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9
Download to read offline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pp. 99~126,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서 정 은 ⋅ 박 혜 원† 
울산대학교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울산 지역의 일반 아동 101명과 주의문제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 중 
‘주의전환’을 살펴보면 일반유아에서는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밝 
혀졌다. 반면에 주의문제 유아는 내면적 동기화와 관련된 자기정서의 이용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주요어: 정서지능, 실행기능, 주의문제아동 
†교신저자: 박혜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교수, e-mail: hyewonc@ulsan.ac.kr 
- 99 -
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Ⅰ. 서론 
사회적 성공에는 지적인 능력 외에도 다른 사람과 적절한 관계형성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며 이러한 사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공유가 중요해 
지는 21세기에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사회적으로 ‘성공’을 하기 위해서 
는 공부를 잘하고 지적 능력이 뛰어난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여겨졌지만 현대에 
는 삶 속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갈등 상황에 능숙하게 대처하고 사회생활에서의 
적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며 따라서 정서지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곽윤정, 2004). 여기서 정서지능이란 용어는 1990년초 Salovey와 Mayer(1990)가 처음 
으로 사용하였으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표현하며 삶을 고양시키 
는 방향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정의되었다. 
Goleman(1995)은 정서발달이 이루어지는 유아기를 매우 중요한 시기로 보고 있고, 
그 중요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지하는 능력인 유아들의 정서 
지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가 또래나 교사 등 주변 사람들과 긍 
정적인 관계를 맺고 그러한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환경에 조화롭게 
적응해 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유아 스스로가 즐거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요소이 
기도 하다. 
또한 정서지능은 자기 통제, 열정, 인내력, 그리고 자신에 대한 동기 부여 등을 통 
칭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는데 정서지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을 보면 자신의 정서를 
잘 이해하고, 정서조절을 잘하는 정서 지능이 높은 아동은 학업은 물론 친구관계를 
비롯한 사회적 관계를 잘 형성한다고 밝히고 있다(Casey & Schlosser, 1994; 
Eisenberg, Fabes, & Losoya, 1997; Goleman, 1995; Losoya, 1994). 이와는 반대로 쉽 
게 긴장하고, 불안해하며, 주의가 산만한 부정적 정서를 자주 나타내는 이른바 정서지 
능이 낮은 아동은 새로운 상황에 지나치게 수줍어하거나 위축되는 것과 같은 내면화 
문제나 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등의 외면화 문제를 보이게 된다(Eisenberg et al., 
1997, Losoya, 1994). 이러한 정서지능이 낮은 아이들에게서 보이는 특성은 주의문제 
유아가 보이는 특성들과 유사한 점이 많으며, 이는 주의문제 유아가 보이는 충동성과 
산만함, 과잉활동적인 특징들은 낮은 정서지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주의 
문제 아동은 세부적인 면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학업이나 다른 활동을 할 때, 심 
지어는 놀이를 할 때조차 지속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어려워한다(Barkley, 1995). 
실제 Casey와 Schlosser(1994)는 정서지능은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인 주의문제 유 
아에게는 더욱 부족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주의문제유아들은 이들의 산만함과 충동적인 행동들로 인하여 부모를 비롯한 교사, 
또래들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게 되며 이는 낮은 자존감과 학업성취도 등 또 다른 
- 100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3 
문제로 발전되기도 한다(Mcgee & Share, 1998). 특히 새로운 세계에 대하여 학습하고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자신의 즉각적인 반응들을 
억제할 수 없거나 행동을 하기 전에 생각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며 계획적이지 못하 
고 인내력이 부족하여 전반적인 문제 해결능력의 부족과 같은 실행기능의 결함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실행기능은 사고와 행동의 모니터와 통제에 적용되 
는 과정으로 자기 통제, 계획성, 행동 조직, 인지적 융통성, 실수 탐색과 수정, 반응 억 
제, 방해 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구성되며 사고와 행동 반영하기, 현재 즉각적 상황으 
로부터 거리두기, 현저하지만 잘 유도하는 자극 억제하기 등의 능력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Calson & Moses, 2002). 이러한 능력은 사회적 상황에서는 정서지능과 밀접 
할 수 있다. 정서지능은 자신의 정서를 정확히 인식한 후 이를 적절하게 이용하는 능 
력인데 주의 장애 아동은 부적절한 주의력과 실행통제 능력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상 
황을 살피고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배려하는 것 또한 어려울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 
러한 관계가 일반 아동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실행기능 연구들이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령 전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걸음마기 아동, 학 
령전기 아동도 문제 해결 상황에서 실행 기능적 능력을 사용하며, 실행기능이 발달 
초기부터 중요하며 상이한 실행 기능적 능력이 아동 초기에 발달한다는 결과들이 보 
고되고 있다(Welsh, Pennington, & Grossier, 199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문제 
아동의 정서지능과 실행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일반 아동과는 어떠 
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정서지능 및 실행기능에 결함이 있는 아동 
이 정서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로 발전하는데 있어 예방적, 중재적 개입 
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되 
지 못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 
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 비언어성지 
- 101 - 
능은 차이가 있는가? 
1)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라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2)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라 실행기능은 차이가 있는가? 
3)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라 비언어성 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Ⅱ. 연구방법 
- 102 - 
구분 
일반유아 주의문제 유아 
빈도(%) 빈도(%) 
연령 
3세~4세 
남 23(46.0) 21(84.0) 
여 26(51.0) 4(16.0) 
합계 49(100.0) 25(100.0) 
5세~7세 
남 27(54.0) 19(76.0 
여 25(49.0) 6(24.0) 
합계 52(100.0) 25(100.0) 
출생순위 
외동 13(12.6) 7(16.7) 
첫째 35(35.7) 13(31.0) 
둘째이상 50(48.5) 22(52.4) 
합계 98(100.0) 42(100.0) 
부학력 
고졸이하 26(26.5) 17(41.5) 
전문대졸 30(30.6) 9(22.0) 
4년제 대졸이상 42(42.9) 15(36.6) 
합계 98(100.0) 41(100.0) 
모학력 
고졸이하 26(26.5) 17(41.5) 
전문대졸 30(30.6) 12(29.3) 
대졸이상 42(42.9) 12(29.3) 
합계 98(100.0) 41(100.0) 
월 평균 소득 
200만원 이하 10(10.2) 6(15.4) 
2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 
39(39.8) 11(28.2) 
400만원 이상 
~ 600만원 미만 
35(35.7) 13(33.3) 
600만원 이상 
~ 800만원 이상 
10(10.2) 7(17.9) 
800만원 이상 4(4.1) 2(5.1) 
합계 98(100.0) 41(100.0)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과 사립어린이집, 사립유치 
원의 정규과정과 방과후 과정에 다니는 만 3세-7세사이의 아동 151명이다. 먼저 주의 
문제 아동을 선별하기 위하여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질문지 
를 배부하였다. 총 613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분석한 결과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점수 상위 7%(50명)의 아동 주의문제 집단으로 정의하여 선정하였다. 일반집단은 나 
머지 아동 중 무작위로 선정된 101명이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 
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5 
2. 측정도구 
1)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는 주의문제 유아가 보이는 다양한 행동문제를 평가하기 위 
해 1970년 Conners가 제작한 93문항의 평정척도를 Goyette, Conners 그리고 Urich(1978) 
가 10문항으로 축약하여 개정한 것이다. 이 척도에서는 ADHD의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 
적 특징들을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평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전체점수 상위 7%에 해당하는 유아를 주의 
문제 유아로 정의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Cronbach α는 
.90이다. 
2)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아동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ey와 Mayer(1996)가 수정 제안한 정서지 
능의 개념모형을 토대로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용 평정척도를 선택한 것은 첫째, 유아의 발달특성상 정의적 영역을 
평가할 때 성인과 같이 자기보고식 검사, 또는 검사지를 통해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다고 보았으며 둘째는 유아의 능력에 대한 교사의 평가가 어머니의 평가와 비교 
하였을 때 보다 일관성이 있으며 객관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는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의 6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별로 ‘전혀 그렇 
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평정된다.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과 신뢰도는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으며, 각 척도의 세부 내용은 표 2에 제시하였 
는데 각 하위요인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 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에 대한 Cronbach α는 .95였다. 
표 2.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 α 
- 103 - 
자기정서의 이용 12 
18, 19,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92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10 32, 33, 34, 35, 36, 37, 38, 39, 44, 48 .91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9 1, 2, 3, 4, 5, 6, 7, 8, 9 .92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9 11, 12, 13, 14, 15, 16, 17, 20, 21 .81 
교사와의 관계 5 20, 40, 41, 42, 43 .86 
또래와의 관계 5 45, 46, 47, 49, 50 .85
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3.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내용 
하위요인 내용 
- 104 - 
자기정서의 이용 
유아가 스스로 동기화 되어 당장의 작은 결과가 아닌 
보다 큰 만족과 성취를 위하여 노력하고, 자율적이며 
인내심을 갖는다.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여 그에 
따라 배려할 수 있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자신이 느끼는 정서를 인식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적절 
히 표현한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충동 특히, 분노를 억 
제할 수 있다. 
교사와의 관계 교사와 원만하고 바람직한 관계를 맺는다. 
또래와의 관계 
또래와 원만하고 좋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바람 
직한 관계를 맺는다. 
3) 유아용 실행기능 행동평가검사(BRIEF-P) 
BRIEF-P(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는 
가정 또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부모 또는 교 
사가 평정할 수 있으며 수행시간은 10-15분 정도 소요된다(Guy, Isquith, Gioia, & 
Kenworthy, 2001). BRIEF-P는 5개의 임상적 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아 실행기능 
의 다양한 영역을 측정한다. 5개의 임상적 척도는 억제, 주의전환, 감정조절, 작업기 
억, 계획조직을 포함하며 총 63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5개의 임상적 척도는 다 
시 3개의 요인(기억조절, 유연성, 초기 상위인지)와 하나의 총점(Global Executive 
Composite)을 구성한다. 실행기능 행동평가 검사(BRIEF-P)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 
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실행기능에 따른 기능적 장애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모 
든 문항은 역산하여 점수를 계산하였다. 
이미 외국연구를 통해 BRIEF-P가 실행기능의 장애를 예상하는데 성공적임이 밝혀 
진 바 있다(Di Pinto, 2006).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BRIEF-P를 이용한 집 
단 간 실행기능의 비교연구 사례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BRIEF-P의 척도별 내용 및 신뢰도 계수는 표 4,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7 
표 4. 실행기능(BRIEF-P)의 척도별 내용 
- 105 - 
하위 
영역 
내용 
억제 
억제 척도는 반항적, 충동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능력과 적당한 때에 자 
신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주의전환 
주의전환 척도는 문제가 발생한 어떤 상황이나 활동으로부터 또 다른 
상황으로 자유롭게 옮겨갈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주의전환의 핵심 
은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하고 전환시키는 것이다. 
감정조절 
감정조절 척도는 정서적 영역에서 실행기능의 발현을 다루고,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유아의 능력을 평가한다. 정서조절이 빈약할 경 
우, 정서적 불안정성 또는 정서적 폭발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작업기억 
작업기억 척도의 문항들은 과제를 완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수 
용하기 위한 용량을 측정한다. 
계획조직 
계획조직 척도는 현재, 그리고 지향과제를 다루기 위한 유아의 능력을 
측정한다. ‘계획’ 요인은 미래의 사건 예측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과제 
또는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필요한 적절한 계획을 세우는 것 
이다. 또한 ‘조직’ 요인은 계획 요인과 연관되어 학습 또는 상호작용 정 
보의 주요 아이디어 또는 핵심 개념을 인식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 
을 의미한다. 
표 5. BRIEF-P의 척도별 신뢰도 
하위범주 문항번호 신뢰도 
억제 
3,8,13,18,23,28,33,38,43,48, 
52,54,56,58,60,62 
.97 
주의전환 5,10,15,20,25,30,35,40,45,50 .92 
감정조절 1,6,11,16,21,26,31,36,41,46 .94 
작업기억 
2,7,12,17,22,27,32,37,42,47, 
51,53,55,57,59,61,63 
.97 
계획조직 4,9,14,19,24,29,34,39,44,49 .93
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4) 비언어적 지능검사(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2: CTONI-2) 
이 검사는 6세 0개월~89세 11개월의 사람들에게 사용하여 비언어적 인지능력을 측 
정하는 검사도구로 연구용이나 장애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언어적 지능이란 
언어와 별개로 존재하는 능력이며, 지능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인간의 능력을 의미한 
다(Hammill, Pearson, & Wiederhold, 1997). 비언어적 지능검사는 언어장애, 청각장애, 
신경학적인 손상이 있는 사람, 경제적인 무능력자 또는 대부분의 다른 지능검사가 부 
적합하거나 편향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평가하기에 가장 유용하다. 이 도구는 비 
언어적인 지적 능력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측정방법이 서로 다른 여섯 개의 
하위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소검사를 살펴보면, 분석적 추론 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유추와 도형 유추, 범주적 분류화로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범 
주와 도형범주, 순차적 추론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순서, 도형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도구는 검사 기록용지 1부, 검사도구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의 시행 
방법은 표 6에 제시되어 있으며, 채점은 연습문항을 제외한 후 천정문항에서 실수한 
수를 뺀 점수를 말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원점수를 합한 값을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표 6. 비언어적 지능검사(CTONI-2) 시행방법 
검사도구 시행방법 
- 106 - 
유추 
소검사 
예제 A를 보여주며 “(상단의 첫 번째 그림을 가리키며) 이 그림과 (두번째 그림을 가리키 
며) 이 그림의 관계는 (세 번째 그림을 가리키며) 이 그림과 아래 어느 그림의 관계와 같 
을까요? (페이지 하단의 그림들을 손가락으로 짚어가면서) 답을 가리켜 보세요.”라고 말한 
다. 예제 B로 가서 동일한 설명을 하고, 예제 C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해 보세요.” 라고 
말한다. 유아가 최소 1개의 연습 항목에 대해 정답을 말할 경우, 항목 1로 가서 “나머지도 
혼자서 해 보세요. 각 페이지에서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고 말한 
다. 본 검사에서 유아의 오답이 3개 연속으로 나올 때까지 검사를 계속한다. 
범주 
소검사 
예제 A를 보여주며 “(상단의 그림을 가리키며) 이 2개의 그림은 어떤 면에서 비슷합니다. 
