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4
Download to read offline
미래유아교육학호|지 
Joumal of Future kàrly Childhood Education 
2005. Vol. 12, No. 4, 335~358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 미 라 최 영 경 •• 
〈요 약〉 
C그 -, = 
본 연구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 걸핍 과잉행동장애 (ADHD) 유아의 드프。}느= 
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고잘함으로써 ADHD 유아들의 삶의 질 항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실험처치는 GAI 에 소재한 H 유치원, K유치원 및 G 유치원의 유아들 가운데 
ADHD 유아라고 판멸된 실험집단 11 명과 비교집단 10 명을 대상으로 2005 년 3 월 21 
일부터 5월 14일까지 8 주 동안 주 3 회. 40분 수업으로 층 24회 프로그램으로 진행 
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전체 음악능력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막기 다루기 등 하 
위 음악능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Key words : 음악치료 프로그램, ADHD 유아, 음악능력 
1 . 서 론 
유아기는 일반적으로 신체적, 지능적, 사회적, 정서적인 발달은 미숙하지만 그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원만한 인격형성과 음악능력을 계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초단계가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은 한 인간의 음악능력의 계 
발과 함께 섬미적인 안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섬미적인 인간의 육성은 
교육의 오랜 숙원이었고 이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유치 
* 목포가툴릭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mrchung(íi.mcu.ac.kr 
** 동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335
미래유아교육학회 ^l 세 12 권 세 4 호 
지」 
즈 
<] 
가장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음악능력 
위해서 
원부터 초등학교 시기는 청감각에 
절실히 요구된다(정세문 · 기정, 
。 
「」 
Snyder(997) 는 뇌의 음악 부분 발달은 9세 이전에 거의 이루어지며, 10 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Gardner는 유아들에게 주어진 재능 중 음악적 
재능보다 더 빨리 나타나는 재능은 없다고 지적하였다(이정희 · 지성애, 1999, 재인용) . 
또한 이 숙희 (998) 는 자발적 으로 음악을 표출하고자 하는 의 도는 유아기 부터 
학년까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유아기 때 
음악적 경험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유아의 음악능력 
것은 전인교육 실현을 추구하는 현대교육에 
초등 저 
。λ4 걷ι 
위한 적합한 노력은 심미적 인간 "If ~ö "2 
1985). 
증진을 통한 심미적 인간 발달을 
촉진하는 펼수적임을 시사한다(강주원 
1998; 반해 정 , 1997; Hildebrand, 1986; Kiser, 1996; Seefeldt & Barbour, 1990; Young, 
1990; Wolf, 1992). 
그런데 이러한 유아기에서의 음악적 경험의 펼요성은 일반 유아뿐만 아니라 주의력 
과잉행동장애 유아에게 더욱 절실히 
과영행동장애 
주의력결핍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 하 ADHD라 약칭 함) 란 그 유아의 
연령 
수준에서 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오랫동안 주의집중을 할 수 없거나, 그저 가만히 앉 
아 있지 못하여 부산하게 웅직이고, 과다하게 활동을 하는 유아들에게 적용되는데(김 
경희, 1995; APA, 1994), 이려한 ADHD 유아틀은 음악능력 증진을 통한 성미적 
육성은 물론 생활 적응을 위한 치료적 접근을 위해서도 음악적 경험이 필요하다고 말 
할 수 있다(최학주, 1994). 
ADHD 유아 문제는 그 비율이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어서 
운 기질을 가진 유아들의 약 70-80% 가 4세 이전에 ADHD 유아로 확인되고 있다(박명 
화, 2001). 또한 현대 사회의 급속한 변화 과정에서 파생된 다양한 현상들은 ADHD 유 
아의 증가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이영미, 2004). 조기교육의 열풍, 과중한 학습에 대 
한 부담감, 전인인간에 대한 요구 등은 유아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리불안, 강박행동 등을 증가시키고, 산만과 주의집중력 결핍 등의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ADHD 유아들은 주의력결핍, 충동성 
동문제로 학습 성취나 사회적 관계플 원활하게 형성해 나가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는 또래들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자주 거부되고, 교사나 부모와의 
인간 
우리나라의 경우 까다로 
학교공포증,분 
부적응행동을 더욱 
관계에서도 부정적인 
요구된다. 
및 과잉행동과 같은 특성으로 인한 행 
- 336 • 
결핍
음악치료 프쿄그랜이 ADHD 유아의 음악능략에 미치늑 효과 
피드백을 받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ADHD 유아들의 낮은 자존감이나 자신감 결 
미치게 된다(강위영 · 공마리아, 1998). 뿐만 아니라, 유아기에 해결되지 
여하으 
。。여에 
않은 이러한 문제들은 유아의 성장과 더불어 더 큰 사회적 부적응행동이나 문제행동 
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유아기의 부적응행동 문제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 
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경우, 청소년기의 비행이나 일탈로 이어지며 성인기 
어서 
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최큰 더욱 관심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김민아 • 이재신, 2004; 남소현 · 김영희, 2000). W orfe, Scott 및 Wekerle(2003) 는 
유아의 부적응행동 문제를 유아기에 해결하지 않고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해결하려는 
경우에는 외면적으로 나타나는 표면상의 행동 수정은 용이할 수 있으나 이미 내재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그 
어 견고해지고 습관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더 
효과도 미미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자들은 ADHD 유아에 대한 초기 치료 
적 접근의 i쥬 。λd .9.. Ö 2. 강조하고 
있으며(김민아 • 이재신, 2004; 
Khaleque & 
。,J....l.. 2002; Worfe, Scott & Wekerle, 2003), 음악치 료가 음악능력 의 
증진을 통하여 
Rohner, 
유아의 
자신감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의적 · 인지적 문제 해결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김유미, 2어0; 이은희, 2001). 
음악을 통한 치료적 접근은 일반적인 정신요법과는 달라 음악활동을 통한 치료를 
그 특정으로 하는데, 이러한 음악활동은 가창, 합창, 음악 감상, 기악 연주, 작곡 등의 
형태로 내담자의 성격, 행동특성 및 적응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어지며(Lipe, 
2002; Smeijsters, 1999), 최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증대와 더불어 특수 유아나 부 
적응 유아에게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음악치료 
의 중요성과 ADHD 행동의 증가로 인한 부적응행동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의 증 
대에 부응하여 최근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 
다(김현미, 2001; 이은희, 2001; Dolber, 1978; Flohr, 1981).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우수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ADHD 아동이나 청소년의 음악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공통적 결론으로 도출하고 있어서,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 또한 예측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음악치료 관련 연구는 주로 초등학교 아동(김현미, 2001; 심혜숙 · 
박정미, 2003) 이나 청소년(유광숙 · 최중옥, 2003; 이은희, 200 1)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연구의 초점이 두어져 있어서 유아릎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또한 광범위 
한 특수 유아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대부분이어서 ADHD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 
337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세 4 호 
접근을 다룬 연구는 거의 미개척 영역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료적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하고, 또한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 ADHD 유아에 대한 조기 치료적 접근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일환으로서, 
의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하는 것은 ADHD 유 
아의 심미적 인간 육성을 위해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며, 또한 ADHD 유아의 
λ1. 01 i!ll -1 
질 
향상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ADHD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음악치료 프로 
그램이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ADHD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을 통 
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 
un 
ADHD 의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처치나 치료 방법을 살펴보면, 약물기법(Barkely , 
1982), 행동수정기법(박난숙, 1992), 인지적 행동기법 (Kendall & Braswell, 1985), 음악 
치료기법 등으로 대별된다. 이 중 음악치료기법은 최근 그 효과가 알려지면서 특수유 
아나 부적응유아에게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다. 
1987년에서 1998년 사이 ‘Journal of Music Therapy ’에 실린 ADHD 아동 및 청소년 
음악치료 연구들을 살펴보면, Edison (1 989) 은 심리적으로 핸디캡이 
있는 중학생들의 수엽에서 개인 상호간 기술을 일반화하는 행동주의적 음악치료의 
과플 연구하였다. 또한 Morton & Siegel (1 990) 은 기억력과 집중력에 관련된 음악치료 
법의 효과를 고찰하는 실험을 하였으며, Montello & Coons (1 998) 는 리듬에 기초한 적 
극적 그룹 음악치료와 음악감상을 기초로 한 소극적 음악치료가 감정, 학습, 행동장애 
가 있는 아동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를 비교 연구한 것 등이 있다(김은주, 2001). 
이들 모두 집단 음악치료를 하였으며, 음악치료가 행동 수정에 효과가 있었음을 공통 
적으로 입증하였다. 
효 
관련 행동주의적 
음악치료가 음악능력을 증 
있다(김 현미, 2001; Dolber, 
연구된 선행연구로서 
연구들이 
효과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정신 
진 
• ( ? 
]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힌 
1978; Flohr, 1981). 특히, 음악치료의 음악능력 
- 338 
또한 음악치료의 효과와 관련하여 
진시키는 데에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마치는 효과 
지체아의 음악능력 발달을 위해 Orff와 Kodaly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 
과를 비교 연구한 김현미 (200 1)는 전체 음악능력에서는 Orff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 
용한 집단이 Kodaly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보다 검사점수는 높으나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하위영역별로 리듬영역과 
악기 다루기 영역에서는 Orff 프로그램이, 그리고 노래 부르기 영역에서는 Kodaly 프 
로그램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듣기 영역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 
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Orff와 Kodaly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두 
정신지체아의 음악증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 이것은 우수한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기간이 단기간엄에도 불구하고 ADHD 아동 
의 음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Dolber, 1978; Flohr, 1981)과 일치된 결 
과였다. 
