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7
Download to read offline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김 지 연 백 용 매† 
마음과 마음 신경정신과의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본 연구는 정상 아동과 ADHD 아동의 기억결함현상을 비교하고, ADHD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기억 
결함이 실행기능 손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지능과 다른 공존질환을 통제한 만 
7~12세의 정상 아동 30명과 ADHD로 진단받은 아동 68명을 대상으로 숫자 폭 검사, 시공간 폭 검 
사, 청각적 학습능력 검사, 시각 재인검사를 사용하여 기억능력을 측정하였고, 카드분류검사와 선추 
적 검사를 실시하여 실행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DHD 아동은 주의 유지를 측정하는 숫자 폭 
검사의 수행이 정상 아동보다 저조하였고, 지속적인 주의와 기억전략이 요구되는 청각적 언어 학습 
검사와 시각적 재인검사에서도 정상아동보다 수행이 저조하였다. ADHD 아동의 이러한 기억결함은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선추적 검사에서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그리고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 
류 수가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기억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DHD아동이 주의분산 
이 개입되는 단기기억과 회상기억에 결함이 있고, 이러한 기억결함은 실행기능장해와 관련되고 있 
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요어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기억장애, 실행기능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백용매 /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 330 
Fax: (053) 850-3204 / E-mail: ymbaik@cu.ac.kr 
- 333 - 
상 담 학 연 구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333-349
상담학연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5~11세 학령기 아동에게서 가 
장 흔히 나타나는 정신과적 장애이며, 국내 학령 
기 아동의 3~5%가 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보고되었다(조수철, 1999). ADHD는 주의산만 
과 집중력 부족, 충동성, 과잉행동을 주 증상으로 
나타내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이차적으로 학습 
수행과 또래와의 갈등, 품행문제 등 사회적 적응 
과정에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등 정 
서적 부적응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 
로 보고되었다(조수철, 1999; 채규만, 1999). 
ADHD가 아동기에 높은 유병율을 가진다는 사 
실과 함께 주목해야 할 점은 이 장애의 발병시기 
가 학교 입학을 전후로 한 시기여서 우리나라에서 
처럼 학업 성취에 높은 가치를 두는 사회에서는 
학교장면에서의 문제로 교사나 부모로부터 주의 
대상이 되고 있고, 또 적절한 개입 없이 방치할 
경우 반항장애, 정동장애, 약물중독, 반사회적 성 
격장애 등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엇 
보다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적 개입이 중요한 
실정이다(이은희, 1999; Biderman, Newcom & Sprich, 
1991). 
ADHD 아동의 정신병리와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에서 이 아동의 50-80%는 학업수행의 문제와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내고, 지능검사에서도 산수, 
숫자, 기호쓰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고승희, 신민섭, 홍강 
의, 1996). 또 ADHD 아동들은 실제로 과제를 수행 
하는 과정에서 세부적인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 
하고, 학업이나 다른 활동을 할 때도 자주 실수를 
하거나 숙제를 잊어버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전화번호나 지시사항을 기억하는데도 어려움이 있 
고, 심부름을 보냈을 때도 다른 행동을 하느라 목 
표행동을 잊어버리고 되돌아오는 등 부적절한 행 
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 
동이 주의집중의 장애와 함께 기억기능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334 - 
ADHD 아동의 학습능력의 문제점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Douglas(1983) 
는 ADHD 아동들의 경우 전통적인 기억검사인 장 
기기억의 저장이나 파지에서는 뚜렷한 기억결함 
이 나타나지 않지만, 제시되는 정보들을 효율적으 
로 처리하기 위해 일정 기간동안 정보를 머릿속 
에 파지해야 하는 작업기억에서는 분명한 기억결 
함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August(1987)도 정상아동 
과 ADHD 아동들의 학습능력을 검증한 결과 많 
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기억검사에서 ADHD 아 
동들이 기억결함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한영옥 
(1992)도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인지적 
전략이 요구되거나 지연 기억에서는 어려움을 보 
이지만, 흥미를 느끼는 과제나 단순한 과제에서는 
주의집중력과 인지적 처리의 효율성이 저조하지 
않았고, 자발적이고 전략적인 과제 수행이 가능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ADHD 아동들이 대체로 과제가 
단순하거나 지속적인 주의집중을 필요로 하지 않 
는 과제에서는 정상 아동과 큰 차이가 없으나, 지 
속적인 주의집중이 필요하거나 다양한 인지적 전 
략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뚜렷한 기억 결함이 나타 
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ADHD 아동의 기억 
결함이 기억의 용량보다는 주의 유지의 어려움과 
주의의 분산, 거기에 따른 적절한 기억방략을 사 
용하는데 따른 어려움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지 
적하는 것이다(Douglas & Parry, 1983).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ADHD 아동들은 
기억의 구조나 장기기억의 용량 문제보다는 기억 
방략과 지속적인 주의집중, 정신적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주의분산에 의해 기억결함이 나타나 
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결함은 여 
러 인지 기능 중에서도 실행기능과 관련될 수 있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음을 가정할 수 있다(Baddeley, 1986; Barkley, 1997; 
Rapport, Chung, Shore, Denney & Isaacs, 2000). 
최근에는 ADHD의 증상들과 실행기능과의 관 
련성에 관한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Barkley, 
Grodzinsky & DuPaul, 1992;, Douglas & Benezra, 
1990). 실행기능이란 합목적적이고 목표-지향적이 
며 문제해결 행동을 담당하는 관련 기능들을 포 
함하는 포괄적 구성 개념이라 할 수 있다(Gioia, 
Isnquith & Guy, 2001). ADHD의 실행기능을 밝힌 
연구에서는 ADHD 아동들이 여러 인지기능 중에 
서도 운동 조정과 순서 짓기, 작업 기억과 심적 
계산, 계획과 예기, 노력의 분배, 조직화 책략의 
적용, 정서적 각성상태에서의 자기조정과 같은 실 
행기능과 관련된 영역에서 역기능을 나타내는 것 
으로 지적하고 있다(김지혜, 홍성도, 1999; Denckla, 
1996; Sergeant, Geurts & Oosterlaan, 2002; Shallice, 
Marxocchi, Coser, Savio, Meuter & Rumiati, 2002,). 그 
러나 이러한 역기능의 성질과 기제, 신경학적 측 
면에서의 병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Pennington & Ozonoff, 1996). 
실행기능이란 상황에 적합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으므로 여러 유형의 기억 과제 
중에서도 인지적 방략이나 약호화, 유목화 등 기 
억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러한 작업기억 결함이 ADHD 아 
동의 실행기능 결함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나 ADHD 아동들이 작업기억에 
서 기억결함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기억결함이 
실행기능장해와 관련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Martinussen, Hayden, 
Hogg-Johnson, & Tannock, 2005), 아직 이를 뒷받침 
할만한 경험적 연구들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Pennington & Ozonoff, 1996). 
그 이유는 지금까지 ADHD의 작업기억을 밝히 
기 위하여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언어적 작업 
기억 만을 측정하였거나, 또는 언어적 작업기억을 
측정한 연구들 중에서도 결과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Barnett, Maruff, & 
Vance, 2001; McInnes, Humphries, Hogg-Johnson & 
Tannock, 2003; Stevens, Quittner, Zuckerman & Moore, 
2002; Willcutt, Pennington & Boada, 2001). 또한 선 
행연구에서 사용했던 과제들이 정보처리라는 맥락 
에서 볼 때 작업기억에서 요구되는 자극의 성질 
(modality; 언어적 대 시각적)이나, 혹은 처리에 요 
구되는 과정들(저장 대 조작 또는 인출)이 서로 달 
랐거나, 다른 오염변인, 즉, 아동들의 읽기 능력과 
언어장해, 지적 수준 등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했 
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실제로 아동들 
의 읽기능력이나 혹은 언어능력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한 뒤 작업기억 능력을 비교한 결과 
ADHD 아동들은 언어적 작업기억에서는 기억결함 
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었고(Rucklidge & 
Tannock, 2002; Toplak, Rucklidge, Hetherington, John 
& Tannock, 2003; Willcutt, etal, 2001), 또 학습장애 
나 지능 저하와 같은 공존질환과는 독립적으로 작 
업기억의 여러 요소에서 기억결함이 나타난다는 
연구도 있었다(Martinussen, etal, 2005). 또 ADHD의 
기억손상은 언어적인 경로보다는 시각적 경로를 통 
한 작업기억에서 손상이 더 크다는 주장과 작업기 
억의 손상이 일반적인 지능저하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는 연구들도 있었다(Barkley, Edwards, Laneri, 
Fletcher & Metevia, 2001; Martinussen 등, 2005; 
Tripp, Ryan & Peace, 2002). 그러나 Martinussen 등 
(2005)이 주장한 연구는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이전의 선행연 
구들을 재분석한 것이어서 타당한 결론을 내리기 
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ADHD 아동의 기억 
결함현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는 
ADHD의 기억결함이 모든 ADHD 아동들의 보편적 
현상이고, 기억과제의 유형에 관계없이 기억결함을 
- 335 -
상담학연구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억결함이 실행기능과 
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ADHD에 
게 흔히 있을 수 있는 공존질환, 특히 읽기능력과 
같은 학습능력과 지능문제, 우울, 불안과 같은 정 
서적 문제가 기억기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배 
제하고, 언어 및 시각적 경로를 통한 작업기억능 
력을 동시에 비교함으로써 ADHD 아동의 기억결 
함현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ADHD 아동들 
이 보이는 기억결함 현상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실행기능에 따른 기억수행능력을 
분석하였다. 
- 336 - 
방 법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소재 M신경정신과 의 
원과 Y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아동 
들 중 미국 정신의학회 제정 정신장애 진단 통계 
편람 제 4 판(APA, 1994)에 따라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ADHD를 진단하였고, 이들 아동들의 공존질 
환을 통제하기 위해 두부외상, 간질, 뇌염, 뇌혈관 
질환, 뇌종양 등 뇌질환 병력이 있거나, 정신장애 
병력이 있는 아동, 언어구사에 문제가 있거나 시 
력과 청력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대상에서 제외 
시켰다. 또한 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에서 언어 발달 및 운동발달 하위 
척도와 다른 하위 임상척도에서 T점수가 70 이상 
인 경우에도 공존질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 
여 제외하였고, 지능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 
제하기 위하여 K-ABC(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의 인지처리과정 척도 
에서 IQ 점수가 89 이하이거나 120 이상인 아동도 
제외하였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만 7-12세 
아동 68명을 ADHD 아동 피험자로 선발하였다. 
정상아동도 ADHD 아동과 마찬가지로 만 7-12 
세 아동들 중 K-ABC에서 IQ가 89에서 120 사이 
의 지적능력을 유지하고 있고, 학습기능과 전반적 
인 건강상의 문제에서 배제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다고 보고된 30명을 선발하였다. 정상아동의 선발 
과정에서도 신경과나 정신과적 병력이 있거나, 인 
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과 질환, 시력 
또는 청력에 문제가 있는 아동과 K-PIC의 어느 
한 척도에서도 T 점수가 70 이상으로 측정된 아 
동은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측정 도구 
지능평가 
한국판 K-ABC검사는 Kaufman과 Kaufman(1983) 
이 2.5세에서 12.5세까지의 아동의 지능과 습득도 
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며, 한국에서 문 
수백과 변창진(1997)이 표준화한 지능검사도구이 
다. 이 검사는 아동이 습득한 지식을 측정하는 습 
득도 척도와 문제해결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처리 
기능을 측정하는 인지처리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검사의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87~.92 범위 
였다. 
