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8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 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광주과학기술원 학사 대강당(대학C동 104호)
2018년8월29일(수),14:00~18:00,
이흥노 교수
2
소요 시간
(240‘)
행 사 내 용 비 고
05‘ ○ 개회 및 내빈 소개 사회(윤미혜 보좌관)
05‘ ○ 개회사 김경진 의원
15‘ ○ 환영사 및 축사 총장 및 내빈
05‘ ○ 기념사진 촬영 참석자 전원
70‘
【1세션】AI 산업 육성 방안 좌장: 김경진 의원
○ 주제발표(40분)
-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내 AI 산업 육성 방안
광주과학기술원
(임혁교수)
○ 지정토론
- 국회 신용우 입법조사관, 과기부 남철기 과장
SKT AI담당 임원
토론 3인
70‘
【2세션】 AI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역할 과제 좌장: 문승현 총장
○ 주제발표(40분)
- AI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광주과학기술원
(이흥노교수)
○ 지정토론
- 권성훈 입법조사관, 이상배 광주시 전략산업국장
NAVER 양상환 리더
토론 3인
60‘ ○ 질의응답 발제·토론자 전원
10‘ ○ 마무리 말씀 및 폐회 김경진 의원
여야 4당, GIST에서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 육성’ 토론회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08938
3
목 차
4차 산업혁명 담론이 주는 교훈
AI 창업타운 사업의 탄생
광주유치의 당위성
국가, 지자체와 GIST는 어떻게 해야 하나?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결론
2016년, 17년, 18년, 4차산업혁명 강의
https://infonet.gist.ac.kr/?page_id=14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ICT 연구 기술, 대한민국 국회 귀빈실 (발표자료), 2016. 8.
• 4차 산업혁명 시대: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전략은 무엇인가?, 발표 장소: 대한전자공학회, 과학기술회관,
일시: 2016.12.20,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 및 미래전략, 광주코레일 아카데미, (발표자료), 2017년
• 4차 산업혁명과 Big Data, 광주보훈병원 (발표자료)
•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Happier Korea,” IEEE Smart Tech, 2017. 7. 14, The K-Hotel, Seoul,
http://smarttech2017.org. (English PDF)
• 인공지능과 함께 하는 미래 모습 2017년 8월 12일, 광주과학관 (발표자료)
• 행복중심 4차 산업혁명, 이야기가 있는 점심, GIST (발표자료)
• Korea Strategy for Better World, IEEE Vehicular Tech Society, 2017, 8/24,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English Presentation PDF)
• “스마트시티와 지역경제 활성화,” 대한민국 국회, 원고 2017년 9월 14일, 발표자료
• 제 9회 한독공동학술대회, 2017,10/16~18, 김대중컨벤션센터, Smart Univer-City for Sustainable Growth,
(ADeKo) Univer-city for sustainable growth 5
Industry 4.0 과 4th Industrial Revolution, 차이가 무엇인가?
4th IR 는 Klaus Schwab 이 WEF 2016의 의제로 채택함
Schwab 혁신기술의 출현으로 급격하고 광범위한 사회, 경제구조의 변화 4th IR로 통칭 함.
Multistakeholder theory실천가, 공유, 개방, 혁신, 신뢰, 협력, 기업가정신 강조
4th IR 은 주요 시스템의 스마트 화를 의미함.
Factory를 예로 들어 보면, 모터, 밸브, 에너지 소스, 밸트, 로봇 등 사물이 구성 요소임.
- (IoT ) 각 구성요소에 각종 디지털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에 연결함.
- (Digital twin ) 이때, 각 사물에 대한 디지털 트윈이 컴퓨터상에 생성됨.
- (Optimization ) 컴퓨터 상에서 구성 부품을 연결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최적화 가능.
- (Big Data ) 각각의 사물로 부터, 역할 수행 및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 가능.
- (Prediction ) 과거로 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 분석, 정확한 상황판단 및 미래예측 능력 제고.
- (Value Creation ) 실시간 상황판단과 미래예측능력은 새로운 BM 창출을 가능케 함.
(확장) 위와 같은 개념을 연장 한 것이 바로, 스마트홈, 스마트스쿨, 스마트그리드, 스마트팜, 스마트빌
딩, 스마트병원, 스마트도로, 스마트교통, 스마트시티가 됨.
29
4 차 산업혁명 담론이 주는 결론
1. 파괴적 혁신으로 사회변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2. 변화의 물결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3. 작은 고기가 혁신한다!
4. 판이 뒤집히는 주기가 짧다!
5. 개방, 공유, 협력함으로 파괴적 혁신에 대비해야 한다.
6. 사회적 다양성 확보로 창의성을 내재화해야 한다.
7. 혁신 성장 성과를 나누어, 혁신의 지속 가능성을 크게 유지한다.
Dynamic Korea! 압축성장, 성공경험, 4차 산업혁명 대비 중
8
Korean War
Farming/Fishing
Textile Industry
Heavy/Chemical Industry
Ship/Auto Industry
Electronics/Computer Industry
Information/Comm. Industry
Future Industry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1st IR 2nd IR 3rd IR Now, preparing for
the 4th IR
2020
2018년 대한민국
압축성공시대 전략
1. 국가주도 경제개발 계획
2. 1, 2, 3 차 산업 추격
3. 중앙집권 형 국가조직
4. 수도권 집중
1. 고착화 된 성공방정식과 시스템 고집
2. 경직된 법 체계, 노사관계, 관료조직
3. 국토균형발전 추진의 어려움
4. 혁신 창업 문화 수립 어려움
5. 조직 속 개인 vs. 창의적 개인 간 충돌
6. 세대간, 계층간 갈등
7. 결혼 기피, 인구절벽
8. 생산가능인구감소, 고령사회
결과
Visit to Hannover Messe 2017
8
Völklingen Ironwork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Site
Once largest steel prod. site, closed at 1986
“Change or Disappear”
미래대응은 미래세대를 지원함으로 준비해야…
• 50~70대 : 아무 것도 없던 시대를 살아 왔던 세대. 무에서 유를 창조.
• 자신감, 자부심, 재정적 여유…
• 40대: 제일 숫자가 많다… 일하느라 바쁜세대
• 20~30대 : 앞으로 이뤄내야 할 것이 많은 세대… 가진 것은 없고. 해
야할 것은 많고. 기회는 부족하고… 경쟁은 치열하고…
• 그러나 누가 미래의 주역인가?
11
4 차 산업혁명? 이젠 머리속 생각을 바꿔야!
1. 다양성 추구 (공간, 인재, 방향, …)
2. 네가 알아서 해봐. 국가는 믿고 지원. (국가> 기관> 부서> 개인)
3. 책임과 소통의 리더십
4. 맞춤형 소량생산 (mass production no more)
5. 개방하고, 협력하고, 나누어야
6. 신뢰 사회 = 선진국
파괴적혁신의문제~W.T.A.,소득양극화,일자리소멸,인구절벽
혁신이 나오면, 더 살기 어려워지는 것인가?
ME
아 어떻게
살아야
하나?
Low Birth
Rate
Social
Conflicts Anxiety of
Unemployment
Super Aged
Society
The Age of
Diversity
Social
injustice
Disasters
Bio
AI
3D
Printers
Deepening
polarization
생산성
증가
생산성
감소
소수혁신가에겐 대박, 대중은 이득, 직장잃은자에게는 파멸!
블록체인에 개개인의 지재권(특허, 카피라잇, 성실한 업무 수행 등)과
평상 업무 시 노력의 증거물을 남길 수 있지 않을까?
암호화폐가 수평적 소통과, 나누고 협력하는 집단을 촉진할 수 있지 않을 까?
Robots
이흥노 교수 강의자료 13
미래 변화 선도 혁신성장 전략
