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제 3장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학번: 201125023
이름: 이진희
1.교육과정의 실질적 유형
 공식적 교육과정과 실제적 교육과정
 공식적인 교육과정: 국가 ,지연, 학교수준의 교육교범 지침이나 교육을 담고 있는 것 이는
표면적 교육과정과 가시적 교육과정이 혼용되어 사용되는데 의도된 계획의 실천으로 학
습자들이 경험하는 교육과정
 실제적 교육과정:가르친 교육과정, 학습된 교육과정, 평가된 교육과정 등으로 나누고 있
음
 우리나라의 경우 시, 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역, 교육청의 장학자료, 학교 교육과정 공
식적 교육과정에 속한다.
2.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에서 의 도, 계획
하지 않았으나 수업이나 학교의 관행으로 아 은연 중에 배우는 가치, 태도, 행
동양식과 같이 교육결과로 경험된 교육과정이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를 단순히 교육의 장이 아니라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
간으로 간주
학생들의 인지 ,태도 행동 변화는 공식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학교
안의 눈에 뛰지않는힘 즉 학교의 물리적 조건, 행정 조직,사회및 심리적 상황
에 의하여 일어난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이들 힘이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미치는 영향력과 결과이다.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 교육방법: 학교에서 의도한 바 없으나 학
습자가 은영 중에 학습, 잠재적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
 학습영역:학교의 문화와 학교풍토
 학습기간: 장기적,반복적,항구적인 특성
 교사의 기능: 교사의 인격적 감화 교사는
학생의 동일시 대상
 학습내용: 가치지향적인 것과 동시에 무가
치적 반사회적 내용도 학습
 공식적 교육과정
 교육방법: 학교에서 의도적,계획적, 가치
지향적 조직 및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학습내
용
 학습영역: 지적 영역
 학습경험:교과 및 교재
 학습기간:비교적 다기적, 일시적 경향
 교사의 기능: 교사로부터 지적, 기능 영향
 학습내용: 가치지향적 내용
잠재적 교육과정과 공식적인 교육과정이 상호 보완적일 때 가장 이상적 형태
학생에게 있어 잠재적 교육과정과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갈등과 대립이 일어 날
때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
3 영 교육과정
 영 교육과정은 학교에서 가르쳐지지는 않았으나. 이후 공식 교육
과정에 반영되어 가르쳐 질만한 가치가 있는 학습 경험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남이 귀를 기울이도록 말을 하는 방법과 남이 말을 하도
록 귀를 기울이는 방법' 과 같은 기술은 가정, 학교 , 사회 생활을 하
는데 필수적 인 기술이이만 공식적으로 교육과정에 빠져 있다는 것을
영 교육과정이라고 한다.
 중요성:전인적 성장과 사회적 총제성을 비추어 볼 때 공식적으로 가
르치지 않거나 소홀히 되는 영역은 교육과정 측면에서 영역일 가능이
높다고 함
 비판: 평가하기 쉬운 내용 예로부터 가르쳐온 내용만을 가르칠 가
능성이 있다
 소수의 이익집단의 압력에 의해 특정한 교과가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는 점이 비판을 받았다.
4. 중핵 교육과정
 중핵 교육과정은 중심교재를 중핵으로 하고 나머지 교재들을
주변과정으로 중핵에 통합시키는 교육과정이다. 가장 중요한
것을 중앙에 두고 나머지 것들은 그 주변에 위치하는 형태를
띤다.
 장점으로는 자발적 능률적인 참여로 의의 있는 학습경험이 가
능한점과 광범위한 단원학습을 활용하고 협동적 계획을 촉진
함에 의하여 심리적으로 건전하며 학생들의 문제나 관심을 도
울 숫 있는 생활지도의 기능적 계획운영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 단점으로는 중핵교육과정을 실행함에 있어서 학습내용이 미
약하고 학습을 하기 위한 시설과 교육자료가 부족하고 체계적
학습이 어려운 점이다.
2절 교육과정 유형
