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5년 04월 29일 수요일
투자포커스
[5월 주식시장 전망]
- 5월 코스피 밴드 : 2,100~2,200
- 5월초까지 코스피 정체 국면. 업종별 순환매 마무리. 금리, 환율 방향전환에 따른 마찰음 때문
- 5월 중순 이후 코스피 상승 탄력 강화. 트리거는 5월 13일 유로존 GDP 발표. 부진했던 이탈리아 성장률의
플러스 진입이 포인트. 유동성과 펀더멘탈의 선순환을 만드는 첫 출발이 될 것
- 5월 업종 선택의 포인트는 금리와 환율에 대한 뷰. 원화강세 압력은 5월에도 지속. 금리는 금통위 이후 반락
- 주도업종 중 금리와 환율 영향이 낮은 업종은 화학, 에너지업종. 금리 상승이 추세적이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
면 5월초 조정시 증권, 건설업종 비중 확대. 자회사 주가상승이 후행적으로 반응하는 지주회사와 저유가, 원
화강세가 긍정적인 운송업종 유망
오승훈. 769.3803 abc@daishin.com
산업 및 종목 분석
현대하이스코: 1Q 리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세전이익은 하회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8,000원 유지
- 1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단, 세전이익은 일회성 자원개발 손상차손으로 예상치 하회
- 2분기에도 해외법인 중심의 안정적 수익성 지속전망, 하반기 미국 강관 반덤핑이 변수
- 4/28 현대제철 종가기준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약 67,850원으로 현대하이스코 종가 66,600원과 반대
매수 청구권 63,552원보다 높아 현 시점에서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유리
이종형. 769.3069 jhlee76@daishin.com
KB금융: 안심전환대출 우려 있지만 건전성 개선과 자본력이 이를 상쇄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2,000원 유지
- 1분기 순익은 6,050억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실적 개선의 배경은 순이자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이익
이 호조세를 보였고, 자산건전성의 대폭적인 개선으로 대손상각비가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
- 안심전환대출 유동화에 따라 2분기 NIM 12~13bp 추가 하락 전망. 다만 NIM 저점은 2분기에 확인될 것
- 큰폭의 자산건전성 개선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자본비율 또한 더욱 견고해져 성장여력과 배당여력 측면
에서 프리미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
최정욱, CFA. 769.3837 cuchoi@daishin.com
롯데케미칼: 에틸렌의 저력을 확인한 실적
-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360,000원으로 상향(9.1%)
- 이익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 상향제시. 3월부터 에틸렌 체인 마진확대로 급격하게 실적이 개선
- 1분기 영업이익 1,780억원으로 컨센서스 36% 상회.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1.6% 시현
- 2분기 영업이익 3,442억원 추정(QoQ +93%). PE/PP, MEG 강세에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5.4% 예상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2
효성: 실적 실적 서프라이즈,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상향(33.3%)
- 스판덱스 호조, 기존 사업의 턴어라운드, 폴리케톤의 3박자.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 1분기 영업이익 2,222억원(QoQ +31%, YoY +103%)으로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달성. 당사 추정치(1464억
원) 및 시장 컨센서스(1,440억원)를 약 53% 상회
- 2015년 영업이익 추정치 8,667억원으로 사상최대 이익 전망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두산인프라코어: 구조조정 마무리, 이제 그 효과를 즐기자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원 유지
- 매출액,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는 실적
- 본사 구조조정 비용 30십억원 반영. 구조조정효과 제거 시, 전년대비 영업이익 소폭 성장
- 2분기부터는 유럽 벨기에 공장 및 본사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 반영되며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성
장하는 모습 보일 것
이지윤, 769.3429 leejiyun0829@daishin.com
삼성SDI: 1Q 실적은 예상치를 하회, 실적 개선 방향에 주목
-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165,000원으로 하향(-2.9%)
- 1Q15년 매출(1조 8,659억원 / -2.3% qoq)과 영업이익(68억원 / -81.7% qoq)은 당사 및 시장 추정치를
하회. 순이익은 예상치를 상회한 646억원(흑자전환 qoq)을 시현
- 케미칼 및 전자재료의 추정 영업이익은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였으나 소형, 중대형전지 매출이 감소하면서
고정비 부담 가중으로 적자규모가 확대, 전사적으로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록
- 1Q15년 기점으로 전사 영업이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다른 IT기업(휴대폰분야) 대비 하반기에 이익 개선
이 높을 전망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LG이노텍: 1Q15년 실적은 카메라모듈이 이익을 견인
-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35,000원 유지
- 1Q15년 매출(1조 5,413억원)과 영업이익(690억원)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 다만 전년동기대
비 각각 5.7%, 9.4%씩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판단
- 해외 전략 거래선의 스마트폰 판매호조로 카메라모듈 매출(7,119억원)이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매출비중
은 5%p 확대된 45%를 기록
- 2Q15년 매출은 1조 5,426억원, 영업이익은 781억원 전망. LG전자향 카메라모듈(전면, 후면) 공급 시작,
LED의 믹스 개선 효과로 적자 축소 예상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삼성테크윈: 2Q 이후 및 사업 방향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높음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Marketperform)’및 목표주가 26,000원 유지
- 1Q15년 실적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상회. 매출은 6,0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3% 감소하였으나 영
업이익(103억원)은 전년동기(33억원)대비 증가, 전분기대비 흑자전환 시현
- 감시형카메라(SS) 매출이 1,758억원으로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이익률 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
- 그러나 현시점에서 실적 개선보다는 진행되는 매각 일정 및 향후 사업 방향의 지속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판단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3
LG+: ARPU의 일시적 정체
-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3,500원 유지
- 1Q15 매출액 2.6조원(-8.1% yoy, -4.8% qoq), 영업이익 1,547억원(+36.8% yoy, -18.8% qoq) 으로 전
반적 시장 기대수준에 부합한 실적
- 1Q15 무선 ARPU는 4Q14 발생한 일회성 정산 수익 300억원 제외시 2% 감소
- ARPU 하락은 고민, 하지만 단통법 도입 초기의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김회재, 769.3540 khjaeje@daishin.com
현대중공업 1Q Review: 일회성 비용 제거 시, 무난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50,000원 유지
- 1Q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일회성 퇴직위로금 161십억원 제거 시, 시장 기대치 수준
- 단기적으로 긍정 흐름 이어갈 수 있으나 보수적 투자 권고
* 긍정포인트 : 정유 부문 기대감 반영 + 선박 수주 지속 + 실적에 대한 우려 완화 + 긍정적 외국인 수급
* 2Q 후반으로 갈수록 우려 증가 예상 : 해양 없이 선박 수주만으로 연간 수주 목표 미달 가능성 커질 것 +
발주 약세로 수주 경쟁 격해지며 선가 약세 예상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현대미포 1Q Review: 실적은 깜짝 실적. 주가 상승 기대감은 약해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88,000원으로 상향(+17%)
* 목표주가 상향은 실적 상향 조정 반영. 2015년 PBR 0.84배 수준
* PBR 0.84배는 하이증권 PBR 1.3배, 기타 0.7배를 적용한 것
- 1Q 실적 기대치 상회. 조선, 금융(하이증권) 모두 기대치 상회
- 1Q의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 보다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의한 것으로
2Q이후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동사의 주력 수주 선종인 PC선과 LPG선의 발주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또한 이들 선종의 선가 약세가 예상되어 추가 상승 기대감은 약함. 현재 PBR 0.92배
거래되고 있는데, 대형조선 3사의 0.7배 보다 높게 거래되고 있는 점도 부담 요인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삼성중공업 1Q Review: Drillship 매출 감소에 대한 우려 증가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목표주가 17,000원으로 하향(-6%) 조정
* 생각 보다 빠른 실적 둔화를 반영. 목표주가는 PBR 0.7배
- 1Q 영업이익 생각 보다 빠르게 둔화. Drillship 감소 + 적자 해양 매출 증가
- 2Q에 매출 회복되며 이익 수준은 1Q 보다 개선되겠으나 기존 생각했던 수준 보다 낮아짐
* 기존 2015년 OPM 2.8% -> 1.4%로 하향 조정
- 유가 80불까지 회복한다는 기대감 생겨야 투자 가능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두산엔진 1Q Review: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으로 하향(-5%) 조정
* 기존 투자포인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발현 시점이 지연되는 점 감안
-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기존 긍정포인트 약화와 발현 시점 지연은 있으나 길게 볼 경우, 여전히 유효
* 주가 하락 조정 요인이라기 보다는 주가 상승 속도가 늦어지는 효과로 생각
- LNG선용 엔진 수주를 2Q에는 기대할 수 있어 단기 모멘텀 기대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4
투자포커스
금리, 환율변화와 업종선택
[5월 주식시장 전망]
오승훈
02.769.3803
oshoon99@daishin.com
*5월 코스피 밴드 : 2,100~2,200
5월 주식시장은 유동성과 펀더멘탈(경기, 실적)의 선순환을 확인하는 시간이 될 2,100선 이상에서 은
행, 보험, 자동차등 소외업종의 순환 상승이 나타나면서 업종별 순환매가 마무리 되었다. 급등했던 코
스피는 5월초까지 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되는 정체 국면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강했던 외국인 순매
수는 신흥국 펀드플로우 개선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금리 및 환율에서 나타난 방향 전환(원화
강세, 금리상승)이 주는 마찰음도 5월초 상승 탄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5월 중순 이후 코스피의 상승탄력이 다시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트리거는 5월 13일 유로존 GDP
발표가 될 것이다. 5월 13일 1분기 유럽 GDP성장률은 호전된 지표 영향으로 예상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유럽내에서 가장 부진했던 이탈리아 성장률이 플러스권에 진입하게 되면 유럽경기를 보는
시각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유로존 경기에 대한 시각 변화는 과거 미국이 그랬던 것처럼
유동성과 펀더멘탈의 선순환을 만드는 첫 출발이 될 것이다.
*금리, 환율 변화와 5월 업종전략
5월 업종 선택은 금리, 환율에 대한 뷰에서 출발한다.
우선 금리의 추세적 상승이 시작되었다고 보지 않는다. 현재 금리 상승은 5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
진데 따른 되돌림 성격이 강하다. 금통위 전까지 상승압력이 존재하지만 금통위 이후 다시 하락 압력
이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원화강세 압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통화정책 대응 필요성이 높아진 다는
점도 금리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외국인의 채권 및 주식시장으로의 대규모 자금유입에
강세를 보이는 원화는 5월에도 강세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주도업종 중 금리와 환율 변화를 크케 받지 않은 업종은 화학, 에너지업종이다. 이익 턴어라운드가 확
인되었고, 금리의 변화가 물가 기대의 상승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주도력이 강화될 수 있다. 금
리 상승이 추세적이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5월초 조정시 증권, 건설업종에 대한 비중 확대가 필요하
다.
주도주군 외에 관심을 가져볼 만한 업종은 지배구조관련주(지주회사)와 운송업종이다. 삼성SDS 지분
에 대한 대주주 보호예수가 종료되는 점과 자회사의 실적 및 주가상승에 지주사가 후행한다는 점에서
아직 상승률이 낮은 지주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다. 운송업종은 유가의 이익개선효과와 원화강
세에 의해 좋은 투자기회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은행, 보험, 자동차 업종등 2100선 이상
에서 상승을 주도한 업종의 경우 비중확대보다 중립적인 관점에서 대응이 필요하다. 금리 상승이 기조
적이지 않고 원화강세 압력이 향후 3개월 높아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5
Results Comment
현대하이스코
(010520)
1Q 리뷰: 영업이익은 예상
치 부합, 세전이익은 하회
이종형
769.3069
jhlee76@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88,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66,600
철강금속업종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88,000원(유지)
- 1Q15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단, 세전이익은 일회성 자원개발 손상차손으로 예상치 하회
- 2Q15에도 해외법인 중심의 안정적 수익성 지속전망, 2H15는 미국의 강관 반덤핑이 변수
- 4/28 현대제철 종가기준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약 67,850원으로 현대하이스코 종가
66,600원과 반대매수 청구권 63,552원보다 높아 현 시점에서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유리
- 단, 거래정지 시점 인접해 각각의 주가로 현대하이스코의 가치를 재산정해 볼 필요 있음
1Q15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세전이익은 일회성 자원개발 손상차손으로 예상치 하회
- 연결 영업이익은 780억원(-15%QoQ, -20%YoY)으로 컨센서스 744억원과 대신증권 추정
치 760억원에 부합. 1Q14 영업이익 973억원 중 408억원의 일회성 이익을 감안하면 실질적
인 1Q15 영업이익은 +38%YoY 개선된 양호한 실적
- 해외법인 판매량은 60.3만톤(+1%YoY, 내부거래 제거 후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유지. 단, 철
강가격 하락으로 해외법인 매출액은 7.9억불(-5%YoY, 내부거래 제거 전 기준)으로 감소
- 해외법인 중 러시아법인과 휴스턴법인은 각각 루블화 하락, 북미 유정관시황 악화로 수익성
이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열연가격 급락으로 본사 강관부분 수익성이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전체수익성은 예상치에 부합했던 것으로 추정. 경량화사업은 여전히 소폭적자 추정
- 연결 세전이익은 315억원(-66%YoY)으로 컨센서스 666억과 대신증권 추정치 654억을 크
게 하회. 잠빌 광구에서 약 260억원, 타라나키 광구에서 약 20억원 등 약 280억원의 자원개
발관련 손상차손을 반영했기 때문. 1Q15말 기준 유전관련 잔존가는 약 160억원으로 추정
2Q15에도 해외법인 중심의 안정적 수익성 지속전망, 2H15는 미국의 강관 반덤핑이 변수
- 연결 영업이익은 783억원(-16%YoY) 전망. 2Q14에도 140억원의 일회성 영업이익이 반영
되었음을 감안하면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실적예상 (일회성 제외시 793억원)
- 사업부별로 해외법인은 계절적 성수기효과와 루블화 상승에 의한 러시아법인 수익성개선으
로 1Q15대비 실적개선 예상. 단, 본사 강관부분은 유가하락에 의한 유정관시황 부진영향으
로 수익성은 하락 예상되어 전체 영업이익은 1Q15와 유사한 수준이 유지될 전망
- 하반기는 미국의 유정관 반덤핑 연례재심과 송유관 반덤핑 판결이 대기하고 있어 강관부분
실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대규모 덤핑관세율만 아니라면 해외법인의 안정적 수익성을 바탕
으로 분기당 700~800억원 수준의 안정적 영업이익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 자원개발 관련해 향후 추가적인 손상차손이 발생할 수 있으나 유전관련 잔존가 약 160억원
과 멕시코광산 관련 대여금 약 100억원을 제외하면 추가비용 발생은 제한적일 전망
- 1Q15 실적 반영해 15E 및 16E EPS를 기존추정치 대비 각각 16%, 1% 하향
현 주가 기준 현대하이스코 주주는 반대매수 청구보다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유리
- 7/1 현대제철과의 합병으로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현대제철 0.8577607주에 해당
- 4/28 현대제철 종가 79,100원 기준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약 67,850원으로 4/28 현
대하이스코 종가 66,600원과 반대매수 청구권 63,552원보다 높아 현 시점에서는 장내매도
나 반대매수 청구보다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가장 유리
- 단, 현대제철 주가에 따라 받게 되는 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매일 변하기 때문에 반대매수
청구기간과 거래정지 직전 각각의 주가로 현대하이스코의 가치를 재산정해 볼 필요 있음
- 현대하이스코는 6/29부터 매매 거래정지되며 그 전까지 주가는 현대제철과 동행할 전망. 현
대제철의 합병신주는 7/15 신규상장 예정임
KOSPI 2147.67
시가총액 1,519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1%
