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8
Download to read offline
- 
생물치료정신의학 제 13 권 제 2 호, 2007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Vol 13, No 2, 2007 원 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 관리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 
정철호**†·류설영**·김희철** 
A Comparison Study of Intelligence,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Chul-Ho Jung, M.D., Ph.D.,**† Seol-Young Ryu, M.A.,** Hee-Cheol Kim, M.D., Ph.D.** 
Objectives:We aimed to prove that disinhibition in children with ADHD affects other cognitive fun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by comparing the intelligence,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Methods:Twenty children with ADHD and nineteen normal children were sampled, their age range was 7 to 14. 
They were assessed using Conners scale, K-WISC-III,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Kims Frontal-Exe-cutive 
- 307 - 
Function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in scores of total 
intelligence, VIQ, PIQ, VCI, POI and FDI in K-WISC-III. However,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memory fun-ction, 
especially delayed recall, visual immediate recall, visual delayed recall and memory retention compared to 
those of normal children. It might be assumed that lower memory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is affected by 
retention among memory process(registration-retention-retrieval). And children with ADHD showed poor EIQ, 
interference index, word fluency/information DI, and FIQ/EIQ DI compared to normal children. 
Conclusion:Children with ADHD show poor memory function, especially retention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especially interference inhibition and word fluency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lthoug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easure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need to train for children with ADHD to use frontal-executive function, especially behavioral inhibition to enhance 
the ability and skill of learning. 
KEY WORDS:ADHD · Intelligence · Memory · Frontal-executive function · Disinhibition. 
서 론 
Shakespeare의“King Henry VIII”에서 주의력 장 
애가 언급된 이후로 1900년대 초부터“주의력결핍 과 
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 에 대한 연구가 최근까지 지속적으 
*본 연구는 2004년도 계명대학교 비사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본 연구는 2006년도 6월 12~17일 필리핀에서 개최된 제 4회 아시아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 포스터 발표되었음.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aegu 
†교신저자:jung5301@dsmc.or.kr
로 이루어지고 있다.1) 
연구 초기 ADHD 연구에서 그 원인을 뇌 손상으로 
본 것에서 시작하여,2) 빈약하거나 손상된 사회적-가정 
적 환경에 대한 반응으로 본 것,3) 그리고 정보 처리 이 
론을 기본으로 한 지각과 정보 처리의 문제로 보는 것4) 
등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다. 하지만 정보 처리 이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ADHD의 경우 지각이나 정보 처리 
손상의 문제가 동기나 반응 억제와 관련된 문제라는 것 
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지면서,5-8)“탈억제(di-sinhibition)” 
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그리고 부 
주의(inattention)의 문제는 지각(perception), 여과(fil-tering) 
또는 선택(selection)의 문제가 아니라 손상된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의 문제임이 분명해졌다.9) 
Gray(1982)의 불안의 신경심리학적 모델10)을 기반 
으로 하여 ADHD를 뇌의 행동 억제계에서의 손상으로 
보는 이론11)과 Logan의“race model”12)을 기본으로 하 
여 ADHD 아동이 정상군에 비해 inhibitory process가 
activating 또는 primary response에 비해 더 늦은 장 
애군으로 보는 이론13)14)이 소개되면서 억제(inhibition) 
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였다. 
특히 Barkley(1997)는 억제를 실행 기능의 핵심적인 
요소로 생각하고, 억제를 기초한 모델을 제시하였다.15) 
실행 기능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문제를 해결해 
가는 일련의 행동을 유지해 나가는 능력으로, 계획, 행 
동의 결정, 목표 설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행동의 관찰과 변화 등의 특수한 행동을 포함하며, 해부 
학적으로는 뇌의 전두엽 및 전두엽-피질하 신경망회로 
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8) 
Barkley는 실행 기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억제가 그 
기능을 하지 못하면 억제되지 못한 반응(Disinhibited 
prepotent responses), 보속반응(Perseveration of 
ongoing responses), 그리고 빈약한 간섭 통제(Poor 
interference control) 등이 나타난다고 했다. 이와 관 
련되어 언어적, 비언어적 작업 기억의 손상 및 미숙한 
자기 통제 능력, 재구성 능력의 손상, 운동 통제 및 유 
창성의 저하 등을 보이게 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arkley가 이야기한 탈억제 
가 실제로 ADHD 아동에서 인지 기능을 적절하게 발 
휘 하지 못하는 핵심 문제가 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DHD아동과 정상 아동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관리 
기능 등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30 8 -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 참여한 임상 집단은 2005년 5월부터 8 
월 사이에 대구 소재 K대학병원 소아 정신과 외래에서 
ADHD로 치료 중인 ADHD 복합형 환아들로 구성되었 
고, 통제 집단은 2004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대구 시내의 모 초등학교 학생들로 구성되었다(표 1). 
먼저 임상 집단의 경우, 실제 참여한 아동의 총 수는 45 
명이었으나 검사를 끝까지 수행하지 못하였거나, ADHD 
외의 다른 정서 장애가 동시에 진단된 경우, Conners 
척도 15점 이하인 경우 등을 제외한 20명의 아동만을 
임상 집단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통제 집단의 경우, 임 
상 집단의 나이와 성별에 맞는 19명의 아동들을 선별 
하여 전체 연구 집단을 구성하였다. 임상 집단의 ADHD 
아동의 기준은 DSM-IV의 진단 기준을 근거로 하였고, 
소아 정신과 의사 1인에 의해 진단된 후 4주 이상 약 
물을 중단하였거나 약물 복용을 하지 않았던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와 관련된 일련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임 
상 집단의 경우, 연령은 7세 2개월에서 14세 사이였 
으며 남아 17명, 여아 3명이었다(n=20). 그리고 정상 
아동군은 담임 교사가 정서적 문제가 없다고 평가하고 
ADHD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아동들로서, 연령은 7 
세 1개월에서 14세 사이였으며 남아 14명, 여아 5명 
이었다(n=19). 
2. 통계 방법 
ADHD군과 대조군 사이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 관리 
기능 검사 결과의 평균 비교분석을 위해 t-test를 사용 
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windows version 12 
를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정하였다. 
