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LH마을형 사회적기업의 이해
  최준 ㅣ   LH마을형사회적기업설립지원단
 바람이 불면 통장수가
   돈을 벌까?
 두부의 매출은
과연 간수의 사용여부가 좌우할까?
사회경제적 배경 - 환경 변화 1



   국가와 시장, 그리고 사회의 역할

-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그에 따른 가구 소득 증대
 (가구 소득 증대에 의한 가족복지)

- 장기고용, 연공서열식 임금 구조와 기업 내 복리후생 마련
(자본 이윤 증대에 의한 기업, 조합원 복지)

- 대기업의 수도권 집중에 대한 보상으로 이윤의 일부를 농업,
중소기업, 지방보조금, 공공사업을 통한 사회 재분배
 (지역 간 산업 간 양극화 조정)

- 소득의 대부분을 높은 금리에 의존한 저축과 사적 부조를 통
해 미래의 안전망을 개인 차원에서 구축해 감
사회경제적 배경 - 환경 변화 1



   그러나 화려한 잔치는 끝났다
- 저성장, 노동의 유연화, 공공지출의 축소, 저금리로 인해 미
래에 대한 희망이 추락하고 있음
-게다가 국민소득의 허수에 의한 희망이 그 속살을 드러냄
 (국민소득 2만불은 만인의 것인가?)
- 더욱이 성장과 일자리의 불일치, 자영업의 과잉, 농업정책의
부재로 인한 농촌의 붕괴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남


        이러한 상황에서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흐름과
         그 흐름이 다시 한국사회의 특수성과 맞물려
             사회경제 현실을 만들고 있음
사회경제적 배경 - 환경 변화 2



 ‘새로운 위험 사회’의 도래
- 고령화, 저출산, 노동시장의 유연화, 사회서비스의 욕구확대
와 사회공공성의 가치 대두, 먹거리의 불신, 교육, 육아, 동네
의 붕괴, 지역의 붕괴 등


          이에 대한 대안적 삶의 모색

  • 사회경제적 활동의 일환으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기업 필요성 대두

  • 공공임대단지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관리, 지역주민
  주체, 자율적 삶, 소통, 배려, 돌봄 등의 공감 필요
자세히 대화해 봅시다


  사회적기업은 어디서 매출과 소득을 얻을 것인가,
         그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그리고 사회적 가치는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우리에게는
  사람 – 지역성 – 아이디어 – 인프라 – 재정(예산)의
    다양성(사회적 자본의 다원적 구성)중에서
          무엇이 많고 부족한가?


 * 서울의 세운상가에서는 왜 탱크를 못 만들었을까?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지역
기반형
사회적
 기업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이러한 내용의 설계와 의사결정에 책임과 권한을 갖기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기업과 노동조합의 필요와 욕구를 조직하라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지역
기반형
사회적
 기업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사회적일자리                 생협
사회적기업                   공정무역
          상호부조                 공부방
                 의료생협
협동조합     사회서비스
                 지역화폐    지역순환
 마을만들기
          로컬푸드            자활
착한소비                        지역재생

                           임대단지



  Catacomb 을 넘어 Cluster 로
우리가 만들어가려는 사회적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은,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사회활동의 내용을
화려한 경영기법이 아닌 우리가 살고 싶고
 꿈꾸고 싶은 내용으로 채워가는 일이며,
이는 사회성을 지닌 경제활동이라고 부를
          뿐이다.
  또한 그것은 만인의 행복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일 뿐이다.
사회에 살림살이의 경제가 담겨 있듯이...
   현장에 정책과 대안의 길이 있다.
LH마을 행복이네 이야기
1.수거

