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1
Download to read offline
정서․행동장애연구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3, Vol. 29, No. 4, pp. 39~59.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조정숙** ․ 이효신*** 
< 초 록 > 
본 연구는 아스퍼거 장애 아동,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비 
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임상심리사에 의해 선별된 아스퍼거 장애 아동 
18명과 ADHD 아동 18명 및 일반 아동 18명으로 생활 연령이 10∼15세 해당하는 
남아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 지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 웩슬러 
아동용 지능 검사-4판(K-WISC-Ⅳ)을 사용하였고, 실행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해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검증은 집단 간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PSS프로그램(Ver. 18.0)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K-WISC-Ⅳ 전체검사 IQ(FSIQ)는 평균 수준으로 통 
계적 차이가 없었다. 둘째,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실행지능(EIQ)은 경계선 수준으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핵심 단어: 아스퍼거 장애, ADHD, 인지적 특성, K-WISC-Ⅳ,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 
* 본 논문은 2013년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Compar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Focusing on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s.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박사. 
Dep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Daegu Univ. 
***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hyoslee@daegu.ac.kr). 
Dep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aegu Univ.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Ⅰ. 서 론 
- 40 -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최근 임상 및 학교현장에서는 아스퍼거 장애(Asperger syndrome: AS)와 주 
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에 대 
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이유는 기존의 자폐 장애에서 분리되어 AS가 
DSM-Ⅳ(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와 ICD-10(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에 공식적인 장애로 등장하였고, AS의 출현율이 자폐 장애 
아동의 출현율에 비해 높다는 연구 결과(Ehlers & Gillberg, 1993)가 보고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DHD는 가장 빈번한 아동기 정신장애로, 학령기 아동의 3~5%가 이 장애 
로 진단 받았으며, 이들의 25% 이상에서 성인기까지 그 증상이 지속된다(민성 
길, 2006). AS역시, 아동 초기의 문제가 청소년, 성인기까지도 지속되며(윤치연, 
최성욱, 2009), Attwood(1998)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AS 아동들 
의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진단해야 하며 이들에 대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AS 아동과 ADHD 아동은 감별 진단이 어려운 몇 가지 유사한 특성 
을 가지고 있다(Mayes, Calhoun, Mayes, & Molitoris, 2012). Sturm, Fernell과 
Gillberg(2004)의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을 유사한 특성으로 밝혔고, 
Mayes와 Calhoun(2011)은 문제행동을 유사한 특성으로 보고하였다. De boo와 
Prins(2007)는 사회적 기술의 어려움이 공통된 증상으로 감별 진단을 어렵게 하 
며, Hartley와 Sikora(2009)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으로 인해 AS의 진단이 지 
연되거나 AS 아동은 ADHD로 초기 오진을 받는다고 밝혔다. 또한 Mayes 등 
(2012)은 ADHD의 증상 외에도, AS 아동과 ADHD(특히 ADHD-혼합형)아동은 
많은 유사한 문제가 동반되어 있다고 하였다. 일반 아동에 비해 AS 아동과 
ADHD 아동은 지각, 운동통제, 주의력의 결함을 가지며(Sturm et al., 2004), 실 
행기능의 결손을 보인다(Corbett, Constantine, Hendren, Rocke, & Ozonoff, 
2009; Happe, Booth, Charlton, & Hughes 2006). Mayes와 Calhoun(2007)의 연 
구에서는 학습장애, 쓰기장애, 쓰기 표현장애 및 느린 처리속도를 보이며, 정서 
적으로 더 많은 짜증과 분노를 표출하거나(Brereton, Tonge, & Einfeld, 2006; 
Green, Gilchrist, Burton, & Cox, 2000; Mayes, Calhoun, Murray, Ahuja, & 
Smith, 2011), 행동의 문제를 보인다고 하였다(Mayes & Calhoun, 2011).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위의 논쟁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현재 임상에서 AS의 진단이 다소 무문별 하 
게 내려지는 경향이 있다(신석호, 2008). 그 원인으로는 첫째, 연구자들마다 AS 
에 대한 개념과 정의가 서로 다르며 그 진단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자나 임상가들 간의 이견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출현율에 대한 근거 자료 
부족, 진단도구의 개발 부족 및 타당성의 문제 등으로 다각적 측면의 평가가 이 
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AS가 평균에 가깝거나 평균적인 인지와 언어 
발달로 인해 초기 진단 시기를 놓치게 되고 학령기 AS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 
징이 ADHD와 유사하여 오진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AS 아동 혹은 그 
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통해 지능과 실행기능 영역별로 평가 체계가 구축 되어야할 것이 
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근거로 각 개인의 강점과 취약성 패턴에 맞추어 고안된 