정신병리평가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는 Wirt, Lachar, Klinedisnt, Seat(1984)가 
아동의 정신과적 문제를 선별 진단하고, 아동의 
발달, 인지, 정서, 행동적 상태를 다차원적으로 평 
가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며, 한국에서 김승태 외 
(1997)가 표준화하였다. 이 검사는 4개의 타당도 
척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적응잠재력을 측 
정하는 1개의 자아탄력성 척도, 11개의 임상척도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등 16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임상척도로 
는 지적발달과 관련된 두 척도(언어발달, 동작발 
달), 정서와 관련된 세 척도(우울, 불안, 신체화 척 
도), 행동상의 문제를 측정하는 두 척도(비행, 과 
잉행동), 대인관계와 관련된 두 척도(가족관계, 사 
회관계), 그리고 현실접촉과 관련된 두 척도(정신 
증, 자폐증 척도)가 있다. 이 검사의 하위척도별 
신뢰도 계수는 Chronbach's α는 .65~.85였다. 
실행기능 검사 
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 
- 337 - 
음과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 이 검사는 전전두엽 배외측 영역의 역기능 
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실행기 
능 평가도구이며(Heaton & Pendleton, 1981), 사고의 
유연성과 인지적 융통성(Berg, 1948)을 측정하는 
도구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는 색, 모양, 수 세 가 
지 영역으로 이루어진 128개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원칙을 알려 주지 않는 상태에서 피검 
자로 하여금 원칙을 유추하게 하는데, 10개 카드 
에 대한 분류를 연속적으로 성공하였을 경우 예고 
없이 분류원칙이 바뀜으로써 피험자의 추상적 개 
념형성과 범주화 능력, 사고의 유연성, 추리와 조 
직화 능력, 억제능력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 검사 
의 구체적인 검사수행 방법과 채점기준은 Milner 
(1963)와 Heaton et al.,(1993)의 방법을 따랐으며, 결 
과는 컴퓨터로 자동 채점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검사의 여러 하위 지표들 중 총 시도 수, 총 정반 
응, 총 오류, 보속오류, 범주 유지 실패의 수 등을 
측정하여 실행기능 중에서도 범주화 능력과 사고 
의 유연성, 조직화 능력과 같은 실행기능을 평가 
하였다. 이 검사의 하위척도별 검사-재검사 신뢰 
도 계수는 r=.54~.86범위에 속하였다(배대석, 이 
종범, 반영기, 2005). 
선추적 검사 유형 A와 B(Trail Making Test 
Type A & B). 이 검사도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검사인데 주의력의 분할과 조절 능력, 다음 번 움 
직임을 계산하는 능력과 같은 전두엽 기능을 측 
정한다. Crowe(1998)는 선추적 검사 A는 인지적 
요인 중에서도 시각 및 운동적 탐색 기능, B형은 
읽기 능력, 시각적 탐색 기술, 그리고 이 두 가지 
의 순서를 정신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을 주로 측 
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피검사자들에게 숫자 1 
부터 25까지를 순서대로 아는지를 확인하고 검사 
과정을 숙지시킨 후, 가능한 빨리 1부터 25까지 
(선추적 검사 유형 A) 순서대로 마우스로 표시하 
도록 한다. 반응시간과 오반응수(순서가 틀린 횟 
수)는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기록된다. 피검사자가 
올바른 순서대로 선택한 경우 컴퓨터가 자동으로 
두 숫자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게 되고, 순서가 틀 
린 경우에는 경고음과 함께 ‘올바른 순서대로 선 
택해야 한다.’는 내용의 시각 및 청각적 주의 문 
구가 제시된다. 선추적 검사 유형 B는 피검자에 
게 한글을 가, 나, 다, 라에서 카, 타, 파, 하까지 
순서대로 아는지를 확인한 후 아는 경우에는 1- 
가-2-나…14-하의 순서로 이루어지도록 마우스로 
표시하도록 한다. 채점방식과 경고신호음은 선추 
적 검사 유형 A와 동일하다. 선추적 검사 유형 
A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r=.72였고, 유형 
B의 신뢰도 계수는 r=.57이였다(이종범 외, 2003). 
기억 검사 
본 연구에서는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 
과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숫자 폭 검사(digit span test). 이 검사는 주의 
폭과 즉각적으로 정보를 파지하는 능력을 측정하
상담학연구 
는 대표적인 검사이다. 흔히 주의 폭을 측정하지 
만 기억 실패가 정보의 입력과 주의 유지의 실패 
에 기인하는지의 여부를 밝히는 중요한 검사이다. 
이 검사는 바로 따라하기와 거꾸로 따라하기 검 
사로 이루어지는데 바로따라하기는 3자리 숫자에 
서 8자리 숫자까지 각각 3세트, 거꾸로 따라하기 
검사는 2자리에서 7자리 숫자까지 각각 3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 실시방법은 일반적인 숫자 폭 검사방법과 
동일하며, 성우가 0부터 9까지 녹음한 숫자를 일 
정한 크기로 1초 간격으로 불러주면 불러준 숫자 
를 순서대로 표시한다. 같은 자릿수의 숫자를 세 
번씩 검사하고, 세 번 연속하여 틀리는 경우에는 
검사가 종결된다. 바로 따라하기 검사 후, 거꾸로 
따라하기 검사를 같은 방식으로 수행한다. 
시공간 폭 검사(visual span test). Corsi Block- 
Tapping Test라고도 하는 이 검사는 숫자 따라 외 
우기의 시공간적 대응 검사로 시공간적 자극에 
대한 주의 기술과 주의 폭을 측정하며 순행과 역 
행 두 형태의 시행이 있다. 화면에 9개의 원을 인 
접한 원과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정해 
진 순서대로 200msec씩, 800msec의 자극 간의 간 
격을 두고 깜빡이게 한다. 정해진 수만큼 원이 깜 
빡이고 나면 피검사자가 마우스로 원을 깜빡인 
순서대로 클릭 하도록 한다. 
9개의 원에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부여하고, 
숫자 따라 하기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과 
순서대로 자극이 제시된다. 피검사자는 연습문제 
를 통하여 마우스의 사용과 검사 방식에 익숙해 
지면 본 검사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반응도중에 
답을 수정할 수 있으며, 정답여부는 자동으로 채 
점된다. 바로 따라하기 검사 후에 거꾸로 따라하 
기 검사도 같은 방식으로 실시된다. 
- 338 - 
청각적 언어학습 검사(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성우가 녹음한 기본목록 단어 15개(바다, 
극장, 농부, 개나리, 의자, 종, 가방, 라디오, 병원, 
수박, 편지, 겨울, 손, 비행기, 동생)를 1초에 하나 
씩 불러 준 후, 컴퓨터가 반복하라는 신호를 보내 
면 피검사자는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회상하면 
된다. 이때 단어를 제시한 순서대로 회상할 필요 
는 없다는 지시가 주어지고, 검사자는 검사자용 
화면에 제시되어 있는 단어를 보면서 피검사자가 
회상해낸 단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단어를 회상 
한 순서, 동일한 단어를 반복한 횟수, 정답수가 
자동으로 채점된다. 피검사자가 모두 회상하였다 
고 하면 다시 동일한 기본목록 단어를 동일한 방 
법으로 불러주고 같은 방식의 검사를 4회 반복한 
다. 그 후에는 간섭목록 단어 15개(나무, 가게, 머 
리, 냉장고, 벌레, 안경, 새벽, 화장품, 은행, 선생 
님, 참새, 떡, 바가지, 석유, 하늘)를 동일한 방법 
으로 불러주고 기본 목록 단어를 회상하도록 한 
다. 이렇게 하여 6차 회상이 완료되면 컴퓨터는 
다른 검사를 진행하게 되고 다른 검사를 하던 중 
20분 후에 다시 한 번 기본목록 단어들을 회상하 
게 함으로써 지연회상을 측정하게 된다. 지연회상 
이 끝나면 미리 마련된 50개의 단어를 보여주고, 
50개의 단어 중에서 기본목록에 포함되었던 단어 
인지를 찾는 재인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시각재인검사(visual learning test). 시각적 기 
억 능력을 측정하는 이 검사는 원과 사각형, 삼각 
형, 선, 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15개의 도형을 
컴퓨터 화면에 1초 간격으로 1초씩 보여준다. 15 
개의 도형을 모두 보여준 후 제시된 도형과 유사 
하게 도안된 15개의 간섭도형과 함께 30개의 도 
형을 화면에 보여준 후, 제시되었던 15개의 도형 
을 찾아서 순서에 상관없이 마우스로 클릭을 하 
도록 지시한다. 한번 클릭하면 도형의 색이 변하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여 피검사자는 자신이 어느 도형을 선택하였는지 
알 수 있다. 피검사자가 선택을 마치면 동일한 검 
사 과정을 4회 더 반복하고, 5회 검사 후 20분이 
경과되면 도형 제시 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재인 
검사를 하게 된다. 매 시도마다 정답 수, 오반응 
수가 컴퓨터로 자동 채점된다. 여기서 사용된 기 
억검사와 실행기능검사는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 
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의 하위검사이며, (주)맥스메디카(Maxmedica, 2003) 
에서 보급된 것이다. 
결 과 
ADHD 아동과 정상 아동 간의 기억능력 비교 
정상아동과 ADHD 아동간의 언어 및 시각적 
작업기억, 청각적 언어학습 검사 및 시각재인 검 
표 1.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연령, 지능의 평균, 
표준편차 및 차이검증 결과 
표 2.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의 평균, 표준편차 및 차이검증 결과 
- 339 - 
ADHD(n=68) 정상아동(n=30) t 
사례수 68 30 
연 령 8.78(1.49) 9.00(2.07) -.60 
지 능 108.66(7.40) 109.17(5.27) -.34 
( )안은 표준편차임 
ADHD(n=68) 정상아동(n=30) t 
숫자 폭 검사 
바로 따라외우기 5.65(1.06) 6.33(1.03) -2.98** 
거꾸로 따라외우기 3.97(1.16) 4.37(1.35) -1.48 
시공간 폭 검사 
바로 따라외우기 5.09(1.47) 5.93(1.31) -2.70** 
거꾸로 따라외우기 4.54(1.40) 5.00(1.34) -1.51 
* p<.05, ** p<.01, *** p<.001(이하 동일) 
사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하였다. 먼 
저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연령과 지능을 통 
제하였는데, 표 1을 보면 ADHD 아동과 정상 아 
동의 연령(t96=-0.60, ns)과 지능 수준(t96=-0.34, ns)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에서 ADHD 아 
동과 정상 아동 간의 기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뒤, t-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숫자 폭 검 
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ADHD 아동은 정상 
아동보다 수행이 저조하였고(t96=-2.98, p<.01), 거 
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ADHD 아동(M=3.97)의 
수행이 정상아동(M=4.37)보다 저조하였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96= -1.48, ns). 시공 
간 폭 검사에서도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수행이 저조하였으나 
(t96=-2.70, p<.01),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96=-1.51, ns). 이는 
ADHD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현저한 
기억결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청각적 언어 학습 
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에 의하면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청각 
적 언어학습검사에서 지연회상(t96=-4.33, p<.001) 
과 전체 회상(t96=-3.50, p<.01)에서는 기억수행이
상담학연구 
표 3.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청각적 언어학습 검사와 시각재인 검사의 평균, 표준편차 및 차이검증 결과 
ADHD(n=68) 정상아동(n=30) t 
표 4. 실행기능 검사가 ADHD 아동의 숫자 폭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 340 - 
청각 언어학습 검사 
지연 회상 7.81( 3.58) 10.87( 2.19) -4.33*** 
지연 재인 11.85( 3.93) 13.20( 2.28) -1.75 
전체 회상 41.88(10.81) 49.83( 9.03) -3.50** 
시각 재인 검사 
지연 재인 11.76( 4.29) 13.57( 1.28) -2.25* 
전체 재인 59.28(10.50) 63.43( 6.82) -1.99* 
변 인 b β t 
숫자폭 검사: 바로 따라 외우기 
(상수) 6.898 27.33***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0.031 -0.559 -5.75*** 
R2 = 0.313 
숫자폭 검사: 거꾸로 따라 외우기 
(상수) 5.520 15.39***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 -0.013 -0.401 -3.72*** 
카드분류 검사: 보속오류 수 -0.033 -0.264 -2.45* 
R2 = 0.179, 누적 R21 = 0.249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연 재인에서는 수 
행은 저조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t96=-1.75, ns). 시각재인 검사에서는 ADHD 아 
동이 정상아동에 비해 지연재인(t96=-2.25, p<.05) 
과 전체 재인(t96=-1.99, p<.05)에서 모두 기억수행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기억결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DHD 아동에서의 실행기능과 기억능력과의 관계 
ADHD 아동의 기억결함이 실행 기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행기능 검사인 
선추적 검사 A형과 B형, 카드분류검사의 여러 하 
위 측정치들을 독립변인으로, 그리고 기억 능력 
검사들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단계별 중다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각 검사에 대한 결과는 표 4, 
표 5, 표 6, 표 7과 같다. 
