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Ⅱ. O2O 최근 동향
ICT Spot Issue ❙ 2014-10
1. 글로벌 화두로 부상하는 O2O
2. O2O의 개념
3. 최근 서비스 및 기술 동향
4. 맺음말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ICT Spot Issue
기술정책단 산업분석팀 조성선 수석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17
1 글로벌 화두로 부상하는 O2O
o 유통업계의 화두, O2O(Online-to-Offline/Offline-to-Online)
○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가격, 편의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조건에서
쇼핑을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빠르게 증가
○ 이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O2O 비즈니스가 글로벌 화두로 부상
○ 국내에서도 O2O는 가장 유망한 투자 분야로 평가
‒ 국내 주요 벤처투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 상반기 스타트업 유망 투자 분야’ 조사
에서도 조사 대상 벤처투자사 10곳 가운데 8개사가 O2O 부문 선정(전자신문사)
o 국내외 주요 기업들은 O2O 비즈니스에 적극 진입
○ 온라인 기업들은 오프라인에 진출하고 오프라인 기업들은 온라인을 적극 활용
‒ 편리하지만 불확실한 온라인과 불편하지만 확실한 오프라인의 장점을 결합. 적용 분야도
음식 배달은 물론 운송, 관광, 패션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산
○ 온・오프라인 연계 매개체는 모바일
‒ 무선 광대역 환경의 정비, 소셜 미디어 및 GPS 탑재 스마트기기의 보급 확대 등이 O2O
등장의 배경으로 작용. 특히 향후 모든 기기에 인터넷 연결성을 부여하는 사물인터넷(IoT)은
O2O 확산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
[그림 II-1] 세계 주요 국/지역의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률 추이 및 전망
휴대전화 보급률 스마트폰 보급률
자료: Gartner, 2014.2Q., Strategy Analytics, 2014.7.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18
2 O2O의 개념
o 온・오프라인 연계 비즈니스로 정의되는 O2O
○ 정의 주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비즈니스를
의미
‒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쉽게 얻을 수 있고 온라인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할인해서 바로 구매 가능하다는 장점
‒ 기업 입장에서는 자자 제품, 서비스를 보다 쉽게 홍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 및 매장 관련
정보를 손쉽게 DB화하여 지속적인 고객 관리까지 가능하다는 장점
‒ 특히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마케팅 활동이 어려웠던 중소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도 DB화된
고객 행동 분석 데이터(매장 주변 유동인구수, 방문자수, 체류시간, 재방문률 등) 기반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로 각광
‒ 현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여러 형태의 O2O 사업이 전개되고 있으며, 향후 보다 많은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
<표 II-1> O2O 비즈니스 개념 및 주요 유형
O2O 개념도 O2O 유형 예
Online to Offline
- 사전 등록한 가입자에게 SMS 등 다양한 온라인 기능을 활용
하여 이벤트 정보,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매장
으로의 방문 및 구매 유도
-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즐겨 찾는 브랜드 매장의 상품
정보, 할인쿠폰 등을 온라인(스마트폰 등)으로 바로 전송하여
구매 유도
- 예: 롯데백화점의 스마트쿠폰 등
- 온라인 구매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수케 하여 오프라인
매장 방문 및 구매 유발(상품 상태에 따라 즉시 교환, 환불도
가능)
- 예: 월마트의 ‘Site to Store’나 롯데닷컴의 스마트픽 등
Offline to Online
- 스마트폰 앱, QR코드 등을 통해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유도
- 실 점포와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포인트 통합 등
자료: 일본 총무성(2013.6.) 외 각종 자료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19
3 최근 서비스 및 기술 동향
o O2O 서비스, 초기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도입
○ 배달 앱을 이용하여 단순히 오프라인 매장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초기 형태를
벗어나 최근에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은 물론 온・오프라인을 연계/통합하는
형태로까지 발전
<표 II-2> O2O 서비스의 유형 및 진화의 예
구분 내용
초기:
오프라인
매장과
소비자의
단순 연결
○ 온라인(스마트폰 앱 등) 구매 → (오프라인) → (소비자) 배송
- 초기형태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음식배달 등이 이에 해당
○ 온라인(할인쿠폰, 소셜미디어상의 추천상품 등 정보) 발송 → 오프라인 방문 및 구매 유도
- 패션 커뮤니티, 블로그 등에서 유명한 엠버스의 ‘써프라이즈 앱‘이 이에 해당
※ 이용자가 앱에 등록된 주요 브랜드 중 원하는 브랜드를 체크해 놓으면 오프라인 할인이
시작될 때 정보 발송, 오프라인 방문 및 구매 유도
2단계: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간편
결재 가능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 ‘이지택시‘, ‘카카오택시‘, ‘헤일로‘ 등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콜 택시가 이에 해당
※ 스마트폰 앱을 구동, 출발지와 목적지 등을 입력하면 GPS를 통해 이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택시와 1대1 연결.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재 가능(조만간 카카오페이
서비스 예정)
※ 등록된 택시가 호출된다는 점, 택시의 동선과 운전자의 신원, 타고 있는 택시의 위치
등이 모두 추적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안전성이 장점
3단계:
온 오프라인
연계/통합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방문 → (소비자) 상품/서비스 인수
- SK플래닛의 ‘시럽 오더‘,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 등이 해당.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이용자가 앱을 실행하면 주변 제휴매장과 상세 메뉴 제공. 이용자는 매장에 가지 않고
맞춤형 주문 및 모바일 결제 → 상품/서비스 제작 완료 알림 → 이용자는 오프라인을
방문하여 대기시간 없이 상품/서비스 인수
- 롯데닷컴의 ‘스마트픽‘, 월마트의 ‘Site to Store‘ 등도 이에 해당
※ 온라인 구매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인수하며 상품 상태에 따라 즉시 교환, 환불도 가능
○ 오프라인(매장 혹은 매장 인근) → 비콘 등을 통한 사용자 인식 → 온라인(할인쿠폰, 상품 정
보 전송) → 오프라인 매장 방문 및 구매 유도
- 롯데백화점의 ‘스마트 쿠폰‘ 등이 이에 해당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방문 → (소비자) 상품 인수/구매 (오프라인 매장의 물류기지화)
- 국내의 라인, 카카오, 미국의 아마존 등이 오프라인 매장 개설(혹은 추진)
※ 아마존: 뉴욕 맨하튼에 소규모 창고형 매장 개설 예정. 아마존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의
인수(당일 배송), 교환, 반품의 장으로 활용 예정. 또한 자사 주력상품(전자책 단말기 킨들,
태블릿 킨들 파이어, 스마트폰 파이어 등)도 판매 예정
※ 라인, 카카오 등은 유명백화점 등과 연계, 상설매장을 열고 각사 유명 캐릭터를 활용한
상품 판매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0
o 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O2O 서비스 도입 확산
○ 최근 대형마트, 백화점 업계는 물론 SK플래닛, 삼성전자에 이르기까지 거대 기업
들이 속속 O2O 시장 참여
‒ (SK플래닛) 지난 6월 O2O 기반의 ‘넥스트 커머스’를 공개하고 스마트월렛․OK캐쉬백․기프
티콘 등을 통합한 커머스 브랜드 ‘시럽(Syrup)’을 공개
※ 8월 판교의 복합 쇼핑몰에 '시럽쇼핑 존'을 처음 개장. 최근에는 신촌 현대백화점의 30개 브랜드와
연세로 주변 23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동 서비스를 시작
※ 시럽 앱을 설치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작동한 후 시럽쇼핑 존에 들어가면 실내 위치 파악 기술인
‘비콘’을 활용해 이벤트, 할인혜택 등이 고객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
‒ SK플래닛은 또한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기업인 ‘샵킥(Shopkick)’
인수를 통해 한국과 미국을 잇는 커머스 생태계 구축도 추진
※ 샵킥은 비콘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점 내 이동을 인지, 자동 체크인하여 포인트 제공, 이벤트
참여, 가격 할인 등의 O2O 서비스 제공. 미국 14개 대형 유통업체의 1만 2,000여 개 매장에서
이용 가능. 코카콜라 등 150여 개 글로벌 기업과 제휴, 상품 정보와 할인 쿠폰 제공
‒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앱을 설치한 고객이 백화점 내 할인행사를 하는 매장 앞을 지나갈
때 스마트폰으로 할인쿠폰을 자동 발송하는 ‘스마트쿠폰’ 서비스를 실시
‒ (롯데닷컴) 온라인에서 주문한 의류나 신발 등을 인근 백화점 매장에서 확인 후 픽업하는
‘스마트픽’ 서비스를 시작
‒ (삼성전자) O2O 사업의 일환으로 SPC그룹과 협력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범운영에 돌입
※ SPC(파리크라상․파리바게뜨․배스킨라빈스․던킨도너츠․샤니․삼립식품 등 식품전문업체)가 마련한
