 활성화와 지도
105
1. 배경지식을 활성화한다
•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질
문을 던진다.
• 앞으로 나올 내용을 예측할 수 있
게 안내한다.
• KWL 활동을 한다.
• THINK< PAIR< SHARE 활동을
통해 어떤 주제에 대해 브레인스
토밍을 한다.
2. 핵심적인 배경지식을 지도한다.
배경지식과 정보처리의 지도
106
아래 밑줄 친 부분의 중요성을 생각해보자.
1. 텍스트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계적 도움 발판
(scaffolding)을 제공한다.
2. 텍스트의 어떤 부분에 집중해서 읽을지에 대한
결정을 돕는다.
3. 읽으면서 추론하게 한다.
4. 기억의 회상을 돕기 위한 안내를 한다.
5. 빠진 정보에 대한 가설을 세우도록 돕는다.
6. 더 많이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지도한다.
7. 정보처리의 속도를 높인다.
107출처: http://tfabaltimore.wikispaces.com/file/view/KWL+charts.pdf
효과적인 수업전략 – K-W-L 접근법
Think-Pair-Share
http://deepdesignthinking.com/visible-thinking-routines-tps-3-2-1-bridge-posters/
생각한 후
Think
공유하기
Share
짝과 함께
Pair
배운 것 정리하기 3-2-1
시험에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 2가지
새로 배운 것 중 기억에 남는 것 3가지
질문하고 싶은 것 1가지
http://www.readingquest.org/pdf/321.pdf
많은 학생이 답하도록하는 질문 기술
1. 누구나 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inclusive question).
2. 모두가 답하고 싶은 질문을 한다.
3. 정확한 답변에 대해서보다 참가해줘/노력해줘 고맙다고 인사한
다.
4. 답이 맞거나 틀리거나 질문에 대해 칭찬/보상을 한다.
“질문해줘 고마워.”
“너의 노력 참 예쁘다.”
“대단한 열정이야, 다른 누가 또?”
5. 틀렸다고 비판하지 않고 창피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
6.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7. 답변에 대해 추가로 언급해서 추가로 답을 얻어낸다.
(예: 어떻게 그런 결론에 도달했지? 조금 더 얘기해 줄 수 있을까?)
8. 모범 답변의 예를 보여준다.
9. 답을 모르면 짐작해서 답해서 좋다고 말한다.
10. 답을 모르면 “몰라요. 그러나 알고 싶어요”라고 말하게 한다.
11. 짝과 함께 답변을 평가하고 가장 좋은 질문으로 뽑은 이유를 말
하게 한다.
12. 배운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하는 사람에게 보상한다.
질문의 종류
1. (문자 그대로의) 일반적 질문
“한 시간은 몇 분으로 구성되나?”
“가을 다음에는 어떤 계절이 오나?”
2. 추론적 질문
“너는 현 대통령의 성과를 어떻게 평가하나?”
“지금 우리 고장에서 여름이 없다면 초목들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
날까?”
3. 상위인지 질문
“이 개념은 너의 사고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니?”
“당신은 당신이 수업 중 사용하는 질문 기술이 얼마나 성공적이라
고 평가합니까?”
111출처: Effective Question Strategies, 2012 p26
효과적인 질문기술
질문 구분하기 연습
1. 가족으로 누구누구가 있니?( )
가족이 뭐지?( )
2. 이 사과를 묘사할 수 있니?( )
이 사과를 먹으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 )
3. 스마트 폰을 사용하니?( )
스마트폰 사용의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나?( )
4. 어떻게 그것을 배울 수 있었니?( )
어떻게 그것을 배울 수 있었니? 그것이 네게 왜 중요했
지?( )
112
효과적인 질문기술
(수업을 위한) 질문 만들기 절차
1. 수업목표를 고려한 안내성(시작하는) 질문을 만든다.
• 단원의 수업목표를 명시한다
• 가르칠 핵심 개념을 명시한다
• 단원의 내용을 안내하는 질문을 만들고 이것을 핵심질문과
연결시킨다.
2. 학습자의 다음 특성을 고려한다
• 사전지식/배경지식
• 문화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계층)
• 인지적 능력(지능)
3. 수업을 이끌어갈 질문을 만들어 단원 내내 사용한다
• 학습자의 학습을 단계적으로 지원하고 학습자의 욕구를 해
결할 질문을 만든다.
• <기본적 질문, 추론적 질문, 상위인지 질문>의 3가지 수준
의 질문을 만든다.
•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 변화를 충분히 줄 수 있게
질문을 만든다.
안내성 질문(guiding question) 만들기 예시
1. 가르질 단원 개념을 정의한다.
“세대(generation)란 무엇인가?”(학습자는 주요 특징을 말한다)
2. 단원 개념에 대해 심화된 질문을 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왜 중요한가?”(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3. 학습자의 견해에 대한 증거를 도출한다.
“이것을 어떻게 알지?”(학생은 세대와 지역사회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대한 근거를 댄다)
4. 일반화하거나 결론을 이끌어낸다.
“각 세대들이 기여한 점을 이해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학생은
결론을 내리거나 세대에 대해 일반화를 한다) 114
효과적인 질문기술
안내성 질문의 효과
안내성 질문은 단원의 내용과 관련이 깊고 실제적인 것일 때 더
이해하기 쉽다.
1. “우리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었는데, 유용한
점은 무엇이고 때로는 왜 문제가 되는가?”
2. “황사 예보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3. “요즘 언론에는 어린이집 교사들에 대한 내용이 많은데 그것은
어떤 내용이고 그것은 지금 시점 왜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제가
되는가?”
안내성 질문의 효과
1. 단원의 주요 개념에 주의를 집중시킨다.
2. 교재의 내용을 가장 적합한 사전지식이나 경험에 연결시킨다.
3. 개념의 이해와 기억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
4.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켜 나중에 사용활 수 있게 해준다.
115
효과적인 질문기술
단계적 지식의 확장을 돕는(scaffolding) 질문의 활용 예
• 이 이야기가 일어난 장소는 어디인가? ( )
• 이 이야기에서는 위치와 시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
• 이야기 속의 가족 구조와 세대들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설명하시오.
• 할머니는 글을 어떻게 깨우치게 되었는가? 할머니가 글을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왜 중요한가? 이민자로서의 할머니가 글을 읽지 못하
는 것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 )
• 왜 이 이야기는 역할전환(role reversal)에 관한 것인가? ( )
• 여러분들의 부모나 조부모에게 무엇이든 가르쳐드린 적이 있는가?
그런 경험은 여러분들에게 어떻게 다가왔나요? ( )
• 이 이야기는 앤나와 그녀의 할머니와의 관계에 대해 어떤 점을 얘
기해 주나요? 여러분들의 조부모와 같은 입장에 있는 다른 어른들
에게 기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
• 앤나가 실제 성취한 것은 무엇인가요? ( )
• 여러분들은 글을 해독할 수 있게 되었고 그것은 여러분들에게 얼
마나 중요했나요? ( )
출처: Effective Question Strategies, 2012 p34
피드백 스킬
117
피드백은 현재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더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을 높이
는 데 목적이 있다.
 학습자의 입장에서
피드백의 의미
• 나는 어떤 지식과
기능을 습득해야
하는가?
• 나는 학습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하고 있는가?
• 나는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118
피드백 핵심성공 요인
• 피드백의 질이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소다.
• 학습의 목적과 의도에 초점을 맞춘 피드백이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피드백은 학습한 성과의 긍정적인 면과 강점에 초
점을 두고, 개선을 위한 안내를 할 때 가장 효과적
이다.
피드백 선행조건 3
1. 학습자가 학습의 분명한 목표를 알고 있어야 한다.
2. 학습활동은 학습의 목표와 일치해야 하며, 학습자
는 학습의 목표와 하고 있는 활동의 관련성을 알아야
한다.
3. 평가를 위한 과제를 준비해서 학습자가 학습목표
에 도달한 것과 도달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http://www.ascd.org/publications/ed
ucational-
leadership/sept12/vol70/num01/%C2
%A3How-Am-I-
Doing%C2%A2%C2%A3.aspx
피드백 스킬
119
피드백의 2가지
1. 강점관련 피드백
(success feedback)
“잘 된 점은 ....이다!”
2. 개선을 위한 개입 피드
백(intervention feedback)
오류의 수정, 추가 작업이
필요한 부분, 전략과 절차
의 문제점, 특정한 제안,
질문하기 등
별과 계단
(Stars and Stairs)
피드백 스킬
120
효과적인 피드백의 5가지 특징
1. 학습목표 달성에 초점을 두고, 강점을 칭찬하고 개선을 위한 안내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한다(강점 피드백, 개입 피드백).
2.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학
습이 끝난 때가 아니라 학습의 도중에 제공된다.
3. 학습자가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을 때 의미가 있다.
4. 학습자가 생각할 기회를 빼앗지 않는다.
5. 현재 학습의 목표와 관련이 있는 것에 중점을 둔다.
http://www.ascd.org/publications/educational-
leadership/sept12/vol70/num01/%C2%A3How-Am-I-Doing%C2%A2%C2%A3.aspx
피드백 스킬
피드백의 효과 - 즉각적인 피드백 vs 지연된 피
드백
 수학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해준 경우와 피드백을 늦게 해준 경우의 점수
를 비교한 결과(Brosvic et al., 2006)
즉각적인 피드백 지연된 피드백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121
We can Change Every
Student’s Life for the Better!
122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21ERICK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21ERICK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21ERICK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21ERICK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21ERICK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21ERICK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21ERICK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21ERICK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21ERICK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CS_Lee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ChansunP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Kyubok Cho
 
인지주의컨닝노트
인지주의컨닝노트인지주의컨닝노트
인지주의컨닝노트Jeon Hye Young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Kyubok Cho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Jung Hyojung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지원 김
 

What's hot (19)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뇌과학적 교수학습 원리와 느린 학습자 지도 기술”(2015 경인교대 기초학력지도 교사연수)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흥덕고학부모아카데미특강 최종(2014 4-15)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신수중학부모특강(2013 9-05)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뇌친화학습연구회 워크숍 자료(뇌기반학습을 통한 배움이 느린 학생 수업 지도)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경기도중등수학과 교육연구회 직무연수(최종)(2013 11-09)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김경선선생님발표]Mbe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 수업하기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인지주의컨닝노트
인지주의컨닝노트인지주의컨닝노트
인지주의컨닝노트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기말시험자료(외부용)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03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인지주의)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Team no
Team noTeam no
Team no
 

Viewers also liked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21ERICK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JungHyoJun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YoungSik Jeong
 
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ChansunP
 
[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
[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
[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
형희 김
 
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형희 김
 
14 이승희
14 이승희14 이승희
14 이승희
KOS-ROBOT
 
교육학개론 - 기억
교육학개론 - 기억교육학개론 - 기억
교육학개론 - 기억SeonMan Kim
 
기질과성격강점
기질과성격강점기질과성격강점
기질과성격강점
영훈 김
 
[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
[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
[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
Samsung Medical Center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132534
 
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
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
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
현진 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Min Jeong Son
 
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
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
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
Billy Choi
 
Epigenetics
EpigeneticsEpigenetics
Epigenetics
kasrielk
 
[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
[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
[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
형희 김
 
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
명호 홍명호
 
뇌 과학
뇌 과학뇌 과학
뇌 과학
태훈 정
 

Viewers also liked (20)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12 07.31-경기혁신교육-초등1정-이관주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인지학습치료
인지학습치료
 
[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
[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
[바디랭귀지 강의 자료 8탄] Dream Management(잠 경영) - 잠 잘 자는 방법
 
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바디랭귀지 추천도서 100권을 소개합니다
 
14 이승희
14 이승희14 이승희
14 이승희
 
교육학개론 - 기억
교육학개론 - 기억교육학개론 - 기억
교육학개론 - 기억
 
기질과성격강점
기질과성격강점기질과성격강점
기질과성격강점
 
번뇌 (Korean)
번뇌 (Korean)번뇌 (Korean)
번뇌 (Korean)
 