표 4에서 숫자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는 선추적 검사와 카드분류검사 중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량의 31.3%를 차지하였다. 숫 
자폭 검사의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과 카드분류검사의 보속오류수 
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의 설명량은 17.9%이었 
고, 카드분류검사의 보속오류수를 부가하였을 때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표 5. 실행기능 검사가 ADHD 아동의 시공간 폭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변 인 b β t 
- 341 - 
시공간폭 검사: 바로 따라 외우기 
(상수) 6.949 14.95*** 
카드분류 검사: 보속오류 수 -.052 -.322 -2.93**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 -.013 -.314 -2.85** 
R2 = 0.122, 누적 R21 = 0.219 
시공간폭 검사: 거꾸로 따라외우기 
(상수) 5.444 14.27***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022 -.306 -2.61* 
R2 = 0.093 
전체 설명량은 24.9%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추적 
검사의 반응속도와 카드분류검사의 다른 측정치 
들은 기억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의 유지를 측정하는 숫자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의 경우 주의 유지기능 
을 주로 측정하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과 
연관되었고(β=-0.559, t=-5.75, p<.001), 주의의 지 
속성이 요구되는 숫자 폭 검사의 거꾸로 따라 외 
우기는 주의의 분할과 조절능력이 요구되는 선추 
적 검사 B의 소요시간과(β=-0.401, t=-3.72, p< 
.001), 인지도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카드분류 검사 
의 보속오류((β=-0.264, t=-2.45, p<.05)가 관련되 
는 것으로 나타나, ADHD 아동의 실행기능이 기 
억수행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의 시공간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는 카드 분류검사의 보속오류 수와 선추적 검사 
B형의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카드분류검사의 보속오류수의 설명 
량은 12.2%,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을 부가하 
였을 때 전체 설명량은 21.9%로 나타났다.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는데, 설명량은 9.3%였다. 
이 결과는 ADHD 아동들이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류 수가 많고(β=-.322, t=-2.93, p<.01),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β=-.314, t= 
-2.85, p<.01) 시공간 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 
능력이 떨어지고,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β=-.306, t=-2.61, p<.05) 시공간 
폭 검사의 거꾸로 따라 외우기 수행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표 6의 청각 언어학습 검사의 지연회상에서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고, 설명량은 29.6%이었다. 지연재인에 
서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과 카드분류검사 
의 보속오류수가 영향을 미쳤고, 선추적 검사 A 
의 소요시간의 설명량은 30.8%,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류 수를 부가하였을 때의 전체 설명량은 
36.3%였다. 전체 회상에서는 선추적 검사 B의 소 
요시간이 영향(설명량 27%)을 미쳤고, 선추적 검 
사 A의 소요시간을 부가하였을 때는 전체 설명량 
이 32.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 
들이 주의유지가 요구되는 선추적 검사 A에서 소
상담학연구 
표 6. 실행기능 검사가 ADHD 아동의 청각적 언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변 인 b β t 
표 7. 실행기능검사가 ADHD 아동의 시각 재인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 342 - 
지연 회상 
(상수) 11.906 13.84***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02 -.554 -5.27*** 
R2 = .296 
지연 재인 
(상수) 17.867 16.45***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06 -.514 -5.11*** 
카드분류 검사: 보속 오류 수 -.102 -.238 -2.36* 
R2 = .308, 누적 R21 = .363 
전체 회상 
(상수) 56.425 20.19***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 -.099 -.335 -2.62*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73 -.306 -2.39* 
R2 = .270, 누적 R21 = .329 
변 인 b β t 
지연 재인 
(상수) 16.280 15.29***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12 -.500 -4.69*** 
R2 = .250 
전체 재인 
(상수) 69.842 26.39***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262 -.477 -4.41*** 
R2 = .228 
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지연회상능력이 떨어지 
고(β=-.554, t=-5.27, p<.001), 선추적 검사 A의 소 
요시간이 많고(β=-.514, t=-5.11, p<.001), 인지도 
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류 
수가 많을수록(β=-.238, t=-2.36, p<.05) 지연재인 
수행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또 전체 회상에서는 
주의의 분할과 조절이 요구되는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고(β=-.335, t=-2.62, p<.05), 
주의 유지가 필요한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β=-.306, t=-2.39, p<.05) 전체 회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상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의 분할과 
조절, 인지도식의 변경과 같은 실행기능들이 
ADHD 아동의 기억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7에서 시각 재인 학습의 경우, 지연 재인은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만 유의한 관련이 있었 
고, 설명량은 25%였다. 전체 재인에서도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만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설 
명량은 22.8%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추적 검사 A 
를 수행하는데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지연재 
인능력(β=-.500, t=-4.69, p<.001)과 전체 재인능 
력(β=-.477, t=-4.41, p<.001)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 재인기억결함 또한 실행기능 저하와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 343 - 
논 의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기억결함이 기억과제 
의 유형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인지, 
아니면 특정 유형의 기억과제에서만 수행저하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억결함이 실행기능 
과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능과 정 
서 문제, 품행문제, 학습장애 문제를 통제한 후 
여러 기억과제에서 나타나는 기억결함 현상들과 
이들 기억결함과 실행기능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 
였다. 
ADHD 아동과 정상 아동 간의 기억능력 비교 
먼저, ADHD 아동과 정상 아동간의 기억수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청 
각적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결과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의 청각적 단기 기억 능력 
과 주의 유지 정도를 측정하는 청각적 숫자 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ADHD 아동이 정 
상아동보다 기억수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기억수행이 저조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 
였다. 또한 시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시공간 
폭 검사에서도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기억수행이 저조하였으 
나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 
러한 결과는 ADHD 아동들이 청각적 과제이든 
시각적 과제이든 단순한 주의의 유지와 주의의 
폭을 측정하는 과제에서 기억수행이 떨어지고 있 
음을 의미한다. 이는 ADHD 아동들이 단순한 과 
제에서 쉽게 주의가 분산되고 주의 유지에 어려 
움이 있다는 선행연구들(한영옥, 1992; Douglas & 
Parry, 1983)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더 많은 
순간적인 주의집중이 요구되는 거꾸로 따라 외우 
기에서 정상 아동과 ADHD 아동 간에 기억능력 
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명주 
등(2004)이 ADHD 아동의 작업기억에 관한 연구 
에서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다는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이 결과는 ADHD 아 
동들의 문제가 주의를 지속적으로 집중하는데 문 
제가 있는지 아니면 과제 수행시 나타나는 주의 
의 산만함이 더 심각한 문제인지에 대한 의문점 
을 제기한다고 볼 수 있다. Barkely(2006)는 ADHD 
아동의 기억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결함이 집중 
력의 부족보다는 자극이 주는 신기함과 자극의 
성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즉 색 
채가 많거나 매우 자극적인 재료는 색채가 없거 
나 자극적이지 않는 재료에 비해 주의를 향상시 
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행 결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이 친숙하고 자극이 
단조로울 때 아동은 주의집중력 부족보다는 쉽게
상담학연구 
주변 자극에 주의분산이 일어남으로써 수행저하 
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Zentall, 1985). 이러한 
현상은 ADHD 아동이 다른 활동보다 비디오 게 
임이나 TV 시청에서는 정상 아동에 비해 주의문 
제나 과잉행동 문제를 나타내지 않고 있으며, 오 
히려 더욱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이명주 등(2004)의 연구결과가 서로 일치 
하지 않는 것은 이명주 등(2004)의 연구는 검사자 
가 직접 숫자를 불러주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로 검사가 실시되었기 때문에 자극의 신기 
함과 같은 동기적 요소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즉, 검사자가 숫자를 직접 불러 
주는 방식은 처음에는 검사자의 지시로 피검자에 
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초기에는 ADHD 아 
동들도 주의를 기울이지만 검사가 반복되면 검사 
에 대한 흥미가 저하되면서 쉽게 주의가 분산되 
고 이로 인해 수행저하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 
이다. 그러나 컴퓨터로 자극이 제시될 경우 바로 
따라 외우기와 같은 단순하고 지루한 과제에서는 
쉽게 주의 분산이 이루어지지만, 거꾸로 따라 외 
우기와 같이 복잡하고 게임을 연상시키는 자극일 
경우 검사자의 영향은 비교적 초기부터 최소화되 
어 검사에 대한 동기와 흥미가 유발되고 이것이 
주의집중을 유도함으로써 정상아동에 비해 수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유추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컴퓨터로 자극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인지, 아니면 ADHD의 고유한 
주의장애가 주의집중이 아니라 주의산만의 문제 
를 반영하는지 명확하지가 않다. 따라서 ADHD의 
특징적인 주의결함과 그에 따른 작업기억결함을 
밝히기 위해서는 자극제시 방법 및 매체에 따른 
수행결함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기억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 
인 주의집중과 유목화, 군집화와 같은 인지적 전 
략이 요구되는 청각적 언어학습과제와 시각적 학 
습과제의 기억수행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청 
각적 언어 학습 검사에서 ADHD 아동은 지속적 
인 주의집중과 단어들의 의미를 분석하여 적절한 
기억방략을 수립해야 수행이 향상되는 자유회상 
과제에서는 지연회상과 전체 회상에서 모두 정상 
아동보다 기억수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아동들이 의미적 군집화와 같은 기 
억 방략을 사용해야하는 과제에서는 정상 아동에 
비해 기억 결함을 보인다는 한영옥(1992)의 주장 
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특별한 기억방략보 
다는 청각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단순히 이전에 
불러준 단어인지 아닌지를 비교-결정하는 과정만 
이 개입되는 지연 재인에서는 단순히 암기했던 
정보의 비교를 통한 결정이 매개될 뿐 정신적 조 
작이나 복잡한 인지적 방략이 요구되지 않기 때 
문에 기억수행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 344 - 
그러나 청각적 언어학습과제가 아닌 시각적 재 
인검사과제의 경우 ADHD 아동들이 정상 아동들 
에 비해 지연 재인과 전체 재인에서도 모두 기억 
결함이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청각적 언어학습과 
제의 재인검사와는 달리 시각적 재인검사에서 
ADHD 아동들이 정상 아동에 비해 수행저하가 
나타난 것은 시각적 재인검사의 자극 요소들이 
언어적 연상은 최소화되고, 원과 사각형, 삼각형, 
선, 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소 무의미하고 복 
잡하고 추상적인 도형과 같은 친숙하지 않은 자 
극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 
해서는 시각적 주의의 유지와 각성, 선택적 주의 
기능과 같은 실행기능과 인지적 방략이 요구되었 
고, 이에 따라 수행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ADHD의 기억손상이 언어적 경로보다는 시 
각적으로 자극들을 분석하고 분류해야 변별이 가 
능한 실행기능이 개입되는 시각적 작업기억에서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손상이 더 크다는 Barlely 등(2001)의 주장을 지지 
하는 것으로 보인다. 
