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포괄적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법
( Central line Bundle)
목차
 중심정맥관 관리의 필요성
 진단기준
 혈관 내 카테터의 종류
 감염경로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을 낮추기 위한 권장사항
 포괄적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법(Bundle)이란
 중심정맥관 관리
 중심정맥관 삽입 시 관리
 중심정맥관 삽입 중 관리
 중심정맥관 드레싱 관리
 혈액배양검사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의심될 경우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시 진행과정
중심정맥관 관리의 필요성
 혈류감염은 의료관련감염 사망률과 사망자수에 주요 원인
 Mortality : 3-25% (Up to 35% attributable mortality)
 빈도
 5.0 / 1000 catheter-day (2002-2004, NNIS)
 3.12 / 1000 catheter-day (2006-2008, KONIS)
 재원기간을 24일까지 더 연장시킴(평균 7일)
 중심정맥관은 혈류감염의 주요한 위험요인임
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률은 카테터 종류에 따라 다름
진단기준
 검사로 확인된 혈류감염(BSI-LCBI)
 다음의 진단 기준 1,2 중 적어도 한가지 만족
 진단기준 1
 환자에게 병원성으로 인정되는 균주가 혈액배양에서 한번 이상 분리
되었으나 다른 부위의 감염과는 관련이 없음
 진단기준 2
 열(>38℃), 오한, 저혈압 중 한 가지 이상이 있고 다른 부위의 감염과
는 관련이 없음
 그리고(and) 흔한 피부 오염균(Corynebacterium sp., Bacillus sp.,
Propionibacterium sp.,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micrococci)이지만 동일한 균주가 두 군데 이상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채혈한 혈액 배양에서 분리
BSI-LCBI: Bloodstream Infection-Laboratory Confirmed Bloodstream
Infection
혈관 내 카테터의 종류
종류 삽입부위 길이 비고
말초형
카테터
말초정맥카테터 손, 상박 < 3 inches
장기간 사용시 정맥염
혈류 감염은 드묾
말초동맥카테터 요골, 대퇴, 상완 동맥 < 3 inches 감염률 낮음
중심형
카테터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PICC)
상완 척측, 요측 피정맥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에
위치)
≥20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비터널형에 비해
감염률 낮음
비터널형
중심정맥관
피부를 통하여 삽입.
빗장밑, 넙다리, 목정맥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에
위치)
≥8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대부분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의 원인
터널형
중심정맥관
피하에 터널 있음.
빗장밑, 목정맥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에
위치)
≥8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피하터널의 커프가
카테터 트랙을 따라
균이 들어오는 것을
막음
이식형포트
피하에 터널이 있고
포트 삽입
≥8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CRBSI 위험 낮음
카테터관리 불필요
제대카테터 제대정맥, 동맥
≤6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제대정맥과 동맥의
CRBSI는 비슷CRBSI: Central line related Bloodstream
중심정맥카테터의 종류(예시)
Nontunneled central venous catheter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venous catheter
(PICC)
Tunneled central venous catheter
(Hickman, Broviac, Groshong, Quinton etc.)
비터널형 중심정맥관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터널형 중심정맥관
가장 많이 사용하는 CVC
: CLBSI의 약 90% 차지
CLBSI: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감염 경로
Canada Communicable Disease Report – Supplement Volume: 23S8, December 1997
1. Pathogen migration along external surface
- more common early(< 7days)
2. Hub contamination with intraluminal colonization
-more common >10 days
1. Hematogenous seeding from another source
2. Contaminated infusate
More Common Mechanisms
Less Common Mechanisms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을 낮추기 위한 권장사항
항목 더 좋은 것
삽입 상황 계획된 삽입 > 응급
시술자 기술 전문가 > 경험이 적은 사람
삽입 부위 빗장밑 정맥 > 넙다리 정맥
피부 소독제 0.5% chlorhexidine with alcohol >
70% alcohol, 10% povidone iodine
도관 내강 수 한 개 > 여러 개
도관 사용 기간 짧다 > 길다
보호장구 최대한 사용 > 부분 사용
포괄적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법
(Central line Bundle)이란?
 1. 손위생(Hand Hygiene)
 2. 삽입시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at insertion)
