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7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201325013 박혜미
제 1절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 개발
→엄격한 의미에서 본다면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의 체계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운영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담긴 문서를 만드는 활동을 말하나 다른말로는
교육과정 개발이란 교육과정을 문서로 만드는 활동
교육과정 개발이란?
교육과정 운영이란?
2) 교육과정 운영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서 채택하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
3)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의 값을 매기는 활동, 교육과정의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
교육과정 평가란?
2.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형식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과 수업활동
교육
결과
교육
과정
교육
목표
가치
수업
계획안
실현된
학습성과
목표
설정
교육과정
개발
수업
계획과정
수업 발전
어떻게
실행
왜
정당성
평가계획과정
평가계획안
그림에서 제시된 각각의 과정은 직선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역동적인 방식으로
전개된다고 보아야 한다.
*교육과정 및 수업모형
제 2절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교육과정 개발은 바람직한 교육목표의 성취를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동원되는 여러 관련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매개가 되는 교육환경을 구조화하는 일이다.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우선으로 생각해야 할것
개발의 ‘실체’와 개발의 ‘기술’
전자는 ‘무엇’ 후자는 ‘어떻게’를 의미한다.
교육과정에 대한 구상은 기본적으로 교육을 바라는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개발모형의 다양함은 교육에 대한 시각의 차이만큼이나
다양하게 되고 교육과정 개발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교육과정의 개발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제 2절 교육과정 개발
2.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설계의 차이점
→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과정 설계를 포괄해 좀 더 광범위하다.
즉, 교육과정 개발은 설계와 아울러 그 이론적 배경 그리고 계획· 시행
·평가 ·개발하는 수단과 방법까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적합한 원칙과 원리에 의해
배열하는 방식으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쓰는
적절한 내용을 선정·조직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작업이다.
→교육과정 설계는 목적, 내용 또는 경험, 조직 및 평가를 다루는
기술만을 강조한다.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과정 구성 요소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들을
적합한 원칙과 원리에 의하여 조직하는 활동을 가르킨다.
→교육과정 개발은 설계를 포함하여 교육과정 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인적·물적 자원을 선발· 배치·활용하고 절차를 마련하여
전개해 나가는 활동을 말한다.
제 2절 교육과정 개발
3. 교육과정 개발활동
교육과정
채택
교육과정
실행
교육과정
정착
교육과정
문서 및
자료의
생산
교육과정
계획,
설계
교육과정
개발준비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위상
변화와
혁신에
대한
새로운
압력
변화와 혁신에
대한 압력(교육
과정 참여 집단
선정 조직)
주요이론 확산활동 평가활동
상황 요인들 보급활동
교육과정 개발활동
*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본사항
1 .교육과정 개발은 사회적 맥락과 지배적인 이론 및 모형에 기초한다.
2. 교육에 대한 변화와 혁신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준비,계획,설계한다.
3. 만들어진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에서 채택되어 시행된 후 일정기간 유지된다.
4. 또 다른 교육과정 변화와 혁신의 압력에 직면하게 도히면, 지금의 절차를 반복한다.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1. 교육과정 개발 분야
교육과정 개발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집단들의 복합저깅고 역동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이뤄진다.
→ 교육목적이나 교과의 선정과 조직 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세력 간의
갈등과 타협 등의 정치적 협상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교육과정 개발 분야에서는 다음 질문에 관심을 갖는다.
1.교육과정 개발이 이뤄지는 곳이 어디며, 시대가 바뀌며 개발 수준의 강조점도 변화가 있는가?
2.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거나 관련 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은 누구인가?
3.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4.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해 이뤄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2.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변화
* 교육과정 개발이 이뤄지는 곳이 어디며, 시대가 바뀌며 개발 수준의 강조점도 변화가 있는가?
→국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평가하고 지역이나 학교에서 교육과정 운영 역할을
담당하는 중앙집권적인 교육과정체제와, 교육과정의 개발·운영·평가의
모든 활동이 지역이나 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지방분권적인 교육과정체제에 따라,
국가·지역·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이 갖는 기능과 역할에 차이가 있게 된다.
→교육과정 개발에서 우선 생각해야 할 점: 개발의 대상과 수준을 확정하는 일
1. 개발의 대상은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2. 교육과정 개발은 여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수준에서 개발되는
교육과정의 기능은 그 나라의 교육체제가 어떠한가에 따라 달라진다.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3.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집단 및 절차
*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거나 관련 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은 누구인가?
1) 의사결정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것은 누가 참여하고, 누가 교육과정을 주도하며,
교육과정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시행하고, 교육과정의 결과를 책임져야 하는 지에
관한 문제이다.
→ 때문에 미래의 지도자가 될 학생들이 경험하게 될 교육의 질에 관심이 있는,
미래에 관심이 있는 모든사람들이 교육과정에 참여해야 하고, 교육과정의 영향을
받는 모든 단체들도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결정하는데 포함되어야 한다.
2) 참여집단
•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집단은 교육전문가, 교과전문가, 교장, 교사, 학문 영역대표자,
교육관료 집단, 학교행정가, 학부모 및 시민, 학생 등으로 구성된다.
• 교육과정 개발의 시발집단으로 정치가와 언론매체를 들 수 있다.
• 실제적인 교육과정 영향을 미치는 관련집단으로 교과서출판사와 저자를 들 수 있다.
2) 참여집단
(1) 교과전문가
• 교과전문가들은 대학과 학교, 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각 교과교육 연구회와 연구기관을 통해서 활동한다.
• 개별 교과의 성격과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 방식,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타당한
평가 방식과 도구 개발에 권위 있는 견해를 제시한다.
•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그들은 무엇이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관해 중요한 조언과
그 결정을 실천으로 옮기는 방법을 제시한다.
(2) 교육전문가
• 교육과정 전문가는 교육과정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거나 연구결과를 현장 개선을 위해 활용한다.
•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개발·운영·평가의 활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하며,
대개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위촉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
• 교육과정 활동에 참여할 인사를 선정하고 조직하여 그들에게 과업을 분담시키고,
직접 교육과정 설계를 담당하여 프로그램을 개념화하고 설계하며 이행하는데
책임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관한 높은 수준의 이해와 사람을 관리하는 능력
이 필요하다.
• 교육전문가는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고 인간관계에도
민감해야하며, 인내심이 있어야하고, 의사결정과 지도성에 있어서도 역량을
필요로 한다.
(3) 교장
• 학교의 최고 관리자이며 학교상황 속에서 교육과정 리더로써 학교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을 감독하고 통제하는 책임을 진다.
• 교육과정의 재구성 운영 평가 활동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장은 교육과정
개발의 주도자가 될 수 있으며 그들의 지원 없이는 개발이 이뤄질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 학교중심운영으로 재구조화되면서 그들은 통제에 의한 관리보다는 목적설정에
자신의 에너지를 쏟아 부으면서 권한 위임을 통한 관리를 더 선호한다.
• 학교 내부 인사인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장은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개인적 불만 사항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며,
개발에 필요한 제반적인, 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교육과정과 교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업무와 행적업무와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교장의 통제와 장학의 영역
-교육과정과 수업
-학생의 학문적 성취
-학생의 비학문적 발달
-교직원의 전문적, 개인적 수행
-행정과 학교 조직
-학교 시설
-외부와의 관계: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과 정기적 의사소통 유지와 구, 혹은 주
교육부와 정기적인 의사소통
• 학교장은 열거된 모든 영역에서 능력 있는 지도자가 되어야 하지만, 어떤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더 강조하는 지도력 유형을 채택하는데 응답자, 관리자, 주도자
세 가지 유형이 있다.
1. 응답자형 교장: 교직원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
책임을 위임하고 아이디어 제시보단, 스스로를 억제하고
요구하지 않는 경향성을 갖는다.
