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
보 도 자 료
∆ 수 신 : 각 언론사 담당 기자
∆ 발 신 :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 발 송 일 : 2021년 5월 28일 (금)
∆ 매 수 : 총 12 쪽
이안소영 (집행위원장)
010-2210-9824
안현진 (담당)
010-2664-7695
“코로나로 심각해진 월경 빈곤,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 조속히 시행하라”
● 일 시 : 2021년 5월 28일(금) 오전 11시
● 장 소 : 서울시의회 브리핑룸
● 내 용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서울시의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 통과에 이은 책임 있는 시행 촉구
● 진 행 : 사회 ­ 손지현(정의당 서울시당 정책국장)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사례 낭독 ­ 위혜진(청소년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상임활동가)
지역에서의 장애 청소년 월경용품 지원 사례 공유 ­ 박예나(사단법인 희망씨 청소년 사업국장)
보편지급 조례 시행 지지 발언 ­ 이경옥(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장)
서울시 보편지급 예산 마련 및 계획 촉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기자회견문낭독 ­ 권수정(정의당 서울시의원), 이성민(여성환경연대 청소년 인턴활동가),
송성남(참교육학부모회서울지부 지부장)
* 언론사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보도협조를 부탁드립니다.
5월 28일 세계월경의 날을 맞아
『코로나로 심각해진 월경 빈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 조속한 시행 촉구』 기자회견
“청소년 98.1% 월경용품 구입에 드는 비용이 비싸다고 생각”
“청소년 74.7% 비용이 부담돼서 월경용품 구입 망설인 적 있음”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2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5월 28일(금) 「세계 월경의 날」을 맞아 소
속단체 회원들과 함께 서울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서울시의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의 조속한 시행을 촉구’
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합니다.
2019년 12월 17일 서울시 본회의에서는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관련 교육의 진행 등을 포함한 조례가 통과되
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을 지원할 조례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제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에 운동본부는 조례가 통과되었음에도 서울시의 실행을 위한 어떠한 논의 요청이나, 구체적인 실
행 계획이 나오고 있지 않은 것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특히 코로나19를 통과하면서 기존 공적으로 월경용품
을 지원한 전달체계인 학교 및 공공기관의 운영이 불투명해지면서 당사자 지원 역시 불투명한 상황에서조차
논의가 한 발자국도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더욱이 2021년 3월 24일 청소년복지 지원법 개정 국회 통과로 여
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대상을 저소득 여성 청소년에서 모든 여성 청소년으로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자리
걸음입니다.
이에 운동본부는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전국의 만 11세 이상~24세
이하 청소년 대상으로 5월 5일부터 5월 20일까지 15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총 11개 문항으로 구성된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최종 1,234명의 청소년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그 중 『98.1%
에 해당하는 1,210명이 월경용품 구입에 드는 비용이 비싸다』는 의견을 보내주었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74.7%에 해당하는 967명이 『비용이 부담돼서 생리용품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다』라고 응답하고 있어, 청소
년기의 월경용품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월경용품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 때문에 사용
개수를 줄이기 위해 생리대 교체 권장시간(4시간)을 넘겨 사용한 적이 있다는 답변에 응답 청소년의 74%가
해본 적이 있다고 답변하였고 사용 개수를 줄이기 위해 휴지, 수건 등으로 대체한 경험도 12%가 해본 적 있
다고 답변하였습니다.
청소년에게 학교, 보건실, 지역아동센터, 도서관 등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경용품 이용 여부에 대해 질의했
는데 35.3%가 이용해 본 적이 있으며, 57.7%가 사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
경용품 사용 시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월경용품 제공 장소 수가 적어서 실제 필요할 때 사용하기 어렵다
는 의견을 57.9% 답변했으며, 51.1%는 다른 사람의 눈치가 보이거나 교사 등으로부터 받은 면박으로 어려움
을 느낀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월경용품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이 더 늘어났는가의 질문에는 47.8%인 590명이 부담이 더 늘어
났다고 답변하였습니다. 개별 답변에서 코로나19로 학교 등교일수가 줄어들어 학교에서 월경용품을 지원받기
어려워 금전적으로 부담을 느끼거나, 청소년 당사자가 아르바이트에서 잘리거나, 부모님의 월급이 줄어들어 월
경용품 구입 지출비용에 부담을 겪는 상황을 공유하였습니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3
이외에도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이 안전하게 월경할 수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지원
금을 마련하여 모든 청소년이 안전하게 월경용품을 살 수 있어야 한다” “학교 내에서 익명으로 지원받을 수 있
도록 해달라” “월경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재난지원금처럼 부모님에게 지급하는 것이 아닌 청소년 당사자
에게 지급해야한다. 재난지원금으로 생리용품을 살 수 없었다.” 등 다양하고 절박한 현실을 이야기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다수의 월경용품을 이용하는 청소년은 월경용품 비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는 상황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학교 및 공공시설이 일
시적으로 문을 닫거나,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청소년이 느끼는 월경용품의 부담은 늘어
났습니다. 코로나로 심각하진 월경 빈곤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울시는 대처해야합니다.
운동본부는 다시 한 번 『월경용품 보편지급 관련 지원조례를 통과한 취지』에 맞게 서울시의 책임 있는 시행을
촉구합니다. 이를 위해 기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취재 부탁드립니다.
[첨부자료] 1. 기자회견문 2. 기자회견 발언 3. 설문조사 결과정리 4. 설문조사 결과정리 카드뉴스
[첨부파일] 1. 기자회견 사진 2. 설문조사 결과정리 카드뉴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4
[첨부자료 1. 기자회견문]
코로나로 심각해진 월경 빈곤,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 조례 조속히 시행하라!
코로나19 팬데믹은 많은 사람들의 삶에 크고 작은 변화와 위기를 가져왔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가계 소득이 감소해도
여성은 매달 월경을 한다. 때문에 경제 상황이 악화된 청소년과 여성들에게 매달 드는 월경용품 구입비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코로나 이후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월경용품을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월경 빈곤’이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잇따라 보도되고 있다.
한국의 월경 빈곤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가 시행한 “코로나
이후, 청소년 생리용품 사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47.8%의 청소년이 코로나 이후 월경용품 구입 비용이 늘어났다고 답했
으며, 74.7%는 비용이 부담돼 월경용품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청소년들은 월경용품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
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개수를 줄이거나(74%), 양육자에게 말하거나(53.6%), 공공시설에 비치된 생리대를 사용하거나
(11.4%), 휴지·수건 등으로 대체하는(0.9%) 방법으로 월경 기간을 보내고 있었다.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재난지원금을 받았지만, 아버지가 눈치를 줘 생리대를 구입할 수 없었다”거나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학교에 비치된 생리대를 이용할 수 없어 월경용품 구입부담이 커졌다”는 사례도 보고됐다. 나아가
보건실 및 공공시설에 비치된 월경용품을 이용하며 겪은 어려움도 지적됐다. ‘학교보건실 시설 및 기구에 관한 규칙’에 따
르면 학교 보건실에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리대를 비치해야 하지만, 생리대를 필요한 만큼 충분히 이용할 수 없거
나 생리대를 요청하자 교사가 면박을 줬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편 서울시는 공공시설에 월경용품을 비치하는 ‘공공생리대’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어려움도 지적됐
다. “안내데스크에서 코인을 받아 비치함을 이용해야 하는데 눈치가 보여 코인을 받을 수 없었다”, “생리대가 비치된 공공
시설의 수가 적고 거리가 멀어서 이용하기 어려웠다” 등 운영 기관의 숫자 부족 및 안내데스크에서 코인을 받는 등 지원
방식에서 생기는 어려움이 주를 이루었다. 학교 및 공공기관에 월경용품을 비치하는 방식으로는 청소년의 월경권을 보장
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임을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서울시는 청소년의 월경권을 보장할 수 있는 규정이 있음에도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지난 2019년 12월, 서
울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조례는 모든 청소년에게 생리대 등 월경용품을 조건 없이 지급하고 학교에서 월경 교육
을 시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시가 해당 조례에 대한 예산과 계획을 마련하지 않고 2년 동안 방관적 입장을 취하
는 동안 청소년들은 월경용품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고 교육권과 건강권 등의 인권을 침해받고 있다.
