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1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
3
CONTENTS
WE LAB 개요 ………………………  35
오픈랩	 ………………………………  37
로컬랩 ………………………………  72
WE RULE FESTIVAL ………………  86
WE RULE CELEBRATION …………  92
오픈테이블 기록……………………  138
전문가 워크숍 기록 ………………  153
충남혁신상회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65
1. 기획 4. 홍보
2. WE DRIVING
5. 성과
3. WE LAB
부록
사업 개요 ……………………………  11
사업배경 및 목적 ……………………  12
대상지 현황 …………………………  13
사업 기본 방향 ………………………  17
사업 프로세스 ………………………  19
추진 방향……………………………  104
홍보 실행 내용 ……………………  106
기록 및 아카이빙 …………………  123
오픈테이블……………………………  24
전문가 워크숍 ………………………  31
주요 성과 …………………………  126
과제 …………………………………  132
제안 …………………………………  134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
전문가 워크숍오픈테이블로컬랩오픈랩
WE RULE PROJECT
3차전문가 워크숍 : 자치와 연합의 플랫폼 구축 전략 꽃천안 프로그램 자문 전문가 워크숍11차 청양 청춘씨드 오픈테이블
FESTIVAL
해비타트|DIY 체험
로컬랩 참여단체 워크숍
크룩|플레이그라운드
19차천안 문화도시 모임 오픈테이블
티팟 프로젝트 협상적격자 단체 선정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착수 보고
1차 전문가 워크숍 : 기억과 장소성이 결여된 공간의 새로운 쓰임
충남도 지사 보고
전문가 사전 워크숍
2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2차 천안 띵크그라운드 독서모임 오픈테이블
8차 부여 마을문화학교지역활동가 오픈테이블
9차 청양 청춘씨드 오픈테이블
3차 천안 청수고등학교 오픈테이블
17차 천안 문화도시 모임 오픈테이블
18차 상명대 문화예술경영학과사업 소개 및 오픈테이블
천안시도|원하던 캠핑
해비타트|목조주택 만들기 봉사
0922 10100925 1003 1004 1006
0928
0924
09190903
09170611 0709 0723 07260719
0724 0801 0807 0813
0808 0809 0814 0815
0730
0730 0803 0806
0812
0826 10
티팟|WE RULE MARKET
0527
0607 0716
2차 전문가 워크숍 : 욕구를 수용하는 공간과 욕구를 생산하는 공간
1차 아산 협동조합그려 문화콘텐츠 기획자 오픈테이블
16차 천안 문화도시 모임 오픈테이블
10차 아산 협동조합그려 문화콘텐츠 기획자 오픈테이블
오픈랩 기획자 현장 미팅 오픈랩 프로그램 확정 오픈랩 기획자 미팅
1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7차 청양 협동조합 품 2040 여성농업인 오픈테이블 14차 천안 시민단체 오픈테이블
0819
0819
4차 홍성 젊은협업농장 오픈테이블
5차 천안 문화시민 모임 오픈테이블
12차 홍성 젊은협업농장 오픈테이블
13차 금산 들락날락협동조합 조합원 오픈테이블
15차 천안 로봇제작 동호회 오픈테이블
6차 공주 공동체 세움 지역활동가 오픈테이블
티팟|삐삐책방
1005
박찬국|자유놀이터 개장
정은빈 (청춘여가연구소)|꽃천안
백종운(손수레)|도시농부학교, 팜투테이블
5
온주문화회|퍼펫작은공연 우주극장
허송세월|독한 마켓: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당근주스|overpacking展
1013 1016
CELEBRATION
1128
011 1012 1017 1018 1019 1024 1114
1115
1116 1117 1119 1120 1121 1122 11231025 1026 1107
1108
11091030 1106 1113
1103
1031 1101 1102
1111
10271020 1023
마녀의 실놀이|공예야 놀자
단국대 환경원예과|Merry Horti-
곽여름|너, 나, 우리, Hug Me 프로젝트
도농문화콘텐츠연구회|얼굴있는 농부시장
덕클라우드|지역청소년 활성화특화 OOTD 파티
로컬랩기획자반상회 1차 로컬랩기획자반상회 2차 성과공유파티WE RULE 선언
정피사|We Rule Underground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
1. 기획
7
1.기획
공유경제 플랫폼
생활문제 해결
경제활동
지역활력
제고주민
과업의 목적 :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1.주민 주도로 2.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하여
3.생활문제 해결, 경제 활동 등을 통해 4.지역활력 제고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8
WE
RULE
충남혁신상회
시민
지지
권한의 위임
지원
혁신 주체의 등장
참여
공유경제 토대
행정
WE RULE 프로젝트의 방향
1
2
3
‘원래 그래’를 넘어 공간의 규칙과 사용법을 함께 만들어
나간다.
혁신을 실천하고 실현해 나갈 권한의 온전한 위임이 이
루어진다.
시민 생활 속의 공간으로 재탄생하여 시민의 삶과 함께
하는 공간을 조성한다.
과
정
의
혁
신
9
1.기획
공유경제 플랫폼을
실현할 공유인의 등장
WE
RULE
18개의프로젝트
31명의시민기획자
3,517명의공유인
10,000명의방문객
충남혁신상회
7. 모두가 안전한 충남혁신상회에서는 서로 하이파이브로 인사한다.
6. 예산이 목적에 맞고 투명하게 쓰인다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5. 우리는 충남혁신상회의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함께
만들어간다.
4. 프로그램은 지역의 특성에 맞고 개방적이어야 한다.
3. 공간 이용은 토론과 협의로 정한다.
2. 충남혁신상회의 공간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접근하기 쉬워야 한다.
1. 우리는 충남혁신상회의 주인이자,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을 위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뛰어든다.
0. 우리는 스스로 규칙을 만들고 우리가 만든 규칙을 따른다.
충남혁신상회의 주인공들이 함께 만든 규칙,
WE RULE
9
1.기획
10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성과 종합
01 04
05
06
02
03
도민 역량 증진과
혁신적 시민 주체 등장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18개의 프로젝트,
31명의 기획자
지역 네트워크 거점과
공유경제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
다양한 분야의 혁신주체가 교류하는 네트워크 허브
혁신적 거버넌스 시스템 발판 마련
주민 주도 운영의 선행 멤버십 구축 / 시민 플랫폼 규칙
WE RULE 제정
공간의 특성에 따른 활용 가능성 제시
대상지 부지 전역에 걸쳐
공간 기획 진행
대외적인 인지도 확보와
장기적 비전 수립
전국 단위 행사 지역의 힘 개최,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사업 지원
주민 참여와 시민 지지 기반 확보
3,517명의 공유인, 10,000명의 방문객, 80% 이상 재
방문 의사
10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사업 명
『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용역
내용적 범위
- 혁신 역량과 의지가 있는 실행주체를 발굴하고 지원
- 사업 대상 유휴공간의 선정 및 확보
- 공유경제플랫폼 구축·운영 지원
- 사업의 지속발전 방안 마련
- 사업평가 및 성과공유
- 사업홍보 활동 및 소통채널 운영
- 사업 진행상황 보고
사업 목표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주민주도로 공유경제플랫폼을 구축하여
생활문제해결, 경제 활동 등을 통해 지역 활력 제고
시간적 범위
2019. 5. 29 부터 2019. 12. 31. 까지
예산
금 800,000천원 (부가가치세 포함)
사업 개요
11
1.기획|사업개요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12
사업 배경 및 목적
사업 배경
- 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직접 공유경제에
기반한 혁신을 경험하고,자치의 의미를 조명
-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지역의생활문제를
찾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체 활동을 모색
- 지역의 변화와 주민의 의견에 집중한
공간 개선 및 문화예술 기획을 통해
주민들의 일상에 변화를 주고 지역의 활력을 도모
사업의 공간적 범위
주소:천안시서북구성거읍송남2길22중부농축산물류센터
현황
개관일 : 1999년 12월 14일
규모 : 대지 72,518㎡ (당초 13,917㎡ ), 연면적 32,530㎡
공간 : 건축면적 18,403㎡ , 건폐율 25.14%, 용적률
27.81%
1동 : 창고, 사무실, 기숙사 / 2동 : 옥외배송장
3동 : 쓰레기 처리장 / 4동 : 오폐수 처리장
01
03
02
04
사업 기본 방향 및 주제
『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사업은 도민들이 직접 주도하고, 누구나 공
간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WE RULE (우리가 주도한다)”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 따라서 ‘WE RULE 프로젝트’를 사업의 명칭으로 사용
사업 목적
- WE RULE 프로젝트의 참여 시민 주체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도민이 주도하여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활용방안을 기획하고, - 공유경
제를 기반으로 한 실험을 진행
-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매개로 주민, 지역의 예술가 및 기획자 - 등 다양한
주체들과 네트워크 형성
- 향후 지속 가능한 공유지와 공유플랫폼으로 기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
13
1.기획|대상지현황
공간 현황
명칭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위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2길 22
규모 : 대지 72,518㎡ (당초 13,917㎡ ), 연면적
32,530㎡
예산 : 468억원 (국가보조금 227억 + 자본금 191
억)
용도 : 도시지역, 유통상업지역, 유통업무설비, 상대
정화구역
1. 대상지 정보
공간 현황
2. 대상지 사진
옥외배송장 2층 옥상 지하 창고
실내 중정
14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15
1.기획|대상지현황
운영 현황
1.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운영 상황
1) 운영 목표
유통혁신을 통해 수출전진기지를 구축하
는 한국 최초의 산지형 물류센터
2) 현 운영 현황
1. 적자 누적의 운영 실패 공간이자 오랜 기간 방치되어 적절한 쓰임이 이루어지지 못함
설립예산
486억원
누적적자
498억원
신규투자
110억원
매각실패
7회
- 1999년 충남 농축산물류센터 설립
- 총 예산 468억원
(국고보조금 277억 + 자본금 919억)
- 자본금 = 충남도 35%, 천안시 6.3%, 농협 17.7%,
자사주 31.4%,
- IMM 창업투자회사 9.6% 조달
- 2003년, 누적 적자가 498억원에 달해, 자본금 전액 잠식
- 2004년 110억원을 신규로 투자해, 관리공사로 전환
- 2011년 부실경영으로 매년 3,4억원의 적자 발생
- 감정평가액과 시세차이로 매각 미성사
16
2. 관리·운영·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활용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나,
실패 후 한시적인 임대공간으로 활용 중에 있음
관리 (충청남도)
연구 (충남발전 연구원)
운영 (농축산물류센터 관리공사)
2015년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정책조정회의
2015년 – 공간활용에 대한 제안
2004년 – 시설 임대로 운영방식 전환
2011년 – 부실경영으로 매년 3,4억원 적자 발생
2015년 – 유지비 충당을 위해
한시적으로 임대
2017년 – 공간 활용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16년 –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쟁점과 과제
2018년 – 물류센터 활용에 대한 협의
2019년 – 게임테마파크로 활용방안 연구
16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정보제공과 협의를 넘어 시민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
고 협업하는 방식 - ‘원래 그래’ 라는 행정의 벽을 넘어, 시
민들이 주도적으로 만들어나가는 진정한 ‘자치’ 를 실현.
- 규칙을 만드는 사람과 규칙을 지키는 사람이
일치하는 공간이 되도록 변화.
-  시민이 중심이 되는 자치의 실현을 위해, 공간의 규칙과
사용법을 사용자(시민)가 함께 만들어 나감.
- 시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시민들의 생각이 실현될 수 있는 공간을 기획.
- 방치되었던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시민에게 알리고,
시민생활속의공간으로재탄생할수있도록운영
- 공간 재생의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과 제안이
중심이 되도록 함
WE RULE 프로젝트
기본 방향
1. 시민이 중심인 공유경제 플랫폼 구현 2.행정의 벽을 넘고 시민과 함께 만드는
자치의 실현
3. 시민의 삶과 함께하는 공간으로의 재생
- 사적 이익의 추구 및 상업적 목적을 중심으로 ‘공유
경제’ 인식.
- 일부 제한된 플랫폼 등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는 수준.
- 시민이 중심이 되어,
필요한 공유경제모델을 직접 구상.
- 그것이 작동되기 위한 조건, 과정에서 필요한 의견,
대책, 비용 등을 논의하는 방향
- 혁신을 직접 실현해나가는 시민에게 권한의 온전한
위임이 이루어지는 수준
협의 / 정보제공
개입 / 협업 / 권한부여
⇩
17
WE RULE 프로젝트
기본 구조
사업 추진 기간
2019년도
(2019.6 ~ 2019.12)
사업 추진 설계
실행과정
- 충남 지역 의제 숙의 및 공론화
- 지역내 혁신적인 도민 주체 모집 및 발굴
- 주체 모집 및 대시민 페스티벌 개최
- 충남형 공유 경제 플랫폼을 위한 실험 기획 및 진행
- 실험 주체 간의 네트워크 구축
- 자치를 위한 도민 중심의 공간 규칙 제정
- 공유 경제 및 도민 주도 플랫폼 구축을 위한 비전과 목표 설
정
주안점목표
WE RULE 프로젝트 기본방향 실현을 위한
공간 활용 방안 수립 휴먼
웨어
소프트
웨어
하드
웨어
→ →Society Activation Platform
18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19
1.기획|사업프로세스
프로세스_1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전문가
워크숍
WE DRIVING WE LAB
LOCAL LAB
시민주체 모집
LOCAL LAB
OPEN LAB
파일럿 프로그램
OPEN LAB
오픈테이블
WE
RULE
페스티벌
WE
RULE
셀레브레이션
- 각지의 충남 도민들이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오픈테이블
진행
- 건축·도시, 예술·디자인, 공동체·농업 분야 등의 전문가들이 사업의 방향과 목표에 대
해 다각도로 분석하고 제안하는 전문가 워크숍 진행
- 지역의 다양한 협력단체와 공동체들이 오픈테이블에서 생산된 논의와 제안을
바탕으로 사업 기간 내 실험을 직접 추진하고, 검증하고, 성과를 내는 LOCAL LAB(로
컬 랩) 기획
- 역량과 경력을 겸비한 외부의 기획자, 크리에이터 그룹 및 개인이 실험 기획에
참여하는 OPEN LAB(오픈 랩) 기획
- 위 룰 페스티벌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11월 말까지 WE LAB(위 랩) 지속
WE DRIVING (위 드라이빙) WE LAB (위 랩)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0
프로세스_2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전문가
워크숍
WE DRIVING WE LAB
LOCAL LAB
시민주체 모집
LOCAL LAB
OPEN LAB
파일럿 프로그램
OPEN LAB
오픈테이블
WE
RULE
페스티벌
WE
RULE
셀레브레이션
- 2019년 9월 28일 (토) 개최
- 도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대시민 홍보 행사
- 이 자리에서 LOCAL LAB 참여 팀, 충남 지역의 생산자, 일반 시민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여 네트워킹을 하는 계기를 마련
- 위 룰 페스티벌 이후, 본격적으로 WE LAB(위 랩) 실행을 통해 도민과 기획자가 다양
한 기획 프로그램을 실행
- 사업기간 동안 진행된 프로젝트의 결과를 공유하고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향후
정체성에 대해 논의
- 사업에 참여한 다양한 실행주체들과 함께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공간 활용 규칙인
‘WE RULE 선언‘ 제정 및 선언
WE RULE 페스티벌(위 룰 페스티벌) WE RULE CELEBRATION (위 룰 셀레브레이션)
21
1.기획|실행내용
주요 실행 내용
영역 사업내용 추진 상황
We Driving
전문가 워크숍 5회 진행
오픈테이블 사전워크숍 2회 진행
오픈테이블 15회 진행 + 천안 문화도시 모임 (사업 설명회 및 오픈테이블) 4회 진행
WE LAB
LOCAL LAB
원하던 캠핑 / 플레이그라운드 / 해비타트 프로그램(DIY 체험, 목조주택 제작 체험)
/ 너,나,우리 허그미 프로젝트 / 퍼펫작은공연 우주극장 / overpacking 展 / 독한마
켓 / 위 룰 언더그라운드 / 공예야 놀자 / 얼굴있는 농부시장 / 지역청소년 활성화특
화 #OOTD 파티 / Merry Horti- 진행
OPEN LAB
자유놀이터 / 천안케어 꽃천안 / 도시텃밭 / WE RULE MARKET(위 룰 마켓)
/삐삐책방 진행
WE RULE FESTIVAL
상설 기획 LOCAL LAB, OPEN LAB 진행
축제 한정 기획 개막식, 예술장돌뱅이, 위 룰 액션 드로잉, 축하공연, 기획 소개
WE RULE FESTIVAL
시각 디자인 홍보물 프로젝트 PI 구축, 포스터 및 각종 홍보물 디자인
영상 홍보물 사업 홍보 영상 및 아카이빙 영상 제작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 운영
언론 충남 일보를 비롯한 각종 언론사, 충남 도민 기자 보도 진행
WE RULE FESTIVAL
위 롤 성과 공유회 성과공유회 진행, 사업 전반 전시, ‘WE RULE 선언’ 규칙 제정
'지역의 힘' 축제
‘2019 지역문화 정책공유축제 지역의 힘‘
4개 기관 합동 정책공유 워크숍 진행 및 성과공유회 진행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2
사업 공정
프로그램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 2 3 4 1 2 3 4 5 1 2 3 4 1 2 3 4 1 2 3 4 5 1 2 3 4 1 2 3 4
프로젝트
운영
계약 및 정산
협상

계약
착
수

보
고
비
용

정
산
계
약

종
료
보고 실행계획수립
계
획

보
고
결
과

보
고
프로그램
실행
We driving
협력단체조직 기획
전문가워크숍 실행게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실행계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오픈테이블 실행계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결과
정리
We Lab 참여 주
체

워크숍
1차

실
행
We Rule Festival 실행계획수립
실
행
We Lab
We Rule 마켓 실행계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4차