2. 관리자형 교장: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기보다 과업성취에 몰두한다.
질서있게 잘 조직화된 접근방법과 모든 일상과업을 정해진
절차를 갖고자 한다.
학교를 개선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조종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교사가 자신을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원한다.
3. 주도자형 교장: 학교를 위해 분명하고 단호한 장기 정책과 목적을 갖고,
교직원과의 관계에서 매우 확고하고 자신 있게 행동한다.
이러한 특징은 의사결정을 할 때 학생들에게 무엇이 최선인가에
초점을 맞춰 결정하며, 학습결과를 더 높은 수준으로 올릴 수
있는 더 낳은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활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교장은 어떤 일이든 그것이 그들 학교에 최선의 이익을
가져오게 한다면 일을 주도하고 가능하게 할 준비가 되어있다.
(3) 교사
•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이 다양해 국가와 지역 수준에서는 총론이나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참여한다.
또는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연구·집필·실험·수정하며, 교육청의 장학지침
및 자료 제작에 참여하기도 하며, 교과용 도서를 검정하는 일에 참여하기도 한다.
• 교사들은 외부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연구 개발하고 자신의 교육과정을
창출하는 데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느냐에 따라 만들어진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입장과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입장으로 구분된다.
• 교사들은 교원단체를 통해서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① 교사의 의사결정
• 교사는 교육과정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중심적 위치에 있으며,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실체를 나타내고 교사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해주기
때문에 중요한 영역이다.
• 교사는 교육과정을 실행할 사람이고, 그들의 역할은 계획된 교육과정과 학생이
실지로 경험할 교육과정 간의 간극을 줄이는 것이다.
• 교사는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다섯 가지 틀에 의해 의사결정의 폭이
결정된다.
• 체제 틀: 이 틀은 정책 진술에 의해 이미 만들어진 여러 결정사항 들을 포함한다.
교육과정 문서 혹은 체제의 지시 사항을 말한다.
• 학교/기관 틀: 시간표, 자원, 교실 조직과 평가에서의 제한들이 체제의 요구에
맞게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제한은 초등학교보다 중학교가 더 엄격하다.
• 교직원 틀: 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교사의 학급 배치
-한 해에 가르칠 내용 조정
-학생의 평가
-자원
-교장의 정책
• 학습자의 틀: 교사가 특정 활동에 관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학습자이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를 포함하는데 기대는 특정 수업 경험의
산물일 수도, 다른 교사로 부터 얻은 정보의 산물일수도, 학생 능력,
흥미,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 대한 기대를 포함할 수 있다.
• 교사 자신의 틀: 모든 교사는 주로 그들의 교실 경험을 통해 형성된 전문적
자아개념을 갖는다.
만약 교사 자신의 교실 경험이 효과적이고 그의 노력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했다는 것을 느낀다면, 자아개념은 높아질 것이다.
제한된 활동 번위에서지만 교사의 참여는 학교의 공동체 정신을
높이고 교육과정의 질과 실천성을 높이는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다.
②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정도
•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수준에 따라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자율성의
정도가 결정되는데 수준은 정책수준, 프로그램수주나, 수업수준으로 구별된다.
→ 거시적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은 일반적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중간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은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되며, 미시적 수준은
수업계획과 관련되어 있다.
→ 미시적 수준은 거시적 수준의 문서와 중간수준의 문서가 실현되는 수준으로
교실에서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사건들과 거시적 수준, 중간수준의 지침의 영향을
받는다.
• 대부분의 교사들은 미시적 수준의 교육과정 계획에 참여해 지침을 참고하여
그들의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자신만의 특별한 교육과정이나 수업을 만든다.
• 교사들은 교과서, 교사지도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을 기초하여 계획을 세운다.
•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두며,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목표보다는 내용과 활동을 결정하는데 주력한다.
③ 교사의 책임 정도
* 교육과정 결정에 대한 교사의 책임 정도에 따라 지위를 세 가지로 분류한다.
• 제 1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교과서와 학교정책들을 단순히 따를 뿐이다.
• 제 2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학습활동, 특정 과목에 보낼 시간의 양, 학생 평가방법
등을 결정한다.
• 제 3지위에 있는 교사는 교과서를 초월하여 가르칠 개념을 선택하고 학습 활동을
설계하며 단계들 사이를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④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 한계
• 수업계획서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것은 문제가 없으나 이보다 더 상위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을 교사들에게 모두 맡기기는 부적절하다.
→ 특히 중등교사의 경우 개별교과를 가르침으로써 개별교과의 시야에 매몰되어 전체
교육과정을 못 본다는 점, 전반적인 철학보다 구체적인 실천에 주목한다는 점,
교육실천에 많은 관심과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에
주목한다는 점,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⑤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과 운영수준
관심의 단계 관심의 표현
결과
6. 개선 단계 새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더욱 좋은 결과를 가져올 방법에 대해 관심이 있다.
5. 협동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다른 교사들과 협동하고 조정하는데 관심이 있다.
4. 결과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심이 있다.
학생에 대한 적절성,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평가, 학생들의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등에
관심이있다.
업무 3. 운영 단계 새 교육과정의 운영과 관리에 관심이 있으며, 정보와 자원의 활용에 관심이 높다.
효율성, 조직화, 관리 방안, 시간 계획,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재를 준비하는데 관심이 높다.
교사 자신
2. 개인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자신과 자기 주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어한다.
자신의 역할, 필요한 의사 결정, 기존 조직에 야기할 갈등, 재정적 요소 등을 알고 싶어한다.
1. 정보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대채적인 것을 알고 있고 좀 더 알고 싶어한다.
새 교육과정의 특징, 효과, 실천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사항 등을 알고 싶어한다.
0. 지각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거나 관여하지 않는다.
(5) 학문영역 대표 집단
• 자기가 연구하고 있는 전공분야의 권위자들
• 전공 학문의 기본적 성격을 알고 있으므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교과의 구성에 대하여 믿을 만한 견해를 제시한다.
(6) 교육관료 집단
• 교육인적자운부나 교육청 소속의 교육과정 관련 및 장학업무 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장학 및 연구진으로 볼 수 있다.
• 국가와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을 마련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제하며,
그 산물을 평가하는 활동에 참여한다.
• 이들 기관의 장학 담장자는 교육과정 활동에 참여할 인사를 선발하고 조직하여,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맡는다.
(7) 일반 시민
• 가치와 믿음의 전달은 가정과 지역사회가 해야 할 역할이므로 학부모와 다른 시민
들은 교육과정 계획에 참여해야 한다.
• 학부모를 포함한 일반 시민은 지역사회의 여론을 전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학부모 대표의 참여를 네 단계로 제시했다.
1. 목표 설정 단계에서 지역사회 대표나 부모는 여러 가지 조언을 하며,
2. 설계 단계에서는 교외 활동을 위한 협동 작업을 할 수 있고,
3. 운영 단계에서는 자원 인사로 학교에 도움을 준다.
4. 마지막 평가 단계에서는 교재와 수업자료에 대한 검토에 도움을 주고, 좋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한다.
(8) 학부모
• 학부모의 참여는 교사와 교육과정 계획자가 삶의 실제에 민감해지도록 도움을 줌.
• 교육내용의 구성에 있어서 주로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담장하지만, 학교 프로그램
운영에 저항 세력으로서 압력집단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 학부모가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관계 형성에 기여하고 교육과정을 심화시키는데
귀중한 자원이며, 교육과정에 관한 인지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교육과정 변화에
더 지원적이기 때문에 학부모의 참여가 정당화 한다.
① 학부모 참여의 이점
1.학교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학부모의 재능, 관심이 교사의 그것과 더불어
활용된다면 학교환경은 매우 풍요로워 질것이다.
2.학생이 가정에서 학부모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원되고 강화된다면, 학생의 학습수준
이 향상될 것이다.
3.학부모가 학교생활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면, 학교의 복잡성을 잘 이해하고
올바르게 평가할 것이다.
4.학부모는 아동에 대해 법적인 그리고 장기적인 책임을 진다.
5.학부모의 참여는 교사, 학부모, 학생 간의 공동 목적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6.교육게 관련된 이익집단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든 학생의 이익이 고려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커지게 된다.
7.공유된 의사결정은 학부모가 학교에 대하여 법적인 행동을 취하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8.학교가 강력한 정체감을 발달시킬 더 많은 기회가 된다.
② 학부모 참여의 단점
1.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교사의 전문적인 책임영역에 간섭할 수 있다.