• 혁신성장
• 정부/지자체는 미래 가치 선언하고, 지역마다 창의 혁신 Platform구축
• 대학은 연구 결과/장비/인력/시설 개방
• 시민은 평생학습, Platform활용 과학기술 기반 벤처기업가로 (시민벤처시대 열자)!
• 벤처/중소기업은 세계 시장 개척으로 혁신성과 확산
• 포용적 분배
• 사회안정망, 일자리나누기, 블록체인
• 대한민국은 행복하고, 활기찬, 창의 혁신 4만불 국가 시대로 도약!
GIST
2016년 6월 부터는 확실한 방향을 잡아
실천계획 만들고 실행해왔음.
15
국정과제 추진경과: 호남 대선공약 기획/제안 및 국정과제 반영
16
체계적 사업계획: 호남 발전방안 기획 및 대선공약 제안, 국정과제 반영, 국회 예결위원회 기획예산(10억원) 확보
04국정과제
예산을 주어도 현재 상태에서 바꾸기는 어렵다!
1. 행동양식을 결정하는 것은 법/정관/규제/학칙
2. 구 조직을 유지하며 다수 구성원의 동의를 얻기 힘들다.
3. 큰 조직 오래된 조직은 바꾸기 매우 어렵다.
4. 한 순간에 바꾸지 못하므로 갈등이 심하다.
5. 새 조직의 구성원은 소수, 추진력이 약해진다.
해결방안
1.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라! (공간, 사람, 제도)
2. 소규모로 빨리 시도해보고, 성공 시 확산 시킨다!
3. 대한민국은 과기원을 활용하라!
4. 과기원은 한국 발 파괴적 혁신이 없다는 비판을 수용해라!
5. 시장확보 전략을 만들어라!
개방, 혁신, 공유, 협력 사이언스 타운
1. 빈땅 에 싸게 짓고, 젊은이들을 수용하라!
2. “인공지능 기반 창업단지” 조성 사업 아이디어 탄생!
3.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
4.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성공 모델 만드는 사업.
5. 새로운 사상수용/균형발전촉진, 대한민국 선진국 만들자.
6. 유라시아/동남아를 비롯 한 글로벌 캠퍼스 통한 시장확보 전략!
스마트 창업도시 조성
개방, 혁신 캠퍼스
• 장벽 허물기 (개방형 연구실/실험실, 개방형 교수/
기업 연구실)
• 맞춤형 교육 시설
• 메이커 공간
• 연구장비, 논문, 특허 등 시민과 기업에게 개방
• 시장 형 승진평가 및 보상 체계
• 연구 데이터 개방, 신산업 가로막는 규제 프리존
• 리빙랩
• 대기업/중소기업 유치 입주
• 국제화 시설(최고급 호텔, 쇼핑센터) 유치
인공지능 기업인 양성
• 젊은 인재 선발 입주 (매년 2백명씩)
• 스마트도시 아파트 입주
• 연구/개발/창업 팀 구성 및 교육
• 엑셀러레이터/투자자 입주
공개강의, 문제제시, 문제해결, Blockchain 지재권관리/보상
혁신포용성장 선도타운
디자인스쿨
벤처창업 APT 및 공장
리빙랩
융합오픈랩
스마트 팩토리
Shops & Hotels
개방 초/중/고
Leisure & Sports Complex
포용성장 연구원
관청/경제인/시민/학생/대학 협력 플랫폼
시민
포용성장
기업가
대학-도시 협력 선도 타운 블록체인 기반 지재권관리
6년 내 유니콘기업 50개 탄생 젊은층 주거 선호도 1위 타운
22
국내외 사례를 통한 시사점
일회성 스마트시티 조성은 낭비!
타운 플랫폼 자체가 학습을 통한 진화를 거듭할 수 있도록 개방혁신 형으로
구성되어, 문제해결을 통한 혁신이 지속되도록 해야 함
필수구성요소 Live-Work-Learn-Play-Pay  Continued innovations
1.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방형 HW 와 SW 로 구성하여 Living Lab역할
2. 도시문제 및 과학적 해결책을 논의하는 on-off line 교류장소 제공
3. 문제해결 방안을 연구하고, 벤처창업으로 현실화하는 융합교육 기회 제공
4. 과학적 해결책을 제품 및 서비스로 만들어 보는 Maker Space 제공
5. 생활체육, Leisure, 놀이 시설 제공
6.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통한 즉각적 보상 – 능동적 참여 동기 부여
05결론광주시 ∙ 글로벌시민 ∙ 다국적벤처기업 ∙ 과기원 융합의 장
인간 과 사물이 모바일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며, 블록체인 보상으로 학습데이터 모으고, 학습
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파악하고 과학기술로 효율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도시!
데이터를요약
저장하고
교통신호등,주차장소표시,
온도조절,에너지생산,/공
급등을
제어하고
센서의상태를파악하여
교체하는등행동의사를
결정한다
도시에깔려진
각종센서를통해
보고,듣고,냄새맡고,
교통흐름을모니터하고
TV와인터넷뉴스와
SNS정보를통해
시민의반응을
센싱한다
World
진화하는 스마트도시
Lecture by Heung-No Lee 23
사람(공급자, 사용자, 개발자, 교육자) 과 Things(각종센서와 제어장치),
무수히 많은 연결방법이 존재,
암호화폐 보상체계로 사람과 Things들이 자발적으로 연결, 문제 해결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가능성
• 혁신기술에 의한 혁신성장
• Cyber security initiatives  블록체인 Police (질서확보)
• 드론, 자율차, 로봇  로봇 Economy
• 센서와 블록체인  코인 센서 지능화 Economy
• 스마트교통과 블록체인  선진 교통질서 Economy
• 미디어 컨텐츠 시장 선진화  코인 미디어 Economy
• Data 컨텐츠  Data Economy
• 인류 문화사적 진보
• 소득의 “공정”한 분배, 투명하고 효율적 행정,
• 사회 양극화 해결에 기여
• 인간 개개인 삶의 질 제고
• 인류의 지속적이며 포용적 성장 추구
• 더불어 같이 잘 사는 인류공동체
Lecture by Heung-No Lee 24
AI기반 창업타운 사업의 현재 상황
• 미래 먹거리 창출에 꼭 필요한 사업이나, 기재부/행정부 구체적인 예산 편성 없음.
• 사전기획연구예산 10억원 확보하고 집행 중
수도권 및 타 지역의 입장
1. 공약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욕심을 내고 있다.
2. AI 거점도시 광주? 왜 광주에서 해야 해? 광주에 무슨 기반이 있길래? 할 수있나?
광주의 입장
1. 인공지능 창업타운 사업을 꼭 광주에서 해야겠다는 의지
2. 광주과학기술원, 광주시와 더불어 적극 추진 중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인공지능 연구활동 현황
인공지능 분야별 전문가 구성(총 51명, 2018년) 인공지능 연계 특허보유 현황(2017년)
인공지능의 8대 대표 분야(HW, SW)에서 다양한 전문가 및 핵심특허 보유
26
03Univer+City
Reference:“광주과학기술원인공지능역량과비전“GIST(2018)
주력성숙산업군
광주의 미래유망 산업군
0%
10%
20%
30%
40%
50%
0% 10% 20% 30% 40%
친환경자동차산업
스마트가전산업
에너지변환산업
광전자융합산업
생체의료용
소재부품산업
성
장
산
업
군
4차산업혁명
연계 기업
37%
18%
첨단과학산업단지 內 기업분포
* 803개 기업 중 365개(45%)
45%
간접기업
기타기술
광주의 인공지능 R&D 역랑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연구 인프라와 풍부한 혁신 역량
• 혁신도시 내 14개 이전 공공기관
• 지역 소재 대학 AI 관련 연구 수행
• 인공지능 인재수급
- GIST, 스마트에너지, 인공지능 관련 학과 개설
인공지능 기반 산업혁명 추진을 위한 최적의 요건
• 광주 특화산업연계(자동차, 에너지, 가전 등)
• 최첨단 산업단지 보유
• 한전 AI 및 빅데이터 R&SD 신규사업
• 정부통합전산센터 (광주 서구)
• 한전 빅데이터 센터 (나주 혁신도시)
• 현대차 메인 전산센터 (광주 진곡산단)
• 빅데이터 센터 (광주 도첨단지 구축예정)
광주의 인공지능 연계 기반조성 여건
※ 자료: 광주광역시(2018). 내부자료
※ 자료: 광주광역시.(2018). 내부자료
연구개발특구 內 연구/혁신기관 및 기업 연계 클러스터 형성, 특화산업 연계 R&D고도화
27
03Univer+City
데이터를요약
저장하고
교통신호등,주차장소표시,
온도조절,에너지조절등
제어하고
센서의상태를파악하여
교체하는등행동을
결정한다
도시에깔려진
각종센서를통해
보고,듣고,냄새맡고,
교통흐름을모니터하고
TV와인터넷뉴스와
SNS정보를통해
시민의반응을
센싱한다
World
인간/사물 네트워크, 학습을 통해 지능화하는 과학기술 도시! 05결론
(참고자료) 판교의 테크노밸리 조성
29
수도권 위치 및 ICT Venture 기업형 클러스터이나, 현재 부지 확장성 제약(그린벨트) 및 AI Campus 기능 부족
호남의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 창업단지”는 조성부지(20만평) 및 AI Campus 연계로 기술혁신 수월
판교 테크노밸리의 입주기업 현황(1,306개, 대기업 35개, 2016)
※ 자료: 경기도청, 연합뉴스, 매일경제(2017. 11.30)※ 자료: 판교 테크노밸리(http://www.pangyotechnovalley.org/ )
판교 테크노밸리(1~3) 조성계획(안)
05결론
