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청년이 어깨 펴는 서울, 청년의 미래를 함께 만드는 서울”
원 순 씨 의 6 대 청 년 정 책
2014. 5. 23
목 차
비전
① 청년청과 지역특성화 무중력지대 5곳 개소로
청년들이 자유롭게 꿈꿀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거버넌스
② 청년정책과 신설로 청년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청년정책위원회 설립으로 민관거버넌스의 안정성을
확립하겠습니다.
2
주거
③ 보금자리 장학금과 공공기숙사 확대로
청년들의 주거걱정을 해소하겠습니다.
3
생활비
④ 청년두배통장과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대중교통비 할인으로
청년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4
일자리
⑤ 청년의무고용율 확대와 청년 굿뉴딜일자리 1만개로
일자리의 양을 늘리고,
아르바이트청년 권리보호 전담기구로
일자리의 질을 높이겠습니다.
5
⑥ 미래산업과 함께 하는 혁신형 청년창업기지,
혁신과 협동의 사회적경제 특구로
청년 일자리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겠습니다.
6
- 1 -
❶ 청년청과 지역특성화 무중력지대 5곳 개소로 청년들이
자유롭게 꿈꿀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일자리 숫자 늘리기로만 해결되지 않는 청년실업과 청년의 삶
○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구직활동 불참 및 포기 인구) 꾸준히 증가
- 20대 비경제활동인구 비중 2005년 33.7%에서 2013년 38.4%로 증가
○ 구직활동 포기로 사회와 단절되고 자존감 하락한 청년 증가
○ 다양한 청년 모임과 활동 존재하나 개별화되어 있어 사회적 성과가 되지 못함
 개선방안
○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청년청 개관
- 청년일자리허브가 일자리를 중심으로 청년들의 모임과 교류를 촉진했던 것을
바탕으로 하여
- 일자리를 포괄하여 더 폭 넓은 청년문제를 청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공간
- 취업과 사회진출이 압력으로 다가오지 않도록 또래들과 만나고, 다양한 경험과
시도를 하면서 즐겁게 자신의 길을 찾는 기회의 장
- 학습과 문화의 복합 공간, 청년커뮤니티 발굴/육성/입주 공간, 청년커뮤니티 간
네트워크 구축 공간
- 자발적 참여를 통해 청년들이 직접 운영
○ 청년밀집지역 내 지역특성화 무중력지대 5개소 운영
- 청년청 산하, 각 지역의 특성에 맞춰, 지역청년들을 위한 공간으로 운영
- 지역의 대학과 연계하여 공동 학습공간 조성 및 동아리 활동 지원
- 재무, 노동인권, 주거복지, 진로상담 등 분야별 상담 프로그램 지원
- 2 -
❷ 청년정책과 신설로 청년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청년정책
위원회 설립으로 민관거버넌스의 안정성을 확립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서울 청년인구 2010년 기준 244만 명
- 서울 963만 명의 인구 중 25.3%에 해당, 서울 인구의 4분의 1
- 전국 1029만 명의 청년 중 24%가 서울에 거주, 가장 높은 청년 비중
○ 서울의 청년을 전담하는 부서와 관련 조례 부재로 청년정책의 지속성 부족
○ 일자리 중심의 청년정책은 청년 당사자가 느끼는 문제를 제대로 짚어내지 못함
 개선방안
○ 서울시 청년정책을 담당할 청년정책과 신설
- 정책의 지속성 담보 : 장기 정책 수립 및 시행 가능
- 정책의 통합성 담보 : 주거, 금융, 교육, 일자리 등 분야별로 나뉘어져 있던 청
년정책을 총괄
○ 청년의 자립을 위한 기본조례 제정으로 청년정책의 기반을 튼튼하게!