2.소수의 압력집단이 의사결정에 편파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참여 민주주의의 높은 수입과 교육받는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때,
경제력이 있는 소수의 학부모 대표만이 참여하게 될때 불평등이 커질 수 있다.
4.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의사결정에 더 많이 참여함으로써 학교의 표준을
하락시킬 수 있다.
5.대부분의 지역사회 단체가 매우 보수적이기 때문에 학교는 혁신되기 어려울 수
있다.
6.어떤 학부모는 의사결정에서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역할을 수행할 시간이 없다.
7.학교 교직원은 종종 학부모 참여활동을 꺼리고 반대한다.
8.자료가 다양한 의사결정자들에게 회람되어야 할 때 대외비의 문제로 인하여
복잡해 진다.
9.학부모와 교사 간의 보다 개방적인 의사결정이 때로는 교사들을 끊임 없이
‘호출에 즉시 응할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10.교사가 어떤 학생에 대한 결정을 할 경우, 교사가 이 학생애 대해 부가적 정보를
가질 때 이 학생의 학부모와 잦은 접촉이 있을때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다.
•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은 미디어에 취급되는 교육문제에
제한되는 경향이 있으며, 교육자의 전문적 언어를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
지적되고 있다.
• 학부모와 교사의 시각차이도 존재한다.
(9) 학생
• 교육과정의 수혜자이자 피해자이기도 하는 교육과정의 최종소비자이다.
• 교육과정 개발은 학습자에 관한 여러 사실적 정보들을 바탕으로 하고, 그들의
학습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학생의 참여 범위와 정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 ‘성숙’
• 학생은 현 교육과정의 이점과 결점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최선의 입장에
있다.
• 정보제공자로서 학생은 교육과정이 학습자 자신의 흥미, 요구, 가치, 사고와 행동을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 등도 제시한다.
① 학생참여를 찬성하는 이유
1.학생은 교육과정을 단지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이 배우는 것의 선택에 참여
2.학생은 교육과정에 관여해야 하고 교육과정의 적극적인 창안자이며 반응자이여야
한다.
3.학생은 교육상황에서 고객으로 지각되어야 한다.
4.학생은 학교교육의 생생한 질을 경험한다.
5.과외활동에 참여: 교육과정 계획 활동에 효과적인 참여자로서의 잠재력을 갖는다.
② 학생참여를 반대하는 이유
1.의사결정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2.안정된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 간의 조화로운 상호 작용
을 요구한다.
3.공적 시험과 같은 외부의 구속요인은 교사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설정된 학문적 강의
계획안을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다.
(10) 외부촉진자
• 외부촉진자에게 중요한 것은 그들이 도움을 줄 사람들이 그들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다.
• 애매함에 관대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잘 적응하고, 다른 사람들을
도와줌으로써 내적 만족을 얻으며, 솔직하며, 동기와 추진력을 가지는 것이다.
• 외부자원인사와 기관이 줄 수 있는 도움의 이점으로는 충고, 직접적 도움, 정보획득
, 지원과 격려, 자극제공, 지역이나 국가의 규정을 이해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개발 중에 있는 교육과정을 너무 크고 복잡하게 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지역적 특징을 희석시킬 수 있다.
(11) 언론매체
• 언론매체는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
• 사실 보도를 원칙으로 하지만 여러 방대한 사실들 중에서 선택과 배제의 논리에
의하여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이 늘어난다.
(12) 교과서 출판사
• 수업 운영에서 교과서가 갖는 중심적 위치로 인하여 실제적인 교과과정 형성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① 학교위원회
학교위원회는 교육과정 결정자이면서 동시에 다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으로 영향력이 매우크다.
② 뉴스미디어
뉴스를 비롯한 정보 매체들 효과가 성공했다면 효과성을 홍보하여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해 보도록 영향력을 행사한다.
③ 교재 출판사와 검사도구 제작기관
교재 출판사들은 학교나 지역이 자신의 교과서나 교재를 사용하도록 해야 하므로
국가나 그 지역의 교육정책에 옹호되는 입장이나 주제들이 무엇인지 알아서,
그것에 맞는 교재를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인다.
검사도구 제작기관도 역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공허한다.
④ 고용주
3) 참여집단의 참여방식
•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기관은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난다.
• 시·도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는 교육청의 교육과정 담당 부서 및 요원과
교육과정위언회 등이 참여한다.
• 교육과정 개발의 질적 수준은 기관들 중에서 책임 있는 부서가 관련 부서를
통괄하면서 개발 과정에서 행정계의 일관성·연속성·체계성·책무성 등을
확보하고 부서 요원들의 의지·지식·경험·노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에 따라
달라진다.
①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육과정 위원회를 구성한다.
② 시·도교육청에서는 미국의 교육구와 같이 교육과정 수업담당 부교육감을 두어
교육과정위원회 운영과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의 총 책임을 맡도록 한다.
③ 학교에서는 교장의 책임 아래 학교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4. 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 그들은 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 교육과정을 개발 할 때에도 개발자는 지식에 대한 관점을 결정하고 사회본질을
해석한 후 적절한 심리학적 원리에 입각하여 교육과정을 선택해야 한다.
* 교육과정 기초 자원을 세가 지로 분류한다
1.학습자 및 학습이론(심리학)
2.생활(사회학 및 문화)
3.지식의 성질과 가치(철학)
• 세 가지 교육과정 기초 자원이 교육과정 개발자가 교육과정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런 자원이 개발자의 교육과정에 관한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치개되어 교육과정을 개념화하게 된다.
• 기초 자원이 교육과정 개발자의 지식배경이 되어 장차 개발자가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영향을 끼치게 된다.
• 교육과정 개발자의 과거 경험은 개발자가 어떻게 교육과정 과제를 특정 방향으로
개념화하는 경향이 있는가를 알게 해준다.
*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지어 몇 가지 요점을 깊이 생각해봐야한다.
1.교육과정 개발자는 지식의 성질은 물론 무엇이 가치 있는가에 관한 견해를
가져야 한다.(철학)
2.이러한 견해들은 개발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사회, 문화 및 미래사회의 요구라는
맥락 속에서 설정되어진다.(사회학 및 문화)
3.앞서 관련된 견해나 자료를 수정하기 위해 심리학(학생의 성격과 학습방법을
다루는)이 활용된다.(심리학)
1.철학적 준거
• 목적
• 가치
• 지식의 구조
2. 사회적 고려
• 사회적 변화
• 기술공학적 변화
• 이념적 변화
3. 문화로부터 선정
5. 조직된 교육과정
4. 심리적 이론
• 발달
• 학습
• 수업
• 동기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4.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절차
*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개발과정에 개재하는 요인이 많고 다양하며 요인 간의 관계도
복합하다.
1.브레디는 크게 객관주의 모형과 상호 작용 모형, 과정 모형으로 제시되고 있다.
2.밀러와 셀러는 교육과정 입장을 전달 입장, 상호작용 입장, 변형입장으로 나누어
각 입장에 딸느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3.마쉬와 윌러스는 목표 모형, 숙의 모형, 예술적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4.Print는 합리적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 모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5.Hlebowish는 교육과정이 포함하고 있는 영역에 따라 거시적 교육과정과
미시적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
6.Ornstein & Hunkins 교육과정 개발 접근을 기술적-과학적 접근과
비기술적 – 과학적 접근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7.Posner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절차적 모형, 서술적 모형, 개념적 모형, 비판적
모형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Posner의 교육과정 계획에의 다양한 접근은 여러 질문들과 관련 있다.
-기술적 산출 시각
a. 절차적 질문 b. 기술적 질문 C. 개념적 질문
기술적 산출 시각의 대표적인 학자들
·타일러(Tuler), 티바(Taba), 슈왑(Schwab), 워커(Walker), 헌킨스(Hunkins),
존슨과 굳래드(Johnson & Goodlad),밀러와 샐러(Miller & Seller),
세일러와 알렉산더(Sayler & Alexander)
-비판적 시각
a. 이념적 질문 b. 문제-제기 방법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연속성
합리적/목표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상호 작용적 모형
Tyler, Taba Wheeler, Nicholls Walker, Skibeck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연속성은 표에서 보이는 것처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두 가지 양극으로 묘사된다.
1. 합리적 모형 또는 목표모형: 계열적이며,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관한 엄격한
접근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역동적 모형 또는 상호 작용적 모형: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신축성 있고
상호 작용적이며 수정 가능한 과정으로 파악.
3. 합리적 모형과 순환적 모형을 구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적용에 있어서는
점차 구별하기가 어렵다.
처방적
합리적/ 목표 역동적/ 상호작용
기술적
* 교육과정 개발 모형
Tyler
Taba
Print
Wheeler
Nicholls
Posner
Stenhouse
Skilbeck
McDonald & Purpel
Walker
•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여러 교육과정 개발 모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자신에 맞는 모형을 만들기 위하여 기존 모형들을 활용하기도 한다.
• 교육과정 학자들이 만들어 온 여러 교육과정 개발 모형들은 각기 다른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 잣대만으로 좋은 모형과 나쁜 모형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하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
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
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Rose Sunrise
 
