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왜 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설문지의 서술형 답변에 대한
‘해석학적 분류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조규복
제9회 동아시아교사교육국제심포지움
2014년 11월 4일
www.facebook.com/chokyubok
배 경
 초중등학생의 높은 스마트기기 보급률
- 2013년 초 49%, 중 85%, 고 84%(교육부 2013)
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비율 증가
2
한국인터넷진흥원(2012)(2013)
구분
하루 1회이상 인터넷이용 비율 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2012년 2013년 2012년 2013년
초등학생 84.6 80.7 11.6 8.8
중학생 99.0 96.4 14.2 13.7
고등학생 99.0 97.3 13.9 14.4
3
조사 배경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소지허용 소지불허 수합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학생 휴대폰 소지 관련 학칙 현황(단위 학교비율)(2013.10 기준)
박인숙 국회의원 제공자료(2013) 참고
(%)
배 경
4
 선행조사
- 초중등학생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조사
- 대상 : 일반학교 58개 학급(초6, 중2, 고1) 1,108명
디지털교과서 2년차 연구학교 56개 학급(초6, 중2)
986명
- 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 기간 : 2013년 11월 12일 ∼ 11월 20일
2013년 12월 2일 ∼ 12월 20일
조사 2
조사 방법
배 경
조사 1 결과
수업 중 하루평균 스마트기기 활용시간(연구학교)(단위 학생비율)
조사 방법
5
(%)
0
10
20
30
40
50
60
70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교실수업 교실밖수업
0
10
20
30
40
50
60
70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교실수업 교실밖수업
전혀안함 30분이내 30분-1시간 이내 1-2시간 이내 2시간 이상
스마트
패드
노트북
배 경
조사 1 결과
수업 중 학습외 목적으로의 활용 학생비율(주중 횟수)(연구학교)
조사 방법
6
(%)
문자,
뉴스보기,
TV시청
게임
0
10
20
30
40
50
60
70
전혀안함 1-5번 6-10번 11-15번 16번이상
0
20
40
60
80
전혀안함 1-5번 6-10번 11-15번 16번이상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합계
배 경
조사 1 결과
수업 중 스마트미디어 활용 협력학습 학생비율(주중 횟수)(연구학교)
조사 방법
7
(%)
0
10
20
30
40
50
60
70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오프라인 디지털 협업 온라인 디지털 협업
전혀안함 1-5번 6-10번 11-15번 16번이상
배 경
조사 1 결과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과 대인관계에 대한 검토(연구학교)
조사 방법
8
<선택형 문항 분석>
‘연구학교 학생들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학습 후 친구들과의 관계와 학급분
위기 변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조금 호전되었다’고 답한 학생비율이 가장 많
았지만 선생님과의 관계는 별로 호전되지 않았다라고 답한 학생비율이 가
장 많았다.
그리고 집단간 인식차를 검증한 결과, 중학생보다 초등학생, 여학생보다
남학생, 그리고 온라인친구가 없는 학생보다 있는 학생, 온라인친구가 오프
라인친구보다 많은 학생보다 적은 학생이 스마트기기 활용 후 친구 및 선생
님과의 관계 그리고 학급분위기가 더 개선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배 경
조사 1 결과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과 대인관계에 대한 검토(연구학교)
조사 방법
9
<서술형 문항 검토>
- ‘함께’와 ‘소통’이라는 키워드 언급
- 많이 좋아졌거나 전혀 좋아지지 않았다고 답변한 학생들의 서술
형 이유 일부 발췌
☞ 학교내 스마트기기 사용이 왜 대인관
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에 대한 구체
적인 분석 부족
문 제
10
 추가분석
- 목적 :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분석
- 대상 : DT연구학교 2년차 21개 학급(초6) 445명
- 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재분석(서술형답안)
*대인관계중심(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급분위기)
- 기간 : 2014년 9월 ∼ 10월
조사 2
조사 방법
방 법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방 법
11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조금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친구들과 더 친하게 되었다.
그 이유( )
① ② ③ ④
(나)선생님과 더 친하게 되었다.
그 이유( )
① ② ③ ④
(다)학급분위기가 더 좋아졌다.
그 이유( )
① ② ③ ④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이후 친구/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급분위기 변화
12
조사 2
조사 결과 3
결 과 1
부모님과의 대화와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과의 상관관계
교실내 대인관계
교실분위기
학습목적 활용시간
스마트기기활용 효과에
대한 인식
부모님과의 대화
조사 1 결과
부모님 대화 및 학교밖(가정)/수업에서의 스마트기기 이용과 학교내
대인관계와의 상관관계 (Spearman) n=445
조사 방법
결 과 1
13
친구관계
선생님과
의 관계
학급
분위기
주제별
부모님과의
대화정도
학교생활. .114* .168*** .158***
친구관계 .176*** .184*** .168***