[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
[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
[삼성서울병원] 아름다운 뇌 만들기 프로젝트(4편)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
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
일하는 뇌(Your Brain at Work)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새로운 뇌]
 
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
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
인간의 이해: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그리고 미래
 
Epigenetics
EpigeneticsEpigenetics
Epigenetics
 
[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
[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
[지식나눔 14탄] 뇌과학과 행동과 창의성 강의 자료-김형희(바디랭귀지 강사)
 
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
 
뇌 과학
뇌 과학뇌 과학
뇌 과학
 

Similar to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Jung Hyojung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tjfsnfl
 
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란희 이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민주 홍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균상 류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민경 정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민경 정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은영 김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민경 정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지원 김
 
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
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
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
승우 이
 
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
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
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승우 이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Minsoo Jung
 
인지주의프로그램북
인지주의프로그램북인지주의프로그램북
인지주의프로그램북ekthf627
 
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미진 이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동민 김
 
Future edu teamproject1 1023
Future edu teamproject1 1023Future edu teamproject1 1023
Future edu teamproject1 1023민경 정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영민 조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gayoung07
 
개정내용 초등교육
개정내용 초등교육개정내용 초등교육
개정내용 초등교육parkds2
 

Similar to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20)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인지주의 팜플렛
인지주의 팜플렛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 준비와 좋은 수업하기 2015
 
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교육실습준비와수업
교육실습준비와수업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
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
에듀플래너 양성과정 ;교과서읽기 학습법
 
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
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
에듀플래너;교과서읽기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인지주의프로그램북
인지주의프로그램북인지주의프로그램북
인지주의프로그램북
 
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메두사 교재 완성 Pdf
메두사 교재 완성 Pdf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마인드맵의 효과적인 활용 및 지도 방법
 
Future edu teamproject1 1023
Future edu teamproject1 1023Future edu teamproject1 1023
Future edu teamproject1 1023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개정내용 초등교육
개정내용 초등교육개정내용 초등교육
개정내용 초등교육
 

More from 21ERICK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21ERICK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21ERICK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21ERICK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21ERICK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21ERICK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21ERICK
 

More from 21ERICK (6)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경기교육청 장학행정협의회 연찬회 강연(최종2014 3-14)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율곡연수원 리더십 심포 발표 최종(2013 11-12)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특강(2013 9-6)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좋은교사운동 특강(2013 6-10)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로고수정)에듀팜 학부모특강(2013 5-28)
 