‘SPC스퀘어’ 매장에 들어가면 삼성전자의 위치기반 커머스 서비스 기술이 스마트폰으로 이벤트
정보와 쿠폰 등을 자동으로 전송
‒ (카카오) 다음과 합병한 이후 가장 중요한 협업 프로젝트로 O2O를 제시한 카카오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플러스친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비즈프로필 등 다양한 O2O 서비스
전개
‒ 최근에는 소상공인이 사용자와 직접 메신저로 소통하며 마케팅 창구를 확대할 수 있는
‘옐로아이디’ 서비스도 시작
※ ‘옐로아이디’는 카카오톡에서 소상공인들이 고객과 친구를 맺고 채팅방에서 실시간 1:1 상담은
물론 각종 소식을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 이 외에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많은 기업들이 O2O 서비스 도입 활기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1
<표 II-3> 산업분야별 O2O 서비스 도입 사례
구분 업체 내용
음식 배달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등
- 오프라인 배달업체와 고객을 연결하는 서비스
- 상점은 앱에 가입된 고객을 대상으로 쿠폰 및 할인 이벤트 등을 제공
- 고객은 다양한 업체의 정보를 한 곳에서 원스톱 쇼핑
- 국내 배달앱 시장 규모는 1조 원대(전체 음식배달 시장의 10% 규모)
운송
이지택시,
카카오택시,
헤일로 등
- GPS 기반 택시 호출(call) 서비스
- 기존 택시서비스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 인터넷, 모바일로 택시 호출, 간편결제를 이용하는 휴대폰 결제
- 이지택시가 서비스 중이며 카카오택시, 헤일로 준비중
패션/뷰티 등 엠버스
- 써프라이즈앱에 등재된 250여개 패션 뷰티 브랜드 중 소비자가 등록한
브랜드로부터 할인 정보 수신
- 소비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매장을 지나거나 방문했을 때 이를 자동 확인
하고 최신 할인 쿠폰 등을 알려주는 위치기반 서비스(써프라이즈박스)도
제공
숙박 데일리
- 데일리호텔 앱(당일 호텔 예약 앱)을 통해 기존 호텔 예약 서비스와 달리
당일 잔여 객실만을 판매함으로써 최대 70%의 할인율을 적용
- 가격 외에 호텔 평가, 객실 이용비용, 위치, 제공 서비스 등을 고려해 비
용대비 가장 효율적인 호텔 상품을 사용자에게 추천
관광 짜이서울 - 짜이서울닷컴. 중국 관광객들이 좋아할 만한 관광 코스, 음식점 등 전반
적인 관광 정보와 함께 할인쿠폰 제공
자료: 각종 자료
o 중국, 미국, 일본 등 해외 여러 나라에서도 O2O 서비스는 급격하게 확산되
고 있으며 사업 개발 및 확장을 위한 투자도 활발
○ 중국의 알리바바, 텐센트 등은 O2O 시장 선점을 위한 M&A까지 진행 중
‒ (알리바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2013년 9월 출시한 모바일 메신저 라이왕을
통해 O2O 시장에 진출
‒ 최근 네비게이션 1위 업체 오토네비의 지분 20%를 확보하여 위치기반 O2O 서비스로 영역
확대 도모. 또한 6억 9,200만 달러를 투자해 중국 내 고급 백화점인 인타임리테일 지분
26% 확보. 향후 인타임리테일과 합작사를 설립해 O2O 서비스를 개발할 것으로 예상
‒ 2013년 4월, 콜택시 앱 서비스 업체인 콰이디다처(快的打車)에도 1,600만 달러 투자
※ 콰이디다처의 이용고객은 2,300만 명, 1일 평균 서비스 주문량은 30만 건 이상으로 추정
‒ (텐센트) 2013년 9월, 중국 대표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들이 상품을
판매하고 쿠폰을 제공하는 O2O 마케팅을 추진한 이래 중국 내 유명 O2O 서비스 업체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사업을 확장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2
‒ 위챗과 연계한 O2O 서비스를 강화하여 온라인 전자 상거래 강화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 판매 사업까지 영역 확장
‒ 2014년 4월 약 1,500만 달러를 콜택시 앱 서비스업체인 디디다처(滴滴打車)에 투자한 데
이어 올해 중신은행 등과 함께 1,000만 달러를 추가 투자
※ 디디다처 이용고객은 3,000만 명, 1일 평균 서비스 주문량은 50만 건 이상으로 추정. 2014년에
디디다처는 약 100개 도시에 진출할 계획이며 1일 서비스 건수는 100만 건으로 증가 예상
‒ 이 외에 맛집 평가 서비스 ‘따중디엔핑’을 인수하였으며 6월에는 7,500억 원을 들여 부동산
임대 등 온라인 생활 정보 제공 사이트 58닷컴을 인수
○ 미국에서도 애플, 구글 외에 대형 유통업체들도 적극 참여
‒ (애플) 애플은 O2O 서비스를 위해 전용 비콘 단말기인 '아이비콘'(iBeacon)을 선보이고
미국 내 254개 애플스토어와 150개 슈퍼마켓에서 서비스를 시작
※ 아이비콘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4.0)와 비콘(Beacon)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아이비콘 이후 BLE 비콘이 O2O를 위한 기술로 부상(후술 참조)
‒ (구글) 구글도 '니어바이'(Nearby)라는 서비스를 개발중 올초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을
3조원이 넘는 거액을 들여 인수
‒ (월마트)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자사 온라인 몰에서 주문 후 매장에서 수령하는
‘Site to Store’나 주문 당일 매장에서 수령하는 ‘Pick up Today’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
또한 월마트 이용 고객의 대다수인 저소득층 고객을 위한 ‘Pay with Cash’ 서비스도 시행
※ 저소득층은 신용카드 보유 비율이 낮아 온라인에서 결제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온라인에서
주문을 하고 매장에 와서 현금을 지불하면 그 자리에서 주문 제품을 수령하거나, 택배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
‒ (아마존) 온라인 유통 전문업체 아마존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오프라인에서 수령하게
한다는 전략 하에 11월 쇼핑 시즌에 맞춰 뉴욕 맨해튼에 오프라인 매장 개설 계획
‒ 아마존닷컴에서 구매한 물품의 배송, 환불, 교환 외에 파이어TV 셋톱박스, 태블릿 PC인
킨들 등 아마존닷컴의 제품도 판매 예정. 이 매장의 성공 여부에 따라 미 전역으로 오프라인
지점 확대 개설도 계획 중
○ 일본에서는 라인이 선도 업체의 하나로 부상하는 가운데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전개
‒ (라인) 2012년 12월, 일본內 약 3만개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서로 커뮤
니티를 구성하거나 쿠폰 및 상품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라인앳(LINE@) 서비스 제공
‒ 최근에는 일본에서 현지 운수업체 니혼코쓰(日本交通)와 손잡고 앱으로 택시를 호출하는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3
‘라인택시’를 연말까지 선보일 예정
‒ 또한 국내 음식 배달 앱 전문 업체인 우아한 형제들(배달의 민족)과 합작사를 설립, 앱으로
음식을 주문해 배달 받는 ‘라인 와우’ 서비스도 출시 예정
<표 II-4> 일본의 O2O 서비스 유형 및 사례
구분 내용
SNS연계(소셜 커머스)
- 사이트상의 검색 결과, 소셜 미디어상의 설명이나 소문 등의 정보에서 팬을 만들어
상품·서비스의 구매로 연결
- 예: 타마 홈, Viva Japan, Partner Categories, Tab, FourSquare 등
소셜 기프트
- 지인, 친구에게 “커피 한잔” 등과 같이 상품·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는 선물(gift)을
메일 등으로 전송하는 방법
- 예: 기프티(giftee), Mixi Birthday, Happy Flower, Beer to Friends 등
공동 쿠폰 구입
(플래시 세일)
- 기간 내에 목표 인원을 정하여 할인 쿠폰을 구입하는 구조. 그 쿠폰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할인 가격으로 구매. 공동 쿠폰 구입 사이트, 쿠폰 사이트 등
이 여기에 해당
- 예: 구루폰, 셰어리(shareee), PONiTS 등
할인 쿠폰 포인트
- 사전에 등록한 점포 등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할인 쿠폰으로 상품·서비스를
구매.
- 예: Line 쿠폰, Line@, Smapo, 樂天UBIRA, Passbook, RecoCheck 등
실제 점포와
EC사이트간 정보 협력
(포인트 공통화, 구매
정보 관리 등)
- EC사이트와 실제 점포의 포인트를 통합, 공통화. 타사 간 포인트를 공통화, 교환
하는 방법. EC사이트와 실제 점포의 상품 정보, 구매 정보를 공유하는 고객에게
혜택 부여
- 예: 樂天R포인트, 세븐 온라인 쇼핑, JAL호텔과 제국 호텔의 포인트 연계 등
네트워크 슈퍼 - EC사이트에서 고객이 주문을 하면 가장 가까운 점포 등에서 구매 상품 배달
- 예: 樂天 네트워크 슈퍼, 이토 요카도 네트워크 슈퍼, 이온 네트워크 슈퍼 등
자료: 일본 총무성, 2013.6.
o 핵심 기술 및 최근 동향
○ O2O 서비스가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인 만큼 동 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해서 보면,
‒ 온라인 기술은 스마트폰/앱, 모바일 네트워크, DB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오프라인 기술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GPS, Cellular Network, Wifi)과 이들 기술을
보완하기 위한 Micro Location 기술로 구성
‒ Micro Location 기술에는 NFC, QR코드 등 다양한 기술이 있으며, 최근 저전력 블루투스
(BLE: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4.0)와 비콘(Beacon) 기술을 결합한 BLE 비콘이
O2O를 위한 기술로 부상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4
<표 II-5> Micro Location 기술의 현재와 미래
현재 미래
NFC/RFID QR Code 비가청 음성통신 BLE Beacon/iBeacon
특징 전파통신과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 카메라를 이용한 방식 음파를 활용하여 정보
전달
Blutooth LE 신호
발생장치를 이용한 기술
센서 NFC 안테나 & 칩 카메라+이미지
프로세싱(앱에 탑재)
마이크+오디오
프로세싱(앱에 탑재)
Blutooth 4.0 이상 지원
칩과 안테나
정확도 cm 단위 수십 cm~m 단위 수십 cm~수 m 단위 수십 cm 단위
사용자
편의성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필요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필요