모아진 음식과 재활용품 거점수거
수거할 때마다 주민들에게 쿠폰제공




                     주민매장
 소비
          폐자원
2.재처리

음식물 쓰레기는퇴비로
재활용품은 중고제품으로 변신




                       동네 유기농
   지역대학이나 농장           텃밭 가꾸기
               퇴비 판매




    재활용센터
                       완제품
3.가공

 친환경으로 재배된 농산물을 완제품으로 가공
 지역레스토랑은 로컬푸드로 특성화된 요리를 개발




                        두부



동네 유기농텃밭    콩
   가꾸기


                       지역 레스토랑
4.유통
주민매장으로 유통·판매
수익금의 일부는 빈곤아동에게 아침급식 제공
음식물 쓰레기는 다시 폐자원이 되어 주민매장에서 수거




        주민 생협 매장   일반가정
                          폐자원




       친환경 무상급식
쓰레기 없는 마을
생산과 소비가 하나인 마을
모든 주민이 주인인 마을
서로가 서로를 고용하는 마을
활기차고 행복한 마을


         LH마을 행복이네입니다
마을형 사회적 기업 활동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주민 리더십 개발




                          사회적기업 주체 만들기


주민 교육 사업 실시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연구 . 워크숍 진행




                                사회적기업의 자가진단
마을형 사회적 기업의 자기                  지표 Social Accounting
사명과 지속가능함을 위한 활                 과 사회적 효과
동점검, 사회적 가치의 계량                  Social Return on
화를 통한 사회적 위상 부여                 Inverstment(SROI)만들기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임대단지를 중심으로
                      한 관리 사업




                                  우리지역 관리형
녹지공간 관리, 건물유지, 주거                  일자리 창출
개보수, 공동주거공간 관리, 쓰
레기 및 방해물질 처리, 지하
실 및 주차공간 관리, 건물 청
소, 방역, 임차인 부담 수리 등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1. 주민생활과 관련한 상
                             담소 설치
                       2. 주민 아이디어 접수처


1. 일자리상담, 지역사회서비스
   안내 및 접수, 마이크로크레디                     주민 일반 서비스 제공
   트 아내, 어르신을 위한 심부름                      사업(무료서비스)
   센터 운영 등
2. 주민창안 아이디어 접수 및
   문제 접수처, 안전 및 위험관
   리 접수
3. 공동부업장 연계 지원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돌봄서비스
                     (지역아동센터 및
                       노인정연계)




                                   일자리창출 및
간병, 노인돌봄, 야간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 사업
서비스 등                            (유,무료 서비스 복합)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생활 및 안전편익 서비스




                                     일자리창출 및
하교길 질서 안전, 아동밤길                     서비스 제공 사업
 지킴이, 자전거수리서비스,                    (유,무료 서비스 복합)
재활용매장작업장, 폐자원재
활용작업장, 세탁 및 수선 작
      업장 등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교육, 문화 서비스




                               일자리창출 및
• 주민의 다양한 욕구와                 서비스 제공 사업
  필요를 기반으로 한                 (유,무료 서비스 복합)
  교육문화서비스 제공
 • 지역주민잔치 개최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방학중 친환경무료급식
                     서비스




                                 일자리창출 및
지역아동센터 및 독거노인
                                서비스 제공 사업
의 친환경급식 사업 지원,
                               (유,무료 서비스 복합)
 이를 기반으로 연계되는
     사업을
  주민사업단으로 육성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문고 및 공부방의 전환을
                     통한 지역아동센터 운영




• 기존 문고를 지역아동센터로
 전환 및 지원                               일자리창출 및
• 지역아동센터 공간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 사업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운영                     (유,무료 서비스 복합)
• 지역멘토(사회적교사시스템)
 돌봄, 치유, 건강,교육, 문화
• 지원체계 구축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계획 및 추진




•지역을 기반으로 설립하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기업인만큼 지역의 특성을                  특화 사업 준비 실행
반영한 사업 개발 및 추진

-사례1. 지역퍼머컬쳐 학교설립
   2. 녹색 대안 난방사업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사업 과정을 통해 발굴되
                  는 주민과 업종을 연계한
                      창업 지원


 • 임대단지 수요와 공급에
  의한 창업 아이템 발굴                       창업지원사업
     통한 창업지원                      *창업시 LH공사가 출현
•기존의 사회적기업, 자활,                   한 마이크로크레디트 기금
공정무역의 성과를 전수받는                        사용 연계
      창업지원
•신규단지 프렌차이즈 공동
      입점 추짙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지역사회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홍보 및
                지역자원연계구축




• 지역신문 및 기타
 홍보 도구를 통한 홍보
                              홍보 사업
   및 지역 연계
•홈페이지 및 블러그
  통한 홍보 및 소통
 * 마을 방송국 운영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사업별 지역 협력 및
                    업종별 협력 사업




