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8
Download to read offline
特Jou殊rn敎al育of再Sp活ec科ial學E硏du究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6, No. 4, pp.103~130,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 실험 연구*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김 경 미**ㆍ김 진 미*** 
Kim, Kyeong MiㆍKim, Jin Mi 
< 요 약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변화 정도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만 7세 6개월 된 남아로 일반초등학교 2학년 
에 재학 중이며, ADHD로 진단을 받았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 중 ABAB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1 기간(A) 3회, 치료1 기간(B) 3회, 기초선2 기간(A') 
5회, 치료2 기간(B') 6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1과 2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치료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Tetra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집중력은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MWCT)를 사용 
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균형 능력은 기초선1ㆍ2 기간과 비교하여 치 
료1ㆍ2 기간에 보다 향상되었다. 아동의 집중력은 기초선1부터 치료2 기간까지 지속적 
으로 향상되어 직접적인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우나, 기초선2 기간보다 
치료2 기간에는 향상된 정도가 더 크므로 감각통합치료가 집중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따라서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이 
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를 집중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운동적인 부분까지 
제시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지하였으며, 보호자의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 
켰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 
으므로 향후에는 인원수 및 치료기간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 감각통합치료,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균형, 집중력 
* 이 논문은 2006년 인제대학교의 학술연구지원에 의한 연구임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nje University Grant 2006 
**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kmik321@inje.ac.kr)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je University 
*** 인제대학교 대학원 뇌과학협동과정 석사과정 
Graduate program in Neuroscience, Inje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Ⅰ. 서 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 
HD)는 학교와 집 그리고 사회 환경 내에서 작업수행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는 
지속적인 집중력, 충동 조절, 활동 수준의 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ADHD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신경발달장애 
이며, 유병률은 약 2~18%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만 6세~12세 아동의 3~8%, 
일본의 경우 7.7%가 이에 속하며 여아보다 남아의 발병률이 3배 정도 많다 
(Brown, Freeman, & Perrin, 2001). ADHD 아동은 자신의 행동을 제어하는 능 
력이 떨어지므로 쉽게 외부자극에 의해 산만해지거나, 물건이나 약속을 잘 잊어 
버리며, 지시를 따르지 않아 학습이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때가 많다 
(Barkley, 2003). 또한 대인관계 시 불안, 사회적 회피, 내향적 성격을 보이며 
우울증, 틱장애, 불안장애,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학습장애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Leung 등, 1994). ADHD의 발병원인은 신경생리학적 혹은 생화학적 이상, 
대사 장애, 유전적 이상, 환경적 원인, 임신과 출산 합병증, 섭식 문제 등 매우 
다양하게 제기되었다(Jensen, Mrazek, & Knapp, 1997). 그러나 사회심리학적 
요인보다 근본적인 신경생물학적 요인이 중요시되며 기능적 뇌영상을 이용한 신 
경심리학, 유전학, 신경생화학 등 여러 영역의 연구를 수렴해 본 결과 전두엽-선 
조체 조직(fronto-striatal network)의 비정상적인 이상이 ADHD의 주요 원인 
임을 추측할 수 있다(Durston, 2003: Bush 등, 2005). 
현재까지 ADHD의 치료는 약물치료가 대부분으로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 
nidylacetate hydrochloride: MPH)를 주로 사용하며, 이 약제는 정신자극제로 
서 ADHD 아동의 70~80%에서 충동성과 과잉행동을 줄여주며, 주의력을 증진시 
켜준다. 그러나 MPH와 같은 약제의 작용기전은 최근에 와서야 밝혀졌으며 불면, 
식욕감퇴, 자극과민성 등과 같은 단기적인 부작용과 키와 몸무게에 영향을 미치 
는 성장 문제와 같이 장기적인 부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정신자극제가 단기 
적인 측면에서 증상을 호전시킨다는 사실은 확실하지만 장기적으로 뇌에 지속적 
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기 어렵다(Ernst 등, 1994). 
약물치료 외에 ADHD의 치료 방법에는 작업치료, 인지치료, 행동치료, 놀이치 
료, 보호자 교육 등이 있다. 작업치료에는 다양한 이론의 틀이 있는데 그 중 감 
각통합치료는 신경과학, 생물학, 심리학, 교육학의 원리에 기초하여 작업치료사 
인 A. Jean Ayres가 개발하였다(Ayres, 1972).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신경 
학적 요구에 맞게 조절된 감각경험들을 다양하게 제공해 줌으로써 정상적인 신 
- 104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경운동 발달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감각들을 처리하고 통합하는 중추신경계 처리 능력을 향상시 
키는 치료이다(Fisher, Murray, & Bundy, 1991). Ayres(1972)는 행동과 학 
습의 문제가 뇌의 감각-운동 하위중추를 상위중추가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감각운동의 발달은 학습을 위해 중요한 기초가 되며, 환 
경과 개인의 상호작용은 뇌를 발달시키며, 의미 있는 감각운동 활동은 뇌를 변 
화시킬 수 있다. 비록 Ayres의 가설이 세워진 시기에 비해 신경계가 매우 복잡 
하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지만 여전히 감각통합이론은 설득력이 높다 
(Schaaf & Miller, 2005). 왜냐하면 신경 기능에서 세포, 분자, 구조가 변화한다 
는 연구결과는 의미 있는 감각운동 활동이 가소성의 중개자가 될 가능성을 암시 
하기 때문이다(McKenzie 등, 2003). 
Ayres(1972)에 의하면 운동 협응의 결여, 운동 계획의 어려움, 다양한 지각 
운동 협응의 정도 및 균형의 손상은 억제의 결여와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모든 증상은 감각통합 장애에서 나타난다. 감각 입력의 억제 처리는 중 
추신경계에서 일어나며, 감각 운동 조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Ayres, 1972). 개인이 성장하고 발달함에 따라 감각통합 체계는 무의미한 정 
보는 억제하도록 발달되고 중추신경계 각성이 과잉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그러 
나 이러한 발달적 특성이 ADHD의 경우 나타나지 않는데 감각-운동 항상성 및 
억제의 결여, 느린 전두엽 처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불충분한 전 
정 감각 및 체성감각 피드백과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Stratton & 
Gailfus, 1998). 여러 연구자와 임상가들은 ADHD 아동이 일반적으로 감각처리 
의 어려움을 가지며(Prudhomme White, & Mulligan, 2005), 학령기 정상아동 
의 10.3%가 감각통합장애를 보인 반면 ADHD 아동은 84.3%가 감각통합장애 
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Guo 등, 1999). 특히 ADHD 아동은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의 서기 및 걷기 균형, 공간시각화, 도형모방, 회 
전 후 안구진탕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전정감각 처리와 실행 
(praxis)영역 및 운동 계획의 문제를 나타내는 것이다(Mulligan, 1996). 또한 
ADHD 아동은 기저핵의 용적이 작으며,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이고, 소뇌의 크 
기가 작은데, 기저핵과 소뇌는 균형유지와 운동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eicher 등, 2000). 따라서 ADHD 아동에게 균형의 문제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Hern & Hynd(1992)는 과잉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이 정상아동에 비해 비 
정상적인 근 긴장도와 균형, 발과 다리 및 손과 팔의 불협응, 비정상적인 감각 
지각과 같은 미세한 신경학적 징후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것은 ADHD 아동이 
감각운동 영역에 중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Dunn & 
- 105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Bennett, 2002), 특히 시각, 전정 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처리의 문제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ADHD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하여 미세운동 조절과 운 
동감각성 시각의 어려움이 많으며(Whitmont & Clark, 1996), 시-운동 결핍과 
(Raggio, 1999), 뇌의 처리속도가 느린 것을 알 수 있었다(Pitcher, 2001). 이 
것은 Piek, Pitcher, & Hay(1999)의 주의산만이 운동 능력 중 특히 미세운동 
능력의 결핍과 관계가 있다고 한 결과와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Leiter-P(Leiter International Performance Scale) 검사 
결과 집중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집중력은 시각 및 청각처리와 고유수용 
성 감각, 전정 감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Mangeot 등, 2001). 
Ayres(1979)에 의하면 촉각,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과 같은 다양한 감각들 
이 바탕을 이루고 난 다음 반사통합과 자세 메카니즘이 형성되며, 그 후에 집중 
기간이 향상되고 차츰 지각이 발달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집중력, 조직화, 자존 
감, 학습 능력 등이 최종산물로 나타난다고 한다. 따라서 ADHD아동의 비정상적 
인 감각처리로 인한 균형, 운동, 집중력, 행동과 사회적인 문제, 낮은 자존감, 학 
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뇌의 처리 기능을 향상시키는 감각통합치료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DeGangi, 2000). Stonefelt & Stein(1998)은 
ADHD 혹은 주의력결핍 장애가 의심되는 8명의 학습의 어려움을 갖는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 중 직선움직임 및 회전 활동, 촉각자극과 심부압박, 게임, 점핑 및 
바운싱 활동을 중점적으로 제공한 결과 대운동, 미세운동, 균형, 협응, 주의집중, 
수학, 언어, 읽기 능력, 자존감, 행동, 사회기술의 수행능력이 6명은 뚜렷하게, 2 
명은 약간씩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ADHD 아동 22명을 전 
학령기와 학령기 그룹으로 분류하여 여러 재질의 직물과 진동감각, 심부압박과 
같은 감각 식이(sensory diet)를 적용하고, 체성감각 및 전정감각 놀이 활동을 
실시한 결과 학령기 그룹에서 집중력과 읽기 능력, 철자 능력 등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Nikharge & Mulgaonkar, 2002). 
위의 연구결과들은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다양한 수행요소 및 
수행영역의 변화를 보고하지만, 실제로 국내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ADHD 아 
동의 산만함과 과잉행동, 충동성 등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고 치료를 하고 있으 
며,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감각 및 운동발달에 관한 효과는 ADHD 아동외에 발 
달장애, 정신지체,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주로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 
나 ADHD 아동 역시 집중력의 문제뿐만 아니라 균형, 운동계획, 협응, 지각-운 
동의 문제를 갖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문제 중 특히 전정 감각과 체성감각 처 
리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균형 능력과 뇌 전체의 기능이 통합되고 성숙하였을 때 
- 106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나타나는 집중력이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다.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균형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집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 
본다. 
Ⅱ. 연구 방법 
- 107 - 
1. 연구대상 
P시에 거주하는 만 7세 6개월 된 남아로 2007년 현재 일반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며, 2004년에 다른 사람을 때리는 경우가 많으며 지시 따르기가 안 
되어 P 대학병원에 의뢰한 결과 ADHD로 진단을 받았다. 아동은 산만하고, 과 
잉행동을 보이며, 상황에 부적절한 말이나 행동을 하며, 또래관계가 원만하지 못 
하고, 문제해결능력의 부족 등으로 본 대학에 의뢰되었다. 아동은 40주에 순산 
하였고, 출생 시 몸무게는 3.4kg이었으며, 약간 황달이 있었다. 출생 후 2주 동 
안 몇 시간씩 울음을 그치지 않았으며, 분유 수유 시 급하게 빠는 경향이 있었 
다. 신체 발달은 정상적이었으며, 14개월에 걷기 시작하였고, 대소변 가리기는 
20개월경에 가능하였으며, 자조기술은 약간 느린 편이었다. 보호자와의 놀이가 
어렵고, 눈 맞춤이 안 되었으며, 만 3세까지 분리불안이 있었다. 옹알이는 나타 
났으나 14개월경 엄마, 아빠라는 말을 하고 그 후, 30개월까지 말을 하지 않아 
2006년 초까지 언어치료를 받았다. 현재는 수용ㆍ표현 언어 모두 가능하다. 현 
재는 아버지, 어머니, 연년생인 여동생과 함께 살고 있으며, 2004년부터 지속적 
으로 약물치료를 받고 있다. 아동은 주당 1회 축구를 하며, 피아노 학원에 다니 
고 있으며, 낯선 장소나 불안한 상황에서는 손톱을 깨무는 행동을 보인다. 수학 
이나 과학에 관련된 책을 즐겨 읽으며, 그네 타기 시 발 구르기는 가능하지만 
오래 타진 않고, 놀이터에서 또래들과 어울려 놀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아동의 
초기 평가 결과는 <표 2-1>과 같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표 2-1> 아동 초기 평가 결과 
평가도구 평가결과 
- 108 -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보호자는 아동이 잘 이해하지 못하여 융통성이 없어 또래와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가장 걱정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 물건 정리를 못 
하는 것을 문제라고 여겼음. 또한 조급하고 과도하게 걱정을 하여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일상생활활동 평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총점: 114/126점 
대부분의 영역에서 독립적이나 의사소통과 사회인지영역에서 약간의 
어려움을 가짐 
감각력 면담 
(Sensory History) 
물이 튀면 피하거나 화를 내며, 풀 같은 것이 손에 묻었을 때 바로 
씻는 편임. 뜨거운 음식은 먹지 않으려 하며, 통증에 예민함. 높은 곳 
에서 뛰어내리거나 일부러 넘어지면서 전정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을 찾는 행동을 보임. 주변이 조용하지 않으면 쉽게 산만해지고, 예상 
치 못한 소리에 부적절하게 반응함. 상대방과의 눈맞춤이 어렵고, 고 
기종류는 잘 먹으나 채소는 먹지 않으려함 냄새를 맡는 버릇이 있음 
단축 감각 프로파일 
(Short Sensory Profile) 
총점: 141/190점 
감각처리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청각여과하기와 고유 
수용성 감각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 
임상관찰 
(Clinical observation) 
상지의 근긴장도는 약간 낮으며, 하지 근긴장도는 높은 편임. 동시수 
축은 상지는 중등도이며 머리는 약간 낮은 편임. 항중력 자세 유지 
(배와위 굴곡:supine flexion, 복와위 신전:prone extension)와 안 
구 운동 계획(ocular motor planning), 협응적인 눈 움직임에 어려 
움을 보임. 따라서 전정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처리의 중추신경계 
내 어려움을 시사함 
브리닉스 오세레츠스키 
운동 평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총점: 123/147점 
하위검사별로 높고 낮음의 수준 차이가 크게 나므로 운동발달이 균 
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음 균형에서는 눈을 감았을 시 수행의 질 
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므로 전정계의 발달지연이 의심됨 
달리기 속도와 민첩성 - 10개월 지연 
상지협응 - 1년 4개월 지연 
반응속도 - 2년 7개월 지연 
검사 시 힘 조절이 어려우며, 지시를 잘 따르는 편이나 약간 산만함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일반 시지각(GVP): 108점 
운동-감소 시지각(MRP): 112점 
시각-운동 통합(VMI): 103점 
시지각 전반에서 평균이상 및 우수한 점수를 받았으나, VMI가 MRP 
의 점수보다 낮은 것은 손의 움직임이 서툴고, 눈-손 협응에 어려움 
이 있기 때문임 어떤 물체나 형상의 속성을 잘 이해하는 편이나, 시 
각-운동속도에서는 점수가 매우 낮음 
사회성숙도 검사 
총점: 75점 
사회연령: 8세 
사회지수: 123 
아동의 나이보다 약 4개월 이상의 수준을 보임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09 -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B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5월 5일부터 7월 23일까지 총 12주이 
었으며, 실험과정은 기초선1 기간(A) 3회, 치료1 기간(B) 3회, 기초선2 기간 
(A') 5회, 치료2 기간(B') 6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1과 기초선2 기간에는 감 
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치료 기간에는 I대학교 아동작업치료 실습실에서 
감각통합치료를 50분간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Tetrax(Sunlight Medical, Israe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집 
중력은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MWC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3. 연구 도구 
1) 균형 평가 
균형 평가는 Tetrax를 사용하여 0.01~0.25Hz 범위의 주파수 밴드에서 파생 
된 푸리에변환(Fourier transformation) 점수를 측정하였다. 
