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제 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국어교육과 20140028 김서현
1. 교육평가의 과제
 이론적 측면
1. 교육관의 재정립
:: 교육관이란 교육을 보는 관점이나 입장을 의미한다.
개인이 가진 교육관 및 사회의 일반적인 교육관은 평가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때로는 국가 교육 정책에 부정적이라 사회 갈등을 유발하
기 때문에 건전한 교육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2. 새로운 평가이론의 보급
:: 평가 이론이 제대로 보급되기 위해서 교사들이나 실제 평가 관련 업
무를 담당하는 사람에게 전문적인 평가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교
육할 필요가 있다.
3. 평가 목적의 명료화
:: 왜 평가를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분명한 이유를 제시하고 이를 바
탕으로 평가 목적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1. 교육평가의 과제
 이론적 측면
4. 이해관련자들의 의견 수렴
::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평가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이
해관계자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평가 성공에 있어서 매우 중
요한 요소.
5.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 평가 결과 공개는 평가 자체에 대한 공정성과 책무성을 검증하고 평
가의 신뢰를 높여준다.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은 개인, 기관, 사회
와 국가의 발전에 영향을 준다.
6. 평가 전문가의 부족
:: 평가 이론, 평가 윤리 등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교육이 요구되며 대학
원이나 학회 에서 평가전문가가 따로 양성되어야 하고 학교 현장의
평가를 맡고 있는 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소양을 지녀야 한다.
1. 교육평가의 과제
 실제적 측면
1. 총괄 중심의 평가
:: 총괄평가적 성격으로만 치우쳐 있다. 또한 교육 목적 달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함이 아니라,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게 목적이 되
어가는 목적전도현상이 일어난다.
2. 규준참조평가 선호
:: 규준참조평가는 상대평가라 학생들의 상호 비교 점수가 궁극적 기준
이며 준거참조평가는 절대평가라 학생들이 도달해야 하는 특정한 성
취 수준에 주목한다. 교육현장에서는 준거참조평가 도입이 타당하다.
3. 측정관과 평가관의 혼동
:: 측정관 – 존재하는 실체는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안정성이 있다.
평가관 – 존재하는 실체나 인간의 특성은 변화한다.
교육 현장에서 평가관을 중시하는 질적, 가치적 시각이 미흡하다.
1. 교육평가의 과제
 실제적 측면
4. 학생의 학업 성취 평가 위주
:: 학생의 성장 모습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함께 교사, 교육과정, 학교
조직과 운영 등 모든 측면들이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5. 지적 영역 중심의 평가 관행
:: 많은 시간과 교육적 관심이 수반되어야 하고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 관한 평가가 어려워 지, 정, 의 중 지적 평가만 집중적으로 실
시되고 있다.
6. 평가 결과 활용의 문제
:: 궁극적으로 평가 자료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교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교육적 행위와 상황을 이해하며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수
집되고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교육평가의 전망
 개선 방향
1.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
:: 교과서 중심의 평가가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는 평가의 내용이 교과서에 한정되지 말고 교육과정 목표와 평가내
용의 직접적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2. 전인적 평가 중심
:: 정의적, 심동적 평가의 비중을 높이고 특성의 개념과 절차, 평가이론
과 평가방법에 대한 구체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별활동, 봉사
활동 등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3. 고등정신 능력의 평가
:: 학습한 내용을 문제 사태를 통하여 배울 수 있도록 창의적 문제가 강
조되어야 한다. 주관식 문항 중심, 오픈북 테스트도 도입할 만 하다.
2. 교육평가의 전망
 개선 방향
4. 과정 중심의 평가
