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5
Download to read offline
음악교육공학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011.02.16. Vol.12, pp. 1~15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1) 
- 1 - 
조 성 기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무엇이 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신중한 성찰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음악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 역량과 음악 지식의 구조 
에 대하여 새롭게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방법 
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의 역량과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음악 역량을 설정하였고, 설정된 음악 역량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음악 역량을 학교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음악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서의 방 
향을 제시하였다. 
* 검색어: 음악 역량, 음악 능력, 음악교육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 음악 역량 분석 
Ⅳ. 음악 역량 교육의 적용 방법 탐색 
Ⅴ. 요약 및 제언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교육은 지식․정보의 부족보다는 지식․정보의 홍수에 대 
한 고민과 대응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많은 지식과 정보에 대하여 암기나 주입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그러한 지식․정보에 대한 가치를 판별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즉, 판단력과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교육 
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판단력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은 근래에 강조되고 있는 교육 
으로서, 미래를 능동적으로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위한 역량 
(competence) 기반 교육과 그 맥을 같이 한다. 
* 이 연구는 공주대학교 신임교수 정착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비한 교육에 관심을 갖고 미래의 핵심 역량에 관 
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OECD 
는 개인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기 위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생애 학습과 교육 체제의 
최대 목표로서 핵심 역량의 영역을 설정하고 있다(Rychen 2003). 이들 핵심 역량을 뉴질랜드나 
호주 등은 자국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퀘백 
주도 교육과정 설계에서 이들 핵심 역량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 
년 이후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적 역량과 학습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 
식하고 이에 대한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 
여 왔다(이광우 외 2008). 그러나 이러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핵심 역량을 정의하는 수준에 머물 
러 있으며 핵심 역량 영역의 하위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나 그러한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들다. 미래의 핵심 역량과 더불어 각 교과에서 
교과 내용과 관련되는 역량에 관한 연구와 이들의 적용을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 
다.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전인으로서의 인간 완성을 위한 교육적 가치뿐만 아니라 판단력과 
창의성 그리고 미래사회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문화예술의 역량을 계발할 수 있는 장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학교 음악교육의 현실은 단순한 음악지 
식이나 기능의 교육에 치중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에서 찾을 수 있 
겠지만, 그 중에 일부로서 우리나라 교육 현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입시와 경쟁에 의한 지식 위 
주의 단순 암기나 주입식 교육에 편승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고, 교과 수업 시수의 부족과 
더불어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드러나는 한계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 
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무엇이 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색을 위한 신 
중한 성찰이 필요하며, 더불어 학교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적 지식의 구조에 대하여 새롭게 고 
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음악적 지식의 구조화를 위한 기초 연 
구로서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학생의 음악 역량을 탐색해 보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학교 음악교 
육에의 적용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핵심 역량의 적용에 의한 학교에서의 
음악교육 내용과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은 물론 음악적 지식의 체계화에 기초가 되며, 가장 
기본이 되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2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음악 역량을 추출하고 이를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방 
법을 모색해 보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사회의 역량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하여 학교 교육을 통해 길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러야 할 미래사회의 음악 역량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미래사회를 위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음악 역량에 대하여 음악교육 관계자들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음악 역량을 설정한다. 
셋째, 설정된 음악 역량을 학교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초․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관한 선행 연구의 분석 
미래 사회의 변화 특성을 진단하고 그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추출한 후 이들을 교육에 적용 
시켜 학교 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및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려고 하는 연구들이 최근 진 
행되고 있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에서는 OECD 국가들 중 국가 기여 과정(CCP: Country 
Contribution Process)에 12개 국가가 참여하여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했으 
며, 이 과정에서 역량과 역량들 간의 순위에서 문화와 상황, 가치의 차이로부터 오는 차이점들 
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각기 다양한 접근방법을 사용하면서도 중요한 많은 유사점과 공통점을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결과로서 얻어진 세 가지 범주에 의한 9가지 핵심 역량은 다음과 같다 
(윤현진 2007, 53). 
<표 1> OECD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범주 선정 이유 핵심 역량 
- 3 - 
1. 자율적으로 행동 
하기 
- 복잡한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목표를 실 
현할 필요성 
- 권리를 행사하고 책임을 다할 필요성 
- 자신의 환경과 그 기능을 이해할 필요성 
1-1. 넓은 시각에서 행동하는 능력 
1-2. 인생의 계획과 개인적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3. 자신의 권리, 관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2. 도구를 상호작용 
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새로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성 
- 도구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선택할 필요성 
- 세계와 적극적으로 대화할 필요성 
2-1.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 
용하는 능력 
2-2. 지식과 정보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용하는 
능력 
2-3. 기술을 상호 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 
3. 사회적 이질집단 
에서 상호작용하 
기 
- 다원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다룰 필요성 
- 공감의 중요성 
-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3-1.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잘 하는 능력 
3-2. 협동하는 능력 
3-3.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 역량은 교육과정의 인지적 지식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태도,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핵심 역량을 자국의 맥락에서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설계․적용하였는데, 학생들이 의무 교육 이후의 성공적인 삶에 필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요한 핵심 역량으로서, ‘자기 관리’,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참여 및 공헌’, ‘사고하기’, ‘언어․ 
상징․텍스트의 활용’ 등으로 설정하고 있다(윤현진 2007, 55). 호주 빅토리아 주는 핵심 학습 기준 
(VELS: 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이라 불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학 
생들이 미래에 성공하기 위해서 알 필요가 있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규명하였고, 이 
에 따라 교육과정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구안되었는데, ‘건강과 체육’, 
‘대인관계발달’, ‘개인적 학습’, ‘시민성’, ‘의사소통’, ‘디자인․창의성․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 
력’ 등이 그것이다. 
