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접수번호
『 2016년 스 마 트 창 작 터 」 사 업 계 획 서
회사
개요
기 업 명
(아이템명)
Piikr  주민등록번호 810607 - 1******
주   소  -
대 표 자 송형우 전화번호 - 홈페이지 http://ubabog.wixsite.com/piikr
업종 지식서비스(콘텐츠) 기업유형 예비창업자
팀원수
(종업원수)
2
기업규모
연 도 2014년 2015년 비고
매출액(백만원) - - -
팀원 - - -
담당자
성 명 송형우 부 서 기획/영업 직 위 공동대표
연 락 처 전화번호 - 휴대폰 010-6781-3032 이메일 hwsong67@gmail.com
아이템명 주요내용
Piikr
Piikr는 Pick interesting images and keep relationships의 약자입니다.
상품(제품, 서비스, 매장 등)에 대한 사진를 게시하는 SNS 기반의 온라인 카탈로그 서비스, 일명
Social Network Catalog입니다.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사진 게시물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
으로 문화 콘텐츠를 창작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이자, 업체 간의 shop-in-shop
을 위한 공간 공유 플랫폼입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에게 상품의 사진을 전문적으로 모아 놓은 플랫폼을 제공하여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서비스를 돌아다니며 검색하는 수고와 불편함을 덜어주고, 상품 사진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의 제작을 지원하는 문화 콘텐츠 창작 플랫폼입니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지원사업 규정을 준수하면서, 동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아울러 심의과정에서의 채무불이행 등 신용조회 및 과제 관리를 위한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합니다.
2016년   8 월  13 일
                        신 청 자(대표자) :             송 형 우    (인)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장 귀하
『2016년 대구광역시 청년창업지원」
글로벌 진출 역량강화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
개 요
소 개
매체와 채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광고의 절대적인 양도
증가했고, 소비자의 광고회피현상 역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광고회피는 TV나 신문의 광고 회피에 비해 크게 높
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런 광고회피현상을 피하여 온라인 마케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
광고 수요층을 타깃으로 하는 마케팅 플랫폼을 구축하여 이들에 의해 광고
게시물이 문화 콘텐츠로 창작을 유도하고, 이 창작물을 타 SNS로의 공유를
통한 온라인 마케팅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구성원 소개
공동대표 송형우(기획/영업), 공동대표 안은정(디자인/마케팅)
개발자 모집 중
사업개요
Piikr는 상품(제품, 서비스, 매장 등)의 사진을 게시하는 SNS 기반의 온
라인 카탈로그 서비스, 일명 Social Network Catalog입니다. 상품 판매
자(제품 판매자, 서비스 제공자, 매장 운영자 등)를 위한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이자, 업체 간의 shop-in-shop을 위한 공간 공유 플랫폼입니다.
또한 사진 게시물을 SNS형식의 온라인 카탈로그 형식으로 일반 사용
자들에게 제공하고 해당 아이템의 모든 구매 채널들을 연결하여, 사용
자들이 상품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서비스를 돌아다니며 검색하는 수
고와 불편함을 덜어주는 쇼핑을 위한 참조 서비스입니다.
벤처 문제에
대한 개념/해결책
해결되어야 할
문제 또는
시장성
온라인 마케팅 시장의 지속적 성장으로 인해 소자본 업체∙개인들조
차 과도한 비용과 노력을 투입해서라도 소셜 광고를 진행하고 있습
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소셜 광고에 대해 가지는 부
정적인 인식(광고회피현상)으로 인해 들인 비용과 노력에 비해 마케
팅의 효과가 저하되고 있습니다.
당신은
고객에게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는가?
소셜 미디어 이용자∙소비자들은 필요한 콘텐츠나 서비스 이외 불필
요한 광고에 대한 노출로 불쾌감을 갖기 쉬우며 회피하려고 노력합
니다. 이런 소셜 소비자들의 광고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소셜
광고의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오락성, 정보성, 개인 맞춤성 강화
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기업/브랜드 정보
획득 동기를 가진 이용자들은 광고회피 수준이 낮고, 관계 지향적
이용자들은 광고회피 수준이 높게 나타납니다.
Piikr는 정보 획득 동기를 가진 사용자(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을 1
차적인 타겟으로 하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주요 고객인 상품
판매자들에게 다른 어떤 소셜 미디어에서의 마케팅보다 더 뛰어난
마케팅을 효과를 제공합니다.
당신의 해결책
또는
가치(제안)이
무엇인가?
Piikr에서는 시용자들이 카탈로그의 사진을 활용하여 문화 콘텐츠
(사용자 제작 매거진, User-Created Magazine)를 제작∙배포할 수 있
습니다. 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1차적 마케팅 후, 이들이
창작하는 UCC를 통해 타 소셜 미디어에서의 2차적 마케팅이 가능
한 구조입니다. 특히 2차적 마케팅 단계에서 제공되는 문화 콘텐츠
로 가공된 소셜 광고는 광고회피현상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이 주된 사용자인 마케팅 플랫폼을 상
품 판매자들에게 제공하여 온라인 마케팅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자 합니다.
시장 기회
산업 또는
시장의 구조와
특징
국내외 광고시장은 전반적으로 정체 혹은 소폭 증가세에 머물고
있으나, 모바일 광고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향후 모바
일 광고시장의 규모와 성장세가 커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입니
다. 특히 젊은 세대들이 TV시청, 쇼핑, 이동 등 일상생활 속에서 모
바일을 통한 SNS, 검색, 쇼핑, 콘텐츠 이용 등 다앙한 행태를 보이
고, 방송미디어를 TV, 신문 등의 기존 매체가 아닌 모바일로 이용하
는 등 기성세대와는 다른 매체이용행태를 보이고 있어 이러한 전망
에 더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크기, 돈의