이 밖에, 음악치료가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김정수, 2에0; 성인영, 
1999; 심혜숙 · 박정미, 2003; 유광숙 · 최중옥, 2003; 최하람, 1986; Minskoff, 1980a; 
1980b; Nordoff & Robbins, 1971; Suzanne, 1999; Zimmerrnan & Zimmerrnan, 1962) 와 
인지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김유미 2000; 이진우 · 이순영, 2001; 
Altschuler, 1981; Lathom, 1983; Suzanne, 1999)7} 있다. 특히, 음악치료가 ADHD 아 
동 및 청소년의 음악능력 증진을 통한 정의적 · 인지적 효과 또한 지니고 있음을 지적 
함으로써 음악치료를 통한 음악능력 증진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크게 강조하는 선행연 
구들(김현미, 2001; 이은희, 200 1)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 하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치료 관련 연구는 대부분 초등학교 아동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만 연구의 초점이 두어졌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음악치료를 광범위한 특 
수유아에게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한 선행연구는 전무하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피험자 선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G시에 소재한 H 
- 339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유치원, K유치원 및 G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 가운데 ADHD와 관련하여 개별적인 인 
지행동 치료를 받았거나 약물치료를 받은 유아를 제외한 유아들 중에서 담엄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이라고 관찰된 유아를 중심으로 일차 선정을 하였다. 다 
음으로 이들 유아를 대상으로 담임교사들에게 단축형 코너스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17 점 이상으로 평정된 21 명의 유아들을 선별하였다(오경자와 이혜련 (1989) 에 의하면 
17점은 ADHD 유아를 선별하는 기준임). 실험처치 기간이 유치원 입원한 직후인 3월 
부터 5월까지여서 단축형 코너스 평정 척도에서 선별된 유아들이 ADHD 유아 선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DSM-N 의 ADHD 진단기준에 합당한지를 진단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선정된 유아들은 ADHD 성향을 지닌 유아의 성격을 띤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렇게 선별된 유아들 중에서 본 음악치료에 참여하는 것을 부모가 동의한 
H유치원 5 명, K유치원 3 명, 그리고 G유치원 3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10 
명의 유아는 비교집단에 배정하였다. 
2. 연구 도구 
1) 주의력켈핍 과잉행동 명정 척도 
ADHD 유아 선별 도구로 단축형 Conners 평정척도 (Abbreviat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Revised ACTRS-R) 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ADHD 유아의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적 문제를 Conners 0 969 )가 93문항으로 제작한 것을 Goyette, Conners와 
Ulrich(978) 가 10문항으로 축약하여 개정한 것으로 오경자와 이혜련 (989) 이 번안한 
검사이다. ADHD 유아를 분류하는 교사 평균치는 17점이며, 오경자와 이혜련에 의한 
단축형 Comners 평정척도의 내적 합치도 Cronbach a =.92 였다. 
2) 음악능력 펑청 척도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기 위 해 최 영 숙 (982) 이 Lorton과 Walley(979) 의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oJ] 제시된 음악능력발달검사를 번안 제작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본 연구의 대 
상에 맞게 재구성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원래 듣기, 리듬표현,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창의력의 하위영역 총 89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중 
ADHD 유아에게 설시 가능한 듣기 5문항, 리듬 5문항, 노래 부르기 5문항. 악기 다루 
- 340 -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파 
기 5문항 등 총 20문항을 선별하여 재구성하였다. 이렇게 재구성한 음악능력 평정 척 
도의 신뢰도는 .89 였다. 
3. 음악치료 프로그램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5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1 단계(1 -3회기)에서는 친밀감을 형 
성하고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단계 (4, 13, 14, 19, 20회기)에서는 리듬 
읽기, 3단계 (5, 6, 9, 10, 15, 16회기)에서는 소리듣기 및 표현하기, 4단계 (7, 8, 17, 18, 
21 회기)에서는 노래 부르기 및 율동하기, 그리고 5단계 (11 , 12, 22, 23, 24회기)에서는 
악기 연주하기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에서는 음악능력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행동 변화 
가 있을 때 스티커를 사용하여 강화를 주도록 하였다. 
2)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기본적 
으로 행동주의적 음악치료 Priestley(994) 의 분석적 음악치료 Nordoff와 
Robbins(971) 의 창조적 음악치료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자의 음악치료 슈퍼바이저 
로서의 임상경험을 토대로 예비연구 실시 후 연구의 목적과 기간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활동 형태는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을 통한 음률활동, 코다이의 
이 동 ‘도’ 볍 에 의 한 가창활동 오르프의 앙상블활동 Nordoff와 Robbins 의 창조적 즉 
흥연주활동을 적용하여 치료적 매체로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 적용된 음악치료 프로 
그램의 단계별 내용은 표 1 과 같다. 
표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활동 활동 
단계 주제 
활동 목표 
라포형성 
。긴장감 해소 
n숭1 
상호작용 
。친밀감 형성하기 
활동 내용 
。자신의 이름을 소개하고 치료사가 즉흥연주로 
노래 불러주기(응답식 노래 주고받기) 
ex. 당신은 누구십니까 ~ 나는 000- 
그 이름 너무 예뻐요. 
- 341 - 
실시 
회기 
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세 12 권 제 4 호 
2 
。음악에 맞춰 치료사와 함께 손빽 치기, 발 구 
르기, 포옹하기(신체 접촉) 
。음악적 접촉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악기와 노래 제목을 말 
하고, 치료사의 반주에 맞춰 즉홍 연주하기(음 
악적 친밀감 경험) 
3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 음의 장단을 구별할 수 있다 。리듬 특정에 맞춰 손빽치기, 걷기, 구르기, 뛰기. 
리듬의 개념을 이해하여 수리능 。리듬 스피치 - 가사를 통한 리듬읽기, 그립악보 놀이 4. 13, 
리 c 력과 집중력을 기른다. 하기 14,19, - 
n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o 악센트를 통한 박자 인식하기 m 
읽기 
신체로 규칙적인 음악리듬을 표 웅답을 이용하여 리듬치기 
현할 수 있다 。박자인식을 위한 발박과 손박 활용하기 
규칙적인 박자에 맞춰 언어표현 。리듬 읽기 활동에 대해 느낀 점 이야기하기 
을할수있다 
2 
소리듣기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타악기, 선율악기 소리 식별하기 
• 음높이, 셈여립, 음색, 리듬의 개 。‘동물의 사육제’를 감상하고 각 악곡 
념을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동물 흉내내기 
。선율악기 C음부터 G음까지 신체 표현하기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신체로 노래 연주하기 
• 음높이, 셈여림, 음색, 리듬의 개 。‘피터와 늑대’를 들으며 그림악보를 보고 악기 알아 맞 
념을 이해하고, 이해한 개념을 신 추기 
체 및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음악의 내용에 관하여 대화나누기 
3 01 
숭 
표현하기 
5, 6, 
9, 10, 
15, 16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 읍 높낮이, 셈여림, 음색, 리듬의 。반주에 맞추어 허밍하고 난 후읍의 높낮이를 신체로 
개념을 이해하고 구별한다. 표현하며 다시 허밍하기 
. 4마디 이상의 박자와 가사를 기 。노래를 익히고 가사에 따른 신체 동작 표현하기 
노래 억할 수 있다. 。유아가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쓰면 치료사가 노래로 7, 8, 
데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만들어 불러주고, 유아가 신체 동작으로 표현하기 17, 18, 
부르기 및 
음의 높낮이를 인식하여 음정에 。유아와 치료사가 릴레이로 노래 주고받기 21 
율동하기 
맞게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치료사가 노래 부르면 유아가 허멍하며 동작으로 표 
지정된 가사에 따른 제한적 동 현하기 
작 표현을 수행할 수 있다. 。노래와 율동을 통시에 표현하기 
창의적 동작표현을 노래의 리듬 。자사와 동작에 대하여 느낀점 이야기하기 
과 가사에 맞춰서 수행한다.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타악기의 리듬을 인식하고 치료사의 시범연주 따라하 
• 음높이, 셈여립, 음색, 리듬의 개 기 
5 악기 념을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다. 。선율악기의 고 • 저 이해하기 
연주하기 · 내청의 형성으로 4마디 이상의 음 · 핸드벨 C부터 밍}지 흔들기 
악을 기억할 수 있다 실로폰 저음부터 고음까지 연주하기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천천히에서 빠르게, 작게에서 
낌 정 
i 
n 
z 
- 342 -
음악치료 프로그랜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음높이, 셈여림, 음색, 리듬에 맞 크게 타약기 연주하기 
추어 악기로 연주할 수 있다 。쉽표뜰 이해하며 주고 받기 연주하기 
리듬 배열을 체험하고 음의 높낮 。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며 그림악보의 악상 
이를 구별하여 선율악기와 타악 에 맞게 앙상블 연주하기 
기의 앙상블 연주를 수행한다 。앙상블 연주 후 느낀 점 이야기하기 
4.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실시, 사전검사, 음악치료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1) 예비연구 
본 실험을 실시하기 전 실험처치 절차상의 문제, 프로그램상의 문제, 도구의 적합성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는 본 연구의 대상이 아닌 
G시에 있는 J유치원의 5세반 ADHD 유아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연구 기간은 
2004년 2월에서 4월까지 8주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도구를 실시하여 검사 방법과 
시간 등을 점검, 확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반응과 홍미를 관찰, 수정 
하였다. 
2) 검사자 훈련 및 일치도 
음악치료 임상경험이 있고 유아교육 전공으로 대학원을 수료하였으며 6년의 유치원 
교사 경력을 가진 H유치원의 5세반 교사와 유아교육을 전공하여 음악능력이 우수한 
대학원생을 본 연구의 검사자로 선정 활용하였다. 이들 검사자들을 대상으로 검사도 
구의 내용, 유아에게 질문하는 순서와 방법, 반응을 기록하는 방법 등을 설명한 후, 검 
사자들이 질문들을 시연해 보는 등의 훈련을 꾸준히 실시한 결과 85% 의 검사자간 내 
적 일치도와 87% 의 검사자내 일치도를 보였다. 
3) 사전 · 사후검사 
본 연구의 실험처치 이전의 사전 검사는 실험처치가 시작되기 전 주인 3월 15 일에 
서 16일까지 2 일에 걸쳐서 훈련된 검사자들에 의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 실시 
되었다. 검사는 동일한 검사자들을 활용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K유 
- 343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치원과 G유치원의 대상유아들을 H유치원에 모아 다용도실에서 실시되었다. 사후검사 
역시 실험이 끝난 직후인 5월 17일에서 18 일까지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 
었다. 
4) 실험처치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음악치료사인 연구자에 의해 2005년 3월 21 일부터 5월 14 일 
까지 8주 동안 주 3회 40분 수업으로 총 24회 실시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일 
과 운영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그 외의 모든 시간은 모두 같은 일과 운영 
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처치과정은 도입, 전개, 정착의 과정으로 40여분에 걸쳐 매회 실시되었 
다. 먼저 도입 단계에서는 친밀감을 형성하여 음악활동의 주제를 설명하고, 음악활동 
을 위한 준비성과 요구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전개 단계에서는 회기별 프로그 
램 내용에 따른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면서 유아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감정을 
음악활동을 통해서 마음껏 표출하고 느낀 점을 토의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다. 그리고 
정착 단계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사고 감정, 느낌, 기분 등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창조 
적으로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동일한 기간에 비교집단의 처치 과정도 도입 전개 정착의 과정으로 실시되었다. 도 
입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들을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동기유발로 유도하고, 전개 단계에 
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계획에 따른 생활주제 중심 접근의 노래 부르기를 수행하였 
으며, 정착 단계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느낌이나 기분을 이야기해 보도록 진행하였다. 