실
행
5차

실
행
Local Lab 실행계획수립
주
체

선
정
계
약 

O.T
실행
Open Lab 실행계획수립 파일럿 실행 실행
We Rule
Celebration
회고, 평가 실행계획수립
실
행
23
1.기획|실행내용
2. WE DRIVING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4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오픈테이블 사전워크숍
목표
- 충남 지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오픈테이블의 사전 단계 워크숍
-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충남 전역 전파를 위한 중계점으로
협력 단체들을 활용하여, 보다 많은 충남도민 및 지역단체에게 프로젝트를
알리는 것을 목표로 진행
- 오픈테이블 사전워크숍에 참여했던 협력단체와 각 구성원들이 각자의 지역으로
돌아가 주축이 되어 다수의 오픈테이블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
주요 내용
- 위 룰 프로젝트‘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소개 및 진행 사항 안내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공간 실사
- 모의 오픈테이블 진행
일시 2019. 7. 19(금) 14:00~
장소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참석인원 5명
진행 국방용 담당(티팟)
연계 커뮤니티
협동조합 품 (복권승 대표, 전옥임 매니저 – 청양)
극단 이야기공장 (홍성혁 대표 – 청양)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 아산)
공동체 세움 (김진아 사무국장 – 공주)
1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진행 사항
25
2.WEDRIVING|오픈테이블
모의 오픈테이블 진행 내용
- 지역의 관광자원과 연계할 수 있는 ‘관광 터미널
서울, 경기권(제1섹터)을 천안(제2섹터)을 통하여 충남(제3섹터)으로 연결 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져야 함
지역의 커뮤니티를 연계하는, 그동안 없던 충남의 랜드마크로 거듭나야 함
- 충남지역의 대형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컨벤션 센터‘ 유치
- 공동으로 사용하는 워크숍 공간, 세미나실 등 ‘코워킹 공간‘ 조성
우리 지역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공간,혹은 외부인이 지역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실험적인
공간이 되었으면 함
- 아이스링크장, 예술교육센터 등과 같은 ‘복합문화공간’
아이스링크장, 예술인들이 모여있어 아이들이 합동 예술 레슨
을 받을 수 있는 공간, 각종 문화를 접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함
- 분야별 예술가들이 활용하는 ‘예술가 레지던시‘
예술가들이 머물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실이자, 다양한 사람
들과 예술을 나누고
배우고 작품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활용
일시 2019. 7. 24(수) 14:00~
장소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참석인원 5명
진행 국방용 담당(티팟)
연계 커뮤니티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천안)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 홍성)
들락날락 협동조합 (박성연 – 금산)
부여마을문화학교 (임지선 실장, 김영롱 대리 – 부여)
2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진행 사항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6
오픈테이블
실행 내용
아산시 천안시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
홍성군
예산군
공주시
청양군보령시
부여군
논산시
금산군서천군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2회 진행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5회 진행
공동체 세움
(김진아 사무국장)
1회 진행
부여마을문화학교
(임지선 사무국장)
1회 진행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3회 진행
협동조합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2회 진행
들락날락
협동조합
(박성연 대표)
1회 진행
천안 문화도시
4회 진행
1. 지역별 오픈테이블 실행
27
2.WEDRIVING|오픈테이블
2. 오픈테이블 진행 일정
7/26 16:00
온천뷰티체험센터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8/1 17:00
공주창고 카페
공동체 세움
(김진아 사무국장)
지역활동가 모임
8/9 14:00
협동조합품사무실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청춘씨드 2회차
(청양 청년팀)임
7/30 19: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띵크그라운드 독서모임
8/3 16:00
협동조합품 사 무실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2040여성농업인 모임
8/13 15:00
오누이 다목적 회관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7/30 11: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청수고등학교 학생
8/7 10:00
부여시장 교육장
부여마을문화학교
(임지선 사무국장)
지역문화활동가 및 공예가
8/13 14:00
청년연구소
들락날락협동조합
(박성연 대표)
들락날락
협동조합 조합원 모임
8/1 15:00
오누이 다목적회관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8/7 13:00
협동조합품 사무실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청춘씨드(청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양 청년팀)
8/14 19: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천안시민단체 모임
8/1 19:00
아트큐브 136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천안 문화시민 모임
8/8 13:00
온천뷰티체험센터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8/15 16: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로봇제작 동호회 모임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8
오픈테이블
결과 정리 1. 오픈테이블을 통해 도출된 ‘중부농축산물류센터 활용 아이디어‘
지역 / 그룹성격 거론된 로컬랩 실행아이템
아산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 충남을 대표하는 영상 미디어센터
- 콘텐츠 제작학교
- 지역생산물을 활용한 감성포차
천안 띵크그라운드 독서모임
- 독서를 주제로한 영화제 및 독서캠프
- 드론페스티벌 및 교육공간
- 공포체험 프로그램
- 기숙사공간을 활용한 테마별 영화제
천안 청수고등학교 학생
- 대학 입시박람회 개최
- 아이스링크장
- 창고형 카페
- 옥상을 활용한 축구경기장
- 반려동물 테마파크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 예술인을 위한 레지던시
- 농업 메이커 스페이스, 농업학교
천안 문화시민 모임
- 스케이트보드 파크
- 플리마켓
- 취업박람회
- 테마형 크리에이터 스튜디오
- 캠핑카 페스티벌
- 카페
공주 지역활동가 모임
- 스포츠 영화관
- 팹랩
- 실물공장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격파공간
지역 / 그룹성격 거론된 로컬랩 실행아이템
청양 2040여성농업인 모임 - 멀티문화센터
부여 지역문화활동가 및 공예가 - 반려동물센터  동물테마파크
청양 청춘씨드(청양 청년모임) - 복합문화공간
아산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 실내 캠핑장, 야외캠핑장
- 안전교육장
- 자동차극장, 옥상극장
청양 청춘씨드 (청양 청년모임)
- 청년창업 도전레스토랑
- 청년창업 지원공간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 식물원컨셉의 카페
- 식물원을 운영하는 꽃집
- 도시텃밭
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조합원 모
임
- 청년이 활용할 수 있는 전시, 공연장
- 예술가 레지던시
- 로컬푸드 매장
천안 시민단체 모임
- 지역시민단체들이 함께 쓸수있는 허브공간
- 오픈테이블이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주민토론장
천안 로봇제작 동호회 모임
- 로봇페스티벌
- 드론 레이싱장
29
2.WEDRIVING|오픈테이블
2. 오픈테이블을 통해 확인한 도민의 욕구는?
문화·예술
인프라확대
청년공간조성
지역공동체의
허브공간
구축
-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문화적인 요충지로
자리잡고 독서캠프 및 독서를
주제로한 영화제를 진행했으면 함.
(천안 독서모임)
- 가족 단위로 즐기는 문화공간이자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곳이 되었으면 함. (청양
여성농민모임)
-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지역의 사람들이 문
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
하였으면 함.
(청양 청춘씨드 모임)
- 자동차 극장으로 온 가족 모두가 영화를 즐
길 수 있게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 극장이
생겼으면 함.
(아산 지역기획자 모임)
- 온라인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청년들을 위해
콘텐츠를 기획해 볼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
면 함.
(천안 문화시민 모임, 아산 문화콘텐츠 기획
자 모임)
- 청년들을 위한 창업공간
공간이 필요한 스타트업의 입주를 적극 장
려하고, 청년들이 도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졌으면 함.
(청양 청춘씨드 모임)
- 다양한 청년들이 모여, 교류할 수 있는 청년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청년들이 가진 기
발한 아이디어가 오고 가는 곳.
(금산 들락날락협동조합 조합원 모임)
- 여러 시민단체가 모여있는 코워킹 스페이스
로 조성.
컨벤션센터, 숙박시설까지 갖춘 시민단체들
의 허브 공간.
(천안 시민단체 모임)
- 사회적 경제 기업들이 한 곳에 모여 논의하
고 토론하ㅈㅉ경제 박람회‘ 개최 공간.
(부여 지역주민 모임)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0
예술가를위한
레지던스작업장
마련
- 농업 관련 기계들을 직접 사용해보는 ‘농업
혁신 공간‘ 으로 자리매김.
- 농업 교육을 진행하는 ‘농업학교’를 조성하
여, 농업의 생산과 유통의 과정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함.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모임)
- 도시 농업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이를 체
험해볼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
-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고, 이를 유통하는 구조를 경험·교육
하여 유통의 활로를 모색할 대안을 찾으면
좋을 것으로 생각.
(공주 지역 활동가 모임)
-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3층 공간을 예술인
들을 위한 레지던시로 구축
- 미술 뿐만 아니라, 밴드 연습실 혹은 작은
공연장으로 활용하여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활용하는 공간으로 조성되었으면 함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모임)
- 공간에 문화예술인들이 거주하며 중부농축
산물류센터 전체를 ‘예술 창작 작업장‘으로
활용했으면 함
- 나아가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예술 작품이 지
역 주민들에게 공유되어, 누구나 예술에 접
근하기 쉽고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되면 좋겠음.
(금산 들락날락협동조합 조합원 모임)
농업생산자지원,
유통의활로모색
전문가 워크숍
실행 내용
1. 전문가 워크숍 주제·일정·참여 전문가
[공간의 새로운 쓰임]
기억과 장소성이 결여된 공간의 새로운 쓰임
[시민과 공간]
욕구를 수용하는 공간과 욕구를 생산하는 공간
[자치와 연합]
자치와 연합의 플랫폼 구축 전략
1차 전문가 워크숍 2차 전문가 워크숍 3차 전문가 워크숍
일시 : 7월 16일 화요일 일시 : 7월 23일 화요일 일시 : 7월 30일 화요일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
박찬국
공공미술 작가
민병직
서울 디자인연구소
아트디렉터
주형로
홍성 환경농업교육관
대표
문정석
빅바이스몰 대표
백종운
도시농업 손수레 대표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이강오
전. 그린트러스트 대표
박주로
㈜로모 대표
31
2.WEDRIVING|전문가워크숍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2
전문가 워크숍
결과 정리
1. 전문가 워크숍 진행 결과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
민병직 서울 디자인연구소 아트디렉터
주형로 홍성 환경농업교육관 대표
박찬국 공공미술 작가
이강오 전 그린트러스트 대표
박주로 (주)로모 대표
문정석 빅바이스몰 대표
백종운 도시농업 손수레 대표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기억과 장소성이 결여된 공간의 새로운 쓰임
욕구를 수용하는 공간과 욕구를 생산하는 공간
자치와 연합의 플랫폼 구축 전략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단기적으로 변화시키려하
기보다, 장기적인 안목과 과정을 바탕에 두고
기획해 가야함 공간을 활용해나갈 주체를 찾고 발
굴하여 육성해가는 과정이 필수적
중부농축산물류센터는 현재 제한 없이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따라서 공간을 관통하는 철
학과 방향성이 중요
정해진 계획만을 고수하기보다는 공간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보아야 좋을 것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활동을 이끌 주체가 명
확히 있어야 함소비자의 욕구를 제대로 파악하며
복합문화예술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재탄생 필요
공간을 활용할 대상을 개인이 아닌 전체 구성원으
로 생각하고 이들을 수용할 기획을 세워야 함.
공간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명체로 생각해
야함 , 따라서 공간을 채움에 몰두하지 않고 여백
과 공존하게 하는 구상이 필요. 또한중부농축산물
류센터는큰공간인만큼,확정성과불확정성이동
시에존재하도록기획필요
공간의 향후 활용을 기획하는 것에 있어 한쪽의 시
각에서만 바라보면 균형이 맞지 않음. 따라서 예술,
행정, 농업 등의 다양한 주체가 모여 논의하고 구상
해야 함
앞으로 공간을 찾을 다양한 방문객들을 동시에 만
족시킬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함. 공간은 주체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기능을 발전시켜 갈 필요가 있음.
공간활용을 단편적으로 재단하지 않고, 인정하면서
바라보아야 함
공간을 과도한 방법으로 개발하기보단, 유보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음. 주체가 있어야 협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인큐베이팅하는 것이 중요
한 문제. 공간 운영을 위한 “자치 조례"라는 구조
를 만들어서, 이후 지속적으로 문제를 원만하게 해
결하고, 자산화에 준하는 시스템을 구비해 놓을 필
요가 있음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을 친숙하게 접근해야. 이 공
간이 일상적인 공간이 되도록 사람들에게 인식시
켜야 함. 공간에 대한 제도나 제약을 규정짓기보다,
우선 필요한 사람들이 공간을 먼저 활용해보도록
구성해야 함 초반에 운영 부담이 있을지라도, 시민
들에게 공간을 나눠줘야 공간 활용 방법을 찾아나
갈 수 있음 따라서 재미있고 열린사고로 공간을 바
라보아야 함
33
2.WEDRIVING|전문가워크숍
2.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얻은 전문가의 제안은?
공간의주체를
발굴·육성
시민과함께
찾는
공간의쓰임
시민중심의
자치가실현
되는공간
공간활용에
대한
폭넓은시각
- 공간을 채울 아이템보다는 활용해 나갈
주체를 찾는 것이 중요 (임경수)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활동을 이끌 명
확한 주체를 구축 (백종운, 민병직)
- 다양한 배경의 주체가 참여하여 논의해
야 공간의 잠재된 가치를 찾을 수 있음
(주형로)
- 공간을 활용할 주체에 의해 공간의 목적
을 발견해야 함 (박찬국)
- 협치를 위해 공간의 주체를 발굴하고 이
를 인큐베이팅 해야함 (이강오)
- 정해진 틀을 고수하기보다, 시민들과 함
께 다양한 시도를 하며 공간의 쓰임을 찾
아가야 함 (문정석)
- 시민들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파악하여,
이를 모두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
야 함 (백종운)
- 시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다양한 방문객들을 동
시에 만족시키는 쓰임을 가진 공간이 되
어야 함 (박찬국)
-활용방안을 미리 정해두지 않고, 시민들
에게 공간을 나눠주어 직접 활용해보게
한 후에 쓰임을 정착시켜 나갈 필요가 있
음 (박주로)
- 시민이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이 되
어야하며, 이를 위해 시민자산화를 진행
하는 것도 좋음 (임경수)
- 공간 운영을 위한 ‘자치 조례’를 만들어서
시민이 스스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해야함 (이강오)
- 공간에 대한 행정적인 제도나 제약을 규
정짓기보다,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공간
을 활용해보면서 그들이 공간에 필요한
규칙과 제도를 직접 정할 수 있도록 장려
해야 함 (박주로)
- 공간을 채우는 정해진 좁은 목표에만 집
중할 것이 아니라, 여백과 공존하게 하는
구상이 필요 (조광호)
- 공간의 향후 활용을 기획하는 것에 있어
다양한 시각에서 넓게 접근해야 함 (주형
로)
- 공간 활용을 단편적으로 재단하지 않고,
인정하면서 깊이 있게 바라보아야 함 (박
찬국)
- 공간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명체
로 생각하여, 확정성과 불확정성이 동시
에 존재하도록 넓게 접근해야 함 (조광호)
- 공간이 이벤트를 위한 특정한 장소가 아
니라, 일상적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열린
사고로 바라보아야 함 (박주로)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4
3.WE LAB
35
3.WELAB|개요
WE
LAB
외부 기획자,
크리에이터 주도 기획,
이벤트, 홍보, 영감
지역 주민 주도
논의, 제안, 숙의
협업, 권한 부여
WeLab은크게LocalLab과OpenLab으로나뉜다. 
Local Lab은 지역의 다양한 협력단체와 공동체들이 오픈테이블에서 생산된 논의와 제안을 바탕으로 사업 기간 내 실험을 직접 추진하고, 검증하고, 성과를 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오픈테이블, 렛츠/언컨퍼런스를 통해 구성된 Local Lab 참여 주체는 네트워킹과 공유를 기반으로 정보제공과 협의를 넘어, 협업과 권한이 부
여되도록공유경제플랫폼을구현한다.또한문제의식을구체화하고,역할을구체화하고,시스템을구체화하면서향후구성될거버넌스의틀을마련한다.
Open Lab은 역량과 경력을 겸비한 외부의 기획자, 크리에이터 그룹 및 개인도 대상지 공간 실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열린 실험 기획이다. Open
Lab은그자체로대상지공간활용의예시가되고영감을줄수있을뿐만아니라,OpenLab에서제시한기획사건을참여하기위한광범위한지역주민들의대상
지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Open Lab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중부 농축산물류센터라는 구체적 공간을 인지하고, 경험하면서 해당 공간의 활용에 대한
상상을해볼수있다.
LOCAL
LAB
OPEN
LAB
로컬랩 참여주체 워크샵
지역 오픈테이블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샵
렛츠 / 언컨퍼런스 파일럿 프로그램 실행
기획자/크리에이터 모집
추가 기획 실행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6
누적 참여 인원 집계
총 18개 프로젝트, 누적 참여 총 3,517명
플레이 그라운드 - 크룩
실행기간 | 10.05-11.23
참여인원 | 133명
원하던 캠핑 - 천안시도
실행기간 | 09.28-11.16
참여인원 | 439명
마녀의 실놀이
- 공예야 놀자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60명
WE RULE UNDERGROUND
-피사플랫폼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70명
DIY 목공 체험 - 해비타트
실행기간 | 09.25-11.30
참여인원 | 736명
목조주택 짓기 - 해비타트
실행기간 | 09.25-11.30
참여인원 | 289명
허그미 - 허그미
실행기간 | 11.09-11.23
참여인원 | 67명
OVERPACKING展 - 당근주스
실행기간 | 11.23-11.29
참여인원 | 130명
Merry Horti- - 단국대 원예과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34명
도시 텃밭 - 백종운
실행기간 | 09.25-11.27
참여인원 | 200명
천안케어, 꽃천안 - 정은빈
실행기간 | 09.25-11.02
참여인원 | 72명
자유놀이터 - 박찬국
실행기간 | 09.25-11.30
참여인원 | 5,000명 이상
WE RULE MARKET - 티팟
실행기간 | 09.28-11.28
참여인원 | 637명
삐삐책방 - 티팟
실행기간 | 09.28-11.28
참여인원 | 130명
퍼펫  작은공연 우주 극장
- 온주문화회
실행기간 | 10.23-11.28
참여인원 | 100명
얼굴 있는 농부 시장
- 도농문화콘텐츠 연구회
실행기간 | 11.28
참여인원 | 330명
지역청소년 활성화 특화
OOTD 파티 - 덕클라우드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60명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DOG’한 마켓
- 허송세월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30명
(놀이터 이용자 수를 반영할 경우 8,000명 이상)
OPEN LAB
LOCAL LAB
37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천안케어,
꽃 천안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천안을 대표하는 천안 시민이 꽃이 주는 위로를 통해 천안 시민의 경조사를 직접 돌보는
‘천안 케어 프로젝트‘
- 시민케어단이 직접 기른 꽃을 이웃의 경조사 발굴을 통해 전달하며, 일부는 천안 사회복지
영역의 경조사 대상자에게 전달
- 원예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사업의 운영을 통해, 지역의 주민으로서 소속감과 자
부심을 느끼게 하고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시민이 주인이 되는 천안의 랜드마크로 자리
매김 하게 함
주요 활동
- 시민정원을 함께 운영하고 돌보는 천안 시민 원예 커뮤니티 ‘시민 케어단‘ 과 환경원예학과
대학생들로 이루어진 ‘청년 크루단’ 으로 구성
- 정원가꾸기 / 소셜다이닝 / 원예교육 / 천안케어 교육 / DIY 작업 / 목공 수업 / 청년활동 등
의 프로그램 진행
- 시민 커뮤니티를 통해 이웃의 일상적인 스토리를 찾아서 케어하는 ‘천안케어 A’와 지역의
복지사각지대 시민을 케어하는 ‘천안케어 B’ 로 나누어 진행
3.WELAB|오픈랩
OPEN LAB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8 천안케어, 꽃 천안
실행 주체
청춘여가연구소 정은빈 대표
[도움 : 단국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스윗플로라 (원예 강의) / 어쩌다작업실 (목공 및 설치)]
실행 일자
- 천안케어, 꽃 천안 기획 및 실행 준비 기간 : 8월 7일 ~ 9월 21일
- 정원 운영기간 : 9월 28일 ~ 11월 3일 (6주간)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참여 인원 구성
- 시민 케어단
인근 노동자 및 지역주민으로 구성, 3인 이상 가족 / 시민 정원 운영 /
지역 주민 스토리 발굴 후 지역 케어(천안케어 A) 실행
- 청년 크루단
천안 중고등학교, 천안 내 대학교 학생으로 구성 / 시민 정원 운영 보조 /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
사연 발굴 및 케어(천안케어 B) 실행
총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시민 정원팀) : 20팀
- 청년 크루단 : 13인
- 참여 시민수 : 72명
실행 성과
- 시민 케어단 실행 결과
1) 이웃과의 소통 및 나눔(천안케어 A) : 총 81건 (인당 평균 4건 진행)
- 청년 크루단 실행 결과
1) 어린이집, 노인복지회관과 같은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 나눔(천안케어 B) : 총 4건
(성거읍 노인복지회관, 천안시 공립 지역아동센터, 하늘 꿈이 자라는 집, 푸른솔 지역아동센터)
2) 천안역 시민 대상 나눔 : 총 111개의 원예작물을 시민의 약속과 함께 나눔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39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6주차 페어웰 파티
| 일시 | 09.28
| 진행 내용 |
-시민 케어단 OT
-시민 정원 분양
-시민 정원 영양토 채우기 및
꽃 심기
-밀싹 샐러드 나눔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8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09.29
| 진행 내용 |
-시민 정원 만들기 2
-정원 드로잉
-원예수업 : 식물학 강의
-천안케어A 사연 발굴
-시민 정원 사인 만들기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6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06
| 진행 내용 |
-시민 정원 관리
-스트리트 사인 제작,
픽 꾸미기, 카드 쓰기
-목공 수업_
플레이팅 도마 만들기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7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20
| 진행 내용 |
-DIT(폐파레트 밀싹 심기, 에코
백 만들기, 드림캐처 만들기)
-천안케어 A 나눔
-인터뷰 촬영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8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1.03
| 진행 내용 |
페어웰 파티(수료식) 진행
상장 및 수료증 전달