이 중 어느 것이 (페이지 하단의 선택 항목 위로 손가락을 짚에 가면서) 위에 있는 두 개 
의 그림과 가장 비슷할까요? (상단의 2개 그림 사이의 빈 상자를 다시 가리키면서) 빈 상 
자 안에 들어갈 그림을 가리켜보세요.”라고 말한다. 예제 B로 가서 동일한 설명을 하고, 
예제 C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해 보세요.” 라고 말한다. 유아가 최소 1개의 연습 항목에 
대해 정답을 말할 경우, 항목 1로 가서 “나머지도 혼자서 해 보세요. 각 페이지에서 정답 
이라고 생각하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고 말한다. 본 검사에서 유아의 오답이 3개 연 
속으로 나올 때까지 검사를 계속한다. 
순서 
소검사 
예제 A를 보여주며 “(페이지 하단의 상자 위로 손가락을 짚어 가면서) 이 중 어느 것이 
(상단의 빈 상자를 가리키며) 이 상자 안에 들어가야 할까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 
고 말한다. 예제 B로 가서 동일한 설명을 하고, 예제 C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해 보세요.” 
라고 말한다. 유아가 최소 1개의 연습 항목에 대해 정답을 말할 경우, 항목 1로 가서 “나 
머지도 혼자서 해 보세요. 각 페이지에서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 
고 말한다. 본 검사에서 유아의 오답이 3개 연속으로 나올 때까지 검사를 계속한다.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9 
- 107 -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0년 7월부터 10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먼저 비언어적 지능검사 
(CTONI-2)를 위한 검사자 훈련이 이루어졌고 동시에 S어린이집에서 무작위로 선출 
된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적 지능검사(CTONI-2)에 대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 
다. 같은 시기에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유아 정서 지능 평정척도, 유아용 실행기 
능 행동평가검사(BRIEF-P)는 Y유치원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유아 15명의 해당 담임 
교사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절차를 확정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9월중 아동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를 실 
시하여 일반집단과 주의문제 집단을 선정하였다. 10월중 본 연구자가 해당기간을 직 
접 방문하여 담임교사에게 설문지의 내용과 응답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얻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기관에 방문하 
여 회수하였다. 또한 같은 기간 연구대상에게 본 연구자를 포함한 아동전공 석사과정 
생 4인에 의해 비언어적 지능검사(CTONI-2)를 실시하였다. 
4. 자료처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와 비언어성 지능(CTONI-2), 정서지능 
및 행기능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집단별 비언어성 지능, 정서지능, 실행기능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별 비언어성 지능과 정서지능, 실행기능이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집단별 비언어성지능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한 후, 집단에 따른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정 
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한 후, 집단별 정서지능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 비언어성 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보고 정서지능, 실행기능간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정서지능과 상관이 있는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한 후의 편상관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에서 실행기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1.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 비언어성 지능의 차이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와 변량분석 결과는 표 7에 제시하였다. 
집단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이 
186.52(SD=25.25)로,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 165.62(SD=20.50)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도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총점의 평균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 
은 176.52(SD=24.16), 여아는 178.04(SD=31.22)로 나타났으며, 5~7세에서는 남아의 평 
균이 189.63(SD=21.43)로 나타났고, 여아는 210.10(SD=14.16)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총점의 평균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162.14(SD=20.28)이고, 여아는 167.50(SD=36.68)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165.37(SD=16.55), 여아는 177.33(SD=21.51)로 나타났다. 
유아의 집단과 연령 및 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정서의 이용(F(1, 143)=11.84, p<.01)’,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F(1, 143)=35.79, p<.001)’,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F(1, 143)=51.77, 
p<.001)’, ‘또래와의 관계(F(1, 143)=6.73, p<.05)’, ‘정서지능 총점(F(1, 143)=15.37, 
p<.001)’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F(1, 143)=7.50, p<.01)’,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F(1, 143)=6.90,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 모두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과 감정의 조절 및 충 
동억제에서 3세-4세보다 5세-7세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실행기능수행과 변량분석결과는 표 8에 제시하였다. 
실행기능의 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실행기능 총점 평균이 
280.59(SD=29.37)로, 주의문제 유아의 실행기능 총점 평균 218.94(SD=26.09)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의 평균도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감정조절 평균은 44.74(SD=5.31)이고, 여아는 44.81(SD=5.00) 
이며, 5~7세 남아는 42.63(SD=5.00), 여아는 44.64(SD=6.18)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작 
- 108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1 
업기억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75.96(SD=9.37)이고, 여아는 77.65(SD=8.23)이 
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73.04(SD=9.15), 여아는 79.24(SD=7.85)로 나타났다. 억제를 살 
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71.35(SD=8.33)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73.35(SD=7.03)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67.11(SD=8.40), 여아는 74.20(SD=6.68)로 나타났다. 주의전환에서 
는 3~4세 남아의 평균이 43.70(SD=5.61)이고, 여아는 45.00(SD=5.34)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43.00(SD=45.38), 여아는 43.76(SD=7.23)으로 나타났다. 계획조직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이 44.48(SD=5.63)로 나타났고, 여아는 45.15(SD=5.17)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43.56(SD=4.90), 여아는 45.68(SD=6.36)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280.22(SD=31.45)이고, 여아는 285.96(SD=27.12)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269.33(SD=26.54), 여아는 287.52(SD=30.58)로 나타났다. 일반유 
아의 성에 따른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은 남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에 따라서는 3~4가 5~7세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 
보면, 3~4세 남아의 감정조절 평균은 33.52(SD=4.28)이고, 여아는 32.25(SD=4.43)이며, 
5~7세 남아는 33.68(SD=4.66), 여아는 35.83(SD=5.7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작업기억 
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59.67(SD=9.12)이고, 여아는 64.00(SD=14.31)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59.95(SD=9.18), 여아는 68.00(SD=13.34)로 나타났다. 억제를 살 
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49.52(SD=6.52)로 나타났고, 여아는 53.25(SD=15.02)이 
며, 5~7세 남아의 평균은48.16(SD=6.83), 여아는 56.17(SD=9.66)로 나타났다. 주의전환 
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36.57(SD=4.99)이고, 여아는 36.25(SD=.50)이며, 5~7세 남 
아의 평균은 39.26(SD=5.64), 여아는 42.00(SD=4.57)으로 나타났다. 계획조직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34.95(SD=4.27)로 나타났고, 여아는 39.75(SD=6.95)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4.58(SD=6.48), 여아는 39.50(SD=6.95)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214.24(SD=21.02)이며, 여아는 225.50(SD=38.13) 
으로 나타났고, 5~7세 남아의 평균은 215.63(SD=25.07), 여아는 241.50(SD=31.47)으로 나타났 
다. 주의문제 유아의 성에 따른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은 3~4세에서 감정조절, 주의전환을 제외 
하고는 남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억제를 제외하고는 3~4세보 
다 5~7세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실행기능의 변인별 차이를 보기 위해 변량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면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의전환’에서 집단×연령 
(F(1, 143)=4.97, p<.05)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유아 
에서는 3세-4세가 5세-7세보다 ‘주의전환’이 높게 나타났으나 주의문제 유아에서는 3세 
-4세보다 5세-7세가 ‘주의전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작업기억(F(1, 143)=7.28, p<.01)’, ‘억제(F(1, 
143)=10.79, p<.01)’, ‘계획조직(F(1, 143)=7.43, p<.01)’, ‘실행기능 총점(F(1, 143)=7.15,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 모두 남아 
- 109 -
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보다 여아가 더 높은 실행기능을 나타내었다(표 8 참조). 
집단, 연령,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수행과 변량분석결과는 표 9에 제시하였다. 
집단, 연령,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수행은 다음과 같다. 표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비언어성 지능의 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비언어성 지능 평균이 
39.75(SD=15.57)로, 주의문제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 평균 32.04(SD=14.62)보다 높게 나 
타났다.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 
아는 31.57(SD=10.82)이고, 여아는 28.27(SD=12.23)이며, 5~7세 남아는 46.15(SD=12.23), 
여아는 52.32(SD=12.94)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의 평균은 3~4 
세에서는 여아보다 남아가 높게 나타났으나, 5~7세에서는 여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 
에 따라서는 3~4세보다 5~7세가 높게 나타났다(표 9 참조).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아는 23.67((SD=11.99)이고, 여아는 32.25(SD=9.98)이며, 5~7세 남아는 36.37 
(SD=10.44), 여아는 47.50(SD=20.42)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성에 따른 비언어 
성 지능의 평균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3~4세보다 5~7세가 높게 
나타났다(표 9 참조). 
비언어성 지능의 변인별 차이를 보기 위해 변량분석한 결과 성(F(1, 143)=5.04,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아가 남아보 
다 비언어성 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F(1, 143)=43.76, p<.001)에 있어서도 3 
세-4세보다 5세-7세가 비언어성 지능이 높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 9 참조). 
- 110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3 
2. 집단별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이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CTONI-2)과 어 
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 
과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비언어성지능과 정서지능의 상관분석 결과, 일반유아에서는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r=.40, p<.01)’,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r=.31, p<.01)’,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r=.32, p<.01)’,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r=.23, p<.05)’, ‘또래와의 관계 
(r=.23, p<.05)’, ‘정서지능 총점(r=.36, p<.001)’은 비언어성 지능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에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r=.34, p<.05)’, ‘자기정서의 인식 및 배려(r=.32, p<.05)’, ‘정서지능 총점(r=.33, p<.05)’ 
은 비언어성 지능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성 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일반유아에서는 실행기능 하위요인 
중 ‘계획조직(r=.22,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비언어성 지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성 지능이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연구결과를 더 정확히 하기 위하여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하였 
다.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언 
어성지능을 통제한 후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11에 제시하였다. 
표 10. 집단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의 비언어성 지능(CTONI-2) 간 상관관계 
- 111 - 
하위요인 
비언어성 지능 
일반유아 
(N =101) 
주의문제 유아 
(N =50) 
정 서 지 
능 
자기정서의 이용 .40   .34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1  .10 
자기정서의 인식 및 배려 .32  .32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3 .18 
교사와의 관계 .11 .22 
또래와의 관계 .23 .10 
정서지능 총점 .36   .33 
실 행 기 
능 
감정조절 -.11 .01 
작업기억 .16 .13 
억제 -.07 -.04 
주의전환 .06 .20 
계획조직 .22 .05 
실행기능 총점 .06 .09 
p<.05,  p<.01,   p<.001
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7.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분석 
- 112 - 
구분 
3-4세 5-7세 합계 
남 
(N=23) 
여 
(N=26) 
소계 
(N=49) 
남 
(N=27) 
여 
(N=25) 
소계 
(N=52) 
남 
(N=49) 
여 
(N=52) 
총계 
(N=101)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일반 
유아 
자기정서의 
이용 
42.00 
(6.62) 
41.04 
(10.87) 
41.49 
(9.05) 
44.11 
(6.30) 
48.04 
(4.13) 
46.00 
(5.67) 
43.14 
(6.47) 
44.47 
(8.93) 
43.81 
(7.80)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4.83 
(4.91) 
34.58 
(3.85) 
34.69 
(5.43) 
37.00 
(5.67) 
39.76 
(3.85) 
38.33 
(5.03) 
36.00 
(5.39) 
37.12 
(5.63) 
36.56 
(5.51)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31.13 
(7.52) 
32.12 
(6.59) 
31.65 
(6.99) 
36.11 
(5.09) 
36.72 
(4.34) 
36.40 
(4.71) 
33.82 
(6.74) 
34.37 
(6.01) 
34.10 
(6.36)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9.35 
(3.21) 
29.35 
(5.37) 
29.35 
(4.44) 
30.26 
(4.90) 
32.96 
(3.62) 
31.56 
(4.50) 
29.84 
(4.19) 
31.12 
(4.90) 
30.49 
(4.59) 
교사와의 
관계 
18.26 
(3.86) 
19.65 
(3.97) 
19.00 
(3.94) 
18.85 
(3.44) 
20.16 
(2.61) 
19.48 
(3.11) 
18.58 
(3.62) 
19.90 
(3.35) 
19.25 
(3.53) 
또래와의 
관계 
17.26 
(3.08) 
17.50 
(3.18) 
17.39 
(3.10) 
19.26 
(3.03) 
19.24 
(2.92) 
19.25 
(2.96) 
18.34 
(3.19) 
18.35 
(3.15) 
18.35 
(3.15) 
정서지능 
총점 
176.52 
(24.16) 
178.04 
(31.22) 
177.33 
(27.85) 
189.63 
(21.43) 
201.20 
(14.16) 
195.19 
(19.04) 
183.60 
(23.44) 
189.39 
(26.84) 
186.52 
(25.25) 
주의 
문제 
유아 
남 
(N=21) 
여 
(N=4) 
소계 
(N=25) 
남 
(N=19) 
여 
(N=6) 
소계 
(N=25) 
남 
(N=40) 
여 
(N=10) 
총계 
(N=50) 
자기정서의 
이용 
34.90 
(8.25) 
40.75 
(13.40) 
35.84 
(9.16) 
37.26 
(6.52) 
40.67 
(7.97) 
38.08 
(6.88) 
36.03 
(7.48) 
40.70 
(9.75) 
36.96 
(8.10)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0.71 
(4.61) 
29.25 
(8.18) 
30.48 
(5.13) 
29.95 
(5.06) 
30.67 
(5.96) 
30.12 
(5.17) 
30.35 
(4.78) 
30.10 
(6.52) 
30.30 
(5.10)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34.86 
(6.34) 
35.50 
(2.89) 
34.96 
(5.88) 
34.95 
(5.49) 
39.00 
(3.63) 
35.92 
(5.34) 
34.90 
(5.88) 
37.60 
(3.66) 
35.44 
(5.58)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3.33 
(3.01) 
22.25 
(7.63) 
23.16 
(3.87) 
24.16 
(4.75) 
26.33 
(4.03) 
24.68 
(4.61) 
23.73 
(3.90) 
24.70 
(5.74) 
23.92 
(4.28) 
교사와의 
관계 
18.43 
(4.17_ 
19.25 
(2.99) 
18.56 
(3.96) 
18.79 
(2.46) 
20.33 
(2.34) 
19.16 
(2.48) 
18.60 
(3.43) 
19.90 
(2.51) 
18.86 
(3.28) 
또래와의 
관계 
16.10 
(3.52) 
16.75 
(3.86) 
16.20 
(3.50) 
16.84 
(3.32) 
16.67 
(4.55) 
16.80 
(3.55) 
16.45 
(3.40) 
16.70 
(4.06) 
16.50 
(3.50) 
정서지능 
총점 
162.14 
(20.28) 
167.50 
(36.68) 
163.00 
(22.70) 
165.37 
(16.55) 
177.33 
(21.51) 
168.24 
(18.14) 
163.68 
(18.44) 
173.40 
(27.04) 
165.62 
(20.50)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5 
변인 변량원 SS df MS F 변인 변량원 SS df MS F 
- 113 - 
자기 
정서 
의 
이용 
집단 690.60 1 690.60 11.84** 
교사 
와의 
관계 
집단 .02 1 .02 .97 
연령 191.86 1 191.86 3.29 연령 9.56 1 9.56 .80 
성 55.39 1 55.39 1.00 성 45.89 1 45.89 .06 
집단 * 연령 69.17 1 69.17 1.19 집단 * 연령 .18 1 .18 .02 
집단 * 성 58.38 1 58.38 1.00 집단 * 성 .17 1 .17 .01 
연령 * 성 8.87 1 8.87 .15 연령 * 성 .60 1 .60 .05 
집단 * 연령 
* 성 
79.54 1 79.54 1.36 
집단 * 연령 * 
성 
.96 1 .96 .08 
오차 
8342.1 
7 
143 58.34 오차 
1703. 