1.교육과정 유형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이란? 크게 보면, 왜 무엇을 어떻게 얼마만큼 달성되었는가를
다루는 영역으로 된다. 즉, 교육의 목적이나 목표가 설정되는 일과 무엇을 가
르쳐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 그리고 그러한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
야 할 것인가를 규명하고 실천한 후 설정한 교육목표가 얼마만큼 달성되었는
가를 검증하고 반성하는 일로 나누어진다
교과 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 중심
교육과정
2. 파이데이아 교육과정
종류 1군 2군 3군
목표 조직된 지식의 습
득
지적 기능과 학습
기능 개발
•아이디어나 가치
의 이해증진
수단 • 제시된 교수
• 강의 교과서
전수
•코치, 연습과 안
내된 연습
•토론 또는 소크
라틱 질문
•능동적 참여
교과 영역의 기능
과 활동
•언어
•문학
•인문적 교과
•수학과 자연과학
•역사, 지리, 사회
•읽기 쓰기 말하
기 듣기 계산하기
문제 해결
•관찰 측정 예측
비판적 사고 기능
•교과서 이외의
서적
•에술적 활동
•음악 미술 연극
활동에의 참여
3.경험중심 교육과정
 교유과정의 중심을 교과에 두지 않고 학생에 둔다
 교재와 결부된 교수방법보다는 학생의 흥미에 중점을 둔다
 교재를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지 않고 학생의 원만한 성장에 초점을 둔다
 교재를 미리 선택하여 조직하지 않고 학습의 장에서 결정한다.
 단편적인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유용한 의미의 체험에 중점을 둔다
 기능이나 습관을 다른 학습에서 분리하지 않고 종합적 경험의 일부로 가르친다.
 모든 학생에게 일률적인 학습을 시키지 않고 개인의 흥미와 개인차를 고려한다.
 일정한 형에 맞추지 않고 개개인의 창조적인 능력을 육성하고자 노력한다.
 교육을 교수나 수업이라 하지 않고 끊임없는 성장과정이라고 본다.
4. 학습중심 교육과정
 교육자는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개별적인 지식이나 사실보
다는 일반적인 특성 즉 교과 교과의 구조를 가르치는데 전력을
경주해야 한다
 어떤 교과도 지적으로 정직한 형태로 표현된다면 어떤 발달단
계의 어떤 아동에게도 가르칠 수 있다 이런 도전적인 주장은
학습을 위한 준비도 와 관련이 있어 인지발달단계에 대응하는
학습자료의 동작 적재사 표상적 제시 상징적 제시와 같은 교수
방법 활용
 브루너는 학습에 있어서 직관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함
1) 지식구조의 중요성
 기본적인 지식의 이해는 교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데 한다.
 인간의 기억현상과 관련하여 지식의 구조를 학습하는 것은 장
기적으로 파지효과가 있어 망각을 최소화한다.
 기본적인 원리나 아이디어의 이해는 적절한 학습이 전이효과
가 있어 망각을 최소화한다.
2) 학습의 준비도
 어떤 영역의 어떠한 지식의 체계도 적절한
양식으로 조직하여 거의 모든 학생이 이해할
수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구조를
특정한 연령층에 속한 아동들이 사물을 보는
방식으로 제시되면 된 다는 것
 브루너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서 하나의 주어진 교과의 계
속적인 조직 나선형 교육과정을 강조
5.인간중심 교육과정
 교육목적: 교양인보다는 자유인의 육
성에 있다 즉 지적,정적,신체적인 면에
서 균형 있게 발달된 전인을 양성하는
데 있다
1)교육의 목적
매슬로우의 자아실현인의 특징 로저스의 만능 기능인의 특징
 현실에 대한 자각이 효율적이며 보다 편안 관계
를 가진다.
 자아, 타아 그리고 자연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
도를 가진다.
 자발적이며 진취적이다
 과업 지향적이고 책임감이 강하다.
 민주적인 인격을 가져 수단과 목적을 구분할 수
있다
 창의적이고 참신한다.
 유머 감각이 있고 공동체적인 감정을 가진다.
 내외의 자극에 대하여 개방적이다.
 실존적으로 생활하고 실존적 상황에서 가장
만족하는 생활을 한다.
 자기, 주도적, 독립적, 현실적, 탄력적이며
자신감, 성숙미, 고유성 등을 갖고 있다
2)교육의 방법
 교육은 아동은 선하다는 아동관에서 출발
 교육의 목적은 즐겁게 일하고 행복을 추구하든 것이다.
 지적인 측면에서 교육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