[대표님특강]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 1.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 www.21erick.org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2015. 7. 13. 아동의 두뇌과학적 이해와 학습 및 생활지도 원리
  • 2. 강의 개요  21세기 아동 청소년의 이해  교사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 두뇌구조와 발달이해  두뇌학습시스템의 이해  정보처리와 기억시스템의 이해  작업기억과 인지부하의 이해  주의 시스템의 이해  부호화의 이해  저장의 이해  인출의 이해  감정과 정서의 이해  사회성감성 지능 높이기  동기의 이해 2
  • 3. 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활동명 나눗셈 문제 만들기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20분 ○ ○ 수업전략 (모둠협력을 통한 복습활동) 학습주제: (세 자리 수 ÷ 두 자리 수)의 나눗셈 원리를 익힌다. ※ 교사와 함께 학습주제에 대한 학습을 한 후에, 복슴 활동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① 4-5명 모둠을 구성하고, 친구들이 나를 위해 만들어줄 문제 수준(상, 중, 하)을 선택하고 노트에 적는다. ② 모둠별로 서로 노트를 돌려가면서, 각자 선택한 수준의 문제를 작성한다. - 문제 수준(상) 예시 :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는 400명이다. 39인 버스를 타고 현장학습을 갈 경우 버 스가 몇 대 필요할까? - 문제 수준(중) 예시 : 322÷25를 계산하시오. - 문제 수준(하) 예시 : 132÷11=12 위 식을 검산식으로 나타내시오. ③ 친구들에게 낸 문제의 정답 및 풀이과정을 노트 뒷면에 적는다. ④ 3문제가 다 만들어지면, 노트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 문제를 풀게 한다. 만약 문제를 풀었을 때의 답(앞면), 친구가 쓴 풀이과정 및 답(뒷면)이 다를 경우 교사에게 가지고 나온다. [출처: 화성 도이초등학교 4학년 수업] 준비물 북아트 재료 예상결과 /기대효과 - 수업시간에 교사와 함께 공부한 ‘나눔셈의 원리’를 다양한 문제 만들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BBE9: 학습성 찰과 자기평가). - 각자 문제 수준(난이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나눗셈을 문제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 할 수 있다. - 친구들이 만든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된다(BBE2: 사 회적 상호작용).
  • 4. BBE2 사회적 상호 작용 활동명 Class Survey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20분 ○ 수업전략 (직소모형) ① 반 친구들을 만나 ‘얼마나 자주 무엇을 하는지’ 묻고, ‘Class Survey’를 완성하는 활동 (주제어: “How often do you~?") ② 기본 모둠(Home group)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해야 할 질문을 연습한다.  그룹 1: How often do you exercise?  그룹 2: How often do you eat snacks?  그룹 3: How often do you read books?  그룹 4: How often do you play computer games?  그룹 5: How often do you study English? ③ 각 학생들에게 질문지를 주며 A, B, C, D, E 라고 지정해준다.④ 학생들은 자신이 받은 알파벳과 일치하는 테이블을 찾아간다. 가령, A를 받은 학생은 A라고 적힌 테이블로 이동한다(전문가 그룹).⑤ 학생들은 다른 친구들에게 원래의 그 룹에서 연습했던 질문을 하고, 질문지에 있는 차트에 학생 수를 표시한다.⑥ 질문 및 대답이 모두 끝나면, 학생들은 다 시 원래의 그룹으로 돌아와, 각자 수합한 자료를 Class Survey라는 종이에 결과를 옮긴다. 교사는 각 질문에 해당하는 ‘Class Sruvey’ 다섯 장을 교실 벽면에 게시하여 학생들이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준비물 Survey Sheet, Group Sign 예상결과 /기대효과 - 다른 친구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해당 구문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 기본 그룹에서 질문을 충분히 연습하여, 전문가 그룹에서 어떤 결과를 가지고 오는 데서 도전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모둠활동에 필요한 규칙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터득할 수 있다. -인터뷰를 진행하는 동안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잔잔한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좋다.
  • 5. BBE3 의미 탐색 활동명 어떻게 분류할까?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2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패턴화하기- 실생활과 연결) ① 학생들이 좋아할만한 물건을 넣은 상자를 모둠 수대로 준비한다(이때 각 모둠별로 서로 다른 물건을 넣는 다). ②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을 꺼내어 분류한다. ③ 각 모둠별로 상자 속의 물건들이 어떤 기준으로 분류되었는지를 논의하고,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모둠학습 지에 답을 쓴 뒤에, 상자 밑에 있는 답을 확인하고, 틀렸을 경우 다시 분류한다. ④ 다른 모둠의 상자에 들어 있는 물건도 분류해보고, 학습지에 기록한다. ⑤ 모둠별로 정한 기준에 대해 발표한다. 준비물 사탕, 초콜릿, 학용품, 단추, 과자, 상자, 모둠학습지, 기준/정답카드 예상결과 /기대효과 - 분류 기준을 스스로 생각해봄으로써 추론 능력과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 사물을 인지하고 특성을 알아내고 비슷한 속성끼리 묶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인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BBE5: 부분과 전체) - 학생들이 좋아하는 간식 등을 담아두고, 수업이 끝난 후에 나누어먹으면서 내용을 자연스럽게 복습하게 할 수 있다(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 상호 협력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수업이 가능하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학습 속에서 패턴을 찾아 실생활과 연결하여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
  • 6. BBE4 정서 연결고리 활동명 Classroom Olympic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15분 ○ 수업전략 (지각적 주의환기) ※ 학습주제: ‘I’m faster than you‘ 단원에서 비교하는 활동을 실제로 하면서 목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① 학생들에게 주제를 제시하고(예: I’m taller than you), 비교 대상이 되어볼 지원자를 앞으로 나오게 한다. 본 예시에 시에서는 키가 큰 친구 두 명이 자원하여 나오게 된다. ② PPT 슬라이드의 다음 화면에서 비교하게 되는 대상은 키가 아니고 ‘sitting height(앉은 키)’가 나오면, 학생들은 깜 깜짝 놀라며 재미있어한다. 이 때 ‘Minsu’s sitting height is taller than Jieun’s sitting height.‘라는 문장을 연습시킨다. 준비물 Classroom Olympic 진행 PPT 예상결과 /기대효과 - 예상했던 내용에서 벗어난 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내용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면서 집중하게 된다. - 영어에 대한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여 다소 위축될 수 있는 학생도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신체 활동과 연계하여 기 억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BBE6: 신체동작 활용).
  • 7. BBE5 부분과 전체 활동명 이야기 수학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자기주도 탐색활동) ① 그림이나 동영상을 보여주고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이번 시간에 공부할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예시) 민데렐라 이야기(등장인물:. 민데렐라, 문지기) 민데렐라: 아~ 여기가 요정 나라 정문이구나. 얼른 마법 호박을 들고 나가야지. 문지기: 잠깐! 굉장히 무거워 보이는데.. 마법 호박은 한 번에 5kg밖에 가지고 나갈 수 없소! 지금 가지고 있는 마법 호박이 모두 몇 kg이지? 민데렐라: 가만 있어보자. 1.6 kg짜리 최상급 호박 3개를 챙겨왔는데, 이게 모두 몇 kg이지? 5kg이 넘으면 큰일인데... 준비물 사진 자료 및 PPT 또는 플래시 동영상 예상 결과 /실행 결과 - 학생들이 이야기 속의 ‘민데렐라’ 입장이 되어 문제를 풀게 함으로써, 수학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 다른 분야나 실생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BBE7: 패턴 연결). - 수학적 개념(활동, 원리)뿐만 아니라 수학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 8. BBE6 신체동작 활용 활동명 원주율을 구하라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5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신체활동 활용) ① 운동장에서 모둠별로 3~5m 노끈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② 중심과 반지름, 지름을 확실하게 표시하여 원을 그린다. ③ 그려진 원을 가지고 원주가 무엇인지 알려준다(‘원주는 원의 둘레의 길이입니다’) ④ 모둠별로 주어진 3-5m의 노끈이나 아이들의 발자국 개수(자신의 신발 사이즈, 가령 220mm)를 이용하여 원주 의 길이를 잰다. ⑤ 우리 모둠의 측정한 원주는 지름의 몇 배가 나오는 지 계산한다. ⑥ 다른 모둠의 결과와 비교한다. ※ 움직인 활동이 가능한 학습 내용 가. 4학년 1학기 3단원 - 각도 부채의 펼쳐진 정도를 각도로 말해보거나 말한 각도를 부채나 자를 이용하여 그리고 확인한다. 나. 5학년 1학기 8단원 - 여러 가지 단위 ㎡(1m × 1m), a(10m × 10m)의 단위를 운동장에 그려보도록 한다. 준비물 대못 2개, 3m, 4m, 5m 노끈 예상결과 /기대효과 - 교실 분위기보다 자유롭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학습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자기 모둠과 다른 모둠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주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교과서 지식이 아닌 움직임을 통해 배울 수 있다.
  • 9. BBE7 패턴 연결 활동명 스토리텔링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5분 ○ 수업전략 ① 본시 학습과제와 관련된 문제 상황을 스토리텔링으로 제시한다. 마법나라에서 생일 선물이 도착했습니다. 선물은 보물 상자와 마법카드 3장입니다. 보물 상자는 자물쇠로 잠겨 있는데 이를 열기 위해서는 마법카드로 열쇠 3개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의 <조건>에 맞게 열쇠 3개를 만들어 그리시오. [조건] 각각의 마법카드를 잘라 3개의 삼각형을 만든다. ㉮ 열쇠는 세 각의 크기가 모두 9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인 삼각형 모양이다. ㉰ 열쇠는 한 각의 크기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삼각형이다. ② 학생들에게 다양한 발문을 통해 문제 상황을 인식하도록 안내한다. - 받은 선물은 무엇입니까? - 보물 상자를 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③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학습목표를 세우게 한다. 준비물 마법나라 생일선물 이야기 PPT 예상결과 /기대효과 -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여 ‘생일선물’이라는 자신의 생활 및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 학습내용이 스토리텔링형태로 문제 상황과 관련지어 제시됨으로써 배운 내용들이 포괄적인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 가 있고 얼마나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BBE5: 부분과 전체).
  • 10. BBE8 발달단계 고려 활동명 상호 피드백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공통/초6 진행시간 5분 ○ 수업전략 ※ 루브릭은 수행을 완수하기 위한 ‘일종의 지도’ 역할을 하므로,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학생들과 협의하여 작성하 고, 나누어준다. 루브릭을 통해 학생들은 어떻게 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게 된다. ① 새로운 단원이 시작할 때 나누어준 루브릭을 꺼내놓고, 항목에 대한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여, 1점부터 4번까지 점 수를 매긴다. ② 프로젝트를 함께 한 모둠원과 서로의 루브릭 용지를 바꾸어, 서로의 수행에 대해 평가한다. ③ 교사는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최종 점수를 매긴다. [예시] 준비물 루브릭 평가지 예상결과 /기대효과 - 학생들은 과제 수행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기에, 자신의 수행과정에 좀 더 집중하게 된다. - ‘루브릭’이라는 설계도 하에, 학습 계획을 세우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면서 최종 목표에 단계적으로 도달하게 한다. - 자기 평가와 친구의 평가, 교사의 평가를 종합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스스로 깨닫게 된다(BBE2: 학습성찰과 자 기평가).
