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집에 대한
생각을 바꾸면,
삶이 달라진다.
관계가 살아있는 집목적이 있는 집 이야기가 넘치는 집
저출생 고령화, 혈연중심 전통적 가족의 해체, 사회경
제적 영향에 따른 비혼, 만혼, 졸혼, 이혼, 사별, 직장
및 경제적 문제로 인한 별거 등 다양한 이유로 1인가
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웃 간 관계가
단절된 도시의 주거환경은 세대갈등 주민갈등 사회갈
등의 진원지가 되어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있습
니다. 그러나 우리의 주거정책은 여전히 정상가족 위
주의 양적공급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주거를 마련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통해 공동체를 회복시킬 수 있는
주거대안으로 셰어하우스, 코하우징, 홈셰어링, 협동
조합주택 등 다양한 주거공유 형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더함플러스는 주거공유 문화와 공동체주거를
우리 사회에 확산하고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소셜벤처 협동조합 입니다.
삶의 커다란
걱정거리가 되어 버린
‘집’
주거공유를 위해서는 주택의 양적공급 이전에 주거공유
에 관심이 있는 인력풀을 확대하고, 공통의 목적과 필요
를 가진 다양한 커뮤니티를 발굴하고 육성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공급자 중심의 현재 주택시장은 주거공유에 관심
있는 시민들의 이러한 욕구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
습니다. 더함플러스는 주거공유 및 공동체주택에 대한 시
민들의 이해를 돕고 다양한 공동체주거 욕구를 가진 수
요자 주도 커뮤니티를 발굴 육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공공이나 사업자 주도가 아닌 민간의 자발적 참
여로 수행할 때, 다양성과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주거공유 핵심은 소프트웨어, 즉
‘관계형성’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주거공유 및 공동체주거에 관심있는 시민들에게 충분한
정보와 교육 및 상담으로,
주거공유를실행하는시민들에게주거전환계획수립부터
주택협동조합 설립, 커뮤니티 형성, 건축 및 시공, 입주 후
공유공간 활용 등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밀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더 이상 집 걱정 없는 삶의 자리까지 안내합니다.
우리는 왜 이 일을 하는가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1인가구 및 노후를 위한 주거대안으로 ‘소그룹 공동체에 의한 협
력적주거’ 모델을 개발하고 널리 알리려 합니다. 우리는 공동체 주거의 담론형성부터 연
구기획, 콘텐츠개발, 교육, 컨설팅, 공동체주택 설립 시행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소셜미션
수행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동체주택의 개념
입주자들이 공동체공간(커뮤니티 공간)과 공동체규약을 갖추고,
입주자간 공동 관심사를 상시적으로 해결하여 공동체 활동을 생활화하는 주택
(서울시 공동체주택 활성화 지원 등에 관한 조례 제2조1항)
공동체주택의 필요성
1인 가구 증가 및 공동체 해체로 발생하는 생활문제를 공동대응으로 해결
- 육아,외로움,높은 주거비 등 공통된 생활문제를 함께 해결
- 공동육아,카풀,물품공유 등 공유방식을 통해 최소 투입으로 높은 효율성이 가능한 주거모델
주거비 상승으로 인한 서민부담을 완화하고,적정가격의 저렴주택 공급을 확대
- 적정가격에 소유하거나 지불가능한 임대주택에서 안정적으로 거주가능
- 거실,주방 및 공동체 공간(커뮤니티 공간)의 공유를 통해 작지만 여유로운 주택 공급
- 토지 공동매입 및 공동건축을 통해 개인 부담 완화
개인주의,파편화로 인해 발생하는 거주 갈등을 해소하고,공동체 주거문화 확산
- 텃밭,공방,북카페 등 공동체공간(커뮤니티 공간)활용하여 입주자와 지역주민간
개방·소통의 장 마련
- 입주자 및 지역주민의 재능품앗이 등의 활발한 활동으로 지역사회에 재능 기부문화 확산
공동체주택의 유형
육아형/노인돌봄형/다문화형/청년일자리형/동일직업형/1인가구형 등
목적 직업 취미·동호인 세대
육아 노인돌봄
다문화
청년 일자리
연극인 예술가
디자이너
1인 사업가
악기
도시텃밭·원예
그림
오토바이
청년 신혼부부
실버
세대혼합형
이사회
(이사장)
조합원
종회
감사 조직분과
공동체주택분과
교육분과
목적이 있는집
관계가 살아있는 집
이야기가 넘치는 집
2019.11.04
2019.10.29
2019.10.28
2019.10.07
2019.10.02
2019.09.28
2019.09.19
2019.09.17
2019.08.14
2019.08.14
2019.07.05
2019.07.02
2019.06.22
2019.06.20
2019.06.12
2019.06.11
2019.05.31
2019.05.30
2019.05.29
2019.05.16
2019.04.17
2019.03.20
2019.03.11
2019.02.25
2018.12.18
2018.12.13
2018.11.29
2018.11.07
2018.10.19
2018.10.18
2018.10.12
2018.09.20
2018.09.19
2018.09.05
2018.08.28
2018.08.21
2018.07.17
2018.07.13
2018.07.12
2018.06.20
2018.06.01
2018.05.30
2018.05.15
2018.05.10
2018.04.30
2018.04.25
2018.04.25
2018.04.19
2018.04.12
2018.04.11
2018.04.04
2018.03.07
2018.03.07
행복한 삶을 위한 집과 이웃 이야기
나의 집은 내집인가?
커뮤니티 워크숍
초고령미래사회 공동체주택의 의미
함께 사는 다른 방법,공동체주거
그것이 알고 싶다,공동체주거
슬기로운 마을살이
빈방과 공유경제
쫌 앞서가는 가족’이 살아가는 집
더함플러스 협동조합 소개
공동체주택‘여백’사례발표
사회적경제 인생이모작 사례 특강
집은 나눈다고요?
함께사는 다른 방법,공동체주거
고령친화 공동체주택의 사업화 사례
협동조합 운영사례 토크쇼
터무늬있는집 사업소개
고령화사회 따로 또 같이 사는 법
한 집에 산다는 것
공동체주거 특강
시민제안 워크숍(1인가구)
빈방과 공유경제
제2의 삶,그 시작은 집에서부터
공동체주거 이야기
터무늬있는집 사업소개
고령화사회와 공동체주거
작당의 시대(커뮤니티특강)
공동체주거 이야기(한미화의 북토크)
나를 살리고 마을을 살리는 집,공동체주택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공동체주거 이야기
공동체주거 이야기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공동체주거 이야기
공동체주택‘여백’사례발표
50+와 사회주택
공유경제와 공동체주거
홀로와 함께 사이,따로 또 같이 사는 집
시니어의 주거와 삶
‘쫌 앞서가는 가족’저자 특강
공동체주거 특강
사회적관계와 주거
행복한 이모작학교 북콘서트
내 집 마련을 위한 비책 토크쇼
작당의 시대(커뮤니티특강)
주거전환과 공동체주거
쫌 앞서가는 가족’이 살아가는 집
공동체주거 특강
함께 산다는 것에 대하여
일과 삶의 재구성
사회적관계와 주거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서울시 공동체주택 임시지원허브 개관특강
전주시평생학습관
강남구립논현도서관
안산시평생학습관
연세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춘천나눔의집
강동구청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강동구청
대전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서울시
현대자동차
한양사이버대학교
영등포청년건축학교
연세대학교
동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SH청년건축가 공모전
전주시청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열린사회은평시민회
빠띠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광진포럼
분당AK플라자
사회혁신명견만리
서울시
안산시평생학습관
고양시아람누리도서관
관악구도시재생지원센터
부산대50+인생학교
앙코르브라보노협동조합
농촌진흥청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서울시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
제주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행복중심고양파주생협
사회연대은행
분당AK플라자
대구와룡마을교육공동체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
김해장유도서관
은평구평생학습관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
춤추는달팽이도서관
성동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
부산대50+인생학교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춤추는달팽이도서관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분당인생학교
서울시
우리가 걸어 온 길
강의 및 교육
2018.02.09
2018.01.29
2018.01.18
2017.11.21
2017.11.15
2017.11.06
2017.10.27
2017.10.18
2017.10.13
2017.09.16
2017.08.31
2017.08.01.
2017.07.22
2017.06.09
2017.06.07
2017.03.08
2017.02.06
‘쫌 앞서가는 가족’북콘서트
집을 이야기 하다(누구와 살 것인가?)
‘쫌 앞서가는 가족’북콘서트
주택협동조합과 공유주택
주택협동조합과 공유주택
공동체주거 특강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행복한 이모작학교 북콘서트
협동조합,나도 할 수 있다
행복한 이모작학교 북콘서트
마을의 재생과 공동체복지의 거점,공동체주택
50이후 함께라서 행복한 주거로의 전환
주택협동조합 규약규정 워크숍
고령사회 실용적 노후주거의 대안 공동체주거
공동체주거 특강
‘쫌 앞서가는 가족’의 공동체주거 이야기
공동체주거 특강
숭례문학당
시니어블로거협회
수원시평생학습관
마천종합사회복지관
사회주택협회
통일교육원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도봉구평생학습관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은평상상컨퍼런스
동부여성발전센터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서울대고령사회연구단
부산대50+인생학교
100세시대대안포럼
수원시평생학습관
일자
2019.11.20
2019.11.13
2019.11.07
2019.10.29
2018.12.11
2017.11.27
2017.06.14
2016.11.29
2016.10.28
주제
청년공동체주거 포럼‘지역 청년 같이’
시민자산화 포럼
50+캠퍼스 공유사무실 활성화방안
서울시 사회적가족 구성 및 지원을 위한 정책 토론회
주거의제 오픈포럼
초고령사회,세대공존을 말하다
더하기포럼(주거)‘한지붕 세대공감’
50+주거,더불어 사는 세상을 꿈꾸다
주택협동조합,그간3년의 성과와 중장기 전망
주관기관
한국사회투자지원재단
관악공동행동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의회,가족구성권연구소
서울하우징랩
서울시
서울시50플러스재단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울시50플러스재단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포럼
자문, 멘토링
2019.09.04
2019.07.30
2019.03.19
2019.02.07
2018.12.10
2018.08.13
2018.06.05
20189~11월
20188~9월
20184~5월
경기도 사회적경제 전략의제 간담회
