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P30~54 
초등교육과 20130234 
김중현
•1. 측정관 
•2.평가관 
•3.총평관 
교육평가관 
•1. 진단평가 
•2.형성평가 
•3.총괄평가 
평가 기능에 따 
른 평가의 유형 
•규준참조평가 
•준거참조평가 
참조 유형에 따 
른 평가의 유형
 1.최초의 교육평가관 
 2. 측정관의 두가지 가정 
1)인간의 행동 특성은 안정성을 가짐 
-인간의 특성은 불변하고 이를 가장 원래의 값에 가깝 
게 측정 
-객관성과 신뢰성을 중시(오차를 줄이려) 
-표준화에 대해 애착 
-양적 자료중시하고 규준에 의한 결과의 해석 
2)환경은 인간의 행동 특성과는 달리 제거해야 할 오차 
변인 
-환경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저해
1. 측정관의 가정들을 비판하며 R. Tyler 등에 의 
해 제안 
2.’평가’는 인간 행동 특성의 변화를 판단하는 일 
련의 절차를 의미
3. 평가관의 두가지 가정 
1)안정성(stability)을 부정하고 인간의 행동 특성 
은 언제나 변화함 
-행동 특성은 내적,외적 요인에 따라 변화하고 이 
러한 ‘변화를 검사 하려는것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교육적 수단을 통해 학생 
들에게 바람직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 
-측정관과는 달리 신뢰도나 객관도보다 내용타당 
도 중시 
-객관도 신뢰도 제고를 위해 양적자료뿐만 아니라 
질적 자료도 중요시
2)환경은 오차의 원인이 아니라 변화를 초래하는 
외적 변인으로 간주 
-인간의 행동 특성에 대해 변화 가능성 전제 
-학생의 행동 변화뿐만 아니라 외적 요인도 관심 
(교수 방법, 교육과정, 교사의 전문성에도 관심)
역사적으로 가장 나중에 출현한 관점 
‘전인적 평가’라고도 불리기도 
평가관과 마찬가지로 변화가능성 전제 
‘환경’을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주체적 존재로 보며, 
개인과 환경의 역동적 관계 중시 
즉,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
총평관의 전제 
1)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개인, 환 
경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포괄적인 자료 수집 
-양적자료뿐만 아니라 질적 자료도 중요 
2)개인과 환경에 대한 수집과 해석에 있어서 체제 
적인 접근 요구 
-개인,환경이라는 주체안에서 종합적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3)구인타당도와 예언타당도 중요시
2.1진단평가 
1)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에 맞는 적절한 
수업을 전개하기 위한 일종의 학생 개개인의 진단 
2)교수/학습이 시작하기 전에 학습자의 기초능력 
을 체계적으로 평가 
학습자의 흥미, 성격, 학업 성취 등에 따라 적절한 
교수처방을 내리기 위한 평가 
교수변인 외의 조건과 관련된 학습부진의 원인들 
을 진단
2. 형성평가 
교수/학습 진행과정에서 교수/학습의 극대화를 목 
적으로 이루어지는 평가 
학습자들의 학습 진행속도 조절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강화의 역할 
학급 곤란을 진단하고 교정 
학습지도 방법의 개선에 이바지
3. 총괄평가 
형성평가를 통해 수정, 보완된 교육과정이나 프로 
그램의 종합적인 성과와 효율성을 다각적으로 판 
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최종 종합평가 
-학생에게 도움을 주려하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와는 달리 학업성취가 달성되었는지 정도를 총괄 
적으로 평가 
다른 평가에 비해 교육목표의 일반화가능성과 전 
이가능성이 큼
총괄평가의 활용 
(1)학생의 종합적인 성취보고 
(2)수료증과 졸업증 발급 
(3)다음 학년이나 교육과정의 시발점을 찾는 평가 
(4)관련된 교육과정에서 성과에 대한 예언 
(5)집단간 비교
3.1규준참조평가 
평가 결과를 해석할 때 집단 내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평가 
규준(norm) :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기준 
개인의 원점수보다 다른 학생과의 성취 비교가 중 
요 
평가의 목적 : 개인차의 변별을 극대화 
예) 지능검사, 표준화된 학력 검사 등
규준참조평가의 장단점 
장점 
1. 개인차를 엄밀히 변별할 수 있으며 교 
사의 주관에 의한 편견을 배제 
2. 학생들로서 경쟁심을 가지게 하고 강 
한 외재적 동기를 유발 
단점 
1. 바람직한 교육적 신념을 가지게 못함 
2.교육목표 달성보다는 개인차에 더욱 관 
심을 둠 
3.학생들간의 경쟁은 해로우며 내재적 동 
기유발 도외시 
4.교수, 학습 활동에서 개선될 점 제시 못 
함
3.2 준거참조평가 
학생들이 정해진 교육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에 
따라 평가되는 평가체제(타당도 중시) 
준거(criteria) : 교육목표,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 
는 기준 
-수업 진행 순서에 따라 위계적인 수업 목표 설정 
학생의 수준을 진단하고 현재의 교수, 학습과정을 
개선해 나가는데 활용 
비교보다 원점수 자체가 중요
준거참조평가의 장단점 
장점 
1. 모든 학생들이 기대하는 성취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노력 
2. 평가를 통해 교수, 학습과정을 보완하고 개선 
3.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 
4. 진정한 의미의 학습효과를 비교 가능 
5. 실패와 경쟁을 지양 
단점 
적절한 평가 준거 설정 불가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Minsoo Jung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dmavyenro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서영 이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Seoyoung Son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hyebinyun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
Minsoo Jung
 