Tetrax의 균형 측정판(platform)은 A, B, C, D로 구분되어 각각 왼발 뒤꿈 
치, 왼발 발가락, 오른발 뒤꿈치, 오른발 발가락에서 입력된 수직 압력을 4개의 
Plot plates 파형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저장한다. 컴퓨터는 신호를 해석하 
여 피검자의 균형과 자세를 분석하며, 자세 동요(postural sway)를 측정한다. 
평가방법은 아동이 균형 측정판에 양발을 대고 가만히 서있도록 하며, 측정 자 
세는 (1) 눈 뜨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Normal position, eyes open, solid 
surface: NO), (2) 눈 감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Normal position, with eyes 
closed: NC), (3) pillow 위에 올라가 눈 뜨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Eyes open, 
on pillows: PO), (4) pillow 위에 올라가 눈 감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Eyes 
closed, on pillow: PC)이다. 각 자세마다 32초간 유지하도록 하고, 어떠한 말이 
나 움직임이 없도록 주의를 주었다. 
푸리에변환은 파형 신호를 수학적인 알고리즘으로 전환한 것으로 Hz로 표현 
되는 주파수밴드를 통해 자세 동요의 정도를 표현한다. 자세동요 푸리에변환 점 
수는 자세조절을 위한 시각, 체성감각, 전정 감각과 중추신경계 기능의 이상을 
알 수 있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자세 동요가 많으며, 수치가 낮을수록 자세동요 
가 적음을 의미한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 110 - 
2) 집중력 평가 
Cancellation test는 신경정신학적 평가도구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Dawes, 
2000). Cancellation test는 대부분 종이와 연필을 사용하여 시행하며, 표적 
(target)을 시각적으로 탐색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열된 글자나 
숫자 혹은 그림 중 특정 표적을 찾아서 지우거나 동그라미 표시를 하는 것이다. 
Cancellation test의 채점 방법은 과제를 완수하는데 걸리는 시간, 틀린 개수, 실 
패 알림 개수로 측정한다. Cancellation test는‘The C’s and E’s test’,‘2 
and 7 Cancellation’,‘Star Cancellation’,‘The Bells test’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MWCT는 1980년대 M. Marsel Mesulam과 Sandra Weintraub에 의 
해 개발되었으며, 본래 편측무시의 운동성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디자인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많은 연구들에서 MWCT를 주의력 유지, 주의집 
중, 시각스캐닝, 활동과 억제반응 능력을 검사하는데 이용하였다(Lezak, 1995). 
뿐만 아니라 시각스캐닝 속도와 효율성(Geldmacher & Riedel, 1999), 선택적 
주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Amieva 등, 1999). 또한 MWCT는 거식증 
과 과식증 성인 환자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Lauer 등, 1999), 알코올중 
독환자의 인지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Kapczinski 등, 1996), 전두엽절제환자의 
표적 감지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 그리고 선택적 주의력과 읽기 문제를 가진 아동 
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Casco, Tressoldi, & Dellantonio, 1998).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MWCT에서 60개의 특정 표적그림을 찾아서 동그라 
미 표시를 하도록 하였으며, 아동이 첫번째 표적그림에 연필을 대는 순간부터 
모두 찾았다고 말하는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초시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올바 
른 표적그림을 찾은 개수를 기록하였다. 
4. 연구 절차 
1) 기초선1(A)과 기초선2(A') 기간 
기초선1과 기초선2 기간은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기초선1 기간 
은 2주 동안 집중력 2회, 균형 능력 3회를 평가하였다. 기초선2 기간은 2주 동 
안 집중력과 균형 능력을 총 5회 평가하였다. 평가 장소는 I대학교 아동작업치 
료 실습실로 외부의 방해가 없는 조용한 환경 내에서 실시하였으며, 평가 시간 
은 총 15분가량 소요되었다.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11 - 
2) 치료1(B)과 치료2(B') 기간 
치료1 기간은 3회, 치료2 기간은 6회로 매 50분 동안 I대학교 아동작업치료 
실습실에서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치료는 Ayres(1972)가 제안 
한 원리에 기초하여 ADHD 아동의 균형 및 주의력 향상과 감각ㆍ대운동ㆍ미세 
운동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각 회기별 감각통합치료의 내용 
은 <표 2-2>와 같다. 치료는 주 1~2회, 비슷한 시간대에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 집중력과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3) 치료 내용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증대와 원활한 진행을 위해 치료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 
였다. 
(1) 치료가 실시된 장소는 아동이 다치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 
장 중요하므로 바닥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매트와 천정에는 매다는 
도구들이 견고하게 설치되었는지 매 치료 시작 전에 미리 점검 및 준비하 
였다. 또한 더 효과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 하도록 환경을 구조화시켰다. 
(2)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에게 특수한 운동기술이나 학습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 
므로 아동이 원하는 감각경험을 제공하였으며, 최대한 즐겁고 재미있게 아 
동을 중심(child-centered)으로 놀이 활동을 하였다. 또한 치료사와 함께 
자연스러운 놀이 활동을 통해 아동이 적절한 적응행동을 통합하도록 하였 
다. 
(3) 치료활동의 각 주제 마다 특정 목표와 준비물을 스토리에 맞게 구성하였 
고, 아동의 상상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보물찾기와 같은 가장상황(pretend 
situation)을 연출하여 아동이 더 적극적으로 의미 있고 재미있게 참여하 
도록 하였다. 
(4) 활동 단계는 준비활동, 본활동, 마무리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준비활동은 
아동에게 주제를 소개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활동수준 및 각성수준을 높이는 단계이며, 본활동은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는 적합한 활동들로 이루어진 단계이며, 마무리 활동은 본활동 
동안 흥분된 근육과 신체를 이완하고 각성수준을 낮추어 활동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5)감각 입력에 대한 아동의 반응 및 적응반응을 항상 관찰하여 적절한 자극 
의 양을 제공하였으며, 아동이 뇌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활동을 하게끔 격 
려하고, 부추기며, 흥미를 이끌어 내었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6) 각 치료 실시 전에는 본 연구자가 목표에 적합한 활동들로 구성되었는지 
검토하였으며, 실시 후에는 치료활동 내용 및 아동반응에 대해 재검토하 
여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하기 위해 이후의 활동을 
수정ㆍ보완하였다. 
회기 주제 및 목표 활동내용 및 세부목표 적응반응 
- 112 - 
1 
스쿠터보드 
축구 
준비 
활동 
ㆍ벽에 매트를 세운 뒤 스쿠터보드 
타고 발로 매트를 밀고 슈퍼맨처 
럼 양 손 뻗고 누가 멀리 나가는지 
타기 
ㆍ활동 시 필요한 
각성수준 및 활 
동수준 높이기 
ㆍ초기에는 스쿠터보 
드에서 자세와 위치 
가 안정적이지 못하 
였으나 후반부에는 
적절한 자세를 위치 
시킴 
ㆍ항중력 자세를 유지 
하는 것이 힘들어도 
동기부여로 오랫동 
안 즐겁게 참여함 
ㆍ마무리 시 각성이 낮 
아지며 이완이 잘 됨 
ㆍ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 
입력을 통한 
항중력 자세 
유지 및 양측 
협응 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본활동 
ㆍ전반전/후반전으로 나누어 스쿠 
터보드를 prone자세로 타며, 공 
을 상대편 골대에 넣기 
ㆍ항중력 자세 
유지 및 양측 
협응과 운동 
계획 능력 향상 
마무리 
활동 
ㆍweighted blanket을 아동의 
어깨에 걸쳐주고 감싼 뒤 어깨 
와 가슴부분에 심부압박 자극을 
제공하기 
ㆍ신체이완 및 
각성수준 낮추기 
2 
생선 통조림 
배달하기 
준비 
활동 
ㆍ줄을 잡아당겨서 플랫폼 스윙 
타다가 물고기(페트병) 잡기 
ㆍ각성수준 및 
활동수준 높이기 
ㆍ어깨안정성 및 
자세조절능력 
향상 
ㆍ처음에는 물고기 조 
준하여 넘어뜨리기 
어려웠으나 여러 자 
세에서 넘어뜨리기 
향상됨 
ㆍ페트병 1개 올리는 
것도 힘들어하였으 
나 후반부에는 2개 
까지 가능함 
ㆍ천막천에서 페트병 
을 미끄러뜨리기 위 
해 처음에는 양손만 
사용하였으나 나중 
에는 머리 위로 상 
지를 들어서 아래로 
흔들어 내려 보내는 
것이 더 쉽다는 것 
을 알아냄 
ㆍ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 
입력을 통해 
어깨안정성 
향상 및 자세 
조절 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ㆍ문제해결능력 
향상 
본활동 
ㆍ공장으로 옮겨 통조림 만들기: 비 
스듬하게 매달아 놓은 glider 
bolster를 건너가서 천막천 원통 
에 물고기 넣어 흔들어서 아래로 
나오게 하기 
ㆍprone자세로 frog swing 타며 
통조림 집집마다 배달하기 
ㆍ어깨안정성 향상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 
ㆍ전정 및 고유수 
용성 감각입력 
ㆍ항중력 자세 유지 
마무리 
활동 
ㆍ페트병 정리하기 
ㆍtherapy ball로 가슴 압박주기 
ㆍ신체이완 및 
각성수준 낮추기 
3 
그대로 멈춰라 
준비 
활동 
ㆍ아동이 그네들을 선택하여 치료 
사와 함께 매달기 
ㆍ각성수준 및 
활동수준 높이기 
ㆍ치료사보다 오래 매 
달리기 위한 동기부 
여로 평상시 보다 
ㆍ다양한 그네 본활동 
길게 유지함 
에 매달리는 
ㆍ‘그대로 멈춰라’동요에 맞춰 그 
네 사이를 돌다가 멈춰라 하면 
ㆍ적절한 타이밍 
능력 향상 및 
<표 2-2> 감각통합치료 활동 및 적응반응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13 - 
활동을 통한 
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 
입력 
ㆍ신체양측 
협응 및 굴곡 
자세 유지 
ㆍ적절한 도전과 
성취를 통한 
자존감 향상 
가까운 그네에 매달리기 
ㆍ상대방보다 오래 매달리지 못하 
고 떨어지면 벌칙으로 페트병 1 
개를 상대편에게 주기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신체양측 협응 및 
굴곡자세 유지 
ㆍ동요에 맞춰 움직이 
다가 잠시 멈추는 
행동의 타이밍을 잘 
맞춤 
ㆍ시합에서 이길 때 
즐거워하며 매우 
좋아함 
마무리 
활동 
ㆍ이긴 사람이 페트병 모두를 자신 
의 집인 박스집으로 옮기기 
ㆍ힘든 활동 
(heavy work) 
을 통한 각성 
수준 낮추기 
4 
퓨전 윷놀이 
준비 
활동 
ㆍ윷말을 아동에게 먼저 선택하도 
록 한 뒤 색지에 각자 자신의 
이름을 써서 붙임 
ㆍ치료사와 함께 규칙 정하기 
활동참여를 높이기 
위한 동기부여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 
용 향상 
ㆍ자신의 말과 치료사 
의 말도 움직여주며 
즐겁게 참여함 
ㆍ지령카드 걸리는 것 
재미있어하며 치료 
사가 걸린 것도 대 
신해줌 
ㆍbolster swing에 
예전보다 오래 매달 
리기 가능 
ㆍ램프에서 스쿠터타 
기 시 혼자 할 수 
있다고 독립적인 
모습 보임 
ㆍ치료사가 앞서 나가 
면 경쟁의식을 많이 
느끼는 편이나 짜증 
내지 않고 잘 참고 
지속함 
ㆍ동적인 균형 
능력 향상 
ㆍ다양한 활동 
을 통한 전정 
및 고유수용 
성 감각 처리 
능력 향상 
ㆍ규칙 따르기 
및 순서 
지키기 
본활동 
ㆍ약 120cm의 윷 4개를 벤치에 올 
라가 던져서 뒤집어진 숫자대로 
윷판의 말을 전진시키기 
ㆍ지령카드 걸리면 써 있는 대로 실 
시하기: 지령카드- 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을 제공하는 활동으 
로 총12개 
ㆍ상지 안정성 및 
동적인 균형 능 
력 향상 
ㆍ다양한 활동을 
통한 전정 및 고 
유수용성 감각 
처리 능력 향상 
마무리 
활동 
ㆍ치료사와 보호자와 안아주며 
심부압박 제공하기 
ㆍ이긴 선물로 사탕주기 
ㆍ이완하기 
ㆍ구강활동 제공 
하여 활동수준 
낮추기 
5 
돌줍기 
(망줍기) 
준비 
활동 
ㆍ종이에 실제 망줍기 판을 축소하 
여 그려놓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연습하며 규칙 정하기 
ㆍ활동 전 미리 
운동계획하기 
ㆍ동기부여하기 
ㆍ초기에는 선을 밟거 
나 균형을 잃고 두 
발을 데거나, 한 칸 
뛰어서 건널 때 선 
을 밟았으나 후반부 
에는 자세조절 능력 
이 향상됨 
ㆍ자신이 던진 망이 
선 밖에 나가거나 
실수하면 짜증을 내 
었으나 후반부에는 
감소하였음 
ㆍ사다리 올라가는데 
많이 힘들어하며 공 
을 꺼낼 때 순서나 
방법에서 약간 지연 
되었으나 스스로 방 
법을 바꾸어 가며 
해결함 
ㆍ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 
향상 
ㆍ실행 및 순서 
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ㆍ규칙 지키기 
본활동 
ㆍ1번 칸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칸 
까지 먼저 가는 사람이 승리: 2가 
지 망줍기 판을 준비하여 수행하 
도록 함 
ㆍ정적 및 동적 균 
형 능력 향상 
ㆍ상지 힘 조절 및 
협응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 
운동 발달 향상 
마무리 
활동 
ㆍ이긴 사람이 사다리 그네에 올라 
가 공 가져오기 
ㆍ힘든 활동 
(heavy work) 
을 통한 각성 
수준 낮추기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 114 - 
6 
보물찾기 
준비 
활동 
ㆍ종이에 각자 이름을 적고, 페트 
병과 고리를 써놓기 
ㆍ주제소개하기 
및 동기부여 
ㆍ주제소개하기 및 
규칙 짜기 시 집중 
하며 차분히 앉아 
있음 
ㆍ스쿠터보드 타기 시 
집중해서 안정적으 
로 탐: 자세 위치 
바르고, 다리와 목 
모두 신전 유지 잘 
됨 
ㆍ사다리 오르기 시 
손과 발의 위치가 
적절하며 안정적으 
로 오르내림 
ㆍ자세안정성 
향상 
ㆍ양측협응 및 
운동계획 능 
력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ㆍ적절한 도전 
을 주어 성취 
감 및 자존감 
향상 
본활동 
ㆍ보물(페트병, 고리)을 숨겨놓고 
세팅해 놓음 
ㆍ검정테이프로 길을 만들어 놓아 
선 따라 스쿠터 보드를 타고 가 
기: 천터널 및 벤치터널, 해먹터 
널을 통과하도록 구성: 치료도 