두 집단간 실험처치 내용을 비교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처치 내용 비교 
;뇨며f 실험 집단 비교 집단 
처치 유형 
·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한 음악치 ·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하는 음악 
료 죠로그램 교육 효로그램 
활동 형태 
·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을 통한 음률 및 · 주제 중심 접근의 대집단 노래 
감상 활동 부르기 활동 
344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븐 효과 
· 코다이의 이동 ‘도’ 법에 의한 노 
래 부르기 활동 
· 오르프의 앙상블 활동, 
. Nordoff와 Robbins (1 977) 의 창조 
적 즉홍 연주 활동 
도입 단계 
· 라포 형성 
·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동기유발 
· 음악활동을 위한 준비성과 요구 인식 
활동내용 
전개 단계 
· 음악치료 프로그램 내용 수행하기 . 6차 유치원 교육과정 계획에 따 
전개과정 · 음악적 경험과 느낀점 이야기하기 른 주제 중심 접근 노래 부르기 
정착 단계 
· 활동 후 느낌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 
· 활동 후 느낌을 이야기하기 
현하기 
5) 자료 처려 
음악능력 검사는 각 영역별로 매우 잘함은 5 점, 잘함은 4 점, 보통/중간은 3 점, 못함 
은 2 점, 전혀 못함은 1 점을 부여하였으며, 각 영역별 점수는 세부능력 점수의 합계의 
평균으로, 전체 음악능력은 각 영역별 점수를 합계하여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검사는 사례수가 전체 실험집단 11 명 비교집단 10명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유의도를 검증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은 관계로 검사의 보완을 위해서 회기가 
끝난 시점에서의 유아 부모의 소감을 통한 실험집단 유아의 음악능력 변화와 실험을 
실시한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질적 분석을 추가하였다. 
III. 결과 및 논의 
1. 결과 및 해석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를 
통계적 분석과 실험에 참여한 유아 부모의 소감 요지 및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중심 
으로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345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1) 통계적 분석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교사 주도의 노래 부르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사전 • 사후 음악능력 검사 점수를 t- 검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음악능력의 실험처치 전인 사전검사 점수에 있어서 
는 실험집단(M = 10.09, SD= 1. 22) 이 비교집단 (M=9.05, SD= 1.l 1) 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에 있어서도 실험집단 (M=13.65, SD=O.78) 이 
비교집단(M=9.62, SD= 1.l 6)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집단에 따른 사후검사 
간 접수 변화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9.23, p<.OO1). 이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교사 주도 
의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보다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표 3 
음악능력과 그 하위영역에 대한 사전 • 사후 검사간 비교 
영 역 
실험집단 비교집단 
t p 
M SD M SD 
전체 사전 10.09 1.22 9.05 1.11 2.03 .0562 
음악 
능력 사후 13.65 0.78 9.62 1.16 9.23 <.0001 
사전 2.36 0.92 2.34 0.72 0.06 .9489 
리듬 
사후 3.26 0.69 2.49 0.69 2.56 .0193 
사전 2.55 1.13 2.27 1.08 0.57 .5754 
듣기 
사후 3.74 0.75 2.44 1.09 3.14 .0064 
노래 사전 2.90 0.54 2.43 0.58 1.96 .0649 
부르기 사후 3.56 0.77 2.52 0.54 3.63 .0019 
악기 사전 2.27 0.65 2.01 0.75 0.86 .4011 
다루기 사후 3.08 0.46 2.17 0.73 3.38 .0042 
또한 음악능력의 하위 영역에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리듬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적이었다 
- 346 -
음악치료 프로그댐이 ADHD 유아의 음악능략에 미치늑 효과 
(t=2.56, p<.05). 그리고 듣기 영역 (t=3 .l 4 , p<.Ol), 노래 부르기 영역 (t=3.63, p<.OOI), 악 
기 다루기 영역 (t=3.38, p<.O l)에 
있어서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의 하위영 
역인 리듬, 듣기, 노래 
규명되었다. 
부르기, 악기 다루기 영역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2) 질적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에 참여한 11 명 중 8명의 유아 부모들과 실험 마지막 회기에 
인터뷰를 하여 음악치료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소감을 조사하였는데, 
그 소감 내용을 요약해 보면 표 4와 같다. 
표 4 
실험집단 유아 부모들의 소감 내용 
유아의 부모 -까4、- 감 내 용 
여주 어머니 집에 와서 TV를 보며 노래를 3분 이상 따라 부름 
광구 어머니 소고를 치며 동생과 놀이를 함 
그림일기에 악기연주 했던 모습을 그림 
예원 어머니 인사할 때나 노래할 때 매우 부끄러워하고 작은 소리를 내었으나 점차 큰 소리 
로 말하고 노래 부를 수 있게 됨. 
지훈 어머니 
핸드벨을 사 달라고 함. 
집에서 엄마와 핸드벨 연주를 함께 함. 
현미 어머니 집에 와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춤 
슬기 어머니 동생과 악기소리 알아맞히는 수수께끼를 하는 모습을 가끔 보게 됨 
주희 어머니 엄마에 게 노래를 가르쳐 줌 
집에서 음악 CD를 들려주면 스스로 춤을 추는 행동이 생김. 
효준 어머니 피아노학원에서 20분씩 가만히 앉아서 피아노를 친다는 학원 선생님의 말을 전해 
tE:즈 t ci1 • 
위의 표 4의 유아 부모의 소감 내용을 보면 실험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우 음악놀이를 
자주 하게 되었고, 자신감 결여로 작은 소리로 인사하거나 노래플 불렀던 행동이 점진적 
347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세 12 권 제 4 호 
으로 큰 소리로 인사하고 노래할 수 있게 개선되었으며 여러 가지 음악활동에 능동적으 
로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한편,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연구자의 관찰에 따르면 처음 프로그램을 시작하 
였을 때는 유아 대부분이 거의 통제가 안될 만큼 주의가 산만하여 연구자의 프로그램 
방법 설명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중반부로 접어들면서 유아들은 점차 음악에 귀를 기울이는 태도 
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집중시간은 처음보다 2 배 이상 증가하였고, 감상태도에 있어 
서는 즉흥 음악의 흐름에 따라 화성적인 코드로 진행할 때는 적응하고 들었으며, 불협 
화음일 경우는 약간 미간을 쩡그리고 고개를 가우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표 5 
연구자의 관찰 내용 
유아명 -까4、- 감 내 용 
큰 목소리가 노래를 작게 할 때면 차분해짐. 
상훈 전반부에 1 분 이상 듣지 못했으나 후반부에서는 점차 5분 이상의 감상을 안정적으로 수 
행할 수 있게 됨 
여주 규칙적인 움직임에 서서히 익숙해지면서 노래와 동작표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 
미연 무절제하게 사불을 다루던 습관이 악기연주와 정돈과정을 통해서 개선됨. 
광구 치료사와 함께 하는 즉홍연주를 3분 이상 집중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됨. 
악기에 호기심을 보이며 여러 악기를 리듬에 맞춰서 다룸. 
예원 전반부에 다소 싫증을 내었으나 후반부부터 잘 참여하고 짜증 섞인 표정이 현저하게 줄어 
EEn. 
지훈 색깔에 따른 음높이를 기억할 수 있으며 핸드벨 연주를 3분 이상 연주하게 됨. 
현미 
늘 폼을 과도하게 움직이던 습관이, 동작표현 활동 중에는 하나의 노래가 끝날 때까지 
절제된 웅직임을 보이게 됨. 
슬기 
노래를 2곡 이상 끊어짐 없이 부를 수 있게 됨. 
노래 부르기가 끝나면 ‘한 번 더 해요’ 라고 자주 요구하게 됨. 
주희 치료사의 반주에 맞춰 동작표현을 적극적으로 5분 이상 집중적으로 수행하게 됨. 
-까「- r;、그객 친구들과 싸우거나 끼어드는 행동이 줄어들고, 응답 노래 부근기를 적극적으로 하게 됨. 
효준 앙상블 연주에 재능을 보이며 선율악기 연주를 시도하게 됨‘ 
프로그램의 후반부로 접어들면서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유아들은 적극적으로 실 
- 348 -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야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험에 참여하였고, 특히 새로운 노래를 부를 때 “이 곡보다 지난 번 부른 노래가 더 좋 
다”라고 의사표현을 하거나 “한 번 더 해요”라고 스스로 요청하는 행동이 증가하는 변 
화를 보였다. 