서울시복지정책공모전 참가팀 멘토링
소규모 주택관리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간담회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관계망 활성화 방안 연구’자문
도시재생 뉴딜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문가 콜로키움
서울시복지정책공모전 참가팀 멘토링
커뮤니티 입문 멘토링
충주,공주 마을관리협동조합 설립 교육 및 멘토링
협동조합 창업코칭
도시재생 및 주거복지 특화 창업멘토링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
서울시
SH공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수원시정연구원
서울시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수원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기획강의
2019년
2019년
2019년
2017~현재
삶을 담아내는 집:4강+현장탐방,
(서울시 민간연계시민대학 프로그램 기획)
의성의 선배시민 작당의 시대를 열다
(길위의인문학 프로그램 기획)
건축,인문학을 품다.
(강남구립도서관 인문학 축제)
50+공동체주거 정규과정
(서부캠퍼스 정규 교육과정으로 연2회 개설)
마포구립서강도서관
의성군립안계도서관
강남구립논현도서관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언론에 소개된 더함플러스
일자
2019년6월호
2019년8월호
2019.06.10
2019.05.17
2019.05.11
2019.01.17
2018년
2018년
2018년
2018.12.10
2018.11.10
2018.11.02
2018.07.16
2018.06.30
2018.02.21
2018.01.22
2017년8월호
2017년6월호
2017년
2017가을호
2017.11.06
2017.08.29
2017.08.24
2017.07.29
2017.07.19
2017.07.05
2017.06.30
2017.05.12
2016.12.17
2016.03.27
보도 및 기고 내용
함께 사는 것이 길이다
다양성이 숨쉬는 집
각자도생은 이제 그만,공유주택에서 행복 찾자
나에게 집이란OOO이다:책을 통해 보는‘주거’이야기
공유사무실 창업부터SNS스타까지‘5060제2의 인생 창업’
주거공유로 이룬 세대공감의 기적
‘쫌 앞서가는 가족’이 살아가는 집:
세대갈등을 넘어 세대간 협력과 공존의 공간으로”
김수동의 공동체주거 이야기(10회 연재)
사회적가족과 주거공동체
시민제안 주거이슈 논의…‘이슈텃밭 오픈포럼’
길고 외로운 노년,공동체주거에 답이 있다
최보기의 책보기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의‘모두의 집’
가족은 누구입니까?, 쫌 앞서가는 가족의 미래
연중기획,‘同行-고령사회로 가는 길’(6)공동체 생활에서 찾는 노인주거의 미래
집에 대한 또 다른 상상“공동체로 살아보니 좋구나!”
주거패러다임을 바꾸자,집도 이전‘따로 또 같이’
공동체주거 코디네이터,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로의 여백을 채우는 열 가구의 집짓기,지축 여백 공유주택
2016년 우수협동조합 사례집
생애후반부,당신은 어떤 집에 살고 싶나요
새로운 대안 공동체주택,무엇을 보완해야 하나
50플러스이야기-더함플러스협동조합 김수동 대표
주택협동조합 워크숍 개최
변상욱의 이야기쇼
따로 또 같이’공동체주거….상생하며 행복한 삶터 만들죠
쫌 앞서가는 시니어 공동체주거:김수동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이사장 인터뷰
집은 투자 대상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곳
노후준비,자금마련보다 중요한 건 사회적고립 막는 것
서울50+성공스토리,금융복지 주거 해법토론….시니어 커뮤니티 전성시대
‘불교 경제를 품다’더함플러스협동조합
매체
월간 인드라망
월간아버지V211호
이로운넷
서울하우징랩
MBN뉴스
한국일보
50+리포트09호
실버아이뉴스
서울대 환경논총vol.62호
중앙일보
고양신문
시사일보
월간아버지
월간중앙
브라보마이라이프
세계일보
월간 헤이데이
전원속의내집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생협평론
아파트관리신문
모르니까타임즈
한겨레
CBS
조선일보
서울시50+포털
시장경제
문화일보
아시아경제
불교방송
연도
2019
2018
2017
2016
2015
기타
구분
교육프로그램개발
공모사업
공공용역
공익활동지원사업
공모사업
해외연수
해외연수
연구공모
프로그램공모
공공용역
전시회
연구공모
조사
프로그램공모
소셜리빙랩
내용
공동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개발
공동체 코디네이터1기 수료생 배출
공감과 소통 다시 배우기,당신이 옳다.
(서울시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공모)
LH영아티스트존 시범사업 운영 용역
(미사강변13단지 커뮤니티활성화 연계 사업)
50+주거전환 글쓰기 프로젝트:‘모두의 집’출간
LH-소셜벤처 협업사업 아이디어 공모:
영아티스트존 문화예술 체험 프로그램
2018사회적기업 해외연수단 선정:
유럽의 사회주택 도시재생 현장을 가다
일본의 노인복지 현장을 가다:
후쿠오카 요리아이 요양원
세대간 협력형 공유주거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한지붕 세대공감’을 중심으로
따로 또 같이’관계성장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서울시 공동체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운영
서울시 공동체주택 박람회 참가
고령사회 실용적 노후주거의 대안으로서 시니어
공동체주거 공간확보 및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 중장년세대의 공동체주거 인식조사
50+세대를 위한 주거전환 강좌:
비틀거릴 내가 머물 곳은 어디에,당신의 집은 안녕하신가요?
50+누구와 살 것인가?
중장년 여성1인가구 공동체주거 체험 프로그램
주관기관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울시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
LH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시50플러스재단
LH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어르신사랑연구모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
서울시
서울시50플러스재단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울시50플러스재단
더함플러스협동조합
기관명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연합회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앙코르브라보노협동조합
한국사회주택협회
은평구사회적경제협의회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서울시50플러스재단
한국사회투자지원재단
역할
이사
이사
사외이사
회원사
회원사
전문코치
교육파트너
터무늬있는집운영위원
내용
공동체주택 관련 교육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공동체주택 사업협력
교육사업 협력
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한 당사자 연대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
협동조합 창업 및 설립지원 코칭
주거 관련 교육 및 상담
세대간 협력형 청년공유주택<터무늬있는집>시민 출자운동
연대사업
도서명
쫌 앞서가는 가족
-시니어 공동체 주거를 생각한다
모두의 집
작은집 이야기
-행복한 삶의 공간을 그리다
저자
김수동
김수동 외14명
손웅익
발행인, 발행년도
궁리출판,2017
더함플러스협동조합,2018
더오래 이야기(중앙일보),2019
우리가 만든 책
더함플러스 보유 교육 프로그램
분야 교육명 내용 대상
주
거
+
공동체주거
교육
- 사회적가족과 주거공동체
- 공유경제와 주거
- 고령화사회와 공동체주거
- 커뮤니티케어와 공동체주거
- 공동체주택 추진 절차
- 키워드로 풀어 보는 공동체주거
- 공동체주택 건축의 이해
- 공동체주택 현장 탐방
- 공동체주거 국내외 사례
- 공동체주거의 공유와 나눔
- 공동체주거와 미니멀라이프(다운사이징)
- 공동체주거와 커뮤니티 활동
- 공동체주택의 관리 및 운영
- 모두의 집, 공동체주택
- 서울시 공동체주택 인증제
공동체주거에 관심 있는 시민,
공유주택(사회주택) 사업관계자
공동체주거 규약/
규정 수립을 위한
교육 및 워크숍
- 공동체주거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
- 공동체주거 관련 법제도의 이해 및 적용
- 공동체주택 운영에 따른 현실적 이슈 및 대응전략
공동체주택 예비입주자
커뮤니티, 사업이해관계자
나답게 사는
우리 집,
공동체주거 모델
기획 멘토링
- 우리는 왜 공동체주거를 꿈꾸는가?
- 공동체주거의 A TO Z
- 공동체주거 목적에 따른 세부기획절차
예비입주자
커뮤니티 대상
공동체주거
워크숍
- ‘따로 또 같이’ 관계성장 워크숍
- 공동체주거 실제 사례 간접체험
- 공동체주거 시뮬레이션
- 공동체주거 가상 문제해결력 증진
관
계
+
PTC ; Powerful
Tools for Car-
egiver
(돌봄종사자를 위
한 자기돌봄 교육)
- 스트레스 다스리기
- 힘든 감정 다스리기
- 부드러운 대화법
- 긍정의 힘
가족/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보육교사
바이오필리아
(생명존중)
- 인간과 자연(동식물)의 조화로 심리정서적 치유
- 영화 인문학으로 들여다보기
- 자연을 이용한 작품 만들기
- 펫빌리지 공동체주택 건설을 위한 운동
- 유기견, 유기묘 입양 프로젝트
시니어/교육현장가/
마을활동가/커뮤니티 전문가/강
사/교사
고령화사회의 신인류50+.우리 사회의 미래는 이들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삶을 선택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0+, 여전히 젊고 건강하고 유능하며 냉철하고 날선 집단지성의 힘이 살아
있습니다.이들이 고립되지 않고 함께 어울려 선배시민으로서 사회적역할을 다 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
요하고 의미 있는 일입니다.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공동체주거를 기본으로 사회적관계,공동체,세대통합
등50+세대에게 필요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전문 강사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각 프로그램은 강의와 토론,워크숍의 형태로 진행됩니다.세부주제와 교육 시간 및 형식은 수요처의 필요
에 따라 맞춤형으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강의 및 교육과정 개설 문의:교육분과장 육현주 이사010-5473-5001 thehampluscoop@gmail.com
관
계
+
50+ 꿀벅지 복원
프로젝트
(50+, 건강+)
- 자신의 몸과 소통함으로써 치매, 성인병 예방
- 50+세대를 위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 내 몸을 알고 운동 원리 파악하여 생활 속
실행으로 잇기
- 몸 살리기 운동 관련한 인문학적 성찰
- 책과 영화를 통한 몸과의 소통 프로젝트
- 자기돌봄/환자돌봄/노약자돌봄
50+누구나/노인 및 노인체육지도
관련자/생활체육지도자/코디네이
터/돌봄 노동자
소통과 공감
다시 배우기
‘당신이 옳다’
- 자신을 보호하는 자기 공감 경계 세우기
- 전 체중을 실어 존재에게 기울이는 공감 배우기
- 관계 갈등 위기 해결력
- 자존감 회복으로 관계설정 잘 하기
자기치유력을 믿는 사람/심리적 정
서적 안정을 요하는 사람/ 사회복지
사/공동체 지도자/조직 책임자/공동
체주거 희망자
모두의 그림책
- 그림책 심리 치유
- 자신의 마음 직면하고 자존감 높이기
- 소통과 공감 익히기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요하는 사람/