3. 도 구 
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K-WISC-III)19)20) 
본 연구에서는 Wechsler가 1991년에 개정한 Wec- 
Table 1. Demographic data 
Characteristics ADHD(N=20) Control(N=19) 
Age(year) 9.36 9.29 
Sex(person) 
Male 17 14 
Female 03 05
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 
(WISC-III)를 곽금주 등20)이 한국판으로 번안한 K-WISC- 
III를 사용하였다. Wechsler 아동용 지능 검사 
3판에서 언어성 검사는 상식(Information), 공통성(Si-milarities), 
산수(Arithmetic), 어휘(Vocabulary), 이 
해(Comprehension)이고, 동작성 검사로는 빠진곳 찾 
기(Picture Completion), 기호쓰기(Coding), 차례 맞 
추기(Picture Arrangement), 토막 짜기(Block De-sign), 
그리고 모양 맞추기(Object Assembly) 등이 
다. 이에 더하여 보조 검사(supplementary subtest) 
로 언어성 검사에 속하는 숫자외우기(Digit Span), 동 
작성 검사에 속하는 동형 찾기(Symbol Research)와 
미로(Mazes)가 있다. 그리고 WISC-III는 언어성 지 
능과 동작성 지능만 산출하여 활용하였던 WISC-R과 
는 달리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에 더하여 소검사를 요 
인 분석하여 4가지 요인으로 지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요인 분석하여 얻은 4가지 요인으로는 언어 이해(Ver-bal 
Comprehension Index[이하 VCI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 지각 조직(Perceptional Organization In-dex[ 
이하 POI]: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주의 집중(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이하 FDI]:산수, 숫자 외우기), 처리 속도(Pro-cessing 
Speed Index[이하 PSI]:기호 쓰기, 동형찾 
기) 등이 있다. 
언어 이해(VCI)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교육을 통 
해 습득된 언어적 지식과 이해를 측정하는 것이고, 이 
는 새로운 상황에 언어적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정도 
를 반영하는 것이다. 
지각 조직(POI)은 수행과 관련된 능력을 측정하는 것 
으로서, 제한된 시간 내에서 시각적으로 지각된 자료를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주의 집중(FDI)은 주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능 
력과 정신적 통제(mental control)를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처리 속도(PSI)는 집중력과 민첩한 시각-운동 협응 
능력을 가지고, 시각적으로 인식된 비언어적 정보를 빨 
리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2) Rey-Kim 아동용 기억 검사21) 
이 검사는 언어 기억 검사인 K-AVLT(K-Auditory 
Verbal Learning Test)와 시각 기억 검사인 K-CFT 
(K-Complex Figure Test)로 구성되어 있다. K-AVLT는 
- 30 9 - 
15개의 단어를 반복적으로 학습시킨 후 이 
단어들에 대한 기억이 얼마나 잘 형성되었는지를 검사 
한다. 검사는 5회의 반복 시행, 반복 시행이 끝나고 20 
분 후에 진행되는 지연 회상 시행, 지연 회상 직후에 
실시되는 지연 재인 시행 순으로 실시한다. 
K-CFT에서는 복잡한 도형을 학습시킨 후 이 도형 
에 대한 기억이 얼마나 잘 형성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복 
잡한 도형으로는 RCF(Rey Complex Figure)를 사용 
한다. 검사는 그리기 시행, 그리기 시행 직후에 실시되는 
즉시 회상 시행, 즉시 회상 시행 20분 후에 실시되는 지 
연 회상 시행 순으로 실시한다. 
기억지수(Memory Quotient:이하 MQ)는 언어기 
억과 시각기억을 합산하여 요약한 점수로 평균이 100, 
표준편차 15인 점수로 표준화된다. MQ외에도 기억 검 
사 수행의 질을 분석할 수 있는 척도들로, 언어적 기억 
단계(등록-유지-인출) 중 어느 단계에서 결함이 있는 
지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K-AVLT에서 학습 기울기 
(learning curve;시행 5와 시행 1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기억 유지도(memory retention;시 
행 5와 지연 회상 시행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 
환), 인출 효율성(retrieval efficiency;지연 재인 시 
행과 지연 회상 시행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등이 있다. 또한 시공간 기능과 관련된 기억 기능의 변 
별을 통해 우반구 기억 기능의 손상 정도를 알아 볼 
수 있는 그리기/기억 일치도(drawing/memory consi-stency; 
K-CFT의 그리기 시행과 즉시 회상 시행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부분성 기억 장애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언어기억/시각기억 일치도(verbal/ 
visual memory consistency;K-AVLT와 K-CFT 
의 수행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기억력 감퇴를 반 
영하는 종합적인 지표인 지능/기억 일치도(intelligence/ 
memory consistency;IQ와 MQ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등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3) Kims 아동용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22)23) 
이 검사는‘스트룹검사’,‘단어유창성’,‘도안유창성’, 
‘인출효율성’의 4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는데, 각각의 소 
검사는 복잡한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과제를 대표한 
다. 각 소검사에는 통제과제 점수, 실험과제 점수, 차이
점수가 각각 하나씩 있다. 예를 들어‘스트룹검사’에서 
통제과제 점수는 단순시행의 반응시간, 실험과제 점수 
는 간섭시행의 반응시간, 차이점수는 간섭시행의 반응 
시간에서 단순시행의 반응시간을 뺀 차이다. 각 소검 
사에서 통제과제 점수는 하위 인지기능만을 반영하는 
점수, 실험과제 점수는 관리기능과 하위 인지기능을 
함께 반영하는 점수, 차이 점수는 관리기능만을 반영하 
는 점수로 가정된다. 오류점수는 각 소검사에서의 피 
검자들의 오류 반응을 점수화 한 것으로 4개가 있다. 관 
리지능(Executive IQ:이하 EIQ)은 Executive intel-ligence 
test(EXIT)의 전체 요약점수로 4개의 실험과 
제 점수, 4개의 차이 점수, 4개의 오류 점수를 종합적 
으로 반영하여 산출된다. 
특히 전체 요약 점수인 EIQ는 피검자 수행의 양적 측 
면과 함께 전두엽 증후군의 특이한 반응을 반영하는 질 
적 점수로 구성된다. 양적 점수는 피검자의 수행의 양 
적 측면, 예를 들어 스트룹 검사에서 단순 시행, 중간 
시행, 간섭 시행에서 얼마나 빨리 오류가 없이 잘 반응 
하였는가 등과 같은 양적 측면만을 반영하지만, 질적 
점수는 양적 점수를 활용하여 전두엽 기능 손상을 반 
영할 수 있는 지표이다. 질적 점수로는, 스트룹 검사에 
서 산출되는 간섭 억제 지표(interference index;단 
순 시행 반응시간(RT)-간섭 시행 반응 시간), 오류 
억제 지표(error index;간섭 시행 시 오반응수) 등이 
있고, 단어 유창성 검사에서 단어/상식 일치도(word 
fluency/information DI[difference index];단어 유 
창성 환산 점수에서 K-WISC-III의 상식 환산 점수 
를 뺀 차이), 반복 억제 지표(repetition index;연상 
된 단어 중 동일한 어근이나 단어가 반복된 경우의 개 
수), 비어 억제 지표(vulgarism index;연상된 단어 중 
비어의 갯수) 등이 있다. 그리고 도안 유창성의 경우, 
도안/빠진곳 찾기 일치도(word fluency/picture com-pletion 
DI;도안 유창성 환산점수에서 K-WISC-III 
의 빠진곳 찾기 환산 점수를 뺀 차이), 도안 반복 지표 
(design fluency repetition index;고안된 도안 중 
동일한 모양의 그림 수) 등이 있으며, 기억의 경우, 인 
출 효율성 지표(retrieval efficiency index;지연 재 
인 갯수-회상 갯수)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지능/ 
관리지능 일치도(FIQ/EIQ DI)로, 관리 지능과 지능의 
차이 점수로 구성되는데, 관리 지능과 지능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전두엽 관리 기능이 저조한 것을 의미한 
다. 그리고 EIQ의 경우,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5 
인 점수로 표준화되고, EIQ 산출을 위한 연령 구분이 
7~15세로 K-WISC-III 와 유사하다. 