<표 2> 뉴질랜드의 핵심 역량의 범주와 의미 
핵심 역량 의미 
- 4 - 
자기 관리 
- 학생들이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로부터 왔는지, 어디에 어울리는지를 아는 것 
- 자기 동기화, 할 수 있다는 태도,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자신을 위한 높 
은 기준을 정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 
- 적극적으로 듣고, 다른 관점을 인정하고 협상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 
참여 및 공헌 
- 지역, 국가, 지구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 집단 구성원으로서 적절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사람들을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위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사고하기 
- 정보, 경험, 아이디어에 대한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의문시하기 위해 창조적, 비판적, 
메타 인지적, 반성적 과정을 활용하는 것 
- 지적 호기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 지식이 표현되는 기호를 가지고 일하고, 그것의 의미를 만드는 것 
- 언어와 상징은 정보, 경험,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하기 위한 체제 
- 모든 종류의 텍스트를 산출하는데 언어와 상징 사용 
영국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전체를 통한 기능(skills) 개발을 강조 하고 있다. 학습자가 교육, 일, 
삶에서 그들의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6개 기능, 즉 ‘의사소통’, ‘수 
적용’, ‘정보기술’, ‘협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문제해결’ 등을 모든 주요 단계(key 
stage 1-4)에서 교육과정 전체에 걸쳐 익히도록 하고 있다. 캐나다 퀘벡주는 핵심 역량을 초․중등학 
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반으로 삼고 있는데, 학생들이 변화하는 가족생활, 사회관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에 적절히 대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곽병선 외(2001), 유현숙 외(2002), 교육혁신위원회(2007), 국가교육과정포럼위원회 등 
에 의해서 초․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윤현 
진 외(2007)와 이광우 외(2008)의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에 의해서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에 대한 설정의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상의 연구들에서 제시한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역량을 요약하여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표 3> 초․중등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선행연구 비교 분석 
구분 핵심 역량 
OECD DeSeCo -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 도구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사회적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뉴질랜드 - 자기관리 -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 참여 및 공헌 
- 사고하기 -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호주 빅토리아주 - 건강과 체육 - 대인관계발달 - 개인적 학습 
- 시민성 - 의사소통 - 디자인, 창의성, 공학 
영국 - 의사소통 - 수 적용 - 정보기술 
- 협동 -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 문제해결 
- 5 - 
캐나다 퀘벡주 
- 지적역량 - 방법론적 역량 - 개인적․사회적 역량 
- 의사소통관련 역량 - 건강과 참살이 - 개인적․직업적 계획 
- 환경의식 - 소비자 권리와 책임 - 미디어 리터러시 
- 시민성 - 공동체 삶 
곽병선 외 
- 문제해결능력 -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 수리능력 
- 의사소통능력 - 학습능력 - 신체활용․관리 
- 협동작업능력 
교육혁신위원회 
- 창의력 - 갈등관리 - 문제해결력 
- 협동과 봉사 - 의사소통능력 -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 적극적 시민성 - 예술․문화적 감성 
윤현진 외 
- 정보처리능력 - 문제해결능력 - 창의력 
- 의사소통능력 - 시민의식 - 갈등조정능력 
- 다문화 이해 능력 -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 삶의 향유 능력 
이광우 외 
- 창의력 - 문제해결능력 - 의사소통능력 
- 정보처리능력 - 대인관계능력 - 자기관리능력 
- 기초학습능력 - 시민의식 - 국제감각 - 진로개발능력 
2. 논의 및 시사점 
이상과 같은 국내․외의 선행연구 분석 결과 미래사회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음 
악 역량 설정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이란 인지적 영역의 지식 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가치, 태도 등과 보다 더 밀접 
하게 관련된 것으로서, 어떤 특정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경험 등을 포함한 수행자의 내․외적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 
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을 ‘미래사회의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 혹은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 경험 등으로서, 초․중등 교육을 통해 누구나가 길러 
야 할 기본적이고 보편적이며 공통적인 음악적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둘째,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 
처리능력’, ‘자기관리능력’, ‘시민의식’, ‘기초학습능력’ 등이 중요한 핵심 역량으로 강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을 음악과 관련시켜 음악의 내적 혹은 외적 활동 속에서 이러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음악 역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선행연구들이 핵심 역량과 세부 하위 역량들을 설정하여 제시한 것처럼, 음악 역량을 
설정함에 있어, 범주로서 보다 포괄적인 역량과 이에 해당하는 세부적인 역량을 포함하여 설정 
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Ⅲ.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 음악 역량 분석 
Ⅱ장에서의 선행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래사회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학생 
의 음악적 역량을 ‘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등 5가지로 잠정적으로 설정하였고, 설정된 음악적 역량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 
역량을 학교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의견을 묻는 설문 문항을 음악교육 전문가 6명(교수 2 
명, 중등교사 2명, 초등교사 2명)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표 4> 설문 조사 내용 영역 및 구성 체제 
설문영역 세부내용 문항수 
- 6 - 
음악 역량 
- 음악 역량(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의 순위 
- 각 음악 역량에 대한 세부 역량의 순위 
6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수정해야 할 학교 음악교육의 부분 
- 수정해야 할 음악 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 기타 의견 
6 
응답자 기본 사항 - 성별, 연령, 종사 분야, 전공 4 
계 16 
설문 조사의 대상은 국내의 음악교육 관련 교수, 중등 음악교사, 초등 음악교육 관련교사, 일 
반 음악인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 응답자는 모두 117명이었다. 
<표 5> 설문조사 응답자 분석 
구분 남 여 계 
초등교사 3 33 36 
중등교사 10 31 41 
대학교수 9 6 15 
일반음악인 3 22 25 
계 25 92 117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음악 역량과 세부적인 음악 역량의 분석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1. 음악 역량 분석 
6명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잠정적으로 설정한 5가지의 음악 역량, 즉 ‘음악 기능’, ‘음악 이 
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등과 이들 역량의 세부 역량에 
대하여 설문 응답자로 하여금 삭제나 추가 등을 요구하였으나, 한 명의 응답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별다른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설정된 음악 역량에 대해서도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 
다른 의견을 준 한 명의 응답자는 음악 역량으로서 ‘음악의 생활화’를 추가하였는데, 이 내용은 
역량이기 보다는 음악 교육의 목표나 방향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자가 설정한 ‘음악 
활용 능력’에 포함될 수 있기에 새로운 역량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의 결과 
를 볼 때, 설정된 5가지의 음악 역량은 비교적 적합하고 타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또한 미래사회를 위해 초․중등 학생의 음악적 역량으로 보다 더 타당한 것이 무엇인지 그 
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1순위로 가장 많은 반응을 보인 것은 ‘음악 기능’ 이었다. 그 뒤를 
이어 ‘음악 활용 능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등의 순으로 반응 
을 보였다. 
<표 6>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 학생의 음악 역량 1순위 응답 빈도 
<표 7> 종사 분야별 음악 역량 1순위 응답 빈도 
- 7 - 
구 분 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계 
응답빈도(%) 37(31.6) 23(19.7) 19(16.2) 6(5.1) 32(27.4) 117(100) 
이와 같은 반응은 선행 연구 분석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역량이 인지적 영역의 지식을 다루 
는 내용 보다는 삶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능, 태도, 가치, 경험 등과 같은 내용과 밀접 
한 관련이 있음을 증명해 주는 좋은 예로서, 이는 음악 교육에서 음악의 기능이나 음악 활용 능 
력, 음악 이해 능력에 중점을 두어 교육하여야 함을 시사해 준다. 
종사 분야별 세부적인 빈도는 아래의 표와 같으며 여기에서 중등교사와 대학교수의 1순위에 
대한 응답 빈도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계 
초등교사(%) 17(47.2) 7(19.4) 4(11.1) 1(2.8) 7(19.4) 36(100) 
중등교사(%) 11(26.8) 9(22) 6(14.6) 1(2.4) 14(34.1) 41(100) 
대학교수(%) 4(26.7) 5(33.3) 1(6.7) 0(0) 5(33.3) 15(100) 
일반음악인(%) 5(20) 2(8) 8(32) 4(16) 6(24) 25(100)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표 9> 음악의 각 역량별 세부 역량에 대한 1순위 응답 빈도 
- 8 - 
2. 세부적인 음악 역량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각 음악 역량에 대한 세부적인 역량(능력)은 다음과 같다. 
