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수원환경운동센터 김충관 사무처장/
도시속의 자연 우리의 하천1. ,
인류는 오랜 세월동안 자연과 어울려서 잘 살아왔다 그러나 지난 한세기 동안의 질풍같은.
변화로 우리 삶터의 모습은 걷잡을 수 없이 달라져 버렸다 수백년에 걸쳐 이루어진 외국의.
산업화와 도시화에서도 나타나는 부작용이 많은데 우리나라는 불과 반세기동안에 이를 쫓,
아가느라 실로 엄청난 도시개발이 진행되어서 이제는 반세기전 이곳에는 무엇이 어떻게 살,
고 있었는지를 사실과 가까이 상상해내는 일이 불가능해졌다.
지방자치가 실시되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서 지역스스로 해결해
야 하며 지역주민의 사회 경제적 이익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장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개발은 주민들의 욕구와 수요를 공급하기 위한 방향에서 모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나같이 지방자치단체는 재정확충을 이유로 개발위주의 정책으로 일관한,
다 지역환경용량을 고려하지 않는 이러한 개발정책으로 인한 피해는 결국 지역사회 주민에.
게 돌아간다.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지 변할 것인지 모른채 복잡하고 소란스러운 환경에서 살아가는 많, ,
은 도시인들은 이 도시환경의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로 잃어버린 자연에 대한 짙은 그리,
움을 안고 살아간다 위험하고 삭막한 도시 회색빛 콘크리트속에서의 생활이 익숙해질 만. ,
도 하건만 휴일이면 심각한 교통체증과 부담스러운 비용을 치르고서라도 어머니 자연의 품,
에 안겨야만 위안을 받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대규모 택지개발 급격한 인구증가 녹지훼손 날마다 적신호? , , ,
를 울려대는 교통난 쓰레기문제 건강을 위협하는 대기오염문제 물문제 이 종합적이고, , , .…
만성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 살고 있는 자리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
까 이제는 멀리 있어서 가끔 만날 수 있는 자연이 아니라 자신이 대부분의 삶을 보내는 도?
시 안에서 늘 만나고 느낄 수 있는 자연을 기대하는 자신의 욕구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
대다수의 시민들이 생태적인 가치관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생활양식을 바꾸어나가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이것은 가능할까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면 이를 위하여 또는 이에 앞서서? ,
우리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이러한 생각속에서 작은 실천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관심이 하천으로 향한다.
이제 도시의 희망은 개발되지 않은 땅에 남아있는 자연과 지금이라도 자연의 재생과 회복이
가능한 공간 아닌가 하천은 그러한 기대와 가능성을 우리에게 던져주며 애정어린 주목을?
받고 있다.
굽이굽이 흐르던 하천 맑은 물이 흐르고 물고기를 잡고 놀던 하천의 모습은 년대를, 70, 80
거치며 사라졌지만 이미 하천은 직강화되고 콘크리트로 뒤덮여서 식생도 별로 없고 물도, ,
더러워 악취가 나지만 그래도 빼곡한 아파트와 도로를 벗하며 시내를 가로질러 흐르는. ,…
저 하천은 도시에서 숨통을 트이게 하는 열린 자연공간으로 우리 마음의 위안이 되어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하천살리기운동2.
년대 들어서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각 지역의 환경문제에90 .
대응하고 환경을 보전하고자 하는 크고 작은 환경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두산 페놀, .
유출사건이후 하천을 살리자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우리나라의 하천살리기운동은
지역주민모임 환경단체의 성장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활성화되었다, .
우리나라에서 펼쳐지는 하천살리기 운동은 각 지역의 하천현황과 현안에 따라 진행되었으
나 내용적인 면에서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먼저 하천의 물을 맑게 개선하고 보전하자는 운동이다 하천인근의 생활하수나 축산폐수, , .
또는 공장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오염되고 있는 곳을 조사하여 개선을 요구하는 운
동 하천의 건천화 문제제기 하천의 자정능력 확충요구 하천의 사망선고라고 할 수 있는, , ,
복개를 반대하는 운동 등을 진행한다.
주민들의 수질개선 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대포천 살리기 주민운동을 들 수 있다.
경남 김해시의 대포천은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물금취수장에서 불과 밖에 떨어져 있지300m
않은 지방 급 하천으로 년대부터 수질이 악화되어 한때 급수에 달할 정도로 오염되2 , 60 3 4∼
었던 하천이었다 년 상수원보호를 위하여 대포천 일대가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될. 1997
상황이 되자 대포천 주민들은 행정기관에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을 유보하는 대신에 주민 스
스로 하천수질개선에 주력하기로 합의하고 상동면수질개선대책위원회 를 구성하여 대" "
대적인 수질정화운동을 전개하였다 주민들은 가구당 월 천 원을 내어 천만 원의. 2-3 3 "
수질개선기금 을 조성하고 유급감시원 명을 대포천에 배치하는 한편 수계별 하천감시" , 2 ,
단 개반 명 을 구성하여 축산폐수와 공장폐수의 무단방류감시에 들어갔다 또한 하천바3 (18 ) .
닥에 붙어있는 축산오물을 씻어내고 각 가정에서도 세제덜쓰기운동 손빨래하기운동 물덜, ,
쓰기운동에 적극 동참하였다 하수가 흘러드는 어귀마다 미나리를 심고 주민들은 관계기업. ,
별로 담당구역을 배정하여 매주 한차례씩 하천정화활동도 벌였다.
이와같은 주민들의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노력으로 대포천은 년 월 이후 기준1998 2 BOD
급수 하천으로 개선되었는데 이러한 사례는 하천살리기 운동에 있어서 주민들의 자발적인1
참여와 노력이 얼마나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복개반대운동으로는 수원천되살리기시민운동 이 대표적 사례이며 그후 도림천(1995-1996) ,
서울 야탑천 분당 등 복개가 진행되는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천위를 콘크리( ), ( ) .
트 등으로 덮는 하천의 복개는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불법폐수의 무단방류로 인한 하천,
오염을 심화시키며 유수능력을 감소시켜 홍수의 위험이 있다 하천의 사망선고라고 불리는, .
복개를 반대하는 것은 하천이 단순한 물의 통로가 아니고 생태적 기능은 물론 친수기능과,
경관기능을 통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자연임을 시민에게 알린다.
두번째로는 하천의 환경기능을 이 치수기능과 함께 고려하여 하천을 정비하자는 운동이다· .
생태서식공간으로서 하천을 되살려내고 주민들의 사랑을 받는 친수공간으로서의 하천을 조,
성하고 사람들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주는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하천 도시에 자연을, ,
