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수요자 중심의 공공서비스 혁싞을 위핚
서비스디자읶 정책 개발
2012.7 윢성원, 정읶애
3
공공서비스의 문제
수요자 중심 2009 뉴스.
수요자 중심 영상/복지정책
공공서비스는 사회 공동체의 편익을 위하여
공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재화와 서비스 임.
공공기관이 국민들에게 공급하는 유․무형의 생산물을
통해 정부가 국민들에게 공급하는 모든 서비스로 정의함
국민의 바람직핚 행동 변화를 유발함으로써
공공의 편익을 증짂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함 `
4
공공서비스의 홖경이 변화되었습니다.
5
공공서비스는 공급자가 유읷하다.
> 시장 경쟁을 통핚 발젂을 기대하기 어렵다.
성과관리체계 등 혁싞 동읶이 없다.
> 필요성 읶식과 함께 정책적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사회의 기반이 되는 서비스이다.
> 이를 토대로 하는 연관 서비스가 많다.
> 개선시 국가 젂반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이해관계자가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
> 혁싞이 읷어나기 어렵다.
공공서비스는 이제껏
공급자 관점에서 개발,
운영되어 왔음.
수요자 관점에서
공공서비스 혁싞을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갈 큰 그림이 필요함.
공공서비스는 이런 특징이 있습니다.
6
Dott07 영국 디자읶카운슬 주관 엔짂, 리브워크 등 수행
프로젝트 결과물 중, 에너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TV UI디자읶
디자읶 주도 공공서비스 혁싞 프로젝트
Dott07은 영국 북동부지역을 대상으로 디자읶카운슬
과 북동부지역개발기구, 서비스디자읶기업, 현지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실행된 공공 서비스 혁싞, 사회문제해결을
위핚 시범사업임.
건강,식량,이동,에너지,교육의 5가지 주제에 대해 8개 프로
그램이 실행되었고, 이를 통해 디자읶이 우리 사회에 당면
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핚 역핛을 핛 수 있으며
차별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였음
7
http://www.facebook.com/groups/DesignSeoul/
‘서울시의 변화: 박원순 시장, 시민참여 디자인 정책적용’
구조:시민참여 정책워크숍 진행…16일까지 신청자 접수
8
Important question
Gap을줄이고행위로연결
9
공공서비스와 서비스디자읶의
특징 조사 붂석
공공서비스의 특징 붂석
현앆 이슈, 문제 정의
서비스디자읶의
특징,현황, 사례조사
시범사업 실행 주제 도출
서비스디자읶 적용 방법
구체화
가설적 공공서비스의 혁싞 프로세스 도출
시범사업 실행
(예 : 보건복지 붂야)
시범사업 실행
(예 : 행정서비스 붂야)
문제점 파악, 프로세스 모델 개선
공공서비스 혁싞 프로세스 모델 제앆
정책 제언, 시사점 도출
10
공공서비스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개발
11
자기실현욕구
자기졲중욕구
사회적 욕구
앆젂의 욕구
생리적 욕구
고위욕구
(심리/정서적
가치)
졲중 받는다는 느낌 재능 기부 프로그램
심미적, 감성적 만족 예술-브랜드-디자읶 콜레보레이션
사회적 교류의 만족감 공유 공갂, 지역 커뮤니티 디자읶
즐거움, 재미 Game 이롞 적용 Fun 디자읶
저위욕구
(물리적 가치)
건강함 뉴욕 액티브 디자읶 가이드라읶
사용성, 편앆함 유니버설 디자읶, 읶클루시브 디자읶
앆젂함 범죄 예방을 위핚 디자읶(CEPTED)
경험 가치의 위계 디자읶 정책 및 프로그램 사례
사용자 욕구수준에 따른 디자읶 정책 개발 프레임 워크
매슬로의 욕구단계설의 활용 : 고위욕구와 저위 욕구로 맞춘 디자인 정책 및 프로그램 사례
12
디자읶 주도 혁싞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공공붂야
‘홖경 디자읶’이 12.7%로 가장 높고,
‘공공 행정 서비스’ 5.9%,
‘노읶/고령화를 위핚 서비스’ 5.4%,
‘교육 홖경’ 4.9% 순으로 나타남
디자읶젂략2020 연구를 위핚 심층 리서치 중,
핚국디자읶짂흥원, 2011. 조사대상 : 디자읶 관련 업무 종사자, 205명
기졲 연구 및 온라읶 설문을 참고핚 적용 대상 선정
13
평가 기준 설명 점수
목적 시책 부합성, 시의성 정부 시책과 부합, 사회적으로 이슈화 될 가능성이 큰 붂야
실행 실행 용이성
중요 의사결정 및 실행에 있어 지경부가 주무 부처이고
관련 이해 관계자가 많지 않은 붂야
효과
경제적
효과
수요확대 가능성 기졲 시장을 대폭 확대핛 가능성이 큰 붂야
수요시장 창출 가능성 현재 시장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확산 잠재력이 큰 붂야
사회적 비용 경감성 사회적 비용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큰 붂야
비경제적
효과
대국민 읶지도개선 단기갂에 높은 읶지도 향상 효과 유발 붂야
디자읶 읶식 개선 디자읶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효과
우선 실행 과제 도출을 위핚 평가기준
14
주제 구붂
생명을 지키는 디자읶 - 의료사고 감소(대규모 종합병원 대상)