로컬 케이터링  뱅쇼 파티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7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13
| 진행 내용 |
-포트럭, 낮술 파티
-베스트 정원 투표
-원예수업 : 화분 포장하기_
천안케어A 발송 시작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9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27
| 진행 내용 |
-DIT 체험 2차 운영
-천안케어 A 나눔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5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2) 진행 일정 별 결과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0 천안케어, 꽃 천안
3) 결과 내용
시민 케어단이
사연을 발굴한 이웃
시민 케어단이
작성한 사연 내용
및 나눔 소감
- 천안케어 A : 이웃의 사연을 발굴하
여직접 기른 꽃을 전달하는 과정
- 천안케어A실행결과:20팀이
총81건의이웃나눔실행/
인당평균4건의사연을이웃과나눔
김*미
106동 1804호 이웃
김*이
어린이집 원장 선생님
임복순
앞집 할머니
이웃에 사는 고3 딸이 힘들어해서,
어머님이 꽃 선물을 하고
싶어 하셨어요!
직접 포장해서 응원메세지와 함께
전달했어요.
오늘 만든 꽃을 이웃님께 전달해 드렸어요.
할머니 혼자 사시는 것 같은데 이웃으로 지
내도 한 번도 말을 걸어본 적이 없었네요.
처음으로 인사하고 꽃을 드렸는데, 엄청 좋
아하셨어요.혼자 마실 나오셨다가 깜짝 선
물을 받으시고 많이 좋아하셨어요. 곧장 동
네 할머니들한테 이웃집 아가씨가 준 꽃이
라며 자랑 하시네요~!
저는 옆집 할머니께 드렸어요!
언제나 오며 가며 마주칠 때마다
한결같이 살갑게 대해주셔서 늘 감
사했는데, 이번 계기로 꽃 선물을
하니 꽃 좋아한다고 하시면서 행복
해 하셔서 너무 기쁜 하루였습니다
~ 오늘 꽃으로 나눔을 하니 꽃보다
더 행복했네요!
천안케어 A 실행 모습 (3건 발췌)
41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천안케어 B – (1)
총 4개소 어린이집과
노인복지회관에 나눔
천안케어 B – (2)
천안역에서
시민들에게 나눔
- 천안케어 B :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의 사연을 발굴하여 직접 기른 꽃을 전달하고, 시민들의 일상에 꽃을 선물하는 과정
- 천안케어 B 실행 결과 :
(1) 총 4개소 어린이집과 노인 복지회관에 미니정원 및 화분으로 전달
(성거읍 노인복지회관, 천안시 공립 지역아동센터, 하늘 꿈이 자라는 집, 푸른솔 지역아동센터)
(2) 총 111개의 원예작물을 천안역에서 시민의 약속과 함께 나눔
천안케어 B 실행 사진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2 천안케어, 꽃 천안
4) 차후 계획
- 천안케어 A, B의 나눔으로 마무리
된 ‘천안케어, 꽃 천안’ 은 작은 시민
정원의 형식으로 마련되고 운영됨
- 도시 어느곳에나 어울리고 쉽게
연출할 수 있도록 시민 정원을 조
성하였고, 실제로 프로젝트 후 시
민정원사들의 도심 속 정원으로
모두 나눠 가지게 됨
- 시민 케어단, 청년 크루단, 정원에
방문했던 방문객 등 다양한 시민
들은 ‘천안케어, 꽃 천안‘ 의 시민
정원을 통해서 때로는 일상적이
고 때로는 꼭 필요한 위로를 찾아
이웃과의 나눔을 성공적으로 실
행할 수 있었다고 말함
‘천안케어, 꽃 천안‘의
확장
현대사회는 이웃끼리 눈 마주치는 것도 힘든 공간이 되어버렸으며, 지역의 커뮤니티를 구성
하고 공동체 문화를 만드는 일은 누군가의 수고와 공간을 통해서 만들어내야 하는 일이 됨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시민 정원 ‘꽃 천안‘ 은 다시 이웃의 일상에 다가가 문을 두드
리는 관심의 연결 고리가 될 수 있었음. 따라서 ‘천안케어 꽃 천안‘ 의 프로그램은 끝났지만
여기서 더욱 확장하여 시민 정원사들은 지속적으로 이웃의 소소한 이야기를 묻고, 그들의
안부를 연결하여 진정한 ‘돌봄의 가치‘ 로 나아갈 수 있을 것
‘천안케어, 꽃 천안‘ 을 통해서 이웃과의 소소한 일상을 축하하고, 위로하고, 기억했던 용기로
다음 단계를 생각한다면, 마을로 확장될 수 있음. 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꽃으로 위로를 전하
는 ‘동네 상조’ 가 단절된 이웃을 서로 서로 돌보게 할 수 있음. 이로 써 꽃과 정원을 매개 삼
아 더 많은 천안 시민 나아가 충남 도민까지 모두 연결되고 세심하게 돌봄을 받을 수 있음
‘천안케어, 꽃 천안‘의
지속 가능 전략
이와 같은 ‘천안케어 꽃 천안’ 프로그램이 꾸준히 이어지려면, 지역의 경제를 지탱하는 소상
공인과 동네 시민들이 함께 조합을 만들어 시민 정원을 가꿀 수 있도록 해야함. 지역의 소상
공인과 상생하는 시민 정원이자, 지역의 사각지대를 돌볼 수 있는 미시적인 공동체가 생기
는 것이 필수적. 나아가 소상공인과 동네시민의 조합을 든든하게 지지하는 행정적인 받침
또한 이루어져야, 시민이 시민을 돌보는 당사자성을 가진 적극적인 케어가 가능. 이처럼 시
민들의 의지와 소상공인의 단결력, 그리고 행정적 받침이 이루어진다면 안전하고 포근하고
건강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음
43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5) 프로그램별 홍보 진행 결과
천안케어, 꽃 천안 포스터 언론보도 (뉴스)아카이빙 영상 스틸컷
- 공식 포스터를 제작하여 공식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홍보
-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cheongchunlab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cheongchunlab/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cheongchunlab/
아카이빙 영상 제작 및 공유 / 인터뷰 진행 (6개의 프로젝트 진행 아카이빙 영상 / 16개의 참여자 인터뷰 영상)
언론보도 : 뉴스 59건 / 매체 공유 165건 진행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4 천안케어, 꽃 천안
3. 활동 사진
1주차 (밀싹샐러드 / 청년크루단) 2주차 (시민 정원 만들기)
2주차 (천안케어 사연 발굴) 3주차 (시민 정원 관리) 4주차(베스트 정원 투표)
45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5주차 (DIT 진행)
페어웰 파티 (수료식)
6주차 (천안케어 A 나눔)
6주차 (천안케어 A 나눔)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6 도시 텃밭
도시 텃밭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지역 주민을 위한 휴식 및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
-상자형 텃밭을 활용하여 노지 텃밭의 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 이를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농장에서 식탁까지 거리가 제로에 가깝도록, 직접 기른 작물들이 신선하게 식탁에 올려지
기까지의 과정을 체험
주요 활동
- 도시 농부 학교 : 도시 농업에 대한 이해부터 조성, 재배기술, 관리기술 등을 익히는 과정
- 상자 텃밭 분양 및 가꾸기 : 주민들이 직접 작은 텃밭을 가꾸며, 경작 활동과 나눔 활동을
실천
- 팜 투 테이블 : 가족들과 또는 이웃들과 함께 먹거리를 나누고 온정도 나누는 프로그램
47
3.WELAB|오픈랩
도시 텃밭
실행 주체 ㈜손수레 백종운 대표
실행 일자
- 도시 농부 학교 : 매주 수요일 운영 (9월 25일 ~ 11월 27일 /총 7회)
- 상자 텃밭 분양 및 가꾸기 : 9월 ~ 11월 / 상시 운영
- 팜 투 테이블 : 9월 28일(토) / 10월 27일 (일) / 11월 17일 (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 도시 텃밭 이용자 : 약 200명
- 도시 농부 학교 수업 참여자 : 13가구
- 상자 텃밭 분양 가구 : 40가구
- 팜 투 테이블 참여자 : 60가구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8 도시 텃밭
1회차 2회차
상시진행
3회차 4회차 5회차 6회차 7회차
| 일시 | 09.25
| 진행 내용 |
-도시 농부 학교 개강식
-강의 안내 및 도시농업의
전반적인 사례 공부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0.15
| 진행 내용 |
-우리나라에서 도시 텃밭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
-텃밭 가꾸기 디자인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0.23
| 진행 내용 |
-텃밭 작물 재배시 씨앗과
모종의 차이 교육
-모종키트에 직접 씨앗을
심어보는 실습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9월~11월 | 참여인원 | 40가구
| 진행 내용 | -상자형태의텃밭을조성하여,분양을신청한사람에한해직접텃밭을가꾸고농사경험을얻어감
-이를통해재배한 작물을 활용하여 이웃과 나눔도 실천하는 농사활동
| 일시 | 11.06
| 진행 내용 |
-토양 이해 및 토양 관리 공부
-밭토양을 오감으로 느껴보며
토양의 성질을 이해,
어울리는 작물을 선택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1.20
| 진행 내용 |
-플랜츠 농사 제작방법 교육
-목재를 활용한 소품 만들기
-텃밭 최종 수확 및 정리, 평가
-수료증 발급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0.30
| 진행 내용 |
-계절별 작물의 특성과 재배방법 공부
-상자 텃밭에 길러지는
가을 농산물 직접 관찰
-생토석을 활용한
토양 활용 실습 교육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1.13
| 진행 내용 |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재료를
활용한 천연 농약 만들기
| 참여인원 |
13가구
2) 진행 일정 별 결과
도시농부학교
2) 진행 일정 별 결과
상자 텃밭 분양 및 가꾸기
49
3.WELAB|오픈랩
도시 텃밭
1회차 2회차 3회차
| 일시 | 09.28
| 진행 내용 |
-충남혁신상회 개소식과 함께 모종 나눔,
요리를 직접 시연하고 나눔 활동 운영
-이탈리아의 가난한 농민들이 허기를
달래기 위해 먹었던 음식인 ‘브루스게타’를
방문객들과 나눔,본 요리는 천안의 농산물
과 손수레 농장의 채소를 활용
| 참여인원 |
200여명
| 일시 | 10.27
| 진행 내용 |
-아이들이 텃밭에서 나는 다양한 채소로 요리하며,
채소와 친해지는 시간을 갖음
-불을 쓰지 않고 채소만으로 한끼를 만들어보는 체험
| 참여인원 |
40가구
| 일시 | 11.17
| 진행 내용 |
-11월 김장철을 맞아 가족들,
이웃들과 함께 김치 담그기
-아이들이 직접 깍두기를 담아
한 통은 가족과,
다른 한통은 이웃과 나눔
| 참여인원 |
20가구
2) 진행 일정 별 결과
팜 투 테이블
3) 결과 내용
4) 차후 계획
-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경험하기 어려웠던 도시 농업과 친근해질 수 있
었던 계기를 마련
- 여름부터 겨울까지 세 개의 계절을 겪으며 농업에 관한 교육을 받을 수 있어 유
익한 시간을 가졌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었음
- 더 많은 주민들이 직접 기르고 공부해 볼 수 있도록 도시 농부 학교 및 상자 텃밭
분양에 대한 확장 요구가 있었음
- 농산물로 직접 요리를 하고, 이를 이웃과 나눔 하는 과정을 통해 텃밭이 줄 수 있
는 온정과 따스함에 대해 느낄 수 있던 시간이 됨
- 도시 농업에 관련한 교육과 텃밭 분양 및 가꿈의 기회가 확대되었으면 하는 수
요 인식
- 일부 참여자가 아닌 일회성이라도 많은 지역민들이 참여하는 대중 강좌 형태로
본 기획을 넓혀보았으면 하는 생각
- 향후 기획에서는 지역내 농장을 견학하며 지역 농가를 활용하는 시간이 더 있었
으면 좋겠다는 생각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0 도시 텃밭
5) 프로그램별 홍보 진행 결과
도시농부학교 포스터 팜 투 테이블 (2차) 포스터상자 텃밭 분양 포스터 팜 투 테이블 (3차) 포스터
- 도시 농부 학교, 상자 텃밭 분양, 팜 투 테이블의 각각 프로그램별로 홍보 포스터 제작
- 손수레 홈페이지(www.sonsure.co.kr) 를 활용하여 자체 홍보 및 모집 진행
- 각 프로그램별 포스터 SNS 공식 계정에 업로드, 지역 커뮤니티 공유
51
3.WELAB|오픈랩
도시 텃밭
3. 활동 사진
도시농부학교 3회차
도시농부학교 6회차
도시농부학교 1회차
도시농부학교 4회차
도시농부학교 2회차
도시농부학교 5회차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2 도시 텃밭
3. 활동 사진
상자텃밭 분양 및 가꾸기
팜 투 테이블 3회차
도시농부학교 7회차
팜 투 테이블 1회차
상자텃밭 분양 및 가꾸기
팜 투 테이블 2회차
53
3.WELAB|오픈랩
자유놀이터
자유놀이터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몰입과 조형성이 탁월하여 유아와 아동 스스로 활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아름답고 탄력적
인 환경 조성
- 커뮤니티, 문화활동 등을 필요로 하는 주민들이 같은 장소에서 안심하고 함께 즐길 수 있
는 장소로 자리매김
- 놀이터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활동을 주변에서 서로 볼 수 있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적 교차 발생
- 모두가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고, 늘 이용하면서 안심과 만족을 줄 수 있는 핵심적
환경 조성
주요 활동
- 모래와 대나무를 사용하여 유일무이한 창의적 ‘어린이 놀이터‘ 구성
- 주요 구조물이 ‘우주 씨앗‘ 이라는 이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용자가 스스로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구조물, 혹은 숨겨진 구조물이 존재
- 안심단계와 모험단계를 이용자 스스로 조절하며 공간을 탐색하는 방식으로, 신체와 감각
의 발전·긴장과 이완·위험 대처 능력을 기대할 수 있음
3.WELAB|오픈랩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4 자유놀이터
실행 주체 박찬국 작가, DRP(Dongdaemun Rooftop Paradise) 디렉터
실행 일자 자유놀이터 운영 : 9월 25일 ~ 11월 28일 / 상시 운영 (9시 ~ 18시)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자유놀이터 이용 인원 : 5,000명 이상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2) 진행 일정 별 결과
지속운영
개장
| 일시 | 9.25-11.28
| 진행 내용 | 
- 자유놀이터 운영
- 놀이터는 프로그램을 따로 운영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관찰하며 이용자들의 활동을 자극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
- 나아가 놀이터의 위험 조건을 확인하고 보완하는 활동에 치중
| 일시 | 9.25
| 진행 내용 | 
- 현장 상황 체크 겸 운영
| 참여인원 |
총 5,000명 이상
| 일시 | 9.27~29
| 진행 내용 | 
- 개막 행사 겸 보완 운영
| 일시 | 10.20 / 11.28
| 진행 내용 | 
- 점검 및 행사 공유 운영
보완 점검
55
3.WELAB|오픈랩
자유놀이터
3) 결과 내용
참여자 기여 효과
커뮤니티 활동 기여 효과
- 일반적인 놀이터는 다양한 법규와 행정 조건과 같은 다수의 제약 때문에, 창의적인 기능을 제대로 수용하기 어렵고 경직되어 있음
- 따라서 충남혁신상회의 ‘자유놀이터’를 통해, 조형성, 재료 감수성, 기능적 고려와 이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놀이가 놀이 이상으로 확장
하도록 구성
- 이와 같은 놀이터는 일시적 방문자 뿐만 아니라 인근 거주 아동들의 일상적인 사랑을 받았으며, 단순히 기능적이고 공간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커뮤니티의 다양한 기능들과 통합적으로 작용함
- 놀이터에서 아동의 발달 단계에 필요한 모험, 탐험, 균형, 역할 놀이와 같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개인의 활동과 협동 활동에서 모
두 만족
- 도시에서의 ‘어린이 놀이터'는 어린이가 사용하는 공간으로 확실히 구성되어 복잡해지는 반면 커뮤니티에서는 공간적으로 고립되고 획
일화 됨
- 충남혁신상회의 ‘자유놀이터’는 사회적 변화와 공간 활용의 통합을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운영 기간 동
안 실제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음
- 놀고 있는 아이들 외에 보호자의 활동도 어느 정도 가능했던 장소가 충남혁신상회였으며, 이 공간에서는 놀이터에서 아이가 이탈할 경우
보호자가 아닌 사람이라도 발견하고 도울 수 있었음. 이처럼 사회적 손길이 미치는 장소는 심리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여러가지 효과를 수
반함
- 360도 전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놀이기구의 크기와 놀이 도구의 다양성 덕분에 많은 수의 아동들이 동시에 각자의 방식으로 이용이 가능
하였으며, 서로 모르는 사이라도 협력하여 스스롬 없이 함께 참여
- 또래 집단을 넘어 동시에 이용하고 어울리 수 있는 통합적 기능과 환경은 전체적으로 관용과 활력이 넘치는 장소적 활기를 생산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6 자유놀이터
4) 차후 계획
지속가능한
‘자유놀이터’의 조건
‘자유놀이터’의
확장 가능성
- ‘자유 놀이터’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없어도 눕고 뛰고 오르고 타고 내리고 기어 다니고 미끄럼을 타고 파고 나르고 뿌리는 방식의 스스로 찾
아서 놀 수 있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제공함. 따라서 충분히 다양한 근육을 쓰고 도전하고, 순간적으로 판단하고 대화하고 협력하는 방식들
이 새롭게 다가옴
- 이와 같은 놀이터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간섭하지 않는 주시를 통해 아이들이 집중력과 창의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환
경을 조성해야 함
- 따라서 최소의 개입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적절한 보완과 자율 규칙이 작동하도록 하는게 좋음. 이를 기반으로 아이들의 모험심 넘
치는 활동을 진작시키기도 하고 문제의 소지를 줄여 지속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임
- 또한 놀이터를 더욱 확장시키기 위해, 놀이터 뿐만 아니라 마켓과 가드닝 공간도 연계할 필요가 있음.
- 마켓과 가드닝 공간 역시 아이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좋은 공간 활동임. 특히나 이런 활동이 실내와 실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 구성
일 경우, 아이들은 놀이터와 더불어 더욱 다양한 경험 가능
- 놀이터를 중심으로 어른의 목적 중심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도록 동선을 계획하는 것 또한 중요
-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놀 고 있을 때 보호자들은 그 주변에서 지켜보면서 동시에 본인들이 할 수 있는 활동을 가지는 것이 중요.
- 특히 내가 내 아이를 돌볼 때 다른 아이를 같이 볼 수 있는 환경은 사회적 안전과 신뢰를 만들어냄.
- 따라서 아이와 부모가 서로에게 지나치게 집중하기 보다는, 아이는 아이대로 놀이 활동을 즐기고 부모는 부모대로 본인의 여가 활동을 즐
기면서 ‘자기 가족‘ 이라는 좁은 범위가 아니라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이용자들을 서로 확인하는 방식이 사회적 신뢰를 쌓기에 필요
- 충남혁신상회의 프로그램들이 더욱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면, 기존의 자유놀이터 또한 더욱 그 의미를 확장하여 아이들의 즐거움
은 물론이고 어른들에게도 개인의 자기 활동을 보장하는 프로그램이 될 것
57
3.WELAB|오픈랩
자유놀이터
3. 활동 사진
자유놀이터 이용 모습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8 자유놀이터
3. 활동 사진
자유놀이터 이용 모습
59
3.WELAB|오픈랩
삐삐책방
삐삐책방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참여자들에 의해 모인 책들로 조성한 도서관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다시 이 책들이 지역사
회에 기증되는 방식을 통해 참여자들은 공유와 순환의 긍정적 가치를 느낄 수 있음
- 참여자들이 책 기증을 기반으로 가치의 순환을 경험하고 나아가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과
정을 통해, ‘공유경제 플랫폼‘의 구축을 기대할 수 있음
주요 활동
- 참여자들은 더 이상 읽지 않는 ‘어린이 책‘을 기증하고, 책 개수에 따라 ‘삐삐 쿠폰‘으로 교
환 받음
- ‘삐삐 쿠폰’은 충남혁신상회 내에서 쓰이는 화폐로, 책 한 권당 삐삐 쿠폰 1개로 교환받아
개당 천 원의 가치를 가짐
- 참여자들은 삐삐 쿠폰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및 위 룰 마켓에서의 상품 구매
- 기증된어린이책은옥외배송장에조성된‘삐삐책방’에서누구든언제나자유롭게독서가능
- 이후 참여자들에 의해 기증된 책들은 다시 지역사회에 필요한 어린이 기관으로 재기증
3.WELAB|오픈랩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0 삐삐책방
3) 운영 방식
- 참여자의 공유로 경제적인 가치를 만들고, 그 가치가 순환하는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쿠폰을 화폐로
경제적인 활동에 활용
도서관이 부족한
성거지역에 도서관련
문화공간 조성
삐삐쿠폰
- 충남혁신상회 내에서 활용되고 기능하는 ‘삐삐 쿠폰‘ 으로 공유경제 체험의 발판 마련
참여
도민
삐삐
책방
가치의
순환
마켓
생산자
순환,
공유
로컬랩
및
오픈랩
상품 교환
체험 교환
지역사회 환원
어린이 도서 선물 삐삐쿠폰 증정
충남혁신상회 내 삐삐 쿠폰의 기능 및 의미
- 삐삐 쿠폰은 ‘지역 화폐’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부분적으로 이를 실험해보고자 함
- 지역 화폐는 정해진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돈으로, 대도시로 경제활동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지역 내 경제 순환구
조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함
- 지역 화폐가 작은 지역 내에서 유지 비용을 갖춰가며 자리 잡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시도는 꾸준히 이루
어지고 있음. (대표적으로는 대전의 품앗이 전통을 계승한 ‘한밭레츠‘ 라는 지역 화폐가 있음)
- 삐삐 책방에서는 ‘충남혁신상회‘ 라는 작은 범위 안에서만이라도 삐삐 쿠폰을 활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주변 도민들이 생
산자 직거래 마켓에서 로컬 푸드를 소비하도록 장려하고 더불어 도민들에게 ‘지역 화폐 활용’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하였음
61
3.WELAB|오픈랩
삐삐책방
삐삐 책방 조성 및 게시
합계
삐삐 책방 운영 및
책 선물 진행
67명
49명
20명
4명
130명
699권
483권
186권
25권
1393권
322개
242개
91개
20개
675개
9.28
10.12
10.26
11.23
실행 주체 티팟㈜
실행 일자
- 삐삐 책방 운영 : 상시 운영(월~일 / 9시~ 18시)
- 책 선물 기간 : 9월 28일, 10월 12일, 10월 26일, 11월 23일 (토) / 12시 ~ 18시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 삐삐 책방 이용 : 약500명
- 책 선물 인원 : 130명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2) 진행 일정 별 결과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2 삐삐책방
3. 활동 사진
2. 실행 결과
3) 결과 내용 4) 차후 계획
- 어린이들을 비롯한 온 가족이 삐삐책방에서 자유롭게 책을 접할 수 있게 됨, 야
외에 조성된 특별한 ‘동네 도서관‘ 으로 자리잡음
- 아이들이 크고 나면 처리가 곤란한 ‘어린이 책’을 선물받음으로서, 선물하는 사
람과 받는 사람 모두 즐거운 과정을 경험
- 책을 선물하면 받게 되는 ‘삐삐쿠폰’으로 마켓에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
에, 참여자들의 참여도가 활발해지고 높아짐
- 특히 충남혁신상회 내에서만 활용되는 화폐인 ‘삐삐쿠폰’은 참여자들에게 새로
운 경험을 제공하여 큰 호응과 관심을 얻음
- 선물 받은 책들을 지역 아동 기관에 전달
- 앞으로의 삐삐책방이 가졌던 구조를 활용하여, 책이 아닌 다른 기증품 혹은 쿠
폰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변화하며 실험할 수 있음을 기대
- 누구에게나 열려있고 쉽게 접근 가능했던 삐삐 책방을 통해, ‘공유 경제 플랫폼’
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경험하여 차후 이와 같은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에 도
움이 될 것으로 전망
63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WE RULE MARKET
1. 프로그램 소개
2. 기획 기본방향
3. 실행
- 예술과 융합된 새로운 유통실험
- 지역 소비자가 원하는 구매품목과 시장문화를 살핌
- 시장의 지속가능한 운영방향 모색
- 지역에서 활동중인 청년농부, 강소농 생산자, 자연농법 생산자, 유기농 재배 생산자 등 건강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과
먹거리의 소규모 생산자와 안심하여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와 연결하여 만나고 이야기하며 교류하는 생산자 마켓 형성
- 지역 주민이 참여하여 안 쓰는 물건을 매개로 커뮤니티 기반의 모두의 장터 형성
1) 운영
- 일시 : 격주 토요일 마다 총 4회 차례 운영
(9/28, 10/12, 10/26, 11/23 *11/9 우천예보로 휴장), 12:00 ~ 17:00
- 장소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옥외배송장
2)-1 생산자 마켓
- 참여 팀 수 : 기본 20팀 내외
- 팜매품목 : 농부시장(식재료, 가공식품, 발효식품 등),
먹거리 (다과류, 음료, 분식 등), 수공예팀
2)-2 모두의 장터 (플리마켓)
- 참여 팀 수 : 기본 10팀 내외
- 판매품목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깨끗한 물건들(제
한 없음)
3.WELAB|오픈랩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4 WE RULE MARKET
1 생산자 마켓
- 참가접수 : 구글설문 신청서를 통한 온라인 및 전화접수
- 모집안내 그룹 : 충청/세종 4-H농장, 청년농업인, 영농공동체, 여성농업인, 강소농 모임,
대학교 영농창업사업단, 마르쉐 참여농부 등 약 200팀에게 개별 연락하여 안내
2 모두의 장터
- 참가접수 : 구글설문 신청서를 통한 온라인 및 전화접수
- 모집홍보 :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 홍보물 게시(천안 북서부 자이에뜨 입주자카페, 맘카페,
지역소식카페/앱), NGO지원센터 블로그/페이스북/홈페이지
2) 참가자 모집
3) 홍보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게시 홍보물
65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4) 온라인 채널 운영
- URL : sites.google.com/tpot.kr/we-rule-market
-홈페이지 : WE RULE 마켓 소개 및 일정 안내, 생산자 마켓 셀러/