해외에서는 월경 빈곤에 대한 조사와 함께 월경권 보장을 위한 긴급 정책 마련에 힘을 쓰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9~13
세 여성의 12%가 월경용품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12명 중 1명은 월경용품을 구하지 못해 학교를 결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보도됐다. 이에 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 6월부터 향후 3년 간 각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월경용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계획을 긴급하게 편성했다. 프랑스에서는 대학 내 월경용품 자판기를 설치해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할 계획을 밝혔다. 이를 통해 프랑스 전체 여학생의 약 30%가 무상지급의 혜택을 받게 된다. 일본은 한국의 국무회의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5
에 해당하는 각의를 통해 지난 3월 23일, 월경 빈곤 해소를 위해 월경용품 배포 예산으로 14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
다.
국내에서는 경기도가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시행에 앞장섰다. 경기도는 지난해 관련 조례를 통과시키고 올해 7월, 도
내의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월경용품 보편지급 시행을 앞두고 있다. 서울 구로구는 지난해 중·고등학교 12곳에 누구
나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월경용품 보관함을 설치했으며, 올해 구내의 학교 및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19곳에 추가 설치
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에서도 지난해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가 만들어졌으며 올해
국회에서는 전국의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을 지원하는 내용의 청소년복지지원법 개정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5월 28일은 월경에 대한 터부를 깨고 월경에 대한 다양한 건강·환경·인권·정치적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여성의 평균적인
월경 주기를 따서 제정된 ‘세계 월경의 날’이다. 월경은 개인이 스스로 책임져야 할 사소한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 영역에
서 다루어져야 할 인권의 문제이다. 각 지자체 및 국회에서도 월경에 대한 정책을 만들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발판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4.7 재보궐 선거 후보 시절,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 예산 편성 및 시행과 공교육 내 젠
더 관점의 월경·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마련을 약속한 바 있다.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공교육에서
의 월경 교육에 대한 예산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라.
우리의 요구
1.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공교육에서의 월경 교육 예산 및 시행방안을 적극 마련하라.
2. 서울시는 공공생리대 시행 기관을 확대하고 사용자의 자유로운 이용을 보장하라.
3. 여성가족부는 청소년복지지원법 개정안 실효성 있는 시행령과 예산안을 마련하라.
4. 정부는 안전한 월경용품 관리방안 및 월경용품 가격규제 방안을 마련하라.
주관 :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강남아이쿱생협 / 강서아이쿱생협 / 관악아이쿱생협 / 구로시민두레생협 / 구로아이쿱생협 / 금천한우물아이쿱생협 / 도봉노원디딤돌
아이쿱생협 / 동작서초아이쿱생협 / 동작청소년성문화센터 더하기 / 두레생협연합회 / 민주노총 서울본부 / 사단법인 희망씨 /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행동네트워크 – 녹색당, 녹색연합, 생태지평, 아름다운두레생협, 아이건강국민연대, 에코생협, 여성엄마민중당,
여성환경연대, 정의당 여성위원회,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
YWCA연합회, 행복중심생협,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 서대문마포은평아이쿱생협 / 서울남부두레생협 / 서울북부두레생협 / 서울아이
쿱생협 / 성동두레생협 / 송파아이쿱생협 / 양천아이쿱생협 / 여성환경연대 / 울림두레생협 / 은평두레생협 /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
울지부 / 정의당 서울시당 청소년위원회(준) / 정의당 서울특별시당 / 정의당 청소년위원회 / 좋은세상을 만드는사람들 / 중랑배꽃아이
쿱생협 / 참교육학부모회 서울지부 /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 한국여성민우회 / 한살림서울생협 / 한울안생협 / 행복중심
생협 총 35개 단체(가나다순)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6
공동주최 : 총 95개 단체(가나다순)
강동노동인권센터 / 강북희망네트워크 / 강서양천민중의집 사람과공간 /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 건강한농부사회적협동조합 / 건설노
조서울건설지부여성위원회 / 경인건설지부 / 경희총민주동문회 / 공간엘리사벳 /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본부 / 공동체 도꼬마리 / 구
로지방자치시민연대 / 금속노조 / 금속노조 서울지부남부지역지회 / 금천수요양병원지부 / 기본소득당 / 기본소득당젠더정치특별위원
회 / 남서여성환경연대더초록 / 노뉴워크 / 노동도시연대 / 노원여성회 / 녹색당 / 다산콜센터노동조합 /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조LG
유플러스한마음지부 / 더불어사는희망연대서울교통공사고객센터지부 /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LG헬로비전비정규직지부 / 도꼬마
리 / 들꽃청소년지역아동센터 / 롯데면세점노동조합 / 문화놀이터와플 / 민주노총 경인 건설지부 / 민주노총공공운수 / 민주노총서울
본부 / 민주노총서울본부 동부지역지부 / 민주노총서울본부서부지역지부 / 민주노총서울본부여성위원회 / 반성매매인권행동이룸 / 사
단법인학교너머더큰학교 / 사단법인한국생활음악협회강동지부 / 사무금융노조.연맹여성위원회 / 사회변혁노동자당 / 서비스일반노동조
합서대문유니온지회 / 서울노동광장 / 서울신용보증재단고객센터지부 / 서울여성회 /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성과재생산크리스천포
럼 / 성적권리와재생산정의를위한센터셰어SHARE / 세바지부 / 세종호텔노동조합 / 소리를보여주는사람들 / 송파청소년노동인권활동가
모임송송 / 심리상담서비스협동조합봄 / 안양나눔여성회 / 여성의당 / 연구공동체건강과대안 / 영등포구로청소년노동인권모임꿈틀 /
우리동네노동권찾기 / 이프북스 / 장애여성공감 / 전국건설노동조합경인건설지부 / 전국건설노동조합경인지역본부 / 전국건설엔지니어
링지부동명기술공단지회 / 전국공무원노동조합서울지역본부 / 전국기간제교사노동조합 / 전국대학노동조합 명지대지부 / 전국보건의료
산업노동조합서울본부이화의료원지부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서울지역본부 성평등위원회 / 전국셔틀버스노동조합 / 전국언론노조
MBC아트지부 / 전국자치단체공무직본부 서울지역지부 중구청지회 /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성평등위원회 / 전국학습지산업노조 /
정의당구로구위원회 / 즐거운교육연구소협동조합 / 진보당구로구위원회 / 진보당동대문구지역위 / 진보당인권위원회 / 진보당중랑구위
원회 / 청소년시대여행 / 페미니즘교육플랫폼Be.Do. / 학비노조 / 학비노조서울지부남부지회 / 한국여성민우회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한국여신학자협의회부설기독교여성상담소 / 한사회장애인성폭력상담센터 / 행동하는간호사회 / 행복중심소비자생활협동조합 / 희망세
상일구는 구로여성회 / 희망연대노동조합경기도콜센터지부 / SK브로드밴드비정규직지부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7
● 발언 :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사례 낭독 ­ 위혜진(청소년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상임활동가)
지역에서의 장애 청소년 월경용품 지원 사례 공유 ­ 박예나(사단법인 희망씨 청소년 사업국장)
보편지급 조례 시행 지지 발언 ­ 이경옥(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장)
서울시 보편지급 예산 마련 및 계획 촉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첨부자료 2. 기자회견 발언]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사례 낭독 ­ 위혜진(청소년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상임활동가)
“설문 조사 결과는 안전한 월경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인 월경용품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청소년의 삶의 실태를 보여주었
습니다. 응답자들은 이러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 지하철 등 공공장소의 월경 용품 비치를 의무화 해달라, 월경 키트나 월
경용품 구입 지원비를 지급해달라, 월경에 대해 제대로 교육해달라는 요구를 전했습니다.
모든 청소년은 자신의 경제적 상황과 관계없이 건강권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재난 상황으로 인해 더욱 심각해진 월경 빈
곤에 대해, 서울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가결시켰던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을 책임감 있
게 시행하여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 구입비용을 지원할 것을 요구합니다. 또한, 공공시설에 월경용품을 비치하는 것에
서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기대합니다.”
지역에서의 장애 청소년 월경용품 지원 사례 공유 ­ 박예나(사단법인 희망씨 청소년 사업국장)
“깔창생리대 사건 이후 청소년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월경을 위하여 5년째 지역아동센터청소년과 장애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생리대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생리대지원사업을 하며 매달 한 번씩 찾아오는 월경으로 청소년들이 겪는 어
려움과 청소년을 넘어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까지 듣게 되었습니다. (...)
얼마 전 한 어머니께 전화 한 통을 받았습니다. 올해도 생리대지원이 되는지 물어보는 전화였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됨
에 따라 근로를 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고, 일시적 근로로 소득이 책정되어 기초수급인정도 불발된 상태여서 가정이 경제적
으로 어려워 딸3명을 키우는 입장에서 생리대구입에 부담을 느끼셔서 작년에 생리대지원사업을 보았던 게 생각이 나서 연
락을 주셨다고 합니다. 또한 장애청소년들은 월경을 할 때 더욱 많은 양의 생리대를 필요로 하고, 신체 구조상 패드형 생리
대가 적합하지 않아 비용이 3~4배 이상 비싼 입는 생리대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더욱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보편지급지지 발언 ­ 이경옥(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장)
