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3년 단 조 기술세미나
2013. 5.22~ 5.23

자동차 부품산업 진흥재단
www.kapkorea.org
단 조 담당 이성근
(coldforging @ lycos.co.kr)
차례
1. 응력 <st ress>
2. 불 량

사례 <a fault y product >
들어가 기 전에

!
1. 단조 공정감시 목적

-1. 공정품질 향상
-2. 무인 가동의 실현
-3. 생산성 향상
-4. 불량품 혼입 차단
SQ-마크 평 가 서 (하 드웨어_단 조)
▷ 공정별 주요 관리기준 표준(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설정 및 준수, 기록
상태
- 단조설비 F/Proof 장치 (압조력/치수/속도 등)
- 전조/태핑 : 탈유기 잔존품 확인, 호퍼 카바 부착, 탭교환 주기 준수,
태핑유(보충/교환) 주기준수, 탕유시간 표준
▷ 공정불량 자동방지(감지) F/Proof 장치 설치 상태
▷ 원재료 사양별 공정이동전표 색상 구분 관리
▷ 금형 셋팅 표준설정 및 준수 (냉간단조)
- 금형 장착상태, 압력 , 갭 상태 점검, DIE 길이 등
2. 업계 환경 및 필요성
3. 성장 현황
4. F/P 장치의 현주소

올바르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까 !
1. 응력 <st ress>
-1. 응력 <st ress>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그 물체 내부에는 이 힘에 저항하여 버티는 내력(耐力)이
생기는데, 이와 같은 내력을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작용하는 힘의 크기로
나타낸 것을 응력(stress)이라고 한다.
물체의 단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단위면적당의 내력을 수직응력 이라함
인장하중=>인장응력 <tensile stress>
압축하중=>압축응력 <compressive stress>
물체의 단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을 전단력이라 하고
이와 같은 전단력에 의하여 단면에 나란하게 작용하는 단위면적당의 내력을
전단응력 <shearing stress> 이라고 한다.

 = P/A
원형축의 한쪽 끝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 끝단의 접선방향으로 힘 F를 가하면,
축을 비틀어지게 하는 역학적 양 T=Fd가 작용하게 되는데, 이 역학적 양을
우력 (遇力, torque) 또는 비틀림 모멘트 (torsional moment) 라 한다.

T=Fd 이므로 전단응력의 최대치
최외단에서 전단응력 최대

 = T/Zp

(Zp 극단면계수)
소재가 받는 응력의 형태: 소성 가공에서 소재의 변형은 인장, 압축, 전단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두 가지 이상이 서로 복합된 형태의 응력을 받아 이루어 진다.

인장 응력<tensile stress>

압축 응력<comprsssive stress>

전단

응력<shearing stress>
BCC

FCC
체적변형율 = 변화된 체적 / 원래의 체적

물체가 외력을 받아 체적이 변화했을 경우,
변화되기 전의 체적에 대한 변화된 체적의 비를
체적 변형율 (bulk strain) 이라 한다.

HCP
인장시험 ( tensile test )
시험할 재료에 인장력을 가하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매 순간에 있어서의
재료의 변형량을 측정하여 재료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등
기계적 성질을 결정하는 시험법이다.
응력 = 가한 힘 / 처음의 단면적
변형량 = 변형된 길이 – 처음 길이 / 처음 길이

인장 시험편

응력:



변형량:

е

= W/A
= lf – l / l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파단

공칭변형율 (nominal strain)

e = l – l0 / l0
대수 변형율 (logarithmic strain)

ε = ln (l / l0)
Compression

h1  h0 / 2

  ln
e

h1
h0

h1  h0
h0

Elongation

h1  2h0

-0.693

+0.693

-0.5

+1.0
연강의 응력-변형률 선도 (stress - strain curve)

P:비례한도~응력과 변형률이 서로 비례관계를
가지는 한계의 응력

E:탄성한도~시험편에 가했던 응력을 제거했을 때
변형 전의 상태로 되돌아 오는 한계의 응력

Y:상항복점~순간적으로 응력이 감소하기 시작하
는 점으로, 이 점에서의 응력을 그 재료의 항복강도라고
한다

Y`:하항복점~거의 응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변형률
이 갑자기 증가하기 시작하는 점

Y``~변형률의 증가와 더불어 응력이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점 ( 가공경화 현상 )

U:최대응력~최대점의 응력, 인장강도
( 극한강도 )

B:파단응력~시험편이 파단되는 점에서의 응력
연신율 (elongation)

항복강도: 0.2% 영구 변형
( 내력 )
인장강도: 항장력 ( 극한인장강도 )
연신율: 재료의 연신을 표시
영구 변형 (permanent deformation)




1

: 영구 변형량

2

: 탄성적인 변형량
연강 및 비철금속의 응력-변형률 선도
(stress−strain curve)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유동응력
(변형저항 곡선)

항복 이후의 연속되는 항복응력에 해당하는 재료상수를
유동응력 (flow stress) 으로 표시한다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유동응력은 재료가 갖고 있는 특성이며 금속재료의 경우 변형율, 변형율 속도,
온도, 재료의 화학적 조성 등의 영향을 받는다.

Ram

Strain

Contact

Die

Forging geometry,
volume, projected
area, perimeter

Forging temperature
during deformation
Lubrication

Flow stress

Friction condition

Required forging
load and energy

Flow stress,

  f  ,  ,T , S





T

S





Effective strain
Effective strain-rate
Temperature
Microstructure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변형저항곡선 예시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SWCH 10A / LAIP / 인장강도 44.35 Kgf/mm2
항복강도 43.68 Kgf/mm2
연신율 10.70 %
구상화율 60 이상

SWCH 10A / SAIP / 인장강도 43.76 Kgf/mm2
Δ 0.67
항복강도 40.26 Kgf/mm2
가공경화
연신율 20.70 %
小
구상화율 80 이상

냉간압조용선재의 응력-변형률 선도 (UTM)
(stress - strain curve)

Δ 3.5
가공경화
大
냉간 업셋팅성 시험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2크랙발생

#3크랙발생

#2 크랙발생 65.7% ⅹ80

#3 크랙발생 68.8% ⅹ80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시멘타이트의 구상화율에
의한 업셋팅성의 변화

SWCH45F 구상화 조직사진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변형량, 즉 영구변형량은
치수로 나타남

제품 내부의 응력은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며, 결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결함이 없는 최대변형=>한계변형율
-2. 응력집중 <st ress concent rat ion>

평균응력 = 하중 / 단면적 = P / (b-d) t
최대응력 / 평균응력 = 응력집중계수 K (stress concentration factor )
응력집중계수의 값은 노치형상과 하중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부재의
크기나 재질과는 관계가 없다
평판 폭이 일정할 때 구멍지름
d 가 커질수록 응력집중계수
K는 감소