- 청년의 나이 규정, 청년정책 기본 및 장기계획 수립, 그 외 청년의 발전을 위
한 교육과 행사 의무화, 청년단체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근거 마련, 청년
관련 시설 설치 및 운영 근거 마련 등을 조례에 포함
○ 청년은 서울 청년정책의 시작과 끝! 청년정책위원회 설립
- 2013년 청년정책네트워크의 성과를 발전시켜 서울시와 민간 청년들의 체계화
된 거버넌스 구축
- 서울시 청년정책의 비전과 계획을 청년들이 함께 수립하고, 시행하며, 성과를
검토 평가
- 기존 청년정책네트워크가 정책 제안 수준이었던 것에서 나아가 계획, 집행, 평
가에 참여
- 3 -
❸ 보금자리 장학금과 공공기숙사 확대로 청년들의 주거걱정을 해소하겠
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급증하는 월세 부담, 경쟁률 높은 기숙사로 심각해진 청년 주거난
- 서울시 청년들의 평균 주거기간 1년 미만, 대학 인근 월세 평균 50만 원
- 대학기숙사 수용률은 2013년 기준 13.5%, 1인실 비용 평균 월 50만 원
○ 서울 1인 청년가구의 주거 빈곤율 36.3%로 가장 높음
- 전국 1인 청년가구의 주거 빈곤율 23.6%, 서울은 1.5배나 많은 상황
※주거빈곤율 : 국토교통부가 정한 최저 주거 기준에 미달한 주거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
 개선방안
○ 집 걱정 뚝! 독립한 청년 1만 명에게 보금자리 장학금 지원
-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19세~29세의 독립한 청년 1만 명에게 장학금 지원
- 대상 선정 시 소득수준, 지역분포 등을 고려
- 대학들의 책임성 제고를 위해 대학부담율 연계 지원
- 비진학 청년 할당제로 주거지원정책 사각지대 축소
○ 대학생을 위한 공공기숙사 및 1,2인 가구를 위한 원룸 공공주택 공급 확대
- 서울시 대학생 공공기숙사 확대로 수용률을 14%에서 단계적으로 증진
※ 현재 성북구 정릉동, 마포구 연남동, 은평구 갈현동, 노원구 공릉동 2곳 등 총 5
곳에 공공기숙사 건설
- 1, 2인 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원룸형 공공주택 공급 확대 : 대학생을 위한 희
망하우징 지속 추진, 창업 청년을 위한 도전숙 운영, 안심주택 8만호 등
- 주거복지기금을 활용해 공동체 기반의 청년주택협동조합 설립 활성화
- 4 -
❹ 청년두배통장과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대중교통비 할인으로 청년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한 가구의 월평균 소득과 맞먹는 대학 등록금
- 2013년 평균 국립대 등록금 연간 410만 원, 사립대 등록금 연간 735만 원
- 도시 노동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444만 원
○ 가계부채 1000조 원 돌파, 전체가구의 절반이 제2금융권 대출
- 2012년 전체 가구의 연간 총 이자부담 45조 원, 가구당 250만 원
 개선방안
○ 희망 두 배! 청년들이 저축하면 1+1 매칭, 청년두배통장 개설
- 서울시가 저소득층 대상으로 기 추진해왔던 ‘희망플러스통장’을 청년으로 확대
- 만18~35세의 최저생계비 200% 이하의 청년 1000명 대상
- 본인저축액(50%)+시비예산, 민간후원(50%) 매칭 지원
- 생활경제교육과 가계부쓰기, 소모임 활동을 통해 채무조정 및 재무컨설팅 병행
○ 이자 지원으로 대출 부담 완화! 학자금 대출 이자지원과 채무조정 이자지원
- 한국장학재단과 시중은행의 학자금대출자 중 일정소득 이하 및 다자녀가구 학
생들에게 이자 발생액 전액 지원
- 중앙정부의 햇살론, 새희망홀씨론 등의 성실 상환자에게 채무조정을 위한 이자
지원
○ 서울장학재단의 공익 장학금 확대
- 사회복지, 공익이슈, 사회창의 분야 공익활동 대학생 대상 장학금 지원 확대
○ 부족한 생활비 부담 완화, 청년 대중교통비 10% 할인