What's hot (8)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우하
 

Viewers also liked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tjgus0610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Minsoo Jung
 
Peirce tp
Peirce tpPeirce tp
Peirce tp
Gruponumero13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Minsoo Jung
 
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
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
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
Minsoo Jung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roh_eungyeong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baekjaewoo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Minsoo Jung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Minsoo Jung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baekjaewoo
 
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
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
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
zzzzini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Minsoo Jung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201325019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Kminjeong
 
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
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
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
ux singapore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tanford GSB Corporate Governance Research Initiative
 

Viewers also liked (17)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4김기연
 
Peirce tp
Peirce tpPeirce tp
Peirce tp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
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
제1장p13 교육관평가개념기능 3김시훈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7장223p 정의적특성평가의이해 4김정관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7장223p-정의적특성의평가(이해,분류) 3분반 백재우
 
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
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
제 7장 정의적_특성의_평가_조윤진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교육평가의 이해(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김민정
 
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
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
Lightning Talk #9: How UX and Data Storytelling Can Shape Policy by Mika Aldaba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uccession “Losers”: What Happens to Executives Passed Over for the CEO Job?
 

Similar to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중현 김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Minsoo Jung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Minsoo Jung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서영 이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서영 이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sungeunxx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Minsoo Jung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혜진 양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Minsoo Jung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hyungjoo park
 
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
현민 이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534297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Minsoo Jung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Minsoo Jung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지수 남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Minsoo Jung
 
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혜빈 소
 
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혜빈 소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지영 김
 

Similar to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20)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 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7장정의적 특성의 평가_이서영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자분석 및 학습환경분석
 
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제 11장 장학론
제 11장 장학론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More from Minsoo Jung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Minsoo Jung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Minsoo Jung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Minsoo Jung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Minsoo Jung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Minsoo Jung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Minsoo Jung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Minsoo Jung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Minsoo Jung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Minsoo Jung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Minsoo Jung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Minsoo Jung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Minsoo Jung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Minsoo Jung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Minsoo Jung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Minsoo Jung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
Minsoo Jung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
Minsoo Jung
 
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
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
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
Minsoo Jung
 

More from Minsoo Jung (20)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서예슬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
제3장p55 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타당도) 4신재희
 