자본금(보통주) 114십억원
52주 최고/최저 93,500원 / 52,3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02억원
외국인지분율 15.88%
주요주주 현대자동차 외 5 인 55.03%
국민연금 8.42%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1 -11.4 -13.1 22.4
상대수익률 -3.0 -19.1 -22.0 12.3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45
55
65
75
85
95
10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현대하이스코(좌)
Relative to KOSPI(우)
6
Results Comment
KB 금융
(105560)
안심전환대출 우려 있지만 건전성
개선과 자본력이 이를 상쇄
최정욱, CFA
02.769.3837
cuchoi@daishin.com
박찬주
769.2735
cj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52,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40,550
은행업종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2,000원 유지
- 목표주가는 2015년말 추정 BPS 74,683원대비 목표 PBR 0.65배를 적용해 산출
- 1분기 순익은 전년동기대비 68.4% 증가한 6,050억원으로 컨센서스와 우리예상치를 크게 상회
- 실적 개선의 배경은 성장률 둔화와 NIM 하락에 따른 순이자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 및 신
탁 부문에서 수수료이익이 호조세를 보였고, 자산건전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면서 그룹 대손상각비가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
- 법인세부과 취소소송 승소에 따른 특별이익(영업외이익)이 1,803억원 발생한 점도 이익 개선에 기여
- 타행과 마찬가지로 금리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크게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투자채
권 매각익은 450억원 추정), POSCO·쌍용건설·경남기업 관련 유가증권 감액손실도 약 520억
원 발생하고 환율 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외화환산손실도 388억원 인식하면서 기타비이자이익 개
선 폭이 타행과는 다르게 크게 두드러지지는 않았음
- 자산건전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면서 그룹 대손충당금이 1,940억원에 불과해 총자산대비 대손상
긱비율이 0.25%까지 하락. 특히 그동안 타행보다 credit cost가 높았던 가계부문에서의 충당금
감소 폭이 더 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계절성 효과가 소멸되면서 2분기 이후 가계 충당금은
다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전과 같은 수준으로 복원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 안심전환대출 판매액이 8.8조원에 달하는 등 타행보다 판매 규모가 많았기 때문에 그만큼 수익성
악화 폭도 클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최근 주가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시현 중. 그러나 건전성 개선
추세가 이러한 우려를 상쇄할 것이고, 한층 더 견고해진 자본비율에 따른 성장여력과 배당여력은
분명 프리미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 신임 이사회에서 CEO 승계프로그램 방안을 확
정할 경우 지배구조 개선 기대감도 재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안심전환대출 유동화에 따라 2분기 NIM 큰폭 추가 하락 전망. 다만 NIM 저점은 2분기에 확인
- KB금융이 판매한 1, 2차 안심전환대출 규모는 8.8조원으로 전체 판매액 33.9조원의 26%를 차지
- 이 중 약 1.7조원이 1분기에 기표되면서 이연부대비용 일시 인식(근저당 설정비 102억원 비용 처
리)으로 NIM이 약 2bp 추가 하락. 상기 요인을 제외한 은행의 1분기 실질적 NIM 하락 폭은 5bp
- 잔여 7.1조원이 2분기에 기표되므로(이연부대비용 상각 규모는 약 370억원) 2분기에 약 6bp의 추
가 하락 요인 상존. 게다가 3월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영향 및 전환전 대출금리와 향후 매입하게
될 MBS금리와의 차이까지 감안할 경우 2분기 NIM은 분기 기준으로 약 12~13bp 추가 하락할
전망. 회사측은 안심전환대출 판매에 따른 연간 NIM 하락 효과를 약 8bp로 추정하고 있음
- 다만 안심전환대출 유동화시에 수취할 수 있는 취급수수료는 약 440~790억원(2분기에 모두 유
동화된다고 가정할 경우 8.8조원의 50~90bp) 수준. 따라서 NIM 하락에 따른 이자이익 감소분을
일정부분 상쇄할 전망
- 1분기 핵심저원가성 예금은 80조원으로 전년말대비 5.4%나 증가. 안심전환대출 효과로 2분기
NIM이 추가 급락하겠지만 이로 인해 KB금융 NIM 저점은 2분기에 확인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는 점과 더욱 견고해진 자본비율이 우려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
- 상·매각전 실질 NPL이 전분기대비 2,850억원 순증에 그치고 실질 요주의여신은 1,420억원 순
감해 4분기에 이어 1분기에도 큰폭의 자산건전성 개선 추세가 지속. 실질 연체 순증 규모는 4,300
억원으로 4천억원대 수준이 유지되고 있지만 계절성 요인을 고려시 실제로는 감소 흐름으로 이해
- 위험가중자산(RWA) 산정시 기업형 SOHO에 대해 내부등급법 사용을 승인받음에 따라 이익 증가
와 더불어 RWA 감소로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이 전년말 13.2%에서 13.8%로 상승하면서 자본비율
이 더욱 견고한 수준으로 상승. 타행을 압도하는 높은 자본비율은 유기적인 성장률 추구 또는 비은
행 M&A 기회 제고 여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인. 또한 넉넉한 자본비율은 배당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배당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KOSPI 2,147.67
시가총액 15,667십억원
시가총액비중 1.16%
자본금(보통주) 1,932십억원
52주 최고/최저 43,000원 / 34,2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340억원
외국인지분율 71.08%
주요주주 국민연금 9.42%
Franklin Resources Inc 외 44 인 7.00%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5.9 11.1 -1.5 15.7
상대수익률 -0.4 1.5 -11.6 6.1
-10
-5
0
5
10
15
20
25
27
29
31
33
35
37
39
41
43
4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KB금융(좌)
Relative to KOSPI(우)
7
Results Comment
롯데케미칼
(011170)
에틸렌의 저력을 확인한 실적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360,000
상향
현재주가
(15.04.28)
265,000
화학업종
2015~2016년 영업이익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 상향제시
-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360,000원(상향, 기존 330,000원) 제시
- 2015~201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15% 가량 상향함에 따른 목표주가 조정
- 목표주가는 2016년까지의 Up-Cyle을 감안하여, 2015~2016년 평균 BPS 226,667원에
Target PBR 1.6배를 적용하여 산정. 2015~2016년 평균 ROE 13.1%, COE 9.0% 가정
- 목표주가는 2015~2016년 평균 EPS의 12.8배 수준
- 현 주가는 12M Fwd 기준 PBR, PER 각각 1.19배, 9.8배에 해당
1Q15 실적으로 검증된 에틸렌의 힘. 타이탄 또한 2Q15부터 개선세가 나타날 전망
- 석유화학 업황 2016년까지 Up-Cycle을 예상. 특히, 에틸렌 강세는 2016년까지 지속 예상
- 2006~2007년 에틸렌 Cycle에서 올레핀부문, 타이탄케미칼 OPM은 분기 10%~18% 수
준. 당시보다 에틸렌/PE 마진이 높은 수준임을 감안하면 충분히 10% 이상의 OPM 달성 가
능함. 당사 추정치에 반영된 OPM은 각각 연간 13%, 5.2% 수준. 추정치 상향 가능성 충분
- 1Q15 실적은 1~2월 유가하락에 따른 부진에도 불구하고, 3월부터 에틸렌 체인 마진 확대
로 급격하게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 결국, Capa에 의한 물량/마진의 ‘이익레버리지’를
1Q15 실적을 통해 확인함. 2Q15 이후는 실적 정상화로 인해 실적 개선 크게 나타날 전망
- 타이탄케미칼 또한 2Q15부터 마진 정상화가 이루어지며 실적 개선에 동참할 것
- 부타디엔은 지금이 바닥이라는 판단. 빠르면 하반기부터 눈에 띄는 개선세가 나타날 전망
1Q15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36% 상회.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1.6% 시현
- 영업이익 1,780억원(QoQ +218%, YoY +161%) 기록. 시장예상치(1,310억원) 및 당사 추정
치(1,570억원)를 모두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시현. 올레핀부문 호조에 따른 영향
- 올레핀부문 호조(2,012억원, QoQ +62%, OPM 11.6%)는 PE/PP, MEG 마진 강세에 기인.
부타디엔 또한 분기 후반부터 일정 수준 이익 기여가 나타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됨
- 아로마틱부문/타이탄케미칼 영업이익 각각 -383억원, 130억원(OPM 2.4%)을 기록
2Q15 영업이익 전분기 대비 큰 폭 개선 예상.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5.4% 예상
- 영업이익 3,442억원(QoQ +93%, YoY +308%) 추정. PE/PP, MEG 강세에 따라 올레핀 부
문 영업이익 3,168억원(QoQ +57.4%, OPM 15.4%) 예상. SM/BD 또한 실적 개선 예상
- 아로마틱부문/타이탄케미칼 영업이익 각각 -133억원, 407억원(OPM 6.1%) 추정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3,873 3,495 2,945 2,865 2,806 -27.6 -19.7 3,282 -13.2 17.0
영업이익 68 56 131 157 178 160.5 217.7 344 308.1 93.4
순이익 49 -56 97 120 121 148.7 흑전 257 387.5 112.7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16,439 14,859 12,381 13,668 13,374 -2.2 -9.6 -10.0
영업이익 487 351 719 1,003 1,157 15.3 -28.0 229.6
순이익 288 147 523 779 845 8.5 -49.0 475.4
자료: 롯데케미칼,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9,083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68%
자본금(보통주) 171십억원
52주 최고/최저 271,000원 / 123,0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402억원
외국인지분율 31.47%
주요주주 롯데물산 외 3 인 53.55%
국민연금 6.79%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0.9 52.3 93.4 52.7
상대수익률 23.1 39.1 73.4 40.0
-40
-30
-20
-10
0
10
20
30
40
50
60
90
110
130
150
170
190
210
230
250
270
290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롯데케미칼(좌)
Relative to KOSPI(우)
8
Results Comment
효성
(004800)
실적 서프라이즈,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60,000
상향
현재주가
(15.04.28)
108,000
화학업종
실적 추정치 조정에 따른 목표주가 상향 제시
-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160,000원(상향, 기존 120,000원)
- 목표주가 조정은 2015년, 201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33%, 25% 상향함에 따른 것
- 목표주가는 기존 사업의 턴어라운드로 인한 실적 개선과 2016년부터 폴리케톤 성장성 부각
등을 반영하여, 2015~2016년 평균 BPS에 Target PBR 1.7배를 적용. 2015~2016년 평
균 ROE 14.4%, COE 7.8% 가정으로 도출된 적정 PBR에 20%를 할인하여 도출
- 목표주가는 2015~2016년 평균 EPS 기준 12.4배 수준
- 현 주가는 12M Fwd 기준 PBR, PER 각각 1.16배, 8.4배에 해당
스판덱스, 기존 사업의 턴어라운드, 폴리케톤의 3박자.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 자동차 경량화의 트렌드 하에서 폴리케톤의 성장성 부각 예상. 올해 7월부터 상업생산 시작
- 산업자재(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및 중공업의 턴어라운드에 따라 실적 우려가 완화되었고,
이에 따라 Valuation Discount 해소가 가능할 전망
- 스판덱스의 꾸준한 이익 창출력을 확인. 수요 호조에 따라 Cash Cow 역할 지속 예상
- ‘스판덱스의 호조’, ‘산업자재/중공업의 턴어라운드’, ‘폴리케톤 성장성’의 3박자는 지난 3년
간 지속된 Valuation 박스권 트레이딩의 관점에서 벗어나, 기업가치 재평가를 가능할 것
-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 8,667억원으로 사상최대 이익을 전망. 주가 또한 긍정적 흐름 예상
1Q15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달성. 산업자재/중공업의 턴어라운드가 인상적
- 영업이익 2,222억원(QoQ +31%, YoY +103%) 기록. 당사 추정치(1464억원) 및 시장 컨센
서스(1,440억원)를 약 53%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시현. 분기 기준 사상최대 이익을 달성
- 섬유부문은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스판덱스 스프레드 호조로 전분기와 유사한 이익
기록.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드의 개선이 나타남. 1) 원가하락 및 2) 환율효과 3) 물량 증
대 효과 등에 기인. 중공업부문은 미국의 반덤핑관세 환급(약 +200억원) 및 매출 증대 등 영
향으로 현격한 실적 개선. 화학부문은 프로판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PP가격 호조로 견조
2Q15 견조한 실적 흐름 지속 예상. 조업일수 증가 및 화학부문 실적 개선 예상
- 영업이익 2,200억원(QoQ -1%, YoY +12.9%) 추정. 섬유부문/산업자재 모두 조업일수 증가
로 견조한 실적 지속될 전망. 화학부문은 프로판 가격 하락 및 PP 가격 호조 등에 따라 전분
기 대비 실적 개선을 예상. 중공업부문은 일회성 이익요인 제거(반덤핑관세 환급)로 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하나 한전향 매출 증대 등 영향으로 견조한 수준 지속될 전망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2,792 3,317 2,846 3,026 2,793 0.0 -15.8 2,985 -4.0 6.9
영업이익 109 169 144 146 222 103.2 31.1 220 12.9 -1.0
순이익 -9 136 68 75 109 흑전 -20.2 115 -29.3 6.0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12,579 12,177 12,025 12,371 12,023 -2.8 -3.2 -1.3
영업이익 486 600 636 651 867 33.1 23.6 44.4
순이익 -229 269 324 340 444 30.4 흑전 64.8
자료: 효성,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3,793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28%
자본금(보통주) 176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09,500원 / 59,9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39억원
외국인지분율 29.52%
주요주주 조현준 외 7 인 32.56%
국민연금 9.46%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29.2 44.8 60.0 52.5
상대수익률 21.5 32.2 43.5 39.9
-20
-10
0
10
20
30
40
50
45
55
65
75
85
95
105
11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효성(좌)
Relative to KOSPI(우)
9
Results Comment
두산인프라코어
(042670)
구조조정 마무리,
이제 그 효과를 즐기자
이지윤
769.3429
leejiyun0829@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5,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12,350
기계업종
15.1Q: 매출액,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는 실적
- 매출액 1.83조원(YoY +1%), 영업이익 76십억원(YoY -24%, OPM 4.1%), 순이익 -45십억
원(적전)
- 실적 특이사항
1. 본사 구조조정 비용 30십억원 영업이익에 반영. 구조조정효과 제거 시, 영업이익 106십
억원(YoY +7%)로 전년대비 소폭 성장
2. 중국건기 매출액 YoY -63%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DIBH의 실적호조가 중국 실적부진
을 만회
3. 유로약세 달러강세가 맞물리면서 외환수지 -43십억원 발생, 밥캣의 이익 증가에 따른 법
인세증가로 순이익은 적자전환
DIBH 실적호조 배경
- DIBH 매출액 941십억원(YoY +15%), 영업이익 92십억원(YoY +127%, OPM 9.8%) 기록하
며 놀라운 성장을 보여줌
- 실적호조 배경은 1) 원/달러 환율 상승 (14.1Q 평균환율 1,069원-> 15.1Q 1,100원) 2) 본
격적인 Tier4 엔진 도입에 따른 ASP 증가와 판매량 회복 3) 고부가가치의 CTL 판매 증가
(CTL 매출액 비중 50%까지 증가)
2분기부터 구조조정 효과 본격적으로 반영. 지금이 매수 적기!
- 동사는 2014년 유럽 벨기에 공장 구조조정, 2015.1분기 본사와 일부 중국법인 구조조정을
통해 매출원가 개선에 많은 노력을 함
- 2015년 2분기부터는 벨기에 공장, 본사 구조조정 효과로 약 15십억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반영되어 건기사업부 영업이익 전년대비 40% 가량 증가한 102십억원 예상
- DIBH 올해 건기제품 연간 판매량 증가 약 20%가능할 것으로 보고있고 환율도 우호적인 환
경이기 때문에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성장하는 모습 보일 것
- 아쉬운 점이 동사의 과도한 부채로인한 높은 영업외실적 변동성인데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Pre-IPO를 통한 자금으로 차입금을 상환하면서 점차적으로 영업외 변
동성을 줄여나갈 것으로 기대됨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809 1,975 1,859 1,840 1,834 1.4 -7.2 2,189 3.6 19.4
영업이익 99 108 86 75 76 -23.7 -30.3 154 5.6 103.6
순이익 4 -65 1 1 -45 적전 적지 34 -59.7 흑전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7,737 7,689 8,044 7,979 7,955 -0.3 -0.6 3.5
영업이익 370 453 514 504 495 -1.8 22.6 9.2
순이익 -102 42 137 135 63 -53.2 흑전 50.7
자료: 두산인프라코어,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2,562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9%
자본금(보통주) 1,037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3,900원 / 9,35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38억원