가치 및
구성단위가
어떻게
되는가?
광고시장은 크게 전통 매체 광고와 온라인 매체 광고로 구분됩니
다. 전통매체 광고는 방송광고, 인쇄광고, 옥외광고, 기타광고로 구분
되며, 온라인 매체 광고는 온라인 매체 광고는 인터넷 광고와 모바
일 광고로 구분됩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현재 국
내 광고시장은 10조 9,722억 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온라인 광
고시장의 매출은 3조 72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온라인 광고시장
중 특히 모바일 광고시장의 매출은 7,205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성장 가능성
국내 광고시장의 39%를 차지하는 방송광고 시장의 매출 성장률은
2013년 대비 0.02%로 정체 수준이고, 신문 및 잡지 등 인쇄광고 매
출은 오히려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온라인 광고시장은 전체 광고시장에서의 매출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모바일 광고시장의 매출은 2013년 대비 52.4%
증가하여 타 매체광고에 비해 월등한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온라
인 광고시장에서의 모바일 광고시장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2012
년 9.1%에서 2014년 23.6%로 2.5배 이상 증가했으며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객층
Piikr의 고객층은 상품 판매자와 일반 사용자입니다.
상품 판매자는 제품(의류, 액세서리, 패션잡화 등) 판매자, 서비스
(네일아트, 헤어숍, 각종 테라피 등) 제공자, 매장(카페, 음식점 등)
운영자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한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업종 중 Piikr
스타일에 어울리는 판매자들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10~30대의 소셜 미디어 이용자로 상품 구매 또는
정보 수집을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적극적인 광고 수요자들
로, 이들의 초기 활동으로 인해 Piikr는 상품을 구매하고 하는 사람
들이 상품에 대한 정보 획득과 해당 상품의 구매 채널로의 이동을
위해 가장 먼저 참조하게 되는 서비스가 될 것입니다.
시장 전략
판매 경로는
무엇인가?
Piikr의 핵심은 이미지 콘텐츠의 확보로, 홍보·광고 목적을 가진 개
인·업체들(광고 공급자)이 자신들의 제품·매장 등의 사진을 자발적으
로 게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콘텐츠 확보의 첫 단계로 제품 마케
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플리마켓 셀러들과 지역에서, 소규모 운영
하고 있는 카페 운영자를 대상으로 파트너를 모집합니다. 이후 다양
한 영역의 상품 판매자들 모집하여 콘텐츠를 확보합니다. 월간 활동
사용자 수가 10만 명이 넘어서는 시점에서 월 이용료를 과금할 계
획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에게 수
익이 발생하는 구조가 만들어지면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과금할 계
획입니다.
유통 경로는
무엇인가?
초기 상품 판매자(플리마켓 셀러, 카페 운영자)의 확보는 대면 접촉
을 위주로 진행합니다. 초기 파트너와의 베타 서비스 운영을 통해
온라인 마케팅 도구로서의 효용을 입증하고 이를 토대도 다른 영역
의 판매자들을 확보∙확대합니다.
Piikr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20대들을 대상으로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또한 타겟 광
고가 가능한 소셜 미디어 위주의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일반 사용
자를 확대해 나갑니다.
전략적
제휴(협력관계)
는 누구와
함께 하는가?
광고·홍보를 위한 사진을 올리는 업체 및 개인(제품 판매자, 매장
운영자 등)들이 Piikr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이들이 제공하는 사진들
이 핵심 콘텐츠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광고회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문화콘텐츠로의 재창
작)가 제작됩니다.
또한 파트너 상호(판매자와 매장) 간의 Shop-In-Shop을 위한 비즈
니스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여 Piikr 참여자들이 온라인 마케팅 외의
부가적인 이윤을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시장
침투(점유율,
보급률)
가능성은
어떠한가?
플리마켓을 타깃으로 하는 e-Commerce 서비스는 존재하지만, 이
들의 제품 홍보를 위한 SNS 형태의 마케팅 서비스는 없습니다.
e-Commerce 서비스는 제품의 정보 제공과 구매를 동시에 제공하기
에 소비자에게 편한 측면이 있지만, SNS에 비해 마케팅 효과는 떨
어집니다.
경쟁적인
우위(이점)과
위험요소들
당신의
틈새시장은
무엇인가?
과도한 정보와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상품(제품 또는 서비스) 정보
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광고 게시물을 탐색하는 사용자(적극적 광
고 수요자)들에게 상품 구매의 1차적 정보로서 해당 아이템의 이미
지를 제공하고, 구매를 위한 채널(개인 쇼핑몰, 오픈마켓, 메신저 등)
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정보 탐색의 수고와 번거로움을 해결
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마케팅 할 수 있는, 상품 판매자
들을 위한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사용자와 판매자가 광고 게시물을 통해 만들어내는 새로운 문화
창작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2차적인 온라인 마케팅
기술 유창성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들 수 있는데 이들조차도 광고회피현상을 피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정보에 기반한 뉴스피드 광고
는 잠재고객에 대한 광고 노출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실질 구
매층을 표적화하지 못합니다. 또한 인위적인 호감도 표시를 인한 정
보조작 또한 발생하고 있습니다.
Piikr는 광고회피현상을 적극적인 광고 수요자(실질 구매층)들을 1
차적인 타겟으로 정하고 그들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서비스를 제
공합니다. 그리고 이들 광고 수요자들은 획득한 정보를 재창작하여
문화 콘텐츠로 변환, 이를 잠재고객에 대한 마케팅 콘텐츠로 활용합
니다. (광고회피현상 감소)
어떤
장벽(문제점)들
