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지역행복
지역혁신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두드림 옷장
두번째 사례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전주 두드림 옷장
우리 동네
생활실험실
지역혁신 우수사례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0302
더 나은 삶
전주에서는 길고양이와 주민들의 행복한 공존을 모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해피나비팀의 실험과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부담을 줄여주고자 정장을 무료 대여하는
두드림옷장(공유옷장) 실험이 마무리됐다.
실험이 끝난 후에도 전주시 동물복지과와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전국 최초 지자체 운영 길고양이
급식소를 마련했으며, 두드림옷장의 모델은 전주시의 또 다른 청년지원정책로 이어지고 있다.
지역마다의 문제들은 리빙랩에서 더 나은 삶을 만드는 혁신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상문제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해법 또한 가장 많이 생각해봤을 사람들,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의 아이디어를 모아 답을 찾아보는 생활실험은 그래서 유의미하다.
해피나비 두드림 옷장
0504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고양이가 반려동물로 인기를 끄는 만큼 생겨나는
유기묘. 길고양이 밥 챙겨주는 캣맘과 지역 주민들의
갈등. 지역의 크고 작은 동물 대상의 혐오 범죄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반려고양이를 버리지 않을까?
어떻게 하면 주민과 동네고양이가 평화롭게 지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길고양이 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할까?
전주남부시장청년몰에서시작된물음표가길고양이와
이웃 주민들의 공존을 위한 리빙랩 프로젝트로 탄생
했다.
길고양이 문제를 단순히 고양이만의 문제가 아니라
공존의 문제로 해석한 주민들이 직접 이를 해결하고자
‘배우고 (캠페인 전시), 알리고(강의), 잇고 나누는(모임)’
다양한논의의장을만들었다.
따뜻한
공생
프로젝트
소통협력공간 리빙랩 part.1
0706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시장에서 사는 길고양이의 이름 불러주기 기획전시, 어린이와
노인을 대상으로 인식개선 인형극 공연, 캠페인 메시지를 담은
티셔츠를 입고 다니는 워킹포스터와 같은 수많은 캠페인을 통해
시민의 의식을 변화시켜왔다.
이 과정속에서 전주시와 동물복지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하는 일이
많아지게 되고 이를 계기로 ‘전주 해피나비’라는 비영리단체를
등록하여 조금 더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전주시와 함께 옛 전주읍성의 남문인 풍남문을 본 딴 길고양이
급식소를 제작해 전주시의 한옥마을 공영주차장 등 9곳에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길고양이 급식소 운영 및 자원봉사를 하고
있으며, 길고양이 정책간담회를 가진 뒤 전국 최초의 동물복지
전담부서가 전주시에 만들어졌다.
‘해피나비’는 주민 갈등 문제를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으로 전환하고 고양이를 통해
생명존중과 돌봄 문화의 가치를 나누고 있다.
길고양이도 살아갈 수 있는 동네들이 늘어난다는 건 더 안전하고
덜 폭력적인 사회 속에 있다는 안심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해피나비’에 ‘해피피플’이 따라 붙는 이유가 아닐까.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0908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해 치지 않아요
피 해주지 않을게요
나 를 따스하게 바라봐 줄 수는 없나요?
비 록 길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나도 당신과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랍니다
1110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전주,
두드림옷장
“면접 들어갈 때 재킷 단추 풀고 있어도 되죠?”
“면접 입장할 때 인사를 하는 게 좋을까요??”
“재킷은 잠그고, 들어갈 때는 가볍게 목례,
바른 자세로 허리 펴고 앉기, 시선은...”소통협력공간 리빙랩 part.2
1312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전주 평화사회복지관의 두드림옷장 담당자의 면접 요령이 랩처럼
쏟아진다.
복지관 청년 봉사자들의 취업고민을 바탕으로 시작되어 면접 정장을