모두의 장터 주민 참가자 모집안내 및 신청접수 플랫폼 기능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6 WE RULE MARKET
4. 실행결과
4-1) 생산자 마켓
1) 1회차 9월 28일(토)
2) 2회차 10월 12일(토)
① 이용인원 : 약 200명
② 총 판매액 : 약 2,620천원
③ 출점 농가 15팀
굼 앤 머쉬, 남일농장, 들길농원, 모산춤추는고추농장, 미희특수작물, 밀크모아영농조합법인, 성
산표고버섯농장, 엄마포도농원, 장세영(수공예품), 장쟈크밀람상점(수공예품), 초록이둥지협동
조합, 충남농특산물협회회원농가, 콩밭카페, 하늘맑은와송, 희망농원
① 이용인원 : 약 130명
② 총 판매 : 약 1,458천원
③ 출점 농가 13팀
굼앤머쉬, 남일농장, 들길농원, 모산춤추는고추농장, 미희특수작물, 밀크모아 영농조합, 성산표
고버섯농장, 소부리영농조합, 장세영(수공예품), 청풍명월명품고추, 초록이둥지협동조합, 충남
농특산물협회 회원농가, 하늘맑은와송
67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4-2) 생산자 마켓모두의 장터
3) 3회차 10월 26일(토))
- 모두의 장터
① 주민 참여자 4팀
신지혜 가족(성환읍), 김정은 가족(용곡동),
김현경 가족(성환읍), 임미옥 가족/이웃/친구(성거읍)
팀(두정동), 허지혜(서울)
② 판매품목
장난감, 책, 의류/가방 등 패션잡화, 생활용품
- 생산자 마켓
① 이용인원 : 약 85명
② 총 판매액 : 약 788천원
③ 출점 농가 10팀
공주마리농장, 굼앤머쉬, 남일농장, 다우리떡집, 들길농원,
미희특수작물, 장세영(수공예품), 초록이둥지협동조합,
충남농특산물협회 회원농가, 하늘맑은와송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8 WE RULE MARKET
4-3) 모두의 장터
4) 4회차 11월 23일 (토)
① 이용인원 : 약 172명
② 주민 참여자 8팀
감미선(천안시), 이미혜 가족(성거읍), 임미옥 가족(성거
읍), 신주영 가족(두정동), 전미래 가족(성거읍), 김미정 가
족(쌍용동), 다옴 팀(두정동), 허지혜(서울)
③ 판매품목
장난감, 책, 피규어, 패션잡화, 생활용품, 수공예품, 반려동
물 용품 및 수제간식, 펄러비즈 체험
69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5. 결과정리
5-1) 운영 - 생산자 마켓의 셀러 등록인원 23명 생산지역
셀러 등록인원의 약 48%가 천안시에서 활동하는 생산자가 가장 많았다. 그 밖에 공주시,
논산시, 보령시, 청주시, 청양군, 홍성군, 부여군, 금산군, 강원도 영월의 생산자가 참가 신
청함
- 모두의 장터의 참가등록 인원 23명 거주지역
주민참가자 등록인원 17명의 거주지가 성환읍 10명, 두정동 2명, 청수동 1명, 용곡동 1
명, 대흥동 1명, 쌍용동 1명, 서울시 1명으로,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기점으로 약 13km
이내 지역의 주민이었음(서울시 제외).
1) 지역별 참가신청자
2) 출점 팀 수, 매출, 이용인원
합계
일시
5071 4,866 587
9.28
10.12
10.26
11.23
분류 신청 팀 수 출전 팀 수
매출 총액
(단위:천원)
이용인원
생산자 마켓 17 15 2,620 200
생산자 마켓 17 13 1,458 130
생산자 마켓  모
두의 장터
19  7 10  4 783 85
* 11.9 우천예보로 휴장
모두의 장터 11 8 4,866
방문객 의견
- 문화공연과 함께 어우러진 시장으로 지속되길 원함
- 1차 농산물 보다 가공식품과 특색 있는 새로운 품목 필요
-아이들을위해구매하는젊은엄마들대상의소비품목필요
- 시설/프로그램과 연계운영으로 방문객이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높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먹거리의 필요
- 정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운영되길 원함
셀러 의견
- 공간이 활성화 단계에서 상행위 프로그램은 사람들의 공
간이용이 높아진 이후 들어오는 것이 필요
- 주요 소비층이 30-40대였고 이에 맞는 품목 필요
- 1차 농산물의 소비층은 어르신들 뿐이었음
- 찾아와야 하는 공간이기에 홍보와 마케팅 중요
- 생산자 간의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장이길 원함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0 WE RULE MARKET
3) 생산자 마켓 셀러 의견 (10.12 서면 설문조사 진행)
목적: 소규모 농업 생산자의 고민과 바람을 고려한 예술과 융합된 새로운 유통실험을 위해,
농산물 가치/유통/부가가치에 대한 WE RULE MARKET 셀러 의견조사
질문1 : 해당 농업 분야의 생산자로서
어떤 고민/어려운 점 또는 바람이 있으실까요?
질문2 : 어떤 농업 생산자 주도의 유통을 원하시나요?
- 정품이 아니면 판매가 어렵다는게 어려운 점 같습니다. 흠집이
나거나 못생긴 과일 등 B품이어도 먹는데는 지장이 없는데 소
비 자체가 적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
- 친환경농업 단체로서 친환경 농업이나 농산물에 대한 가치 혹
은 편견을 바꿔주고 싶은데 저희도 준비가 부족하고 참가자들
도 적어서 아쉽습니다.
- 우리나라의 쌀 소비가 줄면서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판로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다양한 유통 채널이 필요합니다.
-판매할곳이없어서고민입니다.직거래장터가정기적,지속적으
로운영되어안정적생산과고용창출이이루어지길바랍니다.
- 농가 직판이라던지 체험활동을 통해 농민들의 고충을 이해하
고 반대로 농민들 또한 소비자들과 소통을 통해 좀 더 알아가는
도농교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생산자와 소비자가 최소한의 유통과정을 거쳐 신선하고 저렴
한 농산물을 만나 서로 좋음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실현하기가
생각보다 힘듭니다. 좋은 품질, 합리적인 가격, 소비자 의식, 모
두가 함께 유기적으로 연대 되어야 가능한데 위 룰 마켓이 좋은
방향을 제시하는 공간이었으면 합니다.
-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결방식(꾸러미)도 중요하고 생산물의 가
치도 중요합니다. 
- 장터에서 상품을 구입한 후 장터 이용이 어려울 시에는 택배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설문내용
71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질문3 : 해당 농업 분야에 농산물의 가치가 확장되
기 위해 기존 시장에서 없어져야 하는 규칙과 새로
이 만들어져야 하는 규칙이 무엇일까요?
질문4 : 해당 농업 분야의 농산물이 단순히 상품 거래
되는 것을 넘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된다고 생각하신다
면, 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고령화 사회가 되가는 만큼 기존 기득권층의 텃새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 직장 또한 젊은 사람들의 설자리가 점
점 사라지고 있다고 봅니다. 경력자들이 새로운 사람들을 이끌
어주고 새로운 사람들은 잘 따라가며 상부상조하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 복잡한 유통구조는 반드시 간결하게 바뀌어야 합니다. 서로 신
뢰할 수 있을 때 가능하지만요. 간단하지만 어렵습니다.
- 생산자에게 자율을 줘야 합니다.
- 통제와 규정을 두지 말고 농가 스스로 농산물의 가치성을 자랑
하고 자율에 맞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품질 좋은 농
산물이 나오며 시장이 좋아질 것입니다. 
- 규격화된 품질 확보를 없애고,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1차 농산물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가공된 물품들을 개발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1차 농산물의 성장은 멈추고있습니다. 가공이 해결방안이라 생
각됩니다. 생산자들이 가공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체계가 각
지자체에서 준비중이거나 실행 중입니다. 보여주기 식이 아닌
내실 있는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소규모 농가도 마음 가볍게 접
근할 수 있는 가공시설이 충남 곳곳에 있었으면 합니다.
- 계절별 생산물이 있기에 시장에 내 놓아지는 품목이 중복되는
데 재배농법, 가공 방법등의 설명으로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소개가 필요합니다. 또한, 농부의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와 연계
프로그램을 하면 좋겠습니다.  
- 직거래가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 농가 현장체험을 운영하면 좋겠습니다.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2 개요
LOCAL LAB
개요
- 기간 : 2019년 9월 ~ 2019년 11월
- 로컬랩으로 실행된 프로그램 수 : 12개 단체, 13개 프로그램
- 로컬랩에 참여인원 : 총 2,478명
- 실행장소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옥외배송장, 자동차 극장부지, 지하 배송장, 2층 사무실구역
- 실행목적 : 도민들이 낸 공간활용 아이디어를 도민기획자가 직접 실행하며 실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도민이 주인인 공간으로 각인시키고 앞으로 공간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갈 수 있는 선행 멤버십 구축
플레이그라운드 너, 나, 우리는 허그미 프로젝트해비타트 DIY리스토어
73
3.WELAB|로컬랩
플레이그라운드
플레이그라운드
실행 단체 크룩(지영민, 김예주)
실행일자 10월 5, 12, 19, 26일, 11월 16, 23일(총 6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133명
- 누구나자유롭게스케이트보드를탈수있는공간을구축하고이곳을찾고관심을가
지는시민들에게무료로강습을진행하면서스케이트보드문화를확산하고자하는취
지
- 눈, 비, 바람에 제한을 받지않고 항상 즐길 수 있는 실내 스케이트보드 파크를 구축하
고자 함
- 프로그램에 참여신청을 하는 시민들에게 보호장구를 지급하고 30분내외의 스테이
트보딩 워크숍 진행
- 옥외배송장에 하프파이프 스케이트보드시설 설치
- 10월 5일 천안AM 천안지역 스케이트보드 대회 개최
- 아직 한국에 대중적인 취미활동으로 정착되지 않은 스케이트보드를 천
안시민, 어린이를 대상으로하는 워크숍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중부농축
산물류센터를 방문하면 신선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다는 인상을 줌
- 우천시나 동절기에 외부에 설치된 시설로 인해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없
어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지하공간이나 1층 창고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실내공간을 꾸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 개방성 : 무료강습을 열어 현장을 찾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공유경제 모델 : 하우스오브 반즈를 모델로 스케이트보드를 기반으로 한 지역문화
예술 활성화를 통한 공유경제모델 실현
- 지속가능성 : 동호인을 중심으로 지역의 스케이트보드 씬을 대표하는 장소로 자리
매김하여 지속적으로 방문객이 찾는 공간으로 입지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4 원하던 캠핑
원하던 캠핑
실행 단체 천안시도(천민호, 김동환, 최광운)
실행일자 9월 28일, 10월 5, 12, 19, 26일, 11월 2, 9, 16일(총 8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439명
- 캠핑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인근 공유지를 개방하여 천안 인근지역의 시
민들의 여가활동의 선택지를 늘임
- 캠핑을 할 수 있는 장소, 텐트를 저렴한 가격으로 대여하여 보다 많은 시민들에게 캠
핑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옥외배송장 외곽에 텐트를 칠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전기, 수도를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여 공간을 방문하는 시민 누구나 캠핑을 할 수 있는 시
설마련
- ‘자유놀이터’와 함께 가족단위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 지역을기반으로한커뮤니티를통한커뮤니티를통해효과적인홍보활동을
실행하였고쉽게접근할수있는인근아파트단지주민들에게큰호응을얻음
- 하지만 초기에 기획하였던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 대비 운영계획이 부실하여
실행을 기획했던 프로그램들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함
- 날씨와 조성된 공간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이기때문에 지속적
인 운영을 위해 공간의 확보 및 추가적인 설비의 시공이 필요해 보임
- 개방성 : 캠핑을 즐기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시민들이라면 누구든 접근할 수 있도록
예약, 이용 등의 문턱을 낮춤
- 공유경제 모델 : 지역의 생산자를 우선으로하여 캠핑장비, 상품을 홀보할 수 있는 창
구로 활용하고, 캠핑 이용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지역의 다양한 아티스트와 나누어
상생할수 있는 구조 마련
- 지속가능성 : 참가비를 받아 운영과 보수를 진행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마련하여 방
치되지 않고 관리되는 캠핑공간으로 지속하고자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75
3.WELAB|로컬랩
해비타트 DIY 체험
해비타트 DIY 체험
실행 단체 한국 해비타트 세종충남지회 (곽금찬)
실행일자 9월 25일 ~ 11월 30일(총 47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736명
- 건설현장에서 발행하는 목재 폐기물을 재활용하기위해 DIY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 자원 재순환을 통하여 지역을 재생하고 재생물품 판매를 통해 지역경제를 다시 활
성화하며,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공익적 결과물을 창출함
- 위랩 프로그램중 최장기간 현장을 지키며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던 프로
그램으로 봉사활동 참가자와 함께 아이디어 기획회의를 통해 제작물품을
결정하고 직접 목제품을 만들어볼수 있는 워크숍 운영
- 736명이 참여하여 스마트폰거치대 145개, 냄비받침대 187개, 공간박
스 96개를 제작하여 제작자가 소유하거나, 충남지역아동센터에 기증함
- 개방성 : 누구나 참여가능한 DIY 체험부스 운영
- 공유경제 모델 : 제작된 DIY제품, 공간박스는 지역 아동센터에 기부
- 지속가능성 : 향후 조성될 리스토어센터를 통해 수익모델을 정착시켜 지속적인 운
영이 가능하도록 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2. 기획 기본방향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6 해비타트 목조주택 만들기
해비타트 목조주택 만들기
실행 단체 한국 해비타트 세종충남지회 (김용훈)
실행일자 9월 25일 ~ 11월 30일(총 47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289명
- 재난지역에 긴급구조를 위해 보급할 수 있는 목조주택을 참가자와 함께 만들며
목조주택 제작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통해 공익적 결과물을 만들어냄
- DIY프로그램과 함께 연계하여 봉사활동 참가자와 함께 목조주택 제작에
필요한 공구의 사용, 재료의 특성, 주택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여러차수에 걸쳐 이동식 주택을 완성함
- 총 289명이 참여하여 3개동의 이동식 목조주택을 제작
- 지역사회내에 시설보수가 필요한 성거읍복지회관, 영광교회, 지역아동
센터, 희망의마을을 방문하여 81장의 방충망교체시공을 진행
- 차후 지하창고공간을 활용한 리스토어공간을 운영하여 오래된 가구를
수거, 새롭게 활용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 개방성 : 목조주택 건축과정 관람과 참여에 따른 교육적 효과 및 친환경 목자재
정보 공유
- 공유경제 모델 : 화재, 재해 발생시 이재민에게 우선적으로 제공되어 피해복구
및 빠른 일상복귀를 위한 주거공간 제공
- 지속가능성 : 향후 조성될 리스토어센터를 통해 수익모델을 정착시켜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2. 기획 기본방향
77
3.WELAB|로컬랩
너, 나, 우리 Hug Me 프로젝트
너, 나, 우리 Hug Me 프로젝트
실행 단체 허그미 팀(곽여름, 김해주)
실행일자 11월 9, 16, 23일(총 3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67명
- ‘Hug me’ 프로젝트는 반려동물의 생명을 경시하는 인간 우위적인 인식을 탈피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인식전환을 이루어 냄으로써 인간과 반
려동물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
-클레이점토로 반려동물 모형만들기, 석고방향제 DIY, 알지네이트를 활용
하여 손모양뜨기, 반려견과 함께 찍는 스냅사진전 등 운영
- 참가비 명목으로 ‘천안시 유기견 보호소’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기위한
비용 모금 진행
- 기부금 모금 34,600원을 유기견 보호소로 전달
- 기획과 홍보를 위한 시간이 부족하여 아쉬움
- 두번의 학기와 방학을 이용하여 8주진행 커리큘럼으로 일회성을 벗어난
프로그램을 기획해 보고자 함
- 삭막한 공간의 개선을 위한 벽화프로젝트 등의 추가적인 실행을 제안해
보고 싶음
- 개방성 : 반려동물의 유무와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진전시회를 진행하여 시
민들과 SNS누리꾼들의 관심을 이끌어내어 유입을 증가시킬계획
- 공유경제 모델 : 문화예술적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에 관한 사회적이슈를 풀어
내고 그로 인해 동반되는 관심과 수익으로 도움이 필요한 곳에 환원함
- 지속가능성 :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라이프스타일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사회
적 관심도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취지를 충분히 설명할수 있다면 꾸준히 지속가능할
것으로 판단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8 Overpacking 展
Overpacking 展
실행 단체 당근주스 팀(최진형, 임기환, 이의용)
실행일자 11월 23일(총 1일)
실행 장소 자동차극장 부지
총 참여인원 30여명
-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영감을 받아 과대포장이라는 주제로 중부농축산물류센
터를 예술이 있는 공간으로 작업함
- 주제와 장소의 특성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보는이가 작품을 통해 공간을 새로운 시
각으로 사유해 볼 수 있도록 함
- 10m x 10m 규모의 야외 설치미술작품 설치
- 목재로 틀을 잡은 상자구조를 반복적으로 설치하여 관람객의 기대감을
증폭시키고, 작품동선의 마지막에 설치한 입체작품으로 과장된 작품을
표현하여 현세태를 풍자함
- 예술가들이 공간을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열어 예술가 레
지던시로 운영하며 주기적인 전기획을 진행하고자함
- 인근에 위치한 충남예고와의 교류를 통해 지역 예술가들이 지속적인 활
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고 싶음
- 개방성 : 야외에 설치미술작품을 전시하여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방문하는 누구나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함
- 공유경제 모델 : 문화예술공간으로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활용하여 차후에는 예술
품이 거래되는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지속가능성 : 공간을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문화,예술적 공간활용에 대한 가
능성을 제시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79
3.WELAB|로컬랩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독한마켓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독한마켓
실행 단체 허송세월 팀(최진형, 임기환, 이의용)
실행일자 11월 23일(총 1일)
실행 장소 자동차극장 부지
총 참여인원 30여명
- 반려동물의 증가와 인식변화로 펫코노미 산업이 떠오르고 있고 그에 따라 반려동물
과 함께 사는 천안 이미지생성 및 천안의 펫코노미 산업 홍보를 위한 반려동물 박람
회 프로그램을 기획함
- 자동차극장부지를 활용한 플리마켓 형태의 소형 박람회 운영
- 반려동물 관련 지역셀러들의 네트워킹 자리 마련
- 20개의 셀러참여, 30여명의 방문객 유치
- 짧은 홍보기간으로 많은 참여자를 유치하지못했으나 지역 반려동물 애
호가들에게 동물과 함꼐 놀수 있는 장소가 있음을 알렸고 일반 방문객에
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할 수 잇는 공간을 소
개함
- 반려동물로 한정하지않고 다양한 아이템을 교류할수 있는 컨텐츠컨셉을
실행할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 개방성 : 박람회 개최를 통한 충남도민 정보교환의 장을 마련, 박람회실험을 통해 다
양한 분야로 확장을 실험
- 공유경제 모델 : 다양한 분야의 사업자들과 소비자를 연결하여 지역플랫폼을 형성,
지역내 교류를 이끌어냄
- 지속가능성 : 반려동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박람회로 확장가능하며 컨
벤션이 없는 충남, 천안지역에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여 수요를 집결할 수 있음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80 We Rule Underground
We Rule Underground
실행 단체 피사 플랫폼 팀(정피사)
실행일자 11월 23일(총 1일)
실행 장소 지하 배송장
총 참여인원 30여명
- 다양한 청년들의 네트워킹을 위한 EDM 파티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 대학 청년
들과 기획자들이 모일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 지하공간을 활용한 클럽파티 운영
- DJ공연, 댄스배틀, 칵테일 클래스 및 식음료 제공, 멕시칸 부리또 부스 운
영, 원테이블 카지노 운영, 각종 카니발게임 및 단체게임 운영
- 정기적인 파티를 개최하여 천안 인근지역의 파티문화 정착 및 오프라인
네트워크 강화
- 공간에 대한 다양한 공연 및 문화행사 가능성 실험
- 개방성 : 청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네트워킹을 통한 공감대 형성
- 공유경제 모델 : 국경을 넘어선 개인간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고류를 장려하고
이를 기반으로한 다문화 공유
- 지속가능성 : 기존 가족단위를 타겟으로한 중부물류센터의 여러실험의 타겟을 청년
층까지 확대하여 다양한 세대를 공간에 방문하게 함으로써 세대간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81
3.WELAB|로컬랩
Puppet  작은공연 우주극장
Puppet  작은공연 우주극장
실행 단체 운주문호회 (이강미, 최기선)
실행일자 10월 26일, 11월 28일(총 2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100여명
- 지역민에게 다양한 형식의 공연을 통해 예술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
고 예술가들에게는 작은 공연을 창작하여 선보일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10월 23일 탈이야기, 풍선여행, 로베르또 할아버지의 수상한 공
방 진행
- 11월 28일 고향의 봄, 솔산 광덕이야기 진행
- 야외활동이 어려워지는 초겨울 시즌에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야외공연을
운영하기에 어려운지점이 많았음
- 이 기회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주민이 함께하는 공
연이나, 함께 소품을 만드는 활동과 함께 거리공연을 기획하고자 함
-개방성:야외공연의특성상입장절차없이전연령층누구나관람할수있고언어를통
한내용의전달이아닌감성의전달을통한공연으로배리어프리공연형식을취함
- 공유경제 모델 : 현재의 공연형식에서 나아가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진행할 수 있다
면 지역주민들과 함께하는 퍼레이드 인형만들기 등으로 공연참여를 통한 주민참여,
공유경제 모델을 구축할수 있을것으로 판단함
- 지속가능성 : 참여예술인들의 창작활동 및 발표공간 조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상설
화하고 지역 예술인과의 교류를 통해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82 얼굴있는 농부시장
얼굴있는 농부시장
실행 단체 도농문화콘텐츠연구회 (홍서웅, 표기용)
실행일자 11월 28일(총 1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32농가 셀러 70명, 방문객 330여명
- 얼굴있는 농부시장 X 충청도 청년농부를 중심으로 시민과 함께 소통하며 즐기며 경
험하는 파머스마켓 운영
- 도시와 농촌의 새로운 교류 플랫폼으로 중부농축산물류센터만의 특화된 공적 이미
지 확산
- 충청도를 기반으로 활동중인 청년농부 19개팀, 얼굴있는 농부시장 13
개팀 참가
- 11월 28일 총매출 5,030천원
-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생산자 마켓이 열리는 장소로 만족스럽고 적합하
다는 평
- 적극적 오프라인 홍보와 정례화를 통해 마켓의 입지를 다질 필요가 있음
- 청년농부들로부터 지속가능한 지역 네트워크 플랫폼의 필요성에 대한
요청이 있었으며 어린이집 단체체험, 교육프로그램운영 등 지역연계 프
로젝트를 활성화할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
- 개방성 : 지역농가에서 원한다면 누구든 신청하여 참가할 수 있고 전문유통인보다
는 청년농부에게 참여우선권을 부여하여 생산과 유통을 함께 진행함
- 공유경제 모델 : 다양한 식문화와 지역자원의 교류공간으로 중부 농축산물류센터를
소개하여 가치의 공유, 소통의 장으로 기능하게 함
- 지속가능성 : 소규모농가, 청년생산자의 커뮤니티 지원을 통한 생산자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식문화를 주제로한 다양한 콘텐츠 실험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문화마켓으
로 지속적인 활동 기획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얼굴있는 농부시장얼굴있는 농부시장얼굴있는 농부시장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Seongwon Kim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Seongwon Kim
 