이 있는가?
낮은 인지도와 검증되지 않은 마케팅 효과성으로 인한 초기 파트
너 모집·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인 만큼
파트너들을 상대로 한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와 신뢰를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중요한 위험
요소들은
무엇인가?
메이저 소셜 미디어들의 유사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중요한 위험
요소입니다. 그들은 막대한 자본력과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기존 서비스에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스타트업으로서는 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사업 초기 비즈니스 컨셉에 대한 일반 사용
자층에서의 서비스 인지와 인플루언서들을 활용한 콘텐츠 확산, 스
타 마케팅을 통한 홍보 등으로 시장 선점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성공
요인들은
무엇인가?
실질 구매층을 일반 사용자 회원으로 확보하고 있는 온라인 마케
팅 플랫폼이라는 점과, 이들 일반 사용자들이 판매자들의 아이템 사
진을 활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고 이를 배포∙확산시키는 구
조를 통한 이중적인 마케팅 시스템이 타 소셜 미디어와 차별되는
Piikr의 중요한 성공 요인입니다.
기술력
지적재산권
(특허, 상표명)
무엇인가?
사업 시작 전이라 보유하고 있는 지적 재산권은 없습니다.
그 기술은
보호(특허)지적
재산권받은것
인가?
현재는 없지만 개발 단계에서 독창적인 기술과 BM을 개발하여 특
허를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당신의
최신기술
(기술 현황)은
무엇인가?
사업 시작 전이라 보유하고 있는 최신 기술은 없습니다.
미래의 기술력
변화들이
무엇이 될
것인가?
웹과 앱의 기술력 향상이 새로운 UI와 UX를 가능하게 만든다면
Piikr의 UI와 UX 또한 한층 더 사용자 친화적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제조/생산
직접 제조할
것인가 또는
외부위탁으로
제조할
것인가?
아직 개발자가 합류하지 않은 관계로 프로토타입은 외부위탁을 통
해 개발할 예정입니다.
베타 서비스 버전과 정식 서비스 버전은 자체 개발을 계획 중입니
다.
현재와 미래의
자본설비
요건은
무엇인가?
현재는 조직을 위한 물리적인 공간,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와 서버
등의 설비, 마케팅과 영업 등에 필요한 비용 등을 필요로 하며, 향
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증설, 조직 관리를 위한 인력
과 설비 그리고 파트너 업체들의 관리를 위한 인력과 설비를 필요
로 합니다.
규제적,
환경적인 어떤
다른 법(규정)
준수 문제들을
받아들일
것인가?
현재의 법과 제도, 규제 내에서 무리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
며, 새로운 규제가 만들어지더라도 최대한 지키는 방향에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세우겠습니다.
관리팀
그들은
누구인가?
사업 시작 전이라 관리팀이 없습니다.
그들은 무엇을
했었는가?
사업 시작 전이라 관리팀이 없습니다.
팀 내에서
어떤
차이점들이
있는가?
사업 시작 전이라 관리팀이 없습니다.
재정
앞으로 5년간
당신의 예상
수익은 어떻게
되는가?
월간 활동 사용자수(Monthly Active User, MAU) 기준 10만 명 이
상 시점에서 50,000원의 플랫폼 이용료 과금. 이를 토대로 예상 매
출 산출
~ 6개월차 베타 서비스 (기간 내 MAU 10만 확보)
7~12개월차
판매자 2,000 업체 , 매장 500 업체
50,000원 × 2,500업체 × 6개월 = 750,000,000원
13~24개월차
판매자 6,000 업체 , 매장 1,000 업체
50,000원 × 7000업체 × 12개월 = 4,200,000,000원
25~36개월차
판매자 18,000 업체 , 매장 2,000 업체
50,000원 × 20,000업체 × 12개월 = 12,000,000,000원
37~48개월차
판매자 36,000업체 , 매장 4,000 업체
50,000원 × 40,000업체 × 12개월 = 24,000,000,000원
49~60개월차
판매자 50,000 업체 , 매장 6,000 업체
50,000원 × 56,000업체 × 12개월 = 33,600,000,000원
합계 74,550,000,000원
총이익(총수익)
은 얼마인가?
총 매출 74,550,000,000원 중 5년간의 마케팅을 비롯한 비용을 총
매출액의 30%로 산정하여 22,365,000,000원을 제외하면 5년간의 총
순수익 52,185,000,000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수익이
당신의
투자자들에게
얼마나 될
것인가?
위의 수익 계산은 플랫폼 이용료 수입만을 기준으로 한 이익 산출
로, 플랫폼 특성상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7개월 차부터 본격적인 수익이 발생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투자금
은 필요 없다는 전제하에 최초 투자금으로 2년 후 29억 4천만 원,
3년 후 84억 원, 4년 후 168억 원, 5년 후 235억 2천만 원의 순수
익을 각각 기대할 수 있으며 지분율에 따라 각 년차에 대한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의 예상된
퇴각 전략은
무엇인가?
스타일리쉬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전문 카탈로그 제작 서비스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Piikr에서 제공하는 다양하고 스타일리쉬
한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아이템 사진을 업로드하여 카탈로그를 제
작,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인화된 카탈로그 제작
서비스입니다.
자금요건
당신은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가?
Piikr를 개발하기 위한 초기 자금으로 5천만 원을 필요로 합니다. 추
후 베타 서비스와 정식 서비스를 위한 마케팅과 영업 그리고 인력
충원 등을 위해 5억 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왜
필요한가?
초기 지원 자금 5천만 원으로는 베타 서비스 버전 개발과 운영비
(서버 구입 및 유지, 임대료, 기자재 구입 등)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추가 투자금 5억 원 중 80%(4억 원)는 마케팅과 영업을 위해 사용
하고 20%(1억 원)는 개발과 설비 확장, 인력 충원 및 인건비로 사용
할 계획입니다.
자금 조달
시기
정부 지원금으로 사업을 시작하고 베타 버전 서비스가 시작되는
사업 개시 후 3개월 차부터 본격적인 마케팅과 영업을 위한 투자금
유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자금조달 계획
사업 착수 자금 5천만 원 - 정부 지원금
스캐일업 위한 투자금 5억 원 - 민간 투자 유치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nceo
 