제18회 세계지식포럼 / 실리콘밸리 투자 구루 '팀 드레이퍼' DFJ 회장
그는 "블록체인으로 중앙에 집중돼 있던 정부 권력은 약화될 것"이라며 "대신 창의적인
사람들이 모인 도시나 지방에서 나온 혁신은 순식간에 글로벌 영향력을 갖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보다는 실리콘밸리가, 중국보다는 선전이라는 혁신지역이 더 힘을 갖는
시대가 온다. 그는 "이 과정에서 (혁신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국가라는 틀 안에
갇히지 않고) 진정으로 글로벌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드레이퍼 회장은 한국이 지난달
29일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공개를 전면 금지한 것에 대해서는 강한 톤으로 비판했다.
"블록체인이 관료제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블록체인을 도입한 나라는 20년 뒤엔 가장
부유해진다. 중앙정부는 힘을 잃고 도시·지방정부가 글로벌 파워로 떠오른다. 가상화폐
공개(ICO)를 금지한 한국은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그는 화폐제도뿐 아니라 각종 법규를 프로그램화해 분산저장하는 기술인 블록체인이 관료
시스템을 대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공서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을 통해 민원을 직접
해결할 수 있어서다. 그는 "2040년이 되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일본·에스토니아 같은
국가가 가장 부유해질 것"이라며 "모든 정보가 분산돼 투명하게 관리되면 효율성이
늘어나고 관료제를 대체하면서 정부 재정지출도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자료 : 매일경제(2017. 10. 19.), 블록체인이 관료시스템 허물 것
30
05결론기술혁신 도시로의 도약
Zug 시 – 규제를 내려놓고 개방하면 성장!
• 인구 3만명
• 취리히에서 기차로
1시간 거리
• 기업 친화 정책으로
가장 못 사는 도시가
가장 부자 도시로 탈
바꿈 (15년)
• 새로운 암호화폐 기
업의 50%가 이 도
시에 위치.
31Lecture by Heung-No Lee
국내 암호화폐 규제현황
• 하태경 의원, 정부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 비판, 해운대에 '크립토밸리' 조성 계획 밝혀,
• 고려대 김형중 교수, "암호화폐는 하늘이 文 정부에 준 큰 선물",
•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 "우리나라도 서둘러 ICO 특구를 지정해야 한다"
• 4월 30일 국회에서 있었던 “한국 크립토밸리 조성필요성과 조성방안”
• 토론회 후 검색되는 기사들의 내용입니다.
• 국내에서는 작년 9월 암호화폐 거래 과열과 사기성 ICO를 이유로
정부가 전면 금지 조치를 내린 상태입니다.
• 청와대는 2월 14일 '암호화폐 규제 반대' 청원에 대한 답변에서
”가상통화 거래 불법행위와 불투명성은 막고, 블록체인 기술은 적극 육성해 나간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
이다”라고 밝혔습니다.
Lecture by Heung-No Lee 32
33
기존의 인터넷과 같은 플랫폼은 플랫폼을 장악한 소수에게 보상이 집중
블록체인인터넷은, 일반참가자에게 공정하고 즉각적인 정산이 이루어 짐
∙ 창작물을 내놓은 원작자의 지재권이 확실한 보장과 신속한 정산 가능
∙ 창작활동을 하는 시민이 많아지게 되고, 창조적 활동 영역의 확대로, 지속 혁신하는 도시로 나아갈 수 있음
∙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인간 활동의 결과는 좋은 품질의 서비스와 제품의 탄생
→ 사회 비용은 낮추고 생산성은 높이는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며,
→ 성장의 결과는 블록체인을 통해 즉각적이고 공평하게 구성원에게 보상이 되므로 소득의 양극화문제도 해결
혁신연구의 어려움
경제적 인센티브로 보상
- 신도시에 우수 인적자원 모집
-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 클라우드 운용)
- 우수 대기업/중견기업 참여 동기 부여
05결론Blockchain 기반 Smart City 필요성
34
“대학 ∙ 지자체 ∙ 기업이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연구하고,
연구의 결과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을 개선하여 도시 전체가 계속하여 진화하는,
‘살아 숨쉬는 도시'가 되어야 하며,
도시의 유기적인 연결 과정에서
블록체인이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새로운 스마트시티는 젊은이들이 살 만한 여건을 갖추고 있어야하며,
∙ 열심히 일을 할 수 있는 일자리가 있어야 하며,
∙ 가정을 꾸미고 영위할 수 있는 보육시설과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젊은이들이 모이는 도시는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
→ 젊은이들이게 공유 ∙ 개방 ∙ 혁신 ∙ 신뢰 ∙ 협력 ∙ 포용 등 새로운 미래가치를 제시해야 한다
→ 이러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는 그 자체로써 특색이 있으며 매력을 느낄만한 스마트시티가 된다
05결론제안하는 AI 창업타운 모델
35
“스마트시티는 기본적으로 첨단 IT기술을 근간으로 하지만,
결국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고,
본성에 가까워 지기를 원한다”
• 스마트시티에는 과도하게 밀집된 도시에서는 얻을 수 없는 것들이 있다!
• 자연 속 도시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
• 자연친화적 공간에서 사람들과 일하고, 교육받고, 소통하고, 놀 수 있고, 가족과 함께하며,
•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만들 터전이 되어야 한다
• 스마트시티는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서로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야 한다!
05결론제안하는 AI 창업타운 모델 (2)
이정엽 부장판사, 블록체인법학회 창립
2018.8.24 출범
현직판사, 검사, 경제 및 핀
테크 관련 교수, 로펌 및 변
호사, 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 구성
학회의 목적
• 블록체인을 잘 이해하고,
• 기술에 관한 법적 해석과
신규법안 연구와
• 산업 발전 촉진 및 규제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 블록체인 기술 및 산업이
우리 사회에 순기능을 할
수 있게 안착시키고자 함.
현직 부장판사가 블록체인 기술을 이해하고, 산업발전을 위한 법적
토대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는 학회 창립 주도
• 대전지법 이정엽 판사의 블록체인법학회 창립선언문 내용 요약.
• 조직화 되지 않은 국가나 단체는 힘이 없습니다. 중앙집권적 관료제가 사회의 운영원리로
중요하게 자리잡게 되었지요. 개인은 조직 안에서 존재하는 것이고, 네트워크안에서 부여한
위치에 따라 행동해 왔습니다.
• 인터넷의 출현으로, 개인이 활동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고, 핸드폰으로 직접적인 의사표
시와 참여가 가능해지고, 집단지성이 발현됩니다.
• 수평적 자율조직이 중앙집권적 조직보다 인류의 행복에 더 기여한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 주식, 채권, 파생상품 시장이 부의 집중을 가져온다는 반성에서, 네트워크에서 기여한 만큼
의 보상을 하려고 하는 시도가 토큰 이코노미라는 말로 나오고 있습니다.
• 이것을 블록체이니즘이라는 새로운 사상의 출현으로 보고 있습니다.
38
AI+Blockchain+도시+과기원 혁신성장 플랫폼
- 인공지능 기반 제품과 서비스로 사회를 혁신할 수 있는 젊은 인재 양성
- 인공지능 기업 성장사다리를 만들고, 블록체인으로 생태계 구축
05결론결론
GIST
- 다른 어떤 과기원보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전략과 준비가 되어있다!
- 인공지능 블록체인 기반 1천 개 기업 육성!
지자체/국회/과통부:
- 예산지원, 정책지원, 조세지원, 행정지원, 규제샌드박스 등 지원 절실
39
옛 것이 사라질 때
새로운 것이
생기지 않으면
위기가 온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Sungho Lee
 