구현에 따라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필요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불필요
비고 사용자 편의성이 낮고
복제 용이. 제작 용이
사용자 편의성이 낮고
복제 용이. 제작 용이
폭넓은 지원기기와
사용자 행동 최소화
현지 지원기기가
20~40%로 낮음
자료: Digieco, 2014.7.24.
○ BLE 비콘은 먼 가용거리, GPS 기술로 불가능했던 실내 위치 정보 제공 등이
큰 장점
‒ BLE 비콘은 근거리 위치 인식 기술을 적용한 무선 센서로 블루투스 4.0을 탑재한 스마트폰
등이 감지 영역 내로 진입할 경우 상호 인식을 통해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마케팅 활동과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 Apple이 Paypal과 함께 iBeacon을 개발, 적용하기 시작한 이후 BLE 비콘은 O2O 서비스의
핵심 솔루션으로 부상
‒ 국내의 경우 SK텔레콤이 금년 5월에 소규모 점포나 병원, 전시장 등 다양한 비콘 사용
환경을 유형화하고 그에 최적화한 4종의 비콘 출시. 또한 관련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플랫폼인
위즈턴(WIZTURN)도 출시
※ ‘위즈턴’은 비콘을 활용해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실내 측위 플랫폼(Indoor Location Platform)
<표 II-6> SK텔레콤이 출시한 비콘 유형과 특징
구분 내용
페블(pebBLE)형 - 작은 조약돌 형태
- 옷가게, 음식점 등 소규모 환경에 최적화
마블(marBLE)형 - 대용량 배터리 탑재
- 병원, 공항 등 대형시설에서 실내 내비게이션 등의 서비스 가능
님블(nimBLE)형 - 전시장, 갤러리 등 단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장소에 최적화
트레블(treBLE)형 - 경기장, 콘서트홀 등 넓고 야외와 맞닿은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
자료: 각종 자료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5
‒ BLE 비콘을 적용한 방식은 블루투스 기반 기술인만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블루투스를 활성화 해야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단점도 존재
‒ 또한 자발적인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NFC/QR코드 방식과 달리 비콘 방식은 인식 거리
내에 진입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므로 원하지 않는 소비자에게 원하지 않는 수
많은 정보(스팸)가 발송될 가능성도 존재
○ 한편 많은 기업들이 BLE 비콘 외에 음파, 와이파이 등을 활용한 솔루션들을 개발,
비즈니스 전개
<표 II-7> 국내 주요 O2O 솔루션 사업자 예
사업자 솔루션 내용
비콘 기반
열두시/
아이팝콘 얍(YAP)
- 블루투스 외에 고주파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비콘 기술인 ‘팝콘’과
모바일 스탬프, 쿠폰, 멤버십, 결제수단 등을 통합 제공
- ‘팝콘’은 매장의 비콘과 사용자 스마트폰을 연계하는 형태. 비콘 신호 도달
거리 안에 스마트폰이 접근하면 신호를 내보내고, 스마트폰이 이를 인식해
서버로 다시 신호를 보내면 서버는 그 위치에 설정된 이벤트 등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
- ‘팝콘’은 스타벅스 사이렌오더에 적용돼 안정성 검증
- 10월 현재 CU편의점, LG생활건강 비욘드, AK플라자, 현대아울렛, TGIF,
반디앤루니스, 차이나팩토리 등 전국 1만여 개 매장에 팝콘 설치
한국정보공학 키 비콘
- 독자적인 비콘 기술로 개발한 비콘 통합 플랫폼
- 마케팅과 인력관리, 실내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
- 실내측위 관련 MAP관리, POI 관리는 물론 원격 배터리 관리 등도 포함
- 금년 9월 인도네시아 현지기업과 키비콘 솔루션 구축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진출도 관심
음파 기반
퍼플즈 사운드태그
- 사람이 잘 인지하지 못하는 고주파 대역의 음파를 사용
- 스마트폰이 매장내 스피커에서 음파를 수신하면 해당 앱이 사용자의 위치를
인지하고 상품·할인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
- 15,000㎐~20,000㎐ 대역의 고주파를 사용해 600만개 이상의 소리 제작
- (퍼플즈는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기반의 솔루션인 ‘레코’도 개발)
와이파이(Wi-Fi) 기반
조이
코퍼레이션 워크인사이트
- 유동인구수, 방문자수, 체류시간, 재방문률 및 구매전환율, 날씨 영향도
등을 수집·분석해 매장주에게 제공
- 금년 10월 현재 국내 200개 매장(약 60개 브랜드), 해외 300개 매장에 공급,
데이터 분석 중심의 O2O를 개척
지니
네트워크스
왓츠업
(waasup)
- 무선접속장치(AP) 기반으로 고객 행동을 분석해 마케팅과 영업활동을 도
와주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 Wi-Fi를 사용하여 운영체제(OS)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특징
- Wi-Fi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매장주에게 매장 주변의 유동인구 수, 매장
방문자 수, 재방문 고객 비율, 매장 체류시간 등 고객 행동 분석 데이터를
제공, 고객 분석을 통한 프로모션 방안 수립 가능
자료: 각종 자료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6
o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많고 향후 사물 인터넷과 연결될 수 도 있다는 점에서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 국내 오프라인 상거래 시장은 약 300조 원 정도로 추정. 반면 전자 상거래 시장 규모는
약 30조 원으로 오프라인 시장의 10% 수준에 그치고 있는 점, O2O 서비스 시장이 향후
사물 인터넷과도 연결될 수 도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높은 성장성이 예상(교보증권,
2014.8.)
※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3년 기준 약 38.5조원
‒ 특히 콜택시, 음식 배달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가 많다는 점 역시 O2O 서비스
시장 확대의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
‒ 해외의 경우, Nomura Research는 일본의 O2O 서비스 시장 규모가 2011년 약 24조 엔
규모에서 2017년에 약 51조 엔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경우 2012년 986억 RMB에서 2015년에는 4,188억 RMB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Kotra, 원소스 모부왕(魔部网))
[그림 II-2] 중국, 일본의 O2O 시장 전망
< 일본 > < 중국 >
자료: NRI, 2013.1., Kotra(http://www.globalwindow.org), 2014.4.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7
4 맺음말
o 모바일을 매개로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O2O 서비스는 유통산업의 새로운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
‒ 고객의 편의성 추구, 무선 광대역 환경의 정비, 잠재력 있는 시장 등이 맞물리며 O2O
서비스는 유통문화의 지각변동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
‒ 음식배달과 같은 초기 형태의 서비스는 물론 운송, 패션/뷰티, 숙박, 관광 등 다양한 산업분
야에서 기존 기업은 물론 중소・벤처・창업 기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에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o 아직은 해결해야 할 다양한 과제도 존재. 특히 고객의 능동적 참여 유도와
보안은 가장 중요한 요소
○ 고객의 저항을 넘어 능동적 참여를 유발해야
‒ 수많은 사업자의 참여로 인해 예를 들어 비콘 기능 등을 활성화 한 채 쇼핑몰 인근을
지나거나 쇼핑몰에 들어갔을 때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수많은 스팸성 상품정보,
혹은 할인쿠폰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객이 단말기에서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저항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비콘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마트폰에 앱을 다운받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며,
‒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경험 기술 등 소비자가 가치를 인정할 만한 다양한 서비스 발굴이 필요
○ 보안은 가장 중요한 요소
‒ O2O 서비스는 태생적으로 고객의 편의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의 하나로 추구하며 자연적으
로 보다 정교한 서비스를 위해 최대한 많은 고객 정보 수집 추구. 따라서 O2O 서비스
기업에 있어 보안은 사용자의 충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제
‒ 특히 서비스 진화 과정상 대개의 경우 편의성의 핵심인 간편 결제를 수반하게 될 것이고,
이 같은 정보는 기업內 관리도 중요하겠지만 외부로부터의 악의적 공격에 노출될 경우
기업의 존립과도 연결되는 중요한 과제
o 산업 활성화를 위해 법․제도 측면에서의 보완 혹은 지원 필요성 여부에 대한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8
다각적인 검토 필요
‒ O2O는 이제 이륙 단계의 서비스로 전산업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개발될 여지가
무궁무진하며,
‒ 일부 선행주자가 있기는 하나 아직은 주도적 기술이나 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에게도 커다란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음
‒ 따라서 법․제도 측면에서 선제적으로 보완 혹은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그 일환으로 먼저 국내 O2O 산업 전반에 대한 충분한 조사연구를 추진할
필요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Jinwoo Yang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Heewon Kim
 