응력집중현상은 부재에 구멍(hole) 가공, 노치(notch) 가공 등으로 인하여
단면형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외력을 받는 재료에서 파단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곳은 대부분 이와 같이
응력집중이 생기는 곳이므로, 재료를 설계할 때 응력집중현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단붙이 원통에서 모서리 반지름
R와 응력집중계수 K와의 관계선도

소단지름 d가 일정하다고 할 때 단부반지름 r이 커질수록 응력집중계수 K는
감소한다. 또한 D/d 가 커질수록 K의 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름차가 크던가, 노치의 반지름 r이 작아지면 응력집중계수는 커지게
되기 때문에 재료의 내력(耐力)은 저하하게 된다.
-3. 볼트 조임 <t ight ening of t hreaded fast eners>
축력 – 토크 선도 <등가응력 곡선>
한국소성가공학회지 16권 2호
B 파괴 (마찰계수의 작아짐)

축력
A 예상되는 체결의 산포
(적정 마찰계수 고려)

필요축력 상한
필요축력 하한

체결토크 관리폭

토크
항복 조임축력
(yield clamping force)

조임에 의하여 볼트가 항복 되었을 때의 축력값

항복 조임토크
(yield tightening torque)

조임에서 축력이 항복 조임축력에 도달하였을 때
의 조임 토크값
50 %

40 %

볼트의 체결력과 토크
너트를 돌려서 볼트를 죄면 볼트는 신장되고, 신장된 볼트는 원상으로 복귀하려고
하여 축력(軸力) 이 발생되며 이 축력으로 대상물체가 죄어져 고정된다.
이 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한 토크는 대략 하여 볼트의 자리면의 마찰에 50%
나사면의 마찰에서 40% 나머지 10% 는 리드각 (피치) 에서 소비된다.
W

P

p

πd
평탄한 언덕길 (마찰 小)

W

P

p

πd

거칠은 언덕길 (마찰 大)
나사를 체결 할 때의 체결 토크 T와 체결력 F의 관계는 그 나사가 항복점
이하 일 때 비례관계에 있고 아래와 같다.

T  KdF
1 d2
dn
K  ( tan(  '  )   ' )
2 d
d

K :토크 계수(일반적 0.15~0.2)  :나사의 리드각
 ' :나사산 접촉면의 환산마찰각
d :나사의 호칭경
 tan 

 :나사산 접촉면의 마찰계수
d 2 :나사의 유효경
 :나사산 각도
dn :볼트 두부자리면
또는 너트자리면의 평균직경
 ' :볼트두부자리면 또는 너트자리면과
 1 /(cos / 2)

피체결물과의 접촉면의 마찰계수

3
나사의 적정조임 계산검토 예
KS 볼트의 체결력과 토크
적정체결력을 갖추었는 지 검증은 ?

KS B 1042 2종 규격을 만족할 것
KS B 1042
KS B 0233
ISO 898-7
파단토크 <breaking torques>
쪼매 쉬었다가
유~

해~

딱 10분 만유~ ^ ^
2. 불 량 사례 <a fault y
product >
-1. 응력집중 <st ress concent rat ion >
Long 볼트의 나사부 랩
M4 스크류 절손

1. SCM 435, M4 삼각단면형, 공정: 단조-> 와샤조립 및 전조-> 침탄 열처리->
도금(전처리 후 베이킹)->3가 아연 백색
경도: 심부= HRC 40~45, 표면=HRC 40~46
2. 베이킹 조건: 200℃ 4Hr 유지 ( 유저 자료에는 12.9 경우 6 Hr )
3. 최근 파단 09.12.21 9/10 개, 72 Hr 에 파단됨.
4. 파단 테스트 조건: 테스트 다이에 5 N-M 로 체결 96 Hr 후 파단/크랙 없을 것.

체결 중 파단품

체결 시험판
M4 파단면

M4 파단면

M4 파단면

M4 파단면
M4 파단면

M4 목부 (완제품)

M4 목부 확대

나사부
2 ND 다이에서 3타째 목부 겹침 발생
원인: 2타째 후 제품 로테이팅(회전)
발생으로 추정. 양산 중 샘플
5 개중 1개 발생
-1.이송 불안정, 윤활 불량
-2.체적 불균형으로 고정상태
불량
스크류 전조 초입부 절손 발생
절손품 파단면에 도금부분 육안 확인 됨

원인: 전조 시작부분 표면 거칠음
다이스 마모 확인
다이스 교체 및 가공유 사용
전조 속도 낮출 것

국내제작품

도입품
A

전조 다이스 마모 확인
A: 신품
B: 사용품 (20 만개 생산)

B

절손부분
열간단조 콘로드 문자부 겹침
산화물 관찰: 열간단조공정 중 겹침 발생, 노치 기점으로 작용
파손 발생
-2. 재료 <material>
열간단조 인너레이스 고주파 시 크랙 발생 <S58C>

적열(고온) 취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Mn/S≥10 으로 관리 필요
한계 업셋팅율에 대한 불순물의 영향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선조질강재 롱 볼트 두부 절손

원재료의 비금속개재물 관리 필요
파단기점

파단진행

0.28 mm
파단기점

0.24 mm
-3.조건관리 <process>
Internal Cracking <Chevron Cracking>

-중심선을 따라 정수압으로 인한 인장응력 상태에서 발생
주요인자: 다이 각도, 압출비(단면적 감소율), 마찰
Internal Cracking <만네스만 효과>

봉재의 넓히기(크로스 웻지)
가공에서의 만네스만 효과

Ⅹ100

Ⅹ500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Internal Cracking <경화층 발생>

ASM Metals Handbook V.14
인덕션 히타의 가열조건

열간단조에서 단조품의 재질에 따른 적정단조온도가 있다. 탄소강의
경우는 탄소의 함유량에 의해 온도범위가 달라진다.
탄소강의 최고가열온도는 고상선에서 약 70 ˚C 낮은 온도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온도, 단조종료온도에 의해 결정립의 크기가 변화하여 기계
적 성질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1204

유지

1093
982
871

유지

760
649
538

재료를 가열하여 재결정온도 이상이 되면 온도의 상승에 대해 결정립은 점점 성장
하여 조대화 된다.
결정립을 미세화한 우수한 기계적성질을 단조품에 주기 위해서는 단조종료온도가
낮을수록 좋고 일반적으로 재결정온도보다 30~50 ˚C 높은 온도를 목표로 한다.
가열온도 측정 <100715>