외국인지분율 23.96%
주요주주 두산중공업 외 7 인 36.43%
국민연금 5.01%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3 14.4 14.9 -4.6
상대수익률 -2.8 4.4 3.0 -12.6
-30
-25
-20
-15
-10
-5
0
5
10
8
9
10
11
12
13
14
1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두산인프라코어(좌)
Relative to KOSPI(우)
10
Results Comment
삼성 SDI
(006400)
1Q 실적은 예상치를 하회,
실적 개선 방향에 주목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박기범
769.2956
kb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65,000
하향
현재주가
(15.04.28)
126,000
2차전지/IT에너지 및 부품업종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165,000원으로 하향(-2.9%)
- 1Q15년 매출(1조 8,659억원 / -2.3% qoq)과 영업이익(68억원 / -81.7% qoq)은 당사 및
시장 추정치를 하회. 순이익은 예상치를 상회한 646억원(흑자전환 qoq)을 시현
- 케미칼 및 전자재료의 추정 영업이익은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였으나 소형, 중대형전지 매
출이 감소하면서 고정비 부담 가중으로 적자규모가 확대, 전사적으로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
록
- 전지부문 매출은 7,95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7.5% 감소, 이는 폴리머전지는 증가 추세이나
각형타입의 소형전지 매출 감소, 원통형 타입의 비수기 영향을 받음. 또한 중대형전지도 전분
기대비 21% 매출 감소, 이는 ESS 수요 부진 및 자동차향 중형전지의 매출 부진에 기인
- 반면에 전자재료는 편광필름 및 OLED 부문의 매출 증가, 흑자기조를 유지한 점은 긍정적으
로 평가. 또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부문의 매출, 이익은 견조
- 1분기 실적을 반영, 15년 주당순이익을 종전대비 2.9% 하향. 2분기 실적 개선도 예상대비
다소 낮을 것으로 판단하여 목표주가를 165,000원으로 종전대비 3% 하향 조정.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 하반기를 기대하는 중장기적인 투자가 유망
- 투자포인트는
2Q15 중대형전지의 매출은 32.5% 증가(qoq) 및 적자 축소 기조로 진입 예상
- 첫째, 케미칼 및 전자재료의 수익성이 15년에 견고. 15년 동부문의 영업이익은 3,093억원으
로 전년대비 118.6% 증가, 전사적인 이익 성장을 견인, 케미칼의 스프레드 마진 확대 및 편
광필름, OLED 등 소재부문의 가동율 증가, 수율 개선 등으로 마진율이 전년대비 증가 전망
- 둘째, 1Q15년 기점으로 전사 영업이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다른 IT기업(휴대폰분야) 대비
하반기에 이익 개선이 높을 전망. 15년 1분기 68억원을 저점으로 2분기 280억원, 3분기
390억원, 4분기 652억원으로 예상. 전사 영업이익도 15년 1,390억원에서 16년 2,766억원
으로 확대 전망
- 셋째, 중대형전지의 매출도 15년 2분기 기점으로 증가, 고정비 절감으로 적자 규모가 감소하
는 추세를 예상. ESS는 보조금 재개로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자동차향 중형전지는 BMW의
라인업 확대 및 신규 거래선 추가 등으로 매출이 전분기대비 32.5% 증가할 전망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887 1,910 1,891 1,898 1,866 -1.1 -2.3 1,927 1.5 3.3
영업이익 15 37 30 32 7 -55.9 -81.7 28 -29.6 311.8
순이익 57 -129 62 55 65 14.4 흑전 68 170.6 5.4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3,428 5,474 8,295 8,287 7,868 -5.1 59.7 43.7
영업이익 -11 71 256 213 139 -34.8 흑전 96.2
순이익 131 -84 377 281 273 -2.9 적전 흑전
주: 순이익은 지배지분기준, 분기별 실적은 합병및 PDP 제외기준
자료: 삼성SDI,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8,781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66%
자본금(보통주) 348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73,000원 / 103,5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339억원
외국인지분율 28.90%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3 인 20.57%
국민연금 8.51%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9.7 -1.9 7.2 -16.0
상대수익률 -15.1 -10.4 -3.9 -23.0
-35
-30
-25
-20
-15
-10
-5
0
5
10
15
2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삼성SDI(좌)
Relative to KOSPI(우)
11
Results Comment
LG 이노텍
(011070)
1Q15년 실적은
카메라모듈이 이익을 견인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박기범
769.2956
kb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35,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105,000
가전 및 전자부품업종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35,000원 유지
- 1Q15년 매출(1조 5,413억원)과 영업이익(690억원)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 다
만 전년동기대비 각각 5.7%, 9.4%씩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판단. 순이익(281
억원)은 전년대비 71.2% 증가 시현
- 해외 전략 거래선의 스마트폰 판매호조로 카메라모듈 매출(7,119억원)이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매출비중은 5%p 확대된 45%를 기록
- 차량통신모듈 및 LED 중심으로 차량부품 매출도(1,503억원)도 전년대비 20% 증가하면서
신성장동력원 역할 지속
- 2Q15년 매출은 1조 5,426억원, 영업이익은 781억원 전망. LG전자향 카메라모듈(전면, 후
면) 공급 시작, LED의 믹스 개선 효과로 적자 축소 예상
- 1분기 실적을 반영, 15년 주당순이익을 2.3% 하향, 조정 폭이 미미한 관계로 LG이노텍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BUY)’ 및 목표주가는 135,000원을 유지. 투자포인트는
15년 하반기 LED 흑자전환 예상, LG전자 및 전략거래선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로 카메라
모듈의 성장 지속
- 첫째, 글로벌 전략거래선의 신스마트폰 출시로 15년 하반기의 매출, 이익 증가세가 상반기대
비 높을 전망. 종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화소 수가 8M이나 1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모
델은 1300만화소로 상향될 가능성이 높음. 또한 3D 기능을 위한 듀얼카메라를 채택할 가능
성도 상존
- LG전자의 새로운 플래그쉽 스마트폰 출시도 4Q15년 중으로 예정, 카메라모듈의 매출과 이
익이 추가로 증가할 전망. OIS 기능 확대 및 전면 화소 수가 8M로 상향되면서 카메라모듈
내 ASP 상승 효과 기대
- 둘째, LED의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시점이 15년 3분기임. 지난 2010년에
LED 부문의 투자에 대한 감가상각비가 15년 3분기 기점으로 빠르게 축소되면서 LED의 수
익성이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 고정비가 절감 과정과 조명비중 확대, 제품 믹스 개선효과
로 4분기를 기점으로 손익분기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
- 셋째, 자동차향 부품 매출 증가가 4분기를 기점으로 본격화할 전망. 15년 1분기까지 수주잔
고는 4.7조원으로 3년전에 이루어진 수주가 매출로 연결되는 시점. LG전자가 자동차향 부
품 사업을 확대하는 점도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459 1,815 1,646 1,642 1,541 5.7 -15.1 1,543 0.0 0.1
영업이익 63 58 71 72 69 9.4 19.0 78 -13.1 13.2
순이익 16 -6 37 37 28 71.2 흑전 46 6.2 65.0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6,212 6,466 7,045 7,057 6,616 -6.3 4.1 2.3
영업이익 136 314 362 354 341 -3.5 130.6 8.8
순이익 16 113 204 201 196 -2.3 625.0 74.3
주: 순이익은 지배지분기준/ 자료: LG이노텍,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2,485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9%
자본금(보통주) 118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50,000원 / 82,2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205억원
외국인지분율 13.67%
주요주주 LG전자 외 3 인 40.81%
국민연금 13.22%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8.3 -4.1 -0.9 -7.5
상대수익률 -13.8 -12.4 -11.2 -15.2
-30
-20
-10
0
10
20
30
40
72
82
92
102
112
122
132
142
152
162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LG이노텍(좌)
Relative to KOSPI(우)
12
Results Comment
삼성테크윈
(012450)
2Q 이후 및 사업 방향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높음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박기범
769.2956
kb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26,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26,350
가전 및 전자부품업종
투자의견 ‘시장수익률(Marketperform)’ 및 목표주가 26,000원 유지
- 1Q15년 실적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상회. 매출은 6,0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3% 감
소하였으나 영업이익(103억원)은 전년동기(33억원)대비 증가, 전분기대비 흑자전환 시현. 순
이익도 182억원을 기록
- 감시형카메라(SS) 매출이 1,758억원으로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이익률 개선에 중추적
인 역할을 담당. 또한 환율 상승(원달러 평가절하) 효과도 일부 반영
- 그러나 현시점에서 실적 개선보다는 진행되는 매각 일정 및 향후 사업 방향의 지속성에 대
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판단
- 삼성테크윈에 대한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Maketperform)’ 및 목표주가 26,000원을 그대로
유지. 그 이유는
- 첫째, 한화그룹으로 매각 추진에 대한 위로금 지급 여부 및 규모가 미정이며, 현재 영업활동
도 정상수준대비 위축, 가동율 하락으로 15년 2분기 이후 실적에 대한 추정이 어려움. 위로
금 지급 주체 및 지급 규모, 타결 시점에 따라 단기적으로 15년 2분기 및 3분기 실적에 영향
을 줄 것으로 추정
- 둘째, 한화 인수 이후에 감시형카메라(SS), 반도체 장비 부문(IMS)의 영업 지속성 및 경쟁력
확대 여부가 현재시점에 명확하지 않은 점도 부담으로 작용. 삼성그룹의 브랜드 소멸 및 삼
성전자와 영업 관련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한화그룹에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구
조임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603.8 683.3 592.2 606.2 602.2 -0.3 -11.9 638.4 -4.1 6.0
영업이익 3.3 -23.4 -1.0 9.3 10.3 214.0 흑전 8.9 -61.2 -14.1
순이익 10.2 -103.8 -5.8 1.4 18.2 79.1 흑전 6.8 흑전 -62.7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2,629.8 2,615.6 2,583.5 2,576.6 2,553.4 -0.9 -0.5 -2.4
영업이익 96.0 7.9 30.9 33.8 26.9 -20.4 -91.8 242.7
순이익 132.5 -118.8 19.6 14.1 29.6 109.7 적전 흑전
자료: 삼성테크윈,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1,400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0%
자본금(보통주) 266십억원
52주 최고/최저 58,900원 / 21,3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204억원
외국인지분율 5.84%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6 인 32.39%
한국투자신탁운용 10.66%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10.5 10.5 -8.2 -53.9
상대수익률 3.9 0.9 -17.7 -57.7
-70
-60
-50
-40
-30
-20
-10
0
10
18
23
28
33
38
43
48
53
58
63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삼성테크윈(좌)
Relative to KOSPI(우)
13
Results Comment
LG 유플러스
(032640)
ARPU의 일시적 정체
김회재
769.3540
khjaeje@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3,5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10,800
통신서비스업종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3,500원 유지
- 2015년 예상 EPS 902원에 PER 14배(업종 Target 13배 대비 10% 프리미엄) 적용
1Q15 Results. 마케팅비용 안정, 이익 양호, ARPU는 다소 아쉬운 실적
- LGU+의 1Q15 매출액은 2.6조원(-8.1% yoy, -4.8% qoq), 영업이익은 1,547억원(+36.8%
yoy, -18.8% qoq)을 달성하여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수준에 부합한 실적 달성
- 1Q14 대비: 무선 ARPU는 LTE 가입자의 꾸준한 증가에 힘입어 1.2% 상승했고, 단말기 유
통법 도입을 계기로 이동전화 시장이 안정되면서 마케팅비용은 8.6% 감소하여 영업이익은
1Q14의 1,132억원 대비 크게 개선. 매출액은 단말기 유통법 도입 이후 단말기에 대한 제조사
장려금과 단말매출을 차감하는 회계 도입으로 8.1% 감소하였지만, 단말매출과 판매수수료가
동시에 감소하므로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없음. 단말매출을 제외한 영업수익은 TPS(초고
속 인터넷, IPTV, VoIP) 매출 상승에 힘입어 4.5% 증가
- 4Q14 대비: 무선 ARPU의 4.4% 감소(일회성 매출 300억원 제외시 실제 ARPU는 2% 감
소) 영향으로 영업수익 4.5% 감소했으나, 우려와 달리 마케팅비용은 오히려 3% 감소한 영향으
로 영업이익은 18.8% 감소
무선 ARPU에 대한 고민. 일시적 정체일 가능성 높음
- 1Q15 무선 ARPU는 35,792원으로 4Q14 대비 4.4% 감소. 4Q14에 발생한 일회성 정산 수
익 300억원을 제외한 ARPU 기준으로는 2% 감소. LGU+의 무선 ARPU는 LTE 도입 이후
2Q11에 상승 추세로 전환한 이후, 1Q14에 일시적으로 -0.1% qoq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15개 분기 동안 평균 2.8%, 누적 50%의 상승을 보여줌. 따라서, 1Q15의 ARPU 하락은 고민
해볼 사항. 다만, 아직까지는 단말기 유통법 도입 초기의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단말기 유통법 초기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근거? 1) 3Q14부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가 본격
적으로 유입되었고, 당시 신규 가입자의 50%가 무제한 요금제 선택. 당시 프로모션은 4~5개
월 사용 후 하위 요금제로 변경할 수 있는 조건으로 높은 보조금 지급. 1Q15에 3Q14에 가입
한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들의 요금제 하향 발생. 2) 4Q14 단말기 유통법 도입 이후에는 신규
가입자의 25% 정도만 무제한 요금제 가입. 하지만, 이들은 향후 요금제를 낮출 가능성이 없는
real 가입자(단말기 유통법 도입 이후에는 일정 기간 후 요금제를 낮출 수 있는 조건으로 고가
의 요금제 가입 유도가 금지되기 때문). 결국 1)과 2)의 상황이 1Q15에 겹치면서 ARPU의 일
시적 하락 발생
- 따라서, 2Q15부터는 비록 ARPU의 상승폭은 분기별 평균 1% 정도 수준으로 다소 감소하더
라도, 허수 가입자 없는 real 가입자의 ARPU가 반영되면서 ARPU는 다시 반등할 것으로 전망
- LTE 도입 초기 프로모션의 성과로 LGU+ 가입자들의 평균 데이터 소비량이 4GB로 국내 평
균인 3.2G를 크게 넘어서고 있기 때문에, LTE 보급률이 75.8%이고, LTE 순증 규모가 줄어들
었지만, 아직까지는 ARPU 상승이 가능하다고 판단
KOSPI 2147.67
시가총액 4,715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35%
자본금(보통주) 2,574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2,850원 / 8,89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212억원
외국인지분율 34.20%
주요주주 LG 외 3 인 36.12%
국민연금 8.57%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4.0 -13.3 -6.1 6.4
상대수익률 -9.7 -20.8 -15.8 -2.4
-20
-15
-10
-5
0
5
10
15
20
25
30
7
8
9
10
11
12
13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LG유플러스(좌)
Relative to KOSPI(우)
14
Results Comment
현대중공업
(009540)
1Q Review : 일회성 비용
제거 시, 무난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50,000
유지
현재주가
(15.02.12)
153,50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50,000원 유지
- 1Q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일회성 퇴직위로금 161십억원 제거 시, 시장 기대치 수준
- 단기적으로 긍정 흐름 이어갈 수 있으나 보수적 투자 권고
* 긍정포인트 : 정유 부문 기대감 반영 + 선박 수주 지속 + 실적에 대한 우려 완화 + 긍정
적 외국인 수급
* 2Q 후반으로 갈수록 우려 증가 예상 : 해양 없이 선박 수주만으로 연간 수주 목표 미달 가
능성 커질 것 + 발주 약세로 수주 경쟁 격해지며 선가 약세 예상
2) 일회성 비용 제거 시, 무난.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은 개선 방향
- 1Q 실적은 매출 12,228십억원(YoY -10%), 영업이익 -192십억원(YoY 적지),
지배순이익 -139십억원(YoY 적지)로 시장기대치 소폭 하회
* 퇴직위로급 161십억원 제거 시, 영업적자는 30십억원 규모로 시장 기대치 수준
* 연결 조선, 적자 158십억원(OPM -3.7%) 기록.
. 일회성 비용 100십억원(퇴직위로금 49.5십억원, Semi-Rig 지제보상금 50십억원)
제거 시, 적자는 58십억원(OPM -1.3%) 규모
. 적자 공사인 Semi-Rig 3기가 2Q 1기, 하반기 2기 인도되며 하반기로 갈수록
적자폭 축소될 것
- 2Q에는 퇴직 위로금 비용 없어지며 소폭 흑자 전환 예상
* 다만, 2015년 연간으로 조직개편과 구조조정이 예상되어 매분기