47 
143 10.48 
합계 
10867. 
47 
150 합계 
1777 
7.85 
150 
타인 
정서 
의 
인식 
및 
배려 
집단 968.46 1 968.46 35.79*** 
또래 
와의 
관계 
집단 70.57 1 70.57 6.73* 
연령 94.85 94.85 3.51 연령 28.67 1 28.67 2.74 
성 39.66 1 39.66 1.48 성 .30 1 .30 .03 
집단 * 연령 66.56 1 66.56 2.46 집단 * 연령 13.99 1 13.99 .13 
집단 * 성 15.68 1 15.68 .59 집단 * 성 .10 1 .10 .01 
연령 * 성 39.90 1 39.90 1.47 연령 * 성 1.75 1 1.75 .17 
집단 * 연령 
* 성 
1.01 1 1.01 .04 
집단 * 연령 * 
성 
.48 1 .48 .05 
오차 
3869.5 
3 
143 27.06 오차 
1499. 
10 
143 10.48 
합계 
5625.7 
4 
150 합계 
1707. 
40 
150 
자기 
정서 
의 
인식 
및 
표현 
집단 100.15 1 100.15 2.93 
정서 
지능 
총점 
집단 
7894. 
14 
1 
7894. 
14 
15.37*** 
연령 256.84 1 256.84 7.50** 연령 
3600. 
10 
1 
3600. 
10 
7.01** 
성 15.98 1 15.98 .45 성 
1368. 
14 
1 
1368. 
14 
2.66 
집단 * 연령 53.18 1 53.18 1.55 집단 * 연령 
797.0 
6 
1 
797.0 
6 
1.55 
집단 * 성 14.23 1 14.23 .42 집단 * 성 26.54 1 26.54 .05 
연령 * 성 13.62 1 13.62 .40 연령 * 성 
410.7 
2 
1 
410.7 
2 
.37 
집단 * 연령 
* 성 
21.21 1 21.21 .62 
집단 * 연령 * 
성 
17.57 1 17.57 .03 
오차 
4895.4 
9 
143 34.23 오차 
7346 
6.32 
143 
513.7 
5 
합계 
5629.4 
7 
150 합계 
9889 
92.16 
150 
감정 
의 
조절 
및 
충동 
억제 
집단 987.75 1 987.75 51.77*** 
연령 131.66 1 131.66 6.90* 
성 45.82 1 45.82 2.36 
집단 * 연령 .22 1 .22 .01 
집단 * 성 3.82 1 3.82 .20 
연령 * 성 52.58 1 52.58 2.76 
집단 * 연령 
* 성 
.46 1 .46 .02 
오차 
2728.5 
2 
143 19.08 
합계 
4442.3 
7 
150 
*p< .05, **p< .01, ***p< .001
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8.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실행기능 수행 
- 114 - 
구분 
3-4세 5-7세 합계 
남 
(N=23) 
여 
(N=26) 
소계 
(N=49) 
남 
(N=27) 
여 
(N=25) 
소계 
(N=52) 
남 
(N=49) 
여 
(N=52) 
총계 
(N=101)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일 
반 
유 
아 
감정조절 
44.74 
(5.31) 
44.81 
(5.00) 
44.78 
(5.10) 
42.63 
(5.00) 
44.64 
(6.18) 
43.60 
(5.63) 
43.60 
(5.20) 
44.73 
(5.55) 
44.17 
(5.39) 
작업기억 
75.96 
(9.37) 
77.65 
(8.23) 
76.56 
(8.73) 
73.04 
(9.15) 
79.24 
(7.85) 
76.02 
(9.03) 
74.38 
(9.27) 
78.43 
(8.01) 
76.43 
(8.85) 
억제 
71.35 
(8.33) 
73.35 
(7.03) 
72.41 
(7.65) 
67.11 
(8.40) 
74.20 
(6.68) 
70.52 
(8.35) 
69.06 
(8.55) 
73.76 
(6.81) 
71.44 
(8.04) 
주의전환 
43.70 
(5.61) 
45.00 
(5.34) 
44.39 
(5.45) 
43.00 
(5.38) 
43.76 
(7.23) 
43.37 
(6.28) 
43.32 
(5.44) 
44.39 
(6.60) 
43.86 
(5.89) 
계획조직 
44.48 
(5.63) 
45.15 
(5.17) 
44.84 
(5.34) 
43.56 
(4.90) 
45.68 
(6.36) 
44.58 
(5.70) 
43.98 
(5.21) 
45.41 
(5.73) 
44.70 
(5.50) 
실행기능 
총점 
280.22 
(31.45) 
285.96 
(27.12) 
283.27 
(29.07) 
269.33 
(26.54) 
287.52 
(30.58) 
278.08 
(29.72) 
274.34 
(29.12) 
286.73 
(28.59) 
280.59 
(29.37) 
주 
의 
문 
제 
유 
아 
남 
(N=21) 
여 
(N=4) 
소계 
(N=25) 
남 
(N=19) 
여 
(N=6) 
소계 
(N=25) 
남 
(N=40) 
여 
(N=10) 
총계 
(N=50) 
감정조절 
33.52 
(4.28) 
32.25 
(4.43) 
33.52 
(4.24) 
33.68 
(4.66) 
35.83 
(5.71) 
34.20 
(4.90) 
33.60 
(4.41) 
34.40 
(5.30) 
33.76 
(4.55) 
작업기억 
59.67 
(9.12) 
64.00 
(14.31) 
60.36 
(9.87) 
59.95 
(9.18) 
68.00 
(13.34) 
61.88 
(10.61) 
59.80 
(9.03) 
66.40 
(13.09) 
61.12 
(10.17) 
억제 
49.52 
(6.52) 
53.25 
(15.02) 
50.12 
(8.10) 
48.16 
(6.83) 
56.17 
(9.66) 
50.08 
(8.17) 
48.88 
(6.62) 
55.00 
(11.37) 
50.10 
(8.05) 
주의전환 
36.57 
(4.99) 
36.25 
(.50) 
36.52 
(4.56) 
39.26 
(5.64) 
42.00 
(4.57) 
39.92 
(5.44) 
37.85 
(5.41) 
39.70 
(4.52) 
38.22 
(5.25) 
계획조직 
34.95 
(4.27) 
39.75 
(6.95) 
35.72 
(4.95) 
34.58 
(6.48) 
39.50 
(6.95) 
35.76 
(6.79) 
34.78 
(5.36) 
39.60 
(6.55) 
35.74 
(5.88) 
실행기능 
총점 
214.24 
(21.02) 
225.50 
(38.13) 
216.04 
(23.83) 
215.63 
(25.07) 
241.50 
(31.47) 
221.84 
(28.37) 
214.90 
(22.74_ 
235.10 
(33.21) 
218.94 
(26.09)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7 
변인 변량원 SS df MS F 변인 변량원 SS df MS F 
- 115 - 
감정 
조절 
집단 2551. 
19 1 2551. 
19 
96.22** 
* 
주의 
전환 
집단 675.7 
21.08 
1 3 *** 
연령 3.18 1 3.18 .12 연령 62.63 1 62.63 1.95 
성 12.91 1 12.91 .49 성 29.69 1 29.69 .93 
집단 * 연령 53.64 1 53.64 2.02 집단 * 연령 159.3 
3 
1 159.3 
3 
4.97* 
집단 * 성 2.14 1 2.14 .08 집단 * 성 .18 1 .18 .01 
연령 * 성 42.58 1 42.58 1.61 연령 * 성 9.35 1 9.35 .29 
집단 * 연령 * 
성 3.25 1 3.25 .12 집단 * 연령 * 
성 19.20 1 19.20 .60 
오차 3791. 
46 
143 26.51 오차 4585. 
01 
143 32.06 
합계 7538. 
32 150 합계 5882. 
99 150 
작업 
기억 
집단 
4358. 
07 1 
4358. 
07 
52.08** 
* 
계획 
조직 
집단 
1339. 
25 1 
1339. 
25 
42.90 
*** 
연령 12.85 1 12.85 .15 연령 1.54 1 1.54 .05 
성 
608.8 
7 1 
608.8 
7 7.28** 성 
231.8 
7 1 
231.8 
7 
7.43* 
* 
집단 * 연령 46.63 1 46.63 .56 집단 * 연령 .08 1 .08 .00 
집단 * 성 29.77 1 29.77 .36 집단 * 성 70.82 1 70.82 2.27 
연령 * 성 100.0 
9 1 100.0 
9 1.20 연령 * 성 3.66 1 3.66 .12 
집단 * 연령 * 
성 .92 1 .92 .01 집단 * 연령 * 
성 2.60 1 2.60 .08 
오차 11965 
.98 143 83.68 오차 4465. 
06 143 31.22 
합계 25740 
.69 150 합계 7405. 
40 150 
억제 
집단 9211. 
90 
1 9211. 
90 
154.92* 
** 
실행 
기능 
총점 
집단 7567 
6.82 
1 7567 
6.82 
98.05 
*** 
연령 4.97 1 4.97 .08 연령 96.30 1 96.30 .13 
성 641.4 
7 
1 641.4 
7 
10.79** 성 5516. 
34 
1 5516. 
34 
7.15* 
* 
집단 * 연령 36.01 1 36.01 .61 집단 * 연령 1056. 
24 1 1056. 
24 1.37 
집단 * 성 10.37 1 10.37 .17 집단 * 성 
257.7 
7 1 
257.7 
7 .33 
연령 * 성 129.9 
9 1 129.9 
9 2.19 연령 * 성 1082. 
49 1 1082. 
49 1.40 
집단 * 연령 * 
성 .97 1 .97 .02 집단 * 연령 * 
성 6.93 1 6.93 .01 
오차 8503. 
12 143 59.46 오차 1103 
71.85 143 771.8 
3 
합계 24857 
.23 150 합계 2467 
72.17 150
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9. 집단, 연령, 성에 따른 비언어성지능(CTONI-2) 수행 
- 116 - 
구분 
3-4세 5-7세 합계 
남 
(N=23) 
여 
(N=26) 
소계 
(N=49) 
남 
(N=27) 
여 
(N=25) 
소계 
(N=52) 
남 
(N=49) 
여 
(N=52) 
총계 
(N=101)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일반 
유아 
31.57 
(10.82) 
28.27 
(12.23) 
29.82 
(11.60) 
46.15 
(12.23) 
52.32 
(12.94) 
49.12 
(12.83) 
39.44 
(13.63) 
40.06 
(17.40) 
39.75 
(15.57) 
남 
(N=21) 
여 
(N=4) 
소계 
(N=25) 
남 
(N=19) 
여 
(N=6) 
소계 
(N=25) 
남 
(N=40) 
여 
(N=10) 
총계 
(N=50) 
주의 
문제 
유아 
23.67 
(11.99) 
32.25 
(9.98) 
25.04 
(11.94) 
36.37 
(10.44) 
47.50 
(20.42) 
39.04 
(13.86) 
29.70 
(12.85) 
41.40 
(18.08) 
32.04 
(14.62) 
변인 변량원 SS df MS F 
CTONI 
-2 
집단 507.33 1 507.33 3.38 
연령 6559.64 1 6559.64 43.76   
성 755.06 1 755.06 5.04 
집단 * 연령 168.82 1 168.82 1.13 
집단 * 성 419.52 1 419.52 2.80 
연령 * 성 213.62 1 213.62 1.43 
집단 * 연령 * 성 70.84 1 70.84 .47 
오차 21436.95 143 149.91 
합계 36712.04 150 
p<.05,   p<.00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9 
표 11. 일반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 상관관계(비언어성 지능통제 후) 
- 117 - 
실행기능 
정서지능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계획 
조직 
실행 
기능 
총점 
일반 
유아 
(N =101) 
자기정서의 
이용 
-.00 .30  .13 .08 .25 .19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20 .25 .22 .10 .17 .22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06 .25 .01 .18 .18 .15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3 .27  .34  .09 .22 .27  
교사와의 
관계 
.05 .14 -.04 .11 .15 .09 
또래와의 
관계 .27  .29  .12 .27  .30  .28  
정서지능 
총점 
.15 .32  .17 .17 .27  .25 
주의력 
결핍성향 
유아 
(N =50) 
자기정서의 
이용 
-.09 .68   .53   .02 .55   .54  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0 .24 .18 .17 .12 .26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02 .11 .06 .18 -.00 .09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32 .17 .25 .14 .12 .26 
교사와의 
관계 
.02 .09 .04 -.04 .02 .05 
또래와의 
관계 .33 .23 .20 .45  .10 .32 
정서지능 
총점 
.17 .46  .37  .21 .30 .43  
p<.05,  p<.01,   p<.001 
비언어성지능을 통제한 후 일반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정서 
지능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작업기억(r=.30, p<.01), 
계획조직(r=.25, p<.05)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정서의 인 
식 및 배려’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20, p<.05), 작업기억(r=.25, 
p<.05), 계획조직(r=.22, p<.05)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 
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작업기억(r=.25,
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는 실행기 
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23, p<.05) 작업기억(r=.27, p<.01), 억제(r=.34, p<.01), 
계획조직(r=.22, p<.05)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고, ‘또래와의 관계’는 실행기능의 하 
위요인 중 감정조절(r=.27, p<.01), 작업기억(r=.29, p<.01), 주의전환(r=.27, p<.01), 계 
획조직(r=.30, p<.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총점과 
실행기능 간에는 작업기억(r=.32, p<.01), 계획조직(r=.27, p<.01), 실행기능 총점(r=.25, 
p<.05)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작업기억(r=.68, p<.001), 억제(r=.53, 
p<.001). 계획조직(r=.55, p<.0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30,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게 나타났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 
절(r=.32,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으며, ‘또래와의 관계’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33, p<.05), 주의전환(r=.45, p<.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 
타났다(표 11 참조). 