 3. 클로르헥시딘 피부 소독(Chlorhexidine Skin Antisepsis)
 4. 적절한 부위/ 종류의 중심정맥관 선택
(Optimal Site/Line Selection)
 5.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Daily review of the line necessity, with prompt removal o
f
unnecessary lines)
Bundle = 묶음
1. 손위생
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이 함유
된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
생을 수행
 혈관 카테터의 삽입, 교환, 교
정, 드레싱 전후, 카테터 삽입
부위 촉진 전후
2. 삽입시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
 마스크, 모자, 멸균가운, 멸균장갑 착용(inserter/s)
 멸균 대공포 사용(head to toe)
 무균 영역 유지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
모자
마스크
멸균가운
멸균장갑
머리카락을 모두 감쌈
코와 입은 완전히
덮어져야 함
부분 사용(X)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O)
올바른 보호장구의 사용 예
3. 클로르헥시딘 피부 소독
 멸균 대공포 적용 전
 2% 클로르헥시딘과 알코올이 함유된 소독제로 피부 소독
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tincture of iodine, iodophor
또는 70% 알코올로 대체
 삽입 부위를 최소 30초 이상 앞뒤로 마찰하며 문지름
 삽입 부위의 소독제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기다림
(~ 2 minutes)
 닦거나 입으로 불지 않음
 제외: 신생아 <2개월
4. 적절한 부위/ 종류의 중심정맥관 선택
 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최소한의 주입구(또는 내강)를
선택
 빗장밑 정맥(subclavian vein): 감염 위험성 낮음
 목 정맥(jugular vein)
 넙다리 정맥(femoral vein): 감염 위험성 최대
 피할 수 없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48시간 이내에
가능한 제거
넙다리정맥: 꼭 필요시
에만
경정맥: Second choice빗장밑 정맥: First Choice
5.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 매일 중심정맥관의 필요성 검토: 필요하지 않을
경우 즉시 제거
 많은 경우 중심정맥관 제거에 대해 고려하지 않아 환자가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 불필요한 중심정맥관의 유지로 감염률이 증가함
 매일, 다음 문항을 질문함
 환자에게 여전히 중심정맥관이 필요한가?
 ‘예’인 경우, 카테터 사용으로 인한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는가? (e.g., triple
lumen to peripheral)
 ‘아니오’인 경우, 제거 고려
 중심정맥관 유지가 필요한 상황
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 여러 개의 IV 항생제 사용
 multiple blood / blood products
 vesicant drug (dopamine, dilantin, vancomycin) or irritant drugs
(cefoxitin, fortaz)
 TPN
 항암제
 혈류역동 감시 (hemodynamic monitoring)
 reliable access (IV fluid therapy, frequent blood draws, pain
management)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에게는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당신의 환자는 아직도 중심정맥관이 필요합니까?
위의 적응증에 해당되지 않으면 환자를 위해 중심정맥관을 빨리 제거해주
십시오.
2. CVP 측정이
필요한 환자입니
까?
4. 말초혈관 사용이
불가능 합니까?
1. 중심정맥으로
투여해야 할 TPN
이 있습니까?
중심정맥관
삽입 적응증
3. 반드시 중심정맥으
로
투여해야 하는 약물
이
있습니까?
중심정맥관 관리
1. 중심정맥관 삽입 시 관리(복장, 준비물품)
1. 물품준비 2. 손위생 3. 모자, 마스크착
용
4. 멸균가운, 장갑착
용
5. 멸균 대공포 사
용
* 손위생 : 소독비누와 물 또는 알콜젤
** 피부소독 시 CHG 사용을 우선 권장한다(포비돈을 피부소독제로 사용할 경우 2분 이상 건조 후 삽입).
4. 피부소독
, needleless connectors, and injection ports before accessing the catheter
2. 중심정맥관 삽입 중 관리(2-1)
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전신적
인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음
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의 감소 목적으로 중심정맥관을 정기적
으로 교환할 필요 없음
 수액세트는 96시간보다 더 자주 교환할 필요는 없으나 적어도
7일마다 교환함
 혈액이나 혈액 성분 제제 또는 지질 유제(fat emulsion)를 투
여하기 위해 사용된 수액세트는 주입시작 24시간 이내에 교
환함
 Needleless components는 적어도 수액세트를 교환하는 주기
마다 교환함
 세트에 있는 주입 포트는 적절한 소독제(chlorhexidine,
povidon-iodine, iodophor, 70% alcohol)로 닦아내고 멸균 기
구만을 사용하여 오염 위험을 최소화함.
Disinfect catheter hubs, needleless connectors, and injection ports before accessing the
catheter
2. 중심정맥관 삽입 중 관리(2-2)
-가능한 적은 수의 포트와 내강을
선택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씌운
다
<잘못된 예><올바른 예>
needleless connector나 포트에서 약물 주