2. 논의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전반적인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연구자의 관찰과 부모들의 소감을 통해서도 입증되 
었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음악능력의 하위영역에 있어서도 리듬, 듣기, 노래 부 
르기, 악기 다루기 모두 교사 주도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주제 중심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음악능력 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초등학교 정신지체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Orff와 Kodaly 등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효과 
적이라고 보고한 김현미 (200 1)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였다. 단, 김현미의 연구에서는 전 
체음악능력의 평균이 사전검사 1.15 사후검사 1.90으로 나타난 것에 대해서 본 연구에 
서의 유아의 경우에는 사전검사 2.52, 사후검사 3.41 로 나타남으로써 연령이 높아도 지 
능지수가 낮은 정신지체아(지능지수 45-55) 의 경우에는 낮은 음악능력을 지니게 됨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하나의 독립된 음악활동보다는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등의 전 
반적인 음악활동을 다양하게 제공하였을 때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음악 
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능력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한 선행연구(김은실, 1994; 김현미, 2001; 김광자 · 강문희, 2005; 이숙희, 2005; 
Holliger, 1987) 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음악활동이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유아 
교육현장에서의 음악활동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제공하지 못하고 획일적이고 부자연스 
러운 활동으로 채워지고 있으며<Holliger, 1987), 이러한 현상은 국내의 조사연구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즉, 안재신 (994) 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의 90% 는 노래 부르기로 되어 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아들에게 분리 
된 음악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음악활동에 대한 참여와 이를 통한 음악능력의 증진에 
- 349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세 12 권 제 4 호 
제한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현재 많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을 대상 
으로 하는 음악활동에서 노래 부르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것은 유아들의 흥미를 즉 
시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는 있지만 유아의 다양성에 대응하지 못하 
고, 나아가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음악활동에 접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이 
숙희, 2005). 음악적 경험으로 주어지는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음악 감상하 
기, 악기 다루기 등의 모든 활동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제시되는 것보다는 통합 
적인 형태로 진행될 때 음악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적(김은주 2001)이라는 관점을 감 
안할 때, 향후 ADHD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활동은 유아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 
려하여 통합적 · 치료적인 내용과 활동으로 구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의 음악능력에 있어서 실험집단보다는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교 
사 주도의 음악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또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보다 더 높은 
접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강숙희 (994)가 유치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유아의 음악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주제별 주당 
음악지도의 횟수가 증가될수록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일반 유아뿐만 아니라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도 음악활동이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넷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유 
아교육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한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구체적인 교수 모댈이나 
교수 학습 방법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ADHD 유아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한 음악능력 증진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체계를 제 
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는 
Gaston(968), Sears(968), Hudson(1973) 등과 김 관일 (1991), 정 대 영 과 문장원(1 992) , 
김현미 (2001) 등이 주장한 정신지체아 등 장애아 혹은 ADHD 유아의 치료교육에 음악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음악교육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뒷받침해 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음악능력이 점차 증 
진되는 행동 변화를 보였을 때 스티커로 보상하여 정반웅을 보인 행동을 강화하였는 
데, 이러한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음악치료 프로그램과 강화의 상호작용 효과를 명확 
히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수행된다면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보다 효율 
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50 -
음악치료 프로그랙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논 효과 
N.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음악치료적 접근을 통한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삶 
의 질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입증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유치원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다. 즉,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생각보다는 말과 행동이 앞서고 자기통제력과 집중력이 결여되 
어 학습과제를 끝까지 성실히 수행하지 못하는 ADHD 유아의 행동 특성으로 인하여 
음악능력에 있어서도 비교적 낮은 성취를 보이는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을 효과적으 
로 증진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하나의 독립된 음악활동보다는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등의 전반적인 음악활동을 통합적 • 연계적으로 제공할 때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심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유아들에 대한 음악치료 
연구의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는 본 연구 결과를 유아교육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다양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연구 · 개발이 촉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ADHD 유아들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음악 감상 등을 
통한 수동적인 음악치료 뿐만 아니라 즉흥연주와 같은 능동적인 
음악치료를 함께 적 
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을 촉진하는 데 
촉매제 역할을 할 것 
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음악치료를 위해 
고안된 다양한 악기 구 
성, 유아의 특성에 알맞은 새로운 가창곡과 연주곡, 그리고 새로운 동요나 노래극 활 
동 등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추후연구가 요청되며, 특히 연령이 적은 유아 
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훈련회기와 많은 대상 유아 
그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프로그램 내용을 적용함으로써 결과의 일반화를 유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ADHD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 효과에 대해서 탐색한 본 연구 
35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결과에 기초하여, 추후연구에서는 일반 유아와 ADHD 유아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를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352 -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논 효과 
참고문헌 
강숙희 (994). 유치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유아 음악능력과의 관계. 아동 
교육, 4(1), 5-18. 
강위영 · 공마리아 (998). 주의력결핍 아동의 교육프로그램.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강주원 (998). 소집단 편성을 통한 자기선택적 즉흥 연주활동이 창조적 표현능력 신 
장에 미치는 효과. 교총현장논문. 
과잉행동아의 주의산만 행동수정에 미치 
김경희 (995). 자기통제 훈련이 주의력결핍 
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관일 (991). 정신지체아를 위한 조기 음악교육의 
중요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 
18, 25-45. 
김 광자 · 강문희 (2005).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 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25(1), 25-45. 
김민아 • 이재신 (2004) 어머니 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부적응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45-166. 
(2000). 유아음악교육의 두뇌 생 리 학적 근거와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5(2), 
45-70. 
김유미 
김은실 (994). 정신지체아 음악지도에 있어서 Carl Orff 리듬지도 방법의 적용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주 (2001). 통합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장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정수 (2000) 기악 중심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 
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현미 (2001). 정신지체아의 음악능력 발달과 행동 변화를 위한 Orffer Kodaly 음악 프 
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 내면적 부적응행 
동. 대 한가정 학회 지 , 152, 199-213. 
박난숙 (992). Methylphedi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 
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명화 (200 1). ADHD 유아의 행동문제와 교사의 대처형태에 관한 연구. 정서 • 행동장 
m 
꾀 
남소현 · 김영희 (2000). 어머니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애연구, 17(2), 117-134. 
반해정 (997). 시 · 감각적 리듭 놀이를 통한 표현 능력 신장. 교총현장논문. 
성인영 (999).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 
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심혜숙 · 박정미 (2003). 창조적 음악치료가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 
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3), 505-527. 
안재신 (994). 상상력 개발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청구논문. 
오경자 · 이혜련 (989). ADHD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 연구.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지, 8(1), 135-142. 
유광숙 · 최중옥 (2003). 음악치료 교육활동이 다운증후군 학생의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5(1), 153-170. 
이숙희 (998). 유아 음악-교수 학습방법의 효과적 방법 모색. 유아교육논집, 2(2), 
27-46. 
이숙희 (2005).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홍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407-430. 
이영미 (2004). ADHD 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 놀이치료연구, 7(1), 41-57. 
이은희 (2001). 주의력걸핍 및 과잉행동장애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정희 · 지성애 (999). 동화를 통한 노래극 활동이 초등학교 1 학년 아동의 음악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317-341. 재인용. 
이진우 · 이순영 (2001). 유아음악교육. 서울 : 창지사. 
정대영 · 문장원 (992).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서울: 국립특수교육원. 
정세문 · 기청 (985). 유아의 음악교육. 서울 : 창지사. 
최영숙 (1982). 유치원 음악교육에 관한 실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최하람 (986). 정신지체아의 음악반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학주 (994). 아동기의 부적응행동 : 판별 준거와 유형. 초등교육연구, 8, 143-157. 
APA (994). Diagnostic and StatisticaJ ManuaJ of MentaJ Disordor(4th ed.). 
- 354 -
음악치료 프보 :l 댄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늑 효과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ltschuler, 1. M. (981). Four year’s experiences with music as a therapeutic aid at 
Eloise Hospital.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3, 792-794. 
Barkely, R. A. (982). Guidelines for defining hyperactivity in childre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In B. Lahey & Kazdin CEds.) , Advances 
in Child Clinical Psychology. New Y ork Plenum. 
Conners, C. K. (969). A teacher rating scale for use in drug studies with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5, 884-888. 
Dolber, C. C. (978). The effect of a training program on five-year-old능 
conservation of musial concep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Edison, C. E. Jr. (989). The effect of behavioral music therapy on the 
generalization of interpersonal skills form sessions to the classroom by 
emotionally handicappe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6(4), 206-221. 
Flohr, ]. W. (981). Short-term music instruction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music aptitude.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9(5), 219-223. 
Gaston, E. T. (968). Music in therapy. New York Collier-Macmi11an. 
Goyette, C. H., Conners, C. K., & Ulrich, R. F. (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s and teacher rating scales. Journal of Abnonnal Psychology, 
6, 231-236. 
Hildebrand, V. (986). Guiding young children(pp. 241-251). New York Collier 
Macmillan Canada, Inc. 
Holliger, Y. M. (987). An investigative study on developing divergent thinking 
response in children using a cognitive approach in music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Hudson, W. C. (973). Music A Physiologic Language. Journal of Music Therapy, 
10. 156-178. 
Kendall, P. C. & Braswell, L. (985). Cognitive-BehavioraJ Research and Therapy. 
• 355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세 4 호 
Orlando : Acadernic Press. 
KhaleQue, A., & Rohner, R. P.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 cultural and 
intracultural studies. joumaJ of Marriage and FamiJy, 64, 54-64. 
Kiser, D. C. (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Ponna Crinklaw-Kiser: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rk process. Young ChiJdren, 51 (5), 15-20. 
Lathom, w. (1983). RoJe of music therapy in the education of handicapped chiJdren 
and youth Lawrence. KS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Lipe, A. W. (2002). Beyond therapy music, spiritually, and health in human 
experience. joumaJ of Music Therapy, 39(3), 209-240. 
Lorton, ]. W., & Wally, B. L. (1979). lntroduction to EarJy ChiJdhood Education. 
New Y ork D. Van Nostrand Co. 
Minskoff, E. <1980a). Teaching approach for develop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with social perception deficits Part 1. joumaJ of 
Leaming DisabiJjties, 13(3), 118-123. 
Minskoff, E. <1980b). Teaching approach for develop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with social perception deficits Paπ 2. Proxemic, vocalic, 
and artifactual c1ues. joumaJ of Leaming DisabiJjties, 13(4), 203-208. 
Montello, L. & Coons, E. E. (1998). Effects of active versus passive group music 
therapy on preadolescents with emotional, learning and behavioral disorders. 
joumaJ of Music Therapy, ‘35(1), 49-67. 
Morton, ]. R. Kershner & Siegel, L. S. (1990). The potential for theraputic 
applications of music on problems related 0 memory and attention. joumaJ 
of Music Therapy, 27(4), 195-208. 
Nordoff, P. & Robbins, C. (1971).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Jdren. 
London Gollancz. 
Priestley, M. (994). Essays on AnaJyticaJ Music.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Sears, W. (968). Processes in Music Therapy. In E. Gaston(Ed.), Music in 
Therapy(pp. 30-46). New York : MacMillan. 
356
음악치료 프로그팩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Seefeldt, C., & Barbour, N. (990). Ea셔Y childhood education an in troduction (pp. 
416-444). New York : Maxwell Macmillan Intemational. 
Smeijsters, H. (999). Music therapy helping to work through grief and finding a 
personal identity. Joumal of Music Therapy, 36(3), 222-252. 
Snyder, S. (1997). Developing musical intelligence Why and how. Early Children 
Education, 24(3), 165-171. 
Susanne, B. H. (1999). The New Music Therapist 능 Handbook.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Wolf, ]. (992). Let’s sing it again Creating music with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7(2), 56-60. 
Wolfe, D. A., Scott, K., & Wekerle, C. (2003). Child maltreatment Risk of 
adjustment problems and dating violence in adolescence. Joum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ce Psychiatry, 40(3), 282-289. 
Young, W. (990). An integrated music program for elementmγ school(pp. 81-83). 
Prentic Hall, Inc. 
Zimmerman, E. H. & Zimmerman, ]. (962). The altemation of behavior in a 
special c1assroom situation. Joum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5, 59-60. 
- 357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서1 12 권 제 4 호 
Abstrac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Mus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ung, Mi Ra . Choi, Y oung K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young children ’ musical abilities with attention-deficitlhyperactivity 
disorder. The research question was posed as below: 
Are there any clifferences in musical abilities between th ADHD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akes music therapy program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A total of 21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participated weekly 3 sessions in the music therapy program for 8 weeks. 
