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실과교육과
20140141
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 이해
제 1장 들어가기 제 2장 교육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정의 참조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기능 교수-학습 진행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와 심리측정학 속도화정도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한계 평가결과의 양화여부에 따른 평가의 종류
평가, 측정, 검사, 총평 평가 영역에 따른 평가의 종류
목차
제 1장. 들어가기
인간(학습자)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활동
교육이 목적하고
있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평가하는 활동
1. 교육평가의 정의
교육
교육평가
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정의
1.타일러
교육과정 및 수업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
1. 교육평가의 정의
목표 중심 평가 모형
2. 크론박, 스터플빔
교육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또는 그 과정
3.스크리븐
교육과 관련된 어떤 대상의 장점, 질, 가치 등을 판단하는 과정과
그 산출물
(가장 포괄적 정의)
1. 교육평가의 정의
 1. 교수적 기능
교육의 진행과정에서 교사에게 학습 목표를 확인시켜 주고, 학생과 교사 간에
송환작용(feedback)이 가능하도록 하며, 학생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기능
 2. 행정적 기능
행정적 목적(예, 상위학교 진학을 위한 학생 선발, 교육의 질을 통제하기 위한 학교의
책무성 평가 등)을 위하여 교육평가가 수행하는 기능
 3. 상담 기능
학생의 정의적 행동 특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능
(예, 흥미 검사, 성격 검사)
2. 교육평가의 기능
 심리측정학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자료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적 속성을 체계적이고
수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학문
 심리측정학적 교육평가
인간의 인지적, 심리적 특성(예, 지능, 흥미)을 측정하기 위해 과학적, 양적 기법을 사용
(예, 신뢰도, 타당도)
 심리측정학을 교육평가에 활용한 인물
1. 쏜다이크 : 존재하는 것은 모두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 측정 도구를 개발
2. 비네 : 아동의 지능을 측정할 수 있는 최초의 지능 검사(IQ 검사) 개발
 심리측정학적 교육평가의 한계
검사점수가 측정해야 할 것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할 수 있는 것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지 고려 필요
3. 교육평가와 심리측정학
 1. 인간의 비가시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은 물리적인 측정과는
달리 간접적이고 부분적이라는 제한을 가짐
 2. 인간의 비가시적 특성의 전체를 한번에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을 재고 그 결과를 전체로 확대해서 해석함
4. 교육평가의 한계
 평가
어떤 대상의 질이나 가치를 판단하여 결정하는 것, 이를 위하여 질적 증거와 양적 증거를 수집
 측정
평가를 위한 증거 수집 활동으로서 그 중 양적 증거 수집에 해당, 대상을 수량화하여 서술
(측정 도구 사용)
 검사
측정 도구 중 가장 대표적인 것
 총평
대상의 특성을 하나의 검사나 도구로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평가와 구분할 의미가 없음)
 전인적 평가 (질적 평가 + 양적 평가)
5. 평가, 측정, 검사, 총평
5. 평가, 측정, 검사, 총평
평가
측정
검사
평가, 측정, 검사의 관계
제 2장. 교육평가의 종류
 평가에 있어 참조 근거가 필요한 이유
평가는 어떤 대상의 가치나 질을 판단하는 행위
측정 검사 결과 자체가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제 3의 무엇(참조 근거)과 비교했을 때 의미 있는 정보가 됨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1. 규준참조평가
1)정의
학생이 얻은 점수나 평가 결과를 다른 학생들의 점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서열에 의하여 학생의 성취를 판단하는 평가(상대평가)
 실제로 그 학생이 특정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는 얻을 수 없음
2)규준이란
학생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한 참조 근거, 원점수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동일한 시험을 치른 학생들의 점수들의 평균)
 규준집단: 규준이 얻어진 집단
(예, 동일한 학년의 학생들을 규준집단으로 하면 학년 규준이라고 할 수 있음)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3)장-단점
장점
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여 우열을 가리기가 쉬움 (선발에 용이)
 학생들의 경쟁심을 자극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
단점
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힘듦
 지나친 경쟁심의 조장, 협동심 결여
 지나친 검사 불안, 이기심 등으로 인해 학생의 정의적 행동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2. 준거참조평가
1) 정의
학생이 얻은 점수나 평가 결과를 준거라고 부르는 절대적 기준을 참조하여
학생의 성취 정도를 판단하게 되는 평가(절대평가),
영역참조평가와 목표참조평가로 분류
 학생의 집단 내에서의 정확한 서열을 알 수는 없지만 그 학생이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음
2) 준거란
피험자가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다고 대중이 확신하는 지식 혹은 기술 수준,
측정 내용과 최소필수수준으로 구성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3) 영역참조평가와 목표참조평가
 영역참조평가
- 측정 내용 : 하나 혹은 복수의 영역(예, 수와 연산, 도형, 측정)의 학습 내용
- 최소필수수준 : 각 영역별로 복수 개의 문제를 시험 치르고, 영역별 문제 중