사회복지사/공동체 지도자/조직 책
임자/공동체주거 희망자
돌보미 공감 피로
- 자기 돌봄
- 감정노동을 줄이는 회복탄력
- 친절한 무관심
사회복지사/공동체 지도자/조직 책
임자/공동체주거 희망자/감정노동
자/교사/요양보호사/상담사
일할 맛 나는 팀
(조직) 만들기
- 팀플레이 협업 활동
- 소통을 돕는 대화법
- 직장생활 백서
- 팀 빌딩
- NCS 기반 역량강화
직장인/공동체 지도자/공동체주거
희망자/사회복지사/교사/행사진행
자/상담사/코디네이터
갈등, 문제가 아닌
기회!
- 협상, 회의, 위기 갈등
- 소통력을 키우기
- 회복탄력성
직장인/공동체 지도자/공동체주거
희망자/사회복지사/교사/행사진행
자/상담사/코디네이터
생
애
+
50+(60+)의 삶
- 삶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자아탐색
- 업이 될 일을 찾기 위한 자기인식
- 액티브 시니어의 삶 설계
인생의 전환점을 돌고 있는
누구나
좋은 학부모로
산다는 것
-인성 교육
-진로 취업 탐색 교육
-부모 자식 간 윈윈 교육
학부모, 예비학부모, 교사,
상담사
세대갈등
이렇게 풀어요
-세대별 특성 탐구로 근본적 이해하기
-세대를 뛰어넘는 협업구조 만들기
-세대통합형 창업 창직 아이디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직장인, 주부, 교사 등
자아탐색
나다움을 찾아서
-삶의 목적 비전 가치를 심는 진성리더십
-셀프리더십으로 성장하라
전 세대 누구나
잘 익어갑시다.
노년의 삶
- 고전 인문학을 통한 자기 성찰
- 고전 인문학 독서 테라피
- 자서전 쓰기
- 삶의 통찰에서 오는 생활 글쓰기
- 문화기획서 작성 글쓰기
- 책 기획과 책쓰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누구나, 강사, 진행자,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죽음애도학
- 품위 있는 죽음 준비하기
- 일상에서의 애도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누구나, 강사, 진행자,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일+
공동체
코디네이터 과정
- 공동체 코디네이터 입문
- 공동체 코디네이터 역할과 업무
- 공동체 코디네이터 실전
- 공동체 코디네이터 실습
공동체주거 희망자 및 관계자와 종
사자/커뮤니티 전문가/ 마을 활동
가/사회복지사/직업상담사
공동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변화가 상수인 시대, 혼족 30%, 고령사회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각자도생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공동체가 주는 온기를 복원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습니다.
놀이공동체, 문화공동체, 학습공동체, 마을공동체, 예술공동체, 주거공동체 등 다양한
목적으로 공통된 가치를 공유하며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공동체 코디네
이터는 이런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공동체의 유기적 활동을 돕고 민주적 의사결정과 건
강한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해 존재합니다. 요청이 있는 공동체의 자치회 조직과 운영, 의
사결정, 콘텐츠 개발 등을 도와 사람 간의 ‘관계’를 건강하게 이어줄 수 있도록 퍼실리
테이션을 할 수 있도록 전문가적 소양을 기르는 과정입니다.
과정 목적
- 다양한 커뮤니티의 공동체성 강화를 위한
관계 전문가 양성
- 선진 공동체 문화(문화예술,학습,지역,주거,
놀이) 소개 및 관련 콘텐츠제작 도움.
- 주거공동체 인큐베이팅 실무를 담당할
전문 인력 양성
입문과정(20h)
공동체 코디네이터,
당신은 누구입니까?(6h)
공동체 코디네이터,
무엇을 하는 사람입니까?
(6h)
공동체 코디네이터,이상과
현실의 갭을 어떻게 극복합
니까? (6h)
당신은 어떤 코디네이터가
되시렵니까? (2h)
-과정 소개 및 인사 공동
체의 개념과 시대 배경
-공동체주거 탄생 주거공
동체 코디네이터 필요성
-코디네이터 자질 진단
및 성찰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역할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역량
-현장 탐방으로 구성원들
의 소리 듣기
-이상과 현실의 갭 메우기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능력 개발
-교육 전후 자신의 비전과
가치 정렬
-상호 피드백
-자신의 미션,비전,가치
재 디자인 발표
후속 커뮤니티(배움 성장 학습 공동체)
교육 대상
- 공동체주택 주민(또는 입주예정자)
- 신직업을 찾는 구직자
- 다양한 직종 종사자 직무 교육,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주거복지사, 공동체주택 코디네
이터, 상담사, 강사, 교사, 마을 활동가, 사회적
기업가, 협동조합원, 문화기획가 등
감정노동자 및 소통 공감 관련 업무 종사자
심화과정(40h)
코디네이터로서의 꿈과 비전
은 진행 중인가요? (2h)
코디네이터로서의 관계 능
력,안녕하세요?(24h)
코디네이터로서 자기돌봄은
어떻게 하시나요?(12h)
코디네이터로서 자신은 어떻
게 성장할것인가요? (2h)
-코디네이터들이 가야 할
방향성 점검
-실전 현장에서의 고충
사례 파악과 분석
-코디네이터 간의 연대와
협업 조직 재정비
-타임 뱅크 실전
-관계 촉진,대화법 실전
-갈등 관리 실전
-코칭기법 실전
-상담 사례 실전
-사례일지 기록 실습
-1인칭 내러티브
감정 글쓰기
-스트레스 관리
-자기공감 경계 세우기
-자기 보상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보람 공유
-상호 피드백
-자신의 미션,비전,가치
재 디자인 발표
후속 커뮤니티(배움 성장 학습 공동체)
전문자격과정
우리는 다양성을 존중하며 소통과 공감으로 관계 안에서 성장합니다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참여를 위한 다양한 자조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함플러
스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수 증가라는 양적 성장
뿐만 아니라, 조합역량 강화라는 질적 성장을 이
루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장을 바탕으로 대외 인
지도를 높여가고 있으며, 더함플러스만의 관계가
살아있고, 목적과 이야기가 있는 공동체 주거 패
러다임을 전파하고자 노력합니다.
공동체(주거)에 대한 소통의 장으로 더달공은 열
린시민교육을 지향합니다.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The 달;공’이라는 브랜
드를 통해 하드웨어(공동체 주택건설)와 소프트
웨어(공동체 주거에서의 관계형성 및 시민의식)
를 아우르는 ‘쫌 앞서가는 공동체(주거)’에 관한
모든 활동을 펼쳐나갈 예정입니다.
시민참여 열린공부방
더함플러스 다달이 공동체 주거모임,
더함플러스 달콤한 공부모임의 약어입니다.
공동체 주거 커뮤니티 관련한 다양한 공부와 교류를
통해 ‘재미와 유익’을 추구합니다.
매월 셋째 주 화요일 저녁 7시 목적,관계, 이야기가
살아있는 교류를 하실 수 있습니다.
조합원뿐만 아니라 따뜻한 연대, 공동체 주거에 관심
있는 분은 누구라도 참여 가능합니다.
‘The 달;공’이란?
공동체주택 시행사업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연합회는 자주적·자립적·자치적인 연합회 활동을 통하
여 주택을 필요로 하는 시민에게 이웃과 함께하고 경제적이며,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주택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주택문제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연구 활동과 다양한 사회적 경제주체들과의 연대활동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다양한 주거관련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연합회와 함께 공동체주택
시행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입주자모집과 교육,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담당자 연락처
-전문숙 사무총장
-조용란 사무국장
한국주택도시
협동조합 연합회
연대사업
010-3071-8530
010-8289-6300
www.fk.or.kr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터무늬있는집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출자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열악한 집으로 내몰리는 청년들
- 청년 주거비 부담 10년 만에 77% 상승 (2016.11.22.통계청)
- 청년 20% 1,300만원 대출, 고금리대출자 13% (2017.11청년대학생금융실태조사)
- 높은 주거비와 부채 부담에 청년은 지옥고(지하방·옥탑방·고시원)를 전전함
기존 공공임대주택도 물량이 부족하고,청년에게는 높은 문턱
- 공공임대 주택 20대 입주율 단 3% (2016년 조정식 국토교통위원장실 국정감사자료)
- 입주 문턱이 높고, 높은 보증금은 청년에게 부담
빚을 지지 않고,관계가 살아있는 시민출자 공동체주택
- 시민출자 기금을 조성, 청년그룹 공동체주택 전세보증금 제공
- 지역사회 청년그룹은 시세 50%이하로 주택에 함께 살며 운영
시민출자 기금조성 공동체주택 제공사업 네트워킹 사업 청년그룹 목적활동
·출자자 조직
·출자자 관리
·정기 운영위원회 개최
·시민출자 공동체주택
전세보증금 지원
·청년주택 입주과정
및 운영 지원
·오픈하우스
·자치활동
·공동주거 청년연대 모임
·사례공유회 및 탐방
·송년모임(총회)
·청년그룹별
목적활동 전개
(지역사회활동
or주거공동체)
시민출자 기금조성 지역청년 주거안정
주거환경개선 및
주거비절감
공동체성 강화
·출자 및 기부금(2019.9)
405,800,000원
-개인출자자62명
-출자단체8곳
·총3채(12호)
-청년공동체
주택 보증금 지원
·소득대비임대료(RIR)
17%달성
-1호 월세평균8만원
-2호 월세평균12만원
-3호 월세평균14~25만원
·주택 공동체활동
-청년주거연대사업
-출자자-청년교류
사업내용
사업성과
연대사업
터무늬제작소 https://themuni.co.kr
2019 서울특별시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공동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개발
2018 한국사회주택협회 가입
2017 ‘따로 또 같이’관계형성 워크숍 프로그램개발
2016 협동조합 우수사례 공모전 선정
2015 시니어 혁신사회적기업가
창업경연대회 최우수상 수상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선정
2014 소셜벤쳐 경연대회 참가
협력기관;
서울시50플러스재단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 연합회
한국사회주택협회
터무늬제작소(한국사회투자지원재단)
은평구 사회적 경제협의회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tel_
fax_
mobile_
email_
02.2038.2777
070.8677.3777
010.7345.6013
thehampluscoop@gmail.com
서울 은평구 통일로715.
은평사회적경제혁신밸리센터
(우리은행WB은평타워9층)
주소
연신내
구파발
방향
녹번역
방향
3,6호선 불광역
우리은행
WB은평타워9층
3번
출구
4번
출구
더함플러스협동조합 회사 소개서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서울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서울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태영 이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Eunho Chun
 