입이나 샘플 시 소독제(2% CHG/alcohol,
10% betadine, 1회용 멸균 알코올)로 소독 후
시행
직접 hub에서 약물 주입이나 샘플 시
소독제(2% CHG/alcohol, 1회용 멸균 알코올)
로 소독 후 시행
1) 드레싱 교환 주기
→ 투명드레싱(Tegaderm) ; 7일
거즈드레싱 ; 2일
2) 카테터 부위 드레싱 교체가 필요한 경우
① 드레싱이 젖거나 헐거워지거나 오염되었을 때
② 주사부위 관찰이 필요하여 드레싱을 제거한 경
우
3) 거즈드레싱이 필요한 경우
① 땀이 많이 나는 경우
② 출혈이 있는 경우
③ 삽입부위 삼출물이 있는 경우
4) 국소 항균제 연고나 크림의 삽입부위 사용
금지
5) 드레싱 교환 시에는 손 위생, 멸균장갑 착용
등 무균술을 철저히 준수
<올바른 예>
<잘못된 예>
<발열, 삼출물, 동통 등 확인>
3. 중심정맥관 드레싱 관리(3-1)
3. 중심정맥관 드레싱 관리 (3-2)
1. 손위생*
4. 삽입부위 관찰
**
6. 소독액 건조 후 부
착
*손위생 : 소독비누와 물 또는 알콜젤
** 발열, 삼출물, 동통 등 확인
***카테터 삽입부위 소독 시 CHG 사용을 우선 권장(포비돈을 피부소독제로 사용할 경우 2분 이상 건조 후 부착)
2. 기존드레싱 제
거
5. 삽입부위 소독
***
3. 손위생/ 멸균장갑
착용
4. 혈액배양검사(4-1)
방법
채혈부위 각기 다른 부위
용량 최소 혈액 10 mL 이상 (소아 1-5 10 mL) 채취 후, 5 mL/병 주입
시간간격 최소 30분-1시간 혹은 동시에
피부소독제 Alcohol + Iodine 혹은
Alcohol + Chlorhexidine gluconate*
혈액 배양병 소독제 Alcohol
* Chlorhexidine gluconate 사용금기사항: 2개월 미만의 영아, 요추천자, 수막 접촉 부위 및 개방된 피부 소독 시
혈액채취자가 지켜야 할 사항
• 혈액배양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손위생 후 멸균장갑 착용
• 알코올 솜으로 피부를 먼저 닦음
(정맥천자할 피부에 묻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임)
• Povidine-iodine이 마를때까지 2분정도 기다림(소독제 살균효과 필요시간)
Povidine-iodine -> - Alcohol 순으로 닦으면 Povidine-iodine의 소독효과가 없어짐
4.혈액배양검사(4-2)
물품준비
멸균 포장된
일회용 알콜솜으로
고무뚜껑 소독가능
NICU에서는
채혈부위 소독 시
0.5%CHG+알코올
5.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의심될 경우
 카테터를 유지하는 경우
말초혈관과 중심정맥관을 통해 채혈하여 혈액배양을 의뢰한다.
 카테터를 제거하는 경우
카테터가 삽입된 부위의 피부표면을 소독제로 잘 닦은 후 중심정맥관을 제거
하여 카테터의 끝 부위 5cm를 멸균된 가위로 잘라 멸균 튜브에 담아 배양검
사를 의뢰한다. 카테터를 제거한 후에는 멸균드레싱을 한다.
 필요 없는 경우에는 빨리 제거한다.
 단지 감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중심정맥관을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는다.
 삽입부위에 농이 나오면 단기간 사용하는 중심정맥카테터는 어떤 종류이든 바로 제거한다.
 카테터 감염으로 카테터를 교체하는 경우, 반드시 다른 부위에 삽입하며 동일한 부위에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삽입하지 않는다.
 무균술을 철저히 지켰다고 확신할 수 없을 경우(예, 응급 상황에서 카테터를 삽입한 경우)에는 가
능한 빨리 (48시간 이내) 교체한다.
Replacement of CVC
6.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시 진행과정(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
Suspected CRI
카테터 제거
카테터를
제거하는 경우
카테터 끝 배양
Catheter-tip culture
(Quantitative or
semi-quatitative)
말초혈액 배양
Peripheral blood
culture
카테터를
유지하는 경우
2쌍의 혈액배양
(카테터와 말초혈관으로부터 채취)
2 paired blood culture
(from cath. and peripheral) (DTP)
예 아니오
6.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시 진행과정(2)
Patient with suspected systemic CRI
Clinical signs of systemic bloodstream infection (+/- localised infection and no other obvious source of
sepsis)
▶ Fever (≥38.5℃)
▶ Chills
▶ Rigors/ Hypotension on flushing CVC
Clinical decision to remove CVC
Quantitative culture of
CVC (sonication /
vortexing)
: ≥10³ CFU recovered is
indicative of systemic CRI
Blood cultures taken to facilitate diagnosis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not available
▶ 2 sets of paired blood cultures
(CVC and peripheral) for
quantitative analysis (≥5:1).
Otherwise undertake qualitative
analysis
▶ 20 to 30ml volume per set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available
▶ 2 sets of paired blood cultures
(CVC and peripheral) for DTP
(≥120 minues).
▶ 20 to 30ml volume per set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Tracheostomy
TracheostomyTracheostomy
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
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
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
DEEPARANI ALAGARSAMY
 