치료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AS와 ADHD에 대한 지능과 
실행기능 평가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 대부분이 지능 검사의 양적 특성 차이만을 밝히 
거나 일부 소검사 항목으로 측정된 연구결과들로 일관성이 부족하고, 동일한 점 
수체계를 제시하지 못하여 실행기능 검사와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제언점을 
바탕으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4판(K-WISC-Ⅳ)과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능 검사를 통해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종 
합적으로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 41 - 
2. 연구문제 
첫째,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지능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실행기능 특성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소아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진단을 받고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임상심리사에 의해 선정된 AS 아동 18명과 ADHD 아동 18명 및 일반 아 
동 18명이다. 생활 연령이 10∼15세에 해당하며,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 
교, 중학교 남아들이다. 연구 대상의 구체적인 특성은 <표 2-1>과 같다.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표 2-1. 연구 대상의 특성 
AS 구분 빈도(명) ADHD 구분 빈도(명) 
성별 남 18 성별 남 18 
- 42 - 
연령 
10세 4 
연령 
10세 5 
11세 3 11세 2 
13세 5 12세 5 
14세 4 13세 3 
15세 2 15세 3 
학년 
초등 12 
학년 
초등 13 
중등 6 중등 5 
2. 연구 도구 
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4판(K-WISC-Ⅳ) 
본 연구에서 집단별 인지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4판(K-WISC-Ⅳ)’이다.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이 6세∼16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의 인지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개별 검 
사도구로 기존의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3판(K-WISC-III; Wechsler, 
2001)을 개정한 것이다. K-WISC-Ⅳ는 아동의 전체적인 인지 능력을 나타내는 
전체검사 IQ(FSIQ)를 제공하며 분리된 인지능력 영역에서의 아동의 기능을 나 
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네 가지 합산 점수인 언어이해 지표(VCI), 지각추론 지표 
(PRI), 작업기억 지표(WMI), 처리속도 지표(PSI)를 구할 수 있다. 
2)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 
본 연구에서 집단별 실행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이다. 김홍근(2005)이 만 7세∼15세까지의 아 
동들의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성인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아동용으로 개편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검사도구 
이다. EIQ(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실행지능지수)는 Stroop 검사, 단어유 
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의 총 4개의 소검사 점수들의 합계 
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요약점수인 EIQ를 관리기능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EIQ는 연령별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M=100, SD=15인 점수 단위를 사용하여 
K-WISC-Ⅳ와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표 3-1. K-WISC-Ⅳ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별 특성 비교 
- 43 - 
3. 자료 처리 
1) 지능 및 실행기능 검사 
본 연구는 측정 및 수집된 자료를 2가지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프로그램 
(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수 및 동질성 검사를 토대로 
총 점수 및 각 영역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등분산 가정에 따라 사후검정을 Scheffe와 Dunnett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지능 특성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FS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1>과 같다. 
영역/집단 
AS 
(n=18) 
ADHD 
(n=18) 
일반 
(n=18) 
Levene 
통계량 
F 
M SD M SD M SD 
VCI 94.4 11.3 95.6 9.6 106.1 9.2 .548 7.301** 
PRI 89.4 12.5 97.8 9.8 106.3 10.1 .970 10.833*** 
WMI 86.3 11.8 80.5 9.3 100.4 9.6 1.134 17.887*** 
PSI 90.5 12.2 90.0 8.3 106.5 10.1 2.353 14.900*** 
FSIQ 91.2 8.7 92.1 6.0 105.0 7.1 2.020 19.944*** 
**p < .01, ***p < .001. 
분석결과, FSIQ는 AS 아동(M=91.2), ADHD 아동(M=92.1), 일반 아동 
(M=105.0)중 AS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F=19.94, p<.001). FSIQ의 하위영역인 4가지 지표(VCI, PRI, 
WMI, PSI)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그 중 WMI는 
AS 아동(M=86.3), ADHD 아동(M=80.5), 일반 아동(M=100.4) 중 ADHD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F=17.88, p<.001). 그 다음으로는 PSI(F=14.9, p<.001), PRI(F=10.83, p<.001), 
VCI(F=7.30, p<.01)순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SIQ와 각 지표에 대한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집단 간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정인 scheffe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3-2>와 같다. 
