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6
Download to read offline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특수교육. . ,
제 권 제 호2012, 11 , 1 , 189-214.
. 4 5 15
.
.
, , ,
, , ,
. ,
, , . ,
, , .
.
주제어 음악의 특성 사회적 관계 장애아동 일반아동: , , ,
( , , 2001).
1 .
(E-mail: haewonmt@hanmail.net)
Dept. of Music Therapy, Kosin University
。
효 l
교g
T
Specìa/ Educatìon Research
2012, Vol.11 , No.1 , pp.189-214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에 관한 탐구
장혀|원*
본 연구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유도하는 음악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어떠한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어떠한사회적 관계를유도하는지에 초점을둔
질적연구이다 연구는 명의 장애아동과 명의 일반아동이 함께 회 기간 음악활동에 참여하였
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데이터로 수집하기 위해 관찰과 구술 인터뷰가 실시되었고 데
이터분석은 상시 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의 특성들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의 모두 참여하기 함께 즐기기 협력하기와 같은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데 첫 번째 모두 참여
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친숙한 멜로디 간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이었다 두 번째 함께 즐기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반복되
는 멜로디 재미있는 가사 템포의 변화이었다 세 변째 협력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변하
지 않는 템포 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사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음악활동에서 어떠한 사회적 관계가 도출되며 이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
하므로 기존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인 음악활동에서 보다 세벨한 중재 전략으로 음악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펼요함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1 . 서 효르
"L..
통합교육은 일반인과 장애인이 함께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하면서 생활하도
록 돕는 교육으로 현재 한국 전역에 영아기부터 시행될 만큼 장애인 교육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소현 박은혜
초등학교 학년은 학령기의 출발시기로 학교에서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게 된다
* 고선대학교 음악대학원 음악치료 전공 시간강사
189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 2007).
, ( , , 2011),
( , 1999; , 2000; , 2001; , 2000).
(2007b)
(turn taking) ,
, .
,
( , 2007a).
Gunsberg(1988)
. (2011)
,
.
(2009)
, , , .
, , ,
.
1 .
.
.
, , , ,
190
。1 때 장애아동과 입반아동긴의 긍정적인 또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은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목표가 심현되게 하는 출발점이 된다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는 서로 동임한 지위관계에서 서
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아동들은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안에서 자가 조젖 협력 감정
적인 유대관계를 맺게 된다송영혜 이라한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가 장 이루어지지 않
을 때 집단 따돌림 또래들로부터의 거부당하는 원인이 되므로 박정묵 서보윤 통함교
육환경에서 장애아동과 임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강병은 김미숙 심보경 유션영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의 입반유아에 대한 사회적 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으로 음악활동이 시행되었는데 장혀1 원 은 공걱성을 가진 발달장애유아에게 주고받는
구조의 음약의 특성을 삽입한 노래부르기 연주하기와 동작하기를 시행하여 장
애유아의 공격성 감소와 일반유아를 향한 신체적 접촉 놀이를 촉진하였다 특히 지시적 가
사라는 음악의 특성을 삽입한 노래하기는 장애유아의 일반유아에 대한 신체적 상호작용행동
공동관심적 상호작용행동을 촉진하며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한다 장혜원
는 유아들이 놀이하는 행동을 즉흥적 가사로 작사하여 지시하였을 때 장애
유아의 일반유아에 내한 함께 놀이하는 상호작용이 중가되었다고 보고한다 장혜원 은
지시적 가사의 노래부르기 주고받는 구조의 특성을 삽입한 약기연주와 음약에 따라 동작하
기릎 사용하여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내한 향상을 보고하고 있다 한
편 장혜성과 장혜원 은 이상의 중재방법으로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진사회적 행
동 진멸감 애착 신의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위의 결과를 정리해보변 노래부르기 연주하기 동작하기라는 음악활동에 지시적 가사와
주고받는 구조라는 음약의 투투성이 삽입되었을 때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의 사회적 관계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의 내용은 대부분의 연구가 장애유아의 관점에서 시행된
연구이므로 아동기 특히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름 유도하는 학령기의
시작점인 초등학교 학년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기
존 연구듬은 이러한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을 사용하였을 때 사회적 관게가 개선되
거나 향상되었마고 보고하므로 어떠한 음약의 특성이 어떠한 사회적 관게를 유도하는지에
내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한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고 개선시킨 음악적 특성을 삽입한 음악활동을 사용하였
을 때 장애아동과 일빈아동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가 니타니며 이틀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은
무엇인지 얄아블 필요가 있다
본 연구지는 통합교육에서 음악활동을 시행히는 중 음악의 구조 가사 리등 템포 다이니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2005).
.
.
.
1) ?
( , 2005),
.
.
,
.
Merriam(2002, Polkinghorne, 2005 ) 2
191
믹과 같은 음악의 특성들이 장애아동과 잊반아동의 사회적 관계를 개선시키는 것을 경험하
게 되면서 읍악의 특성들과 장애아동과 임반아동의 사회적 관계를 연관시켜 연구하는데 관
심을 갖게 되었다 。1 상의 내용과 같이 연구자의 경험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것이 짐적연구인
데 이 연구는 자신의 경험한 임이나 현장에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한 민감한 의식과 필요를
연구할 수 있는 열린 연구빙법론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김귀분 외 또한 짐적연구는
기존 문헌에서 제공되지 않는 기초적인 지식을 찾아내는데 활용되는 연구벙법이므로 어떠한
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잊반아동 긴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드물가 때운에 연구자는 짐적연구 뱅법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을 시행하였을 어떠한 음악의 특
성이 어떠한 사회적 관계릎 유도하는지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세릎 설정하였다
어떠한 음악의 특성은 장에냄과 잊반아동 간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가
II. 연구방법
1. 연구 디자인
질적연구 벙법은 분명하지 않는 어떤 개념을 분삭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개념
화할 수 있으므로 김귀분 외 본 연구는 이론적 개념이 J충분하지 못한 어떠한 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입반아동간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탐색적
짐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2 연구참여자
1) 연구참여자의 선정빵볍
본 연구는 두 가지의 표집뱅법으로 연구의 선펴도를 높이려하였다
첫 번째 목적적 표집으로 본 연구의 주제와 관런된 환경에서 생활하는 참여자를 선정하였
다 칠적연구에서 많은 대상자의 수보다 좋은 정보를 줄 수 있는 창여자를 선택하는 것이 좋
다는 에서 재인용 의 주장에 따라 년 이상 어련이접 방과후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criterion sampling)
Polkinghorne(2005)
.
.
,
,
,
,
, 1
1 5 4
.
.
(1 )
2
.
.
.
.
(3 )
4
.
.
.
( )
192
교심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아동과 입반아동을 창여자로 선정하였다
두 번째 기준적 표집 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미리 정해진 기준의 사람들
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 주장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아동과 입
반아동 중 서로 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위의 두 가지 표집기준에 따라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과 임반아응이 함께 생활하는 통함 교육을 받는 아동
둘째 장애아동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가진 입반아동이라고 교사에 의해 추천된
아동
셋째 일반아동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가진 장애아동이라고 교사에 의해 추천된
아동
넷째 아동의 보호자로부터 연구 잠여에 허락을 받은 아동
다섯째 학년 아동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학년인 명의 일반아동과 명의 장애아동이 본 연구의 연구잠여자
로 선정되었다 다음의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정보에 있어서 각 아동의 이픔은 설명이 아니
며 데이터 기술의 편의에 따라 연구자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다
<표 1> 잠애 아동의 정보
이름 성별
장 OH 염 트~응닙L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장 OH 급수) 년수
인반아등이 도와주는 것흘 싫어하며 교사가 도와주는 것응 선
지폐싱
호한디 응약횡동응 좋아하여 옷는 즐거운 표정음 지으나 주로
민우 LUl 장애 년
혼자 약기연주하기를 좋아한다 또래와 함께 연주하거나 동작하
는네는 거부 감응 갓는디 다른 인파에서도 주로 혼자 노는 것음
v 좋아하며 인반아등이 디가오연 거부강흘 보여 가라고 소리를
지는 경향응 가지고 았디
일반아동에게 다가가는 깃올 이려워하고 음악에 맞추이 짝올
자폐성
지올 때 일빈아동이 와서 손올 집아주변 웃으연서 좋야한다 옴
은지 여 장애 년
악힘등 중 응약에 빚추어 동작하기를 좋아하고 응약의 느낌음
등작으로 좌 표히한다 디류 인과에서도L 인반아등이 디가와서
그B
힘동응 제시하였응 때 그대로 모방하고 수용하는 행동「응 보。1
지깐 번지 인반아)등에게 디가가는 행동은 드물게 냐타난다
셰속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3 )
3
.
.
.
(2 )
3
.
.
.
5
.
.
. .
.
A
4
.
.
.
B
3
.
.
.
C
( )
193
이륨 성별
장 OH 염 트~응닙L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껴의 특성
(장 OH 급수) 년수
인반아동파 함께 악기선백 시 먼지 산대하려 하여 자주 다툼이
지적
생긴다 모든 음약힐응「응 좋아하여 장 침여하지만 찍흘 고를 때
영은 여 장애 년
장애아동하고 찍음 하려는 행동응 보인디 다른 인파에서도 옆
에 인반아등이 앉아 있으면 똑바로 앉으라고 하며 선생님께 이
v 류디는 양을 하며 수1친어1 옮겨 연반아동듣。1 디소 거부하는 아
등이디
짝올 지。1 음악 활동할 때 남자일빈아동보다 몇몇의 여자얼빈
아동에게 다가가 손올 잡고 놓아주지 않아 여지아동들이 피히
지적 는모습올 받얀다 음익에 맞추이 동작허가와익기연주른좋아
준호 LUl 장애 년 히니 주로흔가 동작히거니 연주히려는 행동올 한다 다른 일과
급 에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아동 옆에 앉으펴하고 그 여자아
등이 디른 아응jI} 놀면 손~음 잡고 끌어 여자아동듬이 아픔음
호소하기도 한다
<표 2> 일반아동의 정보
이름 서벌
통합
장 OH 아동과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표기
년수 망법
읍악활동 시 교사가 부탁하변 장애아동을 도외주나 노래냐 연주할
때 일반아동하고만 웃P 며 활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E 생활
에서 장애아동에게 관선이 없다 읍악활동을 좋아하며 장 참여하나
연서 여 싹을 지어 활동할 때 장애아동보다는 일반아통과 함께 하기릉 선호
한다 이때 교사가 장애아동파 싹을 지어주변 거부하지는 않는다
다든 일과에서도 장애아동에거1 관선이 없지만 괴사가 도오1주라고
하연 거부감 없이 도외주는 편이다
읍약횡동 시 영은이가 옆에 앉으면 디러워서 싫디고 말하며 영은이
가 디가오면 자리를 옮긴E ← 음악힘등 중 읍약에 빗추어 동작하기에
정우 남
자신의 동작응 창작하여 빙표하기를 좋아하나 영은이가 동작응 똑
바로 하라고 맏하면 쉽게 화를 내며 영은이가 싫디는 란음 자주한
다 디흑 인파에서도 영은이와 거리상 가장 먼 곳으로 가서 숙제를
하는 행동응보인다
장애아동。1 약기륜 장봇 연주할 때 혀지 말리고 화른 내미 장애아
동의 손올 잡아 연주륜 옷히게 하는 행동올 보인다 모든 옴약활동
가융 여
음 좋아하냐 잡응을 내는 것을 싫어하여 준호가 마구 연주를 할 때
시끄립디고 화를 내는 행동응 보인디 디른 언파에서도 장애아←응과
찍응 이루어 힘등응 함 때 장하지 못하띤 빨리하라고 화를 내는 떤
이디
셰속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3
.
.
.
D
4
.
.
.
E
. AAA(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Haverkamp, 2005 ).
,
.
, .
, .
, .
.
8 2 15 .
194
이름 성별
EgEiit j•
장 O~ 아동과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표기
던수 방법
장애아동 중 은지를 좋아하는 편이어서 짝음 이푸어 노래나 연주를
한 때 은지를~ 선백하나 그 외의 장애아동파 짝음 짓지는 않는다 다
민희 여
른 인파에서 숙세를 함 때 인반아)등에게는 너그려우나 장애아←응이
크레파스를 멤버달라고 하면 아무 란도 안하는 행동「응 보인다 。1 때
교사가 벚펴주라고 하면 마지못해 크레파스를 받려주는 행동응 보
인디
옴약활동 중 장애아동에거1 많은 간섭올 한다 장애아동。1 약기른 선
정섭 남
택할 때 지신이 선택히여 주려고 히여 서로 간의 갈등이 생낀다 다
른 일과에서도 도구를 아지럽히는 전구들에게 잔소리른 하는 편이
마 장애아동이 장 정리히지 않올 때 다품올 번이는 행동올 한다
2)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자는 연구의 윤리틀 위히여 연구가 시작되기 전에 다음과 간유 설명을 연구잔여지
에게 제시하여 수락 후 연구릎 실시하였으며 연구 시행중에도 다음과 간유 설명을 제시하였
다 연구의 윤리성븐 윤리규약을 잔고로 하였다
에서 재인용
첫째 본 연구자는 연구잔여지에 대한 윤리적 의무틀 가지는네 연구과정 중에 연구잔여지
는 연구잔여를 그만 둘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찬여지의 명성과 시생활에 해가 가지 않도록 한다
셋째 연구논문에 잔여자의 이듭파 소속이 익명으로 기숲되도록 최대한 노띄한다
넷째 연구는 찬여지의 보호지가 아동의 잔여에 대한 서면 동의 후 이루어진다
3. 연구의 절차
1) 연구 장소 및 기간
본 연구의 장소는 아동듬이 일과를 보내는 어린이집 망과후 교실에서 시행되었으며 연구
찬여자인 장애아동과 일반아동들븐 연구지가 인도하는 음악활동에 잔여하였다 음악활동은
주간 주 회씩 회기 시행되었고 이때 매회기마다 관참파 구술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15 . < 3> .
( , , 2009;
, 2007b;
Gunsberg, 1988)
,
, ,
.
( , 2011)
,
,
.
( , 2007a;
Gunsberg, 1988)
,
,
,
(2006/2008)
.
.
.
. .
.