회복시켜 나가기 위한 녹지축으로서의 하천을 조성해 나가자는 운동이다 자연형하천조성.
운동은 양재천 자연형하천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수원천의 자연형하천 조성 무심천 자연하, ,
천 복원 콘크리크 구조물 제거 청주 안양천살리기 온천천 부산 살리기 운동 등의 많은( , ), , ( )
사례가 있다 하천을 인위적으로 정비하되 하천이 본래 지닌 자연성을 최대한으로 살리는. ,
하천을 만들어가자는 것이다.
셋째로 하천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문화적인 운동의 전개이다 생활공간으로서의 하천에 자.
연스럽게 배어나던 하천문화를 찾아서 새로운 시민문화운동으로 펼쳐나가자는 것이다.
이것은 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과 관심을 모아내고 공동체의식을 형성시킴으로서 하천,
살리기 운동이 지속적이고 깊이있게 자리잡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하천생태탐사 하천생태기행은 하천운동을 펼치는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진행되,
는 프로그램으로 하천 및 하천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하천의 생태 식생 어류 수서곤충, ( , , ,
조류 등 을 조사하여 하천의 중요성과 하천오염 실태를 깨닫는 체험활동이다) .
최근들어 하천살리기운동으로 자리매김을 하는 하천문화제는 하천을 되살리기 원하는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행사로 인근 하천을 살리기 위한 주민들의 유대감과 공동체의식을 형성
하고 참여를 확산하기위한 행사이다 온천천 시민축제와 중량천 안성천 생명축제의 사례가, . ,
있다 하천문화제는 하천을 생태문화공간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하천에 대한 주민들. ,
의 애정과 관심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
일본의 하천살리기운동3.
수천개의 강이 흐르는 일본에서는 강과 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우리나라보다
약간 앞서서 형성되었다.
년 하천법이 개정되어 각 하천 유역의 관리체계가 확립되고 당시 강과 개천의 수질오1964 ,
염이 심해지면서 자신들이 살고있는 인근지역 강을 소중히 하려는 시민활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된다.
년대 강의 오염이 심해지자 수질오염억제법과 같은 다양한 법안과 규칙들이 통과되었다70 .
오염된 작은 강들이 복개천으로 바뀌는가 하면 워터파크 계획등이 실시되어서 위층으로는,
정화된 물을 아래층으로는 오염된 물이 흐르게 하는 하천관리 기법 등이 일본 전역에 보급
되었다.
년대에는 강에 대한 관심이 강을 연구하고 보호하며 창조하고 이용하는 방향으로 활성화80
되었으다 후반에는 서구국가에서 들어온 환경 및 하천보존 활동이 시민들에게 알려지면서.
하천을 살리려는 시민들의 활동도 보다 구체적 잠자리 서식처를 보호하자 으로 자리잡으며- -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년대 들어서는 생태친화적인 하천계획 프로젝트들이 시작되면서 하천의 자연서식처 보존90
과 재생을 중점으로 하는 하천살리기 사업이 추진되었다 시민단체들은 각 하천 유역별 차.
원과 전국적인 차원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심포지엄을 통해 하천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고 관련 문제들을 토론하였다 또한 년대 후반부터 환경교육 활동이 지역별로 더욱. 90
강화되어 강으로부터 배우는 다양하고 즐거운 하천환경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펼쳐졌다.
년 이래 매년 강의 날 워크샵에는 강에 관한 활동을 하는 개 이상의 단체가 모이고1988 70
있다.
하천 강 운동의 새로운 조류와 의미4. ( )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하천살리기운동에 공감대를 형성한 기존 하천살리기 주체들이 적극적
으로 하천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연대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하천의 특징은 무엇보다 이어짐 에 있다 발원지부터 바다까지 물의 흐름이 길게 이어' ' .
지는 것은 모든 하천의 특징이다 따라서 물과 하천변 자연이 건강하게 되살아나기 위해서.
는 하천의 이어짐 을 토대로 한 하천살리기운동 수계내의 지류 샛강 를 살리는 운동' ' , ( )
과 본류를 살리려는 운동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고기는 숲을 보고 잡아라 라는 말이 전해온다고 한다 우리 선조들은 이' ' .
미 오래전부터 숲과 하천이 서로 깊이 연관되어 있는 하나의 유기적 통합체 임을 인식' '
하고 하천을 중심으로 광역적인 유역생활경제권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일본에 있어서 유역이란 개념은 운명공동체에 기반을 둔다 하천 유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상류지역의 산림벌채로 인해 하류지역에는 큰 홍수가 생긴다는 유역의식이 있어서 혼슈섬의
북족 부분인 산리쿠 지역에는 산에 나무를 심는 어부들이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주민모임과 시민단체들은 관내의 하천관리만으로는 하천을 살리는데 한
계가 있다는데 의식을 같이하고 지방정부 하천관리자 다른 지역단체 기업과 같은 다양한, , , ,
조직 그리고 강과 관련된 모두와 협력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하천네트워크를 조직하여 활
동하고 있다.
년 시작된 추루미가와 은 일본에서 가장 크며 선구적인 하천 네트워크 중의1991 TR-NET
하나이다 추루미가와 강은 전형적인 도시 하천으로 명이 그 유역에 살고 있다. 1,840,000 .
년 당시 일본에서 번째로 오염이 심한 강이었던 추루미가와 강 유역의 개의 단체2001 3 56
는 유역을 맥 으로 인식을 공유하고 각 단체별로 독립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을(tapir) ,
지침으로 하여 활동을 펼친다.
맥의 형태를 띤 유역 지도를 공유하며 정부 경계를 넘어 행동할 것1)
강을 따라 있는 자연과 도시의 문화를 다시 발견하고 다시 배우며 나아갈 것2)
안전 안정 자연환경과 복지를 고려한다는 원칙으로 강을 보존하고 복원할 것3) , ,
서로 각자의 위치와 파트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하며 시민들 하천 관리자 지4) , ,
방 정부들 그리고 기업 간의 다양한 협력 체계를 모색할 것
하천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기 위해 교류할 것5)
아사히카와 하천 유역 네트워크 에서는 강의 수원 기념물을 개월에 걸(140km) (AR-NET) 6
쳐서 강 하구에서 수원까지 옮기는 행사를 통해 그들이 유역 주민의 일원임을 상기하는데
나무로 만든 수레를 통해 기념물을 옮기는 데는 무려 개월의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이들6 .
은 주일에 한번 회원들에게 팩시밀리나 이메일을 통해 뉴스를 보냄으로써 그러1 AR-NET
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뉴스에는 의 활동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하천 공사. AR-NET
장소와 같은 하천 관리자로부터 온 정보 정부에 대한 역시 담겨 있다 이 뉴스는 시, Q&A .
민과 정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 도구의 역할도 하고 있다.
하천운동의 전망5.
사람들은 평생을 사는 동안 자기가 속한 지역사회 안에서 깊은 관계를 주고받으며 살아간