<표 8> 각 음악 역량별 세부 역량 
음악 역량 세부 역량(능력) 
음악 기능 - 기초기능 : 시창 및 청음 능력 
- 표현기능 : 성악 및 악기 연주 기능 
음악 이해 능력 
- 음악 분석 능력 
- 역사적․문화적 배경 등과 같은 맥락적 이해 능력 
-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 
- 음악의 심미적 탐구 능력 
음악적 창의성 -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 
- 예술적․심미적 탐구 능력 
음악 학습 능력 
- 자기 주도적 음악 학습 능력 
-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 
- 음악에 대한 평생학습 태도 
음악 활용 능력 -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능력 
-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 
이들 세부 역량에 대하여 보다 더 타당한 것이 무엇인지 그 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1순 
위로 응답한 내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음악 기능’의 세부 역량인 ‘기초 기능’과 ‘표 
현 기능’에 대하여는 그 빈도가 각각 58(52.3%)과 53(47.7%)으로 ‘기초 기능’의 역량이 보다 더 
1순위로 타당하다는 응답을 보였지만 ‘표현 기능’ 역시 중요한 역량으로서 유사한 반응을 나타 
냈다. 
음악 역량 세부 역량 빈도수(%) 
음악 기능 
기초 기능 58(52.3) 
표현 기능 53(47.7) 
음악 이해 능력 
음악 분석 능력 12(10.8) 
맥락적 이해 능력 24(21.6)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 45(40.5) 
음악의 심미적 탐구 능력 30(27) 
음악적 창의성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 30(27) 
예술적․창의적 표현 능력 81(73) 
음악 학습 능력 
자기 주도적 음악 학습 능력 36(32.7)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 13(11.8) 
음악에 대한 평생 학습 태도 61(55.5) 
음악 활용 능력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 능력 17(15.5)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 93(84.5)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음악 이해 능력’에서는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이 45(40.5)로 가장 높은 반응 보였고, ‘음악 
분석 능력’이 12(10.8)로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음악적 창의성’에서는 ‘예술적․창의적 표 
현 능력’이 81(73%)로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의 응답 빈도 30(27%) 보다 월등하게 높은 반 
응을 보였다. ‘음악 학습 능력’에서는 ‘음악에 대한 평생학습 태도’가 61(55.5%)의 빈도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이 13(11.8%)으로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음 
악 활용 능력’에서는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이 93(84.5%)의 빈도로 17(15.5%)의 
빈도를 보인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 능력’보다 월등하게 높은 반응으로 응답하였다. 
<표 10> 설문조사 분석 결과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 순위 
- 9 - 
3. 분석 결과 
음악 역량과 그 세부 역량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미래사회를 위해 학생들에게 교육되 
어야 할 음악 역량으로서 보다 더 타당하고 중요하게 여겨지는 역량들의 순위를 정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음악 역량 세부 역량(능력) 
1. 음악 기능 1. 기초기능 
2. 표현기능 
2. 음악 활용 능력 1.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 
2.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능력 
3. 음악 이해 능력 
1.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 
2. 음악의 심미적 탐구 능력 
3. 역사적․문화적 배경 등과 같은 맥락적 이해 능력 
4. 음악 분석 능력 
4. 음악적 창의성 1. 예술적․심미적 탐구 능력 
2.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 
5. 음악 학습 능력 
1. 음악에 대한 평생학습 태도 
2. 자기 주도적 음악 학습 능력 
3.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으로서 ‘음악 기능’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음악의 기능 중 ‘기초 기능’과 ‘표현 기능’ 모두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역량은 ‘음악 활용 능력’이었는데, 특히 ‘생활에서의 음 
악 적용 및 활용 능력’이 중요한 역량으로서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음악 이해 
능력’은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이나 ‘심미적 탐구 능력’ 등이 이론적이거나 형식적인 지식으 
로서 역사적․문화적 이해나 작품의 분석 능력 보다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음악적 
창의성’에서도 ‘예술적․심미적 탐구 능력’이 창작 능력 보다 더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 
었으며, ‘음악 학습 능력’에서도 실제적인 음악을 학습하고 음악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보다는 학습하려는 태도를 더 중시하여 음악의 평생학습 태도를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 
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을 인지적인 학습의 대상으로 생각하기보다 예술로서, 생활 속에서 자 
연스럽게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향유하면서, 음악의 기초 기능이나 표현 기능 등을 습득 
하여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생활화의 대상으로서 이에 적합한 역량들이 요구됨 
을 시사한다. 즉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음악 역량은 인지적이고 형식적인 음악 지식의 학 
습을 위한 역량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여 음악을 느끼고 향유하도록 하는 
극히 음악적이고 예술적인 역량이어야 함과 동시에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역량이어야 함을 말 
해주고 있는 것이다. 
Ⅳ. 음악 역량 교육의 적용 방법 탐색 
미래사회의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현재 학교 음악교육에서 수정될 것이 있다면, 어는 부분 
인지 그 순위를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들이 응답한 1순위의 빈도는 다음과 같다. 
<표 11>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수정되어야 할 영역 1순위 빈도 
구분 음악 교육 목표 음악 교육 내용 음악 교수․학습 방법 음악과 평가 계 
초등교사(%) 6(22.2) 8(29.6) 7(25.9) 6(22.2) 27(100) 
중등교사(%) 9(22) 22(53.7) 3(7.3) 7(17.1) 41(100) 
대학교수(%) 7(46.7) 3(20) 5(33.3) 0(0) 15(100) 
일반음악인(%) 6(24) 4(16) 7(28) 8(32) 25(100) 
계(%) 28(25.9) 37(34.3) 22(20.4) 21(19.4) 108(100) 
학교 음악교육에서 수정되어야 할 1순위로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37(34.3%)의 빈도를 보이고 있는 음악교육의 내용 영역이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음악교육 
의 목표가 28(25.9%),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이 22(20.4%), 음악과 평가가 21(19.4%)의 빈도순 
으로 반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중등학교에서 음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음악교 
육의 내용이 바뀌어야 함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 응답자들의 의 
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교과서나 음악 교육 내용 중에서 이해, 활동, 생활화 영역의 비중을 계산해 보면, 이해 
영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활동 영역도 대부분 이해 영역과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 사실상 
은 이해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우리 학생들이 미래사 
회의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음악적 역량을 기르 
- 10 -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는데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생활화 영역의 비중은 상당히 적은 수준이며, 그 내용 또한 간단 
한 제시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서 실제로 사용될 만한 음악적 역량은 
생활화 영역의 비중을 이해 영역만큼 높여야만 기를 수 있다고 생각되며, 생활화 영역의 내용 
으로는 음악철학, 음악미학, 음악과 삶, 음악과 인간, 음악과 직업, 음악과 멀티미디어 등 다각 
도에서 더 자세히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응답자 A) 
실생활과 접목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추가 되어야 하며 기능적인 면에서도 표현 기능을 높 
- 11 - 
여주는 교육내용이 되어야 한다.(응답자 B) 
이론이나 기능(노래, 기악)에 국한되어 있는 교육의 내용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 
로 수정되었으면 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잘 모르겠으나 현재의 내용은 아이들의 삶과 조금 
동떨어져 있어 선수학습이 부족한 아이들은 음악이 어렵다고 합니다.(응답자 C) 
이상의 의견들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현재의 음악교육 내용은 실생활과 동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반대로 음악 활동적인 내용들은 부족하다고 말 
하고 있다. 음악의 교육의 내용은 실생활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생활과 밀 
접하게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론보다는 연주 및 표현 능력의 향상을 위한 활동 중 
심의 내용을 통해 음악을 생활화 하도록 하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학교에서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수정되어야 할 두 번째로 중요한 것으로서 음 
악교육의 목표 영역에 대한 응답자들은 의견은 다음과 같다. 