구 사이사이와 매트 사이, 안쪽 
에 보물들을 숨겨놓기 
ㆍ양측협응 및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전정 및 고유수 
용성 감각 처리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마무리 
활동 
ㆍ고리는 사다리 위의 바구니에 
넣기 
ㆍ치료사와 안아주며 심부압박 
제공하기 
ㆍ힘든 활동 
(heavy work) 
을 통한 각성 
수준 낮추기 
ㆍ심부압박으로 
이완하기 
7 
볼링 게임 
준비 
활동 
ㆍ그네와 공 선택하기 
ㆍ페트병 세팅하기 
ㆍ동기부여 및 고 
유수용성 감각 
입력하기 ㆍ항중력 자세 유지 
시간이 증가하였으 
며, 시각적인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 
ㆍ공을 던지는 타이 
밍이 점차 좋아지 
며, 운동계획 능력 
이 조금 향상됨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ㆍ상지 안정성 
및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본활동 
ㆍprone 자세로 그네를 타며, 상 
대방이 위치시켜놓은 페트병들 
을 공을 던지거나 굴려서 넘어 
뜨리기 
ㆍ상지 안정성 및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ㆍ양측협응 향상 
마무리 
활동 
ㆍtherapy ball로 배, 다리, 팔에 
심부압박 10회씩 제공 
ㆍ각성수준 
낮추기 
8 
나의 집을 
사수하라 
준비 
활동 
ㆍ볼스터와 페트병을 이용하여 집 
을 만들기 
ㆍ고유수용성 
감각 입력을 
통한 조직화하기 
ㆍ선을 따라 스쿠터보 
드를 밀고 갈 때 양 
측 팔을 협응하여 
추진함 
ㆍ후반부에는 볼스터 
를 뒤로 기울였다가 
앞으로 밀면서 타이 
밍에 맞추어 효율적 
으로 악당을 공격함 
ㆍ볼스터 등이 잘 쓰 
러지지 않도록 안 
전한 방향에 재배 
치하는 모습 보임 
ㆍflexor swing 타기 
시 바닥보다 더 높 
은 장소에 올라가 
서 뛰어 내리며 공 
격하는 모습 보임: 
타이밍 및 양측협 
응, 순서화 능력이 
향상됨 
ㆍ고유수용성 
감각 및 전정 
감각 처리 
능력 향상 
ㆍ동적 균형 
능력 향상 
ㆍ타이밍 및 
양측협응, 
순서화 능력 
향상 
ㆍ적절한 도전 
을 통한 성취 
감 및 자존감 
향상 
본활동 
ㆍtherapy ball과 flexor swing 
을 이용하여 지어 놓은 집을 무 
너뜨리기 위해 공격하기: ball로 
공격 시 밸런스보드 위에서 
던지기 
ㆍball, 타이어그네 및 flexor 
swing으로부터 볼스터와 페트 
병을 지키기 위해 손으로 쳐내 
거나 볼스터를 안고 쓰러지지 
않도록 버티기 
ㆍ동적 균형 능력 
향상 
ㆍ고유수용성 
감각 및 전정 
감각 처리 능력 
향상 
ㆍ문제해결 능력 
향상 
ㆍ타이밍 및 양측 
협응, 순서화 
능력 향상 
마무리 
활동 
ㆍ사수한 집에 쿠션, 담요와 
weighted blanket등으로 편안한 
환경을 만든 뒤 hide-out 할 수 
있도록 하기 
ㆍ이완하기 및 
각성수준 낮추기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ㆍ활동 주제 설명하기 
ㆍ치료사와 함께 규칙 정하기 
ㆍ페트병이 총 20개 있는데 반은 
눕혀져 있고, 반은 세워져 있음 
ㆍ정해진 시간 내에 한 명은 눕혀 
져 있는 것을 세우고, 다른 한 
명은 세워진 것을 눕혀서 마지 
막에 개수를 세어 승부를 결정 
ㆍtherapy ball, 터널, 로프, 경사 
로 등 다양한 장애물과 도전적 
인 환경 속에서 앉은 자세로 스 
쿠터보드를 타고 다니며 페트병 
을 눕히거나 세우기 
ㆍ치료사와 안아주며 심부압박 
제공하기 
ㆍ치료사와 함께 정리하기 
- 115 - 
9 
오뚝이 
ㆍ상지의 
안정성 향상 
및 근력 강화 
ㆍ전반적인 시 
각-운동 발 
달 향상 
ㆍ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양측협응 
향상 
5. 분석방법 
준비 
활동 
ㆍ주제 소개하기 
및 동기부여 ㆍ초반에는 스쿠터 
보드의 방향 조절이 
어려웠으며, 스쿠터 
보드에서 자주 떨어 
졌으나 후반부에는 
목적한 방향대로 
타고 다녔으며 2번 
정도 밖으로 떨어짐 
ㆍ경사로에서도 혼자 
잘 타는 편이며, 
치료사가 verbal 
cue만 제시함 
ㆍ치료사를 따라가며 
지지 않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함 
본활동 
ㆍ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문제해결 능력 
향상 
ㆍ타이밍 및 양측 
협응, 순서화 
능력 향상 
ㆍ신체상(body 
scheme) 향상 
마무리 
활동 
ㆍ심부압박으로 
이완하기 
ㆍ각성 수준 
낮추기 
Tetrax의 푸리에변환 수치는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자동 저장되며, 
MWCT의 소요시간과 찾은 개수는 각 회기별마다 검사용지에 기입하였다. 회기 
마다의 자료는 4개의 기간으로 분리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Excel 2003을 
사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은 각 기간별로 시각적인 변화율과 평 
균값을 제시하였다(Ottenbacher, 1986). 
Ⅲ. 연구 결과 
1.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균형 능력의 변화 
균형은 푸리에변환 점수로 측정하였으며, NO와 NC, PO와 PC로 구분하여 제 
시하였다. 먼저 NO의 각 기간별 평균 점수는 기초선1(22.91±2.39점)과 치료 
1(22.03±6.32점)시 극소한 차이밖에 없었고, 기초선2(23.99±4.03점)에는 기 
초선1 때보다 1점 정도 증가하였다가 치료2(16.11±6.49점)시 8점 가량 감소 
하여 눈을 뜬 상태에서의 자세동요가 적어졌으므로 감각통합치료를 통하여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 3-1>. NC의 각 기간별 평균 점수는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기초선1 때보다 차츰 감소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 
려우나 기초선1(37.1±8.92점)보다 치료2(28.31±10.24점)시의 점수 차이는 
약 9점으로 자세동요가 지속적으로 적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PO의 각 기간별 평균 점수는 기초선1(27.16±6.77점)과 기초선2(27.09± 
5.66점)시 상승하였으며, 치료1(23.50±1.67점)와 치료2(20.54±7.88점)시에 
는 감소하여 자세동요의 정도가 치료의 적용 유무에 따라 뚜렷이 구별됨을 알 수 
있었다<그림 3-2>. PC의 기간별 평균 점수는 기초선1(49.14±42.66점) 때보 
다 치료1(39.13±14.41점)시 눈에 띄게 감소하였으며, 기초선2(40.21±12.78 
점)기간에는 약간 상승하였다가 치료2(32.27±13.69점)시 기초선1과 비교하여 
17점 가량 감소하여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자세동요가 좋아졌으며, 특히 눈을 감 
았을 때의 동적인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자세별 자세동요 
푸리에변환 점수는 <그림 3-1>과 <그림 3-2>와 같다. 
기초선 1 치료 1 기초선 2 치료2 
20 I ~ I ',",'" 、I ‘ r! _________ | NC평균| 
<그림 3-1> NO와 NC 자세에서의 균형 변화 
- 116 - 
5C 
푸 4C 
리 
인익 tl~-~r~~.r-_ :- .....、 - 、/ 릎엽 
환 -c _ τ 를 .. ... 
정 / 1-- N。평균 
T< •O I 
0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회기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그림 3-2> PO와 PC 자세에서의 균형 변화 
2.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집중력의 변화 
집중력은 MWCT의 소요시간과 찾은 개수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기간별 
평균은 <그림 3-3>과 <그림 3-4>와 같다. 소요시간의 평균은 기초선 
1(279±9.89초)과 비교하여 치료1(145.7±4.16초)시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기 
초선2(131.8±19.31초)기간에도 치료1(87±14.97초)때보다 감소하긴 하였으나 
그 차이가 14초 정도로 기초선2와 치료2 기간의 55초 차이에 비하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집중력이 더 향상되었음을 나타 
낸다. 찾은 개수의 평균은 기초선1(58±1.41개)과 치료2(60개)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치료2 시에 
는 실수 없이 표적그림 60개 모두를 찾아 아동의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 
었다. 
- 117 - 
루컵 
"""= 딛짧 
기조선 1 치료1 기조선2 치료2 
• 00 
~U 
60 
40 
푸 리 에 변 화」 저g 
< 
T 20 
9 •O •• • 2 • 3 • 4 • 5 • 6 • 7 
회기 
2 3 4 5 6 7 8 
0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그림 3-3> MWCT의 소요시간의 변화 
기 효성 1 치료 ↑ 기 "션2 치 료2 
<그림 3-4> MWCT의 찾은 개수의 변화 
- 118 - 
60 
59 g 
。 
I nm 
R 
저 수 
( 1 
56 
55 
2 3 4 5 6 1 S 9 10 11 12 13 14 15 16 
회기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균형 및 주의력 
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형분석결과 눈을 뜨고 머리를 정위한 자세와 
눈을 감고 머리를 정위한 자세에서 기초선1 때보다 치료2 시 각각 8점, 9점 감소하 
였다. 또한 pillow 위에 올라가 눈을 뜨고 머리를 정위한 자세에서도 기초선1 때보 
다 7점 감소하였으며, pillow 위에서 눈을 감은 자세에서는 17점 차이를 보였다. 이 
것은 자세동요가 감소하여 보다 균형을 잘 유지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며, 특히 눈을 
감았을 때와 동적인 균형 유지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Zang 등(2002)의 
연구에 의하면 눈을 뜨고 평평한 바닥에 서있을 때는 전정 감각이 고유수용성 감각 
보다 유의한 관련이 있으며, 눈을 감고 평평한 바닥에 서있을 때는 전정 및 고유수 
용성 감각 모두 밀접한 관련이 있고, pillow 위에 올라가 눈을 뜬 상태에서는 전정 
감각과 가장 유의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전정 감각은 머리의 위치와 신체의 변화 
를 느끼게 해주며, 고유수용성 감각은 사지의 위치와 공간에서의 다른 신체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Fisher 등, 1991). 따라서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전정 및 고 
유수용성 감각 처리 능력이 향상되어, 정적ㆍ동적 균형유지 및 중력에 대한 인식과 
자세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연구결과로 진흥신(1992)은 2명의 자폐아동에게 감각통합훈련을 
실시한 결과 눈을 뜨고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으며, 김영희 
(2004)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한발로 균형잡기 
및 보행판 걷기와 같은 평형성 기술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김영록(2005)의 연구 
에서도 정신지체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총 30회의 감각통합훈련을 하였을 때 균형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평균대에서 걷기, 한 발 서기, 눈 감고 평균대 
위에 서기 등의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다. 최헌(2007)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 
를 사용하여 3명의 발달장애 아동에게 감각통합훈련을 한 결과 한 발 들고 균형유 
지하기 및 평균대 걷기와 같은 평형성과제에서 기초선 시 평균 1.4~2.5%의 수행률 
을 보인 반면 중재기와 유지기에는 평균 54~82%의 수행률을 보여 감각통합훈련 
을 통해 평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현희(2003)는 정 
신지체아동 3명에게 감각통합훈련을 30회 적용한 후 남캘리포니아 감각통합검사 
로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눈을 뜨고 한발 들기와 눈을 감고 한발 들기에서 변화가 
없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Stonefelt & Stein(1998)은 
ADHD 및 ADD로 의심되는 학습의 문제를 갖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 
료를 적용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에게 여러 기술영역과 관련하여 감각통합치료의 
- 119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효과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는데 약 88%의 응답자들이 균형 기술에서 효과적이었 
다고 답하였으며, 아동의 보호자와 선생님에게 조사한 결과 각각 88%와 72%가 
균형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답하였다. 이것은 감각통합치료 후 균형능력이 향상된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ADHD 아동은 운동 조절, 인지 처리, 집중력 조절의 문제를 모두 갖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준에 의해 아동이 침착해야 한다는 것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 
으며, 운동 및 인지 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부분이 있다(Aranha, 2006). 또 
한 균형과 자세는 운동 기능 중 기초적인 요소이며, ADHD 환자와 밀접한 관련 
이 있지만(Harvey & Reid, 2003), DSM-Ⅳ(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의 진단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Zang과 동료들(2002)은 감각통 
합장애가 있거나 없는 ADHD 아동 모두 균형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보고하였 
으며, Iwanaga 등(2006)은 ADHD 진단을 받은 전학령기 아동 46명을 대상으 
로 감각운동, 언어, 인지 능력의 특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J-MAP(Japanese 
version of the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을 사용하여 정상군 아 
동과 비교한 결과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이 균형, 자세조절, 손과 혀의 
미세운동, 운동실행 등의 순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ADHD 아동이 대운동 
기술 중 특히 균형에 어려움이 많음을 의미하며, ADHD 아동의 운동 수행의 어 
려움은 산만함이나 과잉행동 및 충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Piek & 
Dyck, 2004) 감각통합치료와 같은 감각운동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가 우 
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ADHD 아동의 운동의 어려움은 성장함에 따라 
대개 서투른 점이 감추어지므로 전학령기나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Blondis, 1999). 