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Digital Initiative Group
 
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
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
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
Mobidays
 
Social commerce 분석
Social commerce 분석Social commerce 분석
Social commerce 분석Hyojung Kwon
 
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
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
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Hipertech Inc.
 
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
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
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
WISE MPR
 
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
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
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
Digital Initiative Group
 
농촌과 SNS
농촌과 SNS농촌과 SNS
[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
[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
[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
D.hive
 
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
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
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
John UE
 
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
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
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
Digital Initiative Group
 
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
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
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
디센트릭 DnA팀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Digital Initiative Group
 

What's hot (13)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신세계]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 성공 전략
 
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Branded Applic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
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
모비데이즈_디지털마케팅환경조사
 
Social commerce 분석
Social commerce 분석Social commerce 분석
Social commerce 분석
 
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
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
1.1 약용식물의 온라인마케팅
 
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
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
마그네틱 마케팅 제안서
 
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
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
모바일 및 소셜커머스 트렌드 시장분석
 
농촌과 SNS
농촌과 SNS농촌과 SNS
농촌과 SNS
 
[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
[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
[Mezzomedia] 메조미디어 디지털마케팅 컨퍼런스 2015
 
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
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
성공사례로 알아보는 B2C 마케팅
 
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
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
디지털시대 고객분석과 대응(세종대 이동일교수)
 