“서울시의회에서 2019년 12월 통과된 조례는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을 조건없이 지급하고 학교에서 월경 교육을 시행하
는 내용을 담고 있음에도 서울시는 2년 동안 예산과 계획을 마련하지 않아 여성 청소년들의 교육권과 건강권 등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습니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8
2011년 서울시의 무상급식 정책 논란은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나라당이 복지 포퓰리즘이라는 이유로 반대하며 그 해 8
월 24일 서울시 주민투표에서 패배하여 시장직을 사퇴하였다. 무상급식은 보편적 복지로서,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2021년 4월 7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오세훈 시장이 당선되었습니다. 후보 시절 위와 같은 정책 질의서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회는 민주노총 가맹조직인 산별 서울 여성 노동자들과 함께
청소년의 월경권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서울시를 감시하고 여기 계신 연대 동지들과 함께 우리들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투쟁을 할 것입니다.”
서울시 보편지급 예산 마련 및 계획 촉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유례없는 전염병과 함께 지낸 지도 500일이 돼 갑니다. 한국은 우수한 K-방역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지만 시민들의
일상은 보도되고 알아채는 것보다 훨씬 고통스럽고, 빈곤은 양극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위기는 필수노동을 담당하는
전업주부, 가사노동자, 요양보호사, 간호사, 교사, 택배노동자의 위기로 이어집니다. 한국은행은 5월 6일 ‘코로나19와 여성
고용’ 보고서를 통해 학교, 어린이집 폐쇄와 같이 강도 높은 방역 대책이 진행되는 시기에 성별 고용 격차가 더 커지는 경
향이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률 감소 폭은 여성 5.4%, 남성 2.4%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가량 더 큰
고용충격을 받고, 연령대로 보면 가장 두드러진 감소는 20대, 30대 여성에게서 나타났다고 합니다.
고용감소가 바로 월경 빈곤으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가계 소득이 감소해도 여성은 매달 월경을 하고,
경제 상황이 악화된 청소년과 여성들에게 매달 드는 월경용품 구입비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학교, 복지기관 등
이 문을 열지 못 하는 상황에서 선별지급이나 학교 보건실 이용 등은 더욱 힘든 상황입니다. (...)
이미 지난 3월 국회도 청소년복지원지원법 개정을 통해 저소득층에게 사회적 낙인을 찍는 방식의 생리대 지원을 벗어나 보
편지급 정책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공교육에서의 월경 교육에 대한 예산을 마련하고
적극적이고 책임 있게 시행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합니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9
코로나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조사
기간 : 2021년 5월 5일 ~ 5월 20일 (15일 간)
대상 : 전국의 청소년 (만 11세~24세)
목적 : 코로나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및 월경빈곤 현황 조사
진행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자 : 1,234명 (11~13세 25명, 13~16세 292명, 17~21세 541명, 21~24세 375명, 그 외 1명)
주최 :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첨부자료 3. 설문조사 결과정리]
5월 28일, 월경의 날을 맞아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에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5월 5
일부터 5월 20일까지 약 15일간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상은 전국의 11~24세 청소년이었
다. 총 1234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했다.
“월경용품(생리용품) 구입에 드는 돈이 비싸다고 생각하냐”는 문항에 거의 모든 참여자가 ‘매우 그렇다(76.9%)’, ‘종종 그
렇다(21.2%)고 답변했다.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생리대 가격은 평균 331원 정도로 OECD 36개국
중 가장 비싸다. “비용이 부담되어서 월경용품(생리용품)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냐”는 문항에도 대부분의 참여자가 ‘매우
그렇다(31.1%)’, ‘종종 그렇다(43.6%)’로 답했다. 이를 통해, 월경용품(생리용품)의 높은 가격이 월경하는 청소년에게 실질
적인 부담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월경용품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한 일이 무엇이냐”는 문항(복수응답 가능)에 과반 이상의 참여자는
‘부모님, 양육자에게 말씀드렸다(53.6%)’고 답변했다. 이는 대부분의 청소년이 독립적인 소득 및 경제적 권리가 없는 상
황에서 월경용품(생리용품) 구입을 양육자에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잘 보여준다. 그 외에도 ‘친구나 지인에게 빌렸다
(23.4%)’, ‘사용 개수를 줄이기 위해 휴지, 수건 등으로 대체했다(12%)’는 대답이 상당 수를 차지했다. ‘보건실, 지역아동
센터 등에 비치된 생리대를 이용하였다(11.4%)’는 응답은 가장 저조하여,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월경용품의 접근성이 다소
부족함을 보여준다. 그 외 응답으로는 ‘면생리대, 월경컵 등 다회용 월경용품을 사용하거나 알아본다(1.8%)’, ‘안전성과 무
관하게 할인율이 높은 제품을 구입한다(1.3%)’가 있었다.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경용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냐”는 문항에 과반 이상의 참여자가 ‘대체로 없다(27.6%)’, ‘거의 없
다(30.1%)’라고 응답했다.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경용품을 사용했거나, 사용하려고 할 때, 불편한 점이 있다면 무엇이
냐”는 문항(복수응답 가능)에 과반 이상의 참여자가 ‘월경용품 제공 장소 수가 적어서 실제 필요할 때 사용하기 어렵다
(57.9%)’, ‘다른 사람의 눈치가 보이거나 교사 등으로부터 면박을 받은 적이 있다(51.1%)’라고 응답했다. ‘사용 절차가 너
무 번거롭거나 안내가 불충분하다(22.9%)’, ‘월경용품을 제공하는 기계가 고장나서 사용할 수 없다(12.6%)’도 상당수를
차지했으며, ‘불편한 점은 없다(8.6%)’는 응답은 가장 적었다. 그 외 응답으로는 ‘제공하는 생리대의 사이즈가 다양하지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0
않거나 내 몸에 맞지 않아 불편하다(2.0%)’, ‘지원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1.3%)’, ‘사용을 시도한 적이 없다(0.9%)’가
있었다.
“코로나19 이후 월경용품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이 더 늘어났냐”는 질문에 과반에 가까운 참여자가 ‘매우 그렇다
(19.1%)’, ‘종종 그렇다(28.7%)’를 선택했다. 이는 ‘대체로 그렇지 않다(9%)’, ‘전혀 그렇지 않다(5.1%)’고 응답한 참여자의
3배 가량으로 코로나19 이후 월경빈곤이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이거나 코로나19 상황이기 때문에 월경용품 구입과 사용에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있다면 이야기해달라”는 문항에
는 보건실, 의무실 등 공공시설에서 월경용품 이용 시 교사나 관계자가 면박을 주거나 갚게 하는 사례, 월경용품 비용이
너무 높아 유통기한이 지난 물품을 사용하거나 하루 3장 이하의 적은 월경용품만 사용하는 사례, 월경용품을 구매하기
위해 부모님에게 돈을 요구하는 것이 눈치 보였던 사례, 학교에서 반별로 화장실 이용 시간을 정해두어 월경용품 교체가
어려웠던 사례. 지방에 살아서 월경용품 비치 시설 자체를 찾아보기 힘든 사례가 있었다.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재난지
원금이 세대주에게 주어짐에 따라 세대주가 아닌 여성 청소년의 월경용품 구입이 어려웠던 사례, 코로나로 인해 학교 가
는 일이 줄어 무료로 월경용품을 구하기 어려워진 사례, 학교 수업 시 쉬는 시간이 5분으로 단축되며 월경용품 교체가
어려웠던 사례가 제시되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이 안전하게 월경할 수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지”를 묻는 문항에는 월경용품 보편 지급이 주
된 응답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도 월경 교육 및 인식 변화, 청소년의 경제적 권리 보장(재난지원금 직접 지급 등), 월경용
품 가격 자체의 인하 공적 지원시 월경용품의 다양성 보장, 발암물질로부터 안전한 월경용품 지원 등이 꼽혔다.
코로나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조사는 재난 상황에서 공적 지원의 영역에서 소외된 월경하는 청소년의 삶의 실
태를 보여주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생리용품)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실질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공공기관에 한정되어 있고 다양한 종류를 제공하지 않으며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월경용품 지원 정책이
한계적임을 드러낸다. 또한 참여자들은 “다양한 월경용품에 대한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월경하는 청소년이 직접 사
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월경용품 관련 지원금이 지급되어야 한다” 등 청소년이 직접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월경용품
(생리용품)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청소년 당사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은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월경권 보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다. 2021년 월경의 날을 맞아,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
가 지대로 이행되고, 전국적인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1
1 2
3 4
5 6
[첨부자료 4. 설문조사 결과정리 이미지 / 파일 별첨]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2
7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여성환경연대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여성환경연대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여성환경연대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여성환경연대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여성환경연대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여성환경연대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여성환경연대
 