다 시대별로 지역범위도 변천하여 농경시대에는 씨족 공동체를 이루어 농작과 수렵이 가능.
한 지역이 그 범위였으나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지역의 범위가 국가로까지 확대되었고 정,
보화시대를 맞아서는 전세계가 공동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는 등
지역의 개념이 지구촌으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개인 삶의 질과 문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리적 영역과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지역에 대한 유대감,
을 지니고 있다.(Lovell, 1972)
첫째 하천살리기운동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조성해나가고자 하는 계획과 연계하여 도시내,
생태환경 복원 창출 등의 실질적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다, .
이제 세기 지속가능한 도시를 그려 가는데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자연속의 인간의 위치21
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생활양식을 실현하는 도시구조와 기능을 미래의,
도시의 과제로 조명하려는 노력들이 대두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하여 도시내 환경.
용량 이상으로 자연생태환경을 개선하고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연의 재생 및 복원 노,
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미 서구유럽에서는 도시내 다양한 생물들이 사람과 더불어 살 수 있.
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생태적 네트워크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럽은. 1995
년 월 유럽환경장관회의에서 년까지 유럽전체를 생태통로로 연결하는10 2005
계획 추진을 합의하였다EECONET(European Econet) .
하천은 도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경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물과 흙이 어우러져,
사행이나 여울 소 등의 다양한 환경구조를 가짐으로 생태적 생산성이 매우 높은 공간이다, .
이러한 하천을 중심으로 도시에 자연을 복원해 나가는 운동은 상당한 가능성과 의미를 가진
다 최근 각지자체마다 도시미래상으로 생태도시 환경도시 녹색도시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 , ,
데 이것과 하천살리기운동은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시민들이 지역에 있는 하천으로부터 자연을 배우고 하천을 맑고 푸르게 살려가고, , ,
다양한 생물이 살 수 있도록 가꾸는 것 등의 지속적인 하천살리기운동 추진은 자연과 더불
어 사는 환경도시 실현의 디딤돌이 될 것이다.
둘째 하천살리기운동은 도시공동체를 복원하고 추진해나가는 역할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
한국의 전통적인 공동체는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농경문화를 유지할 수 있는 촌락형태에서,
유지되었다 촌락내의 사람들간에는 긴밀한 이웃관계가 형성되고 마을 정자목이나 우물가. ,
는 공동체 성원들간의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나누는 장이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지역, .
공동체가 약화 또는 해체되었으며 깊은 인간소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람들은 공동체, .
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개인중심의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이,
룩할 수 있는가는 현실적으로 간단하지 않다 공동체는 동류의식을 강화하자는 슬로건만으.
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슬로건이 공동체 구성원의 사고와 행위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
어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지역공동체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공동유대감 우리의식 역할감정 의존감정 이 필요한데- , , - ,
흔히 인간이 모이는 곳은 어디든지 공동의 장소라고 하는 기초위에 공동의 가치가 나타나며
공동유대감이 형성된다.
하천은 개인주의적 삶을 사는 도시인들에게 함께 만나서 무엇인가를 나누고 행동하는 이, ,
러한 공동의 장소가 될 수 있다 옛 촌락의 정자나무나 빨래터에 동네사람들이 모였던 것처.
럼 주민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서 가꾸어진 하천은 애정과 관심을 듬뿍받는 공공 장소가 될,
뿐 아니라 지역 주민의 공동유대감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하천살리기운동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활성화해,
나간다면 유역의 상 중 하류에 사는 사람들 모임과 단체 기관과 기업 간의 연대활동과, , , ,
공동체 의식 또한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다.
셋째 하천은 지역문화의 거점으로 환경기능이외에 문화기능을 형성해 내갈 것이다, .
한 지역사회 문화속에서 형성된 주민의 공동의식이나 사회적성격 즉 커뮤낼리티는 지역의,
발전을 촉진 또는 저지한다 하천의 유래와 변천은 주민들의 삶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
다 수원의 화성은 수원천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유수한 문화유적 또한 하천과 연계. ,
를 맺으면서 형성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하천의 긍정적 변화는 시민의 의식과 도시지향점.
에 의해 가능하고 또 역으로 부정적인 형태로 나아갈 수도 있다, .
하천에는 크고 작은 문화적 요인들이 많다 예전의 행사 그리고 설화 전설 등 또한 놀이문. , ,
화 등 발굴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하천살리기 운동과 접
목시킬 것인가의 문제는 중요하다.
또한 자연스럽게 하천은 사람들을 모으는 기능을 한다 여름철 더위를 식힐 겸 몰려드는 사.
람들은 각기 다른 목적으로 이 공간을 찾지만 그 공간속에서 느낌은 자연과 친화되고 거기,
서 만족을 얻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의식을 어떻게 모아야 하는가의 문제는 자연친화적.
요소에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천운동이 자리매김.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정지웅외 지역사회학 서울대학교 출판사, 2000, ,
강대기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 2001, ,
정대연 환경사회학 아카넷, 2002, ,
최협외 공동체론의 전개와 지향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선인, 2001, , ,
오성규 한국 강의 날 대회의 의미와 향후 전망 환경정의시민연대, 2002, ,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쓰레기제로
쓰레기제로쓰레기제로
쓰레기제로
ecobuddha
 