취미관계 .206*** .197*** .210***
학교밖에서의
스마트기기
이용시간
공부목적 .173*** .099*
공부이외의 목적
수업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17가지 유형
3가지 항목 모두에서
대부분 상관관계를 보임
조사 1 결과
스마트기기 활용효과에 대한 인식과 부모님과의 대화와의 상관관계
조사 방법
결 과 1
14
주제별 부모님과의 대화정도
학교생활 친구관계 취미생활
유형별
스마트기기
활용
효과인식
정도
원하는 자료찾기 .150** .190*** .112*
친구들과 토론 의견교환
(모둠학습제외)
.116*
.132** .135**
모둠학습(3-6명함께 학습) .139**
.190*** .169***
친구들과 학습자료 주고받기 .114*
.190*** .194***
과제나 문제해결
.109*
.162*** .135**
문제풀기 .093 .130*** .147**
선생님께 질문하기
.131**
.128** .161***
선생님과 자료 주고받기 .149**
.182*** .181***
발표하기 .145**
.176*** .174***
조사 1 결과
대인관계 변화 이유에 대한 서술형 답변 분석방법
- 반복해서 읽기
- 답변 축약하기
- 유사하거나 대비 및 관련되는 답변 묶어내기
- 키워드와 카테고리 생성
- 키워드에 답변 분류 및 키워드 보완
- 카테고리에 답변 분류 및 키워드와 카테고리 보완
-‘호전’과 ‘비호전’으로 구분
- 5가지 카테고리(협력, 대화, ICT, 반복, 기타) 선정
- 5가지 카테고리 하위 키워드 선정
- 답변내용 재정리
- 수량화
조사 방법
결 과 2
15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6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7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카테고리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합계
1.협력 81 75 48 1 0 0 205
2.대화 83 49 35 24 51 26 268
3.ICT 29 24 81 48 38 36 256
4.반복 35 36 50 30 46 36 233
5.기타 52 46 56 62 80 77 373
합 계 280 230 270 165 215 175 1335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8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카테고리 키워드 키워드
1.협력
공유 회피
양방
단방
작업
작업편함
활동
2.대화
대화가능 관계 멀어짐
많은대화 끼리끼리
오프대화 대화감소
못 하는 말 가능 산만
안 친한친구와 대화가능 소통않기
SNS
오프조용
대화편함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9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카테고리 키워드 키워드
3.ICT
게임 과다게임
기기중심 사용부족
재미 ICT거부
재미없음
중독
트러블
4.반복 반복 반복
5.기타
관계없음 관계없음
모름 모름
무응답 무응답
의미불명 의미불명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2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분위기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분위기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협력
대화
ICT
반복
기타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공유 13 8 5 회피 1
양방 21 8 13
단방 6 36 2
작업 9 7 3
작업편함 2 2 2
활동 30 14 23
1. 협력 카테고리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키워드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대화가능 25 25 7 관계
멀어짐
1 3 3
많은 대화 19 7 8 끼리
끼리
3 4 23
오프 대화 6 2 4 대화
감소
9 18
못 하는 말 가능 4 2 산만 11 22
안 친한 친구와
대화가능
5 1 소통
않기
4
SNS 20 9 4
오프 조용 1 5
대화 편함 4 2 7
2. 대화 카테고리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게임 4 3 6 과다게임 6
기기중심 13 11 25 사용부족 9 6 4
재미 12 10 50 ICT거부 33 26 17
재미없음 4 3 3
중독 2 1 2
트러블 2 3
3. ICT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반복 35 36 50 30 46 36
기타 관계
없음
2 1 3 26 31 17
모름 12 22 23 6 19 31
무응
답
22 3 7 21 6 2
의미
불명
16 20 23 9 24 27
4-5. 반복, 기타 카테고리
1. 협력과 대화
◉스마트기기로 협력을 한다면
학교에서의 친구와 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급분위기가 향상될 가능성이 크다.
◉스마트기기를 매개로 서로 ‘양방’향으로 돕는 것은
친구관계 호전에 효과가 클 수 있다.
그러나 선생님과의 관계는 학생이 물어보거나 선생님이 알려주는 것과 같은 단방향
대화를 통한 학습으로도 선생님과의 관계가 호전되었고 될 수 있다.
◉온라인으로 대화를 하는 것 자체만으로 그리고 함께 활동을 하는 것은 특히 친구와
선생님 그리고 학급분위기 쇄신에 효과적이다.
Ex)수업중 디지털교과서 활용으로 학생-학생간 및 학생-교사간 상호작용
감소(류지헌 외 2008)
고 찰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2. 산만함과 끼리끼리, 게임, ICT거부
◉스마트기기로 산만해지거나 오히려 대화가 줄어들고
끼리끼리 어울린다면 안 좋은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학교에서의 적당한 게임은 친구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다하게 되면 학급분위기가 안 좋아 질 수 있다.
◉ICT활용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서
친구와 선생님 및 학급분위기가 향상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찰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왜 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조규복