정서지능총점과 실행기능 간에는 작업기억(r=.46, p<.01), 억제(r=.37, p<.01), 계획조 
직(r=.30, p<.05), 실행기능 총점(r=.43, p<.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일반유아의 경우 정서지능 하위요인과 실행기능 하위영역 간의 상관범위는 
.23 ~ .33이며 각 하위영역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정서지능의 자기 
정서의 이용과 실행기능 중 작업기억(.33), 정서지능의 또래와의 관계와 실행기능의 
계획조직(.33)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정서의 인식과 계획 
조직(.23)은 가장 낮은 상관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주의문제 유아의 경우 정서지능 하위요인과 실행기능 하위영역 간의 상관범위는 .30 
~ .67이며 각 하위영역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정서지능의 자기정서 
의 이용과 실행기능 중 작업기억(.67)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감정조절(.30)이 가장 낮은 상관으로 나타났다(표 11 참 
조). 
3. 집단별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상관관계를 기초로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이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를 더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하였다. 표 12에는 일반 유 
아에 대한 분석결과를 그리고 표 13에는 주의문제 유아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 118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1 
표 12. 일반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이 실행기능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N =101) 
설명변인 종속변수 B β R  F 
- 119 - 
또래와의 관계 
감정조절 
.70 .41  
.19 7.61  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42 .36  
자기정서의 이용 작업기억 .38 .33  .11 .33 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억제 .54 .31  .09 10.36  
또래와의 관계 주의전환 .52 .28  .07 8.26  
또래와의 관계 계획조직 .58 .33  .11 5.68 
또래와의 관계 실행기능 총점 2.63 .28 .08 8.58  
p<.05,  p<.01,   p<.001 
일반유아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실행기 
능의 ‘감정조절’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 
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19%였다. 이는 F=7.61 
로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판단 
된다. 
‘작업기억’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1%였다. 이는 F=.33으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억제’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9%였다. 이는 F=10.36으로 p<.01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의전환’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7%였다. 이는 F=8.26으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계획조직’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1%였다. 이는 F=12.12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행기능의 총점’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8%이다. 이는 F=8.58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13.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이 실행기능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N=50) 
설명변인 종속변수 B β R  F 
또래와의 관계 감정조절 .42 .33 .11 5.68 
자기정서의 이용 작업기억 .85 .67   .46 40.01   
자기정서의 이용 억제 .48 .48   .23 14.59   
자기정서의 이용 주의전환 .68 .45  .21 12.41  
자기정서의 이용 계획조직 .39 .53   .28 18.93   
자기정서의 이용 실행기능 총점 1.73 .54 .29 19.26   
- 120 - 
p<.05,  p<.01,   p<.001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실행기능의 ‘감정조절’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1%였다. 이는 F=5.68로 p<.05수준에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표 13 참조).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반유아와 주의력결핍성향 유아의 정서지능이 이들의 실행기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집단과 연령 
및 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행기능의 모든 하위요인인 감정조절 
(F(1, 143)=95.22, p<.001), 작업기억(F(1, 143)=52.08, p<.001), 억제(F(1, 143)=154.92, 
p<.001), 주의전환(F(1, 143)=21.08, p<.001), 계획조직(F(1, 143)=42.90, p<.001) 및 전 
체 총점(F(1, 143)=98.05, p<.001)에서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더 높은 실행기 
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의력결핍 어린이와 어른으로 이루어진 집단과 정 
상 어린이와 어른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의 연구에서 반응습관, 
각성, 실행기억력, 작업기억력, 계획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측정에서 주의력결핍을 가 
진 집단의 실행기능이 일반집단에 비해 현저한 손상을 보였다는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Pennington, 2005). 
실행기능에서의 연령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여 
‘작업기억(F(1, 143)=7.28, p<.01)’, ‘억제(F(1, 143)=10.79, p<.01)’, ‘계획조직(F(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3 
143)=7.43, p<.01)’, ‘실행기능 총점(F(1, 143)=7.15, p<.01)’에서 남아보다 여아가 더 높 
은 실행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여아가 남아보다 주의집중과 통제력이 높았다는 장 
수진(2008)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참고, 기다리며, 인내하는 
능력이 더 높으며, 자신의 행위 ․ 사고 ․ 정서를 상황에 적절하게 점검할 줄 안다 
고 한 선행 연구들과 같은 맥락에 있다(권수정, 2005; 양옥승, 이정란, 2003; Kendall 
& Willcox, 1979). 
정서지능에 대한 집단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이 
186.52(SD=25.25)로,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 165.62(SD=20.50)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도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의문제 유아들이 일반 유아들에 비해 낮은 정서 지능을 보인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장정애, 1998).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평균이 42.00(SD=6.62)이고, 여아는 41.04(SD=10.87) 
이며, 5~7세 남아는 44.11(SD=6.30), 여아는 48.04(SD=4.13)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타 
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34.83(SD=4.91)이고, 여아는 
34.58(SD=3.85)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7.00(SD=5.67), 여아는 39.76(SD=3.85)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31.13(SD=7.52) 
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32.12(SD=6.59)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6.11(SD=5.09), 여 
아는 36.72(SD=4.34)로 나타났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 
은 29.35(SD=3.21)이고, 여아는 29.35(SD=5.37)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0.26(SD=4.90), 여아는 32.96(SD=3.62)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3~4세 남아 
의 평균은 18.26(SD=3.86)로 나타났고, 여아는 19.65(SD=3.97)이며, 5~7세 남아의 평균 
은 18.85(SD=3.44), 여아는 20.16(SD=2.61)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계에서는 3~4세 남 
아의 평균은 17.26(SD=3.08)이고, 여아는 17.50(SD=3.18)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 
의 평균은 19.26(SD=3.03), 여아는 19.24(SD=2.92)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76.52(SD=24.16)로 나타났고, 여아는 178.04(SD=31.22)이며, 5~7 
세 남아의 평균은 189.63(SD=21.43), 여아는 210.10(SD=14.16)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은 3~4세에서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제외하고는 남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3~4세보 
다 5~7세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 
보면, 3~4세 남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평균이 34.90(SD=8.25)이고, 여아는 
40.75(SD=13.40)이며, 5~7세 남아는 37.26(SD=6.52), 여아는 40.67(SD=7.97)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30.71(SD=4.61)이고, 여아는 29.25(SD=8.18)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29.95(SD=5.06), 
- 121 -
2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여아는 30.67(SD=5.96)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을 살펴보면, 3~4세 남아 
의 평균은 34.86(SD=6.34)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35.50(SD=2.89)이며, 5~7세 남아의 평 
균은 34.95(SD=5.49), 여아는 39.00(SD=3.63)로 나타났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 
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23.33(SD=3.01)이고, 여아는 22.25(SD=7.63)이며, 5~7세 남 
아의 평균은 24.16(SD=4.75), 여아는 26.33(SD=4.03)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서 
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8.43(SD=4.17)로 나타났고, 여아는 19.25(SD=2.99)이며, 5~7 
세 남아의 평균은 18.79(SD=2.46), 여아는 20.33(SD=2.34)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 
계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6.10(SD=3.52)이며, 여아는 16.75(SD=3.86)로 나타났 
고, 5~7세 남아의 평균은 16.84(SD=3.32), 여아는 16.67(SD=4.55)로 나타났다. 정서지 
능의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62.14(SD=20.28)이고, 여아는 
167.50(SD=36.68)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165.37(SD=16.55), 여아는 
177.33(SD=21.51)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의문제 유아의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 
들은 3~4세에서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를 제외하고는 남 
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제외하고는 3~4세보다 5~7세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른 사람의 요구에 민감하고 동정적, 이타주의 또는 친사회적 행동이 나타나며, 자신 
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통제 및 조절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느낄 수 있 
는 감정이입도 가능해진다(단현국, 1991)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유아의 집단과 연령 및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F(1, 143)=5.04,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아가 남아보다 비언어성 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또한, 연령(F(1, 
143)=43.76, p<.001)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3세-4세보다 
5세-7세가 비언어성 지능이 높았다. 이는 비언어성 지능 검사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4-5세 집단의 아동보다 6-7세 집단의 아동의 검사 수행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이현주(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즉, 또래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감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특히 또래와의 관계 형성이 어 
려운 유아는 공격적인 경향이 있고, 만족 지연 능력의 부족, 자기통제 능력의 부족, 
정보 분석과 종합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학업성취와 또래와의 관계 등 사회적인 적응 
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연구결과(조수철, 1990)와 같은 맥락에 있다. 
‘작업기억’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6%였다. 이는 F=40.01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나 위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유아가 스스로 동기화 
되어 당장의 작은 결과가 아닌 보다 큰 만족과 성취를 위하여 노력하는 것과 관련된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작업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한, 자기정서의 이용이 높을수록 실행기능 중 관련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실제 
- 122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5 
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뜻하는 작업기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DeCaro, Wieth, Beilock(2007)연구와 같은 맥락에 있다. 
‘억제’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3%였다. 이는 F=14.59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억제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주의전환’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1%였다. 이는 F=12.41로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주의전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주의문제 아동에게 이들이 
좋아하는 활동과 수행수준을 능가하지 않는 과제를 제시하였을 때, 이들의 동기화에 
영향을 끼쳐 유아 스스로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주의집 
중행동에 변화를 가져왔다(이효신, 2002)는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계획조직’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였다. 이는 F=18.93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계획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김사리, 김교헌(2002)이 주 
의문제 아동에게 “문제가 뭐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나는 계획 
을 사용하고 있나?”, “내가 어떻게 했지?” 라는 계획적인 질문을 아동 스스로 하게 하 
는 내면환된 언어중재훈련을 하였을 때, 실제로 이들의 실행기능이 향상되었다는 연 
구결과를 지지한다. 
‘실행기능의 총점’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9%이다. 이는 F=19.26로 p<.001 수준에서 유의 
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를 잘 이용하 
는 것이 전반적인 유아의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효신(2002)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이 좋아하는 활동으로 수업내용을 구상하고 
그것을 수업 전에 미리 아동에게 알려주어 동기화 시켜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에 변화 
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이들은 환경의 구조화에 의해 동기화되었고, 이러한 동기 
화는 아동의 실행기능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더 잘 주의집 
중하게 된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했다는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에 있다. 
이와 같이 정서지능은 실행기능과 관련된다는 연구는 Hom과 Knight(1996)의 정서 
적 실행기능과 만족지연의 관련성 연구에서 밝혀졌다. 여기서 만족지연은 정서지능의 
중요한 하위요소이며, 이는 실행기능이 작용하는 만족지연 전략에서 유아의 만족지연 
시간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가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공감하기 위해서 
는 다양한 표정단서와 상황단서에 민감해야하고 표정의 변화를 추적 비교할 수 있어 
- 123 -
2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야 하며 자신의 정서를 타인의 정서에 맞추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에는 실 
행기능의 작동기억, 정서의 억제와 활성화를 위한 정서적 실행기능 등이 작용한다. 따 
라서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작동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장현주(2004)의 연구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은 사회적 능력 다음으로 실행기능과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설명과도 관련지어볼 수 
있다. 
그 중에서 일반유아들의 경우 이들의 정서지능 중 또래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좋은 
상호작용을 하면서 친구와 쉽게 사귀고 어울릴 수 있는 능력이 이들의 실행기능에 가 
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래관계는 유아의 실행기능에 정서 
적, 동기적 영향력을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를 맺을 수 있 
도록 유아의 자기 통제력 및 자기 조절능력과 같은 정서지능의 향상을 통해 실행기능 
수준을 더불어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동의 실 
행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는 유아가 또래와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적절하게 개입 
하여 친구관계를 선도해야 하며,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친구와 잘 어울리지 못하 
면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도교사의 중재적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주의력결핍성향 유아들의 경우 이들의 정서지능 중 유아가 스스로 동기화 
되어 당장의 작은 결과가 아닌 보다 큰 만족과 성취를 위하여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 
하는지를 의미하는 자기정서의 이용능력이 이들의 실행기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효신(2002)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이 좋아하는 활 
동으로 수업내용을 구상하고 그것을 수업 전에 미리 아동에게 알려주었을 때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들은 환경의 구조화에 의해 동기화 
되었고, 이러한 동기화는 아동의 실행기능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과제를 완성하 
기 위해 더 잘 주의집중하게 된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고 말하였다. 따라서 유 
아가 스스로 동기화 된다면 실행기능에 결함을 가진 주의력결핍성향 유아일지라도 이 
들의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기여가 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으 
로 볼 수 있다. 결국 주의력결핍성향 유아들에게는 겉으로 드러난 외현화 된 문제행 
동들에만 중점을 두고 이를 고치려고 하는 것보다는 이들이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많은 부정적인 피드백과 수행에 있어서 빈번한 실패적 경험으로 인한 이들의 낮은 동 
기 수준을 향상시켜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유아교육 및 임상심 
리장면에서 유아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의 정서지능이 중요한 요소임을 인 
식하고 이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 124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7 
참고문헌 
곽윤정(2004).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권수정(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 124 - 
위논문. 
김경희(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사리, 김교헌(2002). 행동억제 훈련이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 
과. 한국심리학회지, 7(3), 429-445. 
단현국(1991). 유아의 놀이 지도.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양옥승,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69-90. 
이현주(2007). 4-7세 유아의 인지능력, 기질 및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일 
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신(2002). ADHD-PI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 개선을 위한 중재전략 비교 연구. 한국발달장 
애학회, 6(1), 127-138. 
장수진(2008). 유아의 기질, 인지능력, 실행기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정애(1998).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학교적응, 사회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현주(200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수철(199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개념과 생물학적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 
5-20. 
Barkley, R. A. (1995). Taking cha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Calson, S. M., & Moses, L., (2002). Individual differences in appearance reality tasks: The 
role of inhibition of attention and symbolic representation. Child Development, 75(2), 
562-579. 
Casey, R. I., & Schlosser, S. (1994). Emotional responses to peer prais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 diagnosed externalizing disorde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 60-81. 
DeCaro, M. S., Wieth, M., Beilock, S. L. (2007). Methodologies for examining problem 
solving success and failure. Methods, 42(1), 58–67. 
Di Pinto, M.(2006). The ecological validity of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in the subtypes of ADH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Eisenberg, N., Fabes, R. A., & Losoya, S. (1997). Emotional responding: regulation, soci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In P. Salovey and D. J. Slutyer(Eds.), Emotional
2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129–163). New 
York: Basic Books.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 126 - 
NY: Bantam Books. 
Goyette, C., Conners., & Ulrich, R. (1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s and 
teacher rating scal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6(2), 221-236. 
Guy, S. C., Isquith, P. K., & Gioia, G. A., & Kenworthy, L. (2001).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Hammill, D. D., Pearson, N. A., & Wiederhold, J.E. (1997).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Communication. Austin: TX, Pro-Ed. 