4) 단축형 Conners 부모평정척도24)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위 평가 도구는“차분하지 못 
하고 너무 활동적이다”,“주의력이 없고 쉽게 주의 분 
산이 된다” 등의 ADHD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적 특 
징들을“전혀없음”,“약간”,“상당히”,“아주 심함”의 4 
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각 문항에“전혀 없 
음”은 0점,“약간”은 1점,“상당히”는 2점, 그리고“아 
주 심함”은 3점으로 환산하여, 이들 점수를 합산하여 
총 점수를 산출하였다. 전 항목 평점 합계가 16점 이상 
(부모 평정시)일 경우 ADHD를 의심해 볼 수 있다. 
- 31 0 - 
결 과 
1.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K-WISC-III 결과 비교 
1) 지능 지수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 
능, 동작성 지능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전체 지능 t=0.65, p>0.05, 언어성 지능 t=0.37, 
p>0.05, 동작성 지능 t=0.92, p>0.05)(표 2). 
2) 지능 검사의 4요인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K-WISC-III의 4요인 
을 비교 분석한 결과, PSI를 제외한 모든 변인은 유의 
Table 2. Comparisons of IQ, VIQ, PIQ in K- WISC-III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IQ 101.05(18.23) 104.47(14.28) 0.65 0.519 
VIQ 101.80(15.73) 103.63(15.10) 0.37 0.713 
PIQ 099.90(18.98) 104.58(12.39) 0.92 0.366 
Table 3. Comparisons of VCI, POI, FDI, PSI in K-WISC-III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VCI 101.55(14.59) 101.68(14.38) 0.03 0.977* 
POI 100.35(20.24) 104.89(11.17) 0.86 0.394* 
FDI 094.15(18.83) 104.58(13.83) 1.96 0.057* 
PSI 093.80(13.58) 102.42(12.29) 2.08 0.045* 
*:p<0.05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FDI(t=1.96, p>0.05)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PSI(t=2.08, p<0.05)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표 3). 
Table 4. Comparisons of memory quotient and subscales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MQ 89.65(17.34) 101.63(12.36) 2.47 0.018* 
Trial 1 09.05(03.10) 009.32(02.43) 0.30 0.768* 
Trial 2 09.10(02.57) 009.47(02.72) 0.44 0.662* 
Trial 3 09.40(03.10) 009.42(02.29) 0.02 0.981* 
Trial 4 09.10(03.28) 009.42(02.36) 0.35 0.729* 
Trial 5 09.05(02.87) 009.53(02.48) 0.55 0.584* 
Delayed recall 08.00(03.15) 009.95(01.78) 2.36 0.024* 
Delayed recognition 08.60(03.69) 010.63(02.50) 2.00 0.053* 
Visual Immediate recall 08.30(02.74) 010.11(01.88) 2.39 0.022* 
Visual delayed recall 08.55(03.12) 010.32(02.19) 2.04 0.049* 
*:p<0.05 
- 31 1 - 
2.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기억 평가 비교 
1) 하위 수행 및 전체 기억 점수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기억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억 지수(t=2.47, p<0.05), 지연 회상 
(t=2.36, p<0.05), 시각-즉시 회상(t=2.39, p<0.05), 
시각-지연 회상(t=2.04,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언어적 
기억 수행 자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적 
지연 회상과 시각적 즉시 회상, 시각적 지연 회상에서 
더욱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언어적 지연 재인은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2.00, p> 
0.05), 평균 지연 재인 단어 목록이 정상 아동에 비해 
ADHD 아동에서 적은 경향이 있었다(Mean±SD;AD-HD= 
8.60±0.73, Control=10.36±2.50)(표 4). 
2) 기억-차이 척도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기억-차이 척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억 유지도 (t=-2.07, p<0.05)와 지능- 
기억 일치도(t=-2.05, p<0.05)를 제외한 다른 하위 척 
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5). 
3.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두엽 관리 기능 평가 
비교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두엽-관리 기능 평가 
를 비교한 결과, EIQ(t=4.87, p<0.05), 간섭 억제(t= 
-2.59, p<0.05), 단어-상식 일치도(t=2.30, p<0.05), 
일반지능-관리지능 일치도(t=6.37, p<0.05) 등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여 실제로 ADHD 아동의 관리 기능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표 6). 