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
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
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
Hakhyun Kim
 
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
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
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
은영 김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dstop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Jihoon Yang
 
(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
(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
(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PHKIM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Kyubok Cho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현재 정
 
Myt
MytMyt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Hyunjin Ahn
 
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
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
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
은영 김
 
0618 dmc final
0618 dmc final0618 dmc final
0618 dmc final
Haewa_dzz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engedukamall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heyoungkim
 
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
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
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
jiyein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주)위브스튜디오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나영 한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태헌 김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Kyubok Cho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Kyubok Cho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현진 김
 

Similar to 왜 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조규복 (20)

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
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
좌충우돌 조지아텍 석사(Mooc) 준비 이야기
 
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
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
2013년 학생인권생활실태조사 보고서(131001)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4-1_이론과목_테크놀로지기반 평생교육_과제샘플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생활지도 및 상담 - 제3장 학업 (요약본)
 
(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
(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
(발제) Evaluating the Distraction of ICT Devices in the Classroom : CITRENZ 201...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Myt
MytMyt
Myt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Indrani Medhi+Impact of Limited Education on Hierarchical User Interface Nav...
 
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
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
2014년 학생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최종본(20141028)
 
0618 dmc final
0618 dmc final0618 dmc final
0618 dmc final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
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
디미컨 어린이컴퓨터교육 9주차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Kisdi stat report(13 12)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분석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스마트교육학회발표자료(조규복)20150808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
 

More from Kyubok Cho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Kyubok Cho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Kyubok Cho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Kyubok Cho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Kyubok Cho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Kyubok Cho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Kyubok Cho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Kyubok Cho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Kyubok Cho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Kyubok Cho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Kyubok Cho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Kyubok Cho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Kyubok Cho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Kyubok Cho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Kyubok Cho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Kyubok Cho
 
2017osaka(chokyubok)
2017osaka(chokyubok)2017osaka(chokyubok)
2017osaka(chokyubok)
Kyubok Cho
 
2017 nee tokyo(chokyubok)0603
2017 nee tokyo(chokyubok)06032017 nee tokyo(chokyubok)0603
2017 nee tokyo(chokyubok)0603
Kyubok Cho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Kyubok Cho
 