불시에 일회성 구조조정 비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보임
3) 단기적으로 긍정 흐름 이어갈 수 있으나 보수적 투자 권고
- 긍정포인트 : 정유(현대오일뱅크 / 전체 자본총계의 18%), 부문 기대감
+ 선박 수주 지속 + 실적에 대한 우려 완화 + 긍정적 외국인 수급
- 2Q 후반으로 갈수록 우려 증가 예상 : 해양 없이 선박 수주만으로 연간 수주 목표 미달 가
능성 커질 것 + 발주 약세로 수주 경쟁 격해지며 선가 약세 예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3,521 13,846 12,421 11,605 12,228 -9.6% -11.7% 11,581 -9.6% -5.3%
영업이익 -189 -22 -17 -50 -192 적지 적지 36 흑전 흑전
순이익 -58 -46 -41 -64 -139 적지 적지 -8 적지 적지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54,188 52,582 49,665 45,929 46,722 1.7% -3.0% -11.1%
영업이익 802 -3,249 312 31 -35 적전 적전 적지
순이익 279 -1,769 150 -96 -141 적지 적전 적지
자료: 현대중공업,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11,666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87%
자본금(보통주) 380십억원
52주 최고/최저 200,500원 / 95,0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473억원
외국인지분율 13.46%
주요주주 정몽준 외 8 인 21.32%
케이씨씨 외 1 인 5.28%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24.8 33.5 52.7 -23.4
상대수익률 17.4 21.9 36.9 -29.8
-60
-50
-40
-30
-20
-10
0
81
101
121
141
161
181
201
221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현대중공업(좌)
Relative to KOSPI(우)
15
Results Comment
현대미포조선
(010620)
실적은 깜짝 실적. 주가 상
승 기대감은 약해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88,000
상향
현재주가
(15.02.12)
96,00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88,000원으로 상향(+17%)
* 목표주가 상향은 실적 상향 조정 반영. 2015년 PBR 0.84배 수준
* PBR 0.84배는 하이증권 PBR 1.3배, 기타 0.7배를 적용한 것
- 1Q 실적 기대치 상회. 조선, 금융(하이증권) 모두 기대치 상회
- 1Q의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 보다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의한 것으로
2Q이후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동사의 주력 수주 선종인 PC선과 LPG선의 발주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또한 이들 선종의 선가 약세가 예상되어 추가 상승 기대감은 약함. 현재 PBR 0.92배
거래되고 있는데, 대형조선 3사의 0.7배 보다 높게 거래되고 있는 점도 부담 요인
2) 1Q 실적, 조선, 금융(하이증권) 모두 호실적 내며 깜짝 실적 기록
- 1Q 실적은 매출 1,073십억원(YoY +11%), 영업이익 16.7십억원(YoY 흑전),
지배순이익 22십억원(YoY 흑전)을 기록하며 기대치 상회
* 일회성 퇴직위로금 30십억원(미포 8십억원 + 하이증권 22십억원) 제외시,
영업이익 46.7십억원(OPM 4.4%)이며 깜짝 실적에 해당
* 조선 부문 : 후판, 페인트 등 원자재 가격 하락 효과
* 금융부문도 퇴직위로금 22십억원 제거 시, 영업이익 30십억원을 기록하며
2008.9월 하이증권 인수 후, 최대 실적 기록
- 1Q의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 보다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의한 것으로
2Q이후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 2Q 예상 : 매출 1,093십억원(YoY +22%), 영업이익 48십억원(YoY 흑전)
3) 실적은 좋았으나 주가 추가 상승 기대감은 약해
- 미포조선의 실적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좋을 것으로 예상되나
주가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 동사의 주력 수주 선종인 PC선과 LPG선 발주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 또한 이들 선종의 수주 선가는 하락세가 예상되어 2015년 수주 물량이
매출 인식되는 2016년 하반기 이후는 다시 실적이 둔해질 것으로 예상됨
* 마지막으로 현주가는 PBR 0.92배 수준으로 대형3사의 PBR인 0.7배 대비
크게 높은 주가임
- 1Q 수주 : 2.9억불(연간 목표의 10%) / 2Q에도 비슷한 규모 예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965 1,159 973 1,022 1,073 11.2% -7.4% 1,093 21.6% 1.9%
영업이익 -81 70 -9 -2 17 흑전 -76.1% 48 흑전 185.8%
순이익 -35 17 -3 -1 22 흑전 32.5% 37 흑전 62.8%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3,986 3,967 4,061 4,199 4,334 3.2% -46.1% 924.8%
영업이익 -275 -868 37 64 176 172.8% 적지 흑전
순이익 -238 -633 28 51 132 161.2% 적지 흑전
자료: 현대미포조선, WISEfn, 대신증권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1,920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4%
자본금(보통주) 100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66,500원 / 65,1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90억원
외국인지분율 22.32%
주요주주 현대삼호중공업 외 7 인 43.95%
사우디아라비아통화국 7.26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0.1 26.3 8.4 -36.0
상대수익률 22.3 15.4 -2.8 -41.3
-60
-50
-40
-30
-20
-10
0
10
20
54
74
94
114
134
154
174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현대미포조선(좌)
Relative to KOSPI(우)
16
Results Comment
삼성중공업
(010140)
1Q Review : Drillship 매
출 감소에 대한 우려 증가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7,000
하향
현재주가
(15.01.29)
19,65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목표주가 17,000원으로 하향(-6%) 조정
* 생각 보다 빠른 실적 둔화를 반영. 목표주가는 PBR 0.7배
- 1Q 영업이익 생각 보다 빠르게 둔화. Drillship 감소 + 적자 해양 매출 증가
- 2Q에 매출 회복되며 이익 수준은 1Q 보다 개선되겠으나 기존 생각했던 수준 보다 낮아짐
* 기존 2015년 OPM 2.8% -> 1.4%로 하향 조정
- 유가 80불까지 회복한다는 기대감 생겨야 투자 가능
2) 1Q 영업이익 생각 보다 빠르게 둔화. Drillship 감소에 따른 실적 둔화 본격화
- 삼성중의 1Q 실적은 매출 2,610십억원(yoy -24%),
영업이익 26.3십억원(YoY 흑전, OPM 1.0%), 지배순이익 12십억원(YoY 흑전) 기록
*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95십억원을 크게 하회하는 실망스런 실적
* 배경 : Egina FPSO 일회성 비용 30십억원 + Drillship 매출 감소
+ 적자 매출 증가(Egina FPSO, Ichthys CPF)
* 2014년 1Q에 공사손실충당금 380십억원 쌓았던 Egina FPSO에서 추가 일회성 비용 발생
* Nigeria 현지 건조 물량에 대해서 비용 예측이 쉽지 않음을 나타냄
* 해양생산설비의 매출 비중 증가하며 분기 매출 변동성 커짐
- 2Q에 매출 회복되며 이익 수준은 1Q 보다 개선되겠으나 기존 생각했던 수준 보다 낮아짐
* 기존 2015년 OPM 2.8% -> 1.4%로 하향 조정
* 연말까지 Drillship 매출 감소, 적자 해양생산설비 매출 증가 추세는 지속되기 때문
3) 유가 80불까지 회복한다는 기대감 생겨야 투자 가능
- 실적 부진한 상황에서 수주도 부진
- 선박 수주는 상대적으로 호조인 반면, 해양 발주 침체 지속
* 1Q 수주 23억불(선박 23억불, 해양 없음 / 연간 목표의 15% / 선박 수주 목표의 46% 달성)
- 선박 기준, Container선과 유조선의 발주가 있어 선박 수주 목표인 50억불 달성은 가능해
보이나 해양 부문의 기대 수주 규모는 극히 미미
* Woodside의 Browse FLNG 3기에 대한 Hull 부문 수주 진행하고 있다고 하나
저유가로 언제 수주할 지, 몇 기에 대해 수주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3,431 3,078 3,137 3,111 2,610 -23.9% -15.2% 3,031 -2.4% 16.1%
영업이익 -362 102 107 106 26 흑전 -74.1% 48 -81.6% 83.5%
순이익 -272 43 86 79 12 흑전 -73.0% 37 -82.2% 215.7%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14,835 12,879 12,130 12,350 12,130 -1.8% -13.2% -5.8%
영업이익 914 183 172 341 172 -49.6% -80.0% -6.1%
순이익 632 149 125 253 125 -50.6% -76.4% -16.3%
자료: 삼성중공업,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4,540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34%
자본금(보통주) 1,154십억원
52주 최고/최저 29,600원 / 17,25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387억원
외국인지분율 15.64%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8인 24.16%
미래에셋자산운용 외 4인 5.00%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7.1 2.9 -18.3 -31.5
상대수익률 0.7 -6.0 -26.7 -37.2
-45
-40
-35
-30
-25
-20
-15
-10
-5
0
5
9
14
19
24
29
34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삼성중공업(좌)
Relative to KOSPI(우)
17
Results Comment
두산엔진
(082740)
1Q Review :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9,500
하향
현재주가
(15.02.04)
7,12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으로 하향(-5%) 조정
* 기존 투자포인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발현 시점이 지연되는 점 감안
-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기존 긍정포인트 약화와 발현 시점 지연은 있으나 길게 볼 경우, 여전히 유효
* 주가 하락 조정 요인이라기 보다는 주가 상승 속도가 늦어지는 효과로 생각
- LNG선용 엔진 수주를 2Q에는 기대할 수 있어 단기 모멘텀 기대
2)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1Q 실적은 매출 144십억원(YoY -13%), 영업이익 -11.8십억원(YoY 적자폭 축소),
지배순이익 -8십억원(YoY 적자폭 축소) 기록하며 기대치를 하회
* 배경 : 조선사의 엔진 납기 이월 요청(22십억원)으로 매출 크게 하락하며 고정비 부담 증가
* 2Q에는 이월 물량 증가로 매출 200십억원 기대
- 2015년 4Q에는 흑자 전환 기대 : 적자 Project의 해소 + 원자재 가격 하락 수혜
3) 기존 긍정포인트 약화와 발현 시점 지연은 있으나 길게 볼 경우, 여전히 유효
- 두산엔진 투자포인트 강도 변화
* 기존에 긍정적으로 봤던 투자포인트는 여전히 유효. 다만, 강도와 발현 시기 지연
* 2015년 이후 지속 가능한 수주 증가 폭 : 기존 400십억원 -> 280십억원
* 2015년부터 LNG선 엔진 시장 신규 진입하며 지속 가능한 수주 증가 : 기존 300십억원
-> 180십억원)
. 유가 약세로 당분간 매년 기대 가능한 발주 척수 감소 반영
(한국 연간 30척 수주 / 두산엔진 50% 가정)
. LNG선 척당 수주금액 변화 : 기존에는 일부 수주의 경우 엔진+FGSS 패키지
수주로 척당 17십억원 수주 할 수도 있다고 봤는데, 현재는 엔진 단독으로만 수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척당 12십억원 수주 가능
* 기존에 2015년부터 선박 배기가스(NOx) 규제 충족을 위해 NOx 저감 장치인 SCR
수주 본격화 예상 -> 연간 지속 가능한 SCR 수주 규모는 여전히 100십억원 규모를 생각
하고 있으나 2015년에는 50십억원 이하 예상 (2015년 수주 목표는 80십억원)
- 기존에 긍정적으로 봤던 포인트들의 약화와 발현 시점의 지연으로 주가 상승 속도는
늦어진 것은 사실이나 길게 볼 경우, 구조적으로 수주가 증가하고 실적은 개선 방향인 점은 여
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완만한 주가 상승은 기대할 수 있어
* 주가 조정 요인이라기 보다는 주가 상승 속도가 늦어지는 효과로 생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65 296 180 217 144 -13% -51.2% 213 -12.9% 43.5%
영업이익 -19 0 -6 -5 -12 적지 적지 -3 적지 적지
순이익 -19 -4 -6 -5 -8 적지 적지 -3 적지 적지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744 889 948 902 824 -8.7% 19.5% -7.3%
영업이익 1 -40 -4 -10 -10 0.3% 적전 적지
순이익 -5 -42 -4 -42 -11 -74.3% 적지 적지
자료: 두산엔진,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495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04%
자본금(보통주) 70십억원
52주 최고/최저 9,390원 / 5,62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4억원
외국인지분율 2.47%
주요주주 두산중공업 외 2인 42.69%
삼성중공업 14.12%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2.3 -9.0 13.4 -17.0
상대수익률 -3.8 -16.8 1.7 -23.9
-35
-30
-25
-20
-15
-10
-5
0
5
10
5
6
7
8
9
10
11
14.04 14.07 14.10 15.01
(%)(천원) 두산엔진(좌)
Relative to KOSPI(우)
18
매매 및 자금 동향
▶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유가증권시장: 순매수 금액) (단위: 십억원)
구분 4/28 4/27 4/24 4/23 4/22 04월 누적 15년 누적
개인 -66.2 32.3 -80.5 -457.7 -333.4 -1,090 -2,494
외국인 -1.5 208.0 533.9 439.7 743.1 4,605 7,753
기관계 71.3 -246.2 -434.7 34.3 -395.1 -3,280 -6,267
금융투자 119.5 48.3 17.1 -84.4 -7.3 -549 -2,862
보험 -15.5 -50.8 -18.2 24.9 -155.5 -435 -362
투신 -24.2 -146.7 -195.7 -60.4 -149.1 -2,800 -5,370
은행 -8.5 3.8 -14.5 -0.1 -6.1 -8 107
기타금융 6.0 -8.6 4.7 2.5 2.3 12 -63
연기금 26.1 -22.0 -161.1 -9.8 -18.3 535 3,029
사모펀드 -34.4 -69.4 20.7 157.9 -53.3 163 -210
국가지자체 2.4 -0.8 -87.7 3.7 -7.9 -195 -536
자료: Bloomberg
▶ 종목 매매동향
유가증권 시장 (단위: 십억원)
외국인 기관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SK 하이닉스 44.8 삼성전자 78.3 POSCO 37.4 삼성전자 35.8
현대중공업 27.9 POSCO 18.1 현대중공업 19.3 현대차 20.9
현대제철 27.8 코웨이 14.6 NAVER 16.6 삼성SDI 20.2
현대차 27.1 삼성물산 12.1 엔씨소프트 16.6 삼성전기 12.8
한국전력 15.4 LG 생활건강 11.6 SK C&C 16.2 우리은행 12.0
현대글로비스 14.0 삼성SDI 10.7 현대미포조선 12.3 기아차 11.8
NAVER 13.9 우리은행 9.7 SK 11.9 삼성전자우 10.9
LG 화학 12.1 SK 9.5 삼성증권 10.0 삼성물산 10.3
제일모직 11.6 삼성엔지니어링 9.0 한국전력 8.7 GS 8.7
삼성전자우 11.6 하나금융지주 8.1 고려아연 8.0 현대글로비스 7.6
자료: KOSCOM
코스닥 시장 (단위: 십억원)
외국인 기관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아스트 8.4 셀트리온 17.3 셀트리온 8.5 내츄럴엔도텍 36.8
나이스정보통신 3.4 내츄럴엔도텍 12.0 원익IPS 6.8 나이스정보통신 5.4
웹젠 3.3 동서 3.4 SK 브로드밴드 6.1 디에이치피코리아 4.2
아가방컴퍼니 2.8 아프리카TV 3.1 컴투스 5.1 바이로메드 3.8
이라이콤 2.3 유진기업 2.8 슈피겐코리아 3.4 이엠텍 2.7
이오테크닉스 2.2 디엠티 2.2 피엔티 3.2 에스엠 2.5
키이스트 1.6 토비스 2.1 동서 3.0 파트론 2.4
코리아나 1.5 쎌바이오텍 2.0 CJ E&M 3.0 창해에탄올 2.2
바이로메드 1.5 차바이오텍 1.8 한국토지신탁 2.8 산성앨엔에스 2.2
KH 바텍 1.5 블루콤 1.6 다우데이타 2.1 다음카카오 1.7
자료: KOSCOM
19
▶ 최근 5 일 외국인 및 기관 순매수, 순매도 상위 종목
외국인 (단위: %, 십억원) 기관 (단위: %, 십억원)
순매수 금액 수익률 순매도 금액 수익률 순매수 금액 수익률 순매도 금액 수익률
SK 하이닉스 236.9 3.8 POSCO 95.1 6.5 POSCO 126.6 6.5 삼성전자 440.1 -6.5
기아차 143.0 5.3 KT&G 29.3 4.3 엔씨소프트 77.1 8.2 삼성물산 171.7 -6.0
삼성전자 128.7 -6.5 SK 22.3 3.1 삼성생명 64.0 4.1 LG디스플레이 103.5 0.8
현대차 110.6 1.5 삼성SDI 19.8 -4.9 기아차 58.3 5.3 현대건설 94.6 -6.6
NAVER 84.6 1.8 롯데칠성 18.8 12.6 KT&G 53.5 4.3 삼성SDI 67.3 -4.9
신한지주 81.6 2.2 코웨이 16.1 -3.4 대우증권 36.4 1.4 LG생활건강 58.7 -2.6
현대모비스 79.3 0.4 신세계 13.9 -6.3 SK 32.8 3.1 삼성전기 46.1 -3.8
현대글로비스 73.7 1.0 우리은행 13.8 2.9 한국가스공사 32.5 5.6 LG 40.9 -1.4
LG 전자 72.7 3.0 삼성전기 13.1 -3.8 현대차 31.0 1.5 현대제철 39.9 5.2
삼성물산 71.1 -6.0 LG하우시스 12.0 -0.8 현대위아 28.2 11.7 현대모비스 39.7 0.4
자료: KOSCOM 자료: KOSCOM
▶ 아시아증시의 외국인 순매수 (단위: 백만달러)
구분 4/28 4/27 4/24 4/23 4/22 04월 누적 15년 누적
한국 -79.2 219.2 506.2 365.9 626.5 4,052 6,672
대만 391.1 738.4 1,546.4 736.8 214.3 3,193 7,417
인도 -- -- -113.9 -13.4 -135.8 2,298 8,298
태국 -- -50.2 35.7 -56.6 27.8 233 -23
인도네시아 -140.3 -173.2 -20.2 -58.4 -12.3 682 1,118
필리핀 -14.0 -17.7 16.2 2.1 -6.2 -134 934
베트남 -- -9.0 -2.2 7.4 7.0 76 89
주: 대만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현황은 TWSE(Taiwan Stock Exchange) + GTSM(Gre Tai Securities Market)의 합산 데이터임. GTSM은 우리나라의 코스닥에 해당되는 General Board와 프리보드
역할을 하는 이머징 스탁 마켓 등으로 구분. 이머징 스탁 마켓은 General Board로 건너가기 위한 가교 역할을 수행
자료: Bloomberg, 각국 증권거래소
▶ Compliance Notice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자료 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위 애널리스트는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본 자료에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
DaishinSecurities
 