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
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
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State Of Innovation
 
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
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
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school_hiiche
 
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
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
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Iliana Ilieva-Dabova
 
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
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
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Anelly Kremenska
 
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
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
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Rose Sunris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Ana Paula Silva
 
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
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
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Alla Kolosai
 
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
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
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Людмила Добряк
 
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
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
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ЗШ №10 м.Світловодська
 
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
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
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Veska Petrova
 
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
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
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Vanya0508
 
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
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
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ZEST Outsourcing
 
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
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
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InnaMeow
 

What's hot (19)

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
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
Ученическо портфолио с ГлогстерЕДУ
 
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
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
Global Standards Publishing: Market Watch
 
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
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
Активізація пізнав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школярів шляхом впровадження інформаційно...
 
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
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
Интерактивните методи и неделното училище
 
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
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
Шаблон за портфолио на учител
 
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
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
Годишен отчет на МО Хуманитарни науки 2017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PPP - Projeto Político Pedagógico - EEB Alexandre
 
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
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
Ведення щоденника учня
 
самопідготовка
самопідготовкасамопідготовка
самопідготовка
 
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
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
З досвіду роботи вчителя фізики Добряк Людмили Василівни
 
Сашка Петрова портфолио
Сашка Петрова портфолиоСашка Петрова портфолио
Сашка Петрова портфолио
 
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
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
Формування ключових компетентностей учнів початкових класів
 
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
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
25. Движението за национално освобождение - 4 клас, ЧО, Булвест
 
планини
планинипланини
планини
 
Dijalnisnyj
DijalnisnyjDijalnisnyj
Dijalnisnyj
 
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
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
вимоги до уроку іноземної мови
 
Conselho de classe eficaz
Conselho de classe eficazConselho de classe eficaz
Conselho de classe eficaz
 
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
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
Особова справа працівника. Формування особових справ, Марія Донець
 
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
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
Cтруктура дистанційного курсу
 

Similar to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alskdmfmxk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tngml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201325025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21ERICK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khseon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201325004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201325004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Nara Lee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Nara Lee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Nara Lee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Ju Chan Kim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Ju Chan Kim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인정 김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tjgus0610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슬 이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Jin Hee Lee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Jung Hyojung
 
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인이 다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Seong Uk Kim
 

Similar to 교육과정 260-292 ppt (20)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제 13장
제 13장제 13장
제 13장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교육과정 유형과 변천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교육과정 260-292 ppt