무상 대여하는 ‘두드림옷장’은 2019년 1월부터 복지관 2층에서
청년응원 프로젝트를 실험 중이다.
1월부터 9월까지 430여 명의 지역 청년들이 다녀갔다. 면접자가
대여 1순위 인지라 구직 중인 청년들을 압도적으로 많이 만났다.
정장을 대여해주고, 대화를 하며 청년들이 면접에 대해 물어볼 사회
선배가 대부분 없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면접 요령까지
공유하기 시작했다.
하루 10명씩 방문할 정도로 바빠졌다. 입소문이 나자 인근 지역의
문의가 이어졌다.
우리 지역은 이런 프로그램이 없고 정장 장만도 어려운데 전주시민이
아니면 대여할 수 없는 것인지.
전주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던 대여조건을 전라북도로 개방하고
신청연령도 만 39세로 확장했다. 장수, 진안에서도 찾아오며
신청이 배로 늘었다.
8개월간 서류 신청자는 900여 명에 달했다. 운영 조건을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었던 것은 민간에서 주도하는 리빙랩 사업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청년응원
프로젝트
1514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1716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우리가 너희를 응원하고 있어
‘두드림옷장’의 실험은 지역사회와 지자체, 지역공동체가 연대해서
청년들에게 지원을 지속할 수 있는 고민의 시작점이었고,
지역사회의 수요와 필요성을 충분히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두드림옷장을 통해 우리 지역의 선배세대들이 청년들을 응원하고 있음을 알리고
그들의 도전과 시도를 지역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몇 번 입지 못한 면접용 정장 기부에 동참한
선배들과 옷장을 이용한 청년들의 메시지로
벽을 장식한 것도 서로의 이야기를 연결하고
싶어서였다.
청년들이 세상에 발을 들일 때 어떤 방향이
좋을지 같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청년들이알았으면좋겠다는마음으로.
직접 페인트칠하고 조명을 찾으며 고민한 것도, 청년들의
중요한 순간을 함께 할 옷을 고급 부티크(boutique)에서
고르는 듯한 기분을 선사하기 위해서다.
지역에서 비구직자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다가 면접 사진
촬영을 지원하는 ‘두드림 사진관’도 만들었다. 옷장에서
정장을 빌려주고, 인근 사진관과 연계해 촬영을 진행했다.
1918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지역사회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혁신
우수사례
공공·시장의 기존 역할만으로
더 이상 문제해결이 쉽지 않은,
이제 국민이 정책공동생산자가
되는 시대!
직접 참여하고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시도해볼 수 있는 소통협력공간이 필요!
그래서
행정안전부에서는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을
조성하기 시작했어요!
2120
지역혁신 우수사례
강원도 춘천
18년 선정
19년 선정
제주특별자치도
전라북도 전주
18년 선정
대전광역시
19년 선정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이 무엇일까요~?
정책공동생산자로서 주민 참여와 다양한 분야 협력을 활성화하여
지역사회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지역사회혁신 소통협력공간입니다.
* 공모를 통한 사업지 선정
- (’18년도 선정 지자체) 강원도 춘천시, 전라북도 전주시
- (’19년도 선정 지자체) 대전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 스페인 빌바오 사회혁신파크 모델 착안
* 2004년 미국 MIT 윌리엄 미첼 교수 제안
2006년 유럽리빙랩네트워크 창립(54개국 766개 회원사 활동 중)
첫 번째
“소통협력공간 리빙랩”이란 무엇일까요~?
삶 속에서 느끼는 지역문제를 주민의 참여, 공공-민간 등 다양한 분야 협력을 통해
해결하는 ‘사용자 주도의 생활실험(Living Lab)’입니다.
두 번째
’18년도 리빙랩 주요사례들을 소개해볼게요!
춘천시 경관디자인과 등 9개 기관단체들과 협업하여, 주민·어린이
참여 워크숍 등을 통해 놀이터 1곳에서 1개월여 간 시범운영을 하며
여러 가지 생활실험을 할 수 있었어요. (놀이터 이용자 만족도 4.06 → 7.74)
그 결과물이, ‘춘천시 어린이놀이터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19.5월) 등 정책에 반영되기도 했어요.
“획일화된 놀이터에서, 엄마, 아이 사용자
관점의 감성놀이터로 탈바꿈하다.”
- 강원도 춘천시,「텅빈 놀이터 프로젝트」-
사회초년생에게 꼭 필요하지만 부담스러웠던 정장 구입 비용,
선배 직장인들이 정장 80벌을 기부했고, 신청·이용은 300여 건을 돌파했어요.
그 결과, 올해 1월 말 정식으로 개소되어 상시 운영 중입니다.
“사회초년생을 격려해요!”
- 전라북도 전주시,「두드림 Do-Dream 옷장」
두드림 Do-Dream 옷장