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
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
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
DaishinSecurities
 
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
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
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DaishinSecurities
 
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
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
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DaishinSecurities
 

What's hot (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3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1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602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1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1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129
 
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
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
Morning Meeting Brief - 2013년 7월 3일 대신증권 리포트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6
 
16935 mmb 130715
16935 mmb 13071516935 mmb 130715
16935 mmb 13071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818
 
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
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
모닝미팅_대신증권 리포트 130705
 
17024 mmb 130726
17024 mmb 13072617024 mmb 130726
17024 mmb 130726
 
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
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
대신증권_모닝미팅_15081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Similar to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
DaishinSecurities
 
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
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
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
DaishinSecurities
 

Similar to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9 (2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7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30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01
 
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
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
모닝미팅_대신증권리포트_130715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
대신리포트_대신브라우저_15072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709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5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102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207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8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100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1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2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1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60201
 

More from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
DaishinSecurities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
DaishinSecurities
 

More from DaishinSecurities (20)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3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3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2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2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21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21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8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8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7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7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6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6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5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
대신리포트 대신 브라우저 16031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
대신리포트 모닝미팅 16031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29

  • 1. 2015년 04월 29일 수요일 투자포커스 [5월 주식시장 전망] - 5월 코스피 밴드 : 2,100~2,200 - 5월초까지 코스피 정체 국면. 업종별 순환매 마무리. 금리, 환율 방향전환에 따른 마찰음 때문 - 5월 중순 이후 코스피 상승 탄력 강화. 트리거는 5월 13일 유로존 GDP 발표. 부진했던 이탈리아 성장률의 플러스 진입이 포인트. 유동성과 펀더멘탈의 선순환을 만드는 첫 출발이 될 것 - 5월 업종 선택의 포인트는 금리와 환율에 대한 뷰. 원화강세 압력은 5월에도 지속. 금리는 금통위 이후 반락 - 주도업종 중 금리와 환율 영향이 낮은 업종은 화학, 에너지업종. 금리 상승이 추세적이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 면 5월초 조정시 증권, 건설업종 비중 확대. 자회사 주가상승이 후행적으로 반응하는 지주회사와 저유가, 원 화강세가 긍정적인 운송업종 유망 오승훈. 769.3803 abc@daishin.com 산업 및 종목 분석 현대하이스코: 1Q 리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세전이익은 하회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8,000원 유지 - 1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단, 세전이익은 일회성 자원개발 손상차손으로 예상치 하회 - 2분기에도 해외법인 중심의 안정적 수익성 지속전망, 하반기 미국 강관 반덤핑이 변수 - 4/28 현대제철 종가기준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약 67,850원으로 현대하이스코 종가 66,600원과 반대 매수 청구권 63,552원보다 높아 현 시점에서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유리 이종형. 769.3069 jhlee76@daishin.com KB금융: 안심전환대출 우려 있지만 건전성 개선과 자본력이 이를 상쇄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2,000원 유지 - 1분기 순익은 6,050억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실적 개선의 배경은 순이자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이익 이 호조세를 보였고, 자산건전성의 대폭적인 개선으로 대손상각비가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 - 안심전환대출 유동화에 따라 2분기 NIM 12~13bp 추가 하락 전망. 다만 NIM 저점은 2분기에 확인될 것 - 큰폭의 자산건전성 개선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자본비율 또한 더욱 견고해져 성장여력과 배당여력 측면 에서 프리미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 최정욱, CFA. 769.3837 cuchoi@daishin.com 롯데케미칼: 에틸렌의 저력을 확인한 실적 -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360,000원으로 상향(9.1%) - 이익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 상향제시. 3월부터 에틸렌 체인 마진확대로 급격하게 실적이 개선 - 1분기 영업이익 1,780억원으로 컨센서스 36% 상회.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1.6% 시현 - 2분기 영업이익 3,442억원 추정(QoQ +93%). PE/PP, MEG 강세에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5.4% 예상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 2. 2 효성: 실적 실적 서프라이즈,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상향(33.3%) - 스판덱스 호조, 기존 사업의 턴어라운드, 폴리케톤의 3박자.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 1분기 영업이익 2,222억원(QoQ +31%, YoY +103%)으로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달성. 당사 추정치(1464억 원) 및 시장 컨센서스(1,440억원)를 약 53% 상회 - 2015년 영업이익 추정치 8,667억원으로 사상최대 이익 전망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두산인프라코어: 구조조정 마무리, 이제 그 효과를 즐기자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원 유지 - 매출액,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는 실적 - 본사 구조조정 비용 30십억원 반영. 구조조정효과 제거 시, 전년대비 영업이익 소폭 성장 - 2분기부터는 유럽 벨기에 공장 및 본사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 반영되며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성 장하는 모습 보일 것 이지윤, 769.3429 leejiyun0829@daishin.com 삼성SDI: 1Q 실적은 예상치를 하회, 실적 개선 방향에 주목 -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165,000원으로 하향(-2.9%) - 1Q15년 매출(1조 8,659억원 / -2.3% qoq)과 영업이익(68억원 / -81.7% qoq)은 당사 및 시장 추정치를 하회. 순이익은 예상치를 상회한 646억원(흑자전환 qoq)을 시현 - 케미칼 및 전자재료의 추정 영업이익은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였으나 소형, 중대형전지 매출이 감소하면서 고정비 부담 가중으로 적자규모가 확대, 전사적으로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록 - 1Q15년 기점으로 전사 영업이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다른 IT기업(휴대폰분야) 대비 하반기에 이익 개선 이 높을 전망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LG이노텍: 1Q15년 실적은 카메라모듈이 이익을 견인 -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35,000원 유지 - 1Q15년 매출(1조 5,413억원)과 영업이익(690억원)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 다만 전년동기대 비 각각 5.7%, 9.4%씩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판단 - 해외 전략 거래선의 스마트폰 판매호조로 카메라모듈 매출(7,119억원)이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매출비중 은 5%p 확대된 45%를 기록 - 2Q15년 매출은 1조 5,426억원, 영업이익은 781억원 전망. LG전자향 카메라모듈(전면, 후면) 공급 시작, LED의 믹스 개선 효과로 적자 축소 예상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삼성테크윈: 2Q 이후 및 사업 방향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높음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Marketperform)’및 목표주가 26,000원 유지 - 1Q15년 실적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상회. 매출은 6,0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3% 감소하였으나 영 업이익(103억원)은 전년동기(33억원)대비 증가, 전분기대비 흑자전환 시현 - 감시형카메라(SS) 매출이 1,758억원으로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이익률 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 - 그러나 현시점에서 실적 개선보다는 진행되는 매각 일정 및 향후 사업 방향의 지속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판단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 3. 3 LG+: ARPU의 일시적 정체 -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3,500원 유지 - 1Q15 매출액 2.6조원(-8.1% yoy, -4.8% qoq), 영업이익 1,547억원(+36.8% yoy, -18.8% qoq) 으로 전 반적 시장 기대수준에 부합한 실적 - 1Q15 무선 ARPU는 4Q14 발생한 일회성 정산 수익 300억원 제외시 2% 감소 - ARPU 하락은 고민, 하지만 단통법 도입 초기의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김회재, 769.3540 khjaeje@daishin.com 현대중공업 1Q Review: 일회성 비용 제거 시, 무난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50,000원 유지 - 1Q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일회성 퇴직위로금 161십억원 제거 시, 시장 기대치 수준 - 단기적으로 긍정 흐름 이어갈 수 있으나 보수적 투자 권고 * 긍정포인트 : 정유 부문 기대감 반영 + 선박 수주 지속 + 실적에 대한 우려 완화 + 긍정적 외국인 수급 * 2Q 후반으로 갈수록 우려 증가 예상 : 해양 없이 선박 수주만으로 연간 수주 목표 미달 가능성 커질 것 + 발주 약세로 수주 경쟁 격해지며 선가 약세 예상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현대미포 1Q Review: 실적은 깜짝 실적. 주가 상승 기대감은 약해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88,000원으로 상향(+17%) * 목표주가 상향은 실적 상향 조정 반영. 2015년 PBR 0.84배 수준 * PBR 0.84배는 하이증권 PBR 1.3배, 기타 0.7배를 적용한 것 - 1Q 실적 기대치 상회. 조선, 금융(하이증권) 모두 기대치 상회 - 1Q의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 보다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의한 것으로 2Q이후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동사의 주력 수주 선종인 PC선과 LPG선의 발주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또한 이들 선종의 선가 약세가 예상되어 추가 상승 기대감은 약함. 현재 PBR 0.92배 거래되고 있는데, 대형조선 3사의 0.7배 보다 높게 거래되고 있는 점도 부담 요인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삼성중공업 1Q Review: Drillship 매출 감소에 대한 우려 증가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목표주가 17,000원으로 하향(-6%) 조정 * 생각 보다 빠른 실적 둔화를 반영. 목표주가는 PBR 0.7배 - 1Q 영업이익 생각 보다 빠르게 둔화. Drillship 감소 + 적자 해양 매출 증가 - 2Q에 매출 회복되며 이익 수준은 1Q 보다 개선되겠으나 기존 생각했던 수준 보다 낮아짐 * 기존 2015년 OPM 2.8% -> 1.4%로 하향 조정 - 유가 80불까지 회복한다는 기대감 생겨야 투자 가능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두산엔진 1Q Review: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으로 하향(-5%) 조정 * 기존 투자포인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발현 시점이 지연되는 점 감안 -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기존 긍정포인트 약화와 발현 시점 지연은 있으나 길게 볼 경우, 여전히 유효 * 주가 하락 조정 요인이라기 보다는 주가 상승 속도가 늦어지는 효과로 생각 - LNG선용 엔진 수주를 2Q에는 기대할 수 있어 단기 모멘텀 기대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 4. 4 투자포커스 금리, 환율변화와 업종선택 [5월 주식시장 전망] 오승훈 02.769.3803 oshoon99@daishin.com *5월 코스피 밴드 : 2,100~2,200 5월 주식시장은 유동성과 펀더멘탈(경기, 실적)의 선순환을 확인하는 시간이 될 2,100선 이상에서 은 행, 보험, 자동차등 소외업종의 순환 상승이 나타나면서 업종별 순환매가 마무리 되었다. 급등했던 코 스피는 5월초까지 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되는 정체 국면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강했던 외국인 순매 수는 신흥국 펀드플로우 개선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금리 및 환율에서 나타난 방향 전환(원화 강세, 금리상승)이 주는 마찰음도 5월초 상승 탄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5월 중순 이후 코스피의 상승탄력이 다시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트리거는 5월 13일 유로존 GDP 발표가 될 것이다. 5월 13일 1분기 유럽 GDP성장률은 호전된 지표 영향으로 예상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유럽내에서 가장 부진했던 이탈리아 성장률이 플러스권에 진입하게 되면 유럽경기를 보는 시각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유로존 경기에 대한 시각 변화는 과거 미국이 그랬던 것처럼 유동성과 펀더멘탈의 선순환을 만드는 첫 출발이 될 것이다. *금리, 환율 변화와 5월 업종전략 5월 업종 선택은 금리, 환율에 대한 뷰에서 출발한다. 우선 금리의 추세적 상승이 시작되었다고 보지 않는다. 현재 금리 상승은 5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 진데 따른 되돌림 성격이 강하다. 금통위 전까지 상승압력이 존재하지만 금통위 이후 다시 하락 압력 이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원화강세 압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통화정책 대응 필요성이 높아진 다는 점도 금리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외국인의 채권 및 주식시장으로의 대규모 자금유입에 강세를 보이는 원화는 5월에도 강세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주도업종 중 금리와 환율 변화를 크케 받지 않은 업종은 화학, 에너지업종이다. 이익 턴어라운드가 확 인되었고, 금리의 변화가 물가 기대의 상승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주도력이 강화될 수 있다. 금 리 상승이 추세적이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5월초 조정시 증권, 건설업종에 대한 비중 확대가 필요하 다. 주도주군 외에 관심을 가져볼 만한 업종은 지배구조관련주(지주회사)와 운송업종이다. 삼성SDS 지분 에 대한 대주주 보호예수가 종료되는 점과 자회사의 실적 및 주가상승에 지주사가 후행한다는 점에서 아직 상승률이 낮은 지주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다. 운송업종은 유가의 이익개선효과와 원화강 세에 의해 좋은 투자기회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은행, 보험, 자동차 업종등 2100선 이상 에서 상승을 주도한 업종의 경우 비중확대보다 중립적인 관점에서 대응이 필요하다. 