리어어퍼암 소재온도 측정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측정일 10년 7월 15일 오후
출력
638
4시
측정자
단위 ˚C
속도
280
온도
NO
온도
1272
31
1248
1247
32
1275
1300
1271
33
1293
1254
34
1288
1290
1273
35
1280
1258
36
1273
1280
1259
37
1273
1270
1288
38
1291
1285
39
1270
1260
1269
40
1271
1284
41
1271
1250
1271
42
1258
1286
43
1276
1240
1290
44
1289
1230
1274
45
1287
1276
46
1274
1220
1269
47
1292
1279
48
1258
1210
1271
49
1271
1254
50
1237
1200
1 2 3 4
1281
51
1257
1277
52
1283
1279
1274
평균
1273.712
1281
최대
1293
1279
1278
최소
1237
1276
차이
56
1287
1276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S45C 최고단조온도 1260 ˚C
측정일
측정자
측정기구

2010-08-12

가열온도 측정 <100813>

적외선온도계

1

1257

21

1240

2

1249

22

1267

3

1264

23

1255

4

1260

24

1230

5

1257

25

1272

6

1260

26

1267

7

1240

27

1253

8

1249

28

1281

9

1244

29

1249

10

1281

30

1253

11

1234

31

1273

12

1243

32

1239

13

1278

33

1256

14

1276

34

1268

15

1266

35

1247

16

1272

17

1252

18

1240

19

1271

20

1265

1290
1280
1270

1260
1250
1240

1230
1220
1210

120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평균

1257.9

최대

1281

최소

1234

차이

47

S45C 최고단조온도 1260 ˚C
단조 조건 확인 : 단조온도
목표: 1,250 ˚ C
소재온도 측정
측정일 10년 7월 15일 오후 4시
측정자
단위 ˚C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온도
1272
1247
1271
1254
1273
1258
1259
1288
1285
1269
1284
1271
1286
1290
1274
1276
1269
1279
1271
1254
1281
1277
1279

NO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평균

24

1274

최대

25
26
27
28
29
30

1281
1279
1278
1276
1287
1276

최소
차이

출력
속도

온도
1248
1275
1293
1288
1280
1273
1273
1291
1270
1271
1271
1258
1276
1289
1287
1274
1292
1258
1271
1237
1257
1283
1273.409

1293
1237
56

638
280

소재와 코일간 매칭율 비교
-소재 SM45C , ø45 / 코일: ø50 = 단면적 매칭율 81 %
A) I.H: 3 KHz (1600 Ton) 가열재료경 ø 55 매칭비 0.840 설정치 :이송 210 mm/min
전압 413 KV
소재와 코일 매칭율과 온도산포
A) I.H: 3 KHz (1600 Ton)
mm/min

가열재료경 ø 55

매칭비 0.840

설정치 :이송 210
전압 413 KV

B) I.H: 2 KHz (1600 Ton)
mm/min

가열재료경 ø 50

매칭비 0.694

설정치 :이송 200
전압 670 KV

C) I.H: Fuji 2 KHz (1000 Ton)

가열재료경 ø 50

매칭비 0.925

설정치 :이송 600 mm/min
전압 915 KV

C) I.H: Misutbishi 3 KHz (1000 Ton)

가열재료경 ø 42

매칭비 0.766

설정치 :이송
7 20mm/min

전

압 680 KV

日本塑性加工學會編: わかりやすい鍛造加工
플레쉬 칫수의 변화 (열간 프레스)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Shape Complexity Classification: Class 1 and 2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Shape Complexity Classification: Class 3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Shape Classification:
group 224
Material: carbon and alloy steel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Flash allowance (V), forging load (L) and forging
energy (E) trends with increasing W/T ratio for a
constant flash thickness.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Flash All.

Energy

Load

25

6

K Joule (Energy),
% (Flash allowance)

4
15
3
10
2
5

1

0
Flash Ratio, W / T

M Newton (Load)

5

20

0
2

3

4

5

• Load decreases <
• Flash allowanceNO
increases fast

6

<>
OK

7

8

9

> • Load increases fast
NO • Flash allowance
decreases slightly

Choose the flash ratio (W / T) near the zone of
minimum energy (yellow zone in the graph). This
is the best compromise between flash allowance
and forging load.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단조 조건 확인 : 플레쉬 두께 확인
목표: 4.5mm <당초: 3.5mm>
1

4.90

31

4.40

61

4.5

2

4.90

32

4.40

62

4.6

3

4.90

33

4.40

63

4.6

4

5.00

34

4.40

64

4.65

5

5.00

35

4.50

65

4.65

6

5.00

36

4.50

66

4.6

7

4.95

37

4.45

67

4.65

8

4.90

38

4.45

68

4.65

9

4.80

39

4.40

69

4.75

10

4.80

40

4.40

70

4.8

11

4.80

41

4.40

71

4.75

12

4.80

42

4.30

72

4.65

13

4.80

43

4.30

73

4.6

14

4.80

44

4.30

74

4.6

15

4.80

45

4.30

75

4.6

16

4.80

46

4.35

76

4.7

17

4.80

47

4.35

77

4.8

18

4.70

48

4.30

평균

4.569481

19

4.70

49

4.25

최대

5

20

4.70

50

4.25

최소

4.1

21

4.65

51

4.30

차이

0.9

22

4.60

52

4.10

23

4.60

53

4.10

24

4.60

54

4.30

25

4.60

55

4.30

26

4.50

56

4.40

27

4.50

57

4.40

28

4.40

58

4.40

29

4.40

59

4.40

30

4.40

60

4.50
동계 이형제 희석비 테스트 비교

-1.치형부분 결육 발생 (5:5 大, 7:3 정상 <석유: 오일닥>)
-2.이형제에 의한 치형부의 눈메임 현상으로 보임
-3.플레쉬 두께 비교 5:5 = 1.40 ~ 1.55 mm
6:4 = 1.35 ~ 1.50 mm
7:3 = 1.40 ~ 1.50 mm
-4.현재 7:3 희석비가 최적인 것으로 인지, 사용 중

이형제 희석 테스트 품

5:5-35 중앙부

6:4-35 중앙부

7:3-71 중앙부
측정

제품을 측정하지 못하면, 양품은 만들지 못한다.
측정용 지그 개선 1/2
개선 전:
-열처리 후 고노게이지 형태로 전수검사 실시

-치수의 계량화 불가
-신뢰성 미흡 (검사 후 불량품 발생)

1차 개선:

-미스매치 및 치수의 계량화 가능
-가공 기준점의 확보 미흡 (신뢰성 미흡)