2322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혁신 우수사례
세 번째
“지역혁신”
주민참여가
쉬워집니다!
다섯 번째
‘지역밀착형 문제해결의
베이스캠프’로 자리 잡아
가고 있습니다.
옛 강원조달청 건물을 인근 대학교와
(5만2천여명 재학, 춘천시 인구 18.6%)
협업을 통해 청년·지역문제 해결
거점으로 조성 중입니다.
춘천 소통협력공간
50여년 된 성매매업소
집결지인 ‘선미촌’을 전주시민이
참여하여 인권과 지역혁신을
위한 시민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전주 소통협력공간
네 번째
아름다운 제주에서 일상적인 사회문제를
재미나게 풀어가며, 지역의 내일을 준비하는
‘제주형 지역혁신 플랫폼’을 조성할 계획이구요.
대전은, 1932년 준공된 옛 충남도청(의회동 등)을
지역사회 곳곳을 새롭게 연결하는
창의·혁신·소통·열린 공간으로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고 있어요.
’19년도에 선정된
제주와 대전도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답니다.
지역을 살리고, 혁신해나갈, 입니다.
지역문제들에 대한 열띤 토론과,
해결책 모색을 통해
지역사회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2524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혁신 우수사례
지역혁신
우수사례
소통협력공간:
국민이 정책공동생산자가 되어 정책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공공기관과 민간이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시도해 볼 수 있는 공간
36개 의제 3,471명 주민 참여 146개 기관·단체 협업 연계
‘옛 강원조달청(’79년 준공)’에 도내 대학교 5만2천여명 재학생(춘천 인구 18.6%)들과의
협업을 통해 주민 주도 청년∙지역 문제 해결 거점으로 운영
텅 빈 놀이터
아이들에게 외면 받는 획일화된 놀이터를
엄마, 아이들의 관점으로 바꾸는 생활 실험
이용 횟수
1.64회 증가
(47.5%)
이용 시간
98.57분 증가
(50.9%)
C.P.R.(춘천 종이 재활용)
A4 폐지를 혼합 용지가 아닌 고급 용지로
재활용하기 위한 폐지 수거 체계 시범 운영
아파트 1만 세대,
7개 초∙중학교 등
49개 기관 160개 수거함 배치
전기자전거 공유
기업과의 협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 전기자전거
50대 무상 제공) 미세 먼지 절감 및 대중 교통 보완
춘천 시민
1,178회 사용
춘천
소통협력공간
대표사례
04 2726
지역혁신 우수사례
27개 의제 7,081명 주민 참여 119개 기관·단체 협업 연계
원도심(시청 뒤편) 50여년 된 성매매업소 집결지 ‘선미촌’을 새단장하여
인권·지역혁신 상징거점으로 운영
전주
소통협력공간
두드림옷장
청년·취업 지망생 정장 무료 대여 프로젝트
기부 정장 수
80여벌
이용 건수
300여건
해피나비
길고양이와 지역 주민 공존 프로젝트
전국 최초의
‘전주시 동물 복지과’
부서 신설 도입
해피버스
시민, 행정, 전문가가 함께 만드는
전주 시내버스 노선개편안 도출
(2020년도 시범적용)
시민 디자인단 400명
정책 전문가 10인
버스 혁신 시민 사회 추진위원회 등
47개 기관∙단체와 협력 체계 구축
대표사례
2928
지역혁신
지역혁신이란 무엇일까요?
쓰레기, 주차, 소음 등
우리 주변 생활문제에서부터
지역소멸, 양극화, 저성장과 같은
복잡한 사회문제까지
정부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문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시민들의 역량과 사회 참여 욕구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에겐
새로운 도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합니다.
3130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지난 1년간,
지역주민 주도의 다양한 혁신사업을 진행하여 왔습니다.
지역주민들이 지역 행정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는
소통협력공간,
주민과 공공기관이 함께 협업하는
새로운 문제 해결 플랫폼인
지역혁신포럼,
폐교, 옛 주민센터, 동네창고 등
지역 내 유휴 공간을 새 단장하여
주민주도 참여공간으로 조성해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 넣는
공공유휴공간 사업,
도시 청년들이 고령화·인구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에 거주하며
전통기술을 배우고
삶의 터전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는
청년마을 등
기존의 정부 주도의 행정이 아닌,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이처럼 주민들의 손으로 직접 일구는 반가운 변화
주민의 활동 기반을 마련하는 반가운 변화
‘지역혁신’
지금 우리 곁에 있습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econewsletter
 
