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미술교육과 20140183
김다혜
제 8 장
평가와 입시
학교생활기록 ,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별 고사에 대하여
Contents
I. 학교생활기록
II. 대학수학능력시험
III. 대학별 고사
학교생활기록부
Chapter
1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와 도입 배경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
• 목적 : 학생의 학교 생활에 대한 공식적이고 종합적인 기록 .
• 역할 : 고등학교 교육 – 학습지도의 정보
대학입학전형 요소 – 대학 입학 적격자 선발을 위한 정보
• 구성 : 학교생활기록부 +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
• 문제점 : 대학입학전형만을 위한 것처럼 인식 및 작성 관리 운영
됨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와 도입 배경
학교생활기록부의 도입 배경
•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의 기여
• 과외 욕구의 경감
• 대학 입학 적격자 선발의 타당성 제고
• 고등학교 교육의 다양화
학교생활기록부의 변화 과정과 현행 제도
학교생활기록부의 변화 과정
• 1996 년 , 학교생활기록부 제도의 도입
• 1999 년 , 비교과교육의 다양한 교육활동 포함 및 수행평가 성적 반영
• 2000 년 , 특별활동의 영역 구별 , 재량활동의 신설
• 2005 년 , 교과학습발달상황 개정
• 현재 , 성적 산출 및 기록 방식에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병기방안 검토
중
학교생활기록부의 변화 과정과 현행 제도
학교생활기록부의 현행 제도
• 종류 : 학교생활기록부와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
• 근거 법령 :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에 관한 법령
• 성격 :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문서 , 작성하도록 된 사항은 반드시 작성
해야 함
학생의 교수 학습 지도자료로 활용
상급학교의 진학 , 취업 등의 자료로 이용
학생의 학적에 대한 증명으로서 역할
• 작성 기준 : 객관성 + 계속성 + 신뢰성 + 타당성 + 해석가능성 +
실용성
학교생활기록부의 발전 방향
학교생활기록부의 역할 측면적 발전 방향
• 타당성 측면 - 학생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충분히 담아야 함
• 신뢰성 측면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의 활동 증명 사용
학교나 교육청의 자체적인 자정 활동 및 감독 기능 강
화
• 객관성 측면 – 주관적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정 기준 마련
• 공정성 측면 – 학교 간 성적 차이 , 학교생활기록의 신뢰도 제고 방안 마
련
대학수학능력시험
Chapter
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배경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이유와 배경
• 대학입학 학력고사의 문제점
- 고차적인 정신능력 측정 미흡
- 출제경향이 고등학교 교육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이 됨
- 수험생들에게 과중한 심리적 부담을 주면서도 그 교육적 효과는 매우
낮음
- 대학교육 적격자 선발 기능의 면에서도 부적절함
-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전인적인 인간교육에 소홀한 현상이 빚어짐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이유 및 배경 : 대학입학 학력고사의 문제점
극복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
• 1994 학년도 : 도입 첫해 , 3 영역 ( 언어 , 수리 , 외국어 ) 두 차례 (8 월 ,11
월 ) 에 걸쳐 실시 ,
계열 구분 없이 지원 가능 , 출제범위는 전 영역 공통범
위
• 1995 학년도 : 시험 횟수 연 1 회로 제한 , 점수의 급간을 축소 조정
→ 동점자 수 최소화
• 1996 학년도 : 언어 영역과 외국어 영역에서 듣기 문항 도입 및 문항 수와
시험
시간 증대
• 1997 학년도 : 200 문항 200 점 만점 → 230 문항 400 점 만점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
• 1999 학년도 : 6 차 교육과정에 근거 → 영역별 출제 비율과 출제 범위 변화
( 공통수학 및 공통영어 , 탐구과목에 선택과목 도입 ),
수리 영역에서 표준점수 사용
• 2001 학년도 : 제 2 외국어 영역 도입
• 2002 학년도 : 4 개 영역 → 5 개 영역 , 총점 및 소수점 표기 폐지 , 9 등급
제 도입
• 2004 학년도 : 소수 배점 → 정수 배점
• 2005 학년도 : 7 차 교육과정 도입 →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변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발전 방향
• 대학의 자율성 보장 : SAT 의 유형과 ACT 의 유형으로 분화시켜 검사 점
수 제공
• 대학 수학에 필요한 기본적 일반적 능력 측정하는 검사 ( 현행 시험과 유
사 ) 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제시된 교과 능력 측정하는 검사 ( 교과
별 학력고사 ) 로 구분하여 시행
대학별 고사
Chapter
3
대학별 고사의 의의
• 대학별로 계열 또는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격한 학생을 선발하는데 필수
적
• 대학의 건학의 건학 이념이나 특성이 다르고 , 계열별 학과별 특성이 다른 상
황에서 전국단위로 같은 준거에 따라 학생을 선발하는 것은 불합리
• 대학별로 계열이나 학과의 특성에 따라 그에 부응하는 전형 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대학의 자율성 신장에 절대적
대학의 자율성 및 선발과 정의 신뢰성 신장
대학별 고사의 종류
• 면접 구술고사 : 구술의 방식을 토해 관련 분야나 영역에 대한 깊이 있는 지
식과 사고 능력 , 상황적 적합성을 고려한 이해 및 표현 능력 등을 측정
→ 논리성 , 체계성 중시
• 논술고사 : 사고력 , 추리력 , 종합력 , 비판력 , 표현력 , 창의력 등의 종
합적 사고기능 및 고등정신기능 측정 및 평가
• 기타 고사 : 실험실기고사 , 신체검사 , 교직 인 . 적성검사 , 심리검사 등
대학별 고사의 종류와 특징
대학별 고사의 변천 과정
• 1945~1953 년 , 대학별 고사의 도입
• 1954 년 , 국가고사와 대학별 고사의 병행
• 1955~1961 년 , 대학별 고사와 무시험 전형제
• 1962~1963 년 , 대학입학 자격고사기
• 1964~1968 년 , 대학별 단독시험제
• 1969~1980 년 , 대학입학예비고사와 대학별 고사 병행
• 1981~1985 년 , 무 대학별 고사기
• 1986~1993 년 , 대학입학학력고사 , 고교내신 및 대학별 고사 병행
• 1994 년 ~ , 대학수학능력시험 , 고교내신 및 대학별 고사 병행
대학별 고사의 변화
대학별 고사의 발전 방향
• 각 대학별로 입시 상설 위원회나 연구소 설치
: 입시철에만 아니라 , 상시적으로 입시에 관한 제반 문제에 관해 연구
→ 출제 영역 , 출제 방법 , 운영 및 관리 방식 등 제반 문제 개선 위해 노력
해야 함
적격자 선발과 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해 출제 , 채점 , 관리의 합리화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seoyoungjeong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Minsoo Jung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heyoungkim
 