ADHD 아동에서의 실행기능과 기억능력과의 관계 
ADHD 아동의 실행기능결함을 지지하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행기능과 ADHD 
아동의 기억결함과의 관련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행기능검사를 독립 변인으로 하여 기 
억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 
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청각적 단기기억을 측정 
하는 숫자 폭 검사와 시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 
는 시공간 폭 검사의 수행은 실행기능을 측정하 
는 선추적 검사와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수행 
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 
행기능 중에서도 주의력의 분할 및 조절능력 등 
주로 시각적 탐색기능과 관련되는 선추적 검사 A 
는 시각적 정보의 입력과 주의 유지를 통한 즉각 
적인 파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공간 폭 검사의 거 
꾸로 따라 외우기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읽기능력과 시각적 탐색기술, 
그리고 이 두 기능을 정신적으로 연결하는 능력 
과 관련되는 선추적 검사 B는 청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거꾸로 따라 외우기와 시공간 폭 검사 
의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또한 여러 개의 자극 중 관련 없는 자극에 
대한 반응을 억제하고 시각적으로 세부특징을 변 
별하고 조직화하는 능력과 지속적인 주의집중력 
이 요구되는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수행은 청 
각, 시각적 주의력 유지와 관련되는 청각적, 시각 
적 단기기억과제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에게 
있어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실행기능 손상이 기 
억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정 
보를 입력, 저장, 유지, 인출하는 단계를 거치는 
기억 기능은 실행기능의 여러 영역 중에서도 주의 
를 집중하고 이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능력, 즉 주 
의와 관련된 실행기능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실행기능에 결함을 보이는 
ADHD 아동들은 실행기능이 관여되는 기억과제에 
서 특히 수행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345 - 
이상의 결과들은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여러 유형의 기억과제에서 기억수행이 떨어 
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청각적 언어 학습의 
경우 제시되는 자극들을 단순 비교 결정하는 재 
인과제에서는 기억결함이 나타나지 않지만, 단어 
들의 의미를 파악하여 추리하고 유목별로 분류하 
여 적절한 기억방략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에서는 
기억수행이 뚜렷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리고 시각적으로 여러 형태의 자극들이 제시되고 
이들 자극들을 조직화하고, 불필요한 자극들의 배 
제, 자극의 분류 및 전략수립과 같은 실행 기능이 
요구될 경우에는 재인검사에서도 수행 저하가 나 
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들은 ADHD 아 
동들과 정상 아동들의 지능, 읽기 능력, 정서문제, 
시력과 청력 문제를 통제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 
과여서 ADHD 아동들의 기억결함이 실행기능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ADHD 아동의 보편적인 기억결함 
현상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에 관한 지식과 정보 
를 제공해 주기는 하였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제 
한점이 있었다. 우선 ADHD 아동의 기억결함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택했던 실행기능 검사도구들 
이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이기는 하 
지만 여러 인지과정 중 어떤 과정에서 결함이 유 
발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는 점이다. 비록 자극의 제시유형 (청각적, 시각적 
자극)과 측정 방법(재인, 회상, 속도, 소요시간, 오 
류 수 등)을 다양하게 하고, 언어 능력과 지능, 정
상담학연구 
서문제를 통제한 상황에서 결과를 얻었지만 특정 
실행기능들 중 어떤 영역이 기억수행 저하를 야 
기하는지, 그리고 기억기능 중에서도 정보처리 과 
정 중 어떤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행 기능들의 세부적인 
영역들을 측정할 수 있는 정교한 검사 도구 개발 
이 필요하고, 기억과제 또한 특정 정보처리 과정 
을 잘 변별해 줄 수 있는 검사들을 개발할 필요 
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최근에는 ADHD 
아동들이 하위 유형에 따라 주의 기제와 인지적 
문제가 상이한 특성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지적 
되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하위유형별 
로 분류하지 않고 정상아동과 비교한 것이어서, 
추후 연구에서는 하위유형에 따른 기억결함 현 
상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346 - 
참고문헌 
고승희, 신민섭, 홍강의(1996). KEDI-WISC와 TOVA 
를 이용한 소아정신과 장애별 주의력 문제 
와 인지적 특성에 과한 연구. 한국임상심리 
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pp. 319-341. 
김승태, 김지혜, 송동호, 이효경, 주영희, 홍창희, 
황순택 (1997). 한국 아동 인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김지혜, 홍성도 (1999).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 
애 아동의 실행 능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0, 15-20. 
맥스메디카(Maxmedica)(주) (2003).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검사. 서울: 맥스메디카. 
문수백, 변창진 (1997). 한국판 K-ABC 실시, 채점 
요강. 서울: 학지사. 
배대석, 이종범, 반영기 (2005). 전산화 신경인지기 
능검사의 이해와 해석. 하나의학사 
이명주, 김귀애, 김상엽, 홍창희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억제능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 소아·청소년 정신의 
학, 15, 82-90. 
이은희 (1999).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학적 접 
근 평가. 1998년도 광주․전남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연구회 심포지움 발표집. 
이종범, 김진성, 서완석, 신현진, 배대석, 이혜린 
(2003). 학령기 정상아동에서 전산화 신경인 
지기능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정신 
신체의학, 11, 97-117. 
조수철 (1999). 소아정신질환의 개념. 서울: 서울 대 
학교 출판부. 
채규만 (1999). 아동의 학습장애와 ADHD진단과 치 
료적인 접근. 1999년도 한국임상심리학회 
워크샾 자료집. 
한영옥 (1992).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아동의 기억 
특성에 대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여자대학교. 
August, G. J. (1987): Production deficiencies in free 
recall: A comparison of hyperactive, learn-disabled, 
and normal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5, 429-440. 
Baddeley, R. A. (1986). Working memory. Oxford 
Clarendon Press. 
Barkley, R. A., Grodzinsky. G. & Dupaul G. J. 
(1992).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0, 163-188.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y Bulletin, 
121, 65-94.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Barkley, R. A, Edwards, G., Laneri, M., Fletcher, K. 
& Metevia, L. (2001). Executive functioning, 
temporal discounting, and sense of time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9, 541-556 
Barnett, R., Maruff, P. & Vance, A. (2001). 
Abnormal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effect of stimulant 
medication and age on spatial working memory. 
Psychology Medicine, 31, 1107-1115. 
Bieder, J., Newcorn, J,.& Sprich, S. (1991).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conduct, depressive, anxiety, and 
other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 564-577. 
Berg, E. A. (1948) A simple objective treatment for 
measuring flexibility in thinking.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39, 15-22. 
Crowe, S. F. (1998). The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mental tracking, cognitive flexibility, visual 
search, and motor speed to performance on 
Parts A and B of the trail Making Test.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4, 584-591. 
Denckla, M. B. (1996). A theory and model of 
executive function: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 
In G. R. Lyon & N. A. Krasnegor (Eds.),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pp. 263- 
277). Baltimore: Brookes. 
Douglas, V. I.(1983). Attention and cognitive 
problems. In M. Rutter (Ed.). Developmental 
Psychiatry(pp. 280-329). New York: Guilford 
Press. 
Douglas, V. I. & Parry, P. A. (1983). Effects of 
- 347 - 
reward on delayed reaction time task performance 
of Hyperactive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1, 313-326. 
Douglas, V. I. & Benezra, K. G. (1990). Supraspan 
verbal memory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normal, and reading disabled boy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 617- 
638. 
Gioia, G., Isquith, P., Guy, S., & Kenworthy, L. 
(2001). BRIEF-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Professional manual. Odessa, F. 
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Heaton, R. K. & Pendleton, M. G. (1981). Use of 
Neuropsychological tests to predict adult 
patients' everyday functioning. Journal Consult 
Clinic Psychology, 49, 807-21. 
Heaton, R. K., Chelune, G. J., Talley, J. L., Kay, G. 
G. & Curtiss, G. (1993). Wisconsin card sorting 
test manual. Revised and expanded, Odessa, F. 
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Kaufman, A. S. & Kaufman, N. L. (1983a).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Minnesota: American Guidance 
Service, Inc. 
Martinussen, M. ED., Hayden, D. C., Hogg-Johnson, 
D. C., & Tannock, PH. D. (2005). A Meta- 
Analysis of Working Memory Impairment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of Psyhiatry, 44, 377-384. 
McInnes, A., Humphries, T., Hogg-Johnson, S. & 
Tannock, R. (2003).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are impaired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rrespective of 
language impairment. Journal Abnormal Child
상담학연구 
- 348 - 
Psychology, 31, 427-443 
Milner, B. (1963). Effects of different brain lesions on 
card sorting frontal lobe. The role of the frontal 
lobes. Archive of Neurology, 9, 90-100. 
Pennington, B. F., & Ozonoff, S. (1996).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 51- 
87. 
Rapport, M. D., Chung, K. M., Shore, G., Denney, 
C. B. & Isaacs, P. (2000). Upgarad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assessment and 
diagnosis, laboratory and clinic-based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DHD. Th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9, 1424-1431. 
Rucklidge, J. & Tannock, R. (2002).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ADHD: effects of 
reading difficulties and gend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 988-1003. 
Sergeant, J. A, Geurts, H. & Oosterlaan, J. P. (2002). 
How specific is a deficit of executive functioning 
for Attention-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Behavioral Brain Research. 130, 3-28. 
Shallice, T., Marxocchi, G. M., Coser, S., Savio, M. 
D., Meuter, R. & Rumiati, R. I. (2002). 
Executive Function Profil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1, 43-71. 
Stevens, J., Quittner, A. L., Zuckerman, J. B. & 
Moore, S. (2002). Behavioral inhibition, self-regulation 
of motivation,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1, 117-139 
Toplak, M. E., Rucklidge, J. J., Hetherington, R., 
John, S. C. F. & Tannock, R. (2003). Time 
perception deficit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comorbid reading difficulties in 
child and adolescent sampl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 888-903. 
Tripp, G., Ryan, J. & Peace, K. (2002).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DSM-IV combined typ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6, 771-779. 
Willcutt, E. G., Pennington, B. F. & Boada R. 
(2001), A comparison of the cognitive deficit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 157-172. 
Wirt, R. D., Lachar, D., Klinedisnt, J. K. & Seat, P. 
D. (1984). Multidimensional description of child 
personality: A manual for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Zentall, S. S. (1985). A context for hyperactivity. In 
K. D. Gadow & I. Bialer (Eds.), Advances in 
learning and behavioral disabilities (Vol. 4, pp. 
273-343). Greenwich, CT: JAI Press. 