음악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음악활동을 통한 협동심 함양, 생활에서의 음악적용 및 활 
용 능력, 표현능력의 기름 등을 중요시 하는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응답자 D)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목표를 지양하고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활동중심의 목 
표설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응답자 E) 
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해서도 실생활과 관련된 구체적인 활동 중심의 목표로 수정되어야 함 
을 말하고 있었으며, 음악 활동을 통한 태도와 협력 등을 강조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일부 응답자는 음악교육의 목표에 미래의 인재를 키우기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매우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음악교육의 목표에 미래사회형 인재를 키우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본능력들을 함양시켜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응답자 F)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에서는 음악활동과 더불어 타 교과와의 통 
합적인 수업 방법 및 음악 교사의 멀티 플레이어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를 요구하기도 하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였다. 평가에 대한 수정에서는 모든 평가에서 실음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과정 중심 
의 평가이며 포괄적인 평가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통해 학습내용을 체득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타 교과와도 통합적 
으로 수업을 시도해 보는 등 음악 교사의 멀티 플레이어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 
야 할 것이다.(응답자 G) 
일률적 평가가 아닌 개개인의 능력 및 특성에 맞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배운 내용을 평 
가하는 방법 보다는 매시간 포트폴리오나 활동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 
각합니다.(응답자 H) 
음악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실음 중심의 평가가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감상평가 문항 
에서의 실음 중심은 당연한 것이며, 그 외에 실제 지필 문항에도 실음 중심 평가가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응답자 I) 
이상의 내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악교육의 내용과 목표가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불어 음악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와 다양한 평가 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활동중심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음악교육 
의 내용은 현실 생활 속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음악 활 
동과, 이를 뒷받침 해주고 유지시킬 수 있는 연주 및 표현 능력을 배양하여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내용으로 선정하고 조직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한 다양한 형 
태 및 멀티 플레이어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론이나 지필 
평가 보다는 실음에 의한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 및 특성에 적합한 포괄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무엇이 
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신중한 성찰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음악교육 
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 역량과 음악 지식의 구조에 대하여 새롭게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 
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의 역량과 관련된 국내․ 
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음악 역량을 설정하였고, 설정된 음악 역량 
- 12 -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음악 역량을 학교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음악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 
에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의 결과로서 미래사회를 위한 음악 역량은 ‘음악 기능’, ‘음악 활용 능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등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타당도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의 순이다. 
역량의 설정과 세부적인 역량들에 대한 타당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음악 역량은 인지적이고 형식적인 음악 지식의 학습을 위한 역량이 아니라 생활 속에 
서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여 음악을 느끼고 향유하도록 하는 극히 음악적이고 예술적인 역량이 
어야 함과 동시에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역량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음악 역량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 
을 갖는 활동중심의 구체적인 음악 교육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음악교육의 내 
용은 현실 생활 속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음악 활동과, 
음악의 연주 및 표현 능력을 배양하여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내용 등으로 
선정되고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 학생들의 음악 역량이 학교 교육현장에 적 
용되어 교육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음악 역량을 적용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도 알아본 바와 같이 음 
악교육의 목표에서부터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이르기까지 미래의 음악 역량에 적합 
하도록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차기 교육과정의 개정 작업에 본 연구의 결과로서 음 
악 역량과 학교 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방안 등이 참조되고 반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악 역량과 그 세부 역량은 보다 더 많은 다양한 검증을 통하여 
정교화 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보다 더 발전된 많은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설문 응답자들은 모두 음악을 전공하였거나 음악교육과 관련 
된 사람들이었다.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보다 더 정교한 음악 역량 설정을 위해 이들 외에 
다른 예술 분야와 다른 학문 분야에 종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도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13 - 
pcho09@kongju.ac.kr 
참고문헌 
곽병선 외.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적 자원의 기초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2001.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 [별책 12]. 2007. 
교육혁신위원회. 학습 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비전과 전략(안) 공청회 자료집. 2007. 
서지영 외. 체육, 음악, 미술교과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0-8. 2010. 
소경희. 학교교육에서 ‘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시사.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 14 - 
대회 자료집. 2006. 
유현숙 외.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 체제 질 관리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연 
구보고 RR 2002-19. 2002. 
윤현진 외.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53-55, 
2007. 
이광우 외.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증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경 
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8-31-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2008. 
장기범 외. 2005년 학교경영자를 위한 문화예술분야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 KACES-0620-R003. 2006. 
조성기 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 
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9-13. 2009.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E 
Press. 2003. 
Rychen, D. S. & Salganik, L. H.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Seattle, Toronto, Bern: Hogrefe 
& Huber Publishers. 2003.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 15 - 
Abstract 
A Study on Developing Music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Sung-ki Cho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music competencies that will be 
required to function well in the future society. Considering changes in society, it is necessary that we 
reflect what and how we should teach in music classes and redefine competences and knowledge 
structure of music.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music competences that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Also, we suggested new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developing the music competences.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discussed previous studies on 
competences for future society. Second, we defined music competences for future society and conducted 
survey to acquire validity of the music competences. Finally, in order to facilitate music teaching and 
lear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e suggested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in school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the music competences. 