  • 11. BBE9 학습성찰과 자기평가 활동명 학습정리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수학/초4 진행시간 20분 ○ 수업전략 ①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발문을 한다. - 이 답이 문제에서 묻고 있는 답이라고 확신하는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 자신의 풀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 - 이 문제를 풀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는가? -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구할 수는 없는가? - 다른 문제에 이 결과나 방법을 적용할 수는 있는가? ② 교사의 발문에 대한 각자의 답을 배움 노트에 정리한다. ③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보거나, 오늘 배운 문제풀이 방법 외에 다른 해결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게 한다. ④ 정리 형식은 각자 이해하고 정리하기 편한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 사전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배움 노트’ 정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정리하는 기술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점판형> <일반형> 대부분의 도형 학습 도형의 이동 및 대칭 점판(지오보드) 활용 학습 문장제 해결 학습 수학일기 및 일반 활용 학년 고려 준비물 배움 노트 예상결과 /기대효과 -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고,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보충지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 각자의 성향을 존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정리를 할 수 있게 한다(BBE10: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 12. BBE10 개개인의 다양성 고려 활동명 너도 짱, 나도 짱! 수업 단계 도입 전개 정리 과목/학년 영어/초6 진행시간 10분 ○ 수업전략 (선택형 모둠활동을 통한 복습활동) ① 4명이 한 모둠이 되도록 모둠을 구성한다. ② 설명자, 도우미, 답변자, 격려자 중 하나로 역할을 분배한다. ③ 서로 돌아가면서 원하는 역할을 해볼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한다. 준비물 직업 관련 플래시 카드 예상결과 /기대효과 -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여, 각자 원하는 역할을 선택하게 한다. - 복습 내용을 즐겁게 집중하여 상기시킬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BBE1: 스트레스 요인 제거) - 모둠활동을 통해 역할을 나누고, 질문을 묻고 답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BBE2: 사회적 상호작용). 역할자 주요 활동 1번(설명자) 직업에 관련된 카드를 보고 몸동작 및 영어로 설명하기 2번(도우미) 3번 학생의 뒤에서 그림카드 넘기기 3번 학생이 도움을 청하면 답 이외의 힌트를 줄 수 있음 3번(답변자) 정답 말하기(잘 모르겠으면 ‘패스’ 하기) 4번(격려자) 시간재기 (모둠에서 1명에게 1분 또는 30초로 정하기) 답이 맞으면, “Good Job!”, 틀리면, “Cheer up!” 말하기
  • 13. 과제1 문제의 해결의 시작점은 무엇인가? • 수업태도 불량 • 충동적이며 통제 어려움 • 무기력함 • 자기유능감, 자존감 낮음 • 사회성, 감성 부족 • 학습의욕 없음 • 학습에 대한 두려움 큼 • 주의 집중력 떨어짐 • 이해력 떨어짐 • 기억력 떨어짐
  • 14. 14 출처: http://www.mindfulschools.org/about-mindfulness/mindfulness/ 마음챙김(mindfulness; awareness)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 그램은 교사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줄임 으로써 정서적 웰빙은 물론 교사를 위한 사회성-감성 역량을 키우 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교사가 정서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 면 이것이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아래 도 표처럼 마음챙김을 통해 외부 자극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사적 대 응을 하지 않고 매우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효과적인 수업전략 - 교사의 마음챙기기
  • 15. 15 교수학습의 사회적-정의적 차원(SEDTL: Social and Emotional Dimens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 교사가 자신의 SEL 역량(지식, 스킬, 마음 습관)을 갖춘다. • 교사가 교실의 사회적-감성적 환경을 관리하는 능력을 갖춘다. • 교사가 학생의 SEL 스킬을 키우고 ‘마음습관’을 강화하는 능력을 갖춘다. 효과적인 수업전략 – 교사의 사회성감성 역량
  • 16. 16 마음챙김 역량 및 회복력 함양하기(CARE: Cultivating Awareness and Resilience in Education) CARE 연수 프로그램은 아래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 심호흡 3회 하기 • 호흡에 마음 집중하기 • 걷기에 마음 집중하기 • 타인에 대한 배려 연습하기 • 신체 각 부위를 훑으며 이완하기 • 먹는 것에 마음챙기기 • 감성과 정서 일지 기록하기 효과적인 수업전략 – 교사를 위한 CARE 프로그램
  • 17. 17 저를 예쁘게 봐 주세요 (Red and Kathy Grammer) 저를 예쁘게 봐 주세요. 저 안에 숨어 있는 가장 좋은 점을 찾아내 주세요. 그게 진정한 저이니까요. 또 그게 제가 그렇게 되고 싶은 모습이니까요. 그러나 시간이 좀 걸릴 거예요. 발견하기가 쉽지 않을 거예요. 그래도 예쁘게 봐 주세요. 비폭력대화 (NVC)- 아이들의 바람
  • 18. 18 더 나은 선택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리는 생각하는 법, 경청하 는 법, 대화하는 법, 행동하는 법에 대해 좀 더 선택적 일 수 있다.  우리는 선택의 주체다. 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 우리는 행동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는 생각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는 상대방 얘기를 듣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는 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비폭력대화 (NVC)- 더 나은 선택
  • 19. NVC 모델 솔직하게 말하기 공감으로 듣기 내가 를 보았을 때 당신은 를 보았을 때 나는 라고 느껴 왜냐하면 나는 가 중요하기 때문에 해 줄 수 있겠니? 당신은 라고 느껴? 왜냐하면 당신은 가 중요하기 때문에? 당신은 내가 하기를 원해? 관찰 Observation 느낌 Feeling 욕구 Need 부탁 Request
  • 20. NVC 의사소통 순서도 자기 공감 내가 보고, 듣는 것은? 느끼는 것은? 필요한 것은? 원하는 것은? 의도 나는 내 생각대로 하고 싶어. 의도 나는 연결시키고 싶어. 내가 선택할 것: 다른 사람의 이야기 듣기 그녀가 보고, 듣는 것은? 느끼는 것은? 필요한 것은? 원하는 것은? 내가 선택할 것: 나 자신을 표현하기 내가 보고, 듣는 것은? 느끼는 것은? 필요한 것은? 원하는 것은?
  • 21. 비폭력대화 - 구성 요소 21 비폭력대화는 다음 요소들을 인식하면서 자신을 명 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우리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는가를 관찰한다. • 우리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지 못하는가를 관 찰한다. • 우리는 지금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필요로 하며 원하는가를 안다. •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대방에게 어 떻게 부탁하는가. • 의견과 신념을 단지 의견과 신념이라고 표현하며 사실이라고 발하지 않는다.
  • 22. 22 비폭력대화는 다음과 같은 것을 공감으로 듣게 해준다. • 다른 사람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는가를 공 감한다. • 다른 사람의 욕구를 무엇이 충족시키지 못하는 가를 공감한다. • 다른 사람이 지금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필요 로 하는가를 공감한다. • 다른 사람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행동을 부탁하고 있는가를 공감한다. 비폭력대화 - 공감하기
  • 23. 관찰을 위한 노래1 23 평가대신 관찰을(루스 베버 마이어) 나는 게으른 사람을 본 적이 없어요. 내가 지켜보고 있을 동안엔 나보고 엉뚱하다고 하기 전에 한 번 생각 해보실래요? 그가 정말 게으른 사람인지, 아니면 그저 우리가 ‘게으르다’고 이름 붙인 일들을 했 을 뿐인지.
  • 24. 24 평가대신 관찰을(루스 베버 마이어) 나는 바보 같은 아인 본 적이 없어요. 가끔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일이나 예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하는 아이는 보았어요. 그 아일 바보라고 부르기 전에 생각해보 시겠어요? 그 아이가 바보 같은 아이인지 아니면 당신과는 다른 것들을 알고 있을 뿐인지. 관찰을 위한 노래2
  • 25. 평가와 관찰 – 전환 연습 평 가 관 찰 너는 인심이 너무 후해 네 점심값을 전부 다른 사람에게 주는 걸 보니 걱정된다. 너도 돈이 필요할지 모르는 데, 다 줘버리는 것 같아서 말이야 철수는 꾸물대는 버릇이 있어 철수는 시험 전날에야 공부한다 그 사람은 일을 끝내지 못할 거야 그 사람은 오늘까지 내기로 한 보고서를 내지 않았다 요즘 젊은이들은 예의가 없어 내 옆자리의 20대로 보이는 청년은 할머니 가 서 계시는데도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다 김진우는 형편없는 축구 선수야 김진우는 20경기에서 한 골도 못 넣었어 태호는 못 생겼어 난 태호의 외모에 끌리지 않아
  • 26. 26 관찰인가, 평가인가? 1. “내가 한 학생에게 내 말을 주의해서 들으라고 하자 버릇없이 말대꾸 를 했다.” 2. “자기가 숙제한 것을 개가 먹어버렸다고 우진이가 말했어.” 3. “6학년 아이가 3학년 아이한테 ‘야! 이 멍청아’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 어.” 4. “그 여자애는 아주 똘똘하다.” 5. “너는 훌륭한 작가야.” 6. “내 기억으로는 이번 주 내내 그 아이가 시간 맞춰 등교한 적이 없었 어.” 7. “걔는 약한 애들을 괴롭혀.” 8. “그 여자애가 자기는 학습장애가 있다고 말했어.” 9. “난 걔가 다른 여자애 세 명과 함께 새로 전학 온 아이한테 손가락질 하면서 웃고 떠드는 걸 보았어.” 10. “걔네들은 수업을 무척 방해가고 있었어.” 평가와 관찰 – 전환 연습
  • 27. 학습 태도를 결정하는 3가지 관계 1. 지지자와의 관계(담임, 부모, 상담교사 등) -일차적인 안정감 속에서 믿고 의지하고 싶어한다. -교사-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목표, 사회화, 동기, 학습 성취를 결정한다. 2. 친구들과의 관계 -친구들과 함께 의논하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배운다. -또래 문화 속에서 동질감, 소속감, 유대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3. 집단에서의 자신의 위치 확보(집단과의 관계) - 누군가에게 관심 받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 집단 속에서 학생들 각자의 입지를 확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위 3가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 사항 1. 학생 (존중)을 체화하라. 2. (사회성)을 교수요목에 넣어 가르쳐라. 3. (가족적) 분위기를 연출하라. 빈곤 계층 초등학생들 중 선생님들과 친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 는 집단은 읽기와 어휘 능력이 개선되었다 (Pianta &Stuhlman, 2004). 27
  • 28.  각각의 감정들을 하나의 키보드에 비유해보자.  타고난 감정만으로는 소수의 계이름으로만 연주가능  사회적으로 중요한 감정들은 학습이 필요 학습 되는 감정들 • 겸손 • 관대함 • 공감능력 • 낙관주의 • 열정 고장난 감성 키보드의 수선 학습 되는 감정들타고난 감정들  슬픔  기쁨  역겨움  분노  놀라움  두려움 • 동정심 • 인내심 • 수치심 • 협동심 • 감사 (Ekman, 2003) 28
  • 29. 어른들의 잘못된 기대 바루기 교실/가정에서 일어나는 행동/태도 문제들의 다 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의 기대’로부터 시작된다 아이들에게 상황에 따라 어떻 게 감성적으로 반응해야 하는 지 지도가 필요하다. 많은 아이들은 어떤 상황에 어 떤 반응을 보이는 것이 적절한 지 알지 못한다.
  • 30. 30 "Movement is Good 4 the Brain" 움직임은 정신을 맑게 하고 스트레스 줄여주며 전반적인 몸 상태를 좋게 한다. 뇌의 학습원리 - 학습과 신체의 움직임
  • 31. 음악 수업을 하면 뇌의 감 각피질이 20-40% 변한다! 감각피 질 예술 활동은 인지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 • 예술 교육 vs. 예술 통합교육 • 예술교육과 주의력, 인지능력 향상과 상관 큼 효과적인 수업전략 - 예술활동
  • 32. 감정과 운동-포도당 생산 -기억에 영향 32 출처: Gore JB, Krebs DL, Parent MB(2006) 감정과 신체활동은 포도당 생산을 촉진 하고, 포도당 공급 은 기억에 영향을 준다.
  • 34. 34 출처: 10 Best Teaching Practices, Donna Walker, 2011 P6 교육패러다임의 전환 -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 자기체계 3요소 1. 나는 저것을 배우고 싶 고, 배울 필요가 있는가? (학습과제에 대한 태도/ 중요성 인식) 2. 나도 배울 수 있을까? (자기 유능감 – 달성 가능 성에 대한 믿음) 3. 과제에 대한 나의 기분 은 부정적인가 긍정적인 가? (학습과제에 연계된 감정)
  • 35.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http://www.vaniercollege.qc.ca/pdo/2013/04/teaching-tip-learning-with-marzano Marzano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자기체계 몰입여부 결정 상위인지 체계 목표와 전략 수립, 자기조절, 평가 인지 체계 지식 영역 정보 정신적 절차 신체적 절차 정보의 처리 지식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 재인하기 회상하기 실행하기 합성하기 표현하기 통합하기 기호화하기 대응하기 분류하기 오류 분석 일반화하기 명시하기 의사 결정하기 문제 해결하기 실험적 탐구 조사하기
  • 36. 36 • 희망은 긍정적 기대다. • 희망은 긍정적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 희망은 기분과 끈기를 향상시 켜 성공 확률을 높인다. • 부모/교사가 자녀/학생에게 모든 것을 다 잘해주더라도 만약 자녀/학생이 잘 해낼 것 이라는 믿음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은 허사가 된다. • 너무나 많은 아동이 부정적 피드백을 받는다. 그들에게는 지속적으로 희망이 필요하다. 희망은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 가장 중요한 것은 - 희망
  • 37. 37 학습무기력 극복과 희망 만들기 1. 교사-학생 간의 관계 강화 2. 성공적 경험제공 3. 성공의 롤 모델 제공 4. 목표수립과 달성방법 지도 5. 시간관리 방법 지도 6. 자신의 생활관리 체크리스트 활용 7. 더 좋은 선택을 하는 방안 지도 8. 자신의 꿈 찾아 말하고, 그림으로 그리고, 이를 노 래로 만들어 부르고, 말하고 쓰기 희망 만들기