원고 접수일 : 2006. 12. 15 
수정원고 접수일 : 2007. 2. 8 
게재 결정일 : 2007. 2. 13
The Differences of Memory Defect and Executive Function 
in Normal Children and ADHD Children 
Ji Yean Kim Yong Mae Baek 
Mind & Mind Psychiatric Clinic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on symptom of memory defect and the relationship of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deficit in ADHD children. Thirty normal children and sixty eight ADHD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the DSM-IV, and the intelligence and comorbidity 
were controlled by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nd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Executive function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Trail Making Test) and memory test(Digit Span Test, 
Visual Span Test,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Visual Recognition Test) were administrated to all subjects, and 
then the performance of all test of each group were compared by using t-test. and the relationship of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deficit were investig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ADHD children were impaired on forward span test of the auditory digit span and visual span test, 
but were not impaired on backward test of both span test; 2) ADHD children were unimpaired on recognition 
test, but showed explicit impairment on recall and delayed recall tests related to memory organization in verbal 
learning test; 3) ADHD children were impaired on visual recognition test which they have to analyse and 
organize the materials based on the dot, circle, color of the stimulus; 4) the time of trail making test A and B, 
and the numbers of perseveration error i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mory 
performance of ADHD. The results imply that ADHD children have memory impairment on various memory 
test, and the impairment of executive function can cause memory defect in ADHD Childre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emory Defect, Executive Function 
- 349 - 
상 담 학 연 구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333-349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혜원 정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혜원 정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혜원 정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혜원 정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혜원 정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혜원 정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혜원 정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혜원 정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혜원 정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혜원 정
 

What's hot (14)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Similar to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혜원 정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혜원 정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혜원 정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혜원 정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혜원 정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혜원 정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혜원 정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혜원 정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혜원 정
 

Similar to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17)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 1.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김 지 연 백 용 매† 마음과 마음 신경정신과의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본 연구는 정상 아동과 ADHD 아동의 기억결함현상을 비교하고, ADHD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기억 결함이 실행기능 손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지능과 다른 공존질환을 통제한 만 7~12세의 정상 아동 30명과 ADHD로 진단받은 아동 68명을 대상으로 숫자 폭 검사, 시공간 폭 검 사, 청각적 학습능력 검사, 시각 재인검사를 사용하여 기억능력을 측정하였고, 카드분류검사와 선추 적 검사를 실시하여 실행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DHD 아동은 주의 유지를 측정하는 숫자 폭 검사의 수행이 정상 아동보다 저조하였고, 지속적인 주의와 기억전략이 요구되는 청각적 언어 학습 검사와 시각적 재인검사에서도 정상아동보다 수행이 저조하였다. ADHD 아동의 이러한 기억결함은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선추적 검사에서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그리고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 류 수가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기억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DHD아동이 주의분산 이 개입되는 단기기억과 회상기억에 결함이 있고, 이러한 기억결함은 실행기능장해와 관련되고 있 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요어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기억장애, 실행기능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백용매 /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 330 Fax: (053) 850-3204 / E-mail: ymbaik@cu.ac.kr - 333 - 상 담 학 연 구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333-349
  • 2. 상담학연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5~11세 학령기 아동에게서 가 장 흔히 나타나는 정신과적 장애이며, 국내 학령 기 아동의 3~5%가 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보고되었다(조수철, 1999). ADHD는 주의산만 과 집중력 부족, 충동성, 과잉행동을 주 증상으로 나타내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이차적으로 학습 수행과 또래와의 갈등, 품행문제 등 사회적 적응 과정에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등 정 서적 부적응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 로 보고되었다(조수철, 1999; 채규만, 1999). ADHD가 아동기에 높은 유병율을 가진다는 사 실과 함께 주목해야 할 점은 이 장애의 발병시기 가 학교 입학을 전후로 한 시기여서 우리나라에서 처럼 학업 성취에 높은 가치를 두는 사회에서는 학교장면에서의 문제로 교사나 부모로부터 주의 대상이 되고 있고, 또 적절한 개입 없이 방치할 경우 반항장애, 정동장애, 약물중독, 반사회적 성 격장애 등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엇 보다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적 개입이 중요한 실정이다(이은희, 1999; Biderman, Newcom & Sprich, 1991). ADHD 아동의 정신병리와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에서 이 아동의 50-80%는 학업수행의 문제와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내고, 지능검사에서도 산수, 숫자, 기호쓰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고승희, 신민섭, 홍강 의, 1996). 또 ADHD 아동들은 실제로 과제를 수행 하는 과정에서 세부적인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 하고, 학업이나 다른 활동을 할 때도 자주 실수를 하거나 숙제를 잊어버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전화번호나 지시사항을 기억하는데도 어려움이 있 고, 심부름을 보냈을 때도 다른 행동을 하느라 목 표행동을 잊어버리고 되돌아오는 등 부적절한 행 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 동이 주의집중의 장애와 함께 기억기능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334 - ADHD 아동의 학습능력의 문제점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Douglas(1983) 는 ADHD 아동들의 경우 전통적인 기억검사인 장 기기억의 저장이나 파지에서는 뚜렷한 기억결함 이 나타나지 않지만, 제시되는 정보들을 효율적으 로 처리하기 위해 일정 기간동안 정보를 머릿속 에 파지해야 하는 작업기억에서는 분명한 기억결 함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August(1987)도 정상아동 과 ADHD 아동들의 학습능력을 검증한 결과 많 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기억검사에서 ADHD 아 동들이 기억결함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한영옥 (1992)도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인지적 전략이 요구되거나 지연 기억에서는 어려움을 보 이지만, 흥미를 느끼는 과제나 단순한 과제에서는 주의집중력과 인지적 처리의 효율성이 저조하지 않았고, 자발적이고 전략적인 과제 수행이 가능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ADHD 아동들이 대체로 과제가 단순하거나 지속적인 주의집중을 필요로 하지 않 는 과제에서는 정상 아동과 큰 차이가 없으나, 지 속적인 주의집중이 필요하거나 다양한 인지적 전 략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뚜렷한 기억 결함이 나타 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ADHD 아동의 기억 결함이 기억의 용량보다는 주의 유지의 어려움과 주의의 분산, 거기에 따른 적절한 기억방략을 사 용하는데 따른 어려움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지 적하는 것이다(Douglas & Parry, 1983).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ADHD 아동들은 기억의 구조나 장기기억의 용량 문제보다는 기억 방략과 지속적인 주의집중, 정신적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주의분산에 의해 기억결함이 나타나 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결함은 여 러 인지 기능 중에서도 실행기능과 관련될 수 있
  • 3.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음을 가정할 수 있다(Baddeley, 1986; Barkley, 1997; Rapport, Chung, Shore, Denney & Isaacs, 2000). 최근에는 ADHD의 증상들과 실행기능과의 관 련성에 관한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Barkley, Grodzinsky & DuPaul, 1992;, Douglas & Benezra, 1990). 실행기능이란 합목적적이고 목표-지향적이 며 문제해결 행동을 담당하는 관련 기능들을 포 함하는 포괄적 구성 개념이라 할 수 있다(Gioia, Isnquith & Guy, 2001). ADHD의 실행기능을 밝힌 연구에서는 ADHD 아동들이 여러 인지기능 중에 서도 운동 조정과 순서 짓기, 작업 기억과 심적 계산, 계획과 예기, 노력의 분배, 조직화 책략의 적용, 정서적 각성상태에서의 자기조정과 같은 실 행기능과 관련된 영역에서 역기능을 나타내는 것 으로 지적하고 있다(김지혜, 홍성도, 1999; Denckla, 1996; Sergeant, Geurts & Oosterlaan, 2002; Shallice, Marxocchi, Coser, Savio, Meuter & Rumiati, 2002,). 그 러나 이러한 역기능의 성질과 기제, 신경학적 측 면에서의 병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Pennington & Ozonoff, 1996). 실행기능이란 상황에 적합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으므로 여러 유형의 기억 과제 중에서도 인지적 방략이나 약호화, 유목화 등 기 억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러한 작업기억 결함이 ADHD 아 동의 실행기능 결함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나 ADHD 아동들이 작업기억에 서 기억결함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기억결함이 실행기능장해와 관련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Martinussen, Hayden, Hogg-Johnson, & Tannock, 2005), 아직 이를 뒷받침 할만한 경험적 연구들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Pennington & Ozonoff, 1996). 그 이유는 지금까지 ADHD의 작업기억을 밝히 기 위하여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언어적 작업 기억 만을 측정하였거나, 또는 언어적 작업기억을 측정한 연구들 중에서도 결과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Barnett, Maruff, & Vance, 2001; McInnes, Humphries, Hogg-Johnson & Tannock, 2003; Stevens, Quittner, Zuckerman & Moore, 2002; Willcutt, Pennington & Boada, 2001). 또한 선 행연구에서 사용했던 과제들이 정보처리라는 맥락 에서 볼 때 작업기억에서 요구되는 자극의 성질 (modality; 언어적 대 시각적)이나, 혹은 처리에 요 구되는 과정들(저장 대 조작 또는 인출)이 서로 달 랐거나, 다른 오염변인, 즉, 아동들의 읽기 능력과 언어장해, 지적 수준 등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했 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실제로 아동들 의 읽기능력이나 혹은 언어능력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한 뒤 작업기억 능력을 비교한 결과 ADHD 아동들은 언어적 작업기억에서는 기억결함 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었고(Rucklidge & Tannock, 2002; Toplak, Rucklidge, Hetherington, John & Tannock, 2003; Willcutt, etal, 2001), 또 학습장애 나 지능 저하와 같은 공존질환과는 독립적으로 작 업기억의 여러 요소에서 기억결함이 나타난다는 연구도 있었다(Martinussen, etal, 2005). 또 ADHD의 기억손상은 언어적인 경로보다는 시각적 경로를 통 한 작업기억에서 손상이 더 크다는 주장과 작업기 억의 손상이 일반적인 지능저하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는 연구들도 있었다(Barkley, Edwards, Laneri, Fletcher & Metevia, 2001; Martinussen 등, 2005; Tripp, Ryan & Peace, 2002). 그러나 Martinussen 등 (2005)이 주장한 연구는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이전의 선행연 구들을 재분석한 것이어서 타당한 결론을 내리기 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ADHD 아동의 기억 결함현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는 ADHD의 기억결함이 모든 ADHD 아동들의 보편적 현상이고, 기억과제의 유형에 관계없이 기억결함을 - 335 -