고 찰 
본 연구에서 ADHD 아동은 정상 아동과 비교해 볼 
때 전체 지능이나 언어성, 동작성 지능이 특별히 뛰어 
Table 5. Qualitative comparisons of Rey-Kim memory test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t p 
Learning curve 05.45(02.42) -5.89(1.49) -0.69 0.496* 
Memory retention 01.75(02.05) -0.53(1.61) -2.07 0.046* 
Retrieval efficiency 04.40(02.95) -3.89(1.41) -0.68 0.502* 
Drawing/Memory consistency 11.13(05.72) -12.73(5.41) -0.90 0.373* 
Verbal/Visual memory consistency 00.10(07.04) 0-1.00(3.79) -0.60 0.550* 
Intelligence/Memory consistency 11.35(12.45) -04.05(9.53) -2.05 0.048* 
*:p<0.05
나거나 저조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실제로 다른 많은 연구들에서도 검증된 것으로 주 
의력 결핍 자체가 지능 저하를 초래하지는 않는 것 같 
다. 그렇지만 기억력의 경우에는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고, 기억-차이 척도 
중 기억 유지도 역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억 
검사에서 15개의 단어를 기억하는 시행 1과 시행 5 과 
정에서는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이 수행에 전혀 차이 
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기억-차이 척도 중 기억 유지 
도에서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억 평가에서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저조한 수행을 보인 것이 과제를 기억하 
는 과정 중 등록이나 인출이 아닌 기억 유지에 어려움 
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결과가 초래 
된 것일까? 기억 유지는 단기 기억에서 저장되었던 자 
료를 장기 기억으로 옮기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고, 이 과정에서는 기억해야 하는 과제에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면서 리허설(rehearsal)이나 인지적 책 
략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자료나 과제를 장기 기억으 
로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단기 기억에서 장기 기억으 
로 자료를 저장하는 과정이나 장기 기억에 있던 자료 
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잠시 떠올리는 것을 최근 
에는 작업 기억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작업 기 
억은 전두엽-관리 기능에 속하는 기능으로 억제가 잘 
기능할 때에 언어적, 비언어적 작업 기억이 잘 기능하 
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억제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 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작업 기 
억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고, 이는 어떤 자료나 사 
건을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되새기며 그 과제를 효율적 
으로 장기기억에 저장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 
게 한다. 즉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자료의 
등록 과정이나 인출 과정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이지 않 
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기억 능력이 저조한 것은 억 
제 능력이 부족한 ADHD 아동들이 기억 과제에 지속 
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그 문제를 
생각하면서 장기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사고 정교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ADHD 아동에서 억제가 강력하게 작 
용하는, 작업 기억이 관여하는 기억 유지에 어려움이 있 
음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억제의 어려 
움은 전두엽 관리 기능 검사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즉 전두엽-관리 기능 검사 중 간섭 억제 지표나 
단어-상식 일치도에서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수 
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자신이 처리해야 하는 과제에만 초점화하는데 어 
려움이 있고, 언어적 유창성이나 발산적 사고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연구방향을 제안하면, 첫 
째, 본 연구에서 대상수가 적은 제약점이 있었으므로 좀 
더 많은 대상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행동 억제가 기능하는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 
- 31 2 - 
Table 6. Comparisons of frontal-executive function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EIQ -76.10(21.07) 104.63(14.80) -4.87 0.000** 
Interference Index -23.95(14.75) 014.37(06.74) -2.59 0.014** 
Error Index -03.95(02.98) 002.58(01.50) -1.80 0.080** 
Word fluency/Information DI -02.00(02.55) -0.26(02.13) -2.30 0.027** 
Repetition Index -01.75(02.00) 001.32(01.34) -0.79 0.432** 
Vulgarism Index -00.05(00.22) 000.00(00.00) -0.97 0.336** 
Design fluency/Picture completion DI -02.05(04.68) 000.37(03.06) -1.90 0.066** 
Design fluency/Repetition Index -03.30(05.56) 001.68(01.57) -1.22 0.229** 
Retrieval efficiency Index -04.55(02.61) 003.63(01.64) -1.31 0.198** 
FIQ/EIQ DI -25.25(15.59) -0.58(06.83) -6.37 0.000** 
Word fluency/Design fluency DI -00.95(03.71) -0.21(02.25) -0.74 0.459** 
*:p<0.05, **:p<0.001. EIQ: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DI:Difference index, FIQ: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다는 증거가 있으므로25) 남녀 구분하여 기억 및 전두 
엽 관리기능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약 
물치료나 학습훈련 등의 치료적 개입 이후 실행기능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억제와 관련된 능력 훈련과 같은 
치료적 개입의 효능성에 대한 근거 또한 파악할 수 있 
으리라 생각된다. 
- 31 3 - 
결 론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은 지능에서 두드러진 차이 
를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ADHD 아동은 기억력 
과 전두엽-관리 기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 아동은 기억의 세 단계(등록-유지-인출) 
중 작업기억이 요구되는 기억 유지 과정에서 정상 아 
동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이와 일관 
되게 전두엽-관리 기능, 특히 간섭 억제 및 단어 유창 
성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로 ADHD 아동의 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두엽-관리 기능 특히 억제와 관련된 능력 
을 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지능·기억·전 
두엽실행기능·탈억제. 
참 고 문 헌 
1) Barkley RA. Child psychopathology. 2nd edition. New 
York: The Gilford Press; 2003. 
2) Kessler JW. History of minimal brain dysfunction. In: 
Rie HE, Rie ED, editors. Handbook of minimal brain 
dysfunctions: a critical view . New York: Wiley & Sons; 
1980. p.18-52. 
3) Biederman J, Faraone SV, Monuteaux MC. Differential 
effect of environmental adversity by gender: Rutter’s 
index of adversity in a sample of boys and girls with 
and without ADHD. Am J Psychiatry 2002;159:1556-62. 
4) Hazell PL, Carr VJ, Lewin TJ, Dewis SA, Heathcote 
DM, Brucki BM. Effortful and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in boy with ADHD and specific learning 
disorders.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9;Feb 40: 
275-86. 
5) Barkley RA, Grodzinsky G, Dupaul GJ.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J Abnorm 
Child Psychol 1992;Apr 20:163-88. 
6) Schachar RJ, Logan GD. Impulsivity and inhibitory 
control in normal development and childhood psycho-pathology. 
Dev Psychol 1990;26:710-20. 
7) Sergeant JA, Scholten CA. On resource strategy limi-tations 
in hyperactivity: cognitive impulsivity reconside-red.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85;26:97-109. 
8) Segeant JA, Scholten CA. On data limitations in hy-peractivity.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85;26:111-24. 
9) Baddeley A. Working memoy. In M.S. Gazzaniga(Eds), 
The cognitive neurosciences.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995. 
10) Gray JA. The psychology of fear and stress(2nd ed).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1987. 
11) Quay HC. Inhibi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Abnorm Child Psychol 1997;Feb 25:7-13. 
12) Logan G, Cowan WB. On the ability to inhibit thought 
and action: A theory of an act of control. Psychol Rev 
1984;91:295-327. 
13) Schachar R, Tannock R, Logan G. Inhibition, impulsi-venes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lin 
Psychol Rev 1993;13:721-39. 
14) Schachar R, Tannock R, Marriott M, Logan G. Defi-cient 
inhibitory control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Abnorm Child Psychol 1995;23:411-37. 
15) Barkley RA. Behavior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construction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 Bull 1997;121:65-94. 
16) Denckla MB. A theory and model of executive func-tion: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 In G. R. Lyon 
& N.A. Krasnegor(Eds.),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Baltimore, MD: Paul H. Brookes; 1996. 
p.263-77. 
17) Denckla MB. Biological correlates of learning and att-ention: 
What is relevant to learning disabilit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Dev Behav Pe-diatr 
1996;17:114-9. 
18) Smith EE, Jonides J, Koeppe RA. Dissociating verb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using PET. Cereb Cortex 
1996;11:11-20. 
19) Jerome MS. Assessment of Children: Cognitive Appli-cations. 
4th edition. San Diego: Jerome M. Sattler Pu-blisher, 
Inc; 2001. 
20)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 특수 교육; 2001. 
21) 김홍근.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경심리; 2004.
22) 김홍근.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 
- 31 4 - 
사: 해설서. 대구: 도서 출판 신경심리; 2004. 
23) 김홍근. 전두엽 증후군의 임상 평가: Kims 전두 
엽-관리 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 재활심리 
연구 2001;8:173-90. 