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
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
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
ecobuddha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ecobuddha
 
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
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
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
ecobuddha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여성환경연대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연대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econewsletter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ecobuddha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ecobuddha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
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
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
호진 이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
ecobuddha
 
소식지168호(신판)
소식지168호(신판)소식지168호(신판)
소식지168호(신판)
Jay Kim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econewsletter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여성환경연대
 
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
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
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KIM JI HO) 김지호
 

What's hot (20)

쓰레기제로
쓰레기제로쓰레기제로
쓰레기제로
 
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
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
생태학교 - 생태적사고와 환경친화적 생활양식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
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
2004 쓰레기제로운동 - 우리가족 환경이야기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1맥 - 생태위기시대의 공동체운동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
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
2015년 전신마취 음악축제 소개안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
생명운동 아카데미 제12맥 - 환경윤리와 생명가치
 
소식지168호(신판)
소식지168호(신판)소식지168호(신판)
소식지168호(신판)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
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
물순환도시,수변도시창조(waterfront city)
 

Viewers also liked

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
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
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
여성환경연대
 
How to Increase Hair Growth
How to Increase Hair GrowthHow to Increase Hair Growth
How to Increase Hair Growth
After Glow
 
Beisbol 4t eso
Beisbol 4t esoBeisbol 4t eso
Beisbol 4t eso
Institut de Sales
 
Suspension_00617881
Suspension_00617881Suspension_00617881
Suspension_00617881Chih-Wu Jen
 
Flexibilitat 4t eso
Flexibilitat 4t esoFlexibilitat 4t eso
Flexibilitat 4t eso
Institut de Sales
 
Lexical
LexicalLexical
Mi dosier fotográfico
Mi dosier fotográficoMi dosier fotográfico
Mi dosier fotográfico
bryan vega
 
Ve Or - KM - ZS 777
Ve Or - KM - ZS 777Ve Or - KM - ZS 777
Ve Or - KM - ZS 777
Stripovi Klub
 
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
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
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
Luiis Rosales
 
Vaincre le mal de dos
Vaincre le mal de dosVaincre le mal de dos

Viewers also liked (10)