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
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
2020 대한민국 소셜 미디어 벤치마크 리포트_주요 산업군 성과 분석 [SM2Networks]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Mobile marketing & commerce trend(모바일 마케팅 및 커머스 트렌드)
 

Viewers also liked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Yongsuk Kwon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
Mira Park
 
[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
JongOhBAEK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남희 김
 
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
Min Lee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상훈 심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JiHyeun Min
 

Viewers also liked (7)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최미라2
 
[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최종]사업 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이화여대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Similar to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주식회사솔루팜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
더게임체인저스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
MezzoMedia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
MezzoMedia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
MezzoMedia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
MezzoMedia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MezzoMedia
 
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nceo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
MezzoMedia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MezzoMedia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
MezzoMedia
 
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
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
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
MezzoMedia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
MezzoMedia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
MezzoMedia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
MezzoMedia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
MezzoMedia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
MezzoMedia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
MezzoMedia
 

Similar to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20)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2016 광고주 및 광고회사 현황조사(출처:광고정보센터)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1월 호]
 
[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18년 스타트업 고객별 마케팅 전략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4)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6)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12)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New bm; Kakao talk
New bm; Kakao talk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5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6)
 
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
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
MezzoMedia Media & Market Report (2018년 4월호)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2)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6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9)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9.05)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0월 호]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_2023.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12)
 