모바일오픈마켓
모바일오픈마켓모바일오픈마켓
모바일오픈마켓
Jay Yoon
 
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
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
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
YOO SE KYUN
 
[mobidays] M report 9월호
[mobidays] M report 9월호[mobidays] M report 9월호
[mobidays] M report 9월호
Mobidays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Commerce story 1 market_0903
Commerce story 1 market_0903Commerce story 1 market_0903
Commerce story 1 market_0903
darez2009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
Chris (Juntak) Yoon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윤 동진
 
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
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
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
YOO SE KYUN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
Platum
 
[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
[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
[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
Platum
 
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
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
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
darez2009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
MezzoMedia
 
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
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
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Jong Gook Kim
 
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
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
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
Kyoung Jun Lee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
Platum
 
[Mobidays] M report 7월호
[Mobidays] M report 7월호[Mobidays] M report 7월호
[Mobidays] M report 7월호
Mobidays
 
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
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
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
2econsulting
 

What's hot (20)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Retail Digital Transformation Vol.1 (CES 2016를 통한 Tech Industry 진화 방향 검토)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와플세미나]Wi-fi,플랫폼으로진화하다_151006_희원
 
모바일오픈마켓
모바일오픈마켓모바일오픈마켓
모바일오픈마켓
 
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
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
201309_모바일 쇼핑 이용현황 및 전망_DMC미디어
 
[mobidays] M report 9월호
[mobidays] M report 9월호[mobidays] M report 9월호
[mobidays] M report 9월호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Commerce story 1 market_0903
Commerce story 1 market_0903Commerce story 1 market_0903
Commerce story 1 market_0903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
아마존과 월마트의 커머스전쟁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O2o 신사업전략기획 초안 동진
 
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
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
201002 모바일 빅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의 전자상거래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
 
[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
[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
[플래텀차이나리포트]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유통 혁명, 중국 신유토...
 