최소한 각 영역에서 어느 정도를 성취해야 하는가를 정해 놓은 것
 검사의 각 문항 하나하나에 학습목표가 대응되지 않음
 목표참조평가
- 측정 내용 : 학습목표 자체
- 최소필수수준 : 학습목표 자체
 수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많은 수의 학습목표가 설정되어 있어야 함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4) 준거참조평가의 장-단점
장점
•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가에 대한 구체적 정보 제공
 수준별 학습, 개별화 학습에 도움
• 타인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의 지적 성취 자체를 중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의적 행동 발달
단점
• 준거 설정 자체가 임의적(예, 학교 교사의 주관에 따라 다르게 설정)
 국가 차원의 학습 목표 (성취기준 + 평가기준) 개발됨
• 평가가 왜곡될 우려가 있음
(예, 중등학교에서 시험 정보를 흘려 성적을 높게 받도록 하여 대학입시를 도운 사례)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3. 규준참조평가인가 준거참조평가인가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규준참조평가 준거참조평가
평가의 사용목적 학생들간의 상대적 비교 학생의 성취 정도 파악
평가내용의 구체성
준거참조평가보다
덜 구체적
규준참조평가보다
더 구체적
검사개발 시 유의사항
상대적 비교를 잘하기 위해
난이도, 변별도가 중요
문항이 측정하는 내용과
문항이 근거한
학습목표 간의 일치가 중요
제공하는 정보 상대적 서열의 정보
해당 영역(영역참조평가)
또는 개별 학습목표
(목표참조평가)의 성취 정도
2. 교수-학습 진행 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수 목표
출발점
행동
송환 과정
교수 과정 성취 평가
Glaser의 기초 교수 모형
 1. 진단평가
학생들의 출발점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준거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 교수-학습 과정의 효과 극대화
(어떠한 내용을 어떠한 수준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배우게 할 것인지를 계획하여
진행)
Cf. 진단 검사
문제점이 있다고 선별된 학생의 특정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예, 학습부진아 진단 검사)
2. 교수-학습 진행 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 2. 형성평가
일련의 교수 활동이 진행되는 도중에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준거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 송환효과
(교수법의 장점과 허점을 파악, 학습 동기 유발, 학습 속도에 맞추어 교수-학습 진행)
 3. 총괄평가
최종적으로 교수-학습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사전에 설정된 교수-학습 목표의
성취 정도를 평가, 일회성
목적
-1)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한 정도 파악 (준거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2) 등급을 매기거나 성적 산출 (규준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2. 교수-학습 진행 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 검사의 목적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고 조합할 수 있음 }
 1. 속도 검사
평가를 통해 재고자 목적하는 주요한 능력 혹은 특성에 속도가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예, 수리력 검사, 타이핑 검사)
 2. 역량 검사
학생이 검사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검사 시간에
제한이 없는 검사 (수일간의 시간을 주면 학생의 문제 해결 능력을 판별 가능)
 3. 시간제한역량 검사
속도 검사 + 역량 검사, 문제를 푸는 속도 자체가 평가를 통해 재고자 하는
주요 능력은 아니지만 적정 수준의 시간 제한이 있음
3. 속도화 정도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 양적 평가
측정을 통해 평가 결과를 ~점으로 양화하는 평가
 주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인지적 영역의 평가에 사용
 2. 질적 평가
수업 중 관찰이나 면담 등을 통하여 양화되지 않은 자료를
수집하여 평가
 주로 정의적 영역이나 심동적 영역의 평가에 사용
4. 평가 결과의 양화 여부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 인지적 영역의 평가
학생의 인지적 사고작용(지식, 이해력, 적용력,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을
평가
 2. 정의적 영역의 평가
학생의 정의적인 특성(성격, 태도, 사회성, 도덕성)을 평가
 3. 심동적 영역의 평가
학생의 신체 능력이나 운동 활동 등을 평가
5. 평가 영역에 따른 평가의 종류
 평가가 생각보다 체계적이나 한편으로는 획기적인 변화가 어려울 것
같아 답답한 측면도 있었다.
 목적에 따라 평가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일 것이란 생각이 든다.
(때로는 계산력 검사를 속도 검사의 형태로 실시하고, 때로는 문제 해결 능력을
역량 검사의 형태로 실시하는 등)
 평가를 많이, 자주 하기 보다는 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평가를 하는 목적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예를 들면 학습 부진아 검사를 하되 평가로 그치지 않고 학습 부진을 극복하는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교사가 꾸준히 피드백 하는 과정이 정말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 현장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한 단원이 끝날 때마다 단원평가를 보는 학교도
있다고 하는데, 아이들은 그 수학 점수에 민감하다. 만족스러운 점수를 받지
못한 아이들에게 현장의 담임 교사들은 피드백을 어떻게 해 주고 있는지
궁금하다.
생각과 느낀 점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 lineamientos supervisión
2. lineamientos supervisión2. lineamientos supervisión
2. lineamientos supervisión
MÁG. NATALY MORAN ARAUJO
 