  • 1.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201325013 박혜미
  • 2. 제 1절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 개발 →엄격한 의미에서 본다면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의 체계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운영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담긴 문서를 만드는 활동을 말하나 다른말로는 교육과정 개발이란 교육과정을 문서로 만드는 활동 교육과정 개발이란? 교육과정 운영이란? 2) 교육과정 운영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서 채택하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 3)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의 값을 매기는 활동, 교육과정의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 교육과정 평가란?
  • 3. 2.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형식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과 수업활동 교육 결과 교육 과정 교육 목표 가치 수업 계획안 실현된 학습성과 목표 설정 교육과정 개발 수업 계획과정 수업 발전 어떻게 실행 왜 정당성 평가계획과정 평가계획안 그림에서 제시된 각각의 과정은 직선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역동적인 방식으로 전개된다고 보아야 한다. *교육과정 및 수업모형
  • 4. 제 2절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교육과정 개발은 바람직한 교육목표의 성취를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동원되는 여러 관련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매개가 되는 교육환경을 구조화하는 일이다.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우선으로 생각해야 할것 개발의 ‘실체’와 개발의 ‘기술’ 전자는 ‘무엇’ 후자는 ‘어떻게’를 의미한다. 교육과정에 대한 구상은 기본적으로 교육을 바라는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개발모형의 다양함은 교육에 대한 시각의 차이만큼이나 다양하게 되고 교육과정 개발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교육과정의 개발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 5. 제 2절 교육과정 개발 2.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설계의 차이점 →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과정 설계를 포괄해 좀 더 광범위하다. 즉, 교육과정 개발은 설계와 아울러 그 이론적 배경 그리고 계획· 시행 ·평가 ·개발하는 수단과 방법까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적합한 원칙과 원리에 의해 배열하는 방식으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쓰는 적절한 내용을 선정·조직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작업이다. →교육과정 설계는 목적, 내용 또는 경험, 조직 및 평가를 다루는 기술만을 강조한다.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과정 구성 요소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들을 적합한 원칙과 원리에 의하여 조직하는 활동을 가르킨다. →교육과정 개발은 설계를 포함하여 교육과정 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인적·물적 자원을 선발· 배치·활용하고 절차를 마련하여 전개해 나가는 활동을 말한다.
  • 6. 제 2절 교육과정 개발 3. 교육과정 개발활동 교육과정 채택 교육과정 실행 교육과정 정착 교육과정 문서 및 자료의 생산 교육과정 계획, 설계 교육과정 개발준비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위상 변화와 혁신에 대한 새로운 압력 변화와 혁신에 대한 압력(교육 과정 참여 집단 선정 조직) 주요이론 확산활동 평가활동 상황 요인들 보급활동 교육과정 개발활동 *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본사항 1 .교육과정 개발은 사회적 맥락과 지배적인 이론 및 모형에 기초한다. 2. 교육에 대한 변화와 혁신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준비,계획,설계한다. 3. 만들어진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에서 채택되어 시행된 후 일정기간 유지된다. 4. 또 다른 교육과정 변화와 혁신의 압력에 직면하게 도히면, 지금의 절차를 반복한다.
  • 7.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1. 교육과정 개발 분야 교육과정 개발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집단들의 복합저깅고 역동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이뤄진다. → 교육목적이나 교과의 선정과 조직 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세력 간의 갈등과 타협 등의 정치적 협상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교육과정 개발 분야에서는 다음 질문에 관심을 갖는다. 1.교육과정 개발이 이뤄지는 곳이 어디며, 시대가 바뀌며 개발 수준의 강조점도 변화가 있는가? 2.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거나 관련 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은 누구인가? 3.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4.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해 이뤄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 8.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2.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변화 * 교육과정 개발이 이뤄지는 곳이 어디며, 시대가 바뀌며 개발 수준의 강조점도 변화가 있는가? →국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평가하고 지역이나 학교에서 교육과정 운영 역할을 담당하는 중앙집권적인 교육과정체제와, 교육과정의 개발·운영·평가의 모든 활동이 지역이나 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지방분권적인 교육과정체제에 따라, 국가·지역·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이 갖는 기능과 역할에 차이가 있게 된다. →교육과정 개발에서 우선 생각해야 할 점: 개발의 대상과 수준을 확정하는 일 1. 개발의 대상은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2. 교육과정 개발은 여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수준에서 개발되는 교육과정의 기능은 그 나라의 교육체제가 어떠한가에 따라 달라진다.
  • 9.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3.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집단 및 절차 *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거나 관련 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은 누구인가? 1) 의사결정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것은 누가 참여하고, 누가 교육과정을 주도하며, 교육과정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시행하고, 교육과정의 결과를 책임져야 하는 지에 관한 문제이다. → 때문에 미래의 지도자가 될 학생들이 경험하게 될 교육의 질에 관심이 있는, 미래에 관심이 있는 모든사람들이 교육과정에 참여해야 하고, 교육과정의 영향을 받는 모든 단체들도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결정하는데 포함되어야 한다. 2) 참여집단 •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집단은 교육전문가, 교과전문가, 교장, 교사, 학문 영역대표자, 교육관료 집단, 학교행정가, 학부모 및 시민, 학생 등으로 구성된다. • 교육과정 개발의 시발집단으로 정치가와 언론매체를 들 수 있다. • 실제적인 교육과정 영향을 미치는 관련집단으로 교과서출판사와 저자를 들 수 있다.