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
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
Commerce story 2 marketing_0903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Platum Report]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30세대 투자 트렌드 리포트
 
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
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
Monthly trend report 3월호 20100331
 
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
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
On-Off Integration Platforms: Trends and Strategy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
[플래텀차이나리포트]중국 전자상거래의 변화와 싼즈송슈
 
[Mobidays] M report 7월호
[Mobidays] M report 7월호[Mobidays] M report 7월호
[Mobidays] M report 7월호
 
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
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
투이컨설팅 제36회 Y세미나 : 설문결과
 

Similar to O2O 최근 동향(Nipa)

[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
[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
[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
Junhwa Kim
 
2015 미디어 트렌드
2015 미디어 트렌드2015 미디어 트렌드
2015 미디어 트렌드
MezzoMedia
 
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
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
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
Hakyong Kim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
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
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
Youngsil Kim
 
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
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
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Chang, Kyoungho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MezzoMedia
 
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nceo
 
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
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
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Kang ji yeon
 
[mobidays] M report 3월호
[mobidays] M report 3월호[mobidays] M report 3월호
[mobidays] M report 3월호
Mobidays
 
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
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
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Jong Gook Kim
 
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
websmedia
 
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
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
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
Digital Initiative Group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herrsong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Hakyong Kim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DMC미디어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
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
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Scm Logis
 

Similar to O2O 최근 동향(Nipa) (20)

[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
[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
[메조미디어] 2015 digital media report (issue&trend)
 
2015 미디어 트렌드
2015 미디어 트렌드2015 미디어 트렌드
2015 미디어 트렌드
 
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
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
B2C 산업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적용 사례 및 활용 방안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
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
슈퍼벤처Y 세번째 도전자 > NHC
 
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
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
스마트폰을 활용한 레스토랑 마케팅 방안(100701)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메조미디어] Mezzo Media_2013년 상반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_2013.07
 
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
 
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
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
Mobile marketing report_bkon communication
 
[mobidays] M report 3월호
[mobidays] M report 3월호[mobidays] M report 3월호
[mobidays] M report 3월호
 
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
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
Monthly trend report 4월호 20110430
 
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
 
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
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
옴니채널 시대의 마케팅 전략 (BGF디에스넷_이석훈팀장)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Ict 기업이 주도하는 fin tech 산업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dia Issue] 2011년 2월 Mobile 시장 현황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
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
디지털 경험을 바꾸는 Iot 기술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O2O 최근 동향(Nipa)