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
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
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
구회 연
 
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
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
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atelier t*h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atelier t*h
 
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
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
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
sy kim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두원 차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koscom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
SK(주) C&C - 강병호
 
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
Daekyeong KIM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Jaeheung Lee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gilforum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Soojin Shin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규문 최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활 김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구회 연
 
[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
[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
[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
D.CAMP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두원 차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봉조 김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sy kim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봉조 김
 

What's hot (20)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
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
KCERN 제27회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과 규제패러다임 혁신
 
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
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
2 future value_analysis_n_solution_found_2020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
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
IoT에게 4차산업혁명과 고용의 실마리를 묻다 20170223 김선영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카이스트의 영재 교육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2016농식품유통포럼]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와 농업유통구조의 미래 161125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
[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
[D.MENTOR]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 그리고 혁신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IoT에게 사회적 가치실현의 실마리를 묻다 Open Social IoT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60621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Similar to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애란 최
 
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
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
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
sy kim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애란 최
 
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
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
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
SANGHEE SHIN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BruceDong WinnersLab
 
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
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
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
Concept Starter
 
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
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
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atelier t*h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봉조 김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Hee Dae Kim
 
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종범 김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두원 차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BruceDong WinnersLab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M&M Networks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활 김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atelier t*h
 
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
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
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
애란 최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Myungho (Mark) Lee
 
4차산업혁명 0510
4차산업혁명 05104차산업혁명 0510
4차산업혁명 0510
안 정위
 
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
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
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
kim kwang il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Soojin Shin
 

Similar to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20)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
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
Technology to make human beings happ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
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
최근의 기술변화, 공간 그리고 도시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
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
글로벌핀테크연구소 20150415
 
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
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
6 인재육성을 위한_정책은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150514 경북대학교(콘텐츠산업과 창업)
 