KEY Words: music competence, musical ability, music education 
■ 접수일(2010년 12월 31일), 수정일(2011년 1월 31일), 게재확정일(2011년 2월 8일)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혜원 정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parkds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지현 김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혜원 정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혜원 정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Heekyung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Mail complex (1)
Mail complex (1)Mail complex (1)
Mail complex (1)예슬 이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Jihoon Yang
 

Similar to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20)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2 정문성석문주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2014 김태준 21세기 글로벌교육개혁동향분석 비인지적역량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Edu46 2
Edu46 2Edu46 2
Edu46 2
 
Mail complex (1)
Mail complex (1)Mail complex (1)
Mail complex (1)
 
Mail complex
Mail complexMail complex
Mail complex
 
Mail complex
Mail complexMail complex
Mail complex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미래사회를 위한 초_중등학생의_음악_역량_연구

  • 1. 음악교육공학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011.02.16. Vol.12, pp. 1~15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1) - 1 - 조 성 기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무엇이 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신중한 성찰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음악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 역량과 음악 지식의 구조 에 대하여 새롭게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방법 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의 역량과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음악 역량을 설정하였고, 설정된 음악 역량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음악 역량을 학교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음악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서의 방 향을 제시하였다. * 검색어: 음악 역량, 음악 능력, 음악교육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 음악 역량 분석 Ⅳ. 음악 역량 교육의 적용 방법 탐색 Ⅴ. 요약 및 제언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교육은 지식․정보의 부족보다는 지식․정보의 홍수에 대 한 고민과 대응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많은 지식과 정보에 대하여 암기나 주입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그러한 지식․정보에 대한 가치를 판별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즉, 판단력과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교육 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판단력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은 근래에 강조되고 있는 교육 으로서, 미래를 능동적으로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위한 역량 (competence) 기반 교육과 그 맥을 같이 한다. * 이 연구는 공주대학교 신임교수 정착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2.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비한 교육에 관심을 갖고 미래의 핵심 역량에 관 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OECD 는 개인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기 위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생애 학습과 교육 체제의 최대 목표로서 핵심 역량의 영역을 설정하고 있다(Rychen 2003). 이들 핵심 역량을 뉴질랜드나 호주 등은 자국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퀘백 주도 교육과정 설계에서 이들 핵심 역량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 년 이후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적 역량과 학습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 식하고 이에 대한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 여 왔다(이광우 외 2008). 그러나 이러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핵심 역량을 정의하는 수준에 머물 러 있으며 핵심 역량 영역의 하위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나 그러한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들다. 미래의 핵심 역량과 더불어 각 교과에서 교과 내용과 관련되는 역량에 관한 연구와 이들의 적용을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 다.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전인으로서의 인간 완성을 위한 교육적 가치뿐만 아니라 판단력과 창의성 그리고 미래사회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문화예술의 역량을 계발할 수 있는 장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학교 음악교육의 현실은 단순한 음악지 식이나 기능의 교육에 치중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에서 찾을 수 있 겠지만, 그 중에 일부로서 우리나라 교육 현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입시와 경쟁에 의한 지식 위 주의 단순 암기나 주입식 교육에 편승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고, 교과 수업 시수의 부족과 더불어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드러나는 한계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 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무엇이 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색을 위한 신 중한 성찰이 필요하며, 더불어 학교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적 지식의 구조에 대하여 새롭게 고 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음악적 지식의 구조화를 위한 기초 연 구로서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학생의 음악 역량을 탐색해 보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학교 음악교 육에의 적용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핵심 역량의 적용에 의한 학교에서의 음악교육 내용과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은 물론 음악적 지식의 체계화에 기초가 되며, 가장 기본이 되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2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음악 역량을 추출하고 이를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방 법을 모색해 보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사회의 역량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하여 학교 교육을 통해 길
  • 3.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러야 할 미래사회의 음악 역량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미래사회를 위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음악 역량에 대하여 음악교육 관계자들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음악 역량을 설정한다. 셋째, 설정된 음악 역량을 학교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초․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관한 선행 연구의 분석 미래 사회의 변화 특성을 진단하고 그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추출한 후 이들을 교육에 적용 시켜 학교 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및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려고 하는 연구들이 최근 진 행되고 있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에서는 OECD 국가들 중 국가 기여 과정(CCP: Country Contribution Process)에 12개 국가가 참여하여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했으 며, 이 과정에서 역량과 역량들 간의 순위에서 문화와 상황, 가치의 차이로부터 오는 차이점들 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각기 다양한 접근방법을 사용하면서도 중요한 많은 유사점과 공통점을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결과로서 얻어진 세 가지 범주에 의한 9가지 핵심 역량은 다음과 같다 (윤현진 2007, 53). <표 1> OECD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범주 선정 이유 핵심 역량 - 3 - 1. 자율적으로 행동 하기 - 복잡한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목표를 실 현할 필요성 - 권리를 행사하고 책임을 다할 필요성 - 자신의 환경과 그 기능을 이해할 필요성 1-1. 넓은 시각에서 행동하는 능력 1-2. 인생의 계획과 개인적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3. 자신의 권리, 관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2. 도구를 상호작용 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새로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성 - 도구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선택할 필요성 - 세계와 적극적으로 대화할 필요성 2-1.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 용하는 능력 2-2. 지식과 정보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용하는 능력 2-3. 기술을 상호 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 3. 사회적 이질집단 에서 상호작용하 기 - 다원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다룰 필요성 - 공감의 중요성 -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3-1.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잘 하는 능력 3-2. 협동하는 능력 3-3.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 역량은 교육과정의 인지적 지식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태도,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핵심 역량을 자국의 맥락에서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설계․적용하였는데, 학생들이 의무 교육 이후의 성공적인 삶에 필