금리 상승이 기조 적이지 않고 원화강세 압력이 향후 3개월 높아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 5. 5 Results Comment 현대하이스코 (010520) 1Q 리뷰: 영업이익은 예상 치 부합, 세전이익은 하회 이종형 769.3069 jhlee76@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88,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66,600 철강금속업종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88,000원(유지) - 1Q15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단, 세전이익은 일회성 자원개발 손상차손으로 예상치 하회 - 2Q15에도 해외법인 중심의 안정적 수익성 지속전망, 2H15는 미국의 강관 반덤핑이 변수 - 4/28 현대제철 종가기준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약 67,850원으로 현대하이스코 종가 66,600원과 반대매수 청구권 63,552원보다 높아 현 시점에서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유리 - 단, 거래정지 시점 인접해 각각의 주가로 현대하이스코의 가치를 재산정해 볼 필요 있음 1Q15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 세전이익은 일회성 자원개발 손상차손으로 예상치 하회 - 연결 영업이익은 780억원(-15%QoQ, -20%YoY)으로 컨센서스 744억원과 대신증권 추정 치 760억원에 부합. 1Q14 영업이익 973억원 중 408억원의 일회성 이익을 감안하면 실질적 인 1Q15 영업이익은 +38%YoY 개선된 양호한 실적 - 해외법인 판매량은 60.3만톤(+1%YoY, 내부거래 제거 후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유지. 단, 철 강가격 하락으로 해외법인 매출액은 7.9억불(-5%YoY, 내부거래 제거 전 기준)으로 감소 - 해외법인 중 러시아법인과 휴스턴법인은 각각 루블화 하락, 북미 유정관시황 악화로 수익성 이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열연가격 급락으로 본사 강관부분 수익성이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전체수익성은 예상치에 부합했던 것으로 추정. 경량화사업은 여전히 소폭적자 추정 - 연결 세전이익은 315억원(-66%YoY)으로 컨센서스 666억과 대신증권 추정치 654억을 크 게 하회. 잠빌 광구에서 약 260억원, 타라나키 광구에서 약 20억원 등 약 280억원의 자원개 발관련 손상차손을 반영했기 때문. 1Q15말 기준 유전관련 잔존가는 약 160억원으로 추정 2Q15에도 해외법인 중심의 안정적 수익성 지속전망, 2H15는 미국의 강관 반덤핑이 변수 - 연결 영업이익은 783억원(-16%YoY) 전망. 2Q14에도 140억원의 일회성 영업이익이 반영 되었음을 감안하면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실적예상 (일회성 제외시 793억원) - 사업부별로 해외법인은 계절적 성수기효과와 루블화 상승에 의한 러시아법인 수익성개선으 로 1Q15대비 실적개선 예상. 단, 본사 강관부분은 유가하락에 의한 유정관시황 부진영향으 로 수익성은 하락 예상되어 전체 영업이익은 1Q15와 유사한 수준이 유지될 전망 - 하반기는 미국의 유정관 반덤핑 연례재심과 송유관 반덤핑 판결이 대기하고 있어 강관부분 실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대규모 덤핑관세율만 아니라면 해외법인의 안정적 수익성을 바탕 으로 분기당 700~800억원 수준의 안정적 영업이익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 자원개발 관련해 향후 추가적인 손상차손이 발생할 수 있으나 유전관련 잔존가 약 160억원 과 멕시코광산 관련 대여금 약 100억원을 제외하면 추가비용 발생은 제한적일 전망 - 1Q15 실적 반영해 15E 및 16E EPS를 기존추정치 대비 각각 16%, 1% 하향 현 주가 기준 현대하이스코 주주는 반대매수 청구보다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유리 - 7/1 현대제철과의 합병으로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현대제철 0.8577607주에 해당 - 4/28 현대제철 종가 79,100원 기준 현대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약 67,850원으로 4/28 현 대하이스코 종가 66,600원과 반대매수 청구권 63,552원보다 높아 현 시점에서는 장내매도 나 반대매수 청구보다는 현대제철 주식교환이 가장 유리 - 단, 현대제철 주가에 따라 받게 되는 하이스코 1주의 가치는 매일 변하기 때문에 반대매수 청구기간과 거래정지 직전 각각의 주가로 현대하이스코의 가치를 재산정해 볼 필요 있음 - 현대하이스코는 6/29부터 매매 거래정지되며 그 전까지 주가는 현대제철과 동행할 전망. 현 대제철의 합병신주는 7/15 신규상장 예정임 KOSPI 2147.67 시가총액 1,519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1% 자본금(보통주) 114십억원 52주 최고/최저 93,500원 / 52,3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02억원 외국인지분율 15.88% 주요주주 현대자동차 외 5 인 55.03% 국민연금 8.42%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1 -11.4 -13.1 22.4 상대수익률 -3.0 -19.1 -22.0 12.3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45 55 65 75 85 95 10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현대하이스코(좌) Relative to KOSPI(우)
  • 6. 6 Results Comment KB 금융 (105560) 안심전환대출 우려 있지만 건전성 개선과 자본력이 이를 상쇄 최정욱, CFA 02.769.3837 cuchoi@daishin.com 박찬주 769.2735 cj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52,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40,550 은행업종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2,000원 유지 - 목표주가는 2015년말 추정 BPS 74,683원대비 목표 PBR 0.65배를 적용해 산출 - 1분기 순익은 전년동기대비 68.4% 증가한 6,050억원으로 컨센서스와 우리예상치를 크게 상회 - 실적 개선의 배경은 성장률 둔화와 NIM 하락에 따른 순이자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 및 신 탁 부문에서 수수료이익이 호조세를 보였고, 자산건전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면서 그룹 대손상각비가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 - 법인세부과 취소소송 승소에 따른 특별이익(영업외이익)이 1,803억원 발생한 점도 이익 개선에 기여 - 타행과 마찬가지로 금리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크게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투자채 권 매각익은 450억원 추정), POSCO·쌍용건설·경남기업 관련 유가증권 감액손실도 약 520억 원 발생하고 환율 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외화환산손실도 388억원 인식하면서 기타비이자이익 개 선 폭이 타행과는 다르게 크게 두드러지지는 않았음 - 자산건전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면서 그룹 대손충당금이 1,940억원에 불과해 총자산대비 대손상 긱비율이 0.25%까지 하락. 특히 그동안 타행보다 credit cost가 높았던 가계부문에서의 충당금 감소 폭이 더 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계절성 효과가 소멸되면서 2분기 이후 가계 충당금은 다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전과 같은 수준으로 복원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 안심전환대출 판매액이 8.8조원에 달하는 등 타행보다 판매 규모가 많았기 때문에 그만큼 수익성 악화 폭도 클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최근 주가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시현 중. 그러나 건전성 개선 추세가 이러한 우려를 상쇄할 것이고, 한층 더 견고해진 자본비율에 따른 성장여력과 배당여력은 분명 프리미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 신임 이사회에서 CEO 승계프로그램 방안을 확 정할 경우 지배구조 개선 기대감도 재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안심전환대출 유동화에 따라 2분기 NIM 큰폭 추가 하락 전망. 다만 NIM 저점은 2분기에 확인 - KB금융이 판매한 1, 2차 안심전환대출 규모는 8.8조원으로 전체 판매액 33.9조원의 26%를 차지 - 이 중 약 1.7조원이 1분기에 기표되면서 이연부대비용 일시 인식(근저당 설정비 102억원 비용 처 리)으로 NIM이 약 2bp 추가 하락. 상기 요인을 제외한 은행의 1분기 실질적 NIM 하락 폭은 5bp - 잔여 7.1조원이 2분기에 기표되므로(이연부대비용 상각 규모는 약 370억원) 2분기에 약 6bp의 추 가 하락 요인 상존. 게다가 3월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영향 및 전환전 대출금리와 향후 매입하게 될 MBS금리와의 차이까지 감안할 경우 2분기 NIM은 분기 기준으로 약 12~13bp 추가 하락할 전망. 회사측은 안심전환대출 판매에 따른 연간 NIM 하락 효과를 약 8bp로 추정하고 있음 - 다만 안심전환대출 유동화시에 수취할 수 있는 취급수수료는 약 440~790억원(2분기에 모두 유 동화된다고 가정할 경우 8.8조원의 50~90bp) 수준. 따라서 NIM 하락에 따른 이자이익 감소분을 일정부분 상쇄할 전망 - 1분기 핵심저원가성 예금은 80조원으로 전년말대비 5.4%나 증가. 안심전환대출 효과로 2분기 NIM이 추가 급락하겠지만 이로 인해 KB금융 NIM 저점은 2분기에 확인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는 점과 더욱 견고해진 자본비율이 우려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 - 상·매각전 실질 NPL이 전분기대비 2,850억원 순증에 그치고 실질 요주의여신은 1,420억원 순 감해 4분기에 이어 1분기에도 큰폭의 자산건전성 개선 추세가 지속. 실질 연체 순증 규모는 4,300 억원으로 4천억원대 수준이 유지되고 있지만 계절성 요인을 고려시 실제로는 감소 흐름으로 이해 - 위험가중자산(RWA) 산정시 기업형 SOHO에 대해 내부등급법 사용을 승인받음에 따라 이익 증가 와 더불어 RWA 감소로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이 전년말 13.2%에서 13.8%로 상승하면서 자본비율 이 더욱 견고한 수준으로 상승. 타행을 압도하는 높은 자본비율은 유기적인 성장률 추구 또는 비은 행 M&A 기회 제고 여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인. 또한 넉넉한 자본비율은 배당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배당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KOSPI 2,147.67 시가총액 15,667십억원 시가총액비중 1.16% 자본금(보통주) 1,932십억원 52주 최고/최저 43,000원 / 34,2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340억원 외국인지분율 71.08% 주요주주 국민연금 9.42% Franklin Resources Inc 외 44 인 7.00%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5.9 11.1 -1.5 15.7 상대수익률 -0.4 1.5 -11.6 6.1 -10 -5 0 5 10 15 20 25 27 29 31 33 35 37 39 41 43 4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KB금융(좌) Relative to KOSPI(우)
  • 7. 7 Results Comment 롯데케미칼 (011170) 에틸렌의 저력을 확인한 실적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360,000 상향 현재주가 (15.04.28) 265,000 화학업종 2015~2016년 영업이익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 상향제시 -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360,000원(상향, 기존 330,000원) 제시 - 2015~201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15% 가량 상향함에 따른 목표주가 조정 - 목표주가는 2016년까지의 Up-Cyle을 감안하여, 2015~2016년 평균 BPS 226,667원에 Target PBR 1.6배를 적용하여 산정. 2015~2016년 평균 ROE 13.1%, COE 9.0% 가정 - 목표주가는 2015~2016년 평균 EPS의 12.8배 수준 - 현 주가는 12M Fwd 기준 PBR, PER 각각 1.19배, 9.8배에 해당 1Q15 실적으로 검증된 에틸렌의 힘. 타이탄 또한 2Q15부터 개선세가 나타날 전망 - 석유화학 업황 2016년까지 Up-Cycle을 예상. 특히, 에틸렌 강세는 2016년까지 지속 예상 - 2006~2007년 에틸렌 Cycle에서 올레핀부문, 타이탄케미칼 OPM은 분기 10%~18% 수 준. 당시보다 에틸렌/PE 마진이 높은 수준임을 감안하면 충분히 10% 이상의 OPM 달성 가 능함. 당사 추정치에 반영된 OPM은 각각 연간 13%, 5.2% 수준. 추정치 상향 가능성 충분 - 1Q15 실적은 1~2월 유가하락에 따른 부진에도 불구하고, 3월부터 에틸렌 체인 마진 확대 로 급격하게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 결국, Capa에 의한 물량/마진의 ‘이익레버리지’를 1Q15 실적을 통해 확인함. 2Q15 이후는 실적 정상화로 인해 실적 개선 크게 나타날 전망 - 타이탄케미칼 또한 2Q15부터 마진 정상화가 이루어지며 실적 개선에 동참할 것 - 부타디엔은 지금이 바닥이라는 판단. 빠르면 하반기부터 눈에 띄는 개선세가 나타날 전망 1Q15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36% 상회.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1.6% 시현 - 영업이익 1,780억원(QoQ +218%, YoY +161%) 기록. 시장예상치(1,310억원) 및 당사 추정 치(1,570억원)를 모두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시현. 올레핀부문 호조에 따른 영향 - 올레핀부문 호조(2,012억원, QoQ +62%, OPM 11.6%)는 PE/PP, MEG 마진 강세에 기인. 부타디엔 또한 분기 후반부터 일정 수준 이익 기여가 나타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됨 - 아로마틱부문/타이탄케미칼 영업이익 각각 -383억원, 130억원(OPM 2.4%)을 기록 2Q15 영업이익 전분기 대비 큰 폭 개선 예상. 올레핀부문 영업이익률 15.4% 예상 - 영업이익 3,442억원(QoQ +93%, YoY +308%) 추정. PE/PP, MEG 강세에 따라 올레핀 부 문 영업이익 3,168억원(QoQ +57.4%, OPM 15.4%) 예상. SM/BD 또한 실적 개선 예상 - 아로마틱부문/타이탄케미칼 영업이익 각각 -133억원, 407억원(OPM 6.1%) 추정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3,873 3,495 2,945 2,865 2,806 -27.6 -19.7 3,282 -13.2 17.0 영업이익 68 56 131 157 178 160.5 217.7 344 308.1 93.4 순이익 49 -56 97 120 121 148.7 흑전 257 387.5 112.7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16,439 14,859 12,381 13,668 13,374 -2.2 -9.6 -10.0 영업이익 487 351 719 1,003 1,157 15.3 -28.0 229.6 순이익 288 147 523 779 845 8.5 -49.0 475.4 자료: 롯데케미칼,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9,083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68% 자본금(보통주) 171십억원 52주 최고/최저 271,000원 / 123,0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402억원 외국인지분율 31.47% 주요주주 롯데물산 외 3 인 53.55% 국민연금 6.79%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0.9 52.3 93.4 52.7 상대수익률 23.1 39.1 73.4 40.0 -40 -30 -20 -10 0 10 20 30 40 50 60 90 110 130 150 170 190 210 230 250 270 290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롯데케미칼(좌) Relative to KOSPI(우)
  • 8. 8 Results Comment 효성 (004800) 실적 서프라이즈,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윤재성 769.3362 js_yoo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60,000 상향 현재주가 (15.04.28) 108,000 화학업종 실적 추정치 조정에 따른 목표주가 상향 제시 -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160,000원(상향, 기존 120,000원) - 목표주가 조정은 2015년, 201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33%, 25% 상향함에 따른 것 - 목표주가는 기존 사업의 턴어라운드로 인한 실적 개선과 2016년부터 폴리케톤 성장성 부각 등을 반영하여, 2015~2016년 평균 BPS에 Target PBR 1.7배를 적용. 2015~2016년 평 균 ROE 14.4%, COE 7.8% 가정으로 도출된 적정 PBR에 20%를 할인하여 도출 - 목표주가는 2015~2016년 평균 EPS 기준 12.4배 수준 - 현 주가는 12M Fwd 기준 PBR, PER 각각 1.16배, 8.4배에 해당 스판덱스, 기존 사업의 턴어라운드, 폴리케톤의 3박자. 기업가치 재평가의 신호탄 - 자동차 경량화의 트렌드 하에서 폴리케톤의 성장성 부각 예상. 올해 7월부터 상업생산 시작 - 산업자재(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및 중공업의 턴어라운드에 따라 실적 우려가 완화되었고, 이에 따라 Valuation Discount 해소가 가능할 전망 - 스판덱스의 꾸준한 이익 창출력을 확인. 수요 호조에 따라 Cash Cow 역할 지속 예상 - ‘스판덱스의 호조’, ‘산업자재/중공업의 턴어라운드’, ‘폴리케톤 성장성’의 3박자는 지난 3년 간 지속된 Valuation 박스권 트레이딩의 관점에서 벗어나, 기업가치 재평가를 가능할 것 -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 8,667억원으로 사상최대 이익을 전망. 주가 또한 긍정적 흐름 예상 1Q15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달성. 산업자재/중공업의 턴어라운드가 인상적 - 영업이익 2,222억원(QoQ +31%, YoY +103%) 기록. 당사 추정치(1464억원) 및 시장 컨센 서스(1,440억원)를 약 53%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시현. 분기 기준 사상최대 이익을 달성 - 섬유부문은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스판덱스 스프레드 호조로 전분기와 유사한 이익 기록.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드의 개선이 나타남. 1) 원가하락 및 2) 환율효과 3) 물량 증 대 효과 등에 기인. 중공업부문은 미국의 반덤핑관세 환급(약 +200억원) 및 매출 증대 등 영 향으로 현격한 실적 개선. 화학부문은 프로판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PP가격 호조로 견조 2Q15 견조한 실적 흐름 지속 예상. 조업일수 증가 및 화학부문 실적 개선 예상 - 영업이익 2,200억원(QoQ -1%, YoY +12.9%) 추정. 섬유부문/산업자재 모두 조업일수 증가 로 견조한 실적 지속될 전망. 화학부문은 프로판 가격 하락 및 PP 가격 호조 등에 따라 전분 기 대비 실적 개선을 예상. 중공업부문은 일회성 이익요인 제거(반덤핑관세 환급)로 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하나 한전향 매출 증대 등 영향으로 견조한 수준 지속될 전망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2,792 3,317 2,846 3,026 2,793 0.0 -15.8 2,985 -4.0 6.9 영업이익 109 169 144 146 222 103.2 31.1 220 12.9 -1.0 순이익 -9 136 68 75 109 흑전 -20.2 115 -29.3 6.0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12,579 12,177 12,025 12,371 12,023 -2.8 -3.2 -1.3 영업이익 486 600 636 651 867 33.1 23.6 44.4 순이익 -229 269 324 340 444 30.4 흑전 64.8 자료: 효성,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3,793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28% 자본금(보통주) 176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09,500원 / 59,9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39억원 외국인지분율 29.52% 주요주주 조현준 외 7 인 32.56% 국민연금 9.46%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29.2 44.8 60.0 52.5 상대수익률 21.5 32.2 43.5 39.9 -20 -10 0 10 20 30 40 50 45 55 65 75 85 95 105 11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효성(좌) Relative to KOSPI(우)