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창조경제와 SW 역할
창조경제와 SW 역할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
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
제18차 공개포럼 하드웨어 스타트업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4차산업혁명 0510
4차산업혁명 05104차산업혁명 0510
4차산업혁명 0510
 
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
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
미래를 준비하자_Industry4.0+ & maker movemet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More from Heung-No Lee

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
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
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
Heung-No Lee
 
Sec security guideline 2019.4.3
Sec security guideline 2019.4.3Sec security guideline 2019.4.3
Sec security guideline 2019.4.3
Heung-No Lee
 
2019 blockchain economy
2019 blockchain economy2019 blockchain economy
2019 blockchain economy
Heung-No Lee
 
Iceic2019 final presented
Iceic2019 final presentedIceic2019 final presented
Iceic2019 final presented
Heung-No Lee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
Heung-No Lee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
Heung-No Lee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Heung-No Lee
 
Blockchain internet economy
Blockchain internet economyBlockchain internet economy
Blockchain internet economy
Heung-No Lee
 
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
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
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
Heung-No Lee
 

More from Heung-No Lee (9)

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
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
Ethcon seoul 2019 presentation final
 
Sec security guideline 2019.4.3
Sec security guideline 2019.4.3Sec security guideline 2019.4.3
Sec security guideline 2019.4.3
 
2019 blockchain economy
2019 blockchain economy2019 blockchain economy
2019 blockchain economy
 
Iceic2019 final presented
Iceic2019 final presentedIceic2019 final presented
Iceic2019 final presented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 IEEE Tencon Tutorial, Jeju, Oct. 28th...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
Blockchain and Cryptoeconomic Policy IEEE Tencon 2018 Tutorial Oct. 28th, 2018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Blockchain internet economy
Blockchain internet economyBlockchain internet economy
Blockchain internet economy
 