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
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
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
K Raman Sethuraman
 
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
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
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
Viktoriya Stetsenko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gnpinkston
 
ConstruccióN De Pruebas
ConstruccióN De PruebasConstruccióN De Pruebas
ConstruccióN De Pruebas
jquintana
 
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
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
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
Mayii Liny
 

What's hot (6)

2. lineamientos supervisión
2. lineamientos supervisión2. lineamientos supervisión
2. lineamientos supervisión
 
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
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
Authentic assessment of affective domain in medical education
 
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
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
поведінка споживачів емоції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ConstruccióN De Pruebas
ConstruccióN De PruebasConstruccióN De Pruebas
ConstruccióN De Pruebas
 
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
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
Características del proceso de planeación,diseño curricular
 

Viewers also liked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
Minsoo Jung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
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
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
Npocenter Seoul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degea0330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dmavyenro
 
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
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
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
Seungbin Cho
 

Viewers also liked (6)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_유형)_이사무엘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
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
2015_미트쉐어컨텐츠_인권어울터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
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
조직 문화 변화를 위한 관리자의 리더십
 

Similar to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pzh3553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Seoyoung Son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Minsoo Jung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yujeong2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Minsoo Jung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Minsoo Jung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중현 김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중현 김
 
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
현민 이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Minsoo Jung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534297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Minsoo Jung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hyebinyun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sungeunxx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혜진 양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Minsoo Jung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Minsoo Jung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지수 남
 