  • 38. 자신감 관리 38 자신감 키워주기 • 잘 해낼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은 허사 가 된다. 예상되는 성과와 상관없이 교사는 높은 기대 와 목표를 유지한다. • 가정배경, 유전요인에도 불구하고 좋은 교수법 적용을 통해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믿는다. •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생을 통해 성장한다는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인다. • 아래와 같이 희망을 주고 재도전을 장려하는 피드백을 자주 한다. “네가 이번에 잘 하지 못한 것 안다. 그러나 나는 항상 널 믿고 널 지지해. 너는 결국은 해낼 거야. 포기하지 말고 좀 더 끈기를 발휘해보자.” • 학생에게 부정적인 꼬리표를 달지 않는다.
  • 39. 자신감 잃게 하기 39 교사는 왜 느린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지 못하는가?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 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 유전요인, 환경요인, 다른 조건들 때문에 학습 잠재력이 낮다고 믿는다. •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을 거라 생각하고 대충 가르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한다. • 강점보다는 잘못된 것부터 찾아낸다.
  • 40. 자신감 심어주기 40 어떻게 해야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가? • 잘 해낼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않으면 모든 것은 허사 가 된다. 예상되는 성과와 상관없이 교사는 높은 기대 와 목표를 유지한다. • 가정배경, 유전요인에도 불구하고 좋은 교수법 적용을 통해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믿는다. •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생을 통해 성장한다는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인다. • 아래와 같이 희망을 주고 재도전을 장려하는 피드백을 자주 한다. “네가 이번에 잘 하지 못한 것 안다. 그러나 나는 항상 널 믿고 널 지지해. 너는 결국은 해낼 거야. 포기하지 말고 좀 더 끈기를 발휘해보자.” • 학생에게 부정적인 꼬리표를 달지 않는다.
  • 41. 능력보다 노력/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1. 노력과 전략 사용을 강조하는 피드백을 준다. • 노력: “스펠링 추가 연습의 덕을 많이 봤구나. 너의 스펠링 시험 점수가 96점이란 다.” • 전략: “너 나누기 문제를 순서를 잘 지켜 풀어서 다 맞았구나!” 2. 학습자가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경우, 그 실패를 노력/전략과 연결시킨다. • 노력: “너 철자시험이 52점이더라. 선생님이 보니까 너 이번 주는 단어 시험만큼 연습을 덜한 것 같더라. 시간을 내어 좀 더 연습을 하면 좋은 성적이 나올 거야!” • 전략: “너, 문제 푼 것 보니까 묶기(grouping)를 잘못해서 6문제 틀렸더라. 다음 번에는 묶기 전략을 잘 써봐. 다시 해보지 않겠니?” 3.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가르쳐 준다. 4. 노력이 어떻게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보여준다. 5. 학습자에게 전략을 알려 준다. 6. 똑똑하게 되는 것은 공부 기술과 전략을 얼마나 잘 갖추고 있느냐에 달 렸음을 강조한다. 7. 성적의 오름과 내림의 원인은 자신의 내부에 있음을 강조한다. 성적이 올랐다면 노력 및 바른 전략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한다.
  • 42.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42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유발의 원리
  • 43. 학습자 스스로 선택(choice)하고 통제(control)할 수 있을 때 동기 가 향상되고 학습이 강화된다. •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방식, 평가방식을 선택(choice) 하고 주도할(control) 수 있을 때 학습에 대한 책임감, 주인의식 , 동기, 성과가 향상된다. • 무언가를 ‘선택’한다는 것은 엄청난 힘을 지닌다. 우리는 스스 로 선택한 것에 대해 책임 지려하기 때문이다. 43 효과적인 수업전략 – 학습자의 선택과 통제
  • 44. 44 동기관리에 대한 교사의 잘못된 인식 5  통제가 필요하다 -> 동기유발이 필요하다“자신이 또 하나의 시 험 점수의 채점 대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면 잘하거나 열심히 할 이유가 없다” “이미 (교사/부모가) 자신은 실패할 거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자 신이 노력할 이유가 없다”  틀린 것은 지적한다 -> 교육적인 피드백을 하고 질문 자체와 논의의 깊이를 더한 것에 고맙다고 말한다  학습에 게으르다 -> 교사가 알지 못하는 이유가 있거나, 열심 히 하는 것이 따로 있다  말을 듣지 않는다 ->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존중하는 교사에게 는 태산이라도 움직이려고 한다  수업을 지루해 한다 ->  10-15분 마다 수업의 모드를 바꾼다  잘못된 판단과 실패에 대해 회복을 돕는다 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교사가 열정을 보인다  학생의 출신 문화를 고려해 과제를 내준다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유발의 원리
  • 45. 45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유발의 원리 학습자의 동기를 떨어뜨리는 10가지 요인 1 오늘의 수업 내용이 오직 고교과정 이후의 미래를 위해 필 요하다는 도입 설명(지금의 삶에 의미가 있도록 해야!). 2.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교사가 말하고, 잘 못했을 때 훈시 를 길게 하는 경우 3. 해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숙제나 과제의 부여 4. 자신에 대해 (교사/부모가)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5. 실패를 나타내는 기호나 점수 6. 강점보다는 약점,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7. 실력이 부족하다고 인지수준에 맞지 않는 자료로 수업 8. 학생 자신에게는 심각한 감정적 문제이나 이를 하찮게 여 기는 경우 9. 개인의 욕구, 필요, 재능, 학습속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 로 부여하는 수업 10. 비꼬는 일
  • 46. 학습자들에게 긍정적 기대와 믿음을 보낼 때 학습자들의 뇌는 이에 긍정 적 으로 반응한다.  기대효과(The expectation effect) - 자신 혹은 타인에 대한 기대의 결과, 인식과 행동 이 변하는 현상 46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 음이나 기대, 예측이 그 대상에게 그대로 실현되는 경향 • 로젠탈효과(Rosenthal effect) - 피그말리온 효과를 교육학에 접목 한 것 효과적인 학습전략 - 기대
  • 47.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47 동기유발의 원리
  • 48. 동기유발의 원리 – 목표/몰입 중심 수업 48 ▷ 목표 중심 • 질문1 – “내가 오늘 해야 할 수업은 무엇인가?” • 질문2 – “나는 어떻게 하면 오늘의 학습목표를 학생들이 달성하게 할 수 있을까?”(=수업이 끝 났을 때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기를 바라는 가?) ▷ 몰입 중심 • 질문3 – “나는 어떻게 하면 쉽고 재미있게 가르 칠 수 있을까?” • 질문4 – “나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수업에 몰 입하게 할 수 있을까?”
  • 49. 목표에 집중하기 49 수업 목표를 정하는 4가지 기준(4Ms) • 감당/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운다 (Manageable). • 수업이 끝나면 목표의 도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목표를 기록한다(Measurable). • 목표를 최우선시 함으로써 목표가 수업을 이 끌어 가도록 한다(Made First). • 대학진학에 필요한 학업성취도 향상을 가장 중요시 한다(Most Important).
  • 50. 목표에 집중하기 50 ▷과제 다음의 단원 목표의 서술을 4Ms에 비추어 평가해보자. 1. 학생들은 분모가 같은 분수와 다른 분수 를 더하거나 뺄 수 있다. 2. 학생들은 시련(The Crucible)이란 희곡 을 영화화 한 것을 시청한다. 3. 학생들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일을 위해 기념 포스터를 만든다.
  • 52. 52 http://3.bp.blogspot.com/-7fSAuC3i0Cc/UUNkWhk2OMI/AAAAAAAAHfU/eTdEual3Xyc/s1600/AESR+Heading+3.jpg • 주의 - 세상을 경험할 때 수많은 자극들 중 필요한 것만 선 별한다. • 부호화 - 선별되어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자극(외부정보)을 개별 신경세포 혹은 신경망 차원에서 전기적 활동으로 변 환하는 과정이다. • 저장 - 마음속으로 들어 온 정보를 선별하고 시연(試演)을 통해 저장한다. • 인출 -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속해서 이를 다시 불러낸다. 인지적 학습의 4단계
  • 53. 인출과 부호화 Retrieval strengthens memory. Organization of encoding influences retrieval. Successful retrieval depends greatly on environment. 인출이 기억을 강화한다. 어떻게 부호화하느냐가 인출에 영향을 미친다. 성공적인 인출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53 • 인출이 기억을 강화한다. (Retrieval strengthens memory.) • 어떻게 부호화하느냐가 인출에 영향을 미친다. (Organization of encoding influences retrieval.) • 성공적인 인출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Successful retrieval depends greatly on environment.)
  • 54. 54http://www.senseandsensation.com/2013/03/storage-ii-sleep-and-memory-part-7-of- 14.html#!/2013/03/storage-ii-sleep-and-memory-part-7-of-14.html • 1~2시간: 해마에서의 기억의 응고화가 일어난다. • 2~6시간: 장기기억을 위해 해마에서 대뇌피질로 옮겨진다. • 6~9시간: 대뇌피질에서 시연의 과정이 일어난다. 정보의 저장
  • 55. 뇌는 <감각등록, 단기기억(작업기억), 장기기억>이 긴밀하게 서로 협력하여 정보를 처리한다.
  • 56. 작업기억의 중요성 입력 단기기억 장기기억 작업기억 출력 잊어버 린 정보
  • 57. 57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 출처: How the Brain Learns David Sousa, 2011 p50 작업기억 IQ 습관 3Rs ① WM은 정보를 유지하 고 조작하는 곳이다. ② WM은 주의를 기울이 는 동안만 잠시 유지된다. ③ WM은 동시에 3-5개의 정보만 유지할 수 있다. ④ 학습에는 WM과 주의 력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 58. 작업 기억력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1. "잠깐 멈춤" 기법.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몇 분간 멈춘다. Use the “pause” technique. Every few minutes, pause to let content sink in. 2. 이해를 돕기 위해 기억 단위를 짧게, 그 다음 다시 반복 Chunk content into smaller chunks to aid understanding, then review. 3. 내용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사전 활동 실시 Prime the learning to create an attentional bias to the content. 4.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전두엽을 자극시키기 위한 신체 움직임을 먼저 Do a fast physical activity first to activate frontal lobe uppers like dopamine and norepinephrine.
  • 59. 볼 패스하며 말/문장 이어가기 59 • 학생1- I like playing soccer. • 학생2 - I like playing soccer and playing piano. • 학생3 - I like playing soccer, playing piano, and swimming.
  • 60. 작업 기억을 위한 전략들 1. 부르고 응답하는 노래들 Call-response songs 2. 게임 Games (Simon Says, cards, etc.) 3. 박수를 치면서 반복 Clapping repeats 4. 지시문 반복 Repeat the directions 5. 파트너/그룹 활동 Partner/group practice w/add-ons 6. 사전 노력을 반복, 그 다음 소리, 단어, 문장 Repeat prior effort, then add a sound, word, or sentence 7. 파트너, 친구, 교사가 말하고, 학생은 내용을 쓴다. Partner, buddy or teacher speaks, student writes the content
  • 61. 왜 두뇌과학적 교수학습법인가? 61 “뇌 속에서 학습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모르 고 가르치는 것은 사람의 손가락이 어떤 모양으로 생겼고, 어떻 게 움직이는지를 모르면서 장갑을 디자인하는 것과 같다.” (Leslie Hart, 1983) http://designshack.net/articles/business-articles/using-the-black-box-model-to-design-better-websites
  • 62. 학습은 사전지식,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에 의해 재구성되 는 과정이다. 학습은 백지상태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62 • 사전지식은 학습자가 학습할 내 용을 정확히 그리고 깊이 학습할 수 있는지 또 어떤 방법으로 학 습할지를 결정한다. • 사전지식은 개인마다 다르고 매 우 복잡한 형태며 변화에 저항감 이 높다. • 최선의 교수법은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새 롭게 확장해 가는 것이다. • 사람이 보는 것, 기억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것에 의해 결정된 다. http://www.hebisd.edu/news/article.asp?ArticleID=1882 학습은 새로운 정보와 사전지식의 연결
  • 63. 63 인출은 부호화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부호화 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인출될 수 없다. 인출의 성공과 실패는 존 재여부(availability)와 접근성(accessibility)으로 설명된다. 즉, 저장 된 정보는 장기기억의 어딘가에는 분명 존재하고 있지만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정보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인출(引出, retrieval) 부호와와 인출 용이성 http://theelearningcoach.com/learning/what-is-cognitive-load/