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
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
Blockchain phenonmenon why young people love it?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 1. 2018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 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광주과학기술원 학사 대강당(대학C동 104호) 2018년8월29일(수),14:00~18:00, 이흥노 교수
  • 2. 2 소요 시간 (240‘) 행 사 내 용 비 고 05‘ ○ 개회 및 내빈 소개 사회(윤미혜 보좌관) 05‘ ○ 개회사 김경진 의원 15‘ ○ 환영사 및 축사 총장 및 내빈 05‘ ○ 기념사진 촬영 참석자 전원 70‘ 【1세션】AI 산업 육성 방안 좌장: 김경진 의원 ○ 주제발표(40분) -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내 AI 산업 육성 방안 광주과학기술원 (임혁교수) ○ 지정토론 - 국회 신용우 입법조사관, 과기부 남철기 과장 SKT AI담당 임원 토론 3인 70‘ 【2세션】 AI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역할 과제 좌장: 문승현 총장 ○ 주제발표(40분) - AI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광주과학기술원 (이흥노교수) ○ 지정토론 - 권성훈 입법조사관, 이상배 광주시 전략산업국장 NAVER 양상환 리더 토론 3인 60‘ ○ 질의응답 발제·토론자 전원 10‘ ○ 마무리 말씀 및 폐회 김경진 의원
  • 3. 여야 4당, GIST에서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 육성’ 토론회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08938 3
  • 4. 목 차 4차 산업혁명 담론이 주는 교훈 AI 창업타운 사업의 탄생 광주유치의 당위성 국가, 지자체와 GIST는 어떻게 해야 하나?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결론
  • 5. 2016년, 17년, 18년, 4차산업혁명 강의 https://infonet.gist.ac.kr/?page_id=14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ICT 연구 기술, 대한민국 국회 귀빈실 (발표자료), 2016. 8. • 4차 산업혁명 시대: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전략은 무엇인가?, 발표 장소: 대한전자공학회, 과학기술회관, 일시: 2016.12.20, (발표자료)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 및 미래전략, 광주코레일 아카데미, (발표자료), 2017년 • 4차 산업혁명과 Big Data, 광주보훈병원 (발표자료) •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Happier Korea,” IEEE Smart Tech, 2017. 7. 14, The K-Hotel, Seoul, http://smarttech2017.org. (English PDF) • 인공지능과 함께 하는 미래 모습 2017년 8월 12일, 광주과학관 (발표자료) • 행복중심 4차 산업혁명, 이야기가 있는 점심, GIST (발표자료) • Korea Strategy for Better World, IEEE Vehicular Tech Society, 2017, 8/24,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English Presentation PDF) • “스마트시티와 지역경제 활성화,” 대한민국 국회, 원고 2017년 9월 14일, 발표자료 • 제 9회 한독공동학술대회, 2017,10/16~18, 김대중컨벤션센터, Smart Univer-City for Sustainable Growth, (ADeKo) Univer-city for sustainable growth 5
  • 6. Industry 4.0 과 4th Industrial Revolution, 차이가 무엇인가? 4th IR 는 Klaus Schwab 이 WEF 2016의 의제로 채택함 Schwab 혁신기술의 출현으로 급격하고 광범위한 사회, 경제구조의 변화 4th IR로 통칭 함. Multistakeholder theory실천가, 공유, 개방, 혁신, 신뢰, 협력, 기업가정신 강조 4th IR 은 주요 시스템의 스마트 화를 의미함. Factory를 예로 들어 보면, 모터, 밸브, 에너지 소스, 밸트, 로봇 등 사물이 구성 요소임. - (IoT ) 각 구성요소에 각종 디지털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에 연결함. - (Digital twin ) 이때, 각 사물에 대한 디지털 트윈이 컴퓨터상에 생성됨. - (Optimization ) 컴퓨터 상에서 구성 부품을 연결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최적화 가능. - (Big Data ) 각각의 사물로 부터, 역할 수행 및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 가능. - (Prediction ) 과거로 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 분석, 정확한 상황판단 및 미래예측 능력 제고. - (Value Creation ) 실시간 상황판단과 미래예측능력은 새로운 BM 창출을 가능케 함. (확장) 위와 같은 개념을 연장 한 것이 바로, 스마트홈, 스마트스쿨, 스마트그리드, 스마트팜, 스마트빌 딩, 스마트병원, 스마트도로, 스마트교통, 스마트시티가 됨. 29
  • 7. 4 차 산업혁명 담론이 주는 결론 1. 파괴적 혁신으로 사회변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2. 변화의 물결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3. 작은 고기가 혁신한다! 4. 판이 뒤집히는 주기가 짧다! 5. 개방, 공유, 협력함으로 파괴적 혁신에 대비해야 한다. 6. 사회적 다양성 확보로 창의성을 내재화해야 한다. 7. 혁신 성장 성과를 나누어, 혁신의 지속 가능성을 크게 유지한다.
  • 8. Dynamic Korea! 압축성장, 성공경험, 4차 산업혁명 대비 중 8 Korean War Farming/Fishing Textile Industry Heavy/Chemical Industry Ship/Auto Industry Electronics/Computer Industry Information/Comm. Industry Future Industry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1st IR 2nd IR 3rd IR Now, preparing for the 4th IR 2020
  • 9. 2018년 대한민국 압축성공시대 전략 1. 국가주도 경제개발 계획 2. 1, 2, 3 차 산업 추격 3. 중앙집권 형 국가조직 4. 수도권 집중 1. 고착화 된 성공방정식과 시스템 고집 2. 경직된 법 체계, 노사관계, 관료조직 3. 국토균형발전 추진의 어려움 4. 혁신 창업 문화 수립 어려움 5. 조직 속 개인 vs. 창의적 개인 간 충돌 6. 세대간, 계층간 갈등 7. 결혼 기피, 인구절벽 8. 생산가능인구감소, 고령사회 결과
  • 10. Visit to Hannover Messe 2017 8 Völklingen Ironwork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Site Once largest steel prod. site, closed at 1986 “Change or Disappear”
  • 11. 미래대응은 미래세대를 지원함으로 준비해야… • 50~70대 : 아무 것도 없던 시대를 살아 왔던 세대. 무에서 유를 창조. • 자신감, 자부심, 재정적 여유… • 40대: 제일 숫자가 많다… 일하느라 바쁜세대 • 20~30대 : 앞으로 이뤄내야 할 것이 많은 세대… 가진 것은 없고. 해 야할 것은 많고. 기회는 부족하고… 경쟁은 치열하고… • 그러나 누가 미래의 주역인가? 11
  • 12. 4 차 산업혁명? 이젠 머리속 생각을 바꿔야! 1. 다양성 추구 (공간, 인재, 방향, …) 2. 네가 알아서 해봐. 국가는 믿고 지원. (국가> 기관> 부서> 개인) 3. 책임과 소통의 리더십 4. 맞춤형 소량생산 (mass production no more) 5. 개방하고, 협력하고, 나누어야 6. 신뢰 사회 = 선진국
  • 13. 파괴적혁신의문제~W.T.A.,소득양극화,일자리소멸,인구절벽 혁신이 나오면, 더 살기 어려워지는 것인가? ME 아 어떻게 살아야 하나? Low Birth Rate Social Conflicts Anxiety of Unemployment Super Aged Society The Age of Diversity Social injustice Disasters Bio AI 3D Printers Deepening polarization 생산성 증가 생산성 감소 소수혁신가에겐 대박, 대중은 이득, 직장잃은자에게는 파멸! 블록체인에 개개인의 지재권(특허, 카피라잇, 성실한 업무 수행 등)과 평상 업무 시 노력의 증거물을 남길 수 있지 않을까? 암호화폐가 수평적 소통과, 나누고 협력하는 집단을 촉진할 수 있지 않을 까? Robots 이흥노 교수 강의자료 13