The Science of HMEs
The Science of HMEsThe Science of HMEs
The Science of HMEs
Steve Koontz
 
Implanted Port Competency
Implanted Port CompetencyImplanted Port Competency
Implanted Port Competency
Cathy Lewis
 
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
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
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
Surgical Solutions
 
Cauti
CautiCauti
Cabsi cauti-vap-nurses
Cabsi cauti-vap-nursesCabsi cauti-vap-nurses
Cabsi cauti-vap-nurses
Dr. Kanwal Deep Singh Lyall
 
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
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
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
College of DuPage Learning Technologies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
drnahla
 
Central venous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wcmc
 
Note Isolation Precautions
Note Isolation PrecautionsNote Isolation Precautions
Note Isolation Precautions
Babitha Devu
 
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
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
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
Cathy Lewis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
Cathy Lewis
 
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
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
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
Moustapha Ramadan
 
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
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
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
JAFAR ALSAID
 
Cauti ppt
Cauti pptCauti ppt
Cauti ppt
DeboraJasmin S
 
ICU Bundles
ICU BundlesICU Bundles
ICU Bundles
Dalia M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JAFAR ALSAID
 

What's hot (20)

Tracheostomy
TracheostomyTracheostomy
Tracheostomy
 
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
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
CLABSI/CRBSI PREVENTION BUNDLE CARE FOR NURSES
 
The Science of HMEs
The Science of HMEsThe Science of HMEs
The Science of HMEs
 
Implanted Port Competency
Implanted Port CompetencyImplanted Port Competency
Implanted Port Competency
 
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
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
Surgical Instrument Sterilization
 
Cauti
CautiCauti
Cauti
 
Cabsi cauti-vap-nurses
Cabsi cauti-vap-nursesCabsi cauti-vap-nurses
Cabsi cauti-vap-nurses
 
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
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
ANES 1502 - M13 PPT: Complex Surgical Instruments
 
CVAD
CVADCVAD
CVA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PV...
 
Clabs is & ppe
Clabs is & ppeClabs is & ppe
Clabs is & ppe
 
Central venous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Central venous catheters
 
Note Isolation Precautions
Note Isolation PrecautionsNote Isolation Precautions
Note Isolation Precautions
 
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
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
Pre Hands-On-Training Study Guide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Made Incredibly Easy!
 
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
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
Prevention of blood stream infection
 
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
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
Hemodialysis catheter related infection 5
 
Cauti ppt
Cauti pptCauti ppt
Cauti ppt
 
ICU Bundles
ICU BundlesICU Bundles
ICU Bundles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Hemodialysis vascular catheters review
 

Similar to Tft clabsi prevention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Sung Wook Song
 
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
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
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mothersafe
 
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
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
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
DonghaHan
 
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
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
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ssungssung
 
검사실교육자료 2014
검사실교육자료 2014검사실교육자료 2014
검사실교육자료 2014
eunkorea
 
Urethrostomy 요도창냄술
Urethrostomy 요도창냄술Urethrostomy 요도창냄술
Urethrostomy 요도창냄술
MinJong Ha
 
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
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
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dlawogud
 
노출 평가 계획
노출 평가 계획노출 평가 계획
노출 평가 계획ssungssung
 

Similar to Tft clabsi prevention (9)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
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
서울시 서북병원 서비스디자인 및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요약본 디자인케어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마더세이프라운드) Breast mass in pregnancy - 윤찬석 교수님
 
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
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
한동하 : 거머리요법의개요
 
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
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
치과영역에서 감염의 노출위험성과 영향
 
검사실교육자료 2014
검사실교육자료 2014검사실교육자료 2014
검사실교육자료 2014
 
Urethrostomy 요도창냄술
Urethrostomy 요도창냄술Urethrostomy 요도창냄술
Urethrostomy 요도창냄술
 
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
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
22 김현민 의료폐기물 관리
 
노출 평가 계획
노출 평가 계획노출 평가 계획
노출 평가 계획
 

More from GBKwak

PC mode 2
PC mode 2PC mode 2
PC mode 2
GBKwak
 
PC mode 1
PC mode 1PC mode 1
PC mode 1
GBKwak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GBKwak
 
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
GBKwak
 
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
GBKwak
 
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
GBKwak
 
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
GBKwak
 
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
GBKwak
 
Electrolytes
ElectrolytesElectrolytes
Electrolytes
GBKwak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GBKwak
 