195
2) 음악활동 증재전략
음악활동 중재전략은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을 사용하여 장애아동과 잊반아동의
사회성을 증진시킨 논문의 중재 전략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지시적 가사와 주고받는 구
조라는 음악의 특성이 모두 들어있는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음악에 맞춰 몸동작하기로 구성
된 음악활동을 회기로 구성하여 심사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 표 과 같다
〈표 3>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활동 전략
음악의 특성 음악활동 방법
지시적 가사 노래의 일부분올 자신의 말로 비꾸이 채워부르기 노
장혜성 장혀1 원
노래부르기 래의 가시에 지시른 니]려 노래부르기 합창히기 중창
장혀1원
히기
주고받는구조
악기연주른 또래외 낸갇아 연주하기 또래틀과 악기의
장혜원
악기연주 앙상블。1 뇌도록 연주하기 번간아 연주하는 구조에
따라 사선의 순서에 정 "'1 하여 마읍껏 즉흥연주하기
음익의 구조에 맞추아 번갈아 동작히기 음악이 연주
주고맏는구조
음익에 맞추이
되다 그치연 또래와 동작올 염추고 연주가 되연 같이
장혀]왼
봉동작히기
동작히 기 리등박스에서 니 와는 리듬에 맞추이 동작히
기 익기의 소리에 따라 또래와 짝올 짓거나 헤아지는
행동히기
3) 완전참여자로서의 연구도구인 연구자
안혀1 준 역 븐 연구지가 연구하는 곳에서 잔여자의 일원이면서 동시에 연구자인
것을 완전찬여지라고 하였다 질적연구는 양적연구와 다르게 연구대상파 동떨어진 객관적인
관참지가 아니라 연구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네 연구잔여지와 상호작용하띤서 현상을
피악하고 맥락화시키는 도구라고 하였다 연구지가 완전찬여지가 될수록 연구찬여지와 많은
상호작용이 이푸어지고 지신의 위치틀 잃을 수 있으니 더 많유 찬여틀 히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더 늘어니게 된다 또한 완전잔여자가 되었을 때 연구참여지들이 연구지가 지신을 핀
찰하고 있다는 사심을 모르는 강점이 있어 연구참여자가 자선을 그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와전참여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음악활동의
프로그램을 심행함과 동시에 심행 후 녹화된 동영상 자료를 보면서 관찰을 시행하였다 연구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2005; , 2006/2008), 10
.
.
, .
.
2
. .
(1)
(Strauss & Corbin, 1990). 15
.
( , 2005; ,
2006/2008), .
10, 160 A4 25 .
(2)
196
자가 와전창여자로서 음악활동을 진행하므로 현장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특성과 관런된 사회
적 관계를 민감하게 느낄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칠적연구에서는 연구자의 경험을 쌀려 현장
의 사람들과 깊숙이 상호작용하면서 그 현장의 삽아있는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김귀
분 외 안혜준 역 통합교육에서 년긴 임한 연구자의 경힘을 삽려 본 연
구의 현장을 이해하고 현상을 찾아낼 수 있는 연구자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4 연구의 자료
연구의 자료는 관찰과 구술 인터뷰를 통해 산출되었다 관찰 자료는 연구자의 분석적 메모
일지와 책임교사와 특수교사의 관찾일지의 내용이였R 며 구숲 인터뷰지료는 책임교사와 특
수교사 일빈아동의 인터뷰 내용이었다 장애아동유 언어장애틀 가지고 있어 음악활동에서
경험했던 일반아동파의 사회적 관계와 그틀 유도한 음악의 특성을 말로 표현하는네 어려윤
。1 있어 본 연구의 지료인 구술 인터뷰 지료 수집에서 제외되었다
1) 관찰
본 연구에서 심사한 음악활동은 모두 캠코더로 촬영되었으며 음악활동이 끝난 후 동영상
파입로 옮겨 연구자와 음악활동에 참여관찬을 시행했던 명의 책임교사와 특수교사에 의하
여 관찰임지로 분삭되었다 모든 관창은 매 회기마다 시행되었다
연구자의 분삭적 메모
분석적 메모는 연구지의 관참일지로서 질적연구의 분석파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연구자는 회간의 꽉영원 음악활동을 보띤서 관참된 각
음악의 특성과 연관된 장애아동파 일반아동의 시회적 관계를 핀참일지로 기록허였다 이때
생각파 느낀점을 힘께 작성하였는네 질적연구는 연구자가 연구의 도구가 되어 지신의 관점
과 생각이 연구틀 。1 끌어가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는 것으로 김귀분 외 안혜준 역
자료를 수집히고 분석하는 파정에 도웅이 되기 위힘이었다 모든 기록유 컴퓨터
문서로 저장되었으며 글지크기 줄간격 으로 용지 총 장 분량이었다
교사의 참여관찬노트
연구잔여자들과 함께 생활하는 책임교사와 특수교사는 모든 음악활동에 찬여히여 음악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
10, 160 A4 31 .
47 10 MT
27 4 G
28 3 S
.
(1)
(Polkinghorne, 2005).
, 30
. 5 20
. 1
. 3
Polkinghorne(2005) .
( , 2005). . 5 20
10, 160 A4 8 ,
16 .
197
동을 보조하였다 또한 준비된 노트에 음악활동에서 나타나는 입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사회
적 관계와 이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을 약기로 기술하였다 읍악활동 이후 약기된 참여관찬
잊지와 연구자가 메잊로 보내 준 음악활동 동영상을 토대로 구체적인 관찰임지를 컴퓨터 문
서로 작성하였다 책임교사와 특수교사 또한 관창힐지에 생각과 느낀 점을 함께 작성하였다
작성된 관창잊지는 글자크기 줍간걱 으로 용지 총 장 분량이었다
〈표 4> 본 연구에서 관잘자의 정보
교사 나이 동합교육경력 전공 연구에서의 억할 표기방법
연구지 ~。으。」 11 ‘]li
읍악활동 안도자
원전잠여 관걷지
씌임교사 。}←응교육
응악휠동 보조자
침여관찰자
특수교시 유。l-'특수교육
음익활동 보조지
잠여관진지
2) 구술 연터뷰
구술 인터뷰는 교사 인터뷰와 일반아동 인터뷰로 이루어졌다
교사인터뷰
인터뷰의 목적은 참여자의 경험된 정보를 보다 자세하고 와전한 섭명으로 이해하기 위함
이다 그라므로 연구자는 책임교사와 특수교사가 작성한 관찰입지에서 이
해되지 않는 문장이 있거나 부가섣멍이 필요할 때 다음 회기 음악활동 시행 분 이전에 교
사를 민나 그 내용에 대하여 임대잊로 구술 인터뷰를 섣시하였다 교사 당 각걱 회기 분
긴 시행하였다 모든 음악활동이 종결 된 후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소감을 시간씩 인터뷰
하였다 이는 한 대상자에 회 이상 인터뷰를 심사하여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산출하여야한다는 의 이론을 참조한 것이다 인터뷰는 인
터뷰 대상자가 자신의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 자유를 주기 위해 내화어조를 유지하도록 하였
다 김귀분 외 인터뷰 내용은 녹음되었고 녹음된 내용은 잔사되었다 교사 당 회가
분간 인터뷰 잔사량은 글자크기 줄간격 으로 설정된 용지로 장이었으며 총 교사
인터뷰 진사량은 장 분량이었다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 .
.
, ?
, ?
(2)
5 .
.
5 .
.
, ?
, ?
, ?
. .
10, 160 A4 7 .
(constant comparison)
(Strauss & Corbin, 1990) . ,
, 2 , ,
. , ,
. ,
. ,
198
교사의 부가 설멍이 필요할 때 인터뷰 칠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내주선 관찰입지를 보고 이해되지 않는 운장이 있어서요 그 부분에 대한 섭멍을
듣고 싶습니다
둘째 그 문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섭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음악활동 종결 후 교사 인터뷰짐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활동에 참여한 아동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둘째 어떠한 음악이 아동들에서 변화를 가져오케 했습니까
일반아동의 구술 인터뷰
읍악활동의 대 회기 당 명의 아동틀을 번갈아 민나 입매입로 심시하였다 입반아등의 인
터뷰 순서는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정하여 。1 루어졌다 각 아동마다의 인터뷰 시긴은 음악활
동을 마치는 시간에 원반에서 분씩 이루어졌다 인터뷰 내용은 음악활동에서의 아동 자신의
경힘을 칠문한 것으로 구술 인터뷰 짐운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늠 음악활동이 어댔니
둘째 오늠 음악활동을 할 때 뭐가 있었니
셋째 오늠 음악활동에서 친구들은 어댔니
위의 짐문을 심사한 후 아동의 대답에 따라 다시 구체적으로 칠문을 던져 힐반아동의 경
험을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모든 구술 인터뷰 내용은 늑음되였고 녹음된 내용은 전사되었다
전사된 내용은 글자크기 중긴걱 으로 용지 총 장 분량이었다
5_ 데이터 분석
관찰과 구술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상시 비교 분석망법
을 사용히여 다음파 간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지는 연구지의 관참
일지 교사 인의 관찬일지 교사 일반아동 구술 인터뷰 문서를 종합하여 여러 벤 읽으며 코
딩을 시작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데이터 중 반복되는 문장과 단어 단락을 하나의 범주로 하
는 코딩북을 만들었다 셋째 코딩북의 코딩범주틀 반복적으로 읽으띤서 범주틀 니누어 새로
운 코딩범주로 정하였다 넷째 세 번째 단계를 반복하면서 범주가 분리되지 않을 때까지 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4
. ,
. ,
. ,
. ,
.
(< 2>,
< 4> ), , ( : G-O-1 , , 1
).
(Morrow, 2005;
Patton, 1990) .
,
, ,
.
1 1 ,
, ,
. 1 1 .
Morrow(2005)
.
199
주들을 분삭하였다 다섯째 번 단계에서 도출된 범주들의 내용을 읽어보면서 연관성이 있
는 벙주들을 합하여 주제로 구분하였다 여섯째 위의 다섯 단계릎 다시 거치변서 도출된 주
세가 세대로 도출된 주제인지 확인하였다 일곱째 최종적으로 도출된 주제와 연결된 범주의
내용을 읽어보띤서 주제가 니타내는 의미를 서숲허였다 여닮쩌 최종의 결파에 대하여 연구
에 참여했던 책임교사와 특수교사에게 의펴하여 결과의 선펴성을 확인하였다 아홉째 본 연
구에서 나타난 주제마다 종합 정리하여 각 주제마다의 각 현상을 섭멍하여 기술하였다
주세별 코딩을 위해서 사용된 표가방법은 연구관찰자 또는 구술 인터뷰한 사람 표
표 찬조 너1 이터 유형 코딩북 쪽 번호순이다 예 은 책임교시 핀찾 코드북 저1
쪽을의미함
6. 연구의 선뢰도
본 연구에서는 짐적 분삭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략
을 사용하였다
1) 삼각측량하기
연구에 포괄적인 지료틀 얻고지 한 가지 이상의 지료인 관참일지 구술 인터뷰지료릎 사용
하는 자료 삼각측량 방법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자 교사 아동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창여자
간 삼각측량 방법을 사용한다
2) 데이터 수접자 확얀
질적 분삭이 끝난 다음에 추후 데이터 수집자 확인을 위해서 연구의 자료수집에 참여했던
책임교사 인과 특수교사 인에게 연구과정과 결과를 문서로 발송하고 본 연구가 올바른 빙
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잘못 해석된 것은 없는지 중요한 사항이 빠진 것은 없는지를 확인
하였다 책임교사 인과 특수교시 인유 연구결파에 동의하였다
3) 열차적 데이터 기술하기
연구 주제의 발견은 데이터에 있다는 의 주장에 따라 연구자는 관찰문서 데
이터와 구술 인터뷰에서 니타난 네이터의 문장을 그대로 기술히여 본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
하였다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 , .
, ,
. , ,
.
< 1>
.
, , ,
‘ ’ .
200
Ill.연구결과
음악활동유 장애아동파 일반아동 간의 모두 잔여하기 함께 즐기기 힘딱하기라는 사회적
핀계틀 유도하였는네 첫 번째 모두 찬여허 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은 친숙한 멜로디 간
단한 가시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이었다 두 번
째 힘께 즐기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븐 반복되는 멜로디와 재미있는 가시 템포의 변화
。1 였다 세 번째 힘댁허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븐 변하지 않는 템포와 신호인 악기소리 빈
복되는 가사이었다
다음의 그림 은 본 연구의 결과를 니티내는 모형으로 각각의 음악의 특성이 유도한 장
애아동과 잉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섣멍하고 있다
친숙한멜로디
간단한가사
익숙한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집해지는응익구조
빈복되는 엠로디
새미있는 가→사←
댐포의 변화
밴하지 않는 템포
선호인 악기소"1
반복되는 가사
‘
‘
모두 참여하기
학끼) 즉기기
혐력하기
〈그림 1> 음악의 특성이 유도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돔의 사힘적 관계
1. 모두 참여하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친숙한 멜로디 긴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과 입반아동 간의 모두 참여하기 라는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였다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 . (G-O-2)
.
. (S-O-12)
. (G-O-3)
.
.
. (S-I-5)
.
.