  • 4. 상담학연구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억결함이 실행기능과 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ADHD에 게 흔히 있을 수 있는 공존질환, 특히 읽기능력과 같은 학습능력과 지능문제, 우울, 불안과 같은 정 서적 문제가 기억기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배 제하고, 언어 및 시각적 경로를 통한 작업기억능 력을 동시에 비교함으로써 ADHD 아동의 기억결 함현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ADHD 아동들 이 보이는 기억결함 현상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실행기능에 따른 기억수행능력을 분석하였다. - 336 - 방 법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소재 M신경정신과 의 원과 Y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아동 들 중 미국 정신의학회 제정 정신장애 진단 통계 편람 제 4 판(APA, 1994)에 따라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ADHD를 진단하였고, 이들 아동들의 공존질 환을 통제하기 위해 두부외상, 간질, 뇌염, 뇌혈관 질환, 뇌종양 등 뇌질환 병력이 있거나, 정신장애 병력이 있는 아동, 언어구사에 문제가 있거나 시 력과 청력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대상에서 제외 시켰다. 또한 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에서 언어 발달 및 운동발달 하위 척도와 다른 하위 임상척도에서 T점수가 70 이상 인 경우에도 공존질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 여 제외하였고, 지능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 제하기 위하여 K-ABC(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의 인지처리과정 척도 에서 IQ 점수가 89 이하이거나 120 이상인 아동도 제외하였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만 7-12세 아동 68명을 ADHD 아동 피험자로 선발하였다. 정상아동도 ADHD 아동과 마찬가지로 만 7-12 세 아동들 중 K-ABC에서 IQ가 89에서 120 사이 의 지적능력을 유지하고 있고, 학습기능과 전반적 인 건강상의 문제에서 배제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다고 보고된 30명을 선발하였다. 정상아동의 선발 과정에서도 신경과나 정신과적 병력이 있거나, 인 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과 질환, 시력 또는 청력에 문제가 있는 아동과 K-PIC의 어느 한 척도에서도 T 점수가 70 이상으로 측정된 아 동은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측정 도구 지능평가 한국판 K-ABC검사는 Kaufman과 Kaufman(1983) 이 2.5세에서 12.5세까지의 아동의 지능과 습득도 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며, 한국에서 문 수백과 변창진(1997)이 표준화한 지능검사도구이 다. 이 검사는 아동이 습득한 지식을 측정하는 습 득도 척도와 문제해결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처리 기능을 측정하는 인지처리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검사의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87~.92 범위 였다. 정신병리평가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는 Wirt, Lachar, Klinedisnt, Seat(1984)가 아동의 정신과적 문제를 선별 진단하고, 아동의 발달, 인지, 정서, 행동적 상태를 다차원적으로 평 가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며, 한국에서 김승태 외 (1997)가 표준화하였다. 이 검사는 4개의 타당도 척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적응잠재력을 측 정하는 1개의 자아탄력성 척도, 11개의 임상척도
  • 5.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등 16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임상척도로 는 지적발달과 관련된 두 척도(언어발달, 동작발 달), 정서와 관련된 세 척도(우울, 불안, 신체화 척 도), 행동상의 문제를 측정하는 두 척도(비행, 과 잉행동), 대인관계와 관련된 두 척도(가족관계, 사 회관계), 그리고 현실접촉과 관련된 두 척도(정신 증, 자폐증 척도)가 있다. 이 검사의 하위척도별 신뢰도 계수는 Chronbach's α는 .65~.85였다. 실행기능 검사 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 - 337 - 음과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 이 검사는 전전두엽 배외측 영역의 역기능 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실행기 능 평가도구이며(Heaton & Pendleton, 1981), 사고의 유연성과 인지적 융통성(Berg, 1948)을 측정하는 도구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는 색, 모양, 수 세 가 지 영역으로 이루어진 128개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원칙을 알려 주지 않는 상태에서 피검 자로 하여금 원칙을 유추하게 하는데, 10개 카드 에 대한 분류를 연속적으로 성공하였을 경우 예고 없이 분류원칙이 바뀜으로써 피험자의 추상적 개 념형성과 범주화 능력, 사고의 유연성, 추리와 조 직화 능력, 억제능력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 검사 의 구체적인 검사수행 방법과 채점기준은 Milner (1963)와 Heaton et al.,(1993)의 방법을 따랐으며, 결 과는 컴퓨터로 자동 채점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검사의 여러 하위 지표들 중 총 시도 수, 총 정반 응, 총 오류, 보속오류, 범주 유지 실패의 수 등을 측정하여 실행기능 중에서도 범주화 능력과 사고 의 유연성, 조직화 능력과 같은 실행기능을 평가 하였다. 이 검사의 하위척도별 검사-재검사 신뢰 도 계수는 r=.54~.86범위에 속하였다(배대석, 이 종범, 반영기, 2005). 선추적 검사 유형 A와 B(Trail Making Test Type A & B). 이 검사도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검사인데 주의력의 분할과 조절 능력, 다음 번 움 직임을 계산하는 능력과 같은 전두엽 기능을 측 정한다. Crowe(1998)는 선추적 검사 A는 인지적 요인 중에서도 시각 및 운동적 탐색 기능, B형은 읽기 능력, 시각적 탐색 기술, 그리고 이 두 가지 의 순서를 정신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을 주로 측 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피검사자들에게 숫자 1 부터 25까지를 순서대로 아는지를 확인하고 검사 과정을 숙지시킨 후, 가능한 빨리 1부터 25까지 (선추적 검사 유형 A) 순서대로 마우스로 표시하 도록 한다. 반응시간과 오반응수(순서가 틀린 횟 수)는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기록된다. 피검사자가 올바른 순서대로 선택한 경우 컴퓨터가 자동으로 두 숫자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게 되고, 순서가 틀 린 경우에는 경고음과 함께 ‘올바른 순서대로 선 택해야 한다.’는 내용의 시각 및 청각적 주의 문 구가 제시된다. 선추적 검사 유형 B는 피검자에 게 한글을 가, 나, 다, 라에서 카, 타, 파, 하까지 순서대로 아는지를 확인한 후 아는 경우에는 1- 가-2-나…14-하의 순서로 이루어지도록 마우스로 표시하도록 한다. 채점방식과 경고신호음은 선추 적 검사 유형 A와 동일하다. 선추적 검사 유형 A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r=.72였고, 유형 B의 신뢰도 계수는 r=.57이였다(이종범 외, 2003). 기억 검사 본 연구에서는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 과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숫자 폭 검사(digit span test). 이 검사는 주의 폭과 즉각적으로 정보를 파지하는 능력을 측정하
  • 6. 상담학연구 는 대표적인 검사이다. 흔히 주의 폭을 측정하지 만 기억 실패가 정보의 입력과 주의 유지의 실패 에 기인하는지의 여부를 밝히는 중요한 검사이다. 이 검사는 바로 따라하기와 거꾸로 따라하기 검 사로 이루어지는데 바로따라하기는 3자리 숫자에 서 8자리 숫자까지 각각 3세트, 거꾸로 따라하기 검사는 2자리에서 7자리 숫자까지 각각 3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 실시방법은 일반적인 숫자 폭 검사방법과 동일하며, 성우가 0부터 9까지 녹음한 숫자를 일 정한 크기로 1초 간격으로 불러주면 불러준 숫자 를 순서대로 표시한다. 같은 자릿수의 숫자를 세 번씩 검사하고, 세 번 연속하여 틀리는 경우에는 검사가 종결된다. 바로 따라하기 검사 후, 거꾸로 따라하기 검사를 같은 방식으로 수행한다. 시공간 폭 검사(visual span test). Corsi Block- Tapping Test라고도 하는 이 검사는 숫자 따라 외 우기의 시공간적 대응 검사로 시공간적 자극에 대한 주의 기술과 주의 폭을 측정하며 순행과 역 행 두 형태의 시행이 있다. 화면에 9개의 원을 인 접한 원과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정해 진 순서대로 200msec씩, 800msec의 자극 간의 간 격을 두고 깜빡이게 한다. 정해진 수만큼 원이 깜 빡이고 나면 피검사자가 마우스로 원을 깜빡인 순서대로 클릭 하도록 한다. 9개의 원에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부여하고, 숫자 따라 하기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과 순서대로 자극이 제시된다. 피검사자는 연습문제 를 통하여 마우스의 사용과 검사 방식에 익숙해 지면 본 검사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반응도중에 답을 수정할 수 있으며, 정답여부는 자동으로 채 점된다. 바로 따라하기 검사 후에 거꾸로 따라하 기 검사도 같은 방식으로 실시된다. - 338 - 청각적 언어학습 검사(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성우가 녹음한 기본목록 단어 15개(바다, 극장, 농부, 개나리, 의자, 종, 가방, 라디오, 병원, 수박, 편지, 겨울, 손, 비행기, 동생)를 1초에 하나 씩 불러 준 후, 컴퓨터가 반복하라는 신호를 보내 면 피검사자는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회상하면 된다. 이때 단어를 제시한 순서대로 회상할 필요 는 없다는 지시가 주어지고, 검사자는 검사자용 화면에 제시되어 있는 단어를 보면서 피검사자가 회상해낸 단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단어를 회상 한 순서, 동일한 단어를 반복한 횟수, 정답수가 자동으로 채점된다. 피검사자가 모두 회상하였다 고 하면 다시 동일한 기본목록 단어를 동일한 방 법으로 불러주고 같은 방식의 검사를 4회 반복한 다. 그 후에는 간섭목록 단어 15개(나무, 가게, 머 리, 냉장고, 벌레, 안경, 새벽, 화장품, 은행, 선생 님, 참새, 떡, 바가지, 석유, 하늘)를 동일한 방법 으로 불러주고 기본 목록 단어를 회상하도록 한 다. 이렇게 하여 6차 회상이 완료되면 컴퓨터는 다른 검사를 진행하게 되고 다른 검사를 하던 중 20분 후에 다시 한 번 기본목록 단어들을 회상하 게 함으로써 지연회상을 측정하게 된다. 지연회상 이 끝나면 미리 마련된 50개의 단어를 보여주고, 50개의 단어 중에서 기본목록에 포함되었던 단어 인지를 찾는 재인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시각재인검사(visual learning test). 시각적 기 억 능력을 측정하는 이 검사는 원과 사각형, 삼각 형, 선, 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15개의 도형을 컴퓨터 화면에 1초 간격으로 1초씩 보여준다. 15 개의 도형을 모두 보여준 후 제시된 도형과 유사 하게 도안된 15개의 간섭도형과 함께 30개의 도 형을 화면에 보여준 후, 제시되었던 15개의 도형 을 찾아서 순서에 상관없이 마우스로 클릭을 하 도록 지시한다. 한번 클릭하면 도형의 색이 변하
  • 7.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여 피검사자는 자신이 어느 도형을 선택하였는지 알 수 있다. 피검사자가 선택을 마치면 동일한 검 사 과정을 4회 더 반복하고, 5회 검사 후 20분이 경과되면 도형 제시 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재인 검사를 하게 된다. 매 시도마다 정답 수, 오반응 수가 컴퓨터로 자동 채점된다. 여기서 사용된 기 억검사와 실행기능검사는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 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의 하위검사이며, (주)맥스메디카(Maxmedica, 2003) 에서 보급된 것이다. 결 과 ADHD 아동과 정상 아동 간의 기억능력 비교 정상아동과 ADHD 아동간의 언어 및 시각적 작업기억, 청각적 언어학습 검사 및 시각재인 검 표 1.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연령, 지능의 평균, 표준편차 및 차이검증 결과 표 2.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의 평균, 표준편차 및 차이검증 결과 - 339 - ADHD(n=68) 정상아동(n=30) t 사례수 68 30 연 령 8.78(1.49) 9.00(2.07) -.60 지 능 108.66(7.40) 109.17(5.27) -.34 ( )안은 표준편차임 ADHD(n=68) 정상아동(n=30) t 숫자 폭 검사 바로 따라외우기 5.65(1.06) 6.33(1.03) -2.98** 거꾸로 따라외우기 3.97(1.16) 4.37(1.35) -1.48 시공간 폭 검사 바로 따라외우기 5.09(1.47) 5.93(1.31) -2.70** 거꾸로 따라외우기 4.54(1.40) 5.00(1.34) -1.51 * p<.05, ** p<.01, *** p<.001(이하 동일) 사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하였다. 먼 저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연령과 지능을 통 제하였는데, 표 1을 보면 ADHD 아동과 정상 아 동의 연령(t96=-0.60, ns)과 지능 수준(t96=-0.34, ns)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에서 ADHD 아 동과 정상 아동 간의 기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뒤, t-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숫자 폭 검 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ADHD 아동은 정상 아동보다 수행이 저조하였고(t96=-2.98, p<.01), 거 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ADHD 아동(M=3.97)의 수행이 정상아동(M=4.37)보다 저조하였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96= -1.48, ns). 시공 간 폭 검사에서도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수행이 저조하였으나 (t96=-2.70, p<.01),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96=-1.51, ns). 이는 ADHD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현저한 기억결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청각적 언어 학습 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에 의하면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청각 적 언어학습검사에서 지연회상(t96=-4.33, p<.001) 과 전체 회상(t96=-3.50, p<.01)에서는 기억수행이
  • 8. 상담학연구 표 3.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청각적 언어학습 검사와 시각재인 검사의 평균, 표준편차 및 차이검증 결과 ADHD(n=68) 정상아동(n=30) t 표 4. 실행기능 검사가 ADHD 아동의 숫자 폭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 340 - 청각 언어학습 검사 지연 회상 7.81( 3.58) 10.87( 2.19) -4.33*** 지연 재인 11.85( 3.93) 13.20( 2.28) -1.75 전체 회상 41.88(10.81) 49.83( 9.03) -3.50** 시각 재인 검사 지연 재인 11.76( 4.29) 13.57( 1.28) -2.25* 전체 재인 59.28(10.50) 63.43( 6.82) -1.99* 변 인 b β t 숫자폭 검사: 바로 따라 외우기 (상수) 6.898 27.33***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0.031 -0.559 -5.75*** R2 = 0.313 숫자폭 검사: 거꾸로 따라 외우기 (상수) 5.520 15.39***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 -0.013 -0.401 -3.72*** 카드분류 검사: 보속오류 수 -0.033 -0.264 -2.45* R2 = 0.179, 누적 R21 = 0.249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연 재인에서는 수 행은 저조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t96=-1.75, ns). 시각재인 검사에서는 ADHD 아 동이 정상아동에 비해 지연재인(t96=-2.25, p<.05) 과 전체 재인(t96=-1.99, p<.05)에서 모두 기억수행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기억결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DHD 아동에서의 실행기능과 기억능력과의 관계 ADHD 아동의 기억결함이 실행 기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행기능 검사인 선추적 검사 A형과 B형, 카드분류검사의 여러 하 위 측정치들을 독립변인으로, 그리고 기억 능력 검사들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단계별 중다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각 검사에 대한 결과는 표 4, 표 5, 표 6, 표 7과 같다. 표 4에서 숫자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는 선추적 검사와 카드분류검사 중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량의 31.3%를 차지하였다. 숫 자폭 검사의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과 카드분류검사의 보속오류수 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의 설명량은 17.9%이었 고, 카드분류검사의 보속오류수를 부가하였을 때