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
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
17대 총선이후 중앙정치에서 생활정치로 (2004)
 
How to Increase Hair Growth
How to Increase Hair GrowthHow to Increase Hair Growth
How to Increase Hair Growth
 
Beisbol 4t eso
Beisbol 4t esoBeisbol 4t eso
Beisbol 4t eso
 
Suspension_00617881
Suspension_00617881Suspension_00617881
Suspension_00617881
 
Flexibilitat 4t eso
Flexibilitat 4t esoFlexibilitat 4t eso
Flexibilitat 4t eso
 
Lexical
LexicalLexical
Lexical
 
Mi dosier fotográfico
Mi dosier fotográficoMi dosier fotográfico
Mi dosier fotográfico
 
Ve Or - KM - ZS 777
Ve Or - KM - ZS 777Ve Or - KM - ZS 777
Ve Or - KM - ZS 777
 
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
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
Estructura atomica de la materia y particulas subatomica
 
Vaincre le mal de dos
Vaincre le mal de dosVaincre le mal de dos
Vaincre le mal de dos
 

Similar to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
여성환경연대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redsun5629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SoJung Kim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seekly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seekly
 
Ntrust026 2013겨울
Ntrust026 2013겨울Ntrust026 2013겨울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10 생명평화교회
2010 생명평화교회2010 생명평화교회
2010 생명평화교회
lee won don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
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
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sulhoon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seekly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seekly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Kyunghyun Kim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
Seoul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s
 

Similar to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20)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안산에서의 여성환경활동가들의 이야기(2001년)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2007 13)(윤성윤)람사르총회
 
Ntrust026 2013겨울
Ntrust026 2013겨울Ntrust026 2013겨울
Ntrust026 2013겨울
 
Ntrust026 2013겨울
Ntrust026 2013겨울Ntrust026 2013겨울
Ntrust026 2013겨울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그린시티즌_탐방 계획서
 
