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 
20130225 체육교육과 
조 수 린
* 
*1. 교육관 
*2. 교육평가의 개념 
*3. 교육평가의 기능
* 
1. 선발적 교육관 
- 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일정한 교육수 
준에 도달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교육방법을 동원하든 
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는 신념을 가진 교육관. 
2. 발달적 교육관 
-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만 제시된다면 “누 
구나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진 교육관. 
3. 인본주의적 교육관 
- 교육이 자아실현의 과정이라는 전제로 학습자가 원하 
는 것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 
음.
<선발적 교육관 사례 – 우열반> 
학교에서 선발적 교육관을 적용하게 될 때, 학생들에게 이점은 없고 단점만 너무 많다는 부정 
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우열반’사례로 선발적 교육관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먼저 우열반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으로“교사의 열정+철저한 준비.‘수준별 이동수업’모범사례” 
라는 제목의 기사가 있었다. 기사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대건고는 수준별 이동수업을 자체적인 
반 편성 기준을 잡아 반을 나누었다. 또 여유 교실 2개를 만들고 교과 장학 협의나 교수 자료 제 
작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원실도 새로 갖추었다. 여기서 교사들은 모니터를 통해 동료 교사의 
수업 내용을 보고 서로 조언을 해주고, 각종 자료를 동영상으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학 
년별 협의회와 교과협의회를 통해 일주일에 한차례 정도 정기적인 모임도 갖고 있었다. 이를 통 
해 교사들은 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워크시트’를 별도로 만들어 교과서와 병행하였 
다. 자칫 소홀하기 쉬운 하위권 학생들을 위해 열정이 있고 경험이 풍부한 교사들은 기초 학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의 반에 우선 배정하는 노력도 보였다 
기사를 통해서 선발적 교육관의 사례인 우열반이 교사의 열정과 학교 측의 철저한 준비가 있다 
면 때로는 학생들에게도 학습을 할 때 효과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열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의 사례로는 TV에서 방영된 “‘우열반’ 속앓이.열등생은 대책은 없 
다?”라는 제목의 동영상이 있었다. 한 고등학교에서 전과목을 우열반으로 나눠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인터뷰를 통해 들어본 우등반과 열등반 학생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인터뷰를 한 우등 
반 학생의 경우 잘 하는 학생들만 같이 수업을 받다보니 선생님께서 아이들이 못 할까봐 걱정을 
안 하시고 심화과정을 알려주셔서 좋다고 하였다. 반면 열등반 학생은 학교를 다니면서 우등반 
학생의 눈치를 보게 된다고 했다. 그리고 선생님께서 고정 관념을 가지며 비교를 한다는 등의 부 
정적인 이야기들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 우등반 안에 속해 있어도 그 안에서 열 
등감을 느끼는 학생들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등반에 속해 있는 모든 학생들이 전과목을 
다 잘 하기 때문에 친구이지만 경쟁을 하고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고 우등반에 속한 학생이 속사 
정을 털어놓았다.
선발적 교육관 발달적 교육관 인본주의적 교육 
관 
기본 가정 특정 능력이 있는 
학습자만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누구나 교육을 받 
을 능력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교육을 받 
을 능력을 가지고 
있다. 
검사관 “측정관”과 밀접 ‘평가관’과 밀접 ‘총평관’과 밀접 
교육에 대한 책임 학습자 교사 학습자 및 교사 
강조되는 평가대 
상 
학습자의 개별특 
성 
교육방법 전인적 특성 
연관된 평가유형 규준지향 평가(상 
대평가) 
목표지향평가(절 
대평가) 
목표지향평가(절 
대평가, 평가무용 
론) 
<교육관 비교표> 
출처 : http://blog.naver.com/bomibook/220104699461
* 
* - 교육이 목적하고 있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났 
는가를 판단하는 활동. 
* - 여러 학자들이 교육평가에 대한 여러 다양한 정의를 내려 
옴 
* 
* 1)타일러 : 교육평가란 교육과정과 수업 활동을 통해 교육 
목표가 실제로 도달된 정도를 결정하는 과정. 
* 2)크론박 : 교육평가란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과정. 
* 3)스크리븐 : 교육평가란 교육과 관련된 어떤 대상의 장점, 
질, 가치 등을 판단하는 과정과 그 산출물.
* 
1. 교수적 기능 
- 교육의 진행과정에서 교사에게 학습 목표를 확인시켜 주 
고, 학생과 교사간의 송환작용, 학생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 
는 기능을 말함. 
2. 행정적 기능 
- 상위학교 진학을 위한 학생 선발, 교육의 질을 통제하기 위 
한 학교의 책무성 평가 같은 행정적 목적을 위하여 교육평 
가가 수행하는 기능을 말함. 
3. 상담 기능 
- 학생의 정의적 행동 특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능을 말 
함. 
* 
- 항상 중요한 것은 교육이 먼저 있고, 교육평가는 이 
를 돕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tjfsnfl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유리 박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gayoung07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Minsoo Jung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중현 김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hyebinyun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선화 전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영민 조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201325019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degea0330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pzh3553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Nara Lee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201325002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Seoyoung Son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
SeoYS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yujeong2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Minsoo Jung
 

What's hot (18)

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제 5장 180~218 p   설누리
제 5장 180~218 p 설누리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 김중현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교육과정 (219~259p) 201325044 전선화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교육평가의 이해(교육평가관, 교육평가의 유형)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Ppt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제1장교육평가의이해 손서영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서예슬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Similar to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
Minsoo Jung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Ju Chan Kim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Ju Chan Kim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SeoYeon Cha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SeoYeon Cha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parkhyemi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은영 김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혜원 정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alskdmfmxk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인정 김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은영 장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CAU_Smart_Teacher_Lab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tngml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CAU_Smart_Teacher_Lab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tjgus0610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CAU_Smart_Teacher_Lab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Minsoo Jung
 