Similar to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20)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3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교과서 13~53 요약
교과서 13~53 요약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 2. 제 1장 들어가기 제 2장 교육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정의 참조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기능 교수-학습 진행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와 심리측정학 속도화정도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한계 평가결과의 양화여부에 따른 평가의 종류 평가, 측정, 검사, 총평 평가 영역에 따른 평가의 종류 목차
  • 4. 인간(학습자)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활동 교육이 목적하고 있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평가하는 활동 1. 교육평가의 정의 교육 교육평가
  • 5. 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정의 1.타일러 교육과정 및 수업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 1. 교육평가의 정의 목표 중심 평가 모형
  • 6. 2. 크론박, 스터플빔 교육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또는 그 과정 3.스크리븐 교육과 관련된 어떤 대상의 장점, 질, 가치 등을 판단하는 과정과 그 산출물 (가장 포괄적 정의) 1. 교육평가의 정의
  • 7.  1. 교수적 기능 교육의 진행과정에서 교사에게 학습 목표를 확인시켜 주고, 학생과 교사 간에 송환작용(feedback)이 가능하도록 하며, 학생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기능  2. 행정적 기능 행정적 목적(예, 상위학교 진학을 위한 학생 선발, 교육의 질을 통제하기 위한 학교의 책무성 평가 등)을 위하여 교육평가가 수행하는 기능  3. 상담 기능 학생의 정의적 행동 특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능 (예, 흥미 검사, 성격 검사) 2. 교육평가의 기능
  • 8.  심리측정학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자료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적 속성을 체계적이고 수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학문  심리측정학적 교육평가 인간의 인지적, 심리적 특성(예, 지능, 흥미)을 측정하기 위해 과학적, 양적 기법을 사용 (예, 신뢰도, 타당도)  심리측정학을 교육평가에 활용한 인물 1. 쏜다이크 : 존재하는 것은 모두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 측정 도구를 개발 2. 비네 : 아동의 지능을 측정할 수 있는 최초의 지능 검사(IQ 검사) 개발  심리측정학적 교육평가의 한계 검사점수가 측정해야 할 것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할 수 있는 것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지 고려 필요 3. 교육평가와 심리측정학
  • 9.  1. 인간의 비가시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은 물리적인 측정과는 달리 간접적이고 부분적이라는 제한을 가짐  2. 인간의 비가시적 특성의 전체를 한번에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을 재고 그 결과를 전체로 확대해서 해석함 4. 교육평가의 한계
  • 10.  평가 어떤 대상의 질이나 가치를 판단하여 결정하는 것, 이를 위하여 질적 증거와 양적 증거를 수집  측정 평가를 위한 증거 수집 활동으로서 그 중 양적 증거 수집에 해당, 대상을 수량화하여 서술 (측정 도구 사용)  검사 측정 도구 중 가장 대표적인 것  총평 대상의 특성을 하나의 검사나 도구로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평가와 구분할 의미가 없음)  전인적 평가 (질적 평가 + 양적 평가) 5. 평가, 측정, 검사, 총평
  • 11. 5. 평가, 측정, 검사, 총평 평가 측정 검사 평가, 측정, 검사의 관계
  • 13.  평가에 있어 참조 근거가 필요한 이유 평가는 어떤 대상의 가치나 질을 판단하는 행위 측정 검사 결과 자체가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제 3의 무엇(참조 근거)과 비교했을 때 의미 있는 정보가 됨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4. 1. 규준참조평가 1)정의 학생이 얻은 점수나 평가 결과를 다른 학생들의 점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서열에 의하여 학생의 성취를 판단하는 평가(상대평가)  실제로 그 학생이 특정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는 얻을 수 없음 2)규준이란 학생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한 참조 근거, 원점수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동일한 시험을 치른 학생들의 점수들의 평균)  규준집단: 규준이 얻어진 집단 (예, 동일한 학년의 학생들을 규준집단으로 하면 학년 규준이라고 할 수 있음)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5. 3)장-단점 장점 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여 우열을 가리기가 쉬움 (선발에 용이)  학생들의 경쟁심을 자극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 단점 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힘듦  지나친 경쟁심의 조장, 협동심 결여  지나친 검사 불안, 이기심 등으로 인해 학생의 정의적 행동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6. 2. 준거참조평가 1) 정의 학생이 얻은 점수나 평가 결과를 준거라고 부르는 절대적 기준을 참조하여 학생의 성취 정도를 판단하게 되는 평가(절대평가), 영역참조평가와 목표참조평가로 분류  학생의 집단 내에서의 정확한 서열을 알 수는 없지만 그 학생이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음 2) 준거란 피험자가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다고 대중이 확신하는 지식 혹은 기술 수준, 측정 내용과 최소필수수준으로 구성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7. 