 교육은 아동의 정신적 욕구나 능력에 적합하여야 한다.
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훈육과 처벌은 공포감을 조성할 뿐만 아
니라 공포감은 다시 적개심을 자아낸다.
 자유란 무제한적임을 의미한다.
 교사는 성실성을 갖추어야 한다.
 건전한 발달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 나름대로 독립을 요구한
다.
 학교 내 권위적인 분위기를 배격한다.
 종교교육은 살시하지 않는다.
3)인간주의 교육을 위한 교사
의 자질
 자유로운 환경의 조성자로서 학습을 시키기보다는 돕는 자로서 생산적 분위
기를 조성해야 한다.
 역동적인 인간관계의 형성자로서 교사는 학습자와 신뢰관계가 형성되도록 해
야 한다.
 교사는 적극적인 자아영상의 지원자로서 학습자의 자아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장점과 소질을 개발하도록 돕는 역할은 해야함
 성장의 촉진제 역할을 수행해야 함
 진실해야 한다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말고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드러내 놓는
것이 더 낫다
 무조건적인 긍정적 강화를 하여야 한다.
 공감적 이해를 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의 입장에서 문제를 파악하도록 한다.
 이타주의적이어야 한다. 인간적인 교사는 자신의 이익이나 위신을 먼저 구하
기 보다는 봉사적인 입장에서 학생을 대하고 학생에게 도움이 되도록 일한다.
6.구성주의 교육과정의 기본과
정
지식은 개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활동을 통해서 발견되
는 것이다.
학습자는 이미 알고 있는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의미 구성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존재이다.
교육과정은 미리 정해진 내용의 목록이 아니라 특정 학습 결과를
촉진하는 학습활동 및 상호작용의 집합으로 연구와 탐구를 위
한 내용이다.
교수는 학습자에게 어떤 사건이나 현상에 대한 경험을 갖도록 하
고 동시에 학습자가 이를 통해 그 의미를 형성하도록 하는 일
이며 학습은 교사나 동료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경험적 세계를 조직하는 과정이다.
1)구성주의 교육과정 지식관
 자신의 시각을 통해 현실을 개인적으로 구성함으로서 생기는 결과라는 점을 믿는다.
 교사들은 균형을 복구하기 위하여 직접경험,프로젝트에 기초한 학습, 사회적인 상호 작용
을 활용하는 반면에 강의와 설명의 역할이 별로 중요시하지 않는다.
 구성주의 수업은 교사가 조직한 형태로 노출시킴으로서 이해를 획득한다.
2) 구성주의 교육과정의 성격
 구성되어가는 교육과정: 교육과정이 사전에 개인을 초월하여 처방되는 실체라는
관점을 부정 개인이 자신의 삶의 세계를 인하는 것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형성해 가
는 가능성으로 간주하는 관점
 가치연관적인 교육과정:피터스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성이론 화이트의 필수교과 논
리 그리고 홀트의 공통교육과정은 시공간을 초월한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교육
과정이 가능하다
 소재형 교육과정:구성주의에서는 이를 배격하고 학습하기를 기대하는 내용을 직접
제시하는 대신 학습자로 하여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도록 해체 혹은 안내하는 역할
을 하는 내용으로 구성
 통합적 교육과정:문제나 쟁점 사고기능을 중심으로 교과 간 의 학습내용을 통합적으로 재조
직하여 가르치는 방안이 구성주의 인식론의 관 같이 개개인의 주체적이고 통합적 교육 강조
 반성적 . 순환적 교육과정: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의 과정에 따라서 목표가 발견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평가결과 교육과정이 반성적으로 개선되며 결과적으로 목표
와 내용 평가활동이 순환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
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
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
Rajashekhar Shirvalkar
 