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
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
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
Eunho Chun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Eunho Chun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actioncan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Green Korea United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koreaspeaks
 
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
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
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Eunho Chu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Sungwoo J. Choi
 
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
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
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Eunho Chun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주호 정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Eunho Chun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C.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Jongoak Kim
 
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여성환경연대
 

What's hot (20)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만들기 발표자료 1217_전은호
 
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
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
협력적주거공동체 전은호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
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
리질리언스(회복력) 그리고 사회적경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
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
공동체토지신탁 소개 V1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
공동체토지신탁과마을공동체 마을학교발표 0619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돌봄과 살림의 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Similar to 더함플러스협동조합 회사 소개서

[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
[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
[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
Hwajun Song
 
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
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
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
와룡 사회적협동조합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lee won don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Sang Hyun Park
 
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
홍순 박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gdiwelfare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Smith Kim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seekly
 
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
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
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
iCOOP KOREA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Gori Communication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
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
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
수원 주
 
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
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
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
별일 사무소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
 
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
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
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
seo jeongho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서울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Creative Commons Korea
 

Similar to 더함플러스협동조합 회사 소개서 (20)

[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
[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
[사회적기업가포럼]대학생 주거문제해결 '민달팽이유니온' 발표자료
 
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
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
2021 배나무골 생문공 마을신문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
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
Introduction to Community Business in leased apartment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
 
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
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
청소년 사회적경제 관련 자료 소개
 
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
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
소풍가는 고양이 창업 이야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
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
Calling forlocalcommunity cohousing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더함플러스협동조합 회사 소개서