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
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
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Bayar Tsend
 
파라카 사업계획서
파라카 사업계획서파라카 사업계획서
파라카 사업계획서
Kim JongHoon
 
Planning legestation
Planning legestation Planning legestation
Planning legestation
MIRAL SONI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Seongwon Kim
 
Copenhagen
CopenhagenCopenhagen
Copenhagen
HistoryExpert006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Sang Hyun Park
 
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
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
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
SmartEcoCity (SEC)
 
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
[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
[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더게임체인저스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더게임체인저스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seoulgreentrust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
더게임체인저스
 
Master thesis
Master thesisMaster thesis
Master thesis
Kaniz Saima
 
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
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
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
teaminterface
 
[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
[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
[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
더게임체인저스
 
Holly baubotanik report 2012
Holly baubotanik report 2012Holly baubotanik report 2012
Holly baubotanik report 2012hollysimon
 

What's hot (20)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
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
Urban planning in japan (nagayama)ubmps
 
파라카 사업계획서
파라카 사업계획서파라카 사업계획서
파라카 사업계획서
 
Planning legestation
Planning legestation Planning legestation
Planning legestation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Copenhagen
CopenhagenCopenhagen
Copenhagen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
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
Current Situation & Development Framework of Sino-Foreign Eco-Cities
 
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리서치 디자인앤오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소개 - 한국디자인진흥원
 
[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
[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
[창업자&예비창업자] 2019년 창업아이템 발굴 및 선정 방법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아이템선정전략
 
Master thesis
Master thesisMaster thesis
Master thesis
 
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
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
서비스디자인 개요 및 사례
 
[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
[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
[창업&예비창업자] 창업마케팅전략 및 사례분석
 
Holly baubotanik report 2012
Holly baubotanik report 2012Holly baubotanik report 2012
Holly baubotanik report 2012
 

Similar to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
Jin-Young Kang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Inae Jung
 
2015 cckorea 총회
2015 cckorea 총회2015 cckorea 총회
2015 cckorea 총회
Creative Commons Korea
 
[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
[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
[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
aRchie WS. Kim
 
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
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
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인포마스터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준열 김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Npocenter Seoul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
sohokorea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
Jin-Young Ka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정기업무보고(8월)
정기업무보고(8월)정기업무보고(8월)
정기업무보고(8월)세형 이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actioncan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actioncan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
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
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
gdiwelfare
 
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actioncan
 

Similar to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20)

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2015 cckorea 총회
2015 cckorea 총회2015 cckorea 총회
2015 cckorea 총회
 