-트리밍 면의 측정으로 실제치수 계량 미흡
전장 tap
중량
전장 tap
bush
b/j

2차 개선:

-가공/측정 기준점 일치 시킴
-치수의 계량화 가능 (LH,RH 구분 제작)

-결과의 검증 및 신뢰성 증대 필요
(가공결과 및 3차원 측정기와 비교, 교정 필요)
bush tap
b/j tap높이
높이
48.19
66.05

n

전장

중량

1

323.8

2

323.8

48.32

66.13

2188

3

323.55

48.5

66.22

2178

4

323.8

48.26

66.14

2168

5

324.05

48.34

66.3

2162

6

323.8

48.39

66.2

2172

7

323.3

48.11

66.1

2164

8

323.8

48.52

66.3

2160

9

323.8

48.35

66

2160

10

323.55

48.51

66.35

2164

11

323.8

48.8

66.65

2202

12

323.8

48.48

66.49

2174

13

324.05

48.52

66.45

2172

14

323.8

48.47

66.31

2166

15

323.8

48.6

66.46

2182

16

323.8

48.52

66.22

2172

17

324.05

48.44

66.26

2166

18

323.55

48.24

65.94

2160

19

323.55

48.35

66.26

2168

20

323.8

48.45

66.34

2178

21

323.55

48.64

66.38

2176

22

323.3

48.5

66.17

2180

23

323.3

48.2

66

2160

24

323.8

48.6

66.38

2178

25

323.55

48.29

66.27

2160

26

323.3

48

65.88

2160

27

323.8

48.1

65.92

2164

28

323.8

48.3

66.17

2166

29

327.8

47.5

61.8

2166

30

328.3

47.1

61.4

2172

2164
초물 관리 (워밍 업)

항목

전장

와샤두께

와샤경

SPEC

45.0~46.0

2.3~2.7

20.7~21.0

제품사진
와샤경

■ 생산 가동 시간별 치수 변화 (전장/와샤부) 확인

■ 작성자 :
■ 측정일 : 2013. 03. 26 (오전)
초품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145

20.81

20.82

20.86

20.87

20.86

20.86

20.87

20.88

20.84

20.81

20.84

20.87

20.86

20.82

20.74

20.84

20.7~
21.3

10

20.83

20.68

20.78

20.86

20.84

20.76

20.76

20.68

20.73

20.71

20.72

20.70

20.69

20.78

SPEC

와샤경

5

75

검사
항목

평균

20.79
9

21.05

Cp : 1.147
Cpk : 0.884

21
20.95

ACTION

20.9
20.85
20.8
20.75
20.7
20.65
20.6

20.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아사히서낙 웹 中
<M8 2D2B>

SPM 상향 테스트

1. SPM 200 ( 83% ) <기존 185, 77 %>
- 최대 SPM 대비 83%로 TEST
- 8% 생산성 증대 목표
- MAX SPM 240

설비 조건
이송로라 압력
이송로라 라쳇 압력
오일 압력

1-1. TEST 결과
- 설비 진동 변화 없음
- 집게 및 홀더 움직임 이상 없음
1-2. 제품 측정 결과
- CPK 값 양호
7.260

최소값

최대값

7.206

평균

7.201

표준편차

0.0017

Cp

3.85

Cpk

2.18

80

7.199

60
40
20
0
7.160
1

7 13 19 25 31 37 43 49 55 61 67 73 79 85 91 97

1-3. 결과 보고
- SPM 200 설비 가동에 적합으로 판정
- SPM 225 로 올려서 추가 TEST 후 최종 결정

기준치
상태
4~6kg/㎠ 5.2kg/㎠
4~6kg/㎠ 5.0kg/㎠
4~6kg/㎠ 5.0kg/㎠
2-2. 제품 측정 결과
최소값

7.193

최대값

7.211

평균

7.198

표준편차

0.0031

Cp

2.13

Cpk

0.86

7.260

7.160
1

5

9

13 17 21 25 29 33 37 41 45 49 53 57 61 65 69 73 77 81 85 89 93 97

80
70

60
50
40
30
20

10
0

결과 보고
- 설비 진동으로 SPM220 부적격으로 판정 됨
- SPM200으로 HD-07 수평전개 예정
감사합니다.
자동차 부품산업 진흥재단
www.kapkorea.org

단조 담당 이성근
(coldforging @ lycos.co.kr)
<참고,인용 자료>
1) 日本塑性加工學會編: わかりやすい鍛造加工
2)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3) 日本塑性加工學會編: せん加工
4) 日本塑性加工學會紙
5)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6)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7) 소성가공과 해석 –문운당8) 재료역학 –동명사-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
topshock
 
[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
[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
[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
topshock
 
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
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
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wphome1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
topshock
 
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
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
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
topshock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
topshock
 
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
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
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
chasarang
 
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
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
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
chasarang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
chasarang
 
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
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
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
topshock
 
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
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
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
topshock
 
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
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
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
topshock
 
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
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
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topshock
 

What's hot (20)

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al주조업종 세미나-1507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1
 
[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
[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
[프레스세미나 1주제] 16년도 프레스업종 세미나 자료
 
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
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
5.(금속도금) 1,2주제 세미나 강의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0월 #01
 
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
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
업종별세미나 금속도금(12월02월)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7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9월 #01
 
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
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
5.2주제 강판별 용접불량 및 대응 (박홍원)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11월 #02
 
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
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
4 15년 프레스 세미나(생산성향상 접근법과 관련기술)-150430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2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세미나 13년 08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3월 #01
 
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
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
5 2014년 al주조업종 세미나-140912
 
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
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
4 14년 고무 세미나 사례(이노알앤씨)-140703
 
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
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
5.(교재 수정본) 고외관(고광택 블랙) 도장향상 수법 &amp; 신기술 동향 권태안 위원
 
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
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
6 2014 절삭가공 세미나 개선사례-성원공업 개선사례-140603
 

Viewers also liked

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
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
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
wphome13
 
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
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
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
Lucas Silva
 
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
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
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
chasarang
 
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
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
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
LANGE Forged Wheels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
topshock
 
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
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
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
Ellias International Pvt Ltd
 
material science
material sciencematerial science

Viewers also liked (14)

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
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
5 1.2주제-복합 공정 관리 항목 김성은 위원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2)
 
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
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
Forged Aluminum Alloy in Automotive Wheel Application
 
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
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
5 (2교시) '15년 용접세미나(강재별 용접특성-박홍원)-150506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5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9월 발표자료#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3월 #02
 
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
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
3 piece forged aluminum wheels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5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년03월(5)
 
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
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
Forging and casting technology
 
material science
material sciencematerial science
material science
 

Similar to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5월 #01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midasnfx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
chasarang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
chasarang
 