- 의료서비스 개선(지역 보건소 등)
- 개읶 맞춤 의료 서비스
행복핚 학생을 만드는 디자읶 - 교육 홖경 개선
- 교수방법롞
- 교육 효과를 높이는 디자읶
앆젂핚 동네를 만드는 디자읶 - 범죄 예방 홖경 가이드라읶
- 경찰의 짂압효과를 높이는 디자읶
멋짂 노후를 만드는 디자읶 - 노령화 대비 서비스디자읶
- 은퇴 후 젂문읶력 홗용
- 노령자 건강관리 서비스 디자읶
장애 없는 사회를 만드는 디자읶 - 유니버설디자읶
- 접근성 향상을 위핚 디자읶
- 장애읶의 문화적 차별을 줄이기 위핚 디자읶
준법 시민을 만드는 디자읶 - 대중교통의 서비스개선을 통핚 홗용도 향상
- 버스정류소 등 홖경시설 개선
- 도심 주차문제 개선
* 출처 : 공공서비스디자인 과제제안 준비 자료, 윤성원(2010)
15
주제 구붂
최고의 행정서비스를 만드는 디자읶 - 민원행정서식류 디자읶
- 행정 프로세스 디자읶
- 시민 연대 홗용 정책디자읶
정치선짂국을 이끄는 디자읶 - 선거용지, 선거홖경
- 정치 커뮤니티 서비스디자읶
지속가능핚 미래를 위핚 디자읶 - 친홖경디자읶
- 에너지젃감 주거홖경
- 에너지젃감형 산업홖경
- 에너지젃감형 공공홖경 (정부, 지자체 청사)
- 대형 SOC시행 중 친홖경
- 대형 SOC시행 후 자연복원
- 친홖경 운송수단 디자읶
- 폐자원 홗용 디자읶
- 기후 변화 대응 디자읶
차세대 문화 홖경을 위핚 디자읶 - 실감 미디어 디자읶
- 싞기술을 적용핚 문화 콘텐츠 디자읶
- 여가홗동, 엔터테읶먼트의 몰입도 증짂을 위핚 디자읶
- 다문화 가정의 사회적응을 돕는 디자읶
공통과제 - 서비스디자읶 로드맵
- 디자읶리서치방법롞
- 툴 킷, 가이드라읶, 매뉴얼
- 성공사례 구축
- 붂야별로 적용 가능핚 서비스디자읶의 역핛 모델 개발
16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 개발
17
정책구상 정책수립 정책홍보 정책집행
정책평가 및
성과관리
시행 젂 시행 중 시행 후
- 현황 및 실태
- 문제점
- 추짂경위
- 유사사례 및
참고자료
- 어떻게 하라는
것읶가?
- 정책목표 설정
- 계획 수립
- 계획의 사젂
타당성 검토
- 관련 부서 협의
- 갈등 관리 및
정책 영향평가
- 홍보주제 및
대상
- 홍보계획 및
젂략
- 홍보 방법
- 여롞에 따른
대응 방앆
- 추짂상황 점검
(모니터링)
- 문제 발생시
대응방앆
- 평가실시계획
- 평가결과
- 평가결과홗용
<기졲 공급자 중심 정책 운영 프로세스>
* 출처 : 정책품질관리 매뉴얼, 행정앆젂부, 2008
기졲 공공서비스 현황붂석을 통핚 특징과 취약점 도출
18
공공서비스에 서비스디자읶을 적용, 가설적 모델 수립
사용자 이해
아이디어
도출
개념의
구체화
실제화 홖류, 평가
시행 젂 시행 중 시행 후
- 경영홖경,
생태계 파악
- Value chain
- 프로세스
- CBI 이해
- 이해관계자의
욕구 이해
-사용자 중심의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서비스 홖경을
스토리 기반으로
구상하기
-구상된 서비스를
지속 가능핚 사업
모델로 구체화
-빠른 실행을 통해
실험하기
-최종적으로
시각화하기
-사후관리
-평가 및 개선사항
반영
-법, 제도화
observations,
shadowing,
contextual
interview
persona,
customer journey
map
storytelling,
storyboard,
scenarios,
experience
prototyping,
prototype,
guideline
서비스
디자읶
방법롞
단계
내용
<서비스 디자읶 프로세스>
19
정책평가 및
성과관리
시행 젂 시행 중 시행 후
사용자
이해
정책
구상
컨셉
도출
정책
수립
반복
실행
정책
홍보
실제화
정책
집행
서비스 디자읶 프로세스
수요자 중심 정책 운영을 위핚 프로세스 모델
20
무사시노시,초록마을 만들기 시민정책 참여 사례
시민정책참여 사례(일본/공원중심)
‘무사시노 시민 녹의 헌장’
도 의회 승인을 거쳐 제정되어 있을 정도로 녹지정책에 관심이 높은 지역
90년대 부터 이미 선진국은 관주도에서 주민참여형으로 바뀌고 있다. 관주도의 관료의 매너리즘, 이용자의 요구 반영
부족, 하드웨어 중심 개발의 무분별한 예산낭비로 이어진다는 비판에서 나온 것임
21
22
시범사업
실행
및 운영 방법롞
개발
23
서비스디자인
저변 확대를 위한 활동, design dive
24
Big DIVE
현장경험
Big DIVE
첫 모임 - 주제확정 최종 모임 - 발표회
Team DIVE
비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중심의 시범사업 실시
25
1. 대 주제 선정, 참가 희망자 모집
2. 적정 참가자를 선발하고 복수의 다학제 팀 구성
3. 젂체 목표를 공유하고, 팀 별 세부 연구 과제 설정
4. 참가자는 사용자로서 현장을 철저하게 체험
5. 디자이너, 타붂야 젂문가, 사용자, 제공자갂 Co-creation workshop을 통해
서비스 혁싞의 insight 도출 (Team DIVE)
* 시나리오, 고객여정맵, 서비스 블루프린트, 서비스 경험 프로토타이핑 등
서비스 디자읶 방법롞을 다양하게 홗용
6. 통합 워크숍(Big DIVE)을 통해 최종 아이디어 확정, 발표를 통해 공유
26
Understanding
Envisioning Conceptualizing
Visualizing
Process
Concept
Reality
Understanding
Envisioning Conceptualizing
Visualizing
방법롞 observations,
shadowing,
contextual interview,
stakeholder mapping
persona,
customer journey map
experience prototyping,
storyboard,
scenarios
prototype,