  • 9. 9 Results Comment 두산인프라코어 (042670) 구조조정 마무리, 이제 그 효과를 즐기자 이지윤 769.3429 leejiyun0829@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5,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12,350 기계업종 15.1Q: 매출액,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는 실적 - 매출액 1.83조원(YoY +1%), 영업이익 76십억원(YoY -24%, OPM 4.1%), 순이익 -45십억 원(적전) - 실적 특이사항 1. 본사 구조조정 비용 30십억원 영업이익에 반영. 구조조정효과 제거 시, 영업이익 106십 억원(YoY +7%)로 전년대비 소폭 성장 2. 중국건기 매출액 YoY -63%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DIBH의 실적호조가 중국 실적부진 을 만회 3. 유로약세 달러강세가 맞물리면서 외환수지 -43십억원 발생, 밥캣의 이익 증가에 따른 법 인세증가로 순이익은 적자전환 DIBH 실적호조 배경 - DIBH 매출액 941십억원(YoY +15%), 영업이익 92십억원(YoY +127%, OPM 9.8%) 기록하 며 놀라운 성장을 보여줌 - 실적호조 배경은 1) 원/달러 환율 상승 (14.1Q 평균환율 1,069원-> 15.1Q 1,100원) 2) 본 격적인 Tier4 엔진 도입에 따른 ASP 증가와 판매량 회복 3) 고부가가치의 CTL 판매 증가 (CTL 매출액 비중 50%까지 증가) 2분기부터 구조조정 효과 본격적으로 반영. 지금이 매수 적기! - 동사는 2014년 유럽 벨기에 공장 구조조정, 2015.1분기 본사와 일부 중국법인 구조조정을 통해 매출원가 개선에 많은 노력을 함 - 2015년 2분기부터는 벨기에 공장, 본사 구조조정 효과로 약 15십억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반영되어 건기사업부 영업이익 전년대비 40% 가량 증가한 102십억원 예상 - DIBH 올해 건기제품 연간 판매량 증가 약 20%가능할 것으로 보고있고 환율도 우호적인 환 경이기 때문에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성장하는 모습 보일 것 - 아쉬운 점이 동사의 과도한 부채로인한 높은 영업외실적 변동성인데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Pre-IPO를 통한 자금으로 차입금을 상환하면서 점차적으로 영업외 변 동성을 줄여나갈 것으로 기대됨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809 1,975 1,859 1,840 1,834 1.4 -7.2 2,189 3.6 19.4 영업이익 99 108 86 75 76 -23.7 -30.3 154 5.6 103.6 순이익 4 -65 1 1 -45 적전 적지 34 -59.7 흑전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7,737 7,689 8,044 7,979 7,955 -0.3 -0.6 3.5 영업이익 370 453 514 504 495 -1.8 22.6 9.2 순이익 -102 42 137 135 63 -53.2 흑전 50.7 자료: 두산인프라코어,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2,562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9% 자본금(보통주) 1,037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3,900원 / 9,35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38억원 외국인지분율 23.96% 주요주주 두산중공업 외 7 인 36.43% 국민연금 5.01%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3 14.4 14.9 -4.6 상대수익률 -2.8 4.4 3.0 -12.6 -30 -25 -20 -15 -10 -5 0 5 10 8 9 10 11 12 13 14 15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두산인프라코어(좌) Relative to KOSPI(우)
  • 10. 10 Results Comment 삼성 SDI (006400) 1Q 실적은 예상치를 하회, 실적 개선 방향에 주목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박기범 769.2956 kb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65,000 하향 현재주가 (15.04.28) 126,000 2차전지/IT에너지 및 부품업종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165,000원으로 하향(-2.9%) - 1Q15년 매출(1조 8,659억원 / -2.3% qoq)과 영업이익(68억원 / -81.7% qoq)은 당사 및 시장 추정치를 하회. 순이익은 예상치를 상회한 646억원(흑자전환 qoq)을 시현 - 케미칼 및 전자재료의 추정 영업이익은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였으나 소형, 중대형전지 매 출이 감소하면서 고정비 부담 가중으로 적자규모가 확대, 전사적으로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 록 - 전지부문 매출은 7,95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7.5% 감소, 이는 폴리머전지는 증가 추세이나 각형타입의 소형전지 매출 감소, 원통형 타입의 비수기 영향을 받음. 또한 중대형전지도 전분 기대비 21% 매출 감소, 이는 ESS 수요 부진 및 자동차향 중형전지의 매출 부진에 기인 - 반면에 전자재료는 편광필름 및 OLED 부문의 매출 증가, 흑자기조를 유지한 점은 긍정적으 로 평가. 또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부문의 매출, 이익은 견조 - 1분기 실적을 반영, 15년 주당순이익을 종전대비 2.9% 하향. 2분기 실적 개선도 예상대비 다소 낮을 것으로 판단하여 목표주가를 165,000원으로 종전대비 3% 하향 조정.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 하반기를 기대하는 중장기적인 투자가 유망 - 투자포인트는 2Q15 중대형전지의 매출은 32.5% 증가(qoq) 및 적자 축소 기조로 진입 예상 - 첫째, 케미칼 및 전자재료의 수익성이 15년에 견고. 15년 동부문의 영업이익은 3,093억원으 로 전년대비 118.6% 증가, 전사적인 이익 성장을 견인, 케미칼의 스프레드 마진 확대 및 편 광필름, OLED 등 소재부문의 가동율 증가, 수율 개선 등으로 마진율이 전년대비 증가 전망 - 둘째, 1Q15년 기점으로 전사 영업이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다른 IT기업(휴대폰분야) 대비 하반기에 이익 개선이 높을 전망. 15년 1분기 68억원을 저점으로 2분기 280억원, 3분기 390억원, 4분기 652억원으로 예상. 전사 영업이익도 15년 1,390억원에서 16년 2,766억원 으로 확대 전망 - 셋째, 중대형전지의 매출도 15년 2분기 기점으로 증가, 고정비 절감으로 적자 규모가 감소하 는 추세를 예상. ESS는 보조금 재개로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자동차향 중형전지는 BMW의 라인업 확대 및 신규 거래선 추가 등으로 매출이 전분기대비 32.5% 증가할 전망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887 1,910 1,891 1,898 1,866 -1.1 -2.3 1,927 1.5 3.3 영업이익 15 37 30 32 7 -55.9 -81.7 28 -29.6 311.8 순이익 57 -129 62 55 65 14.4 흑전 68 170.6 5.4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3,428 5,474 8,295 8,287 7,868 -5.1 59.7 43.7 영업이익 -11 71 256 213 139 -34.8 흑전 96.2 순이익 131 -84 377 281 273 -2.9 적전 흑전 주: 순이익은 지배지분기준, 분기별 실적은 합병및 PDP 제외기준 자료: 삼성SDI,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8,781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66% 자본금(보통주) 348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73,000원 / 103,5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339억원 외국인지분율 28.90%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3 인 20.57% 국민연금 8.51%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9.7 -1.9 7.2 -16.0 상대수익률 -15.1 -10.4 -3.9 -23.0 -35 -30 -25 -20 -15 -10 -5 0 5 10 15 2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삼성SDI(좌) Relative to KOSPI(우)
  • 11. 11 Results Comment LG 이노텍 (011070) 1Q15년 실적은 카메라모듈이 이익을 견인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박기범 769.2956 kb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35,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105,000 가전 및 전자부품업종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35,000원 유지 - 1Q15년 매출(1조 5,413억원)과 영업이익(690억원)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 다 만 전년동기대비 각각 5.7%, 9.4%씩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판단. 순이익(281 억원)은 전년대비 71.2% 증가 시현 - 해외 전략 거래선의 스마트폰 판매호조로 카메라모듈 매출(7,119억원)이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매출비중은 5%p 확대된 45%를 기록 - 차량통신모듈 및 LED 중심으로 차량부품 매출도(1,503억원)도 전년대비 20% 증가하면서 신성장동력원 역할 지속 - 2Q15년 매출은 1조 5,426억원, 영업이익은 781억원 전망. LG전자향 카메라모듈(전면, 후 면) 공급 시작, LED의 믹스 개선 효과로 적자 축소 예상 - 1분기 실적을 반영, 15년 주당순이익을 2.3% 하향, 조정 폭이 미미한 관계로 LG이노텍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BUY)’ 및 목표주가는 135,000원을 유지. 투자포인트는 15년 하반기 LED 흑자전환 예상, LG전자 및 전략거래선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로 카메라 모듈의 성장 지속 - 첫째, 글로벌 전략거래선의 신스마트폰 출시로 15년 하반기의 매출, 이익 증가세가 상반기대 비 높을 전망. 종전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 화소 수가 8M이나 1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모 델은 1300만화소로 상향될 가능성이 높음. 또한 3D 기능을 위한 듀얼카메라를 채택할 가능 성도 상존 - LG전자의 새로운 플래그쉽 스마트폰 출시도 4Q15년 중으로 예정, 카메라모듈의 매출과 이 익이 추가로 증가할 전망. OIS 기능 확대 및 전면 화소 수가 8M로 상향되면서 카메라모듈 내 ASP 상승 효과 기대 - 둘째, LED의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시점이 15년 3분기임. 지난 2010년에 LED 부문의 투자에 대한 감가상각비가 15년 3분기 기점으로 빠르게 축소되면서 LED의 수 익성이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 고정비가 절감 과정과 조명비중 확대, 제품 믹스 개선효과 로 4분기를 기점으로 손익분기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 - 셋째, 자동차향 부품 매출 증가가 4분기를 기점으로 본격화할 전망. 15년 1분기까지 수주잔 고는 4.7조원으로 3년전에 이루어진 수주가 매출로 연결되는 시점. LG전자가 자동차향 부 품 사업을 확대하는 점도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459 1,815 1,646 1,642 1,541 5.7 -15.1 1,543 0.0 0.1 영업이익 63 58 71 72 69 9.4 19.0 78 -13.1 13.2 순이익 16 -6 37 37 28 71.2 흑전 46 6.2 65.0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6,212 6,466 7,045 7,057 6,616 -6.3 4.1 2.3 영업이익 136 314 362 354 341 -3.5 130.6 8.8 순이익 16 113 204 201 196 -2.3 625.0 74.3 주: 순이익은 지배지분기준/ 자료: LG이노텍,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2,485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9% 자본금(보통주) 118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50,000원 / 82,2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205억원 외국인지분율 13.67% 주요주주 LG전자 외 3 인 40.81% 국민연금 13.22%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8.3 -4.1 -0.9 -7.5 상대수익률 -13.8 -12.4 -11.2 -15.2 -30 -20 -10 0 10 20 30 40 72 82 92 102 112 122 132 142 152 162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LG이노텍(좌) Relative to KOSPI(우)
  • 12. 12 Results Comment 삼성테크윈 (012450) 2Q 이후 및 사업 방향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높음 박강호 769.3087 john_park@daishin.com 박기범 769.2956 kbpark04@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26,0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26,350 가전 및 전자부품업종 투자의견 ‘시장수익률(Marketperform)’ 및 목표주가 26,000원 유지 - 1Q15년 실적은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상회. 매출은 6,0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3% 감 소하였으나 영업이익(103억원)은 전년동기(33억원)대비 증가, 전분기대비 흑자전환 시현. 순 이익도 182억원을 기록 - 감시형카메라(SS) 매출이 1,758억원으로 당사의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이익률 개선에 중추적 인 역할을 담당. 또한 환율 상승(원달러 평가절하) 효과도 일부 반영 - 그러나 현시점에서 실적 개선보다는 진행되는 매각 일정 및 향후 사업 방향의 지속성에 대 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판단 - 삼성테크윈에 대한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Maketperform)’ 및 목표주가 26,000원을 그대로 유지. 그 이유는 - 첫째, 한화그룹으로 매각 추진에 대한 위로금 지급 여부 및 규모가 미정이며, 현재 영업활동 도 정상수준대비 위축, 가동율 하락으로 15년 2분기 이후 실적에 대한 추정이 어려움. 위로 금 지급 주체 및 지급 규모, 타결 시점에 따라 단기적으로 15년 2분기 및 3분기 실적에 영향 을 줄 것으로 추정 - 둘째, 한화 인수 이후에 감시형카메라(SS), 반도체 장비 부문(IMS)의 영업 지속성 및 경쟁력 확대 여부가 현재시점에 명확하지 않은 점도 부담으로 작용. 삼성그룹의 브랜드 소멸 및 삼 성전자와 영업 관련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한화그룹에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구 조임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603.8 683.3 592.2 606.2 602.2 -0.3 -11.9 638.4 -4.1 6.0 영업이익 3.3 -23.4 -1.0 9.3 10.3 214.0 흑전 8.9 -61.2 -14.1 순이익 10.2 -103.8 -5.8 1.4 18.2 79.1 흑전 6.8 흑전 -62.7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2,629.8 2,615.6 2,583.5 2,576.6 2,553.4 -0.9 -0.5 -2.4 영업이익 96.0 7.9 30.9 33.8 26.9 -20.4 -91.8 242.7 순이익 132.5 -118.8 19.6 14.1 29.6 109.7 적전 흑전 자료: 삼성테크윈,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1,400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0% 자본금(보통주) 266십억원 52주 최고/최저 58,900원 / 21,3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204억원 외국인지분율 5.84%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6 인 32.39% 한국투자신탁운용 10.66%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10.5 10.5 -8.2 -53.9 상대수익률 3.9 0.9 -17.7 -57.7 -70 -60 -50 -40 -30 -20 -10 0 10 18 23 28 33 38 43 48 53 58 63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삼성테크윈(좌) Relative to KOSPI(우)
  • 13. 13 Results Comment LG 유플러스 (032640) ARPU의 일시적 정체 김회재 769.3540 khjaeje@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13,500 유지 현재주가 (15.04.28) 10,800 통신서비스업종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3,500원 유지 - 2015년 예상 EPS 902원에 PER 14배(업종 Target 13배 대비 10% 프리미엄) 적용 1Q15 Results. 마케팅비용 안정, 이익 양호, ARPU는 다소 아쉬운 실적 - LGU+의 1Q15 매출액은 2.6조원(-8.1% yoy, -4.8% qoq), 영업이익은 1,547억원(+36.8% yoy, -18.8% qoq)을 달성하여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수준에 부합한 실적 달성 - 1Q14 대비: 무선 ARPU는 LTE 가입자의 꾸준한 증가에 힘입어 1.2% 상승했고, 단말기 유 통법 도입을 계기로 이동전화 시장이 안정되면서 마케팅비용은 8.6% 감소하여 영업이익은 1Q14의 1,132억원 대비 크게 개선. 매출액은 단말기 유통법 도입 이후 단말기에 대한 제조사 장려금과 단말매출을 차감하는 회계 도입으로 8.1% 감소하였지만, 단말매출과 판매수수료가 동시에 감소하므로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없음. 단말매출을 제외한 영업수익은 TPS(초고 속 인터넷, IPTV, VoIP) 매출 상승에 힘입어 4.5% 증가 - 4Q14 대비: 무선 ARPU의 4.4% 감소(일회성 매출 300억원 제외시 실제 ARPU는 2% 감 소) 영향으로 영업수익 4.5% 감소했으나, 우려와 달리 마케팅비용은 오히려 3% 감소한 영향으 로 영업이익은 18.8% 감소 무선 ARPU에 대한 고민. 일시적 정체일 가능성 높음 - 1Q15 무선 ARPU는 35,792원으로 4Q14 대비 4.4% 감소. 4Q14에 발생한 일회성 정산 수 익 300억원을 제외한 ARPU 기준으로는 2% 감소. LGU+의 무선 ARPU는 LTE 도입 이후 2Q11에 상승 추세로 전환한 이후, 1Q14에 일시적으로 -0.1% qoq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15개 분기 동안 평균 2.8%, 누적 50%의 상승을 보여줌. 따라서, 1Q15의 ARPU 하락은 고민 해볼 사항. 다만, 아직까지는 단말기 유통법 도입 초기의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단말기 유통법 초기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근거? 1) 3Q14부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가 본격 적으로 유입되었고, 당시 신규 가입자의 50%가 무제한 요금제 선택. 당시 프로모션은 4~5개 월 사용 후 하위 요금제로 변경할 수 있는 조건으로 높은 보조금 지급. 1Q15에 3Q14에 가입 한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들의 요금제 하향 발생. 2) 4Q14 단말기 유통법 도입 이후에는 신규 가입자의 25% 정도만 무제한 요금제 가입. 하지만, 이들은 향후 요금제를 낮출 가능성이 없는 real 가입자(단말기 유통법 도입 이후에는 일정 기간 후 요금제를 낮출 수 있는 조건으로 고가 의 요금제 가입 유도가 금지되기 때문). 결국 1)과 2)의 상황이 1Q15에 겹치면서 ARPU의 일 시적 하락 발생 - 따라서, 2Q15부터는 비록 ARPU의 상승폭은 분기별 평균 1% 정도 수준으로 다소 감소하더 라도, 허수 가입자 없는 real 가입자의 ARPU가 반영되면서 ARPU는 다시 반등할 것으로 전망 - LTE 도입 초기 프로모션의 성과로 LGU+ 가입자들의 평균 데이터 소비량이 4GB로 국내 평 균인 3.2G를 크게 넘어서고 있기 때문에, LTE 보급률이 75.8%이고, LTE 순증 규모가 줄어들 었지만, 아직까지는 ARPU 상승이 가능하다고 판단 KOSPI 2147.67 시가총액 4,715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35% 자본금(보통주) 2,574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2,850원 / 8,89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212억원 외국인지분율 34.20% 주요주주 LG 외 3 인 36.12% 국민연금 8.57%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4.0 -13.3 -6.1 6.4 상대수익률 -9.7 -20.8 -15.8 -2.4 -20 -15 -10 -5 0 5 10 15 20 25 30 7 8 9 10 11 12 13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LG유플러스(좌) Relative to KOSPI(우)