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
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
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
topshock
 
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
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
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chasarang
 
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
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
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topshock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ilshinautoclave
 
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
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
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
chasarang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Hongsik Hwang
 
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
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
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
topshock
 
Drop size test idrobase.korea
Drop size test idrobase.koreaDrop size test idrobase.korea
Drop size test idrobase.korea
yongsulee8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
chasarang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
chasarang
 
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
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
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Lee SangHun
 

Similar to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5월 #01 (20)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7월 #01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0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4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11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3월 #01
 
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
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
4 (1교시) '15년 용접세미나(용접trouble대책과접합기술동향-문흥식)-150430
 
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
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
4 2014년도 프레스 세미나-주제1-부가가치를 실현하는 고정밀 전단가공-140409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
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
5 2014년 용접 세미나(용접주요결함대책사례-문흥식)-140507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일신오토클레이브_원자력발전설비_Powerplantresearch
 
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
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
5.1주제 용접 품질 기준과 검사 (문흥식)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4월 #02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
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
5 14년 고무 세미나 교재-140703
 
Drop size test idrobase.korea
Drop size test idrobase.koreaDrop size test idrobase.korea
Drop size test idrobase.korea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4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2
 
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
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
5 금속도금 세미나 사례발표(동해금속 개선사례)-140213
 

More from topshock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topshock
 
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
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
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
topshock
 
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
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
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
topshock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topshock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topshock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topshock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topshock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topshock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topshock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topshock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topshock
 
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
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
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
topshock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topshock
 
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
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
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
topshock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topshock
 
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
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
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
topshock
 
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
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
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
topshock
 
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
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
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
topshock
 
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
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
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
topshock
 
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
topshock
 

More from topshock (20)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
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
3주제 김기찬교수 한국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희망과 도전
 
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
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
5.1주제 비용절감 공정개선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 곽진항 위원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교재]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16 고무 업종 품질기술세미나 160629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2주제 절삭가공)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원가절감 수법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5.(1주제 절삭가공) 기계가공현장의 개선 포인트(제출)
 
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
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
3주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배우는 지혜(정근용 교수)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
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
1주제 중국자동차산업현황과전망(자동차부품진흥재단)최종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
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
4 1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김종만)-151006
 
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
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
5 (2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김성은-무연 공정 관리 사항)-150903
 
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
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
4 (1교시) '15년 전기전자 세미나(곽진항)-150903
 
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
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
4 15년 도장업종 세미나(권태안)-150904-1
 
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
4 15년 고무업종 세미나-1507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5월 #01