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
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
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seekly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녹색당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Community kitchen v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econewsletter
 
Lifeworldvol 4
Lifeworldvol 4Lifeworldvol 4
Lifeworldvol 4
Jihae Moon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Geum Ham
 
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Sang Hyun Park
 
[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SPACECLOUD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seoulgreentrust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은영 김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Kyunghyun Kim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SPACECLOUD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What's hot (20)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
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
완주 CB센터단체소개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3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서천 삶기술학교
 
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Lifeworldvol 4
Lifeworldvol 4Lifeworldvol 4
Lifeworldvol 4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방학3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Similar to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공유광주책자
공유광주책자공유광주책자
공유광주책자
cheonha jeong
 
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마 법사
 
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마 법사
 
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마 법사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주호 정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redsun5629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여성환경연대
 
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
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
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
actioncan
 
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
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
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
복지 세상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G-Valley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마 법사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econewsletter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Creative Commons Korea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Creative Commons Korea
 
We Make A Difference
We Make A DifferenceWe Make A Difference
We Make A Difference
Volunteer21
 

Similar to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20)

공유광주책자
공유광주책자공유광주책자
공유광주책자
 
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녹색마을을 일구는 사람들 (2004)
 
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
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
서형원 과천시의원 의정보고서 2010
 
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
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
복지세상_2014정기총회_2013년도 사업보고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2015 자치구 공유사업 우수사례 모음집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We Make A Difference
We Make A DifferenceWe Make A Difference
We Make A Difference
 

More from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More from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Kai
KaiKai
Kai
 