집중력 분석결과 표적그림을 찾는데 까지 걸린 소요시간의 평균은 기초선1과 
비교하여 치료1 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기초선2 기간보다 치료2 시 소요시간 
이 보다 많이 감소하여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집중력이 향상되어 보다 빠르게 수행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찾은 개수의 평균은 기초선1부터 치료2 기간 까지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정확히 알기는 
어려웠다. 이것은 처음부터 아동이 60개의 표적그림 중 57개를 찾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치료2 시에는 실수를 하지 않고 표적그 
림 모두를 찾아 아동의 집중력이 기초선1, 2때보다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중력은 전정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전정 감각 
은 뇌간의 망상체와 연결되어 적절한 각성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며, 고유수용성 
감각은 움직임에 대한 전정 감각계의 과반응과 접촉에 대한 촉각계의 과반응을 
감소시키고 흥분한 상태 및 과잉행동을 조절해 준다(Kranowitz, 1998). 따라서 
- 120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전 
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계 처리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추신경계가 무의미한 정 
보를 억제하고, 감각통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박인구(2003)는 정신지체 아동 3명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 
여 감각통합훈련을 적용한 결과, 집중력 검사에서 사전사후 점수차가 7~16점으 
로 나타났으며, 평균 주의집중 시간도 상당히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전옥 
배(2005)는 정신지체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총 24회 감각통합훈련을 한 결과 
선택적 및 지속적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 
하였다. Sheda & Ralston(1997)은 ADHD 아동에게 그네타기와 치료용 퓨티 
를 사용한 결과 그룹 내 집중 시간과 참여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그네를 타고 
난 후에는 언어적 적대 행위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나중에는 더 이상 문제가 되 
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다른 연구에서는 ADHD 환자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 
용한 결과 그룹 활동에 집중하는 시간이 늘어났으며, 불안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보다 잘 이완되며, 충동성 및 과각성이 감소하였다고 한다(Stratton & Gailfus, 
1998). Linderman & Stewart(1999)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 2명을 대상으 
로 개별실험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15회 감각통합치료를 한 결과 활동에 집중하 
는 시간과 자발적인 말하기, 목적적인 놀이가 증가하였으며, 혼란한 행동의 빈도 
와 기간이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ADHD가 의심되는 학습문제를 갖는 
아동들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향상된 기능영역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치 
료사들 모두 집중력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아동의 보호자는 88%, 선생님은 
57%가 집중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고 답하였다(Stonefelt & Stein, 1998). 이 
와 같은 결과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의 
미하며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향상 이외에도 감각통합치료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평소 아동은 잠이 쉽게 들지 못하며 많이 뒤척거리는 
편이었는데 치료 3회기 후부터는 잠이 쉽게 들며,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한 
다. 또한 치료 종결 후 아동의 보호자는 아동이 학교에서 활동이 민첩해졌으며, 
수업시간에 산만하지 않고 선생님의 말에 보다 집중한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호흡과 심박수, 소화 기능, 수면 사이클 등과 관련된 생리 
학적인 반응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가 보다 조직화(Roley, Blanche, & Schaaf, 
2001)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여겨진다. 자율신경계는 감각에 대한 행 
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McIntosh 등, 1999), 차분히 진정시키는 능력과 집 
중을 유지하는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준다(Schaaf 등, 2003). 따라서 본 감각통 
합치료를 통해 아동의 자율신경계가 보다 조직화되고 그에 따라 수면의 질 및 
- 121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산만하고 과잉행동을 보였던 것이 점차 줄어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ADHD 아동의 문제를 산만함, 과잉행동, 충동성 
에만 국한하지 않고 운동 조절의 문제까지 포함하여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균형능력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ADHD 아동의 진단기준의 
확장 및 감각통합치료의 균형에 대한 효과를 지지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ADHD 아동의 집중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촉각,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들의 처리를 촉진하 
며, 신경계를 조직화하고, 적절한 각성 수준을 유지하여 학습이나 일에 선택적으로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보호자의 아동에 대 
한 관심 및 이해도가 증가하였으며 집이나 학교에서의 수행능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보다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넷째 본 연구의 설계는 ABAB 디자인으 
로써 치료와 종속 변인의 관계를 강력하게 시사해주며, 단순한 상관관계뿐만 아 
니라 인과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실험 대상자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해 2 
번의 기초선에 맞추어 2번의 중재를 제공한 후 실험을 종료하여 근본적인 개인 
의 가치를 존중하였으며,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쳤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첫째, 기초선1 기간이 2~3회기로 짧아 자료가 
안정적이지 못하였다. 둘째, 집중력은 대부분 주 1회 측정하여 학습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나 기초선1부터 치료2까지 지속적으로 좋아지는 형태로 나타나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인지 학습의 효과인지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균형 및 집중력의 찾은 개수는 객관적으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으나 집중력의 
소요시간 측정 시에는 제2관찰자가 없어 정확한 신뢰도를 제시하기 어려웠다. 
넷째, 대상아동이 1명이며, 치료기간이 짧았고, 유지 및 일반화 기간이 없어 시 
간이 지나도 치료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알기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기간을 늘리고,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여야 하며, 또한 ADHD 아동의 균형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른 감 
각-운동 조절 및 인지 처리의 문제까지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변화 정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균형 능력은 기초선1과 기초선2 기간과 비교하여 치료1 및 치료2 
기간에 보다 향상되었다. 
- 122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둘째 아동의 집중력은 기초선 , 1부터 치료2 기간까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직접적 
인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우나, 기초선2 기간보다 치료2 기간에는 향 
상된 정도가 더 크므로 감각통합치료가 집중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며, 집 
중력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를 집중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운동적인 부분까지 제시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 
과를 지지하였으며, 보호자의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연구 대상 
자의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인 
원수 및 치료기간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영록 (2005).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훈련과 중단이 대근육 운동능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김영희 (2004).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평형성 및 근력ㆍ민첩성 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박인구 (2003).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이현희 (2003). 감각통합 훈련이 정신지체아의 감각통합 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 
간행 석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전옥배 (2005).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 123 -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진흥신 (1992). 자폐성 아동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에 의한 감각통합기능과 관련 
기능행동의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최헌 (2007).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ieva, H., Lafont, S., Dartigues, J. F., & Fabrigoule, C. (1999). Selective 
attention in Alzheimer’s disease: Analysis of errors in Zazzo’s 
Cancellation Task. Brain and Cognition, 40, 26-29.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Aranha, K. M. (2006). A comparison of postural control: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VS. children with ADHD. Master thesis, Texas 
Tech University. 
Ayres, A. J. (1972). Sensory Integration and Learning Disorders.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A: Western 
- 124 - 
Psychological Services. 
Barkley, R. (2003).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2rd). IN 
E. Mash & R. Barkley(Eds.), Child Psychopathology(pp. 75-143). 
New York: Guilford Press. 
Blondis, T. A. (1999). Motor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 Clinical North American, 46, 899-913. 
Brown, R. T., Freeman, W. S., Perrin, J. M. (2001). Prevalence and 
assessment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primary care 
settings. Pediatrics, 107, 43. 
Bush, G., Eve, M., Valera, & Seidman, L. J. (2005). Functional Neuroimaging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Biology Psychiatry, 57, 1273-1284. 
Casco, C., Tressoldi, P. E., & Dellantonio, A. (1998).Visual selective 
attention and reading efficiency are related in children. Cortex, 
34, 531-546. 
Dawes, S. E. (2000). The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 
Australian normative data and clinical utility. Brisbane: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d. 
DeGangi, G. A. (2000). Pediatric Disorders of Regulation in Affect and 
Behavior: A Therapist’s Guide to Assessment and Treatment. San 
Diego, CA: Academic Press. 
Dunn, W., Bennett, D. (2002). Patterns of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22(1), 4-15. 
Durston, S. (2003). A review of the biological bases of ADHD: What have 
we learned from imaging studie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 
Disability Research Review, 9, 184-195. 
Ernst, M., Liebenauer, L. L., King, A. C., Fitzgerald, G. A., Cohen, R. M.,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Zametkin, A. J. (1994). Reduced brain metabolism in hyperactive 
girls. Journal of American Academic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3, 858-868. 
Fisher, A., Murray, E. A., Bundy, A. C. (1991).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Geldmacher, D. S., & Reidel, T. M., (1999). Age effects on random-array 
letter cancellation tests. Neuropsychiatry, Neuropsychology, and 
Behavioral Neurology, 12, 28-34. 
Guo, P., Guo, H., Yang, C. H. et al. (1999).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nese Journal of 
Behavioral Medical Science, 8, 306-306. 
Harvey, W., & Reid, G. (2003). Attention-Deficit/Hyperactive Disorder: A 
review of research on movement skill performance and physical 
fitnes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20, 1-25. 
Hern, K. L., & Hynd, G. W. (1992). Clinical differentiation of the attention 
deficit disorder subtypes: Do sensorimotor deficits characterize 
children with ADD/WO?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7, 
77-83. 
Iwanaga, R., Ozawa, H., Kawasaki, C., & Tsuchida, R. (2006).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y-motor, verbal and cognitive abilities 
of preschool boy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bined type.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0, 37-45. 
Jensen, P. S., Mrazek, D., Knapp, P. (1997). Evolution and revolution in 
child psychiatry: ADHD as a disorder of adaptation.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6, 
1672-1679. 
Kapczinski, F., Curran, H. V., Przemioslo, R., Williams, R., Fluck, E., 
Fernandes, C., & File, S. E. (1996). Cognitive impairments of alcoholic 
cirrhotic patients: Correlation with endogenous benzodiazepine receptor 
ligands and increased affinity of platelet receptor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60, 676-680. 
Kranowitz, C. (1998). The out-of-sync child: recognizing and coping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New Yo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 125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Lauer, C. J., Gorzewski, B., Gerlinghoff, M., Backmund, H., & Zihl, J. 
(1999).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3, 129-138. 
Leung, A. C., Robson, L. M., Fagan, J. E., Lim, S. N. (1994).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Getting control of impulsive 
behavior. Postgraduate Medicine, 95(2), 153-160.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rd ed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inderman, T. M., & Stewart, K. B. (1999). Sensory integrative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functional outcomes in young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 single-subject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 207-213. 
Mangeot, S. D., Miller, L. J., McIntosh, D. N., McGrath-Clarke, J., Simon, 
J., & Hagerman, R. J., et al. (2001). 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3, 399-406. 
McIntosh, D. N., Miller, L. J., Shyu, V., & Hagerman, R. J. (1999). Sensory 
modulation disruption, electrodermal responses, and functional 
behavior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1, 
608-615. 
McKenzie, A. L., Nagarajan, S. S., Roberts, T. P. et al. (2003). 
Somatosensory representation of the digits and clinic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focal hand dystonia.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2, 737-749. 
Mulligan, S. (1996). An analysis of score pattern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isorders on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 647-654. 
Nikharge, T., Mulgaonkar, K. P. (2002).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 sensory perspective. The I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XXXIV(2). 
Ottenbacher, K. (1986). Evaluating clinical change: Strategies for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 126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Piek, J. P., Pitcher, T. M., & Hay, D. A. (1999). Motor coordination and 
kinaesthesis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1, 159-165. 
Piek, J. P., Dyck, M. J. (2004). Sensory-motor defic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tic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3, 
465-488. 
Pitcher, T. M. (2001). Motor performance and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subtyp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Prudhomme White, B., & Mulligan, S. E. (2005). Behavioral and physiologic 
response measures of occupational task performance: A preliminary 
comparison between typic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ttention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 426-436. 
Roley, S. S., Blanche, E. I., & Schaaf, R. C. (2001).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 Austin: proㆍed. 
Schaaf, R. C., Miller, L. J. (2005).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 Disability Research Review, 11, 
143-148. 
Schaaf, R. C., Miller, L. J., Seawell, D., & O’Keefe, S. (2003). Children with 
disturbances in sensory processing: A pilot study examining the role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 442-449. 
Sheda, C. H., Ralston, P. R. (1997). Sensorimotor processing activity 
plans. San Antonio: Therapy skill builders. 
Stonefelt, L. L., Stein, F. (1998). Sensory integrative techniques applied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 outcome study.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5(4), 252-272. 
Stratton, J., Galifus, D. (1998). A new approach to substance abuse 
treatment: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DHD.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15(2), 89-94 
Teicher, M. H., Anderson, C. M., Polcari, A. et al. (2000). Functional deficits 
in basal ganglia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 127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disorder shown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laxometry. National Medicine, 6, 470-473. 
Whitmont, S., & Clark, C. (1996). Kinaesthetic acuity and fine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preliminary report.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38, 
1091-1098. 
Zang, Y., Bomei, G., Qian, Q., & Wang, Y. (2002).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balance dys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Chinese Journal of Clinical Rehabilitation, 6, 
1372-1374. 