  • 14. 14 Results Comment 현대중공업 (009540) 1Q Review : 일회성 비용 제거 시, 무난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50,000 유지 현재주가 (15.02.12) 153,50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50,000원 유지 - 1Q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일회성 퇴직위로금 161십억원 제거 시, 시장 기대치 수준 - 단기적으로 긍정 흐름 이어갈 수 있으나 보수적 투자 권고 * 긍정포인트 : 정유 부문 기대감 반영 + 선박 수주 지속 + 실적에 대한 우려 완화 + 긍정 적 외국인 수급 * 2Q 후반으로 갈수록 우려 증가 예상 : 해양 없이 선박 수주만으로 연간 수주 목표 미달 가 능성 커질 것 + 발주 약세로 수주 경쟁 격해지며 선가 약세 예상 2) 일회성 비용 제거 시, 무난.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은 개선 방향 - 1Q 실적은 매출 12,228십억원(YoY -10%), 영업이익 -192십억원(YoY 적지), 지배순이익 -139십억원(YoY 적지)로 시장기대치 소폭 하회 * 퇴직위로급 161십억원 제거 시, 영업적자는 30십억원 규모로 시장 기대치 수준 * 연결 조선, 적자 158십억원(OPM -3.7%) 기록. . 일회성 비용 100십억원(퇴직위로금 49.5십억원, Semi-Rig 지제보상금 50십억원) 제거 시, 적자는 58십억원(OPM -1.3%) 규모 . 적자 공사인 Semi-Rig 3기가 2Q 1기, 하반기 2기 인도되며 하반기로 갈수록 적자폭 축소될 것 - 2Q에는 퇴직 위로금 비용 없어지며 소폭 흑자 전환 예상 * 다만, 2015년 연간으로 조직개편과 구조조정이 예상되어 매분기 불시에 일회성 구조조정 비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보임 3) 단기적으로 긍정 흐름 이어갈 수 있으나 보수적 투자 권고 - 긍정포인트 : 정유(현대오일뱅크 / 전체 자본총계의 18%), 부문 기대감 + 선박 수주 지속 + 실적에 대한 우려 완화 + 긍정적 외국인 수급 - 2Q 후반으로 갈수록 우려 증가 예상 : 해양 없이 선박 수주만으로 연간 수주 목표 미달 가 능성 커질 것 + 발주 약세로 수주 경쟁 격해지며 선가 약세 예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3,521 13,846 12,421 11,605 12,228 -9.6% -11.7% 11,581 -9.6% -5.3% 영업이익 -189 -22 -17 -50 -192 적지 적지 36 흑전 흑전 순이익 -58 -46 -41 -64 -139 적지 적지 -8 적지 적지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54,188 52,582 49,665 45,929 46,722 1.7% -3.0% -11.1% 영업이익 802 -3,249 312 31 -35 적전 적전 적지 순이익 279 -1,769 150 -96 -141 적지 적전 적지 자료: 현대중공업,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11,666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87% 자본금(보통주) 380십억원 52주 최고/최저 200,500원 / 95,0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473억원 외국인지분율 13.46% 주요주주 정몽준 외 8 인 21.32% 케이씨씨 외 1 인 5.28%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24.8 33.5 52.7 -23.4 상대수익률 17.4 21.9 36.9 -29.8 -60 -50 -40 -30 -20 -10 0 81 101 121 141 161 181 201 221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현대중공업(좌) Relative to KOSPI(우)
  • 15. 15 Results Comment 현대미포조선 (010620) 실적은 깜짝 실적. 주가 상 승 기대감은 약해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88,000 상향 현재주가 (15.02.12) 96,00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88,000원으로 상향(+17%) * 목표주가 상향은 실적 상향 조정 반영. 2015년 PBR 0.84배 수준 * PBR 0.84배는 하이증권 PBR 1.3배, 기타 0.7배를 적용한 것 - 1Q 실적 기대치 상회. 조선, 금융(하이증권) 모두 기대치 상회 - 1Q의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 보다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의한 것으로 2Q이후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동사의 주력 수주 선종인 PC선과 LPG선의 발주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또한 이들 선종의 선가 약세가 예상되어 추가 상승 기대감은 약함. 현재 PBR 0.92배 거래되고 있는데, 대형조선 3사의 0.7배 보다 높게 거래되고 있는 점도 부담 요인 2) 1Q 실적, 조선, 금융(하이증권) 모두 호실적 내며 깜짝 실적 기록 - 1Q 실적은 매출 1,073십억원(YoY +11%), 영업이익 16.7십억원(YoY 흑전), 지배순이익 22십억원(YoY 흑전)을 기록하며 기대치 상회 * 일회성 퇴직위로금 30십억원(미포 8십억원 + 하이증권 22십억원) 제외시, 영업이익 46.7십억원(OPM 4.4%)이며 깜짝 실적에 해당 * 조선 부문 : 후판, 페인트 등 원자재 가격 하락 효과 * 금융부문도 퇴직위로금 22십억원 제거 시, 영업이익 30십억원을 기록하며 2008.9월 하이증권 인수 후, 최대 실적 기록 - 1Q의 호실적은 일회성 요인 보다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의한 것으로 2Q이후에도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 2Q 예상 : 매출 1,093십억원(YoY +22%), 영업이익 48십억원(YoY 흑전) 3) 실적은 좋았으나 주가 추가 상승 기대감은 약해 - 미포조선의 실적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좋을 것으로 예상되나 주가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 동사의 주력 수주 선종인 PC선과 LPG선 발주 침체가 이어지고 있고 * 또한 이들 선종의 수주 선가는 하락세가 예상되어 2015년 수주 물량이 매출 인식되는 2016년 하반기 이후는 다시 실적이 둔해질 것으로 예상됨 * 마지막으로 현주가는 PBR 0.92배 수준으로 대형3사의 PBR인 0.7배 대비 크게 높은 주가임 - 1Q 수주 : 2.9억불(연간 목표의 10%) / 2Q에도 비슷한 규모 예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965 1,159 973 1,022 1,073 11.2% -7.4% 1,093 21.6% 1.9% 영업이익 -81 70 -9 -2 17 흑전 -76.1% 48 흑전 185.8% 순이익 -35 17 -3 -1 22 흑전 32.5% 37 흑전 62.8%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3,986 3,967 4,061 4,199 4,334 3.2% -46.1% 924.8% 영업이익 -275 -868 37 64 176 172.8% 적지 흑전 순이익 -238 -633 28 51 132 161.2% 적지 흑전 자료: 현대미포조선, WISEfn, 대신증권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1,920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14% 자본금(보통주) 100십억원 52주 최고/최저 166,500원 / 65,10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90억원 외국인지분율 22.32% 주요주주 현대삼호중공업 외 7 인 43.95% 사우디아라비아통화국 7.26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30.1 26.3 8.4 -36.0 상대수익률 22.3 15.4 -2.8 -41.3 -60 -50 -40 -30 -20 -10 0 10 20 54 74 94 114 134 154 174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현대미포조선(좌) Relative to KOSPI(우)
  • 16. 16 Results Comment 삼성중공업 (010140) 1Q Review : Drillship 매 출 감소에 대한 우려 증가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Marketperform 시장수익률, 유지 목표주가 17,000 하향 현재주가 (15.01.29) 19,65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목표주가 17,000원으로 하향(-6%) 조정 * 생각 보다 빠른 실적 둔화를 반영. 목표주가는 PBR 0.7배 - 1Q 영업이익 생각 보다 빠르게 둔화. Drillship 감소 + 적자 해양 매출 증가 - 2Q에 매출 회복되며 이익 수준은 1Q 보다 개선되겠으나 기존 생각했던 수준 보다 낮아짐 * 기존 2015년 OPM 2.8% -> 1.4%로 하향 조정 - 유가 80불까지 회복한다는 기대감 생겨야 투자 가능 2) 1Q 영업이익 생각 보다 빠르게 둔화. Drillship 감소에 따른 실적 둔화 본격화 - 삼성중의 1Q 실적은 매출 2,610십억원(yoy -24%), 영업이익 26.3십억원(YoY 흑전, OPM 1.0%), 지배순이익 12십억원(YoY 흑전) 기록 *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95십억원을 크게 하회하는 실망스런 실적 * 배경 : Egina FPSO 일회성 비용 30십억원 + Drillship 매출 감소 + 적자 매출 증가(Egina FPSO, Ichthys CPF) * 2014년 1Q에 공사손실충당금 380십억원 쌓았던 Egina FPSO에서 추가 일회성 비용 발생 * Nigeria 현지 건조 물량에 대해서 비용 예측이 쉽지 않음을 나타냄 * 해양생산설비의 매출 비중 증가하며 분기 매출 변동성 커짐 - 2Q에 매출 회복되며 이익 수준은 1Q 보다 개선되겠으나 기존 생각했던 수준 보다 낮아짐 * 기존 2015년 OPM 2.8% -> 1.4%로 하향 조정 * 연말까지 Drillship 매출 감소, 적자 해양생산설비 매출 증가 추세는 지속되기 때문 3) 유가 80불까지 회복한다는 기대감 생겨야 투자 가능 - 실적 부진한 상황에서 수주도 부진 - 선박 수주는 상대적으로 호조인 반면, 해양 발주 침체 지속 * 1Q 수주 23억불(선박 23억불, 해양 없음 / 연간 목표의 15% / 선박 수주 목표의 46% 달성) - 선박 기준, Container선과 유조선의 발주가 있어 선박 수주 목표인 50억불 달성은 가능해 보이나 해양 부문의 기대 수주 규모는 극히 미미 * Woodside의 Browse FLNG 3기에 대한 Hull 부문 수주 진행하고 있다고 하나 저유가로 언제 수주할 지, 몇 기에 대해 수주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3,431 3,078 3,137 3,111 2,610 -23.9% -15.2% 3,031 -2.4% 16.1% 영업이익 -362 102 107 106 26 흑전 -74.1% 48 -81.6% 83.5% 순이익 -272 43 86 79 12 흑전 -73.0% 37 -82.2% 215.7%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14,835 12,879 12,130 12,350 12,130 -1.8% -13.2% -5.8% 영업이익 914 183 172 341 172 -49.6% -80.0% -6.1% 순이익 632 149 125 253 125 -50.6% -76.4% -16.3% 자료: 삼성중공업,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4,540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34% 자본금(보통주) 1,154십억원 52주 최고/최저 29,600원 / 17,25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387억원 외국인지분율 15.64%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8인 24.16% 미래에셋자산운용 외 4인 5.00%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7.1 2.9 -18.3 -31.5 상대수익률 0.7 -6.0 -26.7 -37.2 -45 -40 -35 -30 -25 -20 -15 -10 -5 0 5 9 14 19 24 29 34 14.04 14.07 14.10 15.01 15.04 (%)(천원) 삼성중공업(좌) Relative to KOSPI(우)
  • 17. 17 Results Comment 두산엔진 (082740) 1Q Review :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전재천 769.3082 jcjeon7@daishin.com 문용권 769.3781 ykmoo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목표주가 9,500 하향 현재주가 (15.02.04) 7,120 조선업종 1) 투자포인트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으로 하향(-5%) 조정 * 기존 투자포인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발현 시점이 지연되는 점 감안 -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기존 긍정포인트 약화와 발현 시점 지연은 있으나 길게 볼 경우, 여전히 유효 * 주가 하락 조정 요인이라기 보다는 주가 상승 속도가 늦어지는 효과로 생각 - LNG선용 엔진 수주를 2Q에는 기대할 수 있어 단기 모멘텀 기대 2) 1Q 기대치 하회. 여전히 2015년 4Q 흑자전환 기대 - 1Q 실적은 매출 144십억원(YoY -13%), 영업이익 -11.8십억원(YoY 적자폭 축소), 지배순이익 -8십억원(YoY 적자폭 축소) 기록하며 기대치를 하회 * 배경 : 조선사의 엔진 납기 이월 요청(22십억원)으로 매출 크게 하락하며 고정비 부담 증가 * 2Q에는 이월 물량 증가로 매출 200십억원 기대 - 2015년 4Q에는 흑자 전환 기대 : 적자 Project의 해소 + 원자재 가격 하락 수혜 3) 기존 긍정포인트 약화와 발현 시점 지연은 있으나 길게 볼 경우, 여전히 유효 - 두산엔진 투자포인트 강도 변화 * 기존에 긍정적으로 봤던 투자포인트는 여전히 유효. 다만, 강도와 발현 시기 지연 * 2015년 이후 지속 가능한 수주 증가 폭 : 기존 400십억원 -> 280십억원 * 2015년부터 LNG선 엔진 시장 신규 진입하며 지속 가능한 수주 증가 : 기존 300십억원 -> 180십억원) . 유가 약세로 당분간 매년 기대 가능한 발주 척수 감소 반영 (한국 연간 30척 수주 / 두산엔진 50% 가정) . LNG선 척당 수주금액 변화 : 기존에는 일부 수주의 경우 엔진+FGSS 패키지 수주로 척당 17십억원 수주 할 수도 있다고 봤는데, 현재는 엔진 단독으로만 수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척당 12십억원 수주 가능 * 기존에 2015년부터 선박 배기가스(NOx) 규제 충족을 위해 NOx 저감 장치인 SCR 수주 본격화 예상 -> 연간 지속 가능한 SCR 수주 규모는 여전히 100십억원 규모를 생각 하고 있으나 2015년에는 50십억원 이하 예상 (2015년 수주 목표는 80십억원) - 기존에 긍정적으로 봤던 포인트들의 약화와 발현 시점의 지연으로 주가 상승 속도는 늦어진 것은 사실이나 길게 볼 경우, 구조적으로 수주가 증가하고 실적은 개선 방향인 점은 여 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완만한 주가 상승은 기대할 수 있어 * 주가 조정 요인이라기 보다는 주가 상승 속도가 늦어지는 효과로 생각 (단위: 십억원, %) 구분 1Q14 4Q14 1Q15 2Q15 Consensus 직전추정 잠정치 YoY QoQ 당사추정 YoY QoQ 매출액 165 296 180 217 144 -13% -51.2% 213 -12.9% 43.5% 영업이익 -19 0 -6 -5 -12 적지 적지 -3 적지 적지 순이익 -19 -4 -6 -5 -8 적지 적지 -3 적지 적지 구분 2013 2014 2015(F) Growth Consensus 직전추정 당사추정 조정비율 2014 2015(F) 매출액 744 889 948 902 824 -8.7% 19.5% -7.3% 영업이익 1 -40 -4 -10 -10 0.3% 적전 적지 순이익 -5 -42 -4 -42 -11 -74.3% 적지 적지 자료: 두산엔진, WISEfn,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OSPI 2147.67 시가총액 495십억원 시가총액비중 0.04% 자본금(보통주) 70십억원 52주 최고/최저 9,390원 / 5,620원 120일 평균거래대금 14억원 외국인지분율 2.47% 주요주주 두산중공업 외 2인 42.69% 삼성중공업 14.12%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2.3 -9.0 13.4 -17.0 상대수익률 -3.8 -16.8 1.7 -23.9 -35 -30 -25 -20 -15 -10 -5 0 5 10 5 6 7 8 9 10 11 14.04 14.07 14.10 15.01 (%)(천원) 두산엔진(좌) Relative to KOSPI(우)
  • 18. 18 매매 및 자금 동향 ▶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유가증권시장: 순매수 금액) (단위: 십억원) 구분 4/28 4/27 4/24 4/23 4/22 04월 누적 15년 누적 개인 -66.2 32.3 -80.5 -457.7 -333.4 -1,090 -2,494 외국인 -1.5 208.0 533.9 439.7 743.1 4,605 7,753 기관계 71.3 -246.2 -434.7 34.3 -395.1 -3,280 -6,267 금융투자 119.5 48.3 17.1 -84.4 -7.3 -549 -2,862 보험 -15.5 -50.8 -18.2 24.9 -155.5 -435 -362 투신 -24.2 -146.7 -195.7 -60.4 -149.1 -2,800 -5,370 은행 -8.5 3.8 -14.5 -0.1 -6.1 -8 107 기타금융 6.0 -8.6 4.7 2.5 2.3 12 -63 연기금 26.1 -22.0 -161.1 -9.8 -18.3 535 3,029 사모펀드 -34.4 -69.4 20.7 157.9 -53.3 163 -210 국가지자체 2.4 -0.8 -87.7 3.7 -7.9 -195 -536 자료: Bloomberg ▶ 종목 매매동향 유가증권 시장 (단위: 십억원) 외국인 기관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SK 하이닉스 44.8 삼성전자 78.3 POSCO 37.4 삼성전자 35.8 현대중공업 27.9 POSCO 18.1 현대중공업 19.3 현대차 20.9 현대제철 27.8 코웨이 14.6 NAVER 16.6 삼성SDI 20.2 현대차 27.1 삼성물산 12.1 엔씨소프트 16.6 삼성전기 12.8 한국전력 15.4 LG 생활건강 11.6 SK C&C 16.2 우리은행 12.0 현대글로비스 14.0 삼성SDI 10.7 현대미포조선 12.3 기아차 11.8 NAVER 13.9 우리은행 9.7 SK 11.9 삼성전자우 10.9 LG 화학 12.1 SK 9.5 삼성증권 10.0 삼성물산 10.3 제일모직 11.6 삼성엔지니어링 9.0 한국전력 8.7 GS 8.7 삼성전자우 11.6 하나금융지주 8.1 고려아연 8.0 현대글로비스 7.6 자료: KOSCOM 코스닥 시장 (단위: 십억원) 외국인 기관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아스트 8.4 셀트리온 17.3 셀트리온 8.5 내츄럴엔도텍 36.8 나이스정보통신 3.4 내츄럴엔도텍 12.0 원익IPS 6.8 나이스정보통신 5.4 웹젠 3.3 동서 3.4 SK 브로드밴드 6.1 디에이치피코리아 4.2 아가방컴퍼니 2.8 아프리카TV 3.1 컴투스 5.1 바이로메드 3.8 이라이콤 2.3 유진기업 2.8 슈피겐코리아 3.4 이엠텍 2.7 이오테크닉스 2.2 디엠티 2.2 피엔티 3.2 에스엠 2.5 키이스트 1.6 토비스 2.1 동서 3.0 파트론 2.4 코리아나 1.5 쎌바이오텍 2.0 CJ E&M 3.0 창해에탄올 2.2 바이로메드 1.5 차바이오텍 1.8 한국토지신탁 2.8 산성앨엔에스 2.2 KH 바텍 1.5 블루콤 1.6 다우데이타 2.1 다음카카오 1.7 자료: KOSCOM
  • 19. 19 ▶ 최근 5 일 외국인 및 기관 순매수, 순매도 상위 종목 외국인 (단위: %, 십억원) 기관 (단위: %, 십억원) 순매수 금액 수익률 순매도 금액 수익률 순매수 금액 수익률 순매도 금액 수익률 SK 하이닉스 236.9 3.8 POSCO 95.1 6.5 POSCO 126.6 6.5 삼성전자 440.1 -6.5 기아차 143.0 5.3 KT&G 29.3 4.3 엔씨소프트 77.1 8.2 삼성물산 171.7 -6.0 삼성전자 128.7 -6.5 SK 22.3 3.1 삼성생명 64.0 4.1 LG디스플레이 103.5 0.8 현대차 110.6 1.5 삼성SDI 19.8 -4.9 기아차 58.3 5.3 현대건설 94.6 -6.6 NAVER 84.6 1.8 롯데칠성 18.8 12.6 KT&G 53.5 4.3 삼성SDI 67.3 -4.9 신한지주 81.6 2.2 코웨이 16.1 -3.4 대우증권 36.4 1.4 LG생활건강 58.7 -2.6 현대모비스 79.3 0.4 신세계 13.9 -6.3 SK 32.8 3.1 삼성전기 46.1 -3.8 현대글로비스 73.7 1.0 우리은행 13.8 2.9 한국가스공사 32.5 5.6 LG 40.9 -1.4 LG 전자 72.7 3.0 삼성전기 13.1 -3.8 현대차 31.0 1.5 현대제철 39.9 5.2 삼성물산 71.1 -6.0 LG하우시스 12.0 -0.8 현대위아 28.2 11.7 현대모비스 39.7 0.4 자료: KOSCOM 자료: KOSCOM ▶ 아시아증시의 외국인 순매수 (단위: 백만달러) 구분 4/28 4/27 4/24 4/23 4/22 04월 누적 15년 누적 한국 -79.2 219.2 506.2 365.9 626.5 4,052 6,672 대만 391.1 738.4 1,546.4 736.8 214.3 3,193 7,417 인도 -- -- -113.9 -13.4 -135.8 2,298 8,298 태국 -- -50.2 35.7 -56.6 27.8 233 -23 인도네시아 -140.3 -173.2 -20.2 -58.4 -12.3 682 1,118 필리핀 -14.0 -17.7 16.2 2.1 -6.2 -134 934 베트남 -- -9.0 -2.2 7.4 7.0 76 89 주: 대만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현황은 TWSE(Taiwan Stock Exchange) + GTSM(Gre Tai Securities Market)의 합산 데이터임. GTSM은 우리나라의 코스닥에 해당되는 General Board와 프리보드 역할을 하는 이머징 스탁 마켓 등으로 구분. 이머징 스탁 마켓은 General Board로 건너가기 위한 가교 역할을 수행 자료: Bloomberg, 각국 증권거래소 ▶ Compliance Notice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자료 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위 애널리스트는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본 자료에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