  • 1. Ⅱ. O2O 최근 동향 ICT Spot Issue ❙ 2014-10 1. 글로벌 화두로 부상하는 O2O 2. O2O의 개념 3. 최근 서비스 및 기술 동향 4. 맺음말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ICT Spot Issue 기술정책단 산업분석팀 조성선 수석
  • 2.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17 1 글로벌 화두로 부상하는 O2O o 유통업계의 화두, O2O(Online-to-Offline/Offline-to-Online) ○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가격, 편의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조건에서 쇼핑을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빠르게 증가 ○ 이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O2O 비즈니스가 글로벌 화두로 부상 ○ 국내에서도 O2O는 가장 유망한 투자 분야로 평가 ‒ 국내 주요 벤처투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 상반기 스타트업 유망 투자 분야’ 조사 에서도 조사 대상 벤처투자사 10곳 가운데 8개사가 O2O 부문 선정(전자신문사) o 국내외 주요 기업들은 O2O 비즈니스에 적극 진입 ○ 온라인 기업들은 오프라인에 진출하고 오프라인 기업들은 온라인을 적극 활용 ‒ 편리하지만 불확실한 온라인과 불편하지만 확실한 오프라인의 장점을 결합. 적용 분야도 음식 배달은 물론 운송, 관광, 패션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산 ○ 온・오프라인 연계 매개체는 모바일 ‒ 무선 광대역 환경의 정비, 소셜 미디어 및 GPS 탑재 스마트기기의 보급 확대 등이 O2O 등장의 배경으로 작용. 특히 향후 모든 기기에 인터넷 연결성을 부여하는 사물인터넷(IoT)은 O2O 확산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 [그림 II-1] 세계 주요 국/지역의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률 추이 및 전망 휴대전화 보급률 스마트폰 보급률 자료: Gartner, 2014.2Q., Strategy Analytics, 2014.7.
  • 3.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18 2 O2O의 개념 o 온・오프라인 연계 비즈니스로 정의되는 O2O ○ 정의 주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비즈니스를 의미 ‒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쉽게 얻을 수 있고 온라인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할인해서 바로 구매 가능하다는 장점 ‒ 기업 입장에서는 자자 제품, 서비스를 보다 쉽게 홍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 및 매장 관련 정보를 손쉽게 DB화하여 지속적인 고객 관리까지 가능하다는 장점 ‒ 특히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마케팅 활동이 어려웠던 중소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도 DB화된 고객 행동 분석 데이터(매장 주변 유동인구수, 방문자수, 체류시간, 재방문률 등) 기반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로 각광 ‒ 현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여러 형태의 O2O 사업이 전개되고 있으며, 향후 보다 많은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 <표 II-1> O2O 비즈니스 개념 및 주요 유형 O2O 개념도 O2O 유형 예 Online to Offline - 사전 등록한 가입자에게 SMS 등 다양한 온라인 기능을 활용 하여 이벤트 정보,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매장 으로의 방문 및 구매 유도 -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즐겨 찾는 브랜드 매장의 상품 정보, 할인쿠폰 등을 온라인(스마트폰 등)으로 바로 전송하여 구매 유도 - 예: 롯데백화점의 스마트쿠폰 등 - 온라인 구매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수케 하여 오프라인 매장 방문 및 구매 유발(상품 상태에 따라 즉시 교환, 환불도 가능) - 예: 월마트의 ‘Site to Store’나 롯데닷컴의 스마트픽 등 Offline to Online - 스마트폰 앱, QR코드 등을 통해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유도 - 실 점포와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포인트 통합 등 자료: 일본 총무성(2013.6.) 외 각종 자료
  • 4.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19 3 최근 서비스 및 기술 동향 o O2O 서비스, 초기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도입 ○ 배달 앱을 이용하여 단순히 오프라인 매장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초기 형태를 벗어나 최근에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은 물론 온・오프라인을 연계/통합하는 형태로까지 발전 <표 II-2> O2O 서비스의 유형 및 진화의 예 구분 내용 초기: 오프라인 매장과 소비자의 단순 연결 ○ 온라인(스마트폰 앱 등) 구매 → (오프라인) → (소비자) 배송 - 초기형태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음식배달 등이 이에 해당 ○ 온라인(할인쿠폰, 소셜미디어상의 추천상품 등 정보) 발송 → 오프라인 방문 및 구매 유도 - 패션 커뮤니티, 블로그 등에서 유명한 엠버스의 ‘써프라이즈 앱‘이 이에 해당 ※ 이용자가 앱에 등록된 주요 브랜드 중 원하는 브랜드를 체크해 놓으면 오프라인 할인이 시작될 때 정보 발송, 오프라인 방문 및 구매 유도 2단계: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간편 결재 가능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 ‘이지택시‘, ‘카카오택시‘, ‘헤일로‘ 등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콜 택시가 이에 해당 ※ 스마트폰 앱을 구동, 출발지와 목적지 등을 입력하면 GPS를 통해 이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택시와 1대1 연결.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재 가능(조만간 카카오페이 서비스 예정) ※ 등록된 택시가 호출된다는 점, 택시의 동선과 운전자의 신원, 타고 있는 택시의 위치 등이 모두 추적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안전성이 장점 3단계: 온 오프라인 연계/통합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방문 → (소비자) 상품/서비스 인수 - SK플래닛의 ‘시럽 오더‘,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 등이 해당.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이용자가 앱을 실행하면 주변 제휴매장과 상세 메뉴 제공. 이용자는 매장에 가지 않고 맞춤형 주문 및 모바일 결제 → 상품/서비스 제작 완료 알림 → 이용자는 오프라인을 방문하여 대기시간 없이 상품/서비스 인수 - 롯데닷컴의 ‘스마트픽‘, 월마트의 ‘Site to Store‘ 등도 이에 해당 ※ 온라인 구매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인수하며 상품 상태에 따라 즉시 교환, 환불도 가능 ○ 오프라인(매장 혹은 매장 인근) → 비콘 등을 통한 사용자 인식 → 온라인(할인쿠폰, 상품 정 보 전송) → 오프라인 매장 방문 및 구매 유도 - 롯데백화점의 ‘스마트 쿠폰‘ 등이 이에 해당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방문 → (소비자) 상품 인수/구매 (오프라인 매장의 물류기지화) - 국내의 라인, 카카오, 미국의 아마존 등이 오프라인 매장 개설(혹은 추진) ※ 아마존: 뉴욕 맨하튼에 소규모 창고형 매장 개설 예정. 아마존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의 인수(당일 배송), 교환, 반품의 장으로 활용 예정. 또한 자사 주력상품(전자책 단말기 킨들, 태블릿 킨들 파이어, 스마트폰 파이어 등)도 판매 예정 ※ 라인, 카카오 등은 유명백화점 등과 연계, 상설매장을 열고 각사 유명 캐릭터를 활용한 상품 판매
  • 5.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0 o 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O2O 서비스 도입 확산 ○ 최근 대형마트, 백화점 업계는 물론 SK플래닛, 삼성전자에 이르기까지 거대 기업 들이 속속 O2O 시장 참여 ‒ (SK플래닛) 지난 6월 O2O 기반의 ‘넥스트 커머스’를 공개하고 스마트월렛․OK캐쉬백․기프 티콘 등을 통합한 커머스 브랜드 ‘시럽(Syrup)’을 공개 ※ 8월 판교의 복합 쇼핑몰에 '시럽쇼핑 존'을 처음 개장. 최근에는 신촌 현대백화점의 30개 브랜드와 연세로 주변 23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동 서비스를 시작 ※ 시럽 앱을 설치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작동한 후 시럽쇼핑 존에 들어가면 실내 위치 파악 기술인 ‘비콘’을 활용해 이벤트, 할인혜택 등이 고객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 ‒ SK플래닛은 또한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기업인 ‘샵킥(Shopkick)’ 인수를 통해 한국과 미국을 잇는 커머스 생태계 구축도 추진 ※ 샵킥은 비콘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점 내 이동을 인지, 자동 체크인하여 포인트 제공, 이벤트 참여, 가격 할인 등의 O2O 서비스 제공. 미국 14개 대형 유통업체의 1만 2,000여 개 매장에서 이용 가능. 코카콜라 등 150여 개 글로벌 기업과 제휴, 상품 정보와 할인 쿠폰 제공 ‒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앱을 설치한 고객이 백화점 내 할인행사를 하는 매장 앞을 지나갈 때 스마트폰으로 할인쿠폰을 자동 발송하는 ‘스마트쿠폰’ 서비스를 실시 ‒ (롯데닷컴) 온라인에서 주문한 의류나 신발 등을 인근 백화점 매장에서 확인 후 픽업하는 ‘스마트픽’ 서비스를 시작 ‒ (삼성전자) O2O 사업의 일환으로 SPC그룹과 협력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범운영에 돌입 ※ SPC(파리크라상․파리바게뜨․배스킨라빈스․던킨도너츠․샤니․삼립식품 등 식품전문업체)가 마련한 ‘SPC스퀘어’ 매장에 들어가면 삼성전자의 위치기반 커머스 서비스 기술이 스마트폰으로 이벤트 정보와 쿠폰 등을 자동으로 전송 ‒ (카카오) 다음과 합병한 이후 가장 중요한 협업 프로젝트로 O2O를 제시한 카카오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플러스친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비즈프로필 등 다양한 O2O 서비스 전개 ‒ 최근에는 소상공인이 사용자와 직접 메신저로 소통하며 마케팅 창구를 확대할 수 있는 ‘옐로아이디’ 서비스도 시작 ※ ‘옐로아이디’는 카카오톡에서 소상공인들이 고객과 친구를 맺고 채팅방에서 실시간 1:1 상담은 물론 각종 소식을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 이 외에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많은 기업들이 O2O 서비스 도입 활기