. (S-O-4)
. (S-I-2)
201
1) 친숙한 멜로디
많이 들어본 것 같은 느낌의 친숙한 멜로디는 장애아동과 임반아동이 읍악활동에 참여하
는데 도움을 준다 입반아동은 멜로디가 익숙할 때 새로운 노래도 쉽게 익히게 되므로 활동
에 쉽게 참여하게 되며 언어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은 입반아등이 쉽게 노래 부르는 것을 보
고 들으면서 용기를 내어 자신이 할 수 있는 밤음으로 창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노래는 그 전에 한번 불러보았던 멜로디오1 비슷해서 아동들이 쉽게 부를 수 있였
다 전반적으로 다 참여함 수 있었다
평소에 노래블 부르지 않는 영은이도 쿄사의 촉진 없이 또래듬응 따라서 큰 욕소리로
노래를 부를 수 있었다 익숙한 벨로디를 불렀는데 간단하여서 그런지 통함아동들이
참여하는 더1 에 직절한 활동이었다
오늘의 활동은 아동들이 쉽게 배을 수 있는 약숙한 멜로디였다
준호 의 정우는 발유。1 잘 안돼서 노래블 부릎 때 힘듬어하거든요 또래아이틀이 아는
노래같으니까 쉽게 부르죠 자기도 용기가 나는지 다른 때보다 많이 따라 부르려는
것 같아요
2) 간단한 가사
간단한 가시는 새로운 멜로디로 구성되어도 쉽게 따라 부틀 수 있게 하여 아동들의 찬여
릎 유도하였다 이는 가사가 어렵고 복잡한 노래들이 일반아동에게 어렵다는 느낌을 갖게 허
여 학습에 홍미가 떨어질 뿐 아니라 잔여도 떨어지게 히는 것파는 딜리 간단한 가사는 찬여
하기 쉽고 펀한 활동이라는 느낌을 주는 것P 로 일빈아동파 장애아동 모두에게 잔여를 높여
주는 요인으로 작용히고 있다
간단한 가사도 아동들이 처음 접히는 노래임에도 쉽게 따라 부릎 수 있는 것이 좋았
디
가시도 간단히고 반복적인 부분이 있이서 쉽게 배을 수 있어 모두 이려움 없이 참여
가 잘된 깃 김아요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G-I-2)
,
.
.
. (G-I-7)
,
.
. (MT-O-8)
. .
. . (S-I-12)
. .
. . (C-I-1)
.
.
202
기존 곡듬이 가사가 어렵고 복좌한 것이 있잖아요 이런 노래는 배우기도 힘듬죠 오
늘 노래처럼 간단한 가사로 되어서 아이들이 노래하는네 떤해 죄 참여했으민 좋겠어
。
~
3) 익숙한 악가소리
평소에 익숙한 악기소리는 장애아동파 일빈아동의 잔여를 높여주는네 새로운 악기소리는
아동들에게 새로운 소리에 관심을 불러일으켜 활동보다는 악기에 지니친 관심을 집중시키기
때문이다 장애아동븐 평소에 연주해 보았던 익숙한 악기소리는 쉽게 잘 연주하도록 도와 이
틀 본 일빈아동븐 장애아동의 새롭고 좋은 모습을 툴 수 있는 기회틀 제공허게 된다
악기소리도 평소에 자주 틀어볼 수 았었던 익숙한 소리라서 디욱 쉽게 적응할 수 있
었던 것 같다
새로운 악기릎 제공하면 일빈이옹 정애이옹까지 그 악기에 집중해 활동에 참여히는
데 이려움을 보이는 것 겁다 새로운 Q{/] 릎 탐색히려고 교사의 지사니 활동의 내용
에 귀블 기울이지 않는 것 갇디
뭐는지 익숙한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악기도 그렇구요 해봤던 것이니까 전 연주하고
같이 참여도 된 것같고 특히 통함아들은요
오늘 악기 연주하는데 영은이가 안틀려서 좋았어요 틀라면 찌증니요 그깃 탬버린였
잖아요 많이 해봤어요
4)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변화되는 음약 구조는 장애아동에게 펑소에
익숙했던 활동에 조금씩 다른 과제를 넣어 제공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갖케 하여 활동의 내용
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였으며 활동올 해나가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쉽고도 새미있는 활동
이라는 느낌을 갖케 하여 참여를 유도한다 입반아등에게는 단순하지민 계속적으로 복잡하
게 변화되는 활동을 경험하면서 앞으로 어떠한 활동이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기대와 흥미릎
경험하게 하여 잠여릎 유도하게 된 것이다
활동야 하니의 노래를 。1 용히여서 여이 가지 활동으로 변형되이 니가는 것에서 통협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G-O-23)
,
.
. (S-O-16)
,
.
. (G-O-9)
. .
. (E-I-2)
, , ‘ ’
.
.
.
.
.
. (G-O-7)
. .
‘ ’ .
아동듬이 훨등에 내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었고 재미있게 침여블 할 수 았었디
쉽게 시작해서 조금씩 이려위지는 활동이라서 그런지 모든 아동들이 참여힐 수 있었
다 악기 릎 연주하면서 악기를 가져온다는 것에서도 아동들이 핑소에 했던 활동에 다
른 점을 넣으므로 진행될 휠동에 내한 츄 더 홍미릎 느낄 수 았었디
노래를 먼저 배 우고 그 노래에 빚추어 걸어보고 그 박자에 빚춰 악기를 연주하니 어
렵지 않고 그러니 전 따라하는 것 같습니다 간딘하게 시작해서 점점 어려워지는 것
이 아이능이 흥띠를 잃지 않고 모두 힘께힐 수 있는 것 같습니다
~l- 도외줘서 좋아요 노래하고 노래랑 이것 치고 종추니까 쉬어요 그래서 민 F가 진l
했나봐요
2. 함께 즐기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203
반복되는 멜로디 재미있는 가사 댐포의 변화는 장애아동과 임반아동 간의 함께 즐기기
라는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였다
1) 반복되는 멜로디
입반아동은 반복적인 멜로디 안에서 약센트를 넣어 부르거나 목소리를 다르게 하여 즐기
면서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멜로디가 반복되는 것이 재미있으며 이라한 재미있는 부
분을 상승시카라고 약센트를 넣거나 목소리를 변조하는 장의적인 놀이로 진행하고 있는 것
이다 이를 본 장애아동은 노래의 반복적 멜로디 안에서 입반아동이 강조하는 가사 부분을
같이 모빙하여 따라 부르면서 그 즐거움을 함께 한다 이는 반복되는 멜로디 안에서 잉반아
동에게 소외되지 않고 함께 즐거움을 공유하는 장애아동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반복되는 선율이여서 아동들 대부분 모두 재미있어 하였다
아동듬은 반복되는 멜로디블 즐거워하면서 따라 부르고 나름대로 창작하여 목소리릎
변조하여 노래 붙렀디 二l 과정에서 서로 옷으며 깔깔거리는 모습올 볼 수 았었디
시라송파미레도 。1 멜로디가 반복될수록 아동들이 강조를 하여 즐겁게 따라 부른다
여기서 장애아동이 똑같이 힘음 주어 크게 노래하며 서로 보고 웃는 것을 볼 수 있였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MT-O-13)
.
. (G-I-5)
.
.
.
?
. . (MT-O-29)
.
. (G-I-13)
. , . . ?
. . (B-I-2)
.
.
.
.
.
. (MT-O-9)
204
디
그 가락이 자주 반복되는 것이 재미있나봐요 가사 없이 람락라로 되어있는네도 뭔가
시주 니오니까 재미있니봐요
2) 재있는 가사
장애아동과 일빈아동들은 지신들이 생각하기에 재있다고 생각하는 가시가 니올 때마다 서
로 웃으띤서 공김대틀 형성하였다 아동들에게는 자신들이 생각하는 재미있는 가사가 있고
의성어와 의태어 간유 가사에 홍미틀 느낀다 이러한 자신들이 인정히는 재미있는 가시를 통
해서 함께 즐거움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얼씨구 좋구나 지화자 좋구나 가사가 재었는지 얼씨구하고 지화자에서 깔깔거리민
서 웃는다 장애아동도 함께 좋아한다
야아들 생각에는 그 가사가 웃 :;1가봐요 즘가는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깃
갇애요
그 말이 자꾸 나오니까 좋아요 헤헤 다 웃어요 그러니까 더 웃겨요 준호요 개도
나보고 웃잖아요 웃으니까 좋아요
3) 템포의 변화
장애아동과 일빈아동 모두는 음악의 템포가 변화될 때마다 음악활동을 허니의 게임으로
생각하며 다음븐 어떤 템포가 니올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과 ~에 맞게 동작하면서 음악의 변
화에 따라 지신의 봄이 운직이는 것에 희열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희열이라는 즐거웅을 계
속적으로 느 끼기 우1 허여 템포틀 변화시키도록 치료사에게 부탁하여 즐거읍의 도구인 템포를
지신들이 리드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장애아동은 음악의 템포의 변화에 따라 일빈아동이 웃
으며 즐거워하는 것을 보띤서 힘께 웃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템포의 변화에 따라 힘께
즐거응을 경험허고 표현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노래릎 부르거나 유약에 맞추어 동작할 때 유악의 댐포릎 빨라졌디 느려졌디하면 유
약에 집증하고 희열음 느끼는지 웃으띤서 좋아한다 장애아동파 일반아옹이 나뉘는
것이 아니라 모두 하나되어 즐기는 것음 볼 수 있였다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G-I-5)
. (S-I-16)
, , ‘
’ .
.
,
.
,
. .
4 4 .
.
.
.
. (MT-O-14)
.
. (MT-O-12)
. (S-O-21)
? . .
? . (C-I-3)
선생님에게 유악올 빨리하자 느리게 하자 제시하면서 서로 유악에 맞춰 좋아하는 것
음 보민 아이들이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음악의 속도가 바뀌니까 친구들이 웃으니까 우라통협아동능도 텅닫아 좋아히는 것
같야요
3. 협력하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205
변하지 않는 템포 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사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협력하
기 라는 사회적 관게릎 유도하였다
1) 변하지 않는 템포
변하지 않는 템포는 일반아동에게 그 템포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유도허였으며 장애아동이
그 템포에 맞추어 동작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이와 간은 일반아동의 도읍P 로 장애아동은
점점 활동의 내용을 이해허게 되고 그 템포에 지신의 폼동작을 맞출 수 있도록 노띄허게 원
다 또한 변하지 않는 템포로 활동의 진행을 예견할 수 있게 된 장애아동은 그 템포에 맞추어
마음껏 폼을 흔들게 되고 그것을 본 일반아동유 지유로운 장애아동의 봄동작을 재있어하띤
서 간이 몸동작하는 것을 블 수 있다 이는 시범파 모방의 힘딱관계라고 할 수 있다
유약은 분의 박자의 댐포가 유지되는 유악이있디 일반아동틀은 유악 맞추어 파라
슈트를 협동하여 흔들 수 있도록 노략하였다 장애아동도 함께 합 수 있도록 신속하
게 도와주는 것을 볼 수 있였다 음악 빠르기가 변화되지 않는 것이 아동들의 행동음
규칙적으로 만드는 깃 같다 정애이옹은 행동이 둔허므로 일빈아동은 장애아동이 음
악에 맞추도록 도와주는 것 같다
장애아동응 또래아가 신속히 잘 도와주어서 장애。댐이 점점 활동의 내용응 파악할
수 있었다 동일한 댐포인 음약에 함께 협팍해야하므로 협랙하여 한 사람도 。1 단하지
않도록 도외주는 것응 볼 수 있었다
민우와 은지가 변함없는 유악의 템포에 따라 마유껏 동작하자 이를 본 이동듬은 좋야
하띤서 그 몸동직을 따라하기 시직하였다
야까 도와준거요 음악이 딱딱딱 니오니까 맞춰야 되요 그래야 재있잖야요 도와주니
까요 잘해서 좋아요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S-O-8)
.
. (S-O-11)
3 . .
, ... . (G-I-5)
.
. (G-I-7)
. . .
. (A-I-3)
.
.
1
, .
(S-O-17)
206
2) 선호인 악가소리
특정악기 소리는 어떤 행응을 하라는 약속이 들어간 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치료사가 언
어로 지시하지 않아도 악기로 선호를 보내어 그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유도하므로 입반아동
과 언어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이 언어적 지시에서 벗어나 모두 함께 한마음으로 동작하는 협
력적 관계를 갖게 된다
선생님의 특별한 이야기가 없이도 아동들끼랴 집증해서 악기 신호를 듣고 전 듣지 못
했던 친구들도 친구들이 움직이는 방향을 보며 반복직인 활동음 통해 점점 알아 길
수 있었다 야동들이 모두 스스로 해야 하는 것보다 힘께 활동힐 수 있는 것에서 서로
둡기도하며
민우가 종이 올릴 때 자랴를 바꾸어야하는데 잊어버려서 뜨래가 도외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음악에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 같이 맛추어야 한다는 것올 아는 깃얀가 봅니
다
종이 번 울렸응 때요 생싸게 짝응 끌어틀이는 것이 신기했어요 말보디 악기소리가
그렇게 집증음 시키다니 뭔가를 하게 하는 것 같아요 소21 가요
약기 신호가 마음을 모우네요 통함아들도 소외되지 않가1 찍을 만날라고 노픽하는 것
겁애요
소리 날 때 진구 못 찾아요 빨리 옆에 았는 애 작아야되요 그래서 쏟 진해졌어요 빨
리 해야되요
3) 반복되는 가샤
만복되는 가사의 노래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게 재미릎 주는 요소로서 규칙을 가지고
서로 힘을 합하여 재미있기 부르려고 협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협력은 재미있는 시간을 다
갖기 위해 가사가 나을 때마다 아동들은 웃긴 목소리를 내며 옆의 아동듬도 함께 그 목소려
를 내는데 협력하여 즐기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초등학교 학생 학생들이 쉽게 부릎 수 있도록 빈복되는 가사이였기 때문에 야동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었고 서로 웃으면서 판심음 보여 혐력이 자연스럽게 일어났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MT-O-22)
. .
(G-I-14)
, ,
, (2007) .
,
. (2009) ,
.
( , 2007a, 2007b) ,
.
, , ,
‘ ’ .
,
.
.
