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6
Download to read offline
열린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이ion for EαIy Childh∞d Educafion 
2000. 11. Vol 5. No. 2, pp. 45 - 70.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김 유 미* 
그동안 회교교육대|서 융와달 주요교과대I서 벗어니 주변교과의 위처어| 머물러 있었융 
옳 부인활 수 없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뜰에서는 음악감상이나 연주기 유O불}달, 지능 
인지능뭘 및 두뇌거능대| 미치는 명황에 대한 연구결과둘율 저!시하면서, 그동안 소흩히 
여겨졌던 융악01 결코 부수적이거나 선택적인 교과가 아니라 뭘수적인 교과잃올 강조하 
게 되었다 다행스렁께도 현재 유치원에서는 음악교용이 원훌히 이루어지고 있는 펀이 
며, 특히 옴QI올 ‘표현생활.어l 넣어 다루는 동시에 다른 g역의 훨동아1M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디는 점에서 유of음악교육은 비교적 두뇌에 부용히는 교수홍응을 지황하고 
있다고앓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서 용익훌동이 두뇌샘리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률 탑 
색하고‘ 0101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 중 두뇌빠 부용하지 않는 요소둘은 줄이면서 
두뇌에 부웅하는프 요소들은 졸 더 쩍극적으로 발전시켜 갈 방인율 타진하려는 의도에서, 
용악교육의 의의와 목표율 살펴보고 용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훌 탐색한 후어1. 이 
훌 기브g로 유아교육어|의 시사정율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대용올 정리하여 
결혼옳 제시하면서 흘과적인 뮤Of음악ii1li릭대| 대웅{여 제언하고자 흐!Cf 
1. 서 론 
최근 들어 음악연구는 많은 흥분을 자아내고 있다 전문잡지는 물론이고 섬지어 일간신문 
* 중앙대학교 강사
46 일린유아교육연구 (저 15권 저 12 호) 
에서도 음악감상이나 연주가 유아발달, 지능, 인지능력 및 두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F1ohr , 1996; Frost, 1998; H이den, 1997; Jensen, 1996; Jones, 1999; 
Jones, & Field, 1999; μng, 1999; Rauscher, et 와, 1993; sc바aug, 1995; Wilcox, 2000). 나아가 이 
러한 연구들에서는 그동안 소홀히 여겨졌던 음악이 결코 부수적이거나 선택적인 교과가 아 
니라 필수적인 교과임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꼭 이런 연구결과들이 아니더라도, 음악이 인류 초기부터 계속해서 존재해왔고 어 
떤 문화에서나 부모들은 자장가를 부르며 아이들을 재워 왔으며 문화적 요소가 영향을 주기 
전인 생의 초기부터 음악활동이 나타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음악이 인간에게 본능적으로 
중요함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아주 어린 두뇌마저도 음악의 기본적 요소들을 처리 
할 수 있도록 전문화된 두뇌의 부위들이 있음은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밝혀진 사실이다 
(Weinberger, 1998a, 1998b) 이러한 사실은 어린 두뇌의 기능적인 구조가 언어를 처리 
(processing)할 때뿐만 아니라 음악을 처리하는 데에도 능숙하다는 생물학적 근거를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주 어린 영아도 두 음을 변별하고 멜로디를 기억하며 긴 멜로 
디를 작게 나누고 리듬을 이해하며, 심지어 이전에 일어났던 일을 기억하기 위하여 음악을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오늘날의 신경과학 연구에서는 많이 활용한 시댐스는 강해지고 활용하지 않은 시냄 
스는 약해진다는 결론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면 두뇌의 어떤 기능체계가 시냄스 강도의 영향 
을 받는가〉 청각, 시각, 촉각, 근운동감각과 같은 감각 · 지각 체계, 상징, 언어, 읽기와 같은 
인지체계, 소근육 및 대근육의 활동 · 협응과 같은 동작 협응, 행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 동 
기유발이나 쾌락 체계, 기억 등이 시냄스 강도의 영향을 받는데, 음악활동을 할 때에는 이 
체계들이 모두 개입하게 된다{Sergem, 1992; Weinberger, 1998a, 1998b, Zatorre, 1992) 
한 예로 아주 복잡한 상징으로 이루어져 있는 악보를 읽고 작품을 연주하고 결과를 평가 
한 후에 연주를 수정하는 과정을 고려해보자. 이때 유아들은 다른 동료들과 협연하면서 자신 
의 연주를 들으며, 악보의 뒤앙스를 기억해서 연주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유아들이 얼 
마나 연주를 잘 하느냐가 아니라 감각, 근육, 지적 능력을 동시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음악학습과 연주는 특수한 음악기능을 개발하는 것만이 아니라 뉴런간의 시댐스를 강화함으 
로써 두뇌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사실은 음악가들이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두뇌의 피질 전 
체가 활성화되었다는 Sergem( 1992)의 연구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음악과 두뇌의 역학적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음악이 두뇌 
에 얼마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려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음악연구에 힘 
입어 점차 음악과 행동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의 펼요성이 절실해졌고, 마침내 이러한 다학문 
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학문적 편견이나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학문간의 상호이해, 교류, 상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己)학적 근거와 적용 47 
호협력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사와 교육 행정가들도 음악과 교육의 포 
괄적인 관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들을 접하고 이런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시사 
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실제로 음악활동을 통해 언어습듀, 읽기 준비성, 지능발달, 창의 
성 및 긍정적 태도가 촉진되고 사회성, 조절능력 및 자아 존중감이 증진되며 지각생이 줄어 
틀 수 있다{Weinberger, 1998b) 이처럼 음악은 음악교과 자체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그 밖의 
교육을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표현생활의 탐색, 감상 및 표현 활동에서 음악, 연극, 동 
작, 미술을 상호 관련지어 충실히 지도하고, 그 밖의 건강생활, 사회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과 같은 영역에서도 음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지적 · 정의적 학습을 위해 음악을 주요 요 
소로 하는 암시가속교수학습suggestopedia)도 활용해야 한다{Bancroft, 1999; DePorrer, & Hernacki, 
1992; DePorrer, Reardon, & Singer-Nourie, 1999; 1ρzanov, 1978, 1979; Reimer, 1999; S띠ffier, 1992) 
그러면 우리의 양육방식과 교육방식에서는 얼마나 음악을 활용하고 있는가9 단지 몇 개월 
밖에 안된 유아라 하더라도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면 음악에 맞추어 옴을 
신나게 흔들어댄다‘ 이렇게 유아의 두뇌는 음악을 이해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유 
아는 유치원에 들어가기 한참 전부터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만일 부모들이 유아의 언어활동 
을 강화하는 것처럼 음악활동도 강화한다면, 유아들은 타고난 의사소통, 표현, 인지 능력을 
한층 더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성장해가면서 음악적으로 표현하거나 음악을 
듣고 신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게 되고 그들 또한 그런 분위기에 익숙 
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주지교과를 강조하는 부모나 교사들에 의해 점점 강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유아교육에서는 음악기능이나 표현을 주입식으로 지도하던 재래식 
음악교육에서 벗어나 점차 더 효과적인 방법을 탐색 · 적용하고 있으며, 음악을 ‘표현생활’에 
넣어 다루는 동시에 다른 영역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교육부, 1998, 4-7, 21, 1999, 
41-45, 86; 서울시교육청, 2000, 31) 또한 교사들이 교실에서 이와 같은 음악활동을 하려 할 
때 음악에 대한 전문적 견해가 요구되지 않으며, 유아의 타고난 호기섬 덕분에 유아교육에서 
음악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유아음악교육이 활성화되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보 
인디얘reinberger, 1998a) 
이처럼 유아음악교육이 활성화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음악활동이 두뇌생리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 중 두뇌에 부응하지 않는 요소들 
은 줄이면서 동시에 두뇌에 부응하는 요소들은 좀 더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갈 방안을 모색 
할 필요성이 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의 의의와 목표를 살펴보고 음악교육의 두뇌 
생리학적 근거를 탐색한 후에, 이플 기반으로 유치원에서 교육적 적용방안과 유아교육에서 
의 암시가속교수학습으로 나누어 시사점을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 
여 결론을 제시하면서 효과적인 음악교육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48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II. 유아음악교육으| 의의와 목표 
1. 유m발딜에서 음악의 의의 
음악은 인류가 지구상에서 생활하기 시작한 오랜 옛날부터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게 되었 
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음악도 변화해 왔지만, 사람들은 변함 없이 음악을 즐기고 좋아하며 
음악과 함께 생활해왔다. 심지어 우리 인간은 음악을 통해 우울한 마음을 발산하기도 하고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음악은 우울함이나 분노와 같은 인간의 감정을 안 
정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이끌어 왔으며, 문화의 주요 요소로 자리잡아 
왔다. 뿐만 아니라 음악은 영화나 연극 등과 같은 다른 예술분야에도 활용되어왔다. 이처럼 
인간의 생활에서 음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 원인은 음악이 인간의 정서에 큰 영호뇨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정윤선, 1996) 
특히 유아들의 경우에는 음악적 자극이 지적 발달을 촉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 
나이다 음악 자체가 유아들에게 즐거움을 주기도 하지만, 유아들은 주변에 있는 불체로 소 
리를 만들어내기도 하고, 소리의 변화에 민감하며, 새롭고 신기한 음에 관심을 기울인다. 뿐 
만 아니라 옹알이나 자기 나름대로의 방식을 통해 노래 부르기를 즐기고 음악에 맞추어 몸 
을 움직이거나 흔드는 것과 같은 신체표현을 하기도 한다{허순희, 1997). 
유아의 여러 가지 능력 중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다른 어떤 능력보다도 중요한 음악 감각 
은, 유아기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에 걸쳐 급속히 진보한다 이러한 사실은 모든 유아들이 음 
악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누구에게나 잠재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또한 유아들의 여러 가지 활동 중 음악활동은 다른 활동에 비해 유아의 정서, 
언어, 신체 그리고 인지 발달과 같은 다양한 측면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Gardner( 1983, 33)가 아주 어 린 아이들도 음악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고 말한 것처 럼, 유아 
들은 성장해가면서 환경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음을 만들어내는 수단을 발견해간 
다. 이러한 활동은 자유롭고 율동적이며 신체적 표현을 포함한 활동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이처럼 다양한 활동을 통한 자유로운 자기 표출은 곧 창의성 발달의 신호이기도 하다 실제 
로 유아들의 하루 일과를 관찰해보면, 그들이 음을 사용하는 활동을 하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활동들은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창의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다. Vold(1986)도 음악활동을 많이 한 학생들이 음악경험이 적은 학생들에 비해 창의적 능력 
이 크게 증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성을 증진시키려는데 주요 목표 
를 둔 특정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다양한 음악활동만을 통해서도 창의성이 증진될 수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49 
있음을시사해준다. 
이처럼 음악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자신의 고유한 세계를 독창적이고 융통성 있게 표현 
하도록 유도하고, 풍부한 상상력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집중력 · 탐구력을 증진시켜 주며, 학 
습전이를 통하여 다른 학업성적을 증진시켜 주거나 창의적인 삶을 누릴 수 있게 해준다 
2. 유이음악교육의 의의와 목적 
우리가 교육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음악활동을 강조하지 않아도 유아는 언제나 음악을 만들 
어내고 음악에 반응하기 때문에 유아 곁에는 언제나 음악이 있기 마련이다 이처럼 유아의 
의식 속에서나 생활 속에서 음악은 그들의 삶 자체로서 본능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 
나 이러한 것들은 비언어적이고 감각적이기 때문에 그대로 내버려둘 경우에는 음악학습으로 
연결되지 못한다 이러한 본능적 특성을 살리고 타고난 음악 능력을 보다 발전시켜서 그들의 
성장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즉홍적인 환경이 아니라 체계적인 음악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이병헌 외, 1996, 11). 
체계적으로 제공된 음악경험을 통하여 유아의 잠재적인 창의성을 자극하고 음악적 개념을 
계발하게 되어, 마침내 유아는 느끼고 감지하며 생각한 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 
다. 실제로 유아는 처음에 음악을 탐색하고 모방하며 실험해 봄으로써 점차 음악을 식별하고 
조직화하며 창조할 수 있게 되고, 나중에는 그것을 재조직, 생산, 개념화할 수 있게 된다 또 
한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 능력을 동냉시키는 동시에 음악에 대한 정의적 행통특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음악경험이 필요하고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음악교육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 
다{정윤선, 1996). 
이러한 유아의 음악활동은 음악에 대한 유아의 잠재 능력을 촉진시켜 유아가 음악을 자연 
스럽게 익히고 학습에 홍미롭게 임함으로써 상상력,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표현력은 물론 다 
른 학습이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교육활동의 하나이므로, 유아교육과정에서 음악 
활동은 더욱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유아음악교육의 의의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같다 
· 음악과 리듬은 유아교육의 모든 프로그램을 연결시켜준다 
· 음악은 정서 발달과 도덕 생활을 풍부하게 해준다 
· 음악이나 리듬은 집단에서의 조화와 사회생활을 원만케 해준다 
· 음악을 통해 여러 방변의 지식을 얻을 수 있다. 
· 음악을 통해 개인의 소질을 계발하고 타인으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으며 단체에 
공헌할수 있다
5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흐) 
· 음악을 통해 창조적인 자기표현을 한다 
· 전통음악을 통해 모국을 알게 된다 
이처럼 다양한 의의를 지닌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 
다 한가지 목적은 노래나 리듬을 통해 유아의 마음속에 있는 긴장과 갈등을 해소시키고 정 
신건강을 도와주려는데 있다 실제로 음악은 긴장을 해소하는 가장 적절한 매개라 할 수 있 
고, 유아들은 이러한 매개를 통하여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감정을 순화하며 아름답게 해 
서 원만한 성격이 된다 유아음악교육의 또 한가지 목적은 음악을 통한 자기 표현 기술을 발 
달시켜 개인적인 이익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음악활동에 기쁘게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 
이다 
이와 같은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구희영 · 김남경 · 윤대근, 2000, 87) 
· 유아가 놀이나 생활 속에서 노래나 리듬을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언제 어디서나 부르고 싶은 노래를 혼자서 부르고 즐길 수 있도록 많은 노래를 
가르친다. 
· 유아들의 생활을 이끌고 풍부하게 하며 감정을 순화시킬 수 있는 노래를 많이 지 
도하여 노래를 생활화하도록 한다. 
· 리듬악기나 그 밖의 악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좋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음악이나 리듬을 통해서 장조적인 자 
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아음악교육의 목표에 부응하여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표현생활’ 
을 통하여 유아가 자연과 사물의 예술적 요소를 탐색, 감상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음악, 
조형, 동작, 극과 같은 다양한 예술적 표현활동을 통하여 자발적,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함으 
로써 예술에 대한 호기심, 표현능력, 심미감을 기르고 정서적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 지침에서는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과 같 
은 영역 활동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도록 명시하고 있다{교육부, 1998, 4-7, 21, 1999, 41-45, 86; 
서울시교육청, 2000, 31)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51 
III. 음악교육으l 투뇌성2.1학적 근커 
본 절에서는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인 근거를 탐색하여 유아음악교육에의 시사점을 발 
견하려는 의도에서, 먼저 음악과 두뇌의 관계를 두뇌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에 대히여 논의하고, 마지막으로는 음악을 중심으로 
다른 활동들을 통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최근에 전세계 
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하여 소개하려 한다. 
1. 음악과두뇌의 관계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음악은 주로 우반구에 의해 처리된다고 주장해왔다 PET주사의 
발명자 중 한 사람인 Phelps(Davis, 1997, 102)도 음악감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오른쪽 청각 
피질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몇 개의 PET 영상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우반구 편 
재회{later허ization)의 증거는 단편적 일 뿐만 아니 라, 왼쪽 측두엽 부위들이 음악감상에 관여 한 
다고 제시하는 다른 연구들과 모순되기도 한대김유미 역, Jensen 저, 2000; Jensen, 1996). 