스마트창작터사업계획서

  • 1. 접수번호 『 2016년 스 마 트 창 작 터 」 사 업 계 획 서 회사 개요 기 업 명 (아이템명) Piikr  주민등록번호 810607 - 1****** 주   소  - 대 표 자 송형우 전화번호 - 홈페이지 http://ubabog.wixsite.com/piikr 업종 지식서비스(콘텐츠) 기업유형 예비창업자 팀원수 (종업원수) 2 기업규모 연 도 2014년 2015년 비고 매출액(백만원) - - - 팀원 - - - 담당자 성 명 송형우 부 서 기획/영업 직 위 공동대표 연 락 처 전화번호 - 휴대폰 010-6781-3032 이메일 hwsong67@gmail.com 아이템명 주요내용 Piikr Piikr는 Pick interesting images and keep relationships의 약자입니다. 상품(제품, 서비스, 매장 등)에 대한 사진를 게시하는 SNS 기반의 온라인 카탈로그 서비스, 일명 Social Network Catalog입니다.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사진 게시물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 으로 문화 콘텐츠를 창작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이자, 업체 간의 shop-in-shop 을 위한 공간 공유 플랫폼입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에게 상품의 사진을 전문적으로 모아 놓은 플랫폼을 제공하여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서비스를 돌아다니며 검색하는 수고와 불편함을 덜어주고, 상품 사진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의 제작을 지원하는 문화 콘텐츠 창작 플랫폼입니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지원사업 규정을 준수하면서, 동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아울러 심의과정에서의 채무불이행 등 신용조회 및 과제 관리를 위한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합니다. 2016년   8 월  13 일                         신 청 자(대표자) :             송 형 우    (인)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장 귀하
  • 2. 『2016년 대구광역시 청년창업지원」 글로벌 진출 역량강화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 개 요 소 개 매체와 채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광고의 절대적인 양도 증가했고, 소비자의 광고회피현상 역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광고회피는 TV나 신문의 광고 회피에 비해 크게 높 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런 광고회피현상을 피하여 온라인 마케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 광고 수요층을 타깃으로 하는 마케팅 플랫폼을 구축하여 이들에 의해 광고 게시물이 문화 콘텐츠로 창작을 유도하고, 이 창작물을 타 SNS로의 공유를 통한 온라인 마케팅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구성원 소개 공동대표 송형우(기획/영업), 공동대표 안은정(디자인/마케팅) 개발자 모집 중 사업개요 Piikr는 상품(제품, 서비스, 매장 등)의 사진을 게시하는 SNS 기반의 온 라인 카탈로그 서비스, 일명 Social Network Catalog입니다. 상품 판매 자(제품 판매자, 서비스 제공자, 매장 운영자 등)를 위한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이자, 업체 간의 shop-in-shop을 위한 공간 공유 플랫폼입니다. 또한 사진 게시물을 SNS형식의 온라인 카탈로그 형식으로 일반 사용 자들에게 제공하고 해당 아이템의 모든 구매 채널들을 연결하여, 사용 자들이 상품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서비스를 돌아다니며 검색하는 수 고와 불편함을 덜어주는 쇼핑을 위한 참조 서비스입니다. 벤처 문제에 대한 개념/해결책 해결되어야 할 문제 또는 시장성 온라인 마케팅 시장의 지속적 성장으로 인해 소자본 업체∙개인들조 차 과도한 비용과 노력을 투입해서라도 소셜 광고를 진행하고 있습 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소셜 광고에 대해 가지는 부 정적인 인식(광고회피현상)으로 인해 들인 비용과 노력에 비해 마케 팅의 효과가 저하되고 있습니다. 당신은 고객에게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는가? 소셜 미디어 이용자∙소비자들은 필요한 콘텐츠나 서비스 이외 불필 요한 광고에 대한 노출로 불쾌감을 갖기 쉬우며 회피하려고 노력합 니다. 이런 소셜 소비자들의 광고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소셜 광고의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오락성, 정보성, 개인 맞춤성 강화 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기업/브랜드 정보 획득 동기를 가진 이용자들은 광고회피 수준이 낮고, 관계 지향적 이용자들은 광고회피 수준이 높게 나타납니다. Piikr는 정보 획득 동기를 가진 사용자(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을 1 차적인 타겟으로 하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주요 고객인 상품 판매자들에게 다른 어떤 소셜 미디어에서의 마케팅보다 더 뛰어난 마케팅을 효과를 제공합니다. 당신의 해결책 또는 가치(제안)이 무엇인가? Piikr에서는 시용자들이 카탈로그의 사진을 활용하여 문화 콘텐츠 (사용자 제작 매거진, User-Created Magazine)를 제작∙배포할 수 있 습니다. 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1차적 마케팅 후, 이들이 창작하는 UCC를 통해 타 소셜 미디어에서의 2차적 마케팅이 가능 한 구조입니다. 특히 2차적 마케팅 단계에서 제공되는 문화 콘텐츠 로 가공된 소셜 광고는 광고회피현상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이 주된 사용자인 마케팅 플랫폼을 상 품 판매자들에게 제공하여 온라인 마케팅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자 합니다.