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
GBKwa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GBKwak
 
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
GBKwak
 
20200624 aki
20200624 aki20200624 aki
20200624 aki
GBKwak
 
[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
GBKwak
 
ER survival
ER survivalER survival
ER survival
GBKwak
 
S5 04
S5 04S5 04
S5 04
GBKwak
 
Intern 2
Intern 2Intern 2
Intern 2
GBKwak
 
Intern 1
Intern 1Intern 1
Intern 1
GBKwak
 
Fellow 2
Fellow 2Fellow 2
Fellow 2
GBKwak
 

More from GBKwak (20)

PC mode 2
PC mode 2PC mode 2
PC mode 2
 
PC mode 1
PC mode 1PC mode 1
PC mode 1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Review 1 nutrition_case
Review 1 nutrition_case
 
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1
 
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2
 
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Mechanical ventilation 3
Mechanical ventilation 3
 
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Mv trouble shooting
Mv trouble shooting
 
Electrolytes
ElectrolytesElectrolytes
Electrolytes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202 cardiogen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118 sepsis and septic shock
 
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20201021 pcas care
20201021 pcas care
 
20200624 aki
20200624 aki20200624 aki
20200624 aki
 
[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03] 20200708 acid base
[03] 20200708 acid base
 
ER survival
ER survivalER survival
ER survival
 
S5 04
S5 04S5 04
S5 04
 
Intern 2
Intern 2Intern 2
Intern 2
 
Intern 1
Intern 1Intern 1
Intern 1
 
Fellow 2
Fellow 2Fellow 2
Fellow 2
 

Tft clabsi prevention

  • 1. 포괄적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법 ( Central line Bundle)
  • 2. 목차  중심정맥관 관리의 필요성  진단기준  혈관 내 카테터의 종류  감염경로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을 낮추기 위한 권장사항  포괄적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법(Bundle)이란  중심정맥관 관리  중심정맥관 삽입 시 관리  중심정맥관 삽입 중 관리  중심정맥관 드레싱 관리  혈액배양검사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의심될 경우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시 진행과정
  • 3. 중심정맥관 관리의 필요성  혈류감염은 의료관련감염 사망률과 사망자수에 주요 원인  Mortality : 3-25% (Up to 35% attributable mortality)  빈도  5.0 / 1000 catheter-day (2002-2004, NNIS)  3.12 / 1000 catheter-day (2006-2008, KONIS)  재원기간을 24일까지 더 연장시킴(평균 7일)  중심정맥관은 혈류감염의 주요한 위험요인임 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률은 카테터 종류에 따라 다름
  • 4. 진단기준  검사로 확인된 혈류감염(BSI-LCBI)  다음의 진단 기준 1,2 중 적어도 한가지 만족  진단기준 1  환자에게 병원성으로 인정되는 균주가 혈액배양에서 한번 이상 분리 되었으나 다른 부위의 감염과는 관련이 없음  진단기준 2  열(>38℃), 오한, 저혈압 중 한 가지 이상이 있고 다른 부위의 감염과 는 관련이 없음  그리고(and) 흔한 피부 오염균(Corynebacterium sp., Bacillus sp., Propionibacterium sp.,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micrococci)이지만 동일한 균주가 두 군데 이상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채혈한 혈액 배양에서 분리 BSI-LCBI: Bloodstream Infection-Laboratory Confirmed Bloodstream Infection
  • 5. 혈관 내 카테터의 종류 종류 삽입부위 길이 비고 말초형 카테터 말초정맥카테터 손, 상박 < 3 inches 장기간 사용시 정맥염 혈류 감염은 드묾 말초동맥카테터 요골, 대퇴, 상완 동맥 < 3 inches 감염률 낮음 중심형 카테터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PICC) 상완 척측, 요측 피정맥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에 위치) ≥20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비터널형에 비해 감염률 낮음 비터널형 중심정맥관 피부를 통하여 삽입. 빗장밑, 넙다리, 목정맥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에 위치) ≥8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대부분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의 원인 터널형 중심정맥관 피하에 터널 있음. 빗장밑, 목정맥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에 위치) ≥8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피하터널의 커프가 카테터 트랙을 따라 균이 들어오는 것을 막음 이식형포트 피하에 터널이 있고 포트 삽입 ≥8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CRBSI 위험 낮음 카테터관리 불필요 제대카테터 제대정맥, 동맥 ≤6 cm depending On patient size 제대정맥과 동맥의 CRBSI는 비슷CRBSI: Central line related Bloodstream