Daegu
DaeguDaegu
Daegu
 
Brown
BrownBrown
Brown
 
Gamin
GaminGamin
Gamin
 
dazzayo
dazzayodazzayo
dazzayo
 
Dsi
DsiDsi
Dsi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 2.
  • 3. 두번째 사례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전주 두드림 옷장 우리 동네 생활실험실 지역혁신 우수사례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0302
  • 4. 더 나은 삶 전주에서는 길고양이와 주민들의 행복한 공존을 모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해피나비팀의 실험과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부담을 줄여주고자 정장을 무료 대여하는 두드림옷장(공유옷장) 실험이 마무리됐다. 실험이 끝난 후에도 전주시 동물복지과와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전국 최초 지자체 운영 길고양이 급식소를 마련했으며, 두드림옷장의 모델은 전주시의 또 다른 청년지원정책로 이어지고 있다. 지역마다의 문제들은 리빙랩에서 더 나은 삶을 만드는 혁신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상문제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해법 또한 가장 많이 생각해봤을 사람들,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의 아이디어를 모아 답을 찾아보는 생활실험은 그래서 유의미하다. 해피나비 두드림 옷장 0504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 5. 고양이가 반려동물로 인기를 끄는 만큼 생겨나는 유기묘. 길고양이 밥 챙겨주는 캣맘과 지역 주민들의 갈등. 지역의 크고 작은 동물 대상의 혐오 범죄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반려고양이를 버리지 않을까? 어떻게 하면 주민과 동네고양이가 평화롭게 지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길고양이 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할까? 전주남부시장청년몰에서시작된물음표가길고양이와 이웃 주민들의 공존을 위한 리빙랩 프로젝트로 탄생 했다. 길고양이 문제를 단순히 고양이만의 문제가 아니라 공존의 문제로 해석한 주민들이 직접 이를 해결하고자 ‘배우고 (캠페인 전시), 알리고(강의), 잇고 나누는(모임)’ 다양한논의의장을만들었다. 따뜻한 공생 프로젝트 소통협력공간 리빙랩 part.1 0706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 6. 시장에서 사는 길고양이의 이름 불러주기 기획전시, 어린이와 노인을 대상으로 인식개선 인형극 공연, 캠페인 메시지를 담은 티셔츠를 입고 다니는 워킹포스터와 같은 수많은 캠페인을 통해 시민의 의식을 변화시켜왔다. 이 과정속에서 전주시와 동물복지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하는 일이 많아지게 되고 이를 계기로 ‘전주 해피나비’라는 비영리단체를 등록하여 조금 더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전주시와 함께 옛 전주읍성의 남문인 풍남문을 본 딴 길고양이 급식소를 제작해 전주시의 한옥마을 공영주차장 등 9곳에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길고양이 급식소 운영 및 자원봉사를 하고 있으며, 길고양이 정책간담회를 가진 뒤 전국 최초의 동물복지 전담부서가 전주시에 만들어졌다. ‘해피나비’는 주민 갈등 문제를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으로 전환하고 고양이를 통해 생명존중과 돌봄 문화의 가치를 나누고 있다. 길고양이도 살아갈 수 있는 동네들이 늘어난다는 건 더 안전하고 덜 폭력적인 사회 속에 있다는 안심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해피나비’에 ‘해피피플’이 따라 붙는 이유가 아닐까.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0908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 7. 해 치지 않아요 피 해주지 않을게요 나 를 따스하게 바라봐 줄 수는 없나요? 비 록 길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나도 당신과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랍니다 1110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해피나비 해피피플