  • 사업관련 지역단위
(시민사회,기업, 지자체, 대
  학 등)와의 협력 활동                   협력 사업
 •사업과 업종별 연계 및
    전국적 협력활동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국제 교류 사업




• 일상활동으로 옷 등 재
활용 물품 모으기로 아프                협력 사업
   리카, 라틴아프리가
    주민에게 제공
  •기타 정책 및 사업
     관련 연대
행복이네 동네를 들춰보니…


  첫걸음


주민 조직화, 일의 경험, 그를 통한 지역의 공감,
 그리고 그를 기반으로 지역의 소통 기반 닦기


  두 걸음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일의 설계와 사회자본의
      재구성 필요 확인하기
 (사회서비스, 자활, 복지프로그램, 마이크로크레디트,
        정부 사회적기업 일자리 등)
행복이네 동네를 들춰보니…


   세 걸음


    지역순환은 어떻게 가능한가의 감동과
          그 주체로 서기

   네 걸음


  지역의 자주 관리 주민기업으로 진전시키기
  (LH관리비 - 엄격하게는 국민의 세금으로 국민의 자산인
임대단지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 주민 관리비, 장터 및 재활용
의 자산 등을 주민들이 스스로 관리하고 잘 쓰여지도록 하여도
       엄청난 자산과 재원을 갖는 것일 겁니다)
행복이네 동네를 들춰보니…


   다섯 걸음



 ‘지역의 환경을 반영한 사업’의 고리(지역마다의
지역 발전 전략 내지는 이번에 일부 교육감의 당선으로 준비중
인 무상급식 사업 -식자재 재배, 가공, 인근 빈농의 계약 재배
조직, 동네 텃밭 조직, 퍼머컬쳐 학교 설치, 아이들 농가 연계
등 다이나믹한 프로그램 사고- 과 같이 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
일감 등을 조절하고 배치하는)와
              ‘임대단지의 자주 관리’
를 묶어가는 일과 공유가 갈 길이라 생각됩니다.
이 결과로 다시 지역에 재투자되어지는 말이지요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시장 영역


LH재원을 기반으로 지불능력이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각종 사회서비스의 공급을 통한 영업수익사업 짂행

- 노인장기요양제도, 저출산 고령화 정책에 따른 사업,
방과후 아동 대상 사업 등 정부정책과 연계한 사업 구상

- 지방 정부의 지역 사회서비스 사업 참여에 적극 노력

- 임대단지 AS사업을 연계하는 방안 적극 고려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시장 영역


   지역 수요 조사를 통한 창업 및 프랜차이즈 입점을
    유치하도록 함


신규 임대단지의 상가에 대한 사전조사로 입점을 통한
 영업 수익 확대 및 재투자 짂행


지역 기업과 연계해서 지역 고용차원에서의 취업연계
 및 공동 부업장 운영을 통한 영업 확대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시장 영역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임대단지 마을형 사회서비스의 공동 브랜드화 및
 사회서비스 질을 담보하는 교육 훈렦 중요


주민 기업임을 브랜드화하여 기업의 이윢이 다시
 주민의 삶으로 되돌려지는 점을 강조해서
 지역 시장을 넓혀가도록 함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비시장 영역


   지역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공공 부문 정책에 따른
    보조금 및 위탁 사업에 적극 참여를 통한 영업 확대


- 녹색 성장 사업
-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 생태형 사회적 기업 사업 등 정부정책사업 적극 참여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비시장 영역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 정부 및 비정부 영역의 다양한 정책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중앙 및 지방정부 등의 협력 방앆을 이끌어냄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기부 및 다양한 자원조직


 지역 주민의 기부 및 시민사회 읷반의 기부후원 조성을
 통한 사업 전개
- 지역아동센터에 날개 달기, 홀몸 노인 지원 사업 등

 다양한 법읶(종교, 읷반법읶)등의 사회투자 성격의
  기금 유치와 연계한 사업 추짂

 지역 협동조합과 노동조합의 연계로 공동 사업 개발

 주민주체의 공제회, 지역화폐 등을 통한 기금에 의한
  사업추짂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기부 및 다양한 자원조직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 기부를 위한 교육, 홍보의 강화가 필요함