- 128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29 - 
<Abstract>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Kim, Kyeong MiㆍKim, Jin M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subject is a boy 
diagnosed with ADHD, who is 7 years and 6 months old and a second 
grader in an elementary school in P city. A single subject ABAB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rocedure consisted of 3 times of 
baseline 1 phase(A), 3 times of treatment 1 phase(B), 5 times of 
baseline 2 phase(A') and 6 times of treatment 2 phase(B'). The 
baseline phases involved no treatment, but during the treatment phases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Tetrax and the attention by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MWC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ubject’s balance ability was improved in 
the phases of treatment 1 and 2 better than in the phases of baseline 1 
and 2. The attention of subject was constantly increased throughout the 
whole phases. But compared with that in the baseline 2 phase, the 
attention in the treatment 2 phase was boosted strikingly.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provided 
positive treatme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the subject with ADHD. Furthermore, this study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by dealing with the 
attention problem and the motor aspects at the same time and helped 
the caregiver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child with ADHD. Bu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owing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the subject and the short period of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the experiment.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more 
extensively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Key Words :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DHD, balance, attention 
논문접수 : 2007. 11. 3 / 수정본 접수 : 2007. 12. 7 / 게재 승인 : 2007. 12. 14 
- 130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혜원 정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ChansunP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혜원 정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혜원 정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혜원 정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혜원 정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혜원 정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혜원 정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혜원 정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Similar to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20)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학령기 문제행동
학령기 문제행동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 1. 特Jou殊rn敎al育of再Sp活ec科ial學E硏du究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6, No. 4, pp.103~130,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 실험 연구*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김 경 미**ㆍ김 진 미*** Kim, Kyeong MiㆍKim, Jin Mi < 요 약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변화 정도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만 7세 6개월 된 남아로 일반초등학교 2학년 에 재학 중이며, ADHD로 진단을 받았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 중 ABAB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1 기간(A) 3회, 치료1 기간(B) 3회, 기초선2 기간(A') 5회, 치료2 기간(B') 6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1과 2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치료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Tetra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집중력은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MWCT)를 사용 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균형 능력은 기초선1ㆍ2 기간과 비교하여 치 료1ㆍ2 기간에 보다 향상되었다. 아동의 집중력은 기초선1부터 치료2 기간까지 지속적 으로 향상되어 직접적인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우나, 기초선2 기간보다 치료2 기간에는 향상된 정도가 더 크므로 감각통합치료가 집중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따라서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이 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를 집중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운동적인 부분까지 제시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지하였으며, 보호자의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 켰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 으므로 향후에는 인원수 및 치료기간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 감각통합치료,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균형, 집중력 * 이 논문은 2006년 인제대학교의 학술연구지원에 의한 연구임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nje University Grant 2006 **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kmik321@inje.ac.kr)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je University *** 인제대학교 대학원 뇌과학협동과정 석사과정 Graduate program in Neuroscience, Inje University
  •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Ⅰ. 서 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 HD)는 학교와 집 그리고 사회 환경 내에서 작업수행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는 지속적인 집중력, 충동 조절, 활동 수준의 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ADHD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신경발달장애 이며, 유병률은 약 2~18%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만 6세~12세 아동의 3~8%, 일본의 경우 7.7%가 이에 속하며 여아보다 남아의 발병률이 3배 정도 많다 (Brown, Freeman, & Perrin, 2001). ADHD 아동은 자신의 행동을 제어하는 능 력이 떨어지므로 쉽게 외부자극에 의해 산만해지거나, 물건이나 약속을 잘 잊어 버리며, 지시를 따르지 않아 학습이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때가 많다 (Barkley, 2003). 또한 대인관계 시 불안, 사회적 회피, 내향적 성격을 보이며 우울증, 틱장애, 불안장애,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학습장애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Leung 등, 1994). ADHD의 발병원인은 신경생리학적 혹은 생화학적 이상, 대사 장애, 유전적 이상, 환경적 원인, 임신과 출산 합병증, 섭식 문제 등 매우 다양하게 제기되었다(Jensen, Mrazek, & Knapp, 1997). 그러나 사회심리학적 요인보다 근본적인 신경생물학적 요인이 중요시되며 기능적 뇌영상을 이용한 신 경심리학, 유전학, 신경생화학 등 여러 영역의 연구를 수렴해 본 결과 전두엽-선 조체 조직(fronto-striatal network)의 비정상적인 이상이 ADHD의 주요 원인 임을 추측할 수 있다(Durston, 2003: Bush 등, 2005). 현재까지 ADHD의 치료는 약물치료가 대부분으로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 nidylacetate hydrochloride: MPH)를 주로 사용하며, 이 약제는 정신자극제로 서 ADHD 아동의 70~80%에서 충동성과 과잉행동을 줄여주며, 주의력을 증진시 켜준다. 그러나 MPH와 같은 약제의 작용기전은 최근에 와서야 밝혀졌으며 불면, 식욕감퇴, 자극과민성 등과 같은 단기적인 부작용과 키와 몸무게에 영향을 미치 는 성장 문제와 같이 장기적인 부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정신자극제가 단기 적인 측면에서 증상을 호전시킨다는 사실은 확실하지만 장기적으로 뇌에 지속적 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기 어렵다(Ernst 등, 1994). 약물치료 외에 ADHD의 치료 방법에는 작업치료, 인지치료, 행동치료, 놀이치 료, 보호자 교육 등이 있다. 작업치료에는 다양한 이론의 틀이 있는데 그 중 감 각통합치료는 신경과학, 생물학, 심리학, 교육학의 원리에 기초하여 작업치료사 인 A. Jean Ayres가 개발하였다(Ayres, 1972).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신경 학적 요구에 맞게 조절된 감각경험들을 다양하게 제공해 줌으로써 정상적인 신 - 104 -
  • 3.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경운동 발달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감각들을 처리하고 통합하는 중추신경계 처리 능력을 향상시 키는 치료이다(Fisher, Murray, & Bundy, 1991). Ayres(1972)는 행동과 학 습의 문제가 뇌의 감각-운동 하위중추를 상위중추가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감각운동의 발달은 학습을 위해 중요한 기초가 되며, 환 경과 개인의 상호작용은 뇌를 발달시키며, 의미 있는 감각운동 활동은 뇌를 변 화시킬 수 있다. 비록 Ayres의 가설이 세워진 시기에 비해 신경계가 매우 복잡 하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지만 여전히 감각통합이론은 설득력이 높다 (Schaaf & Miller, 2005). 왜냐하면 신경 기능에서 세포, 분자, 구조가 변화한다 는 연구결과는 의미 있는 감각운동 활동이 가소성의 중개자가 될 가능성을 암시 하기 때문이다(McKenzie 등, 2003). Ayres(1972)에 의하면 운동 협응의 결여, 운동 계획의 어려움, 다양한 지각 운동 협응의 정도 및 균형의 손상은 억제의 결여와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모든 증상은 감각통합 장애에서 나타난다. 감각 입력의 억제 처리는 중 추신경계에서 일어나며, 감각 운동 조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Ayres, 1972). 개인이 성장하고 발달함에 따라 감각통합 체계는 무의미한 정 보는 억제하도록 발달되고 중추신경계 각성이 과잉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그러 나 이러한 발달적 특성이 ADHD의 경우 나타나지 않는데 감각-운동 항상성 및 억제의 결여, 느린 전두엽 처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불충분한 전 정 감각 및 체성감각 피드백과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Stratton & Gailfus, 1998). 여러 연구자와 임상가들은 ADHD 아동이 일반적으로 감각처리 의 어려움을 가지며(Prudhomme White, & Mulligan, 2005), 학령기 정상아동 의 10.3%가 감각통합장애를 보인 반면 ADHD 아동은 84.3%가 감각통합장애 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Guo 등, 1999). 특히 ADHD 아동은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의 서기 및 걷기 균형, 공간시각화, 도형모방, 회 전 후 안구진탕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전정감각 처리와 실행 (praxis)영역 및 운동 계획의 문제를 나타내는 것이다(Mulligan, 1996). 또한 ADHD 아동은 기저핵의 용적이 작으며,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이고, 소뇌의 크 기가 작은데, 기저핵과 소뇌는 균형유지와 운동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eicher 등, 2000). 따라서 ADHD 아동에게 균형의 문제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Hern & Hynd(1992)는 과잉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이 정상아동에 비해 비 정상적인 근 긴장도와 균형, 발과 다리 및 손과 팔의 불협응, 비정상적인 감각 지각과 같은 미세한 신경학적 징후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것은 ADHD 아동이 감각운동 영역에 중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Dunn & - 105 -
  • 4.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Bennett, 2002), 특히 시각, 전정 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처리의 문제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ADHD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하여 미세운동 조절과 운 동감각성 시각의 어려움이 많으며(Whitmont & Clark, 1996), 시-운동 결핍과 (Raggio, 1999), 뇌의 처리속도가 느린 것을 알 수 있었다(Pitcher, 2001). 이 것은 Piek, Pitcher, & Hay(1999)의 주의산만이 운동 능력 중 특히 미세운동 능력의 결핍과 관계가 있다고 한 결과와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Leiter-P(Leiter International Performance Scale) 검사 결과 집중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집중력은 시각 및 청각처리와 고유수용 성 감각, 전정 감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Mangeot 등, 2001). Ayres(1979)에 의하면 촉각,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과 같은 다양한 감각들 이 바탕을 이루고 난 다음 반사통합과 자세 메카니즘이 형성되며, 그 후에 집중 기간이 향상되고 차츰 지각이 발달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집중력, 조직화, 자존 감, 학습 능력 등이 최종산물로 나타난다고 한다. 따라서 ADHD아동의 비정상적 인 감각처리로 인한 균형, 운동, 집중력, 행동과 사회적인 문제, 낮은 자존감, 학 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뇌의 처리 기능을 향상시키는 감각통합치료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DeGangi, 2000). Stonefelt & Stein(1998)은 ADHD 혹은 주의력결핍 장애가 의심되는 8명의 학습의 어려움을 갖는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 중 직선움직임 및 회전 활동, 촉각자극과 심부압박, 게임, 점핑 및 바운싱 활동을 중점적으로 제공한 결과 대운동, 미세운동, 균형, 협응, 주의집중, 수학, 언어, 읽기 능력, 자존감, 행동, 사회기술의 수행능력이 6명은 뚜렷하게, 2 명은 약간씩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ADHD 아동 22명을 전 학령기와 학령기 그룹으로 분류하여 여러 재질의 직물과 진동감각, 심부압박과 같은 감각 식이(sensory diet)를 적용하고, 체성감각 및 전정감각 놀이 활동을 실시한 결과 학령기 그룹에서 집중력과 읽기 능력, 철자 능력 등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Nikharge & Mulgaonkar, 2002). 위의 연구결과들은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다양한 수행요소 및 수행영역의 변화를 보고하지만, 실제로 국내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ADHD 아 동의 산만함과 과잉행동, 충동성 등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고 치료를 하고 있으 며,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감각 및 운동발달에 관한 효과는 ADHD 아동외에 발 달장애, 정신지체,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주로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 나 ADHD 아동 역시 집중력의 문제뿐만 아니라 균형, 운동계획, 협응, 지각-운 동의 문제를 갖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문제 중 특히 전정 감각과 체성감각 처 리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균형 능력과 뇌 전체의 기능이 통합되고 성숙하였을 때 - 106 -
  • 5.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나타나는 집중력이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다.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균형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집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 본다. Ⅱ. 연구 방법 - 107 - 1. 연구대상 P시에 거주하는 만 7세 6개월 된 남아로 2007년 현재 일반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며, 2004년에 다른 사람을 때리는 경우가 많으며 지시 따르기가 안 되어 P 대학병원에 의뢰한 결과 ADHD로 진단을 받았다. 아동은 산만하고, 과 잉행동을 보이며, 상황에 부적절한 말이나 행동을 하며, 또래관계가 원만하지 못 하고, 문제해결능력의 부족 등으로 본 대학에 의뢰되었다. 아동은 40주에 순산 하였고, 출생 시 몸무게는 3.4kg이었으며, 약간 황달이 있었다. 출생 후 2주 동 안 몇 시간씩 울음을 그치지 않았으며, 분유 수유 시 급하게 빠는 경향이 있었 다. 신체 발달은 정상적이었으며, 14개월에 걷기 시작하였고, 대소변 가리기는 20개월경에 가능하였으며, 자조기술은 약간 느린 편이었다. 보호자와의 놀이가 어렵고, 눈 맞춤이 안 되었으며, 만 3세까지 분리불안이 있었다. 옹알이는 나타 났으나 14개월경 엄마, 아빠라는 말을 하고 그 후, 30개월까지 말을 하지 않아 2006년 초까지 언어치료를 받았다. 현재는 수용ㆍ표현 언어 모두 가능하다. 현 재는 아버지, 어머니, 연년생인 여동생과 함께 살고 있으며, 2004년부터 지속적 으로 약물치료를 받고 있다. 아동은 주당 1회 축구를 하며, 피아노 학원에 다니 고 있으며, 낯선 장소나 불안한 상황에서는 손톱을 깨무는 행동을 보인다. 수학 이나 과학에 관련된 책을 즐겨 읽으며, 그네 타기 시 발 구르기는 가능하지만 오래 타진 않고, 놀이터에서 또래들과 어울려 놀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아동의 초기 평가 결과는 <표 2-1>과 같다.