Hom. H. L. Jr. & Knight, H. (1996). Delay of gratification: Mother's predictions about four 
attentional techniques. J 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7(2),180-190.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Losoya, S. H. (1994). The patterns of vicarious emotional responding in boys with and 
with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Mcgee, R., & Share, D. L. (1998). Attention deficit disorder hyperactivity and academic 
failure: Which comes first and what should be treate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ic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7(3), 318-325. 
Pennington, B. F. (2005). Executive func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1), 51-87.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Personality, 9, 185-211. 
Welsh, M. C., Pennington, B. F., & Grossier, D. B. (1991) A normative developmental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2), 131–149. 
1차원고접수 : 2011. 03. 28. 
수정원고접수 : 2011. 06. 16. 
최종게재결정 : 2011. 06. 18.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9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xecutive 
Function: A Comparison between Normal Children and 
Attention Deficit Children 
Jungeun Seo⋅Hyewon Park 
University of Ulsan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xecutive 
functions with 101 normal & 50 attention-deficit children in Ulsa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diversion' factor of executive function 
was explained by the peer-relationship factor of EM in normal children but 
it was explained by the use of self-emotion factor of EM in attention-deficit 
children. The 'plan organization' factor of executive functions was explained 
by peer relationship in normal children, but the use of self-emotion had an 
effect on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s. It was suggested that executive 
function factors that affects EM were different between normal & 
attention-deficit children.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executive functions, attention- deficit 
children 
- 127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혜원 정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혜원 정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혜원 정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혜원 정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혜원 정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혜원 정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혜원 정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혜원 정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혜원 정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혜원 정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혜원 정
 

Similar to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20)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경계선
경계선경계선
경계선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 또래리더 경험게임놀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 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pp. 99~126,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서 정 은 ⋅ 박 혜 원† 울산대학교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울산 지역의 일반 아동 101명과 주의문제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 중 ‘주의전환’을 살펴보면 일반유아에서는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밝 혀졌다. 반면에 주의문제 유아는 내면적 동기화와 관련된 자기정서의 이용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주요어: 정서지능, 실행기능, 주의문제아동 †교신저자: 박혜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교수, e-mail: hyewonc@ulsan.ac.kr - 99 -
  • 2. 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Ⅰ. 서론 사회적 성공에는 지적인 능력 외에도 다른 사람과 적절한 관계형성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며 이러한 사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공유가 중요해 지는 21세기에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사회적으로 ‘성공’을 하기 위해서 는 공부를 잘하고 지적 능력이 뛰어난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여겨졌지만 현대에 는 삶 속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갈등 상황에 능숙하게 대처하고 사회생활에서의 적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며 따라서 정서지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곽윤정, 2004). 여기서 정서지능이란 용어는 1990년초 Salovey와 Mayer(1990)가 처음 으로 사용하였으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표현하며 삶을 고양시키 는 방향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정의되었다. Goleman(1995)은 정서발달이 이루어지는 유아기를 매우 중요한 시기로 보고 있고, 그 중요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지하는 능력인 유아들의 정서 지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가 또래나 교사 등 주변 사람들과 긍 정적인 관계를 맺고 그러한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환경에 조화롭게 적응해 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유아 스스로가 즐거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요소이 기도 하다. 또한 정서지능은 자기 통제, 열정, 인내력, 그리고 자신에 대한 동기 부여 등을 통 칭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는데 정서지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을 보면 자신의 정서를 잘 이해하고, 정서조절을 잘하는 정서 지능이 높은 아동은 학업은 물론 친구관계를 비롯한 사회적 관계를 잘 형성한다고 밝히고 있다(Casey & Schlosser, 1994; Eisenberg, Fabes, & Losoya, 1997; Goleman, 1995; Losoya, 1994). 이와는 반대로 쉽 게 긴장하고, 불안해하며, 주의가 산만한 부정적 정서를 자주 나타내는 이른바 정서지 능이 낮은 아동은 새로운 상황에 지나치게 수줍어하거나 위축되는 것과 같은 내면화 문제나 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등의 외면화 문제를 보이게 된다(Eisenberg et al., 1997, Losoya, 1994). 이러한 정서지능이 낮은 아이들에게서 보이는 특성은 주의문제 유아가 보이는 특성들과 유사한 점이 많으며, 이는 주의문제 유아가 보이는 충동성과 산만함, 과잉활동적인 특징들은 낮은 정서지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주의 문제 아동은 세부적인 면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학업이나 다른 활동을 할 때, 심 지어는 놀이를 할 때조차 지속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어려워한다(Barkley, 1995). 실제 Casey와 Schlosser(1994)는 정서지능은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인 주의문제 유 아에게는 더욱 부족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주의문제유아들은 이들의 산만함과 충동적인 행동들로 인하여 부모를 비롯한 교사, 또래들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게 되며 이는 낮은 자존감과 학업성취도 등 또 다른 - 100 -
  • 3.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3 문제로 발전되기도 한다(Mcgee & Share, 1998). 특히 새로운 세계에 대하여 학습하고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자신의 즉각적인 반응들을 억제할 수 없거나 행동을 하기 전에 생각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며 계획적이지 못하 고 인내력이 부족하여 전반적인 문제 해결능력의 부족과 같은 실행기능의 결함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실행기능은 사고와 행동의 모니터와 통제에 적용되 는 과정으로 자기 통제, 계획성, 행동 조직, 인지적 융통성, 실수 탐색과 수정, 반응 억 제, 방해 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구성되며 사고와 행동 반영하기, 현재 즉각적 상황으 로부터 거리두기, 현저하지만 잘 유도하는 자극 억제하기 등의 능력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Calson & Moses, 2002). 이러한 능력은 사회적 상황에서는 정서지능과 밀접 할 수 있다. 정서지능은 자신의 정서를 정확히 인식한 후 이를 적절하게 이용하는 능 력인데 주의 장애 아동은 부적절한 주의력과 실행통제 능력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상 황을 살피고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배려하는 것 또한 어려울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 러한 관계가 일반 아동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실행기능 연구들이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령 전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걸음마기 아동, 학 령전기 아동도 문제 해결 상황에서 실행 기능적 능력을 사용하며, 실행기능이 발달 초기부터 중요하며 상이한 실행 기능적 능력이 아동 초기에 발달한다는 결과들이 보 고되고 있다(Welsh, Pennington, & Grossier, 199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문제 아동의 정서지능과 실행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일반 아동과는 어떠 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정서지능 및 실행기능에 결함이 있는 아동 이 정서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로 발전하는데 있어 예방적, 중재적 개입 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되 지 못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 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 비언어성지 - 101 - 능은 차이가 있는가? 1)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라 정서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2)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라 실행기능은 차이가 있는가? 3)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연령, 성에 따라 비언어성 지능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4. 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Ⅱ. 연구방법 - 102 - 구분 일반유아 주의문제 유아 빈도(%) 빈도(%) 연령 3세~4세 남 23(46.0) 21(84.0) 여 26(51.0) 4(16.0) 합계 49(100.0) 25(100.0) 5세~7세 남 27(54.0) 19(76.0 여 25(49.0) 6(24.0) 합계 52(100.0) 25(100.0) 출생순위 외동 13(12.6) 7(16.7) 첫째 35(35.7) 13(31.0) 둘째이상 50(48.5) 22(52.4) 합계 98(100.0) 42(100.0) 부학력 고졸이하 26(26.5) 17(41.5) 전문대졸 30(30.6) 9(22.0) 4년제 대졸이상 42(42.9) 15(36.6) 합계 98(100.0) 41(100.0) 모학력 고졸이하 26(26.5) 17(41.5) 전문대졸 30(30.6) 12(29.3) 대졸이상 42(42.9) 12(29.3) 합계 98(100.0) 41(100.0) 월 평균 소득 200만원 이하 10(10.2) 6(15.4) 2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 39(39.8) 11(28.2) 400만원 이상 ~ 600만원 미만 35(35.7) 13(33.3) 600만원 이상 ~ 800만원 이상 10(10.2) 7(17.9) 800만원 이상 4(4.1) 2(5.1) 합계 98(100.0) 41(100.0)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과 사립어린이집, 사립유치 원의 정규과정과 방과후 과정에 다니는 만 3세-7세사이의 아동 151명이다. 먼저 주의 문제 아동을 선별하기 위하여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질문지 를 배부하였다. 총 613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분석한 결과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점수 상위 7%(50명)의 아동 주의문제 집단으로 정의하여 선정하였다. 일반집단은 나 머지 아동 중 무작위로 선정된 101명이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 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5.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5 2. 측정도구 1)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는 주의문제 유아가 보이는 다양한 행동문제를 평가하기 위 해 1970년 Conners가 제작한 93문항의 평정척도를 Goyette, Conners 그리고 Urich(1978) 가 10문항으로 축약하여 개정한 것이다. 이 척도에서는 ADHD의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 적 특징들을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평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전체점수 상위 7%에 해당하는 유아를 주의 문제 유아로 정의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Cronbach α는 .90이다. 2)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아동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ey와 Mayer(1996)가 수정 제안한 정서지 능의 개념모형을 토대로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용 평정척도를 선택한 것은 첫째, 유아의 발달특성상 정의적 영역을 평가할 때 성인과 같이 자기보고식 검사, 또는 검사지를 통해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다고 보았으며 둘째는 유아의 능력에 대한 교사의 평가가 어머니의 평가와 비교 하였을 때 보다 일관성이 있으며 객관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는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의 6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별로 ‘전혀 그렇 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평정된다.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과 신뢰도는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으며, 각 척도의 세부 내용은 표 2에 제시하였 는데 각 하위요인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 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에 대한 Cronbach α는 .95였다. 표 2.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 α - 103 - 자기정서의 이용 12 18, 19,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92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10 32, 33, 34, 35, 36, 37, 38, 39, 44, 48 .91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9 1, 2, 3, 4, 5, 6, 7, 8, 9 .92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9 11, 12, 13, 14, 15, 16, 17, 20, 21 .81 교사와의 관계 5 20, 40, 41, 42, 43 .86 또래와의 관계 5 45, 46, 47, 49, 50 .85
  • 6. 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3.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내용 하위요인 내용 - 104 - 자기정서의 이용 유아가 스스로 동기화 되어 당장의 작은 결과가 아닌 보다 큰 만족과 성취를 위하여 노력하고, 자율적이며 인내심을 갖는다.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여 그에 따라 배려할 수 있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자신이 느끼는 정서를 인식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적절 히 표현한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충동 특히, 분노를 억 제할 수 있다. 교사와의 관계 교사와 원만하고 바람직한 관계를 맺는다. 또래와의 관계 또래와 원만하고 좋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바람 직한 관계를 맺는다. 3) 유아용 실행기능 행동평가검사(BRIEF-P) BRIEF-P(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는 가정 또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부모 또는 교 사가 평정할 수 있으며 수행시간은 10-15분 정도 소요된다(Guy, Isquith, Gioia, & Kenworthy, 2001). BRIEF-P는 5개의 임상적 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아 실행기능 의 다양한 영역을 측정한다. 5개의 임상적 척도는 억제, 주의전환, 감정조절, 작업기 억, 계획조직을 포함하며 총 63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5개의 임상적 척도는 다 시 3개의 요인(기억조절, 유연성, 초기 상위인지)와 하나의 총점(Global Executive Composite)을 구성한다. 실행기능 행동평가 검사(BRIEF-P)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 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실행기능에 따른 기능적 장애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모 든 문항은 역산하여 점수를 계산하였다. 이미 외국연구를 통해 BRIEF-P가 실행기능의 장애를 예상하는데 성공적임이 밝혀 진 바 있다(Di Pinto, 2006).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BRIEF-P를 이용한 집 단 간 실행기능의 비교연구 사례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BRIEF-P의 척도별 내용 및 신뢰도 계수는 표 4,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 7.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7 표 4. 실행기능(BRIEF-P)의 척도별 내용 - 105 - 하위 영역 내용 억제 억제 척도는 반항적, 충동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능력과 적당한 때에 자 신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주의전환 주의전환 척도는 문제가 발생한 어떤 상황이나 활동으로부터 또 다른 상황으로 자유롭게 옮겨갈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주의전환의 핵심 은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하고 전환시키는 것이다. 감정조절 감정조절 척도는 정서적 영역에서 실행기능의 발현을 다루고,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유아의 능력을 평가한다. 정서조절이 빈약할 경 우, 정서적 불안정성 또는 정서적 폭발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작업기억 작업기억 척도의 문항들은 과제를 완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수 용하기 위한 용량을 측정한다. 계획조직 계획조직 척도는 현재, 그리고 지향과제를 다루기 위한 유아의 능력을 측정한다. ‘계획’ 요인은 미래의 사건 예측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과제 또는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필요한 적절한 계획을 세우는 것 이다. 또한 ‘조직’ 요인은 계획 요인과 연관되어 학습 또는 상호작용 정 보의 주요 아이디어 또는 핵심 개념을 인식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 을 의미한다. 표 5. BRIEF-P의 척도별 신뢰도 하위범주 문항번호 신뢰도 억제 3,8,13,18,23,28,33,38,43,48, 52,54,56,58,60,62 .97 주의전환 5,10,15,20,25,30,35,40,45,50 .92 감정조절 1,6,11,16,21,26,31,36,41,46 .94 작업기억 2,7,12,17,22,27,32,37,42,47, 51,53,55,57,59,61,63 .97 계획조직 4,9,14,19,24,29,34,39,44,49 .93
  • 8. 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4) 비언어적 지능검사(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2: CTONI-2) 이 검사는 6세 0개월~89세 11개월의 사람들에게 사용하여 비언어적 인지능력을 측 정하는 검사도구로 연구용이나 장애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언어적 지능이란 언어와 별개로 존재하는 능력이며, 지능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인간의 능력을 의미한 다(Hammill, Pearson, & Wiederhold, 1997). 비언어적 지능검사는 언어장애, 청각장애, 신경학적인 손상이 있는 사람, 경제적인 무능력자 또는 대부분의 다른 지능검사가 부 적합하거나 편향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평가하기에 가장 유용하다. 이 도구는 비 언어적인 지적 능력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측정방법이 서로 다른 여섯 개의 하위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소검사를 살펴보면, 분석적 추론 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유추와 도형 유추, 범주적 분류화로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범 주와 도형범주, 순차적 추론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순서, 도형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도구는 검사 기록용지 1부, 검사도구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의 시행 방법은 표 6에 제시되어 있으며, 채점은 연습문항을 제외한 후 천정문항에서 실수한 수를 뺀 점수를 말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원점수를 합한 값을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표 6. 비언어적 지능검사(CTONI-2) 시행방법 검사도구 시행방법 - 106 - 유추 소검사 예제 A를 보여주며 “(상단의 첫 번째 그림을 가리키며) 이 그림과 (두번째 그림을 가리키 며) 이 그림의 관계는 (세 번째 그림을 가리키며) 이 그림과 아래 어느 그림의 관계와 같 을까요? (페이지 하단의 그림들을 손가락으로 짚어가면서) 답을 가리켜 보세요.”라고 말한 다. 예제 B로 가서 동일한 설명을 하고, 예제 C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해 보세요.” 라고 말한다. 유아가 최소 1개의 연습 항목에 대해 정답을 말할 경우, 항목 1로 가서 “나머지도 혼자서 해 보세요. 각 페이지에서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고 말한 다. 본 검사에서 유아의 오답이 3개 연속으로 나올 때까지 검사를 계속한다. 범주 소검사 예제 A를 보여주며 “(상단의 그림을 가리키며) 이 2개의 그림은 어떤 면에서 비슷합니다. 이 중 어느 것이 (페이지 하단의 선택 항목 위로 손가락을 짚에 가면서) 위에 있는 두 개 의 그림과 가장 비슷할까요? (상단의 2개 그림 사이의 빈 상자를 다시 가리키면서) 빈 상 자 안에 들어갈 그림을 가리켜보세요.”라고 말한다. 예제 B로 가서 동일한 설명을 하고, 예제 C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해 보세요.” 라고 말한다. 유아가 최소 1개의 연습 항목에 대해 정답을 말할 경우, 항목 1로 가서 “나머지도 혼자서 해 보세요. 각 페이지에서 정답 이라고 생각하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고 말한다. 본 검사에서 유아의 오답이 3개 연 속으로 나올 때까지 검사를 계속한다. 순서 소검사 예제 A를 보여주며 “(페이지 하단의 상자 위로 손가락을 짚어 가면서) 이 중 어느 것이 (상단의 빈 상자를 가리키며) 이 상자 안에 들어가야 할까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 고 말한다. 예제 B로 가서 동일한 설명을 하고, 예제 C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해 보세요.” 라고 말한다. 유아가 최소 1개의 연습 항목에 대해 정답을 말할 경우, 항목 1로 가서 “나 머지도 혼자서 해 보세요. 각 페이지에서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그림을 가리켜 보세요.” 라 고 말한다. 본 검사에서 유아의 오답이 3개 연속으로 나올 때까지 검사를 계속한다.