  • 10. 2) 참여집단 (1) 교과전문가 • 교과전문가들은 대학과 학교, 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각 교과교육 연구회와 연구기관을 통해서 활동한다. • 개별 교과의 성격과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 방식,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타당한 평가 방식과 도구 개발에 권위 있는 견해를 제시한다. •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그들은 무엇이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관해 중요한 조언과 그 결정을 실천으로 옮기는 방법을 제시한다. (2) 교육전문가 • 교육과정 전문가는 교육과정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거나 연구결과를 현장 개선을 위해 활용한다. •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개발·운영·평가의 활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하며, 대개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위촉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 • 교육과정 활동에 참여할 인사를 선정하고 조직하여 그들에게 과업을 분담시키고, 직접 교육과정 설계를 담당하여 프로그램을 개념화하고 설계하며 이행하는데 책임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관한 높은 수준의 이해와 사람을 관리하는 능력 이 필요하다. • 교육전문가는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고 인간관계에도 민감해야하며, 인내심이 있어야하고, 의사결정과 지도성에 있어서도 역량을 필요로 한다.
  • 11. (3) 교장 • 학교의 최고 관리자이며 학교상황 속에서 교육과정 리더로써 학교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을 감독하고 통제하는 책임을 진다. • 교육과정의 재구성 운영 평가 활동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장은 교육과정 개발의 주도자가 될 수 있으며 그들의 지원 없이는 개발이 이뤄질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 학교중심운영으로 재구조화되면서 그들은 통제에 의한 관리보다는 목적설정에 자신의 에너지를 쏟아 부으면서 권한 위임을 통한 관리를 더 선호한다. • 학교 내부 인사인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장은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개인적 불만 사항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며, 개발에 필요한 제반적인, 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교육과정과 교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업무와 행적업무와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교장의 통제와 장학의 영역 -교육과정과 수업 -학생의 학문적 성취 -학생의 비학문적 발달 -교직원의 전문적, 개인적 수행 -행정과 학교 조직 -학교 시설 -외부와의 관계: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과 정기적 의사소통 유지와 구, 혹은 주 교육부와 정기적인 의사소통
  • 12. • 학교장은 열거된 모든 영역에서 능력 있는 지도자가 되어야 하지만, 어떤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더 강조하는 지도력 유형을 채택하는데 응답자, 관리자, 주도자 세 가지 유형이 있다. 1. 응답자형 교장: 교직원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 책임을 위임하고 아이디어 제시보단, 스스로를 억제하고 요구하지 않는 경향성을 갖는다. 2. 관리자형 교장: 개인적 관계를 강조하기보다 과업성취에 몰두한다. 질서있게 잘 조직화된 접근방법과 모든 일상과업을 정해진 절차를 갖고자 한다. 학교를 개선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조종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교사가 자신을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원한다. 3. 주도자형 교장: 학교를 위해 분명하고 단호한 장기 정책과 목적을 갖고, 교직원과의 관계에서 매우 확고하고 자신 있게 행동한다. 이러한 특징은 의사결정을 할 때 학생들에게 무엇이 최선인가에 초점을 맞춰 결정하며, 학습결과를 더 높은 수준으로 올릴 수 있는 더 낳은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활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교장은 어떤 일이든 그것이 그들 학교에 최선의 이익을 가져오게 한다면 일을 주도하고 가능하게 할 준비가 되어있다.
  • 13. (3) 교사 •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이 다양해 국가와 지역 수준에서는 총론이나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참여한다. 또는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연구·집필·실험·수정하며, 교육청의 장학지침 및 자료 제작에 참여하기도 하며, 교과용 도서를 검정하는 일에 참여하기도 한다. • 교사들은 외부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연구 개발하고 자신의 교육과정을 창출하는 데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느냐에 따라 만들어진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입장과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입장으로 구분된다. • 교사들은 교원단체를 통해서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① 교사의 의사결정 • 교사는 교육과정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중심적 위치에 있으며,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실체를 나타내고 교사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해주기 때문에 중요한 영역이다. • 교사는 교육과정을 실행할 사람이고, 그들의 역할은 계획된 교육과정과 학생이 실지로 경험할 교육과정 간의 간극을 줄이는 것이다. • 교사는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다섯 가지 틀에 의해 의사결정의 폭이 결정된다.
  • 14. • 체제 틀: 이 틀은 정책 진술에 의해 이미 만들어진 여러 결정사항 들을 포함한다. 교육과정 문서 혹은 체제의 지시 사항을 말한다. • 학교/기관 틀: 시간표, 자원, 교실 조직과 평가에서의 제한들이 체제의 요구에 맞게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제한은 초등학교보다 중학교가 더 엄격하다. • 교직원 틀: 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교사의 학급 배치 -한 해에 가르칠 내용 조정 -학생의 평가 -자원 -교장의 정책 • 학습자의 틀: 교사가 특정 활동에 관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학습자이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를 포함하는데 기대는 특정 수업 경험의 산물일 수도, 다른 교사로 부터 얻은 정보의 산물일수도, 학생 능력, 흥미,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 대한 기대를 포함할 수 있다. • 교사 자신의 틀: 모든 교사는 주로 그들의 교실 경험을 통해 형성된 전문적 자아개념을 갖는다. 만약 교사 자신의 교실 경험이 효과적이고 그의 노력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했다는 것을 느낀다면, 자아개념은 높아질 것이다. 제한된 활동 번위에서지만 교사의 참여는 학교의 공동체 정신을 높이고 교육과정의 질과 실천성을 높이는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다.
  • 15. ②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정도 •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수준에 따라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자율성의 정도가 결정되는데 수준은 정책수준, 프로그램수주나, 수업수준으로 구별된다. → 거시적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은 일반적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중간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은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되며, 미시적 수준은 수업계획과 관련되어 있다. → 미시적 수준은 거시적 수준의 문서와 중간수준의 문서가 실현되는 수준으로 교실에서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사건들과 거시적 수준, 중간수준의 지침의 영향을 받는다. • 대부분의 교사들은 미시적 수준의 교육과정 계획에 참여해 지침을 참고하여 그들의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자신만의 특별한 교육과정이나 수업을 만든다. • 교사들은 교과서, 교사지도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을 기초하여 계획을 세운다. •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두며,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목표보다는 내용과 활동을 결정하는데 주력한다. ③ 교사의 책임 정도 * 교육과정 결정에 대한 교사의 책임 정도에 따라 지위를 세 가지로 분류한다. • 제 1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교과서와 학교정책들을 단순히 따를 뿐이다. • 제 2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학습활동, 특정 과목에 보낼 시간의 양, 학생 평가방법 등을 결정한다. • 제 3지위에 있는 교사는 교과서를 초월하여 가르칠 개념을 선택하고 학습 활동을 설계하며 단계들 사이를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 16. ④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 한계 • 수업계획서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것은 문제가 없으나 이보다 더 상위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을 교사들에게 모두 맡기기는 부적절하다. → 특히 중등교사의 경우 개별교과를 가르침으로써 개별교과의 시야에 매몰되어 전체 교육과정을 못 본다는 점, 전반적인 철학보다 구체적인 실천에 주목한다는 점, 교육실천에 많은 관심과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에 주목한다는 점,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⑤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과 운영수준 관심의 단계 관심의 표현 결과 6. 