2016kyoto(0821)open
2016kyoto(0821)open2016kyoto(0821)open
2016kyoto(0821)open
Kyubok Cho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Kyubok Cho
 

More from Kyubok Cho (20)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폭력예방 메타버스(사이버스) 수업 사례와 시사점 1. 메타버스 교육 2. 메타버스 수업 3. 사이버스 4. 사이버스 수업 ...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23년 한국일본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조규복(2023)일본의 학교폭력예방 예방 및 대응체계와 프로그램.pdf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일본의 교원 업무 적정화 추진 정책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2021)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문부과학성(2021)미래 학교를 위한 학교 시설 정비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위한 20가지 개념과 관점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조규복 연구실적(2021년11월)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해외의 시니어 원격교육 현황과 시사점(조규복)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Presentation 20201103(chokyubok)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World class how to build a 21st century school system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SNSを活用した授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と子どもの主体性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授業でのICT活用に関する政策支援とその意義
 
2017osaka(chokyubok)
2017osaka(chokyubok)2017osaka(chokyubok)
2017osaka(chokyubok)
 
2017 nee tokyo(chokyubok)0603
2017 nee tokyo(chokyubok)06032017 nee tokyo(chokyubok)0603
2017 nee tokyo(chokyubok)0603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2016kyoto(0821)open
2016kyoto(0821)open2016kyoto(0821)open
2016kyoto(0821)open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An analysis of teachers’ comments about digital textbook
 