[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
[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
[아키브레인 오픈리포트] 서울디지털재단 컨셉 & 오프라인 공간전략 제안
 
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
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
공공Pr본부 회사소개서 120117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1005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
GEW2009 Korea 행사개요 090929 (2)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SIMIN Regular general meeting
 
정기업무보고(8월)
정기업무보고(8월)정기업무보고(8월)
정기업무보고(8월)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
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
고앤두 캄보디아 도시 근교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유통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사업
 
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
 

More from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More from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Kai
KaiKai
Kai
 
Daegu
DaeguDaegu
Daegu
 
Brown
BrownBrown
Brown
 
Gamin
GaminGamin
Gamin
 
dazzayo
dazzayodazzayo
dazzayo
 
Dsi
DsiDsi
Dsi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 1.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 2. 1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
  • 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
  • 4. 3 CONTENTS WE LAB 개요 ………………………  35 오픈랩 ………………………………  37 로컬랩 ………………………………  72 WE RULE FESTIVAL ………………  86 WE RULE CELEBRATION …………  92 오픈테이블 기록……………………  138 전문가 워크숍 기록 ………………  153 충남혁신상회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65 1. 기획 4. 홍보 2. WE DRIVING 5. 성과 3. WE LAB 부록 사업 개요 ……………………………  11 사업배경 및 목적 ……………………  12 대상지 현황 …………………………  13 사업 기본 방향 ………………………  17 사업 프로세스 ………………………  19 추진 방향……………………………  104 홍보 실행 내용 ……………………  106 기록 및 아카이빙 …………………  123 오픈테이블……………………………  24 전문가 워크숍 ………………………  31 주요 성과 …………………………  126 과제 …………………………………  132 제안 …………………………………  134
  • 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 전문가 워크숍오픈테이블로컬랩오픈랩 WE RULE PROJECT 3차전문가 워크숍 : 자치와 연합의 플랫폼 구축 전략 꽃천안 프로그램 자문 전문가 워크숍11차 청양 청춘씨드 오픈테이블 FESTIVAL 해비타트|DIY 체험 로컬랩 참여단체 워크숍 크룩|플레이그라운드 19차천안 문화도시 모임 오픈테이블 티팟 프로젝트 협상적격자 단체 선정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착수 보고 1차 전문가 워크숍 : 기억과 장소성이 결여된 공간의 새로운 쓰임 충남도 지사 보고 전문가 사전 워크숍 2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2차 천안 띵크그라운드 독서모임 오픈테이블 8차 부여 마을문화학교지역활동가 오픈테이블 9차 청양 청춘씨드 오픈테이블 3차 천안 청수고등학교 오픈테이블 17차 천안 문화도시 모임 오픈테이블 18차 상명대 문화예술경영학과사업 소개 및 오픈테이블 천안시도|원하던 캠핑 해비타트|목조주택 만들기 봉사 0922 10100925 1003 1004 1006 0928 0924 09190903 09170611 0709 0723 07260719 0724 0801 0807 0813 0808 0809 0814 0815 0730 0730 0803 0806 0812 0826 10 티팟|WE RULE MARKET 0527 0607 0716 2차 전문가 워크숍 : 욕구를 수용하는 공간과 욕구를 생산하는 공간 1차 아산 협동조합그려 문화콘텐츠 기획자 오픈테이블 16차 천안 문화도시 모임 오픈테이블 10차 아산 협동조합그려 문화콘텐츠 기획자 오픈테이블 오픈랩 기획자 현장 미팅 오픈랩 프로그램 확정 오픈랩 기획자 미팅 1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7차 청양 협동조합 품 2040 여성농업인 오픈테이블 14차 천안 시민단체 오픈테이블 0819 0819 4차 홍성 젊은협업농장 오픈테이블 5차 천안 문화시민 모임 오픈테이블 12차 홍성 젊은협업농장 오픈테이블 13차 금산 들락날락협동조합 조합원 오픈테이블 15차 천안 로봇제작 동호회 오픈테이블 6차 공주 공동체 세움 지역활동가 오픈테이블 티팟|삐삐책방 1005 박찬국|자유놀이터 개장 정은빈 (청춘여가연구소)|꽃천안 백종운(손수레)|도시농부학교, 팜투테이블
  • 6. 5 온주문화회|퍼펫작은공연 우주극장 허송세월|독한 마켓: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당근주스|overpacking展 1013 1016 CELEBRATION 1128 011 1012 1017 1018 1019 1024 1114 1115 1116 1117 1119 1120 1121 1122 11231025 1026 1107 1108 11091030 1106 1113 1103 1031 1101 1102 1111 10271020 1023 마녀의 실놀이|공예야 놀자 단국대 환경원예과|Merry Horti- 곽여름|너, 나, 우리, Hug Me 프로젝트 도농문화콘텐츠연구회|얼굴있는 농부시장 덕클라우드|지역청소년 활성화특화 OOTD 파티 로컬랩기획자반상회 1차 로컬랩기획자반상회 2차 성과공유파티WE RULE 선언 정피사|We Rule Underground
  • 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 1. 기획
  • 8. 7 1.기획 공유경제 플랫폼 생활문제 해결 경제활동 지역활력 제고주민 과업의 목적 :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1.주민 주도로 2.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하여 3.생활문제 해결, 경제 활동 등을 통해 4.지역활력 제고
  • 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8 WE RULE 충남혁신상회 시민 지지 권한의 위임 지원 혁신 주체의 등장 참여 공유경제 토대 행정 WE RULE 프로젝트의 방향 1 2 3 ‘원래 그래’를 넘어 공간의 규칙과 사용법을 함께 만들어 나간다. 혁신을 실천하고 실현해 나갈 권한의 온전한 위임이 이 루어진다. 시민 생활 속의 공간으로 재탄생하여 시민의 삶과 함께 하는 공간을 조성한다. 과 정 의 혁 신
  • 10. 9 1.기획 공유경제 플랫폼을 실현할 공유인의 등장 WE RULE 18개의프로젝트 31명의시민기획자 3,517명의공유인 10,000명의방문객 충남혁신상회 7. 모두가 안전한 충남혁신상회에서는 서로 하이파이브로 인사한다. 6. 예산이 목적에 맞고 투명하게 쓰인다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5. 우리는 충남혁신상회의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함께 만들어간다. 4. 프로그램은 지역의 특성에 맞고 개방적이어야 한다. 3. 공간 이용은 토론과 협의로 정한다. 2. 충남혁신상회의 공간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접근하기 쉬워야 한다. 1. 우리는 충남혁신상회의 주인이자,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을 위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뛰어든다. 0. 우리는 스스로 규칙을 만들고 우리가 만든 규칙을 따른다. 충남혁신상회의 주인공들이 함께 만든 규칙, WE RULE 9 1.기획
  • 11. 10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성과 종합 01 04 05 06 02 03 도민 역량 증진과 혁신적 시민 주체 등장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18개의 프로젝트, 31명의 기획자 지역 네트워크 거점과 공유경제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 다양한 분야의 혁신주체가 교류하는 네트워크 허브 혁신적 거버넌스 시스템 발판 마련 주민 주도 운영의 선행 멤버십 구축 / 시민 플랫폼 규칙 WE RULE 제정 공간의 특성에 따른 활용 가능성 제시 대상지 부지 전역에 걸쳐 공간 기획 진행 대외적인 인지도 확보와 장기적 비전 수립 전국 단위 행사 지역의 힘 개최,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사업 지원 주민 참여와 시민 지지 기반 확보 3,517명의 공유인, 10,000명의 방문객, 80% 이상 재 방문 의사 10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12. 사업 명 『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용역 내용적 범위 - 혁신 역량과 의지가 있는 실행주체를 발굴하고 지원 - 사업 대상 유휴공간의 선정 및 확보 - 공유경제플랫폼 구축·운영 지원 - 사업의 지속발전 방안 마련 - 사업평가 및 성과공유 - 사업홍보 활동 및 소통채널 운영 - 사업 진행상황 보고 사업 목표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주민주도로 공유경제플랫폼을 구축하여 생활문제해결, 경제 활동 등을 통해 지역 활력 제고 시간적 범위 2019. 5. 29 부터 2019. 12. 31. 까지 예산 금 800,000천원 (부가가치세 포함) 사업 개요 11 1.기획|사업개요
  • 1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12 사업 배경 및 목적 사업 배경 - 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직접 공유경제에 기반한 혁신을 경험하고,자치의 의미를 조명 -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지역의생활문제를 찾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체 활동을 모색 - 지역의 변화와 주민의 의견에 집중한 공간 개선 및 문화예술 기획을 통해 주민들의 일상에 변화를 주고 지역의 활력을 도모 사업의 공간적 범위 주소:천안시서북구성거읍송남2길22중부농축산물류센터 현황 개관일 : 1999년 12월 14일 규모 : 대지 72,518㎡ (당초 13,917㎡ ), 연면적 32,530㎡ 공간 : 건축면적 18,403㎡ , 건폐율 25.14%, 용적률 27.81% 1동 : 창고, 사무실, 기숙사 / 2동 : 옥외배송장 3동 : 쓰레기 처리장 / 4동 : 오폐수 처리장 01 03 02 04 사업 기본 방향 및 주제 『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사업은 도민들이 직접 주도하고, 누구나 공 간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WE RULE (우리가 주도한다)”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 따라서 ‘WE RULE 프로젝트’를 사업의 명칭으로 사용 사업 목적 - WE RULE 프로젝트의 참여 시민 주체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도민이 주도하여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활용방안을 기획하고, - 공유경 제를 기반으로 한 실험을 진행 -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매개로 주민, 지역의 예술가 및 기획자 - 등 다양한 주체들과 네트워크 형성 - 향후 지속 가능한 공유지와 공유플랫폼으로 기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
  • 14. 13 1.기획|대상지현황 공간 현황 명칭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위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2길 22 규모 : 대지 72,518㎡ (당초 13,917㎡ ), 연면적 32,530㎡ 예산 : 468억원 (국가보조금 227억 + 자본금 191 억) 용도 : 도시지역, 유통상업지역, 유통업무설비, 상대 정화구역 1. 대상지 정보
  • 15. 공간 현황 2. 대상지 사진 옥외배송장 2층 옥상 지하 창고 실내 중정 14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16. 15 1.기획|대상지현황 운영 현황 1.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운영 상황 1) 운영 목표 유통혁신을 통해 수출전진기지를 구축하 는 한국 최초의 산지형 물류센터 2) 현 운영 현황 1. 적자 누적의 운영 실패 공간이자 오랜 기간 방치되어 적절한 쓰임이 이루어지지 못함 설립예산 486억원 누적적자 498억원 신규투자 110억원 매각실패 7회 - 1999년 충남 농축산물류센터 설립 - 총 예산 468억원 (국고보조금 277억 + 자본금 919억) - 자본금 = 충남도 35%, 천안시 6.3%, 농협 17.7%, 자사주 31.4%, - IMM 창업투자회사 9.6% 조달 - 2003년, 누적 적자가 498억원에 달해, 자본금 전액 잠식 - 2004년 110억원을 신규로 투자해, 관리공사로 전환 - 2011년 부실경영으로 매년 3,4억원의 적자 발생 - 감정평가액과 시세차이로 매각 미성사
  • 17. 16 2. 관리·운영·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활용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나, 실패 후 한시적인 임대공간으로 활용 중에 있음 관리 (충청남도) 연구 (충남발전 연구원) 운영 (농축산물류센터 관리공사) 2015년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정책조정회의 2015년 – 공간활용에 대한 제안 2004년 – 시설 임대로 운영방식 전환 2011년 – 부실경영으로 매년 3,4억원 적자 발생 2015년 – 유지비 충당을 위해 한시적으로 임대 2017년 – 공간 활용을 위한 전문가 회의 2016년 –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쟁점과 과제 2018년 – 물류센터 활용에 대한 협의 2019년 – 게임테마파크로 활용방안 연구 16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18. - 정보제공과 협의를 넘어 시민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 고 협업하는 방식 - ‘원래 그래’ 라는 행정의 벽을 넘어, 시 민들이 주도적으로 만들어나가는 진정한 ‘자치’ 를 실현. - 규칙을 만드는 사람과 규칙을 지키는 사람이 일치하는 공간이 되도록 변화. - 시민이 중심이 되는 자치의 실현을 위해, 공간의 규칙과 사용법을 사용자(시민)가 함께 만들어 나감. - 시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시민들의 생각이 실현될 수 있는 공간을 기획. - 방치되었던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시민에게 알리고, 시민생활속의공간으로재탄생할수있도록운영 - 공간 재생의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과 제안이 중심이 되도록 함 WE RULE 프로젝트 기본 방향 1. 시민이 중심인 공유경제 플랫폼 구현 2.행정의 벽을 넘고 시민과 함께 만드는 자치의 실현 3. 시민의 삶과 함께하는 공간으로의 재생 - 사적 이익의 추구 및 상업적 목적을 중심으로 ‘공유 경제’ 인식. - 일부 제한된 플랫폼 등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는 수준. - 시민이 중심이 되어, 필요한 공유경제모델을 직접 구상. - 그것이 작동되기 위한 조건, 과정에서 필요한 의견, 대책, 비용 등을 논의하는 방향 - 혁신을 직접 실현해나가는 시민에게 권한의 온전한 위임이 이루어지는 수준 협의 / 정보제공 개입 / 협업 / 권한부여 ⇩ 17
  • 19. WE RULE 프로젝트 기본 구조 사업 추진 기간 2019년도 (2019.6 ~ 2019.12) 사업 추진 설계 실행과정 - 충남 지역 의제 숙의 및 공론화 - 지역내 혁신적인 도민 주체 모집 및 발굴 - 주체 모집 및 대시민 페스티벌 개최 - 충남형 공유 경제 플랫폼을 위한 실험 기획 및 진행 - 실험 주체 간의 네트워크 구축 - 자치를 위한 도민 중심의 공간 규칙 제정 - 공유 경제 및 도민 주도 플랫폼 구축을 위한 비전과 목표 설 정 주안점목표 WE RULE 프로젝트 기본방향 실현을 위한 공간 활용 방안 수립 휴먼 웨어 소프트 웨어 하드 웨어 → →Society Activation Platform 18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20. 19 1.기획|사업프로세스 프로세스_1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전문가 워크숍 WE DRIVING WE LAB LOCAL LAB 시민주체 모집 LOCAL LAB OPEN LAB 파일럿 프로그램 OPEN LAB 오픈테이블 WE RULE 페스티벌 WE RULE 셀레브레이션 - 각지의 충남 도민들이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오픈테이블 진행 - 건축·도시, 예술·디자인, 공동체·농업 분야 등의 전문가들이 사업의 방향과 목표에 대 해 다각도로 분석하고 제안하는 전문가 워크숍 진행 - 지역의 다양한 협력단체와 공동체들이 오픈테이블에서 생산된 논의와 제안을 바탕으로 사업 기간 내 실험을 직접 추진하고, 검증하고, 성과를 내는 LOCAL LAB(로 컬 랩) 기획 - 역량과 경력을 겸비한 외부의 기획자, 크리에이터 그룹 및 개인이 실험 기획에 참여하는 OPEN LAB(오픈 랩) 기획 - 위 룰 페스티벌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11월 말까지 WE LAB(위 랩) 지속 WE DRIVING (위 드라이빙) WE LAB (위 랩)
  • 2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0 프로세스_2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전문가 워크숍 WE DRIVING WE LAB LOCAL LAB 시민주체 모집 LOCAL LAB OPEN LAB 파일럿 프로그램 OPEN LAB 오픈테이블 WE RULE 페스티벌 WE RULE 셀레브레이션 - 2019년 9월 28일 (토) 개최 - 도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대시민 홍보 행사 - 이 자리에서 LOCAL LAB 참여 팀, 충남 지역의 생산자, 일반 시민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여 네트워킹을 하는 계기를 마련 - 위 룰 페스티벌 이후, 본격적으로 WE LAB(위 랩) 실행을 통해 도민과 기획자가 다양 한 기획 프로그램을 실행 - 사업기간 동안 진행된 프로젝트의 결과를 공유하고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향후 정체성에 대해 논의 - 사업에 참여한 다양한 실행주체들과 함께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공간 활용 규칙인 ‘WE RULE 선언‘ 제정 및 선언 WE RULE 페스티벌(위 룰 페스티벌) WE RULE CELEBRATION (위 룰 셀레브레이션)
  • 22. 21 1.기획|실행내용 주요 실행 내용 영역 사업내용 추진 상황 We Driving 전문가 워크숍 5회 진행 오픈테이블 사전워크숍 2회 진행 오픈테이블 15회 진행 + 천안 문화도시 모임 (사업 설명회 및 오픈테이블) 4회 진행 WE LAB LOCAL LAB 원하던 캠핑 / 플레이그라운드 / 해비타트 프로그램(DIY 체험, 목조주택 제작 체험) / 너,나,우리 허그미 프로젝트 / 퍼펫작은공연 우주극장 / overpacking 展 / 독한마 켓 / 위 룰 언더그라운드 / 공예야 놀자 / 얼굴있는 농부시장 / 지역청소년 활성화특 화 #OOTD 파티 / Merry Horti- 진행 OPEN LAB 자유놀이터 / 천안케어 꽃천안 / 도시텃밭 / WE RULE MARKET(위 룰 마켓) /삐삐책방 진행 WE RULE FESTIVAL 상설 기획 LOCAL LAB, OPEN LAB 진행 축제 한정 기획 개막식, 예술장돌뱅이, 위 룰 액션 드로잉, 축하공연, 기획 소개 WE RULE FESTIVAL 시각 디자인 홍보물 프로젝트 PI 구축, 포스터 및 각종 홍보물 디자인 영상 홍보물 사업 홍보 영상 및 아카이빙 영상 제작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 운영 언론 충남 일보를 비롯한 각종 언론사, 충남 도민 기자 보도 진행 WE RULE FESTIVAL 위 롤 성과 공유회 성과공유회 진행, 사업 전반 전시, ‘WE RULE 선언’ 규칙 제정 '지역의 힘' 축제 ‘2019 지역문화 정책공유축제 지역의 힘‘ 4개 기관 합동 정책공유 워크숍 진행 및 성과공유회 진행
  • 2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2 사업 공정 프로그램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 2 3 4 1 2 3 4 5 1 2 3 4 1 2 3 4 1 2 3 4 5 1 2 3 4 1 2 3 4 프로젝트 운영 계약 및 정산 협상
 계약 착 수
 보 고 비 용
 정 산 계 약
 종 료 보고 실행계획수립 계 획
 보 고 결 과
 보 고 프로그램 실행 We driving 협력단체조직 기획 전문가워크숍 실행게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실행계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오픈테이블 실행계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결과 정리 We Lab 참여 주 체
 워크숍 1차
 실 행 We Rule Festival 실행계획수립 실 행 We Lab We Rule 마켓 실행계획수립 1차
 실 행 2차
 실 행 3차
 실 행 4차
 실 행 5차
 실 행 Local Lab 실행계획수립 주 체
 선 정 계 약 
 O.T 실행 Open Lab 실행계획수립 파일럿 실행 실행 We Rule Celebration 회고, 평가 실행계획수립 실 행
  • 2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4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오픈테이블 사전워크숍 목표 - 충남 지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오픈테이블의 사전 단계 워크숍 -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충남 전역 전파를 위한 중계점으로 협력 단체들을 활용하여, 보다 많은 충남도민 및 지역단체에게 프로젝트를 알리는 것을 목표로 진행 - 오픈테이블 사전워크숍에 참여했던 협력단체와 각 구성원들이 각자의 지역으로 돌아가 주축이 되어 다수의 오픈테이블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 주요 내용 - 위 룰 프로젝트‘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소개 및 진행 사항 안내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공간 실사 - 모의 오픈테이블 진행 일시 2019. 7. 19(금) 14:00~ 장소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참석인원 5명 진행 국방용 담당(티팟) 연계 커뮤니티 협동조합 품 (복권승 대표, 전옥임 매니저 – 청양) 극단 이야기공장 (홍성혁 대표 – 청양)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 아산) 공동체 세움 (김진아 사무국장 – 공주) 1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진행 사항
  • 26. 25 2.WEDRIVING|오픈테이블 모의 오픈테이블 진행 내용 - 지역의 관광자원과 연계할 수 있는 ‘관광 터미널 서울, 경기권(제1섹터)을 천안(제2섹터)을 통하여 충남(제3섹터)으로 연결 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져야 함 지역의 커뮤니티를 연계하는, 그동안 없던 충남의 랜드마크로 거듭나야 함 - 충남지역의 대형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컨벤션 센터‘ 유치 - 공동으로 사용하는 워크숍 공간, 세미나실 등 ‘코워킹 공간‘ 조성 우리 지역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공간,혹은 외부인이 지역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실험적인 공간이 되었으면 함 - 아이스링크장, 예술교육센터 등과 같은 ‘복합문화공간’ 아이스링크장, 예술인들이 모여있어 아이들이 합동 예술 레슨 을 받을 수 있는 공간, 각종 문화를 접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함 - 분야별 예술가들이 활용하는 ‘예술가 레지던시‘ 예술가들이 머물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실이자, 다양한 사람 들과 예술을 나누고 배우고 작품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활용 일시 2019. 7. 24(수) 14:00~ 장소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참석인원 5명 진행 국방용 담당(티팟) 연계 커뮤니티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천안)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 홍성) 들락날락 협동조합 (박성연 – 금산) 부여마을문화학교 (임지선 실장, 김영롱 대리 – 부여) 2차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숍 진행 사항
  • 2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6 오픈테이블 실행 내용 아산시 천안시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 홍성군 예산군 공주시 청양군보령시 부여군 논산시 금산군서천군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2회 진행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5회 진행 공동체 세움 (김진아 사무국장) 1회 진행 부여마을문화학교 (임지선 사무국장) 1회 진행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3회 진행 협동조합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2회 진행 들락날락 협동조합 (박성연 대표) 1회 진행 천안 문화도시 4회 진행 1. 지역별 오픈테이블 실행
  • 28. 27 2.WEDRIVING|오픈테이블 2. 오픈테이블 진행 일정 7/26 16:00 온천뷰티체험센터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8/1 17:00 공주창고 카페 공동체 세움 (김진아 사무국장) 지역활동가 모임 8/9 14:00 협동조합품사무실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청춘씨드 2회차 (청양 청년팀)임 7/30 19: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띵크그라운드 독서모임 8/3 16:00 협동조합품 사 무실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2040여성농업인 모임 8/13 15:00 오누이 다목적 회관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7/30 11: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청수고등학교 학생 8/7 10:00 부여시장 교육장 부여마을문화학교 (임지선 사무국장) 지역문화활동가 및 공예가 8/13 14:00 청년연구소 들락날락협동조합 (박성연 대표) 들락날락 협동조합 조합원 모임 8/1 15:00 오누이 다목적회관 젊은협업농장 (정영환 대표)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8/7 13:00 협동조합품 사무실 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 청춘씨드(청협동조합 품 (전옥임 매니저)양 청년팀) 8/14 19: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천안시민단체 모임 8/1 19:00 아트큐브 136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천안 문화시민 모임 8/8 13:00 온천뷰티체험센터 협동조합 그려 (임미소 대표)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8/15 16:00 공간 천안 천안청년들 (최광운 대표) 로봇제작 동호회 모임
  • 2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28 오픈테이블 결과 정리 1. 오픈테이블을 통해 도출된 ‘중부농축산물류센터 활용 아이디어‘ 지역 / 그룹성격 거론된 로컬랩 실행아이템 아산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 충남을 대표하는 영상 미디어센터 - 콘텐츠 제작학교 - 지역생산물을 활용한 감성포차 천안 띵크그라운드 독서모임 - 독서를 주제로한 영화제 및 독서캠프 - 드론페스티벌 및 교육공간 - 공포체험 프로그램 - 기숙사공간을 활용한 테마별 영화제 천안 청수고등학교 학생 - 대학 입시박람회 개최 - 아이스링크장 - 창고형 카페 - 옥상을 활용한 축구경기장 - 반려동물 테마파크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 예술인을 위한 레지던시 - 농업 메이커 스페이스, 농업학교 천안 문화시민 모임 - 스케이트보드 파크 - 플리마켓 - 취업박람회 - 테마형 크리에이터 스튜디오 - 캠핑카 페스티벌 - 카페 공주 지역활동가 모임 - 스포츠 영화관 - 팹랩 - 실물공장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격파공간 지역 / 그룹성격 거론된 로컬랩 실행아이템 청양 2040여성농업인 모임 - 멀티문화센터 부여 지역문화활동가 및 공예가 - 반려동물센터 동물테마파크 청양 청춘씨드(청양 청년모임) - 복합문화공간 아산 문화콘텐츠 기획자 모임 - 실내 캠핑장, 야외캠핑장 - 안전교육장 - 자동차극장, 옥상극장 청양 청춘씨드 (청양 청년모임) - 청년창업 도전레스토랑 - 청년창업 지원공간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 식물원컨셉의 카페 - 식물원을 운영하는 꽃집 - 도시텃밭 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조합원 모 임 - 청년이 활용할 수 있는 전시, 공연장 - 예술가 레지던시 - 로컬푸드 매장 천안 시민단체 모임 - 지역시민단체들이 함께 쓸수있는 허브공간 - 오픈테이블이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주민토론장 천안 로봇제작 동호회 모임 - 로봇페스티벌 - 드론 레이싱장
  • 30. 29 2.WEDRIVING|오픈테이블 2. 오픈테이블을 통해 확인한 도민의 욕구는? 문화·예술 인프라확대 청년공간조성 지역공동체의 허브공간 구축 -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문화적인 요충지로 자리잡고 독서캠프 및 독서를 주제로한 영화제를 진행했으면 함. (천안 독서모임) - 가족 단위로 즐기는 문화공간이자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곳이 되었으면 함. (청양 여성농민모임) -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지역의 사람들이 문 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 하였으면 함. (청양 청춘씨드 모임) - 자동차 극장으로 온 가족 모두가 영화를 즐 길 수 있게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 극장이 생겼으면 함. (아산 지역기획자 모임) - 온라인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청년들을 위해 콘텐츠를 기획해 볼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 면 함. (천안 문화시민 모임, 아산 문화콘텐츠 기획 자 모임) - 청년들을 위한 창업공간 공간이 필요한 스타트업의 입주를 적극 장 려하고, 청년들이 도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졌으면 함. (청양 청춘씨드 모임) - 다양한 청년들이 모여, 교류할 수 있는 청년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청년들이 가진 기 발한 아이디어가 오고 가는 곳. (금산 들락날락협동조합 조합원 모임) - 여러 시민단체가 모여있는 코워킹 스페이스 로 조성. 컨벤션센터, 숙박시설까지 갖춘 시민단체들 의 허브 공간. (천안 시민단체 모임) - 사회적 경제 기업들이 한 곳에 모여 논의하 고 토론하ㅈㅉ경제 박람회‘ 개최 공간. (부여 지역주민 모임)
  • 3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0 예술가를위한 레지던스작업장 마련 - 농업 관련 기계들을 직접 사용해보는 ‘농업 혁신 공간‘ 으로 자리매김. - 농업 교육을 진행하는 ‘농업학교’를 조성하 여, 농업의 생산과 유통의 과정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함.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모임) - 도시 농업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이를 체 험해볼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 -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고, 이를 유통하는 구조를 경험·교육 하여 유통의 활로를 모색할 대안을 찾으면 좋을 것으로 생각. (공주 지역 활동가 모임) - 중부농축산물류센터의 3층 공간을 예술인 들을 위한 레지던시로 구축 - 미술 뿐만 아니라, 밴드 연습실 혹은 작은 공연장으로 활용하여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활용하는 공간으로 조성되었으면 함 (홍성 농업프로그램 참가자 모임) - 공간에 문화예술인들이 거주하며 중부농축 산물류센터 전체를 ‘예술 창작 작업장‘으로 활용했으면 함 - 나아가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예술 작품이 지 역 주민들에게 공유되어, 누구나 예술에 접 근하기 쉽고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되면 좋겠음. (금산 들락날락협동조합 조합원 모임) 농업생산자지원, 유통의활로모색
  • 32. 전문가 워크숍 실행 내용 1. 전문가 워크숍 주제·일정·참여 전문가 [공간의 새로운 쓰임] 기억과 장소성이 결여된 공간의 새로운 쓰임 [시민과 공간] 욕구를 수용하는 공간과 욕구를 생산하는 공간 [자치와 연합] 자치와 연합의 플랫폼 구축 전략 1차 전문가 워크숍 2차 전문가 워크숍 3차 전문가 워크숍 일시 : 7월 16일 화요일 일시 : 7월 23일 화요일 일시 : 7월 30일 화요일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 박찬국 공공미술 작가 민병직 서울 디자인연구소 아트디렉터 주형로 홍성 환경농업교육관 대표 문정석 빅바이스몰 대표 백종운 도시농업 손수레 대표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이강오 전. 그린트러스트 대표 박주로 ㈜로모 대표 31 2.WEDRIVING|전문가워크숍