- 만19~24세 청년 대상으로 대중교통요금 150원 공제 후 10% 인하
- 5 -
❺ 청년의무고용율 확대와 청년뉴딜일자리 1만개로 일자리의 양을 늘리고,
아르바이트청년 권리보호 전담부서로 일자리의 질을 높이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실적위주 취업지원과 지속성 약한 창업지원 등 일자리 시스템 개선 필요
○ 늘어난 취업준비기간, ‘묻지마 취업’을 전전
- 졸업유예 신청현황 2011년 8270명에서 2013년 1만 4975명으로 증가
○ 채무 부담, 근로계약 위반 등 보호받지 못하는 노동 기본권
 개선방안
○ 청년의무고용 비율 3% 이상으로 단계적 확대
- 양질의 공공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울시 투자, 출연기관 등의 청년의무고용율을
3%이상으로 단계적 확대
※현재 2013년에 만든 ‘청년일자리기본조례’를 통해 청년의무고용율 3%로 규정
○ 청년굿뉴딜일자리 1만개 창출
- 일자리도 만들고 시민생활에 도움주는 ‘서울형 뉴딜일자리’의 확대
- 청년의 장기적 고용능력 향상과 실질적 경력형성 지원을 위한 디딤돌 일자리
- 청년적합업종 발굴 및 자립적인 생태계 조성 지원으로 민간 일자리 진입 연계
○ 구직자가 만드는 구인사이트 및 취업문화 개선을 위한 적극적 매칭 연계
- 1000명의 청년내일취재단이 구직자의 시선으로 구인기업 현장취재
- 서울의 중소기업과 사회적기업 등 다양한 일의 색깔과 가치를 발굴
- 모아진 정보들을 이용하여 궁합이 잘 맞는 기업과 청년 연결하는 적극적 매칭
○ 자존감 있는 일자리! 노동인권 교육 확대 및 아르바이트 권리보호 추진
- 서울시 아르바이트 청년 권리보호 전담부서 설치 운영
- 민원 신고상담 및 분쟁조정, 사업주 및 청년 대상 노동인권교육 진행
- 6 -
❻ 미래산업과 함께 하는 혁신형 청년창업기지, 혁신과 협동의 사회
적경제 특구로 청년 일자리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서울의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계획 속에서 일자리 정책 제시 필요
○ 청년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대학주변 지역인프라 미흡
○ 청년 창업이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민간 산업 네트워크와 연결 필요
○ 사회적경제의 성장, 이 분야에서 청년의 역할 확대 필요
- 2014년 1월 협동조합 933개, 사회적기업 656개, 소셜벤처 100여개 등
 개선방안
○ 창조경제와 지식기반산업에서 혁신형 청년창업기지로 청년창업 활성화
- 창조경제 5대 거점1)과 지식기반경제 3대 거점2)에서 청년창업지원
- 민간 청년창업육성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공동체형 혁신창업플랫폼 구축
○ 잠자리, 먹거리, 일거리가 한곳에서 해결되도록 창업도시 추진
- 대학가 주변, 산업클러스터 주변에 지식산업센터, 도전숙 조성 지원
- 클라우딩서비스, 3D프린팅서비스 등 창업지원서비스 제공
- 지하철 역사 유휴공간 등을 일자리 거점 및 창업공간으로 제공
○ 청년이 세상과 만나는 새로운 방식! 사회적경제 특구와 사회혁신파크
- 사회적경제 특구 12개구 조성, 지역 기반 청년들의 협업 지원
- 특구 내 공간, 인재양성, 중간지원조직형성을 통해 청년 창업과 취업 지원
- 청년 사회적경제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 종합 지원, 중기 지원 제공
- 은평 서울혁신파크 세계수준화 및 사회혁신파크 추가조성으로 청년사회혁
신가 양성
1) 구로가산 G밸리, 동대문 제조업클러스터, 신촌홍대합정 디자인출판, 개포동 모바일 융합클러스터, 상암수색 디지털미디
어
2) 마곡 산학연기반 융합캠퍼스, 창동상계 대규모 창업단지, 홍릉 스마트에이징기술 기반 실버산업 클러스터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서울
 