  • 1. 2013년 단 조 기술세미나 2013. 5.22~ 5.23 자동차 부품산업 진흥재단 www.kapkorea.org 단 조 담당 이성근 (coldforging @ lycos.co.kr)
  • 2. 차례 1. 응력 <st ress> 2. 불 량 사례 <a fault y product >
  • 4. 1. 단조 공정감시 목적 -1. 공정품질 향상 -2. 무인 가동의 실현 -3. 생산성 향상 -4. 불량품 혼입 차단 SQ-마크 평 가 서 (하 드웨어_단 조) ▷ 공정별 주요 관리기준 표준(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설정 및 준수, 기록 상태 - 단조설비 F/Proof 장치 (압조력/치수/속도 등) - 전조/태핑 : 탈유기 잔존품 확인, 호퍼 카바 부착, 탭교환 주기 준수, 태핑유(보충/교환) 주기준수, 탕유시간 표준 ▷ 공정불량 자동방지(감지) F/Proof 장치 설치 상태 ▷ 원재료 사양별 공정이동전표 색상 구분 관리 ▷ 금형 셋팅 표준설정 및 준수 (냉간단조) - 금형 장착상태, 압력 , 갭 상태 점검, DIE 길이 등
  • 5. 2. 업계 환경 및 필요성
  • 7. 4. F/P 장치의 현주소 올바르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까 !
  • 9. -1. 응력 <st ress>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그 물체 내부에는 이 힘에 저항하여 버티는 내력(耐力)이 생기는데, 이와 같은 내력을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작용하는 힘의 크기로 나타낸 것을 응력(stress)이라고 한다.
  • 10. 물체의 단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단위면적당의 내력을 수직응력 이라함 인장하중=>인장응력 <tensile stress> 압축하중=>압축응력 <compressive stress>
  • 11. 물체의 단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을 전단력이라 하고 이와 같은 전단력에 의하여 단면에 나란하게 작용하는 단위면적당의 내력을 전단응력 <shearing stress> 이라고 한다.  = P/A
  • 12. 원형축의 한쪽 끝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 끝단의 접선방향으로 힘 F를 가하면, 축을 비틀어지게 하는 역학적 양 T=Fd가 작용하게 되는데, 이 역학적 양을 우력 (遇力, torque) 또는 비틀림 모멘트 (torsional moment) 라 한다. T=Fd 이므로 전단응력의 최대치 최외단에서 전단응력 최대  = T/Zp (Zp 극단면계수)
  • 13. 소재가 받는 응력의 형태: 소성 가공에서 소재의 변형은 인장, 압축, 전단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두 가지 이상이 서로 복합된 형태의 응력을 받아 이루어 진다. 인장 응력<tensile stress> 압축 응력<comprsssive stress> 전단 응력<shearing stress>
  • 14. BCC FCC 체적변형율 = 변화된 체적 / 원래의 체적 물체가 외력을 받아 체적이 변화했을 경우, 변화되기 전의 체적에 대한 변화된 체적의 비를 체적 변형율 (bulk strain) 이라 한다. HCP
  • 15. 인장시험 ( tensile test ) 시험할 재료에 인장력을 가하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매 순간에 있어서의 재료의 변형량을 측정하여 재료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등 기계적 성질을 결정하는 시험법이다. 응력 = 가한 힘 / 처음의 단면적 변형량 = 변형된 길이 – 처음 길이 / 처음 길이 인장 시험편 응력:  변형량: е = W/A = lf – l / l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 16. 파단 공칭변형율 (nominal strain) e = l – l0 / l0 대수 변형율 (logarithmic strain) ε = ln (l / l0) Compression h1  h0 / 2   ln e h1 h0 h1  h0 h0 Elongation h1  2h0 -0.693 +0.693 -0.5 +1.0
  • 17. 연강의 응력-변형률 선도 (stress - strain curve) P:비례한도~응력과 변형률이 서로 비례관계를 가지는 한계의 응력 E:탄성한도~시험편에 가했던 응력을 제거했을 때 변형 전의 상태로 되돌아 오는 한계의 응력 Y:상항복점~순간적으로 응력이 감소하기 시작하 는 점으로, 이 점에서의 응력을 그 재료의 항복강도라고 한다 Y`:하항복점~거의 응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변형률 이 갑자기 증가하기 시작하는 점 Y``~변형률의 증가와 더불어 응력이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점 ( 가공경화 현상 ) U:최대응력~최대점의 응력, 인장강도 ( 극한강도 ) B:파단응력~시험편이 파단되는 점에서의 응력
  • 18. 연신율 (elongation) 항복강도: 0.2% 영구 변형 ( 내력 ) 인장강도: 항장력 ( 극한인장강도 ) 연신율: 재료의 연신을 표시
  • 19. 영구 변형 (permanent deformation)   1 : 영구 변형량 2 : 탄성적인 변형량
  • 20. 연강 및 비철금속의 응력-변형률 선도 (stress−strain curve)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 21. 유동응력 (변형저항 곡선) 항복 이후의 연속되는 항복응력에 해당하는 재료상수를 유동응력 (flow stress) 으로 표시한다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 22. 유동응력은 재료가 갖고 있는 특성이며 금속재료의 경우 변형율, 변형율 속도, 온도, 재료의 화학적 조성 등의 영향을 받는다. Ram Strain Contact Die Forging geometry, volume, projected area, perimeter Forging temperature during deformation Lubrication Flow stress Friction condition Required forging load and energy Flow stress,    f  ,  ,T , S    T S   Effective strain Effective strain-rate Temperature Microstructure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24. SWCH 10A / LAIP / 인장강도 44.35 Kgf/mm2 항복강도 43.68 Kgf/mm2 연신율 10.70 % 구상화율 60 이상 SWCH 10A / SAIP / 인장강도 43.76 Kgf/mm2 Δ 0.67 항복강도 40.26 Kgf/mm2 가공경화 연신율 20.70 % 小 구상화율 80 이상 냉간압조용선재의 응력-변형률 선도 (UTM) (stress - strain curve) Δ 3.5 가공경화 大
  • 26. #2크랙발생 #3크랙발생 #2 크랙발생 65.7% ⅹ80 #3 크랙발생 68.8% ⅹ80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 27. 시멘타이트의 구상화율에 의한 업셋팅성의 변화 SWCH45F 구상화 조직사진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 28. 변형량, 즉 영구변형량은 치수로 나타남 제품 내부의 응력은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며, 결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결함이 없는 최대변형=>한계변형율
  • 29. -2. 응력집중 <st ress concent rat ion> 평균응력 = 하중 / 단면적 = P / (b-d) t 최대응력 / 평균응력 = 응력집중계수 K (stress concentration factor ) 응력집중계수의 값은 노치형상과 하중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부재의 크기나 재질과는 관계가 없다
  • 30. 평판 폭이 일정할 때 구멍지름 d 가 커질수록 응력집중계수 K는 감소 응력집중현상은 부재에 구멍(hole) 가공, 노치(notch) 가공 등으로 인하여 단면형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외력을 받는 재료에서 파단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곳은 대부분 이와 같이 응력집중이 생기는 곳이므로, 재료를 설계할 때 응력집중현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 31. 단붙이 원통에서 모서리 반지름 R와 응력집중계수 K와의 관계선도 소단지름 d가 일정하다고 할 때 단부반지름 r이 커질수록 응력집중계수 K는 감소한다. 또한 D/d 가 커질수록 K의 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름차가 크던가, 노치의 반지름 r이 작아지면 응력집중계수는 커지게 되기 때문에 재료의 내력(耐力)은 저하하게 된다.