Sergent(1992)는 15 년 이상 피아노를 친 10명의 오른손잡이 피아니스트의 두뇌가 작용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 PET와 MRI를 사용하였다. 그 연구에서 Sergent 등은 피아니스트가 악 
보를 보며 피아노를 연주할 때 두뇌의 전체적인 네트워크가 활성화됨을 발견하였다. Sergent 
등은 처음에 몇 가지 PET 기저션을 측정하였다 한 집단은 자원자들이 쉬면서 텅빈 스크린 
을 쳐다보는 동안 측정하였고, 두번째 집단은 스크린에 나타난 점들의 패턴에 손이나 손가락 
을 움직여 반응하는 동안 측정하였으며, 세번째 집단은 자원자들이 어떤 악보를 감상하고 연 
주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다옴에 Sergent 등은 각 자원자들이 누워서 오른손잡이용으로 쓰여 
진 악보를 읽는 l 분간 PET 주사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각 자원자들이 가까이에 있는 
작은 전자 오르간으로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는 1 분간 PET 주사를 측정하였다 실험상황에서 
기저선 두뇌 영상을 제(除)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들이 두 과제에 실제로 관여한 
부위들을 분리해낼 수 있었다 그때 Sergem 등은 이전에 자원자들의 두뇌에서 나타난 MRI 
영상에 PET 영상을 겹쳐 보았다 그렇게 합성한 영상으로 검사 동안 가장 활성화된 두뇌부 
위를 알아낼 수 있었다 Sergent 등은 눈으로 악보를 볼 때나 음악을 연주할 때 피질의 4엽 
즉,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이 모두 활성화되고, 심지어 소뇌까지도 활성화됨을 발견 
하였다 이런 “음악 네트워크”의 일부인 뉴런 모임의 일부는 언어처리와 관련된 좌반구 부위 
의 바로 옆에 있지만, 이 두 부위가 동일하지는 않았다 Sergem 등은 그 검사에서 활성화된
52 일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저 12 호) 
두뇌의 일부 부위들이 악보의 음표로 나타나는 공간정보를 다룰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이처럼 MRl와 PET 주사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음악과 분명하게 관련된 두뇌 부위들을 처 
음으로 생생하게 볼 수 있다 그러나 Sergent는 악보를 보고 피아노를 치는 것마저도 음악경 
험 전체의 일부에 불과할 뿐이라고 경고하면서, “그 실험을 통해서도 음악을 통한 즐거움과 
정서까지는 이해하지 못했다”고 부언하고 있다 
한편, 두뇌의 음악적 관련성을 연구해 온 Schlaug(Davis, 1997, 105-106)는 전문적인 음악가 
와 보통 사람 사이의 차이뿐만 아니라 완벽한 음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Sc버aug는 음악가와 
보통 사람 사이에 나타나는 두뇌 구조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연구하기 위하여 54명의 자원자 
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반은 클래식 음악을 전공한 오른손잡이 남자 피아니스트나 기악 연 
주자들이었고, 반은 오른손잡이인 보통 남자들이었다 연구지들은 두뇌 구조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MRl를 찍었다.Sc버aug는 두 집단의 피험자들간에 몇 가지 현저한 차이를 발 
견하였다 한 가지 차이는 소리 신호를 처리하는 대뇌피질의 측두평면(planum tempor혀e)이라 
는 작은 신경구조에서 나타났으며, 전문적인 음악가들의 측두평면이 보통 사람들보다 좌반 
구에서는 더 컸고, 우반구에서는 보통 사람들보다 더 작았다. 다른 차이는 좌반구와 우반구 
의 유사한 부분을 연결하는 전뇌 (forebrain) 아래에 있는 두껍고 긴 띠모양의 신경조직인 뇌량 
(corpus callosum)에서 발견되었는데, 음악가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뇌량이 더 두꺼웠다. 그런 
차이는 어려서 음악을 시작한 음악가의 경우에 특히 자명하였는데, 그들의 뇌량은 보통 사람 
들이나 유아기 후반에 음악을 시작한 음악가들보다 10-15%가 더 두꺼웠다. 
sc버aug는 그의 MRl 주사를 통해 초기의 음악 훈련이 어린 두뇌를 물리적으로 형성해가고 
틀지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음악 훈련은 기존의 신경연결을 강화시키고 새로운 연 
결을 추가한다{Lang, 1999) 
특히 sc비aug( 1995)는 소리 신호 처리자{sound-signal processor) 인 측두평면이 전반적인 음악능 
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완벽한 음조를 지닌 전문적인 음악까 음조가 완벽하지 않 
은 전문적인 음악가 및 음조가 완벽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 
구하기 위하여 MRl를 이용하였다. MRl 영상에서는 이전 연구결과의 일부를 확인해주었다 
좌반구에 있는 소리 신호 처리자가 우반구에 있는 소리 신호 처리자 보다 더 컸다 이런 현 
상은 음악가나 보통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더 중요한 것은 음악가의 경우에 크기 
의 차이가 보통 사람들의 두 배 정도로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통계적 분석에서는 
이러한 불균형이 음악가 집단 중 완벽한 음조를 지닌 사람들에게서 아주 현저한 것으로 밝 
혀졌다. 
이러한 Schlaug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분야에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상태이다 그 한 예로 Zarorr어 1992)는 음악이 주로 오른쪽 청각피질에서 처리된다고 제시
유마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53 
하였다. 특히 Zarorre는 개인이 이전에 들은 적이 없는 멜로디를 경청할 때에는 오른쪽 대뇌 
반구가 활성화된다고 제시하였다 Zarorre는 오른쪽 청각 피질 부분이 음악패턴을 경청하고 
음조가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Zarorre는 
어떤 사람이 오른쪽 청각 펴질에 영호t을 주는 뇌졸증을 앓을 경우에, 그 사람은 모든 음악능 
력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감상 능력의 일부가 손상될 뿐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후에 
Zatorre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Sc비aug의 연구결과와 모순적이라기 보다는 보완적이라고 말하 
고 있다 즉, 각 연구자는 동일한 신경학적 현상의 다른 측면을 관찰했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우반구와 우반구의 청각피칠이 음악의 어떤 측면을 처리하는데 관여하고 좌반구는 다른 측 
면을 처리하는데 관여하기 때문이다. Galabur뼈Davis, 1997, 107)도 음조룰 지각하려면 언어 
적 · 음악적 기능이 모두 요구되기 때문에 음조는 좌반구에서 처리된다고 말한다. 그는 왼쪽 
에 있는 측두평면이 언어이해를 가능케 하는 부위인 Wernicke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우연 
의 일치가 아니라고 본다 Shlaug도 이런 주장이 당연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는 음악의 
전반적인 멜로디 요소 중 대부분을 우반구에서 처리하지만, 음조를 확인하고 음의 이름을 말 
하는 것은 좌반구의 소리 신호 처리자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2.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 
앞에서 논의한 음악과 두뇌 관련 기초연구들을 기반으로「 최근의 신경과학 연구들에서는 
음악교육이 음악능력의 배양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이후의 학업과 진로 측면에서도 성공할 
기반올 다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Begley, 1996; Black, 1997; Bower, 1994; 
Frost, 1998; Green, 1999; Holden, 1998; Jones, & Field, 1999; Lang, 1999; MahIer, 1978; OIhaver, 
1998; Reimer, 1999; Wilcox, 2000). 
OIhaver( 1998)는 음악과 학업증진의 관계, 내향성 · 외향성의 학습환경 선호도? 동일 상태 
(state)를 활용한 학습, 외국어 학습 증진을 위한 음악 활용, 음악이 신경망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연구들을 검토한 후에 교실활동에서 음악을 통합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Lang(l 999)도 유 
아의 두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스폰지와 같은 것이 아니라 3차원적인 점들과 같은 
데, 그 점들은 곧 뉴런으로서 초기의 다양하고 능동적인 경험에 의해 연결되며, 그런 경험이 
없으면 연결이 사라지게 된다고 보았다 Lang은 음악이 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유아의 언 
어, 어휘, 감각동작기능, 공간추리, 논리, 리듬기능 동의 습득을 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Hanshumacher(김유미 역, Je따en 저, 2000, 95)는 예능교육과 관련된 36펀의 연구 
를 검토한 결과, 예능교육이 언어발달, 창의성, 읽기 준비성을 촉진하고 일반적인 지적 향상 
과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이 되며,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촉진시킨다고 결론지었다,
5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저 12 호)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 외에 음악활동이 학교에서의 긍정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려는 연구들도 이루어졌는데, Weinberger( 1998b)는 음악훈련이 초등학교 l 학년 아동의 독해점 
수를 증진시키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는 7개월 동안 매일 40분썩 민속음악을 
감상하고 멜로디와 리듬을 이해하도록 했으며, 통제집단에게는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았다. 
음악감상 수업 후에, 실험집단의 독해점수가 통제집단의 접수보다 의의 있게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Wilco쳐 2000)도 음악활동을 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 
며 훈육문제도 적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학교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은 광범위하고 체 
계적인 음악활동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시사하였다 
이처럼 음악활동이 인지, 창의성, 태도, 사회기능, 훈육문제 등과 같이 두뇌활동의 결과인 
유아의 외현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음악활 
동이 일어나는 동안 두뇌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측정치인 EEG와의 관련성을 직접 관찰함으 
로써 교수학습 장면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려는 연구들도 이루어졌다 
Flohr( 1996)는 기저선의 EEG와 음악을 경청하는 동안 EEG간에 나타난 전기생리학적 차이 
를 검토하기 위히여, 실험집단인 4세에서 6세 사이의 유아 22명을 대상으로 7주 동안 25분씩 
일주에 두 번 특수한 음악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음악수업을 하지 않았다. 실험은 
눈을 뜬 채로 조용히 앉아 있기, 고전음악을 감상하기, Wechsler 검사의 조립 퍼즐 맞추기와 
같은 세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의의 있게 다른 EEG가 
나타났고, 특히 실험집단에서 인지 처리 및 이완은 의의 있게 증가하였으나, 공간처리에 대 
한 행동측정치에 있어서는 집단 간에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과 음악 
관련 과제가 두뇌의 전기활동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유아음악교육의 수업 
전략을 개발하려 할 때 가장 중요한 선결요건임을 시사해준다 Flohr와 Milleκ1995)도 기저선 
의 EEG와 음악 자극에 대하여 운동기능을 하는 동안의 EEG간에 나타난 전기생리학적 차이 
를 검토하기 위히여, 평균 5.2세인 9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눈을 뜬 채 2분간 조용히 앉아 
있기, 고전음악에 맞추어 l 분간 가볍게 뛰기, 아일랜드 민속무용에 맞추어 l 분간 가볍게 뛰 
기와 같은 세 조건에서 나타난 EEG를 일원변량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눈을 뜬 채 조용히 
앉아 있는 상태에서 써l 타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눈을 뜬 채로 조용히 앉아 있을 때와 
음악조건 사이에 오른쪽 측두엽 (te미por꾀 lobe) 쩨타파와 왼쪽 전측두엽 (anterior tempor외)의 쩨 
타파가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눈을 뜨고 있는 조건과 두 음악조건들 모두에서 알파 
파가 감소되었는데, Flohr와 Miller는 인지적 관여를 증가시키는 동작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 
어난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이 연구결과에서는 음악 지각과 산출을 위한 유아교육방법의 첫 
단계는 두뇌가 음악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임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연구들은 교사들이 교수학습 활동을 실행하기 전에 신경생리학적인 결과들을 검토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금거와 적용 55 
함으로써 두뇌의 특성에 부응하는 교수학습 활동을 모색하고 설계할 직접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한편, 최근에 “모짜르트 효과”로 유명한 Rauscher( 1993) 등의 연구에서는 한 집단은 이완음 
악을 듣고,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서 음악을 듣지 않았으며 세번째 집단은 모짜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D장조”를 들었다. Rauscher 등은 10분간 음악을 들은 후에 모짜르트곡을 들 
은 집단의 시공간적 추리가 일시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Steele( 1999b)은 
Rauscher 등의 ”모짜르트 효과”는 물리학자의 터무니없이 사변적인 두뇌이론이라고 비판하였 
다 여기에서 Steele은 고전음악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자체를 부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모짜 
므트 음악을 단지 10분간 수동적으로 감상한 정도만으로 인지과제의 수행능력이 증진되지 
않는다논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에 대하여 ]ones(l999)는, Rauscher 등1993)의 실험 
에서는 대학생들이 모짜르트 음악을 10분 정도 감상하고도 시공간능력이 증가된 것으로 나 
타났음에도 불구하고 Stεel어 1999b)의 반복연구에서 이런 현상이 입증되지 못한 까닭과, 두 학 
자간의 첨예한 몇 가지 논쟁점들을 다각도로 논평하면서, 모짜르트 음악 감상이 인지적 수행 
을 개선시켰다면, 그것은 음악이 인지적 각성과 주의집중을 개선시켰기 때문일 것이므로1 부 
모들은 음악을 마력의 약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조언하고 있다. 
Steele이 지적한 것처럼, “모짜르트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많다고 할지라도, 그동 
안 많은 학자들이 풍요로운 학습 프로그램의 요소로서 음악의 가치를 계속해서 언급해 왔으 
며, 이미 많은 영재학교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음악을 충분히 활용해 왔다〈김유미역, 
]ensen저, 2000, 93). 실제로 예능 프로그램을 강조한 Dougl잃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그 지역의 
규준에 비추어 여섯 분야 중 다섯 분야에서 20 점 이상 성적이 높았으며,Thαbury, Ointon, 그 
리고 Fair Avenue와 같은 지역의 다른 학교들도 예술을 강조함으로써 학업성취가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ensen, 1998, 38-39) 
특히 Black( 1997)은 음악교육과 두뇌개발의 관계에 대하여 비교적 포팔적으로 제시하고 있 
는데, 그에 따르면, 음악경험은 두뇌에서 청각적, 시각적, 인지적, 정의적, 동작 체계가 모두 
관여하는 다중방식으로 나타나고 음악을 처리할 때에는 좌반구와 우반구가 모두 관여하므로 
음악경험은 두뇌 전체에 걸쳐 시댐스의 형성과 수초의 성장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또한 
Black은 유아의 음악경험은 언어적 사고의 표현이 뛰어나지 않은 유아들의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러면 음악은 두뇌개발을 위한 풍요로운 환경의 개념에 얼마나 적합한가9 음악을 각성조 
절 요소, 단어의 전달도구, 그리고 두뇌를 자극하는 기폭원과 같은 세 가지 역할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성 (arous외)을 조절하는 도구로서 음악은 주의를 유도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증가시키
56 열린유아교육연구 (저 15권 저 12 호) 
거나 감소시킨다. 한 예로 긴박한 음악이 흘러나올 때에는 간뇌와 교감신경에서 노어아드레 
날린과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지만, 이완상태를 유도하는 음악이 흘러나올 때에는 아세틸콜련 
이 분비되어 장기기억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은 유아의 알파파를 유도하는데 상 
당한 영횡t을 주고, 물론 그런 상태는 학습에 영횡t을 준대DePorter, & Hernacki, 1992, 256‘ 
DePorter, Reardon, & Singer-Nourie, 1999, 75; Ostrander, Schr∞der, & Ostrander, 1994, 80-81) 이 
렇게 두뇌가 이완상태일 때에는 많은 뉴런이 거의 동시에 활성화되지만, 홍분하거나 주의집 
중하고 있을 때에는 많은 뉴런이 동시에 활성화되지 못한다, 따라서 두뇌의 전반적인 부분이 
관여한 낮은 각성 상태에서 두뇌의 여러 부위에 있는 정보가 동시에 연합되어 창의력이 발 
현되기도 한다. 
둘째, 음악을 전달도귀carrier)로 활용하는 것이대김유미 역, ]ensen 저, 2000, 94; ]ensen, 
1996, 221; Kline, 1988, 47). 이 경우에 음악의 멜로디는 단어를 기억하기 위한 도구의 역할을 
한다. 우리는 유아들이 새로운 노래의 가사를 얼마나 쉽게 외우는지 잘 알고 있다 그들이 
가사를 외우는데 도웅이 되는 것은 멜로디이다 우리가 알파뱃 공부를 했던 것을 회 ÀJ-해보 
면, 이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우리가 어려서부터 알파뱃 노래를 불러왔기 때문에 중학교에 
들어갈 때쯤에는 별 어려움 없이 알파뱃을 쉽게 익힐 수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알파뱃을 배 
워야 할 무렵이 되었을 때 그 멜로디의 음표 아래에 있는 글자에만 집중하면 되었기 때문이 
다. 이런 유형의 다른 예로는 독도의 역사를 공부할 때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를 부르 
거나 한국의 위인들을 암기하기 위하여 “한국을 빛낸 100인의 위인들”이라는 노래를 부르면 
서 가사의 내용을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우리는 음악을 전달도구로 활 
용하는 예를 주변에서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음악을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음악은 두뇌의 신경회로를 자극할 수 있 
다 뉴런은 계속해서 작용하는데, “신경 잡담”과 분명한 사고는 연결의 속도1 계열 및 강도의 
영 향을 받는다 그런데 이 런 요소들은 음악에 의해 ”촉발~trigger) 또는 기폭priming)"되는 작용 
패턴을 나타낸다 글루타민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은 홍분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GABA와 같 
은 신경전달물질은 억제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두뇌에 이런 점멸 스위치들이 없다면, 뉴런 
은 아무렇게나 작용할 것이다 실제로 학습하논 동안 GABA가 분비되면, 교실에서 연필 떨어 
지는 소리, 아이들이 재잘거리는 소리, 거리의 소음, 의자의 딱딱함 등 사소한 외부의 자극은 
무시하고 학습과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집중이 가능해진디{김유미, 1998, 181). 