  • 6.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표 2-1> 아동 초기 평가 결과 평가도구 평가결과 - 108 -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보호자는 아동이 잘 이해하지 못하여 융통성이 없어 또래와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가장 걱정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 물건 정리를 못 하는 것을 문제라고 여겼음. 또한 조급하고 과도하게 걱정을 하여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일상생활활동 평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총점: 114/126점 대부분의 영역에서 독립적이나 의사소통과 사회인지영역에서 약간의 어려움을 가짐 감각력 면담 (Sensory History) 물이 튀면 피하거나 화를 내며, 풀 같은 것이 손에 묻었을 때 바로 씻는 편임. 뜨거운 음식은 먹지 않으려 하며, 통증에 예민함. 높은 곳 에서 뛰어내리거나 일부러 넘어지면서 전정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을 찾는 행동을 보임. 주변이 조용하지 않으면 쉽게 산만해지고, 예상 치 못한 소리에 부적절하게 반응함. 상대방과의 눈맞춤이 어렵고, 고 기종류는 잘 먹으나 채소는 먹지 않으려함 냄새를 맡는 버릇이 있음 단축 감각 프로파일 (Short Sensory Profile) 총점: 141/190점 감각처리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청각여과하기와 고유 수용성 감각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 임상관찰 (Clinical observation) 상지의 근긴장도는 약간 낮으며, 하지 근긴장도는 높은 편임. 동시수 축은 상지는 중등도이며 머리는 약간 낮은 편임. 항중력 자세 유지 (배와위 굴곡:supine flexion, 복와위 신전:prone extension)와 안 구 운동 계획(ocular motor planning), 협응적인 눈 움직임에 어려 움을 보임. 따라서 전정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처리의 중추신경계 내 어려움을 시사함 브리닉스 오세레츠스키 운동 평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총점: 123/147점 하위검사별로 높고 낮음의 수준 차이가 크게 나므로 운동발달이 균 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음 균형에서는 눈을 감았을 시 수행의 질 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므로 전정계의 발달지연이 의심됨 달리기 속도와 민첩성 - 10개월 지연 상지협응 - 1년 4개월 지연 반응속도 - 2년 7개월 지연 검사 시 힘 조절이 어려우며, 지시를 잘 따르는 편이나 약간 산만함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일반 시지각(GVP): 108점 운동-감소 시지각(MRP): 112점 시각-운동 통합(VMI): 103점 시지각 전반에서 평균이상 및 우수한 점수를 받았으나, VMI가 MRP 의 점수보다 낮은 것은 손의 움직임이 서툴고, 눈-손 협응에 어려움 이 있기 때문임 어떤 물체나 형상의 속성을 잘 이해하는 편이나, 시 각-운동속도에서는 점수가 매우 낮음 사회성숙도 검사 총점: 75점 사회연령: 8세 사회지수: 123 아동의 나이보다 약 4개월 이상의 수준을 보임
  • 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09 -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B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5월 5일부터 7월 23일까지 총 12주이 었으며, 실험과정은 기초선1 기간(A) 3회, 치료1 기간(B) 3회, 기초선2 기간 (A') 5회, 치료2 기간(B') 6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1과 기초선2 기간에는 감 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치료 기간에는 I대학교 아동작업치료 실습실에서 감각통합치료를 50분간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Tetrax(Sunlight Medical, Israe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집 중력은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MWC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3. 연구 도구 1) 균형 평가 균형 평가는 Tetrax를 사용하여 0.01~0.25Hz 범위의 주파수 밴드에서 파생 된 푸리에변환(Fourier transformation) 점수를 측정하였다. Tetrax의 균형 측정판(platform)은 A, B, C, D로 구분되어 각각 왼발 뒤꿈 치, 왼발 발가락, 오른발 뒤꿈치, 오른발 발가락에서 입력된 수직 압력을 4개의 Plot plates 파형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저장한다. 컴퓨터는 신호를 해석하 여 피검자의 균형과 자세를 분석하며, 자세 동요(postural sway)를 측정한다. 평가방법은 아동이 균형 측정판에 양발을 대고 가만히 서있도록 하며, 측정 자 세는 (1) 눈 뜨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Normal position, eyes open, solid surface: NO), (2) 눈 감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Normal position, with eyes closed: NC), (3) pillow 위에 올라가 눈 뜨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Eyes open, on pillows: PO), (4) pillow 위에 올라가 눈 감고 머리 정위하여 서기(Eyes closed, on pillow: PC)이다. 각 자세마다 32초간 유지하도록 하고, 어떠한 말이 나 움직임이 없도록 주의를 주었다. 푸리에변환은 파형 신호를 수학적인 알고리즘으로 전환한 것으로 Hz로 표현 되는 주파수밴드를 통해 자세 동요의 정도를 표현한다. 자세동요 푸리에변환 점 수는 자세조절을 위한 시각, 체성감각, 전정 감각과 중추신경계 기능의 이상을 알 수 있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자세 동요가 많으며, 수치가 낮을수록 자세동요 가 적음을 의미한다.
  • 8.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 110 - 2) 집중력 평가 Cancellation test는 신경정신학적 평가도구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Dawes, 2000). Cancellation test는 대부분 종이와 연필을 사용하여 시행하며, 표적 (target)을 시각적으로 탐색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열된 글자나 숫자 혹은 그림 중 특정 표적을 찾아서 지우거나 동그라미 표시를 하는 것이다. Cancellation test의 채점 방법은 과제를 완수하는데 걸리는 시간, 틀린 개수, 실 패 알림 개수로 측정한다. Cancellation test는‘The C’s and E’s test’,‘2 and 7 Cancellation’,‘Star Cancellation’,‘The Bells test’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MWCT는 1980년대 M. Marsel Mesulam과 Sandra Weintraub에 의 해 개발되었으며, 본래 편측무시의 운동성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디자인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많은 연구들에서 MWCT를 주의력 유지, 주의집 중, 시각스캐닝, 활동과 억제반응 능력을 검사하는데 이용하였다(Lezak, 1995). 뿐만 아니라 시각스캐닝 속도와 효율성(Geldmacher & Riedel, 1999), 선택적 주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Amieva 등, 1999). 또한 MWCT는 거식증 과 과식증 성인 환자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Lauer 등, 1999), 알코올중 독환자의 인지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Kapczinski 등, 1996), 전두엽절제환자의 표적 감지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 그리고 선택적 주의력과 읽기 문제를 가진 아동 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Casco, Tressoldi, & Dellantonio, 1998).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MWCT에서 60개의 특정 표적그림을 찾아서 동그라 미 표시를 하도록 하였으며, 아동이 첫번째 표적그림에 연필을 대는 순간부터 모두 찾았다고 말하는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초시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올바 른 표적그림을 찾은 개수를 기록하였다. 4. 연구 절차 1) 기초선1(A)과 기초선2(A') 기간 기초선1과 기초선2 기간은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기초선1 기간 은 2주 동안 집중력 2회, 균형 능력 3회를 평가하였다. 기초선2 기간은 2주 동 안 집중력과 균형 능력을 총 5회 평가하였다. 평가 장소는 I대학교 아동작업치 료 실습실로 외부의 방해가 없는 조용한 환경 내에서 실시하였으며, 평가 시간 은 총 15분가량 소요되었다.
  • 9.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11 - 2) 치료1(B)과 치료2(B') 기간 치료1 기간은 3회, 치료2 기간은 6회로 매 50분 동안 I대학교 아동작업치료 실습실에서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치료는 Ayres(1972)가 제안 한 원리에 기초하여 ADHD 아동의 균형 및 주의력 향상과 감각ㆍ대운동ㆍ미세 운동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각 회기별 감각통합치료의 내용 은 <표 2-2>와 같다. 치료는 주 1~2회, 비슷한 시간대에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 집중력과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3) 치료 내용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증대와 원활한 진행을 위해 치료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 였다. (1) 치료가 실시된 장소는 아동이 다치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 장 중요하므로 바닥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매트와 천정에는 매다는 도구들이 견고하게 설치되었는지 매 치료 시작 전에 미리 점검 및 준비하 였다. 또한 더 효과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 하도록 환경을 구조화시켰다. (2)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에게 특수한 운동기술이나 학습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 므로 아동이 원하는 감각경험을 제공하였으며, 최대한 즐겁고 재미있게 아 동을 중심(child-centered)으로 놀이 활동을 하였다. 또한 치료사와 함께 자연스러운 놀이 활동을 통해 아동이 적절한 적응행동을 통합하도록 하였 다. (3) 치료활동의 각 주제 마다 특정 목표와 준비물을 스토리에 맞게 구성하였 고, 아동의 상상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보물찾기와 같은 가장상황(pretend situation)을 연출하여 아동이 더 적극적으로 의미 있고 재미있게 참여하 도록 하였다. (4) 활동 단계는 준비활동, 본활동, 마무리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준비활동은 아동에게 주제를 소개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활동수준 및 각성수준을 높이는 단계이며, 본활동은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는 적합한 활동들로 이루어진 단계이며, 마무리 활동은 본활동 동안 흥분된 근육과 신체를 이완하고 각성수준을 낮추어 활동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5)감각 입력에 대한 아동의 반응 및 적응반응을 항상 관찰하여 적절한 자극 의 양을 제공하였으며, 아동이 뇌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활동을 하게끔 격 려하고, 부추기며, 흥미를 이끌어 내었다.
  • 10.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6) 각 치료 실시 전에는 본 연구자가 목표에 적합한 활동들로 구성되었는지 검토하였으며, 실시 후에는 치료활동 내용 및 아동반응에 대해 재검토하 여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하기 위해 이후의 활동을 수정ㆍ보완하였다. 회기 주제 및 목표 활동내용 및 세부목표 적응반응 - 112 - 1 스쿠터보드 축구 준비 활동 ㆍ벽에 매트를 세운 뒤 스쿠터보드 타고 발로 매트를 밀고 슈퍼맨처 럼 양 손 뻗고 누가 멀리 나가는지 타기 ㆍ활동 시 필요한 각성수준 및 활 동수준 높이기 ㆍ초기에는 스쿠터보 드에서 자세와 위치 가 안정적이지 못하 였으나 후반부에는 적절한 자세를 위치 시킴 ㆍ항중력 자세를 유지 하는 것이 힘들어도 동기부여로 오랫동 안 즐겁게 참여함 ㆍ마무리 시 각성이 낮 아지며 이완이 잘 됨 ㆍ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 입력을 통한 항중력 자세 유지 및 양측 협응 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본활동 ㆍ전반전/후반전으로 나누어 스쿠 터보드를 prone자세로 타며, 공 을 상대편 골대에 넣기 ㆍ항중력 자세 유지 및 양측 협응과 운동 계획 능력 향상 마무리 활동 ㆍweighted blanket을 아동의 어깨에 걸쳐주고 감싼 뒤 어깨 와 가슴부분에 심부압박 자극을 제공하기 ㆍ신체이완 및 각성수준 낮추기 2 생선 통조림 배달하기 준비 활동 ㆍ줄을 잡아당겨서 플랫폼 스윙 타다가 물고기(페트병) 잡기 ㆍ각성수준 및 활동수준 높이기 ㆍ어깨안정성 및 자세조절능력 향상 ㆍ처음에는 물고기 조 준하여 넘어뜨리기 어려웠으나 여러 자 세에서 넘어뜨리기 향상됨 ㆍ페트병 1개 올리는 것도 힘들어하였으 나 후반부에는 2개 까지 가능함 ㆍ천막천에서 페트병 을 미끄러뜨리기 위 해 처음에는 양손만 사용하였으나 나중 에는 머리 위로 상 지를 들어서 아래로 흔들어 내려 보내는 것이 더 쉽다는 것 을 알아냄 ㆍ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 입력을 통해 어깨안정성 향상 및 자세 조절 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ㆍ문제해결능력 향상 본활동 ㆍ공장으로 옮겨 통조림 만들기: 비 스듬하게 매달아 놓은 glider bolster를 건너가서 천막천 원통 에 물고기 넣어 흔들어서 아래로 나오게 하기 ㆍprone자세로 frog swing 타며 통조림 집집마다 배달하기 ㆍ어깨안정성 향상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 ㆍ전정 및 고유수 용성 감각입력 ㆍ항중력 자세 유지 마무리 활동 ㆍ페트병 정리하기 ㆍtherapy ball로 가슴 압박주기 ㆍ신체이완 및 각성수준 낮추기 3 그대로 멈춰라 준비 활동 ㆍ아동이 그네들을 선택하여 치료 사와 함께 매달기 ㆍ각성수준 및 활동수준 높이기 ㆍ치료사보다 오래 매 달리기 위한 동기부 여로 평상시 보다 ㆍ다양한 그네 본활동 길게 유지함 에 매달리는 ㆍ‘그대로 멈춰라’동요에 맞춰 그 네 사이를 돌다가 멈춰라 하면 ㆍ적절한 타이밍 능력 향상 및 <표 2-2> 감각통합치료 활동 및 적응반응
  • 11.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13 - 활동을 통한 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 입력 ㆍ신체양측 협응 및 굴곡 자세 유지 ㆍ적절한 도전과 성취를 통한 자존감 향상 가까운 그네에 매달리기 ㆍ상대방보다 오래 매달리지 못하 고 떨어지면 벌칙으로 페트병 1 개를 상대편에게 주기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신체양측 협응 및 굴곡자세 유지 ㆍ동요에 맞춰 움직이 다가 잠시 멈추는 행동의 타이밍을 잘 맞춤 ㆍ시합에서 이길 때 즐거워하며 매우 좋아함 마무리 활동 ㆍ이긴 사람이 페트병 모두를 자신 의 집인 박스집으로 옮기기 ㆍ힘든 활동 (heavy work) 을 통한 각성 수준 낮추기 4 퓨전 윷놀이 준비 활동 ㆍ윷말을 아동에게 먼저 선택하도 록 한 뒤 색지에 각자 자신의 이름을 써서 붙임 ㆍ치료사와 함께 규칙 정하기 활동참여를 높이기 위한 동기부여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 용 향상 ㆍ자신의 말과 치료사 의 말도 움직여주며 즐겁게 참여함 ㆍ지령카드 걸리는 것 재미있어하며 치료 사가 걸린 것도 대 신해줌 ㆍbolster swing에 예전보다 오래 매달 리기 가능 ㆍ램프에서 스쿠터타 기 시 혼자 할 수 있다고 독립적인 모습 보임 ㆍ치료사가 앞서 나가 면 경쟁의식을 많이 느끼는 편이나 짜증 내지 않고 잘 참고 지속함 ㆍ동적인 균형 능력 향상 ㆍ다양한 활동 을 통한 전정 및 고유수용 성 감각 처리 능력 향상 ㆍ규칙 따르기 및 순서 지키기 본활동 ㆍ약 120cm의 윷 4개를 벤치에 올 라가 던져서 뒤집어진 숫자대로 윷판의 말을 전진시키기 ㆍ지령카드 걸리면 써 있는 대로 실 시하기: 지령카드- 전정 및 고유 수용성 감각을 제공하는 활동으 로 총12개 ㆍ상지 안정성 및 동적인 균형 능 력 향상 ㆍ다양한 활동을 통한 전정 및 고 유수용성 감각 처리 능력 향상 마무리 활동 ㆍ치료사와 보호자와 안아주며 심부압박 제공하기 ㆍ이긴 선물로 사탕주기 ㆍ이완하기 ㆍ구강활동 제공 하여 활동수준 낮추기 5 돌줍기 (망줍기) 준비 활동 ㆍ종이에 실제 망줍기 판을 축소하 여 그려놓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연습하며 규칙 정하기 ㆍ활동 전 미리 운동계획하기 ㆍ동기부여하기 ㆍ초기에는 선을 밟거 나 균형을 잃고 두 발을 데거나, 한 칸 뛰어서 건널 때 선 을 밟았으나 후반부 에는 자세조절 능력 이 향상됨 ㆍ자신이 던진 망이 선 밖에 나가거나 실수하면 짜증을 내 었으나 후반부에는 감소하였음 ㆍ사다리 올라가는데 많이 힘들어하며 공 을 꺼낼 때 순서나 방법에서 약간 지연 되었으나 스스로 방 법을 바꾸어 가며 해결함 ㆍ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 향상 ㆍ실행 및 순서 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ㆍ규칙 지키기 본활동 ㆍ1번 칸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칸 까지 먼저 가는 사람이 승리: 2가 지 망줍기 판을 준비하여 수행하 도록 함 ㆍ정적 및 동적 균 형 능력 향상 ㆍ상지 힘 조절 및 협응능력 향상 ㆍ전반적인 시각- 운동 발달 향상 마무리 활동 ㆍ이긴 사람이 사다리 그네에 올라 가 공 가져오기 ㆍ힘든 활동 (heavy work) 을 통한 각성 수준 낮추기
  • 1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 114 - 6 보물찾기 준비 활동 ㆍ종이에 각자 이름을 적고, 페트 병과 고리를 써놓기 ㆍ주제소개하기 및 동기부여 ㆍ주제소개하기 및 규칙 짜기 시 집중 하며 차분히 앉아 있음 ㆍ스쿠터보드 타기 시 집중해서 안정적으 로 탐: 자세 위치 바르고, 다리와 목 모두 신전 유지 잘 됨 ㆍ사다리 오르기 시 손과 발의 위치가 적절하며 안정적으 로 오르내림 ㆍ자세안정성 향상 ㆍ양측협응 및 운동계획 능 력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ㆍ적절한 도전 을 주어 성취 감 및 자존감 향상 본활동 ㆍ보물(페트병, 고리)을 숨겨놓고 세팅해 놓음 ㆍ검정테이프로 길을 만들어 놓아 선 따라 스쿠터 보드를 타고 가 기: 천터널 및 벤치터널, 해먹터 널을 통과하도록 구성: 치료도 구 사이사이와 매트 사이, 안쪽 에 보물들을 숨겨놓기 ㆍ양측협응 및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전정 및 고유수 용성 감각 처리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마무리 활동 ㆍ고리는 사다리 위의 바구니에 넣기 ㆍ치료사와 안아주며 심부압박 제공하기 ㆍ힘든 활동 (heavy work) 을 통한 각성 수준 낮추기 ㆍ심부압박으로 이완하기 7 볼링 게임 준비 활동 ㆍ그네와 공 선택하기 ㆍ페트병 세팅하기 ㆍ동기부여 및 고 유수용성 감각 입력하기 ㆍ항중력 자세 유지 시간이 증가하였으 며, 시각적인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 ㆍ공을 던지는 타이 밍이 점차 좋아지 며, 운동계획 능력 이 조금 향상됨 ㆍ전반적인 시각-운동 발달 향상 ㆍ상지 안정성 및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본활동 ㆍprone 자세로 그네를 타며, 상 대방이 위치시켜놓은 페트병들 을 공을 던지거나 굴려서 넘어 뜨리기 ㆍ상지 안정성 및 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항중력 자세 유지 ㆍ양측협응 향상 마무리 활동 ㆍtherapy ball로 배, 다리, 팔에 심부압박 10회씩 제공 ㆍ각성수준 낮추기 8 나의 집을 사수하라 준비 활동 ㆍ볼스터와 페트병을 이용하여 집 을 만들기 ㆍ고유수용성 감각 입력을 통한 조직화하기 ㆍ선을 따라 스쿠터보 드를 밀고 갈 때 양 측 팔을 협응하여 추진함 ㆍ후반부에는 볼스터 를 뒤로 기울였다가 앞으로 밀면서 타이 밍에 맞추어 효율적 으로 악당을 공격함 ㆍ볼스터 등이 잘 쓰 러지지 않도록 안 전한 방향에 재배 치하는 모습 보임 ㆍflexor swing 타기 시 바닥보다 더 높 은 장소에 올라가 서 뛰어 내리며 공 격하는 모습 보임: 타이밍 및 양측협 응, 순서화 능력이 향상됨 ㆍ고유수용성 감각 및 전정 감각 처리 능력 향상 ㆍ동적 균형 능력 향상 ㆍ타이밍 및 양측협응, 순서화 능력 향상 ㆍ적절한 도전 을 통한 성취 감 및 자존감 향상 본활동 ㆍtherapy ball과 flexor swing 을 이용하여 지어 놓은 집을 무 너뜨리기 위해 공격하기: ball로 공격 시 밸런스보드 위에서 던지기 ㆍball, 타이어그네 및 flexor swing으로부터 볼스터와 페트 병을 지키기 위해 손으로 쳐내 거나 볼스터를 안고 쓰러지지 않도록 버티기 ㆍ동적 균형 능력 향상 ㆍ고유수용성 감각 및 전정 감각 처리 능력 향상 ㆍ문제해결 능력 향상 ㆍ타이밍 및 양측 협응, 순서화 능력 향상 마무리 활동 ㆍ사수한 집에 쿠션, 담요와 weighted blanket등으로 편안한 환경을 만든 뒤 hide-out 할 수 있도록 하기 ㆍ이완하기 및 각성수준 낮추기