2010 생명평화교회
2010 생명평화교회2010 생명평화교회
2010 생명평화교회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
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
2013년9월9일 설훈의원실 굴포천 토론회자료(최종)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보고서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
에너지자립마을 이야기1. 성대골마을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 1. 수원환경운동센터 김충관 사무처장/ 도시속의 자연 우리의 하천1. , 인류는 오랜 세월동안 자연과 어울려서 잘 살아왔다 그러나 지난 한세기 동안의 질풍같은. 변화로 우리 삶터의 모습은 걷잡을 수 없이 달라져 버렸다 수백년에 걸쳐 이루어진 외국의. 산업화와 도시화에서도 나타나는 부작용이 많은데 우리나라는 불과 반세기동안에 이를 쫓, 아가느라 실로 엄청난 도시개발이 진행되어서 이제는 반세기전 이곳에는 무엇이 어떻게 살, 고 있었는지를 사실과 가까이 상상해내는 일이 불가능해졌다. 지방자치가 실시되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서 지역스스로 해결해 야 하며 지역주민의 사회 경제적 이익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장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개발은 주민들의 욕구와 수요를 공급하기 위한 방향에서 모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나같이 지방자치단체는 재정확충을 이유로 개발위주의 정책으로 일관한, 다 지역환경용량을 고려하지 않는 이러한 개발정책으로 인한 피해는 결국 지역사회 주민에. 게 돌아간다.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지 변할 것인지 모른채 복잡하고 소란스러운 환경에서 살아가는 많, , 은 도시인들은 이 도시환경의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로 잃어버린 자연에 대한 짙은 그리, 움을 안고 살아간다 위험하고 삭막한 도시 회색빛 콘크리트속에서의 생활이 익숙해질 만. , 도 하건만 휴일이면 심각한 교통체증과 부담스러운 비용을 치르고서라도 어머니 자연의 품, 에 안겨야만 위안을 받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대규모 택지개발 급격한 인구증가 녹지훼손 날마다 적신호? , , , 를 울려대는 교통난 쓰레기문제 건강을 위협하는 대기오염문제 물문제 이 종합적이고, , , .… 만성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 살고 있는 자리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 까 이제는 멀리 있어서 가끔 만날 수 있는 자연이 아니라 자신이 대부분의 삶을 보내는 도? 시 안에서 늘 만나고 느낄 수 있는 자연을 기대하는 자신의 욕구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 대다수의 시민들이 생태적인 가치관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생활양식을 바꾸어나가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이것은 가능할까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면 이를 위하여 또는 이에 앞서서? , 우리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이러한 생각속에서 작은 실천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관심이 하천으로 향한다. 이제 도시의 희망은 개발되지 않은 땅에 남아있는 자연과 지금이라도 자연의 재생과 회복이 가능한 공간 아닌가 하천은 그러한 기대와 가능성을 우리에게 던져주며 애정어린 주목을? 받고 있다. 굽이굽이 흐르던 하천 맑은 물이 흐르고 물고기를 잡고 놀던 하천의 모습은 년대를, 70, 80 거치며 사라졌지만 이미 하천은 직강화되고 콘크리트로 뒤덮여서 식생도 별로 없고 물도, , 더러워 악취가 나지만 그래도 빼곡한 아파트와 도로를 벗하며 시내를 가로질러 흐르는. ,…
  • 2. 저 하천은 도시에서 숨통을 트이게 하는 열린 자연공간으로 우리 마음의 위안이 되어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하천살리기운동2. 년대 들어서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각 지역의 환경문제에90 . 대응하고 환경을 보전하고자 하는 크고 작은 환경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두산 페놀, . 유출사건이후 하천을 살리자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우리나라의 하천살리기운동은 지역주민모임 환경단체의 성장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활성화되었다, . 우리나라에서 펼쳐지는 하천살리기 운동은 각 지역의 하천현황과 현안에 따라 진행되었으 나 내용적인 면에서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먼저 하천의 물을 맑게 개선하고 보전하자는 운동이다 하천인근의 생활하수나 축산폐수, , . 또는 공장폐수 등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오염되고 있는 곳을 조사하여 개선을 요구하는 운 동 하천의 건천화 문제제기 하천의 자정능력 확충요구 하천의 사망선고라고 할 수 있는, , , 복개를 반대하는 운동 등을 진행한다. 주민들의 수질개선 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대포천 살리기 주민운동을 들 수 있다. 경남 김해시의 대포천은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물금취수장에서 불과 밖에 떨어져 있지300m 않은 지방 급 하천으로 년대부터 수질이 악화되어 한때 급수에 달할 정도로 오염되2 , 60 3 4∼ 었던 하천이었다 년 상수원보호를 위하여 대포천 일대가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될. 1997 상황이 되자 대포천 주민들은 행정기관에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을 유보하는 대신에 주민 스 스로 하천수질개선에 주력하기로 합의하고 상동면수질개선대책위원회 를 구성하여 대" " 대적인 수질정화운동을 전개하였다 주민들은 가구당 월 천 원을 내어 천만 원의. 2-3 3 " 수질개선기금 을 조성하고 유급감시원 명을 대포천에 배치하는 한편 수계별 하천감시" , 2 , 단 개반 명 을 구성하여 축산폐수와 공장폐수의 무단방류감시에 들어갔다 또한 하천바3 (18 ) . 닥에 붙어있는 축산오물을 씻어내고 각 가정에서도 세제덜쓰기운동 손빨래하기운동 물덜, , 쓰기운동에 적극 동참하였다 하수가 흘러드는 어귀마다 미나리를 심고 주민들은 관계기업. , 별로 담당구역을 배정하여 매주 한차례씩 하천정화활동도 벌였다. 이와같은 주민들의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노력으로 대포천은 년 월 이후 기준1998 2 BOD 급수 하천으로 개선되었는데 이러한 사례는 하천살리기 운동에 있어서 주민들의 자발적인1 참여와 노력이 얼마나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복개반대운동으로는 수원천되살리기시민운동 이 대표적 사례이며 그후 도림천(1995-1996) , 서울 야탑천 분당 등 복개가 진행되는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천위를 콘크리( ), ( ) . 트 등으로 덮는 하천의 복개는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불법폐수의 무단방류로 인한 하천, 오염을 심화시키며 유수능력을 감소시켜 홍수의 위험이 있다 하천의 사망선고라고 불리는, . 복개를 반대하는 것은 하천이 단순한 물의 통로가 아니고 생태적 기능은 물론 친수기능과, 경관기능을 통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자연임을 시민에게 알린다.