표 3-2. K-WISC-Ⅳ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 간 사후검정 비교 
집단구분 평균 차 
- 44 - 
VCI 
(scheffe) 
AS 
ADHD -1.22 
일반 -11.67** 
ADHD 
AS 1.22 
일반 -10.44* 
PRI 
(scheffe) 
AS 
ADHD -8.39 
일반 -16.89*** 
ADHD 
AS 8.39 
일반 -8.50 
WMI 
(scheffe) 
AS 
ADHD 5.83 
일반 -14.11** 
ADHD 
AS -5.83 
일반 -19.94*** 
PSI 
(scheffe) 
AS 
ADHD .50 
일반 -16.00*** 
ADHD 
AS -.50 
일반 -16.50*** 
FSIQ 
(scheffe) 
AS 
ADHD -.89 
일반 -13.83*** 
ADHD 
AS .89 
일반 -12.94*** 
*p < .05, **p < .01, ***p < .001. 
분석결과, FSIQ는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고(평균차=-13.83, p<.001),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12.94, p<.001). K-WISC-Ⅳ의 하위영역 지표 중 VCI의 
경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평균차 
=-11.67, p<.01), ADHD 아동 일반 아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평균차=-10.44, p<.05). PRI의 경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평균차=-16.89, p<.001), ADHD 아동과 일반 아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MI의 경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평균차=-14.11, p<.01), ADHD 아동과 일반 아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19.94, p<.001). PSI의 경 
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평균차=-16, 
p<.001),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 
균차=-16.50, p<.001). 
이상에서 살펴본 전체검사 IQ(FSIQ), 언어이해 지표(VCI), 지각추론 지표 
(PRI), 작업기억 지표(WMI), 처리속도 지표(PSI)의 집단 간 차이 유무와 소검사 
의 평균 프로파일은 <표 3-3>, <그림 3-1>과 같다. 
표 3-3. K-WISC-Ⅳ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 간 차이 유무 요약 
K-WISC-Ⅳ 연구대상 
지표(소검사) AS vs 일반 ADHD vs 일반 AS vs ADHD 
- 45 - 
VCI 
공통성 × × × 
어휘 × × × 
이해 ○ ○ × 
PRI 
토막짜기 × × × 
행렬추리 ○ × × 
빠진 곳 찾기 ○ ○ ○ 
WMI 
숫자 × × × 
순차연결 ○ ○ × 
PSI 
기호쓰기 ○ ○ × 
동형찾기 ○ ○ × 
주.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연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세 집단 모두 작업기억 지표(WMI)에서 낮아지 
는 양상이며, ADHD 아동, AS 아동, 일반 아동 순으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작 
업기억은 정보를 의식적으로 인식하면서 능동적으로 유지하고, 연산 또는 조작 
을 하고 그것의 결과를 산출해 내는 능력이다. 세 집단이 모두 작업기억에서 수 
행이 저하된 것은 개정된 K-WISC-Ⅳ는 작업기억 영역의 측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차연결 문항을 개발하였고, 숫자의 바로 따라하기와 거꾸로 따라하기 
에 대한 분리된 규준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곽금주 외, 2011). 
일반 아동의 4가지 지표가 평균수준으로 균형적인 인지발달을 보이는데 비해 
ADHD 아동의 경우에는 FSIQ 평균 수준(92.1), VCI 평균 수준(95.6), PRI 평균 
수준(97.8), WMI 평균하 수준(80.5), PSI 평균 수준(90)으로 불균형한 양상을 보 
이며 소검사 항목별로 WMI의 순차연결(M=4.4), PSI의 기호쓰기(M=7.5), VCI의 
이해(M=7.8), PRI의 빠진 곳 찾기(M=8.3) 순으로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WMI 
의 낮은 수행은 ADDH 아동이 유입되는 자극의 지적 표상을 구성하고 짧은 시 
간동안 그것을 유지하고 조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다. 또한 지적 표상이 빨리 사라지고, 사라진 지적 표상을 대체하기 위해 유입되 
는 자극의 비율이 증가하여 주의와 활동의 빠른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나타나 
는 주의 산만함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겠다. 