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
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
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azazin
 
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
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
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
Angelica Reyes
 
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
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
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
Оксана Гулька
 
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
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
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
Петрівська школа
 
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
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
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
Валерій Кравець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Anna Stogniy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tamaraivanova
 
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
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
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
Crisbece
 
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
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
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nitrogenn
 
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
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
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
gogofelix1
 
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
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
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
taller76
 
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
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
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
Марина Балдовская
 
Dom zavdannya
Dom zavdannyaDom zavdannya
Dom zavdannya
metodist_selid
 
Pattern of curriculum
Pattern of curriculumPattern of curriculum
Pattern of curriculum
International advisers
 
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
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
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
JezaLynGibaga2
 
Polityka rad-uryadu-v-ua-1919
Polityka rad-uryadu-v-ua-1919Polityka rad-uryadu-v-ua-1919
Polityka rad-uryadu-v-ua-1919
nefyodovdv
 
Bondar n
Bondar nBondar n
Bondar n
saliuk03
 
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
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
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
Ольга Рябошапка
 
день здоровя
день здоровядень здоровя
день здоровя
doradyrda
 

What's hot (20)

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
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
Module 3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pptx
 
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
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
школа молодого педагога тренінг
 
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
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
Philippine Education | Planning at Local Level
 
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
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
Портфоліо вчителя біології та хімії
 
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
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
Портфоліо директора школи Білик С.М.
 
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
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
Творчий звіт вчителя – альтернативна форма оцінки професіоналізму та результа...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художньо естетичне виховання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презентація до творчого портрета директора
 
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
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
Planificación Integral de Centros
 
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
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
система освіти чехія реферат
 
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
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
фінансування шкільної освіти
 
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
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
Самоаналіз вчителя з фізичної культури Савчук В. В.
 
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
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
Діагностична таблиця вихователя
 
Dom zavdannya
Dom zavdannyaDom zavdannya
Dom zavdannya
 
Pattern of curriculum
Pattern of curriculumPattern of curriculum
Pattern of curriculum
 
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
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
Chapter-8-Financing-Education-as-an-Administrative-Function.pptx
 
Polityka rad-uryadu-v-ua-1919
Polityka rad-uryadu-v-ua-1919Polityka rad-uryadu-v-ua-1919
Polityka rad-uryadu-v-ua-1919
 
Bondar n
Bondar nBondar n
Bondar n
 
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
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
психологічний моніторинг презентация
 
день здоровя
день здоровядень здоровя
день здоровя
 

Similar to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bskks606
 
교육과정 Ppt
교육과정 Ppt교육과정 Ppt
교육과정 Ppttnekfdl77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Jeeyun Park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조현경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parkhyemi
 
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
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
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Seol94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Heekyung12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Minsoo Jung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yujeee93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Jung Hyojung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현섭 김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gayoung07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eunji-kim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롱이 롱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롱이 롱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alskdmfmxk
 

Similar to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20)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Ppt
교육과정 Ppt교육과정 Ppt
교육과정 Ppt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1146014 박지윤 학습저널_최종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0316 1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학생발표자료
 