24) 오경자, 이혜련.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증 평가도 
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의 활용. 한 
국심리학회지:임상 1989;8:135-42. 
25) Seidman LJ, Biederman J, Faraone SV, Weber W, 
Mennin D, Jones J. A pilot study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girls with ADHD. J Am Acad Child Ado- lesc 
Psychiatry 1997;36:366-73.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혜원 정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혜원 정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혜원 정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혜원 정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혜원 정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혜원 정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혜원 정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혜원 정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혜원 정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Similar to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20)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 1. - 생물치료정신의학 제 13 권 제 2 호, 2007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Vol 13, No 2, 2007 원 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 관리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 정철호**†·류설영**·김희철** A Comparison Study of Intelligence,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Chul-Ho Jung, M.D., Ph.D.,**† Seol-Young Ryu, M.A.,** Hee-Cheol Kim, M.D., Ph.D.** Objectives:We aimed to prove that disinhibition in children with ADHD affects other cognitive fun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by comparing the intelligence,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Methods:Twenty children with ADHD and nineteen normal children were sampled, their age range was 7 to 14. They were assessed using Conners scale, K-WISC-III,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Kims Frontal-Exe-cutive - 307 - Function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in scores of total intelligence, VIQ, PIQ, VCI, POI and FDI in K-WISC-III. However,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memory fun-ction, especially delayed recall, visual immediate recall, visual delayed recall and memory retention compared to those of normal children. It might be assumed that lower memory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is affected by retention among memory process(registration-retention-retrieval). And children with ADHD showed poor EIQ, interference index, word fluency/information DI, and FIQ/EIQ DI compared to normal children. Conclusion:Children with ADHD show poor memory function, especially retention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especially interference inhibition and word fluency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lthoug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easure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need to train for children with ADHD to use frontal-executive function, especially behavioral inhibition to enhance the ability and skill of learning. KEY WORDS:ADHD · Intelligence · Memory · Frontal-executive function · Disinhibition. 서 론 Shakespeare의“King Henry VIII”에서 주의력 장 애가 언급된 이후로 1900년대 초부터“주의력결핍 과 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 에 대한 연구가 최근까지 지속적으 *본 연구는 2004년도 계명대학교 비사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본 연구는 2006년도 6월 12~17일 필리핀에서 개최된 제 4회 아시아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 포스터 발표되었음.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aegu †교신저자:jung5301@dsmc.or.kr
  • 2. 로 이루어지고 있다.1) 연구 초기 ADHD 연구에서 그 원인을 뇌 손상으로 본 것에서 시작하여,2) 빈약하거나 손상된 사회적-가정 적 환경에 대한 반응으로 본 것,3) 그리고 정보 처리 이 론을 기본으로 한 지각과 정보 처리의 문제로 보는 것4) 등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다. 하지만 정보 처리 이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ADHD의 경우 지각이나 정보 처리 손상의 문제가 동기나 반응 억제와 관련된 문제라는 것 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지면서,5-8)“탈억제(di-sinhibition)” 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그리고 부 주의(inattention)의 문제는 지각(perception), 여과(fil-tering) 또는 선택(selection)의 문제가 아니라 손상된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의 문제임이 분명해졌다.9) Gray(1982)의 불안의 신경심리학적 모델10)을 기반 으로 하여 ADHD를 뇌의 행동 억제계에서의 손상으로 보는 이론11)과 Logan의“race model”12)을 기본으로 하 여 ADHD 아동이 정상군에 비해 inhibitory process가 activating 또는 primary response에 비해 더 늦은 장 애군으로 보는 이론13)14)이 소개되면서 억제(inhibition) 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였다. 특히 Barkley(1997)는 억제를 실행 기능의 핵심적인 요소로 생각하고, 억제를 기초한 모델을 제시하였다.15) 실행 기능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문제를 해결해 가는 일련의 행동을 유지해 나가는 능력으로, 계획, 행 동의 결정, 목표 설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행동의 관찰과 변화 등의 특수한 행동을 포함하며, 해부 학적으로는 뇌의 전두엽 및 전두엽-피질하 신경망회로 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8) Barkley는 실행 기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억제가 그 기능을 하지 못하면 억제되지 못한 반응(Disinhibited prepotent responses), 보속반응(Perseveration of ongoing responses), 그리고 빈약한 간섭 통제(Poor interference control) 등이 나타난다고 했다. 이와 관 련되어 언어적, 비언어적 작업 기억의 손상 및 미숙한 자기 통제 능력, 재구성 능력의 손상, 운동 통제 및 유 창성의 저하 등을 보이게 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arkley가 이야기한 탈억제 가 실제로 ADHD 아동에서 인지 기능을 적절하게 발 휘 하지 못하는 핵심 문제가 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DHD아동과 정상 아동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관리 기능 등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30 8 -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 참여한 임상 집단은 2005년 5월부터 8 월 사이에 대구 소재 K대학병원 소아 정신과 외래에서 ADHD로 치료 중인 ADHD 복합형 환아들로 구성되었 고, 통제 집단은 2004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대구 시내의 모 초등학교 학생들로 구성되었다(표 1). 먼저 임상 집단의 경우, 실제 참여한 아동의 총 수는 45 명이었으나 검사를 끝까지 수행하지 못하였거나, ADHD 외의 다른 정서 장애가 동시에 진단된 경우, Conners 척도 15점 이하인 경우 등을 제외한 20명의 아동만을 임상 집단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통제 집단의 경우, 임 상 집단의 나이와 성별에 맞는 19명의 아동들을 선별 하여 전체 연구 집단을 구성하였다. 임상 집단의 ADHD 아동의 기준은 DSM-IV의 진단 기준을 근거로 하였고, 소아 정신과 의사 1인에 의해 진단된 후 4주 이상 약 물을 중단하였거나 약물 복용을 하지 않았던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와 관련된 일련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임 상 집단의 경우, 연령은 7세 2개월에서 14세 사이였 으며 남아 17명, 여아 3명이었다(n=20). 그리고 정상 아동군은 담임 교사가 정서적 문제가 없다고 평가하고 ADHD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아동들로서, 연령은 7 세 1개월에서 14세 사이였으며 남아 14명, 여아 5명 이었다(n=19). 2. 통계 방법 ADHD군과 대조군 사이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 관리 기능 검사 결과의 평균 비교분석을 위해 t-test를 사용 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windows version 12 를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정하였다. 3. 도 구 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K-WISC-III)19)20) 본 연구에서는 Wechsler가 1991년에 개정한 Wec- Table 1. Demographic data Characteristics ADHD(N=20) Control(N=19) Age(year) 9.36 9.29 Sex(person) Male 17 14 Female 03 05