38여성대회기획안(2010)
38여성대회기획안(2010)38여성대회기획안(2010)
38여성대회기획안(2010)hiiocks kim
 
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
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
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What's hot (13)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아동의 환경권 운동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2004)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젠더의 관점에서 본 환경과 건강 워크샵 (2003)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
실천하는 에코페미니스트들의 플랫폼 (2015)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서울시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성별영향분석평가 보고서(2015)
 
38여성대회기획안(2010)
38여성대회기획안(2010)38여성대회기획안(2010)
38여성대회기획안(2010)
 
환경정의 소개
환경정의 소개환경정의 소개
환경정의 소개
 
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
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
20180627 취재요청서_1차재판 기자회견
 

Similar to 20210528_보도자료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은영 김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은영 김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은영 김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복지 세상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복지 세상
 
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마 법사
 
Kumsnkr
KumsnkrKumsnkr
Kumsnkrkumsn
 
[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
[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
[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JunSeop Lee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Kyungrim Lee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경희 배
 
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
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
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은영 김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masilbyul
 
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마 법사
 
2015-09 복지세상 소식지
2015-09 복지세상 소식지2015-09 복지세상 소식지
2015-09 복지세상 소식지복지 세상
 
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녹색당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서울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여성환경연대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수원 주
 
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경희 배
 

Similar to 20210528_보도자료 (20)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 266호입니다. (201311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276호(201409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
 
Kumsnkr
KumsnkrKumsnkr
Kumsnkr
 
[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
[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
[기자회견_결과보고]지역아동센터_운영비현실화_기자회견-121025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사업소개. 2016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
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
120622 19대국회 반값등록금_정책토론회_자료집(유기홍의원실)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
 
2015-09 복지세상 소식지
2015-09 복지세상 소식지2015-09 복지세상 소식지
2015-09 복지세상 소식지
 
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lt;학부모신문282호>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
 