그러나 뉴런이 아무렇게나 작용한다면, 모든 경험에 동일한 비중을 두게 되어 학습이 손상되 
거나 심지어 불가능해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음악의 세 가지 역할들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될 수도 있고 통일 현상의 다른 
측면을 설명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심지어 실제로는 분리 불가능한 요소일 수도 있겠지만,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57 
논의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위의 세 가지 요소가 음악의 역할을 
모두 망라한 것도 아님을 벌+혀둔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은 먼저 음악교육 본래의 목표에 충실 
하면서 두뇌개발과 같은 음악교육의 또 다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음악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두 가지 목표를 조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 연극, 미술, 언어, 수학, 감 
각동작, 공간추리, 논리 등 다른 영역들과 적절히 통합하여 구현해가야 할 것이디-(Begley, 
1996; Black, 1997; Frost, 1998; Lang, 1999; Olhaver, 1998; Rξ1mεr, 1999; Wìlcox, 2000) 
3. 암시가속교수흐읍 
지금까지 논의한 음악의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히여 이를 언어교육에 적용하여 성공한 예 
로 암시가속교수학습{suggestof뼈에을 들 수 있다. 
암시가속교수학습은 불가리아의 의사인 Iρ,zanov가 여러 가지 심리요법을 시도하는 과정에 
서 최변, 자기최면, 명상, 요가, 수면, 암시 등의 상이한 의식상태에 관한 과학적 실험이나 연 
구를 기반으로 암시이론üugg얹tology)을 확립한 후에, 그러한 암시이론을 교육분야 특히 지식 
전달을 위해 응용한 이론이대Lozanov, 1979).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개념 정의를 위해 먼저 암시가속교수학습의 세 가지 원리를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Scωffier, 1992, 17-18). 첫째, 심리적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주의가 집중되 
고, 공포, 스트레스, 피로「 지루함, 화와 같은 긴장상태를 제거함으로써 기쁨을 느낀다. 둘째, 
언어적 · 비언어적 의사소통, 피질 · 피질 하부의 처리, 생리적 · 심리적 반응 및 이성 · 정서 
형태의 무의식과 의식이 하나가 된다 셋째, 학습장벽(lear띠 ng barrier) 에 대한 탈암시 
(desuggestion)와 학습 잠재성에 대한 암시를 통해 교사와 유아의 암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 
진다 
Iρ,zanov는 위의 세 가지 원리들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분리해서 고려할 수 없다고 말한다­이러한 
세 가지 원리를 기반으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정의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면, 암시가 
속교수학습은 상호적인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사가 의식적 · 무의식적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을 
방해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고 학습을 증진시키는 모든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유아들이 높 
은 학습수준에 이르게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두뇌생리학적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완상태에서 학습이 즐겁게 이루어진다 Iρzano여 1978)에 따르면, 교사의 행동과 음 
악이 학생을 이완상태로 유도함으로써 촉진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때 바로크의 라르 
고 음악은 이완상태인 사람의 심장 박동수와 분 당 박자수가 같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실 
제로 Lozanov( 1978, 239)는 콘서어트 단계 동안 피험자의 얄파파가 증가하고 베타파가 감소한
58 일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다고 제시하였다 이처럼 바로크 음악이 이완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는 가설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곧 각성상태보다 음악을 통한 이완상태에서 학습이 더 잘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완상태에서 학습이 증가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Schusrer와 Marrin (980)은 4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학생들을 불안수준별로 16명씩 세 집단으로 나눈 후에, 곧이 
어 그들은 약간의 설명과 함께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모국어 단어 25개를 학습하였다. 결과에 
서는 피험자들 대부분, 특히 만성 불안이 있는 피험자조차도 학습기간 이전, 학습기간, 시험 
기간 동안 이완상태였으며, 이처럼 이완상태이고 긍정적 암시를 받았을 때 학습효과가 증진 
되었다 이 결과는 알파상태에서는 긴장하지 않고도 주의집중이 가능하다고 한 Lozanov의 주 
장을 지지해준다 Kr없hen(Sc“ffier, 1992, 26)도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논의에서 암시가속교 
수학습이 최적의 투입이라는 준거에 부응함을 인정하고 있다 그 까닭은 암시가속교수학습 
에서는 학생들이 음악, 시각화, 요가 등을 통해 이완되고 즐거운 상태에서 학습할 준비가 되 
기 때문이다. 즐겁고 이완된 상태일 때 학습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은 이미 생물학적 연구 
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있다iJensen, 1996, 1998a, 1998b). 
둘째’ 두뇌 양반구를 활성화시킨다다’ Sch뼈tl 
때 음악을 경청하는데 이용되는 우반구가 외국어 교수학습을 위해서도 이용되기 때문에 학 
습이 증진된다고 보았다 또한 암시기속교수학습은 음악뿐만 아니라 제스처나 심상도 활용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대Schusrer, & Mouzon, 1982). Studdert-Kennedy (Schiffier, 1992, 23)도 언 
어정보중 자음은 주로 좌반구가 처리하지만 모음은 양반구가 똑같이 처리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런 연구들은 Iρzanov가 추천하는 고전음악에 맞추어 교사가 자료를 암송하는 능동 
적 단계에 억양을 통합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암시가속교수학습에 
서는 정보를 청각적 ·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양반구가 활성화된다. 의미있는 이미지나 동 
작이 언어정보와 연합히여 나타나는 만큼 양반구가 자극을 받아 학습해야 할 단어와의 의미 
있는 연상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다양한 감각양식을 통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부호화함으로 
써, 공고화는 증가되고 망각은 줄어들 수 있대김유미 역, Russell 저, 1996; Confer-Owens, 
1992; Jensen, 1998a, 1998b; Klinε, 1988; Richards, 1993; Yellin, 1982). 실제로 Iρzanov는 시청각 
매체와 신체동작을 통합함으로써 오랫동안 그런 가능성을 실천해왔다. 
셋째, 무의식과 의식에 전달된다 Iρzanov는 교사가 학생에게 미치는 암시와 무의식의 영향 
을 강조한다. 그는 학생의 무의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음악, 시각화, 암시가 중요한 역할 
을 하며, 그밖에 교실 환경, 교사의 권위, 요가 등도 중요하다고 본다{Bancr아i:, 1999; Caskey, 
& F1ake, 1976; Güld, 1985; Racle, 1977)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적용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이전 
에 한 학습경험에 기반을 두고 기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훨씬 더 학습을 잘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암시한다, 학생들은 항암시장벽이 제거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이와 같은 교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59 
사의 기대를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오래 
전에 검토된 바 있디,Rosemh때, & Jacobson, 1968) 교사는 탈암시와 암시를 통해 학습내용이 
무의식과 의식에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권위, 유아화, 정보의 이중 수준성, 
억양, 리듬, 의사수동성이 펼요하다{Banαoft, 1999; Schiffier, 1992). 암시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 
동안 스포측 학습, 생리적 통제, 의학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주로 검증되었기 때문에(김유미 
역, Russell 저, 1996), 앞으로 교수학습분야에서 방법론적으로 확고한 경험연구들이 더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초기에는 이러한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외국어 교수학습에만 적용하였으나 점차 타교과에도 
적용하였으며, 마침내 1972년-1973년 사이에 불가리아 교육부에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을 모든 
공립학교에 소개하게 되면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은 급속도로 발전하였다σρ,zanov, 1978) 
이와 같은 보고에 관심이 생긴 서구의 학자들은 불가리아에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면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1ρzanov의 연구에서처럼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당히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이 서 
구에 소개되는 데는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다 
마침내 1976년 미국에서 아이오와대학에 SALT(Society for Suggestive- Aα, elerative Learning and 
Te때ng)가 설립되면서,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SALT에서는 연구 · 개 
발과 정보교환을 위해 논문집을 발간하였다 이후 이 논문집을 통해 Iρzanov의 암시가속교수 
학습(suggestopedia)과 이를 미국에 적 합하게 개 발한 암시 가속교수학습(SAL T: Suggestive­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고, 이들 연구들에서는 암시 
가속교수학습의 개념, 발전과정, 기법, 절차, 적용결과,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Bancr아t , 1999). 
이와같이 암시가속교수학습이 서구에 소개되면서‘ 이를 실제로 교육장변에 적용하려는 연 
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초기에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외국어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검증 
하려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Caux, 1993; Racle, 1975; Ramirez, 1986). Racl어 1975) 이 μ,zanov의 
방법을 캐나다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불가리아에서 직접 연수를 받고 돌아와 캐나다 
에서 실시한 1 차 실험에서 12명의 학생들을 네 집단에 배정하여 실험한 결과, 긍정적인 결과 
가 나타났다‘ 곧이어 2차실험에서는 불어강좌에 등록한 172명과 영어강좌에 등록한 26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말하기와 듣기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 
다 Ramir 
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년간의 외국어 수업 후에 외국어 접수가 낮고 외국어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갖게 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a따(1 993)의 연구에서는 대학 1-2학년
6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학생을 대상으로 통제집단에는 17명을 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16명을 배정하여 33회의 관찰 
을 통해 전통적인 방법과 가속학습이 구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공변량분석으로 검증한 결 
과, 의의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이르러 암시가속교수학습은 비단 외국어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그밖의 인지적 영 
역과 정의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었으며, 외국어 교수학습에서와 마찬가지 
로 그 결과도 긍정적이대αnfer-Owens, 1992; H뼈, 1983; Ilpola-Ha미, 1995; Lee, 1981; Scha띠at, 
1997). Shrum(l 985)은 교도소 수용자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기 12명씩 무선으로 배 
정하여 6주 동안 3회의 반복연구를 통해 가속학습과 완전학습이론을 통합한 수업전략이 성 
취검사와 산수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후검사와 파지검사에서 모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αnfer-Owe띠(1992)도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방법과 암시가속학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학생의 태도, 동기유발, 시간관리기능에서는 의의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 
았다 그러나 추가적인 분석에서는 암시가속학습이 어린 여학생과 나이든 남학생에게 학습 
기능의 활용방법을 가르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ha띠at(l 997)은 6학년 남학 
생 10명을 무선으로 추출하여 가속학습이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현장 관찰, 면 
접, 일기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임을 발견하였 
다 그런가 하면, Ilpola-Hani(l 995)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을 핀란드의 중학교 언어교수학습에 적 
용하고 학생들의 관점에서 그 방법을 평가하게 한 결과, 성별이나 학업수준과는 무관하게 학 
생들이 암시가속교수학습에 호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들에 
대한 연구방법을 검토하고 메타분석을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Dipamo, & Job, 
1991; M∞n, 1986; Schiffier, 1992). Dipamo와 Job( 1991)은 성인교육, 기업체 훈련, 상담분야 등 
에 적용되고 있는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문헌분석과 평가연구를 기반으로 암시가속교수 
학습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방법론적으로 확고한 연구에서 긍정 
적 결과가 더 많았고, 장기적인 프로그램과 경험있는 교사에게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아울러 방법론적으로 확고한 연구들이 요구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또한, M,∞n(1986)은 
암시가속교수학습의 한 가지 요소 이상을 활용한 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한 결과, 
14펀의 연구에서 효과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통계치가 모두 있었고, 분석결과에서는 암시가 
속교수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외국어 습득, 파지,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창 
의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하여 정리해보면, 첫째, 암시가속교수학습은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가리아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처럼 그 효과가 90%를 넘는다거나 모든 
학생이 거의 동일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툴째, 초기에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외국어
유이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61 
교수학습에만 적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까지 적용하고 
있으며, 연구결과 또한 긍정적이다. 셋째, 암시가속교수학습은 정상적인 초 · 중 · 고 •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 지체아, 교도소 수용자에 이르는 광범위한 
대상에게도 적용가능하다. 넷째, 암시와 교사의 역할을 중요시하던 Iρzanov의 암시가속교수학 
습이 효과와 학생의 입장을 강조하는 가속학습으로 점차 변화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Lozanov의 연구가 방법적 측면에서 다소 비판을 받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의 실험 
은 아주 다양하고 인상적이며 다른 어떤 교수학습법보다 불가리아, 미국, 캐나다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이 연구 · 적용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Diparno & Job, 1991; sc비ffier, 1992). 
최근에 이르러서는 Iρzanov의 이론을 기반으로 Gardner의 중다지능이론과 예능의 강력 한 효 
과를 통합하려 는 가속학습(accεlerative learning) 이 나, 교사의 역 할을 중시하는 Iρzanov와는 달리 
교사없이도 초학습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초학습(superl때ning)까지 등장하고 있다 
(Bancroft, 1999; Cassone, 1996; Ostrander, Schroeder, & Osrrander, 1994; Schiffier, 1992). 
N. 유아교육어의 )./사럼 
앞에서 논의한 유아음악교육의 의의와 목표,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에서 음악의 가치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이러한 음악은 비단 유아 
교육에서만 유익한 것이 아니라 평생 동안 인지와 정서 발딸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먼저 유아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예를 몇 가지 제시하고나서 유아교 
육에서의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제시하려 한다, 
1. 교육적 적용g벤 
유아교육은 교육과정 운영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어떤 학교수준 
에서보다도 음악능력을 기르기 위한 음악교육과 두뇌개발을 위한 음악교육을 동시에 구현하 
기가 훨씬 용이한 면이다. 실제로 그동안 유아교육에서 음악을 다양하게 적용해왔음은 기정 
의 사실이지만, 여기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이미 
유아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활동들의 두뇌생리학적 근거를 검토하고 나아가 두뇌에 부응하 
는 음악교육을 실현하는 지침을 제시하려는 의도에서 유아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음악활 
동의 예를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앞에서 논의한 음악의 세 가지 역할인 각성
62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조절요소, 전달도구, 기폭원으로 나누어 음악활동을 제시하려 한다 따라서 이런 활동들 중 
어떤 것들은 이미 활용되어 온 것일 수도 있고, 한 가지 음악활동이 위의 세 가지 역할 모두 
는 물론이고 그 밖의 역할까지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여기에서는 각 음악활동이 주요 관심 
을 어디에 두었는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음악을 각성조절 요소로 활용하는 예로는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유아들과 함께 가 
볍고 경쾌한 노래를 부르거나 유아들의 기분을 이완시켜주기 위해 부드러운 피아노 멜로디 
를 들려주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유아들이 잠들기 전에 잔잔한 음악을 들려주면서 조용히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바로크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여 간단한 외국어 대화를 들려 줄 수도 
있다. 그밖에 유아들이 그림 그리기나 만들기 · 꾸미기와 같은 표현활동을 할 때에도 아이디 
어 창출을 돕기 위해 음악을 들려줄 수 있다 
둘째, 음악을 전달도구로 활용하는 예로는 교사가 유아들이 잘 아는 동요에 새로 학습한 
내용으로 가사를 바꿔 노래를 가르치는 경우나 유아 스스로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 영 
역에서 배운 내용을 동요나 섬지어 최근에 유행하는 랩 (rap)의 7씨로 만들어 노래를 부르는 
경우이다 유아교사들은 유아 스스로 자신이 알고 있는 동요나 가요를 수정하거나 변형하여 
자신이 말하고 싶어하거나 학습한 내용을 노래로 부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 
는 유아들이 지신에게 익숙해진 노래를 상황이나 내용에 따라 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것을 
쉽게 발견할수 있다. 
셋째, 음악을 기폭원으로 활용하는 예로는 어떤 내용을 가르치기 전이나 주의를 끌어야 
할 때마다 특정의 노래를 함으로써 유아들은 그 노래를 듣는 순간, 그들이 전에 그 노래를 
부르면서 했던 동작이나 자세를 취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어딘가를 지나거나 어떤 
장면을 보거나 어떤 내용을 공부하면서 들었던 노래를 다시 듣게 되면, 그 장소, 그 장면, 그 
내용이 생각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들에게 어떤 동화책을 읽어 줄 때마다 특정의 음악을 
들려주게 되면, 그들은 후에 그 음악이 우연히 흘러나올 때에도 그 음악과 함께 들었던 동화 
책의 내용을 회상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음악활동들 외에도 유아교육 현장에서 두뇌개발을 위하여 적용가능한 음악 
활동은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얼핏 보기에 “두뇌개발”이라는 용어가 마치 “인지”에 
만 관심을 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뇌의 피질(cortex), 변연계(limbic sysrem), 뇌간(b때n 
srem), 심지어 신체가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 한다는 점에서 두뇌개발이란 용어가 “인지”에 
만 관심을 둔다고 보는 것은 극히 단펀적인 해석에 불과하다. 실제로 우리는 언젠가 큰 기쁨 
으로 다가왔던 일을 단 한번 경험하고도 평생 동안 기억할 수 있으며, 심지어 그 일이 있었 
던 당시의 느낌까지도 경험할 수가 있다. 이것은 그 일이 일어났을 때 동반했던 정서가 기억 
형성에 큰 영호t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기억과 정서의 밀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직 근거와 적용 63 
접한 관계를 알 수 있으며 나아가 교수학습 과정에서도 이러한 정서를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방볍 중 가장 적절한 요소가 바로 음악으로서 특히 음악은 긍정적 정서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정서활용 방법이라 할 수 있다 
2. 유아교육에서인 암시가속교수흑읍 
우선 유아들이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처음 접할 때 그들이 유쾌한 분위기라는 인상을 받도 
록 해야 한다{Iρzanov, 1978) 본 활동에 들어가기 전에 유아들은 펀안하게 이완한 상태에서 
긍정적 암시를 받는다. 이런 준비단계가 이루어진 후에, 본 활동은 의미파악, 콘서어트1 행동 
화의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Bancroft , 1999; Kline, 1988; Sc비ff1er, 1992) 이들 과정은 언뜻 
보기에 서로 분려된 계열적 과정으로 보이지만, 섣제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 3단 
계는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Kline, 1988) 
먼저,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의미파악 단계에서는 자료를 가볍게 뚫어보게 한다 교사는 
이 단계에서 제스처 게임과 같은 활동을 해야 한다 이 단계의 목적은 유아들이 새로운 자료 
의 의미와 개념을 추측해볼 기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의미파악 과정에서는 정보를 
기억하게 하려는데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정보에 친숙하게 하려는 데 주요 관심을 둔다 
정보의 종합을 돕기 위한 Lozanov의 두번째 단계는 콘서어트 기간이다. 이 단계를 거치는 
동안 힘들이지 않고서도 새로운 자료를 쉽게 장기기억고에 넣을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교사 
는 가르쳐야 할 핵심 개념이나 가장 중요한 정보가 담긴 재미있는 이야기나 대본을 읽는다. 