  • 67. 최적의 학습 상태 조직하기 상태 교사의 행동 목표상 태 도입기 상 태 따분함 좌절감 현기증 배고픔 분노 회의론 무관심 짜증 분개 절망 공포 졸림 짓궂음 목표 상태 예측 자신감 호기심 긴장감 호기심이 많 음 흥미진진함 기대 얼떨떨함 도전 학생들은 교사가 얼마나 알고 있는가보 다는 자신들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져 주는가에 관심이 있다. They won’t care how much you know until they know how much you care.
  • 69. 69 자아존중감 저하 - 부정적 피드백 • 초중고 12년 동안 학생이 받는 부정적 피드백의 수: 15,000회(Reasoner, 1989) • 유치원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80% • 초등6학년 때의 긍정적 자아상 비율: 12% 효과적인 학습전략 - 동기 자아존중감 저하 - 복합 요인 • 학습결손의 발생과 보정기회 놓침 • 학습을 저해하는 두려움 증가 • 부정적 자아상 • 부정적 호칭 갖기 • 심한 질책 받음 • 처벌 받음
  • 70. 감정과 정서는 패턴탐색, 의사결정, 학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감정의 뇌와 이성의 뇌의 협력이 중요하다. 감정에 의해 어떤 자극에 주의(attention)를 줄 지, 무엇을 학습하고 기억할지 결 정된다(Kovalik, 2009; Jensen, 2008). 결국 감정은 학습능력 을 향상시키기도 하고 떨어뜨리기도 한다. 감정과 정서는 학습 으로 가는 온오프 스위치라고도 부른다. • 적절한 감정을 수반하는 학습과 감정이 실린 경험은 더 높은 흥 미와 적극적인 참여, 활발한 기억 유지가 일어나도록 한다. • 긍정적 감정은 도파민 분비를 촉진해 장기기억을 돕는다. 70 효과적인 수업전략 – 학습자의 기분 관리 • 외부 정보의 의미를 탐색할 때 감정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감정은 모든 생각, 행동, 학습 과정의 일부이자 배경이다(Caine et al. 2009).
  • 71. • 안전(safe)하고 안심이 되며 (secure), 소외되지 않고 (accepted), 심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환경 속에서 학습은 최적화된다. • 흥미있고, 의미있는 학습 경험 은 좋은 신경전달물질이나 호 르몬을 분비해서 주의력을 높 이고 기억을 담당하는 뇌부위 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71 정서적 건강(emotional health)이 학습에 중요하다! http://www.peakachievement.com/transf orming-seniors-lives
  • 72. 주의 모드 관리의 실패 72 • 생존모드(survival mode) 인간이나 동물은 생존하기 위해 생존에 관계되는 정보나 자극에 가장 먼저 주 의를 기울인다. • 흥미모드(interest mode) 이는 학습자가 흥미로운 자극에 주의를 기울일 때의 뇌의 모드다. • 선별모드(selective mode) 학습자의 뇌가 다른 여러 자극들 중에서 교사의 수업 내용에 선택적으로 주의 를 집중하게 되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학습을 위해 최적의 준비상태에 이른 것을 의미한다. http://21erick.org/bbs/board.php?bo_table=11_5&wr_id=100158
  • 73. 주의력 유지 한도를 초과한 수업진행 "너무 지루하지도 않고 아주 재미있지도 않은, 일반적인 수준의 수업을 들을 때, 학생들은 수 업 시작 후 언제부터 흥미를 잃기 시작할까?" 10분
  • 74. 동기는 미래에 대한 희망, 낙관주의, 보상, 흥미, 외부로 부터의 높은 기대, 명확한 목표, 도전, 피드백에 의해 강 화된다.  관점 전환 • 동기가 없는 아동은 없다. 동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직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거나 부모나 교사에게 반항하고, 저항하고, 회피하고 싶은 쪽으로 동기가 잔뜩 유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은 그들은 현재 유발된 동기를 위 해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공부하는 쪽으로 어떻게 동기를 유발시킬까 는 순전히 학교/교사/부모의 몫이다. 출처: Motivating Underachievers Part I by James Lehman, MSW • 동기부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의미부여(meaning-making)가 이루어져 야 한다. •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 그리고 그 기대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공부에 대한 열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Sternberg 외, 2010). 74 동기유발의 실패
  • 75. 75 동기관리에 대한 교사의 잘못된 인식 5  통제가 필요하다 -> 동기유발이 필요하다“자신이 또 하나의 시 험 점수의 채점 대상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면 잘하거나 열심히 할 이유가 없다” “이미 (교사/부모가) 자신은 실패할 거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자 신이 노력할 이유가 없다”  틀린 것은 지적한다 -> 교육적인 피드백을 하고 질문 자체와 논의의 깊이를 더한 것에 고맙다고 말한다  학습에 게으르다 -> 교사가 알지 못하는 이유가 있거나, 열심 히 하는 것이 따로 있다  말을 듣지 않는다 ->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존중하는 교사에게 는 태산이라도 움직이려고 한다  수업을 지루해 한다 ->  10-15분 마다 수업의 모드를 바꾼다  잘못된 판단과 실패에 대해 회복을 돕는다 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교사가 열정을 보인다  학생의 출신 문화를 고려해 과제를 내준다 교사의 잘못된 인식
  • 76. 76 동기를 꺽는 요인 과다 학습자의 동기를 떨어뜨리는 10가지 요인 1 오늘의 수업 내용이 오직 고교과정 이후의 미래를 위해 필 요하다는 도입 설명(지금의 삶에 의미가 있도록 해야!). 2.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교사가 말하고, 잘 못했을 때 훈시 를 길게 하는 경우 3. 해낼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숙제나 과제의 부여 4. 자신에 대해 (교사/부모가)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 5. 실패를 나타내는 기호나 점수 6. 강점보다는 약점,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7. 실력이 부족하다고 인지수준에 맞지 않는 자료로 수업 8. 학생 자신에게는 심각한 감정적 문제이나 이를 하찮게 여 기는 경우 9. 개인의 욕구, 필요, 재능, 학습속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 로 부여하는 수업 10. 비꼬는 일
  • 77. 자신감 잃게 하기 77 교사는 왜 느린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지 못하는가?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 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 유전요인, 환경요인, 다른 조건들 때문에 학습 잠재력이 낮다고 믿는다. •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을 거라 생각하고 대충 가르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한다. • 강점보다는 잘못된 것부터 찾아낸다.
  • 78. 주의 끌기의 실패 주의의 유지(staying focused) 여부는 배우는 내용의, 새로움 (novelty), 삶과 관련성(relevance), 의미(meaning)에 달렸다. • 뇌는 새로운 것의 탐색을 좋아하며, 끊임없이 세상을 이해하고 정보가 의미가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한다. • 학습자는 주어지는 정보(=수업의 내용)에 관심이 가고 중요하 다고 여길 때 주의를 집중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를 몰입시 키기 위해서는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는 것보다는 우선적으로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이 의미있는 것이어야 한다. • 정보는 이해가능하고 의미가 있는 것일 때 주의를 받고, 장기기 억에 저장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적용 • 수업환경과 수업방식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78
  • 79. 79 모든 수업은 학습자의 마음상태 변경이 먼저다. 상태관리 4가지 원 칙 • 상태를 신속히 읽 는다. • 상태를 정확히 읽 는다. • 현재의 상태에 맞 게 반응한다. •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상태를 사 전에 관리한다. 마음상태 관리의 실패
  • 80. 인지부하 - 과제 해결 과정에서 인지적 요구량 어떤 정보가 학습되기 위해서는 작업기억 용량 내에서 정보가 처 리되어야 하는데, 작업기억이 처리해 낼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가 더 많으면 인지과부하가 발생한다. 80 효과적인 인지부하(cognitive load) 관리 http://www.simulations.co.uk/Cognitive%20 Load%20Theory.htm http://www.speakingaboutpresenting.com/desig n/new-evidence-bullet-points/
  • 81. 효과적인 인지부하 전략 글자 글자 글자 내재적 본질적 외생적 전체 인지부하 내재적 인지부하가 높다면… 본질적 인지부하를 높이기 위해 벨소리와 휘파람소리를 없애라 작업기억 용량 수준
  • 82. 주의와 인지부하의 원리 1. 학습자가 한 요소에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이면 기울일 수록 다른 요소에 기울일 주의의 양은 그만큼 줄어든 다. 2. 교사가, 수업이 학습자에게 얼마나 인지부담을 주는 지 측정하는 데 숙련되면 될수록, 수업의 성공가능성 은 더 높아지고, 학습자는 더 많이 배울 수 있게 된다. (Francis Bailey 외, 2014) 82 인지부하(cognitive load) 원리의 적용
  • 83. 인지부하(cognitive load) 낮추기 1. 연습, 연습, 연습 기본적인 어휘, 개념, 공식, 내용 등은 처리 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0”이 될 때까지 연 습한다. 스키마(schema)의 구축과 자동화 가 중요하다. 2. 배경지식제공, 사전지식과 연결 이해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또 작업기억 의 인지부담을 줄이기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 사전지식과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3. 전체와 부분의 연결을 돕기 낱개 정보는 기억에 부담이 크다. 하지만 이 런 부분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큰 개념과 연결시킬 때 더 인지부하도 줄이고 기억도 더 잘 할 수 있다. 83 인지부하를 낮추는 방법
  • 84. 과제5 어떻게 해야 느린 학습자도 학습에 성공하는가?
  • 85. 주의집중과 몰입의 조건4  주의 1. 현재의 나의 기분은?(How do I feel?) 2. 나는 흥미를 느끼는가?(Am I interested?)  몰입 3. 이것은 내게 중요한가?(Is this important?) 4. 나는 이것을 해낼 수 있는가?(Can I do this?)  교사의 확인질문 2가지 1. 나는 학습자의 주의를 차지하고 있는가?(Do I have their attention?) 2. 그들은 수업에 몰입할 상태인가?(Are they engaged?) (Marzano, 2011) 85
  • 86. 음악활동이 뇌에 주는 영향 https://plus.google.com/+Musicteacherla/posts/K5EMpSFhPmp?pid=6152885726593894018&oid=112079593126166923793 뇌와 기억 발달 학업 수행 문화적 이해와 사회적 기술 책임감과 성취감 인내의 가치 팀워크와 규율 자기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신적 연결 듣는 기술 목표 설정과 행동 계획 두려움 극복하고 위험 감수하기 음악을 배우는 것의 이점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조화와 집중
  • 87.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 인치처리의 깊이 고려 강의 듣 기 5% 읽기 10% 시청각 수업듣기 20% 시범강의 보기 30% 능동적 수동적 구체적 추상적 학생 참여 과제 종류 활동 유형에 따라 내용을 회상, 전이, 적용하는 평균 정도 집단토의 50% 실제 해보기 75% 서로 설명하기 90%
  • 88. 10 분 1 일 1 주 1 개월 6 개월 회상률 분산학습의 효과 (David Sousa, How the Brain Learns. 2011)
  • 89. 기억률을 높이기 위한 책략 1. 반복시연(rehearsal) 시연이란 나중에 회상해 낼 것을 생각하고 미리 기억해야 할 대상이나 정보를 눈 으로 여러 번 보아 두거나 말로 되풀이하는 것. 2. 정보를 더 큰 단위로 묶기(chunking) 3. 범주화(categorization) 자료들 중 속성이 같거나 비슷한 것들을 상위 부류로 묶는 과정. 예: 사과, 나팔꽃, 제비꽃, 배, 귤, 복숭아, 코끼리 등의 단어를 암기할 때는 동물 끼리, 과일끼리, 꽃끼리 묶어서 기억하는 것. 4. 정교화(elaboration) 기억해야 할 둘 이상의 자료간의 공유하는 의미나 공통된 참조물을 찾아 이들 자 료들을 어떤 의미를 가지도록 연결시켜 기억에 저장하는 방법. 예: ‘TV-토끼’를 기억해야 할 경우, ‘TV안테나처럼 귀를 쫑끗 세운 토끼가...’처 럼 심상(mental image)을 이용하여 기억하는 것. 89 기억의 효율성 높이기
  • 91. 인지부하 - 과제 해결 과정에서 인지적 요구량 어떤 정보가 학습되기 위해서는 작업기억 용량 내에서 정보가 처 리되어야 하는데, 작업기억이 처리해 낼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가 더 많으면 인지과부하가 발생한다. • 내재적 인지부하((intrinsic cognitive load) 학습자료나 과제의 난이도와 복잡성에 의해 결정되는 인지부하 • 외생적 인지부하(extraneous cognitive load)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투입된 인지적 노력. 학 습방법, 자료제시방법, 교수전략 등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 • 본질적 인지부하(germane cognitive load)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지식체계에 통합시키려는 정신적인 노력 91 효과적인 인지부하(cognitive load) 관리
  • 92. 뇌는 배울 내용(정보와 기술)을 맥락과 함께 제시하고, 경험을 통 해 배울 때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하고, 회상할 수 있다. • 교육은 가르칠 내용을 학습자의 삶의 경험과 통합시킬 때 몰입 하고 더 잘 배운다. • 지식을 삶과 연결시키는 것이 뇌친화적 교수학습 원리 중 가장 중요하다. • 모국어를 배울 때 어휘와 문법을 실제의 삶 속에서 풍부한 상호 작용을 통해 가장 잘 배우는 것이 전형적인 예다.  교육적 함의 • (범교과)프로젝트 수업, 시연, 스토리텔링, 비유, 역할극, 현장 실습, 견학 등의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을 강화한다. • 강의는 경험학습의 수단이거나 부분이 되게 한다. 92 효과적인 수업전략 – 맥락이 있는 수업내용