  • 4.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요한 핵심 역량으로서, ‘자기 관리’,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참여 및 공헌’, ‘사고하기’, ‘언어․ 상징․텍스트의 활용’ 등으로 설정하고 있다(윤현진 2007, 55). 호주 빅토리아 주는 핵심 학습 기준 (VELS: 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이라 불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학 생들이 미래에 성공하기 위해서 알 필요가 있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규명하였고, 이 에 따라 교육과정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구안되었는데, ‘건강과 체육’, ‘대인관계발달’, ‘개인적 학습’, ‘시민성’, ‘의사소통’, ‘디자인․창의성․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 력’ 등이 그것이다. <표 2> 뉴질랜드의 핵심 역량의 범주와 의미 핵심 역량 의미 - 4 - 자기 관리 - 학생들이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로부터 왔는지, 어디에 어울리는지를 아는 것 - 자기 동기화, 할 수 있다는 태도,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자신을 위한 높 은 기준을 정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 - 적극적으로 듣고, 다른 관점을 인정하고 협상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 참여 및 공헌 - 지역, 국가, 지구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 집단 구성원으로서 적절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사람들을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위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사고하기 - 정보, 경험, 아이디어에 대한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의문시하기 위해 창조적, 비판적, 메타 인지적, 반성적 과정을 활용하는 것 - 지적 호기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 지식이 표현되는 기호를 가지고 일하고, 그것의 의미를 만드는 것 - 언어와 상징은 정보, 경험,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하기 위한 체제 - 모든 종류의 텍스트를 산출하는데 언어와 상징 사용 영국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전체를 통한 기능(skills) 개발을 강조 하고 있다. 학습자가 교육, 일, 삶에서 그들의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6개 기능, 즉 ‘의사소통’, ‘수 적용’, ‘정보기술’, ‘협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문제해결’ 등을 모든 주요 단계(key stage 1-4)에서 교육과정 전체에 걸쳐 익히도록 하고 있다. 캐나다 퀘벡주는 핵심 역량을 초․중등학 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반으로 삼고 있는데, 학생들이 변화하는 가족생활, 사회관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에 적절히 대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곽병선 외(2001), 유현숙 외(2002), 교육혁신위원회(2007), 국가교육과정포럼위원회 등 에 의해서 초․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윤현 진 외(2007)와 이광우 외(2008)의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에 의해서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에 대한 설정의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상의 연구들에서 제시한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역량을 요약하여 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 5.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표 3> 초․중등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선행연구 비교 분석 구분 핵심 역량 OECD DeSeCo -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 도구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 사회적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뉴질랜드 - 자기관리 -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 참여 및 공헌 - 사고하기 -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호주 빅토리아주 - 건강과 체육 - 대인관계발달 - 개인적 학습 - 시민성 - 의사소통 - 디자인, 창의성, 공학 영국 - 의사소통 - 수 적용 - 정보기술 - 협동 -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 문제해결 - 5 - 캐나다 퀘벡주 - 지적역량 - 방법론적 역량 - 개인적․사회적 역량 - 의사소통관련 역량 - 건강과 참살이 - 개인적․직업적 계획 - 환경의식 - 소비자 권리와 책임 - 미디어 리터러시 - 시민성 - 공동체 삶 곽병선 외 - 문제해결능력 -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 수리능력 - 의사소통능력 - 학습능력 - 신체활용․관리 - 협동작업능력 교육혁신위원회 - 창의력 - 갈등관리 - 문제해결력 - 협동과 봉사 - 의사소통능력 -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 적극적 시민성 - 예술․문화적 감성 윤현진 외 - 정보처리능력 - 문제해결능력 - 창의력 - 의사소통능력 - 시민의식 - 갈등조정능력 - 다문화 이해 능력 -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 삶의 향유 능력 이광우 외 - 창의력 - 문제해결능력 - 의사소통능력 - 정보처리능력 - 대인관계능력 - 자기관리능력 - 기초학습능력 - 시민의식 - 국제감각 - 진로개발능력 2. 논의 및 시사점 이상과 같은 국내․외의 선행연구 분석 결과 미래사회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음 악 역량 설정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이란 인지적 영역의 지식 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가치, 태도 등과 보다 더 밀접 하게 관련된 것으로서, 어떤 특정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경험 등을 포함한 수행자의 내․외적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 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을 ‘미래사회의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 혹은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 경험 등으로서, 초․중등 교육을 통해 누구나가 길러 야 할 기본적이고 보편적이며 공통적인 음악적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둘째,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 처리능력’, ‘자기관리능력’, ‘시민의식’, ‘기초학습능력’ 등이 중요한 핵심 역량으로 강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을 음악과 관련시켜 음악의 내적 혹은 외적 활동 속에서 이러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음악 역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선행연구들이 핵심 역량과 세부 하위 역량들을 설정하여 제시한 것처럼, 음악 역량을 설정함에 있어, 범주로서 보다 포괄적인 역량과 이에 해당하는 세부적인 역량을 포함하여 설정 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 6.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Ⅲ.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 음악 역량 분석 Ⅱ장에서의 선행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래사회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학생 의 음악적 역량을 ‘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등 5가지로 잠정적으로 설정하였고, 설정된 음악적 역량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 역량을 학교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의견을 묻는 설문 문항을 음악교육 전문가 6명(교수 2 명, 중등교사 2명, 초등교사 2명)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표 4> 설문 조사 내용 영역 및 구성 체제 설문영역 세부내용 문항수 - 6 - 음악 역량 - 음악 역량(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의 순위 - 각 음악 역량에 대한 세부 역량의 순위 6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수정해야 할 학교 음악교육의 부분 - 수정해야 할 음악 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 기타 의견 6 응답자 기본 사항 - 성별, 연령, 종사 분야, 전공 4 계 16 설문 조사의 대상은 국내의 음악교육 관련 교수, 중등 음악교사, 초등 음악교육 관련교사, 일 반 음악인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 응답자는 모두 117명이었다. <표 5> 설문조사 응답자 분석 구분 남 여 계 초등교사 3 33 36 중등교사 10 31 41 대학교수 9 6 15 일반음악인 3 22 25 계 25 92 117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음악 역량과 세부적인 음악 역량의 분석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 7.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1. 음악 역량 분석 6명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잠정적으로 설정한 5가지의 음악 역량, 즉 ‘음악 기능’, ‘음악 이 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등과 이들 역량의 세부 역량에 대하여 설문 응답자로 하여금 삭제나 추가 등을 요구하였으나, 한 명의 응답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별다른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설정된 음악 역량에 대해서도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 다른 의견을 준 한 명의 응답자는 음악 역량으로서 ‘음악의 생활화’를 추가하였는데, 이 내용은 역량이기 보다는 음악 교육의 목표나 방향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자가 설정한 ‘음악 활용 능력’에 포함될 수 있기에 새로운 역량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의 결과 를 볼 때, 설정된 5가지의 음악 역량은 비교적 적합하고 타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또한 미래사회를 위해 초․중등 학생의 음악적 역량으로 보다 더 타당한 것이 무엇인지 그 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1순위로 가장 많은 반응을 보인 것은 ‘음악 기능’ 이었다. 그 뒤를 이어 ‘음악 활용 능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등의 순으로 반응 을 보였다. <표 6>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 학생의 음악 역량 1순위 응답 빈도 <표 7> 종사 분야별 음악 역량 1순위 응답 빈도 - 7 - 구 분 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계 응답빈도(%) 37(31.6) 23(19.7) 19(16.2) 6(5.1) 32(27.4) 117(100) 이와 같은 반응은 선행 연구 분석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역량이 인지적 영역의 지식을 다루 는 내용 보다는 삶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능, 태도, 가치, 경험 등과 같은 내용과 밀접 한 관련이 있음을 증명해 주는 좋은 예로서, 이는 음악 교육에서 음악의 기능이나 음악 활용 능 력, 음악 이해 능력에 중점을 두어 교육하여야 함을 시사해 준다. 종사 분야별 세부적인 빈도는 아래의 표와 같으며 여기에서 중등교사와 대학교수의 1순위에 대한 응답 빈도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음악 기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음악 활용 능력 계 초등교사(%) 17(47.2) 7(19.4) 4(11.1) 1(2.8) 7(19.4) 36(100) 중등교사(%) 11(26.8) 9(22) 6(14.6) 1(2.4) 14(34.1) 41(100) 대학교수(%) 4(26.7) 5(33.3) 1(6.7) 0(0) 5(33.3) 15(100) 일반음악인(%) 5(20) 2(8) 8(32) 4(16) 6(24) 25(100)