  • 13.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ㆍ활동 주제 설명하기 ㆍ치료사와 함께 규칙 정하기 ㆍ페트병이 총 20개 있는데 반은 눕혀져 있고, 반은 세워져 있음 ㆍ정해진 시간 내에 한 명은 눕혀 져 있는 것을 세우고, 다른 한 명은 세워진 것을 눕혀서 마지 막에 개수를 세어 승부를 결정 ㆍtherapy ball, 터널, 로프, 경사 로 등 다양한 장애물과 도전적 인 환경 속에서 앉은 자세로 스 쿠터보드를 타고 다니며 페트병 을 눕히거나 세우기 ㆍ치료사와 안아주며 심부압박 제공하기 ㆍ치료사와 함께 정리하기 - 115 - 9 오뚝이 ㆍ상지의 안정성 향상 및 근력 강화 ㆍ전반적인 시 각-운동 발 달 향상 ㆍ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양측협응 향상 5. 분석방법 준비 활동 ㆍ주제 소개하기 및 동기부여 ㆍ초반에는 스쿠터 보드의 방향 조절이 어려웠으며, 스쿠터 보드에서 자주 떨어 졌으나 후반부에는 목적한 방향대로 타고 다녔으며 2번 정도 밖으로 떨어짐 ㆍ경사로에서도 혼자 잘 타는 편이며, 치료사가 verbal cue만 제시함 ㆍ치료사를 따라가며 지지 않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함 본활동 ㆍ운동계획 능력 향상 ㆍ문제해결 능력 향상 ㆍ타이밍 및 양측 협응, 순서화 능력 향상 ㆍ신체상(body scheme) 향상 마무리 활동 ㆍ심부압박으로 이완하기 ㆍ각성 수준 낮추기 Tetrax의 푸리에변환 수치는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자동 저장되며, MWCT의 소요시간과 찾은 개수는 각 회기별마다 검사용지에 기입하였다. 회기 마다의 자료는 4개의 기간으로 분리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Excel 2003을 사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은 각 기간별로 시각적인 변화율과 평 균값을 제시하였다(Ottenbacher, 1986). Ⅲ. 연구 결과 1.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균형 능력의 변화 균형은 푸리에변환 점수로 측정하였으며, NO와 NC, PO와 PC로 구분하여 제 시하였다. 먼저 NO의 각 기간별 평균 점수는 기초선1(22.91±2.39점)과 치료 1(22.03±6.32점)시 극소한 차이밖에 없었고, 기초선2(23.99±4.03점)에는 기 초선1 때보다 1점 정도 증가하였다가 치료2(16.11±6.49점)시 8점 가량 감소 하여 눈을 뜬 상태에서의 자세동요가 적어졌으므로 감각통합치료를 통하여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 3-1>. NC의 각 기간별 평균 점수는
  • 14.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기초선1 때보다 차츰 감소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 려우나 기초선1(37.1±8.92점)보다 치료2(28.31±10.24점)시의 점수 차이는 약 9점으로 자세동요가 지속적으로 적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PO의 각 기간별 평균 점수는 기초선1(27.16±6.77점)과 기초선2(27.09± 5.66점)시 상승하였으며, 치료1(23.50±1.67점)와 치료2(20.54±7.88점)시에 는 감소하여 자세동요의 정도가 치료의 적용 유무에 따라 뚜렷이 구별됨을 알 수 있었다<그림 3-2>. PC의 기간별 평균 점수는 기초선1(49.14±42.66점) 때보 다 치료1(39.13±14.41점)시 눈에 띄게 감소하였으며, 기초선2(40.21±12.78 점)기간에는 약간 상승하였다가 치료2(32.27±13.69점)시 기초선1과 비교하여 17점 가량 감소하여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자세동요가 좋아졌으며, 특히 눈을 감 았을 때의 동적인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자세별 자세동요 푸리에변환 점수는 <그림 3-1>과 <그림 3-2>와 같다. 기초선 1 치료 1 기초선 2 치료2 20 I ~ I ',",'" 、I ‘ r! _________ | NC평균| <그림 3-1> NO와 NC 자세에서의 균형 변화 - 116 - 5C 푸 4C 리 인익 tl~-~r~~.r-_ :- .....、 - 、/ 릎엽 환 -c _ τ 를 .. ... 정 / 1-- N。평균 T< •O I 0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회기
  • 15.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그림 3-2> PO와 PC 자세에서의 균형 변화 2.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집중력의 변화 집중력은 MWCT의 소요시간과 찾은 개수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기간별 평균은 <그림 3-3>과 <그림 3-4>와 같다. 소요시간의 평균은 기초선 1(279±9.89초)과 비교하여 치료1(145.7±4.16초)시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기 초선2(131.8±19.31초)기간에도 치료1(87±14.97초)때보다 감소하긴 하였으나 그 차이가 14초 정도로 기초선2와 치료2 기간의 55초 차이에 비하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집중력이 더 향상되었음을 나타 낸다. 찾은 개수의 평균은 기초선1(58±1.41개)과 치료2(60개)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치료2 시에 는 실수 없이 표적그림 60개 모두를 찾아 아동의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 었다. - 117 - 루컵 """= 딛짧 기조선 1 치료1 기조선2 치료2 • 00 ~U 60 40 푸 리 에 변 화」 저g < T 20 9 •O •• • 2 • 3 • 4 • 5 • 6 • 7 회기 2 3 4 5 6 7 8 0
  • 16.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그림 3-3> MWCT의 소요시간의 변화 기 효성 1 치료 ↑ 기 "션2 치 료2 <그림 3-4> MWCT의 찾은 개수의 변화 - 118 - 60 59 g 。 I nm R 저 수 ( 1 56 55 2 3 4 5 6 1 S 9 10 11 12 13 14 15 16 회기
  • 1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균형 및 주의력 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형분석결과 눈을 뜨고 머리를 정위한 자세와 눈을 감고 머리를 정위한 자세에서 기초선1 때보다 치료2 시 각각 8점, 9점 감소하 였다. 또한 pillow 위에 올라가 눈을 뜨고 머리를 정위한 자세에서도 기초선1 때보 다 7점 감소하였으며, pillow 위에서 눈을 감은 자세에서는 17점 차이를 보였다. 이 것은 자세동요가 감소하여 보다 균형을 잘 유지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며, 특히 눈을 감았을 때와 동적인 균형 유지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Zang 등(2002)의 연구에 의하면 눈을 뜨고 평평한 바닥에 서있을 때는 전정 감각이 고유수용성 감각 보다 유의한 관련이 있으며, 눈을 감고 평평한 바닥에 서있을 때는 전정 및 고유수 용성 감각 모두 밀접한 관련이 있고, pillow 위에 올라가 눈을 뜬 상태에서는 전정 감각과 가장 유의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전정 감각은 머리의 위치와 신체의 변화 를 느끼게 해주며, 고유수용성 감각은 사지의 위치와 공간에서의 다른 신체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Fisher 등, 1991). 따라서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전정 및 고 유수용성 감각 처리 능력이 향상되어, 정적ㆍ동적 균형유지 및 중력에 대한 인식과 자세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연구결과로 진흥신(1992)은 2명의 자폐아동에게 감각통합훈련을 실시한 결과 눈을 뜨고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으며, 김영희 (2004)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한발로 균형잡기 및 보행판 걷기와 같은 평형성 기술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김영록(2005)의 연구 에서도 정신지체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총 30회의 감각통합훈련을 하였을 때 균형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평균대에서 걷기, 한 발 서기, 눈 감고 평균대 위에 서기 등의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다. 최헌(2007)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 를 사용하여 3명의 발달장애 아동에게 감각통합훈련을 한 결과 한 발 들고 균형유 지하기 및 평균대 걷기와 같은 평형성과제에서 기초선 시 평균 1.4~2.5%의 수행률 을 보인 반면 중재기와 유지기에는 평균 54~82%의 수행률을 보여 감각통합훈련 을 통해 평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현희(2003)는 정 신지체아동 3명에게 감각통합훈련을 30회 적용한 후 남캘리포니아 감각통합검사 로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눈을 뜨고 한발 들기와 눈을 감고 한발 들기에서 변화가 없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Stonefelt & Stein(1998)은 ADHD 및 ADD로 의심되는 학습의 문제를 갖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 료를 적용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에게 여러 기술영역과 관련하여 감각통합치료의 - 119 -
  • 18.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효과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는데 약 88%의 응답자들이 균형 기술에서 효과적이었 다고 답하였으며, 아동의 보호자와 선생님에게 조사한 결과 각각 88%와 72%가 균형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답하였다. 이것은 감각통합치료 후 균형능력이 향상된 본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ADHD 아동은 운동 조절, 인지 처리, 집중력 조절의 문제를 모두 갖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준에 의해 아동이 침착해야 한다는 것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 으며, 운동 및 인지 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부분이 있다(Aranha, 2006). 또 한 균형과 자세는 운동 기능 중 기초적인 요소이며, ADHD 환자와 밀접한 관련 이 있지만(Harvey & Reid, 2003), DSM-Ⅳ(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의 진단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Zang과 동료들(2002)은 감각통 합장애가 있거나 없는 ADHD 아동 모두 균형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보고하였 으며, Iwanaga 등(2006)은 ADHD 진단을 받은 전학령기 아동 46명을 대상으 로 감각운동, 언어, 인지 능력의 특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J-MAP(Japanese version of the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을 사용하여 정상군 아 동과 비교한 결과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이 균형, 자세조절, 손과 혀의 미세운동, 운동실행 등의 순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ADHD 아동이 대운동 기술 중 특히 균형에 어려움이 많음을 의미하며, ADHD 아동의 운동 수행의 어 려움은 산만함이나 과잉행동 및 충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Piek & Dyck, 2004) 감각통합치료와 같은 감각운동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가 우 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ADHD 아동의 운동의 어려움은 성장함에 따라 대개 서투른 점이 감추어지므로 전학령기나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Blondis, 1999). 집중력 분석결과 표적그림을 찾는데 까지 걸린 소요시간의 평균은 기초선1과 비교하여 치료1 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기초선2 기간보다 치료2 시 소요시간 이 보다 많이 감소하여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집중력이 향상되어 보다 빠르게 수행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찾은 개수의 평균은 기초선1부터 치료2 기간 까지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정확히 알기는 어려웠다. 이것은 처음부터 아동이 60개의 표적그림 중 57개를 찾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치료2 시에는 실수를 하지 않고 표적그 림 모두를 찾아 아동의 집중력이 기초선1, 2때보다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중력은 전정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전정 감각 은 뇌간의 망상체와 연결되어 적절한 각성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며, 고유수용성 감각은 움직임에 대한 전정 감각계의 과반응과 접촉에 대한 촉각계의 과반응을 감소시키고 흥분한 상태 및 과잉행동을 조절해 준다(Kranowitz, 1998). 따라서 - 120 -
  • 19.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전 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계 처리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추신경계가 무의미한 정 보를 억제하고, 감각통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박인구(2003)는 정신지체 아동 3명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 여 감각통합훈련을 적용한 결과, 집중력 검사에서 사전사후 점수차가 7~16점으 로 나타났으며, 평균 주의집중 시간도 상당히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전옥 배(2005)는 정신지체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총 24회 감각통합훈련을 한 결과 선택적 및 지속적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 하였다. Sheda & Ralston(1997)은 ADHD 아동에게 그네타기와 치료용 퓨티 를 사용한 결과 그룹 내 집중 시간과 참여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그네를 타고 난 후에는 언어적 적대 행위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나중에는 더 이상 문제가 되 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다른 연구에서는 ADHD 환자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 용한 결과 그룹 활동에 집중하는 시간이 늘어났으며, 불안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보다 잘 이완되며, 충동성 및 과각성이 감소하였다고 한다(Stratton & Gailfus, 1998). Linderman & Stewart(1999)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 2명을 대상으 로 개별실험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15회 감각통합치료를 한 결과 활동에 집중하 는 시간과 자발적인 말하기, 목적적인 놀이가 증가하였으며, 혼란한 행동의 빈도 와 기간이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ADHD가 의심되는 학습문제를 갖는 아동들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향상된 기능영역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치 료사들 모두 집중력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아동의 보호자는 88%, 선생님은 57%가 집중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고 답하였다(Stonefelt & Stein, 1998). 이 와 같은 결과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의 미하며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향상 이외에도 감각통합치료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평소 아동은 잠이 쉽게 들지 못하며 많이 뒤척거리는 편이었는데 치료 3회기 후부터는 잠이 쉽게 들며,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한 다. 또한 치료 종결 후 아동의 보호자는 아동이 학교에서 활동이 민첩해졌으며, 수업시간에 산만하지 않고 선생님의 말에 보다 집중한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호흡과 심박수, 소화 기능, 수면 사이클 등과 관련된 생리 학적인 반응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가 보다 조직화(Roley, Blanche, & Schaaf, 2001)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여겨진다. 자율신경계는 감각에 대한 행 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McIntosh 등, 1999), 차분히 진정시키는 능력과 집 중을 유지하는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준다(Schaaf 등, 2003). 따라서 본 감각통 합치료를 통해 아동의 자율신경계가 보다 조직화되고 그에 따라 수면의 질 및 - 121 -
  • 20.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산만하고 과잉행동을 보였던 것이 점차 줄어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ADHD 아동의 문제를 산만함, 과잉행동, 충동성 에만 국한하지 않고 운동 조절의 문제까지 포함하여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균형능력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ADHD 아동의 진단기준의 확장 및 감각통합치료의 균형에 대한 효과를 지지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ADHD 아동의 집중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촉각,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들의 처리를 촉진하 며, 신경계를 조직화하고, 적절한 각성 수준을 유지하여 학습이나 일에 선택적으로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보호자의 아동에 대 한 관심 및 이해도가 증가하였으며 집이나 학교에서의 수행능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보다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넷째 본 연구의 설계는 ABAB 디자인으 로써 치료와 종속 변인의 관계를 강력하게 시사해주며, 단순한 상관관계뿐만 아 니라 인과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실험 대상자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해 2 번의 기초선에 맞추어 2번의 중재를 제공한 후 실험을 종료하여 근본적인 개인 의 가치를 존중하였으며,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쳤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첫째, 기초선1 기간이 2~3회기로 짧아 자료가 안정적이지 못하였다. 둘째, 집중력은 대부분 주 1회 측정하여 학습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나 기초선1부터 치료2까지 지속적으로 좋아지는 형태로 나타나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인지 학습의 효과인지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균형 및 집중력의 찾은 개수는 객관적으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으나 집중력의 소요시간 측정 시에는 제2관찰자가 없어 정확한 신뢰도를 제시하기 어려웠다. 넷째, 대상아동이 1명이며, 치료기간이 짧았고, 유지 및 일반화 기간이 없어 시 간이 지나도 치료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알기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기간을 늘리고,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여야 하며, 또한 ADHD 아동의 균형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른 감 각-운동 조절 및 인지 처리의 문제까지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 변화 정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균형 능력은 기초선1과 기초선2 기간과 비교하여 치료1 및 치료2 기간에 보다 향상되었다. - 122 -