  • 1. 집에 대한 생각을 바꾸면, 삶이 달라진다. 관계가 살아있는 집목적이 있는 집 이야기가 넘치는 집
  • 2. 저출생 고령화, 혈연중심 전통적 가족의 해체, 사회경 제적 영향에 따른 비혼, 만혼, 졸혼, 이혼, 사별, 직장 및 경제적 문제로 인한 별거 등 다양한 이유로 1인가 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웃 간 관계가 단절된 도시의 주거환경은 세대갈등 주민갈등 사회갈 등의 진원지가 되어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있습 니다. 그러나 우리의 주거정책은 여전히 정상가족 위 주의 양적공급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주거를 마련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통해 공동체를 회복시킬 수 있는 주거대안으로 셰어하우스, 코하우징, 홈셰어링, 협동 조합주택 등 다양한 주거공유 형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더함플러스는 주거공유 문화와 공동체주거를 우리 사회에 확산하고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소셜벤처 협동조합 입니다. 삶의 커다란 걱정거리가 되어 버린 ‘집’
  • 3. 주거공유를 위해서는 주택의 양적공급 이전에 주거공유 에 관심이 있는 인력풀을 확대하고, 공통의 목적과 필요 를 가진 다양한 커뮤니티를 발굴하고 육성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공급자 중심의 현재 주택시장은 주거공유에 관심 있는 시민들의 이러한 욕구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 습니다. 더함플러스는 주거공유 및 공동체주택에 대한 시 민들의 이해를 돕고 다양한 공동체주거 욕구를 가진 수 요자 주도 커뮤니티를 발굴 육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공공이나 사업자 주도가 아닌 민간의 자발적 참 여로 수행할 때, 다양성과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주거공유 핵심은 소프트웨어, 즉 ‘관계형성’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주거공유 및 공동체주거에 관심있는 시민들에게 충분한 정보와 교육 및 상담으로, 주거공유를실행하는시민들에게주거전환계획수립부터 주택협동조합 설립, 커뮤니티 형성, 건축 및 시공, 입주 후 공유공간 활용 등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밀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더 이상 집 걱정 없는 삶의 자리까지 안내합니다.
  • 4. 우리는 왜 이 일을 하는가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1인가구 및 노후를 위한 주거대안으로 ‘소그룹 공동체에 의한 협 력적주거’ 모델을 개발하고 널리 알리려 합니다. 우리는 공동체 주거의 담론형성부터 연 구기획, 콘텐츠개발, 교육, 컨설팅, 공동체주택 설립 시행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소셜미션 수행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동체주택의 개념 입주자들이 공동체공간(커뮤니티 공간)과 공동체규약을 갖추고, 입주자간 공동 관심사를 상시적으로 해결하여 공동체 활동을 생활화하는 주택 (서울시 공동체주택 활성화 지원 등에 관한 조례 제2조1항) 공동체주택의 필요성 1인 가구 증가 및 공동체 해체로 발생하는 생활문제를 공동대응으로 해결 - 육아,외로움,높은 주거비 등 공통된 생활문제를 함께 해결 - 공동육아,카풀,물품공유 등 공유방식을 통해 최소 투입으로 높은 효율성이 가능한 주거모델 주거비 상승으로 인한 서민부담을 완화하고,적정가격의 저렴주택 공급을 확대 - 적정가격에 소유하거나 지불가능한 임대주택에서 안정적으로 거주가능 - 거실,주방 및 공동체 공간(커뮤니티 공간)의 공유를 통해 작지만 여유로운 주택 공급 - 토지 공동매입 및 공동건축을 통해 개인 부담 완화 개인주의,파편화로 인해 발생하는 거주 갈등을 해소하고,공동체 주거문화 확산 - 텃밭,공방,북카페 등 공동체공간(커뮤니티 공간)활용하여 입주자와 지역주민간 개방·소통의 장 마련 - 입주자 및 지역주민의 재능품앗이 등의 활발한 활동으로 지역사회에 재능 기부문화 확산 공동체주택의 유형 육아형/노인돌봄형/다문화형/청년일자리형/동일직업형/1인가구형 등 목적 직업 취미·동호인 세대 육아 노인돌봄 다문화 청년 일자리 연극인 예술가 디자이너 1인 사업가 악기 도시텃밭·원예 그림 오토바이 청년 신혼부부 실버 세대혼합형
  • 6. 2019.11.04 2019.10.29 2019.10.28 2019.10.07 2019.10.02 2019.09.28 2019.09.19 2019.09.17 2019.08.14 2019.08.14 2019.07.05 2019.07.02 2019.06.22 2019.06.20 2019.06.12 2019.06.11 2019.05.31 2019.05.30 2019.05.29 2019.05.16 2019.04.17 2019.03.20 2019.03.11 2019.02.25 2018.12.18 2018.12.13 2018.11.29 2018.11.07 2018.10.19 2018.10.18 2018.10.12 2018.09.20 2018.09.19 2018.09.05 2018.08.28 2018.08.21 2018.07.17 2018.07.13 2018.07.12 2018.06.20 2018.06.01 2018.05.30 2018.05.15 2018.05.10 2018.04.30 2018.04.25 2018.04.25 2018.04.19 2018.04.12 2018.04.11 2018.04.04 2018.03.07 2018.03.07 행복한 삶을 위한 집과 이웃 이야기 나의 집은 내집인가? 커뮤니티 워크숍 초고령미래사회 공동체주택의 의미 함께 사는 다른 방법,공동체주거 그것이 알고 싶다,공동체주거 슬기로운 마을살이 빈방과 공유경제 쫌 앞서가는 가족’이 살아가는 집 더함플러스 협동조합 소개 공동체주택‘여백’사례발표 사회적경제 인생이모작 사례 특강 집은 나눈다고요? 함께사는 다른 방법,공동체주거 고령친화 공동체주택의 사업화 사례 협동조합 운영사례 토크쇼 터무늬있는집 사업소개 고령화사회 따로 또 같이 사는 법 한 집에 산다는 것 공동체주거 특강 시민제안 워크숍(1인가구) 빈방과 공유경제 제2의 삶,그 시작은 집에서부터 공동체주거 이야기 터무늬있는집 사업소개 고령화사회와 공동체주거 작당의 시대(커뮤니티특강) 공동체주거 이야기(한미화의 북토크) 나를 살리고 마을을 살리는 집,공동체주택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공동체주거 이야기 공동체주거 이야기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공동체주거 이야기 공동체주택‘여백’사례발표 50+와 사회주택 공유경제와 공동체주거 홀로와 함께 사이,따로 또 같이 사는 집 시니어의 주거와 삶 ‘쫌 앞서가는 가족’저자 특강 공동체주거 특강 사회적관계와 주거 행복한 이모작학교 북콘서트 내 집 마련을 위한 비책 토크쇼 작당의 시대(커뮤니티특강) 주거전환과 공동체주거 쫌 앞서가는 가족’이 살아가는 집 공동체주거 특강 함께 산다는 것에 대하여 일과 삶의 재구성 사회적관계와 주거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서울시 공동체주택 임시지원허브 개관특강 전주시평생학습관 강남구립논현도서관 안산시평생학습관 연세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춘천나눔의집 강동구청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강동구청 대전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서울시 현대자동차 한양사이버대학교 영등포청년건축학교 연세대학교 동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SH청년건축가 공모전 전주시청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열린사회은평시민회 빠띠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광진포럼 분당AK플라자 사회혁신명견만리 서울시 안산시평생학습관 고양시아람누리도서관 관악구도시재생지원센터 부산대50+인생학교 앙코르브라보노협동조합 농촌진흥청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서울시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 제주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행복중심고양파주생협 사회연대은행 분당AK플라자 대구와룡마을교육공동체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 김해장유도서관 은평구평생학습관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 춤추는달팽이도서관 성동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 부산대50+인생학교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춤추는달팽이도서관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분당인생학교 서울시 우리가 걸어 온 길 강의 및 교육