  • 8.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표 9> 음악의 각 역량별 세부 역량에 대한 1순위 응답 빈도 - 8 - 2. 세부적인 음악 역량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각 음악 역량에 대한 세부적인 역량(능력)은 다음과 같다. <표 8> 각 음악 역량별 세부 역량 음악 역량 세부 역량(능력) 음악 기능 - 기초기능 : 시창 및 청음 능력 - 표현기능 : 성악 및 악기 연주 기능 음악 이해 능력 - 음악 분석 능력 - 역사적․문화적 배경 등과 같은 맥락적 이해 능력 -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 - 음악의 심미적 탐구 능력 음악적 창의성 -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 - 예술적․심미적 탐구 능력 음악 학습 능력 - 자기 주도적 음악 학습 능력 -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 - 음악에 대한 평생학습 태도 음악 활용 능력 -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능력 -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 이들 세부 역량에 대하여 보다 더 타당한 것이 무엇인지 그 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1순 위로 응답한 내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음악 기능’의 세부 역량인 ‘기초 기능’과 ‘표 현 기능’에 대하여는 그 빈도가 각각 58(52.3%)과 53(47.7%)으로 ‘기초 기능’의 역량이 보다 더 1순위로 타당하다는 응답을 보였지만 ‘표현 기능’ 역시 중요한 역량으로서 유사한 반응을 나타 냈다. 음악 역량 세부 역량 빈도수(%) 음악 기능 기초 기능 58(52.3) 표현 기능 53(47.7) 음악 이해 능력 음악 분석 능력 12(10.8) 맥락적 이해 능력 24(21.6)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 45(40.5) 음악의 심미적 탐구 능력 30(27) 음악적 창의성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 30(27) 예술적․창의적 표현 능력 81(73) 음악 학습 능력 자기 주도적 음악 학습 능력 36(32.7)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 13(11.8) 음악에 대한 평생 학습 태도 61(55.5) 음악 활용 능력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 능력 17(15.5)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 93(84.5)
  • 9.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음악 이해 능력’에서는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이 45(40.5)로 가장 높은 반응 보였고, ‘음악 분석 능력’이 12(10.8)로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음악적 창의성’에서는 ‘예술적․창의적 표 현 능력’이 81(73%)로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의 응답 빈도 30(27%) 보다 월등하게 높은 반 응을 보였다. ‘음악 학습 능력’에서는 ‘음악에 대한 평생학습 태도’가 61(55.5%)의 빈도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이 13(11.8%)으로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음 악 활용 능력’에서는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이 93(84.5%)의 빈도로 17(15.5%)의 빈도를 보인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 능력’보다 월등하게 높은 반응으로 응답하였다. <표 10> 설문조사 분석 결과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 순위 - 9 - 3. 분석 결과 음악 역량과 그 세부 역량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미래사회를 위해 학생들에게 교육되 어야 할 음악 역량으로서 보다 더 타당하고 중요하게 여겨지는 역량들의 순위를 정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음악 역량 세부 역량(능력) 1. 음악 기능 1. 기초기능 2. 표현기능 2. 음악 활용 능력 1. 생활에서의 음악 적용 및 활용 능력 2. 다른 학문이나 문화, 예술과의 통합능력 3. 음악 이해 능력 1.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 2. 음악의 심미적 탐구 능력 3. 역사적․문화적 배경 등과 같은 맥락적 이해 능력 4. 음악 분석 능력 4. 음악적 창의성 1. 예술적․심미적 탐구 능력 2. 즉흥 연주 및 창작 능력 5. 음악 학습 능력 1. 음악에 대한 평생학습 태도 2. 자기 주도적 음악 학습 능력 3. 음악적 문제 해결 능력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으로서 ‘음악 기능’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음악의 기능 중 ‘기초 기능’과 ‘표현 기능’ 모두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역량은 ‘음악 활용 능력’이었는데, 특히 ‘생활에서의 음 악 적용 및 활용 능력’이 중요한 역량으로서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음악 이해 능력’은 ‘음악 인지 및 직관 능력’이나 ‘심미적 탐구 능력’ 등이 이론적이거나 형식적인 지식으 로서 역사적․문화적 이해나 작품의 분석 능력 보다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음악적 창의성’에서도 ‘예술적․심미적 탐구 능력’이 창작 능력 보다 더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 었으며, ‘음악 학습 능력’에서도 실제적인 음악을 학습하고 음악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
  • 10.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보다는 학습하려는 태도를 더 중시하여 음악의 평생학습 태도를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 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을 인지적인 학습의 대상으로 생각하기보다 예술로서, 생활 속에서 자 연스럽게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향유하면서, 음악의 기초 기능이나 표현 기능 등을 습득 하여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생활화의 대상으로서 이에 적합한 역량들이 요구됨 을 시사한다. 즉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음악 역량은 인지적이고 형식적인 음악 지식의 학 습을 위한 역량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여 음악을 느끼고 향유하도록 하는 극히 음악적이고 예술적인 역량이어야 함과 동시에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역량이어야 함을 말 해주고 있는 것이다. Ⅳ. 음악 역량 교육의 적용 방법 탐색 미래사회의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현재 학교 음악교육에서 수정될 것이 있다면, 어는 부분 인지 그 순위를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들이 응답한 1순위의 빈도는 다음과 같다. <표 11>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수정되어야 할 영역 1순위 빈도 구분 음악 교육 목표 음악 교육 내용 음악 교수․학습 방법 음악과 평가 계 초등교사(%) 6(22.2) 8(29.6) 7(25.9) 6(22.2) 27(100) 중등교사(%) 9(22) 22(53.7) 3(7.3) 7(17.1) 41(100) 대학교수(%) 7(46.7) 3(20) 5(33.3) 0(0) 15(100) 일반음악인(%) 6(24) 4(16) 7(28) 8(32) 25(100) 계(%) 28(25.9) 37(34.3) 22(20.4) 21(19.4) 108(100) 학교 음악교육에서 수정되어야 할 1순위로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37(34.3%)의 빈도를 보이고 있는 음악교육의 내용 영역이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음악교육 의 목표가 28(25.9%),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이 22(20.4%), 음악과 평가가 21(19.4%)의 빈도순 으로 반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중등학교에서 음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음악교 육의 내용이 바뀌어야 함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 응답자들의 의 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교과서나 음악 교육 내용 중에서 이해, 활동, 생활화 영역의 비중을 계산해 보면, 이해 영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활동 영역도 대부분 이해 영역과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 사실상 은 이해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우리 학생들이 미래사 회의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음악적 역량을 기르 - 10 -
  • 11.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는데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생활화 영역의 비중은 상당히 적은 수준이며, 그 내용 또한 간단 한 제시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서 실제로 사용될 만한 음악적 역량은 생활화 영역의 비중을 이해 영역만큼 높여야만 기를 수 있다고 생각되며, 생활화 영역의 내용 으로는 음악철학, 음악미학, 음악과 삶, 음악과 인간, 음악과 직업, 음악과 멀티미디어 등 다각 도에서 더 자세히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응답자 A) 실생활과 접목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추가 되어야 하며 기능적인 면에서도 표현 기능을 높 - 11 - 여주는 교육내용이 되어야 한다.(응답자 B) 이론이나 기능(노래, 기악)에 국한되어 있는 교육의 내용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 로 수정되었으면 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잘 모르겠으나 현재의 내용은 아이들의 삶과 조금 동떨어져 있어 선수학습이 부족한 아이들은 음악이 어렵다고 합니다.(응답자 C) 이상의 의견들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현재의 음악교육 내용은 실생활과 동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반대로 음악 활동적인 내용들은 부족하다고 말 하고 있다. 음악의 교육의 내용은 실생활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생활과 밀 접하게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론보다는 연주 및 표현 능력의 향상을 위한 활동 중 심의 내용을 통해 음악을 생활화 하도록 하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학교에서 음악 역량 교육을 위해 수정되어야 할 두 번째로 중요한 것으로서 음 악교육의 목표 영역에 대한 응답자들은 의견은 다음과 같다. 음악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음악활동을 통한 협동심 함양, 생활에서의 음악적용 및 활 용 능력, 표현능력의 기름 등을 중요시 하는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응답자 D)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목표를 지양하고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활동중심의 목 표설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응답자 E) 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해서도 실생활과 관련된 구체적인 활동 중심의 목표로 수정되어야 함 을 말하고 있었으며, 음악 활동을 통한 태도와 협력 등을 강조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일부 응답자는 음악교육의 목표에 미래의 인재를 키우기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매우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음악교육의 목표에 미래사회형 인재를 키우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본능력들을 함양시켜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응답자 F)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에서는 음악활동과 더불어 타 교과와의 통 합적인 수업 방법 및 음악 교사의 멀티 플레이어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를 요구하기도 하