(2004)
아동듬은 노래부르기에 혐력 을 하는데 가사가 반복될수록 어떤 규칙 응 가지고 큰 꼭
소리로 노래했다가 작은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음 서로 힘을 합하여 하띤서 좋아한다
그 가사가 빈복되니 웃음의 시간올 더 늘리려고 그이는지 지가네끼리 웃끼 목소리릎
내려고 서로 둡는 하나가 되는 것이 재있었어요 통합이동도 예외는 아년 것 갇아요
N. 논의 및 제언
207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모두 참여하기 함께 즐기기 협력하기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가 협력 감정적인 유대관계를 의미한다는 송영혜 의 이론과 연관성을 보인다 이는 본
연구에서의 음약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임반아동에게 흥미를 느끼게 하여 서로의 즐거운 감
정을 나누는 유대관계를 유도하였고 。1 러한 즐거움을 지속하기 위해 협력하는 또래와의 사
회적 관계를 유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장혜성과 장혜원 의 연구에서 유도된 친밀감
애착과도 연관성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함께 즐기기와 협력하기는 친밀감과 애착
을 갖게 하는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또래와의 상호작용행동을 유도했던 기
존 연구 장혜원 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포괄적인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제시
하였다고 사료된다
1 모루 참여하기를 윤도하는 음악의 특성
친숙한 멜로디 간단한 가시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파 일반아동의 모두 잔여하기 라는 시회적 핀계틀 유도하였다
결과의 내용에 비추어 보아 친숙한 멤로디와 간단한 가사로 구성원 노래 익숙한 악기소리
는 장애아동파 일반아동을 자연스럽게 음악활동에 찬여틀 유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
연스러운 찬여는 시회적 관계 습득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로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음악활동을 통해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조
차 상심되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가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승미과 조광순
의 주장에 따라 참여는 그 자체가 아동의 치료나 교육에 있어서 가치 있는 중요한 기
능적 목표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과 입반아동이 함께 참여라는 목표를 위해 본 연구에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Forsyth, 1977; Madsen &
Alley, 1979; Nelson, Anderson, & Gonzales, 1984) .
.
, , ,
.
.
. ,
.
.
(Bricker, 1998),
· ( , 2005)
, .
,
, , , (2007)
.
, , ‘ ’
.
(2007b) .
208
서 도출된 음악의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의 특성은 자연스힘게 사람들을 음악활동에 참여시키는 힘을 가
지고 있어서 사회의 임원으로서 또래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동기제가 되었다 이는 음
악이 참여적 활동을 위한 중재와 지도에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
와도 연관을 갖는다 기존 연구들은 음악의
특성보다는 음약활동을 사용하였을 때의 참여행동에만 초점을 둔 한계를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특성과 이것이 유도하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소개하였으므로 음악사
용의 세밀한 전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친숙한 멜로디 긴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게 활동이 쉽다는 느낌을 주어 활동에 잠여하게 유도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잠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모두에게 쉽고 편안한 활동을 세시하여 활동에 점
차적으로 익숙해지케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변화되는 음약 구조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함께하는 잠여름 유도하였다 이는 일반아동에게는 흥미를 장애아동에게는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준 것이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흥미의 요소는 음악의 특성이 자
연적 중재의 잔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자연적 중재란 아동의 흥미릎
유발하여 또래와의 사회적 교류릎 이루는 잔략으로 활동을 장애아동에게 빚게
단순화시키고 조정 확장시키는데 원종례 단순한 구조에서 복잡한 구조로 변화되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의 잠여를 위해 조정 확장되는 전략과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약
활동에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참여를 유도하려면 난이도를 조절하고 익숙한 음악 제시
를 세공해야 한다는 장혜성 장혜원 황은영 김은영 의 중재 잔략과도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2. 함께 즐기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빈복되는 멜프로디 재미있는 가시 템포의 변화는 장애아동과 일빈아동 간의 함께 즐기기
라는 시회적 관계를 유도허였다
세 가지 음악의 특성은 장애아동과 입반아동에게 즐거운 정서표현파 즐거움의 공감대를
형성시키는데 이는 가사를 민들어 노래부르기 전략을 사용하여 장애유아와 잊반유아의 관계
를 즐거운 관계로 개선시킨 장혜원 의 연구결과와도 연관성이 있다 이라한 즐거운 관
계란 상대방에 대한 정서적 표현과 공감대가 사회적 관계로 순환된다는 기존 연구듣고}도 연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1996; Bretherton, Fritz, Zahn-Waxler, & Ridgeway, 1986;
Campose, Mumme, Kermoian, & Campose, 1994; Dunn, Brethern, & Mann, 1987).
.
( , , , , 1985/1995;
, 2002; , 2005; , 2007; Adachi & Trehub, 1998; Fielder & Simpson, 1987),
.
.
.
. Thaut(1987)
.
.
, , ‘
’ .
.
.
Besrdsley(1987) ( , 2006
209
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홍준표
이는사회적
통함의 이슈인 장애아동과 잊반아동 긴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으로 즐거운 정서적 표현과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계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준 결과이기도 하다 또한 반복되는 멜로디와 가사가 삽입된 노래는 장
애아등에게도 정서적인 유대감을 형성시켜 김태런 염현경 정현지 김현정 역 이
수진 이숙회 장혜성 외
잊반아동과 함께 즐거움이라는 정서를 교류하는 관계로 진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템포의 변화는 장애아동과 입반아응이 즐기는 관계를 유도하는데 댐포의 변회를 게임으로
감지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은 그 템포의 변화에 따라 동작을 하면서 음약의 변화에 따라 옴
이 움직이는 것을 보변서 희열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즐거움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템포를
바꾸도록 치료사에게 요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게임으로서 음악의 템
포의 변화를 제시할 수 있으며 템포는 사랑의 신체를 자극하여 동작하게 하는 요소이므로 언
어와 인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아동에게도 일반아동과 함께 즐거움을 교류하는 사회
적 관계릎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또한 는 템포 속에서 아
동이 반웅하케 하여 자폐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했는데 이러한 변화되는 템포
가 장애아동 뿐 아니라 티 나아가 일반아동에게도 즐거움이라는 정서름 유발하여 모든 아동
이 함께 즐기는 환경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즐기는 사회적 관게 형성을 위해서는 아
동이 신호하며 흥미릎 줄 수 있는 음악활동을 구성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결과이다
3. 협력하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변하지 않는 템포 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시는 장애아동파 일반아동 간의 혐띄허
기 라는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였다
변하지 않는 템포의 음g149→ 아동의 행동을 규칙적으로 만들어 일빈아동은 장애아동이 그
템포에 맞출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간은 결과는 일빈아동이 변힘없는 템포의 음악을 통해
자신의 폼을 그 템포에 맞추도록 진정시키면서 장애아동이 그 템포에 몸을 조정하여 맞추
도록 둡는 이타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음악이 자아 내부의 여리 가지 갈등을 정화
시켜 조회의 상태를 유지하케 하여 스스로를 타인의 입장에 서게 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는
의 이론을 지지하게 하는 결과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도경희 에서 재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2006) .
.
.
,
.
.
1 .
. , ,
.
.
, , , 5
( , 2003).
.
210
인용
변하지 않는 댐포의 음악은 변회가 없기 때문에 음악의 진행사항을 예견할 수 있게 된 장
애아동은 그 템포 안에서 즐겁게 몸을 흔들게 되고 장애아동의 동착을 재있어하는 입반아동
은 같이 장애아등의 동착을 따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시범과 모방의 협력관계라고
할 수 있다 리듬이 갖는 에너지는 뼈 근육을 자극시켜 음약 속에서 자연스럽게 손을 잡고 춤
을 추케 하는 사회 교류적 행동을 발생하게 한다는 최병철 의 이론과도 연관성이 있다
선호인 악기소리는 아동에게 소리에 집중하게 유도하는데 이라한 집중력은 장애아동과 입
반아등의 협력적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치료사가 언어로 지시하지 않아도 '"{71 소리가
선호가 되어 그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되므로 입반아동과 언어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이 치료
사의 언어적 지시에서 벗어나 모두 함께 서로 협력을 유도하는 상징적인 신호수단으로의 약
기소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이기도 하다
이상의 논의릎 정리해보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관게를 중진시키기 위해 본 연
구결과에서 도출된 음악의 투투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이 사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의 망과 후 교실의 초풍학교 학년을 내상으로 시행하였다 추후
연구로는 초등학교의 다른 학년을 내상으로 연구릎 실시하여 또래와의 사회적 관게를 형성
시키는 음악의 특성에 내하여 심도 있게 분석해야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 일반아동
연구자의 관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보호자의 관점을 보충하
여 좀 더 폭넓은 자료 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잠여하기라는 결과름 유도하였다 잠여라는 개념
은 비참여 일시적 참여 미분화된 참여 정교화된 잠여로 이루어진 단케 참여의 섣로 나눔
수 있다 이소현 그러므로 추후연구는 음약의 특성을 중재진략으로 사용하였을 때 장
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어떠한 참여의 짙적 수준을 보이는지 추적하는 연구를 세언해본다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1999). .
. : .
, , , , , , , , , (2005).
. : .
(2000).
. (1), 29-51.
, , , ( )(1995). (E. H. Boxil). :
. ( 1985)
(2006). .
. : .
, (2011).
. (2), 45-69.
(2007). . : .
, (2004).
. (1), 105-133.
(2001). .
. : .
( )(2008). (C. Glesne). : . ( 2006)
(2000). .
. : .
(2005). -
. . : .
(2003). . : .
, (2001). . : .
(2002). . .
: .
(2005). .
(1), 407-430.
, (2009). .
(1), 27-48.
, , , (2007). .
: .
(2007a).
211
참고문헌
강병은 또래아동파의 협동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힘능릭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북 우석대희교 .Jll육대헥원
김귀분 신경립 김소선 유은굉 김니츠 박은숙 김혜숙 이정순 깅숙영 서연옥 질적 연구방법
론 서울 현문사
김미숙 원전통합교육환경에서 놀이활동이 받달지재유아의 시회적 기술습득과 유지에 미치는 효
파 특수교육학연구, 35
김태련 연현정 정현지 김현정 역
학교출판부 윈작
발달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 서올 이화여사대
도경희 방과후 아동지도 응악활동이 츠등학생의 진시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정구논문 서윷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한원
빅정묵 서보윤 초웅희.J1Z 정의적 처1 쩍활통 시간을 황용한 학급 년위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댐
개빛 및 효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송영혀1 또래관계 진단과 지료 서울 집문당
신승미 조굉순 선호성 증상의 교육과정 수정적용이 받달장애유아의 활동잠여 및 문제행동에 미
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4
시보정 게임증선의 레크리에이션 황동。1 정선지제 희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파 띠간행
석사학위 정구논문 충남 공주대학교 대학윈
안혀1준 역 질적연구자 되기 서올 아카데미프레스 원 "'1
유선영 비장애아동의 장애친구및 비장애 친구에 대한 능이 행동 특성파 친구관계지각 띠간행
석사학위 정구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종례 Iι사간 혐력'i'델이 적용펀 활동증선 삽입교수 증새가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여 발딩에
미치는 영향 미긴행 박사학위 정구논문 서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윈
이소회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소현 빅은혜 장o~ 유아 통합지원 교육과정 서올 학지사
이수진 집단응익활동이 츠둥학생의 공격싱 간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시학위 청구논운 서
올 숙냉여사 음악치료 대학원
이숙희 통합적 유야 음악교육。1 유아의 옴약적 홍미와 옴약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피
육학효l 지, 12
장혜성 장혜원 방파 후 음악활동。1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복지체
부자유잉구, 52
장혀1 성 장혜원 형은영 김은영 개별화교육프로그램파 연껴한 장O~ 마 음악활동의 01 론고I 실제
서울 교육파학사
장혜원 비장애유아와 학께하는 읍악능이가 어린이집에 통합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직용 챙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3), 133-150.
(2007b). .
(4), 45-66.
(2011).
. (1), 223-249.
(2006). . : .
(1996). . , 87-120.
Adachi, M., & Trehub, S. E. (1998). Children’s expression of emotion in song. Psychology of Music, 26,
133-153.
Bretherton, I., Fritz, J., Zahn-Waxler, C., & Ridgeway, D. (1986). Learning to talk about emotion: A
functionalist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57, 529-548.
Bricker, D. (1998).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Baltimore, ML: Paul Brookes.
Campose, J. J., Mumme, D. L., Kermoian, R., & Campose, R. G. (1994). A functionalist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emotion. Monograph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 (2-3, Serial
No. 240), 284-303.
Dunn, J., Brethern, I., & Mann, P. (1987). Conversations about feelings states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3, 132-139.
Fielder, C. R., & Simpson, R. L. (1987). Modifying the attitudes of nonhandicapped students towards
handicapped peers. Exceptional Children, 53, 342-349.
Forsyth, J. (1977). Elementary student attending behavior as a function of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5, 228-239.
Gunsberg, A. (1988). Improvised musical play: A strategy for fostering social play between developmentally
delayed and nondelayed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Music Therapy, 25(4), 178-191.
Haverkamp, B. E. (2005). Ethical perspectives on qualitative research in applied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46-155.
Madsen, C. K., & Alley, J. M. (1979). The effect of reinforcement on attentiveness: A comparison of
behaviorally trained music therapists and other professionals with implications for competency-
based academic prepara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16, 70-82.
Morrow, S. L. (2005). Quality and trustworthiness in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50-260.
Nelson, D. I., Anderson, V. G., & Gonzales, A. D. (1984). Music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ournal of Music Therapy, 21(3), 100-116.
Patton, M.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Newd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Polkinghorne, D. E. (2005). Language and Meaning :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37-145.
212
통에 미치는 효과 얻어치료연구f • 6
장혀1 원 옴약놀이를 통한 받달지재유아와 일반유아의 관계변화에 내한 질적연구 정신지체연구1
9
장혜원 사희생을 촉진하는 음악환통이 통합어린이집 발딪장애유아의 사희생 말딩에 미치는 영
향 지직장oH 연구, 13
최빙칠 음악치료학 서울 핵지사
홍준표 사회정서발달 진단과 지토앙법 한야아통희회 추계희술대회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Thaut, M. H. (1987). Visual vs auditory stimulus preferences in autistic children. A Pilot stud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17, 425-432.
213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sic elements which influenc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rmal peers during group music activities. A total of nine children (4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5 normal peers) participated 15 group music activities. Observation record and
oral interview were made to get data from each activity, and all time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earch results, musical elements induce social relations such as joint engagement, enjoyment,
and cooper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First,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joint engagement are familiar melodies, simple lyrics, familiar
instrument timbres, and musical structure that change gradually from simple structure to complex
structure. Secon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enjoyment are repeated melodies, interesting lyrics,
and change of tempo. Thir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cooperations are unchanged tempo,
instrument timbre, and repeated lyrics.
As meanings of the research, it presents which social rela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are shown and which musical elements affect these social relations. And so it is suggested
that musical elements as more precise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needed for music activities,
current intervention program.