  • 3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2 전문가 워크숍 결과 정리 1. 전문가 워크숍 진행 결과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 민병직 서울 디자인연구소 아트디렉터 주형로 홍성 환경농업교육관 대표 박찬국 공공미술 작가 이강오 전 그린트러스트 대표 박주로 (주)로모 대표 문정석 빅바이스몰 대표 백종운 도시농업 손수레 대표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기억과 장소성이 결여된 공간의 새로운 쓰임 욕구를 수용하는 공간과 욕구를 생산하는 공간 자치와 연합의 플랫폼 구축 전략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단기적으로 변화시키려하 기보다, 장기적인 안목과 과정을 바탕에 두고 기획해 가야함 공간을 활용해나갈 주체를 찾고 발 굴하여 육성해가는 과정이 필수적 중부농축산물류센터는 현재 제한 없이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따라서 공간을 관통하는 철 학과 방향성이 중요 정해진 계획만을 고수하기보다는 공간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보아야 좋을 것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활동을 이끌 주체가 명 확히 있어야 함소비자의 욕구를 제대로 파악하며 복합문화예술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재탄생 필요 공간을 활용할 대상을 개인이 아닌 전체 구성원으 로 생각하고 이들을 수용할 기획을 세워야 함. 공간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명체로 생각해 야함 , 따라서 공간을 채움에 몰두하지 않고 여백 과 공존하게 하는 구상이 필요. 또한중부농축산물 류센터는큰공간인만큼,확정성과불확정성이동 시에존재하도록기획필요 공간의 향후 활용을 기획하는 것에 있어 한쪽의 시 각에서만 바라보면 균형이 맞지 않음. 따라서 예술, 행정, 농업 등의 다양한 주체가 모여 논의하고 구상 해야 함 앞으로 공간을 찾을 다양한 방문객들을 동시에 만 족시킬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함. 공간은 주체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기능을 발전시켜 갈 필요가 있음. 공간활용을 단편적으로 재단하지 않고, 인정하면서 바라보아야 함 공간을 과도한 방법으로 개발하기보단, 유보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음. 주체가 있어야 협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인큐베이팅하는 것이 중요 한 문제. 공간 운영을 위한 “자치 조례"라는 구조 를 만들어서, 이후 지속적으로 문제를 원만하게 해 결하고, 자산화에 준하는 시스템을 구비해 놓을 필 요가 있음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을 친숙하게 접근해야. 이 공 간이 일상적인 공간이 되도록 사람들에게 인식시 켜야 함. 공간에 대한 제도나 제약을 규정짓기보다, 우선 필요한 사람들이 공간을 먼저 활용해보도록 구성해야 함 초반에 운영 부담이 있을지라도, 시민 들에게 공간을 나눠줘야 공간 활용 방법을 찾아나 갈 수 있음 따라서 재미있고 열린사고로 공간을 바 라보아야 함
  • 34. 33 2.WEDRIVING|전문가워크숍 2.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얻은 전문가의 제안은? 공간의주체를 발굴·육성 시민과함께 찾는 공간의쓰임 시민중심의 자치가실현 되는공간 공간활용에 대한 폭넓은시각 - 공간을 채울 아이템보다는 활용해 나갈 주체를 찾는 것이 중요 (임경수)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활동을 이끌 명 확한 주체를 구축 (백종운, 민병직) - 다양한 배경의 주체가 참여하여 논의해 야 공간의 잠재된 가치를 찾을 수 있음 (주형로) - 공간을 활용할 주체에 의해 공간의 목적 을 발견해야 함 (박찬국) - 협치를 위해 공간의 주체를 발굴하고 이 를 인큐베이팅 해야함 (이강오) - 정해진 틀을 고수하기보다, 시민들과 함 께 다양한 시도를 하며 공간의 쓰임을 찾 아가야 함 (문정석) - 시민들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파악하여, 이를 모두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 야 함 (백종운) - 시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다양한 방문객들을 동 시에 만족시키는 쓰임을 가진 공간이 되 어야 함 (박찬국) -활용방안을 미리 정해두지 않고, 시민들 에게 공간을 나눠주어 직접 활용해보게 한 후에 쓰임을 정착시켜 나갈 필요가 있 음 (박주로) - 시민이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이 되 어야하며, 이를 위해 시민자산화를 진행 하는 것도 좋음 (임경수) - 공간 운영을 위한 ‘자치 조례’를 만들어서 시민이 스스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해야함 (이강오) - 공간에 대한 행정적인 제도나 제약을 규 정짓기보다,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공간 을 활용해보면서 그들이 공간에 필요한 규칙과 제도를 직접 정할 수 있도록 장려 해야 함 (박주로) - 공간을 채우는 정해진 좁은 목표에만 집 중할 것이 아니라, 여백과 공존하게 하는 구상이 필요 (조광호) - 공간의 향후 활용을 기획하는 것에 있어 다양한 시각에서 넓게 접근해야 함 (주형 로) - 공간 활용을 단편적으로 재단하지 않고, 인정하면서 깊이 있게 바라보아야 함 (박 찬국) - 공간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명체 로 생각하여, 확정성과 불확정성이 동시 에 존재하도록 넓게 접근해야 함 (조광호) - 공간이 이벤트를 위한 특정한 장소가 아 니라, 일상적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열린 사고로 바라보아야 함 (박주로)
  • 3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4 3.WE LAB
  • 36. 35 3.WELAB|개요 WE LAB 외부 기획자, 크리에이터 주도 기획, 이벤트, 홍보, 영감 지역 주민 주도 논의, 제안, 숙의 협업, 권한 부여 WeLab은크게LocalLab과OpenLab으로나뉜다.  Local Lab은 지역의 다양한 협력단체와 공동체들이 오픈테이블에서 생산된 논의와 제안을 바탕으로 사업 기간 내 실험을 직접 추진하고, 검증하고, 성과를 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오픈테이블, 렛츠/언컨퍼런스를 통해 구성된 Local Lab 참여 주체는 네트워킹과 공유를 기반으로 정보제공과 협의를 넘어, 협업과 권한이 부 여되도록공유경제플랫폼을구현한다.또한문제의식을구체화하고,역할을구체화하고,시스템을구체화하면서향후구성될거버넌스의틀을마련한다. Open Lab은 역량과 경력을 겸비한 외부의 기획자, 크리에이터 그룹 및 개인도 대상지 공간 실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열린 실험 기획이다. Open Lab은그자체로대상지공간활용의예시가되고영감을줄수있을뿐만아니라,OpenLab에서제시한기획사건을참여하기위한광범위한지역주민들의대상 지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Open Lab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중부 농축산물류센터라는 구체적 공간을 인지하고, 경험하면서 해당 공간의 활용에 대한 상상을해볼수있다. LOCAL LAB OPEN LAB 로컬랩 참여주체 워크샵 지역 오픈테이블 오픈테이블 사전 워크샵 렛츠 / 언컨퍼런스 파일럿 프로그램 실행 기획자/크리에이터 모집 추가 기획 실행
  • 3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6 누적 참여 인원 집계 총 18개 프로젝트, 누적 참여 총 3,517명 플레이 그라운드 - 크룩 실행기간 | 10.05-11.23 참여인원 | 133명 원하던 캠핑 - 천안시도 실행기간 | 09.28-11.16 참여인원 | 439명 마녀의 실놀이 - 공예야 놀자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60명 WE RULE UNDERGROUND -피사플랫폼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70명 DIY 목공 체험 - 해비타트 실행기간 | 09.25-11.30 참여인원 | 736명 목조주택 짓기 - 해비타트 실행기간 | 09.25-11.30 참여인원 | 289명 허그미 - 허그미 실행기간 | 11.09-11.23 참여인원 | 67명 OVERPACKING展 - 당근주스 실행기간 | 11.23-11.29 참여인원 | 130명 Merry Horti- - 단국대 원예과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34명 도시 텃밭 - 백종운 실행기간 | 09.25-11.27 참여인원 | 200명 천안케어, 꽃천안 - 정은빈 실행기간 | 09.25-11.02 참여인원 | 72명 자유놀이터 - 박찬국 실행기간 | 09.25-11.30 참여인원 | 5,000명 이상 WE RULE MARKET - 티팟 실행기간 | 09.28-11.28 참여인원 | 637명 삐삐책방 - 티팟 실행기간 | 09.28-11.28 참여인원 | 130명 퍼펫 작은공연 우주 극장 - 온주문화회 실행기간 | 10.23-11.28 참여인원 | 100명 얼굴 있는 농부 시장 - 도농문화콘텐츠 연구회 실행기간 | 11.28 참여인원 | 330명 지역청소년 활성화 특화 OOTD 파티 - 덕클라우드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60명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DOG’한 마켓 - 허송세월 실행기간 | 11.23 참여인원 | 30명 (놀이터 이용자 수를 반영할 경우 8,000명 이상) OPEN LAB LOCAL LAB
  • 38. 37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천안케어, 꽃 천안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천안을 대표하는 천안 시민이 꽃이 주는 위로를 통해 천안 시민의 경조사를 직접 돌보는 ‘천안 케어 프로젝트‘ - 시민케어단이 직접 기른 꽃을 이웃의 경조사 발굴을 통해 전달하며, 일부는 천안 사회복지 영역의 경조사 대상자에게 전달 - 원예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사업의 운영을 통해, 지역의 주민으로서 소속감과 자 부심을 느끼게 하고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시민이 주인이 되는 천안의 랜드마크로 자리 매김 하게 함 주요 활동 - 시민정원을 함께 운영하고 돌보는 천안 시민 원예 커뮤니티 ‘시민 케어단‘ 과 환경원예학과 대학생들로 이루어진 ‘청년 크루단’ 으로 구성 - 정원가꾸기 / 소셜다이닝 / 원예교육 / 천안케어 교육 / DIY 작업 / 목공 수업 / 청년활동 등 의 프로그램 진행 - 시민 커뮤니티를 통해 이웃의 일상적인 스토리를 찾아서 케어하는 ‘천안케어 A’와 지역의 복지사각지대 시민을 케어하는 ‘천안케어 B’ 로 나누어 진행 3.WELAB|오픈랩 OPEN LAB
  • 3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38 천안케어, 꽃 천안 실행 주체 청춘여가연구소 정은빈 대표 [도움 : 단국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스윗플로라 (원예 강의) / 어쩌다작업실 (목공 및 설치)] 실행 일자 - 천안케어, 꽃 천안 기획 및 실행 준비 기간 : 8월 7일 ~ 9월 21일 - 정원 운영기간 : 9월 28일 ~ 11월 3일 (6주간)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참여 인원 구성 - 시민 케어단 인근 노동자 및 지역주민으로 구성, 3인 이상 가족 / 시민 정원 운영 / 지역 주민 스토리 발굴 후 지역 케어(천안케어 A) 실행 - 청년 크루단 천안 중고등학교, 천안 내 대학교 학생으로 구성 / 시민 정원 운영 보조 /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 사연 발굴 및 케어(천안케어 B) 실행 총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시민 정원팀) : 20팀 - 청년 크루단 : 13인 - 참여 시민수 : 72명 실행 성과 - 시민 케어단 실행 결과 1) 이웃과의 소통 및 나눔(천안케어 A) : 총 81건 (인당 평균 4건 진행) - 청년 크루단 실행 결과 1) 어린이집, 노인복지회관과 같은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 나눔(천안케어 B) : 총 4건 (성거읍 노인복지회관, 천안시 공립 지역아동센터, 하늘 꿈이 자라는 집, 푸른솔 지역아동센터) 2) 천안역 시민 대상 나눔 : 총 111개의 원예작물을 시민의 약속과 함께 나눔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 40. 39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6주차 페어웰 파티 | 일시 | 09.28 | 진행 내용 | -시민 케어단 OT -시민 정원 분양 -시민 정원 영양토 채우기 및 꽃 심기 -밀싹 샐러드 나눔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8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09.29 | 진행 내용 | -시민 정원 만들기 2 -정원 드로잉 -원예수업 : 식물학 강의 -천안케어A 사연 발굴 -시민 정원 사인 만들기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6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06 | 진행 내용 | -시민 정원 관리 -스트리트 사인 제작, 픽 꾸미기, 카드 쓰기 -목공 수업_ 플레이팅 도마 만들기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7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20 | 진행 내용 | -DIT(폐파레트 밀싹 심기, 에코 백 만들기, 드림캐처 만들기) -천안케어 A 나눔 -인터뷰 촬영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8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1.03 | 진행 내용 | 페어웰 파티(수료식) 진행 상장 및 수료증 전달 로컬 케이터링 뱅쇼 파티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7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13 | 진행 내용 | -포트럭, 낮술 파티 -베스트 정원 투표 -원예수업 : 화분 포장하기_ 천안케어A 발송 시작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9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 일시 | 10.27 | 진행 내용 | -DIT 체험 2차 운영 -천안케어 A 나눔 | 참여인원 | 시민 케어단 15팀 청년크루단 13인 동행 2) 진행 일정 별 결과
  • 4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0 천안케어, 꽃 천안 3) 결과 내용 시민 케어단이 사연을 발굴한 이웃 시민 케어단이 작성한 사연 내용 및 나눔 소감 - 천안케어 A : 이웃의 사연을 발굴하 여직접 기른 꽃을 전달하는 과정 - 천안케어A실행결과:20팀이 총81건의이웃나눔실행/ 인당평균4건의사연을이웃과나눔 김*미 106동 1804호 이웃 김*이 어린이집 원장 선생님 임복순 앞집 할머니 이웃에 사는 고3 딸이 힘들어해서, 어머님이 꽃 선물을 하고 싶어 하셨어요! 직접 포장해서 응원메세지와 함께 전달했어요. 오늘 만든 꽃을 이웃님께 전달해 드렸어요. 할머니 혼자 사시는 것 같은데 이웃으로 지 내도 한 번도 말을 걸어본 적이 없었네요. 처음으로 인사하고 꽃을 드렸는데, 엄청 좋 아하셨어요.혼자 마실 나오셨다가 깜짝 선 물을 받으시고 많이 좋아하셨어요. 곧장 동 네 할머니들한테 이웃집 아가씨가 준 꽃이 라며 자랑 하시네요~! 저는 옆집 할머니께 드렸어요! 언제나 오며 가며 마주칠 때마다 한결같이 살갑게 대해주셔서 늘 감 사했는데, 이번 계기로 꽃 선물을 하니 꽃 좋아한다고 하시면서 행복 해 하셔서 너무 기쁜 하루였습니다 ~ 오늘 꽃으로 나눔을 하니 꽃보다 더 행복했네요! 천안케어 A 실행 모습 (3건 발췌)
  • 42. 41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천안케어 B – (1) 총 4개소 어린이집과 노인복지회관에 나눔 천안케어 B – (2) 천안역에서 시민들에게 나눔 - 천안케어 B :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의 사연을 발굴하여 직접 기른 꽃을 전달하고, 시민들의 일상에 꽃을 선물하는 과정 - 천안케어 B 실행 결과 : (1) 총 4개소 어린이집과 노인 복지회관에 미니정원 및 화분으로 전달 (성거읍 노인복지회관, 천안시 공립 지역아동센터, 하늘 꿈이 자라는 집, 푸른솔 지역아동센터) (2) 총 111개의 원예작물을 천안역에서 시민의 약속과 함께 나눔 천안케어 B 실행 사진
  • 4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2 천안케어, 꽃 천안 4) 차후 계획 - 천안케어 A, B의 나눔으로 마무리 된 ‘천안케어, 꽃 천안’ 은 작은 시민 정원의 형식으로 마련되고 운영됨 - 도시 어느곳에나 어울리고 쉽게 연출할 수 있도록 시민 정원을 조 성하였고, 실제로 프로젝트 후 시 민정원사들의 도심 속 정원으로 모두 나눠 가지게 됨 - 시민 케어단, 청년 크루단, 정원에 방문했던 방문객 등 다양한 시민 들은 ‘천안케어, 꽃 천안‘ 의 시민 정원을 통해서 때로는 일상적이 고 때로는 꼭 필요한 위로를 찾아 이웃과의 나눔을 성공적으로 실 행할 수 있었다고 말함 ‘천안케어, 꽃 천안‘의 확장 현대사회는 이웃끼리 눈 마주치는 것도 힘든 공간이 되어버렸으며, 지역의 커뮤니티를 구성 하고 공동체 문화를 만드는 일은 누군가의 수고와 공간을 통해서 만들어내야 하는 일이 됨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시민 정원 ‘꽃 천안‘ 은 다시 이웃의 일상에 다가가 문을 두드 리는 관심의 연결 고리가 될 수 있었음. 따라서 ‘천안케어 꽃 천안‘ 의 프로그램은 끝났지만 여기서 더욱 확장하여 시민 정원사들은 지속적으로 이웃의 소소한 이야기를 묻고, 그들의 안부를 연결하여 진정한 ‘돌봄의 가치‘ 로 나아갈 수 있을 것 ‘천안케어, 꽃 천안‘ 을 통해서 이웃과의 소소한 일상을 축하하고, 위로하고, 기억했던 용기로 다음 단계를 생각한다면, 마을로 확장될 수 있음. 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꽃으로 위로를 전하 는 ‘동네 상조’ 가 단절된 이웃을 서로 서로 돌보게 할 수 있음. 이로 써 꽃과 정원을 매개 삼 아 더 많은 천안 시민 나아가 충남 도민까지 모두 연결되고 세심하게 돌봄을 받을 수 있음 ‘천안케어, 꽃 천안‘의 지속 가능 전략 이와 같은 ‘천안케어 꽃 천안’ 프로그램이 꾸준히 이어지려면, 지역의 경제를 지탱하는 소상 공인과 동네 시민들이 함께 조합을 만들어 시민 정원을 가꿀 수 있도록 해야함. 지역의 소상 공인과 상생하는 시민 정원이자, 지역의 사각지대를 돌볼 수 있는 미시적인 공동체가 생기 는 것이 필수적. 나아가 소상공인과 동네시민의 조합을 든든하게 지지하는 행정적인 받침 또한 이루어져야, 시민이 시민을 돌보는 당사자성을 가진 적극적인 케어가 가능. 이처럼 시 민들의 의지와 소상공인의 단결력, 그리고 행정적 받침이 이루어진다면 안전하고 포근하고 건강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음
  • 44. 43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5) 프로그램별 홍보 진행 결과 천안케어, 꽃 천안 포스터 언론보도 (뉴스)아카이빙 영상 스틸컷 - 공식 포스터를 제작하여 공식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홍보 -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cheongchunlab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cheongchunlab/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cheongchunlab/ 아카이빙 영상 제작 및 공유 / 인터뷰 진행 (6개의 프로젝트 진행 아카이빙 영상 / 16개의 참여자 인터뷰 영상) 언론보도 : 뉴스 59건 / 매체 공유 165건 진행
  • 4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4 천안케어, 꽃 천안 3. 활동 사진 1주차 (밀싹샐러드 / 청년크루단) 2주차 (시민 정원 만들기) 2주차 (천안케어 사연 발굴) 3주차 (시민 정원 관리) 4주차(베스트 정원 투표)
  • 46. 45 3.WELAB|오픈랩 천안케어, 꽃 천안 5주차 (DIT 진행) 페어웰 파티 (수료식) 6주차 (천안케어 A 나눔) 6주차 (천안케어 A 나눔)
  • 4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6 도시 텃밭 도시 텃밭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지역 주민을 위한 휴식 및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 -상자형 텃밭을 활용하여 노지 텃밭의 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 이를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농장에서 식탁까지 거리가 제로에 가깝도록, 직접 기른 작물들이 신선하게 식탁에 올려지 기까지의 과정을 체험 주요 활동 - 도시 농부 학교 : 도시 농업에 대한 이해부터 조성, 재배기술, 관리기술 등을 익히는 과정 - 상자 텃밭 분양 및 가꾸기 : 주민들이 직접 작은 텃밭을 가꾸며, 경작 활동과 나눔 활동을 실천 - 팜 투 테이블 : 가족들과 또는 이웃들과 함께 먹거리를 나누고 온정도 나누는 프로그램
  • 48. 47 3.WELAB|오픈랩 도시 텃밭 실행 주체 ㈜손수레 백종운 대표 실행 일자 - 도시 농부 학교 : 매주 수요일 운영 (9월 25일 ~ 11월 27일 /총 7회) - 상자 텃밭 분양 및 가꾸기 : 9월 ~ 11월 / 상시 운영 - 팜 투 테이블 : 9월 28일(토) / 10월 27일 (일) / 11월 17일 (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 도시 텃밭 이용자 : 약 200명 - 도시 농부 학교 수업 참여자 : 13가구 - 상자 텃밭 분양 가구 : 40가구 - 팜 투 테이블 참여자 : 60가구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 4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48 도시 텃밭 1회차 2회차 상시진행 3회차 4회차 5회차 6회차 7회차 | 일시 | 09.25 | 진행 내용 | -도시 농부 학교 개강식 -강의 안내 및 도시농업의 전반적인 사례 공부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0.15 | 진행 내용 | -우리나라에서 도시 텃밭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 -텃밭 가꾸기 디자인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0.23 | 진행 내용 | -텃밭 작물 재배시 씨앗과 모종의 차이 교육 -모종키트에 직접 씨앗을 심어보는 실습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9월~11월 | 참여인원 | 40가구 | 진행 내용 | -상자형태의텃밭을조성하여,분양을신청한사람에한해직접텃밭을가꾸고농사경험을얻어감 -이를통해재배한 작물을 활용하여 이웃과 나눔도 실천하는 농사활동 | 일시 | 11.06 | 진행 내용 | -토양 이해 및 토양 관리 공부 -밭토양을 오감으로 느껴보며 토양의 성질을 이해, 어울리는 작물을 선택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1.20 | 진행 내용 | -플랜츠 농사 제작방법 교육 -목재를 활용한 소품 만들기 -텃밭 최종 수확 및 정리, 평가 -수료증 발급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0.30 | 진행 내용 | -계절별 작물의 특성과 재배방법 공부 -상자 텃밭에 길러지는 가을 농산물 직접 관찰 -생토석을 활용한 토양 활용 실습 교육 | 참여인원 | 13가구 | 일시 | 11.13 | 진행 내용 |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재료를 활용한 천연 농약 만들기 | 참여인원 | 13가구 2) 진행 일정 별 결과 도시농부학교 2) 진행 일정 별 결과 상자 텃밭 분양 및 가꾸기
  • 50. 49 3.WELAB|오픈랩 도시 텃밭 1회차 2회차 3회차 | 일시 | 09.28 | 진행 내용 | -충남혁신상회 개소식과 함께 모종 나눔, 요리를 직접 시연하고 나눔 활동 운영 -이탈리아의 가난한 농민들이 허기를 달래기 위해 먹었던 음식인 ‘브루스게타’를 방문객들과 나눔,본 요리는 천안의 농산물 과 손수레 농장의 채소를 활용 | 참여인원 | 200여명 | 일시 | 10.27 | 진행 내용 | -아이들이 텃밭에서 나는 다양한 채소로 요리하며, 채소와 친해지는 시간을 갖음 -불을 쓰지 않고 채소만으로 한끼를 만들어보는 체험 | 참여인원 | 40가구 | 일시 | 11.17 | 진행 내용 | -11월 김장철을 맞아 가족들, 이웃들과 함께 김치 담그기 -아이들이 직접 깍두기를 담아 한 통은 가족과, 다른 한통은 이웃과 나눔 | 참여인원 | 20가구 2) 진행 일정 별 결과 팜 투 테이블 3) 결과 내용 4) 차후 계획 -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경험하기 어려웠던 도시 농업과 친근해질 수 있 었던 계기를 마련 - 여름부터 겨울까지 세 개의 계절을 겪으며 농업에 관한 교육을 받을 수 있어 유 익한 시간을 가졌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었음 - 더 많은 주민들이 직접 기르고 공부해 볼 수 있도록 도시 농부 학교 및 상자 텃밭 분양에 대한 확장 요구가 있었음 - 농산물로 직접 요리를 하고, 이를 이웃과 나눔 하는 과정을 통해 텃밭이 줄 수 있 는 온정과 따스함에 대해 느낄 수 있던 시간이 됨 - 도시 농업에 관련한 교육과 텃밭 분양 및 가꿈의 기회가 확대되었으면 하는 수 요 인식 - 일부 참여자가 아닌 일회성이라도 많은 지역민들이 참여하는 대중 강좌 형태로 본 기획을 넓혀보았으면 하는 생각 - 향후 기획에서는 지역내 농장을 견학하며 지역 농가를 활용하는 시간이 더 있었 으면 좋겠다는 생각
  • 5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0 도시 텃밭 5) 프로그램별 홍보 진행 결과 도시농부학교 포스터 팜 투 테이블 (2차) 포스터상자 텃밭 분양 포스터 팜 투 테이블 (3차) 포스터 - 도시 농부 학교, 상자 텃밭 분양, 팜 투 테이블의 각각 프로그램별로 홍보 포스터 제작 - 손수레 홈페이지(www.sonsure.co.kr) 를 활용하여 자체 홍보 및 모집 진행 - 각 프로그램별 포스터 SNS 공식 계정에 업로드, 지역 커뮤니티 공유
  • 52. 51 3.WELAB|오픈랩 도시 텃밭 3. 활동 사진 도시농부학교 3회차 도시농부학교 6회차 도시농부학교 1회차 도시농부학교 4회차 도시농부학교 2회차 도시농부학교 5회차
  • 5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2 도시 텃밭 3. 활동 사진 상자텃밭 분양 및 가꾸기 팜 투 테이블 3회차 도시농부학교 7회차 팜 투 테이블 1회차 상자텃밭 분양 및 가꾸기 팜 투 테이블 2회차
  • 54. 53 3.WELAB|오픈랩 자유놀이터 자유놀이터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몰입과 조형성이 탁월하여 유아와 아동 스스로 활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아름답고 탄력적 인 환경 조성 - 커뮤니티, 문화활동 등을 필요로 하는 주민들이 같은 장소에서 안심하고 함께 즐길 수 있 는 장소로 자리매김 - 놀이터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활동을 주변에서 서로 볼 수 있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적 교차 발생 - 모두가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고, 늘 이용하면서 안심과 만족을 줄 수 있는 핵심적 환경 조성 주요 활동 - 모래와 대나무를 사용하여 유일무이한 창의적 ‘어린이 놀이터‘ 구성 - 주요 구조물이 ‘우주 씨앗‘ 이라는 이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용자가 스스로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구조물, 혹은 숨겨진 구조물이 존재 - 안심단계와 모험단계를 이용자 스스로 조절하며 공간을 탐색하는 방식으로, 신체와 감각 의 발전·긴장과 이완·위험 대처 능력을 기대할 수 있음 3.WELAB|오픈랩
  • 5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4 자유놀이터 실행 주체 박찬국 작가, DRP(Dongdaemun Rooftop Paradise) 디렉터 실행 일자 자유놀이터 운영 : 9월 25일 ~ 11월 28일 / 상시 운영 (9시 ~ 18시)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자유놀이터 이용 인원 : 5,000명 이상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2) 진행 일정 별 결과 지속운영 개장 | 일시 | 9.25-11.28 | 진행 내용 | - 자유놀이터 운영 - 놀이터는 프로그램을 따로 운영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관찰하며 이용자들의 활동을 자극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 - 나아가 놀이터의 위험 조건을 확인하고 보완하는 활동에 치중 | 일시 | 9.25 | 진행 내용 | - 현장 상황 체크 겸 운영 | 참여인원 | 총 5,000명 이상 | 일시 | 9.27~29 | 진행 내용 | - 개막 행사 겸 보완 운영 | 일시 | 10.20 / 11.28 | 진행 내용 | - 점검 및 행사 공유 운영 보완 점검
  • 56. 55 3.WELAB|오픈랩 자유놀이터 3) 결과 내용 참여자 기여 효과 커뮤니티 활동 기여 효과 - 일반적인 놀이터는 다양한 법규와 행정 조건과 같은 다수의 제약 때문에, 창의적인 기능을 제대로 수용하기 어렵고 경직되어 있음 - 따라서 충남혁신상회의 ‘자유놀이터’를 통해, 조형성, 재료 감수성, 기능적 고려와 이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놀이가 놀이 이상으로 확장 하도록 구성 - 이와 같은 놀이터는 일시적 방문자 뿐만 아니라 인근 거주 아동들의 일상적인 사랑을 받았으며, 단순히 기능적이고 공간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커뮤니티의 다양한 기능들과 통합적으로 작용함 - 놀이터에서 아동의 발달 단계에 필요한 모험, 탐험, 균형, 역할 놀이와 같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개인의 활동과 협동 활동에서 모 두 만족 - 도시에서의 ‘어린이 놀이터'는 어린이가 사용하는 공간으로 확실히 구성되어 복잡해지는 반면 커뮤니티에서는 공간적으로 고립되고 획 일화 됨 - 충남혁신상회의 ‘자유놀이터’는 사회적 변화와 공간 활용의 통합을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운영 기간 동 안 실제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음 - 놀고 있는 아이들 외에 보호자의 활동도 어느 정도 가능했던 장소가 충남혁신상회였으며, 이 공간에서는 놀이터에서 아이가 이탈할 경우 보호자가 아닌 사람이라도 발견하고 도울 수 있었음. 이처럼 사회적 손길이 미치는 장소는 심리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여러가지 효과를 수 반함 - 360도 전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놀이기구의 크기와 놀이 도구의 다양성 덕분에 많은 수의 아동들이 동시에 각자의 방식으로 이용이 가능 하였으며, 서로 모르는 사이라도 협력하여 스스롬 없이 함께 참여 - 또래 집단을 넘어 동시에 이용하고 어울리 수 있는 통합적 기능과 환경은 전체적으로 관용과 활력이 넘치는 장소적 활기를 생산
  • 5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6 자유놀이터 4) 차후 계획 지속가능한 ‘자유놀이터’의 조건 ‘자유놀이터’의 확장 가능성 - ‘자유 놀이터’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없어도 눕고 뛰고 오르고 타고 내리고 기어 다니고 미끄럼을 타고 파고 나르고 뿌리는 방식의 스스로 찾 아서 놀 수 있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제공함. 따라서 충분히 다양한 근육을 쓰고 도전하고, 순간적으로 판단하고 대화하고 협력하는 방식들 이 새롭게 다가옴 - 이와 같은 놀이터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간섭하지 않는 주시를 통해 아이들이 집중력과 창의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환 경을 조성해야 함 - 따라서 최소의 개입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적절한 보완과 자율 규칙이 작동하도록 하는게 좋음. 이를 기반으로 아이들의 모험심 넘 치는 활동을 진작시키기도 하고 문제의 소지를 줄여 지속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임 - 또한 놀이터를 더욱 확장시키기 위해, 놀이터 뿐만 아니라 마켓과 가드닝 공간도 연계할 필요가 있음. - 마켓과 가드닝 공간 역시 아이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좋은 공간 활동임. 특히나 이런 활동이 실내와 실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 구성 일 경우, 아이들은 놀이터와 더불어 더욱 다양한 경험 가능 - 놀이터를 중심으로 어른의 목적 중심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도록 동선을 계획하는 것 또한 중요 -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놀 고 있을 때 보호자들은 그 주변에서 지켜보면서 동시에 본인들이 할 수 있는 활동을 가지는 것이 중요. - 특히 내가 내 아이를 돌볼 때 다른 아이를 같이 볼 수 있는 환경은 사회적 안전과 신뢰를 만들어냄. - 따라서 아이와 부모가 서로에게 지나치게 집중하기 보다는, 아이는 아이대로 놀이 활동을 즐기고 부모는 부모대로 본인의 여가 활동을 즐 기면서 ‘자기 가족‘ 이라는 좁은 범위가 아니라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이용자들을 서로 확인하는 방식이 사회적 신뢰를 쌓기에 필요 - 충남혁신상회의 프로그램들이 더욱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면, 기존의 자유놀이터 또한 더욱 그 의미를 확장하여 아이들의 즐거움 은 물론이고 어른들에게도 개인의 자기 활동을 보장하는 프로그램이 될 것
  • 5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58 자유놀이터 3. 활동 사진 자유놀이터 이용 모습