  • 6. 중심정맥카테터의 종류(예시) Nontunneled central venous catheter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venous catheter (PICC) Tunneled central venous catheter (Hickman, Broviac, Groshong, Quinton etc.) 비터널형 중심정맥관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터널형 중심정맥관 가장 많이 사용하는 CVC : CLBSI의 약 90% 차지 CLBSI: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 7. 감염 경로 Canada Communicable Disease Report – Supplement Volume: 23S8, December 1997 1. Pathogen migration along external surface - more common early(< 7days) 2. Hub contamination with intraluminal colonization -more common >10 days 1. Hematogenous seeding from another source 2. Contaminated infusate More Common Mechanisms Less Common Mechanisms
  • 8.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을 낮추기 위한 권장사항 항목 더 좋은 것 삽입 상황 계획된 삽입 > 응급 시술자 기술 전문가 > 경험이 적은 사람 삽입 부위 빗장밑 정맥 > 넙다리 정맥 피부 소독제 0.5% chlorhexidine with alcohol > 70% alcohol, 10% povidone iodine 도관 내강 수 한 개 > 여러 개 도관 사용 기간 짧다 > 길다 보호장구 최대한 사용 > 부분 사용
  • 9. 포괄적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예방법 (Central line Bundle)이란?  1. 손위생(Hand Hygiene)  2. 삽입시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at insertion)  3. 클로르헥시딘 피부 소독(Chlorhexidine Skin Antisepsis)  4. 적절한 부위/ 종류의 중심정맥관 선택 (Optimal Site/Line Selection)  5.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Daily review of the line necessity, with prompt removal o f unnecessary lines) Bundle = 묶음
  • 10. 1. 손위생 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이 함유 된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 생을 수행  혈관 카테터의 삽입, 교환, 교 정, 드레싱 전후, 카테터 삽입 부위 촉진 전후
  • 11. 2. 삽입시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  마스크, 모자, 멸균가운, 멸균장갑 착용(inserter/s)  멸균 대공포 사용(head to toe)  무균 영역 유지
  • 12.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 모자 마스크 멸균가운 멸균장갑 머리카락을 모두 감쌈 코와 입은 완전히 덮어져야 함
  • 13. 부분 사용(X)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 대공포 사용(O) 올바른 보호장구의 사용 예
  • 14. 3. 클로르헥시딘 피부 소독  멸균 대공포 적용 전  2% 클로르헥시딘과 알코올이 함유된 소독제로 피부 소독 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tincture of iodine, iodophor 또는 70% 알코올로 대체  삽입 부위를 최소 30초 이상 앞뒤로 마찰하며 문지름  삽입 부위의 소독제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기다림 (~ 2 minutes)  닦거나 입으로 불지 않음  제외: 신생아 <2개월
  • 15. 4. 적절한 부위/ 종류의 중심정맥관 선택  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최소한의 주입구(또는 내강)를 선택  빗장밑 정맥(subclavian vein): 감염 위험성 낮음  목 정맥(jugular vein)  넙다리 정맥(femoral vein): 감염 위험성 최대  피할 수 없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48시간 이내에 가능한 제거 넙다리정맥: 꼭 필요시 에만 경정맥: Second choice빗장밑 정맥: First Choice
  • 16. 5.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 매일 중심정맥관의 필요성 검토: 필요하지 않을 경우 즉시 제거  많은 경우 중심정맥관 제거에 대해 고려하지 않아 환자가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 불필요한 중심정맥관의 유지로 감염률이 증가함
  • 17.  매일, 다음 문항을 질문함  환자에게 여전히 중심정맥관이 필요한가?  ‘예’인 경우, 카테터 사용으로 인한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는가? (e.g., triple lumen to peripheral)  ‘아니오’인 경우, 제거 고려  중심정맥관 유지가 필요한 상황 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 여러 개의 IV 항생제 사용  multiple blood / blood products  vesicant drug (dopamine, dilantin, vancomycin) or irritant drugs (cefoxitin, fortaz)  TPN  항암제  혈류역동 감시 (hemodynamic monitoring)  reliable access (IV fluid therapy, frequent blood draws, pain management)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에게는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 18. 당신의 환자는 아직도 중심정맥관이 필요합니까? 위의 적응증에 해당되지 않으면 환자를 위해 중심정맥관을 빨리 제거해주 십시오. 2. CVP 측정이 필요한 환자입니 까? 4. 말초혈관 사용이 불가능 합니까? 1. 중심정맥으로 투여해야 할 TPN 이 있습니까? 중심정맥관 삽입 적응증 3. 반드시 중심정맥으 로 투여해야 하는 약물 이 있습니까?
  • 20. 1. 중심정맥관 삽입 시 관리(복장, 준비물품) 1. 물품준비 2. 손위생 3. 모자, 마스크착 용 4. 멸균가운, 장갑착 용 5. 멸균 대공포 사 용 * 손위생 : 소독비누와 물 또는 알콜젤 ** 피부소독 시 CHG 사용을 우선 권장한다(포비돈을 피부소독제로 사용할 경우 2분 이상 건조 후 삽입). 4. 피부소독