  • 9.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표 5. 실행기능 검사가 ADHD 아동의 시공간 폭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변 인 b β t - 341 - 시공간폭 검사: 바로 따라 외우기 (상수) 6.949 14.95*** 카드분류 검사: 보속오류 수 -.052 -.322 -2.93**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 -.013 -.314 -2.85** R2 = 0.122, 누적 R21 = 0.219 시공간폭 검사: 거꾸로 따라외우기 (상수) 5.444 14.27***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022 -.306 -2.61* R2 = 0.093 전체 설명량은 24.9%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추적 검사의 반응속도와 카드분류검사의 다른 측정치 들은 기억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의 유지를 측정하는 숫자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의 경우 주의 유지기능 을 주로 측정하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과 연관되었고(β=-0.559, t=-5.75, p<.001), 주의의 지 속성이 요구되는 숫자 폭 검사의 거꾸로 따라 외 우기는 주의의 분할과 조절능력이 요구되는 선추 적 검사 B의 소요시간과(β=-0.401, t=-3.72, p< .001), 인지도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카드분류 검사 의 보속오류((β=-0.264, t=-2.45, p<.05)가 관련되 는 것으로 나타나, ADHD 아동의 실행기능이 기 억수행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의 시공간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는 카드 분류검사의 보속오류 수와 선추적 검사 B형의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카드분류검사의 보속오류수의 설명 량은 12.2%,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을 부가하 였을 때 전체 설명량은 21.9%로 나타났다.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는데, 설명량은 9.3%였다. 이 결과는 ADHD 아동들이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류 수가 많고(β=-.322, t=-2.93, p<.01),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β=-.314, t= -2.85, p<.01) 시공간 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 능력이 떨어지고,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β=-.306, t=-2.61, p<.05) 시공간 폭 검사의 거꾸로 따라 외우기 수행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표 6의 청각 언어학습 검사의 지연회상에서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고, 설명량은 29.6%이었다. 지연재인에 서는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과 카드분류검사 의 보속오류수가 영향을 미쳤고, 선추적 검사 A 의 소요시간의 설명량은 30.8%,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류 수를 부가하였을 때의 전체 설명량은 36.3%였다. 전체 회상에서는 선추적 검사 B의 소 요시간이 영향(설명량 27%)을 미쳤고, 선추적 검 사 A의 소요시간을 부가하였을 때는 전체 설명량 이 32.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 들이 주의유지가 요구되는 선추적 검사 A에서 소
  • 10. 상담학연구 표 6. 실행기능 검사가 ADHD 아동의 청각적 언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변 인 b β t 표 7. 실행기능검사가 ADHD 아동의 시각 재인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n=68) - 342 - 지연 회상 (상수) 11.906 13.84***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02 -.554 -5.27*** R2 = .296 지연 재인 (상수) 17.867 16.45***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06 -.514 -5.11*** 카드분류 검사: 보속 오류 수 -.102 -.238 -2.36* R2 = .308, 누적 R21 = .363 전체 회상 (상수) 56.425 20.19*** 선추적 검사 B: 소요시간 -.099 -.335 -2.62*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73 -.306 -2.39* R2 = .270, 누적 R21 = .329 변 인 b β t 지연 재인 (상수) 16.280 15.29***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112 -.500 -4.69*** R2 = .250 전체 재인 (상수) 69.842 26.39*** 선추적 검사 A: 소요시간 -.262 -.477 -4.41*** R2 = .228 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지연회상능력이 떨어지 고(β=-.554, t=-5.27, p<.001), 선추적 검사 A의 소 요시간이 많고(β=-.514, t=-5.11, p<.001), 인지도 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카드분류검사의 보속 오류 수가 많을수록(β=-.238, t=-2.36, p<.05) 지연재인 수행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또 전체 회상에서는 주의의 분할과 조절이 요구되는 선추적 검사 B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고(β=-.335, t=-2.62, p<.05), 주의 유지가 필요한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β=-.306, t=-2.39, p<.05) 전체 회
  • 11.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상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의 분할과 조절, 인지도식의 변경과 같은 실행기능들이 ADHD 아동의 기억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7에서 시각 재인 학습의 경우, 지연 재인은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만 유의한 관련이 있었 고, 설명량은 25%였다. 전체 재인에서도 선추적 검사 A의 소요시간만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설 명량은 22.8%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추적 검사 A 를 수행하는데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지연재 인능력(β=-.500, t=-4.69, p<.001)과 전체 재인능 력(β=-.477, t=-4.41, p<.001)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 재인기억결함 또한 실행기능 저하와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 343 - 논 의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기억결함이 기억과제 의 유형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인지, 아니면 특정 유형의 기억과제에서만 수행저하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억결함이 실행기능 과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능과 정 서 문제, 품행문제, 학습장애 문제를 통제한 후 여러 기억과제에서 나타나는 기억결함 현상들과 이들 기억결함과 실행기능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 였다. ADHD 아동과 정상 아동 간의 기억능력 비교 먼저, ADHD 아동과 정상 아동간의 기억수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청 각적 숫자 폭 검사와 시공간 폭 검사결과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의 청각적 단기 기억 능력 과 주의 유지 정도를 측정하는 청각적 숫자 폭 검사의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 ADHD 아동이 정 상아동보다 기억수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기억수행이 저조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 였다. 또한 시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시공간 폭 검사에서도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기억수행이 저조하였으 나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 러한 결과는 ADHD 아동들이 청각적 과제이든 시각적 과제이든 단순한 주의의 유지와 주의의 폭을 측정하는 과제에서 기억수행이 떨어지고 있 음을 의미한다. 이는 ADHD 아동들이 단순한 과 제에서 쉽게 주의가 분산되고 주의 유지에 어려 움이 있다는 선행연구들(한영옥, 1992; Douglas & Parry, 1983)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더 많은 순간적인 주의집중이 요구되는 거꾸로 따라 외우 기에서 정상 아동과 ADHD 아동 간에 기억능력 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명주 등(2004)이 ADHD 아동의 작업기억에 관한 연구 에서 바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다는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이 결과는 ADHD 아 동들의 문제가 주의를 지속적으로 집중하는데 문 제가 있는지 아니면 과제 수행시 나타나는 주의 의 산만함이 더 심각한 문제인지에 대한 의문점 을 제기한다고 볼 수 있다. Barkely(2006)는 ADHD 아동의 기억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결함이 집중 력의 부족보다는 자극이 주는 신기함과 자극의 성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즉 색 채가 많거나 매우 자극적인 재료는 색채가 없거 나 자극적이지 않는 재료에 비해 주의를 향상시 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행 결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이 친숙하고 자극이 단조로울 때 아동은 주의집중력 부족보다는 쉽게
  • 12. 상담학연구 주변 자극에 주의분산이 일어남으로써 수행저하 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Zentall, 1985). 이러한 현상은 ADHD 아동이 다른 활동보다 비디오 게 임이나 TV 시청에서는 정상 아동에 비해 주의문 제나 과잉행동 문제를 나타내지 않고 있으며, 오 히려 더욱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이명주 등(2004)의 연구결과가 서로 일치 하지 않는 것은 이명주 등(2004)의 연구는 검사자 가 직접 숫자를 불러주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로 검사가 실시되었기 때문에 자극의 신기 함과 같은 동기적 요소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즉, 검사자가 숫자를 직접 불러 주는 방식은 처음에는 검사자의 지시로 피검자에 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초기에는 ADHD 아 동들도 주의를 기울이지만 검사가 반복되면 검사 에 대한 흥미가 저하되면서 쉽게 주의가 분산되 고 이로 인해 수행저하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 이다. 그러나 컴퓨터로 자극이 제시될 경우 바로 따라 외우기와 같은 단순하고 지루한 과제에서는 쉽게 주의 분산이 이루어지지만, 거꾸로 따라 외 우기와 같이 복잡하고 게임을 연상시키는 자극일 경우 검사자의 영향은 비교적 초기부터 최소화되 어 검사에 대한 동기와 흥미가 유발되고 이것이 주의집중을 유도함으로써 정상아동에 비해 수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유추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컴퓨터로 자극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인지, 아니면 ADHD의 고유한 주의장애가 주의집중이 아니라 주의산만의 문제 를 반영하는지 명확하지가 않다. 따라서 ADHD의 특징적인 주의결함과 그에 따른 작업기억결함을 밝히기 위해서는 자극제시 방법 및 매체에 따른 수행결함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기억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 인 주의집중과 유목화, 군집화와 같은 인지적 전 략이 요구되는 청각적 언어학습과제와 시각적 학 습과제의 기억수행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청 각적 언어 학습 검사에서 ADHD 아동은 지속적 인 주의집중과 단어들의 의미를 분석하여 적절한 기억방략을 수립해야 수행이 향상되는 자유회상 과제에서는 지연회상과 전체 회상에서 모두 정상 아동보다 기억수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아동들이 의미적 군집화와 같은 기 억 방략을 사용해야하는 과제에서는 정상 아동에 비해 기억 결함을 보인다는 한영옥(1992)의 주장 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특별한 기억방략보 다는 청각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단순히 이전에 불러준 단어인지 아닌지를 비교-결정하는 과정만 이 개입되는 지연 재인에서는 단순히 암기했던 정보의 비교를 통한 결정이 매개될 뿐 정신적 조 작이나 복잡한 인지적 방략이 요구되지 않기 때 문에 기억수행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 344 - 그러나 청각적 언어학습과제가 아닌 시각적 재 인검사과제의 경우 ADHD 아동들이 정상 아동들 에 비해 지연 재인과 전체 재인에서도 모두 기억 결함이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청각적 언어학습과 제의 재인검사와는 달리 시각적 재인검사에서 ADHD 아동들이 정상 아동에 비해 수행저하가 나타난 것은 시각적 재인검사의 자극 요소들이 언어적 연상은 최소화되고, 원과 사각형, 삼각형, 선, 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소 무의미하고 복 잡하고 추상적인 도형과 같은 친숙하지 않은 자 극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 해서는 시각적 주의의 유지와 각성, 선택적 주의 기능과 같은 실행기능과 인지적 방략이 요구되었 고, 이에 따라 수행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ADHD의 기억손상이 언어적 경로보다는 시 각적으로 자극들을 분석하고 분류해야 변별이 가 능한 실행기능이 개입되는 시각적 작업기억에서
  • 13.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손상이 더 크다는 Barlely 등(2001)의 주장을 지지 하는 것으로 보인다. ADHD 아동에서의 실행기능과 기억능력과의 관계 ADHD 아동의 실행기능결함을 지지하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행기능과 ADHD 아동의 기억결함과의 관련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행기능검사를 독립 변인으로 하여 기 억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 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청각적 단기기억을 측정 하는 숫자 폭 검사와 시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 는 시공간 폭 검사의 수행은 실행기능을 측정하 는 선추적 검사와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수행 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 행기능 중에서도 주의력의 분할 및 조절능력 등 주로 시각적 탐색기능과 관련되는 선추적 검사 A 는 시각적 정보의 입력과 주의 유지를 통한 즉각 적인 파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공간 폭 검사의 거 꾸로 따라 외우기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읽기능력과 시각적 탐색기술, 그리고 이 두 기능을 정신적으로 연결하는 능력 과 관련되는 선추적 검사 B는 청각적 단기기억을 측정하는 거꾸로 따라 외우기와 시공간 폭 검사 의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또한 여러 개의 자극 중 관련 없는 자극에 대한 반응을 억제하고 시각적으로 세부특징을 변 별하고 조직화하는 능력과 지속적인 주의집중력 이 요구되는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수행은 청 각, 시각적 주의력 유지와 관련되는 청각적, 시각 적 단기기억과제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에게 있어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실행기능 손상이 기 억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정 보를 입력, 저장, 유지, 인출하는 단계를 거치는 기억 기능은 실행기능의 여러 영역 중에서도 주의 를 집중하고 이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능력, 즉 주 의와 관련된 실행기능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실행기능에 결함을 보이는 ADHD 아동들은 실행기능이 관여되는 기억과제에 서 특히 수행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345 - 이상의 결과들은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여러 유형의 기억과제에서 기억수행이 떨어 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청각적 언어 학습의 경우 제시되는 자극들을 단순 비교 결정하는 재 인과제에서는 기억결함이 나타나지 않지만, 단어 들의 의미를 파악하여 추리하고 유목별로 분류하 여 적절한 기억방략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에서는 기억수행이 뚜렷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리고 시각적으로 여러 형태의 자극들이 제시되고 이들 자극들을 조직화하고, 불필요한 자극들의 배 제, 자극의 분류 및 전략수립과 같은 실행 기능이 요구될 경우에는 재인검사에서도 수행 저하가 나 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들은 ADHD 아 동들과 정상 아동들의 지능, 읽기 능력, 정서문제, 시력과 청력 문제를 통제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 과여서 ADHD 아동들의 기억결함이 실행기능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ADHD 아동의 보편적인 기억결함 현상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에 관한 지식과 정보 를 제공해 주기는 하였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제 한점이 있었다. 우선 ADHD 아동의 기억결함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택했던 실행기능 검사도구들 이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이기는 하 지만 여러 인지과정 중 어떤 과정에서 결함이 유 발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는 점이다. 비록 자극의 제시유형 (청각적, 시각적 자극)과 측정 방법(재인, 회상, 속도, 소요시간, 오 류 수 등)을 다양하게 하고, 언어 능력과 지능, 정