::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이나 탐구하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교과별 평가
모형에서 최종 성취 정도가 아니라 성취과정, 즉 교육목표에 도달하
는 과정을 평가에 포함시켜야 한다.
5. 진단, 활용 중심의 평가
:: 평가결과의 활용이 극대화되어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학생 행동의 변화 기록, 장점 중심 기록, 누가기록, 절
대평가에 의한 개인 내적 차이 비교 기록 등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2. 교육평가의 전망
 미래의 교육평가
1. 평가의 재음미
:: 교육평가는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가진 교육자에 의
해 실시되어야 하며 성취도, 행동 변화의 평가에서 evaluation이 아닌
assessment의 의미로 사용되어야 한다.
2. 교육관과 평가
:: 선발적 교육관 -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을 위한 우선 교육
발달적 교육관 – 교육을 통해 개인의 적성이나 소질을 개발·육성
목적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어떤 교육관이 옳고 그르다
판단하기 어렵다.
3. 평가 방법
::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중 하나를 선택함이 아니라 서로 병행하면서
평가 목적이나 평가 결과의 활용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2. 교육평가의 전망
 미래의 교육평가
4. 평가 판단
::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선발적 교육관에 의한 평가 판단은 규준참조
평가, 달성 정도를 목적으로 하는 발달적 교육관에 의한 평가 판단은
준거참조평가로 나타난다.
5. 평가 활용
:: 평가 결과의 활용은 왜 평가를 하는가에 대한 답이다.
평가 결과 활용 여부에 따라 평가 방법, 평가의 판단, 점수 부여 방법
이 달라질 수 있다.
3. 평가의 확대
 평가의 대중화
1. 평가는 교육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까지 유용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2. 평가는 복지, 환경, 생명공학 등 다른 분야나 학문으로 넓혀질 것이다.
3. 평가는 점차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 도상국들에서도 제도화될 것이다.
4. 평가가 적용되지 않는 나라는 없으니 전 세계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5. 실제 학회나 기관에서 평가 관련 경험을 할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6.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큰 내부 평가가 중요하게 될 것이다.
7. 평가에서 전문적 협회와 활동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8. 평가 관련 증거 자료가 양적·질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3. 평가의 확대
 평가의 정교화
1. 대규모 평가는 점차 줄어들고 형성평가와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2. 평가 접근이 다양한 유형으로써 상황에 맞게 채택되고 절충될 것이다.
3. 평가와 평가자가 정치적으로 더 세련될 것이다.
4.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는 등 윤리적 쟁점에 관심이 증가될 것이다.
5. 기술적 발달로 비디오, 오디오 형태의 평가 보고서 작성 방법이 보편화될 것이다.
6.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이 다양화될 것이다.
7. 평가를 민주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8. 수행평가 측정 운동이 활발해질 것이다.
3. 평가의 확대
 평가의 비전
1.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를 높여야 한다.
:: 평가자를 지원하고 평가 정책이나 방법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켜야 한다.
2. 평가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다면적인 방법과 절충적 접근의 구성적 활용을 연
구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질적 양적 방법을 병행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3. 평가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타평가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
:: 평가를 평가하므로 평가나 평가 과정에 대하여 개방적이어야 한다.
국어20140028김서현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Lessons from 12 Angry Men
Lessons from 12 Angry MenLessons from 12 Angry Men
Lessons from 12 Angry Men
Adiya Atuluku
 