이때 교사가 읽는 내용이 바로크음악이나 고전음악 또는 낭만파음악의 구조와 어울려서 낱 
말이 음악의 리듬 및 정서와 조화된다 
이 단계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이 실제 이루어지는 기간으로 능동적인 콘서어트와 수동적인 
콘서어트로 구성된다 능동적인 콘서어트에서는 고전음악을 사용하고 이때 사용되는 음악은 
후반부의 음악보다 활기찬 음악이다 이 기간에 유아플은 자료를 보고, 외국어 교수의 경우 
에는 언제나 외국어와 모국어를 동시에 제시한다 음악이 몇 박자 흐른 후에 교사는 적절히 
쉬어가면서 자료 전체를 크게 읽는데 이때 교사는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읽는다 
후반부에는 느린 바로크 음악과 같이 평화로운 음악이 흘러나오고 유아들은 자료를 치워 
놓은 채 편안하게 이완된 자세로 앉은 상태에서, 교사는 자료를 자연스런 억양으로 읽으며 
자료를 읽은 후에는 음악이 점차 사라진다. 
Iρzanov의 세변째 단계는 행동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보통 앞의 두 단계보다 더 길게 진 
행된다 행동화 단계는 게임, 노래, 촌극, 토론뿐만 아니라 학습내용을 활용하도록 설계된 그 
밖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활동틀을 통해 학습과정에서 생기는 거의 모든 긴장이 없어
6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지고,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쉽게 검토하게 된다 물론 콘서어트 기간이 
미리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런 활동들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각 단계는 효과적인 입력, 종합, 출력의 모든 요건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의식 · 무의식과 두뇌 양반구를 고루 활용하여 즐겁고 효과적인 교수학 
습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단계는 비단 암시가속교수학습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교수학습 과정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이러한 암시가속교수학습 단계에서 나타나는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정려해보면, 첫째, 유아 
들은 이완된 상태에서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하여 의식적 · 무의식적으로 긍정적 암시를 받는 
다. 둘째, 자료는 유아를 동기유발 시킬 수 있도록 구성주의적 이어서 교수목표가 자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수학습은 주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며 내용의 정서적 요소를 강 
조한다. 셋째, 교사는 음악에 맞추어 음량, 리듬, 억양을 고려하여 자료를 낭독한다. 넷째, 음 
악을 들으며 이완된 상태에서 자료의 내용을 시각화한다 다섯째, 유아들이 교정 받았음을 
느끼지 못하도록 교정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유아들이 자료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주로 관심을 두며 그 결과는 이후에 분석한다 여섯째, 토론, 게임, 역할극, 노래 등을 활용한 
다 일곱째, 유아들에게 장들기 직전과 잠에서 깨어난 직후에 배운 부분을 읽어보도록 권한 
다 
이와 같은 요소들은 기존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제시하는 사항과 다소 상치(相騙되는 부분 
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요소들이 지금까지의 많은 교육이론이나 교사들이 제시해왔던 
것과는 다소 다르다 할지라도, 확고한 두뇌생리학적 기반에 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잠재력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지향하는 교사들에게는 새로운 연구과제 
가될 것이다 
V. 결 론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아울러 앞으로 나아가야 할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활동은 두뇌개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전에는 음악활동이 마치 우반구 
만의 고유한 기능인 것처럼 생각해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음악활동을 할 때 좌반구와 
우반구가 모두 활성화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음악활동을 할 때 좌 · 우 
반구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은 시냄스 강도의 영향을 받는 감각 · 지각 체계, 인지체계, 동작
유마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65 
협응, 평가와 피드백, 동기유발이나 쾌락 체계 등의 개입과도 관련이 있다. 이런 사실에 비추 
어 볼 때 음악활동을 많이 할수록 뉴런 사이의 시냄스가 강해지고 나아가 두뇌가 발달하리 
라고 예측할 수 있다 실제로 음악이 각성조절요소, 정보의 전달도구 및 기폭원으로서 유아 
의 학습에 기여하고 있음은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다. 또한 음악은 긍정적 정서를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어떤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정서를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유치원에서는 유아들에게 즐겁고 적극적인 음악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언어학습을 비롯한 지적 학습이나 정의적 학습을 위해 음악을 주요 요소로 한 암시 
가속교수학습을 활용할 수 있다. 암시가속교수학습을 통해 이완상태에서 즐겁게 학습이 이 
루어지고, 두뇌 양반구가 활성화되며, 정보를 무의식과 의식에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학습효 
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암시가속교수학습에서는 유아들이 음악, 시각화, 요가 등을 통 
해 이완되고 즐거운 상태에서 학습할 준비가 되고, 정보를 청각적 ·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 
써 양반구가 활성화되며, 의미 있는 이미지나 동작이 언어정보와 연합하여 나타나는 만큼 양 
반구가 자극을 받아 학습해야 할 단어와의 의미 있는 연상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언어지도를 할 경우에도 암시가속교수학습을 활용한다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Prichard와 TayI。이 980)가 유아기에서 9세 무렵까지 암시성이 증가한다고 제시한 바 있 
는데, 그러한 사실에 비추어보더라도 다른 어느 때보다 유아기에 암시가속교수학습의 효과 
가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음악적 목표와 또 다른 목표인 그 밖의 능력 개발 목표를 적절히 
조화시켜야 할 것이다 음악교육은 크게 음악적 능력 개발과 그 밖의 능력 개발이라는 두 가 
지 목표를 가지고 이루어진다{Reimer, 1999). 이때 음악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과 그 
밖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물론 한 가지 음악활동을 통 
해서 두 가지 목표 도달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특정의 한 가지 목표에 치중하다보면 다른 
목표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두 가지 목표의 조화를 위해, 유 
아교사들이 표현생활의 음악과 관련된 탐색, 표현, 감상 활동을 통해서는 음악적 능력 개발 
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이고, 표현생활의 동작 및 미술과 관련된 활동이나 다른 영역의 제 활 
동에서는 음악활동을 통해 그 밖의 능력을 개발하려는데 주요 관심을 갖는다면, 음악활동의 
두 가지 목표는 서로 조화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두뇌개발을 위해 음악을 활용하려 할 때, 그중 어떤 것들은 
이미 해온 것일 수도 있겠지만, 어떤 것들은 이미 해온 것에 대해 “아! 그동안 내가 잘못 했 
구나”하고 깨우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며, 나아가서는 새로운 음악활동을 창출할 기 
회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유아교육의 경우에는 현재 음악활동이 표현생
66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활에 속해 있으면서 동시에 다른 영역물과 통합적으로 운영하도록 되어 있어서, 유아교사들 
이 약간의 창의성과 열정만 발휘한다면,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적 능력과 그 밖의 능력을 개 
발하고 긍정적 정서를 유도하려는 유아음악교육의 포괄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8-10호 
교육뷔 1999).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구희영 · 김남경 · 윤대경 (2000) 유아음악교육 서울: 푸른세상 
김유미 역, Russell, P.(996) 인간의 두뇌 서울 교육과학사‘ 
김유미 (998)‘ 온몸으로 하는 학습 서울 푸른세상, 
김유미 역, Eric Jensen 저 (2000) 두뇌기반교수 서울· 푸른세상 
서울특별시교육청 (2αJO)‘ 서울특별시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 
이병헌 외 3 인(1 996) 유아음악교육 서울 동문사 
정윤선(1 996) 코다이 음악교육이 음악적 능력과 정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5, 143-160. 
허순희(1 997)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일반적 창의성의 관련성에 관한 이론적 기초 아동교육", 6, 
150-167. 
Bancroft, W. ].(1999). Suggestopedia and Language a띠버sition. N.Y.: Gordon & Breach Publishers 
Begley, S.(1996). Your child's brain. E] 519 032. 
Black, S.(1997) 까le musical mind. E] 537 554 
Bower, B.(1994). Brain images reveal cerebral side of music. Sα, enæ, 145, 260. 
Caskey, 0. W., & Flake, M. H.(1976). Essentials of suggestopedia: A primer for practitioners. ED 
119 063 
Cassone, L.(996). Accelerared learning. hrrp://www.contexr.orgIIOlBIIC27/Labiosa.htm 
Confer-Owens, V. A.(1992). Effectiveness of suggestive-accelerative learning tech미ques in teaching 
underprepared college freshmen. ED 355 236 
Caux, P. Y. M.(1993). Accelerated 1얹rning in a beginning college-Ievel French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uston: University of Houston 
Davis, ].(1997). Mapping the mind. N.].: A Birch Lane Press B∞k 
DePorter, B., & Hernacki, M.(1992). Quantum learning. New York: A Dell Trade Paperbaιk. 
DePorter, B., Reardon, M., & Singer-Nourie, S.(999). Quantum teaching. Boston: Allyn and Bacon 
Dipamo, B., & ]ob, R F. S.(199 1). A methodological review of srudies of salt techniques. Ausrralian
유이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67 
Jo.ιημ" 0./ εíuι'atio.na! T.κbηo.!o.gy, 7, 127-143 
Flohr, W. ].(1996). αlildren's elearophysiological responses to music. ED 410 017. 
Flohr, ]. W., & Miller, D. C( 1995). Developmental quantitative EEG di라rences during psychomoror 
response to music. ED4lO 016. 
Frost, ]. L.( 1998). Neuroscience, play, and child development. ED 427 845. 
Gardner, H. (983). Frames of nlind. New York: Basic B。이c5 
Gold, L.(1985). Suggesto야dia: Activating the srudent’5 reserve capacities. ED 328 057. 
Green, F. R (l999). Brain and learning research: Implications for meeting the needs of diversε lεarners 
εiumtlon, 119, 682-687 
Hales, V. E( 1983). Suggestopεdia: lts effecrs on word identifìcation skills of nlildly and moderately 
retarded children. Unpublishε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Tech University 
Holdεn, C(1998). Music 없 fαx:! for the brain. Scieηæ. 282. 1409. 
Ilpola-H때, P.(l997). Suggestopedic language teaιhing and its eValuation: The pupils' point of view 
http://wwwlib.urni.com/dissertations/fullcit ' 1348865 
]ensen, E.(l996). Brain-based learning. CA: Turning Point Publishing. 
]ensen, E.(l998a). Introduaion to brain-compatible learning. CA ‘ The Brain Store, Inc. 
]ensen, E.(1998b). Teaching with the brain in nlind.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때d 
Curriculwn Development 
]ones, R(999). Mozart's nice but doesn't increase IQs. http://cnn.com/l-표ALTH/ 9908/25/mozart.iq 
jindex.html 
]ones, N. A., & Field, T.(999). Massage and music therapies attenuate frontal EEG asymmetry in 
depressed adolescents. Aι'o!esæη'ce, 34, 529-534 
Kline, P.(1988) 까le εvery day genius. Virginia: Great Ocean Publishers. 
Lang, S. S.(1999). Music-good for not only the soul, but the brain. Hwnan Ecology Forrnn, 27, 
24-25 
Lee, I. ].(981). Lstening comprehension: A combined strategy for accelera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int 1ρuis University. 
Iρzanov, G.(1978). Suggestology and out!ines of suggesro야dy. N.Y.: Gordon & Breach. 
Iρzanov, G.( 1979). Accelerated learning and individual potenti허. E] 218 588. 
Mahler, D( 1978). Music for learning. ED 158 543 
M∞n , C E.(1986). A meta analysis of suggesropedia, suggestology, suggestive- 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에per-learning. ED 271 503
68 일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저 12 호) 
OhIhaver, D.(l998). Learning with music in the classroom: What research says. EJ 574 195. 
Ostrander, S., Schroeder, L., & Ostrander, N.(l994). Superlearning 2000. N.Y.: Delacorte Press 
Prichard, A., & Taylor, ].(1980). Accelerating learning: Thε use of suggestion in the classr∞m. c.A.: 
Acadernic Therapy Publishers. 
Racle, G. L.(l975). A teaching e뿌erience with the suggestopaedic method. ED 135 207. 
Racle, G. L.(977). Suggestopaedia and the teaching of languages: Key points. ED 149 632 
Ramirez, S. Z.(1986). The effects of suggesto야dia in teaching English vocabtÙary to Spanish-dorninant 
chicano third graders. EJ 337 877. 
Rauscher, F. H., Shaw, G. L., Levine, L. ]., Ky, K N., & Wright, E. L.(1993). Music 뻐d spatial 
task performance. Natι, re, 365, 611 
Rεimer, B.(1999). Facing the risks of the mozart effeα . Phi Defta κ1ppaη, " 81, 278-283. 
Richards, R G. (1993). Learn: Playful techniques to accelerate learning. Arizona: Zephyr Press. 
Rosenthal, R , & Jacobson, L.(1968). Pygmalion in the classr∞m. N.Y.: Holt, Rineharr, & WÏnston. 
Scha버at , T. A.(997)‘ Effects of accelerated lear미ng methodology on student self-concept as acadernic 
aιhievε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int 1ρuis University 
Schiffler, L.( 1992). Suggestopedic methods and applications. Pennsylvania: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SchIaug, G.(1995). ln vivo evidence of structural brain asymmetty in musicians. Sα, eηα" 267, 699-701 
Schuster, D. H., & Marrin, D. ].(1980). πle effects of biofeedback induced tension on rel값ation, 
chronic anxiety, vocabulary easiness, suggestion and sense of subject on learning rare vocab띠ary 
words. Journa! of the 50αeη ψrAα'e!erative Learηn쟁 찌찌 Teachiη![;, 4, 275-288 
Schuster, D. H., & Mouzon, D.(1 982). Music and vocabtÙary learning. Journal of the Sαiety for 
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7, 82-108 
Sergent, ].(1992). Distributed Neural Network Underlying Musical Sight-Reading and Keyboard 
Performance. Science, 257, 106-109 
Shrwn, H. E.(l985). A m여ifì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the accelarative and masteπ l얹rning of 
basic arithmetic by male incarcerated ad버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vada 
Steele, R (1999a). The Mozart effect: Fact or fantasy' hrtp: //www.earlychildh∞d. about.com/education/ 
earlychildh∞φlibrary/blnev.잉 htm. 
Steele, R(1 999b). The Mozart effect: Fact or fantasy? hrtp://www.earlychildhood.about.com/education/ 
earlychildho여/library/blsteelε htm.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69 
Vold, ]. N.(l986). A study of musical problem solving behavior in children and a comparison with 
other aspects of creative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abarna Universiry 
Weinberger, N. M.(1998a). Brain, behavior, biology, and music: Some research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Arts εiucatioη Po/iry Reαew, 99, 28-36 
Weinberger, N. M.(1998b) πle music in our rninds. Educational Leadership, 56, 36-40 
Wilcox, E.(2000, 2). Music, brain research, and better behavior. The ε@ι1f1Oη Digl'.Jt, 65, 10-15. 
Yellin, D.(1982). Left brain, right brain, su야r brain: 1be holistic model. ED 218 586 
Zatorre, R ].(1992). Lateralization of Phonetic 뻐d Pitζh Discrirnination in Speech Processing. Sα, 'ence. , 
256, 846-849.
7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Abstract 
Brain-physiological basi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 
Kim. You-Me 
1bis study purporrs to investigate the brain-physiological basis of early childhα녕 music education 
and its implicarion.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firs t!y, the significance and object of music 
education are presented, secondly, brain-physiological basis of music education is closely described, 
thirdly, its implica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discussed, finally, the conclusion 때d suggesrion 
of music education are derived. 
There’s a great deal of excitement over music research rhese days. The Journals or pop띠ar press 
often report on new findings, such as rhe effects of listening to or playing music on child 
development, intelligence, cognirive abiliries, and brain function. 
Learning and perforrning music actually exercise rhe brain not only by developing s야cific musical 
skills, but also by strengthening the synapses between brain cells. By making music, the 
sensory-perceptual sysrems, rhe cognitive systems, planning movement, feedback and evaluation of 
actions, the motivational systems, and memory are engaged. What is important is not how well a 
student plays but rather the simulraneous engagement of senses, muscIes, and intellea. In short, 
m와이 ng music actively engages the brain synapses, and there is g∞d reason to believe rhat it increase 
rhe brain’s capacity by increasing rhe srrengths of connections among neurons. 