  • 3. 두번째로는 하천의 환경기능을 이 치수기능과 함께 고려하여 하천을 정비하자는 운동이다· . 생태서식공간으로서 하천을 되살려내고 주민들의 사랑을 받는 친수공간으로서의 하천을 조, 성하고 사람들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주는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하천 도시에 자연을, , 회복시켜 나가기 위한 녹지축으로서의 하천을 조성해 나가자는 운동이다 자연형하천조성. 운동은 양재천 자연형하천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수원천의 자연형하천 조성 무심천 자연하, , 천 복원 콘크리크 구조물 제거 청주 안양천살리기 온천천 부산 살리기 운동 등의 많은( , ), , ( ) 사례가 있다 하천을 인위적으로 정비하되 하천이 본래 지닌 자연성을 최대한으로 살리는. , 하천을 만들어가자는 것이다. 셋째로 하천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문화적인 운동의 전개이다 생활공간으로서의 하천에 자. 연스럽게 배어나던 하천문화를 찾아서 새로운 시민문화운동으로 펼쳐나가자는 것이다. 이것은 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과 관심을 모아내고 공동체의식을 형성시킴으로서 하천, 살리기 운동이 지속적이고 깊이있게 자리잡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하천생태탐사 하천생태기행은 하천운동을 펼치는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진행되, 는 프로그램으로 하천 및 하천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하천의 생태 식생 어류 수서곤충, ( , , , 조류 등 을 조사하여 하천의 중요성과 하천오염 실태를 깨닫는 체험활동이다) . 최근들어 하천살리기운동으로 자리매김을 하는 하천문화제는 하천을 되살리기 원하는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행사로 인근 하천을 살리기 위한 주민들의 유대감과 공동체의식을 형성 하고 참여를 확산하기위한 행사이다 온천천 시민축제와 중량천 안성천 생명축제의 사례가, . , 있다 하천문화제는 하천을 생태문화공간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하천에 대한 주민들. , 의 애정과 관심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 일본의 하천살리기운동3. 수천개의 강이 흐르는 일본에서는 강과 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우리나라보다 약간 앞서서 형성되었다. 년 하천법이 개정되어 각 하천 유역의 관리체계가 확립되고 당시 강과 개천의 수질오1964 , 염이 심해지면서 자신들이 살고있는 인근지역 강을 소중히 하려는 시민활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된다. 년대 강의 오염이 심해지자 수질오염억제법과 같은 다양한 법안과 규칙들이 통과되었다70 . 오염된 작은 강들이 복개천으로 바뀌는가 하면 워터파크 계획등이 실시되어서 위층으로는, 정화된 물을 아래층으로는 오염된 물이 흐르게 하는 하천관리 기법 등이 일본 전역에 보급 되었다. 년대에는 강에 대한 관심이 강을 연구하고 보호하며 창조하고 이용하는 방향으로 활성화80 되었으다 후반에는 서구국가에서 들어온 환경 및 하천보존 활동이 시민들에게 알려지면서. 하천을 살리려는 시민들의 활동도 보다 구체적 잠자리 서식처를 보호하자 으로 자리잡으며- -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년대 들어서는 생태친화적인 하천계획 프로젝트들이 시작되면서 하천의 자연서식처 보존90 과 재생을 중점으로 하는 하천살리기 사업이 추진되었다 시민단체들은 각 하천 유역별 차. 원과 전국적인 차원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심포지엄을 통해 하천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 4. 교환하고 관련 문제들을 토론하였다 또한 년대 후반부터 환경교육 활동이 지역별로 더욱. 90 강화되어 강으로부터 배우는 다양하고 즐거운 하천환경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펼쳐졌다. 년 이래 매년 강의 날 워크샵에는 강에 관한 활동을 하는 개 이상의 단체가 모이고1988 70 있다. 하천 강 운동의 새로운 조류와 의미4. ( )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하천살리기운동에 공감대를 형성한 기존 하천살리기 주체들이 적극적 으로 하천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연대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하천의 특징은 무엇보다 이어짐 에 있다 발원지부터 바다까지 물의 흐름이 길게 이어' ' . 지는 것은 모든 하천의 특징이다 따라서 물과 하천변 자연이 건강하게 되살아나기 위해서. 는 하천의 이어짐 을 토대로 한 하천살리기운동 수계내의 지류 샛강 를 살리는 운동' ' , ( ) 과 본류를 살리려는 운동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고기는 숲을 보고 잡아라 라는 말이 전해온다고 한다 우리 선조들은 이' ' . 미 오래전부터 숲과 하천이 서로 깊이 연관되어 있는 하나의 유기적 통합체 임을 인식' ' 하고 하천을 중심으로 광역적인 유역생활경제권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일본에 있어서 유역이란 개념은 운명공동체에 기반을 둔다 하천 유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상류지역의 산림벌채로 인해 하류지역에는 큰 홍수가 생긴다는 유역의식이 있어서 혼슈섬의 북족 부분인 산리쿠 지역에는 산에 나무를 심는 어부들이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주민모임과 시민단체들은 관내의 하천관리만으로는 하천을 살리는데 한 계가 있다는데 의식을 같이하고 지방정부 하천관리자 다른 지역단체 기업과 같은 다양한, , , , 조직 그리고 강과 관련된 모두와 협력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하천네트워크를 조직하여 활 동하고 있다. 년 시작된 추루미가와 은 일본에서 가장 크며 선구적인 하천 네트워크 중의1991 TR-NET 하나이다 추루미가와 강은 전형적인 도시 하천으로 명이 그 유역에 살고 있다. 1,840,000 . 년 당시 일본에서 번째로 오염이 심한 강이었던 추루미가와 강 유역의 개의 단체2001 3 56 는 유역을 맥 으로 인식을 공유하고 각 단체별로 독립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을(tapir) , 지침으로 하여 활동을 펼친다. 맥의 형태를 띤 유역 지도를 공유하며 정부 경계를 넘어 행동할 것1) 강을 따라 있는 자연과 도시의 문화를 다시 발견하고 다시 배우며 나아갈 것2) 안전 안정 자연환경과 복지를 고려한다는 원칙으로 강을 보존하고 복원할 것3) , , 서로 각자의 위치와 파트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하며 시민들 하천 관리자 지4) , , 방 정부들 그리고 기업 간의 다양한 협력 체계를 모색할 것 하천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기 위해 교류할 것5) 아사히카와 하천 유역 네트워크 에서는 강의 수원 기념물을 개월에 걸(140km) (AR-NET) 6 쳐서 강 하구에서 수원까지 옮기는 행사를 통해 그들이 유역 주민의 일원임을 상기하는데 나무로 만든 수레를 통해 기념물을 옮기는 데는 무려 개월의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이들6 .