  • 14. 미래 변화 선도 혁신성장 전략 • 혁신성장 • 정부/지자체는 미래 가치 선언하고, 지역마다 창의 혁신 Platform구축 • 대학은 연구 결과/장비/인력/시설 개방 • 시민은 평생학습, Platform활용 과학기술 기반 벤처기업가로 (시민벤처시대 열자)! • 벤처/중소기업은 세계 시장 개척으로 혁신성과 확산 • 포용적 분배 • 사회안정망, 일자리나누기, 블록체인 • 대한민국은 행복하고, 활기찬, 창의 혁신 4만불 국가 시대로 도약!
  • 15. GIST 2016년 6월 부터는 확실한 방향을 잡아 실천계획 만들고 실행해왔음. 15
  • 16. 국정과제 추진경과: 호남 대선공약 기획/제안 및 국정과제 반영 16 체계적 사업계획: 호남 발전방안 기획 및 대선공약 제안, 국정과제 반영, 국회 예결위원회 기획예산(10억원) 확보 04국정과제
  • 17. 예산을 주어도 현재 상태에서 바꾸기는 어렵다! 1. 행동양식을 결정하는 것은 법/정관/규제/학칙 2. 구 조직을 유지하며 다수 구성원의 동의를 얻기 힘들다. 3. 큰 조직 오래된 조직은 바꾸기 매우 어렵다. 4. 한 순간에 바꾸지 못하므로 갈등이 심하다. 5. 새 조직의 구성원은 소수, 추진력이 약해진다.
  • 18. 해결방안 1.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라! (공간, 사람, 제도) 2. 소규모로 빨리 시도해보고, 성공 시 확산 시킨다! 3. 대한민국은 과기원을 활용하라! 4. 과기원은 한국 발 파괴적 혁신이 없다는 비판을 수용해라! 5. 시장확보 전략을 만들어라!
  • 19. 개방, 혁신, 공유, 협력 사이언스 타운 1. 빈땅 에 싸게 짓고, 젊은이들을 수용하라! 2. “인공지능 기반 창업단지” 조성 사업 아이디어 탄생! 3.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 4.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성공 모델 만드는 사업. 5. 새로운 사상수용/균형발전촉진, 대한민국 선진국 만들자. 6. 유라시아/동남아를 비롯 한 글로벌 캠퍼스 통한 시장확보 전략!
  • 20. 스마트 창업도시 조성 개방, 혁신 캠퍼스 • 장벽 허물기 (개방형 연구실/실험실, 개방형 교수/ 기업 연구실) • 맞춤형 교육 시설 • 메이커 공간 • 연구장비, 논문, 특허 등 시민과 기업에게 개방 • 시장 형 승진평가 및 보상 체계 • 연구 데이터 개방, 신산업 가로막는 규제 프리존 • 리빙랩 • 대기업/중소기업 유치 입주 • 국제화 시설(최고급 호텔, 쇼핑센터) 유치 인공지능 기업인 양성 • 젊은 인재 선발 입주 (매년 2백명씩) • 스마트도시 아파트 입주 • 연구/개발/창업 팀 구성 및 교육 • 엑셀러레이터/투자자 입주
  • 21. 공개강의, 문제제시, 문제해결, Blockchain 지재권관리/보상 혁신포용성장 선도타운 디자인스쿨 벤처창업 APT 및 공장 리빙랩 융합오픈랩 스마트 팩토리 Shops & Hotels 개방 초/중/고 Leisure & Sports Complex 포용성장 연구원 관청/경제인/시민/학생/대학 협력 플랫폼 시민 포용성장 기업가 대학-도시 협력 선도 타운 블록체인 기반 지재권관리 6년 내 유니콘기업 50개 탄생 젊은층 주거 선호도 1위 타운
  • 22. 22 국내외 사례를 통한 시사점 일회성 스마트시티 조성은 낭비! 타운 플랫폼 자체가 학습을 통한 진화를 거듭할 수 있도록 개방혁신 형으로 구성되어, 문제해결을 통한 혁신이 지속되도록 해야 함 필수구성요소 Live-Work-Learn-Play-Pay  Continued innovations 1.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방형 HW 와 SW 로 구성하여 Living Lab역할 2. 도시문제 및 과학적 해결책을 논의하는 on-off line 교류장소 제공 3. 문제해결 방안을 연구하고, 벤처창업으로 현실화하는 융합교육 기회 제공 4. 과학적 해결책을 제품 및 서비스로 만들어 보는 Maker Space 제공 5. 생활체육, Leisure, 놀이 시설 제공 6.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통한 즉각적 보상 – 능동적 참여 동기 부여 05결론광주시 ∙ 글로벌시민 ∙ 다국적벤처기업 ∙ 과기원 융합의 장
  • 23. 인간 과 사물이 모바일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며, 블록체인 보상으로 학습데이터 모으고, 학습 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파악하고 과학기술로 효율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도시! 데이터를요약 저장하고 교통신호등,주차장소표시, 온도조절,에너지생산,/공 급등을 제어하고 센서의상태를파악하여 교체하는등행동의사를 결정한다 도시에깔려진 각종센서를통해 보고,듣고,냄새맡고, 교통흐름을모니터하고 TV와인터넷뉴스와 SNS정보를통해 시민의반응을 센싱한다 World 진화하는 스마트도시 Lecture by Heung-No Lee 23 사람(공급자, 사용자, 개발자, 교육자) 과 Things(각종센서와 제어장치), 무수히 많은 연결방법이 존재, 암호화폐 보상체계로 사람과 Things들이 자발적으로 연결, 문제 해결
  • 24.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가능성 • 혁신기술에 의한 혁신성장 • Cyber security initiatives  블록체인 Police (질서확보) • 드론, 자율차, 로봇  로봇 Economy • 센서와 블록체인  코인 센서 지능화 Economy • 스마트교통과 블록체인  선진 교통질서 Economy • 미디어 컨텐츠 시장 선진화  코인 미디어 Economy • Data 컨텐츠  Data Economy • 인류 문화사적 진보 • 소득의 “공정”한 분배, 투명하고 효율적 행정, • 사회 양극화 해결에 기여 • 인간 개개인 삶의 질 제고 • 인류의 지속적이며 포용적 성장 추구 • 더불어 같이 잘 사는 인류공동체 Lecture by Heung-No Lee 24
  • 25. AI기반 창업타운 사업의 현재 상황 • 미래 먹거리 창출에 꼭 필요한 사업이나, 기재부/행정부 구체적인 예산 편성 없음. • 사전기획연구예산 10억원 확보하고 집행 중 수도권 및 타 지역의 입장 1. 공약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욕심을 내고 있다. 2. AI 거점도시 광주? 왜 광주에서 해야 해? 광주에 무슨 기반이 있길래? 할 수있나? 광주의 입장 1. 인공지능 창업타운 사업을 꼭 광주에서 해야겠다는 의지 2. 광주과학기술원, 광주시와 더불어 적극 추진 중
  • 26.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인공지능 연구활동 현황 인공지능 분야별 전문가 구성(총 51명, 2018년) 인공지능 연계 특허보유 현황(2017년) 인공지능의 8대 대표 분야(HW, SW)에서 다양한 전문가 및 핵심특허 보유 26 03Univer+City Reference:“광주과학기술원인공지능역량과비전“GIST(2018)
  • 27. 주력성숙산업군 광주의 미래유망 산업군 0% 10% 20% 30% 40% 50% 0% 10% 20% 30% 40% 친환경자동차산업 스마트가전산업 에너지변환산업 광전자융합산업 생체의료용 소재부품산업 성 장 산 업 군 4차산업혁명 연계 기업 37% 18% 첨단과학산업단지 內 기업분포 * 803개 기업 중 365개(45%) 45% 간접기업 기타기술 광주의 인공지능 R&D 역랑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연구 인프라와 풍부한 혁신 역량 • 혁신도시 내 14개 이전 공공기관 • 지역 소재 대학 AI 관련 연구 수행 • 인공지능 인재수급 - GIST, 스마트에너지, 인공지능 관련 학과 개설 인공지능 기반 산업혁명 추진을 위한 최적의 요건 • 광주 특화산업연계(자동차, 에너지, 가전 등) • 최첨단 산업단지 보유 • 한전 AI 및 빅데이터 R&SD 신규사업 • 정부통합전산센터 (광주 서구) • 한전 빅데이터 센터 (나주 혁신도시) • 현대차 메인 전산센터 (광주 진곡산단) • 빅데이터 센터 (광주 도첨단지 구축예정) 광주의 인공지능 연계 기반조성 여건 ※ 자료: 광주광역시(2018). 내부자료 ※ 자료: 광주광역시.(2018). 내부자료 연구개발특구 內 연구/혁신기관 및 기업 연계 클러스터 형성, 특화산업 연계 R&D고도화 27 03Univer+City
  • 29. (참고자료) 판교의 테크노밸리 조성 29 수도권 위치 및 ICT Venture 기업형 클러스터이나, 현재 부지 확장성 제약(그린벨트) 및 AI Campus 기능 부족 호남의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 창업단지”는 조성부지(20만평) 및 AI Campus 연계로 기술혁신 수월 판교 테크노밸리의 입주기업 현황(1,306개, 대기업 35개, 2016) ※ 자료: 경기도청, 연합뉴스, 매일경제(2017. 11.30)※ 자료: 판교 테크노밸리(http://www.pangyotechnovalley.org/ ) 판교 테크노밸리(1~3) 조성계획(안) 05결론