There were 24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40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Besides, a qualitative analysis was added, by 
asking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 s parents to give their feedback and by 
observing the behavioral change of the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al1 spheres of musical abilities of the ADHD children(t=9.23, p<.Oül), 
especially rhythm, listening,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so on. It suggests 
that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as a way of offering music activities to 
the ADHD children. 
Key Words :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Musical Abilities 
- 358 -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혜원 정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혜원 정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혜원 정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혜원 정
 

What's hot (15)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Similar to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혜원 정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혜원 정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혜원 정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혜원 정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혜원 정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혜원 정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혜원 정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KIM jeonghyun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현숙 남
 

Similar to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19)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
해바라기지역아동센터 소개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혜원 정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 1. 미래유아교육학호|지 Joumal of Future kàrly Childhood Education 2005. Vol. 12, No. 4, 335~358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 미 라 최 영 경 •• 〈요 약〉 C그 -, = 본 연구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 걸핍 과잉행동장애 (ADHD) 유아의 드프。}느= 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고잘함으로써 ADHD 유아들의 삶의 질 항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실험처치는 GAI 에 소재한 H 유치원, K유치원 및 G 유치원의 유아들 가운데 ADHD 유아라고 판멸된 실험집단 11 명과 비교집단 10 명을 대상으로 2005 년 3 월 21 일부터 5월 14일까지 8 주 동안 주 3 회. 40분 수업으로 층 24회 프로그램으로 진행 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전체 음악능력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막기 다루기 등 하 위 음악능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Key words : 음악치료 프로그램, ADHD 유아, 음악능력 1 . 서 론 유아기는 일반적으로 신체적, 지능적, 사회적, 정서적인 발달은 미숙하지만 그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원만한 인격형성과 음악능력을 계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초단계가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은 한 인간의 음악능력의 계 발과 함께 섬미적인 안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섬미적인 인간의 육성은 교육의 오랜 숙원이었고 이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유치 * 목포가툴릭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mrchung(íi.mcu.ac.kr ** 동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335
  • 2. 미래유아교육학회 ^l 세 12 권 세 4 호 지」 즈 <] 가장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음악능력 위해서 원부터 초등학교 시기는 청감각에 절실히 요구된다(정세문 · 기정, 。 「」 Snyder(997) 는 뇌의 음악 부분 발달은 9세 이전에 거의 이루어지며, 10 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Gardner는 유아들에게 주어진 재능 중 음악적 재능보다 더 빨리 나타나는 재능은 없다고 지적하였다(이정희 · 지성애, 1999, 재인용) . 또한 이 숙희 (998) 는 자발적 으로 음악을 표출하고자 하는 의 도는 유아기 부터 학년까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유아기 때 음악적 경험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유아의 음악능력 것은 전인교육 실현을 추구하는 현대교육에 초등 저 。λ4 걷ι 위한 적합한 노력은 심미적 인간 "If ~ö "2 1985). 증진을 통한 심미적 인간 발달을 촉진하는 펼수적임을 시사한다(강주원 1998; 반해 정 , 1997; Hildebrand, 1986; Kiser, 1996; Seefeldt & Barbour, 1990; Young, 1990; Wolf, 1992). 그런데 이러한 유아기에서의 음악적 경험의 펼요성은 일반 유아뿐만 아니라 주의력 과잉행동장애 유아에게 더욱 절실히 과영행동장애 주의력결핍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 하 ADHD라 약칭 함) 란 그 유아의 연령 수준에서 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오랫동안 주의집중을 할 수 없거나, 그저 가만히 앉 아 있지 못하여 부산하게 웅직이고, 과다하게 활동을 하는 유아들에게 적용되는데(김 경희, 1995; APA, 1994), 이려한 ADHD 유아틀은 음악능력 증진을 통한 성미적 육성은 물론 생활 적응을 위한 치료적 접근을 위해서도 음악적 경험이 필요하다고 말 할 수 있다(최학주, 1994). ADHD 유아 문제는 그 비율이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어서 운 기질을 가진 유아들의 약 70-80% 가 4세 이전에 ADHD 유아로 확인되고 있다(박명 화, 2001). 또한 현대 사회의 급속한 변화 과정에서 파생된 다양한 현상들은 ADHD 유 아의 증가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이영미, 2004). 조기교육의 열풍, 과중한 학습에 대 한 부담감, 전인인간에 대한 요구 등은 유아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리불안, 강박행동 등을 증가시키고, 산만과 주의집중력 결핍 등의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ADHD 유아들은 주의력결핍, 충동성 동문제로 학습 성취나 사회적 관계플 원활하게 형성해 나가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는 또래들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자주 거부되고, 교사나 부모와의 인간 우리나라의 경우 까다로 학교공포증,분 부적응행동을 더욱 관계에서도 부정적인 요구된다. 및 과잉행동과 같은 특성으로 인한 행 - 336 • 결핍
  • 3. 음악치료 프쿄그랜이 ADHD 유아의 음악능략에 미치늑 효과 피드백을 받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ADHD 유아들의 낮은 자존감이나 자신감 결 미치게 된다(강위영 · 공마리아, 1998). 뿐만 아니라, 유아기에 해결되지 여하으 。。여에 않은 이러한 문제들은 유아의 성장과 더불어 더 큰 사회적 부적응행동이나 문제행동 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유아기의 부적응행동 문제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 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경우, 청소년기의 비행이나 일탈로 이어지며 성인기 어서 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최큰 더욱 관심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김민아 • 이재신, 2004; 남소현 · 김영희, 2000). W orfe, Scott 및 Wekerle(2003) 는 유아의 부적응행동 문제를 유아기에 해결하지 않고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해결하려는 경우에는 외면적으로 나타나는 표면상의 행동 수정은 용이할 수 있으나 이미 내재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그 어 견고해지고 습관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더 효과도 미미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자들은 ADHD 유아에 대한 초기 치료 적 접근의 i쥬 。λd .9.. Ö 2. 강조하고 있으며(김민아 • 이재신, 2004; Khaleque & 。,J....l.. 2002; Worfe, Scott & Wekerle, 2003), 음악치 료가 음악능력 의 증진을 통하여 Rohner, 유아의 자신감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의적 · 인지적 문제 해결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김유미, 2어0; 이은희, 2001). 음악을 통한 치료적 접근은 일반적인 정신요법과는 달라 음악활동을 통한 치료를 그 특정으로 하는데, 이러한 음악활동은 가창, 합창, 음악 감상, 기악 연주, 작곡 등의 형태로 내담자의 성격, 행동특성 및 적응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어지며(Lipe, 2002; Smeijsters, 1999), 최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증대와 더불어 특수 유아나 부 적응 유아에게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음악치료 의 중요성과 ADHD 행동의 증가로 인한 부적응행동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의 증 대에 부응하여 최근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 다(김현미, 2001; 이은희, 2001; Dolber, 1978; Flohr, 1981).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우수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ADHD 아동이나 청소년의 음악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공통적 결론으로 도출하고 있어서,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 또한 예측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음악치료 관련 연구는 주로 초등학교 아동(김현미, 2001; 심혜숙 · 박정미, 2003) 이나 청소년(유광숙 · 최중옥, 2003; 이은희, 200 1)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연구의 초점이 두어져 있어서 유아릎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또한 광범위 한 특수 유아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대부분이어서 ADHD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 337 -
  • 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세 4 호 접근을 다룬 연구는 거의 미개척 영역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료적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하고, 또한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 ADHD 유아에 대한 조기 치료적 접근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일환으로서, 의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하는 것은 ADHD 유 아의 심미적 인간 육성을 위해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며, 또한 ADHD 유아의 λ1. 01 i!ll -1 질 향상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ADHD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음악치료 프로 그램이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ADHD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을 통 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 un ADHD 의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처치나 치료 방법을 살펴보면, 약물기법(Barkely , 1982), 행동수정기법(박난숙, 1992), 인지적 행동기법 (Kendall & Braswell, 1985), 음악 치료기법 등으로 대별된다. 이 중 음악치료기법은 최근 그 효과가 알려지면서 특수유 아나 부적응유아에게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다. 1987년에서 1998년 사이 ‘Journal of Music Therapy ’에 실린 ADHD 아동 및 청소년 음악치료 연구들을 살펴보면, Edison (1 989) 은 심리적으로 핸디캡이 있는 중학생들의 수엽에서 개인 상호간 기술을 일반화하는 행동주의적 음악치료의 과플 연구하였다. 또한 Morton & Siegel (1 990) 은 기억력과 집중력에 관련된 음악치료 법의 효과를 고찰하는 실험을 하였으며, Montello & Coons (1 998) 는 리듬에 기초한 적 극적 그룹 음악치료와 음악감상을 기초로 한 소극적 음악치료가 감정, 학습, 행동장애 가 있는 아동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를 비교 연구한 것 등이 있다(김은주, 2001). 이들 모두 집단 음악치료를 하였으며, 음악치료가 행동 수정에 효과가 있었음을 공통 적으로 입증하였다. 효 관련 행동주의적 음악치료가 음악능력을 증 있다(김 현미, 2001; Dolber, 연구된 선행연구로서 연구들이 효과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정신 진 • ( ? ]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힌 1978; Flohr, 1981). 특히, 음악치료의 음악능력 - 338 또한 음악치료의 효과와 관련하여 진시키는 데에
  • 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마치는 효과 지체아의 음악능력 발달을 위해 Orff와 Kodaly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 과를 비교 연구한 김현미 (200 1)는 전체 음악능력에서는 Orff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 용한 집단이 Kodaly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보다 검사점수는 높으나 통계적 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하위영역별로 리듬영역과 악기 다루기 영역에서는 Orff 프로그램이, 그리고 노래 부르기 영역에서는 Kodaly 프 로그램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듣기 영역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 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Orff와 Kodaly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두 정신지체아의 음악증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 이것은 우수한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기간이 단기간엄에도 불구하고 ADHD 아동 의 음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Dolber, 1978; Flohr, 1981)과 일치된 결 과였다. 이 밖에, 음악치료가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김정수, 2에0; 성인영, 1999; 심혜숙 · 박정미, 2003; 유광숙 · 최중옥, 2003; 최하람, 1986; Minskoff, 1980a; 1980b; Nordoff & Robbins, 1971; Suzanne, 1999; Zimmerrnan & Zimmerrnan, 1962) 와 인지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김유미 2000; 이진우 · 이순영, 2001; Altschuler, 1981; Lathom, 1983; Suzanne, 1999)7} 있다. 특히, 음악치료가 ADHD 아 동 및 청소년의 음악능력 증진을 통한 정의적 · 인지적 효과 또한 지니고 있음을 지적 함으로써 음악치료를 통한 음악능력 증진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크게 강조하는 선행연 구들(김현미, 2001; 이은희, 200 1)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 하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치료 관련 연구는 대부분 초등학교 아동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만 연구의 초점이 두어졌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음악치료를 광범위한 특 수유아에게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한 선행연구는 전무하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피험자 선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G시에 소재한 H - 339 -