그림 3-1. K-WISC-IV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별 특성 비교 
- 46 -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AS 아동의 경우에도 일반 아동이 4가지 지표가 평균수준으로 균형적인 인지 
발달을 보이는데 비해 FSIQ 평균 수준 (91.2), VCI 평균 수준(94.4), PRI 평균하 
수준(89.4), WMI 평균하 수준(86.3) PSI 평균 수준(90.5)로 소검사 항목별로 불 
균형한 양상을 보이며 소검사 항목별로 WMI의 순차연결(M=5.1), PRI의 빠진 
곳 찾기(M=6.6), VCI의 이해(M=7.2), PSI의 기호쓰기(M=7.8)순으로 낮은 수행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이 부호와 같이 의미가 없고 추상적인 시 
각적 자극을 재빠르게 지각하여 처리한 후 재산출하거나, 목표자극과 간섭자극 
을 변별하여 재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하며 조직적인 학업 과제 및 사회 
적 추리를 필요로 하거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사고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어 
려움이 있는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다. 
집단 간의 유사한 반응 특성으로는 AS 아동과 ADHD 아동은 모두 순차연결 
과 이해 소검사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순차연결이 과제를 계 
열화 하고 청각적 언어이해 능력을 비중 있게 관여하고 있는 바, AS 아동과 
ADHD 아동이 작업기억의 저하로 인해 사회적 상황에서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문맥에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이해문항에서 낮은 수행을 보이는 양상을 설명 
할 수 있겠다. 
표 3-4.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집단별 EIQ 특성 비교 
- 47 - 
2. 실행기능 특성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E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4>와 같다. 
영역/집단 
AS 
(n=18) 
ADHD 
(n=18) 
일반 
(n=18) 
Levene 
통계량 
F 
M SD M SD M SD 
EIQ 72.6 8.5 78.3 6.0 105.9 4.00 1.599 137.713*** 
***p < .001. 
분석결과, EIQ는 AS 아동(M=72.6), ADHD 아동(M=78.3), 일반 아동 
(M=105.9)중 AS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F=137.71, p<.001).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 
후검정인 scheffe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3-5>와 같다.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표 3-5.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집단 간 EIQ 사후검정 비교 
집단구분 평균 차 
- 48 - 
EIQ 
(scheffe) 
AS 
ADHD -5.72* 
일반 -33.33*** 
ADHD 
AS 5.72* 
일반 -27.61*** 
*p < .05, ***p < .001. 
분석결과, EIQ의 경우 AS 아동과 ADHD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평균차=-5.72, p<.05),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33.33, p<.001). 또한 ADHD 아동은 일반 아동과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27.61, p<.001). 
이상에서 살펴본 실행지능 지수(EIQ), Stroop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 도안유 
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의 집단 간 차이 유무와 소검사의 평균 프로파일은 
<표 3-6>, <그림 3-2>와 같다. 
표 3-6.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집단 간 반응특성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 연구대상 
소검사 AS vs 일반 ADHD vs 일반 AS vs ADHD 
간섭시행 
단순시행 ○ ○ × 
중간시행 × ○ × 
간섭시행 ○ ○ × 
단어 
유창성 
상식 × × × 
단어유창성 ○ ○ ○ 
도안 
유창성 
빠진 곳 찾기 ○ ○ × 
도안유창성 ○ ○ ○ 
인출 
효율성 
지연재인 ○ ○ × 
지연회상 ○ ○ × 
주.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연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반 아동의 EIQ 105.9는 평균 수준(90∼109)이 
다. 소검사 점수를 살펴보면, Stroop 검사 평균 수준(10.8), 단어유창성 검사 평 
균 상 수준(12.4), 도안유창성 검사 평균 상 수준(12), 인출효율성 검사 평균 수 
준(11)으로 균형적인 실행기능의 발달을 보였다. 