12 angry men (Alef Chavarria)
12 angry men (Alef Chavarria)12 angry men (Alef Chavarria)
12 angry men (Alef Chavarria)
AlefChavarria
 
12 angry-men-final
12 angry-men-final12 angry-men-final
12 angry-men-final
Pooja Demblani
 
Juror 10
Juror 10Juror 10
Juror 10
lexsing
 
12 Angry Men Slide Show
12 Angry Men Slide Show12 Angry Men Slide Show
12 Angry Men Slide Show
tickingmindpd
 
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
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
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
Wander Martich
 

Viewers also liked (6)

Lessons from 12 Angry Men
Lessons from 12 Angry MenLessons from 12 Angry Men
Lessons from 12 Angry Men
 
12 angry men (Alef Chavarria)
12 angry men (Alef Chavarria)12 angry men (Alef Chavarria)
12 angry men (Alef Chavarria)
 
12 angry-men-final
12 angry-men-final12 angry-men-final
12 angry-men-final
 
Juror 10
Juror 10Juror 10
Juror 10
 
12 Angry Men Slide Show
12 Angry Men Slide Show12 Angry Men Slide Show
12 Angry Men Slide Show
 
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
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
12 angry men_power_point_10152014_(1)[1]
 

Similar to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tjgus0610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SeoYeon Cha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SeoYeon Cha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Ju Chan Kim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Ju Chan Kim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yujeong2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parkhyemi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Minsoo Jung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roh_eungyeong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지수 남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Minsoo Jung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alskdmfmxk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Minsoo Jung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tngml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201325004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201325004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은영 장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유리 박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Minsoo Jung
 

Similar to 국어20140028김서현 (20)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국어20140028김서현