  • 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유치원, K유치원 및 G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 가운데 ADHD와 관련하여 개별적인 인 지행동 치료를 받았거나 약물치료를 받은 유아를 제외한 유아들 중에서 담엄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이라고 관찰된 유아를 중심으로 일차 선정을 하였다. 다 음으로 이들 유아를 대상으로 담임교사들에게 단축형 코너스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17 점 이상으로 평정된 21 명의 유아들을 선별하였다(오경자와 이혜련 (1989) 에 의하면 17점은 ADHD 유아를 선별하는 기준임). 실험처치 기간이 유치원 입원한 직후인 3월 부터 5월까지여서 단축형 코너스 평정 척도에서 선별된 유아들이 ADHD 유아 선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DSM-N 의 ADHD 진단기준에 합당한지를 진단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선정된 유아들은 ADHD 성향을 지닌 유아의 성격을 띤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렇게 선별된 유아들 중에서 본 음악치료에 참여하는 것을 부모가 동의한 H유치원 5 명, K유치원 3 명, 그리고 G유치원 3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10 명의 유아는 비교집단에 배정하였다. 2. 연구 도구 1) 주의력켈핍 과잉행동 명정 척도 ADHD 유아 선별 도구로 단축형 Conners 평정척도 (Abbreviat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Revised ACTRS-R) 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ADHD 유아의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적 문제를 Conners 0 969 )가 93문항으로 제작한 것을 Goyette, Conners와 Ulrich(978) 가 10문항으로 축약하여 개정한 것으로 오경자와 이혜련 (989) 이 번안한 검사이다. ADHD 유아를 분류하는 교사 평균치는 17점이며, 오경자와 이혜련에 의한 단축형 Comners 평정척도의 내적 합치도 Cronbach a =.92 였다. 2) 음악능력 펑청 척도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기 위 해 최 영 숙 (982) 이 Lorton과 Walley(979) 의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oJ] 제시된 음악능력발달검사를 번안 제작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본 연구의 대 상에 맞게 재구성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원래 듣기, 리듬표현,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창의력의 하위영역 총 89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중 ADHD 유아에게 설시 가능한 듣기 5문항, 리듬 5문항, 노래 부르기 5문항. 악기 다루 - 340 -
  • 7.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파 기 5문항 등 총 20문항을 선별하여 재구성하였다. 이렇게 재구성한 음악능력 평정 척 도의 신뢰도는 .89 였다. 3. 음악치료 프로그램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5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1 단계(1 -3회기)에서는 친밀감을 형 성하고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단계 (4, 13, 14, 19, 20회기)에서는 리듬 읽기, 3단계 (5, 6, 9, 10, 15, 16회기)에서는 소리듣기 및 표현하기, 4단계 (7, 8, 17, 18, 21 회기)에서는 노래 부르기 및 율동하기, 그리고 5단계 (11 , 12, 22, 23, 24회기)에서는 악기 연주하기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에서는 음악능력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행동 변화 가 있을 때 스티커를 사용하여 강화를 주도록 하였다. 2)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기본적 으로 행동주의적 음악치료 Priestley(994) 의 분석적 음악치료 Nordoff와 Robbins(971) 의 창조적 음악치료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자의 음악치료 슈퍼바이저 로서의 임상경험을 토대로 예비연구 실시 후 연구의 목적과 기간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활동 형태는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을 통한 음률활동, 코다이의 이 동 ‘도’ 볍 에 의 한 가창활동 오르프의 앙상블활동 Nordoff와 Robbins 의 창조적 즉 흥연주활동을 적용하여 치료적 매체로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 적용된 음악치료 프로 그램의 단계별 내용은 표 1 과 같다. 표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활동 활동 단계 주제 활동 목표 라포형성 。긴장감 해소 n숭1 상호작용 。친밀감 형성하기 활동 내용 。자신의 이름을 소개하고 치료사가 즉흥연주로 노래 불러주기(응답식 노래 주고받기) ex. 당신은 누구십니까 ~ 나는 000- 그 이름 너무 예뻐요. - 341 - 실시 회기 1
  • 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세 12 권 제 4 호 2 。음악에 맞춰 치료사와 함께 손빽 치기, 발 구 르기, 포옹하기(신체 접촉) 。음악적 접촉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악기와 노래 제목을 말 하고, 치료사의 반주에 맞춰 즉홍 연주하기(음 악적 친밀감 경험) 3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 음의 장단을 구별할 수 있다 。리듬 특정에 맞춰 손빽치기, 걷기, 구르기, 뛰기. 리듬의 개념을 이해하여 수리능 。리듬 스피치 - 가사를 통한 리듬읽기, 그립악보 놀이 4. 13, 리 c 력과 집중력을 기른다. 하기 14,19, - n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o 악센트를 통한 박자 인식하기 m 읽기 신체로 규칙적인 음악리듬을 표 웅답을 이용하여 리듬치기 현할 수 있다 。박자인식을 위한 발박과 손박 활용하기 규칙적인 박자에 맞춰 언어표현 。리듬 읽기 활동에 대해 느낀 점 이야기하기 을할수있다 2 소리듣기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타악기, 선율악기 소리 식별하기 • 음높이, 셈여립, 음색, 리듬의 개 。‘동물의 사육제’를 감상하고 각 악곡 념을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동물 흉내내기 。선율악기 C음부터 G음까지 신체 표현하기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신체로 노래 연주하기 • 음높이, 셈여림, 음색, 리듬의 개 。‘피터와 늑대’를 들으며 그림악보를 보고 악기 알아 맞 념을 이해하고, 이해한 개념을 신 추기 체 및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음악의 내용에 관하여 대화나누기 3 01 숭 표현하기 5, 6, 9, 10, 15, 16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 읍 높낮이, 셈여림, 음색, 리듬의 。반주에 맞추어 허밍하고 난 후읍의 높낮이를 신체로 개념을 이해하고 구별한다. 표현하며 다시 허밍하기 . 4마디 이상의 박자와 가사를 기 。노래를 익히고 가사에 따른 신체 동작 표현하기 노래 억할 수 있다. 。유아가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쓰면 치료사가 노래로 7, 8, 데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만들어 불러주고, 유아가 신체 동작으로 표현하기 17, 18, 부르기 및 음의 높낮이를 인식하여 음정에 。유아와 치료사가 릴레이로 노래 주고받기 21 율동하기 맞게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치료사가 노래 부르면 유아가 허멍하며 동작으로 표 지정된 가사에 따른 제한적 동 현하기 작 표현을 수행할 수 있다. 。노래와 율동을 통시에 표현하기 창의적 동작표현을 노래의 리듬 。자사와 동작에 대하여 느낀점 이야기하기 과 가사에 맞춰서 수행한다. 。음악적 인지능력 향상 。타악기의 리듬을 인식하고 치료사의 시범연주 따라하 • 음높이, 셈여립, 음색, 리듬의 개 기 5 악기 념을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다. 。선율악기의 고 • 저 이해하기 연주하기 · 내청의 형성으로 4마디 이상의 음 · 핸드벨 C부터 밍}지 흔들기 악을 기억할 수 있다 실로폰 저음부터 고음까지 연주하기 。음악적 표현능력 향상 。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천천히에서 빠르게, 작게에서 낌 정 i n z - 342 -
  • 9. 음악치료 프로그랜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음높이, 셈여림, 음색, 리듬에 맞 크게 타약기 연주하기 추어 악기로 연주할 수 있다 。쉽표뜰 이해하며 주고 받기 연주하기 리듬 배열을 체험하고 음의 높낮 。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며 그림악보의 악상 이를 구별하여 선율악기와 타악 에 맞게 앙상블 연주하기 기의 앙상블 연주를 수행한다 。앙상블 연주 후 느낀 점 이야기하기 4.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실시, 사전검사, 음악치료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1) 예비연구 본 실험을 실시하기 전 실험처치 절차상의 문제, 프로그램상의 문제, 도구의 적합성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는 본 연구의 대상이 아닌 G시에 있는 J유치원의 5세반 ADHD 유아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연구 기간은 2004년 2월에서 4월까지 8주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도구를 실시하여 검사 방법과 시간 등을 점검, 확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반응과 홍미를 관찰, 수정 하였다. 2) 검사자 훈련 및 일치도 음악치료 임상경험이 있고 유아교육 전공으로 대학원을 수료하였으며 6년의 유치원 교사 경력을 가진 H유치원의 5세반 교사와 유아교육을 전공하여 음악능력이 우수한 대학원생을 본 연구의 검사자로 선정 활용하였다. 이들 검사자들을 대상으로 검사도 구의 내용, 유아에게 질문하는 순서와 방법, 반응을 기록하는 방법 등을 설명한 후, 검 사자들이 질문들을 시연해 보는 등의 훈련을 꾸준히 실시한 결과 85% 의 검사자간 내 적 일치도와 87% 의 검사자내 일치도를 보였다. 3) 사전 · 사후검사 본 연구의 실험처치 이전의 사전 검사는 실험처치가 시작되기 전 주인 3월 15 일에 서 16일까지 2 일에 걸쳐서 훈련된 검사자들에 의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 실시 되었다. 검사는 동일한 검사자들을 활용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K유 - 343 -
  • 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치원과 G유치원의 대상유아들을 H유치원에 모아 다용도실에서 실시되었다. 사후검사 역시 실험이 끝난 직후인 5월 17일에서 18 일까지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 었다. 4) 실험처치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음악치료사인 연구자에 의해 2005년 3월 21 일부터 5월 14 일 까지 8주 동안 주 3회 40분 수업으로 총 24회 실시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일 과 운영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그 외의 모든 시간은 모두 같은 일과 운영 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처치과정은 도입, 전개, 정착의 과정으로 40여분에 걸쳐 매회 실시되었 다. 먼저 도입 단계에서는 친밀감을 형성하여 음악활동의 주제를 설명하고, 음악활동 을 위한 준비성과 요구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전개 단계에서는 회기별 프로그 램 내용에 따른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면서 유아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감정을 음악활동을 통해서 마음껏 표출하고 느낀 점을 토의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다. 그리고 정착 단계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사고 감정, 느낌, 기분 등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창조 적으로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동일한 기간에 비교집단의 처치 과정도 도입 전개 정착의 과정으로 실시되었다. 도 입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들을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동기유발로 유도하고, 전개 단계에 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계획에 따른 생활주제 중심 접근의 노래 부르기를 수행하였 으며, 정착 단계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느낌이나 기분을 이야기해 보도록 진행하였다. 두 집단간 실험처치 내용을 비교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처치 내용 비교 ;뇨며f 실험 집단 비교 집단 처치 유형 ·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한 음악치 ·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하는 음악 료 죠로그램 교육 효로그램 활동 형태 ·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을 통한 음률 및 · 주제 중심 접근의 대집단 노래 감상 활동 부르기 활동 344
  • 11.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븐 효과 · 코다이의 이동 ‘도’ 법에 의한 노 래 부르기 활동 · 오르프의 앙상블 활동, . Nordoff와 Robbins (1 977) 의 창조 적 즉홍 연주 활동 도입 단계 · 라포 형성 ·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동기유발 · 음악활동을 위한 준비성과 요구 인식 활동내용 전개 단계 · 음악치료 프로그램 내용 수행하기 . 6차 유치원 교육과정 계획에 따 전개과정 · 음악적 경험과 느낀점 이야기하기 른 주제 중심 접근 노래 부르기 정착 단계 · 활동 후 느낌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 · 활동 후 느낌을 이야기하기 현하기 5) 자료 처려 음악능력 검사는 각 영역별로 매우 잘함은 5 점, 잘함은 4 점, 보통/중간은 3 점, 못함 은 2 점, 전혀 못함은 1 점을 부여하였으며, 각 영역별 점수는 세부능력 점수의 합계의 평균으로, 전체 음악능력은 각 영역별 점수를 합계하여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검사는 사례수가 전체 실험집단 11 명 비교집단 10명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유의도를 검증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은 관계로 검사의 보완을 위해서 회기가 끝난 시점에서의 유아 부모의 소감을 통한 실험집단 유아의 음악능력 변화와 실험을 실시한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질적 분석을 추가하였다. III. 결과 및 논의 1. 결과 및 해석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를 통계적 분석과 실험에 참여한 유아 부모의 소감 요지 및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중심 으로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345 •