그러나 ADHD 아동의 경우, EIQ 78.3은 경계선 수준(70∼79)이며, 소검사 점 
수를 살펴보면, Stroop 검사 평균 하 수준(7.0), 인출효율성 검사 평균 하 수준 
(7.7) 단어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9), 도안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6)으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로 ADHD 아동의 실행기능의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다. AS 아동과 다른 
소검사 항목 별로 차이를 보이며, 소검사 항목별로 유의한 특성 차이가 있음을 
그림 3-2.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EIQ 하위 요인의 집단별 특성 비교 
- 49 -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발견 할 수 있었다. Stroop 검사 결과, 단순시행, 중간시행과 의존도가 높은 과 
제인 간섭시행에서 모두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이 간섭시 
행 소검사에서 특히 낮은 수행을 보인 것과 달리 ADHD 아동은 주의자원의 통 
제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과제와 실행기능 의존도가 높은 과제에 모두 어려움을 
보이며 반응 억제와 자기조절능력의 집단 간 특성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인 
출 효율성 검사 수행의 저하는 ADHD 아동이 복잡하지만 관련성이 없는 형태로 
부터 관련성이 있는 구조를 추론해 내고 이를 조직화된 방식으로 구성하는 능력 
이 부족하며, 체계적인 조직화 능력이 부진함으로 인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 
화하여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지연 재인 및 지연 회상 단계 모두 저조한 수 
행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AS 아동의 경우, EIQ 72.6은 경계선 수준(70∼79)이다. 소검사 점수를 살펴 
보면, 도안유창성 검사 경계선 수준(6.0), Stroop 검사 경계선 수준(6.4), 인출효 
율성 검사 평균 하 수준(8.8) 단어유창성 검사 평균 수준(10.1)으로 AS 아동의 
실행기능의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다. 이는 AS 아동이 시공간성 인지적 유 
연성의 저하로 새로운 도안 형태를 계획하고 조직화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보 
속오류를 보이는 특성을 설명할 수 있겠다. 
집단 간의 유사한 반응 특성으로는 AS 아동과 ADHD 아동 모두 Stroop 검 
사의 간섭시행에서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과 ADHD 아 
동이 사회적 상황에서 행동을 통제하거나 억제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며 분노를 
통제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그대로 표출하는 문제 행동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다. 또한 정보를 목표에 맞게 조작하고, 다른 인지 기능이 작동할 수 있 
도록 인지적 자원을 배분하는 주의집중(focusing attention), 주의분산(dividing 
attention), 주의전환(switching attention)에도 AS 아동과 ADHD 아동이 어려움 
을 보이는 유사한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다. 
Ⅳ. 결론 및 제언 
- 50 - 
1. 지능 특성 
K-WISC-Ⅳ를 통해 지능지수 및 분리된 인지능력 영역에서의 아동의 기능 
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네 가지 합산 점수인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지표의 집단 간 특성차이를 비교하였다.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첫째,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FS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 
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FSIQ의 하위영역인 4 
가지 지표(VCI, PRI, WMI, PSI)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그 중 WMI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SI, PRI, VCI 순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S 아동의 경우, FSIQ평균 수준 (91.2), VCI 평균 수준(94.4), PRI 평균 하 
수준(89.4), WMI 평균 하 수준(86.3), PSI 평균 수준(90.5)으로 소검사 항목별로 
불균형한 양상을 보였다. Klin, Volkmar, Sparrow, Cicchetti와 Rourke(1995)는 
AS는 동작성 지능보다 언어성 지능이 더 우수하며 이러한 지능 특성상의 차이 
는 AS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보고하였으며, Reitzel과 Szatmari(2003) 역시 시지 
각 및 시공간적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AS의 주요한 소견으로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이 비록 같은 진단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 임상양상이 매우 다양 
하고 전체 지능이 평균에 가깝거나 평균이더라도 소검사 항목별로 불균형한 양 
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는 연구 결과(Manjiviona & Prior, 1999)와 AS 아동 
의 지능 프로파일은 고르지 않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강점과 결함을 동시에 
보이는 특성으로 인해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보인다고 밝힌 연구 결과(Barnhill, 
2001)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단어 의미나 단편적인 지식, 산수 그리고 블록 쌓기 
등 사실이나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검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만 이해나 차 
례 맞추기, 모양 맞추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 
과(Carpentieri & Morgan, 1994)를 지지한다. Barnhill, Hagiwara, Myles와 
Simpson(2000)은 37명의 평균지능의 AS 아동들을 대상으로 지능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해 하위점수에서의 낮은 수행은 사회적 판단력의 결함을 시사한다고 하 
였다. 또한 토막짜기는 강점을 보였으나 기호쓰기에서 낮은 수행은 시각-운동 
협응의 어려움을 보이며, 학교관련 교과에 흥미를 갖지 못하고 시각적 기억에 
취약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윤란과 신민섭(1998)이 평균연령 7.2세의 
AS를 KEDI-WISC로 평가한 결과 AS가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이 고르게 
발달되었다고 밝힌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다. 이는 연구대상의 연령의 차이에 기 
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평균에 가까운 지능이나 평균적인 언어 발달이 장 
애를 인식하지 못하게 하여 학령기에 접어들기 전까지는 AS의 조기 진단이 어 
렵고, 그로 인해 시기에 적절한 중재를 제공 받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음을 설명 
할 수 있겠다. 이에 지능검사의 객관적인 결과와 주관적인 반응내용 및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의 지적능력을 이해하고 정서 및 행동평가를 통한 종합적인 
심리평가의 필요성을 인식시켜준다. 