  • 93. 학습이 실제 일어나는 곳 – 누구의 뇌 속? 93 수업안이 아무리 흥미 있고, 자극적이고, 화 려하며, 학습자의 삶과 관련이 있게 짜여진다 하더라도 학습할 내용 과의 상호작용을 교사 가 주도한다면 학습은 학습자의 뇌 속이 아니 라 교사의 뇌에 일어난 다.
  • 94. 학습자가 집중하는 10가지 학습자가 집중 하는 10가지 이야기 비교 대조 질문 문제해결 목록 정서 시각자료 간결함 논쟁 http://info.shiftelearning.com/blog/bid/351150/10-Things-That- Learners-Pay-Attention-To-And-How-to-Use-Them-in-eLearning
  • 95. 단 계 수업의 단위 수업의 주도권 전형적인 진술 1 나 주도 - 교사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을 위해서는 가 장 먼저 분모를 같게 해야 해.” 2 우리 주도 – 교사 보조 – 학생 “자 마틴, 이제 직접 해보자. 분모를 같게 하려면 어떻게 한다고 했지?” 3 우리 주도 – 학생 보조 – 교사 “자, 카밀라. 이 문제 해결의 전 과정을 네 가 주도해야 해. 내가 도와줄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 4 여러분 낮은 수준의 주도 - 학생 “우리는 예제를 하나 풀어봤으니 이젠 네 혼자서 해봐.” 5 여러분 높은 수준의 주도 - 학생 “훌륭했어, 우리는 이것을 할 텐데 여섯 개의 문제야.6분을 줄 테니 몇 문제나 정 확하게 푸는지 볼까? 자, 시작!” 학습의 주도권 이양 5단계 - ‘나우리여러분’
  • 96.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96 교사는 도입, 질서유지, 핵심 개념, 지시, 강의, 이야기, 마 무리 등에 최대한 주의를 아껴 쓰고 나머지 시간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정보처리, 프로젝트, 토 론, 모둠활동, 자기평가, 학습일지, 피드백, 계획세우기, 연 구, 인터뷰, 복습과 암기 등에 쓰도록 한다. • 50분 수업이라면 교사의 설명 시간이 15-20분이 넘지 않게 한다. • 수업시간의 55-80%를 학생들 스스로 깊이있는 학습에 쓰도록 한다. 교사-학습자 간의 수업시간 사용비 율
  • 97.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97 1. 답변할 시간을 준다. 2. 학생의 질문에 교사대신 다른 학생이 답변할 기회를 준다. 3. 모둠 활동을 한다. 4. 과제 수행을 위한 지시문을 학 생이 읽거나 설명하게 한다. 5. yes/no 질문 대신 열린 질문을 한다. 6. 꼭 필요할 때만 말한다. 7. 답을 알려주지 말고 학생들로부 터 이끌어 낸다. 학생의 말하는 시간을 늘리는 7가지 요령 http://busyteacher.org/13959-how-to-increase-student-talking-time-7- techniques.html
  • 98. 학습책임의 성공적인 이양 98 1. 학생이 곰곰이 생각할 시간을 빼앗지 않는다. 2. 교단에서 내려와 학생이 직접 보여주는 시간을 늘린다. 3. 자주 사용하는 표현은 몸짓이나 신호를 사용한 다. 4. 수업 중 문제행동에 대한 훈육을 삼간다. 대신 다른 대안을 사용한다. 5. 교사가 진술할 것은 질문으로 바꾼다. 6. “이것, 이해할 수 있니?” 대신 “그것을 네 자신 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니?”로 바꾼다. 7. 첫 지시에 귀를 기울이게 하고 습관적으로 지시 를 반복하지 않는다. 8. 교사가 다시 요약하거나 복습하는 대신에 학생 들로 하여금 이를 하게 한다. http://thecornerstoneforteachers.com/2014/09/8-ways-teachers-can-talk- less-get-kids-talking.html 교사가 말하는 시간을 줄이는 8가지 요령
  • 99. 선험지식 활성화시키기 http://www.nbss.ie/model-of-support/level-1/literacy-learning-behaviour/academic-literacy-learning-and-study-skills-sup 선험지식 읽는 것은 생각하는 것이다 활성화시키기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 당신의 선험지식 – 지금 읽고 있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읽기 전, 읽는 동안, 읽기 후 전략들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이해가 잘 돼 내가 알고 있는 것과 새로운 사실을 연결한다면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더 쉬워져 그것은 내가 …을 다시 떠올리도록 해 <전략10>
  • 104. 배경지식의 활성화 104 • 주어진 주제에 대한 배 경지식과 학습자가 새로 운 내용을 학습할 가능 성의 상관관계는 0.66이 다(Marzano, 2004). • 사전지식(prior knowledge)이 학습자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30~60% 이다 (Docy, Segers, & Buehl, 1999). 오늘 배운 지식 = 내일의 배경지식 장기기억으로 전환하기 위해 -직접 가르친다 -완전히 숙달시킨다 -지식을 도식화한다 -반복 시연한다
  • 105. 배경지식의 활성화와 지도 105 1. 배경지식을 활성화한다 •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질 문을 던진다. • 앞으로 나올 내용을 예측할 수 있 게 안내한다. • KWL 활동을 한다. • THINK< PAIR< SHARE 활동을 통해 어떤 주제에 대해 브레인스 토밍을 한다. 2. 핵심적인 배경지식을 지도한다.
  • 106. 배경지식과 정보처리의 지도 106 아래 밑줄 친 부분의 중요성을 생각해보자. 1. 텍스트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계적 도움 발판 (scaffolding)을 제공한다. 2. 텍스트의 어떤 부분에 집중해서 읽을지에 대한 결정을 돕는다. 3. 읽으면서 추론하게 한다. 4. 기억의 회상을 돕기 위한 안내를 한다. 5. 빠진 정보에 대한 가설을 세우도록 돕는다. 6. 더 많이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지도한다. 7. 정보처리의 속도를 높인다.
  • 109. 배운 것 정리하기 3-2-1 시험에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 2가지 새로 배운 것 중 기억에 남는 것 3가지 질문하고 싶은 것 1가지 http://www.readingquest.org/pdf/321.pdf
  • 110. 많은 학생이 답하도록하는 질문 기술 1. 누구나 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inclusive question). 2. 모두가 답하고 싶은 질문을 한다. 3. 정확한 답변에 대해서보다 참가해줘/노력해줘 고맙다고 인사한 다. 4. 답이 맞거나 틀리거나 질문에 대해 칭찬/보상을 한다. “질문해줘 고마워.” “너의 노력 참 예쁘다.” “대단한 열정이야, 다른 누가 또?” 5. 틀렸다고 비판하지 않고 창피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 6.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7. 답변에 대해 추가로 언급해서 추가로 답을 얻어낸다. (예: 어떻게 그런 결론에 도달했지? 조금 더 얘기해 줄 수 있을까?) 8. 모범 답변의 예를 보여준다. 9. 답을 모르면 짐작해서 답해서 좋다고 말한다. 10. 답을 모르면 “몰라요. 그러나 알고 싶어요”라고 말하게 한다. 11. 짝과 함께 답변을 평가하고 가장 좋은 질문으로 뽑은 이유를 말 하게 한다. 12. 배운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하는 사람에게 보상한다.
  • 111. 질문의 종류 1. (문자 그대로의) 일반적 질문 “한 시간은 몇 분으로 구성되나?” “가을 다음에는 어떤 계절이 오나?” 2. 추론적 질문 “너는 현 대통령의 성과를 어떻게 평가하나?” “지금 우리 고장에서 여름이 없다면 초목들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 날까?” 3. 상위인지 질문 “이 개념은 너의 사고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니?” “당신은 당신이 수업 중 사용하는 질문 기술이 얼마나 성공적이라 고 평가합니까?” 111출처: Effective Question Strategies, 2012 p26 효과적인 질문기술
  • 112. 질문 구분하기 연습 1. 가족으로 누구누구가 있니?( ) 가족이 뭐지?( ) 2. 이 사과를 묘사할 수 있니?( ) 이 사과를 먹으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 ) 3. 스마트 폰을 사용하니?( ) 스마트폰 사용의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나?( ) 4. 어떻게 그것을 배울 수 있었니?( ) 어떻게 그것을 배울 수 있었니? 그것이 네게 왜 중요했 지?( ) 112 효과적인 질문기술
  • 113. (수업을 위한) 질문 만들기 절차 1. 수업목표를 고려한 안내성(시작하는) 질문을 만든다. • 단원의 수업목표를 명시한다 • 가르칠 핵심 개념을 명시한다 • 단원의 내용을 안내하는 질문을 만들고 이것을 핵심질문과 연결시킨다. 2. 학습자의 다음 특성을 고려한다 • 사전지식/배경지식 • 문화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계층) • 인지적 능력(지능) 3. 수업을 이끌어갈 질문을 만들어 단원 내내 사용한다 • 학습자의 학습을 단계적으로 지원하고 학습자의 욕구를 해 결할 질문을 만든다. • <기본적 질문, 추론적 질문, 상위인지 질문>의 3가지 수준 의 질문을 만든다. •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 변화를 충분히 줄 수 있게 질문을 만든다.
  • 114. 안내성 질문(guiding question) 만들기 예시 1. 가르질 단원 개념을 정의한다. “세대(generation)란 무엇인가?”(학습자는 주요 특징을 말한다) 2. 단원 개념에 대해 심화된 질문을 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왜 중요한가?”(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3. 학습자의 견해에 대한 증거를 도출한다. “이것을 어떻게 알지?”(학생은 세대와 지역사회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대한 근거를 댄다) 4. 일반화하거나 결론을 이끌어낸다. “각 세대들이 기여한 점을 이해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학생은 결론을 내리거나 세대에 대해 일반화를 한다) 114 효과적인 질문기술
  • 115. 안내성 질문의 효과 안내성 질문은 단원의 내용과 관련이 깊고 실제적인 것일 때 더 이해하기 쉽다. 1. “우리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었는데, 유용한 점은 무엇이고 때로는 왜 문제가 되는가?” 2. “황사 예보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3. “요즘 언론에는 어린이집 교사들에 대한 내용이 많은데 그것은 어떤 내용이고 그것은 지금 시점 왜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제가 되는가?” 안내성 질문의 효과 1. 단원의 주요 개념에 주의를 집중시킨다. 2. 교재의 내용을 가장 적합한 사전지식이나 경험에 연결시킨다. 3. 개념의 이해와 기억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 4.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켜 나중에 사용활 수 있게 해준다. 115 효과적인 질문기술
  • 116. 단계적 지식의 확장을 돕는(scaffolding) 질문의 활용 예 • 이 이야기가 일어난 장소는 어디인가? ( ) • 이 이야기에서는 위치와 시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 • 이야기 속의 가족 구조와 세대들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설명하시오. • 할머니는 글을 어떻게 깨우치게 되었는가? 할머니가 글을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왜 중요한가? 이민자로서의 할머니가 글을 읽지 못하 는 것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 ) • 왜 이 이야기는 역할전환(role reversal)에 관한 것인가? ( ) • 여러분들의 부모나 조부모에게 무엇이든 가르쳐드린 적이 있는가? 그런 경험은 여러분들에게 어떻게 다가왔나요? ( ) • 이 이야기는 앤나와 그녀의 할머니와의 관계에 대해 어떤 점을 얘 기해 주나요? 여러분들의 조부모와 같은 입장에 있는 다른 어른들 에게 기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 • 앤나가 실제 성취한 것은 무엇인가요? ( ) • 여러분들은 글을 해독할 수 있게 되었고 그것은 여러분들에게 얼 마나 중요했나요? ( ) 출처: Effective Question Strategies, 2012 p34
  • 117. 피드백 스킬 117 피드백은 현재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더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을 높이 는 데 목적이 있다.  학습자의 입장에서 피드백의 의미 • 나는 어떤 지식과 기능을 습득해야 하는가? • 나는 학습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하고 있는가? • 나는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 118. 118 피드백 핵심성공 요인 • 피드백의 질이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소다. • 학습의 목적과 의도에 초점을 맞춘 피드백이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피드백은 학습한 성과의 긍정적인 면과 강점에 초 점을 두고, 개선을 위한 안내를 할 때 가장 효과적 이다. 피드백 선행조건 3 1. 학습자가 학습의 분명한 목표를 알고 있어야 한다. 2. 학습활동은 학습의 목표와 일치해야 하며, 학습자 는 학습의 목표와 하고 있는 활동의 관련성을 알아야 한다. 3. 평가를 위한 과제를 준비해서 학습자가 학습목표 에 도달한 것과 도달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http://www.ascd.org/publications/ed ucational- leadership/sept12/vol70/num01/%C2 %A3How-Am-I- Doing%C2%A2%C2%A3.aspx 피드백 스킬
  • 119. 119 피드백의 2가지 1. 강점관련 피드백 (success feedback) “잘 된 점은 ....이다!” 2. 개선을 위한 개입 피드 백(intervention feedback) 오류의 수정, 추가 작업이 필요한 부분, 전략과 절차 의 문제점, 특정한 제안, 질문하기 등 별과 계단 (Stars and Stairs) 피드백 스킬
  • 120. 120 효과적인 피드백의 5가지 특징 1. 학습목표 달성에 초점을 두고, 강점을 칭찬하고 개선을 위한 안내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한다(강점 피드백, 개입 피드백). 2.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학 습이 끝난 때가 아니라 학습의 도중에 제공된다. 3. 학습자가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을 때 의미가 있다. 4. 학습자가 생각할 기회를 빼앗지 않는다. 5. 현재 학습의 목표와 관련이 있는 것에 중점을 둔다. http://www.ascd.org/publications/educational- leadership/sept12/vol70/num01/%C2%A3How-Am-I-Doing%C2%A2%C2%A3.aspx 피드백 스킬
  • 121. 피드백의 효과 - 즉각적인 피드백 vs 지연된 피 드백  수학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해준 경우와 피드백을 늦게 해준 경우의 점수 를 비교한 결과(Brosvic et al., 2006) 즉각적인 피드백 지연된 피드백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121
  • 122. We can Change Every Student’s Life for the Better! 122