  • 21. , needleless connectors, and injection ports before accessing the catheter 2. 중심정맥관 삽입 중 관리(2-1) 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전신적 인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음 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의 감소 목적으로 중심정맥관을 정기적 으로 교환할 필요 없음  수액세트는 96시간보다 더 자주 교환할 필요는 없으나 적어도 7일마다 교환함  혈액이나 혈액 성분 제제 또는 지질 유제(fat emulsion)를 투 여하기 위해 사용된 수액세트는 주입시작 24시간 이내에 교 환함  Needleless components는 적어도 수액세트를 교환하는 주기 마다 교환함  세트에 있는 주입 포트는 적절한 소독제(chlorhexidine, povidon-iodine, iodophor, 70% alcohol)로 닦아내고 멸균 기 구만을 사용하여 오염 위험을 최소화함.
  • 22. Disinfect catheter hubs, needleless connectors, and injection ports before accessing the catheter 2. 중심정맥관 삽입 중 관리(2-2) -가능한 적은 수의 포트와 내강을 선택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씌운 다 <잘못된 예><올바른 예> needleless connector나 포트에서 약물 주 입이나 샘플 시 소독제(2% CHG/alcohol, 10% betadine, 1회용 멸균 알코올)로 소독 후 시행 직접 hub에서 약물 주입이나 샘플 시 소독제(2% CHG/alcohol, 1회용 멸균 알코올) 로 소독 후 시행
  • 23. 1) 드레싱 교환 주기 → 투명드레싱(Tegaderm) ; 7일 거즈드레싱 ; 2일 2) 카테터 부위 드레싱 교체가 필요한 경우 ① 드레싱이 젖거나 헐거워지거나 오염되었을 때 ② 주사부위 관찰이 필요하여 드레싱을 제거한 경 우 3) 거즈드레싱이 필요한 경우 ① 땀이 많이 나는 경우 ② 출혈이 있는 경우 ③ 삽입부위 삼출물이 있는 경우 4) 국소 항균제 연고나 크림의 삽입부위 사용 금지 5) 드레싱 교환 시에는 손 위생, 멸균장갑 착용 등 무균술을 철저히 준수 <올바른 예> <잘못된 예> <발열, 삼출물, 동통 등 확인> 3. 중심정맥관 드레싱 관리(3-1)
  • 24. 3. 중심정맥관 드레싱 관리 (3-2) 1. 손위생* 4. 삽입부위 관찰 ** 6. 소독액 건조 후 부 착 *손위생 : 소독비누와 물 또는 알콜젤 ** 발열, 삼출물, 동통 등 확인 ***카테터 삽입부위 소독 시 CHG 사용을 우선 권장(포비돈을 피부소독제로 사용할 경우 2분 이상 건조 후 부착) 2. 기존드레싱 제 거 5. 삽입부위 소독 *** 3. 손위생/ 멸균장갑 착용
  • 25. 4. 혈액배양검사(4-1) 방법 채혈부위 각기 다른 부위 용량 최소 혈액 10 mL 이상 (소아 1-5 10 mL) 채취 후, 5 mL/병 주입 시간간격 최소 30분-1시간 혹은 동시에 피부소독제 Alcohol + Iodine 혹은 Alcohol + Chlorhexidine gluconate* 혈액 배양병 소독제 Alcohol * Chlorhexidine gluconate 사용금기사항: 2개월 미만의 영아, 요추천자, 수막 접촉 부위 및 개방된 피부 소독 시 혈액채취자가 지켜야 할 사항 • 혈액배양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손위생 후 멸균장갑 착용 • 알코올 솜으로 피부를 먼저 닦음 (정맥천자할 피부에 묻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임) • Povidine-iodine이 마를때까지 2분정도 기다림(소독제 살균효과 필요시간) Povidine-iodine -> - Alcohol 순으로 닦으면 Povidine-iodine의 소독효과가 없어짐
  • 26. 4.혈액배양검사(4-2) 물품준비 멸균 포장된 일회용 알콜솜으로 고무뚜껑 소독가능 NICU에서는 채혈부위 소독 시 0.5%CHG+알코올
  • 27. 5.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의심될 경우  카테터를 유지하는 경우 말초혈관과 중심정맥관을 통해 채혈하여 혈액배양을 의뢰한다.  카테터를 제거하는 경우 카테터가 삽입된 부위의 피부표면을 소독제로 잘 닦은 후 중심정맥관을 제거 하여 카테터의 끝 부위 5cm를 멸균된 가위로 잘라 멸균 튜브에 담아 배양검 사를 의뢰한다. 카테터를 제거한 후에는 멸균드레싱을 한다.  필요 없는 경우에는 빨리 제거한다.  단지 감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중심정맥관을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는다.  삽입부위에 농이 나오면 단기간 사용하는 중심정맥카테터는 어떤 종류이든 바로 제거한다.  카테터 감염으로 카테터를 교체하는 경우, 반드시 다른 부위에 삽입하며 동일한 부위에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삽입하지 않는다.  무균술을 철저히 지켰다고 확신할 수 없을 경우(예, 응급 상황에서 카테터를 삽입한 경우)에는 가 능한 빨리 (48시간 이내) 교체한다. Replacement of CVC
  • 28. 6.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시 진행과정(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 Suspected CRI 카테터 제거 카테터를 제거하는 경우 카테터 끝 배양 Catheter-tip culture (Quantitative or semi-quatitative) 말초혈액 배양 Peripheral blood culture 카테터를 유지하는 경우 2쌍의 혈액배양 (카테터와 말초혈관으로부터 채취) 2 paired blood culture (from cath. and peripheral) (DTP) 예 아니오
  • 29. 6.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의심시 진행과정(2) Patient with suspected systemic CRI Clinical signs of systemic bloodstream infection (+/- localised infection and no other obvious source of sepsis) ▶ Fever (≥38.5℃) ▶ Chills ▶ Rigors/ Hypotension on flushing CVC Clinical decision to remove CVC Quantitative culture of CVC (sonication / vortexing) : ≥10³ CFU recovered is indicative of systemic CRI Blood cultures taken to facilitate diagnosis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not available ▶ 2 sets of paired blood cultures (CVC and peripheral) for quantitative analysis (≥5:1). Otherwise undertake qualitative analysis ▶ 20 to 30ml volume per set Automated blood culture system available ▶ 2 sets of paired blood cultures (CVC and peripheral) for DTP (≥120 minues). ▶ 20 to 30ml volume per set