  • 5. 은 주일에 한번 회원들에게 팩시밀리나 이메일을 통해 뉴스를 보냄으로써 그러1 AR-NET 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뉴스에는 의 활동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하천 공사. AR-NET 장소와 같은 하천 관리자로부터 온 정보 정부에 대한 역시 담겨 있다 이 뉴스는 시, Q&A . 민과 정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 도구의 역할도 하고 있다. 하천운동의 전망5. 사람들은 평생을 사는 동안 자기가 속한 지역사회 안에서 깊은 관계를 주고받으며 살아간 다 시대별로 지역범위도 변천하여 농경시대에는 씨족 공동체를 이루어 농작과 수렵이 가능. 한 지역이 그 범위였으나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지역의 범위가 국가로까지 확대되었고 정, 보화시대를 맞아서는 전세계가 공동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는 등 지역의 개념이 지구촌으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개인 삶의 질과 문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리적 영역과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지역에 대한 유대감, 을 지니고 있다.(Lovell, 1972) 첫째 하천살리기운동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조성해나가고자 하는 계획과 연계하여 도시내, 생태환경 복원 창출 등의 실질적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다, . 이제 세기 지속가능한 도시를 그려 가는데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자연속의 인간의 위치21 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생활양식을 실현하는 도시구조와 기능을 미래의, 도시의 과제로 조명하려는 노력들이 대두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하여 도시내 환경. 용량 이상으로 자연생태환경을 개선하고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연의 재생 및 복원 노, 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미 서구유럽에서는 도시내 다양한 생물들이 사람과 더불어 살 수 있. 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생태적 네트워크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럽은. 1995 년 월 유럽환경장관회의에서 년까지 유럽전체를 생태통로로 연결하는10 2005 계획 추진을 합의하였다EECONET(European Econet) . 하천은 도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경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물과 흙이 어우러져, 사행이나 여울 소 등의 다양한 환경구조를 가짐으로 생태적 생산성이 매우 높은 공간이다, . 이러한 하천을 중심으로 도시에 자연을 복원해 나가는 운동은 상당한 가능성과 의미를 가진 다 최근 각지자체마다 도시미래상으로 생태도시 환경도시 녹색도시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 , , 데 이것과 하천살리기운동은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시민들이 지역에 있는 하천으로부터 자연을 배우고 하천을 맑고 푸르게 살려가고, , , 다양한 생물이 살 수 있도록 가꾸는 것 등의 지속적인 하천살리기운동 추진은 자연과 더불 어 사는 환경도시 실현의 디딤돌이 될 것이다. 둘째 하천살리기운동은 도시공동체를 복원하고 추진해나가는 역할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 한국의 전통적인 공동체는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농경문화를 유지할 수 있는 촌락형태에서, 유지되었다 촌락내의 사람들간에는 긴밀한 이웃관계가 형성되고 마을 정자목이나 우물가. , 는 공동체 성원들간의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나누는 장이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지역, . 공동체가 약화 또는 해체되었으며 깊은 인간소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람들은 공동체, .
  • 6. 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개인중심의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이, 룩할 수 있는가는 현실적으로 간단하지 않다 공동체는 동류의식을 강화하자는 슬로건만으. 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슬로건이 공동체 구성원의 사고와 행위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 어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지역공동체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공동유대감 우리의식 역할감정 의존감정 이 필요한데- , , - , 흔히 인간이 모이는 곳은 어디든지 공동의 장소라고 하는 기초위에 공동의 가치가 나타나며 공동유대감이 형성된다. 하천은 개인주의적 삶을 사는 도시인들에게 함께 만나서 무엇인가를 나누고 행동하는 이, , 러한 공동의 장소가 될 수 있다 옛 촌락의 정자나무나 빨래터에 동네사람들이 모였던 것처. 럼 주민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서 가꾸어진 하천은 애정과 관심을 듬뿍받는 공공 장소가 될, 뿐 아니라 지역 주민의 공동유대감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하천살리기운동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활성화해, 나간다면 유역의 상 중 하류에 사는 사람들 모임과 단체 기관과 기업 간의 연대활동과, , , , 공동체 의식 또한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다. 셋째 하천은 지역문화의 거점으로 환경기능이외에 문화기능을 형성해 내갈 것이다, . 한 지역사회 문화속에서 형성된 주민의 공동의식이나 사회적성격 즉 커뮤낼리티는 지역의, 발전을 촉진 또는 저지한다 하천의 유래와 변천은 주민들의 삶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 다 수원의 화성은 수원천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유수한 문화유적 또한 하천과 연계. , 를 맺으면서 형성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하천의 긍정적 변화는 시민의 의식과 도시지향점. 에 의해 가능하고 또 역으로 부정적인 형태로 나아갈 수도 있다, . 하천에는 크고 작은 문화적 요인들이 많다 예전의 행사 그리고 설화 전설 등 또한 놀이문. , , 화 등 발굴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하천살리기 운동과 접 목시킬 것인가의 문제는 중요하다. 또한 자연스럽게 하천은 사람들을 모으는 기능을 한다 여름철 더위를 식힐 겸 몰려드는 사. 람들은 각기 다른 목적으로 이 공간을 찾지만 그 공간속에서 느낌은 자연과 친화되고 거기, 서 만족을 얻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의식을 어떻게 모아야 하는가의 문제는 자연친화적. 요소에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천운동이 자리매김.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정지웅외 지역사회학 서울대학교 출판사, 2000, , 강대기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 2001, , 정대연 환경사회학 아카넷, 2002, , 최협외 공동체론의 전개와 지향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선인, 2001, , , 오성규 한국 강의 날 대회의 의미와 향후 전망 환경정의시민연대, 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