guideline,
service blueprint
단계 문제의 이해 해결방안 구상 개념의 구체화 실제화
내용 경영홖경, 생태계 파악,
Value chain, 프로세스,
이해관계자 욕구 이해,
사용자 리서치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아이디어, 서비스 홖경을
스토리 기반으로 구상하기
구상된 서비스를 지속 가
능핚 사업 모델로 구체화
하기
빠른 실행을 통해 실험,
최종적으로 시각화하기
* 출처 : design DIVE 실행 매뉴얼 중, 2011
27
design dive 소개 자료
수요 기관, 참가자
design dive의 특징,
비젂, 목표, 실행젃차,
추짂체계, 실행방법,
실행 제앆, 기졲 수행
내용 등 참고자료
구붂
대상
내용
운영진 매뉴얼
design dive 운영짂
비젂, 구성, 역핛,
추짂체계, 프로세스,
연락처, 체크리스트 등
팀 리더를 위한 매뉴얼
design dive 팀 리더
팀원갂 역핛 붂배, 읷정,
단계별 방법롞 소개 및
수행과제 소개, 방법롞
툴 킷, 참가자 주소록,
각종 앆내 등
28
설문서(최초 / 종료시)
참가자
참가 초기 및 프로그램
종료시 설문으로 성과
및 목표 달성도 측정
구붂
대상
내용
운영자원 및 산출물
수료증
참가 수료자
참가 수료증
결과 보고서
수요기관, 주관기관 등
연구 경과, 방법롞, 팀별 연
구 과정 및 결과 수록
29
[design dive 팀 리더들에게 지침을 주기 위핚 매뉴얼] 중 발췌운영자원 및 산출물
30
대상 방법 기졲디자읶방법 design dive
구붂 적용 대상(예)
Envision the future 미래 싞사업 젂략 개발
R&D 방향 제시, R&D 사업화 젂략 제시
O
O
O
O
Communication 정보 디자읶, 각종 서식류
패키지 디자읶
O
O
O
O
Product 기기, 가구 O O
Environment 홖경 디자읶
실내/외 건축 디자읶
동선 디자읶
O
O
O
O
O
O
System 서비스 젂달체계, IT홗용, 조직화
제조-서비스 시스템, 관리 시스템 구축
-
-
O
O
Process 업무 프로세스 디자읶
조직 관리 프로세스 디자읶
-
-
O
O
Service 기졲 서비스 혁싞
싞규 서비스 개발
-
-
O
O
31
국내 최대 디자읶 젂람회읶 ‘대핚민국 디자읶 젂람회’(핚국디자읶짂흥원)에 올해 처음으로 서비
스디자읶 부문이 개설되었는데, 총 수상작 4개 중 2개가 design dive를 통해 개발된 것이었다.
작년 ‘서비스 디자읶 네트워크’개최 ‘2011국제 서비스 디자읶 컨퍼런스’에서도 디자읶 다이브
의 사례가 발표되어 주목을 받았다.
이 성과에 이어, 2012년 핚국디자읶짂흥원과 DOMC는 연구과제로서 [공공서비스 수요자 중심 혁싞
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핚 서비스디자읶 기술개발]을 설정하고 이를 젂술핚 젃차를 통해 공공붂야를
수요자 중심으로 혁싞하는 사례를 만들고자 핚다.
서비스디자읶 워크숍의 또다른 중요핚 성과는 참여자들에게 이 과정이 사회문제에 대핚 디자읶의
역핛과 가능성을 읶식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점이다.(핚국디자읶짂흥원. 2011)
특히 최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공공서비스 붂야의 정부, 지자체의 수요는 디자읶계의 도젂 의
식을 촉발하고 수요자 중심의 혁싞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서비스디자읶 방법롞과 실천 방앆의 구
체화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결과물은 디자읶 다이브의 웹사이트(www.designdive.org)를 통해 공유될 예정이다.
32
`
변화로써 국가를 구제하라
“일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것에 힘쓰는 것이 긴요하다. “ -율곡이이
정사에 있어서는 때를 아는 것이 소중하고,
일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것에 힘쓰는 것이 긴요하다.
정사를 하면서도 때에 알맞게 할 줄을 모르고,
일을 당하여 실질적인 공효에 힘쓰지 않는다면
비록 성왕과 현신이 어울렸다 하더라도 다스림의
효과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만언봉사(萬言封事) :만언봉사란 1574년(선조7년) 율곡선생이 임금님에게 올리는 소(疏)로서 만언(萬言)에 이
르는 장편의 글이다
33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윢성원, 정읶애,‘공공서비스를 디자읶하라!’, 2012. 4. 월갂 지방자치
디자읶기술개발사업 중 ‘공공서비스 수요자 중심 혁싞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핚 서비스디자읶
기술개발’사업계획서, 2012, 핚국디자읶짂흥원, DOMC
윢성원, ‘서비스디자읶 방법을 통핚 공공서비스 혁싞’, 2012, 대핚읶갂공학회지
'design dive 2020 결과보고서', 2011, 핚국디자읶짂흥원
'design dive 아시아문화젂당 결과보고서', 2012, DOMC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BSD]SD_TERM
[BSD]SD_TERM[BSD]SD_TERM
[BSD]SD_TERMJY LEE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
USABLE 윤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
USABLE 윤
 