  • 14. 상담학연구 서문제를 통제한 상황에서 결과를 얻었지만 특정 실행기능들 중 어떤 영역이 기억수행 저하를 야 기하는지, 그리고 기억기능 중에서도 정보처리 과 정 중 어떤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행 기능들의 세부적인 영역들을 측정할 수 있는 정교한 검사 도구 개발 이 필요하고, 기억과제 또한 특정 정보처리 과정 을 잘 변별해 줄 수 있는 검사들을 개발할 필요 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최근에는 ADHD 아동들이 하위 유형에 따라 주의 기제와 인지적 문제가 상이한 특성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지적 되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하위유형별 로 분류하지 않고 정상아동과 비교한 것이어서, 추후 연구에서는 하위유형에 따른 기억결함 현 상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346 - 참고문헌 고승희, 신민섭, 홍강의(1996). KEDI-WISC와 TOVA 를 이용한 소아정신과 장애별 주의력 문제 와 인지적 특성에 과한 연구. 한국임상심리 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pp. 319-341. 김승태, 김지혜, 송동호, 이효경, 주영희, 홍창희, 황순택 (1997). 한국 아동 인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김지혜, 홍성도 (1999).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 애 아동의 실행 능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0, 15-20. 맥스메디카(Maxmedica)(주) (2003).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검사. 서울: 맥스메디카. 문수백, 변창진 (1997). 한국판 K-ABC 실시, 채점 요강. 서울: 학지사. 배대석, 이종범, 반영기 (2005). 전산화 신경인지기 능검사의 이해와 해석. 하나의학사 이명주, 김귀애, 김상엽, 홍창희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억제능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 소아·청소년 정신의 학, 15, 82-90. 이은희 (1999).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학적 접 근 평가. 1998년도 광주․전남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연구회 심포지움 발표집. 이종범, 김진성, 서완석, 신현진, 배대석, 이혜린 (2003). 학령기 정상아동에서 전산화 신경인 지기능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정신 신체의학, 11, 97-117. 조수철 (1999). 소아정신질환의 개념. 서울: 서울 대 학교 출판부. 채규만 (1999). 아동의 학습장애와 ADHD진단과 치 료적인 접근. 1999년도 한국임상심리학회 워크샾 자료집. 한영옥 (1992).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아동의 기억 특성에 대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여자대학교. August, G. J. (1987): Production deficiencies in free recall: A comparison of hyperactive, learn-disabled, and normal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5, 429-440. Baddeley, R. A. (1986). Working memory. Oxford Clarendon Press. Barkley, R. A., Grodzinsky. G. & Dupaul G. J. (1992).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0, 163-188.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y Bulletin, 121, 65-94.
  • 15. 김지연․백용매 /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Barkley, R. A, Edwards, G., Laneri, M., Fletcher, K. & Metevia, L. (2001). Executive functioning, temporal discounting, and sense of time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9, 541-556 Barnett, R., Maruff, P. & Vance, A. (2001). Abnormal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effect of stimulant medication and age on spatial working memory. Psychology Medicine, 31, 1107-1115. Bieder, J., Newcorn, J,.& Sprich, S. (1991).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conduct, depressive, anxiety, and other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 564-577. Berg, E. A. (1948) A simple objective treatment for measuring flexibility in thinking.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39, 15-22. Crowe, S. F. (1998). The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mental tracking, cognitive flexibility, visual search, and motor speed to performance on Parts A and B of the trail Making Test.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4, 584-591. Denckla, M. B. (1996). A theory and model of executive function: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 In G. R. Lyon & N. A. Krasnegor (Eds.),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pp. 263- 277). Baltimore: Brookes. Douglas, V. I.(1983). Attention and cognitive problems. In M. Rutter (Ed.). Developmental Psychiatry(pp. 280-329). New York: Guilford Press. Douglas, V. I. & Parry, P. A. (1983). Effects of - 347 - reward on delayed reaction time task performance of Hyperactive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1, 313-326. Douglas, V. I. & Benezra, K. G. (1990). Supraspan verbal memory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normal, and reading disabled boy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 617- 638. Gioia, G., Isquith, P., Guy, S., & Kenworthy, L. (2001). BRIEF-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Professional manual. Odessa, F. 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Heaton, R. K. & Pendleton, M. G. (1981). Use of Neuropsychological tests to predict adult patients' everyday functioning. Journal Consult Clinic Psychology, 49, 807-21. Heaton, R. K., Chelune, G. J., Talley, J. L., Kay, G. G. & Curtiss, G. (1993). Wisconsin card sorting test manual. Revised and expanded, Odessa, F. 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Kaufman, A. S. & Kaufman, N. L. (1983a).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Minnesota: American Guidance Service, Inc. Martinussen, M. ED., Hayden, D. C., Hogg-Johnson, D. C., & Tannock, PH. D. (2005). A Meta- Analysis of Working Memory Impairment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of Psyhiatry, 44, 377-384. McInnes, A., Humphries, T., Hogg-Johnson, S. & Tannock, R. (2003).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are impaired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rrespective of language impairment. Journal Abnormal Child
  • 16. 상담학연구 - 348 - Psychology, 31, 427-443 Milner, B. (1963). Effects of different brain lesions on card sorting frontal lobe. The role of the frontal lobes. Archive of Neurology, 9, 90-100. Pennington, B. F., & Ozonoff, S. (1996).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 51- 87. Rapport, M. D., Chung, K. M., Shore, G., Denney, C. B. & Isaacs, P. (2000). Upgarad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assessment and diagnosis, laboratory and clinic-based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DHD. Th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9, 1424-1431. Rucklidge, J. & Tannock, R. (2002).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ADHD: effects of reading difficulties and gend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 988-1003. Sergeant, J. A, Geurts, H. & Oosterlaan, J. P. (2002). How specific is a deficit of executive functioning for Attention-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Behavioral Brain Research. 130, 3-28. Shallice, T., Marxocchi, G. M., Coser, S., Savio, M. D., Meuter, R. & Rumiati, R. I. (2002). Executive Function Profil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1, 43-71. Stevens, J., Quittner, A. L., Zuckerman, J. B. & Moore, S. (2002). Behavioral inhibition, self-regulation of motivation,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1, 117-139 Toplak, M. E., Rucklidge, J. J., Hetherington, R., John, S. C. F. & Tannock, R. (2003). Time perception deficit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comorbid reading difficulties in child and adolescent sampl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 888-903. Tripp, G., Ryan, J. & Peace, K. (2002).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DSM-IV combined typ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6, 771-779. Willcutt, E. G., Pennington, B. F. & Boada R. (2001), A comparison of the cognitive deficit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 157-172. Wirt, R. D., Lachar, D., Klinedisnt, J. K. & Seat, P. D. (1984). Multidimensional description of child personality: A manual for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Zentall, S. S. (1985). A context for hyperactivity. In K. D. Gadow & I. Bialer (Eds.), Advances in learning and behavioral disabilities (Vol. 4, pp. 273-343). Greenwich, CT: JAI Press. 원고 접수일 : 2006. 12. 15 수정원고 접수일 : 2007. 2. 8 게재 결정일 : 2007. 2. 13
  • 17. The Differences of Memory Defect and Executive Function in Normal Children and ADHD Children Ji Yean Kim Yong Mae Baek Mind & Mind Psychiatric Clinic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on symptom of memory defect and the relationship of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deficit in ADHD children. Thirty normal children and sixty eight ADHD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the DSM-IV, and the intelligence and comorbidity were controlled by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nd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Executive function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Trail Making Test) and memory test(Digit Span Test, Visual Span Test,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Visual Recognition Test) were administrated to all subjects, and then the performance of all test of each group were compared by using t-test. and the relationship of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deficit were investig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ADHD children were impaired on forward span test of the auditory digit span and visual span test, but were not impaired on backward test of both span test; 2) ADHD children were unimpaired on recognition test, but showed explicit impairment on recall and delayed recall tests related to memory organization in verbal learning test; 3) ADHD children were impaired on visual recognition test which they have to analyse and organize the materials based on the dot, circle, color of the stimulus; 4) the time of trail making test A and B, and the numbers of perseveration error i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mory performance of ADHD. The results imply that ADHD children have memory impairment on various memory test, and the impairment of executive function can cause memory defect in ADHD Childre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emory Defect, Executive Function - 349 - 상 담 학 연 구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7, Vol. 8, No. 1, 33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