  • 3. 시장 기회 산업 또는 시장의 구조와 특징 국내외 광고시장은 전반적으로 정체 혹은 소폭 증가세에 머물고 있으나, 모바일 광고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향후 모바 일 광고시장의 규모와 성장세가 커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입니 다. 특히 젊은 세대들이 TV시청, 쇼핑, 이동 등 일상생활 속에서 모 바일을 통한 SNS, 검색, 쇼핑, 콘텐츠 이용 등 다앙한 행태를 보이 고, 방송미디어를 TV, 신문 등의 기존 매체가 아닌 모바일로 이용하 는 등 기성세대와는 다른 매체이용행태를 보이고 있어 이러한 전망 에 더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크기, 돈의 가치 및 구성단위가 어떻게 되는가? 광고시장은 크게 전통 매체 광고와 온라인 매체 광고로 구분됩니 다. 전통매체 광고는 방송광고, 인쇄광고, 옥외광고, 기타광고로 구분 되며, 온라인 매체 광고는 온라인 매체 광고는 인터넷 광고와 모바 일 광고로 구분됩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현재 국 내 광고시장은 10조 9,722억 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온라인 광 고시장의 매출은 3조 72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온라인 광고시장 중 특히 모바일 광고시장의 매출은 7,205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성장 가능성 국내 광고시장의 39%를 차지하는 방송광고 시장의 매출 성장률은 2013년 대비 0.02%로 정체 수준이고, 신문 및 잡지 등 인쇄광고 매 출은 오히려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온라인 광고시장은 전체 광고시장에서의 매출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모바일 광고시장의 매출은 2013년 대비 52.4% 증가하여 타 매체광고에 비해 월등한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온라 인 광고시장에서의 모바일 광고시장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2012 년 9.1%에서 2014년 23.6%로 2.5배 이상 증가했으며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객층 Piikr의 고객층은 상품 판매자와 일반 사용자입니다. 상품 판매자는 제품(의류, 액세서리, 패션잡화 등) 판매자, 서비스 (네일아트, 헤어숍, 각종 테라피 등) 제공자, 매장(카페, 음식점 등) 운영자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한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업종 중 Piikr 스타일에 어울리는 판매자들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10~30대의 소셜 미디어 이용자로 상품 구매 또는 정보 수집을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적극적인 광고 수요자들 로, 이들의 초기 활동으로 인해 Piikr는 상품을 구매하고 하는 사람 들이 상품에 대한 정보 획득과 해당 상품의 구매 채널로의 이동을 위해 가장 먼저 참조하게 되는 서비스가 될 것입니다.
  • 4. 시장 전략 판매 경로는 무엇인가? Piikr의 핵심은 이미지 콘텐츠의 확보로, 홍보·광고 목적을 가진 개 인·업체들(광고 공급자)이 자신들의 제품·매장 등의 사진을 자발적으 로 게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콘텐츠 확보의 첫 단계로 제품 마케 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플리마켓 셀러들과 지역에서, 소규모 운영 하고 있는 카페 운영자를 대상으로 파트너를 모집합니다. 이후 다양 한 영역의 상품 판매자들 모집하여 콘텐츠를 확보합니다. 월간 활동 사용자 수가 10만 명이 넘어서는 시점에서 월 이용료를 과금할 계 획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에게 수 익이 발생하는 구조가 만들어지면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과금할 계 획입니다. 유통 경로는 무엇인가? 초기 상품 판매자(플리마켓 셀러, 카페 운영자)의 확보는 대면 접촉 을 위주로 진행합니다. 초기 파트너와의 베타 서비스 운영을 통해 온라인 마케팅 도구로서의 효용을 입증하고 이를 토대도 다른 영역 의 판매자들을 확보∙확대합니다. Piikr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20대들을 대상으로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또한 타겟 광 고가 가능한 소셜 미디어 위주의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일반 사용 자를 확대해 나갑니다. 전략적 제휴(협력관계) 는 누구와 함께 하는가? 광고·홍보를 위한 사진을 올리는 업체 및 개인(제품 판매자, 매장 운영자 등)들이 Piikr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이들이 제공하는 사진들 이 핵심 콘텐츠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광고회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문화콘텐츠로의 재창 작)가 제작됩니다. 또한 파트너 상호(판매자와 매장) 간의 Shop-In-Shop을 위한 비즈 니스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여 Piikr 참여자들이 온라인 마케팅 외의 부가적인 이윤을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시장 침투(점유율, 보급률) 가능성은 어떠한가? 플리마켓을 타깃으로 하는 e-Commerce 서비스는 존재하지만, 이 들의 제품 홍보를 위한 SNS 형태의 마케팅 서비스는 없습니다. e-Commerce 서비스는 제품의 정보 제공과 구매를 동시에 제공하기 에 소비자에게 편한 측면이 있지만, SNS에 비해 마케팅 효과는 떨 어집니다.
  • 5. 경쟁적인 우위(이점)과 위험요소들 당신의 틈새시장은 무엇인가? 과도한 정보와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상품(제품 또는 서비스) 정보 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광고 게시물을 탐색하는 사용자(적극적 광 고 수요자)들에게 상품 구매의 1차적 정보로서 해당 아이템의 이미 지를 제공하고, 구매를 위한 채널(개인 쇼핑몰, 오픈마켓, 메신저 등) 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정보 탐색의 수고와 번거로움을 해결 적극적 광고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마케팅 할 수 있는, 상품 판매자 들을 위한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사용자와 판매자가 광고 게시물을 통해 만들어내는 새로운 문화 창작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2차적인 온라인 마케팅 기술 유창성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들 수 있는데 이들조차도 광고회피현상을 피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정보에 기반한 뉴스피드 광고 는 잠재고객에 대한 광고 노출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실질 구 매층을 표적화하지 못합니다. 또한 인위적인 호감도 표시를 인한 정 보조작 또한 발생하고 있습니다. Piikr는 광고회피현상을 적극적인 광고 수요자(실질 구매층)들을 1 차적인 타겟으로 정하고 그들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서비스를 제 공합니다. 그리고 이들 광고 수요자들은 획득한 정보를 재창작하여 문화 콘텐츠로 변환, 이를 잠재고객에 대한 마케팅 콘텐츠로 활용합 니다. (광고회피현상 감소) 어떤 장벽(문제점)들 이 있는가? 