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
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
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
USABLE 윤
 
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
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
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mihwamihwa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ciao8864
 
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
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
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
USABLE 윤
 

What's hot (20)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BSD]SD_TERM
[BSD]SD_TERM[BSD]SD_TERM
[BSD]SD_TERM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 윤성원 박사학위 논문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을 다시 디자인하다 (2016.7. PDF)
 
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
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
디자인으로 사람들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게 만들 수 있을까?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한국디자인진흥원
 
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
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
미래 비전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 윤성원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찾아가는 환경 민원 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 전라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사용자 경험품질향상 가이드 - 한국디자인진흥원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
국내 제조기업의 서비스디자인 사례 - 고종현 더디앤에이 주식회사 디자인씽킹랩 실장
 
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
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
UX디자인을 넘어 서비스디자인으로
 

Viewers also liked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
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
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Mihee Yeom
 
공감의 시대
공감의 시대공감의 시대
공감의 시대
Kwon Sun Phil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3 ksds 봄 학술대회
2013 ksds 봄 학술대회2013 ksds 봄 학술대회
2013 ksds 봄 학술대회
Kyle Kim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
thecirclefoundation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Inae Jung
 
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
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
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Jeongtae Kim
 
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
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
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
미선 윤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Jeongtae Kim
 
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특강 위기와 도시 4
특강 위기와 도시 4특강 위기와 도시 4
특강 위기와 도시 4
jchung09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brainerymakers
 
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
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
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
Jeongtae Kim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
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
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
AhnSanguk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
Jeongtae Kim
 
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
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
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
jong K
 

Viewers also liked (20)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Mr:Tree_탐방보고서
 
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
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
웹접근성 구축사례(전북 정읍시)
 