2018 kwen
2018 kwen2018 kwen
2018 kwen
 

20210528_보도자료

  • 1.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 보 도 자 료 ∆ 수 신 : 각 언론사 담당 기자 ∆ 발 신 :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 발 송 일 : 2021년 5월 28일 (금) ∆ 매 수 : 총 12 쪽 이안소영 (집행위원장) 010-2210-9824 안현진 (담당) 010-2664-7695 “코로나로 심각해진 월경 빈곤,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 조속히 시행하라” ● 일 시 : 2021년 5월 28일(금) 오전 11시 ● 장 소 : 서울시의회 브리핑룸 ● 내 용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서울시의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 통과에 이은 책임 있는 시행 촉구 ● 진 행 : 사회 ­ 손지현(정의당 서울시당 정책국장)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사례 낭독 ­ 위혜진(청소년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상임활동가) 지역에서의 장애 청소년 월경용품 지원 사례 공유 ­ 박예나(사단법인 희망씨 청소년 사업국장) 보편지급 조례 시행 지지 발언 ­ 이경옥(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장) 서울시 보편지급 예산 마련 및 계획 촉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기자회견문낭독 ­ 권수정(정의당 서울시의원), 이성민(여성환경연대 청소년 인턴활동가), 송성남(참교육학부모회서울지부 지부장) * 언론사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보도협조를 부탁드립니다. 5월 28일 세계월경의 날을 맞아 『코로나로 심각해진 월경 빈곤,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 조속한 시행 촉구』 기자회견 “청소년 98.1% 월경용품 구입에 드는 비용이 비싸다고 생각” “청소년 74.7% 비용이 부담돼서 월경용품 구입 망설인 적 있음”
  • 2.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2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5월 28일(금) 「세계 월경의 날」을 맞아 소 속단체 회원들과 함께 서울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서울시의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조례의 조속한 시행을 촉구’ 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합니다. 2019년 12월 17일 서울시 본회의에서는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관련 교육의 진행 등을 포함한 조례가 통과되 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을 지원할 조례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제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에 운동본부는 조례가 통과되었음에도 서울시의 실행을 위한 어떠한 논의 요청이나, 구체적인 실 행 계획이 나오고 있지 않은 것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특히 코로나19를 통과하면서 기존 공적으로 월경용품 을 지원한 전달체계인 학교 및 공공기관의 운영이 불투명해지면서 당사자 지원 역시 불투명한 상황에서조차 논의가 한 발자국도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더욱이 2021년 3월 24일 청소년복지 지원법 개정 국회 통과로 여 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대상을 저소득 여성 청소년에서 모든 여성 청소년으로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자리 걸음입니다. 이에 운동본부는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전국의 만 11세 이상~24세 이하 청소년 대상으로 5월 5일부터 5월 20일까지 15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총 11개 문항으로 구성된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최종 1,234명의 청소년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그 중 『98.1% 에 해당하는 1,210명이 월경용품 구입에 드는 비용이 비싸다』는 의견을 보내주었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74.7%에 해당하는 967명이 『비용이 부담돼서 생리용품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다』라고 응답하고 있어, 청소 년기의 월경용품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월경용품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 때문에 사용 개수를 줄이기 위해 생리대 교체 권장시간(4시간)을 넘겨 사용한 적이 있다는 답변에 응답 청소년의 74%가 해본 적이 있다고 답변하였고 사용 개수를 줄이기 위해 휴지, 수건 등으로 대체한 경험도 12%가 해본 적 있 다고 답변하였습니다. 청소년에게 학교, 보건실, 지역아동센터, 도서관 등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경용품 이용 여부에 대해 질의했 는데 35.3%가 이용해 본 적이 있으며, 57.7%가 사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 경용품 사용 시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월경용품 제공 장소 수가 적어서 실제 필요할 때 사용하기 어렵다 는 의견을 57.9% 답변했으며, 51.1%는 다른 사람의 눈치가 보이거나 교사 등으로부터 받은 면박으로 어려움 을 느낀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월경용품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이 더 늘어났는가의 질문에는 47.8%인 590명이 부담이 더 늘어 났다고 답변하였습니다. 개별 답변에서 코로나19로 학교 등교일수가 줄어들어 학교에서 월경용품을 지원받기 어려워 금전적으로 부담을 느끼거나, 청소년 당사자가 아르바이트에서 잘리거나, 부모님의 월급이 줄어들어 월 경용품 구입 지출비용에 부담을 겪는 상황을 공유하였습니다.
  • 3.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3 이외에도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이 안전하게 월경할 수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지원 금을 마련하여 모든 청소년이 안전하게 월경용품을 살 수 있어야 한다” “학교 내에서 익명으로 지원받을 수 있 도록 해달라” “월경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재난지원금처럼 부모님에게 지급하는 것이 아닌 청소년 당사자 에게 지급해야한다. 재난지원금으로 생리용품을 살 수 없었다.” 등 다양하고 절박한 현실을 이야기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다수의 월경용품을 이용하는 청소년은 월경용품 비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는 상황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학교 및 공공시설이 일 시적으로 문을 닫거나,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청소년이 느끼는 월경용품의 부담은 늘어 났습니다. 코로나로 심각하진 월경 빈곤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울시는 대처해야합니다. 운동본부는 다시 한 번 『월경용품 보편지급 관련 지원조례를 통과한 취지』에 맞게 서울시의 책임 있는 시행을 촉구합니다. 이를 위해 기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취재 부탁드립니다. [첨부자료] 1. 기자회견문 2. 기자회견 발언 3. 설문조사 결과정리 4. 설문조사 결과정리 카드뉴스 [첨부파일] 1. 기자회견 사진 2. 설문조사 결과정리 카드뉴스