  • 21.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둘째 아동의 집중력은 기초선 , 1부터 치료2 기간까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직접적 인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우나, 기초선2 기간보다 치료2 기간에는 향 상된 정도가 더 크므로 감각통합치료가 집중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각통합치료가 ADHD 아동의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며, 집 중력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를 집중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운동적인 부분까지 제시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 과를 지지하였으며, 보호자의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연구 대상 자의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인 원수 및 치료기간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영록 (2005).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훈련과 중단이 대근육 운동능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김영희 (2004). 감각통합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평형성 및 근력ㆍ민첩성 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박인구 (2003).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이현희 (2003). 감각통합 훈련이 정신지체아의 감각통합 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 간행 석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전옥배 (2005).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 123 -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진흥신 (1992). 자폐성 아동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에 의한 감각통합기능과 관련 기능행동의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최헌 (2007).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ieva, H., Lafont, S., Dartigues, J. F., & Fabrigoule, C. (1999). Selective attention in Alzheimer’s disease: Analysis of errors in Zazzo’s Cancellation Task. Brain and Cognition, 40, 26-29.
  • 2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Aranha, K. M. (2006). A comparison of postural control: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VS. children with ADHD. Master thesis, Texas Tech University. Ayres, A. J. (1972). Sensory Integration and Learning Disorders.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A: Western - 124 - Psychological Services. Barkley, R. (2003).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2rd). IN E. Mash & R. Barkley(Eds.), Child Psychopathology(pp. 75-143). New York: Guilford Press. Blondis, T. A. (1999). Motor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 Clinical North American, 46, 899-913. Brown, R. T., Freeman, W. S., Perrin, J. M. (2001). Prevalence and assessment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primary care settings. Pediatrics, 107, 43. Bush, G., Eve, M., Valera, & Seidman, L. J. (2005). Functional Neuroimaging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Biology Psychiatry, 57, 1273-1284. Casco, C., Tressoldi, P. E., & Dellantonio, A. (1998).Visual selective attention and reading efficiency are related in children. Cortex, 34, 531-546. Dawes, S. E. (2000). The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 Australian normative data and clinical utility. Brisbane: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d. DeGangi, G. A. (2000). Pediatric Disorders of Regulation in Affect and Behavior: A Therapist’s Guide to Assessment and Treatment. San Diego, CA: Academic Press. Dunn, W., Bennett, D. (2002). Patterns of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22(1), 4-15. Durston, S. (2003). A review of the biological bases of ADHD: What have we learned from imaging studie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 Disability Research Review, 9, 184-195. Ernst, M., Liebenauer, L. L., King, A. C., Fitzgerald, G. A., Cohen, R. M., &
  • 23.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Zametkin, A. J. (1994). Reduced brain metabolism in hyperactive girls. Journal of American Academic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3, 858-868. Fisher, A., Murray, E. A., Bundy, A. C. (1991).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Geldmacher, D. S., & Reidel, T. M., (1999). Age effects on random-array letter cancellation tests. Neuropsychiatry, Neuropsychology, and Behavioral Neurology, 12, 28-34. Guo, P., Guo, H., Yang, C. H. et al. (1999).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nese Journal of Behavioral Medical Science, 8, 306-306. Harvey, W., & Reid, G. (2003). Attention-Deficit/Hyperactive Disorder: A review of research on movement skill performance and physical fitnes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20, 1-25. Hern, K. L., & Hynd, G. W. (1992). Clinical differentiation of the attention deficit disorder subtypes: Do sensorimotor deficits characterize children with ADD/WO?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7, 77-83. Iwanaga, R., Ozawa, H., Kawasaki, C., & Tsuchida, R. (2006).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y-motor, verbal and cognitive abilities of preschool boy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bined type.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0, 37-45. Jensen, P. S., Mrazek, D., Knapp, P. (1997). Evolution and revolution in child psychiatry: ADHD as a disorder of adaptation.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6, 1672-1679. Kapczinski, F., Curran, H. V., Przemioslo, R., Williams, R., Fluck, E., Fernandes, C., & File, S. E. (1996). Cognitive impairments of alcoholic cirrhotic patients: Correlation with endogenous benzodiazepine receptor ligands and increased affinity of platelet receptor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60, 676-680. Kranowitz, C. (1998). The out-of-sync child: recognizing and coping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New Yo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 125 -
  • 24.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Lauer, C. J., Gorzewski, B., Gerlinghoff, M., Backmund, H., & Zihl, J. (1999).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3, 129-138. Leung, A. C., Robson, L. M., Fagan, J. E., Lim, S. N. (1994).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Getting control of impulsive behavior. Postgraduate Medicine, 95(2), 153-160.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rd ed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inderman, T. M., & Stewart, K. B. (1999). Sensory integrative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functional outcomes in young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 single-subject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 207-213. Mangeot, S. D., Miller, L. J., McIntosh, D. N., McGrath-Clarke, J., Simon, J., & Hagerman, R. J., et al. (2001). 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3, 399-406. McIntosh, D. N., Miller, L. J., Shyu, V., & Hagerman, R. J. (1999). Sensory modulation disruption, electrodermal responses, and functional behavior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1, 608-615. McKenzie, A. L., Nagarajan, S. S., Roberts, T. P. et al. (2003). Somatosensory representation of the digits and clinic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focal hand dystonia.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2, 737-749. Mulligan, S. (1996). An analysis of score pattern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isorders on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 647-654. Nikharge, T., Mulgaonkar, K. P. (2002).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 sensory perspective. The I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XXXIV(2). Ottenbacher, K. (1986). Evaluating clinical change: Strategies for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 126 -
  • 25.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Piek, J. P., Pitcher, T. M., & Hay, D. A. (1999). Motor coordination and kinaesthesis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1, 159-165. Piek, J. P., Dyck, M. J. (2004). Sensory-motor defic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tic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3, 465-488. Pitcher, T. M. (2001). Motor performance and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subtyp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Prudhomme White, B., & Mulligan, S. E. (2005). Behavioral and physiologic response measures of occupational task performance: A preliminary comparison between typic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ttention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 426-436. Roley, S. S., Blanche, E. I., & Schaaf, R. C. (2001).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 Austin: proㆍed. Schaaf, R. C., Miller, L. J. (2005).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 Disability Research Review, 11, 143-148. Schaaf, R. C., Miller, L. J., Seawell, D., & O’Keefe, S. (2003). Children with disturbances in sensory processing: A pilot study examining the role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 442-449. Sheda, C. H., Ralston, P. R. (1997). Sensorimotor processing activity plans. San Antonio: Therapy skill builders. Stonefelt, L. L., Stein, F. (1998). Sensory integrative techniques applied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 outcome study.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5(4), 252-272. Stratton, J., Galifus, D. (1998). A new approach to substance abuse treatment: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DHD.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15(2), 89-94 Teicher, M. H., Anderson, C. M., Polcari, A. et al. (2000). Functional deficits in basal ganglia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 127 -
  • 26.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disorder shown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laxometry. National Medicine, 6, 470-473. Whitmont, S., & Clark, C. (1996). Kinaesthetic acuity and fine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preliminary report.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38, 1091-1098. Zang, Y., Bomei, G., Qian, Q., & Wang, Y. (2002).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balance dys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Chinese Journal of Clinical Rehabilitation, 6, 1372-1374. - 128 -
  • 2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129 - <Abstract>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Kim, Kyeong MiㆍKim, Jin M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subject is a boy diagnosed with ADHD, who is 7 years and 6 months old and a second grader in an elementary school in P city. A single subject ABAB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rocedure consisted of 3 times of baseline 1 phase(A), 3 times of treatment 1 phase(B), 5 times of baseline 2 phase(A') and 6 times of treatment 2 phase(B'). The baseline phases involved no treatment, but during the treatment phases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Tetrax and the attention by Mesulam and Weintraub Cancellation Test(MWC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ubject’s balance ability was improved in the phases of treatment 1 and 2 better than in the phases of baseline 1 and 2. The attention of subject was constantly increased throughout the whole phases. But compared with that in the baseline 2 phase, the attention in the treatment 2 phase was boosted strikingly.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provided positive treatme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attention of the subject with ADHD. Furthermore, this study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by dealing with the attention problem and the motor aspects at the same time and helped the caregiver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child with ADHD. Bu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owing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the subject and the short period of
  • 28.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6卷第4號) the experiment.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more extensively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Key Words :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DHD, balance, attention 논문접수 : 2007. 11. 3 / 수정본 접수 : 2007. 12. 7 / 게재 승인 : 2007. 12. 14 -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