  • 9.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9 - 107 -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0년 7월부터 10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먼저 비언어적 지능검사 (CTONI-2)를 위한 검사자 훈련이 이루어졌고 동시에 S어린이집에서 무작위로 선출 된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적 지능검사(CTONI-2)에 대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 다. 같은 시기에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유아 정서 지능 평정척도, 유아용 실행기 능 행동평가검사(BRIEF-P)는 Y유치원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유아 15명의 해당 담임 교사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절차를 확정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9월중 아동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를 실 시하여 일반집단과 주의문제 집단을 선정하였다. 10월중 본 연구자가 해당기간을 직 접 방문하여 담임교사에게 설문지의 내용과 응답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얻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기관에 방문하 여 회수하였다. 또한 같은 기간 연구대상에게 본 연구자를 포함한 아동전공 석사과정 생 4인에 의해 비언어적 지능검사(CTONI-2)를 실시하였다. 4. 자료처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와 비언어성 지능(CTONI-2), 정서지능 및 행기능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집단별 비언어성 지능, 정서지능, 실행기능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별 비언어성 지능과 정서지능, 실행기능이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집단별 비언어성지능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한 후, 집단에 따른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정 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한 후, 집단별 정서지능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 비언어성 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 10. 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보고 정서지능, 실행기능간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정서지능과 상관이 있는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한 후의 편상관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에서 실행기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1.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 비언어성 지능의 차이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와 변량분석 결과는 표 7에 제시하였다. 집단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이 186.52(SD=25.25)로,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 165.62(SD=20.50)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도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총점의 평균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 은 176.52(SD=24.16), 여아는 178.04(SD=31.22)로 나타났으며, 5~7세에서는 남아의 평 균이 189.63(SD=21.43)로 나타났고, 여아는 210.10(SD=14.16)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총점의 평균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162.14(SD=20.28)이고, 여아는 167.50(SD=36.68)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165.37(SD=16.55), 여아는 177.33(SD=21.51)로 나타났다. 유아의 집단과 연령 및 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정서의 이용(F(1, 143)=11.84, p<.01)’,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F(1, 143)=35.79, p<.001)’,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F(1, 143)=51.77, p<.001)’, ‘또래와의 관계(F(1, 143)=6.73, p<.05)’, ‘정서지능 총점(F(1, 143)=15.37, p<.001)’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F(1, 143)=7.50, p<.01)’,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F(1, 143)=6.90,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 모두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과 감정의 조절 및 충 동억제에서 3세-4세보다 5세-7세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실행기능수행과 변량분석결과는 표 8에 제시하였다. 실행기능의 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실행기능 총점 평균이 280.59(SD=29.37)로, 주의문제 유아의 실행기능 총점 평균 218.94(SD=26.09)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의 평균도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감정조절 평균은 44.74(SD=5.31)이고, 여아는 44.81(SD=5.00) 이며, 5~7세 남아는 42.63(SD=5.00), 여아는 44.64(SD=6.18)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작 - 108 -
  • 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1 업기억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75.96(SD=9.37)이고, 여아는 77.65(SD=8.23)이 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73.04(SD=9.15), 여아는 79.24(SD=7.85)로 나타났다. 억제를 살 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71.35(SD=8.33)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73.35(SD=7.03)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67.11(SD=8.40), 여아는 74.20(SD=6.68)로 나타났다. 주의전환에서 는 3~4세 남아의 평균이 43.70(SD=5.61)이고, 여아는 45.00(SD=5.34)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43.00(SD=45.38), 여아는 43.76(SD=7.23)으로 나타났다. 계획조직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이 44.48(SD=5.63)로 나타났고, 여아는 45.15(SD=5.17)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43.56(SD=4.90), 여아는 45.68(SD=6.36)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280.22(SD=31.45)이고, 여아는 285.96(SD=27.12)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269.33(SD=26.54), 여아는 287.52(SD=30.58)로 나타났다. 일반유 아의 성에 따른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은 남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에 따라서는 3~4가 5~7세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 보면, 3~4세 남아의 감정조절 평균은 33.52(SD=4.28)이고, 여아는 32.25(SD=4.43)이며, 5~7세 남아는 33.68(SD=4.66), 여아는 35.83(SD=5.7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작업기억 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59.67(SD=9.12)이고, 여아는 64.00(SD=14.31)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59.95(SD=9.18), 여아는 68.00(SD=13.34)로 나타났다. 억제를 살 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49.52(SD=6.52)로 나타났고, 여아는 53.25(SD=15.02)이 며, 5~7세 남아의 평균은48.16(SD=6.83), 여아는 56.17(SD=9.66)로 나타났다. 주의전환 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36.57(SD=4.99)이고, 여아는 36.25(SD=.50)이며, 5~7세 남 아의 평균은 39.26(SD=5.64), 여아는 42.00(SD=4.57)으로 나타났다. 계획조직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34.95(SD=4.27)로 나타났고, 여아는 39.75(SD=6.95)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4.58(SD=6.48), 여아는 39.50(SD=6.95)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214.24(SD=21.02)이며, 여아는 225.50(SD=38.13) 으로 나타났고, 5~7세 남아의 평균은 215.63(SD=25.07), 여아는 241.50(SD=31.47)으로 나타났 다. 주의문제 유아의 성에 따른 실행기능 하위요인들은 3~4세에서 감정조절, 주의전환을 제외 하고는 남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억제를 제외하고는 3~4세보 다 5~7세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실행기능의 변인별 차이를 보기 위해 변량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면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의전환’에서 집단×연령 (F(1, 143)=4.97, p<.05)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유아 에서는 3세-4세가 5세-7세보다 ‘주의전환’이 높게 나타났으나 주의문제 유아에서는 3세 -4세보다 5세-7세가 ‘주의전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작업기억(F(1, 143)=7.28, p<.01)’, ‘억제(F(1, 143)=10.79, p<.01)’, ‘계획조직(F(1, 143)=7.43, p<.01)’, ‘실행기능 총점(F(1, 143)=7.15,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 모두 남아 - 109 -
  • 12. 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보다 여아가 더 높은 실행기능을 나타내었다(표 8 참조). 집단, 연령,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수행과 변량분석결과는 표 9에 제시하였다. 집단, 연령,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수행은 다음과 같다. 표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비언어성 지능의 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비언어성 지능 평균이 39.75(SD=15.57)로, 주의문제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 평균 32.04(SD=14.62)보다 높게 나 타났다.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 아는 31.57(SD=10.82)이고, 여아는 28.27(SD=12.23)이며, 5~7세 남아는 46.15(SD=12.23), 여아는 52.32(SD=12.94)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의 평균은 3~4 세에서는 여아보다 남아가 높게 나타났으나, 5~7세에서는 여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 에 따라서는 3~4세보다 5~7세가 높게 나타났다(표 9 참조).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아는 23.67((SD=11.99)이고, 여아는 32.25(SD=9.98)이며, 5~7세 남아는 36.37 (SD=10.44), 여아는 47.50(SD=20.42)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성에 따른 비언어 성 지능의 평균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3~4세보다 5~7세가 높게 나타났다(표 9 참조). 비언어성 지능의 변인별 차이를 보기 위해 변량분석한 결과 성(F(1, 143)=5.04,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아가 남아보 다 비언어성 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F(1, 143)=43.76, p<.001)에 있어서도 3 세-4세보다 5세-7세가 비언어성 지능이 높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 9 참조). - 110 -
  • 13.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3 2. 집단별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이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CTONI-2)과 어 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 과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비언어성지능과 정서지능의 상관분석 결과, 일반유아에서는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r=.40, p<.01)’,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r=.31, p<.01)’,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r=.32, p<.01)’,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r=.23, p<.05)’, ‘또래와의 관계 (r=.23, p<.05)’, ‘정서지능 총점(r=.36, p<.001)’은 비언어성 지능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에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r=.34, p<.05)’, ‘자기정서의 인식 및 배려(r=.32, p<.05)’, ‘정서지능 총점(r=.33, p<.05)’ 은 비언어성 지능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성 지능과 실행기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일반유아에서는 실행기능 하위요인 중 ‘계획조직(r=.22,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비언어성 지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성 지능이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연구결과를 더 정확히 하기 위하여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하였 다.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언 어성지능을 통제한 후 편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11에 제시하였다. 표 10. 집단에 따른 정서지능, 실행기능의 비언어성 지능(CTONI-2) 간 상관관계 - 111 - 하위요인 비언어성 지능 일반유아 (N =101) 주의문제 유아 (N =50) 정 서 지 능 자기정서의 이용 .40   .34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1  .10 자기정서의 인식 및 배려 .32  .32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3 .18 교사와의 관계 .11 .22 또래와의 관계 .23 .10 정서지능 총점 .36   .33 실 행 기 능 감정조절 -.11 .01 작업기억 .16 .13 억제 -.07 -.04 주의전환 .06 .20 계획조직 .22 .05 실행기능 총점 .06 .09 p<.05,  p<.01,   p<.001
  • 14. 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7.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분석 - 112 - 구분 3-4세 5-7세 합계 남 (N=23) 여 (N=26) 소계 (N=49) 남 (N=27) 여 (N=25) 소계 (N=52) 남 (N=49) 여 (N=52) 총계 (N=101)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일반 유아 자기정서의 이용 42.00 (6.62) 41.04 (10.87) 41.49 (9.05) 44.11 (6.30) 48.04 (4.13) 46.00 (5.67) 43.14 (6.47) 44.47 (8.93) 43.81 (7.80)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4.83 (4.91) 34.58 (3.85) 34.69 (5.43) 37.00 (5.67) 39.76 (3.85) 38.33 (5.03) 36.00 (5.39) 37.12 (5.63) 36.56 (5.51)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31.13 (7.52) 32.12 (6.59) 31.65 (6.99) 36.11 (5.09) 36.72 (4.34) 36.40 (4.71) 33.82 (6.74) 34.37 (6.01) 34.10 (6.36)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9.35 (3.21) 29.35 (5.37) 29.35 (4.44) 30.26 (4.90) 32.96 (3.62) 31.56 (4.50) 29.84 (4.19) 31.12 (4.90) 30.49 (4.59) 교사와의 관계 18.26 (3.86) 19.65 (3.97) 19.00 (3.94) 18.85 (3.44) 20.16 (2.61) 19.48 (3.11) 18.58 (3.62) 19.90 (3.35) 19.25 (3.53) 또래와의 관계 17.26 (3.08) 17.50 (3.18) 17.39 (3.10) 19.26 (3.03) 19.24 (2.92) 19.25 (2.96) 18.34 (3.19) 18.35 (3.15) 18.35 (3.15) 정서지능 총점 176.52 (24.16) 178.04 (31.22) 177.33 (27.85) 189.63 (21.43) 201.20 (14.16) 195.19 (19.04) 183.60 (23.44) 189.39 (26.84) 186.52 (25.25) 주의 문제 유아 남 (N=21) 여 (N=4) 소계 (N=25) 남 (N=19) 여 (N=6) 소계 (N=25) 남 (N=40) 여 (N=10) 총계 (N=50) 자기정서의 이용 34.90 (8.25) 40.75 (13.40) 35.84 (9.16) 37.26 (6.52) 40.67 (7.97) 38.08 (6.88) 36.03 (7.48) 40.70 (9.75) 36.96 (8.10)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0.71 (4.61) 29.25 (8.18) 30.48 (5.13) 29.95 (5.06) 30.67 (5.96) 30.12 (5.17) 30.35 (4.78) 30.10 (6.52) 30.30 (5.10)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34.86 (6.34) 35.50 (2.89) 34.96 (5.88) 34.95 (5.49) 39.00 (3.63) 35.92 (5.34) 34.90 (5.88) 37.60 (3.66) 35.44 (5.58)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3.33 (3.01) 22.25 (7.63) 23.16 (3.87) 24.16 (4.75) 26.33 (4.03) 24.68 (4.61) 23.73 (3.90) 24.70 (5.74) 23.92 (4.28) 교사와의 관계 18.43 (4.17_ 19.25 (2.99) 18.56 (3.96) 18.79 (2.46) 20.33 (2.34) 19.16 (2.48) 18.60 (3.43) 19.90 (2.51) 18.86 (3.28) 또래와의 관계 16.10 (3.52) 16.75 (3.86) 16.20 (3.50) 16.84 (3.32) 16.67 (4.55) 16.80 (3.55) 16.45 (3.40) 16.70 (4.06) 16.50 (3.50) 정서지능 총점 162.14 (20.28) 167.50 (36.68) 163.00 (22.70) 165.37 (16.55) 177.33 (21.51) 168.24 (18.14) 163.68 (18.44) 173.40 (27.04) 165.62 (20.50)
  • 15.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5 변인 변량원 SS df MS F 변인 변량원 SS df MS F - 113 - 자기 정서 의 이용 집단 690.60 1 690.60 11.84** 교사 와의 관계 집단 .02 1 .02 .97 연령 191.86 1 191.86 3.29 연령 9.56 1 9.56 .80 성 55.39 1 55.39 1.00 성 45.89 1 45.89 .06 집단 * 연령 69.17 1 69.17 1.19 집단 * 연령 .18 1 .18 .02 집단 * 성 58.38 1 58.38 1.00 집단 * 성 .17 1 .17 .01 연령 * 성 8.87 1 8.87 .15 연령 * 성 .60 1 .60 .05 집단 * 연령 * 성 79.54 1 79.54 1.36 집단 * 연령 * 성 .96 1 .96 .08 오차 8342.1 7 143 58.34 오차 1703. 47 143 10.48 합계 10867. 47 150 합계 1777 7.85 150 타인 정서 의 인식 및 배려 집단 968.46 1 968.46 35.79*** 또래 와의 관계 집단 70.57 1 70.57 6.73* 연령 94.85 94.85 3.51 연령 28.67 1 28.67 2.74 성 39.66 1 39.66 1.48 성 .30 1 .30 .03 집단 * 연령 66.56 1 66.56 2.46 집단 * 연령 13.99 1 13.99 .13 집단 * 성 15.68 1 15.68 .59 집단 * 성 .10 1 .10 .01 연령 * 성 39.90 1 39.90 1.47 연령 * 성 1.75 1 1.75 .17 집단 * 연령 * 성 1.01 1 1.01 .04 집단 * 연령 * 성 .48 1 .48 .05 오차 3869.5 3 143 27.06 오차 1499. 10 143 10.48 합계 5625.7 4 150 합계 1707. 40 150 자기 정서 의 인식 및 표현 집단 100.15 1 100.15 2.93 정서 지능 총점 집단 7894. 14 1 7894. 14 15.37*** 연령 256.84 1 256.84 7.50** 연령 3600. 10 1 3600. 10 7.01** 성 15.98 1 15.98 .45 성 1368. 14 1 1368. 14 2.66 집단 * 연령 53.18 1 53.18 1.55 집단 * 연령 797.0 6 1 797.0 6 1.55 집단 * 성 14.23 1 14.23 .42 집단 * 성 26.54 1 26.54 .05 연령 * 성 13.62 1 13.62 .40 연령 * 성 410.7 2 1 410.7 2 .37 집단 * 연령 * 성 21.21 1 21.21 .62 집단 * 연령 * 성 17.57 1 17.57 .03 오차 4895.4 9 143 34.23 오차 7346 6.32 143 513.7 5 합계 5629.4 7 150 합계 9889 92.16 150 감정 의 조절 및 충동 억제 집단 987.75 1 987.75 51.77*** 연령 131.66 1 131.66 6.90* 성 45.82 1 45.82 2.36 집단 * 연령 .22 1 .22 .01 집단 * 성 3.82 1 3.82 .20 연령 * 성 52.58 1 52.58 2.76 집단 * 연령 * 성 .46 1 .46 .02 오차 2728.5 2 143 19.08 합계 4442.3 7 150 *p< .05, **p< .01, ***p< .001