πus study zeroes in on rhe importance of music in cognition, and suggests applicarion methods of 
music as arousal, carrier, primer, and, in addition, an essential factor of suggestopεdia in early 
childh∞d education. 1bis study recommends insuring substantialiry of music activity in expression 
domain, aaively integraring music 3!αiviry into orher acrivities in e}φression domain and acriviries 10 
other domains, and applying suggesropedia ro preschool settings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혜원 정
 

What's hot (6)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Similar to 95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_적용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혜원 정
 
박지원 모형
박지원 모형박지원 모형
박지원 모형혜원 정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혜원 정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혜원 정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혜원 정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혜원 정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혜원 정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Eun Suh Jang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Similar to 95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_적용 (20)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박지원 모형
박지원 모형박지원 모형
박지원 모형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_이해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혜원 정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혜원 정
 
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
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
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09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박순용(soon yong pak)) 10003490
 
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
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
2013 신현숙 행동문제의 예방과 학업적 성공을 돕는 사회정서학습
 

95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_적용

  • 1. 열린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이ion for EαIy Childh∞d Educafion 2000. 11. Vol 5. No. 2, pp. 45 - 70.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김 유 미* 그동안 회교교육대|서 융와달 주요교과대I서 벗어니 주변교과의 위처어| 머물러 있었융 옳 부인활 수 없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뜰에서는 음악감상이나 연주기 유O불}달, 지능 인지능뭘 및 두뇌거능대| 미치는 명황에 대한 연구결과둘율 저!시하면서, 그동안 소흩히 여겨졌던 융악01 결코 부수적이거나 선택적인 교과가 아니라 뭘수적인 교과잃올 강조하 게 되었다 다행스렁께도 현재 유치원에서는 음악교용이 원훌히 이루어지고 있는 펀이 며, 특히 옴QI올 ‘표현생활.어l 넣어 다루는 동시에 다른 g역의 훨동아1M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디는 점에서 유of음악교육은 비교적 두뇌에 부용히는 교수홍응을 지황하고 있다고앓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서 용익훌동이 두뇌샘리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률 탑 색하고‘ 0101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 중 두뇌빠 부용하지 않는 요소둘은 줄이면서 두뇌에 부웅하는프 요소들은 졸 더 쩍극적으로 발전시켜 갈 방인율 타진하려는 의도에서, 용악교육의 의의와 목표율 살펴보고 용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훌 탐색한 후어1. 이 훌 기브g로 유아교육어|의 시사정율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대용올 정리하여 결혼옳 제시하면서 흘과적인 뮤Of음악ii1li릭대| 대웅{여 제언하고자 흐!Cf 1. 서 론 최근 들어 음악연구는 많은 흥분을 자아내고 있다 전문잡지는 물론이고 섬지어 일간신문 * 중앙대학교 강사
  • 2. 46 일린유아교육연구 (저 15권 저 12 호) 에서도 음악감상이나 연주가 유아발달, 지능, 인지능력 및 두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F1ohr , 1996; Frost, 1998; H이den, 1997; Jensen, 1996; Jones, 1999; Jones, & Field, 1999; μng, 1999; Rauscher, et 와, 1993; sc바aug, 1995; Wilcox, 2000). 나아가 이 러한 연구들에서는 그동안 소홀히 여겨졌던 음악이 결코 부수적이거나 선택적인 교과가 아 니라 필수적인 교과임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꼭 이런 연구결과들이 아니더라도, 음악이 인류 초기부터 계속해서 존재해왔고 어 떤 문화에서나 부모들은 자장가를 부르며 아이들을 재워 왔으며 문화적 요소가 영향을 주기 전인 생의 초기부터 음악활동이 나타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음악이 인간에게 본능적으로 중요함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아주 어린 두뇌마저도 음악의 기본적 요소들을 처리 할 수 있도록 전문화된 두뇌의 부위들이 있음은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밝혀진 사실이다 (Weinberger, 1998a, 1998b) 이러한 사실은 어린 두뇌의 기능적인 구조가 언어를 처리 (processing)할 때뿐만 아니라 음악을 처리하는 데에도 능숙하다는 생물학적 근거를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주 어린 영아도 두 음을 변별하고 멜로디를 기억하며 긴 멜로 디를 작게 나누고 리듬을 이해하며, 심지어 이전에 일어났던 일을 기억하기 위하여 음악을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오늘날의 신경과학 연구에서는 많이 활용한 시댐스는 강해지고 활용하지 않은 시냄 스는 약해진다는 결론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면 두뇌의 어떤 기능체계가 시냄스 강도의 영향 을 받는가〉 청각, 시각, 촉각, 근운동감각과 같은 감각 · 지각 체계, 상징, 언어, 읽기와 같은 인지체계, 소근육 및 대근육의 활동 · 협응과 같은 동작 협응, 행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 동 기유발이나 쾌락 체계, 기억 등이 시냄스 강도의 영향을 받는데, 음악활동을 할 때에는 이 체계들이 모두 개입하게 된다{Sergem, 1992; Weinberger, 1998a, 1998b, Zatorre, 1992) 한 예로 아주 복잡한 상징으로 이루어져 있는 악보를 읽고 작품을 연주하고 결과를 평가 한 후에 연주를 수정하는 과정을 고려해보자. 이때 유아들은 다른 동료들과 협연하면서 자신 의 연주를 들으며, 악보의 뒤앙스를 기억해서 연주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유아들이 얼 마나 연주를 잘 하느냐가 아니라 감각, 근육, 지적 능력을 동시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음악학습과 연주는 특수한 음악기능을 개발하는 것만이 아니라 뉴런간의 시댐스를 강화함으 로써 두뇌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사실은 음악가들이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두뇌의 피질 전 체가 활성화되었다는 Sergem( 1992)의 연구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음악과 두뇌의 역학적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음악이 두뇌 에 얼마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려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음악연구에 힘 입어 점차 음악과 행동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의 펼요성이 절실해졌고, 마침내 이러한 다학문 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학문적 편견이나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학문간의 상호이해, 교류, 상
  • 3.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己)학적 근거와 적용 47 호협력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사와 교육 행정가들도 음악과 교육의 포 괄적인 관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들을 접하고 이런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시사 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실제로 음악활동을 통해 언어습듀, 읽기 준비성, 지능발달, 창의 성 및 긍정적 태도가 촉진되고 사회성, 조절능력 및 자아 존중감이 증진되며 지각생이 줄어 틀 수 있다{Weinberger, 1998b) 이처럼 음악은 음악교과 자체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그 밖의 교육을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표현생활의 탐색, 감상 및 표현 활동에서 음악, 연극, 동 작, 미술을 상호 관련지어 충실히 지도하고, 그 밖의 건강생활, 사회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과 같은 영역에서도 음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지적 · 정의적 학습을 위해 음악을 주요 요 소로 하는 암시가속교수학습suggestopedia)도 활용해야 한다{Bancroft, 1999; DePorrer, & Hernacki, 1992; DePorrer, Reardon, & Singer-Nourie, 1999; 1ρzanov, 1978, 1979; Reimer, 1999; S띠ffier, 1992) 그러면 우리의 양육방식과 교육방식에서는 얼마나 음악을 활용하고 있는가9 단지 몇 개월 밖에 안된 유아라 하더라도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면 음악에 맞추어 옴을 신나게 흔들어댄다‘ 이렇게 유아의 두뇌는 음악을 이해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유 아는 유치원에 들어가기 한참 전부터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만일 부모들이 유아의 언어활동 을 강화하는 것처럼 음악활동도 강화한다면, 유아들은 타고난 의사소통, 표현, 인지 능력을 한층 더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성장해가면서 음악적으로 표현하거나 음악을 듣고 신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게 되고 그들 또한 그런 분위기에 익숙 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주지교과를 강조하는 부모나 교사들에 의해 점점 강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유아교육에서는 음악기능이나 표현을 주입식으로 지도하던 재래식 음악교육에서 벗어나 점차 더 효과적인 방법을 탐색 · 적용하고 있으며, 음악을 ‘표현생활’에 넣어 다루는 동시에 다른 영역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교육부, 1998, 4-7, 21, 1999, 41-45, 86; 서울시교육청, 2000, 31) 또한 교사들이 교실에서 이와 같은 음악활동을 하려 할 때 음악에 대한 전문적 견해가 요구되지 않으며, 유아의 타고난 호기섬 덕분에 유아교육에서 음악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유아음악교육이 활성화되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보 인디얘reinberger, 1998a) 이처럼 유아음악교육이 활성화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음악활동이 두뇌생리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 중 두뇌에 부응하지 않는 요소들 은 줄이면서 동시에 두뇌에 부응하는 요소들은 좀 더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갈 방안을 모색 할 필요성이 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의 의의와 목표를 살펴보고 음악교육의 두뇌 생리학적 근거를 탐색한 후에, 이플 기반으로 유치원에서 교육적 적용방안과 유아교육에서 의 암시가속교수학습으로 나누어 시사점을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 여 결론을 제시하면서 효과적인 음악교육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 4. 48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II. 유아음악교육으| 의의와 목표 1. 유m발딜에서 음악의 의의 음악은 인류가 지구상에서 생활하기 시작한 오랜 옛날부터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게 되었 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음악도 변화해 왔지만, 사람들은 변함 없이 음악을 즐기고 좋아하며 음악과 함께 생활해왔다. 심지어 우리 인간은 음악을 통해 우울한 마음을 발산하기도 하고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음악은 우울함이나 분노와 같은 인간의 감정을 안 정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이끌어 왔으며, 문화의 주요 요소로 자리잡아 왔다. 뿐만 아니라 음악은 영화나 연극 등과 같은 다른 예술분야에도 활용되어왔다. 이처럼 인간의 생활에서 음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 원인은 음악이 인간의 정서에 큰 영호뇨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정윤선, 1996) 특히 유아들의 경우에는 음악적 자극이 지적 발달을 촉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 나이다 음악 자체가 유아들에게 즐거움을 주기도 하지만, 유아들은 주변에 있는 불체로 소 리를 만들어내기도 하고, 소리의 변화에 민감하며, 새롭고 신기한 음에 관심을 기울인다. 뿐 만 아니라 옹알이나 자기 나름대로의 방식을 통해 노래 부르기를 즐기고 음악에 맞추어 몸 을 움직이거나 흔드는 것과 같은 신체표현을 하기도 한다{허순희, 1997). 유아의 여러 가지 능력 중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다른 어떤 능력보다도 중요한 음악 감각 은, 유아기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에 걸쳐 급속히 진보한다 이러한 사실은 모든 유아들이 음 악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누구에게나 잠재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또한 유아들의 여러 가지 활동 중 음악활동은 다른 활동에 비해 유아의 정서, 언어, 신체 그리고 인지 발달과 같은 다양한 측면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Gardner( 1983, 33)가 아주 어 린 아이들도 음악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고 말한 것처 럼, 유아 들은 성장해가면서 환경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음을 만들어내는 수단을 발견해간 다. 이러한 활동은 자유롭고 율동적이며 신체적 표현을 포함한 활동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이처럼 다양한 활동을 통한 자유로운 자기 표출은 곧 창의성 발달의 신호이기도 하다 실제 로 유아들의 하루 일과를 관찰해보면, 그들이 음을 사용하는 활동을 하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활동들은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창의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다. Vold(1986)도 음악활동을 많이 한 학생들이 음악경험이 적은 학생들에 비해 창의적 능력 이 크게 증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성을 증진시키려는데 주요 목표 를 둔 특정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다양한 음악활동만을 통해서도 창의성이 증진될 수
  • 5.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49 있음을시사해준다. 이처럼 음악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자신의 고유한 세계를 독창적이고 융통성 있게 표현 하도록 유도하고, 풍부한 상상력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집중력 · 탐구력을 증진시켜 주며, 학 습전이를 통하여 다른 학업성적을 증진시켜 주거나 창의적인 삶을 누릴 수 있게 해준다 2. 유이음악교육의 의의와 목적 우리가 교육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음악활동을 강조하지 않아도 유아는 언제나 음악을 만들 어내고 음악에 반응하기 때문에 유아 곁에는 언제나 음악이 있기 마련이다 이처럼 유아의 의식 속에서나 생활 속에서 음악은 그들의 삶 자체로서 본능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 나 이러한 것들은 비언어적이고 감각적이기 때문에 그대로 내버려둘 경우에는 음악학습으로 연결되지 못한다 이러한 본능적 특성을 살리고 타고난 음악 능력을 보다 발전시켜서 그들의 성장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즉홍적인 환경이 아니라 체계적인 음악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이병헌 외, 1996, 11). 체계적으로 제공된 음악경험을 통하여 유아의 잠재적인 창의성을 자극하고 음악적 개념을 계발하게 되어, 마침내 유아는 느끼고 감지하며 생각한 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 다. 실제로 유아는 처음에 음악을 탐색하고 모방하며 실험해 봄으로써 점차 음악을 식별하고 조직화하며 창조할 수 있게 되고, 나중에는 그것을 재조직, 생산, 개념화할 수 있게 된다 또 한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 능력을 동냉시키는 동시에 음악에 대한 정의적 행통특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음악경험이 필요하고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음악교육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 다{정윤선, 1996). 이러한 유아의 음악활동은 음악에 대한 유아의 잠재 능력을 촉진시켜 유아가 음악을 자연 스럽게 익히고 학습에 홍미롭게 임함으로써 상상력,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표현력은 물론 다 른 학습이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교육활동의 하나이므로, 유아교육과정에서 음악 활동은 더욱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유아음악교육의 의의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같다 · 음악과 리듬은 유아교육의 모든 프로그램을 연결시켜준다 · 음악은 정서 발달과 도덕 생활을 풍부하게 해준다 · 음악이나 리듬은 집단에서의 조화와 사회생활을 원만케 해준다 · 음악을 통해 여러 방변의 지식을 얻을 수 있다. · 음악을 통해 개인의 소질을 계발하고 타인으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으며 단체에 공헌할수 있다
  • 6. 5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흐) · 음악을 통해 창조적인 자기표현을 한다 · 전통음악을 통해 모국을 알게 된다 이처럼 다양한 의의를 지닌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 다 한가지 목적은 노래나 리듬을 통해 유아의 마음속에 있는 긴장과 갈등을 해소시키고 정 신건강을 도와주려는데 있다 실제로 음악은 긴장을 해소하는 가장 적절한 매개라 할 수 있 고, 유아들은 이러한 매개를 통하여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감정을 순화하며 아름답게 해 서 원만한 성격이 된다 유아음악교육의 또 한가지 목적은 음악을 통한 자기 표현 기술을 발 달시켜 개인적인 이익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음악활동에 기쁘게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 이다 이와 같은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구희영 · 김남경 · 윤대근, 2000, 87) · 유아가 놀이나 생활 속에서 노래나 리듬을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언제 어디서나 부르고 싶은 노래를 혼자서 부르고 즐길 수 있도록 많은 노래를 가르친다. · 유아들의 생활을 이끌고 풍부하게 하며 감정을 순화시킬 수 있는 노래를 많이 지 도하여 노래를 생활화하도록 한다. · 리듬악기나 그 밖의 악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좋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음악이나 리듬을 통해서 장조적인 자 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아음악교육의 목표에 부응하여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표현생활’ 을 통하여 유아가 자연과 사물의 예술적 요소를 탐색, 감상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음악, 조형, 동작, 극과 같은 다양한 예술적 표현활동을 통하여 자발적,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함으 로써 예술에 대한 호기심, 표현능력, 심미감을 기르고 정서적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 지침에서는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과 같 은 영역 활동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도록 명시하고 있다{교육부, 1998, 4-7, 21, 1999, 41-45, 86; 서울시교육청, 2000, 31)