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
wndus
 
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
wndus
 
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선미 박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Han Woo PARK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SeoYeon Cha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SeoYeon Cha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Minsoo Jung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tjgus0610
 
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인이 다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시진 유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Kyubok Cho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은영 장
 

Similar to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20)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제8장평가와입시 정서영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 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
제8장 평가와 입시_김주연
 
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102~143p박선미
102~143p박선미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 강의소개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201325037 최다인ppt
201325037 최다인ppt
 
제 6장
제 6장제 6장
제 6장
 
제 6장
제 6장제 6장
제 6장
 
제 6장
제 6장제 6장
제 6장
 
제 6장
제 6장제 6장
제 6장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제6 절 우리나라 학교수준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절
제 6절제 6절
제 6절
 

More from Minsoo Jung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Minsoo Jung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Minsoo Jung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Minsoo Jung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Minsoo Jung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Minsoo Jung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Minsoo Jung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Minsoo Jung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Minsoo Jung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Minsoo Jung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Minsoo Jung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Minsoo Jung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Minsoo Jung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Minsoo Jung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Minsoo Jung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Minsoo Jung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Minsoo Jung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Minsoo Jung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Minsoo Jung
 

More from Minsoo Jung (20)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6학년6반(음률) 친구들의 마지막 인사PT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컴퓨터 정창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5장표준화검사와컴퓨터화검사 김한비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제2장평가도구의질판단기준 김소희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 neis학기말사용자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2015초등학교생활기록부연수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3장 문항제작 박소희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9장 교육평가의과제와전망 임윤정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1장교육평가이해 한성민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3장 문항제작 김민정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5 neis학년초사용자연수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 neis학년말초등연수자료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전주대정초U러닝미래교실ppt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8장 평가와 입시_김다혜