Key Words : musical elements, social relationship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2011. 12. 31
2012. 02. 04
2012. 02. 07
214
ABSTRACT
A Study about Music Elements Affecting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Jang, Haewon
게재 신청일
수정 제출일
게재 확정일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혜원 정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
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
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혜원 정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혜원 정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혜원 정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혜원 정
 

Similar to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_사회적_기술과_문제행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
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
엄혜지 2008 adhd장애아동 음악치료프로그램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조정은 2012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_청소년의_사회적기술에_미치는_영향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혜원 정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 1.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특수교육. . , 제 권 제 호2012, 11 , 1 , 189-214. . 4 5 15 . . , , , , , , . , , , . , , , . . 주제어 음악의 특성 사회적 관계 장애아동 일반아동: , , , ( , , 2001). 1 . (E-mail: haewonmt@hanmail.net) Dept. of Music Therapy, Kosin University 。 효 l 교g T Specìa/ Educatìon Research 2012, Vol.11 , No.1 , pp.189-214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에 관한 탐구 장혀|원* 본 연구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유도하는 음악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어떠한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어떠한사회적 관계를유도하는지에 초점을둔 질적연구이다 연구는 명의 장애아동과 명의 일반아동이 함께 회 기간 음악활동에 참여하였 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데이터로 수집하기 위해 관찰과 구술 인터뷰가 실시되었고 데 이터분석은 상시 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의 특성들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의 모두 참여하기 함께 즐기기 협력하기와 같은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데 첫 번째 모두 참여 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친숙한 멜로디 간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이었다 두 번째 함께 즐기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반복되 는 멜로디 재미있는 가사 템포의 변화이었다 세 변째 협력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변하 지 않는 템포 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사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음악활동에서 어떠한 사회적 관계가 도출되며 이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 하므로 기존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인 음악활동에서 보다 세벨한 중재 전략으로 음악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펼요함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1 . 서 효르 "L.. 통합교육은 일반인과 장애인이 함께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하면서 생활하도 록 돕는 교육으로 현재 한국 전역에 영아기부터 시행될 만큼 장애인 교육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소현 박은혜 초등학교 학년은 학령기의 출발시기로 학교에서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게 된다 * 고선대학교 음악대학원 음악치료 전공 시간강사 189
  • 2.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 2007). , ( , , 2011), ( , 1999; , 2000; , 2001; , 2000). (2007b) (turn taking) , , . , ( , 2007a). Gunsberg(1988) . (2011) , . (2009) , , , . , , , . 1 . . . , , , , 190 。1 때 장애아동과 입반아동긴의 긍정적인 또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은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목표가 심현되게 하는 출발점이 된다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는 서로 동임한 지위관계에서 서 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아동들은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안에서 자가 조젖 협력 감정 적인 유대관계를 맺게 된다송영혜 이라한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가 장 이루어지지 않 을 때 집단 따돌림 또래들로부터의 거부당하는 원인이 되므로 박정묵 서보윤 통함교 육환경에서 장애아동과 임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강병은 김미숙 심보경 유션영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의 입반유아에 대한 사회적 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으로 음악활동이 시행되었는데 장혀1 원 은 공걱성을 가진 발달장애유아에게 주고받는 구조의 음약의 특성을 삽입한 노래부르기 연주하기와 동작하기를 시행하여 장 애유아의 공격성 감소와 일반유아를 향한 신체적 접촉 놀이를 촉진하였다 특히 지시적 가 사라는 음악의 특성을 삽입한 노래하기는 장애유아의 일반유아에 대한 신체적 상호작용행동 공동관심적 상호작용행동을 촉진하며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한다 장혜원 는 유아들이 놀이하는 행동을 즉흥적 가사로 작사하여 지시하였을 때 장애 유아의 일반유아에 내한 함께 놀이하는 상호작용이 중가되었다고 보고한다 장혜원 은 지시적 가사의 노래부르기 주고받는 구조의 특성을 삽입한 약기연주와 음약에 따라 동작하 기릎 사용하여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내한 향상을 보고하고 있다 한 편 장혜성과 장혜원 은 이상의 중재방법으로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진사회적 행 동 진멸감 애착 신의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위의 결과를 정리해보변 노래부르기 연주하기 동작하기라는 음악활동에 지시적 가사와 주고받는 구조라는 음약의 투투성이 삽입되었을 때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의 사회적 관계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의 내용은 대부분의 연구가 장애유아의 관점에서 시행된 연구이므로 아동기 특히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름 유도하는 학령기의 시작점인 초등학교 학년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기 존 연구듬은 이러한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을 사용하였을 때 사회적 관게가 개선되 거나 향상되었마고 보고하므로 어떠한 음약의 특성이 어떠한 사회적 관게를 유도하는지에 내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한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고 개선시킨 음악적 특성을 삽입한 음악활동을 사용하였 을 때 장애아동과 일빈아동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가 니타니며 이틀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은 무엇인지 얄아블 필요가 있다 본 연구지는 통합교육에서 음악활동을 시행히는 중 음악의 구조 가사 리등 템포 다이니
  • 3.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2005). . . . 1) ? ( , 2005), . . , . Merriam(2002, Polkinghorne, 2005 ) 2 191 믹과 같은 음악의 특성들이 장애아동과 잊반아동의 사회적 관계를 개선시키는 것을 경험하 게 되면서 읍악의 특성들과 장애아동과 임반아동의 사회적 관계를 연관시켜 연구하는데 관 심을 갖게 되었다 。1 상의 내용과 같이 연구자의 경험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것이 짐적연구인 데 이 연구는 자신의 경험한 임이나 현장에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한 민감한 의식과 필요를 연구할 수 있는 열린 연구빙법론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김귀분 외 또한 짐적연구는 기존 문헌에서 제공되지 않는 기초적인 지식을 찾아내는데 활용되는 연구벙법이므로 어떠한 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잊반아동 긴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드물가 때운에 연구자는 짐적연구 뱅법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을 시행하였을 어떠한 음악의 특 성이 어떠한 사회적 관계릎 유도하는지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세릎 설정하였다 어떠한 음악의 특성은 장에냄과 잊반아동 간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가 II. 연구방법 1. 연구 디자인 질적연구 벙법은 분명하지 않는 어떤 개념을 분삭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개념 화할 수 있으므로 김귀분 외 본 연구는 이론적 개념이 J충분하지 못한 어떠한 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입반아동간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탐색적 짐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2 연구참여자 1) 연구참여자의 선정빵볍 본 연구는 두 가지의 표집뱅법으로 연구의 선펴도를 높이려하였다 첫 번째 목적적 표집으로 본 연구의 주제와 관런된 환경에서 생활하는 참여자를 선정하였 다 칠적연구에서 많은 대상자의 수보다 좋은 정보를 줄 수 있는 창여자를 선택하는 것이 좋 다는 에서 재인용 의 주장에 따라 년 이상 어련이접 방과후
  • 4.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criterion sampling) Polkinghorne(2005) . . , , , , , 1 1 5 4 . . (1 ) 2 . . . . (3 ) 4 . . . ( ) 192 교심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아동과 입반아동을 창여자로 선정하였다 두 번째 기준적 표집 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미리 정해진 기준의 사람들 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 주장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아동과 입 반아동 중 서로 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위의 두 가지 표집기준에 따라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과 임반아응이 함께 생활하는 통함 교육을 받는 아동 둘째 장애아동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가진 입반아동이라고 교사에 의해 추천된 아동 셋째 일반아동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가진 장애아동이라고 교사에 의해 추천된 아동 넷째 아동의 보호자로부터 연구 잠여에 허락을 받은 아동 다섯째 학년 아동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학년인 명의 일반아동과 명의 장애아동이 본 연구의 연구잠여자 로 선정되었다 다음의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정보에 있어서 각 아동의 이픔은 설명이 아니 며 데이터 기술의 편의에 따라 연구자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다 <표 1> 잠애 아동의 정보 이름 성별 장 OH 염 트~응닙L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장 OH 급수) 년수 인반아등이 도와주는 것흘 싫어하며 교사가 도와주는 것응 선 지폐싱 호한디 응약횡동응 좋아하여 옷는 즐거운 표정음 지으나 주로 민우 LUl 장애 년 혼자 약기연주하기를 좋아한다 또래와 함께 연주하거나 동작하 는네는 거부 감응 갓는디 다른 인파에서도 주로 혼자 노는 것음 v 좋아하며 인반아등이 디가오연 거부강흘 보여 가라고 소리를 지는 경향응 가지고 았디 일반아동에게 다가가는 깃올 이려워하고 음악에 맞추이 짝올 자폐성 지올 때 일빈아동이 와서 손올 집아주변 웃으연서 좋야한다 옴 은지 여 장애 년 악힘등 중 응약에 빚추어 동작하기를 좋아하고 응약의 느낌음 등작으로 좌 표히한다 디류 인과에서도L 인반아등이 디가와서 그B 힘동응 제시하였응 때 그대로 모방하고 수용하는 행동「응 보。1 지깐 번지 인반아)등에게 디가가는 행동은 드물게 냐타난다 셰속
  • 5.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3 ) 3 . . . (2 ) 3 . . . 5 . . . . . A 4 . . . B 3 . . . C ( ) 193 이륨 성별 장 OH 염 트~응닙L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껴의 특성 (장 OH 급수) 년수 인반아동파 함께 악기선백 시 먼지 산대하려 하여 자주 다툼이 지적 생긴다 모든 음약힐응「응 좋아하여 장 침여하지만 찍흘 고를 때 영은 여 장애 년 장애아동하고 찍음 하려는 행동응 보인디 다른 인파에서도 옆 에 인반아등이 앉아 있으면 똑바로 앉으라고 하며 선생님께 이 v 류디는 양을 하며 수1친어1 옮겨 연반아동듣。1 디소 거부하는 아 등이디 짝올 지。1 음악 활동할 때 남자일빈아동보다 몇몇의 여자얼빈 아동에게 다가가 손올 잡고 놓아주지 않아 여지아동들이 피히 지적 는모습올 받얀다 음익에 맞추이 동작허가와익기연주른좋아 준호 LUl 장애 년 히니 주로흔가 동작히거니 연주히려는 행동올 한다 다른 일과 급 에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아동 옆에 앉으펴하고 그 여자아 등이 디른 아응jI} 놀면 손~음 잡고 끌어 여자아동듬이 아픔음 호소하기도 한다 <표 2> 일반아동의 정보 이름 서벌 통합 장 OH 아동과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표기 년수 망법 읍악활동 시 교사가 부탁하변 장애아동을 도외주나 노래냐 연주할 때 일반아동하고만 웃P 며 활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E 생활 에서 장애아동에게 관선이 없다 읍악활동을 좋아하며 장 참여하나 연서 여 싹을 지어 활동할 때 장애아동보다는 일반아통과 함께 하기릉 선호 한다 이때 교사가 장애아동파 싹을 지어주변 거부하지는 않는다 다든 일과에서도 장애아동에거1 관선이 없지만 괴사가 도오1주라고 하연 거부감 없이 도외주는 편이다 읍약횡동 시 영은이가 옆에 앉으면 디러워서 싫디고 말하며 영은이 가 디가오면 자리를 옮긴E ← 음악힘등 중 읍약에 빗추어 동작하기에 정우 남 자신의 동작응 창작하여 빙표하기를 좋아하나 영은이가 동작응 똑 바로 하라고 맏하면 쉽게 화를 내며 영은이가 싫디는 란음 자주한 다 디흑 인파에서도 영은이와 거리상 가장 먼 곳으로 가서 숙제를 하는 행동응보인다 장애아동。1 약기륜 장봇 연주할 때 혀지 말리고 화른 내미 장애아 동의 손올 잡아 연주륜 옷히게 하는 행동올 보인다 모든 옴약활동 가융 여 음 좋아하냐 잡응을 내는 것을 싫어하여 준호가 마구 연주를 할 때 시끄립디고 화를 내는 행동응 보인디 디른 언파에서도 장애아←응과 찍응 이루어 힘등응 함 때 장하지 못하띤 빨리하라고 화를 내는 떤 이디 셰속