  • 7. 2018.02.09 2018.01.29 2018.01.18 2017.11.21 2017.11.15 2017.11.06 2017.10.27 2017.10.18 2017.10.13 2017.09.16 2017.08.31 2017.08.01. 2017.07.22 2017.06.09 2017.06.07 2017.03.08 2017.02.06 ‘쫌 앞서가는 가족’북콘서트 집을 이야기 하다(누구와 살 것인가?) ‘쫌 앞서가는 가족’북콘서트 주택협동조합과 공유주택 주택협동조합과 공유주택 공동체주거 특강 주거전환을 통한 인생재설계 행복한 이모작학교 북콘서트 협동조합,나도 할 수 있다 행복한 이모작학교 북콘서트 마을의 재생과 공동체복지의 거점,공동체주택 50이후 함께라서 행복한 주거로의 전환 주택협동조합 규약규정 워크숍 고령사회 실용적 노후주거의 대안 공동체주거 공동체주거 특강 ‘쫌 앞서가는 가족’의 공동체주거 이야기 공동체주거 특강 숭례문학당 시니어블로거협회 수원시평생학습관 마천종합사회복지관 사회주택협회 통일교육원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도봉구평생학습관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은평상상컨퍼런스 동부여성발전센터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서울대고령사회연구단 부산대50+인생학교 100세시대대안포럼 수원시평생학습관 일자 2019.11.20 2019.11.13 2019.11.07 2019.10.29 2018.12.11 2017.11.27 2017.06.14 2016.11.29 2016.10.28 주제 청년공동체주거 포럼‘지역 청년 같이’ 시민자산화 포럼 50+캠퍼스 공유사무실 활성화방안 서울시 사회적가족 구성 및 지원을 위한 정책 토론회 주거의제 오픈포럼 초고령사회,세대공존을 말하다 더하기포럼(주거)‘한지붕 세대공감’ 50+주거,더불어 사는 세상을 꿈꾸다 주택협동조합,그간3년의 성과와 중장기 전망 주관기관 한국사회투자지원재단 관악공동행동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의회,가족구성권연구소 서울하우징랩 서울시 서울시50플러스재단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울시50플러스재단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포럼 자문, 멘토링 2019.09.04 2019.07.30 2019.03.19 2019.02.07 2018.12.10 2018.08.13 2018.06.05 20189~11월 20188~9월 20184~5월 경기도 사회적경제 전략의제 간담회 서울시복지정책공모전 참가팀 멘토링 소규모 주택관리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간담회 ‘1인가구 주거공동체 및 사회적관계망 활성화 방안 연구’자문 도시재생 뉴딜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전문가 콜로키움 서울시복지정책공모전 참가팀 멘토링 커뮤니티 입문 멘토링 충주,공주 마을관리협동조합 설립 교육 및 멘토링 협동조합 창업코칭 도시재생 및 주거복지 특화 창업멘토링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 서울시 SH공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수원시정연구원 서울시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수원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 8. 기획강의 2019년 2019년 2019년 2017~현재 삶을 담아내는 집:4강+현장탐방, (서울시 민간연계시민대학 프로그램 기획) 의성의 선배시민 작당의 시대를 열다 (길위의인문학 프로그램 기획) 건축,인문학을 품다. (강남구립도서관 인문학 축제) 50+공동체주거 정규과정 (서부캠퍼스 정규 교육과정으로 연2회 개설) 마포구립서강도서관 의성군립안계도서관 강남구립논현도서관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언론에 소개된 더함플러스 일자 2019년6월호 2019년8월호 2019.06.10 2019.05.17 2019.05.11 2019.01.17 2018년 2018년 2018년 2018.12.10 2018.11.10 2018.11.02 2018.07.16 2018.06.30 2018.02.21 2018.01.22 2017년8월호 2017년6월호 2017년 2017가을호 2017.11.06 2017.08.29 2017.08.24 2017.07.29 2017.07.19 2017.07.05 2017.06.30 2017.05.12 2016.12.17 2016.03.27 보도 및 기고 내용 함께 사는 것이 길이다 다양성이 숨쉬는 집 각자도생은 이제 그만,공유주택에서 행복 찾자 나에게 집이란OOO이다:책을 통해 보는‘주거’이야기 공유사무실 창업부터SNS스타까지‘5060제2의 인생 창업’ 주거공유로 이룬 세대공감의 기적 ‘쫌 앞서가는 가족’이 살아가는 집: 세대갈등을 넘어 세대간 협력과 공존의 공간으로” 김수동의 공동체주거 이야기(10회 연재) 사회적가족과 주거공동체 시민제안 주거이슈 논의…‘이슈텃밭 오픈포럼’ 길고 외로운 노년,공동체주거에 답이 있다 최보기의 책보기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의‘모두의 집’ 가족은 누구입니까?, 쫌 앞서가는 가족의 미래 연중기획,‘同行-고령사회로 가는 길’(6)공동체 생활에서 찾는 노인주거의 미래 집에 대한 또 다른 상상“공동체로 살아보니 좋구나!” 주거패러다임을 바꾸자,집도 이전‘따로 또 같이’ 공동체주거 코디네이터,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로의 여백을 채우는 열 가구의 집짓기,지축 여백 공유주택 2016년 우수협동조합 사례집 생애후반부,당신은 어떤 집에 살고 싶나요 새로운 대안 공동체주택,무엇을 보완해야 하나 50플러스이야기-더함플러스협동조합 김수동 대표 주택협동조합 워크숍 개최 변상욱의 이야기쇼 따로 또 같이’공동체주거….상생하며 행복한 삶터 만들죠 쫌 앞서가는 시니어 공동체주거:김수동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이사장 인터뷰 집은 투자 대상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곳 노후준비,자금마련보다 중요한 건 사회적고립 막는 것 서울50+성공스토리,금융복지 주거 해법토론….시니어 커뮤니티 전성시대 ‘불교 경제를 품다’더함플러스협동조합 매체 월간 인드라망 월간아버지V211호 이로운넷 서울하우징랩 MBN뉴스 한국일보 50+리포트09호 실버아이뉴스 서울대 환경논총vol.62호 중앙일보 고양신문 시사일보 월간아버지 월간중앙 브라보마이라이프 세계일보 월간 헤이데이 전원속의내집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생협평론 아파트관리신문 모르니까타임즈 한겨레 CBS 조선일보 서울시50+포털 시장경제 문화일보 아시아경제 불교방송
  • 9. 연도 2019 2018 2017 2016 2015 기타 구분 교육프로그램개발 공모사업 공공용역 공익활동지원사업 공모사업 해외연수 해외연수 연구공모 프로그램공모 공공용역 전시회 연구공모 조사 프로그램공모 소셜리빙랩 내용 공동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개발 공동체 코디네이터1기 수료생 배출 공감과 소통 다시 배우기,당신이 옳다. (서울시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공모) LH영아티스트존 시범사업 운영 용역 (미사강변13단지 커뮤니티활성화 연계 사업) 50+주거전환 글쓰기 프로젝트:‘모두의 집’출간 LH-소셜벤처 협업사업 아이디어 공모: 영아티스트존 문화예술 체험 프로그램 2018사회적기업 해외연수단 선정: 유럽의 사회주택 도시재생 현장을 가다 일본의 노인복지 현장을 가다: 후쿠오카 요리아이 요양원 세대간 협력형 공유주거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한지붕 세대공감’을 중심으로 따로 또 같이’관계성장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서울시 공동체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운영 서울시 공동체주택 박람회 참가 고령사회 실용적 노후주거의 대안으로서 시니어 공동체주거 공간확보 및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 중장년세대의 공동체주거 인식조사 50+세대를 위한 주거전환 강좌: 비틀거릴 내가 머물 곳은 어디에,당신의 집은 안녕하신가요? 