[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
[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
[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
서울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성훈 김
 

What's hot (12)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
[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
[공약 발표] 창동,상계 아시아지식기반허브 육성_140525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안철수의 약속
안철수의 약속안철수의 약속
안철수의 약속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150516 국제컨퍼런스 사례답사 이웃기웃 발표자료(제작 : 임경지)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현실 그리고 정책에 대한 몇가지 이해 - 신윤정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현실 그리고 정책에 대한 몇가지 이해 - 신윤정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현실 그리고 정책에 대한 몇가지 이해 - 신윤정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현실 그리고 정책에 대한 몇가지 이해 - 신윤정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함께 하는 변화 - 권지웅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함께 하는 변화 - 권지웅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함께 하는 변화 - 권지웅
[전국청년활동가 워크숍] 함께 하는 변화 - 권지웅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인포과제 (2)
인포과제 (2)인포과제 (2)
인포과제 (2)
 

Viewers also liked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서울
 
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
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
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
서울
 
[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
[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
[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
서울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
서울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서울
 
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
서울
 
[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
[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
[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
서울
 
[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
[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
[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
서울
 
[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
[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
[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
서울
 
[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
[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
[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
서울
 
[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
[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
[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
서울
 
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
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
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
Jaejung Lee
 
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
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
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
서울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서울
 

Viewers also liked (20)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
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
20131203 강연 세계일보 조사위원
 
[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
[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
[공약 발표] 영동권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_140522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안전정책_140520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
 
[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
[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
[공약발표] 창신, 숭인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계획_140529
 
[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
[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
[공약 발표] 상봉 재정비 촉진지구 사업활성화_140523
 
[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
[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
[서울혁신백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77가지
 
[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
[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
[공약 발표] 서울약령시 한방산업진흥센터 건립 계획_140522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
[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
[공약 발표] 21세기형 제조업 업그레이드 프로젝트_140523
 
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
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
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
 
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
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
철도사업법 개정 등이 고양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용역 제안서(업로드용)
 
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
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
경제비전 2030 브리핑 (20140409)
 
[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
[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
[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20140516_공약발표자료
20140516_공약발표자료20140516_공약발표자료
20140516_공약발표자료
 

Similar to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지협 전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Jaejung Lee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Smith Kim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JunSeop Lee
 
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
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
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
337ysh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JunSeop Lee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Sue Hyun Jung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호석 진호석
 

Similar to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2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부천시 청년정책모음.zip
부천시 청년정책모음.zip부천시 청년정책모음.zip
부천시 청년정책모음.zip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대선후보 교육공약 20121121 토론회 자료집 2013 교육연대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다누리맘'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계획서
 
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
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
19대 국회의원후보 유승희 - 성북구 청년정책설문조사 결과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 비교 분석
 
2012 총대선승리 교육운동연석회의_정책제안서와_정당정책
2012 총대선승리 교육운동연석회의_정책제안서와_정당정책2012 총대선승리 교육운동연석회의_정책제안서와_정당정책
2012 총대선승리 교육운동연석회의_정책제안서와_정당정책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대학을 다시 디자인하자_국민이 설계하는 대학_ 혁신대학100플랜_ 대학생그룹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Nishida mugyo forum(kr)-20160219
Nishida mugyo forum(kr)-20160219Nishida mugyo forum(kr)-20160219
Nishida mugyo forum(kr)-2016021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창녕군 우포늪 사회적기업 육성
 

More from 서울

More from 서울 (15)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
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
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
 
다시-세운 프로젝트
다시-세운 프로젝트다시-세운 프로젝트
다시-세운 프로젝트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
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
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
 
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
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
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
 