Dudwk7
Dudwk7Dudwk7
Dudwk7
 
Dudwk7
Dudwk7Dudwk7
Dudwk7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
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
교육과정의 기초PPT (33~74P)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혁신(P)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 1. 제 3장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학번: 201125023 이름: 이진희
  • 2. 1.교육과정의 실질적 유형  공식적 교육과정과 실제적 교육과정  공식적인 교육과정: 국가 ,지연, 학교수준의 교육교범 지침이나 교육을 담고 있는 것 이는 표면적 교육과정과 가시적 교육과정이 혼용되어 사용되는데 의도된 계획의 실천으로 학 습자들이 경험하는 교육과정  실제적 교육과정:가르친 교육과정, 학습된 교육과정, 평가된 교육과정 등으로 나누고 있 음  우리나라의 경우 시, 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역, 교육청의 장학자료, 학교 교육과정 공 식적 교육과정에 속한다.
  • 3. 2.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에서 의 도, 계획 하지 않았으나 수업이나 학교의 관행으로 아 은연 중에 배우는 가치, 태도, 행 동양식과 같이 교육결과로 경험된 교육과정이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를 단순히 교육의 장이 아니라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 간으로 간주 학생들의 인지 ,태도 행동 변화는 공식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학교 안의 눈에 뛰지않는힘 즉 학교의 물리적 조건, 행정 조직,사회및 심리적 상황 에 의하여 일어난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이들 힘이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미치는 영향력과 결과이다.
  • 4.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 교육방법: 학교에서 의도한 바 없으나 학 습자가 은영 중에 학습, 잠재적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  학습영역:학교의 문화와 학교풍토  학습기간: 장기적,반복적,항구적인 특성  교사의 기능: 교사의 인격적 감화 교사는 학생의 동일시 대상  학습내용: 가치지향적인 것과 동시에 무가 치적 반사회적 내용도 학습  공식적 교육과정  교육방법: 학교에서 의도적,계획적, 가치 지향적 조직 및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학습내 용  학습영역: 지적 영역  학습경험:교과 및 교재  학습기간:비교적 다기적, 일시적 경향  교사의 기능: 교사로부터 지적, 기능 영향  학습내용: 가치지향적 내용 잠재적 교육과정과 공식적인 교육과정이 상호 보완적일 때 가장 이상적 형태 학생에게 있어 잠재적 교육과정과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갈등과 대립이 일어 날 때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
  • 5. 3 영 교육과정  영 교육과정은 학교에서 가르쳐지지는 않았으나. 이후 공식 교육 과정에 반영되어 가르쳐 질만한 가치가 있는 학습 경험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남이 귀를 기울이도록 말을 하는 방법과 남이 말을 하도 록 귀를 기울이는 방법' 과 같은 기술은 가정, 학교 , 사회 생활을 하 는데 필수적 인 기술이이만 공식적으로 교육과정에 빠져 있다는 것을 영 교육과정이라고 한다.  중요성:전인적 성장과 사회적 총제성을 비추어 볼 때 공식적으로 가 르치지 않거나 소홀히 되는 영역은 교육과정 측면에서 영역일 가능이 높다고 함  비판: 평가하기 쉬운 내용 예로부터 가르쳐온 내용만을 가르칠 가 능성이 있다  소수의 이익집단의 압력에 의해 특정한 교과가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는 점이 비판을 받았다.
  • 6. 4. 중핵 교육과정  중핵 교육과정은 중심교재를 중핵으로 하고 나머지 교재들을 주변과정으로 중핵에 통합시키는 교육과정이다. 가장 중요한 것을 중앙에 두고 나머지 것들은 그 주변에 위치하는 형태를 띤다.  장점으로는 자발적 능률적인 참여로 의의 있는 학습경험이 가 능한점과 광범위한 단원학습을 활용하고 협동적 계획을 촉진 함에 의하여 심리적으로 건전하며 학생들의 문제나 관심을 도 울 숫 있는 생활지도의 기능적 계획운영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 단점으로는 중핵교육과정을 실행함에 있어서 학습내용이 미 약하고 학습을 하기 위한 시설과 교육자료가 부족하고 체계적 학습이 어려운 점이다.