  • 6.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3 . . . D 4 . . . E . AAA(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Haverkamp, 2005 ). , . , . , . , . . 8 2 15 . 194 이름 성별 EgEiit j• 장 O~ 아동과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표기 던수 방법 장애아동 중 은지를 좋아하는 편이어서 짝음 이푸어 노래나 연주를 한 때 은지를~ 선백하나 그 외의 장애아동파 짝음 짓지는 않는다 다 민희 여 른 인파에서 숙세를 함 때 인반아)등에게는 너그려우나 장애아←응이 크레파스를 멤버달라고 하면 아무 란도 안하는 행동「응 보인다 。1 때 교사가 벚펴주라고 하면 마지못해 크레파스를 받려주는 행동응 보 인디 옴약활동 중 장애아동에거1 많은 간섭올 한다 장애아동。1 약기른 선 정섭 남 택할 때 지신이 선택히여 주려고 히여 서로 간의 갈등이 생낀다 다 른 일과에서도 도구를 아지럽히는 전구들에게 잔소리른 하는 편이 마 장애아동이 장 정리히지 않올 때 다품올 번이는 행동올 한다 2)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자는 연구의 윤리틀 위히여 연구가 시작되기 전에 다음과 간유 설명을 연구잔여지 에게 제시하여 수락 후 연구릎 실시하였으며 연구 시행중에도 다음과 간유 설명을 제시하였 다 연구의 윤리성븐 윤리규약을 잔고로 하였다 에서 재인용 첫째 본 연구자는 연구잔여지에 대한 윤리적 의무틀 가지는네 연구과정 중에 연구잔여지 는 연구잔여를 그만 둘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찬여지의 명성과 시생활에 해가 가지 않도록 한다 셋째 연구논문에 잔여자의 이듭파 소속이 익명으로 기숲되도록 최대한 노띄한다 넷째 연구는 찬여지의 보호지가 아동의 잔여에 대한 서면 동의 후 이루어진다 3. 연구의 절차 1) 연구 장소 및 기간 본 연구의 장소는 아동듬이 일과를 보내는 어린이집 망과후 교실에서 시행되었으며 연구 찬여자인 장애아동과 일반아동들븐 연구지가 인도하는 음악활동에 잔여하였다 음악활동은 주간 주 회씩 회기 시행되었고 이때 매회기마다 관참파 구술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 7.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15 . < 3> . ( , , 2009; , 2007b; Gunsberg, 1988) , , , . ( , 2011) , , . ( , 2007a; Gunsberg, 1988) , , , (2006/2008) . . . . . . 195 2) 음악활동 증재전략 음악활동 중재전략은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을 사용하여 장애아동과 잊반아동의 사회성을 증진시킨 논문의 중재 전략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지시적 가사와 주고받는 구 조라는 음악의 특성이 모두 들어있는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음악에 맞춰 몸동작하기로 구성 된 음악활동을 회기로 구성하여 심사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 표 과 같다 〈표 3>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활동 전략 음악의 특성 음악활동 방법 지시적 가사 노래의 일부분올 자신의 말로 비꾸이 채워부르기 노 장혜성 장혀1 원 노래부르기 래의 가시에 지시른 니]려 노래부르기 합창히기 중창 장혀1원 히기 주고받는구조 악기연주른 또래외 낸갇아 연주하기 또래틀과 악기의 장혜원 악기연주 앙상블。1 뇌도록 연주하기 번간아 연주하는 구조에 따라 사선의 순서에 정 "'1 하여 마읍껏 즉흥연주하기 음익의 구조에 맞추아 번갈아 동작히기 음악이 연주 주고맏는구조 음익에 맞추이 되다 그치연 또래와 동작올 염추고 연주가 되연 같이 장혀]왼 봉동작히기 동작히 기 리등박스에서 니 와는 리듬에 맞추이 동작히 기 익기의 소리에 따라 또래와 짝올 짓거나 헤아지는 행동히기 3) 완전참여자로서의 연구도구인 연구자 안혀1 준 역 븐 연구지가 연구하는 곳에서 잔여자의 일원이면서 동시에 연구자인 것을 완전찬여지라고 하였다 질적연구는 양적연구와 다르게 연구대상파 동떨어진 객관적인 관참지가 아니라 연구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네 연구잔여지와 상호작용하띤서 현상을 피악하고 맥락화시키는 도구라고 하였다 연구지가 완전찬여지가 될수록 연구찬여지와 많은 상호작용이 이푸어지고 지신의 위치틀 잃을 수 있으니 더 많유 찬여틀 히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더 늘어니게 된다 또한 완전잔여자가 되었을 때 연구참여지들이 연구지가 지신을 핀 찰하고 있다는 사심을 모르는 강점이 있어 연구참여자가 자선을 그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와전참여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음악활동의 프로그램을 심행함과 동시에 심행 후 녹화된 동영상 자료를 보면서 관찰을 시행하였다 연구
  • 8.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2005; , 2006/2008), 10 . . , . . 2 . . (1) (Strauss & Corbin, 1990). 15 . ( , 2005; , 2006/2008), . 10, 160 A4 25 . (2) 196 자가 와전창여자로서 음악활동을 진행하므로 현장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특성과 관런된 사회 적 관계를 민감하게 느낄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칠적연구에서는 연구자의 경험을 쌀려 현장 의 사람들과 깊숙이 상호작용하면서 그 현장의 삽아있는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김귀 분 외 안혜준 역 통합교육에서 년긴 임한 연구자의 경힘을 삽려 본 연 구의 현장을 이해하고 현상을 찾아낼 수 있는 연구자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4 연구의 자료 연구의 자료는 관찰과 구술 인터뷰를 통해 산출되었다 관찰 자료는 연구자의 분석적 메모 일지와 책임교사와 특수교사의 관찾일지의 내용이였R 며 구숲 인터뷰지료는 책임교사와 특 수교사 일빈아동의 인터뷰 내용이었다 장애아동유 언어장애틀 가지고 있어 음악활동에서 경험했던 일반아동파의 사회적 관계와 그틀 유도한 음악의 특성을 말로 표현하는네 어려윤 。1 있어 본 연구의 지료인 구술 인터뷰 지료 수집에서 제외되었다 1) 관찰 본 연구에서 심사한 음악활동은 모두 캠코더로 촬영되었으며 음악활동이 끝난 후 동영상 파입로 옮겨 연구자와 음악활동에 참여관찬을 시행했던 명의 책임교사와 특수교사에 의하 여 관찰임지로 분삭되었다 모든 관창은 매 회기마다 시행되었다 연구자의 분삭적 메모 분석적 메모는 연구지의 관참일지로서 질적연구의 분석파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연구자는 회간의 꽉영원 음악활동을 보띤서 관참된 각 음악의 특성과 연관된 장애아동파 일반아동의 시회적 관계를 핀참일지로 기록허였다 이때 생각파 느낀점을 힘께 작성하였는네 질적연구는 연구자가 연구의 도구가 되어 지신의 관점 과 생각이 연구틀 。1 끌어가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는 것으로 김귀분 외 안혜준 역 자료를 수집히고 분석하는 파정에 도웅이 되기 위힘이었다 모든 기록유 컴퓨터 문서로 저장되었으며 글지크기 줄간격 으로 용지 총 장 분량이었다 교사의 참여관찬노트 연구잔여자들과 함께 생활하는 책임교사와 특수교사는 모든 음악활동에 찬여히여 음악활
  • 9.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 10, 160 A4 31 . 47 10 MT 27 4 G 28 3 S . (1) (Polkinghorne, 2005). , 30 . 5 20 . 1 . 3 Polkinghorne(2005) . ( , 2005). . 5 20 10, 160 A4 8 , 16 . 197 동을 보조하였다 또한 준비된 노트에 음악활동에서 나타나는 입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사회 적 관계와 이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을 약기로 기술하였다 읍악활동 이후 약기된 참여관찬 잊지와 연구자가 메잊로 보내 준 음악활동 동영상을 토대로 구체적인 관찰임지를 컴퓨터 문 서로 작성하였다 책임교사와 특수교사 또한 관창힐지에 생각과 느낀 점을 함께 작성하였다 작성된 관창잊지는 글자크기 줍간걱 으로 용지 총 장 분량이었다 〈표 4> 본 연구에서 관잘자의 정보 교사 나이 동합교육경력 전공 연구에서의 억할 표기방법 연구지 ~。으。」 11 ‘]li 읍악활동 안도자 원전잠여 관걷지 씌임교사 。}←응교육 응악휠동 보조자 침여관찰자 특수교시 유。l-'특수교육 음익활동 보조지 잠여관진지 2) 구술 연터뷰 구술 인터뷰는 교사 인터뷰와 일반아동 인터뷰로 이루어졌다 교사인터뷰 인터뷰의 목적은 참여자의 경험된 정보를 보다 자세하고 와전한 섭명으로 이해하기 위함 이다 그라므로 연구자는 책임교사와 특수교사가 작성한 관찰입지에서 이 해되지 않는 문장이 있거나 부가섣멍이 필요할 때 다음 회기 음악활동 시행 분 이전에 교 사를 민나 그 내용에 대하여 임대잊로 구술 인터뷰를 섣시하였다 교사 당 각걱 회기 분 긴 시행하였다 모든 음악활동이 종결 된 후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소감을 시간씩 인터뷰 하였다 이는 한 대상자에 회 이상 인터뷰를 심사하여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산출하여야한다는 의 이론을 참조한 것이다 인터뷰는 인 터뷰 대상자가 자신의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 자유를 주기 위해 내화어조를 유지하도록 하였 다 김귀분 외 인터뷰 내용은 녹음되었고 녹음된 내용은 잔사되었다 교사 당 회가 분간 인터뷰 잔사량은 글자크기 줄간격 으로 설정된 용지로 장이었으며 총 교사 인터뷰 진사량은 장 분량이었다
  • 10.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 . . , ? , ? (2) 5 . . 5 . . , ? , ? , ? . . 10, 160 A4 7 . (constant comparison) (Strauss & Corbin, 1990) . , , 2 , , . , , . , . , 198 교사의 부가 설멍이 필요할 때 인터뷰 칠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내주선 관찰입지를 보고 이해되지 않는 운장이 있어서요 그 부분에 대한 섭멍을 듣고 싶습니다 둘째 그 문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섭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음악활동 종결 후 교사 인터뷰짐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활동에 참여한 아동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둘째 어떠한 음악이 아동들에서 변화를 가져오케 했습니까 일반아동의 구술 인터뷰 읍악활동의 대 회기 당 명의 아동틀을 번갈아 민나 입매입로 심시하였다 입반아등의 인 터뷰 순서는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정하여 。1 루어졌다 각 아동마다의 인터뷰 시긴은 음악활 동을 마치는 시간에 원반에서 분씩 이루어졌다 인터뷰 내용은 음악활동에서의 아동 자신의 경힘을 칠문한 것으로 구술 인터뷰 짐운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늠 음악활동이 어댔니 둘째 오늠 음악활동을 할 때 뭐가 있었니 셋째 오늠 음악활동에서 친구들은 어댔니 위의 짐문을 심사한 후 아동의 대답에 따라 다시 구체적으로 칠문을 던져 힐반아동의 경 험을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모든 구술 인터뷰 내용은 늑음되였고 녹음된 내용은 전사되었다 전사된 내용은 글자크기 중긴걱 으로 용지 총 장 분량이었다 5_ 데이터 분석 관찰과 구술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상시 비교 분석망법 을 사용히여 다음파 간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지는 연구지의 관참 일지 교사 인의 관찬일지 교사 일반아동 구술 인터뷰 문서를 종합하여 여러 벤 읽으며 코 딩을 시작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데이터 중 반복되는 문장과 단어 단락을 하나의 범주로 하 는 코딩북을 만들었다 셋째 코딩북의 코딩범주틀 반복적으로 읽으띤서 범주틀 니누어 새로 운 코딩범주로 정하였다 넷째 세 번째 단계를 반복하면서 범주가 분리되지 않을 때까지 범
  • 11.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4 . , . , . , . , . (< 2>, < 4> ), , ( : G-O-1 , , 1 ). (Morrow, 2005; Patton, 1990) . , , , . 1 1 , , , . 1 1 . Morrow(2005) . 199 주들을 분삭하였다 다섯째 번 단계에서 도출된 범주들의 내용을 읽어보면서 연관성이 있 는 벙주들을 합하여 주제로 구분하였다 여섯째 위의 다섯 단계릎 다시 거치변서 도출된 주 세가 세대로 도출된 주제인지 확인하였다 일곱째 최종적으로 도출된 주제와 연결된 범주의 내용을 읽어보띤서 주제가 니타내는 의미를 서숲허였다 여닮쩌 최종의 결파에 대하여 연구 에 참여했던 책임교사와 특수교사에게 의펴하여 결과의 선펴성을 확인하였다 아홉째 본 연 구에서 나타난 주제마다 종합 정리하여 각 주제마다의 각 현상을 섭멍하여 기술하였다 주세별 코딩을 위해서 사용된 표가방법은 연구관찰자 또는 구술 인터뷰한 사람 표 표 찬조 너1 이터 유형 코딩북 쪽 번호순이다 예 은 책임교시 핀찾 코드북 저1 쪽을의미함 6. 연구의 선뢰도 본 연구에서는 짐적 분삭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략 을 사용하였다 1) 삼각측량하기 연구에 포괄적인 지료틀 얻고지 한 가지 이상의 지료인 관참일지 구술 인터뷰지료릎 사용 하는 자료 삼각측량 방법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자 교사 아동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창여자 간 삼각측량 방법을 사용한다 2) 데이터 수접자 확얀 질적 분삭이 끝난 다음에 추후 데이터 수집자 확인을 위해서 연구의 자료수집에 참여했던 책임교사 인과 특수교사 인에게 연구과정과 결과를 문서로 발송하고 본 연구가 올바른 빙 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잘못 해석된 것은 없는지 중요한 사항이 빠진 것은 없는지를 확인 하였다 책임교사 인과 특수교시 인유 연구결파에 동의하였다 3) 열차적 데이터 기술하기 연구 주제의 발견은 데이터에 있다는 의 주장에 따라 연구자는 관찰문서 데 이터와 구술 인터뷰에서 니타난 네이터의 문장을 그대로 기술히여 본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 하였다
  • 12.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 , . , , . , , . < 1> . , , , ‘ ’ . 200 Ill.연구결과 음악활동유 장애아동파 일반아동 간의 모두 잔여하기 함께 즐기기 힘딱하기라는 사회적 핀계틀 유도하였는네 첫 번째 모두 찬여허 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은 친숙한 멜로디 간 단한 가시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이었다 두 번 째 힘께 즐기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븐 반복되는 멜로디와 재미있는 가시 템포의 변화 。1 였다 세 번째 힘댁허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븐 변하지 않는 템포와 신호인 악기소리 빈 복되는 가사이었다 다음의 그림 은 본 연구의 결과를 니티내는 모형으로 각각의 음악의 특성이 유도한 장 애아동과 잉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섣멍하고 있다 친숙한멜로디 간단한가사 익숙한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집해지는응익구조 빈복되는 엠로디 새미있는 가→사← 댐포의 변화 밴하지 않는 템포 선호인 악기소"1 반복되는 가사 ‘ ‘ 모두 참여하기 학끼) 즉기기 혐력하기 〈그림 1> 음악의 특성이 유도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돔의 사힘적 관계 1. 모두 참여하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친숙한 멜로디 긴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과 입반아동 간의 모두 참여하기 라는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였다
  • 13.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 . . (G-O-2) . . (S-O-12) . (G-O-3) . . . (S-I-5) . . . (S-O-4) . (S-I-2) 201 1) 친숙한 멜로디 많이 들어본 것 같은 느낌의 친숙한 멜로디는 장애아동과 임반아동이 읍악활동에 참여하 는데 도움을 준다 입반아동은 멜로디가 익숙할 때 새로운 노래도 쉽게 익히게 되므로 활동 에 쉽게 참여하게 되며 언어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은 입반아등이 쉽게 노래 부르는 것을 보 고 들으면서 용기를 내어 자신이 할 수 있는 밤음으로 창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노래는 그 전에 한번 불러보았던 멜로디오1 비슷해서 아동들이 쉽게 부를 수 있였 다 전반적으로 다 참여함 수 있었다 평소에 노래블 부르지 않는 영은이도 쿄사의 촉진 없이 또래듬응 따라서 큰 욕소리로 노래를 부를 수 있었다 익숙한 벨로디를 불렀는데 간단하여서 그런지 통함아동들이 참여하는 더1 에 직절한 활동이었다 오늘의 활동은 아동들이 쉽게 배을 수 있는 약숙한 멜로디였다 준호 의 정우는 발유。1 잘 안돼서 노래블 부릎 때 힘듬어하거든요 또래아이틀이 아는 노래같으니까 쉽게 부르죠 자기도 용기가 나는지 다른 때보다 많이 따라 부르려는 것 같아요 2) 간단한 가사 간단한 가시는 새로운 멜로디로 구성되어도 쉽게 따라 부틀 수 있게 하여 아동들의 찬여 릎 유도하였다 이는 가사가 어렵고 복잡한 노래들이 일반아동에게 어렵다는 느낌을 갖게 허 여 학습에 홍미가 떨어질 뿐 아니라 잔여도 떨어지게 히는 것파는 딜리 간단한 가사는 찬여 하기 쉽고 펀한 활동이라는 느낌을 주는 것P 로 일빈아동파 장애아동 모두에게 잔여를 높여 주는 요인으로 작용히고 있다 간단한 가사도 아동들이 처음 접히는 노래임에도 쉽게 따라 부릎 수 있는 것이 좋았 디 가시도 간단히고 반복적인 부분이 있이서 쉽게 배을 수 있어 모두 이려움 없이 참여 가 잘된 깃 김아요