50+누구와 살 것인가? 중장년 여성1인가구 공동체주거 체험 프로그램 주관기관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울시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 LH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시50플러스재단 LH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어르신사랑연구모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 서울시 서울시50플러스재단 더함플러스협동조합 서울시50플러스재단 더함플러스협동조합 기관명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연합회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앙코르브라보노협동조합 한국사회주택협회 은평구사회적경제협의회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서울시50플러스재단 한국사회투자지원재단 역할 이사 이사 사외이사 회원사 회원사 전문코치 교육파트너 터무늬있는집운영위원 내용 공동체주택 관련 교육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공동체주택 사업협력 교육사업 협력 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한 당사자 연대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 협동조합 창업 및 설립지원 코칭 주거 관련 교육 및 상담 세대간 협력형 청년공유주택<터무늬있는집>시민 출자운동 연대사업 도서명 쫌 앞서가는 가족 -시니어 공동체 주거를 생각한다 모두의 집 작은집 이야기 -행복한 삶의 공간을 그리다 저자 김수동 김수동 외14명 손웅익 발행인, 발행년도 궁리출판,2017 더함플러스협동조합,2018 더오래 이야기(중앙일보),2019 우리가 만든 책
  • 10. 더함플러스 보유 교육 프로그램 분야 교육명 내용 대상 주 거 + 공동체주거 교육 - 사회적가족과 주거공동체 - 공유경제와 주거 - 고령화사회와 공동체주거 - 커뮤니티케어와 공동체주거 - 공동체주택 추진 절차 - 키워드로 풀어 보는 공동체주거 - 공동체주택 건축의 이해 - 공동체주택 현장 탐방 - 공동체주거 국내외 사례 - 공동체주거의 공유와 나눔 - 공동체주거와 미니멀라이프(다운사이징) - 공동체주거와 커뮤니티 활동 - 공동체주택의 관리 및 운영 - 모두의 집, 공동체주택 - 서울시 공동체주택 인증제 공동체주거에 관심 있는 시민, 공유주택(사회주택) 사업관계자 공동체주거 규약/ 규정 수립을 위한 교육 및 워크숍 - 공동체주거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 - 공동체주거 관련 법제도의 이해 및 적용 - 공동체주택 운영에 따른 현실적 이슈 및 대응전략 공동체주택 예비입주자 커뮤니티, 사업이해관계자 나답게 사는 우리 집, 공동체주거 모델 기획 멘토링 - 우리는 왜 공동체주거를 꿈꾸는가? - 공동체주거의 A TO Z - 공동체주거 목적에 따른 세부기획절차 예비입주자 커뮤니티 대상 공동체주거 워크숍 - ‘따로 또 같이’ 관계성장 워크숍 - 공동체주거 실제 사례 간접체험 - 공동체주거 시뮬레이션 - 공동체주거 가상 문제해결력 증진 관 계 + PTC ; Powerful Tools for Car- egiver (돌봄종사자를 위 한 자기돌봄 교육) - 스트레스 다스리기 - 힘든 감정 다스리기 - 부드러운 대화법 - 긍정의 힘 가족/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보육교사 바이오필리아 (생명존중) - 인간과 자연(동식물)의 조화로 심리정서적 치유 - 영화 인문학으로 들여다보기 - 자연을 이용한 작품 만들기 - 펫빌리지 공동체주택 건설을 위한 운동 - 유기견, 유기묘 입양 프로젝트 시니어/교육현장가/ 마을활동가/커뮤니티 전문가/강 사/교사 고령화사회의 신인류50+.우리 사회의 미래는 이들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삶을 선택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0+, 여전히 젊고 건강하고 유능하며 냉철하고 날선 집단지성의 힘이 살아 있습니다.이들이 고립되지 않고 함께 어울려 선배시민으로서 사회적역할을 다 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 요하고 의미 있는 일입니다.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공동체주거를 기본으로 사회적관계,공동체,세대통합 등50+세대에게 필요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전문 강사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각 프로그램은 강의와 토론,워크숍의 형태로 진행됩니다.세부주제와 교육 시간 및 형식은 수요처의 필요 에 따라 맞춤형으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강의 및 교육과정 개설 문의:교육분과장 육현주 이사010-5473-5001 thehampluscoop@gmail.com
  • 11. 관 계 + 50+ 꿀벅지 복원 프로젝트 (50+, 건강+) - 자신의 몸과 소통함으로써 치매, 성인병 예방 - 50+세대를 위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 내 몸을 알고 운동 원리 파악하여 생활 속 실행으로 잇기 - 몸 살리기 운동 관련한 인문학적 성찰 - 책과 영화를 통한 몸과의 소통 프로젝트 - 자기돌봄/환자돌봄/노약자돌봄 50+누구나/노인 및 노인체육지도 관련자/생활체육지도자/코디네이 터/돌봄 노동자 소통과 공감 다시 배우기 ‘당신이 옳다’ - 자신을 보호하는 자기 공감 경계 세우기 - 전 체중을 실어 존재에게 기울이는 공감 배우기 - 관계 갈등 위기 해결력 - 자존감 회복으로 관계설정 잘 하기 자기치유력을 믿는 사람/심리적 정 서적 안정을 요하는 사람/ 사회복지 사/공동체 지도자/조직 책임자/공동 체주거 희망자 모두의 그림책 - 그림책 심리 치유 - 자신의 마음 직면하고 자존감 높이기 - 소통과 공감 익히기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요하는 사람/ 사회복지사/공동체 지도자/조직 책 임자/공동체주거 희망자 돌보미 공감 피로 - 자기 돌봄 - 감정노동을 줄이는 회복탄력 - 친절한 무관심 사회복지사/공동체 지도자/조직 책 임자/공동체주거 희망자/감정노동 자/교사/요양보호사/상담사 일할 맛 나는 팀 (조직) 만들기 - 팀플레이 협업 활동 - 소통을 돕는 대화법 - 직장생활 백서 - 팀 빌딩 - NCS 기반 역량강화 직장인/공동체 지도자/공동체주거 희망자/사회복지사/교사/행사진행 자/상담사/코디네이터 갈등, 문제가 아닌 기회! - 협상, 회의, 위기 갈등 - 소통력을 키우기 - 회복탄력성 직장인/공동체 지도자/공동체주거 희망자/사회복지사/교사/행사진행 자/상담사/코디네이터 생 애 + 50+(60+)의 삶 - 삶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자아탐색 - 업이 될 일을 찾기 위한 자기인식 - 액티브 시니어의 삶 설계 인생의 전환점을 돌고 있는 누구나 좋은 학부모로 산다는 것 -인성 교육 -진로 취업 탐색 교육 -부모 자식 간 윈윈 교육 학부모, 예비학부모, 교사, 상담사 세대갈등 이렇게 풀어요 -세대별 특성 탐구로 근본적 이해하기 -세대를 뛰어넘는 협업구조 만들기 -세대통합형 창업 창직 아이디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직장인, 주부, 교사 등 자아탐색 나다움을 찾아서 -삶의 목적 비전 가치를 심는 진성리더십 -셀프리더십으로 성장하라 전 세대 누구나 잘 익어갑시다. 노년의 삶 - 고전 인문학을 통한 자기 성찰 - 고전 인문학 독서 테라피 - 자서전 쓰기 - 삶의 통찰에서 오는 생활 글쓰기 - 문화기획서 작성 글쓰기 - 책 기획과 책쓰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누구나, 강사, 진행자,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죽음애도학 - 품위 있는 죽음 준비하기 - 일상에서의 애도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누구나, 강사, 진행자,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일+ 공동체 코디네이터 과정 - 공동체 코디네이터 입문 - 공동체 코디네이터 역할과 업무 - 공동체 코디네이터 실전 - 공동체 코디네이터 실습 공동체주거 희망자 및 관계자와 종 사자/커뮤니티 전문가/ 마을 활동 가/사회복지사/직업상담사