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
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
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 1. “청년이 어깨 펴는 서울, 청년의 미래를 함께 만드는 서울” 원 순 씨 의 6 대 청 년 정 책 2014. 5. 23
  • 2. 목 차 비전 ① 청년청과 지역특성화 무중력지대 5곳 개소로 청년들이 자유롭게 꿈꿀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거버넌스 ② 청년정책과 신설로 청년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청년정책위원회 설립으로 민관거버넌스의 안정성을 확립하겠습니다. 2 주거 ③ 보금자리 장학금과 공공기숙사 확대로 청년들의 주거걱정을 해소하겠습니다. 3 생활비 ④ 청년두배통장과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대중교통비 할인으로 청년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4 일자리 ⑤ 청년의무고용율 확대와 청년 굿뉴딜일자리 1만개로 일자리의 양을 늘리고, 아르바이트청년 권리보호 전담기구로 일자리의 질을 높이겠습니다. 5 ⑥ 미래산업과 함께 하는 혁신형 청년창업기지, 혁신과 협동의 사회적경제 특구로 청년 일자리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겠습니다. 6
  • 3. - 1 - ❶ 청년청과 지역특성화 무중력지대 5곳 개소로 청년들이 자유롭게 꿈꿀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일자리 숫자 늘리기로만 해결되지 않는 청년실업과 청년의 삶 ○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구직활동 불참 및 포기 인구) 꾸준히 증가 - 20대 비경제활동인구 비중 2005년 33.7%에서 2013년 38.4%로 증가 ○ 구직활동 포기로 사회와 단절되고 자존감 하락한 청년 증가 ○ 다양한 청년 모임과 활동 존재하나 개별화되어 있어 사회적 성과가 되지 못함  개선방안 ○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청년청 개관 - 청년일자리허브가 일자리를 중심으로 청년들의 모임과 교류를 촉진했던 것을 바탕으로 하여 - 일자리를 포괄하여 더 폭 넓은 청년문제를 청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공간 - 취업과 사회진출이 압력으로 다가오지 않도록 또래들과 만나고, 다양한 경험과 시도를 하면서 즐겁게 자신의 길을 찾는 기회의 장 - 학습과 문화의 복합 공간, 청년커뮤니티 발굴/육성/입주 공간, 청년커뮤니티 간 네트워크 구축 공간 - 자발적 참여를 통해 청년들이 직접 운영 ○ 청년밀집지역 내 지역특성화 무중력지대 5개소 운영 - 청년청 산하, 각 지역의 특성에 맞춰, 지역청년들을 위한 공간으로 운영 - 지역의 대학과 연계하여 공동 학습공간 조성 및 동아리 활동 지원 - 재무, 노동인권, 주거복지, 진로상담 등 분야별 상담 프로그램 지원
  • 4. - 2 - ❷ 청년정책과 신설로 청년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청년정책 위원회 설립으로 민관거버넌스의 안정성을 확립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서울 청년인구 2010년 기준 244만 명 - 서울 963만 명의 인구 중 25.3%에 해당, 서울 인구의 4분의 1 - 전국 1029만 명의 청년 중 24%가 서울에 거주, 가장 높은 청년 비중 ○ 서울의 청년을 전담하는 부서와 관련 조례 부재로 청년정책의 지속성 부족 ○ 일자리 중심의 청년정책은 청년 당사자가 느끼는 문제를 제대로 짚어내지 못함  개선방안 ○ 서울시 청년정책을 담당할 청년정책과 신설 - 정책의 지속성 담보 : 장기 정책 수립 및 시행 가능 - 정책의 통합성 담보 : 주거, 금융, 교육, 일자리 등 분야별로 나뉘어져 있던 청 년정책을 총괄 ○ 청년의 자립을 위한 기본조례 제정으로 청년정책의 기반을 튼튼하게! - 청년의 나이 규정, 청년정책 기본 및 장기계획 수립, 그 외 청년의 발전을 위 한 교육과 행사 의무화, 청년단체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근거 마련, 청년 관련 시설 설치 및 운영 근거 마련 등을 조례에 포함 ○ 청년은 서울 청년정책의 시작과 끝! 