  • 6.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1 <표 II-3> 산업분야별 O2O 서비스 도입 사례 구분 업체 내용 음식 배달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등 - 오프라인 배달업체와 고객을 연결하는 서비스 - 상점은 앱에 가입된 고객을 대상으로 쿠폰 및 할인 이벤트 등을 제공 - 고객은 다양한 업체의 정보를 한 곳에서 원스톱 쇼핑 - 국내 배달앱 시장 규모는 1조 원대(전체 음식배달 시장의 10% 규모) 운송 이지택시, 카카오택시, 헤일로 등 - GPS 기반 택시 호출(call) 서비스 - 기존 택시서비스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 인터넷, 모바일로 택시 호출, 간편결제를 이용하는 휴대폰 결제 - 이지택시가 서비스 중이며 카카오택시, 헤일로 준비중 패션/뷰티 등 엠버스 - 써프라이즈앱에 등재된 250여개 패션 뷰티 브랜드 중 소비자가 등록한 브랜드로부터 할인 정보 수신 - 소비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매장을 지나거나 방문했을 때 이를 자동 확인 하고 최신 할인 쿠폰 등을 알려주는 위치기반 서비스(써프라이즈박스)도 제공 숙박 데일리 - 데일리호텔 앱(당일 호텔 예약 앱)을 통해 기존 호텔 예약 서비스와 달리 당일 잔여 객실만을 판매함으로써 최대 70%의 할인율을 적용 - 가격 외에 호텔 평가, 객실 이용비용, 위치, 제공 서비스 등을 고려해 비 용대비 가장 효율적인 호텔 상품을 사용자에게 추천 관광 짜이서울 - 짜이서울닷컴. 중국 관광객들이 좋아할 만한 관광 코스, 음식점 등 전반 적인 관광 정보와 함께 할인쿠폰 제공 자료: 각종 자료 o 중국, 미국, 일본 등 해외 여러 나라에서도 O2O 서비스는 급격하게 확산되 고 있으며 사업 개발 및 확장을 위한 투자도 활발 ○ 중국의 알리바바, 텐센트 등은 O2O 시장 선점을 위한 M&A까지 진행 중 ‒ (알리바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2013년 9월 출시한 모바일 메신저 라이왕을 통해 O2O 시장에 진출 ‒ 최근 네비게이션 1위 업체 오토네비의 지분 20%를 확보하여 위치기반 O2O 서비스로 영역 확대 도모. 또한 6억 9,200만 달러를 투자해 중국 내 고급 백화점인 인타임리테일 지분 26% 확보. 향후 인타임리테일과 합작사를 설립해 O2O 서비스를 개발할 것으로 예상 ‒ 2013년 4월, 콜택시 앱 서비스 업체인 콰이디다처(快的打車)에도 1,600만 달러 투자 ※ 콰이디다처의 이용고객은 2,300만 명, 1일 평균 서비스 주문량은 30만 건 이상으로 추정 ‒ (텐센트) 2013년 9월, 중국 대표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들이 상품을 판매하고 쿠폰을 제공하는 O2O 마케팅을 추진한 이래 중국 내 유명 O2O 서비스 업체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사업을 확장
  • 7.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2 ‒ 위챗과 연계한 O2O 서비스를 강화하여 온라인 전자 상거래 강화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 판매 사업까지 영역 확장 ‒ 2014년 4월 약 1,500만 달러를 콜택시 앱 서비스업체인 디디다처(滴滴打車)에 투자한 데 이어 올해 중신은행 등과 함께 1,000만 달러를 추가 투자 ※ 디디다처 이용고객은 3,000만 명, 1일 평균 서비스 주문량은 50만 건 이상으로 추정. 2014년에 디디다처는 약 100개 도시에 진출할 계획이며 1일 서비스 건수는 100만 건으로 증가 예상 ‒ 이 외에 맛집 평가 서비스 ‘따중디엔핑’을 인수하였으며 6월에는 7,500억 원을 들여 부동산 임대 등 온라인 생활 정보 제공 사이트 58닷컴을 인수 ○ 미국에서도 애플, 구글 외에 대형 유통업체들도 적극 참여 ‒ (애플) 애플은 O2O 서비스를 위해 전용 비콘 단말기인 '아이비콘'(iBeacon)을 선보이고 미국 내 254개 애플스토어와 150개 슈퍼마켓에서 서비스를 시작 ※ 아이비콘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4.0)와 비콘(Beacon)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아이비콘 이후 BLE 비콘이 O2O를 위한 기술로 부상(후술 참조) ‒ (구글) 구글도 '니어바이'(Nearby)라는 서비스를 개발중 올초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을 3조원이 넘는 거액을 들여 인수 ‒ (월마트)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자사 온라인 몰에서 주문 후 매장에서 수령하는 ‘Site to Store’나 주문 당일 매장에서 수령하는 ‘Pick up Today’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 또한 월마트 이용 고객의 대다수인 저소득층 고객을 위한 ‘Pay with Cash’ 서비스도 시행 ※ 저소득층은 신용카드 보유 비율이 낮아 온라인에서 결제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온라인에서 주문을 하고 매장에 와서 현금을 지불하면 그 자리에서 주문 제품을 수령하거나, 택배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 ‒ (아마존) 온라인 유통 전문업체 아마존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오프라인에서 수령하게 한다는 전략 하에 11월 쇼핑 시즌에 맞춰 뉴욕 맨해튼에 오프라인 매장 개설 계획 ‒ 아마존닷컴에서 구매한 물품의 배송, 환불, 교환 외에 파이어TV 셋톱박스, 태블릿 PC인 킨들 등 아마존닷컴의 제품도 판매 예정. 이 매장의 성공 여부에 따라 미 전역으로 오프라인 지점 확대 개설도 계획 중 ○ 일본에서는 라인이 선도 업체의 하나로 부상하는 가운데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전개 ‒ (라인) 2012년 12월, 일본內 약 3만개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서로 커뮤 니티를 구성하거나 쿠폰 및 상품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라인앳(LINE@) 서비스 제공 ‒ 최근에는 일본에서 현지 운수업체 니혼코쓰(日本交通)와 손잡고 앱으로 택시를 호출하는
  • 8.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3 ‘라인택시’를 연말까지 선보일 예정 ‒ 또한 국내 음식 배달 앱 전문 업체인 우아한 형제들(배달의 민족)과 합작사를 설립, 앱으로 음식을 주문해 배달 받는 ‘라인 와우’ 서비스도 출시 예정 <표 II-4> 일본의 O2O 서비스 유형 및 사례 구분 내용 SNS연계(소셜 커머스) - 사이트상의 검색 결과, 소셜 미디어상의 설명이나 소문 등의 정보에서 팬을 만들어 상품·서비스의 구매로 연결 - 예: 타마 홈, Viva Japan, Partner Categories, Tab, FourSquare 등 소셜 기프트 - 지인, 친구에게 “커피 한잔” 등과 같이 상품·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는 선물(gift)을 메일 등으로 전송하는 방법 - 예: 기프티(giftee), Mixi Birthday, Happy Flower, Beer to Friends 등 공동 쿠폰 구입 (플래시 세일) - 기간 내에 목표 인원을 정하여 할인 쿠폰을 구입하는 구조. 그 쿠폰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할인 가격으로 구매. 공동 쿠폰 구입 사이트, 쿠폰 사이트 등 이 여기에 해당 - 예: 구루폰, 셰어리(shareee), PONiTS 등 할인 쿠폰 포인트 - 사전에 등록한 점포 등에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할인 쿠폰으로 상품·서비스를 구매. - 예: Line 쿠폰, Line@, Smapo, 樂天UBIRA, Passbook, RecoCheck 등 실제 점포와 EC사이트간 정보 협력 (포인트 공통화, 구매 정보 관리 등) - EC사이트와 실제 점포의 포인트를 통합, 공통화. 타사 간 포인트를 공통화, 교환 하는 방법. EC사이트와 실제 점포의 상품 정보, 구매 정보를 공유하는 고객에게 혜택 부여 - 예: 樂天R포인트, 세븐 온라인 쇼핑, JAL호텔과 제국 호텔의 포인트 연계 등 네트워크 슈퍼 - EC사이트에서 고객이 주문을 하면 가장 가까운 점포 등에서 구매 상품 배달 - 예: 樂天 네트워크 슈퍼, 이토 요카도 네트워크 슈퍼, 이온 네트워크 슈퍼 등 자료: 일본 총무성, 2013.6. o 핵심 기술 및 최근 동향 ○ O2O 서비스가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인 만큼 동 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해서 보면, ‒ 온라인 기술은 스마트폰/앱, 모바일 네트워크, DB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오프라인 기술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GPS, Cellular Network, Wifi)과 이들 기술을 보완하기 위한 Micro Location 기술로 구성 ‒ Micro Location 기술에는 NFC, QR코드 등 다양한 기술이 있으며, 최근 저전력 블루투스 (BLE: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4.0)와 비콘(Beacon) 기술을 결합한 BLE 비콘이 O2O를 위한 기술로 부상