  • 14.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G-I-2) , . . . (G-I-7) , . . (MT-O-8) . . . . (S-I-12) . . . . (C-I-1) . . 202 기존 곡듬이 가사가 어렵고 복좌한 것이 있잖아요 이런 노래는 배우기도 힘듬죠 오 늘 노래처럼 간단한 가사로 되어서 아이들이 노래하는네 떤해 죄 참여했으민 좋겠어 。 ~ 3) 익숙한 악가소리 평소에 익숙한 악기소리는 장애아동파 일빈아동의 잔여를 높여주는네 새로운 악기소리는 아동들에게 새로운 소리에 관심을 불러일으켜 활동보다는 악기에 지니친 관심을 집중시키기 때문이다 장애아동븐 평소에 연주해 보았던 익숙한 악기소리는 쉽게 잘 연주하도록 도와 이 틀 본 일빈아동븐 장애아동의 새롭고 좋은 모습을 툴 수 있는 기회틀 제공허게 된다 악기소리도 평소에 자주 틀어볼 수 았었던 익숙한 소리라서 디욱 쉽게 적응할 수 있 었던 것 같다 새로운 악기릎 제공하면 일빈이옹 정애이옹까지 그 악기에 집중해 활동에 참여히는 데 이려움을 보이는 것 겁다 새로운 Q{/] 릎 탐색히려고 교사의 지사니 활동의 내용 에 귀블 기울이지 않는 것 갇디 뭐는지 익숙한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악기도 그렇구요 해봤던 것이니까 전 연주하고 같이 참여도 된 것같고 특히 통함아들은요 오늘 악기 연주하는데 영은이가 안틀려서 좋았어요 틀라면 찌증니요 그깃 탬버린였 잖아요 많이 해봤어요 4)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변화되는 음약 구조는 장애아동에게 펑소에 익숙했던 활동에 조금씩 다른 과제를 넣어 제공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갖케 하여 활동의 내용 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였으며 활동올 해나가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쉽고도 새미있는 활동 이라는 느낌을 갖케 하여 참여를 유도한다 입반아등에게는 단순하지민 계속적으로 복잡하 게 변화되는 활동을 경험하면서 앞으로 어떠한 활동이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기대와 흥미릎 경험하게 하여 잠여릎 유도하게 된 것이다 활동야 하니의 노래를 。1 용히여서 여이 가지 활동으로 변형되이 니가는 것에서 통협
  • 15.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G-O-23) , . . (S-O-16) , . . (G-O-9) . . . (E-I-2) , , ‘ ’ . . . . . . (G-O-7) . . ‘ ’ . 아동듬이 훨등에 내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었고 재미있게 침여블 할 수 았었디 쉽게 시작해서 조금씩 이려위지는 활동이라서 그런지 모든 아동들이 참여힐 수 있었 다 악기 릎 연주하면서 악기를 가져온다는 것에서도 아동들이 핑소에 했던 활동에 다 른 점을 넣으므로 진행될 휠동에 내한 츄 더 홍미릎 느낄 수 았었디 노래를 먼저 배 우고 그 노래에 빚추어 걸어보고 그 박자에 빚춰 악기를 연주하니 어 렵지 않고 그러니 전 따라하는 것 같습니다 간딘하게 시작해서 점점 어려워지는 것 이 아이능이 흥띠를 잃지 않고 모두 힘께힐 수 있는 것 같습니다 ~l- 도외줘서 좋아요 노래하고 노래랑 이것 치고 종추니까 쉬어요 그래서 민 F가 진l 했나봐요 2. 함께 즐기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203 반복되는 멜로디 재미있는 가사 댐포의 변화는 장애아동과 임반아동 간의 함께 즐기기 라는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였다 1) 반복되는 멜로디 입반아동은 반복적인 멜로디 안에서 약센트를 넣어 부르거나 목소리를 다르게 하여 즐기 면서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멜로디가 반복되는 것이 재미있으며 이라한 재미있는 부 분을 상승시카라고 약센트를 넣거나 목소리를 변조하는 장의적인 놀이로 진행하고 있는 것 이다 이를 본 장애아동은 노래의 반복적 멜로디 안에서 입반아동이 강조하는 가사 부분을 같이 모빙하여 따라 부르면서 그 즐거움을 함께 한다 이는 반복되는 멜로디 안에서 잉반아 동에게 소외되지 않고 함께 즐거움을 공유하는 장애아동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반복되는 선율이여서 아동들 대부분 모두 재미있어 하였다 아동듬은 반복되는 멜로디블 즐거워하면서 따라 부르고 나름대로 창작하여 목소리릎 변조하여 노래 붙렀디 二l 과정에서 서로 옷으며 깔깔거리는 모습올 볼 수 았었디 시라송파미레도 。1 멜로디가 반복될수록 아동들이 강조를 하여 즐겁게 따라 부른다 여기서 장애아동이 똑같이 힘음 주어 크게 노래하며 서로 보고 웃는 것을 볼 수 있였
  • 16.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MT-O-13) . . (G-I-5) . . . ? . . (MT-O-29) . . (G-I-13) . , . . ? . . (B-I-2) . . . . . . (MT-O-9) 204 디 그 가락이 자주 반복되는 것이 재미있나봐요 가사 없이 람락라로 되어있는네도 뭔가 시주 니오니까 재미있니봐요 2) 재있는 가사 장애아동과 일빈아동들은 지신들이 생각하기에 재있다고 생각하는 가시가 니올 때마다 서 로 웃으띤서 공김대틀 형성하였다 아동들에게는 자신들이 생각하는 재미있는 가사가 있고 의성어와 의태어 간유 가사에 홍미틀 느낀다 이러한 자신들이 인정히는 재미있는 가시를 통 해서 함께 즐거움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얼씨구 좋구나 지화자 좋구나 가사가 재었는지 얼씨구하고 지화자에서 깔깔거리민 서 웃는다 장애아동도 함께 좋아한다 야아들 생각에는 그 가사가 웃 :;1가봐요 즘가는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깃 갇애요 그 말이 자꾸 나오니까 좋아요 헤헤 다 웃어요 그러니까 더 웃겨요 준호요 개도 나보고 웃잖아요 웃으니까 좋아요 3) 템포의 변화 장애아동과 일빈아동 모두는 음악의 템포가 변화될 때마다 음악활동을 허니의 게임으로 생각하며 다음븐 어떤 템포가 니올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과 ~에 맞게 동작하면서 음악의 변 화에 따라 지신의 봄이 운직이는 것에 희열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희열이라는 즐거웅을 계 속적으로 느 끼기 우1 허여 템포틀 변화시키도록 치료사에게 부탁하여 즐거읍의 도구인 템포를 지신들이 리드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장애아동은 음악의 템포의 변화에 따라 일빈아동이 웃 으며 즐거워하는 것을 보띤서 힘께 웃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템포의 변화에 따라 힘께 즐거응을 경험허고 표현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노래릎 부르거나 유약에 맞추어 동작할 때 유악의 댐포릎 빨라졌디 느려졌디하면 유 약에 집증하고 희열음 느끼는지 웃으띤서 좋아한다 장애아동파 일반아옹이 나뉘는 것이 아니라 모두 하나되어 즐기는 것음 볼 수 있였다
  • 17.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G-I-5) . (S-I-16) , , ‘ ’ . . , . , . . 4 4 . . . . . (MT-O-14) . . (MT-O-12) . (S-O-21) ? . . ? . (C-I-3) 선생님에게 유악올 빨리하자 느리게 하자 제시하면서 서로 유악에 맞춰 좋아하는 것 음 보민 아이들이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음악의 속도가 바뀌니까 친구들이 웃으니까 우라통협아동능도 텅닫아 좋아히는 것 같야요 3. 협력하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205 변하지 않는 템포 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사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협력하 기 라는 사회적 관게릎 유도하였다 1) 변하지 않는 템포 변하지 않는 템포는 일반아동에게 그 템포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유도허였으며 장애아동이 그 템포에 맞추어 동작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이와 간은 일반아동의 도읍P 로 장애아동은 점점 활동의 내용을 이해허게 되고 그 템포에 지신의 폼동작을 맞출 수 있도록 노띄허게 원 다 또한 변하지 않는 템포로 활동의 진행을 예견할 수 있게 된 장애아동은 그 템포에 맞추어 마음껏 폼을 흔들게 되고 그것을 본 일반아동유 지유로운 장애아동의 봄동작을 재있어하띤 서 간이 몸동작하는 것을 블 수 있다 이는 시범파 모방의 힘딱관계라고 할 수 있다 유약은 분의 박자의 댐포가 유지되는 유악이있디 일반아동틀은 유악 맞추어 파라 슈트를 협동하여 흔들 수 있도록 노략하였다 장애아동도 함께 합 수 있도록 신속하 게 도와주는 것을 볼 수 있였다 음악 빠르기가 변화되지 않는 것이 아동들의 행동음 규칙적으로 만드는 깃 같다 정애이옹은 행동이 둔허므로 일빈아동은 장애아동이 음 악에 맞추도록 도와주는 것 같다 장애아동응 또래아가 신속히 잘 도와주어서 장애。댐이 점점 활동의 내용응 파악할 수 있었다 동일한 댐포인 음약에 함께 협팍해야하므로 협랙하여 한 사람도 。1 단하지 않도록 도외주는 것응 볼 수 있었다 민우와 은지가 변함없는 유악의 템포에 따라 마유껏 동작하자 이를 본 이동듬은 좋야 하띤서 그 몸동직을 따라하기 시직하였다 야까 도와준거요 음악이 딱딱딱 니오니까 맞춰야 되요 그래야 재있잖야요 도와주니 까요 잘해서 좋아요
  • 18.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 (S-O-8) . . (S-O-11) 3 . . , ... . (G-I-5) . . (G-I-7) . . . . (A-I-3) . . 1 , . (S-O-17) 206 2) 선호인 악가소리 특정악기 소리는 어떤 행응을 하라는 약속이 들어간 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치료사가 언 어로 지시하지 않아도 악기로 선호를 보내어 그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유도하므로 입반아동 과 언어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이 언어적 지시에서 벗어나 모두 함께 한마음으로 동작하는 협 력적 관계를 갖게 된다 선생님의 특별한 이야기가 없이도 아동들끼랴 집증해서 악기 신호를 듣고 전 듣지 못 했던 친구들도 친구들이 움직이는 방향을 보며 반복직인 활동음 통해 점점 알아 길 수 있었다 야동들이 모두 스스로 해야 하는 것보다 힘께 활동힐 수 있는 것에서 서로 둡기도하며 민우가 종이 올릴 때 자랴를 바꾸어야하는데 잊어버려서 뜨래가 도외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음악에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 같이 맛추어야 한다는 것올 아는 깃얀가 봅니 다 종이 번 울렸응 때요 생싸게 짝응 끌어틀이는 것이 신기했어요 말보디 악기소리가 그렇게 집증음 시키다니 뭔가를 하게 하는 것 같아요 소21 가요 약기 신호가 마음을 모우네요 통함아들도 소외되지 않가1 찍을 만날라고 노픽하는 것 겁애요 소리 날 때 진구 못 찾아요 빨리 옆에 았는 애 작아야되요 그래서 쏟 진해졌어요 빨 리 해야되요 3) 반복되는 가샤 만복되는 가사의 노래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게 재미릎 주는 요소로서 규칙을 가지고 서로 힘을 합하여 재미있기 부르려고 협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협력은 재미있는 시간을 다 갖기 위해 가사가 나을 때마다 아동들은 웃긴 목소리를 내며 옆의 아동듬도 함께 그 목소려 를 내는데 협력하여 즐기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초등학교 학생 학생들이 쉽게 부릎 수 있도록 빈복되는 가사이였기 때문에 야동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었고 서로 웃으면서 판심음 보여 혐력이 자연스럽게 일어났디
  • 19.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MT-O-22) . . (G-I-14) , , , (2007) . , . (2009) , . ( , 2007a, 2007b) , . , , , ‘ ’ . , . . (2004) 아동듬은 노래부르기에 혐력 을 하는데 가사가 반복될수록 어떤 규칙 응 가지고 큰 꼭 소리로 노래했다가 작은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음 서로 힘을 합하여 하띤서 좋아한다 그 가사가 빈복되니 웃음의 시간올 더 늘리려고 그이는지 지가네끼리 웃끼 목소리릎 내려고 서로 둡는 하나가 되는 것이 재있었어요 통합이동도 예외는 아년 것 갇아요 N. 논의 및 제언 207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모두 참여하기 함께 즐기기 협력하기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가 협력 감정적인 유대관계를 의미한다는 송영혜 의 이론과 연관성을 보인다 이는 본 연구에서의 음약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임반아동에게 흥미를 느끼게 하여 서로의 즐거운 감 정을 나누는 유대관계를 유도하였고 。1 러한 즐거움을 지속하기 위해 협력하는 또래와의 사 회적 관계를 유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장혜성과 장혜원 의 연구에서 유도된 친밀감 애착과도 연관성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함께 즐기기와 협력하기는 친밀감과 애착 을 갖게 하는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또래와의 상호작용행동을 유도했던 기 존 연구 장혜원 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포괄적인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제시 하였다고 사료된다 1 모루 참여하기를 윤도하는 음악의 특성 친숙한 멜로디 간단한 가시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파 일반아동의 모두 잔여하기 라는 시회적 핀계틀 유도하였다 결과의 내용에 비추어 보아 친숙한 멤로디와 간단한 가사로 구성원 노래 익숙한 악기소리 는 장애아동파 일반아동을 자연스럽게 음악활동에 찬여틀 유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 연스러운 찬여는 시회적 관계 습득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로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음악활동을 통해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조 차 상심되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가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승미과 조광순 의 주장에 따라 참여는 그 자체가 아동의 치료나 교육에 있어서 가치 있는 중요한 기 능적 목표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과 입반아동이 함께 참여라는 목표를 위해 본 연구에
  • 20.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Forsyth, 1977; Madsen & Alley, 1979; Nelson, Anderson, & Gonzales, 1984) . . , , , . . . , . . (Bricker, 1998), · ( , 2005) , . , , , , (2007) . , , ‘ ’ . (2007b) . 208 서 도출된 음악의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의 특성은 자연스힘게 사람들을 음악활동에 참여시키는 힘을 가 지고 있어서 사회의 임원으로서 또래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동기제가 되었다 이는 음 악이 참여적 활동을 위한 중재와 지도에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 와도 연관을 갖는다 기존 연구들은 음악의 특성보다는 음약활동을 사용하였을 때의 참여행동에만 초점을 둔 한계를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특성과 이것이 유도하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를 소개하였으므로 음악사 용의 세밀한 전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친숙한 멜로디 긴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게 활동이 쉽다는 느낌을 주어 활동에 잠여하게 유도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잠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모두에게 쉽고 편안한 활동을 세시하여 활동에 점 차적으로 익숙해지케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변화되는 음약 구조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함께하는 잠여름 유도하였다 이는 일반아동에게는 흥미를 장애아동에게는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준 것이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흥미의 요소는 음악의 특성이 자 연적 중재의 잔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자연적 중재란 아동의 흥미릎 유발하여 또래와의 사회적 교류릎 이루는 잔략으로 활동을 장애아동에게 빚게 단순화시키고 조정 확장시키는데 원종례 단순한 구조에서 복잡한 구조로 변화되는 음 악구조는 장애아동의 잠여를 위해 조정 확장되는 전략과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약 활동에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참여를 유도하려면 난이도를 조절하고 익숙한 음악 제시 를 세공해야 한다는 장혜성 장혜원 황은영 김은영 의 중재 잔략과도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2. 함께 즐기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빈복되는 멜프로디 재미있는 가시 템포의 변화는 장애아동과 일빈아동 간의 함께 즐기기 라는 시회적 관계를 유도허였다 세 가지 음악의 특성은 장애아동과 입반아동에게 즐거운 정서표현파 즐거움의 공감대를 형성시키는데 이는 가사를 민들어 노래부르기 전략을 사용하여 장애유아와 잊반유아의 관계 를 즐거운 관계로 개선시킨 장혜원 의 연구결과와도 연관성이 있다 이라한 즐거운 관 계란 상대방에 대한 정서적 표현과 공감대가 사회적 관계로 순환된다는 기존 연구듣고}도 연