Editor's Notes

  1. Pittet et al. JAMA 1994; 271 1598-1601. Klevens et al. Public Health Reports 2007;122:160-6.
  2. Million Lives CampaignGettingStartedKit—How-toGuide:Pr​eventCentralLine-AssociatedBloodstreamIn​fectionCambridge, MA: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2006) 26: Available: http://www.ihi.org/IHI/Programs/Campaign​/CentralLineInfection.htm. Accessed 2009 May.
  3. Cross-transmission, the transfer of micro organisms between humans, which occurs directly via an environmental source, occurs at all time in hospitals. It is the antecedent factor to cross infection that can result in negative clinical outcomes. Overviews of epidemiological evidence conclude that hand cross contamination i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in the current infection episodes in hospital in – patients (Pratt et al. 2001) Therefore all health care workers must be aware of their responsibility in prevention of infection. An effective hand washing technique is essential and is demonstrated below
  4. One way to decrease the likelihood of central line infections is to apply maximal barrier precautions in preparation for line insertion. This is an integral part of the IHI Central Line Bundle and has been correlated with reduction in the rate of central line infection.
  5. For the operator placing the central line and for those assisting in the procedure, maximal barrier precautions means strict compliance with handwashing, wearing a cap, mask, sterile gown and gloves. The cap should cover all hair and the mask should cover the nose and mouth tightly. These precautions are the same as for any other surgical procedure that carries a risk of infection. For the patient, maximal barrier precautions means covering the patient from head to toe with a sterile drape with a small opening for the site of insertion. http://www.ihi.org/knowledge/Pages/Changes/MaximalBarrierPrecautionsUponInsertion.aspx
  6. The cause of most catheter-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s are those micro organisms that colonise catheter hubs and the skin surrounding the catheter insertion site. (Mermal, 2000). Skin antisepsi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sures for preventing catheter-related infection and appropriate preparation of the insertion site will reduce this risk. Maki et al. (1991) conducted a trial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2% chlorhexidine compared to either 10% povidone iodine or 70% alcohol. They found that 2% chlorhexidine was superior and an additional study by Mimoz et al (1996) has since confirmed the superior efficacy of chlorhexidine 2%.
  7. Location of catheter Complications of femoral and subclavian venous catheteriz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1;286:700
  8. Daily review of central line necessity will prevent unnecessary delays in removing lines that are no longer clearly necessary in the care of the patient. Many times, central lines remain in place simply because of their reliable access and because personnel have not considered removing the lin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risk of infection increases over time as the line remains in place and that the risk of infection is decreased if rem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