  • 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1) 통계적 분석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교사 주도의 노래 부르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사전 • 사후 음악능력 검사 점수를 t- 검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음악능력의 실험처치 전인 사전검사 점수에 있어서 는 실험집단(M = 10.09, SD= 1. 22) 이 비교집단 (M=9.05, SD= 1.l 1) 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에 있어서도 실험집단 (M=13.65, SD=O.78) 이 비교집단(M=9.62, SD= 1.l 6)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집단에 따른 사후검사 간 접수 변화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9.23, p<.OO1). 이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교사 주도 의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보다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표 3 음악능력과 그 하위영역에 대한 사전 • 사후 검사간 비교 영 역 실험집단 비교집단 t p M SD M SD 전체 사전 10.09 1.22 9.05 1.11 2.03 .0562 음악 능력 사후 13.65 0.78 9.62 1.16 9.23 <.0001 사전 2.36 0.92 2.34 0.72 0.06 .9489 리듬 사후 3.26 0.69 2.49 0.69 2.56 .0193 사전 2.55 1.13 2.27 1.08 0.57 .5754 듣기 사후 3.74 0.75 2.44 1.09 3.14 .0064 노래 사전 2.90 0.54 2.43 0.58 1.96 .0649 부르기 사후 3.56 0.77 2.52 0.54 3.63 .0019 악기 사전 2.27 0.65 2.01 0.75 0.86 .4011 다루기 사후 3.08 0.46 2.17 0.73 3.38 .0042 또한 음악능력의 하위 영역에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리듬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적이었다 - 346 -
  • 13. 음악치료 프로그댐이 ADHD 유아의 음악능략에 미치늑 효과 (t=2.56, p<.05). 그리고 듣기 영역 (t=3 .l 4 , p<.Ol), 노래 부르기 영역 (t=3.63, p<.OOI), 악 기 다루기 영역 (t=3.38, p<.O l)에 있어서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의 하위영 역인 리듬, 듣기, 노래 규명되었다. 부르기, 악기 다루기 영역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2) 질적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에 참여한 11 명 중 8명의 유아 부모들과 실험 마지막 회기에 인터뷰를 하여 음악치료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소감을 조사하였는데, 그 소감 내용을 요약해 보면 표 4와 같다. 표 4 실험집단 유아 부모들의 소감 내용 유아의 부모 -까4、- 감 내 용 여주 어머니 집에 와서 TV를 보며 노래를 3분 이상 따라 부름 광구 어머니 소고를 치며 동생과 놀이를 함 그림일기에 악기연주 했던 모습을 그림 예원 어머니 인사할 때나 노래할 때 매우 부끄러워하고 작은 소리를 내었으나 점차 큰 소리 로 말하고 노래 부를 수 있게 됨. 지훈 어머니 핸드벨을 사 달라고 함. 집에서 엄마와 핸드벨 연주를 함께 함. 현미 어머니 집에 와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춤 슬기 어머니 동생과 악기소리 알아맞히는 수수께끼를 하는 모습을 가끔 보게 됨 주희 어머니 엄마에 게 노래를 가르쳐 줌 집에서 음악 CD를 들려주면 스스로 춤을 추는 행동이 생김. 효준 어머니 피아노학원에서 20분씩 가만히 앉아서 피아노를 친다는 학원 선생님의 말을 전해 tE:즈 t ci1 • 위의 표 4의 유아 부모의 소감 내용을 보면 실험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우 음악놀이를 자주 하게 되었고, 자신감 결여로 작은 소리로 인사하거나 노래플 불렀던 행동이 점진적 347 •
  • 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세 12 권 제 4 호 으로 큰 소리로 인사하고 노래할 수 있게 개선되었으며 여러 가지 음악활동에 능동적으 로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한편,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연구자의 관찰에 따르면 처음 프로그램을 시작하 였을 때는 유아 대부분이 거의 통제가 안될 만큼 주의가 산만하여 연구자의 프로그램 방법 설명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중반부로 접어들면서 유아들은 점차 음악에 귀를 기울이는 태도 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집중시간은 처음보다 2 배 이상 증가하였고, 감상태도에 있어 서는 즉흥 음악의 흐름에 따라 화성적인 코드로 진행할 때는 적응하고 들었으며, 불협 화음일 경우는 약간 미간을 쩡그리고 고개를 가우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표 5 연구자의 관찰 내용 유아명 -까4、- 감 내 용 큰 목소리가 노래를 작게 할 때면 차분해짐. 상훈 전반부에 1 분 이상 듣지 못했으나 후반부에서는 점차 5분 이상의 감상을 안정적으로 수 행할 수 있게 됨 여주 규칙적인 움직임에 서서히 익숙해지면서 노래와 동작표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 미연 무절제하게 사불을 다루던 습관이 악기연주와 정돈과정을 통해서 개선됨. 광구 치료사와 함께 하는 즉홍연주를 3분 이상 집중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됨. 악기에 호기심을 보이며 여러 악기를 리듬에 맞춰서 다룸. 예원 전반부에 다소 싫증을 내었으나 후반부부터 잘 참여하고 짜증 섞인 표정이 현저하게 줄어 EEn. 지훈 색깔에 따른 음높이를 기억할 수 있으며 핸드벨 연주를 3분 이상 연주하게 됨. 현미 늘 폼을 과도하게 움직이던 습관이, 동작표현 활동 중에는 하나의 노래가 끝날 때까지 절제된 웅직임을 보이게 됨. 슬기 노래를 2곡 이상 끊어짐 없이 부를 수 있게 됨. 노래 부르기가 끝나면 ‘한 번 더 해요’ 라고 자주 요구하게 됨. 주희 치료사의 반주에 맞춰 동작표현을 적극적으로 5분 이상 집중적으로 수행하게 됨. -까「- r;、그객 친구들과 싸우거나 끼어드는 행동이 줄어들고, 응답 노래 부근기를 적극적으로 하게 됨. 효준 앙상블 연주에 재능을 보이며 선율악기 연주를 시도하게 됨‘ 프로그램의 후반부로 접어들면서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유아들은 적극적으로 실 - 348 -
  • 1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야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험에 참여하였고, 특히 새로운 노래를 부를 때 “이 곡보다 지난 번 부른 노래가 더 좋 다”라고 의사표현을 하거나 “한 번 더 해요”라고 스스로 요청하는 행동이 증가하는 변 화를 보였다. 2. 논의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전반적인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연구자의 관찰과 부모들의 소감을 통해서도 입증되 었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음악능력의 하위영역에 있어서도 리듬, 듣기, 노래 부 르기, 악기 다루기 모두 교사 주도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주제 중심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음악능력 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초등학교 정신지체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Orff와 Kodaly 등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효과 적이라고 보고한 김현미 (200 1)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였다. 단, 김현미의 연구에서는 전 체음악능력의 평균이 사전검사 1.15 사후검사 1.90으로 나타난 것에 대해서 본 연구에 서의 유아의 경우에는 사전검사 2.52, 사후검사 3.41 로 나타남으로써 연령이 높아도 지 능지수가 낮은 정신지체아(지능지수 45-55) 의 경우에는 낮은 음악능력을 지니게 됨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하나의 독립된 음악활동보다는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등의 전 반적인 음악활동을 다양하게 제공하였을 때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음악 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능력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한 선행연구(김은실, 1994; 김현미, 2001; 김광자 · 강문희, 2005; 이숙희, 2005; Holliger, 1987) 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음악활동이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유아 교육현장에서의 음악활동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제공하지 못하고 획일적이고 부자연스 러운 활동으로 채워지고 있으며<Holliger, 1987), 이러한 현상은 국내의 조사연구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즉, 안재신 (994) 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의 90% 는 노래 부르기로 되어 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아들에게 분리 된 음악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음악활동에 대한 참여와 이를 통한 음악능력의 증진에 - 349 -
  • 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세 12 권 제 4 호 제한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현재 많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을 대상 으로 하는 음악활동에서 노래 부르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것은 유아들의 흥미를 즉 시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는 있지만 유아의 다양성에 대응하지 못하 고, 나아가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음악활동에 접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이 숙희, 2005). 음악적 경험으로 주어지는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음악 감상하 기, 악기 다루기 등의 모든 활동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제시되는 것보다는 통합 적인 형태로 진행될 때 음악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적(김은주 2001)이라는 관점을 감 안할 때, 향후 ADHD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활동은 유아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 려하여 통합적 · 치료적인 내용과 활동으로 구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의 음악능력에 있어서 실험집단보다는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교 사 주도의 음악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또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보다 더 높은 접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강숙희 (994)가 유치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유아의 음악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주제별 주당 음악지도의 횟수가 증가될수록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일반 유아뿐만 아니라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도 음악활동이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넷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유 아교육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한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구체적인 교수 모댈이나 교수 학습 방법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ADHD 유아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한 음악능력 증진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체계를 제 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는 Gaston(968), Sears(968), Hudson(1973) 등과 김 관일 (1991), 정 대 영 과 문장원(1 992) , 김현미 (2001) 등이 주장한 정신지체아 등 장애아 혹은 ADHD 유아의 치료교육에 음악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음악교육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뒷받침해 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음악능력이 점차 증 진되는 행동 변화를 보였을 때 스티커로 보상하여 정반웅을 보인 행동을 강화하였는 데, 이러한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음악치료 프로그램과 강화의 상호작용 효과를 명확 히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수행된다면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보다 효율 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50 -
  • 17. 음악치료 프로그랙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논 효과 N.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음악치료적 접근을 통한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삶 의 질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입증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유치원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다. 즉,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생각보다는 말과 행동이 앞서고 자기통제력과 집중력이 결여되 어 학습과제를 끝까지 성실히 수행하지 못하는 ADHD 유아의 행동 특성으로 인하여 음악능력에 있어서도 비교적 낮은 성취를 보이는 ADHD 유아의 음악능력을 효과적으 로 증진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하나의 독립된 음악활동보다는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등의 전반적인 음악활동을 통합적 • 연계적으로 제공할 때 ADHD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심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유아들에 대한 음악치료 연구의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는 본 연구 결과를 유아교육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다양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연구 · 개발이 촉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ADHD 유아들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음악 감상 등을 통한 수동적인 음악치료 뿐만 아니라 즉흥연주와 같은 능동적인 음악치료를 함께 적 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유아들의 음악능력 증진을 촉진하는 데 촉매제 역할을 할 것 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음악치료를 위해 고안된 다양한 악기 구 성, 유아의 특성에 알맞은 새로운 가창곡과 연주곡, 그리고 새로운 동요나 노래극 활 동 등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추후연구가 요청되며, 특히 연령이 적은 유아 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훈련회기와 많은 대상 유아 그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프로그램 내용을 적용함으로써 결과의 일반화를 유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ADHD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 효과에 대해서 탐색한 본 연구 351