  • 7.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51 III. 음악교육으l 투뇌성2.1학적 근커 본 절에서는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인 근거를 탐색하여 유아음악교육에의 시사점을 발 견하려는 의도에서, 먼저 음악과 두뇌의 관계를 두뇌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에 대히여 논의하고, 마지막으로는 음악을 중심으로 다른 활동들을 통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최근에 전세계 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하여 소개하려 한다. 1. 음악과두뇌의 관계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음악은 주로 우반구에 의해 처리된다고 주장해왔다 PET주사의 발명자 중 한 사람인 Phelps(Davis, 1997, 102)도 음악감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오른쪽 청각 피질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몇 개의 PET 영상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우반구 편 재회{later허ization)의 증거는 단편적 일 뿐만 아니 라, 왼쪽 측두엽 부위들이 음악감상에 관여 한 다고 제시하는 다른 연구들과 모순되기도 한대김유미 역, Jensen 저, 2000; Jensen, 1996). Sergent(1992)는 15 년 이상 피아노를 친 10명의 오른손잡이 피아니스트의 두뇌가 작용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 PET와 MRI를 사용하였다. 그 연구에서 Sergent 등은 피아니스트가 악 보를 보며 피아노를 연주할 때 두뇌의 전체적인 네트워크가 활성화됨을 발견하였다. Sergent 등은 처음에 몇 가지 PET 기저션을 측정하였다 한 집단은 자원자들이 쉬면서 텅빈 스크린 을 쳐다보는 동안 측정하였고, 두번째 집단은 스크린에 나타난 점들의 패턴에 손이나 손가락 을 움직여 반응하는 동안 측정하였으며, 세번째 집단은 자원자들이 어떤 악보를 감상하고 연 주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다옴에 Sergent 등은 각 자원자들이 누워서 오른손잡이용으로 쓰여 진 악보를 읽는 l 분간 PET 주사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각 자원자들이 가까이에 있는 작은 전자 오르간으로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는 1 분간 PET 주사를 측정하였다 실험상황에서 기저선 두뇌 영상을 제(除)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들이 두 과제에 실제로 관여한 부위들을 분리해낼 수 있었다 그때 Sergem 등은 이전에 자원자들의 두뇌에서 나타난 MRI 영상에 PET 영상을 겹쳐 보았다 그렇게 합성한 영상으로 검사 동안 가장 활성화된 두뇌부 위를 알아낼 수 있었다 Sergent 등은 눈으로 악보를 볼 때나 음악을 연주할 때 피질의 4엽 즉,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이 모두 활성화되고, 심지어 소뇌까지도 활성화됨을 발견 하였다 이런 “음악 네트워크”의 일부인 뉴런 모임의 일부는 언어처리와 관련된 좌반구 부위 의 바로 옆에 있지만, 이 두 부위가 동일하지는 않았다 Sergem 등은 그 검사에서 활성화된
  • 8. 52 일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저 12 호) 두뇌의 일부 부위들이 악보의 음표로 나타나는 공간정보를 다룰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이처럼 MRl와 PET 주사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음악과 분명하게 관련된 두뇌 부위들을 처 음으로 생생하게 볼 수 있다 그러나 Sergent는 악보를 보고 피아노를 치는 것마저도 음악경 험 전체의 일부에 불과할 뿐이라고 경고하면서, “그 실험을 통해서도 음악을 통한 즐거움과 정서까지는 이해하지 못했다”고 부언하고 있다 한편, 두뇌의 음악적 관련성을 연구해 온 Schlaug(Davis, 1997, 105-106)는 전문적인 음악가 와 보통 사람 사이의 차이뿐만 아니라 완벽한 음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Sc버aug는 음악가와 보통 사람 사이에 나타나는 두뇌 구조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연구하기 위하여 54명의 자원자 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반은 클래식 음악을 전공한 오른손잡이 남자 피아니스트나 기악 연 주자들이었고, 반은 오른손잡이인 보통 남자들이었다 연구지들은 두뇌 구조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MRl를 찍었다.Sc버aug는 두 집단의 피험자들간에 몇 가지 현저한 차이를 발 견하였다 한 가지 차이는 소리 신호를 처리하는 대뇌피질의 측두평면(planum tempor혀e)이라 는 작은 신경구조에서 나타났으며, 전문적인 음악가들의 측두평면이 보통 사람들보다 좌반 구에서는 더 컸고, 우반구에서는 보통 사람들보다 더 작았다. 다른 차이는 좌반구와 우반구 의 유사한 부분을 연결하는 전뇌 (forebrain) 아래에 있는 두껍고 긴 띠모양의 신경조직인 뇌량 (corpus callosum)에서 발견되었는데, 음악가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뇌량이 더 두꺼웠다. 그런 차이는 어려서 음악을 시작한 음악가의 경우에 특히 자명하였는데, 그들의 뇌량은 보통 사람 들이나 유아기 후반에 음악을 시작한 음악가들보다 10-15%가 더 두꺼웠다. sc버aug는 그의 MRl 주사를 통해 초기의 음악 훈련이 어린 두뇌를 물리적으로 형성해가고 틀지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음악 훈련은 기존의 신경연결을 강화시키고 새로운 연 결을 추가한다{Lang, 1999) 특히 sc비aug( 1995)는 소리 신호 처리자{sound-signal processor) 인 측두평면이 전반적인 음악능 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완벽한 음조를 지닌 전문적인 음악까 음조가 완벽하지 않 은 전문적인 음악가 및 음조가 완벽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 구하기 위하여 MRl를 이용하였다. MRl 영상에서는 이전 연구결과의 일부를 확인해주었다 좌반구에 있는 소리 신호 처리자가 우반구에 있는 소리 신호 처리자 보다 더 컸다 이런 현 상은 음악가나 보통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더 중요한 것은 음악가의 경우에 크기 의 차이가 보통 사람들의 두 배 정도로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통계적 분석에서는 이러한 불균형이 음악가 집단 중 완벽한 음조를 지닌 사람들에게서 아주 현저한 것으로 밝 혀졌다. 이러한 Schlaug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분야에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상태이다 그 한 예로 Zarorr어 1992)는 음악이 주로 오른쪽 청각피질에서 처리된다고 제시
  • 9. 유마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53 하였다. 특히 Zarorre는 개인이 이전에 들은 적이 없는 멜로디를 경청할 때에는 오른쪽 대뇌 반구가 활성화된다고 제시하였다 Zarorre는 오른쪽 청각 피질 부분이 음악패턴을 경청하고 음조가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Zarorre는 어떤 사람이 오른쪽 청각 펴질에 영호t을 주는 뇌졸증을 앓을 경우에, 그 사람은 모든 음악능 력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감상 능력의 일부가 손상될 뿐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후에 Zatorre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Sc비aug의 연구결과와 모순적이라기 보다는 보완적이라고 말하 고 있다 즉, 각 연구자는 동일한 신경학적 현상의 다른 측면을 관찰했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우반구와 우반구의 청각피칠이 음악의 어떤 측면을 처리하는데 관여하고 좌반구는 다른 측 면을 처리하는데 관여하기 때문이다. Galabur뼈Davis, 1997, 107)도 음조룰 지각하려면 언어 적 · 음악적 기능이 모두 요구되기 때문에 음조는 좌반구에서 처리된다고 말한다. 그는 왼쪽 에 있는 측두평면이 언어이해를 가능케 하는 부위인 Wernicke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우연 의 일치가 아니라고 본다 Shlaug도 이런 주장이 당연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는 음악의 전반적인 멜로디 요소 중 대부분을 우반구에서 처리하지만, 음조를 확인하고 음의 이름을 말 하는 것은 좌반구의 소리 신호 처리자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2.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 앞에서 논의한 음악과 두뇌 관련 기초연구들을 기반으로「 최근의 신경과학 연구들에서는 음악교육이 음악능력의 배양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이후의 학업과 진로 측면에서도 성공할 기반올 다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Begley, 1996; Black, 1997; Bower, 1994; Frost, 1998; Green, 1999; Holden, 1998; Jones, & Field, 1999; Lang, 1999; MahIer, 1978; OIhaver, 1998; Reimer, 1999; Wilcox, 2000). OIhaver( 1998)는 음악과 학업증진의 관계, 내향성 · 외향성의 학습환경 선호도? 동일 상태 (state)를 활용한 학습, 외국어 학습 증진을 위한 음악 활용, 음악이 신경망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연구들을 검토한 후에 교실활동에서 음악을 통합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Lang(l 999)도 유 아의 두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스폰지와 같은 것이 아니라 3차원적인 점들과 같은 데, 그 점들은 곧 뉴런으로서 초기의 다양하고 능동적인 경험에 의해 연결되며, 그런 경험이 없으면 연결이 사라지게 된다고 보았다 Lang은 음악이 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유아의 언 어, 어휘, 감각동작기능, 공간추리, 논리, 리듬기능 동의 습득을 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Hanshumacher(김유미 역, Je따en 저, 2000, 95)는 예능교육과 관련된 36펀의 연구 를 검토한 결과, 예능교육이 언어발달, 창의성, 읽기 준비성을 촉진하고 일반적인 지적 향상 과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이 되며,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촉진시킨다고 결론지었다,
  • 10. 5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저 12 호)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 외에 음악활동이 학교에서의 긍정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려는 연구들도 이루어졌는데, Weinberger( 1998b)는 음악훈련이 초등학교 l 학년 아동의 독해점 수를 증진시키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는 7개월 동안 매일 40분썩 민속음악을 감상하고 멜로디와 리듬을 이해하도록 했으며, 통제집단에게는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았다. 음악감상 수업 후에, 실험집단의 독해점수가 통제집단의 접수보다 의의 있게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Wilco쳐 2000)도 음악활동을 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 며 훈육문제도 적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학교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은 광범위하고 체 계적인 음악활동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시사하였다 이처럼 음악활동이 인지, 창의성, 태도, 사회기능, 훈육문제 등과 같이 두뇌활동의 결과인 유아의 외현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음악활 동이 일어나는 동안 두뇌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측정치인 EEG와의 관련성을 직접 관찰함으 로써 교수학습 장면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려는 연구들도 이루어졌다 Flohr( 1996)는 기저선의 EEG와 음악을 경청하는 동안 EEG간에 나타난 전기생리학적 차이 를 검토하기 위히여, 실험집단인 4세에서 6세 사이의 유아 22명을 대상으로 7주 동안 25분씩 일주에 두 번 특수한 음악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음악수업을 하지 않았다. 실험은 눈을 뜬 채로 조용히 앉아 있기, 고전음악을 감상하기, Wechsler 검사의 조립 퍼즐 맞추기와 같은 세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의의 있게 다른 EEG가 나타났고, 특히 실험집단에서 인지 처리 및 이완은 의의 있게 증가하였으나, 공간처리에 대 한 행동측정치에 있어서는 집단 간에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과 음악 관련 과제가 두뇌의 전기활동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유아음악교육의 수업 전략을 개발하려 할 때 가장 중요한 선결요건임을 시사해준다 Flohr와 Milleκ1995)도 기저선 의 EEG와 음악 자극에 대하여 운동기능을 하는 동안의 EEG간에 나타난 전기생리학적 차이 를 검토하기 위히여, 평균 5.2세인 9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눈을 뜬 채 2분간 조용히 앉아 있기, 고전음악에 맞추어 l 분간 가볍게 뛰기, 아일랜드 민속무용에 맞추어 l 분간 가볍게 뛰 기와 같은 세 조건에서 나타난 EEG를 일원변량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눈을 뜬 채 조용히 앉아 있는 상태에서 써l 타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눈을 뜬 채로 조용히 앉아 있을 때와 음악조건 사이에 오른쪽 측두엽 (te미por꾀 lobe) 쩨타파와 왼쪽 전측두엽 (anterior tempor외)의 쩨 타파가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눈을 뜨고 있는 조건과 두 음악조건들 모두에서 알파 파가 감소되었는데, Flohr와 Miller는 인지적 관여를 증가시키는 동작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 어난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이 연구결과에서는 음악 지각과 산출을 위한 유아교육방법의 첫 단계는 두뇌가 음악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임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연구들은 교사들이 교수학습 활동을 실행하기 전에 신경생리학적인 결과들을 검토
  • 11.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금거와 적용 55 함으로써 두뇌의 특성에 부응하는 교수학습 활동을 모색하고 설계할 직접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한편, 최근에 “모짜르트 효과”로 유명한 Rauscher( 1993) 등의 연구에서는 한 집단은 이완음 악을 듣고,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서 음악을 듣지 않았으며 세번째 집단은 모짜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D장조”를 들었다. Rauscher 등은 10분간 음악을 들은 후에 모짜르트곡을 들 은 집단의 시공간적 추리가 일시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Steele( 1999b)은 Rauscher 등의 ”모짜르트 효과”는 물리학자의 터무니없이 사변적인 두뇌이론이라고 비판하였 다 여기에서 Steele은 고전음악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자체를 부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모짜 므트 음악을 단지 10분간 수동적으로 감상한 정도만으로 인지과제의 수행능력이 증진되지 않는다논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에 대하여 ]ones(l999)는, Rauscher 등1993)의 실험 에서는 대학생들이 모짜르트 음악을 10분 정도 감상하고도 시공간능력이 증가된 것으로 나 타났음에도 불구하고 Stεel어 1999b)의 반복연구에서 이런 현상이 입증되지 못한 까닭과, 두 학 자간의 첨예한 몇 가지 논쟁점들을 다각도로 논평하면서, 모짜르트 음악 감상이 인지적 수행 을 개선시켰다면, 그것은 음악이 인지적 각성과 주의집중을 개선시켰기 때문일 것이므로1 부 모들은 음악을 마력의 약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조언하고 있다. Steele이 지적한 것처럼, “모짜르트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많다고 할지라도, 그동 안 많은 학자들이 풍요로운 학습 프로그램의 요소로서 음악의 가치를 계속해서 언급해 왔으 며, 이미 많은 영재학교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음악을 충분히 활용해 왔다〈김유미역, ]ensen저, 2000, 93). 실제로 예능 프로그램을 강조한 Dougl잃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그 지역의 규준에 비추어 여섯 분야 중 다섯 분야에서 20 점 이상 성적이 높았으며,Thαbury, Ointon, 그 리고 Fair Avenue와 같은 지역의 다른 학교들도 예술을 강조함으로써 학업성취가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ensen, 1998, 38-39) 특히 Black( 1997)은 음악교육과 두뇌개발의 관계에 대하여 비교적 포팔적으로 제시하고 있 는데, 그에 따르면, 음악경험은 두뇌에서 청각적, 시각적, 인지적, 정의적, 동작 체계가 모두 관여하는 다중방식으로 나타나고 음악을 처리할 때에는 좌반구와 우반구가 모두 관여하므로 음악경험은 두뇌 전체에 걸쳐 시댐스의 형성과 수초의 성장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또한 Black은 유아의 음악경험은 언어적 사고의 표현이 뛰어나지 않은 유아들의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러면 음악은 두뇌개발을 위한 풍요로운 환경의 개념에 얼마나 적합한가9 음악을 각성조 절 요소, 단어의 전달도구, 그리고 두뇌를 자극하는 기폭원과 같은 세 가지 역할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성 (arous외)을 조절하는 도구로서 음악은 주의를 유도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증가시키
  • 12. 56 열린유아교육연구 (저 15권 저 12 호) 거나 감소시킨다. 한 예로 긴박한 음악이 흘러나올 때에는 간뇌와 교감신경에서 노어아드레 날린과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지만, 이완상태를 유도하는 음악이 흘러나올 때에는 아세틸콜련 이 분비되어 장기기억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은 유아의 알파파를 유도하는데 상 당한 영횡t을 주고, 물론 그런 상태는 학습에 영횡t을 준대DePorter, & Hernacki, 1992, 256‘ DePorter, Reardon, & Singer-Nourie, 1999, 75; Ostrander, Schr∞der, & Ostrander, 1994, 80-81) 이 렇게 두뇌가 이완상태일 때에는 많은 뉴런이 거의 동시에 활성화되지만, 홍분하거나 주의집 중하고 있을 때에는 많은 뉴런이 동시에 활성화되지 못한다, 따라서 두뇌의 전반적인 부분이 관여한 낮은 각성 상태에서 두뇌의 여러 부위에 있는 정보가 동시에 연합되어 창의력이 발 현되기도 한다. 둘째, 음악을 전달도귀carrier)로 활용하는 것이대김유미 역, ]ensen 저, 2000, 94; ]ensen, 1996, 221; Kline, 1988, 47). 이 경우에 음악의 멜로디는 단어를 기억하기 위한 도구의 역할을 한다. 우리는 유아들이 새로운 노래의 가사를 얼마나 쉽게 외우는지 잘 알고 있다 그들이 가사를 외우는데 도웅이 되는 것은 멜로디이다 우리가 알파뱃 공부를 했던 것을 회 ÀJ-해보 면, 이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우리가 어려서부터 알파뱃 노래를 불러왔기 때문에 중학교에 들어갈 때쯤에는 별 어려움 없이 알파뱃을 쉽게 익힐 수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알파뱃을 배 워야 할 무렵이 되었을 때 그 멜로디의 음표 아래에 있는 글자에만 집중하면 되었기 때문이 다. 이런 유형의 다른 예로는 독도의 역사를 공부할 때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를 부르 거나 한국의 위인들을 암기하기 위하여 “한국을 빛낸 100인의 위인들”이라는 노래를 부르면 서 가사의 내용을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우리는 음악을 전달도구로 활 용하는 예를 주변에서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음악을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음악은 두뇌의 신경회로를 자극할 수 있 다 뉴런은 계속해서 작용하는데, “신경 잡담”과 분명한 사고는 연결의 속도1 계열 및 강도의 영 향을 받는다 그런데 이 런 요소들은 음악에 의해 ”촉발~trigger) 또는 기폭priming)"되는 작용 패턴을 나타낸다 글루타민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은 홍분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GABA와 같 은 신경전달물질은 억제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두뇌에 이런 점멸 스위치들이 없다면, 뉴런 은 아무렇게나 작용할 것이다 실제로 학습하논 동안 GABA가 분비되면, 교실에서 연필 떨어 지는 소리, 아이들이 재잘거리는 소리, 거리의 소음, 의자의 딱딱함 등 사소한 외부의 자극은 무시하고 학습과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집중이 가능해진디{김유미, 1998, 181). 그러나 뉴런이 아무렇게나 작용한다면, 모든 경험에 동일한 비중을 두게 되어 학습이 손상되 거나 심지어 불가능해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음악의 세 가지 역할들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될 수도 있고 통일 현상의 다른 측면을 설명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심지어 실제로는 분리 불가능한 요소일 수도 있겠지만,
  • 13.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57 논의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위의 세 가지 요소가 음악의 역할을 모두 망라한 것도 아님을 벌+혀둔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은 먼저 음악교육 본래의 목표에 충실 하면서 두뇌개발과 같은 음악교육의 또 다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음악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두 가지 목표를 조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 연극, 미술, 언어, 수학, 감 각동작, 공간추리, 논리 등 다른 영역들과 적절히 통합하여 구현해가야 할 것이디-(Begley, 1996; Black, 1997; Frost, 1998; Lang, 1999; Olhaver, 1998; Rξ1mεr, 1999; Wìlcox, 2000) 3. 암시가속교수흐읍 지금까지 논의한 음악의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히여 이를 언어교육에 적용하여 성공한 예 로 암시가속교수학습{suggestof뼈에을 들 수 있다. 암시가속교수학습은 불가리아의 의사인 Iρ,zanov가 여러 가지 심리요법을 시도하는 과정에 서 최변, 자기최면, 명상, 요가, 수면, 암시 등의 상이한 의식상태에 관한 과학적 실험이나 연 구를 기반으로 암시이론üugg얹tology)을 확립한 후에, 그러한 암시이론을 교육분야 특히 지식 전달을 위해 응용한 이론이대Lozanov, 1979).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개념 정의를 위해 먼저 암시가속교수학습의 세 가지 원리를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Scωffier, 1992, 17-18). 첫째, 심리적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주의가 집중되 고, 공포, 스트레스, 피로「 지루함, 화와 같은 긴장상태를 제거함으로써 기쁨을 느낀다. 둘째, 언어적 · 비언어적 의사소통, 피질 · 피질 하부의 처리, 생리적 · 심리적 반응 및 이성 · 정서 형태의 무의식과 의식이 하나가 된다 셋째, 학습장벽(lear띠 ng barrier) 에 대한 탈암시 (desuggestion)와 학습 잠재성에 대한 암시를 통해 교사와 유아의 암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 진다 Iρ,zanov는 위의 세 가지 원리들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분리해서 고려할 수 없다고 말한다­이러한 세 가지 원리를 기반으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정의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면, 암시가 속교수학습은 상호적인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사가 의식적 · 무의식적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을 방해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고 학습을 증진시키는 모든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유아들이 높 은 학습수준에 이르게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두뇌생리학적 근거는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완상태에서 학습이 즐겁게 이루어진다 Iρzano여 1978)에 따르면, 교사의 행동과 음 악이 학생을 이완상태로 유도함으로써 촉진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때 바로크의 라르 고 음악은 이완상태인 사람의 심장 박동수와 분 당 박자수가 같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실 제로 Lozanov( 1978, 239)는 콘서어트 단계 동안 피험자의 얄파파가 증가하고 베타파가 감소한
