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누구보다도 세상에 어떤 스타일의 디자인이
있는지 더 많이 보고, 더 많이 알아야 하는 것이 좋
은 디자이너가 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라
는 셈이다.
그래서 디자인이 선천적이냐 후천적이냐는 질문
에 디자인은 후천적이다 라고 답한다고 했다. 그렇
게 세상의 스타일들을 알게 되면, 자연스레 이미
세상에 모든 스타일이 다 나와 있고, 더 이상 비집
고 들어갈 틈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세상에 이미 나
와 있는 수많은 스타일들 중, 자신이 하려는 디자
인과 가장 근사치에 있는 스타일을 선택한 뒤, 거
기서부터 디자인을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비즈니스맨으로서 디자인
하기
직관으로 혁신을 이루라
직관이 부족하면 혁신에 필요한 방법을 직접 만들어라
방법을 만들기 힘들면 많은 방법을 미리 알아두라
방법을 따라하지 말고 문제를 해결해라
문제를 해결하지 말고, 사용자 목표를 만족시켜라
혁신적인 UI,
어떻게 하나?
생활과 주변에서 배우기
주변에서 이야기하는 친구의 패턴,
내가 생활에서 마주치는 불편함과 이유,
새로운 감동을 준 물건에 대한 탐구와 집착
완구 산업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고성장
2009년 이후 4년 동안 매출은 2배, 영업이익 4배 증가
2012년 Hasbro 인수로 세계 2위의 장난감 회사로 성장
폭력이나 현실 세계의 무기를 생산하지 않는 철학
완성이 아니라 재창조하는 매력으로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좋아하는 메이커로 탄생
우리가 신문.잡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이런
이야기를 하려고 모인
건 아니잖아요?
레고가
충족하고 싶은
사용자의 목표
실수하지 않고 쉽게 조립하기
조립의 끝이 끝이 아니기
좋은 제품으로 남기
Leg godt = play well
image - http://500px.com/photo/1273261
레고가
충족하고 싶은
사용자의 목표
실수하지 않고 쉽게 조립하기
조립의 끝이 끝이 아니기
좋은 제품으로 남기
Leg godt = play well
image - http://500px.com/photo/1273261
여러 나라에 살고 있는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원하는 모양을 재미있게 완성하고
자기만의 이미지를 다시 만드는
즐거운 제품
내가 레고에서 배운 것.
제품 자체로서의
레고의 목표를 재해석하고 나누어 보면.
일반 사용자가
혁신을 주도하는
새로운 시대
여러 직군의 사람이 협업을 통해서 만든 아이디어,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스스로의 도구를 이용하여
기업이 할 수 없는 수준의 아이디어로 새로운 사용법,
혹은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페러다임
http://www.ted.com/talks/charles_leadbeater_on_innovation?language=ko
The greatest feeling in the world is to win a major league game
The second greatest feeling is to lose a major league game
Chuck T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