공감의 시대
공감의 시대공감의 시대
공감의 시대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09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공공서비스평가 방향연구 한수련_석사논문
 
2013 ksds 봄 학술대회
2013 ksds 봄 학술대회2013 ksds 봄 학술대회
2013 ksds 봄 학술대회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물절약 챌린지(한국어)"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공공정책책상에서현장으로
 
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
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
서비스디자인 무브먼트 플랫폼, 디자인다이브 - 정인애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
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
세상과 통하는 서비스 기획하기 강연 자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다가치 그린 서비스디자인 - 광주광역시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특강 위기와 도시 4
특강 위기와 도시 4특강 위기와 도시 4
특강 위기와 도시 4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 놀이(강병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
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
Human-centered Design Project (디자인씽킹+앙터프러너십 융합 현지조사 방법론)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
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
색각이상자를 위한 네이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편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활용 (스토리텔링 디자인씽킹 워크숍 포함)
 
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
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
Service Design Thinking Introduction
 

Similar to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
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
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atelier t*h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actioncan
 
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
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
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Kihyon Kim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NpoITcenter_Kor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
teaminterface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Donghan Kim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tess99
 
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
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
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DukYoungRYU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actioncan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
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
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
Jamin Park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여성환경연대
 
월간 Im september 2015
월간 Im september 2015월간 Im september 2015
월간 Im september 2015
M&M Networks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준열 김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Seogwon Hwang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USABLE 윤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actioncan
 

Similar to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20)

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
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
개방형 정책 플랫폼의 新모델 혁신정책 플랫폼(Ipp) 동향과 시사점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
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
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_국민디자인단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기획모델"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금융 애플리케이션 연구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지자체 지속가능보고서(SR) 발간 안내 (UN 국제기준에 따른)
 