왜 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조규복

  • 1. 왜 학교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설문지의 서술형 답변에 대한 ‘해석학적 분류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조규복 제9회 동아시아교사교육국제심포지움 2014년 11월 4일 www.facebook.com/chokyubok
  • 2. 배 경  초중등학생의 높은 스마트기기 보급률 - 2013년 초 49%, 중 85%, 고 84%(교육부 2013) 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비율 증가 2 한국인터넷진흥원(2012)(2013) 구분 하루 1회이상 인터넷이용 비율 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2012년 2013년 2012년 2013년 초등학생 84.6 80.7 11.6 8.8 중학생 99.0 96.4 14.2 13.7 고등학생 99.0 97.3 13.9 14.4
  • 3. 3 조사 배경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소지허용 소지불허 수합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학생 휴대폰 소지 관련 학칙 현황(단위 학교비율)(2013.10 기준) 박인숙 국회의원 제공자료(2013) 참고 (%) 배 경
  • 4. 4  선행조사 - 초중등학생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조사 - 대상 : 일반학교 58개 학급(초6, 중2, 고1) 1,108명 디지털교과서 2년차 연구학교 56개 학급(초6, 중2) 986명 - 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 기간 : 2013년 11월 12일 ∼ 11월 20일 2013년 12월 2일 ∼ 12월 20일 조사 2 조사 방법 배 경
  • 5. 조사 1 결과 수업 중 하루평균 스마트기기 활용시간(연구학교)(단위 학생비율) 조사 방법 5 (%) 0 10 20 30 40 50 60 70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교실수업 교실밖수업 0 10 20 30 40 50 60 70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교실수업 교실밖수업 전혀안함 30분이내 30분-1시간 이내 1-2시간 이내 2시간 이상 스마트 패드 노트북 배 경
  • 6. 조사 1 결과 수업 중 학습외 목적으로의 활용 학생비율(주중 횟수)(연구학교) 조사 방법 6 (%) 문자, 뉴스보기, TV시청 게임 0 10 20 30 40 50 60 70 전혀안함 1-5번 6-10번 11-15번 16번이상 0 20 40 60 80 전혀안함 1-5번 6-10번 11-15번 16번이상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합계 배 경
  • 7. 조사 1 결과 수업 중 스마트미디어 활용 협력학습 학생비율(주중 횟수)(연구학교) 조사 방법 7 (%) 0 10 20 30 40 50 60 70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초등학교 중학교 합계 오프라인 디지털 협업 온라인 디지털 협업 전혀안함 1-5번 6-10번 11-15번 16번이상 배 경
  • 8. 조사 1 결과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과 대인관계에 대한 검토(연구학교) 조사 방법 8 <선택형 문항 분석> ‘연구학교 학생들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학습 후 친구들과의 관계와 학급분 위기 변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조금 호전되었다’고 답한 학생비율이 가장 많 았지만 선생님과의 관계는 별로 호전되지 않았다라고 답한 학생비율이 가 장 많았다. 그리고 집단간 인식차를 검증한 결과, 중학생보다 초등학생, 여학생보다 남학생, 그리고 온라인친구가 없는 학생보다 있는 학생, 온라인친구가 오프 라인친구보다 많은 학생보다 적은 학생이 스마트기기 활용 후 친구 및 선생 님과의 관계 그리고 학급분위기가 더 개선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배 경
  • 9. 조사 1 결과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과 대인관계에 대한 검토(연구학교) 조사 방법 9 <서술형 문항 검토> - ‘함께’와 ‘소통’이라는 키워드 언급 - 많이 좋아졌거나 전혀 좋아지지 않았다고 답변한 학생들의 서술 형 이유 일부 발췌 ☞ 학교내 스마트기기 사용이 왜 대인관 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에 대한 구체 적인 분석 부족 문 제
  • 10. 10  추가분석 - 목적 :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분석 - 대상 : DT연구학교 2년차 21개 학급(초6) 445명 - 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재분석(서술형답안) *대인관계중심(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급분위기) - 기간 : 2014년 9월 ∼ 10월 조사 2 조사 방법 방 법
  • 11.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방 법 11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조금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가)친구들과 더 친하게 되었다. 그 이유( ) ① ② ③ ④ (나)선생님과 더 친하게 되었다. 그 이유( ) ① ② ③ ④ (다)학급분위기가 더 좋아졌다. 그 이유( ) ① ② ③ ④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이후 친구/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급분위기 변화
  • 12. 12 조사 2 조사 결과 3 결 과 1 부모님과의 대화와 학교내 스마트기기 활용과의 상관관계 교실내 대인관계 교실분위기 학습목적 활용시간 스마트기기활용 효과에 대한 인식 부모님과의 대화
  • 13. 조사 1 결과 부모님 대화 및 학교밖(가정)/수업에서의 스마트기기 이용과 학교내 대인관계와의 상관관계 (Spearman) n=445 조사 방법 결 과 1 13 친구관계 선생님과 의 관계 학급 분위기 주제별 부모님과의 대화정도 학교생활. .114* .168*** .158*** 친구관계 .176*** .184*** .168*** 취미관계 .206*** .197*** .210*** 학교밖에서의 스마트기기 이용시간 공부목적 .173*** .099* 공부이외의 목적 수업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17가지 유형 3가지 항목 모두에서 대부분 상관관계를 보임