 기부의 방법을 다양화하고 참여자들의 욕구와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의 개발과 성과관리를
 투명하게 하도록하는 작업을 만들어 감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자원봉사 및 전문인력 조직




   다양한 자원봉사(이사짂, 강사, 심리치료, 조직비전)
    등 전문 영역의 pro-bono 활동 연계를 통한
    운영 지원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자원봉사 및 전문인력 조직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 지역의 읶력 자원이 참여할 수 있는 읷감과 방법을
 정리하는 매뉴얼과 성취도를 측정할 도구 지원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Wanju Community Business Center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opencontentslab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seed:s corporation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Sang Hyun Park
 
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
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
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Jong Sung Kim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
Wanju Community Business Center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융선 최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seekly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seed:s corporation
 
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
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
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주원 이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Jaejung Lee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Eunho Chun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economad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
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
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준형 박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Jong Sung Kim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SPACECLOUD
 

What's hot (20)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7강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문화기업- 이은애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
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
순천경실련강좌(1)9월26일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소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완주군 농촌활력정책
완주군 농촌활력정책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공유문화확산]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보고서(2019)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
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
품앗이생협 조합원 모집 리플렛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20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지역공동체 자산관리 모델을 찾아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 행정자치부 국민디자인단
 
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
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
도봉산내음뿌리일터프로젝트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Similar to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sustaintour
 
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
홍순 박
 
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seekly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Eunho Chun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발전 지역디자인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발전 지역디자인교수 성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seekly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Yong-wook Shin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지원단 마을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seekly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Jaejung Lee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지원단 마을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svsfund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Jongoak Kim
 
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
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
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
Eunho Chun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호석 진호석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jejuzip
 
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minwoo
 

Similar to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20)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3차 지속가능한관광 정책포럼-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공정관광(김재현)
 
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신바람마을상조회
신바람마을상조회
 
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완주군 정책 총괄
완주군 정책 총괄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으로서 자산화전략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발전 지역디자인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완주 C센터 단체소개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커뮤니티비지니스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정선철)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Korea social value and solidarity foundation.20190722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120419 svp(se 생태계)강의안 문진수
 
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
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
젠트리피케이션대응 시민자산화상상하기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3개년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
 

More from Gori Communication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Gori Communication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Gori Communication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Gori Communication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Gori Communication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Gori Communication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Gori Communication
 
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
Gori Communication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Gori Communication
 
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
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Gori Communication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Gori Communication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Gori Communication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Gori Communication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Gori Communication
 

More from Gori Communication (20)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2015년 유통백서
2015년 유통백서2015년 유통백서
2015년 유통백서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보증보험 종류 (1)
보증보험 종류 (1)보증보험 종류 (1)
보증보험 종류 (1)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
 
Open mba
Open mbaOpen mba
Open mba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2013soa
2013soa2013soa
2013soa
 