  • 60. 59 3.WELAB|오픈랩 삐삐책방 삐삐책방 1. 프로그램 소개 기획 기본 방향 - 참여자들에 의해 모인 책들로 조성한 도서관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다시 이 책들이 지역사 회에 기증되는 방식을 통해 참여자들은 공유와 순환의 긍정적 가치를 느낄 수 있음 - 참여자들이 책 기증을 기반으로 가치의 순환을 경험하고 나아가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과 정을 통해, ‘공유경제 플랫폼‘의 구축을 기대할 수 있음 주요 활동 - 참여자들은 더 이상 읽지 않는 ‘어린이 책‘을 기증하고, 책 개수에 따라 ‘삐삐 쿠폰‘으로 교 환 받음 - ‘삐삐 쿠폰’은 충남혁신상회 내에서 쓰이는 화폐로, 책 한 권당 삐삐 쿠폰 1개로 교환받아 개당 천 원의 가치를 가짐 - 참여자들은 삐삐 쿠폰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및 위 룰 마켓에서의 상품 구매 - 기증된어린이책은옥외배송장에조성된‘삐삐책방’에서누구든언제나자유롭게독서가능 - 이후 참여자들에 의해 기증된 책들은 다시 지역사회에 필요한 어린이 기관으로 재기증 3.WELAB|오픈랩
  • 6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0 삐삐책방 3) 운영 방식 - 참여자의 공유로 경제적인 가치를 만들고, 그 가치가 순환하는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쿠폰을 화폐로 경제적인 활동에 활용 도서관이 부족한 성거지역에 도서관련 문화공간 조성 삐삐쿠폰 - 충남혁신상회 내에서 활용되고 기능하는 ‘삐삐 쿠폰‘ 으로 공유경제 체험의 발판 마련 참여 도민 삐삐 책방 가치의 순환 마켓 생산자 순환, 공유 로컬랩 및 오픈랩 상품 교환 체험 교환 지역사회 환원 어린이 도서 선물 삐삐쿠폰 증정 충남혁신상회 내 삐삐 쿠폰의 기능 및 의미 - 삐삐 쿠폰은 ‘지역 화폐’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부분적으로 이를 실험해보고자 함 - 지역 화폐는 정해진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돈으로, 대도시로 경제활동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지역 내 경제 순환구 조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함 - 지역 화폐가 작은 지역 내에서 유지 비용을 갖춰가며 자리 잡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시도는 꾸준히 이루 어지고 있음. (대표적으로는 대전의 품앗이 전통을 계승한 ‘한밭레츠‘ 라는 지역 화폐가 있음) - 삐삐 책방에서는 ‘충남혁신상회‘ 라는 작은 범위 안에서만이라도 삐삐 쿠폰을 활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주변 도민들이 생 산자 직거래 마켓에서 로컬 푸드를 소비하도록 장려하고 더불어 도민들에게 ‘지역 화폐 활용’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하였음
  • 62. 61 3.WELAB|오픈랩 삐삐책방 삐삐 책방 조성 및 게시 합계 삐삐 책방 운영 및 책 선물 진행 67명 49명 20명 4명 130명 699권 483권 186권 25권 1393권 322개 242개 91개 20개 675개 9.28 10.12 10.26 11.23 실행 주체 티팟㈜ 실행 일자 - 삐삐 책방 운영 : 상시 운영(월~일 / 9시~ 18시) - 책 선물 기간 : 9월 28일, 10월 12일, 10월 26일, 11월 23일 (토) / 12시 ~ 18시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 삐삐 책방 이용 : 약500명 - 책 선물 인원 : 130명 2. 실행 결과 1) 결과정리 2) 진행 일정 별 결과
  • 6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2 삐삐책방 3. 활동 사진 2. 실행 결과 3) 결과 내용 4) 차후 계획 - 어린이들을 비롯한 온 가족이 삐삐책방에서 자유롭게 책을 접할 수 있게 됨, 야 외에 조성된 특별한 ‘동네 도서관‘ 으로 자리잡음 - 아이들이 크고 나면 처리가 곤란한 ‘어린이 책’을 선물받음으로서, 선물하는 사 람과 받는 사람 모두 즐거운 과정을 경험 - 책을 선물하면 받게 되는 ‘삐삐쿠폰’으로 마켓에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 에, 참여자들의 참여도가 활발해지고 높아짐 - 특히 충남혁신상회 내에서만 활용되는 화폐인 ‘삐삐쿠폰’은 참여자들에게 새로 운 경험을 제공하여 큰 호응과 관심을 얻음 - 선물 받은 책들을 지역 아동 기관에 전달 - 앞으로의 삐삐책방이 가졌던 구조를 활용하여, 책이 아닌 다른 기증품 혹은 쿠 폰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변화하며 실험할 수 있음을 기대 - 누구에게나 열려있고 쉽게 접근 가능했던 삐삐 책방을 통해, ‘공유 경제 플랫폼’ 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경험하여 차후 이와 같은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에 도 움이 될 것으로 전망
  • 64. 63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WE RULE MARKET 1. 프로그램 소개 2. 기획 기본방향 3. 실행 - 예술과 융합된 새로운 유통실험 - 지역 소비자가 원하는 구매품목과 시장문화를 살핌 - 시장의 지속가능한 운영방향 모색 - 지역에서 활동중인 청년농부, 강소농 생산자, 자연농법 생산자, 유기농 재배 생산자 등 건강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과 먹거리의 소규모 생산자와 안심하여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와 연결하여 만나고 이야기하며 교류하는 생산자 마켓 형성 - 지역 주민이 참여하여 안 쓰는 물건을 매개로 커뮤니티 기반의 모두의 장터 형성 1) 운영 - 일시 : 격주 토요일 마다 총 4회 차례 운영 (9/28, 10/12, 10/26, 11/23 *11/9 우천예보로 휴장), 12:00 ~ 17:00 - 장소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옥외배송장 2)-1 생산자 마켓 - 참여 팀 수 : 기본 20팀 내외 - 팜매품목 : 농부시장(식재료, 가공식품, 발효식품 등), 먹거리 (다과류, 음료, 분식 등), 수공예팀 2)-2 모두의 장터 (플리마켓) - 참여 팀 수 : 기본 10팀 내외 - 판매품목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깨끗한 물건들(제 한 없음) 3.WELAB|오픈랩
  • 6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4 WE RULE MARKET 1 생산자 마켓 - 참가접수 : 구글설문 신청서를 통한 온라인 및 전화접수 - 모집안내 그룹 : 충청/세종 4-H농장, 청년농업인, 영농공동체, 여성농업인, 강소농 모임, 대학교 영농창업사업단, 마르쉐 참여농부 등 약 200팀에게 개별 연락하여 안내 2 모두의 장터 - 참가접수 : 구글설문 신청서를 통한 온라인 및 전화접수 - 모집홍보 :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 홍보물 게시(천안 북서부 자이에뜨 입주자카페, 맘카페, 지역소식카페/앱), NGO지원센터 블로그/페이스북/홈페이지 2) 참가자 모집 3) 홍보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게시 홍보물
  • 66. 65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4) 온라인 채널 운영 - URL : sites.google.com/tpot.kr/we-rule-market -홈페이지 : WE RULE 마켓 소개 및 일정 안내, 생산자 마켓 셀러/ 모두의 장터 주민 참가자 모집안내 및 신청접수 플랫폼 기능
  • 6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6 WE RULE MARKET 4. 실행결과 4-1) 생산자 마켓 1) 1회차 9월 28일(토) 2) 2회차 10월 12일(토) ① 이용인원 : 약 200명 ② 총 판매액 : 약 2,620천원 ③ 출점 농가 15팀 굼 앤 머쉬, 남일농장, 들길농원, 모산춤추는고추농장, 미희특수작물, 밀크모아영농조합법인, 성 산표고버섯농장, 엄마포도농원, 장세영(수공예품), 장쟈크밀람상점(수공예품), 초록이둥지협동 조합, 충남농특산물협회회원농가, 콩밭카페, 하늘맑은와송, 희망농원 ① 이용인원 : 약 130명 ② 총 판매 : 약 1,458천원 ③ 출점 농가 13팀 굼앤머쉬, 남일농장, 들길농원, 모산춤추는고추농장, 미희특수작물, 밀크모아 영농조합, 성산표 고버섯농장, 소부리영농조합, 장세영(수공예품), 청풍명월명품고추, 초록이둥지협동조합, 충남 농특산물협회 회원농가, 하늘맑은와송
  • 68. 67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4-2) 생산자 마켓모두의 장터 3) 3회차 10월 26일(토)) - 모두의 장터 ① 주민 참여자 4팀 신지혜 가족(성환읍), 김정은 가족(용곡동), 김현경 가족(성환읍), 임미옥 가족/이웃/친구(성거읍) 팀(두정동), 허지혜(서울) ② 판매품목 장난감, 책, 의류/가방 등 패션잡화, 생활용품 - 생산자 마켓 ① 이용인원 : 약 85명 ② 총 판매액 : 약 788천원 ③ 출점 농가 10팀 공주마리농장, 굼앤머쉬, 남일농장, 다우리떡집, 들길농원, 미희특수작물, 장세영(수공예품), 초록이둥지협동조합, 충남농특산물협회 회원농가, 하늘맑은와송
  • 6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68 WE RULE MARKET 4-3) 모두의 장터 4) 4회차 11월 23일 (토) ① 이용인원 : 약 172명 ② 주민 참여자 8팀 감미선(천안시), 이미혜 가족(성거읍), 임미옥 가족(성거 읍), 신주영 가족(두정동), 전미래 가족(성거읍), 김미정 가 족(쌍용동), 다옴 팀(두정동), 허지혜(서울) ③ 판매품목 장난감, 책, 피규어, 패션잡화, 생활용품, 수공예품, 반려동 물 용품 및 수제간식, 펄러비즈 체험
  • 70. 69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5. 결과정리 5-1) 운영 - 생산자 마켓의 셀러 등록인원 23명 생산지역 셀러 등록인원의 약 48%가 천안시에서 활동하는 생산자가 가장 많았다. 그 밖에 공주시, 논산시, 보령시, 청주시, 청양군, 홍성군, 부여군, 금산군, 강원도 영월의 생산자가 참가 신 청함 - 모두의 장터의 참가등록 인원 23명 거주지역 주민참가자 등록인원 17명의 거주지가 성환읍 10명, 두정동 2명, 청수동 1명, 용곡동 1 명, 대흥동 1명, 쌍용동 1명, 서울시 1명으로,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기점으로 약 13km 이내 지역의 주민이었음(서울시 제외). 1) 지역별 참가신청자 2) 출점 팀 수, 매출, 이용인원 합계 일시 5071 4,866 587 9.28 10.12 10.26 11.23 분류 신청 팀 수 출전 팀 수 매출 총액 (단위:천원) 이용인원 생산자 마켓 17 15 2,620 200 생산자 마켓 17 13 1,458 130 생산자 마켓 모 두의 장터 19 7 10 4 783 85 * 11.9 우천예보로 휴장 모두의 장터 11 8 4,866 방문객 의견 - 문화공연과 함께 어우러진 시장으로 지속되길 원함 - 1차 농산물 보다 가공식품과 특색 있는 새로운 품목 필요 -아이들을위해구매하는젊은엄마들대상의소비품목필요 - 시설/프로그램과 연계운영으로 방문객이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높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먹거리의 필요 - 정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운영되길 원함 셀러 의견 - 공간이 활성화 단계에서 상행위 프로그램은 사람들의 공 간이용이 높아진 이후 들어오는 것이 필요 - 주요 소비층이 30-40대였고 이에 맞는 품목 필요 - 1차 농산물의 소비층은 어르신들 뿐이었음 - 찾아와야 하는 공간이기에 홍보와 마케팅 중요 - 생산자 간의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장이길 원함
  • 7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0 WE RULE MARKET 3) 생산자 마켓 셀러 의견 (10.12 서면 설문조사 진행) 목적: 소규모 농업 생산자의 고민과 바람을 고려한 예술과 융합된 새로운 유통실험을 위해, 농산물 가치/유통/부가가치에 대한 WE RULE MARKET 셀러 의견조사 질문1 : 해당 농업 분야의 생산자로서 어떤 고민/어려운 점 또는 바람이 있으실까요? 질문2 : 어떤 농업 생산자 주도의 유통을 원하시나요? - 정품이 아니면 판매가 어렵다는게 어려운 점 같습니다. 흠집이 나거나 못생긴 과일 등 B품이어도 먹는데는 지장이 없는데 소 비 자체가 적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 - 친환경농업 단체로서 친환경 농업이나 농산물에 대한 가치 혹 은 편견을 바꿔주고 싶은데 저희도 준비가 부족하고 참가자들 도 적어서 아쉽습니다. - 우리나라의 쌀 소비가 줄면서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판로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다양한 유통 채널이 필요합니다. -판매할곳이없어서고민입니다.직거래장터가정기적,지속적으 로운영되어안정적생산과고용창출이이루어지길바랍니다. - 농가 직판이라던지 체험활동을 통해 농민들의 고충을 이해하 고 반대로 농민들 또한 소비자들과 소통을 통해 좀 더 알아가는 도농교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생산자와 소비자가 최소한의 유통과정을 거쳐 신선하고 저렴 한 농산물을 만나 서로 좋음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실현하기가 생각보다 힘듭니다. 좋은 품질, 합리적인 가격, 소비자 의식, 모 두가 함께 유기적으로 연대 되어야 가능한데 위 룰 마켓이 좋은 방향을 제시하는 공간이었으면 합니다. -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결방식(꾸러미)도 중요하고 생산물의 가 치도 중요합니다.  - 장터에서 상품을 구입한 후 장터 이용이 어려울 시에는 택배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설문내용
  • 72. 71 3.WELAB|오픈랩 WE RULE MARKET 질문3 : 해당 농업 분야에 농산물의 가치가 확장되 기 위해 기존 시장에서 없어져야 하는 규칙과 새로 이 만들어져야 하는 규칙이 무엇일까요? 질문4 : 해당 농업 분야의 농산물이 단순히 상품 거래 되는 것을 넘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된다고 생각하신다 면, 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고령화 사회가 되가는 만큼 기존 기득권층의 텃새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 직장 또한 젊은 사람들의 설자리가 점 점 사라지고 있다고 봅니다. 경력자들이 새로운 사람들을 이끌 어주고 새로운 사람들은 잘 따라가며 상부상조하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 복잡한 유통구조는 반드시 간결하게 바뀌어야 합니다. 서로 신 뢰할 수 있을 때 가능하지만요. 간단하지만 어렵습니다. - 생산자에게 자율을 줘야 합니다. - 통제와 규정을 두지 말고 농가 스스로 농산물의 가치성을 자랑 하고 자율에 맞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품질 좋은 농 산물이 나오며 시장이 좋아질 것입니다.  - 규격화된 품질 확보를 없애고,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1차 농산물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가공된 물품들을 개발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1차 농산물의 성장은 멈추고있습니다. 가공이 해결방안이라 생 각됩니다. 생산자들이 가공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체계가 각 지자체에서 준비중이거나 실행 중입니다. 보여주기 식이 아닌 내실 있는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소규모 농가도 마음 가볍게 접 근할 수 있는 가공시설이 충남 곳곳에 있었으면 합니다. - 계절별 생산물이 있기에 시장에 내 놓아지는 품목이 중복되는 데 재배농법, 가공 방법등의 설명으로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소개가 필요합니다. 또한, 농부의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와 연계 프로그램을 하면 좋겠습니다.   - 직거래가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 농가 현장체험을 운영하면 좋겠습니다.
  • 7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2 개요 LOCAL LAB 개요 - 기간 : 2019년 9월 ~ 2019년 11월 - 로컬랩으로 실행된 프로그램 수 : 12개 단체, 13개 프로그램 - 로컬랩에 참여인원 : 총 2,478명 - 실행장소 : 중부농축산물류센터 옥외배송장, 자동차 극장부지, 지하 배송장, 2층 사무실구역 - 실행목적 : 도민들이 낸 공간활용 아이디어를 도민기획자가 직접 실행하며 실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도민이 주인인 공간으로 각인시키고 앞으로 공간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갈 수 있는 선행 멤버십 구축 플레이그라운드 너, 나, 우리는 허그미 프로젝트해비타트 DIY리스토어
  • 74. 73 3.WELAB|로컬랩 플레이그라운드 플레이그라운드 실행 단체 크룩(지영민, 김예주) 실행일자 10월 5, 12, 19, 26일, 11월 16, 23일(총 6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133명 - 누구나자유롭게스케이트보드를탈수있는공간을구축하고이곳을찾고관심을가 지는시민들에게무료로강습을진행하면서스케이트보드문화를확산하고자하는취 지 - 눈, 비, 바람에 제한을 받지않고 항상 즐길 수 있는 실내 스케이트보드 파크를 구축하 고자 함 - 프로그램에 참여신청을 하는 시민들에게 보호장구를 지급하고 30분내외의 스테이 트보딩 워크숍 진행 - 옥외배송장에 하프파이프 스케이트보드시설 설치 - 10월 5일 천안AM 천안지역 스케이트보드 대회 개최 - 아직 한국에 대중적인 취미활동으로 정착되지 않은 스케이트보드를 천 안시민, 어린이를 대상으로하는 워크숍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중부농축 산물류센터를 방문하면 신선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다는 인상을 줌 - 우천시나 동절기에 외부에 설치된 시설로 인해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없 어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지하공간이나 1층 창고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실내공간을 꾸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 개방성 : 무료강습을 열어 현장을 찾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공유경제 모델 : 하우스오브 반즈를 모델로 스케이트보드를 기반으로 한 지역문화 예술 활성화를 통한 공유경제모델 실현 - 지속가능성 : 동호인을 중심으로 지역의 스케이트보드 씬을 대표하는 장소로 자리 매김하여 지속적으로 방문객이 찾는 공간으로 입지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75.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4 원하던 캠핑 원하던 캠핑 실행 단체 천안시도(천민호, 김동환, 최광운) 실행일자 9월 28일, 10월 5, 12, 19, 26일, 11월 2, 9, 16일(총 8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439명 - 캠핑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인근 공유지를 개방하여 천안 인근지역의 시 민들의 여가활동의 선택지를 늘임 - 캠핑을 할 수 있는 장소, 텐트를 저렴한 가격으로 대여하여 보다 많은 시민들에게 캠 핑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옥외배송장 외곽에 텐트를 칠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전기, 수도를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여 공간을 방문하는 시민 누구나 캠핑을 할 수 있는 시 설마련 - ‘자유놀이터’와 함께 가족단위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 지역을기반으로한커뮤니티를통한커뮤니티를통해효과적인홍보활동을 실행하였고쉽게접근할수있는인근아파트단지주민들에게큰호응을얻음 - 하지만 초기에 기획하였던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 대비 운영계획이 부실하여 실행을 기획했던 프로그램들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함 - 날씨와 조성된 공간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이기때문에 지속적 인 운영을 위해 공간의 확보 및 추가적인 설비의 시공이 필요해 보임 - 개방성 : 캠핑을 즐기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시민들이라면 누구든 접근할 수 있도록 예약, 이용 등의 문턱을 낮춤 - 공유경제 모델 : 지역의 생산자를 우선으로하여 캠핑장비, 상품을 홀보할 수 있는 창 구로 활용하고, 캠핑 이용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지역의 다양한 아티스트와 나누어 상생할수 있는 구조 마련 - 지속가능성 : 참가비를 받아 운영과 보수를 진행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마련하여 방 치되지 않고 관리되는 캠핑공간으로 지속하고자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76. 75 3.WELAB|로컬랩 해비타트 DIY 체험 해비타트 DIY 체험 실행 단체 한국 해비타트 세종충남지회 (곽금찬) 실행일자 9월 25일 ~ 11월 30일(총 47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736명 - 건설현장에서 발행하는 목재 폐기물을 재활용하기위해 DIY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 자원 재순환을 통하여 지역을 재생하고 재생물품 판매를 통해 지역경제를 다시 활 성화하며,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공익적 결과물을 창출함 - 위랩 프로그램중 최장기간 현장을 지키며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던 프로 그램으로 봉사활동 참가자와 함께 아이디어 기획회의를 통해 제작물품을 결정하고 직접 목제품을 만들어볼수 있는 워크숍 운영 - 736명이 참여하여 스마트폰거치대 145개, 냄비받침대 187개, 공간박 스 96개를 제작하여 제작자가 소유하거나, 충남지역아동센터에 기증함 - 개방성 : 누구나 참여가능한 DIY 체험부스 운영 - 공유경제 모델 : 제작된 DIY제품, 공간박스는 지역 아동센터에 기부 - 지속가능성 : 향후 조성될 리스토어센터를 통해 수익모델을 정착시켜 지속적인 운 영이 가능하도록 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2. 기획 기본방향
  • 77.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6 해비타트 목조주택 만들기 해비타트 목조주택 만들기 실행 단체 한국 해비타트 세종충남지회 (김용훈) 실행일자 9월 25일 ~ 11월 30일(총 47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289명 - 재난지역에 긴급구조를 위해 보급할 수 있는 목조주택을 참가자와 함께 만들며 목조주택 제작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통해 공익적 결과물을 만들어냄 - DIY프로그램과 함께 연계하여 봉사활동 참가자와 함께 목조주택 제작에 필요한 공구의 사용, 재료의 특성, 주택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여러차수에 걸쳐 이동식 주택을 완성함 - 총 289명이 참여하여 3개동의 이동식 목조주택을 제작 - 지역사회내에 시설보수가 필요한 성거읍복지회관, 영광교회, 지역아동 센터, 희망의마을을 방문하여 81장의 방충망교체시공을 진행 - 차후 지하창고공간을 활용한 리스토어공간을 운영하여 오래된 가구를 수거, 새롭게 활용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 개방성 : 목조주택 건축과정 관람과 참여에 따른 교육적 효과 및 친환경 목자재 정보 공유 - 공유경제 모델 : 화재, 재해 발생시 이재민에게 우선적으로 제공되어 피해복구 및 빠른 일상복귀를 위한 주거공간 제공 - 지속가능성 : 향후 조성될 리스토어센터를 통해 수익모델을 정착시켜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2. 기획 기본방향
  • 78. 77 3.WELAB|로컬랩 너, 나, 우리 Hug Me 프로젝트 너, 나, 우리 Hug Me 프로젝트 실행 단체 허그미 팀(곽여름, 김해주) 실행일자 11월 9, 16, 23일(총 3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67명 - ‘Hug me’ 프로젝트는 반려동물의 생명을 경시하는 인간 우위적인 인식을 탈피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인식전환을 이루어 냄으로써 인간과 반 려동물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 -클레이점토로 반려동물 모형만들기, 석고방향제 DIY, 알지네이트를 활용 하여 손모양뜨기, 반려견과 함께 찍는 스냅사진전 등 운영 - 참가비 명목으로 ‘천안시 유기견 보호소’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기위한 비용 모금 진행 - 기부금 모금 34,600원을 유기견 보호소로 전달 - 기획과 홍보를 위한 시간이 부족하여 아쉬움 - 두번의 학기와 방학을 이용하여 8주진행 커리큘럼으로 일회성을 벗어난 프로그램을 기획해 보고자 함 - 삭막한 공간의 개선을 위한 벽화프로젝트 등의 추가적인 실행을 제안해 보고 싶음 - 개방성 : 반려동물의 유무와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진전시회를 진행하여 시 민들과 SNS누리꾼들의 관심을 이끌어내어 유입을 증가시킬계획 - 공유경제 모델 : 문화예술적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에 관한 사회적이슈를 풀어 내고 그로 인해 동반되는 관심과 수익으로 도움이 필요한 곳에 환원함 - 지속가능성 :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라이프스타일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사회 적 관심도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취지를 충분히 설명할수 있다면 꾸준히 지속가능할 것으로 판단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79.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78 Overpacking 展 Overpacking 展 실행 단체 당근주스 팀(최진형, 임기환, 이의용) 실행일자 11월 23일(총 1일) 실행 장소 자동차극장 부지 총 참여인원 30여명 - ‘중부농축산물류센터’에서 영감을 받아 과대포장이라는 주제로 중부농축산물류센 터를 예술이 있는 공간으로 작업함 - 주제와 장소의 특성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보는이가 작품을 통해 공간을 새로운 시 각으로 사유해 볼 수 있도록 함 - 10m x 10m 규모의 야외 설치미술작품 설치 - 목재로 틀을 잡은 상자구조를 반복적으로 설치하여 관람객의 기대감을 증폭시키고, 작품동선의 마지막에 설치한 입체작품으로 과장된 작품을 표현하여 현세태를 풍자함 - 예술가들이 공간을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열어 예술가 레 지던시로 운영하며 주기적인 전기획을 진행하고자함 - 인근에 위치한 충남예고와의 교류를 통해 지역 예술가들이 지속적인 활 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고 싶음 - 개방성 : 야외에 설치미술작품을 전시하여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방문하는 누구나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함 - 공유경제 모델 : 문화예술공간으로 중부농축산물류센터를 활용하여 차후에는 예술 품이 거래되는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지속가능성 : 공간을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문화,예술적 공간활용에 대한 가 능성을 제시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80. 79 3.WELAB|로컬랩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독한마켓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을독서 플리마켓, 독한마켓 실행 단체 허송세월 팀(최진형, 임기환, 이의용) 실행일자 11월 23일(총 1일) 실행 장소 자동차극장 부지 총 참여인원 30여명 - 반려동물의 증가와 인식변화로 펫코노미 산업이 떠오르고 있고 그에 따라 반려동물 과 함께 사는 천안 이미지생성 및 천안의 펫코노미 산업 홍보를 위한 반려동물 박람 회 프로그램을 기획함 - 자동차극장부지를 활용한 플리마켓 형태의 소형 박람회 운영 - 반려동물 관련 지역셀러들의 네트워킹 자리 마련 - 20개의 셀러참여, 30여명의 방문객 유치 - 짧은 홍보기간으로 많은 참여자를 유치하지못했으나 지역 반려동물 애 호가들에게 동물과 함꼐 놀수 있는 장소가 있음을 알렸고 일반 방문객에 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할 수 잇는 공간을 소 개함 - 반려동물로 한정하지않고 다양한 아이템을 교류할수 있는 컨텐츠컨셉을 실행할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 개방성 : 박람회 개최를 통한 충남도민 정보교환의 장을 마련, 박람회실험을 통해 다 양한 분야로 확장을 실험 - 공유경제 모델 : 다양한 분야의 사업자들과 소비자를 연결하여 지역플랫폼을 형성, 지역내 교류를 이끌어냄 - 지속가능성 : 반려동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박람회로 확장가능하며 컨 벤션이 없는 충남, 천안지역에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여 수요를 집결할 수 있음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81.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80 We Rule Underground We Rule Underground 실행 단체 피사 플랫폼 팀(정피사) 실행일자 11월 23일(총 1일) 실행 장소 지하 배송장 총 참여인원 30여명 - 다양한 청년들의 네트워킹을 위한 EDM 파티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 대학 청년 들과 기획자들이 모일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함 - 지하공간을 활용한 클럽파티 운영 - DJ공연, 댄스배틀, 칵테일 클래스 및 식음료 제공, 멕시칸 부리또 부스 운 영, 원테이블 카지노 운영, 각종 카니발게임 및 단체게임 운영 - 정기적인 파티를 개최하여 천안 인근지역의 파티문화 정착 및 오프라인 네트워크 강화 - 공간에 대한 다양한 공연 및 문화행사 가능성 실험 - 개방성 : 청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네트워킹을 통한 공감대 형성 - 공유경제 모델 : 국경을 넘어선 개인간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고류를 장려하고 이를 기반으로한 다문화 공유 - 지속가능성 : 기존 가족단위를 타겟으로한 중부물류센터의 여러실험의 타겟을 청년 층까지 확대하여 다양한 세대를 공간에 방문하게 함으로써 세대간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82. 81 3.WELAB|로컬랩 Puppet 작은공연 우주극장 Puppet 작은공연 우주극장 실행 단체 운주문호회 (이강미, 최기선) 실행일자 10월 26일, 11월 28일(총 2일)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100여명 - 지역민에게 다양한 형식의 공연을 통해 예술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 고 예술가들에게는 작은 공연을 창작하여 선보일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10월 23일 탈이야기, 풍선여행, 로베르또 할아버지의 수상한 공 방 진행 - 11월 28일 고향의 봄, 솔산 광덕이야기 진행 - 야외활동이 어려워지는 초겨울 시즌에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야외공연을 운영하기에 어려운지점이 많았음 - 이 기회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주민이 함께하는 공 연이나, 함께 소품을 만드는 활동과 함께 거리공연을 기획하고자 함 -개방성:야외공연의특성상입장절차없이전연령층누구나관람할수있고언어를통 한내용의전달이아닌감성의전달을통한공연으로배리어프리공연형식을취함 - 공유경제 모델 : 현재의 공연형식에서 나아가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진행할 수 있다 면 지역주민들과 함께하는 퍼레이드 인형만들기 등으로 공연참여를 통한 주민참여, 공유경제 모델을 구축할수 있을것으로 판단함 - 지속가능성 : 참여예술인들의 창작활동 및 발표공간 조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상설 화하고 지역 예술인과의 교류를 통해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 83. ‘다함께 잘하는 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82 얼굴있는 농부시장 얼굴있는 농부시장 실행 단체 도농문화콘텐츠연구회 (홍서웅, 표기용) 실행일자 11월 28일(총 1회) 실행 장소 옥외배송장 총 참여인원 32농가 셀러 70명, 방문객 330여명 - 얼굴있는 농부시장 X 충청도 청년농부를 중심으로 시민과 함께 소통하며 즐기며 경 험하는 파머스마켓 운영 - 도시와 농촌의 새로운 교류 플랫폼으로 중부농축산물류센터만의 특화된 공적 이미 지 확산 - 충청도를 기반으로 활동중인 청년농부 19개팀, 얼굴있는 농부시장 13 개팀 참가 - 11월 28일 총매출 5,030천원 -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생산자 마켓이 열리는 장소로 만족스럽고 적합하 다는 평 - 적극적 오프라인 홍보와 정례화를 통해 마켓의 입지를 다질 필요가 있음 - 청년농부들로부터 지속가능한 지역 네트워크 플랫폼의 필요성에 대한 요청이 있었으며 어린이집 단체체험, 교육프로그램운영 등 지역연계 프 로젝트를 활성화할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 - 개방성 : 지역농가에서 원한다면 누구든 신청하여 참가할 수 있고 전문유통인보다 는 청년농부에게 참여우선권을 부여하여 생산과 유통을 함께 진행함 - 공유경제 모델 : 다양한 식문화와 지역자원의 교류공간으로 중부 농축산물류센터를 소개하여 가치의 공유, 소통의 장으로 기능하게 함 - 지속가능성 : 소규모농가, 청년생산자의 커뮤니티 지원을 통한 생산자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식문화를 주제로한 다양한 콘텐츠 실험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문화마켓으 로 지속적인 활동 기획 1. 프로그램 소개 3. 주요 활동 4. 활동 결과 및 차후 기획 2. 기획 기본방향 얼굴있는 농부시장얼굴있는 농부시장얼굴있는 농부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