  • 12. 공동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변화가 상수인 시대, 혼족 30%, 고령사회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각자도생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공동체가 주는 온기를 복원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습니다. 놀이공동체, 문화공동체, 학습공동체, 마을공동체, 예술공동체, 주거공동체 등 다양한 목적으로 공통된 가치를 공유하며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공동체 코디네 이터는 이런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공동체의 유기적 활동을 돕고 민주적 의사결정과 건 강한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해 존재합니다. 요청이 있는 공동체의 자치회 조직과 운영, 의 사결정, 콘텐츠 개발 등을 도와 사람 간의 ‘관계’를 건강하게 이어줄 수 있도록 퍼실리 테이션을 할 수 있도록 전문가적 소양을 기르는 과정입니다. 과정 목적 - 다양한 커뮤니티의 공동체성 강화를 위한 관계 전문가 양성 - 선진 공동체 문화(문화예술,학습,지역,주거, 놀이) 소개 및 관련 콘텐츠제작 도움. - 주거공동체 인큐베이팅 실무를 담당할 전문 인력 양성 입문과정(20h) 공동체 코디네이터, 당신은 누구입니까?(6h) 공동체 코디네이터, 무엇을 하는 사람입니까? (6h) 공동체 코디네이터,이상과 현실의 갭을 어떻게 극복합 니까? (6h) 당신은 어떤 코디네이터가 되시렵니까? (2h) -과정 소개 및 인사 공동 체의 개념과 시대 배경 -공동체주거 탄생 주거공 동체 코디네이터 필요성 -코디네이터 자질 진단 및 성찰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역할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역량 -현장 탐방으로 구성원들 의 소리 듣기 -이상과 현실의 갭 메우기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능력 개발 -교육 전후 자신의 비전과 가치 정렬 -상호 피드백 -자신의 미션,비전,가치 재 디자인 발표 후속 커뮤니티(배움 성장 학습 공동체) 교육 대상 - 공동체주택 주민(또는 입주예정자) - 신직업을 찾는 구직자 - 다양한 직종 종사자 직무 교육,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주거복지사, 공동체주택 코디네 이터, 상담사, 강사, 교사, 마을 활동가, 사회적 기업가, 협동조합원, 문화기획가 등 감정노동자 및 소통 공감 관련 업무 종사자 심화과정(40h) 코디네이터로서의 꿈과 비전 은 진행 중인가요? (2h) 코디네이터로서의 관계 능 력,안녕하세요?(24h) 코디네이터로서 자기돌봄은 어떻게 하시나요?(12h) 코디네이터로서 자신은 어떻 게 성장할것인가요? (2h) -코디네이터들이 가야 할 방향성 점검 -실전 현장에서의 고충 사례 파악과 분석 -코디네이터 간의 연대와 협업 조직 재정비 -타임 뱅크 실전 -관계 촉진,대화법 실전 -갈등 관리 실전 -코칭기법 실전 -상담 사례 실전 -사례일지 기록 실습 -1인칭 내러티브 감정 글쓰기 -스트레스 관리 -자기공감 경계 세우기 -자기 보상 -공동체 코디네이터의 보람 공유 -상호 피드백 -자신의 미션,비전,가치 재 디자인 발표 후속 커뮤니티(배움 성장 학습 공동체) 전문자격과정 우리는 다양성을 존중하며 소통과 공감으로 관계 안에서 성장합니다
  • 13.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참여를 위한 다양한 자조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함플러 스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수 증가라는 양적 성장 뿐만 아니라, 조합역량 강화라는 질적 성장을 이 루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장을 바탕으로 대외 인 지도를 높여가고 있으며, 더함플러스만의 관계가 살아있고, 목적과 이야기가 있는 공동체 주거 패 러다임을 전파하고자 노력합니다. 공동체(주거)에 대한 소통의 장으로 더달공은 열 린시민교육을 지향합니다.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The 달;공’이라는 브랜 드를 통해 하드웨어(공동체 주택건설)와 소프트 웨어(공동체 주거에서의 관계형성 및 시민의식) 를 아우르는 ‘쫌 앞서가는 공동체(주거)’에 관한 모든 활동을 펼쳐나갈 예정입니다. 시민참여 열린공부방 더함플러스 다달이 공동체 주거모임, 더함플러스 달콤한 공부모임의 약어입니다. 공동체 주거 커뮤니티 관련한 다양한 공부와 교류를 통해 ‘재미와 유익’을 추구합니다. 매월 셋째 주 화요일 저녁 7시 목적,관계, 이야기가 살아있는 교류를 하실 수 있습니다. 조합원뿐만 아니라 따뜻한 연대, 공동체 주거에 관심 있는 분은 누구라도 참여 가능합니다. ‘The 달;공’이란?
  • 14. 공동체주택 시행사업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연합회는 자주적·자립적·자치적인 연합회 활동을 통하 여 주택을 필요로 하는 시민에게 이웃과 함께하고 경제적이며,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주택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주택문제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연구 활동과 다양한 사회적 경제주체들과의 연대활동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다양한 주거관련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연합회와 함께 공동체주택 시행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입주자모집과 교육,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담당자 연락처 -전문숙 사무총장 -조용란 사무국장 한국주택도시 협동조합 연합회 연대사업 010-3071-8530 010-8289-6300 www.fk.or.kr
  • 15. 더함플러스협동조합은 터무늬있는집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출자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열악한 집으로 내몰리는 청년들 - 청년 주거비 부담 10년 만에 77% 상승 (2016.11.22.통계청) - 청년 20% 1,300만원 대출, 고금리대출자 13% (2017.11청년대학생금융실태조사) - 높은 주거비와 부채 부담에 청년은 지옥고(지하방·옥탑방·고시원)를 전전함 기존 공공임대주택도 물량이 부족하고,청년에게는 높은 문턱 - 공공임대 주택 20대 입주율 단 3% (2016년 조정식 국토교통위원장실 국정감사자료) - 입주 문턱이 높고, 높은 보증금은 청년에게 부담 빚을 지지 않고,관계가 살아있는 시민출자 공동체주택 - 시민출자 기금을 조성, 청년그룹 공동체주택 전세보증금 제공 - 지역사회 청년그룹은 시세 50%이하로 주택에 함께 살며 운영 시민출자 기금조성 공동체주택 제공사업 네트워킹 사업 청년그룹 목적활동 ·출자자 조직 ·출자자 관리 ·정기 운영위원회 개최 ·시민출자 공동체주택 전세보증금 지원 ·청년주택 입주과정 및 운영 지원 ·오픈하우스 ·자치활동 ·공동주거 청년연대 모임 ·사례공유회 및 탐방 ·송년모임(총회) ·청년그룹별 목적활동 전개 (지역사회활동 or주거공동체) 시민출자 기금조성 지역청년 주거안정 주거환경개선 및 주거비절감 공동체성 강화 ·출자 및 기부금(2019.9) 405,800,000원 -개인출자자62명 -출자단체8곳 ·총3채(12호) -청년공동체 주택 보증금 지원 ·소득대비임대료(RIR) 17%달성 -1호 월세평균8만원 -2호 월세평균12만원 -3호 월세평균14~25만원 ·주택 공동체활동 -청년주거연대사업 -출자자-청년교류 사업내용 사업성과 연대사업 터무늬제작소 https://themuni.co.kr
  • 16. 2019 서울특별시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공동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개발 2018 한국사회주택협회 가입 2017 ‘따로 또 같이’관계형성 워크숍 프로그램개발 2016 협동조합 우수사례 공모전 선정 2015 시니어 혁신사회적기업가 창업경연대회 최우수상 수상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선정 2014 소셜벤쳐 경연대회 참가 협력기관; 서울시50플러스재단 한국주택도시협동조합 연합회 한국사회주택협회 터무늬제작소(한국사회투자지원재단) 은평구 사회적 경제협의회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 tel_ fax_ mobile_ email_ 02.2038.2777 070.8677.3777 010.7345.6013 thehampluscoop@gmail.com 서울 은평구 통일로715. 은평사회적경제혁신밸리센터 (우리은행WB은평타워9층) 주소 연신내 구파발 방향 녹번역 방향 3,6호선 불광역 우리은행 WB은평타워9층 3번 출구 4번 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