  • 3. 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 (WISC-III)를 곽금주 등20)이 한국판으로 번안한 K-WISC- III를 사용하였다. Wechsler 아동용 지능 검사 3판에서 언어성 검사는 상식(Information), 공통성(Si-milarities), 산수(Arithmetic), 어휘(Vocabulary), 이 해(Comprehension)이고, 동작성 검사로는 빠진곳 찾 기(Picture Completion), 기호쓰기(Coding), 차례 맞 추기(Picture Arrangement), 토막 짜기(Block De-sign), 그리고 모양 맞추기(Object Assembly) 등이 다. 이에 더하여 보조 검사(supplementary subtest) 로 언어성 검사에 속하는 숫자외우기(Digit Span), 동 작성 검사에 속하는 동형 찾기(Symbol Research)와 미로(Mazes)가 있다. 그리고 WISC-III는 언어성 지 능과 동작성 지능만 산출하여 활용하였던 WISC-R과 는 달리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에 더하여 소검사를 요 인 분석하여 4가지 요인으로 지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요인 분석하여 얻은 4가지 요인으로는 언어 이해(Ver-bal Comprehension Index[이하 VCI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 지각 조직(Perceptional Organization In-dex[ 이하 POI]: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주의 집중(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이하 FDI]:산수, 숫자 외우기), 처리 속도(Pro-cessing Speed Index[이하 PSI]:기호 쓰기, 동형찾 기) 등이 있다. 언어 이해(VCI)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교육을 통 해 습득된 언어적 지식과 이해를 측정하는 것이고, 이 는 새로운 상황에 언어적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정도 를 반영하는 것이다. 지각 조직(POI)은 수행과 관련된 능력을 측정하는 것 으로서, 제한된 시간 내에서 시각적으로 지각된 자료를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주의 집중(FDI)은 주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능 력과 정신적 통제(mental control)를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처리 속도(PSI)는 집중력과 민첩한 시각-운동 협응 능력을 가지고, 시각적으로 인식된 비언어적 정보를 빨 리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2) Rey-Kim 아동용 기억 검사21) 이 검사는 언어 기억 검사인 K-AVLT(K-Auditory Verbal Learning Test)와 시각 기억 검사인 K-CFT (K-Complex Figure Test)로 구성되어 있다. K-AVLT는 - 30 9 - 15개의 단어를 반복적으로 학습시킨 후 이 단어들에 대한 기억이 얼마나 잘 형성되었는지를 검사 한다. 검사는 5회의 반복 시행, 반복 시행이 끝나고 20 분 후에 진행되는 지연 회상 시행, 지연 회상 직후에 실시되는 지연 재인 시행 순으로 실시한다. K-CFT에서는 복잡한 도형을 학습시킨 후 이 도형 에 대한 기억이 얼마나 잘 형성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복 잡한 도형으로는 RCF(Rey Complex Figure)를 사용 한다. 검사는 그리기 시행, 그리기 시행 직후에 실시되는 즉시 회상 시행, 즉시 회상 시행 20분 후에 실시되는 지 연 회상 시행 순으로 실시한다. 기억지수(Memory Quotient:이하 MQ)는 언어기 억과 시각기억을 합산하여 요약한 점수로 평균이 100, 표준편차 15인 점수로 표준화된다. MQ외에도 기억 검 사 수행의 질을 분석할 수 있는 척도들로, 언어적 기억 단계(등록-유지-인출) 중 어느 단계에서 결함이 있는 지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K-AVLT에서 학습 기울기 (learning curve;시행 5와 시행 1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기억 유지도(memory retention;시 행 5와 지연 회상 시행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 환), 인출 효율성(retrieval efficiency;지연 재인 시 행과 지연 회상 시행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등이 있다. 또한 시공간 기능과 관련된 기억 기능의 변 별을 통해 우반구 기억 기능의 손상 정도를 알아 볼 수 있는 그리기/기억 일치도(drawing/memory consi-stency; K-CFT의 그리기 시행과 즉시 회상 시행의 원점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부분성 기억 장애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언어기억/시각기억 일치도(verbal/ visual memory consistency;K-AVLT와 K-CFT 의 수행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기억력 감퇴를 반 영하는 종합적인 지표인 지능/기억 일치도(intelligence/ memory consistency;IQ와 MQ의 차이를 백분위로 전환) 등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3) Kims 아동용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22)23) 이 검사는‘스트룹검사’,‘단어유창성’,‘도안유창성’, ‘인출효율성’의 4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는데, 각각의 소 검사는 복잡한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과제를 대표한 다. 각 소검사에는 통제과제 점수, 실험과제 점수, 차이
  • 4. 점수가 각각 하나씩 있다. 예를 들어‘스트룹검사’에서 통제과제 점수는 단순시행의 반응시간, 실험과제 점수 는 간섭시행의 반응시간, 차이점수는 간섭시행의 반응 시간에서 단순시행의 반응시간을 뺀 차이다. 각 소검 사에서 통제과제 점수는 하위 인지기능만을 반영하는 점수, 실험과제 점수는 관리기능과 하위 인지기능을 함께 반영하는 점수, 차이 점수는 관리기능만을 반영하 는 점수로 가정된다. 오류점수는 각 소검사에서의 피 검자들의 오류 반응을 점수화 한 것으로 4개가 있다. 관 리지능(Executive IQ:이하 EIQ)은 Executive intel-ligence test(EXIT)의 전체 요약점수로 4개의 실험과 제 점수, 4개의 차이 점수, 4개의 오류 점수를 종합적 으로 반영하여 산출된다. 특히 전체 요약 점수인 EIQ는 피검자 수행의 양적 측 면과 함께 전두엽 증후군의 특이한 반응을 반영하는 질 적 점수로 구성된다. 양적 점수는 피검자의 수행의 양 적 측면, 예를 들어 스트룹 검사에서 단순 시행, 중간 시행, 간섭 시행에서 얼마나 빨리 오류가 없이 잘 반응 하였는가 등과 같은 양적 측면만을 반영하지만, 질적 점수는 양적 점수를 활용하여 전두엽 기능 손상을 반 영할 수 있는 지표이다. 질적 점수로는, 스트룹 검사에 서 산출되는 간섭 억제 지표(interference index;단 순 시행 반응시간(RT)-간섭 시행 반응 시간), 오류 억제 지표(error index;간섭 시행 시 오반응수) 등이 있고, 단어 유창성 검사에서 단어/상식 일치도(word fluency/information DI[difference index];단어 유 창성 환산 점수에서 K-WISC-III의 상식 환산 점수 를 뺀 차이), 반복 억제 지표(repetition index;연상 된 단어 중 동일한 어근이나 단어가 반복된 경우의 개 수), 비어 억제 지표(vulgarism index;연상된 단어 중 비어의 갯수) 등이 있다. 그리고 도안 유창성의 경우, 도안/빠진곳 찾기 일치도(word fluency/picture com-pletion DI;도안 유창성 환산점수에서 K-WISC-III 의 빠진곳 찾기 환산 점수를 뺀 차이), 도안 반복 지표 (design fluency repetition index;고안된 도안 중 동일한 모양의 그림 수) 등이 있으며, 기억의 경우, 인 출 효율성 지표(retrieval efficiency index;지연 재 인 갯수-회상 갯수)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지능/ 관리지능 일치도(FIQ/EIQ DI)로, 관리 지능과 지능의 차이 점수로 구성되는데, 관리 지능과 지능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전두엽 관리 기능이 저조한 것을 의미한 다. 그리고 EIQ의 경우,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5 인 점수로 표준화되고, EIQ 산출을 위한 연령 구분이 7~15세로 K-WISC-III 와 유사하다. 4) 단축형 Conners 부모평정척도24)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위 평가 도구는“차분하지 못 하고 너무 활동적이다”,“주의력이 없고 쉽게 주의 분 산이 된다” 등의 ADHD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적 특 징들을“전혀없음”,“약간”,“상당히”,“아주 심함”의 4 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각 문항에“전혀 없 음”은 0점,“약간”은 1점,“상당히”는 2점, 그리고“아 주 심함”은 3점으로 환산하여, 이들 점수를 합산하여 총 점수를 산출하였다. 