  • 14. 58 일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다고 제시하였다 이처럼 바로크 음악이 이완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는 가설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곧 각성상태보다 음악을 통한 이완상태에서 학습이 더 잘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완상태에서 학습이 증가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Schusrer와 Marrin (980)은 4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학생들을 불안수준별로 16명씩 세 집단으로 나눈 후에, 곧이 어 그들은 약간의 설명과 함께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모국어 단어 25개를 학습하였다. 결과에 서는 피험자들 대부분, 특히 만성 불안이 있는 피험자조차도 학습기간 이전, 학습기간, 시험 기간 동안 이완상태였으며, 이처럼 이완상태이고 긍정적 암시를 받았을 때 학습효과가 증진 되었다 이 결과는 알파상태에서는 긴장하지 않고도 주의집중이 가능하다고 한 Lozanov의 주 장을 지지해준다 Kr없hen(Sc“ffier, 1992, 26)도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논의에서 암시가속교 수학습이 최적의 투입이라는 준거에 부응함을 인정하고 있다 그 까닭은 암시가속교수학습 에서는 학생들이 음악, 시각화, 요가 등을 통해 이완되고 즐거운 상태에서 학습할 준비가 되 기 때문이다. 즐겁고 이완된 상태일 때 학습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은 이미 생물학적 연구 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있다iJensen, 1996, 1998a, 1998b). 둘째’ 두뇌 양반구를 활성화시킨다다’ Sch뼈tl 때 음악을 경청하는데 이용되는 우반구가 외국어 교수학습을 위해서도 이용되기 때문에 학 습이 증진된다고 보았다 또한 암시기속교수학습은 음악뿐만 아니라 제스처나 심상도 활용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대Schusrer, & Mouzon, 1982). Studdert-Kennedy (Schiffier, 1992, 23)도 언 어정보중 자음은 주로 좌반구가 처리하지만 모음은 양반구가 똑같이 처리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런 연구들은 Iρzanov가 추천하는 고전음악에 맞추어 교사가 자료를 암송하는 능동 적 단계에 억양을 통합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암시가속교수학습에 서는 정보를 청각적 ·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양반구가 활성화된다. 의미있는 이미지나 동 작이 언어정보와 연합히여 나타나는 만큼 양반구가 자극을 받아 학습해야 할 단어와의 의미 있는 연상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다양한 감각양식을 통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부호화함으로 써, 공고화는 증가되고 망각은 줄어들 수 있대김유미 역, Russell 저, 1996; Confer-Owens, 1992; Jensen, 1998a, 1998b; Klinε, 1988; Richards, 1993; Yellin, 1982). 실제로 Iρzanov는 시청각 매체와 신체동작을 통합함으로써 오랫동안 그런 가능성을 실천해왔다. 셋째, 무의식과 의식에 전달된다 Iρzanov는 교사가 학생에게 미치는 암시와 무의식의 영향 을 강조한다. 그는 학생의 무의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음악, 시각화, 암시가 중요한 역할 을 하며, 그밖에 교실 환경, 교사의 권위, 요가 등도 중요하다고 본다{Bancr아i:, 1999; Caskey, & F1ake, 1976; Güld, 1985; Racle, 1977)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적용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이전 에 한 학습경험에 기반을 두고 기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훨씬 더 학습을 잘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암시한다, 학생들은 항암시장벽이 제거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이와 같은 교
  • 15.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59 사의 기대를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오래 전에 검토된 바 있디,Rosemh때, & Jacobson, 1968) 교사는 탈암시와 암시를 통해 학습내용이 무의식과 의식에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권위, 유아화, 정보의 이중 수준성, 억양, 리듬, 의사수동성이 펼요하다{Banαoft, 1999; Schiffier, 1992). 암시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 동안 스포측 학습, 생리적 통제, 의학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주로 검증되었기 때문에(김유미 역, Russell 저, 1996), 앞으로 교수학습분야에서 방법론적으로 확고한 경험연구들이 더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초기에는 이러한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외국어 교수학습에만 적용하였으나 점차 타교과에도 적용하였으며, 마침내 1972년-1973년 사이에 불가리아 교육부에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을 모든 공립학교에 소개하게 되면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은 급속도로 발전하였다σρ,zanov, 1978) 이와 같은 보고에 관심이 생긴 서구의 학자들은 불가리아에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면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1ρzanov의 연구에서처럼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당히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이 서 구에 소개되는 데는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다 마침내 1976년 미국에서 아이오와대학에 SALT(Society for Suggestive- Aα, elerative Learning and Te때ng)가 설립되면서,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SALT에서는 연구 · 개 발과 정보교환을 위해 논문집을 발간하였다 이후 이 논문집을 통해 Iρzanov의 암시가속교수 학습(suggestopedia)과 이를 미국에 적 합하게 개 발한 암시 가속교수학습(SAL T: Suggestive­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고, 이들 연구들에서는 암시 가속교수학습의 개념, 발전과정, 기법, 절차, 적용결과,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Bancr아t , 1999). 이와같이 암시가속교수학습이 서구에 소개되면서‘ 이를 실제로 교육장변에 적용하려는 연 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초기에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외국어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검증 하려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Caux, 1993; Racle, 1975; Ramirez, 1986). Racl어 1975) 이 μ,zanov의 방법을 캐나다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불가리아에서 직접 연수를 받고 돌아와 캐나다 에서 실시한 1 차 실험에서 12명의 학생들을 네 집단에 배정하여 실험한 결과, 긍정적인 결과 가 나타났다‘ 곧이어 2차실험에서는 불어강좌에 등록한 172명과 영어강좌에 등록한 26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말하기와 듣기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 다 Ramir 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년간의 외국어 수업 후에 외국어 접수가 낮고 외국어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갖게 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a따(1 993)의 연구에서는 대학 1-2학년
  • 16. 6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학생을 대상으로 통제집단에는 17명을 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16명을 배정하여 33회의 관찰 을 통해 전통적인 방법과 가속학습이 구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공변량분석으로 검증한 결 과, 의의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이르러 암시가속교수학습은 비단 외국어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그밖의 인지적 영 역과 정의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었으며, 외국어 교수학습에서와 마찬가지 로 그 결과도 긍정적이대αnfer-Owens, 1992; H뼈, 1983; Ilpola-Ha미, 1995; Lee, 1981; Scha띠at, 1997). Shrum(l 985)은 교도소 수용자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기 12명씩 무선으로 배 정하여 6주 동안 3회의 반복연구를 통해 가속학습과 완전학습이론을 통합한 수업전략이 성 취검사와 산수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후검사와 파지검사에서 모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αnfer-Owe띠(1992)도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방법과 암시가속학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학생의 태도, 동기유발, 시간관리기능에서는 의의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 았다 그러나 추가적인 분석에서는 암시가속학습이 어린 여학생과 나이든 남학생에게 학습 기능의 활용방법을 가르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ha띠at(l 997)은 6학년 남학 생 10명을 무선으로 추출하여 가속학습이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현장 관찰, 면 접, 일기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임을 발견하였 다 그런가 하면, Ilpola-Hani(l 995)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을 핀란드의 중학교 언어교수학습에 적 용하고 학생들의 관점에서 그 방법을 평가하게 한 결과, 성별이나 학업수준과는 무관하게 학 생들이 암시가속교수학습에 호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들에 대한 연구방법을 검토하고 메타분석을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Dipamo, & Job, 1991; M∞n, 1986; Schiffier, 1992). Dipamo와 Job( 1991)은 성인교육, 기업체 훈련, 상담분야 등 에 적용되고 있는 암시가속교수학습에 대한 문헌분석과 평가연구를 기반으로 암시가속교수 학습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방법론적으로 확고한 연구에서 긍정 적 결과가 더 많았고, 장기적인 프로그램과 경험있는 교사에게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아울러 방법론적으로 확고한 연구들이 요구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또한, M,∞n(1986)은 암시가속교수학습의 한 가지 요소 이상을 활용한 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한 결과, 14펀의 연구에서 효과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통계치가 모두 있었고, 분석결과에서는 암시가 속교수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외국어 습득, 파지,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창 의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하여 정리해보면, 첫째, 암시가속교수학습은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가리아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처럼 그 효과가 90%를 넘는다거나 모든 학생이 거의 동일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툴째, 초기에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외국어
  • 17. 유이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61 교수학습에만 적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까지 적용하고 있으며, 연구결과 또한 긍정적이다. 셋째, 암시가속교수학습은 정상적인 초 · 중 · 고 •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 지체아, 교도소 수용자에 이르는 광범위한 대상에게도 적용가능하다. 넷째, 암시와 교사의 역할을 중요시하던 Iρzanov의 암시가속교수학 습이 효과와 학생의 입장을 강조하는 가속학습으로 점차 변화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Lozanov의 연구가 방법적 측면에서 다소 비판을 받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의 실험 은 아주 다양하고 인상적이며 다른 어떤 교수학습법보다 불가리아, 미국, 캐나다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이 연구 · 적용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Diparno & Job, 1991; sc비ffier, 1992). 최근에 이르러서는 Iρzanov의 이론을 기반으로 Gardner의 중다지능이론과 예능의 강력 한 효 과를 통합하려 는 가속학습(accεlerative learning) 이 나, 교사의 역 할을 중시하는 Iρzanov와는 달리 교사없이도 초학습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초학습(superl때ning)까지 등장하고 있다 (Bancroft, 1999; Cassone, 1996; Ostrander, Schroeder, & Osrrander, 1994; Schiffier, 1992). N. 유아교육어의 )./사럼 앞에서 논의한 유아음악교육의 의의와 목표,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에서 음악의 가치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이러한 음악은 비단 유아 교육에서만 유익한 것이 아니라 평생 동안 인지와 정서 발딸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먼저 유아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예를 몇 가지 제시하고나서 유아교 육에서의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제시하려 한다, 1. 교육적 적용g벤 유아교육은 교육과정 운영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어떤 학교수준 에서보다도 음악능력을 기르기 위한 음악교육과 두뇌개발을 위한 음악교육을 동시에 구현하 기가 훨씬 용이한 면이다. 실제로 그동안 유아교육에서 음악을 다양하게 적용해왔음은 기정 의 사실이지만, 여기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이미 유아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활동들의 두뇌생리학적 근거를 검토하고 나아가 두뇌에 부응하 는 음악교육을 실현하는 지침을 제시하려는 의도에서 유아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음악활 동의 예를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앞에서 논의한 음악의 세 가지 역할인 각성
  • 18. 62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조절요소, 전달도구, 기폭원으로 나누어 음악활동을 제시하려 한다 따라서 이런 활동들 중 어떤 것들은 이미 활용되어 온 것일 수도 있고, 한 가지 음악활동이 위의 세 가지 역할 모두 는 물론이고 그 밖의 역할까지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여기에서는 각 음악활동이 주요 관심 을 어디에 두었는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음악을 각성조절 요소로 활용하는 예로는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유아들과 함께 가 볍고 경쾌한 노래를 부르거나 유아들의 기분을 이완시켜주기 위해 부드러운 피아노 멜로디 를 들려주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유아들이 잠들기 전에 잔잔한 음악을 들려주면서 조용히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바로크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여 간단한 외국어 대화를 들려 줄 수도 있다. 그밖에 유아들이 그림 그리기나 만들기 · 꾸미기와 같은 표현활동을 할 때에도 아이디 어 창출을 돕기 위해 음악을 들려줄 수 있다 둘째, 음악을 전달도구로 활용하는 예로는 교사가 유아들이 잘 아는 동요에 새로 학습한 내용으로 가사를 바꿔 노래를 가르치는 경우나 유아 스스로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 영 역에서 배운 내용을 동요나 섬지어 최근에 유행하는 랩 (rap)의 7씨로 만들어 노래를 부르는 경우이다 유아교사들은 유아 스스로 자신이 알고 있는 동요나 가요를 수정하거나 변형하여 자신이 말하고 싶어하거나 학습한 내용을 노래로 부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 는 유아들이 지신에게 익숙해진 노래를 상황이나 내용에 따라 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것을 쉽게 발견할수 있다. 셋째, 음악을 기폭원으로 활용하는 예로는 어떤 내용을 가르치기 전이나 주의를 끌어야 할 때마다 특정의 노래를 함으로써 유아들은 그 노래를 듣는 순간, 그들이 전에 그 노래를 부르면서 했던 동작이나 자세를 취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어딘가를 지나거나 어떤 장면을 보거나 어떤 내용을 공부하면서 들었던 노래를 다시 듣게 되면, 그 장소, 그 장면, 그 내용이 생각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들에게 어떤 동화책을 읽어 줄 때마다 특정의 음악을 들려주게 되면, 그들은 후에 그 음악이 우연히 흘러나올 때에도 그 음악과 함께 들었던 동화 책의 내용을 회상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음악활동들 외에도 유아교육 현장에서 두뇌개발을 위하여 적용가능한 음악 활동은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얼핏 보기에 “두뇌개발”이라는 용어가 마치 “인지”에 만 관심을 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뇌의 피질(cortex), 변연계(limbic sysrem), 뇌간(b때n srem), 심지어 신체가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 한다는 점에서 두뇌개발이란 용어가 “인지”에 만 관심을 둔다고 보는 것은 극히 단펀적인 해석에 불과하다. 실제로 우리는 언젠가 큰 기쁨 으로 다가왔던 일을 단 한번 경험하고도 평생 동안 기억할 수 있으며, 심지어 그 일이 있었 던 당시의 느낌까지도 경험할 수가 있다. 이것은 그 일이 일어났을 때 동반했던 정서가 기억 형성에 큰 영호t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기억과 정서의 밀
  • 19.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직 근거와 적용 63 접한 관계를 알 수 있으며 나아가 교수학습 과정에서도 이러한 정서를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방볍 중 가장 적절한 요소가 바로 음악으로서 특히 음악은 긍정적 정서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정서활용 방법이라 할 수 있다 2. 유아교육에서인 암시가속교수흑읍 우선 유아들이 암시가속교수학습을 처음 접할 때 그들이 유쾌한 분위기라는 인상을 받도 록 해야 한다{Iρzanov, 1978) 본 활동에 들어가기 전에 유아들은 펀안하게 이완한 상태에서 긍정적 암시를 받는다. 이런 준비단계가 이루어진 후에, 본 활동은 의미파악, 콘서어트1 행동 화의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Bancroft , 1999; Kline, 1988; Sc비ff1er, 1992) 이들 과정은 언뜻 보기에 서로 분려된 계열적 과정으로 보이지만, 섣제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 3단 계는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Kline, 1988) 먼저,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의미파악 단계에서는 자료를 가볍게 뚫어보게 한다 교사는 이 단계에서 제스처 게임과 같은 활동을 해야 한다 이 단계의 목적은 유아들이 새로운 자료 의 의미와 개념을 추측해볼 기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의미파악 과정에서는 정보를 기억하게 하려는데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정보에 친숙하게 하려는 데 주요 관심을 둔다 정보의 종합을 돕기 위한 Lozanov의 두번째 단계는 콘서어트 기간이다. 이 단계를 거치는 동안 힘들이지 않고서도 새로운 자료를 쉽게 장기기억고에 넣을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교사 는 가르쳐야 할 핵심 개념이나 가장 중요한 정보가 담긴 재미있는 이야기나 대본을 읽는다. 이때 교사가 읽는 내용이 바로크음악이나 고전음악 또는 낭만파음악의 구조와 어울려서 낱 말이 음악의 리듬 및 정서와 조화된다 이 단계는 암시가속교수학습이 실제 이루어지는 기간으로 능동적인 콘서어트와 수동적인 콘서어트로 구성된다 능동적인 콘서어트에서는 고전음악을 사용하고 이때 사용되는 음악은 후반부의 음악보다 활기찬 음악이다 이 기간에 유아플은 자료를 보고, 외국어 교수의 경우 에는 언제나 외국어와 모국어를 동시에 제시한다 음악이 몇 박자 흐른 후에 교사는 적절히 쉬어가면서 자료 전체를 크게 읽는데 이때 교사는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읽는다 후반부에는 느린 바로크 음악과 같이 평화로운 음악이 흘러나오고 유아들은 자료를 치워 놓은 채 편안하게 이완된 자세로 앉은 상태에서, 교사는 자료를 자연스런 억양으로 읽으며 자료를 읽은 후에는 음악이 점차 사라진다. Iρzanov의 세변째 단계는 행동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보통 앞의 두 단계보다 더 길게 진 행된다 행동화 단계는 게임, 노래, 촌극, 토론뿐만 아니라 학습내용을 활용하도록 설계된 그 밖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활동틀을 통해 학습과정에서 생기는 거의 모든 긴장이 없어