  • 12.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였다. 평가에 대한 수정에서는 모든 평가에서 실음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과정 중심 의 평가이며 포괄적인 평가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통해 학습내용을 체득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타 교과와도 통합적 으로 수업을 시도해 보는 등 음악 교사의 멀티 플레이어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 야 할 것이다.(응답자 G) 일률적 평가가 아닌 개개인의 능력 및 특성에 맞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배운 내용을 평 가하는 방법 보다는 매시간 포트폴리오나 활동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 각합니다.(응답자 H) 음악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실음 중심의 평가가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감상평가 문항 에서의 실음 중심은 당연한 것이며, 그 외에 실제 지필 문항에도 실음 중심 평가가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응답자 I) 이상의 내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의 음악 역량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악교육의 내용과 목표가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불어 음악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와 다양한 평가 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활동중심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음악교육 의 내용은 현실 생활 속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음악 활 동과, 이를 뒷받침 해주고 유지시킬 수 있는 연주 및 표현 능력을 배양하여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내용으로 선정하고 조직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한 다양한 형 태 및 멀티 플레이어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론이나 지필 평가 보다는 실음에 의한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 및 특성에 적합한 포괄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무엇이 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신중한 성찰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음악교육 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 역량과 음악 지식의 구조에 대하여 새롭게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 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학교 음악교육에의 적용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의 역량과 관련된 국내․ 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음악 역량을 설정하였고, 설정된 음악 역량 - 12 -
  • 13.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음악 역량을 학교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음악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 에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의 결과로서 미래사회를 위한 음악 역량은 ‘음악 기능’, ‘음악 활용 능력’, ‘음악 이해 능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 학습 능력’ 등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타당도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의 순이다. 역량의 설정과 세부적인 역량들에 대한 타당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미래사회를 위한 학생들의 음악 역량은 인지적이고 형식적인 음악 지식의 학습을 위한 역량이 아니라 생활 속에 서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여 음악을 느끼고 향유하도록 하는 극히 음악적이고 예술적인 역량이 어야 함과 동시에 음악의 생활화를 위한 역량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음악 역량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 을 갖는 활동중심의 구체적인 음악 교육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음악교육의 내 용은 현실 생활 속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음악 활동과, 음악의 연주 및 표현 능력을 배양하여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내용 등으로 선정되고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 학생들의 음악 역량이 학교 교육현장에 적 용되어 교육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음악 역량을 적용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도 알아본 바와 같이 음 악교육의 목표에서부터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이르기까지 미래의 음악 역량에 적합 하도록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차기 교육과정의 개정 작업에 본 연구의 결과로서 음 악 역량과 학교 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방안 등이 참조되고 반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악 역량과 그 세부 역량은 보다 더 많은 다양한 검증을 통하여 정교화 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보다 더 발전된 많은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설문 응답자들은 모두 음악을 전공하였거나 음악교육과 관련 된 사람들이었다.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보다 더 정교한 음악 역량 설정을 위해 이들 외에 다른 예술 분야와 다른 학문 분야에 종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도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13 - pcho09@kongju.ac.kr 참고문헌 곽병선 외.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적 자원의 기초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2001.
  • 14.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 [별책 12]. 2007. 교육혁신위원회. 학습 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비전과 전략(안) 공청회 자료집. 2007. 서지영 외. 체육, 음악, 미술교과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0-8. 2010. 소경희. 학교교육에서 ‘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시사.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 14 - 대회 자료집. 2006. 유현숙 외.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 체제 질 관리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연 구보고 RR 2002-19. 2002. 윤현진 외.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53-55, 2007. 이광우 외.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증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경 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8-31-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2008. 장기범 외. 2005년 학교경영자를 위한 문화예술분야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 KACES-0620-R003. 2006. 조성기 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 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9-13. 2009.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E Press. 2003. Rychen, D. S. & Salganik, L. H.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Seattle, Toronto, Bern: Hogrefe & Huber Publishers. 2003.
  • 15. 조성기: 미래사회를 위한 초․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 15 - Abstract A Study on Developing Music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Sung-ki Cho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music competencies that will be required to function well in the future society. Considering changes in society, it is necessary that we reflect what and how we should teach in music classes and redefine competences and knowledge structure of music.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music competences that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Also, we suggested new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developing the music competences.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discussed previous studies on competences for future society. Second, we defined music competences for future society and conducted survey to acquire validity of the music competences. Finally, in order to facilitate music teaching and lear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e suggested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in school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the music competences. KEY Words: music competence, musical ability, music education ■ 접수일(2010년 12월 31일), 수정일(2011년 1월 31일), 게재확정일(2011년 2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