  • 32. -3. 볼트 조임 <t ight ening of t hreaded fast eners>
  • 33. 축력 – 토크 선도 <등가응력 곡선> 한국소성가공학회지 16권 2호
  • 34. B 파괴 (마찰계수의 작아짐) 축력 A 예상되는 체결의 산포 (적정 마찰계수 고려) 필요축력 상한 필요축력 하한 체결토크 관리폭 토크
  • 35. 항복 조임축력 (yield clamping force) 조임에 의하여 볼트가 항복 되었을 때의 축력값 항복 조임토크 (yield tightening torque) 조임에서 축력이 항복 조임축력에 도달하였을 때 의 조임 토크값
  • 36. 50 % 40 % 볼트의 체결력과 토크 너트를 돌려서 볼트를 죄면 볼트는 신장되고, 신장된 볼트는 원상으로 복귀하려고 하여 축력(軸力) 이 발생되며 이 축력으로 대상물체가 죄어져 고정된다. 이 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한 토크는 대략 하여 볼트의 자리면의 마찰에 50% 나사면의 마찰에서 40% 나머지 10% 는 리드각 (피치) 에서 소비된다.
  • 37. W P p πd 평탄한 언덕길 (마찰 小) W P p πd 거칠은 언덕길 (마찰 大)
  • 38. 나사를 체결 할 때의 체결 토크 T와 체결력 F의 관계는 그 나사가 항복점 이하 일 때 비례관계에 있고 아래와 같다. T  KdF 1 d2 dn K  ( tan(  '  )   ' ) 2 d d K :토크 계수(일반적 0.15~0.2)  :나사의 리드각  ' :나사산 접촉면의 환산마찰각 d :나사의 호칭경  tan    :나사산 접촉면의 마찰계수 d 2 :나사의 유효경  :나사산 각도 dn :볼트 두부자리면 또는 너트자리면의 평균직경  ' :볼트두부자리면 또는 너트자리면과  1 /(cos / 2) 피체결물과의 접촉면의 마찰계수 3
  • 40.
  • 41.
  • 43. 적정체결력을 갖추었는 지 검증은 ? KS B 1042 2종 규격을 만족할 것
  • 48. 2. 불 량 사례 <a fault y product >
  • 49. -1. 응력집중 <st ress concent rat ion > Long 볼트의 나사부 랩
  • 50. M4 스크류 절손 1. SCM 435, M4 삼각단면형, 공정: 단조-> 와샤조립 및 전조-> 침탄 열처리-> 도금(전처리 후 베이킹)->3가 아연 백색 경도: 심부= HRC 40~45, 표면=HRC 40~46 2. 베이킹 조건: 200℃ 4Hr 유지 ( 유저 자료에는 12.9 경우 6 Hr ) 3. 최근 파단 09.12.21 9/10 개, 72 Hr 에 파단됨. 4. 파단 테스트 조건: 테스트 다이에 5 N-M 로 체결 96 Hr 후 파단/크랙 없을 것. 체결 중 파단품 체결 시험판
  • 51. M4 파단면 M4 파단면 M4 파단면 M4 파단면
  • 52. M4 파단면 M4 목부 (완제품) M4 목부 확대 나사부
  • 53. 2 ND 다이에서 3타째 목부 겹침 발생 원인: 2타째 후 제품 로테이팅(회전) 발생으로 추정. 양산 중 샘플 5 개중 1개 발생 -1.이송 불안정, 윤활 불량 -2.체적 불균형으로 고정상태 불량
  • 54. 스크류 전조 초입부 절손 발생 절손품 파단면에 도금부분 육안 확인 됨 원인: 전조 시작부분 표면 거칠음 다이스 마모 확인 다이스 교체 및 가공유 사용 전조 속도 낮출 것 국내제작품 도입품
  • 55. A 전조 다이스 마모 확인 A: 신품 B: 사용품 (20 만개 생산) B 절손부분
  • 57. 산화물 관찰: 열간단조공정 중 겹침 발생, 노치 기점으로 작용 파손 발생
  • 58. -2. 재료 <material> 열간단조 인너레이스 고주파 시 크랙 발생 <S58C> 적열(고온) 취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Mn/S≥10 으로 관리 필요
  • 59. 한계 업셋팅율에 대한 불순물의 영향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 60. 선조질강재 롱 볼트 두부 절손 원재료의 비금속개재물 관리 필요
  • 63. -3.조건관리 <process> Internal Cracking <Chevron Cracking> -중심선을 따라 정수압으로 인한 인장응력 상태에서 발생 주요인자: 다이 각도, 압출비(단면적 감소율), 마찰
  • 64. Internal Cracking <만네스만 효과> 봉재의 넓히기(크로스 웻지) 가공에서의 만네스만 효과 Ⅹ100 Ⅹ500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 65. Internal Cracking <경화층 발생> ASM Metals Handbook V.14
  • 66. 인덕션 히타의 가열조건 열간단조에서 단조품의 재질에 따른 적정단조온도가 있다. 탄소강의 경우는 탄소의 함유량에 의해 온도범위가 달라진다.
  • 67. 탄소강의 최고가열온도는 고상선에서 약 70 ˚C 낮은 온도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온도, 단조종료온도에 의해 결정립의 크기가 변화하여 기계 적 성질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 68. 1204 유지 1093 982 871 유지 760 649 538 재료를 가열하여 재결정온도 이상이 되면 온도의 상승에 대해 결정립은 점점 성장 하여 조대화 된다. 결정립을 미세화한 우수한 기계적성질을 단조품에 주기 위해서는 단조종료온도가 낮을수록 좋고 일반적으로 재결정온도보다 30~50 ˚C 높은 온도를 목표로 한다.
  • 69. 가열온도 측정 <100715> 리어어퍼암 소재온도 측정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측정일 10년 7월 15일 오후 출력 638 4시 측정자 단위 ˚C 속도 280 온도 NO 온도 1272 31 1248 1247 32 1275 1300 1271 33 1293 1254 34 1288 1290 1273 35 1280 1258 36 1273 1280 1259 37 1273 1270 1288 38 1291 1285 39 1270 1260 1269 40 1271 1284 41 1271 1250 1271 42 1258 1286 43 1276 1240 1290 44 1289 1230 1274 45 1287 1276 46 1274 1220 1269 47 1292 1279 48 1258 1210 1271 49 1271 1254 50 1237 1200 1 2 3 4 1281 51 1257 1277 52 1283 1279 1274 평균 1273.712 1281 최대 1293 1279 1278 최소 1237 1276 차이 56 1287 1276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S45C 최고단조온도 1260 ˚C
  • 71. 단조 조건 확인 : 단조온도 목표: 1,250 ˚ C 소재온도 측정 측정일 10년 7월 15일 오후 4시 측정자 단위 ˚C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온도 1272 1247 1271 1254 1273 1258 1259 1288 1285 1269 1284 1271 1286 1290 1274 1276 1269 1279 1271 1254 1281 1277 1279 NO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평균 24 1274 최대 25 26 27 28 29 30 1281 1279 1278 1276 1287 1276 최소 차이 출력 속도 온도 1248 1275 1293 1288 1280 1273 1273 1291 1270 1271 1271 1258 1276 1289 1287 1274 1292 1258 1271 1237 1257 1283 1273.409 1293 1237 56 638 280 소재와 코일간 매칭율 비교 -소재 SM45C , ø45 / 코일: ø50 = 단면적 매칭율 81 % A) I.H: 3 KHz (1600 Ton) 가열재료경 ø 55 매칭비 0.840 설정치 :이송 210 mm/min 전압 413 KV
  • 72. 소재와 코일 매칭율과 온도산포 A) I.H: 3 KHz (1600 Ton) mm/min 가열재료경 ø 55 매칭비 0.840 설정치 :이송 210 전압 413 KV B) I.H: 2 KHz (1600 Ton) mm/min 가열재료경 ø 50 매칭비 0.694 설정치 :이송 200 전압 670 KV C) I.H: Fuji 2 KHz (1000 Ton) 가열재료경 ø 50 매칭비 0.925 설정치 :이송 600 mm/min 전압 915 KV C) I.H: Misutbishi 3 KHz (1000 Ton) 가열재료경 ø 42 매칭비 0.766 설정치 :이송 7 20mm/min 전 압 680 KV 日本塑性加工學會編: わかりやすい鍛造加工