  • 4.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4 [첨부자료 1. 기자회견문] 코로나로 심각해진 월경 빈곤,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지원 조례 조속히 시행하라! 코로나19 팬데믹은 많은 사람들의 삶에 크고 작은 변화와 위기를 가져왔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가계 소득이 감소해도 여성은 매달 월경을 한다. 때문에 경제 상황이 악화된 청소년과 여성들에게 매달 드는 월경용품 구입비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코로나 이후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월경용품을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월경 빈곤’이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잇따라 보도되고 있다. 한국의 월경 빈곤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가 시행한 “코로나 이후, 청소년 생리용품 사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47.8%의 청소년이 코로나 이후 월경용품 구입 비용이 늘어났다고 답했 으며, 74.7%는 비용이 부담돼 월경용품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청소년들은 월경용품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 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개수를 줄이거나(74%), 양육자에게 말하거나(53.6%), 공공시설에 비치된 생리대를 사용하거나 (11.4%), 휴지·수건 등으로 대체하는(0.9%) 방법으로 월경 기간을 보내고 있었다.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재난지원금을 받았지만, 아버지가 눈치를 줘 생리대를 구입할 수 없었다”거나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학교에 비치된 생리대를 이용할 수 없어 월경용품 구입부담이 커졌다”는 사례도 보고됐다. 나아가 보건실 및 공공시설에 비치된 월경용품을 이용하며 겪은 어려움도 지적됐다. ‘학교보건실 시설 및 기구에 관한 규칙’에 따 르면 학교 보건실에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리대를 비치해야 하지만, 생리대를 필요한 만큼 충분히 이용할 수 없거 나 생리대를 요청하자 교사가 면박을 줬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편 서울시는 공공시설에 월경용품을 비치하는 ‘공공생리대’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어려움도 지적됐 다. “안내데스크에서 코인을 받아 비치함을 이용해야 하는데 눈치가 보여 코인을 받을 수 없었다”, “생리대가 비치된 공공 시설의 수가 적고 거리가 멀어서 이용하기 어려웠다” 등 운영 기관의 숫자 부족 및 안내데스크에서 코인을 받는 등 지원 방식에서 생기는 어려움이 주를 이루었다. 학교 및 공공기관에 월경용품을 비치하는 방식으로는 청소년의 월경권을 보장 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임을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서울시는 청소년의 월경권을 보장할 수 있는 규정이 있음에도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지난 2019년 12월, 서 울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조례는 모든 청소년에게 생리대 등 월경용품을 조건 없이 지급하고 학교에서 월경 교육 을 시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시가 해당 조례에 대한 예산과 계획을 마련하지 않고 2년 동안 방관적 입장을 취하 는 동안 청소년들은 월경용품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고 교육권과 건강권 등의 인권을 침해받고 있다. 해외에서는 월경 빈곤에 대한 조사와 함께 월경권 보장을 위한 긴급 정책 마련에 힘을 쓰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9~13 세 여성의 12%가 월경용품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12명 중 1명은 월경용품을 구하지 못해 학교를 결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보도됐다. 이에 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 6월부터 향후 3년 간 각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월경용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계획을 긴급하게 편성했다. 프랑스에서는 대학 내 월경용품 자판기를 설치해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할 계획을 밝혔다. 이를 통해 프랑스 전체 여학생의 약 30%가 무상지급의 혜택을 받게 된다. 일본은 한국의 국무회의
  • 5.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5 에 해당하는 각의를 통해 지난 3월 23일, 월경 빈곤 해소를 위해 월경용품 배포 예산으로 14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 다. 국내에서는 경기도가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시행에 앞장섰다. 경기도는 지난해 관련 조례를 통과시키고 올해 7월, 도 내의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월경용품 보편지급 시행을 앞두고 있다. 서울 구로구는 지난해 중·고등학교 12곳에 누구 나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월경용품 보관함을 설치했으며, 올해 구내의 학교 및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19곳에 추가 설치 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에서도 지난해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가 만들어졌으며 올해 국회에서는 전국의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을 지원하는 내용의 청소년복지지원법 개정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5월 28일은 월경에 대한 터부를 깨고 월경에 대한 다양한 건강·환경·인권·정치적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여성의 평균적인 월경 주기를 따서 제정된 ‘세계 월경의 날’이다. 월경은 개인이 스스로 책임져야 할 사소한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 영역에 서 다루어져야 할 인권의 문제이다. 각 지자체 및 국회에서도 월경에 대한 정책을 만들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발판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4.7 재보궐 선거 후보 시절,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 예산 편성 및 시행과 공교육 내 젠 더 관점의 월경·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마련을 약속한 바 있다.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공교육에서 의 월경 교육에 대한 예산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라. 우리의 요구 1. 서울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공교육에서의 월경 교육 예산 및 시행방안을 적극 마련하라. 2. 서울시는 공공생리대 시행 기관을 확대하고 사용자의 자유로운 이용을 보장하라. 3. 여성가족부는 청소년복지지원법 개정안 실효성 있는 시행령과 예산안을 마련하라. 4. 정부는 안전한 월경용품 관리방안 및 월경용품 가격규제 방안을 마련하라. 주관 :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강남아이쿱생협 / 강서아이쿱생협 / 관악아이쿱생협 / 구로시민두레생협 / 구로아이쿱생협 / 금천한우물아이쿱생협 / 도봉노원디딤돌 아이쿱생협 / 동작서초아이쿱생협 / 동작청소년성문화센터 더하기 / 두레생협연합회 / 민주노총 서울본부 / 사단법인 희망씨 /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행동네트워크 – 녹색당, 녹색연합, 생태지평, 아름다운두레생협, 아이건강국민연대, 에코생협, 여성엄마민중당, 여성환경연대, 정의당 여성위원회,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 YWCA연합회, 행복중심생협,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 서대문마포은평아이쿱생협 / 서울남부두레생협 / 서울북부두레생협 / 서울아이 쿱생협 / 성동두레생협 / 송파아이쿱생협 / 양천아이쿱생협 / 여성환경연대 / 울림두레생협 / 은평두레생협 /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 울지부 / 정의당 서울시당 청소년위원회(준) / 정의당 서울특별시당 / 정의당 청소년위원회 / 좋은세상을 만드는사람들 / 중랑배꽃아이 쿱생협 / 참교육학부모회 서울지부 /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 한국여성민우회 / 한살림서울생협 / 한울안생협 / 행복중심 생협 총 35개 단체(가나다순)