  • 1. 미술교육과 20140183 김다혜 제 8 장 평가와 입시 학교생활기록 ,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별 고사에 대하여
  • 4.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와 도입 배경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 • 목적 : 학생의 학교 생활에 대한 공식적이고 종합적인 기록 . • 역할 : 고등학교 교육 – 학습지도의 정보 대학입학전형 요소 – 대학 입학 적격자 선발을 위한 정보 • 구성 : 학교생활기록부 +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 • 문제점 : 대학입학전형만을 위한 것처럼 인식 및 작성 관리 운영 됨
  • 5.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와 도입 배경 학교생활기록부의 도입 배경 •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의 기여 • 과외 욕구의 경감 • 대학 입학 적격자 선발의 타당성 제고 • 고등학교 교육의 다양화
  • 6. 학교생활기록부의 변화 과정과 현행 제도 학교생활기록부의 변화 과정 • 1996 년 , 학교생활기록부 제도의 도입 • 1999 년 , 비교과교육의 다양한 교육활동 포함 및 수행평가 성적 반영 • 2000 년 , 특별활동의 영역 구별 , 재량활동의 신설 • 2005 년 , 교과학습발달상황 개정 • 현재 , 성적 산출 및 기록 방식에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병기방안 검토 중
  • 7. 학교생활기록부의 변화 과정과 현행 제도 학교생활기록부의 현행 제도 • 종류 : 학교생활기록부와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 • 근거 법령 :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에 관한 법령 • 성격 :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문서 , 작성하도록 된 사항은 반드시 작성 해야 함 학생의 교수 학습 지도자료로 활용 상급학교의 진학 , 취업 등의 자료로 이용 학생의 학적에 대한 증명으로서 역할 • 작성 기준 : 객관성 + 계속성 + 신뢰성 + 타당성 + 해석가능성 + 실용성
  • 8. 학교생활기록부의 발전 방향 학교생활기록부의 역할 측면적 발전 방향 • 타당성 측면 - 학생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충분히 담아야 함 • 신뢰성 측면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의 활동 증명 사용 학교나 교육청의 자체적인 자정 활동 및 감독 기능 강 화 • 객관성 측면 – 주관적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정 기준 마련 • 공정성 측면 – 학교 간 성적 차이 , 학교생활기록의 신뢰도 제고 방안 마 련
  • 10.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배경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이유와 배경 • 대학입학 학력고사의 문제점 - 고차적인 정신능력 측정 미흡 - 출제경향이 고등학교 교육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이 됨 - 수험생들에게 과중한 심리적 부담을 주면서도 그 교육적 효과는 매우 낮음 - 대학교육 적격자 선발 기능의 면에서도 부적절함 -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전인적인 인간교육에 소홀한 현상이 빚어짐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이유 및 배경 : 대학입학 학력고사의 문제점 극복
  • 1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 • 1994 학년도 : 도입 첫해 , 3 영역 ( 언어 , 수리 , 외국어 ) 두 차례 (8 월 ,11 월 ) 에 걸쳐 실시 , 계열 구분 없이 지원 가능 , 출제범위는 전 영역 공통범 위 • 1995 학년도 : 시험 횟수 연 1 회로 제한 , 점수의 급간을 축소 조정 → 동점자 수 최소화 • 1996 학년도 : 언어 영역과 외국어 영역에서 듣기 문항 도입 및 문항 수와 시험 시간 증대 • 1997 학년도 : 200 문항 200 점 만점 → 230 문항 400 점 만점 ,
  • 1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 • 1999 학년도 : 6 차 교육과정에 근거 → 영역별 출제 비율과 출제 범위 변화 ( 공통수학 및 공통영어 , 탐구과목에 선택과목 도입 ), 수리 영역에서 표준점수 사용 • 2001 학년도 : 제 2 외국어 영역 도입 • 2002 학년도 : 4 개 영역 → 5 개 영역 , 총점 및 소수점 표기 폐지 , 9 등급 제 도입 • 2004 학년도 : 소수 배점 → 정수 배점 • 2005 학년도 : 7 차 교육과정 도입 →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변화
  • 13.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발전 방향 • 대학의 자율성 보장 : SAT 의 유형과 ACT 의 유형으로 분화시켜 검사 점 수 제공 • 대학 수학에 필요한 기본적 일반적 능력 측정하는 검사 ( 현행 시험과 유 사 ) 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제시된 교과 능력 측정하는 검사 ( 교과 별 학력고사 ) 로 구분하여 시행
  • 15. 대학별 고사의 의의 • 대학별로 계열 또는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격한 학생을 선발하는데 필수 적 • 대학의 건학의 건학 이념이나 특성이 다르고 , 계열별 학과별 특성이 다른 상 황에서 전국단위로 같은 준거에 따라 학생을 선발하는 것은 불합리 • 대학별로 계열이나 학과의 특성에 따라 그에 부응하는 전형 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대학의 자율성 신장에 절대적 대학의 자율성 및 선발과 정의 신뢰성 신장
  • 16. 대학별 고사의 종류 • 면접 구술고사 : 구술의 방식을 토해 관련 분야나 영역에 대한 깊이 있는 지 식과 사고 능력 , 상황적 적합성을 고려한 이해 및 표현 능력 등을 측정 → 논리성 , 체계성 중시 • 논술고사 : 사고력 , 추리력 , 종합력 , 비판력 , 표현력 , 창의력 등의 종 합적 사고기능 및 고등정신기능 측정 및 평가 • 기타 고사 : 실험실기고사 , 신체검사 , 교직 인 . 적성검사 , 심리검사 등 대학별 고사의 종류와 특징
  • 17. 대학별 고사의 변천 과정 • 1945~1953 년 , 대학별 고사의 도입 • 1954 년 , 국가고사와 대학별 고사의 병행 • 1955~1961 년 , 대학별 고사와 무시험 전형제 • 1962~1963 년 , 대학입학 자격고사기 • 1964~1968 년 , 대학별 단독시험제 • 1969~1980 년 , 대학입학예비고사와 대학별 고사 병행 • 1981~1985 년 , 무 대학별 고사기 • 1986~1993 년 , 대학입학학력고사 , 고교내신 및 대학별 고사 병행 • 1994 년 ~ , 대학수학능력시험 , 고교내신 및 대학별 고사 병행 대학별 고사의 변화
  • 18. 대학별 고사의 발전 방향 • 각 대학별로 입시 상설 위원회나 연구소 설치 : 입시철에만 아니라 , 상시적으로 입시에 관한 제반 문제에 관해 연구 → 출제 영역 , 출제 방법 , 운영 및 관리 방식 등 제반 문제 개선 위해 노력 해야 함 적격자 선발과 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해 출제 , 채점 , 관리의 합리화
  • 19. THANK YOU FOR YOUR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