2013smba
2013smba2013smba
2013smba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 1. LH마을형 사회적기업의 이해 최준 ㅣ LH마을형사회적기업설립지원단
  • 2.  바람이 불면 통장수가 돈을 벌까?
  • 3.  두부의 매출은 과연 간수의 사용여부가 좌우할까?
  • 4. 사회경제적 배경 - 환경 변화 1  국가와 시장, 그리고 사회의 역할 -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그에 따른 가구 소득 증대 (가구 소득 증대에 의한 가족복지) - 장기고용, 연공서열식 임금 구조와 기업 내 복리후생 마련 (자본 이윤 증대에 의한 기업, 조합원 복지) - 대기업의 수도권 집중에 대한 보상으로 이윤의 일부를 농업, 중소기업, 지방보조금, 공공사업을 통한 사회 재분배 (지역 간 산업 간 양극화 조정) - 소득의 대부분을 높은 금리에 의존한 저축과 사적 부조를 통 해 미래의 안전망을 개인 차원에서 구축해 감
  • 5. 사회경제적 배경 - 환경 변화 1  그러나 화려한 잔치는 끝났다 - 저성장, 노동의 유연화, 공공지출의 축소, 저금리로 인해 미 래에 대한 희망이 추락하고 있음 -게다가 국민소득의 허수에 의한 희망이 그 속살을 드러냄 (국민소득 2만불은 만인의 것인가?) - 더욱이 성장과 일자리의 불일치, 자영업의 과잉, 농업정책의 부재로 인한 농촌의 붕괴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남  이러한 상황에서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흐름과 그 흐름이 다시 한국사회의 특수성과 맞물려 사회경제 현실을 만들고 있음
  • 6. 사회경제적 배경 - 환경 변화 2  ‘새로운 위험 사회’의 도래 - 고령화, 저출산, 노동시장의 유연화, 사회서비스의 욕구확대 와 사회공공성의 가치 대두, 먹거리의 불신, 교육, 육아, 동네 의 붕괴, 지역의 붕괴 등 이에 대한 대안적 삶의 모색 • 사회경제적 활동의 일환으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기업 필요성 대두 • 공공임대단지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관리, 지역주민 주체, 자율적 삶, 소통, 배려, 돌봄 등의 공감 필요
  • 7. 자세히 대화해 봅시다 사회적기업은 어디서 매출과 소득을 얻을 것인가, 그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그리고 사회적 가치는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우리에게는 사람 – 지역성 – 아이디어 – 인프라 – 재정(예산)의 다양성(사회적 자본의 다원적 구성)중에서 무엇이 많고 부족한가? * 서울의 세운상가에서는 왜 탱크를 못 만들었을까?
  • 8.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지역 기반형 사회적 기업
  • 9.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 10.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 11.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이러한 내용의 설계와 의사결정에 책임과 권한을 갖기
  • 12.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무엇을 하는 곳인가? (무엇을 파는 곳인가?) - 우리는 어떻게 사회적인가?
  • 13.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14.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15.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16.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17.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18.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19.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20.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21.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기업과 노동조합의 필요와 욕구를 조직하라
  • 22.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23.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24.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25.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 26.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지역 기반형 사회적 기업
  • 27. 더 나은 마을을 디자인하다 사회적일자리 생협 사회적기업 공정무역 상호부조 공부방 의료생협 협동조합 사회서비스 지역화폐 지역순환 마을만들기 로컬푸드 자활 착한소비 지역재생 임대단지 Catacomb 을 넘어 Cluster 로
  • 28. 우리가 만들어가려는 사회적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은,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사회활동의 내용을 화려한 경영기법이 아닌 우리가 살고 싶고 꿈꾸고 싶은 내용으로 채워가는 일이며, 이는 사회성을 지닌 경제활동이라고 부를 뿐이다. 또한 그것은 만인의 행복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일 뿐이다. 사회에 살림살이의 경제가 담겨 있듯이... 현장에 정책과 대안의 길이 있다.