  • 21.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 , 1996; Bretherton, Fritz, Zahn-Waxler, & Ridgeway, 1986; Campose, Mumme, Kermoian, & Campose, 1994; Dunn, Brethern, & Mann, 1987). . ( , , , , 1985/1995; , 2002; , 2005; , 2007; Adachi & Trehub, 1998; Fielder & Simpson, 1987), . . . . Thaut(1987) . . , , ‘ ’ . . . Besrdsley(1987) ( , 2006 209 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홍준표 이는사회적 통함의 이슈인 장애아동과 잊반아동 긴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음악의 특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으로 즐거운 정서적 표현과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계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준 결과이기도 하다 또한 반복되는 멜로디와 가사가 삽입된 노래는 장 애아등에게도 정서적인 유대감을 형성시켜 김태런 염현경 정현지 김현정 역 이 수진 이숙회 장혜성 외 잊반아동과 함께 즐거움이라는 정서를 교류하는 관계로 진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템포의 변화는 장애아동과 입반아응이 즐기는 관계를 유도하는데 댐포의 변회를 게임으로 감지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은 그 템포의 변화에 따라 동작을 하면서 음약의 변화에 따라 옴 이 움직이는 것을 보변서 희열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즐거움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템포를 바꾸도록 치료사에게 요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게임으로서 음악의 템 포의 변화를 제시할 수 있으며 템포는 사랑의 신체를 자극하여 동작하게 하는 요소이므로 언 어와 인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아동에게도 일반아동과 함께 즐거움을 교류하는 사회 적 관계릎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또한 는 템포 속에서 아 동이 반웅하케 하여 자폐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했는데 이러한 변화되는 템포 가 장애아동 뿐 아니라 티 나아가 일반아동에게도 즐거움이라는 정서름 유발하여 모든 아동 이 함께 즐기는 환경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즐기는 사회적 관게 형성을 위해서는 아 동이 신호하며 흥미릎 줄 수 있는 음악활동을 구성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결과이다 3. 협력하기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 변하지 않는 템포 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시는 장애아동파 일반아동 간의 혐띄허 기 라는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였다 변하지 않는 템포의 음g149→ 아동의 행동을 규칙적으로 만들어 일빈아동은 장애아동이 그 템포에 맞출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간은 결과는 일빈아동이 변힘없는 템포의 음악을 통해 자신의 폼을 그 템포에 맞추도록 진정시키면서 장애아동이 그 템포에 몸을 조정하여 맞추 도록 둡는 이타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음악이 자아 내부의 여리 가지 갈등을 정화 시켜 조회의 상태를 유지하케 하여 스스로를 타인의 입장에 서게 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는 의 이론을 지지하게 하는 결과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도경희 에서 재
  • 22.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 . (2006) . . . , . . 1 . . , , . . , , , 5 ( , 2003). . 210 인용 변하지 않는 댐포의 음악은 변회가 없기 때문에 음악의 진행사항을 예견할 수 있게 된 장 애아동은 그 템포 안에서 즐겁게 몸을 흔들게 되고 장애아동의 동착을 재있어하는 입반아동 은 같이 장애아등의 동착을 따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시범과 모방의 협력관계라고 할 수 있다 리듬이 갖는 에너지는 뼈 근육을 자극시켜 음약 속에서 자연스럽게 손을 잡고 춤 을 추케 하는 사회 교류적 행동을 발생하게 한다는 최병철 의 이론과도 연관성이 있다 선호인 악기소리는 아동에게 소리에 집중하게 유도하는데 이라한 집중력은 장애아동과 입 반아등의 협력적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치료사가 언어로 지시하지 않아도 '"{71 소리가 선호가 되어 그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되므로 입반아동과 언어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이 치료 사의 언어적 지시에서 벗어나 모두 함께 서로 협력을 유도하는 상징적인 신호수단으로의 약 기소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이기도 하다 이상의 논의릎 정리해보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관게를 중진시키기 위해 본 연 구결과에서 도출된 음악의 투투성이 삽입된 음악활동이 사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의 망과 후 교실의 초풍학교 학년을 내상으로 시행하였다 추후 연구로는 초등학교의 다른 학년을 내상으로 연구릎 실시하여 또래와의 사회적 관게를 형성 시키는 음악의 특성에 내하여 심도 있게 분석해야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 일반아동 연구자의 관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보호자의 관점을 보충하 여 좀 더 폭넓은 자료 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잠여하기라는 결과름 유도하였다 잠여라는 개념 은 비참여 일시적 참여 미분화된 참여 정교화된 잠여로 이루어진 단케 참여의 섣로 나눔 수 있다 이소현 그러므로 추후연구는 음약의 특성을 중재진략으로 사용하였을 때 장 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어떠한 참여의 짙적 수준을 보이는지 추적하는 연구를 세언해본다
  • 23.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1999). . . : . , , , , , , , , , (2005). . : . (2000). . (1), 29-51. , , , ( )(1995). (E. H. Boxil). : . ( 1985) (2006). . . : . , (2011). . (2), 45-69. (2007). . : . , (2004). . (1), 105-133. (2001). . . : . ( )(2008). (C. Glesne). : . ( 2006) (2000). . . : . (2005). - . . : . (2003). . : . , (2001). . : . (2002). . . : . (2005). . (1), 407-430. , (2009). . (1), 27-48. , , , (2007). . : . (2007a). 211 참고문헌 강병은 또래아동파의 협동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힘능릭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북 우석대희교 .Jll육대헥원 김귀분 신경립 김소선 유은굉 김니츠 박은숙 김혜숙 이정순 깅숙영 서연옥 질적 연구방법 론 서울 현문사 김미숙 원전통합교육환경에서 놀이활동이 받달지재유아의 시회적 기술습득과 유지에 미치는 효 파 특수교육학연구, 35 김태련 연현정 정현지 김현정 역 학교출판부 윈작 발달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 서올 이화여사대 도경희 방과후 아동지도 응악활동이 츠등학생의 진시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정구논문 서윷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한원 빅정묵 서보윤 초웅희.J1Z 정의적 처1 쩍활통 시간을 황용한 학급 년위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댐 개빛 및 효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송영혀1 또래관계 진단과 지료 서울 집문당 신승미 조굉순 선호성 증상의 교육과정 수정적용이 받달장애유아의 활동잠여 및 문제행동에 미 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4 시보정 게임증선의 레크리에이션 황동。1 정선지제 희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파 띠간행 석사학위 정구논문 충남 공주대학교 대학윈 안혀1준 역 질적연구자 되기 서올 아카데미프레스 원 "'1 유선영 비장애아동의 장애친구및 비장애 친구에 대한 능이 행동 특성파 친구관계지각 띠간행 석사학위 정구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종례 Iι사간 혐력'i'델이 적용펀 활동증선 삽입교수 증새가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여 발딩에 미치는 영향 미긴행 박사학위 정구논문 서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윈 이소회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소현 빅은혜 장o~ 유아 통합지원 교육과정 서올 학지사 이수진 집단응익활동이 츠둥학생의 공격싱 간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시학위 청구논운 서 올 숙냉여사 음악치료 대학원 이숙희 통합적 유야 음악교육。1 유아의 옴약적 홍미와 옴약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피 육학효l 지, 12 장혜성 장혜원 방파 후 음악활동。1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복지체 부자유잉구, 52 장혀1 성 장혜원 형은영 김은영 개별화교육프로그램파 연껴한 장O~ 마 음악활동의 01 론고I 실제 서울 교육파학사 장혜원 비장애유아와 학께하는 읍악능이가 어린이집에 통합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직용 챙
  • 24.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 (3), 133-150. (2007b). . (4), 45-66. (2011). . (1), 223-249. (2006). . : . (1996). . , 87-120. Adachi, M., & Trehub, S. E. (1998). Children’s expression of emotion in song. Psychology of Music, 26, 133-153. Bretherton, I., Fritz, J., Zahn-Waxler, C., & Ridgeway, D. (1986). Learning to talk about emotion: A functionalist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57, 529-548. Bricker, D. (1998).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Baltimore, ML: Paul Brookes. Campose, J. J., Mumme, D. L., Kermoian, R., & Campose, R. G. (1994). A functionalist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emotion. Monograph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 (2-3, Serial No. 240), 284-303. Dunn, J., Brethern, I., & Mann, P. (1987). Conversations about feelings states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3, 132-139. Fielder, C. R., & Simpson, R. L. (1987). Modifying the attitudes of nonhandicapped students towards handicapped peers. Exceptional Children, 53, 342-349. Forsyth, J. (1977). Elementary student attending behavior as a function of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5, 228-239. Gunsberg, A. (1988). Improvised musical play: A strategy for fostering social play between developmentally delayed and nondelayed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Music Therapy, 25(4), 178-191. Haverkamp, B. E. (2005). Ethical perspectives on qualitative research in applied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46-155. Madsen, C. K., & Alley, J. M. (1979). The effect of reinforcement on attentiveness: A comparison of behaviorally trained music therapists and other professionals with implications for competency- based academic prepara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16, 70-82. Morrow, S. L. (2005). Quality and trustworthiness in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50-260. Nelson, D. I., Anderson, V. G., & Gonzales, A. D. (1984). Music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ournal of Music Therapy, 21(3), 100-116. Patton, M.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Newd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Polkinghorne, D. E. (2005). Language and Meaning :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37-145. 212 통에 미치는 효과 얻어치료연구f • 6 장혀1 원 옴약놀이를 통한 받달지재유아와 일반유아의 관계변화에 내한 질적연구 정신지체연구1 9 장혜원 사희생을 촉진하는 음악환통이 통합어린이집 발딪장애유아의 사희생 말딩에 미치는 영 향 지직장oH 연구, 13 최빙칠 음악치료학 서울 핵지사 홍준표 사회정서발달 진단과 지토앙법 한야아통희회 추계희술대회
  • 25.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Thaut, M. H. (1987). Visual vs auditory stimulus preferences in autistic children. A Pilot stud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17, 425-432. 213
  • 26. 특수교육 제 권 제 호11 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sic elements which influenc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rmal peers during group music activities. A total of nine children (4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5 normal peers) participated 15 group music activities. Observation record and oral interview were made to get data from each activity, and all time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earch results, musical elements induce social relations such as joint engagement, enjoyment, and cooper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First,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joint engagement are familiar melodies, simple lyrics, familiar instrument timbres, and musical structure that change gradually from simple structure to complex structure. Secon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enjoyment are repeated melodies, interesting lyrics, and change of tempo. Thir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cooperations are unchanged tempo, instrument timbre, and repeated lyrics. As meanings of the research, it presents which social rela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are shown and which musical elements affect these social relations. And so it is suggested that musical elements as more precise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needed for music activities, current intervention program. Key Words : musical elements, social relationship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2011. 12. 31 2012. 02. 04 2012. 02. 07 214 ABSTRACT A Study about Music Elements Affecting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Jang, Haewon 게재 신청일 수정 제출일 게재 확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