  • 6.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6 공동주최 : 총 95개 단체(가나다순) 강동노동인권센터 / 강북희망네트워크 / 강서양천민중의집 사람과공간 /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 건강한농부사회적협동조합 / 건설노 조서울건설지부여성위원회 / 경인건설지부 / 경희총민주동문회 / 공간엘리사벳 /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본부 / 공동체 도꼬마리 / 구 로지방자치시민연대 / 금속노조 / 금속노조 서울지부남부지역지회 / 금천수요양병원지부 / 기본소득당 / 기본소득당젠더정치특별위원 회 / 남서여성환경연대더초록 / 노뉴워크 / 노동도시연대 / 노원여성회 / 녹색당 / 다산콜센터노동조합 /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조LG 유플러스한마음지부 / 더불어사는희망연대서울교통공사고객센터지부 /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LG헬로비전비정규직지부 / 도꼬마 리 / 들꽃청소년지역아동센터 / 롯데면세점노동조합 / 문화놀이터와플 / 민주노총 경인 건설지부 / 민주노총공공운수 / 민주노총서울 본부 / 민주노총서울본부 동부지역지부 / 민주노총서울본부서부지역지부 / 민주노총서울본부여성위원회 / 반성매매인권행동이룸 / 사 단법인학교너머더큰학교 / 사단법인한국생활음악협회강동지부 / 사무금융노조.연맹여성위원회 / 사회변혁노동자당 / 서비스일반노동조 합서대문유니온지회 / 서울노동광장 / 서울신용보증재단고객센터지부 / 서울여성회 /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성과재생산크리스천포 럼 / 성적권리와재생산정의를위한센터셰어SHARE / 세바지부 / 세종호텔노동조합 / 소리를보여주는사람들 / 송파청소년노동인권활동가 모임송송 / 심리상담서비스협동조합봄 / 안양나눔여성회 / 여성의당 / 연구공동체건강과대안 / 영등포구로청소년노동인권모임꿈틀 / 우리동네노동권찾기 / 이프북스 / 장애여성공감 / 전국건설노동조합경인건설지부 / 전국건설노동조합경인지역본부 / 전국건설엔지니어 링지부동명기술공단지회 / 전국공무원노동조합서울지역본부 / 전국기간제교사노동조합 / 전국대학노동조합 명지대지부 / 전국보건의료 산업노동조합서울본부이화의료원지부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서울지역본부 성평등위원회 / 전국셔틀버스노동조합 / 전국언론노조 MBC아트지부 / 전국자치단체공무직본부 서울지역지부 중구청지회 /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성평등위원회 / 전국학습지산업노조 / 정의당구로구위원회 / 즐거운교육연구소협동조합 / 진보당구로구위원회 / 진보당동대문구지역위 / 진보당인권위원회 / 진보당중랑구위 원회 / 청소년시대여행 / 페미니즘교육플랫폼Be.Do. / 학비노조 / 학비노조서울지부남부지회 / 한국여성민우회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한국여신학자협의회부설기독교여성상담소 / 한사회장애인성폭력상담센터 / 행동하는간호사회 / 행복중심소비자생활협동조합 / 희망세 상일구는 구로여성회 / 희망연대노동조합경기도콜센터지부 / SK브로드밴드비정규직지부
  • 7.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7 ● 발언 :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사례 낭독 ­ 위혜진(청소년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상임활동가) 지역에서의 장애 청소년 월경용품 지원 사례 공유 ­ 박예나(사단법인 희망씨 청소년 사업국장) 보편지급 조례 시행 지지 발언 ­ 이경옥(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장) 서울시 보편지급 예산 마련 및 계획 촉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첨부자료 2. 기자회견 발언] 설문조사 결과 발표 및 사례 낭독 ­ 위혜진(청소년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상임활동가) “설문 조사 결과는 안전한 월경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인 월경용품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청소년의 삶의 실태를 보여주었 습니다. 응답자들은 이러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 지하철 등 공공장소의 월경 용품 비치를 의무화 해달라, 월경 키트나 월 경용품 구입 지원비를 지급해달라, 월경에 대해 제대로 교육해달라는 요구를 전했습니다. 모든 청소년은 자신의 경제적 상황과 관계없이 건강권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재난 상황으로 인해 더욱 심각해진 월경 빈 곤에 대해, 서울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가결시켰던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을 책임감 있 게 시행하여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 구입비용을 지원할 것을 요구합니다. 또한, 공공시설에 월경용품을 비치하는 것에 서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기대합니다.” 지역에서의 장애 청소년 월경용품 지원 사례 공유 ­ 박예나(사단법인 희망씨 청소년 사업국장) “깔창생리대 사건 이후 청소년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월경을 위하여 5년째 지역아동센터청소년과 장애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생리대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생리대지원사업을 하며 매달 한 번씩 찾아오는 월경으로 청소년들이 겪는 어 려움과 청소년을 넘어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까지 듣게 되었습니다. (...) 얼마 전 한 어머니께 전화 한 통을 받았습니다. 올해도 생리대지원이 되는지 물어보는 전화였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됨 에 따라 근로를 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고, 일시적 근로로 소득이 책정되어 기초수급인정도 불발된 상태여서 가정이 경제적 으로 어려워 딸3명을 키우는 입장에서 생리대구입에 부담을 느끼셔서 작년에 생리대지원사업을 보았던 게 생각이 나서 연 락을 주셨다고 합니다. 또한 장애청소년들은 월경을 할 때 더욱 많은 양의 생리대를 필요로 하고, 신체 구조상 패드형 생리 대가 적합하지 않아 비용이 3~4배 이상 비싼 입는 생리대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더욱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보편지급지지 발언 ­ 이경옥(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장) “서울시의회에서 2019년 12월 통과된 조례는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을 조건없이 지급하고 학교에서 월경 교육을 시행하 는 내용을 담고 있음에도 서울시는 2년 동안 예산과 계획을 마련하지 않아 여성 청소년들의 교육권과 건강권 등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습니다.
  • 8.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8 2011년 서울시의 무상급식 정책 논란은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나라당이 복지 포퓰리즘이라는 이유로 반대하며 그 해 8 월 24일 서울시 주민투표에서 패배하여 시장직을 사퇴하였다. 무상급식은 보편적 복지로서,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2021년 4월 7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오세훈 시장이 당선되었습니다. 후보 시절 위와 같은 정책 질의서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서울본부 여성위원회는 민주노총 가맹조직인 산별 서울 여성 노동자들과 함께 청소년의 월경권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서울시를 감시하고 여기 계신 연대 동지들과 함께 우리들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투쟁을 할 것입니다.” 서울시 보편지급 예산 마련 및 계획 촉구 ­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 “유례없는 전염병과 함께 지낸 지도 500일이 돼 갑니다. 한국은 우수한 K-방역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지만 시민들의 일상은 보도되고 알아채는 것보다 훨씬 고통스럽고, 빈곤은 양극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위기는 필수노동을 담당하는 전업주부, 가사노동자, 요양보호사, 간호사, 교사, 택배노동자의 위기로 이어집니다. 한국은행은 5월 6일 ‘코로나19와 여성 고용’ 보고서를 통해 학교, 어린이집 폐쇄와 같이 강도 높은 방역 대책이 진행되는 시기에 성별 고용 격차가 더 커지는 경 향이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률 감소 폭은 여성 5.4%, 남성 2.4%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가량 더 큰 고용충격을 받고, 연령대로 보면 가장 두드러진 감소는 20대, 30대 여성에게서 나타났다고 합니다. 고용감소가 바로 월경 빈곤으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가계 소득이 감소해도 여성은 매달 월경을 하고, 경제 상황이 악화된 청소년과 여성들에게 매달 드는 월경용품 구입비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학교, 복지기관 등 이 문을 열지 못 하는 상황에서 선별지급이나 학교 보건실 이용 등은 더욱 힘든 상황입니다. (...) 이미 지난 3월 국회도 청소년복지원지원법 개정을 통해 저소득층에게 사회적 낙인을 찍는 방식의 생리대 지원을 벗어나 보 편지급 정책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및 공교육에서의 월경 교육에 대한 예산을 마련하고 적극적이고 책임 있게 시행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합니다.”