  • 20. 64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지고,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쉽게 검토하게 된다 물론 콘서어트 기간이 미리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런 활동들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각 단계는 효과적인 입력, 종합, 출력의 모든 요건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의식 · 무의식과 두뇌 양반구를 고루 활용하여 즐겁고 효과적인 교수학 습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암시가속교수학습의 단계는 비단 암시가속교수학습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교수학습 과정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이러한 암시가속교수학습 단계에서 나타나는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정려해보면, 첫째, 유아 들은 이완된 상태에서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하여 의식적 · 무의식적으로 긍정적 암시를 받는 다. 둘째, 자료는 유아를 동기유발 시킬 수 있도록 구성주의적 이어서 교수목표가 자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수학습은 주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며 내용의 정서적 요소를 강 조한다. 셋째, 교사는 음악에 맞추어 음량, 리듬, 억양을 고려하여 자료를 낭독한다. 넷째, 음 악을 들으며 이완된 상태에서 자료의 내용을 시각화한다 다섯째, 유아들이 교정 받았음을 느끼지 못하도록 교정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유아들이 자료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주로 관심을 두며 그 결과는 이후에 분석한다 여섯째, 토론, 게임, 역할극, 노래 등을 활용한 다 일곱째, 유아들에게 장들기 직전과 잠에서 깨어난 직후에 배운 부분을 읽어보도록 권한 다 이와 같은 요소들은 기존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제시하는 사항과 다소 상치(相騙되는 부분 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요소들이 지금까지의 많은 교육이론이나 교사들이 제시해왔던 것과는 다소 다르다 할지라도, 확고한 두뇌생리학적 기반에 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잠재력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지향하는 교사들에게는 새로운 연구과제 가될 것이다 V. 결 론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아울러 앞으로 나아가야 할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활동은 두뇌개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전에는 음악활동이 마치 우반구 만의 고유한 기능인 것처럼 생각해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음악활동을 할 때 좌반구와 우반구가 모두 활성화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음악활동을 할 때 좌 · 우 반구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은 시냄스 강도의 영향을 받는 감각 · 지각 체계, 인지체계, 동작
  • 21. 유마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65 협응, 평가와 피드백, 동기유발이나 쾌락 체계 등의 개입과도 관련이 있다. 이런 사실에 비추 어 볼 때 음악활동을 많이 할수록 뉴런 사이의 시냄스가 강해지고 나아가 두뇌가 발달하리 라고 예측할 수 있다 실제로 음악이 각성조절요소, 정보의 전달도구 및 기폭원으로서 유아 의 학습에 기여하고 있음은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다. 또한 음악은 긍정적 정서를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어떤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정서를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유치원에서는 유아들에게 즐겁고 적극적인 음악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언어학습을 비롯한 지적 학습이나 정의적 학습을 위해 음악을 주요 요소로 한 암시 가속교수학습을 활용할 수 있다. 암시가속교수학습을 통해 이완상태에서 즐겁게 학습이 이 루어지고, 두뇌 양반구가 활성화되며, 정보를 무의식과 의식에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학습효 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암시가속교수학습에서는 유아들이 음악, 시각화, 요가 등을 통 해 이완되고 즐거운 상태에서 학습할 준비가 되고, 정보를 청각적 ·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 써 양반구가 활성화되며, 의미 있는 이미지나 동작이 언어정보와 연합하여 나타나는 만큼 양 반구가 자극을 받아 학습해야 할 단어와의 의미 있는 연상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언어지도를 할 경우에도 암시가속교수학습을 활용한다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Prichard와 TayI。이 980)가 유아기에서 9세 무렵까지 암시성이 증가한다고 제시한 바 있 는데, 그러한 사실에 비추어보더라도 다른 어느 때보다 유아기에 암시가속교수학습의 효과 가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음악적 목표와 또 다른 목표인 그 밖의 능력 개발 목표를 적절히 조화시켜야 할 것이다 음악교육은 크게 음악적 능력 개발과 그 밖의 능력 개발이라는 두 가 지 목표를 가지고 이루어진다{Reimer, 1999). 이때 음악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과 그 밖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물론 한 가지 음악활동을 통 해서 두 가지 목표 도달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특정의 한 가지 목표에 치중하다보면 다른 목표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두 가지 목표의 조화를 위해, 유 아교사들이 표현생활의 음악과 관련된 탐색, 표현, 감상 활동을 통해서는 음악적 능력 개발 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이고, 표현생활의 동작 및 미술과 관련된 활동이나 다른 영역의 제 활 동에서는 음악활동을 통해 그 밖의 능력을 개발하려는데 주요 관심을 갖는다면, 음악활동의 두 가지 목표는 서로 조화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두뇌개발을 위해 음악을 활용하려 할 때, 그중 어떤 것들은 이미 해온 것일 수도 있겠지만, 어떤 것들은 이미 해온 것에 대해 “아! 그동안 내가 잘못 했 구나”하고 깨우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며, 나아가서는 새로운 음악활동을 창출할 기 회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유아교육의 경우에는 현재 음악활동이 표현생
  • 22. 66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활에 속해 있으면서 동시에 다른 영역물과 통합적으로 운영하도록 되어 있어서, 유아교사들 이 약간의 창의성과 열정만 발휘한다면,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적 능력과 그 밖의 능력을 개 발하고 긍정적 정서를 유도하려는 유아음악교육의 포괄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8-10호 교육뷔 1999).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구희영 · 김남경 · 윤대경 (2000) 유아음악교육 서울: 푸른세상 김유미 역, Russell, P.(996) 인간의 두뇌 서울 교육과학사‘ 김유미 (998)‘ 온몸으로 하는 학습 서울 푸른세상, 김유미 역, Eric Jensen 저 (2000) 두뇌기반교수 서울· 푸른세상 서울특별시교육청 (2αJO)‘ 서울특별시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지침 이병헌 외 3 인(1 996) 유아음악교육 서울 동문사 정윤선(1 996) 코다이 음악교육이 음악적 능력과 정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5, 143-160. 허순희(1 997)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일반적 창의성의 관련성에 관한 이론적 기초 아동교육", 6, 150-167. Bancroft, W. ].(1999). Suggestopedia and Language a띠버sition. N.Y.: Gordon & Breach Publishers Begley, S.(1996). Your child's brain. E] 519 032. Black, S.(1997) 까le musical mind. E] 537 554 Bower, B.(1994). Brain images reveal cerebral side of music. Sα, enæ, 145, 260. Caskey, 0. W., & Flake, M. H.(1976). Essentials of suggestopedia: A primer for practitioners. ED 119 063 Cassone, L.(996). Accelerared learning. hrrp://www.contexr.orgIIOlBIIC27/Labiosa.htm Confer-Owens, V. A.(1992). Effectiveness of suggestive-accelerative learning tech미ques in teaching underprepared college freshmen. ED 355 236 Caux, P. Y. M.(1993). Accelerated 1얹rning in a beginning college-Ievel French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uston: University of Houston Davis, ].(1997). Mapping the mind. N.].: A Birch Lane Press B∞k DePorter, B., & Hernacki, M.(1992). Quantum learning. New York: A Dell Trade Paperbaιk. DePorter, B., Reardon, M., & Singer-Nourie, S.(999). Quantum teaching. Boston: Allyn and Bacon Dipamo, B., & ]ob, R F. S.(199 1). A methodological review of srudies of salt techniques. Ausrralian
  • 23. 유이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67 Jo.ιημ" 0./ εíuι'atio.na! T.κbηo.!o.gy, 7, 127-143 Flohr, W. ].(1996). αlildren's elearophysiological responses to music. ED 410 017. Flohr, ]. W., & Miller, D. C( 1995). Developmental quantitative EEG di라rences during psychomoror response to music. ED4lO 016. Frost, ]. L.( 1998). Neuroscience, play, and child development. ED 427 845. Gardner, H. (983). Frames of nlind. New York: Basic B。이c5 Gold, L.(1985). Suggesto야dia: Activating the srudent’5 reserve capacities. ED 328 057. Green, F. R (l999). Brain and learning research: Implications for meeting the needs of diversε lεarners εiumtlon, 119, 682-687 Hales, V. E( 1983). Suggestopεdia: lts effecrs on word identifìcation skills of nlildly and moderately retarded children. Unpublishε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Tech University Holdεn, C(1998). Music 없 fαx:! for the brain. Scieηæ. 282. 1409. Ilpola-H때, P.(l997). Suggestopedic language teaιhing and its eValuation: The pupils' point of view http://wwwlib.urni.com/dissertations/fullcit ' 1348865 ]ensen, E.(l996). Brain-based learning. CA: Turning Point Publishing. ]ensen, E.(l998a). Introduaion to brain-compatible learning. CA ‘ The Brain Store, Inc. ]ensen, E.(1998b). Teaching with the brain in nlind.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때d Curriculwn Development ]ones, R(999). Mozart's nice but doesn't increase IQs. http://cnn.com/l-표ALTH/ 9908/25/mozart.iq jindex.html ]ones, N. A., & Field, T.(999). Massage and music therapies attenuate frontal EEG asymmetry in depressed adolescents. Aι'o!esæη'ce, 34, 529-534 Kline, P.(1988) 까le εvery day genius. Virginia: Great Ocean Publishers. Lang, S. S.(1999). Music-good for not only the soul, but the brain. Hwnan Ecology Forrnn, 27, 24-25 Lee, I. ].(981). Lstening comprehension: A combined strategy for accelera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int 1ρuis University. Iρzanov, G.(1978). Suggestology and out!ines of suggesro야dy. N.Y.: Gordon & Breach. Iρzanov, G.( 1979). Accelerated learning and individual potenti허. E] 218 588. Mahler, D( 1978). Music for learning. ED 158 543 M∞n , C E.(1986). A meta analysis of suggesropedia, suggestology, suggestive- 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에per-learning. ED 271 503
  • 24. 68 일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저 12 호) OhIhaver, D.(l998). Learning with music in the classroom: What research says. EJ 574 195. Ostrander, S., Schroeder, L., & Ostrander, N.(l994). Superlearning 2000. N.Y.: Delacorte Press Prichard, A., & Taylor, ].(1980). Accelerating learning: Thε use of suggestion in the classr∞m. c.A.: Acadernic Therapy Publishers. Racle, G. L.(l975). A teaching e뿌erience with the suggestopaedic method. ED 135 207. Racle, G. L.(977). Suggestopaedia and the teaching of languages: Key points. ED 149 632 Ramirez, S. Z.(1986). The effects of suggesto야dia in teaching English vocabtÙary to Spanish-dorninant chicano third graders. EJ 337 877. Rauscher, F. H., Shaw, G. L., Levine, L. ]., Ky, K N., & Wright, E. L.(1993). Music 뻐d spatial task performance. Natι, re, 365, 611 Rεimer, B.(1999). Facing the risks of the mozart effeα . Phi Defta κ1ppaη, " 81, 278-283. Richards, R G. (1993). Learn: Playful techniques to accelerate learning. Arizona: Zephyr Press. Rosenthal, R , & Jacobson, L.(1968). Pygmalion in the classr∞m. N.Y.: Holt, Rineharr, & WÏnston. Scha버at , T. A.(997)‘ Effects of accelerated lear미ng methodology on student self-concept as acadernic aιhievε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int 1ρuis University Schiffler, L.( 1992). Suggestopedic methods and applications. Pennsylvania: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SchIaug, G.(1995). ln vivo evidence of structural brain asymmetty in musicians. Sα, eηα" 267, 699-701 Schuster, D. H., & Marrin, D. ].(1980). πle effects of biofeedback induced tension on rel값ation, chronic anxiety, vocabulary easiness, suggestion and sense of subject on learning rare vocab띠ary words. Journa! of the 50αeη ψrAα'e!erative Learηn쟁 찌찌 Teachiη![;, 4, 275-288 Schuster, D. H., & Mouzon, D.(1 982). Music and vocabtÙary learning. Journal of the Sαiety for 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7, 82-108 Sergent, ].(1992). Distributed Neural Network Underlying Musical Sight-Reading and Keyboard Performance. Science, 257, 106-109 Shrwn, H. E.(l985). A m여ifì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the accelarative and masteπ l얹rning of basic arithmetic by male incarcerated ad버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vada Steele, R (1999a). The Mozart effect: Fact or fantasy' hrtp: //www.earlychildh∞d. about.com/education/ earlychildh∞φlibrary/blnev.잉 htm. Steele, R(1 999b). The Mozart effect: Fact or fantasy? hrtp://www.earlychildhood.about.com/education/ earlychildho여/library/blsteelε htm.
  • 25.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샘리학적 근거와 적용 69 Vold, ]. N.(l986). A study of musical problem solving behavior in children and a comparison with other aspects of creative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abarna Universiry Weinberger, N. M.(1998a). Brain, behavior, biology, and music: Some research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Arts εiucatioη Po/iry Reαew, 99, 28-36 Weinberger, N. M.(1998b) πle music in our rninds. Educational Leadership, 56, 36-40 Wilcox, E.(2000, 2). Music, brain research, and better behavior. The ε@ι1f1Oη Digl'.Jt, 65, 10-15. Yellin, D.(1982). Left brain, right brain, su야r brain: 1be holistic model. ED 218 586 Zatorre, R ].(1992). Lateralization of Phonetic 뻐d Pitζh Discrirnination in Speech Processing. Sα, 'ence. , 256, 846-849.
  • 26. 70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5권 제 2 호) Abstract Brain-physiological basi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 Kim. You-Me 1bis study purporrs to investigate the brain-physiological basis of early childhα녕 music education and its implicarion.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firs t!y, the significance and object of music education are presented, secondly, brain-physiological basis of music education is closely described, thirdly, its implica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discussed, finally, the conclusion 때d suggesrion of music education are derived. There’s a great deal of excitement over music research rhese days. The Journals or pop띠ar press often report on new findings, such as rhe effects of listening to or playing music on child development, intelligence, cognirive abiliries, and brain function. Learning and perforrning music actually exercise rhe brain not only by developing s야cific musical skills, but also by strengthening the synapses between brain cells. By making music, the sensory-perceptual sysrems, rhe cognitive systems, planning movement, feedback and evaluation of actions, the motivational systems, and memory are engaged. What is important is not how well a student plays but rather the simulraneous engagement of senses, muscIes, and intellea. In short, m와이 ng music actively engages the brain synapses, and there is g∞d reason to believe rhat it increase rhe brain’s capacity by increasing rhe srrengths of connections among neurons. πus study zeroes in on rhe importance of music in cognition, and suggests applicarion methods of music as arousal, carrier, primer, and, in addition, an essential factor of suggestopεdia in early childh∞d education. 1bis study recommends insuring substantialiry of music activity in expression domain, aaively integraring music 3!αiviry into orher acrivities in e}φression domain and acriviries 10 other domains, and applying suggesropedia ro preschoo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