  • 8. 전주, 두드림옷장 “면접 들어갈 때 재킷 단추 풀고 있어도 되죠?” “면접 입장할 때 인사를 하는 게 좋을까요??” “재킷은 잠그고, 들어갈 때는 가볍게 목례, 바른 자세로 허리 펴고 앉기, 시선은...”소통협력공간 리빙랩 part.2 1312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 9. 전주 평화사회복지관의 두드림옷장 담당자의 면접 요령이 랩처럼 쏟아진다. 복지관 청년 봉사자들의 취업고민을 바탕으로 시작되어 면접 정장을 무상 대여하는 ‘두드림옷장’은 2019년 1월부터 복지관 2층에서 청년응원 프로젝트를 실험 중이다. 1월부터 9월까지 430여 명의 지역 청년들이 다녀갔다. 면접자가 대여 1순위 인지라 구직 중인 청년들을 압도적으로 많이 만났다. 정장을 대여해주고, 대화를 하며 청년들이 면접에 대해 물어볼 사회 선배가 대부분 없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면접 요령까지 공유하기 시작했다. 하루 10명씩 방문할 정도로 바빠졌다. 입소문이 나자 인근 지역의 문의가 이어졌다. 우리 지역은 이런 프로그램이 없고 정장 장만도 어려운데 전주시민이 아니면 대여할 수 없는 것인지. 전주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던 대여조건을 전라북도로 개방하고 신청연령도 만 39세로 확장했다. 장수, 진안에서도 찾아오며 신청이 배로 늘었다. 8개월간 서류 신청자는 900여 명에 달했다. 운영 조건을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었던 것은 민간에서 주도하는 리빙랩 사업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청년응원 프로젝트 1514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 11. 우리가 너희를 응원하고 있어 ‘두드림옷장’의 실험은 지역사회와 지자체, 지역공동체가 연대해서 청년들에게 지원을 지속할 수 있는 고민의 시작점이었고, 지역사회의 수요와 필요성을 충분히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두드림옷장을 통해 우리 지역의 선배세대들이 청년들을 응원하고 있음을 알리고 그들의 도전과 시도를 지역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몇 번 입지 못한 면접용 정장 기부에 동참한 선배들과 옷장을 이용한 청년들의 메시지로 벽을 장식한 것도 서로의 이야기를 연결하고 싶어서였다. 청년들이 세상에 발을 들일 때 어떤 방향이 좋을지 같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청년들이알았으면좋겠다는마음으로. 직접 페인트칠하고 조명을 찾으며 고민한 것도, 청년들의 중요한 순간을 함께 할 옷을 고급 부티크(boutique)에서 고르는 듯한 기분을 선사하기 위해서다. 지역에서 비구직자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다가 면접 사진 촬영을 지원하는 ‘두드림 사진관’도 만들었다. 옷장에서 정장을 빌려주고, 인근 사진관과 연계해 촬영을 진행했다. 1918 포토에세이 지역혁신 우수사례집 : 전주 두드림옷장
  • 12. 지역사회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혁신 우수사례 공공·시장의 기존 역할만으로 더 이상 문제해결이 쉽지 않은, 이제 국민이 정책공동생산자가 되는 시대! 직접 참여하고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시도해볼 수 있는 소통협력공간이 필요! 그래서 행정안전부에서는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을 조성하기 시작했어요! 2120 지역혁신 우수사례
  • 13. 강원도 춘천 18년 선정 19년 선정 제주특별자치도 전라북도 전주 18년 선정 대전광역시 19년 선정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이 무엇일까요~? 정책공동생산자로서 주민 참여와 다양한 분야 협력을 활성화하여 지역사회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지역사회혁신 소통협력공간입니다. * 공모를 통한 사업지 선정 - (’18년도 선정 지자체) 강원도 춘천시, 전라북도 전주시 - (’19년도 선정 지자체) 대전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 스페인 빌바오 사회혁신파크 모델 착안 * 2004년 미국 MIT 윌리엄 미첼 교수 제안 2006년 유럽리빙랩네트워크 창립(54개국 766개 회원사 활동 중) 첫 번째 “소통협력공간 리빙랩”이란 무엇일까요~? 삶 속에서 느끼는 지역문제를 주민의 참여, 공공-민간 등 다양한 분야 협력을 통해 해결하는 ‘사용자 주도의 생활실험(Living Lab)’입니다. 두 번째 ’18년도 리빙랩 주요사례들을 소개해볼게요! 춘천시 경관디자인과 등 9개 기관단체들과 협업하여, 주민·어린이 참여 워크숍 등을 통해 놀이터 1곳에서 1개월여 간 시범운영을 하며 여러 가지 생활실험을 할 수 있었어요. (놀이터 이용자 만족도 4.06 → 7.74) 그 결과물이, ‘춘천시 어린이놀이터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19.5월) 등 정책에 반영되기도 했어요. “획일화된 놀이터에서, 엄마, 아이 사용자 관점의 감성놀이터로 탈바꿈하다.” - 강원도 춘천시,「텅빈 놀이터 프로젝트」- 사회초년생에게 꼭 필요하지만 부담스러웠던 정장 구입 비용, 선배 직장인들이 정장 80벌을 기부했고, 신청·이용은 300여 건을 돌파했어요. 그 결과, 올해 1월 말 정식으로 개소되어 상시 운영 중입니다. “사회초년생을 격려해요!” - 전라북도 전주시,「두드림 Do-Dream 옷장」 두드림 Do-Dream 옷장 2322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혁신 우수사례