  • 73. 플레쉬 칫수의 변화 (열간 프레스)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74. Shape Complexity Classification: Class 1 and 2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75. Shape Complexity Classification: Class 3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76. Shape Classification: group 224 Material: carbon and alloy steel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77. Flash allowance (V), forging load (L) and forging energy (E) trends with increasing W/T ratio for a constant flash thickness.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78. Flash All. Energy Load 25 6 K Joule (Energy), % (Flash allowance) 4 15 3 10 2 5 1 0 Flash Ratio, W / T M Newton (Load) 5 20 0 2 3 4 5 • Load decreases < • Flash allowanceNO increases fast 6 <> OK 7 8 9 > • Load increases fast NO • Flash allowance decreases slightly Choose the flash ratio (W / T) near the zone of minimum energy (yellow zone in the graph). This is the best compromise between flash allowance and forging load.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 79. 단조 조건 확인 : 플레쉬 두께 확인 목표: 4.5mm <당초: 3.5mm> 1 4.90 31 4.40 61 4.5 2 4.90 32 4.40 62 4.6 3 4.90 33 4.40 63 4.6 4 5.00 34 4.40 64 4.65 5 5.00 35 4.50 65 4.65 6 5.00 36 4.50 66 4.6 7 4.95 37 4.45 67 4.65 8 4.90 38 4.45 68 4.65 9 4.80 39 4.40 69 4.75 10 4.80 40 4.40 70 4.8 11 4.80 41 4.40 71 4.75 12 4.80 42 4.30 72 4.65 13 4.80 43 4.30 73 4.6 14 4.80 44 4.30 74 4.6 15 4.80 45 4.30 75 4.6 16 4.80 46 4.35 76 4.7 17 4.80 47 4.35 77 4.8 18 4.70 48 4.30 평균 4.569481 19 4.70 49 4.25 최대 5 20 4.70 50 4.25 최소 4.1 21 4.65 51 4.30 차이 0.9 22 4.60 52 4.10 23 4.60 53 4.10 24 4.60 54 4.30 25 4.60 55 4.30 26 4.50 56 4.40 27 4.50 57 4.40 28 4.40 58 4.40 29 4.40 59 4.40 30 4.40 60 4.50
  • 80. 동계 이형제 희석비 테스트 비교 -1.치형부분 결육 발생 (5:5 大, 7:3 정상 <석유: 오일닥>) -2.이형제에 의한 치형부의 눈메임 현상으로 보임 -3.플레쉬 두께 비교 5:5 = 1.40 ~ 1.55 mm 6:4 = 1.35 ~ 1.50 mm 7:3 = 1.40 ~ 1.50 mm -4.현재 7:3 희석비가 최적인 것으로 인지, 사용 중 이형제 희석 테스트 품 5:5-35 중앙부 6:4-35 중앙부 7:3-71 중앙부
  • 81. 측정 제품을 측정하지 못하면, 양품은 만들지 못한다.
  • 82. 측정용 지그 개선 1/2 개선 전: -열처리 후 고노게이지 형태로 전수검사 실시 -치수의 계량화 불가 -신뢰성 미흡 (검사 후 불량품 발생) 1차 개선: -미스매치 및 치수의 계량화 가능 -가공 기준점의 확보 미흡 (신뢰성 미흡) -트리밍 면의 측정으로 실제치수 계량 미흡
  • 83. 전장 tap 중량 전장 tap bush b/j 2차 개선: -가공/측정 기준점 일치 시킴 -치수의 계량화 가능 (LH,RH 구분 제작) -결과의 검증 및 신뢰성 증대 필요 (가공결과 및 3차원 측정기와 비교, 교정 필요) bush tap b/j tap높이 높이 48.19 66.05 n 전장 중량 1 323.8 2 323.8 48.32 66.13 2188 3 323.55 48.5 66.22 2178 4 323.8 48.26 66.14 2168 5 324.05 48.34 66.3 2162 6 323.8 48.39 66.2 2172 7 323.3 48.11 66.1 2164 8 323.8 48.52 66.3 2160 9 323.8 48.35 66 2160 10 323.55 48.51 66.35 2164 11 323.8 48.8 66.65 2202 12 323.8 48.48 66.49 2174 13 324.05 48.52 66.45 2172 14 323.8 48.47 66.31 2166 15 323.8 48.6 66.46 2182 16 323.8 48.52 66.22 2172 17 324.05 48.44 66.26 2166 18 323.55 48.24 65.94 2160 19 323.55 48.35 66.26 2168 20 323.8 48.45 66.34 2178 21 323.55 48.64 66.38 2176 22 323.3 48.5 66.17 2180 23 323.3 48.2 66 2160 24 323.8 48.6 66.38 2178 25 323.55 48.29 66.27 2160 26 323.3 48 65.88 2160 27 323.8 48.1 65.92 2164 28 323.8 48.3 66.17 2166 29 327.8 47.5 61.8 2166 30 328.3 47.1 61.4 2172 2164
  • 84. 초물 관리 (워밍 업) 항목 전장 와샤두께 와샤경 SPEC 45.0~46.0 2.3~2.7 20.7~21.0 제품사진 와샤경 ■ 생산 가동 시간별 치수 변화 (전장/와샤부) 확인 ■ 작성자 : ■ 측정일 : 2013. 03. 26 (오전) 초품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145 20.81 20.82 20.86 20.87 20.86 20.86 20.87 20.88 20.84 20.81 20.84 20.87 20.86 20.82 20.74 20.84 20.7~ 21.3 10 20.83 20.68 20.78 20.86 20.84 20.76 20.76 20.68 20.73 20.71 20.72 20.70 20.69 20.78 SPEC 와샤경 5 75 검사 항목 평균 20.79 9 21.05 Cp : 1.147 Cpk : 0.884 21 20.95 ACTION 20.9 20.85 20.8 20.75 20.7 20.65 20.6 20.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86. <M8 2D2B> SPM 상향 테스트 1. SPM 200 ( 83% ) <기존 185, 77 %> - 최대 SPM 대비 83%로 TEST - 8% 생산성 증대 목표 - MAX SPM 240 설비 조건 이송로라 압력 이송로라 라쳇 압력 오일 압력 1-1. TEST 결과 - 설비 진동 변화 없음 - 집게 및 홀더 움직임 이상 없음 1-2. 제품 측정 결과 - CPK 값 양호 7.260 최소값 최대값 7.206 평균 7.201 표준편차 0.0017 Cp 3.85 Cpk 2.18 80 7.199 60 40 20 0 7.160 1 7 13 19 25 31 37 43 49 55 61 67 73 79 85 91 97 1-3. 결과 보고 - SPM 200 설비 가동에 적합으로 판정 - SPM 225 로 올려서 추가 TEST 후 최종 결정 기준치 상태 4~6kg/㎠ 5.2kg/㎠ 4~6kg/㎠ 5.0kg/㎠ 4~6kg/㎠ 5.0kg/㎠
  • 87. 2-2. 제품 측정 결과 최소값 7.193 최대값 7.211 평균 7.198 표준편차 0.0031 Cp 2.13 Cpk 0.86 7.260 7.160 1 5 9 13 17 21 25 29 33 37 41 45 49 53 57 61 65 69 73 77 81 85 89 93 97 80 70 60 50 40 30 20 10 0 결과 보고 - 설비 진동으로 SPM220 부적격으로 판정 됨 - SPM200으로 HD-07 수평전개 예정
  • 88. 감사합니다. 자동차 부품산업 진흥재단 www.kapkorea.org 단조 담당 이성근 (coldforging @ lycos.co.kr) <참고,인용 자료> 1) 日本塑性加工學會編: わかりやすい鍛造加工 2) 日本塑性加工學會編: 鍛造 3) 日本塑性加工學會編: せん加工 4) 日本塑性加工學會紙 5) 日本塑性加工學會編: 材料 6) ASM International: Cold and Hot Forging 7) 소성가공과 해석 –문운당8) 재료역학 –동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