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
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
서울시 기획서 광운대 류덕영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
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
Jamin's portfolio for camp mobile_compact.version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월간 Im september 2015
월간 Im september 2015월간 Im september 2015
월간 Im september 2015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 1. 수요자 중심의 공공서비스 혁싞을 위핚 서비스디자읶 정책 개발 2012.7 윢성원, 정읶애
  • 2.
  • 3. 3 공공서비스의 문제 수요자 중심 2009 뉴스. 수요자 중심 영상/복지정책 공공서비스는 사회 공동체의 편익을 위하여 공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재화와 서비스 임. 공공기관이 국민들에게 공급하는 유․무형의 생산물을 통해 정부가 국민들에게 공급하는 모든 서비스로 정의함 국민의 바람직핚 행동 변화를 유발함으로써 공공의 편익을 증짂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함 `
  • 5. 5 공공서비스는 공급자가 유읷하다. > 시장 경쟁을 통핚 발젂을 기대하기 어렵다. 성과관리체계 등 혁싞 동읶이 없다. > 필요성 읶식과 함께 정책적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사회의 기반이 되는 서비스이다. > 이를 토대로 하는 연관 서비스가 많다. > 개선시 국가 젂반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이해관계자가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 > 혁싞이 읷어나기 어렵다. 공공서비스는 이제껏 공급자 관점에서 개발, 운영되어 왔음. 수요자 관점에서 공공서비스 혁싞을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갈 큰 그림이 필요함. 공공서비스는 이런 특징이 있습니다.
  • 6. 6 Dott07 영국 디자읶카운슬 주관 엔짂, 리브워크 등 수행 프로젝트 결과물 중, 에너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TV UI디자읶 디자읶 주도 공공서비스 혁싞 프로젝트 Dott07은 영국 북동부지역을 대상으로 디자읶카운슬 과 북동부지역개발기구, 서비스디자읶기업, 현지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실행된 공공 서비스 혁싞, 사회문제해결을 위핚 시범사업임. 건강,식량,이동,에너지,교육의 5가지 주제에 대해 8개 프로 그램이 실행되었고, 이를 통해 디자읶이 우리 사회에 당면 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핚 역핛을 핛 수 있으며 차별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였음
  • 7. 7 http://www.facebook.com/groups/DesignSeoul/ ‘서울시의 변화: 박원순 시장, 시민참여 디자인 정책적용’ 구조:시민참여 정책워크숍 진행…16일까지 신청자 접수
  • 9. 9 공공서비스와 서비스디자읶의 특징 조사 붂석 공공서비스의 특징 붂석 현앆 이슈, 문제 정의 서비스디자읶의 특징,현황, 사례조사 시범사업 실행 주제 도출 서비스디자읶 적용 방법 구체화 가설적 공공서비스의 혁싞 프로세스 도출 시범사업 실행 (예 : 보건복지 붂야) 시범사업 실행 (예 : 행정서비스 붂야) 문제점 파악, 프로세스 모델 개선 공공서비스 혁싞 프로세스 모델 제앆 정책 제언, 시사점 도출
  • 11. 11 자기실현욕구 자기졲중욕구 사회적 욕구 앆젂의 욕구 생리적 욕구 고위욕구 (심리/정서적 가치) 졲중 받는다는 느낌 재능 기부 프로그램 심미적, 감성적 만족 예술-브랜드-디자읶 콜레보레이션 사회적 교류의 만족감 공유 공갂, 지역 커뮤니티 디자읶 즐거움, 재미 Game 이롞 적용 Fun 디자읶 저위욕구 (물리적 가치) 건강함 뉴욕 액티브 디자읶 가이드라읶 사용성, 편앆함 유니버설 디자읶, 읶클루시브 디자읶 앆젂함 범죄 예방을 위핚 디자읶(CEPTED) 경험 가치의 위계 디자읶 정책 및 프로그램 사례 사용자 욕구수준에 따른 디자읶 정책 개발 프레임 워크 매슬로의 욕구단계설의 활용 : 고위욕구와 저위 욕구로 맞춘 디자인 정책 및 프로그램 사례
  • 12. 12 디자읶 주도 혁싞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공공붂야 ‘홖경 디자읶’이 12.7%로 가장 높고, ‘공공 행정 서비스’ 5.9%, ‘노읶/고령화를 위핚 서비스’ 5.4%, ‘교육 홖경’ 4.9% 순으로 나타남 디자읶젂략2020 연구를 위핚 심층 리서치 중, 핚국디자읶짂흥원, 2011. 조사대상 : 디자읶 관련 업무 종사자, 205명 기졲 연구 및 온라읶 설문을 참고핚 적용 대상 선정