청년정책위원회 설립 - 2013년 청년정책네트워크의 성과를 발전시켜 서울시와 민간 청년들의 체계화 된 거버넌스 구축 - 서울시 청년정책의 비전과 계획을 청년들이 함께 수립하고, 시행하며, 성과를 검토 평가 - 기존 청년정책네트워크가 정책 제안 수준이었던 것에서 나아가 계획, 집행, 평 가에 참여
  • 5. - 3 - ❸ 보금자리 장학금과 공공기숙사 확대로 청년들의 주거걱정을 해소하겠 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급증하는 월세 부담, 경쟁률 높은 기숙사로 심각해진 청년 주거난 - 서울시 청년들의 평균 주거기간 1년 미만, 대학 인근 월세 평균 50만 원 - 대학기숙사 수용률은 2013년 기준 13.5%, 1인실 비용 평균 월 50만 원 ○ 서울 1인 청년가구의 주거 빈곤율 36.3%로 가장 높음 - 전국 1인 청년가구의 주거 빈곤율 23.6%, 서울은 1.5배나 많은 상황 ※주거빈곤율 : 국토교통부가 정한 최저 주거 기준에 미달한 주거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  개선방안 ○ 집 걱정 뚝! 독립한 청년 1만 명에게 보금자리 장학금 지원 -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19세~29세의 독립한 청년 1만 명에게 장학금 지원 - 대상 선정 시 소득수준, 지역분포 등을 고려 - 대학들의 책임성 제고를 위해 대학부담율 연계 지원 - 비진학 청년 할당제로 주거지원정책 사각지대 축소 ○ 대학생을 위한 공공기숙사 및 1,2인 가구를 위한 원룸 공공주택 공급 확대 - 서울시 대학생 공공기숙사 확대로 수용률을 14%에서 단계적으로 증진 ※ 현재 성북구 정릉동, 마포구 연남동, 은평구 갈현동, 노원구 공릉동 2곳 등 총 5 곳에 공공기숙사 건설 - 1, 2인 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원룸형 공공주택 공급 확대 : 대학생을 위한 희 망하우징 지속 추진, 창업 청년을 위한 도전숙 운영, 안심주택 8만호 등 - 주거복지기금을 활용해 공동체 기반의 청년주택협동조합 설립 활성화
  • 6. - 4 - ❹ 청년두배통장과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대중교통비 할인으로 청년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한 가구의 월평균 소득과 맞먹는 대학 등록금 - 2013년 평균 국립대 등록금 연간 410만 원, 사립대 등록금 연간 735만 원 - 도시 노동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444만 원 ○ 가계부채 1000조 원 돌파, 전체가구의 절반이 제2금융권 대출 - 2012년 전체 가구의 연간 총 이자부담 45조 원, 가구당 250만 원  개선방안 ○ 희망 두 배! 청년들이 저축하면 1+1 매칭, 청년두배통장 개설 - 서울시가 저소득층 대상으로 기 추진해왔던 ‘희망플러스통장’을 청년으로 확대 - 만18~35세의 최저생계비 200% 이하의 청년 1000명 대상 - 본인저축액(50%)+시비예산, 민간후원(50%) 매칭 지원 - 생활경제교육과 가계부쓰기, 소모임 활동을 통해 채무조정 및 재무컨설팅 병행 ○ 이자 지원으로 대출 부담 완화! 학자금 대출 이자지원과 채무조정 이자지원 - 한국장학재단과 시중은행의 학자금대출자 중 일정소득 이하 및 다자녀가구 학 생들에게 이자 발생액 전액 지원 - 중앙정부의 햇살론, 새희망홀씨론 등의 성실 상환자에게 채무조정을 위한 이자 지원 ○ 서울장학재단의 공익 장학금 확대 - 사회복지, 공익이슈, 사회창의 분야 공익활동 대학생 대상 장학금 지원 확대 ○ 부족한 생활비 부담 완화, 청년 대중교통비 10% 할인 - 만19~24세 청년 대상으로 대중교통요금 150원 공제 후 10% 인하