  • 30. 1.수거 모아진 음식과 재활용품 거점수거 수거할 때마다 주민들에게 쿠폰제공 주민매장 소비 폐자원
  • 31. 2.재처리 음식물 쓰레기는퇴비로 재활용품은 중고제품으로 변신 동네 유기농 지역대학이나 농장 텃밭 가꾸기 퇴비 판매 재활용센터 완제품
  • 32. 3.가공 친환경으로 재배된 농산물을 완제품으로 가공 지역레스토랑은 로컬푸드로 특성화된 요리를 개발 두부 동네 유기농텃밭 콩 가꾸기 지역 레스토랑
  • 33. 4.유통 주민매장으로 유통·판매 수익금의 일부는 빈곤아동에게 아침급식 제공 음식물 쓰레기는 다시 폐자원이 되어 주민매장에서 수거 주민 생협 매장 일반가정 폐자원 친환경 무상급식
  • 34. 쓰레기 없는 마을 생산과 소비가 하나인 마을 모든 주민이 주인인 마을 서로가 서로를 고용하는 마을 활기차고 행복한 마을 LH마을 행복이네입니다
  • 36.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주민 리더십 개발 사회적기업 주체 만들기 주민 교육 사업 실시
  • 37.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연구 . 워크숍 진행 사회적기업의 자가진단 마을형 사회적 기업의 자기 지표 Social Accounting 사명과 지속가능함을 위한 활 과 사회적 효과 동점검, 사회적 가치의 계량 Social Return on 화를 통한 사회적 위상 부여 Inverstment(SROI)만들기
  • 38.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임대단지를 중심으로 한 관리 사업 우리지역 관리형 녹지공간 관리, 건물유지, 주거 일자리 창출 개보수, 공동주거공간 관리, 쓰 레기 및 방해물질 처리, 지하 실 및 주차공간 관리, 건물 청 소, 방역, 임차인 부담 수리 등
  • 39.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1. 주민생활과 관련한 상 담소 설치 2. 주민 아이디어 접수처 1. 일자리상담, 지역사회서비스 안내 및 접수, 마이크로크레디 주민 일반 서비스 제공 트 아내, 어르신을 위한 심부름 사업(무료서비스) 센터 운영 등 2. 주민창안 아이디어 접수 및 문제 접수처, 안전 및 위험관 리 접수 3. 공동부업장 연계 지원
  • 40.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돌봄서비스 (지역아동센터 및 노인정연계) 일자리창출 및 간병, 노인돌봄, 야간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 사업 서비스 등 (유,무료 서비스 복합)
  • 41.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생활 및 안전편익 서비스 일자리창출 및 하교길 질서 안전, 아동밤길 서비스 제공 사업 지킴이, 자전거수리서비스, (유,무료 서비스 복합) 재활용매장작업장, 폐자원재 활용작업장, 세탁 및 수선 작 업장 등
  • 42.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교육, 문화 서비스 일자리창출 및 • 주민의 다양한 욕구와 서비스 제공 사업 필요를 기반으로 한 (유,무료 서비스 복합) 교육문화서비스 제공 • 지역주민잔치 개최
  • 43.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방학중 친환경무료급식 서비스 일자리창출 및 지역아동센터 및 독거노인 서비스 제공 사업 의 친환경급식 사업 지원, (유,무료 서비스 복합) 이를 기반으로 연계되는 사업을 주민사업단으로 육성
  • 44.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문고 및 공부방의 전환을 통한 지역아동센터 운영 • 기존 문고를 지역아동센터로 전환 및 지원 일자리창출 및 • 지역아동센터 공간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 사업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운영 (유,무료 서비스 복합) • 지역멘토(사회적교사시스템) 돌봄, 치유, 건강,교육, 문화 • 지원체계 구축
  • 45.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계획 및 추진 •지역을 기반으로 설립하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기업인만큼 지역의 특성을 특화 사업 준비 실행 반영한 사업 개발 및 추진 -사례1. 지역퍼머컬쳐 학교설립 2. 녹색 대안 난방사업
  • 46.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사업 과정을 통해 발굴되 는 주민과 업종을 연계한 창업 지원 • 임대단지 수요와 공급에 의한 창업 아이템 발굴 창업지원사업 통한 창업지원 *창업시 LH공사가 출현 •기존의 사회적기업, 자활, 한 마이크로크레디트 기금 공정무역의 성과를 전수받는 사용 연계 창업지원 •신규단지 프렌차이즈 공동 입점 추짙
  • 47.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지역사회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홍보 및 지역자원연계구축 • 지역신문 및 기타 홍보 도구를 통한 홍보 홍보 사업 및 지역 연계 •홈페이지 및 블러그 통한 홍보 및 소통 * 마을 방송국 운영