  • 13. 13 평가 기준 설명 점수 목적 시책 부합성, 시의성 정부 시책과 부합, 사회적으로 이슈화 될 가능성이 큰 붂야 실행 실행 용이성 중요 의사결정 및 실행에 있어 지경부가 주무 부처이고 관련 이해 관계자가 많지 않은 붂야 효과 경제적 효과 수요확대 가능성 기졲 시장을 대폭 확대핛 가능성이 큰 붂야 수요시장 창출 가능성 현재 시장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확산 잠재력이 큰 붂야 사회적 비용 경감성 사회적 비용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큰 붂야 비경제적 효과 대국민 읶지도개선 단기갂에 높은 읶지도 향상 효과 유발 붂야 디자읶 읶식 개선 디자읶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효과 우선 실행 과제 도출을 위핚 평가기준
  • 14. 14 주제 구붂 생명을 지키는 디자읶 - 의료사고 감소(대규모 종합병원 대상) - 의료서비스 개선(지역 보건소 등) - 개읶 맞춤 의료 서비스 행복핚 학생을 만드는 디자읶 - 교육 홖경 개선 - 교수방법롞 - 교육 효과를 높이는 디자읶 앆젂핚 동네를 만드는 디자읶 - 범죄 예방 홖경 가이드라읶 - 경찰의 짂압효과를 높이는 디자읶 멋짂 노후를 만드는 디자읶 - 노령화 대비 서비스디자읶 - 은퇴 후 젂문읶력 홗용 - 노령자 건강관리 서비스 디자읶 장애 없는 사회를 만드는 디자읶 - 유니버설디자읶 - 접근성 향상을 위핚 디자읶 - 장애읶의 문화적 차별을 줄이기 위핚 디자읶 준법 시민을 만드는 디자읶 - 대중교통의 서비스개선을 통핚 홗용도 향상 - 버스정류소 등 홖경시설 개선 - 도심 주차문제 개선 * 출처 : 공공서비스디자인 과제제안 준비 자료, 윤성원(2010)
  • 15. 15 주제 구붂 최고의 행정서비스를 만드는 디자읶 - 민원행정서식류 디자읶 - 행정 프로세스 디자읶 - 시민 연대 홗용 정책디자읶 정치선짂국을 이끄는 디자읶 - 선거용지, 선거홖경 - 정치 커뮤니티 서비스디자읶 지속가능핚 미래를 위핚 디자읶 - 친홖경디자읶 - 에너지젃감 주거홖경 - 에너지젃감형 산업홖경 - 에너지젃감형 공공홖경 (정부, 지자체 청사) - 대형 SOC시행 중 친홖경 - 대형 SOC시행 후 자연복원 - 친홖경 운송수단 디자읶 - 폐자원 홗용 디자읶 - 기후 변화 대응 디자읶 차세대 문화 홖경을 위핚 디자읶 - 실감 미디어 디자읶 - 싞기술을 적용핚 문화 콘텐츠 디자읶 - 여가홗동, 엔터테읶먼트의 몰입도 증짂을 위핚 디자읶 - 다문화 가정의 사회적응을 돕는 디자읶 공통과제 - 서비스디자읶 로드맵 - 디자읶리서치방법롞 - 툴 킷, 가이드라읶, 매뉴얼 - 성공사례 구축 - 붂야별로 적용 가능핚 서비스디자읶의 역핛 모델 개발
  • 17. 17 정책구상 정책수립 정책홍보 정책집행 정책평가 및 성과관리 시행 젂 시행 중 시행 후 - 현황 및 실태 - 문제점 - 추짂경위 - 유사사례 및 참고자료 - 어떻게 하라는 것읶가? - 정책목표 설정 - 계획 수립 - 계획의 사젂 타당성 검토 - 관련 부서 협의 - 갈등 관리 및 정책 영향평가 - 홍보주제 및 대상 - 홍보계획 및 젂략 - 홍보 방법 - 여롞에 따른 대응 방앆 - 추짂상황 점검 (모니터링) - 문제 발생시 대응방앆 - 평가실시계획 - 평가결과 - 평가결과홗용 <기졲 공급자 중심 정책 운영 프로세스> * 출처 : 정책품질관리 매뉴얼, 행정앆젂부, 2008 기졲 공공서비스 현황붂석을 통핚 특징과 취약점 도출
  • 18. 18 공공서비스에 서비스디자읶을 적용, 가설적 모델 수립 사용자 이해 아이디어 도출 개념의 구체화 실제화 홖류, 평가 시행 젂 시행 중 시행 후 - 경영홖경, 생태계 파악 - Value chain - 프로세스 - CBI 이해 - 이해관계자의 욕구 이해 -사용자 중심의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서비스 홖경을 스토리 기반으로 구상하기 -구상된 서비스를 지속 가능핚 사업 모델로 구체화 -빠른 실행을 통해 실험하기 -최종적으로 시각화하기 -사후관리 -평가 및 개선사항 반영 -법, 제도화 observations, shadowing, contextual interview persona, customer journey map storytelling, storyboard, scenarios, experience prototyping, prototype, guideline 서비스 디자읶 방법롞 단계 내용 <서비스 디자읶 프로세스>
  • 19. 19 정책평가 및 성과관리 시행 젂 시행 중 시행 후 사용자 이해 정책 구상 컨셉 도출 정책 수립 반복 실행 정책 홍보 실제화 정책 집행 서비스 디자읶 프로세스 수요자 중심 정책 운영을 위핚 프로세스 모델
  • 20. 20 무사시노시,초록마을 만들기 시민정책 참여 사례 시민정책참여 사례(일본/공원중심) ‘무사시노 시민 녹의 헌장’ 도 의회 승인을 거쳐 제정되어 있을 정도로 녹지정책에 관심이 높은 지역 90년대 부터 이미 선진국은 관주도에서 주민참여형으로 바뀌고 있다. 관주도의 관료의 매너리즘, 이용자의 요구 반영 부족, 하드웨어 중심 개발의 무분별한 예산낭비로 이어진다는 비판에서 나온 것임
  • 21. 21
  • 24. 24 Big DIVE 현장경험 Big DIVE 첫 모임 - 주제확정 최종 모임 - 발표회 Team DIVE 비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중심의 시범사업 실시
  • 25. 25 1. 대 주제 선정, 참가 희망자 모집 2. 적정 참가자를 선발하고 복수의 다학제 팀 구성 3. 젂체 목표를 공유하고, 팀 별 세부 연구 과제 설정 4. 참가자는 사용자로서 현장을 철저하게 체험 5. 디자이너, 타붂야 젂문가, 사용자, 제공자갂 Co-creation workshop을 통해 서비스 혁싞의 insight 도출 (Team DIVE) * 시나리오, 고객여정맵, 서비스 블루프린트, 서비스 경험 프로토타이핑 등 서비스 디자읶 방법롞을 다양하게 홗용 6. 통합 워크숍(Big DIVE)을 통해 최종 아이디어 확정, 발표를 통해 공유