  • 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결과에 기초하여, 추후연구에서는 일반 유아와 ADHD 유아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를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352 -
  • 19.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논 효과 참고문헌 강숙희 (994). 유치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유아 음악능력과의 관계. 아동 교육, 4(1), 5-18. 강위영 · 공마리아 (998). 주의력결핍 아동의 교육프로그램.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강주원 (998). 소집단 편성을 통한 자기선택적 즉흥 연주활동이 창조적 표현능력 신 장에 미치는 효과. 교총현장논문. 과잉행동아의 주의산만 행동수정에 미치 김경희 (995). 자기통제 훈련이 주의력결핍 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관일 (991). 정신지체아를 위한 조기 음악교육의 중요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 18, 25-45. 김 광자 · 강문희 (2005).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 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25(1), 25-45. 김민아 • 이재신 (2004) 어머니 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부적응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45-166. (2000). 유아음악교육의 두뇌 생 리 학적 근거와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5(2), 45-70. 김유미 김은실 (994). 정신지체아 음악지도에 있어서 Carl Orff 리듬지도 방법의 적용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주 (2001). 통합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장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정수 (2000) 기악 중심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 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현미 (2001). 정신지체아의 음악능력 발달과 행동 변화를 위한 Orffer Kodaly 음악 프 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 내면적 부적응행 동. 대 한가정 학회 지 , 152, 199-213. 박난숙 (992). Methylphedi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 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명화 (200 1). ADHD 유아의 행동문제와 교사의 대처형태에 관한 연구. 정서 • 행동장 m 꾀 남소현 · 김영희 (2000). 어머니의
  • 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제 4 호 애연구, 17(2), 117-134. 반해정 (997). 시 · 감각적 리듭 놀이를 통한 표현 능력 신장. 교총현장논문. 성인영 (999).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 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심혜숙 · 박정미 (2003). 창조적 음악치료가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 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3), 505-527. 안재신 (994). 상상력 개발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청구논문. 오경자 · 이혜련 (989). ADHD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 연구.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지, 8(1), 135-142. 유광숙 · 최중옥 (2003). 음악치료 교육활동이 다운증후군 학생의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5(1), 153-170. 이숙희 (998). 유아 음악-교수 학습방법의 효과적 방법 모색. 유아교육논집, 2(2), 27-46. 이숙희 (2005).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홍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407-430. 이영미 (2004). ADHD 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 놀이치료연구, 7(1), 41-57. 이은희 (2001). 주의력걸핍 및 과잉행동장애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정희 · 지성애 (999). 동화를 통한 노래극 활동이 초등학교 1 학년 아동의 음악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317-341. 재인용. 이진우 · 이순영 (2001). 유아음악교육. 서울 : 창지사. 정대영 · 문장원 (992).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서울: 국립특수교육원. 정세문 · 기청 (985). 유아의 음악교육. 서울 : 창지사. 최영숙 (1982). 유치원 음악교육에 관한 실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최하람 (986). 정신지체아의 음악반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학주 (994). 아동기의 부적응행동 : 판별 준거와 유형. 초등교육연구, 8, 143-157. APA (994). Diagnostic and StatisticaJ ManuaJ of MentaJ Disordor(4th ed.). - 354 -
  • 21. 음악치료 프보 :l 댄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늑 효과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ltschuler, 1. M. (981). Four year’s experiences with music as a therapeutic aid at Eloise Hospital.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3, 792-794. Barkely, R. A. (982). Guidelines for defining hyperactivity in childre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In B. Lahey & Kazdin CEds.) , Advances in Child Clinical Psychology. New Y ork Plenum. Conners, C. K. (969). A teacher rating scale for use in drug studies with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5, 884-888. Dolber, C. C. (978). The effect of a training program on five-year-old능 conservation of musial concep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Edison, C. E. Jr. (989). The effect of behavioral music therapy on the generalization of interpersonal skills form sessions to the classroom by emotionally handicappe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6(4), 206-221. Flohr, ]. W. (981). Short-term music instruction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music aptitude.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9(5), 219-223. Gaston, E. T. (968). Music in therapy. New York Collier-Macmi11an. Goyette, C. H., Conners, C. K., & Ulrich, R. F. (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s and teacher rating scales. Journal of Abnonnal Psychology, 6, 231-236. Hildebrand, V. (986). Guiding young children(pp. 241-251). New York Collier Macmillan Canada, Inc. Holliger, Y. M. (987). An investigative study on developing divergent thinking response in children using a cognitive approach in music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Hudson, W. C. (973). Music A Physiologic Language. Journal of Music Therapy, 10. 156-178. Kendall, P. C. & Braswell, L. (985). Cognitive-BehavioraJ Research and Therapy. • 355 -
  • 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 12 권 세 4 호 Orlando : Acadernic Press. KhaleQue, A., & Rohner, R. P.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 cultural and intracultural studies. joumaJ of Marriage and FamiJy, 64, 54-64. Kiser, D. C. (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Ponna Crinklaw-Kiser: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rk process. Young ChiJdren, 51 (5), 15-20. Lathom, w. (1983). RoJe of music therapy in the education of handicapped chiJdren and youth Lawrence. KS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Lipe, A. W. (2002). Beyond therapy music, spiritually, and health in human experience. joumaJ of Music Therapy, 39(3), 209-240. Lorton, ]. W., & Wally, B. L. (1979). lntroduction to EarJy ChiJdhood Education. New Y ork D. Van Nostrand Co. Minskoff, E. <1980a). Teaching approach for develop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with social perception deficits Part 1. joumaJ of Leaming DisabiJjties, 13(3), 118-123. Minskoff, E. <1980b). Teaching approach for develop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with social perception deficits Paπ 2. Proxemic, vocalic, and artifactual c1ues. joumaJ of Leaming DisabiJjties, 13(4), 203-208. Montello, L. & Coons, E. E. (1998). Effects of active versus passive group music therapy on preadolescents with emotional, learning and behavioral disorders. joumaJ of Music Therapy, ‘35(1), 49-67. Morton, ]. R. Kershner & Siegel, L. S. (1990). The potential for theraputic applications of music on problems related 0 memory and attention. joumaJ of Music Therapy, 27(4), 195-208. Nordoff, P. & Robbins, C. (1971).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Jdren. London Gollancz. Priestley, M. (994). Essays on AnaJyticaJ Music.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Sears, W. (968). Processes in Music Therapy. In E. Gaston(Ed.), Music in Therapy(pp. 30-46). New York : MacMillan. 356
  • 23. 음악치료 프로그팩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Seefeldt, C., & Barbour, N. (990). Ea셔Y childhood education an in troduction (pp. 416-444). New York : Maxwell Macmillan Intemational. Smeijsters, H. (999). Music therapy helping to work through grief and finding a personal identity. Joumal of Music Therapy, 36(3), 222-252. Snyder, S. (1997). Developing musical intelligence Why and how. Early Children Education, 24(3), 165-171. Susanne, B. H. (1999). The New Music Therapist 능 Handbook.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Wolf, ]. (992). Let’s sing it again Creating music with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7(2), 56-60. Wolfe, D. A., Scott, K., & Wekerle, C. (2003). Child maltreatment Risk of adjustment problems and dating violence in adolescence. Joum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ce Psychiatry, 40(3), 282-289. Young, W. (990). An integrated music program for elementmγ school(pp. 81-83). Prentic Hall, Inc. Zimmerman, E. H. & Zimmerman, ]. (962). The altemation of behavior in a special c1assroom situation. Joum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5, 59-60. - 357 -
  • 2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서1 12 권 제 4 호 Abstrac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Mus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ung, Mi Ra . Choi, Y oung K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young children ’ musical abilities with attention-deficitlhyperactivity disorder. The research question was posed as below: Are there any clifferences in musical abilities between th ADHD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akes music therapy program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A total of 21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participated weekly 3 sessions in the music therapy program for 8 weeks. There were 24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40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Besides, a qualitative analysis was added, by asking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 s parents to give their feedback and by observing the behavioral change of the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al1 spheres of musical abilities of the ADHD children(t=9.23, p<.Oül), especially rhythm, listening,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so on. It suggests that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as a way of offering music activities to the ADHD children. Key Words :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Musical Abilities - 3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