  • 48.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사업별 지역 협력 및 업종별 협력 사업 • 사업관련 지역단위 (시민사회,기업, 지자체, 대 학 등)와의 협력 활동 협력 사업 •사업과 업종별 연계 및 전국적 협력활동
  • 49. 마을형 사회적기업 활동(세부 내용) 국제 교류 사업 • 일상활동으로 옷 등 재 활용 물품 모으기로 아프 협력 사업 리카, 라틴아프리가 주민에게 제공 •기타 정책 및 사업 관련 연대
  • 50. 행복이네 동네를 들춰보니… 첫걸음 주민 조직화, 일의 경험, 그를 통한 지역의 공감, 그리고 그를 기반으로 지역의 소통 기반 닦기 두 걸음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일의 설계와 사회자본의 재구성 필요 확인하기 (사회서비스, 자활, 복지프로그램, 마이크로크레디트, 정부 사회적기업 일자리 등)
  • 51. 행복이네 동네를 들춰보니… 세 걸음 지역순환은 어떻게 가능한가의 감동과 그 주체로 서기 네 걸음 지역의 자주 관리 주민기업으로 진전시키기 (LH관리비 - 엄격하게는 국민의 세금으로 국민의 자산인 임대단지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 주민 관리비, 장터 및 재활용 의 자산 등을 주민들이 스스로 관리하고 잘 쓰여지도록 하여도 엄청난 자산과 재원을 갖는 것일 겁니다)
  • 52. 행복이네 동네를 들춰보니… 다섯 걸음 ‘지역의 환경을 반영한 사업’의 고리(지역마다의 지역 발전 전략 내지는 이번에 일부 교육감의 당선으로 준비중 인 무상급식 사업 -식자재 재배, 가공, 인근 빈농의 계약 재배 조직, 동네 텃밭 조직, 퍼머컬쳐 학교 설치, 아이들 농가 연계 등 다이나믹한 프로그램 사고- 과 같이 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 일감 등을 조절하고 배치하는)와 ‘임대단지의 자주 관리’ 를 묶어가는 일과 공유가 갈 길이라 생각됩니다. 이 결과로 다시 지역에 재투자되어지는 말이지요
  • 53.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시장 영역 LH재원을 기반으로 지불능력이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각종 사회서비스의 공급을 통한 영업수익사업 짂행 - 노인장기요양제도, 저출산 고령화 정책에 따른 사업, 방과후 아동 대상 사업 등 정부정책과 연계한 사업 구상 - 지방 정부의 지역 사회서비스 사업 참여에 적극 노력 - 임대단지 AS사업을 연계하는 방안 적극 고려
  • 54.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시장 영역  지역 수요 조사를 통한 창업 및 프랜차이즈 입점을 유치하도록 함 신규 임대단지의 상가에 대한 사전조사로 입점을 통한 영업 수익 확대 및 재투자 짂행 지역 기업과 연계해서 지역 고용차원에서의 취업연계 및 공동 부업장 운영을 통한 영업 확대
  • 55.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시장 영역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임대단지 마을형 사회서비스의 공동 브랜드화 및 사회서비스 질을 담보하는 교육 훈렦 중요 주민 기업임을 브랜드화하여 기업의 이윢이 다시 주민의 삶으로 되돌려지는 점을 강조해서 지역 시장을 넓혀가도록 함
  • 56.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비시장 영역  지역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공공 부문 정책에 따른 보조금 및 위탁 사업에 적극 참여를 통한 영업 확대 - 녹색 성장 사업 -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 생태형 사회적 기업 사업 등 정부정책사업 적극 참여
  • 57.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비시장 영역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 정부 및 비정부 영역의 다양한 정책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중앙 및 지방정부 등의 협력 방앆을 이끌어냄
  • 58.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기부 및 다양한 자원조직  지역 주민의 기부 및 시민사회 읷반의 기부후원 조성을 통한 사업 전개 - 지역아동센터에 날개 달기, 홀몸 노인 지원 사업 등  다양한 법읶(종교, 읷반법읶)등의 사회투자 성격의 기금 유치와 연계한 사업 추짂  지역 협동조합과 노동조합의 연계로 공동 사업 개발  주민주체의 공제회, 지역화폐 등을 통한 기금에 의한 사업추짂
  • 59.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기부 및 다양한 자원조직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 기부를 위한 교육, 홍보의 강화가 필요함  기부의 방법을 다양화하고 참여자들의 욕구와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의 개발과 성과관리를 투명하게 하도록하는 작업을 만들어 감
  • 60.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자원봉사 및 전문인력 조직  다양한 자원봉사(이사짂, 강사, 심리치료, 조직비전) 등 전문 영역의 pro-bono 활동 연계를 통한 운영 지원
  • 61. 지속 가능한 운영 계획 활동(경영) 영역 : 자원봉사 및 전문인력 조직 경영컨설팅 중점 방향  지역의 읶력 자원이 참여할 수 있는 읷감과 방법을 정리하는 매뉴얼과 성취도를 측정할 도구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