개선 단계 새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더욱 좋은 결과를 가져올 방법에 대해 관심이 있다. 5. 협동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다른 교사들과 협동하고 조정하는데 관심이 있다. 4. 결과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심이 있다. 학생에 대한 적절성,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평가, 학생들의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등에 관심이있다. 업무 3. 운영 단계 새 교육과정의 운영과 관리에 관심이 있으며, 정보와 자원의 활용에 관심이 높다. 효율성, 조직화, 관리 방안, 시간 계획,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재를 준비하는데 관심이 높다. 교사 자신 2. 개인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자신과 자기 주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어한다. 자신의 역할, 필요한 의사 결정, 기존 조직에 야기할 갈등, 재정적 요소 등을 알고 싶어한다. 1. 정보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대채적인 것을 알고 있고 좀 더 알고 싶어한다. 새 교육과정의 특징, 효과, 실천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사항 등을 알고 싶어한다. 0. 지각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거나 관여하지 않는다.
  • 17. (5) 학문영역 대표 집단 • 자기가 연구하고 있는 전공분야의 권위자들 • 전공 학문의 기본적 성격을 알고 있으므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교과의 구성에 대하여 믿을 만한 견해를 제시한다. (6) 교육관료 집단 • 교육인적자운부나 교육청 소속의 교육과정 관련 및 장학업무 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장학 및 연구진으로 볼 수 있다. • 국가와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을 마련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제하며, 그 산물을 평가하는 활동에 참여한다. • 이들 기관의 장학 담장자는 교육과정 활동에 참여할 인사를 선발하고 조직하여,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맡는다. (7) 일반 시민 • 가치와 믿음의 전달은 가정과 지역사회가 해야 할 역할이므로 학부모와 다른 시민 들은 교육과정 계획에 참여해야 한다. • 학부모를 포함한 일반 시민은 지역사회의 여론을 전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학부모 대표의 참여를 네 단계로 제시했다. 1. 목표 설정 단계에서 지역사회 대표나 부모는 여러 가지 조언을 하며, 2. 설계 단계에서는 교외 활동을 위한 협동 작업을 할 수 있고, 3. 운영 단계에서는 자원 인사로 학교에 도움을 준다. 4. 마지막 평가 단계에서는 교재와 수업자료에 대한 검토에 도움을 주고, 좋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한다.
  • 18. (8) 학부모 • 학부모의 참여는 교사와 교육과정 계획자가 삶의 실제에 민감해지도록 도움을 줌. • 교육내용의 구성에 있어서 주로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담장하지만, 학교 프로그램 운영에 저항 세력으로서 압력집단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 학부모가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관계 형성에 기여하고 교육과정을 심화시키는데 귀중한 자원이며, 교육과정에 관한 인지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교육과정 변화에 더 지원적이기 때문에 학부모의 참여가 정당화 한다. ① 학부모 참여의 이점 1.학교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학부모의 재능, 관심이 교사의 그것과 더불어 활용된다면 학교환경은 매우 풍요로워 질것이다. 2.학생이 가정에서 학부모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원되고 강화된다면, 학생의 학습수준 이 향상될 것이다. 3.학부모가 학교생활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면, 학교의 복잡성을 잘 이해하고 올바르게 평가할 것이다. 4.학부모는 아동에 대해 법적인 그리고 장기적인 책임을 진다. 5.학부모의 참여는 교사, 학부모, 학생 간의 공동 목적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6.교육게 관련된 이익집단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든 학생의 이익이 고려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커지게 된다. 7.공유된 의사결정은 학부모가 학교에 대하여 법적인 행동을 취하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8.학교가 강력한 정체감을 발달시킬 더 많은 기회가 된다.
  • 19. ② 학부모 참여의 단점 1.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교사의 전문적인 책임영역에 간섭할 수 있다. 2.소수의 압력집단이 의사결정에 편파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참여 민주주의의 높은 수입과 교육받는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때, 경제력이 있는 소수의 학부모 대표만이 참여하게 될때 불평등이 커질 수 있다. 4.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의사결정에 더 많이 참여함으로써 학교의 표준을 하락시킬 수 있다. 5.대부분의 지역사회 단체가 매우 보수적이기 때문에 학교는 혁신되기 어려울 수 있다. 6.어떤 학부모는 의사결정에서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역할을 수행할 시간이 없다. 7.학교 교직원은 종종 학부모 참여활동을 꺼리고 반대한다. 8.자료가 다양한 의사결정자들에게 회람되어야 할 때 대외비의 문제로 인하여 복잡해 진다. 9.학부모와 교사 간의 보다 개방적인 의사결정이 때로는 교사들을 끊임 없이 ‘호출에 즉시 응할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10.교사가 어떤 학생에 대한 결정을 할 경우, 교사가 이 학생애 대해 부가적 정보를 가질 때 이 학생의 학부모와 잦은 접촉이 있을때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다. •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은 미디어에 취급되는 교육문제에 제한되는 경향이 있으며, 교육자의 전문적 언어를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 지적되고 있다. • 학부모와 교사의 시각차이도 존재한다.
  • 20. (9) 학생 • 교육과정의 수혜자이자 피해자이기도 하는 교육과정의 최종소비자이다. • 교육과정 개발은 학습자에 관한 여러 사실적 정보들을 바탕으로 하고, 그들의 학습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학생의 참여 범위와 정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 ‘성숙’ • 학생은 현 교육과정의 이점과 결점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최선의 입장에 있다. • 정보제공자로서 학생은 교육과정이 학습자 자신의 흥미, 요구, 가치, 사고와 행동을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 등도 제시한다. ① 학생참여를 찬성하는 이유 1.학생은 교육과정을 단지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이 배우는 것의 선택에 참여 2.학생은 교육과정에 관여해야 하고 교육과정의 적극적인 창안자이며 반응자이여야 한다. 3.학생은 교육상황에서 고객으로 지각되어야 한다. 4.학생은 학교교육의 생생한 질을 경험한다. 5.과외활동에 참여: 교육과정 계획 활동에 효과적인 참여자로서의 잠재력을 갖는다. ② 학생참여를 반대하는 이유 1.의사결정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2.안정된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 간의 조화로운 상호 작용 을 요구한다. 3.공적 시험과 같은 외부의 구속요인은 교사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설정된 학문적 강의 계획안을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다.