  • 9.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4 <표 II-5> Micro Location 기술의 현재와 미래 현재 미래 NFC/RFID QR Code 비가청 음성통신 BLE Beacon/iBeacon 특징 전파통신과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 카메라를 이용한 방식 음파를 활용하여 정보 전달 Blutooth LE 신호 발생장치를 이용한 기술 센서 NFC 안테나 & 칩 카메라+이미지 프로세싱(앱에 탑재) 마이크+오디오 프로세싱(앱에 탑재) Blutooth 4.0 이상 지원 칩과 안테나 정확도 cm 단위 수십 cm~m 단위 수십 cm~수 m 단위 수십 cm 단위 사용자 편의성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필요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필요 구현에 따라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필요 사용자의 능동적 행동 불필요 비고 사용자 편의성이 낮고 복제 용이. 제작 용이 사용자 편의성이 낮고 복제 용이. 제작 용이 폭넓은 지원기기와 사용자 행동 최소화 현지 지원기기가 20~40%로 낮음 자료: Digieco, 2014.7.24. ○ BLE 비콘은 먼 가용거리, GPS 기술로 불가능했던 실내 위치 정보 제공 등이 큰 장점 ‒ BLE 비콘은 근거리 위치 인식 기술을 적용한 무선 센서로 블루투스 4.0을 탑재한 스마트폰 등이 감지 영역 내로 진입할 경우 상호 인식을 통해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마케팅 활동과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 Apple이 Paypal과 함께 iBeacon을 개발, 적용하기 시작한 이후 BLE 비콘은 O2O 서비스의 핵심 솔루션으로 부상 ‒ 국내의 경우 SK텔레콤이 금년 5월에 소규모 점포나 병원, 전시장 등 다양한 비콘 사용 환경을 유형화하고 그에 최적화한 4종의 비콘 출시. 또한 관련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플랫폼인 위즈턴(WIZTURN)도 출시 ※ ‘위즈턴’은 비콘을 활용해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실내 측위 플랫폼(Indoor Location Platform) <표 II-6> SK텔레콤이 출시한 비콘 유형과 특징 구분 내용 페블(pebBLE)형 - 작은 조약돌 형태 - 옷가게, 음식점 등 소규모 환경에 최적화 마블(marBLE)형 - 대용량 배터리 탑재 - 병원, 공항 등 대형시설에서 실내 내비게이션 등의 서비스 가능 님블(nimBLE)형 - 전시장, 갤러리 등 단기 이벤트가 진행되는 장소에 최적화 트레블(treBLE)형 - 경기장, 콘서트홀 등 넓고 야외와 맞닿은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 자료: 각종 자료
  • 10.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5 ‒ BLE 비콘을 적용한 방식은 블루투스 기반 기술인만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블루투스를 활성화 해야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단점도 존재 ‒ 또한 자발적인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NFC/QR코드 방식과 달리 비콘 방식은 인식 거리 내에 진입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므로 원하지 않는 소비자에게 원하지 않는 수 많은 정보(스팸)가 발송될 가능성도 존재 ○ 한편 많은 기업들이 BLE 비콘 외에 음파, 와이파이 등을 활용한 솔루션들을 개발, 비즈니스 전개 <표 II-7> 국내 주요 O2O 솔루션 사업자 예 사업자 솔루션 내용 비콘 기반 열두시/ 아이팝콘 얍(YAP) - 블루투스 외에 고주파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비콘 기술인 ‘팝콘’과 모바일 스탬프, 쿠폰, 멤버십, 결제수단 등을 통합 제공 - ‘팝콘’은 매장의 비콘과 사용자 스마트폰을 연계하는 형태. 비콘 신호 도달 거리 안에 스마트폰이 접근하면 신호를 내보내고, 스마트폰이 이를 인식해 서버로 다시 신호를 보내면 서버는 그 위치에 설정된 이벤트 등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 - ‘팝콘’은 스타벅스 사이렌오더에 적용돼 안정성 검증 - 10월 현재 CU편의점, LG생활건강 비욘드, AK플라자, 현대아울렛, TGIF, 반디앤루니스, 차이나팩토리 등 전국 1만여 개 매장에 팝콘 설치 한국정보공학 키 비콘 - 독자적인 비콘 기술로 개발한 비콘 통합 플랫폼 - 마케팅과 인력관리, 실내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 - 실내측위 관련 MAP관리, POI 관리는 물론 원격 배터리 관리 등도 포함 - 금년 9월 인도네시아 현지기업과 키비콘 솔루션 구축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진출도 관심 음파 기반 퍼플즈 사운드태그 - 사람이 잘 인지하지 못하는 고주파 대역의 음파를 사용 - 스마트폰이 매장내 스피커에서 음파를 수신하면 해당 앱이 사용자의 위치를 인지하고 상품·할인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 - 15,000㎐~20,000㎐ 대역의 고주파를 사용해 600만개 이상의 소리 제작 - (퍼플즈는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기반의 솔루션인 ‘레코’도 개발) 와이파이(Wi-Fi) 기반 조이 코퍼레이션 워크인사이트 - 유동인구수, 방문자수, 체류시간, 재방문률 및 구매전환율, 날씨 영향도 등을 수집·분석해 매장주에게 제공 - 금년 10월 현재 국내 200개 매장(약 60개 브랜드), 해외 300개 매장에 공급, 데이터 분석 중심의 O2O를 개척 지니 네트워크스 왓츠업 (waasup) - 무선접속장치(AP) 기반으로 고객 행동을 분석해 마케팅과 영업활동을 도 와주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 Wi-Fi를 사용하여 운영체제(OS)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특징 - Wi-Fi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매장주에게 매장 주변의 유동인구 수, 매장 방문자 수, 재방문 고객 비율, 매장 체류시간 등 고객 행동 분석 데이터를 제공, 고객 분석을 통한 프로모션 방안 수립 가능 자료: 각종 자료
  • 11.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6 o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많고 향후 사물 인터넷과 연결될 수 도 있다는 점에서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 국내 오프라인 상거래 시장은 약 300조 원 정도로 추정. 반면 전자 상거래 시장 규모는 약 30조 원으로 오프라인 시장의 10% 수준에 그치고 있는 점, O2O 서비스 시장이 향후 사물 인터넷과도 연결될 수 도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높은 성장성이 예상(교보증권, 2014.8.) ※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3년 기준 약 38.5조원 ‒ 특히 콜택시, 음식 배달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가 많다는 점 역시 O2O 서비스 시장 확대의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 ‒ 해외의 경우, Nomura Research는 일본의 O2O 서비스 시장 규모가 2011년 약 24조 엔 규모에서 2017년에 약 51조 엔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경우 2012년 986억 RMB에서 2015년에는 4,188억 RMB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Kotra, 원소스 모부왕(魔部网)) [그림 II-2] 중국, 일본의 O2O 시장 전망 < 일본 > < 중국 > 자료: NRI, 2013.1., Kotra(http://www.globalwindow.org), 2014.4.
  • 12.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7 4 맺음말 o 모바일을 매개로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O2O 서비스는 유통산업의 새로운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 ‒ 고객의 편의성 추구, 무선 광대역 환경의 정비, 잠재력 있는 시장 등이 맞물리며 O2O 서비스는 유통문화의 지각변동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 ‒ 음식배달과 같은 초기 형태의 서비스는 물론 운송, 패션/뷰티, 숙박, 관광 등 다양한 산업분 야에서 기존 기업은 물론 중소・벤처・창업 기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에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o 아직은 해결해야 할 다양한 과제도 존재. 특히 고객의 능동적 참여 유도와 보안은 가장 중요한 요소 ○ 고객의 저항을 넘어 능동적 참여를 유발해야 ‒ 수많은 사업자의 참여로 인해 예를 들어 비콘 기능 등을 활성화 한 채 쇼핑몰 인근을 지나거나 쇼핑몰에 들어갔을 때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수많은 스팸성 상품정보, 혹은 할인쿠폰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객이 단말기에서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저항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비콘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마트폰에 앱을 다운받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며, ‒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경험 기술 등 소비자가 가치를 인정할 만한 다양한 서비스 발굴이 필요 ○ 보안은 가장 중요한 요소 ‒ O2O 서비스는 태생적으로 고객의 편의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의 하나로 추구하며 자연적으 로 보다 정교한 서비스를 위해 최대한 많은 고객 정보 수집 추구. 따라서 O2O 서비스 기업에 있어 보안은 사용자의 충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제 ‒ 특히 서비스 진화 과정상 대개의 경우 편의성의 핵심인 간편 결제를 수반하게 될 것이고, 이 같은 정보는 기업內 관리도 중요하겠지만 외부로부터의 악의적 공격에 노출될 경우 기업의 존립과도 연결되는 중요한 과제 o 산업 활성화를 위해 법․제도 측면에서의 보완 혹은 지원 필요성 여부에 대한
  • 13. ICT SPOT ISSUE Ⅱ. O2O 최근 동향 28 다각적인 검토 필요 ‒ O2O는 이제 이륙 단계의 서비스로 전산업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개발될 여지가 무궁무진하며, ‒ 일부 선행주자가 있기는 하나 아직은 주도적 기술이나 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에게도 커다란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음 ‒ 따라서 법․제도 측면에서 선제적으로 보완 혹은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그 일환으로 먼저 국내 O2O 산업 전반에 대한 충분한 조사연구를 추진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