  • 7. 2절 교육과정 유형 1.교육과정 유형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이란? 크게 보면, 왜 무엇을 어떻게 얼마만큼 달성되었는가를 다루는 영역으로 된다. 즉, 교육의 목적이나 목표가 설정되는 일과 무엇을 가 르쳐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 그리고 그러한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 야 할 것인가를 규명하고 실천한 후 설정한 교육목표가 얼마만큼 달성되었는 가를 검증하고 반성하는 일로 나누어진다 교과 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 중심 교육과정
  • 8. 2. 파이데이아 교육과정 종류 1군 2군 3군 목표 조직된 지식의 습 득 지적 기능과 학습 기능 개발 •아이디어나 가치 의 이해증진 수단 • 제시된 교수 • 강의 교과서 전수 •코치, 연습과 안 내된 연습 •토론 또는 소크 라틱 질문 •능동적 참여 교과 영역의 기능 과 활동 •언어 •문학 •인문적 교과 •수학과 자연과학 •역사, 지리, 사회 •읽기 쓰기 말하 기 듣기 계산하기 문제 해결 •관찰 측정 예측 비판적 사고 기능 •교과서 이외의 서적 •에술적 활동 •음악 미술 연극 활동에의 참여
  • 9. 3.경험중심 교육과정  교유과정의 중심을 교과에 두지 않고 학생에 둔다  교재와 결부된 교수방법보다는 학생의 흥미에 중점을 둔다  교재를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지 않고 학생의 원만한 성장에 초점을 둔다  교재를 미리 선택하여 조직하지 않고 학습의 장에서 결정한다.  단편적인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유용한 의미의 체험에 중점을 둔다  기능이나 습관을 다른 학습에서 분리하지 않고 종합적 경험의 일부로 가르친다.  모든 학생에게 일률적인 학습을 시키지 않고 개인의 흥미와 개인차를 고려한다.  일정한 형에 맞추지 않고 개개인의 창조적인 능력을 육성하고자 노력한다.  교육을 교수나 수업이라 하지 않고 끊임없는 성장과정이라고 본다.
  • 10. 4. 학습중심 교육과정  교육자는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개별적인 지식이나 사실보 다는 일반적인 특성 즉 교과 교과의 구조를 가르치는데 전력을 경주해야 한다  어떤 교과도 지적으로 정직한 형태로 표현된다면 어떤 발달단 계의 어떤 아동에게도 가르칠 수 있다 이런 도전적인 주장은 학습을 위한 준비도 와 관련이 있어 인지발달단계에 대응하는 학습자료의 동작 적재사 표상적 제시 상징적 제시와 같은 교수 방법 활용  브루너는 학습에 있어서 직관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함
  • 11. 1) 지식구조의 중요성  기본적인 지식의 이해는 교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데 한다.  인간의 기억현상과 관련하여 지식의 구조를 학습하는 것은 장 기적으로 파지효과가 있어 망각을 최소화한다.  기본적인 원리나 아이디어의 이해는 적절한 학습이 전이효과 가 있어 망각을 최소화한다.
  • 12. 2) 학습의 준비도  어떤 영역의 어떠한 지식의 체계도 적절한 양식으로 조직하여 거의 모든 학생이 이해할 수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구조를 특정한 연령층에 속한 아동들이 사물을 보는 방식으로 제시되면 된 다는 것  브루너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서 하나의 주어진 교과의 계 속적인 조직 나선형 교육과정을 강조
  • 13. 5.인간중심 교육과정  교육목적: 교양인보다는 자유인의 육 성에 있다 즉 지적,정적,신체적인 면에 서 균형 있게 발달된 전인을 양성하는 데 있다
  • 14. 1)교육의 목적 매슬로우의 자아실현인의 특징 로저스의 만능 기능인의 특징  현실에 대한 자각이 효율적이며 보다 편안 관계 를 가진다.  자아, 타아 그리고 자연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 도를 가진다.  자발적이며 진취적이다  과업 지향적이고 책임감이 강하다.  민주적인 인격을 가져 수단과 목적을 구분할 수 있다  창의적이고 참신한다.  유머 감각이 있고 공동체적인 감정을 가진다.  내외의 자극에 대하여 개방적이다.  실존적으로 생활하고 실존적 상황에서 가장 만족하는 생활을 한다.  자기, 주도적, 독립적, 현실적, 탄력적이며 자신감, 성숙미, 고유성 등을 갖고 있다