전 항목 평점 합계가 16점 이상 (부모 평정시)일 경우 ADHD를 의심해 볼 수 있다. - 31 0 - 결 과 1.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K-WISC-III 결과 비교 1) 지능 지수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 능, 동작성 지능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전체 지능 t=0.65, p>0.05, 언어성 지능 t=0.37, p>0.05, 동작성 지능 t=0.92, p>0.05)(표 2). 2) 지능 검사의 4요인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K-WISC-III의 4요인 을 비교 분석한 결과, PSI를 제외한 모든 변인은 유의 Table 2. Comparisons of IQ, VIQ, PIQ in K- WISC-III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IQ 101.05(18.23) 104.47(14.28) 0.65 0.519 VIQ 101.80(15.73) 103.63(15.10) 0.37 0.713 PIQ 099.90(18.98) 104.58(12.39) 0.92 0.366 Table 3. Comparisons of VCI, POI, FDI, PSI in K-WISC-III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VCI 101.55(14.59) 101.68(14.38) 0.03 0.977* POI 100.35(20.24) 104.89(11.17) 0.86 0.394* FDI 094.15(18.83) 104.58(13.83) 1.96 0.057* PSI 093.80(13.58) 102.42(12.29) 2.08 0.045* *:p<0.05
  • 5.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FDI(t=1.96, p>0.05)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PSI(t=2.08, p<0.05)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표 3). Table 4. Comparisons of memory quotient and subscales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MQ 89.65(17.34) 101.63(12.36) 2.47 0.018* Trial 1 09.05(03.10) 009.32(02.43) 0.30 0.768* Trial 2 09.10(02.57) 009.47(02.72) 0.44 0.662* Trial 3 09.40(03.10) 009.42(02.29) 0.02 0.981* Trial 4 09.10(03.28) 009.42(02.36) 0.35 0.729* Trial 5 09.05(02.87) 009.53(02.48) 0.55 0.584* Delayed recall 08.00(03.15) 009.95(01.78) 2.36 0.024* Delayed recognition 08.60(03.69) 010.63(02.50) 2.00 0.053* Visual Immediate recall 08.30(02.74) 010.11(01.88) 2.39 0.022* Visual delayed recall 08.55(03.12) 010.32(02.19) 2.04 0.049* *:p<0.05 - 31 1 - 2.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기억 평가 비교 1) 하위 수행 및 전체 기억 점수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기억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억 지수(t=2.47, p<0.05), 지연 회상 (t=2.36, p<0.05), 시각-즉시 회상(t=2.39, p<0.05), 시각-지연 회상(t=2.04,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언어적 기억 수행 자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적 지연 회상과 시각적 즉시 회상, 시각적 지연 회상에서 더욱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언어적 지연 재인은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2.00, p> 0.05), 평균 지연 재인 단어 목록이 정상 아동에 비해 ADHD 아동에서 적은 경향이 있었다(Mean±SD;AD-HD= 8.60±0.73, Control=10.36±2.50)(표 4). 2) 기억-차이 척도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기억-차이 척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억 유지도 (t=-2.07, p<0.05)와 지능- 기억 일치도(t=-2.05, p<0.05)를 제외한 다른 하위 척 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5). 3.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두엽 관리 기능 평가 비교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전두엽-관리 기능 평가 를 비교한 결과, EIQ(t=4.87, p<0.05), 간섭 억제(t= -2.59, p<0.05), 단어-상식 일치도(t=2.30, p<0.05), 일반지능-관리지능 일치도(t=6.37, p<0.05) 등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여 실제로 ADHD 아동의 관리 기능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표 6). 고 찰 본 연구에서 ADHD 아동은 정상 아동과 비교해 볼 때 전체 지능이나 언어성, 동작성 지능이 특별히 뛰어 Table 5. Qualitative comparisons of Rey-Kim memory test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t p Learning curve 05.45(02.42) -5.89(1.49) -0.69 0.496* Memory retention 01.75(02.05) -0.53(1.61) -2.07 0.046* Retrieval efficiency 04.40(02.95) -3.89(1.41) -0.68 0.502* Drawing/Memory consistency 11.13(05.72) -12.73(5.41) -0.90 0.373* Verbal/Visual memory consistency 00.10(07.04) 0-1.00(3.79) -0.60 0.550* Intelligence/Memory consistency 11.35(12.45) -04.05(9.53) -2.05 0.048* *:p<0.05
  • 6. 나거나 저조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실제로 다른 많은 연구들에서도 검증된 것으로 주 의력 결핍 자체가 지능 저하를 초래하지는 않는 것 같 다. 그렇지만 기억력의 경우에는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고, 기억-차이 척도 중 기억 유지도 역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억 검사에서 15개의 단어를 기억하는 시행 1과 시행 5 과 정에서는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이 수행에 전혀 차이 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기억-차이 척도 중 기억 유지 도에서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억 평가에서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저조한 수행을 보인 것이 과제를 기억하 는 과정 중 등록이나 인출이 아닌 기억 유지에 어려움 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결과가 초래 된 것일까? 기억 유지는 단기 기억에서 저장되었던 자 료를 장기 기억으로 옮기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고, 이 과정에서는 기억해야 하는 과제에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면서 리허설(rehearsal)이나 인지적 책 략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자료나 과제를 장기 기억으 로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단기 기억에서 장기 기억으 로 자료를 저장하는 과정이나 장기 기억에 있던 자료 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잠시 떠올리는 것을 최근 에는 작업 기억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작업 기 억은 전두엽-관리 기능에 속하는 기능으로 억제가 잘 기능할 때에 언어적, 비언어적 작업 기억이 잘 기능하 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억제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 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작업 기 억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고, 이는 어떤 자료나 사 건을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되새기며 그 과제를 효율적 으로 장기기억에 저장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 게 한다. 