  • 30. 제18회 세계지식포럼 / 실리콘밸리 투자 구루 '팀 드레이퍼' DFJ 회장 그는 "블록체인으로 중앙에 집중돼 있던 정부 권력은 약화될 것"이라며 "대신 창의적인 사람들이 모인 도시나 지방에서 나온 혁신은 순식간에 글로벌 영향력을 갖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보다는 실리콘밸리가, 중국보다는 선전이라는 혁신지역이 더 힘을 갖는 시대가 온다. 그는 "이 과정에서 (혁신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국가라는 틀 안에 갇히지 않고) 진정으로 글로벌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드레이퍼 회장은 한국이 지난달 29일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공개를 전면 금지한 것에 대해서는 강한 톤으로 비판했다. "블록체인이 관료제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블록체인을 도입한 나라는 20년 뒤엔 가장 부유해진다. 중앙정부는 힘을 잃고 도시·지방정부가 글로벌 파워로 떠오른다. 가상화폐 공개(ICO)를 금지한 한국은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그는 화폐제도뿐 아니라 각종 법규를 프로그램화해 분산저장하는 기술인 블록체인이 관료 시스템을 대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공서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을 통해 민원을 직접 해결할 수 있어서다. 그는 "2040년이 되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일본·에스토니아 같은 국가가 가장 부유해질 것"이라며 "모든 정보가 분산돼 투명하게 관리되면 효율성이 늘어나고 관료제를 대체하면서 정부 재정지출도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자료 : 매일경제(2017. 10. 19.), 블록체인이 관료시스템 허물 것 30 05결론기술혁신 도시로의 도약
  • 31. Zug 시 – 규제를 내려놓고 개방하면 성장! • 인구 3만명 • 취리히에서 기차로 1시간 거리 • 기업 친화 정책으로 가장 못 사는 도시가 가장 부자 도시로 탈 바꿈 (15년) • 새로운 암호화폐 기 업의 50%가 이 도 시에 위치. 31Lecture by Heung-No Lee
  • 32. 국내 암호화폐 규제현황 • 하태경 의원, 정부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 비판, 해운대에 '크립토밸리' 조성 계획 밝혀, • 고려대 김형중 교수, "암호화폐는 하늘이 文 정부에 준 큰 선물", •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 "우리나라도 서둘러 ICO 특구를 지정해야 한다" • 4월 30일 국회에서 있었던 “한국 크립토밸리 조성필요성과 조성방안” • 토론회 후 검색되는 기사들의 내용입니다. • 국내에서는 작년 9월 암호화폐 거래 과열과 사기성 ICO를 이유로 정부가 전면 금지 조치를 내린 상태입니다. • 청와대는 2월 14일 '암호화폐 규제 반대' 청원에 대한 답변에서 ”가상통화 거래 불법행위와 불투명성은 막고, 블록체인 기술은 적극 육성해 나간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 이다”라고 밝혔습니다. Lecture by Heung-No Lee 32
  • 33. 33 기존의 인터넷과 같은 플랫폼은 플랫폼을 장악한 소수에게 보상이 집중 블록체인인터넷은, 일반참가자에게 공정하고 즉각적인 정산이 이루어 짐 ∙ 창작물을 내놓은 원작자의 지재권이 확실한 보장과 신속한 정산 가능 ∙ 창작활동을 하는 시민이 많아지게 되고, 창조적 활동 영역의 확대로, 지속 혁신하는 도시로 나아갈 수 있음 ∙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인간 활동의 결과는 좋은 품질의 서비스와 제품의 탄생 → 사회 비용은 낮추고 생산성은 높이는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며, → 성장의 결과는 블록체인을 통해 즉각적이고 공평하게 구성원에게 보상이 되므로 소득의 양극화문제도 해결 혁신연구의 어려움 경제적 인센티브로 보상 - 신도시에 우수 인적자원 모집 -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 클라우드 운용) - 우수 대기업/중견기업 참여 동기 부여 05결론Blockchain 기반 Smart City 필요성
  • 34. 34 “대학 ∙ 지자체 ∙ 기업이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연구하고, 연구의 결과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을 개선하여 도시 전체가 계속하여 진화하는, ‘살아 숨쉬는 도시'가 되어야 하며, 도시의 유기적인 연결 과정에서 블록체인이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새로운 스마트시티는 젊은이들이 살 만한 여건을 갖추고 있어야하며, ∙ 열심히 일을 할 수 있는 일자리가 있어야 하며, ∙ 가정을 꾸미고 영위할 수 있는 보육시설과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젊은이들이 모이는 도시는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 → 젊은이들이게 공유 ∙ 개방 ∙ 혁신 ∙ 신뢰 ∙ 협력 ∙ 포용 등 새로운 미래가치를 제시해야 한다 → 이러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는 그 자체로써 특색이 있으며 매력을 느낄만한 스마트시티가 된다 05결론제안하는 AI 창업타운 모델
  • 35. 35 “스마트시티는 기본적으로 첨단 IT기술을 근간으로 하지만, 결국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고, 본성에 가까워 지기를 원한다” • 스마트시티에는 과도하게 밀집된 도시에서는 얻을 수 없는 것들이 있다! • 자연 속 도시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 • 자연친화적 공간에서 사람들과 일하고, 교육받고, 소통하고, 놀 수 있고, 가족과 함께하며, •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만들 터전이 되어야 한다 • 스마트시티는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서로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야 한다! 05결론제안하는 AI 창업타운 모델 (2)
  • 36. 이정엽 부장판사, 블록체인법학회 창립 2018.8.24 출범 현직판사, 검사, 경제 및 핀 테크 관련 교수, 로펌 및 변 호사, 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 구성 학회의 목적 • 블록체인을 잘 이해하고, • 기술에 관한 법적 해석과 신규법안 연구와 • 산업 발전 촉진 및 규제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 블록체인 기술 및 산업이 우리 사회에 순기능을 할 수 있게 안착시키고자 함.
  • 37. 현직 부장판사가 블록체인 기술을 이해하고, 산업발전을 위한 법적 토대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는 학회 창립 주도 • 대전지법 이정엽 판사의 블록체인법학회 창립선언문 내용 요약. • 조직화 되지 않은 국가나 단체는 힘이 없습니다. 중앙집권적 관료제가 사회의 운영원리로 중요하게 자리잡게 되었지요. 개인은 조직 안에서 존재하는 것이고, 네트워크안에서 부여한 위치에 따라 행동해 왔습니다. • 인터넷의 출현으로, 개인이 활동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고, 핸드폰으로 직접적인 의사표 시와 참여가 가능해지고, 집단지성이 발현됩니다. • 수평적 자율조직이 중앙집권적 조직보다 인류의 행복에 더 기여한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 주식, 채권, 파생상품 시장이 부의 집중을 가져온다는 반성에서, 네트워크에서 기여한 만큼 의 보상을 하려고 하는 시도가 토큰 이코노미라는 말로 나오고 있습니다. • 이것을 블록체이니즘이라는 새로운 사상의 출현으로 보고 있습니다.
  • 38. 38 AI+Blockchain+도시+과기원 혁신성장 플랫폼 - 인공지능 기반 제품과 서비스로 사회를 혁신할 수 있는 젊은 인재 양성 - 인공지능 기업 성장사다리를 만들고, 블록체인으로 생태계 구축 05결론결론 GIST - 다른 어떤 과기원보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전략과 준비가 되어있다! - 인공지능 블록체인 기반 1천 개 기업 육성! 지자체/국회/과통부: - 예산지원, 정책지원, 조세지원, 행정지원, 규제샌드박스 등 지원 절실
  • 39. 39 옛 것이 사라질 때 새로운 것이 생기지 않으면 위기가 온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