  • 16. 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8. 집단, 연령, 성에 따른 실행기능 수행 - 114 - 구분 3-4세 5-7세 합계 남 (N=23) 여 (N=26) 소계 (N=49) 남 (N=27) 여 (N=25) 소계 (N=52) 남 (N=49) 여 (N=52) 총계 (N=101)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일 반 유 아 감정조절 44.74 (5.31) 44.81 (5.00) 44.78 (5.10) 42.63 (5.00) 44.64 (6.18) 43.60 (5.63) 43.60 (5.20) 44.73 (5.55) 44.17 (5.39) 작업기억 75.96 (9.37) 77.65 (8.23) 76.56 (8.73) 73.04 (9.15) 79.24 (7.85) 76.02 (9.03) 74.38 (9.27) 78.43 (8.01) 76.43 (8.85) 억제 71.35 (8.33) 73.35 (7.03) 72.41 (7.65) 67.11 (8.40) 74.20 (6.68) 70.52 (8.35) 69.06 (8.55) 73.76 (6.81) 71.44 (8.04) 주의전환 43.70 (5.61) 45.00 (5.34) 44.39 (5.45) 43.00 (5.38) 43.76 (7.23) 43.37 (6.28) 43.32 (5.44) 44.39 (6.60) 43.86 (5.89) 계획조직 44.48 (5.63) 45.15 (5.17) 44.84 (5.34) 43.56 (4.90) 45.68 (6.36) 44.58 (5.70) 43.98 (5.21) 45.41 (5.73) 44.70 (5.50) 실행기능 총점 280.22 (31.45) 285.96 (27.12) 283.27 (29.07) 269.33 (26.54) 287.52 (30.58) 278.08 (29.72) 274.34 (29.12) 286.73 (28.59) 280.59 (29.37) 주 의 문 제 유 아 남 (N=21) 여 (N=4) 소계 (N=25) 남 (N=19) 여 (N=6) 소계 (N=25) 남 (N=40) 여 (N=10) 총계 (N=50) 감정조절 33.52 (4.28) 32.25 (4.43) 33.52 (4.24) 33.68 (4.66) 35.83 (5.71) 34.20 (4.90) 33.60 (4.41) 34.40 (5.30) 33.76 (4.55) 작업기억 59.67 (9.12) 64.00 (14.31) 60.36 (9.87) 59.95 (9.18) 68.00 (13.34) 61.88 (10.61) 59.80 (9.03) 66.40 (13.09) 61.12 (10.17) 억제 49.52 (6.52) 53.25 (15.02) 50.12 (8.10) 48.16 (6.83) 56.17 (9.66) 50.08 (8.17) 48.88 (6.62) 55.00 (11.37) 50.10 (8.05) 주의전환 36.57 (4.99) 36.25 (.50) 36.52 (4.56) 39.26 (5.64) 42.00 (4.57) 39.92 (5.44) 37.85 (5.41) 39.70 (4.52) 38.22 (5.25) 계획조직 34.95 (4.27) 39.75 (6.95) 35.72 (4.95) 34.58 (6.48) 39.50 (6.95) 35.76 (6.79) 34.78 (5.36) 39.60 (6.55) 35.74 (5.88) 실행기능 총점 214.24 (21.02) 225.50 (38.13) 216.04 (23.83) 215.63 (25.07) 241.50 (31.47) 221.84 (28.37) 214.90 (22.74_ 235.10 (33.21) 218.94 (26.09)
  • 17.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7 변인 변량원 SS df MS F 변인 변량원 SS df MS F - 115 - 감정 조절 집단 2551. 19 1 2551. 19 96.22** * 주의 전환 집단 675.7 21.08 1 3 *** 연령 3.18 1 3.18 .12 연령 62.63 1 62.63 1.95 성 12.91 1 12.91 .49 성 29.69 1 29.69 .93 집단 * 연령 53.64 1 53.64 2.02 집단 * 연령 159.3 3 1 159.3 3 4.97* 집단 * 성 2.14 1 2.14 .08 집단 * 성 .18 1 .18 .01 연령 * 성 42.58 1 42.58 1.61 연령 * 성 9.35 1 9.35 .29 집단 * 연령 * 성 3.25 1 3.25 .12 집단 * 연령 * 성 19.20 1 19.20 .60 오차 3791. 46 143 26.51 오차 4585. 01 143 32.06 합계 7538. 32 150 합계 5882. 99 150 작업 기억 집단 4358. 07 1 4358. 07 52.08** * 계획 조직 집단 1339. 25 1 1339. 25 42.90 *** 연령 12.85 1 12.85 .15 연령 1.54 1 1.54 .05 성 608.8 7 1 608.8 7 7.28** 성 231.8 7 1 231.8 7 7.43* * 집단 * 연령 46.63 1 46.63 .56 집단 * 연령 .08 1 .08 .00 집단 * 성 29.77 1 29.77 .36 집단 * 성 70.82 1 70.82 2.27 연령 * 성 100.0 9 1 100.0 9 1.20 연령 * 성 3.66 1 3.66 .12 집단 * 연령 * 성 .92 1 .92 .01 집단 * 연령 * 성 2.60 1 2.60 .08 오차 11965 .98 143 83.68 오차 4465. 06 143 31.22 합계 25740 .69 150 합계 7405. 40 150 억제 집단 9211. 90 1 9211. 90 154.92* ** 실행 기능 총점 집단 7567 6.82 1 7567 6.82 98.05 *** 연령 4.97 1 4.97 .08 연령 96.30 1 96.30 .13 성 641.4 7 1 641.4 7 10.79** 성 5516. 34 1 5516. 34 7.15* * 집단 * 연령 36.01 1 36.01 .61 집단 * 연령 1056. 24 1 1056. 24 1.37 집단 * 성 10.37 1 10.37 .17 집단 * 성 257.7 7 1 257.7 7 .33 연령 * 성 129.9 9 1 129.9 9 2.19 연령 * 성 1082. 49 1 1082. 49 1.40 집단 * 연령 * 성 .97 1 .97 .02 집단 * 연령 * 성 6.93 1 6.93 .01 오차 8503. 12 143 59.46 오차 1103 71.85 143 771.8 3 합계 24857 .23 150 합계 2467 72.17 150
  • 18. 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9. 집단, 연령, 성에 따른 비언어성지능(CTONI-2) 수행 - 116 - 구분 3-4세 5-7세 합계 남 (N=23) 여 (N=26) 소계 (N=49) 남 (N=27) 여 (N=25) 소계 (N=52) 남 (N=49) 여 (N=52) 총계 (N=101)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M(SD) 일반 유아 31.57 (10.82) 28.27 (12.23) 29.82 (11.60) 46.15 (12.23) 52.32 (12.94) 49.12 (12.83) 39.44 (13.63) 40.06 (17.40) 39.75 (15.57) 남 (N=21) 여 (N=4) 소계 (N=25) 남 (N=19) 여 (N=6) 소계 (N=25) 남 (N=40) 여 (N=10) 총계 (N=50) 주의 문제 유아 23.67 (11.99) 32.25 (9.98) 25.04 (11.94) 36.37 (10.44) 47.50 (20.42) 39.04 (13.86) 29.70 (12.85) 41.40 (18.08) 32.04 (14.62) 변인 변량원 SS df MS F CTONI -2 집단 507.33 1 507.33 3.38 연령 6559.64 1 6559.64 43.76   성 755.06 1 755.06 5.04 집단 * 연령 168.82 1 168.82 1.13 집단 * 성 419.52 1 419.52 2.80 연령 * 성 213.62 1 213.62 1.43 집단 * 연령 * 성 70.84 1 70.84 .47 오차 21436.95 143 149.91 합계 36712.04 150 p<.05,   p<.001
  • 19.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19 표 11. 일반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간 상관관계(비언어성 지능통제 후) - 117 - 실행기능 정서지능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계획 조직 실행 기능 총점 일반 유아 (N =101) 자기정서의 이용 -.00 .30  .13 .08 .25 .19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20 .25 .22 .10 .17 .22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06 .25 .01 .18 .18 .15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23 .27  .34  .09 .22 .27  교사와의 관계 .05 .14 -.04 .11 .15 .09 또래와의 관계 .27  .29  .12 .27  .30  .28  정서지능 총점 .15 .32  .17 .17 .27  .25 주의력 결핍성향 유아 (N =50) 자기정서의 이용 -.09 .68   .53   .02 .55   .54  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30 .24 .18 .17 .12 .26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02 .11 .06 .18 -.00 .09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32 .17 .25 .14 .12 .26 교사와의 관계 .02 .09 .04 -.04 .02 .05 또래와의 관계 .33 .23 .20 .45  .10 .32 정서지능 총점 .17 .46  .37  .21 .30 .43  p<.05,  p<.01,   p<.001 비언어성지능을 통제한 후 일반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정서 지능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작업기억(r=.30, p<.01), 계획조직(r=.25, p<.05)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정서의 인 식 및 배려’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20, p<.05), 작업기억(r=.25, p<.05), 계획조직(r=.22, p<.05)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 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작업기억(r=.25,
  • 20. 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는 실행기 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23, p<.05) 작업기억(r=.27, p<.01), 억제(r=.34, p<.01), 계획조직(r=.22, p<.05)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고, ‘또래와의 관계’는 실행기능의 하 위요인 중 감정조절(r=.27, p<.01), 작업기억(r=.29, p<.01), 주의전환(r=.27, p<.01), 계 획조직(r=.30, p<.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총점과 실행기능 간에는 작업기억(r=.32, p<.01), 계획조직(r=.27, p<.01), 실행기능 총점(r=.25, p<.05)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실행기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은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작업기억(r=.68, p<.001), 억제(r=.53, p<.001). 계획조직(r=.55, p<.0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30,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게 나타났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 절(r=.32, p<.05)과 정적인 상관을 갖으며, ‘또래와의 관계’는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r=.33, p<.05), 주의전환(r=.45, p<.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 타났다(표 11 참조). 정서지능총점과 실행기능 간에는 작업기억(r=.46, p<.01), 억제(r=.37, p<.01), 계획조 직(r=.30, p<.05), 실행기능 총점(r=.43, p<.01)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일반유아의 경우 정서지능 하위요인과 실행기능 하위영역 간의 상관범위는 .23 ~ .33이며 각 하위영역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정서지능의 자기 정서의 이용과 실행기능 중 작업기억(.33), 정서지능의 또래와의 관계와 실행기능의 계획조직(.33)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정서의 인식과 계획 조직(.23)은 가장 낮은 상관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주의문제 유아의 경우 정서지능 하위요인과 실행기능 하위영역 간의 상관범위는 .30 ~ .67이며 각 하위영역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정서지능의 자기정서 의 이용과 실행기능 중 작업기억(.67)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감정조절(.30)이 가장 낮은 상관으로 나타났다(표 11 참 조). 3. 집단별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상관관계를 기초로 일반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이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를 더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비언어성 지능을 통제하였다. 표 12에는 일반 유 아에 대한 분석결과를 그리고 표 13에는 주의문제 유아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 118 -
  • 2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1 표 12. 일반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이 실행기능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N =101) 설명변인 종속변수 B β R  F - 119 - 또래와의 관계 감정조절 .70 .41  .19 7.61  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42 .36  자기정서의 이용 작업기억 .38 .33  .11 .33 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억제 .54 .31  .09 10.36  또래와의 관계 주의전환 .52 .28  .07 8.26  또래와의 관계 계획조직 .58 .33  .11 5.68 또래와의 관계 실행기능 총점 2.63 .28 .08 8.58  p<.05,  p<.01,   p<.001 일반유아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실행기 능의 ‘감정조절’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 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19%였다. 이는 F=7.61 로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판단 된다. ‘작업기억’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1%였다. 이는 F=.33으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억제’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9%였다. 이는 F=10.36으로 p<.01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의전환’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7%였다. 이는 F=8.26으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계획조직’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1%였다. 이는 F=12.12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행기능의 총점’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8%이다. 이는 F=8.58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22. 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표 13.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이 실행기능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N=50) 설명변인 종속변수 B β R  F 또래와의 관계 감정조절 .42 .33 .11 5.68 자기정서의 이용 작업기억 .85 .67   .46 40.01   자기정서의 이용 억제 .48 .48   .23 14.59   자기정서의 이용 주의전환 .68 .45  .21 12.41  자기정서의 이용 계획조직 .39 .53   .28 18.93   자기정서의 이용 실행기능 총점 1.73 .54 .29 19.26   - 120 - p<.05,  p<.01,   p<.001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실행기능의 ‘감정조절’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1%였다. 이는 F=5.68로 p<.05수준에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표 13 참조).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반유아와 주의력결핍성향 유아의 정서지능이 이들의 실행기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집단과 연령 및 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행기능의 모든 하위요인인 감정조절 (F(1, 143)=95.22, p<.001), 작업기억(F(1, 143)=52.08, p<.001), 억제(F(1, 143)=154.92, p<.001), 주의전환(F(1, 143)=21.08, p<.001), 계획조직(F(1, 143)=42.90, p<.001) 및 전 체 총점(F(1, 143)=98.05, p<.001)에서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더 높은 실행기 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의력결핍 어린이와 어른으로 이루어진 집단과 정 상 어린이와 어른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의 연구에서 반응습관, 각성, 실행기억력, 작업기억력, 계획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측정에서 주의력결핍을 가 진 집단의 실행기능이 일반집단에 비해 현저한 손상을 보였다는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Pennington, 2005). 실행기능에서의 연령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여 ‘작업기억(F(1, 143)=7.28, p<.01)’, ‘억제(F(1, 143)=10.79, p<.01)’, ‘계획조직(F(1,
  • 23.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3 143)=7.43, p<.01)’, ‘실행기능 총점(F(1, 143)=7.15, p<.01)’에서 남아보다 여아가 더 높 은 실행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여아가 남아보다 주의집중과 통제력이 높았다는 장 수진(2008)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참고, 기다리며, 인내하는 능력이 더 높으며, 자신의 행위 ․ 사고 ․ 정서를 상황에 적절하게 점검할 줄 안다 고 한 선행 연구들과 같은 맥락에 있다(권수정, 2005; 양옥승, 이정란, 2003; Kendall & Willcox, 1979). 정서지능에 대한 집단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이 186.52(SD=25.25)로, 주의문제 유아의 정서지능 총점 평균 165.62(SD=20.50)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도 일반유아가 주의문제 유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의문제 유아들이 일반 유아들에 비해 낮은 정서 지능을 보인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장정애, 1998). 일반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평균이 42.00(SD=6.62)이고, 여아는 41.04(SD=10.87) 이며, 5~7세 남아는 44.11(SD=6.30), 여아는 48.04(SD=4.13)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타 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34.83(SD=4.91)이고, 여아는 34.58(SD=3.85)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7.00(SD=5.67), 여아는 39.76(SD=3.85)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을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31.13(SD=7.52) 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32.12(SD=6.59)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6.11(SD=5.09), 여 아는 36.72(SD=4.34)로 나타났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 은 29.35(SD=3.21)이고, 여아는 29.35(SD=5.37)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30.26(SD=4.90), 여아는 32.96(SD=3.62)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3~4세 남아 의 평균은 18.26(SD=3.86)로 나타났고, 여아는 19.65(SD=3.97)이며, 5~7세 남아의 평균 은 18.85(SD=3.44), 여아는 20.16(SD=2.61)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계에서는 3~4세 남 아의 평균은 17.26(SD=3.08)이고, 여아는 17.50(SD=3.18)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 의 평균은 19.26(SD=3.03), 여아는 19.24(SD=2.92)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76.52(SD=24.16)로 나타났고, 여아는 178.04(SD=31.22)이며, 5~7 세 남아의 평균은 189.63(SD=21.43), 여아는 210.10(SD=14.16)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의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은 3~4세에서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제외하고는 남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3~4세보 다 5~7세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주의문제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 보면, 3~4세 남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평균이 34.90(SD=8.25)이고, 여아는 40.75(SD=13.40)이며, 5~7세 남아는 37.26(SD=6.52), 여아는 40.67(SD=7.97)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살펴보면, 3~4세 남아의 평균은 30.71(SD=4.61)이고, 여아는 29.25(SD=8.18)이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29.95(SD=5.06), - 121 -