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
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
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
은영 김
 

Similar to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20)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4김지혜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1)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생실습시주의사항(유아교육)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교생실습시 주의사항 -유아교육과
 
LEAD- 체육교육과
LEAD- 체육교육과LEAD- 체육교육과
LEAD- 체육교육과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
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
학부모신문 259호입니다. (20130405)
 

More from Minsoo Jung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Minsoo Jung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Minsoo Jung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Minsoo Jung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Minsoo Jung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Minsoo Jung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Minsoo Jung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Minsoo Jung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Minsoo Jung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Minsoo Jung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Minsoo Jung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Minsoo Jung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Minsoo Jung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Minsoo Jung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Minsoo Jung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Minsoo Jung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Minsoo Jung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Minsoo Jung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Minsoo Jung
 

More from Minsoo Jung (20)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 1. - 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 20130225 체육교육과 조 수 린
  • 2. * *1. 교육관 *2. 교육평가의 개념 *3. 교육평가의 기능
  • 3. * 1. 선발적 교육관 - 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일정한 교육수 준에 도달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교육방법을 동원하든 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는 신념을 가진 교육관. 2. 발달적 교육관 -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만 제시된다면 “누 구나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진 교육관. 3. 인본주의적 교육관 - 교육이 자아실현의 과정이라는 전제로 학습자가 원하 는 것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 음.
  • 4. <선발적 교육관 사례 – 우열반> 학교에서 선발적 교육관을 적용하게 될 때, 학생들에게 이점은 없고 단점만 너무 많다는 부정 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우열반’사례로 선발적 교육관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먼저 우열반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으로“교사의 열정+철저한 준비.‘수준별 이동수업’모범사례” 라는 제목의 기사가 있었다. 기사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대건고는 수준별 이동수업을 자체적인 반 편성 기준을 잡아 반을 나누었다. 또 여유 교실 2개를 만들고 교과 장학 협의나 교수 자료 제 작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원실도 새로 갖추었다. 여기서 교사들은 모니터를 통해 동료 교사의 수업 내용을 보고 서로 조언을 해주고, 각종 자료를 동영상으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학 년별 협의회와 교과협의회를 통해 일주일에 한차례 정도 정기적인 모임도 갖고 있었다. 이를 통 해 교사들은 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워크시트’를 별도로 만들어 교과서와 병행하였 다. 자칫 소홀하기 쉬운 하위권 학생들을 위해 열정이 있고 경험이 풍부한 교사들은 기초 학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의 반에 우선 배정하는 노력도 보였다 기사를 통해서 선발적 교육관의 사례인 우열반이 교사의 열정과 학교 측의 철저한 준비가 있다 면 때로는 학생들에게도 학습을 할 때 효과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열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의 사례로는 TV에서 방영된 “‘우열반’ 속앓이.열등생은 대책은 없 다?”라는 제목의 동영상이 있었다. 한 고등학교에서 전과목을 우열반으로 나눠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인터뷰를 통해 들어본 우등반과 열등반 학생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인터뷰를 한 우등 반 학생의 경우 잘 하는 학생들만 같이 수업을 받다보니 선생님께서 아이들이 못 할까봐 걱정을 안 하시고 심화과정을 알려주셔서 좋다고 하였다. 반면 열등반 학생은 학교를 다니면서 우등반 학생의 눈치를 보게 된다고 했다. 그리고 선생님께서 고정 관념을 가지며 비교를 한다는 등의 부 정적인 이야기들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 우등반 안에 속해 있어도 그 안에서 열 등감을 느끼는 학생들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등반에 속해 있는 모든 학생들이 전과목을 다 잘 하기 때문에 친구이지만 경쟁을 하고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고 우등반에 속한 학생이 속사 정을 털어놓았다.
  • 5. 선발적 교육관 발달적 교육관 인본주의적 교육 관 기본 가정 특정 능력이 있는 학습자만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누구나 교육을 받 을 능력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교육을 받 을 능력을 가지고 있다. 검사관 “측정관”과 밀접 ‘평가관’과 밀접 ‘총평관’과 밀접 교육에 대한 책임 학습자 교사 학습자 및 교사 강조되는 평가대 상 학습자의 개별특 성 교육방법 전인적 특성 연관된 평가유형 규준지향 평가(상 대평가) 목표지향평가(절 대평가) 목표지향평가(절 대평가, 평가무용 론) <교육관 비교표> 출처 : http://blog.naver.com/bomibook/220104699461
  • 6. * * - 교육이 목적하고 있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났 는가를 판단하는 활동. * - 여러 학자들이 교육평가에 대한 여러 다양한 정의를 내려 옴 * * 1)타일러 : 교육평가란 교육과정과 수업 활동을 통해 교육 목표가 실제로 도달된 정도를 결정하는 과정. * 2)크론박 : 교육평가란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과정. * 3)스크리븐 : 교육평가란 교육과 관련된 어떤 대상의 장점, 질, 가치 등을 판단하는 과정과 그 산출물.
  • 7. * 1. 교수적 기능 - 교육의 진행과정에서 교사에게 학습 목표를 확인시켜 주 고, 학생과 교사간의 송환작용, 학생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 는 기능을 말함. 2. 행정적 기능 - 상위학교 진학을 위한 학생 선발, 교육의 질을 통제하기 위 한 학교의 책무성 평가 같은 행정적 목적을 위하여 교육평 가가 수행하는 기능을 말함. 3. 상담 기능 - 학생의 정의적 행동 특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능을 말 함. * - 항상 중요한 것은 교육이 먼저 있고, 교육평가는 이 를 돕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