낮은 인지도와 검증되지 않은 마케팅 효과성으로 인한 초기 파트 너 모집·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인 만큼 파트너들을 상대로 한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와 신뢰를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중요한 위험 요소들은 무엇인가? 메이저 소셜 미디어들의 유사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중요한 위험 요소입니다. 그들은 막대한 자본력과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기존 서비스에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스타트업으로서는 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사업 초기 비즈니스 컨셉에 대한 일반 사용 자층에서의 서비스 인지와 인플루언서들을 활용한 콘텐츠 확산, 스 타 마케팅을 통한 홍보 등으로 시장 선점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성공 요인들은 무엇인가? 실질 구매층을 일반 사용자 회원으로 확보하고 있는 온라인 마케 팅 플랫폼이라는 점과, 이들 일반 사용자들이 판매자들의 아이템 사 진을 활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고 이를 배포∙확산시키는 구 조를 통한 이중적인 마케팅 시스템이 타 소셜 미디어와 차별되는 Piikr의 중요한 성공 요인입니다.
  • 6. 기술력 지적재산권 (특허, 상표명) 무엇인가? 사업 시작 전이라 보유하고 있는 지적 재산권은 없습니다. 그 기술은 보호(특허)지적 재산권받은것 인가? 현재는 없지만 개발 단계에서 독창적인 기술과 BM을 개발하여 특 허를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당신의 최신기술 (기술 현황)은 무엇인가? 사업 시작 전이라 보유하고 있는 최신 기술은 없습니다. 미래의 기술력 변화들이 무엇이 될 것인가? 웹과 앱의 기술력 향상이 새로운 UI와 UX를 가능하게 만든다면 Piikr의 UI와 UX 또한 한층 더 사용자 친화적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 7. 제조/생산 직접 제조할 것인가 또는 외부위탁으로 제조할 것인가? 아직 개발자가 합류하지 않은 관계로 프로토타입은 외부위탁을 통 해 개발할 예정입니다. 베타 서비스 버전과 정식 서비스 버전은 자체 개발을 계획 중입니 다. 현재와 미래의 자본설비 요건은 무엇인가? 현재는 조직을 위한 물리적인 공간,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와 서버 등의 설비, 마케팅과 영업 등에 필요한 비용 등을 필요로 하며, 향 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증설, 조직 관리를 위한 인력 과 설비 그리고 파트너 업체들의 관리를 위한 인력과 설비를 필요 로 합니다. 규제적, 환경적인 어떤 다른 법(규정) 준수 문제들을 받아들일 것인가? 현재의 법과 제도, 규제 내에서 무리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 며, 새로운 규제가 만들어지더라도 최대한 지키는 방향에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세우겠습니다. 관리팀 그들은 누구인가? 사업 시작 전이라 관리팀이 없습니다. 그들은 무엇을 했었는가? 사업 시작 전이라 관리팀이 없습니다. 팀 내에서 어떤 차이점들이 있는가? 사업 시작 전이라 관리팀이 없습니다.
  • 8. 재정 앞으로 5년간 당신의 예상 수익은 어떻게 되는가? 월간 활동 사용자수(Monthly Active User, MAU) 기준 10만 명 이 상 시점에서 50,000원의 플랫폼 이용료 과금. 이를 토대로 예상 매 출 산출 ~ 6개월차 베타 서비스 (기간 내 MAU 10만 확보) 7~12개월차 판매자 2,000 업체 , 매장 500 업체 50,000원 × 2,500업체 × 6개월 = 750,000,000원 13~24개월차 판매자 6,000 업체 , 매장 1,000 업체 50,000원 × 7000업체 × 12개월 = 4,200,000,000원 25~36개월차 판매자 18,000 업체 , 매장 2,000 업체 50,000원 × 20,000업체 × 12개월 = 12,000,000,000원 37~48개월차 판매자 36,000업체 , 매장 4,000 업체 50,000원 × 40,000업체 × 12개월 = 24,000,000,000원 49~60개월차 판매자 50,000 업체 , 매장 6,000 업체 50,000원 × 56,000업체 × 12개월 = 33,600,000,000원 합계 74,550,000,000원 총이익(총수익) 은 얼마인가? 총 매출 74,550,000,000원 중 5년간의 마케팅을 비롯한 비용을 총 매출액의 30%로 산정하여 22,365,000,000원을 제외하면 5년간의 총 순수익 52,185,000,000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수익이 당신의 투자자들에게 얼마나 될 것인가? 위의 수익 계산은 플랫폼 이용료 수입만을 기준으로 한 이익 산출 로, 플랫폼 특성상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7개월 차부터 본격적인 수익이 발생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투자금 은 필요 없다는 전제하에 최초 투자금으로 2년 후 29억 4천만 원, 3년 후 84억 원, 4년 후 168억 원, 5년 후 235억 2천만 원의 순수 익을 각각 기대할 수 있으며 지분율에 따라 각 년차에 대한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의 예상된 퇴각 전략은 무엇인가? 스타일리쉬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전문 카탈로그 제작 서비스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Piikr에서 제공하는 다양하고 스타일리쉬 한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아이템 사진을 업로드하여 카탈로그를 제 작,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인화된 카탈로그 제작 서비스입니다.
  • 9. 자금요건 당신은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가? Piikr를 개발하기 위한 초기 자금으로 5천만 원을 필요로 합니다. 추 후 베타 서비스와 정식 서비스를 위한 마케팅과 영업 그리고 인력 충원 등을 위해 5억 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왜 필요한가? 초기 지원 자금 5천만 원으로는 베타 서비스 버전 개발과 운영비 (서버 구입 및 유지, 임대료, 기자재 구입 등)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추가 투자금 5억 원 중 80%(4억 원)는 마케팅과 영업을 위해 사용 하고 20%(1억 원)는 개발과 설비 확장, 인력 충원 및 인건비로 사용 할 계획입니다. 자금 조달 시기 정부 지원금으로 사업을 시작하고 베타 버전 서비스가 시작되는 사업 개시 후 3개월 차부터 본격적인 마케팅과 영업을 위한 투자금 유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자금조달 계획 사업 착수 자금 5천만 원 - 정부 지원금 스캐일업 위한 투자금 5억 원 - 민간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