  • 15. 2)교육의 방법  교육은 아동은 선하다는 아동관에서 출발  교육의 목적은 즐겁게 일하고 행복을 추구하든 것이다.  지적인 측면에서 교육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  교육은 아동의 정신적 욕구나 능력에 적합하여야 한다. 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훈육과 처벌은 공포감을 조성할 뿐만 아 니라 공포감은 다시 적개심을 자아낸다.  자유란 무제한적임을 의미한다.  교사는 성실성을 갖추어야 한다.  건전한 발달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 나름대로 독립을 요구한 다.  학교 내 권위적인 분위기를 배격한다.  종교교육은 살시하지 않는다.
  • 16. 3)인간주의 교육을 위한 교사 의 자질  자유로운 환경의 조성자로서 학습을 시키기보다는 돕는 자로서 생산적 분위 기를 조성해야 한다.  역동적인 인간관계의 형성자로서 교사는 학습자와 신뢰관계가 형성되도록 해 야 한다.  교사는 적극적인 자아영상의 지원자로서 학습자의 자아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장점과 소질을 개발하도록 돕는 역할은 해야함  성장의 촉진제 역할을 수행해야 함  진실해야 한다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말고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드러내 놓는 것이 더 낫다  무조건적인 긍정적 강화를 하여야 한다.  공감적 이해를 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의 입장에서 문제를 파악하도록 한다.  이타주의적이어야 한다. 인간적인 교사는 자신의 이익이나 위신을 먼저 구하 기 보다는 봉사적인 입장에서 학생을 대하고 학생에게 도움이 되도록 일한다.
  • 17. 6.구성주의 교육과정의 기본과 정 지식은 개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활동을 통해서 발견되 는 것이다. 학습자는 이미 알고 있는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의미 구성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존재이다. 교육과정은 미리 정해진 내용의 목록이 아니라 특정 학습 결과를 촉진하는 학습활동 및 상호작용의 집합으로 연구와 탐구를 위 한 내용이다. 교수는 학습자에게 어떤 사건이나 현상에 대한 경험을 갖도록 하 고 동시에 학습자가 이를 통해 그 의미를 형성하도록 하는 일 이며 학습은 교사나 동료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경험적 세계를 조직하는 과정이다.
  • 18. 1)구성주의 교육과정 지식관  자신의 시각을 통해 현실을 개인적으로 구성함으로서 생기는 결과라는 점을 믿는다.  교사들은 균형을 복구하기 위하여 직접경험,프로젝트에 기초한 학습, 사회적인 상호 작용 을 활용하는 반면에 강의와 설명의 역할이 별로 중요시하지 않는다.  구성주의 수업은 교사가 조직한 형태로 노출시킴으로서 이해를 획득한다.
  • 19. 2) 구성주의 교육과정의 성격  구성되어가는 교육과정: 교육과정이 사전에 개인을 초월하여 처방되는 실체라는 관점을 부정 개인이 자신의 삶의 세계를 인하는 것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형성해 가 는 가능성으로 간주하는 관점  가치연관적인 교육과정:피터스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성이론 화이트의 필수교과 논 리 그리고 홀트의 공통교육과정은 시공간을 초월한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교육 과정이 가능하다  소재형 교육과정:구성주의에서는 이를 배격하고 학습하기를 기대하는 내용을 직접 제시하는 대신 학습자로 하여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도록 해체 혹은 안내하는 역할 을 하는 내용으로 구성  통합적 교육과정:문제나 쟁점 사고기능을 중심으로 교과 간 의 학습내용을 통합적으로 재조 직하여 가르치는 방안이 구성주의 인식론의 관 같이 개개인의 주체적이고 통합적 교육 강조  반성적 . 순환적 교육과정: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의 과정에 따라서 목표가 발견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평가결과 교육과정이 반성적으로 개선되며 결과적으로 목표 와 내용 평가활동이 순환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