즉 ADHD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자료의 등록 과정이나 인출 과정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이지 않 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기억 능력이 저조한 것은 억 제 능력이 부족한 ADHD 아동들이 기억 과제에 지속 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그 문제를 생각하면서 장기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사고 정교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ADHD 아동에서 억제가 강력하게 작 용하는, 작업 기억이 관여하는 기억 유지에 어려움이 있 음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억제의 어려 움은 전두엽 관리 기능 검사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즉 전두엽-관리 기능 검사 중 간섭 억제 지표나 단어-상식 일치도에서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수 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ADHD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자신이 처리해야 하는 과제에만 초점화하는데 어 려움이 있고, 언어적 유창성이나 발산적 사고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연구방향을 제안하면, 첫 째, 본 연구에서 대상수가 적은 제약점이 있었으므로 좀 더 많은 대상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행동 억제가 기능하는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 - 31 2 - Table 6. Comparisons of frontal-executive function ADHD(N=20) Control(N=19) Mean(SD) Mean(SD) t p EIQ -76.10(21.07) 104.63(14.80) -4.87 0.000** Interference Index -23.95(14.75) 014.37(06.74) -2.59 0.014** Error Index -03.95(02.98) 002.58(01.50) -1.80 0.080** Word fluency/Information DI -02.00(02.55) -0.26(02.13) -2.30 0.027** Repetition Index -01.75(02.00) 001.32(01.34) -0.79 0.432** Vulgarism Index -00.05(00.22) 000.00(00.00) -0.97 0.336** Design fluency/Picture completion DI -02.05(04.68) 000.37(03.06) -1.90 0.066** Design fluency/Repetition Index -03.30(05.56) 001.68(01.57) -1.22 0.229** Retrieval efficiency Index -04.55(02.61) 003.63(01.64) -1.31 0.198** FIQ/EIQ DI -25.25(15.59) -0.58(06.83) -6.37 0.000** Word fluency/Design fluency DI -00.95(03.71) -0.21(02.25) -0.74 0.459** *:p<0.05, **:p<0.001. EIQ: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DI:Difference index, FIQ: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 7. 다는 증거가 있으므로25) 남녀 구분하여 기억 및 전두 엽 관리기능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약 물치료나 학습훈련 등의 치료적 개입 이후 실행기능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억제와 관련된 능력 훈련과 같은 치료적 개입의 효능성에 대한 근거 또한 파악할 수 있 으리라 생각된다. - 31 3 - 결 론 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은 지능에서 두드러진 차이 를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ADHD 아동은 기억력 과 전두엽-관리 기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 아동은 기억의 세 단계(등록-유지-인출) 중 작업기억이 요구되는 기억 유지 과정에서 정상 아 동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이와 일관 되게 전두엽-관리 기능, 특히 간섭 억제 및 단어 유창 성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로 ADHD 아동의 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두엽-관리 기능 특히 억제와 관련된 능력 을 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지능·기억·전 두엽실행기능·탈억제. 참 고 문 헌 1) Barkley RA. Child psychopathology. 2nd edition. New York: The Gilford Press; 2003. 2) Kessler JW. History of minimal brain dysfunction. In: Rie HE, Rie ED, editors. Handbook of minimal brain dysfunctions: a critical view . New York: Wiley & Sons; 1980. p.18-52. 3) Biederman J, Faraone SV, Monuteaux MC. Differential effect of environmental adversity by gender: Rutter’s index of adversity in a sample of boys and girls with and without ADHD. Am J Psychiatry 2002;159:1556-62. 4) Hazell PL, Carr VJ, Lewin TJ, Dewis SA, Heathcote DM, Brucki BM. Effortful and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in boy with ADHD and specific learning disorders.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9;Feb 40: 275-86. 5) Barkley RA, Grodzinsky G, Dupaul GJ.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J Abnorm Child Psychol 1992;Apr 20:163-88. 6) Schachar RJ, Logan GD. Impulsivity and inhibitory control in normal development and childhood psycho-pathology. Dev Psychol 1990;26:710-20. 7) Sergeant JA, Scholten CA. On resource strategy limi-tations in hyperactivity: cognitive impulsivity reconside-red.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85;26:97-109. 8) Segeant JA, Scholten CA. On data limitations in hy-peractivity.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85;26:111-24. 9) Baddeley A. Working memoy. In M.S. Gazzaniga(Eds), The cognitive neurosciences.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995. 10) Gray JA. The psychology of fear and stress(2nd ed).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1987. 11) Quay HC. Inhibi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Abnorm Child Psychol 1997;Feb 25:7-13. 12) Logan G, Cowan WB. On the ability to inhibit thought and action: A theory of an act of control. Psychol Rev 1984;91:295-327. 13) Schachar R, Tannock R, Logan G. Inhibition, impulsi-venes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lin Psychol Rev 1993;13:721-39. 14) Schachar R, Tannock R, Marriott M, Logan G. Defi-cient inhibitory control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Abnorm Child Psychol 1995;23:411-37. 15) Barkley RA. Behavior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construction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 Bull 1997;121:65-94. 16) Denckla MB. A theory and model of executive func-tion: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 In G. R. Lyon & N.A. Krasnegor(Eds.),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Baltimore, MD: Paul H. Brookes; 1996. p.263-77. 17) Denckla MB. Biological correlates of learning and att-ention: What is relevant to learning disabilit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Dev Behav Pe-diatr 1996;17:114-9. 18) Smith EE, Jonides J, Koeppe RA. Dissociating verb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using PET. Cereb Cortex 1996;11:11-20. 19) Jerome MS. Assessment of Children: Cognitive Appli-cations. 4th edition. San Diego: Jerome M. Sattler Pu-blisher, Inc; 2001. 20)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 특수 교육; 2001. 21) 김홍근.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경심리; 2004.
  • 8. 22) 김홍근.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 - 31 4 - 사: 해설서. 대구: 도서 출판 신경심리; 2004. 23) 김홍근. 전두엽 증후군의 임상 평가: Kims 전두 엽-관리 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 재활심리 연구 2001;8:173-90. 24) 오경자, 이혜련.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증 평가도 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의 활용. 한 국심리학회지:임상 1989;8:135-42. 25) Seidman LJ, Biederman J, Faraone SV, Weber W, Mennin D, Jones J. A pilot study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girls with ADHD. J Am Acad Child Ado- lesc Psychiatry 1997;36:36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