Editor's Notes

  1. ‘연습문제 1’에 대한 나의 의견 1.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우리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버릇없이”라는 말은 평가이다. 평가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한 학생에게 내 말에 집중하라고 하자, 그 애는 ‘내가 왜 남의 말을 들어야 해요?’라고 대답했다.” 2.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평가하지 않고 관찰한 것만 표현했다는 점에 우리의 의견이 일치한다. 3.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평가하지 않고 관찰한 것만 표현했다는 점에 우리의 의견이 일치한다. 4.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우리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아주 똘똘해”라는 말은 평가이다. 평가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아이는 모든 기말시험에서 내가 만족할 만큼 문제를 다 풀었다.” 5.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우리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훌륭한”이라는 말은 평가이다. 평가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네 작품을 보니 각 등장인물의 삶을 묘사하는 데 세 문단 이상을 썼더구나.” 6.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평가하지 않고 관찰한 것만 표현했다는 점에 우리의 의견이 일치한다. 7.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우리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약한 애들을 괴롭혀”라는 말은 평가이다. 평가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 여섯 명이 말하기를, 그 애는 자기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가만 두지 않겠다고 했다고 한다.” 아니면 “쉬는 시간에 그 애가 다른 학생들한테서 공 뺏는 걸 서너 번 봤다.” 8.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평가하지 않고 관찰한 것만 표현했다는 점에 우리의 의견이 일치한다. “학습장애”는 평가이지만, “그 여자애는 자기가 학습장애가 있다고 말했어.”는 그 여자애가 말한 것을 관찰한 것이다. 9.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평가하지 않고 관찰한 것만 표현했다는 점에 우리의 의견이 일치한다. 10. 이 번호에 동그라미를 했다면 우리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수업을 방해하는”이라는 말은 평가이다. 평가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을 하고 있는데 그 애들은 내가 불편할 정도로 큰 소리로 웃었다.”
  2. 뇌(brain)에는 다른 부위보다 무수히 많은 신경과 세포들이 존재하며 그러한 조건에서 뇌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훨씬 많은 에너지가 요구된다. 하지만 뇌에 공급되는 에너지원은 오직 포도당(glucose)뿐이다. 뇌는 몸무게의 약 2% 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전체 에너지의 약 20% 이상을 소모한다. 게다가 뇌는 포도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끊임없이 혈액에서 포도당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렇게 다량의 포도당을 이용하는 기관은 오로지 뇌뿐이며, 항상 포도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포도당 공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포도당의 공급은 탄수화물(carbohydrate)로부터 얻는다. 만약, 포도당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뇌에 포도당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포도당 공급에 이상이 생기면 기분과 기억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뇌 기능에도 이상이 생기게 된다. 머리가 멍하고 자주 졸리며 집중이 안 된다거나 별일 아닌 일에도 짜증이 나고 우울한 경우가 많다면 뇌에 포도당이 부족한 상태, 즉 저혈당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실제로 포도당 섭취에 따른 뇌 기능에 대한 다수의 연구결과에서도 뇌 활동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포도당이 꾸준하고 적절하게 공급되어야 한다고 한다. [출처] 뇌(brain)의 유일한 에너지원, 포도당(glucose)|작성자 우쿠
  3. 계획, 실행, 통제를 자신이 주도할 수 있다는 인식; 사고와 행위의 주인이 나 자신이란 인식은 책임감, 동기, 성과를 높인다.(BTT Model for 21C Schools 49쪽) 주도 의식내용의 선택(예: 주제, 자료) 방법의 선택(예: 요약, 분석, 적용) 평가의 선택(예: layered curriculum)
  4. 1. 이 목표는 한 시간 수업에서 달성할 수 있는 목표가 아니다. 최소한 4차시 수업을 필요한 내용이다.2. 영화의 시청은 학습목표가 아니라 활동의 하나다. 즉, 목표를 최우선시 하지 않았다.3.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 포스터를 제작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학습 목표가 될 수 없다.
  5. 인출(引出, retrieva)은 부호화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부호화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인출될 수 없다. 인출의 성공과 실패는 이용가능성(availability)과 접근성(accessibility)으로 설명된다. 즉, 저장된 정보는 장기기억의 어딘가에는 분명 존재하고 있지만 그 정보를 인출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정보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기억이 날 듯 말 듯 혀끝에 뱅뱅 도는 설단현상(tip-of-the-tongue)은 장기기억에 존재하는 특정한 정보에 대해 정확하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교육심리학용어사전).
  6. Sleep You may know that we experience sleep in 90-120 minute cycles. Over the course of a night’s sleep, our brains show different patterns of movement, and these patterns occur in fairly predictable cycles. During some cycles our brains move very quickly, showing tremendous activity. During others, they move very slowly. And during these 90-120 minute cycles over the course of a night, the brain performs different tasks: During hours 1-2, the first hours of sleep, memories are consolidated in the hippocampus, that interior region of the brain, and they are prepared for long-term storage. During hours 2-6, memories are "moved" to the cortex, where they are kept for long-term memory. And this means that, on average, if you are getting less than six hours of sleep, then you are not securing that information in long-term memory as well as possible. But hours 6-9 are when the magic happens: and this is when it gets really cool. During these hours, the brain actively rehearses memories, replaying them in the cortex during REM sleep.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sleeping those extra 2-3 hours can even improve memory performance by up to 25%. ---------- Summary of Storage And so, storage (memory) has two parts. We have seen in previous posts that storage is influenced by the intensity and diversity of encoding, and we see here that sleep enhances our storage. And so, memories are made and strengthened by association, intensity, and repetition. And they are consolidated and rehearsed during sleep. This means that as educators, it's helpful to build rich, associative experiences for our students so that their learning is part of an organized network that lasts. And, the more opportunities we can provide for students to revisit information and then sleep on it, the more opportunities we give them to turn it over in their heads. Some researchers refer to this practice as "spacing"; if we return to material on separate days--if we leave space between our interactions with it--then we allow students to process what they learn, and this helps maximize their learning. We'll pick up on this in the next post, on retrieval, the last of the four essential cognitive practices.
  7. 인지적 정보처리이론 [ 認知的 情報處理理論,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 인간의 지각현상, 학습현상, 기억현상 등을 컴퓨터의 정보처리모형에 비추어 이해하고 설명하는 이론이다. 인지심리학은 정보처리이론이 주가 된다. 정보처리이론에서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을 환경적 자극의 부호화(기억에 입력)-저장(기억에 보관)-인출(기억으로부터 회상)의 3단계로 설명한다. 기억을 위해 적어도 3가지의 시스템이 존재한다. 감각기억 - 정보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저장하는 기억으로서, 감각 정보가 인지 체계에 처음 등록되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감각 등록기라고도 한다. 단기기억[작업기억] -외부의 정보(=자극이니 경험)를 수초 동안만 의식 속에 유지해 두는 순간적인 메모지 역할을 한다. 주의를 기울이는 것만 단기기억으로 들어올 수 있고 계속 주의를 기울여야 유지된다. 작업기억에 유지시킬 수 있는 정보의 양, 머물 수 있는 시간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작업기억의 용량이 작은 사람은 학습에 심각한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장기기억 - 작업기억을 통한 많은 양의 정보가 아주 오랫동안 저장된 형태의 기억이다. 작업기억 속의 정보는 반복 시연(試演, rehearsal) 등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전환된다. 지식은 스키마(schema)의 형태로 장기기억에 저장된다. 기억의 유형으로는 단기기억, 장기기억, 그리고 정보를 기억에 저장하거나 기억으로부터 인출하는 작동기억이 설정된다. 인지적 정보처리이론은 이러한 정보처리 과정과 기억 유형에 근거해서 정보가 지각, 저장, 변형, 인출, 학습, 망각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설명한다. 현재 인지적 정보처리이론은 기억과 학습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종래의 자극-반응 결합주의 이론을 압도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지적 정보처리이론 [認知的 情報處理理論,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1.10, 학지사)
  8. Teaching without an awareness of how the brain learns is like designing a glove with no sense of what a hand looks like–its shape, how it moves.”
  9. neural encoding Neural encoding is the study of how neurons represent information with electrical activity (action potentials) at the level of individual cells or in networks of neurons. Studies of neural encoding aim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stimuli or behavioural output and neural signals. 부호화(符號化)나 인코딩(encoding)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변환하는 처리나 처리 방식이다. Encoding is what happens when information meets the brain. During exposure to new information, the brain does two things: first, it processes sensory and emotional information, and then second, it tries to attach this new information to old information, to prior knowledge. And the richer the sensori-emotional experience and the deeper the well of prior knowledge, the more strongly the new information is encoded into memory. But equally as important is how richly that information is contextualized. When students have prior experience with a subject, they have a context within which they can understand the new information. The value of this cannot be overstated. Information without anchors--information that is abstract and incomprehensible, or information that has no connection to what we already know--it passes through us, like the little white boxes with question marks above, sinking off the page and out of sight. Information with anchors--richly encoded one way or another--that is what we learn and remember. ---------------- Neural coding is a neuroscience-related field concerned with characte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imulus and the individual or ensemble neuronal respons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neurons in the ensemble.[1] Based on the theory that sensory and other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the brain by networks of neurons,
  10. Imitation learning ultimately causes culturally inherent characteristics. i.e. language production (mimicking) and language acquisition (tongue movements) Recent research has shown people afflicted with autism may have deficiencies in their amount of mirror neurons or in their ability to function. Social impairments result from the inability to learn from imitation; thus impairment i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11. 학습이란 원래 이성적이고 진지한 과정이란 기존의 생각은 잘못된 믿음이다. 교수학습 상황에 감성적 요소를 연결시키는 것은 매우 큰 가치가 있다. 무엇을, 누구에게,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배우느냐는 학습의 질과 효과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생각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감정이 인지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가장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감정 상태가 어떤지 알아내고, 또 그러한 학생들의 상태를 가능한 한 가장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조셉 르두Joseph Ledoux 박사의 책 『감정의 뇌The Emotional Brain』(1996)에 따르면 감정과 인지체계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감정 호르몬은 인식작용이 일어남과 거의 동시에 분비된다. 따라서 감정은 학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Anders & Berg, 2005) 역시 학생들이 긍정적 태도 변화와 함께 동기부여가 일어나고 반대 상황인 부정적 태도 변화로 동기부여가 약해짐을 보여주었다. 긍정적 태도 변화를 가진 학생들은 학습적 요소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다소 적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런 태도를 가진 학생일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정보가 뇌로 입력될 가능성과 학습한 내용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더 크다. "Emotion is the highest part of our mindbody survival kit.(Antonio Damasio)" One of their key roles is to tell the brain what's worth attending to and the attitude with which one attends.
  12. 참신함과 의외성 Novelty and Surprise   의외성과 참신함은 감정 및 주의력과 관련한 뇌의 기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배움을 촉진할 수 있다. 인간의 감정이 학습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피실험자인 대학생들은 감정을 자극하는 내용의 영상과 비교적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내용의 두 영상을 시청하였다. 2주가 지나서 두 영상의 내용을 떠올려 보았을 때, 학생들은 감정을 자극하는 영상의 내용을 훨씬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다(Guy & Cahill, 1999). 그렇다고 하더라도 주의할 것이 하나 있다. 수업은 반드시 참신한 요소와 의례적인 요소 모두를 균형 있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활동은 너무 많고 일상적인 익숙한 활동은 너무 적은 수업은 학습자에게 혼란스러울 수 있다. 그렇다고 예상 가능한 활동만 너무 많고 참신함이 부족한 수업은 지루하기 십상이다. 우리는 ‘서프라이즈’를 좋아하지 않는가! 예상 밖의 보상이 주어졌을 때 즐거움의 중추를 맡고 있는 미상핵nucleus accumbens이라는 뇌의 한 부분이 활성화된다고 한다(Berns, Cohen & Mintun, 1997). 이러한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사실은 의외성이 가진 요소가 뇌로 하여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것을 더 의미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감정적 반응을 일으켜 우리가 그것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13. 시각적 맥락 Visual Context  시각적 맥락visual context은 뇌의 가장 강력한 기억 보조 수단 중 하나이다. 어떤 것의 위치를 바꾸는 것은 신선함을 주고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뇌가 나중에 그것을 기억할 수 있게 해준다. 수업 시간에 교사와 학생들이 있는 위치를 바꾼다거나 학생들의 자리배치를 바꾸는 등의 위치 변화는 학생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며, 이는 우리가 맥락에 의존하여 기억하는 방식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집중적인 개별 학습(자습)과 같은 몇몇 활동에는 전통적인 자리배치가 더 효과적이지만, 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교실 내에서의 급우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데에는 그룹별 자리배치가 효과적이다. 한 연구에서 교실의 자리배치를 그룹에서 분단row 또는 짝으로 변경하였더니 학생들이 과제에 집중하는 시간이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Hastings & Wood, 2002). 그러나 수업에서 기대하는 결과가 협력, 팀워크, 문제 해결, 공동체 형성이라면 모둠형 자리배치를 추천한다. 수업 활동의 성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자리배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맥락[ context ] 주어진 대상 이외에 그 대상과 함께 제시된 모든 정보. 지각, 기억은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어떤 사건을 회상하거나 재인할 때, 그 사건이 발생했던 원래 맥락이 많이 제시될수록 기억이 잘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맥락 [context]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시그마프레스㈜)
  14. No matter how well planned, how interesting, stimulating, colorful or relevant the lesson, if the teacher does all the interacting with the material, the teacher’s’, not the student’s, brain will grow(Pat Wolfe).
  15. Personalized learning is tailoring learning for each student’s strengths, needs and interests — including enabling student voice and choice in what, how, when and where they learn — to provide flexibility and support to ensure mastery of the highest standards possible.[1]
  16. [PPT]Background Knowledge: Key to Reading ... - MiBLSi miblsi.cenmi.org/LinkClick.aspx?fileticket=5pq39d9FpFk%3D&tabid...Cached Similar Thus, background knowledge must be built subject by subject. 8 .... Power Point; Supplementary Informational Text; Visuals; Video; Graphic Organizer. 45.
  17. “Students who lack 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or are unable to activate it may struggle to access, participate, and progress through the general curriculum.” Strangman, Hall, & Meyer, 2004
  18. Giving waiting time for answers to our questions is something we do instinctively. We think we give students ample time, but we too often don’t. Have you ever timed yourself? The average time allowed for students giving a response has been estimated at 1.5 seconds! The optimum time is nearer 5 seconds. Evidence shows that the depth (between 400 and 800% increase in length of response) &quality of answers greatly improves with this extra waiting time of just a few seconds. Try counting explicitly after your questioning, or getting a student to do so on your beha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