ADHD 아동의 경우, FSIQ 평균 수준(92.1), VCI 평균 수준(95.6), PRI 평균 
- 51 -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하 수준(97.8), WMI 평균 하 수준(80.5), PSI 평균 수준(90)으로 검사 항목별로 
불균형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Rucklidge와 Tannock (2002)의 연구에서 ADHD 
아동이 처리속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는 결과를 지지하며, 기호쓰기와 주의 
집중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연구결과(Mayes & Calhoun, 2004)를 지지한다. 
이명경(2012)은 ADHD를 대상으로 전체지능 범주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동작 
성 지능이 낮은 특성은 지각 조직 능력의 부족보다는 처리속도 지연에서 기인한 
다고 밝혔다. 신민섭, 오경자와 홍강의(1990)는 ADHD 아동이 산수, 숫자, 기호 
쓰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행을 보이는데, 이는 집중력 저하와 실행기능의 
저하 등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ADHD 아동은 WMI가 평균 하 수준 
(80.5)으로 세 집단 중 가장 낮은 수행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의 주 
증상과 실행기능 결함 간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학자 Barkley(1997)가 
ADHD 아동의 핵심 증상인 주의산만이 실행기능의 결함으로부터 야기된다고 보 
고하고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의 하위영역 중 작업기억의 문제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Rapport, Chung, Shore, Denney와 Isaacs(2000)는 
작업기억 구성 성분이 일반 아동과 ADHD 아동을 구별하는데 매우 기민한 요소 
라고 보고 하였으며, ADHD의 주 증상 행동이 감소하고, 전전두엽 피질의 활동이 
활발해졌다는 선행 연구(Klingberg, Forssberg, & Westerberg, 2002; Olesen, 
Westerberg, & Klingberg, 2003)를 바탕으로 한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이 
ADHD 치료 프로그램으로 판매되고 있을 정도로 ADHD와 작업기억의 관련성 
이 높은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ADHD와 작 
업기억 각각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ADHD의 실 
행기능의 하위 영역으로써 다른 실행기능과 함께 작업기억을 측정한 연구들(송 
찬원, 2009; 이명주, 김귀애, 김상엽, 홍창희, 2004; 장자은, 박권생, 배대석, 서완 
석, 구본훈, 2006; 정윤경, 소유경, 홍현주, 2007; 정은정, 2004)로 ADHD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지능 특성과 실 
행기능의 종합적인 평가로 특성을 평가함은 물론 작업기억의 중재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52 - 
2. 실행기능 특성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를 통해 실행지능 지수(EIQ)와 다면적 관 
리기능을 나타내는 Stroop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를 통해 실행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첫째, 실행지능 점수인 EIQ에서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E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 
다. 분석결과, AS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AS 아동과 ADHD 아동, AS 아동과 일반 
아동, ADHD 아동은 일반 아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S 아동의 경우, EIQ 72.6은 경계선 수준(70∼79)이다. 소검사 점수를 살펴 
보면, 도안유창성 검사 경계선 수준(6), Stroop 검사 경계선 수준(6.4), 인출효율 
성 검사 평균 하 수준(8.8), 단어유창성 검사 평균 수준(10.1)으로 AS 아동의 실 
행기능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며, 각각 소검사 항목별로 유의한 특성 차이 
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ADHD 아동의 경우, EIQ 78.3은 경계선 수준(70∼79)이다. 소검사 점수를 살 
펴보면, Stroop 검사 평균 하 수준(7.0), 인출효율성 검사 평균 하 수준(7.7), 단 
어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9), 도안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6)으로 
ADHD 아동의 실행기능의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며, AS 아동과 다른 소검 
사 항목 별로 차이를 보이며 유의한 특성 차이가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과 ADHD 아동이 주어진 과제를 조직화하고 체계화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나 일을 순차적으로 신중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저 
조하며, 불필요한 자극에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여 충동적으로 행 
동하는 것으로 보이며, 제한된 정보처리 용량, 분할 주의력 결함, 주의유지 어려 
움 등이 두드러져 전반적으로 주의자원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활용하는데도 문 
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Happe 등(2006)이 8∼10세, 11 
∼16세 두 집단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AS포함), ADHD 집단, 일반집단 
의 실행기능 및 연령, 일상생활의 문제(부모 교사의 평가)의 관계를 조사한 결 
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과 ADHD 집단은 전반적으로 상당한 실행기능의 