  • 21. (10) 외부촉진자 • 외부촉진자에게 중요한 것은 그들이 도움을 줄 사람들이 그들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다. • 애매함에 관대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잘 적응하고, 다른 사람들을 도와줌으로써 내적 만족을 얻으며, 솔직하며, 동기와 추진력을 가지는 것이다. • 외부자원인사와 기관이 줄 수 있는 도움의 이점으로는 충고, 직접적 도움, 정보획득 , 지원과 격려, 자극제공, 지역이나 국가의 규정을 이해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개발 중에 있는 교육과정을 너무 크고 복잡하게 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지역적 특징을 희석시킬 수 있다. (11) 언론매체 • 언론매체는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 • 사실 보도를 원칙으로 하지만 여러 방대한 사실들 중에서 선택과 배제의 논리에 의하여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이 늘어난다. (12) 교과서 출판사 • 수업 운영에서 교과서가 갖는 중심적 위치로 인하여 실제적인 교과과정 형성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① 학교위원회 학교위원회는 교육과정 결정자이면서 동시에 다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으로 영향력이 매우크다. ② 뉴스미디어 뉴스를 비롯한 정보 매체들 효과가 성공했다면 효과성을 홍보하여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해 보도록 영향력을 행사한다.
  • 22. ③ 교재 출판사와 검사도구 제작기관 교재 출판사들은 학교나 지역이 자신의 교과서나 교재를 사용하도록 해야 하므로 국가나 그 지역의 교육정책에 옹호되는 입장이나 주제들이 무엇인지 알아서, 그것에 맞는 교재를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인다. 검사도구 제작기관도 역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공허한다. ④ 고용주 3) 참여집단의 참여방식 •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기관은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난다. • 시·도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는 교육청의 교육과정 담당 부서 및 요원과 교육과정위언회 등이 참여한다. • 교육과정 개발의 질적 수준은 기관들 중에서 책임 있는 부서가 관련 부서를 통괄하면서 개발 과정에서 행정계의 일관성·연속성·체계성·책무성 등을 확보하고 부서 요원들의 의지·지식·경험·노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에 따라 달라진다. ①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육과정 위원회를 구성한다. ② 시·도교육청에서는 미국의 교육구와 같이 교육과정 수업담당 부교육감을 두어 교육과정위원회 운영과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의 총 책임을 맡도록 한다. ③ 학교에서는 교장의 책임 아래 학교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 23.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4. 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 그들은 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 교육과정을 개발 할 때에도 개발자는 지식에 대한 관점을 결정하고 사회본질을 해석한 후 적절한 심리학적 원리에 입각하여 교육과정을 선택해야 한다. * 교육과정 기초 자원을 세가 지로 분류한다 1.학습자 및 학습이론(심리학) 2.생활(사회학 및 문화) 3.지식의 성질과 가치(철학) • 세 가지 교육과정 기초 자원이 교육과정 개발자가 교육과정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런 자원이 개발자의 교육과정에 관한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치개되어 교육과정을 개념화하게 된다. • 기초 자원이 교육과정 개발자의 지식배경이 되어 장차 개발자가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영향을 끼치게 된다. • 교육과정 개발자의 과거 경험은 개발자가 어떻게 교육과정 과제를 특정 방향으로 개념화하는 경향이 있는가를 알게 해준다.
  • 24. *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지어 몇 가지 요점을 깊이 생각해봐야한다. 1.교육과정 개발자는 지식의 성질은 물론 무엇이 가치 있는가에 관한 견해를 가져야 한다.(철학) 2.이러한 견해들은 개발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사회, 문화 및 미래사회의 요구라는 맥락 속에서 설정되어진다.(사회학 및 문화) 3.앞서 관련된 견해나 자료를 수정하기 위해 심리학(학생의 성격과 학습방법을 다루는)이 활용된다.(심리학) 1.철학적 준거 • 목적 • 가치 • 지식의 구조 2. 사회적 고려 • 사회적 변화 • 기술공학적 변화 • 이념적 변화 3. 문화로부터 선정 5. 조직된 교육과정 4. 심리적 이론 • 발달 • 학습 • 수업 • 동기
  • 25. 제 3절 교육과정 개발 분야 4.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절차 *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개발과정에 개재하는 요인이 많고 다양하며 요인 간의 관계도 복합하다. 1.브레디는 크게 객관주의 모형과 상호 작용 모형, 과정 모형으로 제시되고 있다. 2.밀러와 셀러는 교육과정 입장을 전달 입장, 상호작용 입장, 변형입장으로 나누어 각 입장에 딸느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3.마쉬와 윌러스는 목표 모형, 숙의 모형, 예술적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4.Print는 합리적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 모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5.Hlebowish는 교육과정이 포함하고 있는 영역에 따라 거시적 교육과정과 미시적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 6.Ornstein & Hunkins 교육과정 개발 접근을 기술적-과학적 접근과 비기술적 – 과학적 접근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7.Posner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절차적 모형, 서술적 모형, 개념적 모형, 비판적 모형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 26. *Posner의 교육과정 계획에의 다양한 접근은 여러 질문들과 관련 있다. -기술적 산출 시각 a. 절차적 질문 b. 기술적 질문 C. 개념적 질문 기술적 산출 시각의 대표적인 학자들 ·타일러(Tuler), 티바(Taba), 슈왑(Schwab), 워커(Walker), 헌킨스(Hunkins), 존슨과 굳래드(Johnson & Goodlad),밀러와 샐러(Miller & Seller), 세일러와 알렉산더(Sayler & Alexander) -비판적 시각 a. 이념적 질문 b. 문제-제기 방법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연속성 합리적/목표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상호 작용적 모형 Tyler, Taba Wheeler, Nicholls Walker, Skibeck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연속성은 표에서 보이는 것처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두 가지 양극으로 묘사된다. 1. 합리적 모형 또는 목표모형: 계열적이며,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관한 엄격한 접근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역동적 모형 또는 상호 작용적 모형: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신축성 있고 상호 작용적이며 수정 가능한 과정으로 파악. 3. 합리적 모형과 순환적 모형을 구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적용에 있어서는 점차 구별하기가 어렵다.
  • 27. 처방적 합리적/ 목표 역동적/ 상호작용 기술적 * 교육과정 개발 모형 Tyler Taba Print Wheeler Nicholls Posner Stenhouse Skilbeck McDonald & Purpel Walker •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여러 교육과정 개발 모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자신에 맞는 모형을 만들기 위하여 기존 모형들을 활용하기도 한다. • 교육과정 학자들이 만들어 온 여러 교육과정 개발 모형들은 각기 다른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 잣대만으로 좋은 모형과 나쁜 모형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