  • 14. 세 번째 “지역혁신” 주민참여가 쉬워집니다! 다섯 번째 ‘지역밀착형 문제해결의 베이스캠프’로 자리 잡아 가고 있습니다. 옛 강원조달청 건물을 인근 대학교와 (5만2천여명 재학, 춘천시 인구 18.6%) 협업을 통해 청년·지역문제 해결 거점으로 조성 중입니다. 춘천 소통협력공간 50여년 된 성매매업소 집결지인 ‘선미촌’을 전주시민이 참여하여 인권과 지역혁신을 위한 시민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전주 소통협력공간 네 번째 아름다운 제주에서 일상적인 사회문제를 재미나게 풀어가며, 지역의 내일을 준비하는 ‘제주형 지역혁신 플랫폼’을 조성할 계획이구요. 대전은, 1932년 준공된 옛 충남도청(의회동 등)을 지역사회 곳곳을 새롭게 연결하는 창의·혁신·소통·열린 공간으로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고 있어요. ’19년도에 선정된 제주와 대전도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답니다. 지역을 살리고, 혁신해나갈, 입니다. 지역문제들에 대한 열띤 토론과, 해결책 모색을 통해 지역사회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2524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혁신 우수사례
  • 15. 지역혁신 우수사례 소통협력공간: 국민이 정책공동생산자가 되어 정책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공공기관과 민간이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시도해 볼 수 있는 공간 36개 의제 3,471명 주민 참여 146개 기관·단체 협업 연계 ‘옛 강원조달청(’79년 준공)’에 도내 대학교 5만2천여명 재학생(춘천 인구 18.6%)들과의 협업을 통해 주민 주도 청년∙지역 문제 해결 거점으로 운영 텅 빈 놀이터 아이들에게 외면 받는 획일화된 놀이터를 엄마, 아이들의 관점으로 바꾸는 생활 실험 이용 횟수 1.64회 증가 (47.5%) 이용 시간 98.57분 증가 (50.9%) C.P.R.(춘천 종이 재활용) A4 폐지를 혼합 용지가 아닌 고급 용지로 재활용하기 위한 폐지 수거 체계 시범 운영 아파트 1만 세대, 7개 초∙중학교 등 49개 기관 160개 수거함 배치 전기자전거 공유 기업과의 협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 전기자전거 50대 무상 제공) 미세 먼지 절감 및 대중 교통 보완 춘천 시민 1,178회 사용 춘천 소통협력공간 대표사례 04 2726 지역혁신 우수사례
  • 16. 27개 의제 7,081명 주민 참여 119개 기관·단체 협업 연계 원도심(시청 뒤편) 50여년 된 성매매업소 집결지 ‘선미촌’을 새단장하여 인권·지역혁신 상징거점으로 운영 전주 소통협력공간 두드림옷장 청년·취업 지망생 정장 무료 대여 프로젝트 기부 정장 수 80여벌 이용 건수 300여건 해피나비 길고양이와 지역 주민 공존 프로젝트 전국 최초의 ‘전주시 동물 복지과’ 부서 신설 도입 해피버스 시민, 행정, 전문가가 함께 만드는 전주 시내버스 노선개편안 도출 (2020년도 시범적용) 시민 디자인단 400명 정책 전문가 10인 버스 혁신 시민 사회 추진위원회 등 47개 기관∙단체와 협력 체계 구축 대표사례 2928
  • 17. 지역혁신 지역혁신이란 무엇일까요? 쓰레기, 주차, 소음 등 우리 주변 생활문제에서부터 지역소멸, 양극화, 저성장과 같은 복잡한 사회문제까지 정부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문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시민들의 역량과 사회 참여 욕구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에겐 새로운 도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합니다. 3130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지난 1년간, 지역주민 주도의 다양한 혁신사업을 진행하여 왔습니다. 지역주민들이 지역 행정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는 소통협력공간, 주민과 공공기관이 함께 협업하는 새로운 문제 해결 플랫폼인 지역혁신포럼, 폐교, 옛 주민센터, 동네창고 등 지역 내 유휴 공간을 새 단장하여 주민주도 참여공간으로 조성해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 넣는 공공유휴공간 사업, 도시 청년들이 고령화·인구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에 거주하며 전통기술을 배우고 삶의 터전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는 청년마을 등 기존의 정부 주도의 행정이 아닌,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이처럼 주민들의 손으로 직접 일구는 반가운 변화 주민의 활동 기반을 마련하는 반가운 변화 ‘지역혁신’ 지금 우리 곁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