장애를 보였는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은 인식평가 과제에서의 반응선택과 
모니터링의 낮은 수행을 보였고, ADHD 집단은 억제기능의 저하와 공간 작업기 
억, 계획능력의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연령 관계 개선은 ADHD 보다 자폐 스펙 
트럼 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에서 명확하게 드러났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와 일맥 
상통한다. 또한 Semrud-Clikeman, Walkowiak, Wilkinson과 Butcher(2010)는 
ADHD혼합형과 부주의형, AS를 대상으로 실행기능을 분석한 결과, AS 집단이 
ADHD 집단에 비해 감정조절, 행동조절과 유동적 추론, 자기조절 능력이 저하되 
었으며, AS 집단, ADHD 집단, 일반집단 순으로 실행기능의 저하된 양상을 보 
였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Margaret, Jenifer, Alison과 Brianne(2010)는 실 
- 53 -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행기능의 행동 평가와 신경심리학적 평가를 위해 AS 집단과 ADHD 집단 그리 
고 통제 집단을 비교였다. 연구결과, AS 집단이 ADHD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 
해 감정조절, 행동통제, 유동적 추론하기, 계획능력에서 월등히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고 밝히면서 유동적 추론은 문제 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며, 계획능력의 저 
하는 집중력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주의력의 평가가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이 
며, 실행기능의 결함의 맥락에서 특정 사회적인 문제를 분석하는 것 또한 중요 
하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AS 집단과 ADHD 집단 그리고 일반 집단의 인지기능의 하위영역 
에서 특성차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의 수가 적은 편으로 본 연구결과 
를 일반화시키기에 다소 제한이 있으며 사례 수 제한으로 인해 ADHD 아동을 
세 하위 유형으로 나누지 못하였다. 현재 ADHD의 하위 유형간의 인지 및 정 
서․행동적 특징의 차이가 제기되면서 이들 간의 수행 차이를 밝힌 연구들이 이 
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AS 아동 집단과 ADHD 하위 유형 집 
단 간의 지능 특성 및 실행기능 특성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제언점을 바탕으로 국내 표준화된 검사 도 
구를 사용하여 AS 아동과 ADHD 아동의 지능 및 실행기능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러나 현재 AS와 ADHD의 감별진단 및 공존장애의 연구가 전무하며, 
AS의 중재 방안 연구의 다양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AS 아동과 ADHD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국 
내․외의 다양한 중재기법들을 분석한 연구 활용성의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 54 -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참 고 문 헌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 K-WISC-Ⅳ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김홍근 (2005).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 
- 55 - 
출판 신경심리. 
민성길 (2006). 최신정신의학 (제5판). 서울: 일조각. 
양윤란, 신민섭 (1998). 아스퍼거 장애와 비전형 자폐 장애 아동의 KEDI-WISC 
와 BGT 수행의 비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9(2), 165-173. 
윤치연, 최성욱 (2009). 국내․외 아스퍼거 장애 관련 연구 동향 분석: 1997-2007 
년 문헌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10(2), 285-305. 
이명경 (2012). 우울 동반 주의력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아동․청소년의 지적 
특성: K-WISC-Ⅲ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3(1), 99-111. 
이명주, 김귀애, 김상엽, 홍창희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제 능 
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5(1), 82-90. 
송찬원 (2009). 학습장애와 ADHD 아동 및 일반아의 실행기능 특성. 특수교육저 
널: 이론과 실천, 10(4), 565-590.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0).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 
아․청소년정신의학, 1(1), 55-64. 
신석호 (2008). 아스퍼거증후군의 진단과 관련된 혼돈들. 한국 신경심리학회, 
47(3), 230-238. 
장자은, 박권생, 배대석, 서완석, 구본훈 (2006). ADHD 하위유형에 따른 관리기 
능 결함양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275-299. 
정윤경, 소유경, 홍현주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임상, 경북 경주. 
정은정 (200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s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Attwood, T. (1998). Asperger syndrom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Barnhill, G. P. (2001). Social attribution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ith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Asperger syndrome.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1), 46-53. 