  • 7. - 5 - ❺ 청년의무고용율 확대와 청년뉴딜일자리 1만개로 일자리의 양을 늘리고, 아르바이트청년 권리보호 전담부서로 일자리의 질을 높이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실적위주 취업지원과 지속성 약한 창업지원 등 일자리 시스템 개선 필요 ○ 늘어난 취업준비기간, ‘묻지마 취업’을 전전 - 졸업유예 신청현황 2011년 8270명에서 2013년 1만 4975명으로 증가 ○ 채무 부담, 근로계약 위반 등 보호받지 못하는 노동 기본권  개선방안 ○ 청년의무고용 비율 3% 이상으로 단계적 확대 - 양질의 공공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울시 투자, 출연기관 등의 청년의무고용율을 3%이상으로 단계적 확대 ※현재 2013년에 만든 ‘청년일자리기본조례’를 통해 청년의무고용율 3%로 규정 ○ 청년굿뉴딜일자리 1만개 창출 - 일자리도 만들고 시민생활에 도움주는 ‘서울형 뉴딜일자리’의 확대 - 청년의 장기적 고용능력 향상과 실질적 경력형성 지원을 위한 디딤돌 일자리 - 청년적합업종 발굴 및 자립적인 생태계 조성 지원으로 민간 일자리 진입 연계 ○ 구직자가 만드는 구인사이트 및 취업문화 개선을 위한 적극적 매칭 연계 - 1000명의 청년내일취재단이 구직자의 시선으로 구인기업 현장취재 - 서울의 중소기업과 사회적기업 등 다양한 일의 색깔과 가치를 발굴 - 모아진 정보들을 이용하여 궁합이 잘 맞는 기업과 청년 연결하는 적극적 매칭 ○ 자존감 있는 일자리! 노동인권 교육 확대 및 아르바이트 권리보호 추진 - 서울시 아르바이트 청년 권리보호 전담부서 설치 운영 - 민원 신고상담 및 분쟁조정, 사업주 및 청년 대상 노동인권교육 진행
  • 8. - 6 - ❻ 미래산업과 함께 하는 혁신형 청년창업기지, 혁신과 협동의 사회 적경제 특구로 청년 일자리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 서울의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계획 속에서 일자리 정책 제시 필요 ○ 청년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대학주변 지역인프라 미흡 ○ 청년 창업이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민간 산업 네트워크와 연결 필요 ○ 사회적경제의 성장, 이 분야에서 청년의 역할 확대 필요 - 2014년 1월 협동조합 933개, 사회적기업 656개, 소셜벤처 100여개 등  개선방안 ○ 창조경제와 지식기반산업에서 혁신형 청년창업기지로 청년창업 활성화 - 창조경제 5대 거점1)과 지식기반경제 3대 거점2)에서 청년창업지원 - 민간 청년창업육성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공동체형 혁신창업플랫폼 구축 ○ 잠자리, 먹거리, 일거리가 한곳에서 해결되도록 창업도시 추진 - 대학가 주변, 산업클러스터 주변에 지식산업센터, 도전숙 조성 지원 - 클라우딩서비스, 3D프린팅서비스 등 창업지원서비스 제공 - 지하철 역사 유휴공간 등을 일자리 거점 및 창업공간으로 제공 ○ 청년이 세상과 만나는 새로운 방식! 사회적경제 특구와 사회혁신파크 - 사회적경제 특구 12개구 조성, 지역 기반 청년들의 협업 지원 - 특구 내 공간, 인재양성, 중간지원조직형성을 통해 청년 창업과 취업 지원 - 청년 사회적경제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 종합 지원, 중기 지원 제공 - 은평 서울혁신파크 세계수준화 및 사회혁신파크 추가조성으로 청년사회혁 신가 양성 1) 구로가산 G밸리, 동대문 제조업클러스터, 신촌홍대합정 디자인출판, 개포동 모바일 융합클러스터, 상암수색 디지털미디 어 2) 마곡 산학연기반 융합캠퍼스, 창동상계 대규모 창업단지, 홍릉 스마트에이징기술 기반 실버산업 클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