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
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
교제2장p66 평가도구질판단기준(신뢰도) 4박대현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 2. •1. 측정관 •2.평가관 •3.총평관 교육평가관 •1. 진단평가 •2.형성평가 •3.총괄평가 평가 기능에 따 른 평가의 유형 •규준참조평가 •준거참조평가 참조 유형에 따 른 평가의 유형
  • 3.  1.최초의 교육평가관  2. 측정관의 두가지 가정 1)인간의 행동 특성은 안정성을 가짐 -인간의 특성은 불변하고 이를 가장 원래의 값에 가깝 게 측정 -객관성과 신뢰성을 중시(오차를 줄이려) -표준화에 대해 애착 -양적 자료중시하고 규준에 의한 결과의 해석 2)환경은 인간의 행동 특성과는 달리 제거해야 할 오차 변인 -환경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저해
  • 4. 1. 측정관의 가정들을 비판하며 R. Tyler 등에 의 해 제안 2.’평가’는 인간 행동 특성의 변화를 판단하는 일 련의 절차를 의미
  • 5. 3. 평가관의 두가지 가정 1)안정성(stability)을 부정하고 인간의 행동 특성 은 언제나 변화함 -행동 특성은 내적,외적 요인에 따라 변화하고 이 러한 ‘변화를 검사 하려는것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교육적 수단을 통해 학생 들에게 바람직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 -측정관과는 달리 신뢰도나 객관도보다 내용타당 도 중시 -객관도 신뢰도 제고를 위해 양적자료뿐만 아니라 질적 자료도 중요시
  • 6. 2)환경은 오차의 원인이 아니라 변화를 초래하는 외적 변인으로 간주 -인간의 행동 특성에 대해 변화 가능성 전제 -학생의 행동 변화뿐만 아니라 외적 요인도 관심 (교수 방법, 교육과정, 교사의 전문성에도 관심)
  • 7. 역사적으로 가장 나중에 출현한 관점 ‘전인적 평가’라고도 불리기도 평가관과 마찬가지로 변화가능성 전제 ‘환경’을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주체적 존재로 보며, 개인과 환경의 역동적 관계 중시 즉,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
  • 8. 총평관의 전제 1)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개인, 환 경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포괄적인 자료 수집 -양적자료뿐만 아니라 질적 자료도 중요 2)개인과 환경에 대한 수집과 해석에 있어서 체제 적인 접근 요구 -개인,환경이라는 주체안에서 종합적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3)구인타당도와 예언타당도 중요시
  • 9. 2.1진단평가 1)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에 맞는 적절한 수업을 전개하기 위한 일종의 학생 개개인의 진단 2)교수/학습이 시작하기 전에 학습자의 기초능력 을 체계적으로 평가 학습자의 흥미, 성격, 학업 성취 등에 따라 적절한 교수처방을 내리기 위한 평가 교수변인 외의 조건과 관련된 학습부진의 원인들 을 진단
  • 10. 2. 형성평가 교수/학습 진행과정에서 교수/학습의 극대화를 목 적으로 이루어지는 평가 학습자들의 학습 진행속도 조절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강화의 역할 학급 곤란을 진단하고 교정 학습지도 방법의 개선에 이바지
  • 11. 3. 총괄평가 형성평가를 통해 수정, 보완된 교육과정이나 프로 그램의 종합적인 성과와 효율성을 다각적으로 판 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최종 종합평가 -학생에게 도움을 주려하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와는 달리 학업성취가 달성되었는지 정도를 총괄 적으로 평가 다른 평가에 비해 교육목표의 일반화가능성과 전 이가능성이 큼
  • 12. 총괄평가의 활용 (1)학생의 종합적인 성취보고 (2)수료증과 졸업증 발급 (3)다음 학년이나 교육과정의 시발점을 찾는 평가 (4)관련된 교육과정에서 성과에 대한 예언 (5)집단간 비교
  • 13. 3.1규준참조평가 평가 결과를 해석할 때 집단 내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평가 규준(norm) :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기준 개인의 원점수보다 다른 학생과의 성취 비교가 중 요 평가의 목적 : 개인차의 변별을 극대화 예) 지능검사, 표준화된 학력 검사 등
  • 14. 규준참조평가의 장단점 장점 1. 개인차를 엄밀히 변별할 수 있으며 교 사의 주관에 의한 편견을 배제 2. 학생들로서 경쟁심을 가지게 하고 강 한 외재적 동기를 유발 단점 1. 바람직한 교육적 신념을 가지게 못함 2.교육목표 달성보다는 개인차에 더욱 관 심을 둠 3.학생들간의 경쟁은 해로우며 내재적 동 기유발 도외시 4.교수, 학습 활동에서 개선될 점 제시 못 함
  • 15. 3.2 준거참조평가 학생들이 정해진 교육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에 따라 평가되는 평가체제(타당도 중시) 준거(criteria) : 교육목표,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 는 기준 -수업 진행 순서에 따라 위계적인 수업 목표 설정 학생의 수준을 진단하고 현재의 교수, 학습과정을 개선해 나가는데 활용 비교보다 원점수 자체가 중요
  • 16. 준거참조평가의 장단점 장점 1. 모든 학생들이 기대하는 성취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노력 2. 평가를 통해 교수, 학습과정을 보완하고 개선 3.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 4. 진정한 의미의 학습효과를 비교 가능 5. 실패와 경쟁을 지양 단점 적절한 평가 준거 설정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