  • 1. 제 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국어교육과 20140028 김서현
  • 2. 1. 교육평가의 과제  이론적 측면 1. 교육관의 재정립 :: 교육관이란 교육을 보는 관점이나 입장을 의미한다. 개인이 가진 교육관 및 사회의 일반적인 교육관은 평가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때로는 국가 교육 정책에 부정적이라 사회 갈등을 유발하 기 때문에 건전한 교육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2. 새로운 평가이론의 보급 :: 평가 이론이 제대로 보급되기 위해서 교사들이나 실제 평가 관련 업 무를 담당하는 사람에게 전문적인 평가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교 육할 필요가 있다. 3. 평가 목적의 명료화 :: 왜 평가를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분명한 이유를 제시하고 이를 바 탕으로 평가 목적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 3. 1. 교육평가의 과제  이론적 측면 4. 이해관련자들의 의견 수렴 ::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평가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이 해관계자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평가 성공에 있어서 매우 중 요한 요소. 5.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 평가 결과 공개는 평가 자체에 대한 공정성과 책무성을 검증하고 평 가의 신뢰를 높여준다.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은 개인, 기관, 사회 와 국가의 발전에 영향을 준다. 6. 평가 전문가의 부족 :: 평가 이론, 평가 윤리 등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교육이 요구되며 대학 원이나 학회 에서 평가전문가가 따로 양성되어야 하고 학교 현장의 평가를 맡고 있는 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소양을 지녀야 한다.
  • 4. 1. 교육평가의 과제  실제적 측면 1. 총괄 중심의 평가 :: 총괄평가적 성격으로만 치우쳐 있다. 또한 교육 목적 달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함이 아니라,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게 목적이 되 어가는 목적전도현상이 일어난다. 2. 규준참조평가 선호 :: 규준참조평가는 상대평가라 학생들의 상호 비교 점수가 궁극적 기준 이며 준거참조평가는 절대평가라 학생들이 도달해야 하는 특정한 성 취 수준에 주목한다. 교육현장에서는 준거참조평가 도입이 타당하다. 3. 측정관과 평가관의 혼동 :: 측정관 – 존재하는 실체는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안정성이 있다. 평가관 – 존재하는 실체나 인간의 특성은 변화한다. 교육 현장에서 평가관을 중시하는 질적, 가치적 시각이 미흡하다.
  • 5. 1. 교육평가의 과제  실제적 측면 4. 학생의 학업 성취 평가 위주 :: 학생의 성장 모습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함께 교사, 교육과정, 학교 조직과 운영 등 모든 측면들이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5. 지적 영역 중심의 평가 관행 :: 많은 시간과 교육적 관심이 수반되어야 하고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 관한 평가가 어려워 지, 정, 의 중 지적 평가만 집중적으로 실 시되고 있다. 6. 평가 결과 활용의 문제 :: 궁극적으로 평가 자료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교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교육적 행위와 상황을 이해하며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수 집되고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6. 2. 교육평가의 전망  개선 방향 1.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 :: 교과서 중심의 평가가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는 평가의 내용이 교과서에 한정되지 말고 교육과정 목표와 평가내 용의 직접적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2. 전인적 평가 중심 :: 정의적, 심동적 평가의 비중을 높이고 특성의 개념과 절차, 평가이론 과 평가방법에 대한 구체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별활동, 봉사 활동 등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3. 고등정신 능력의 평가 :: 학습한 내용을 문제 사태를 통하여 배울 수 있도록 창의적 문제가 강 조되어야 한다. 주관식 문항 중심, 오픈북 테스트도 도입할 만 하다.
  • 7. 2. 교육평가의 전망  개선 방향 4. 과정 중심의 평가 ::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이나 탐구하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교과별 평가 모형에서 최종 성취 정도가 아니라 성취과정, 즉 교육목표에 도달하 는 과정을 평가에 포함시켜야 한다. 5. 진단, 활용 중심의 평가 :: 평가결과의 활용이 극대화되어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학생 행동의 변화 기록, 장점 중심 기록, 누가기록, 절 대평가에 의한 개인 내적 차이 비교 기록 등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 8. 2. 교육평가의 전망  미래의 교육평가 1. 평가의 재음미 :: 교육평가는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가진 교육자에 의 해 실시되어야 하며 성취도, 행동 변화의 평가에서 evaluation이 아닌 assessment의 의미로 사용되어야 한다. 2. 교육관과 평가 :: 선발적 교육관 -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을 위한 우선 교육 발달적 교육관 – 교육을 통해 개인의 적성이나 소질을 개발·육성 목적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어떤 교육관이 옳고 그르다 판단하기 어렵다. 3. 평가 방법 ::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중 하나를 선택함이 아니라 서로 병행하면서 평가 목적이나 평가 결과의 활용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 9. 2. 교육평가의 전망  미래의 교육평가 4. 평가 판단 ::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선발적 교육관에 의한 평가 판단은 규준참조 평가, 달성 정도를 목적으로 하는 발달적 교육관에 의한 평가 판단은 준거참조평가로 나타난다. 5. 평가 활용 :: 평가 결과의 활용은 왜 평가를 하는가에 대한 답이다. 평가 결과 활용 여부에 따라 평가 방법, 평가의 판단, 점수 부여 방법 이 달라질 수 있다.
  • 10. 3. 평가의 확대  평가의 대중화 1. 평가는 교육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까지 유용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2. 평가는 복지, 환경, 생명공학 등 다른 분야나 학문으로 넓혀질 것이다. 3. 평가는 점차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 도상국들에서도 제도화될 것이다. 4. 평가가 적용되지 않는 나라는 없으니 전 세계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5. 실제 학회나 기관에서 평가 관련 경험을 할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6.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큰 내부 평가가 중요하게 될 것이다. 7. 평가에서 전문적 협회와 활동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8. 평가 관련 증거 자료가 양적·질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 11. 3. 평가의 확대  평가의 정교화 1. 대규모 평가는 점차 줄어들고 형성평가와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2. 평가 접근이 다양한 유형으로써 상황에 맞게 채택되고 절충될 것이다. 3. 평가와 평가자가 정치적으로 더 세련될 것이다. 4.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는 등 윤리적 쟁점에 관심이 증가될 것이다. 5. 기술적 발달로 비디오, 오디오 형태의 평가 보고서 작성 방법이 보편화될 것이다. 6.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이 다양화될 것이다. 7. 평가를 민주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8. 수행평가 측정 운동이 활발해질 것이다.
  • 12. 3. 평가의 확대  평가의 비전 1.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를 높여야 한다. :: 평가자를 지원하고 평가 정책이나 방법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켜야 한다. 2. 평가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다면적인 방법과 절충적 접근의 구성적 활용을 연 구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질적 양적 방법을 병행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3. 평가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타평가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 :: 평가를 평가하므로 평가나 평가 과정에 대하여 개방적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