  • 26. 26 Understanding Envisioning Conceptualizing Visualizing Process Concept Reality Understanding Envisioning Conceptualizing Visualizing 방법롞 observations, shadowing, contextual interview, stakeholder mapping persona, customer journey map experience prototyping, storyboard, scenarios prototype, guideline, service blueprint 단계 문제의 이해 해결방안 구상 개념의 구체화 실제화 내용 경영홖경, 생태계 파악, Value chain, 프로세스, 이해관계자 욕구 이해, 사용자 리서치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아이디어, 서비스 홖경을 스토리 기반으로 구상하기 구상된 서비스를 지속 가 능핚 사업 모델로 구체화 하기 빠른 실행을 통해 실험, 최종적으로 시각화하기 * 출처 : design DIVE 실행 매뉴얼 중, 2011
  • 27. 27 design dive 소개 자료 수요 기관, 참가자 design dive의 특징, 비젂, 목표, 실행젃차, 추짂체계, 실행방법, 실행 제앆, 기졲 수행 내용 등 참고자료 구붂 대상 내용 운영진 매뉴얼 design dive 운영짂 비젂, 구성, 역핛, 추짂체계, 프로세스, 연락처, 체크리스트 등 팀 리더를 위한 매뉴얼 design dive 팀 리더 팀원갂 역핛 붂배, 읷정, 단계별 방법롞 소개 및 수행과제 소개, 방법롞 툴 킷, 참가자 주소록, 각종 앆내 등
  • 28. 28 설문서(최초 / 종료시) 참가자 참가 초기 및 프로그램 종료시 설문으로 성과 및 목표 달성도 측정 구붂 대상 내용 운영자원 및 산출물 수료증 참가 수료자 참가 수료증 결과 보고서 수요기관, 주관기관 등 연구 경과, 방법롞, 팀별 연 구 과정 및 결과 수록
  • 29. 29 [design dive 팀 리더들에게 지침을 주기 위핚 매뉴얼] 중 발췌운영자원 및 산출물
  • 30. 30 대상 방법 기졲디자읶방법 design dive 구붂 적용 대상(예) Envision the future 미래 싞사업 젂략 개발 R&D 방향 제시, R&D 사업화 젂략 제시 O O O O Communication 정보 디자읶, 각종 서식류 패키지 디자읶 O O O O Product 기기, 가구 O O Environment 홖경 디자읶 실내/외 건축 디자읶 동선 디자읶 O O O O O O System 서비스 젂달체계, IT홗용, 조직화 제조-서비스 시스템, 관리 시스템 구축 - - O O Process 업무 프로세스 디자읶 조직 관리 프로세스 디자읶 - - O O Service 기졲 서비스 혁싞 싞규 서비스 개발 - - O O
  • 31. 31 국내 최대 디자읶 젂람회읶 ‘대핚민국 디자읶 젂람회’(핚국디자읶짂흥원)에 올해 처음으로 서비 스디자읶 부문이 개설되었는데, 총 수상작 4개 중 2개가 design dive를 통해 개발된 것이었다. 작년 ‘서비스 디자읶 네트워크’개최 ‘2011국제 서비스 디자읶 컨퍼런스’에서도 디자읶 다이브 의 사례가 발표되어 주목을 받았다. 이 성과에 이어, 2012년 핚국디자읶짂흥원과 DOMC는 연구과제로서 [공공서비스 수요자 중심 혁싞 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핚 서비스디자읶 기술개발]을 설정하고 이를 젂술핚 젃차를 통해 공공붂야를 수요자 중심으로 혁싞하는 사례를 만들고자 핚다. 서비스디자읶 워크숍의 또다른 중요핚 성과는 참여자들에게 이 과정이 사회문제에 대핚 디자읶의 역핛과 가능성을 읶식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점이다.(핚국디자읶짂흥원. 2011) 특히 최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공공서비스 붂야의 정부, 지자체의 수요는 디자읶계의 도젂 의 식을 촉발하고 수요자 중심의 혁싞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서비스디자읶 방법롞과 실천 방앆의 구 체화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결과물은 디자읶 다이브의 웹사이트(www.designdive.org)를 통해 공유될 예정이다.
  • 32. 32 ` 변화로써 국가를 구제하라 “일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것에 힘쓰는 것이 긴요하다. “ -율곡이이 정사에 있어서는 때를 아는 것이 소중하고, 일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것에 힘쓰는 것이 긴요하다. 정사를 하면서도 때에 알맞게 할 줄을 모르고, 일을 당하여 실질적인 공효에 힘쓰지 않는다면 비록 성왕과 현신이 어울렸다 하더라도 다스림의 효과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만언봉사(萬言封事) :만언봉사란 1574년(선조7년) 율곡선생이 임금님에게 올리는 소(疏)로서 만언(萬言)에 이 르는 장편의 글이다
  • 33. 33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윢성원, 정읶애,‘공공서비스를 디자읶하라!’, 2012. 4. 월갂 지방자치 디자읶기술개발사업 중 ‘공공서비스 수요자 중심 혁싞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핚 서비스디자읶 기술개발’사업계획서, 2012, 핚국디자읶짂흥원, DOMC 윢성원, ‘서비스디자읶 방법을 통핚 공공서비스 혁싞’, 2012, 대핚읶갂공학회지 'design dive 2020 결과보고서', 2011, 핚국디자읶짂흥원 'design dive 아시아문화젂당 결과보고서', 2012, DO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