  • 24. 2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여아는 30.67(SD=5.96)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을 살펴보면, 3~4세 남아 의 평균은 34.86(SD=6.34)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35.50(SD=2.89)이며, 5~7세 남아의 평 균은 34.95(SD=5.49), 여아는 39.00(SD=3.63)로 나타났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에 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23.33(SD=3.01)이고, 여아는 22.25(SD=7.63)이며, 5~7세 남 아의 평균은 24.16(SD=4.75), 여아는 26.33(SD=4.03)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서 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8.43(SD=4.17)로 나타났고, 여아는 19.25(SD=2.99)이며, 5~7 세 남아의 평균은 18.79(SD=2.46), 여아는 20.33(SD=2.34)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 계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6.10(SD=3.52)이며, 여아는 16.75(SD=3.86)로 나타났 고, 5~7세 남아의 평균은 16.84(SD=3.32), 여아는 16.67(SD=4.55)로 나타났다. 정서지 능의 총점에서는 3~4세 남아의 평균은 162.14(SD=20.28)이고, 여아는 167.50(SD=36.68)으로 나타났으며, 5~7세 남아의 평균은 165.37(SD=16.55), 여아는 177.33(SD=21.51)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의문제 유아의 성에 따른 정서지능 하위요인 들은 3~4세에서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를 제외하고는 남 아보다 여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를 제외하고는 3~4세보다 5~7세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른 사람의 요구에 민감하고 동정적, 이타주의 또는 친사회적 행동이 나타나며, 자신 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통제 및 조절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느낄 수 있 는 감정이입도 가능해진다(단현국, 1991)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유아의 집단과 연령 및 성에 따른 비언어성 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F(1, 143)=5.04,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아가 남아보다 비언어성 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또한, 연령(F(1, 143)=43.76, p<.001)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3세-4세보다 5세-7세가 비언어성 지능이 높았다. 이는 비언어성 지능 검사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4-5세 집단의 아동보다 6-7세 집단의 아동의 검사 수행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이현주(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즉, 또래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감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특히 또래와의 관계 형성이 어 려운 유아는 공격적인 경향이 있고, 만족 지연 능력의 부족, 자기통제 능력의 부족, 정보 분석과 종합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학업성취와 또래와의 관계 등 사회적인 적응 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연구결과(조수철, 1990)와 같은 맥락에 있다. ‘작업기억’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6%였다. 이는 F=40.01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나 위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유아가 스스로 동기화 되어 당장의 작은 결과가 아닌 보다 큰 만족과 성취를 위하여 노력하는 것과 관련된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작업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한, 자기정서의 이용이 높을수록 실행기능 중 관련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실제 - 122 -
  • 25.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5 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뜻하는 작업기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DeCaro, Wieth, Beilock(2007)연구와 같은 맥락에 있다. ‘억제’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3%였다. 이는 F=14.59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억제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주의전환’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1%였다. 이는 F=12.41로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주의전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주의문제 아동에게 이들이 좋아하는 활동과 수행수준을 능가하지 않는 과제를 제시하였을 때, 이들의 동기화에 영향을 끼쳐 유아 스스로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주의집 중행동에 변화를 가져왔다(이효신, 2002)는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계획조직’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였다. 이는 F=18.93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의 이용을 잘 할수록 계획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김사리, 김교헌(2002)이 주 의문제 아동에게 “문제가 뭐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나는 계획 을 사용하고 있나?”, “내가 어떻게 했지?” 라는 계획적인 질문을 아동 스스로 하게 하 는 내면환된 언어중재훈련을 하였을 때, 실제로 이들의 실행기능이 향상되었다는 연 구결과를 지지한다. ‘실행기능의 총점’에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9%이다. 이는 F=19.26로 p<.001 수준에서 유의 미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기정서를 잘 이용하 는 것이 전반적인 유아의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효신(2002)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이 좋아하는 활동으로 수업내용을 구상하고 그것을 수업 전에 미리 아동에게 알려주어 동기화 시켜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에 변화 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이들은 환경의 구조화에 의해 동기화되었고, 이러한 동기 화는 아동의 실행기능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더 잘 주의집 중하게 된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했다는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에 있다. 이와 같이 정서지능은 실행기능과 관련된다는 연구는 Hom과 Knight(1996)의 정서 적 실행기능과 만족지연의 관련성 연구에서 밝혀졌다. 여기서 만족지연은 정서지능의 중요한 하위요소이며, 이는 실행기능이 작용하는 만족지연 전략에서 유아의 만족지연 시간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가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공감하기 위해서 는 다양한 표정단서와 상황단서에 민감해야하고 표정의 변화를 추적 비교할 수 있어 - 123 -
  • 26. 2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야 하며 자신의 정서를 타인의 정서에 맞추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에는 실 행기능의 작동기억, 정서의 억제와 활성화를 위한 정서적 실행기능 등이 작용한다. 따 라서 정서지능과 실행기능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작동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장현주(2004)의 연구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은 사회적 능력 다음으로 실행기능과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설명과도 관련지어볼 수 있다. 그 중에서 일반유아들의 경우 이들의 정서지능 중 또래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좋은 상호작용을 하면서 친구와 쉽게 사귀고 어울릴 수 있는 능력이 이들의 실행기능에 가 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래관계는 유아의 실행기능에 정서 적, 동기적 영향력을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를 맺을 수 있 도록 유아의 자기 통제력 및 자기 조절능력과 같은 정서지능의 향상을 통해 실행기능 수준을 더불어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동의 실 행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는 유아가 또래와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적절하게 개입 하여 친구관계를 선도해야 하며,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친구와 잘 어울리지 못하 면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도교사의 중재적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주의력결핍성향 유아들의 경우 이들의 정서지능 중 유아가 스스로 동기화 되어 당장의 작은 결과가 아닌 보다 큰 만족과 성취를 위하여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 하는지를 의미하는 자기정서의 이용능력이 이들의 실행기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효신(2002)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이 좋아하는 활 동으로 수업내용을 구상하고 그것을 수업 전에 미리 아동에게 알려주었을 때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들은 환경의 구조화에 의해 동기화 되었고, 이러한 동기화는 아동의 실행기능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과제를 완성하 기 위해 더 잘 주의집중하게 된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고 말하였다. 따라서 유 아가 스스로 동기화 된다면 실행기능에 결함을 가진 주의력결핍성향 유아일지라도 이 들의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기여가 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으 로 볼 수 있다. 결국 주의력결핍성향 유아들에게는 겉으로 드러난 외현화 된 문제행 동들에만 중점을 두고 이를 고치려고 하는 것보다는 이들이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은 많은 부정적인 피드백과 수행에 있어서 빈번한 실패적 경험으로 인한 이들의 낮은 동 기 수준을 향상시켜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유아교육 및 임상심 리장면에서 유아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의 정서지능이 중요한 요소임을 인 식하고 이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 124 -
  • 27.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7 참고문헌 곽윤정(2004).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권수정(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 124 - 위논문. 김경희(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사리, 김교헌(2002). 행동억제 훈련이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 과. 한국심리학회지, 7(3), 429-445. 단현국(1991). 유아의 놀이 지도.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양옥승,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69-90. 이현주(2007). 4-7세 유아의 인지능력, 기질 및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일 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신(2002). ADHD-PI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 개선을 위한 중재전략 비교 연구. 한국발달장 애학회, 6(1), 127-138. 장수진(2008). 유아의 기질, 인지능력, 실행기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정애(1998).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학교적응, 사회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현주(2004). 보육 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수철(199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개념과 생물학적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 5-20. Barkley, R. A. (1995). Taking cha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Calson, S. M., & Moses, L., (2002). Individual differences in appearance reality tasks: The role of inhibition of attention and symbolic representation. Child Development, 75(2), 562-579. Casey, R. I., & Schlosser, S. (1994). Emotional responses to peer prais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 diagnosed externalizing disorde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 60-81. DeCaro, M. S., Wieth, M., Beilock, S. L. (2007). Methodologies for examining problem solving success and failure. Methods, 42(1), 58–67. Di Pinto, M.(2006). The ecological validity of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in the subtypes of ADH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Eisenberg, N., Fabes, R. A., & Losoya, S. (1997). Emotional responding: regulation, soci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In P. Salovey and D. J. Slutyer(Eds.), Emotional
  • 28. 2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2권 1호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129–163). New York: Basic Books.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 126 - NY: Bantam Books. Goyette, C., Conners., & Ulrich, R. (1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s and teacher rating scal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6(2), 221-236. Guy, S. C., Isquith, P. K., & Gioia, G. A., & Kenworthy, L. (2001).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Hammill, D. D., Pearson, N. A., & Wiederhold, J.E. (1997).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Communication. Austin: TX, Pro-Ed. Hom. H. L. Jr. & Knight, H. (1996). Delay of gratification: Mother's predictions about four attentional techniques. J 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7(2),180-190.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Losoya, S. H. (1994). The patterns of vicarious emotional responding in boys with and with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Mcgee, R., & Share, D. L. (1998). Attention deficit disorder hyperactivity and academic failure: Which comes first and what should be treate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ic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7(3), 318-325. Pennington, B. F. (2005). Executive func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1), 51-87.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Personality, 9, 185-211. Welsh, M. C., Pennington, B. F., & Grossier, D. B. (1991) A normative developmental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2), 131–149. 1차원고접수 : 2011. 03. 28. 수정원고접수 : 2011. 06. 16. 최종게재결정 : 2011. 06. 18.
  • 29.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29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xecutive Function: A Comparison between Normal Children and Attention Deficit Children Jungeun Seo⋅Hyewon Park University of Ulsan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xecutive functions with 101 normal & 50 attention-deficit children in Ulsa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diversion' factor of executive function was explained by the peer-relationship factor of EM in normal children but it was explained by the use of self-emotion factor of EM in attention-deficit children. The 'plan organization' factor of executive functions was explained by peer relationship in normal children, but the use of self-emotion had an effect on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s. It was suggested that executive function factors that affects EM were different between normal & attention-deficit children.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executive functions, attention- deficit children - 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