  • 14. 조사 1 결과 스마트기기 활용효과에 대한 인식과 부모님과의 대화와의 상관관계 조사 방법 결 과 1 14 주제별 부모님과의 대화정도 학교생활 친구관계 취미생활 유형별 스마트기기 활용 효과인식 정도 원하는 자료찾기 .150** .190*** .112* 친구들과 토론 의견교환 (모둠학습제외) .116* .132** .135** 모둠학습(3-6명함께 학습) .139** .190*** .169*** 친구들과 학습자료 주고받기 .114* .190*** .194*** 과제나 문제해결 .109* .162*** .135** 문제풀기 .093 .130*** .147** 선생님께 질문하기 .131** .128** .161*** 선생님과 자료 주고받기 .149** .182*** .181*** 발표하기 .145** .176*** .174***
  • 15. 조사 1 결과 대인관계 변화 이유에 대한 서술형 답변 분석방법 - 반복해서 읽기 - 답변 축약하기 - 유사하거나 대비 및 관련되는 답변 묶어내기 - 키워드와 카테고리 생성 - 키워드에 답변 분류 및 키워드 보완 - 카테고리에 답변 분류 및 키워드와 카테고리 보완 -‘호전’과 ‘비호전’으로 구분 - 5가지 카테고리(협력, 대화, ICT, 반복, 기타) 선정 - 5가지 카테고리 하위 키워드 선정 - 답변내용 재정리 - 수량화 조사 방법 결 과 2 15
  • 16.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6
  • 17.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7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카테고리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합계 1.협력 81 75 48 1 0 0 205 2.대화 83 49 35 24 51 26 268 3.ICT 29 24 81 48 38 36 256 4.반복 35 36 50 30 46 36 233 5.기타 52 46 56 62 80 77 373 합 계 280 230 270 165 215 175 1335
  • 18.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8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카테고리 키워드 키워드 1.협력 공유 회피 양방 단방 작업 작업편함 활동 2.대화 대화가능 관계 멀어짐 많은대화 끼리끼리 오프대화 대화감소 못 하는 말 가능 산만 안 친한친구와 대화가능 소통않기 SNS 오프조용 대화편함
  • 19.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19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카테고리 키워드 키워드 3.ICT 게임 과다게임 기기중심 사용부족 재미 ICT거부 재미없음 중독 트러블 4.반복 반복 반복 5.기타 관계없음 관계없음 모름 모름 무응답 무응답 의미불명 의미불명
  • 20.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2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분위기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분위기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협력 대화 ICT 반복 기타
  • 21.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공유 13 8 5 회피 1 양방 21 8 13 단방 6 36 2 작업 9 7 3 작업편함 2 2 2 활동 30 14 23 1. 협력 카테고리
  • 22.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키워드 친구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대화가능 25 25 7 관계 멀어짐 1 3 3 많은 대화 19 7 8 끼리 끼리 3 4 23 오프 대화 6 2 4 대화 감소 9 18 못 하는 말 가능 4 2 산만 11 22 안 친한 친구와 대화가능 5 1 소통 않기 4 SNS 20 9 4 오프 조용 1 5 대화 편함 4 2 7 2. 대화 카테고리
  • 23.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게임 4 3 6 과다게임 6 기기중심 13 11 25 사용부족 9 6 4 재미 12 10 50 ICT거부 33 26 17 재미없음 4 3 3 중독 2 1 2 트러블 2 3 3. ICT
  • 24.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결 과 2 관계 및 분위기 호전 관계 및 분위기 비호전 키워드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친구 관계 선생님 관계 학급 분위기 반복 35 36 50 30 46 36 기타 관계 없음 2 1 3 26 31 17 모름 12 22 23 6 19 31 무응 답 22 3 7 21 6 2 의미 불명 16 20 23 9 24 27 4-5. 반복, 기타 카테고리
  • 25. 1. 협력과 대화 ◉스마트기기로 협력을 한다면 학교에서의 친구와 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급분위기가 향상될 가능성이 크다. ◉스마트기기를 매개로 서로 ‘양방’향으로 돕는 것은 친구관계 호전에 효과가 클 수 있다. 그러나 선생님과의 관계는 학생이 물어보거나 선생님이 알려주는 것과 같은 단방향 대화를 통한 학습으로도 선생님과의 관계가 호전되었고 될 수 있다. ◉온라인으로 대화를 하는 것 자체만으로 그리고 함께 활동을 하는 것은 특히 친구와 선생님 그리고 학급분위기 쇄신에 효과적이다. Ex)수업중 디지털교과서 활용으로 학생-학생간 및 학생-교사간 상호작용 감소(류지헌 외 2008) 고 찰
  • 26. 조사 1 결과 조사 방법 2. 산만함과 끼리끼리, 게임, ICT거부 ◉스마트기기로 산만해지거나 오히려 대화가 줄어들고 끼리끼리 어울린다면 안 좋은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학교에서의 적당한 게임은 친구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다하게 되면 학급분위기가 안 좋아 질 수 있다. ◉ICT활용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서 친구와 선생님 및 학급분위기가 향상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