  • 9.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9 코로나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조사 기간 : 2021년 5월 5일 ~ 5월 20일 (15일 간) 대상 : 전국의 청소년 (만 11세~24세) 목적 : 코로나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및 월경빈곤 현황 조사 진행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자 : 1,234명 (11~13세 25명, 13~16세 292명, 17~21세 541명, 21~24세 375명, 그 외 1명) 주최 :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첨부자료 3. 설문조사 결과정리] 5월 28일, 월경의 날을 맞아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에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5월 5 일부터 5월 20일까지 약 15일간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상은 전국의 11~24세 청소년이었 다. 총 1234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했다. “월경용품(생리용품) 구입에 드는 돈이 비싸다고 생각하냐”는 문항에 거의 모든 참여자가 ‘매우 그렇다(76.9%)’, ‘종종 그 렇다(21.2%)고 답변했다.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생리대 가격은 평균 331원 정도로 OECD 36개국 중 가장 비싸다. “비용이 부담되어서 월경용품(생리용품) 구입을 망설인 적이 있냐”는 문항에도 대부분의 참여자가 ‘매우 그렇다(31.1%)’, ‘종종 그렇다(43.6%)’로 답했다. 이를 통해, 월경용품(생리용품)의 높은 가격이 월경하는 청소년에게 실질 적인 부담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월경용품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한 일이 무엇이냐”는 문항(복수응답 가능)에 과반 이상의 참여자는 ‘부모님, 양육자에게 말씀드렸다(53.6%)’고 답변했다. 이는 대부분의 청소년이 독립적인 소득 및 경제적 권리가 없는 상 황에서 월경용품(생리용품) 구입을 양육자에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잘 보여준다. 그 외에도 ‘친구나 지인에게 빌렸다 (23.4%)’, ‘사용 개수를 줄이기 위해 휴지, 수건 등으로 대체했다(12%)’는 대답이 상당 수를 차지했다. ‘보건실, 지역아동 센터 등에 비치된 생리대를 이용하였다(11.4%)’는 응답은 가장 저조하여,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월경용품의 접근성이 다소 부족함을 보여준다. 그 외 응답으로는 ‘면생리대, 월경컵 등 다회용 월경용품을 사용하거나 알아본다(1.8%)’, ‘안전성과 무 관하게 할인율이 높은 제품을 구입한다(1.3%)’가 있었다.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경용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냐”는 문항에 과반 이상의 참여자가 ‘대체로 없다(27.6%)’, ‘거의 없 다(30.1%)’라고 응답했다. “공공시설에서 제공하는 월경용품을 사용했거나, 사용하려고 할 때, 불편한 점이 있다면 무엇이 냐”는 문항(복수응답 가능)에 과반 이상의 참여자가 ‘월경용품 제공 장소 수가 적어서 실제 필요할 때 사용하기 어렵다 (57.9%)’, ‘다른 사람의 눈치가 보이거나 교사 등으로부터 면박을 받은 적이 있다(51.1%)’라고 응답했다. ‘사용 절차가 너 무 번거롭거나 안내가 불충분하다(22.9%)’, ‘월경용품을 제공하는 기계가 고장나서 사용할 수 없다(12.6%)’도 상당수를 차지했으며, ‘불편한 점은 없다(8.6%)’는 응답은 가장 적었다. 그 외 응답으로는 ‘제공하는 생리대의 사이즈가 다양하지
  • 10.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0 않거나 내 몸에 맞지 않아 불편하다(2.0%)’, ‘지원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1.3%)’, ‘사용을 시도한 적이 없다(0.9%)’가 있었다. “코로나19 이후 월경용품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이 더 늘어났냐”는 질문에 과반에 가까운 참여자가 ‘매우 그렇다 (19.1%)’, ‘종종 그렇다(28.7%)’를 선택했다. 이는 ‘대체로 그렇지 않다(9%)’, ‘전혀 그렇지 않다(5.1%)’고 응답한 참여자의 3배 가량으로 코로나19 이후 월경빈곤이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이거나 코로나19 상황이기 때문에 월경용품 구입과 사용에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있다면 이야기해달라”는 문항에 는 보건실, 의무실 등 공공시설에서 월경용품 이용 시 교사나 관계자가 면박을 주거나 갚게 하는 사례, 월경용품 비용이 너무 높아 유통기한이 지난 물품을 사용하거나 하루 3장 이하의 적은 월경용품만 사용하는 사례, 월경용품을 구매하기 위해 부모님에게 돈을 요구하는 것이 눈치 보였던 사례, 학교에서 반별로 화장실 이용 시간을 정해두어 월경용품 교체가 어려웠던 사례. 지방에 살아서 월경용품 비치 시설 자체를 찾아보기 힘든 사례가 있었다.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재난지 원금이 세대주에게 주어짐에 따라 세대주가 아닌 여성 청소년의 월경용품 구입이 어려웠던 사례, 코로나로 인해 학교 가 는 일이 줄어 무료로 월경용품을 구하기 어려워진 사례, 학교 수업 시 쉬는 시간이 5분으로 단축되며 월경용품 교체가 어려웠던 사례가 제시되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이 안전하게 월경할 수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지”를 묻는 문항에는 월경용품 보편 지급이 주 된 응답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도 월경 교육 및 인식 변화, 청소년의 경제적 권리 보장(재난지원금 직접 지급 등), 월경용 품 가격 자체의 인하 공적 지원시 월경용품의 다양성 보장, 발암물질로부터 안전한 월경용품 지원 등이 꼽혔다. 코로나 이후 청소년 월경용품 사용실태 조사는 재난 상황에서 공적 지원의 영역에서 소외된 월경하는 청소년의 삶의 실 태를 보여주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청소년에게 월경용품(생리용품)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실질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공공기관에 한정되어 있고 다양한 종류를 제공하지 않으며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월경용품 지원 정책이 한계적임을 드러낸다. 또한 참여자들은 “다양한 월경용품에 대한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월경하는 청소년이 직접 사 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월경용품 관련 지원금이 지급되어야 한다” 등 청소년이 직접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월경용품 (생리용품)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청소년 당사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은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월경권 보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다. 2021년 월경의 날을 맞아,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 가 지대로 이행되고, 전국적인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 11.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1 1 2 3 4 5 6 [첨부자료 4. 설문조사 결과정리 이미지 / 파일 별첨]
  • 12. 서울시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운동본부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