3) 영역참조평가와 목표참조평가  영역참조평가 - 측정 내용 : 하나 혹은 복수의 영역(예, 수와 연산, 도형, 측정)의 학습 내용 - 최소필수수준 : 각 영역별로 복수 개의 문제를 시험 치르고, 영역별 문제 중 최소한 각 영역에서 어느 정도를 성취해야 하는가를 정해 놓은 것  검사의 각 문항 하나하나에 학습목표가 대응되지 않음  목표참조평가 - 측정 내용 : 학습목표 자체 - 최소필수수준 : 학습목표 자체  수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많은 수의 학습목표가 설정되어 있어야 함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8. 4) 준거참조평가의 장-단점 장점 •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가에 대한 구체적 정보 제공  수준별 학습, 개별화 학습에 도움 • 타인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의 지적 성취 자체를 중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의적 행동 발달 단점 • 준거 설정 자체가 임의적(예, 학교 교사의 주관에 따라 다르게 설정)  국가 차원의 학습 목표 (성취기준 + 평가기준) 개발됨 • 평가가 왜곡될 우려가 있음 (예, 중등학교에서 시험 정보를 흘려 성적을 높게 받도록 하여 대학입시를 도운 사례)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 19.  3. 규준참조평가인가 준거참조평가인가 1. 참조 근거에 따른 평가의 종류 규준참조평가 준거참조평가 평가의 사용목적 학생들간의 상대적 비교 학생의 성취 정도 파악 평가내용의 구체성 준거참조평가보다 덜 구체적 규준참조평가보다 더 구체적 검사개발 시 유의사항 상대적 비교를 잘하기 위해 난이도, 변별도가 중요 문항이 측정하는 내용과 문항이 근거한 학습목표 간의 일치가 중요 제공하는 정보 상대적 서열의 정보 해당 영역(영역참조평가) 또는 개별 학습목표 (목표참조평가)의 성취 정도
  • 20. 2. 교수-학습 진행 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교수 목표 출발점 행동 송환 과정 교수 과정 성취 평가 Glaser의 기초 교수 모형
  • 21.  1. 진단평가 학생들의 출발점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준거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 교수-학습 과정의 효과 극대화 (어떠한 내용을 어떠한 수준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배우게 할 것인지를 계획하여 진행) Cf. 진단 검사 문제점이 있다고 선별된 학생의 특정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예, 학습부진아 진단 검사) 2. 교수-학습 진행 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 22.  2. 형성평가 일련의 교수 활동이 진행되는 도중에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준거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 송환효과 (교수법의 장점과 허점을 파악, 학습 동기 유발, 학습 속도에 맞추어 교수-학습 진행)  3. 총괄평가 최종적으로 교수-학습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사전에 설정된 교수-학습 목표의 성취 정도를 평가, 일회성 목적 -1)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한 정도 파악 (준거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2) 등급을 매기거나 성적 산출 (규준참조평가의 형태로 실시) 2. 교수-학습 진행 순서에 따른 평가의 종류
  • 23. { 검사의 목적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고 조합할 수 있음 }  1. 속도 검사 평가를 통해 재고자 목적하는 주요한 능력 혹은 특성에 속도가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예, 수리력 검사, 타이핑 검사)  2. 역량 검사 학생이 검사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검사 시간에 제한이 없는 검사 (수일간의 시간을 주면 학생의 문제 해결 능력을 판별 가능)  3. 시간제한역량 검사 속도 검사 + 역량 검사, 문제를 푸는 속도 자체가 평가를 통해 재고자 하는 주요 능력은 아니지만 적정 수준의 시간 제한이 있음 3. 속도화 정도에 따른 평가의 종류
  • 24.  1. 양적 평가 측정을 통해 평가 결과를 ~점으로 양화하는 평가  주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인지적 영역의 평가에 사용  2. 질적 평가 수업 중 관찰이나 면담 등을 통하여 양화되지 않은 자료를 수집하여 평가  주로 정의적 영역이나 심동적 영역의 평가에 사용 4. 평가 결과의 양화 여부에 따른 평가의 종류
  • 25.  1. 인지적 영역의 평가 학생의 인지적 사고작용(지식, 이해력, 적용력,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을 평가  2. 정의적 영역의 평가 학생의 정의적인 특성(성격, 태도, 사회성, 도덕성)을 평가  3. 심동적 영역의 평가 학생의 신체 능력이나 운동 활동 등을 평가 5. 평가 영역에 따른 평가의 종류
  • 26.  평가가 생각보다 체계적이나 한편으로는 획기적인 변화가 어려울 것 같아 답답한 측면도 있었다.  목적에 따라 평가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일 것이란 생각이 든다. (때로는 계산력 검사를 속도 검사의 형태로 실시하고, 때로는 문제 해결 능력을 역량 검사의 형태로 실시하는 등)  평가를 많이, 자주 하기 보다는 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평가를 하는 목적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예를 들면 학습 부진아 검사를 하되 평가로 그치지 않고 학습 부진을 극복하는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교사가 꾸준히 피드백 하는 과정이 정말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 현장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한 단원이 끝날 때마다 단원평가를 보는 학교도 있다고 하는데, 아이들은 그 수학 점수에 민감하다. 만족스러운 점수를 받지 못한 아이들에게 현장의 담임 교사들은 피드백을 어떻게 해 주고 있는지 궁금하다. 생각과 느낀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