Barnhill, G. P., Hagiwara, T., Myles, B. S., & Simpson, R. L. (2000). 
Asperger syndrome a study of the cognitive profiles of 37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3), 146-153. 
Brereton, A. V., Tonge, B. J., & Einfeld, S. L. (2006).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compared to you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7), 863-870. 
Carpentieri, S., & Morgan S. B. (1994). Adaptive and intellectual functioning 
in autistic and no nautistic retarded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6(6), 611-620. 
Corbett, B. A., Constantine, L. J., Hendren, R., Rocke, D., & Ozonoff, S. 
(2009). Examining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ypical 
development. Psychiatry research, 166(2), 210-222. 
De boo, G. M., & Prins, P. J. (2007). Social incompetence in children with 
ADHD: Possible moderators and mediators in social-skills training.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1), 78-97. 
Ehlers, S., & Gillberg, C. (1993). The epidemiology of Asperger syndrome: A 
total population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8), 
1327-1350. 
Green, J., Gilchrist, A., Burton, D., & Cox, A. (2000). Social and psychiatric 
functioning in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compared with 
conduct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0(4), 279-293. 
Happe, F., Booth, R., Charlton, R., & Hughes, C. (2006).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xamining profiles across domains and ages. Brain and 
Cognition. 61(1), 25–39. 
Hartley, S. L., & Sikora, D. M. (2009). Which DSM-Ⅳ-TR criteria best 
differentiate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ADHD and 
anxiety disorders in older children?. Autism, 13(5), 485-509. 
- 56 -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Klin, A., Volkmar, F. R., Sparrow, S. S., Cicchetti, D. V., & Rourke, B. P. 
(1995). Validity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sperger 
syndrome: Convergence with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syndrom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6(7), 1127-1140. 
Klingberg, T.,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2).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6), 781-791. 
Manjiviona, J., & Prior, M. (1999).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nd autism. Autism, 3(4), 327-356. 
Mayes, S. D., & Calhoun, S. L. (2004).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 (WISC-Ⅲ) 
profiles: Support for subtest analysis in clinical referrals.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8(4), 559-572. 
Mayes, S. D., & Calhoun, S. L. (2007). Learning, attention, writing, and 
processing speed in typic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DHD, autism, 
anxiety, depression, and oppositional-defiant disorder. Child 
Neuropsychology, 13(6), 469-493. 
Mayes, S. D., & Calhoun, S. L. (2011). Impact of IQ, age, SES, gender, and 
race on autistic symptom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5(2), 749-757. 
Mayes, S. D., Calhoun, S. L., Mayes, R. D., & Molitoris, S. (2012). Autism 
and ADHD: Overlapping and discriminating symptom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1), 277-285. 
Mayes, S. D., Calhoun, S. L., Murray, M. J., Ahuja, M., & Smith, L. A. 
(2011). Anxiety, depression, and irrit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relative to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typical development.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5(1), 474-485. 
Olesen, P. J., Westerberg, H., & Klingberg, T. (2003).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Nature 
Neuroscience, 7(1), 75-79. 
Rapport, M. D., Chung, K. M., Shore, G., Denney, C. B., & Isaacs, P. (2000). 
Upgrad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assessment and diagnosis: 
Laboratory and clinic-based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4), 555-568. 
- 57 -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Reitzel, J., & Szatmari, P. (2003). Cognitive and academic problems.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Asperger syndrome. New York: Guilford 
Press. 
Rucklidge, J. J., & Tannock, R. (2002).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ADHD: Effects of reading difficulties and gend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8), 988-1003. 
Semrud-Clikeman, M., Walkowiak, J., Wilkinson, A., & Butcher, B. (2010).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DHD-combined type, ADHD-predominately inattentive type, and 
control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0(8), 
1017-1027. 
Sturm, H., Fernell, E., & Gillberg, C. (2004).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ldren with normal intellectual levels: associated impairments and 
subgroup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6(7), 444-44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10th ed.). Geneva: Author. 
【논문 접수: 2013. 10. 14. / 수정본 접수: 2013. 12. 3. / 게재 승인: 2013. 12. 16.】 
- 58 -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 59 - 
Abstract 
Compar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Focusing on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s 
Cho, Jung Suk ․ Lee, Hyo Sh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among normal children,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The subject was 18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18 children with ADHD and 18 normal children whose 
chronological ages are between 10 and 15 and they were selected by clinical 
psychologist. K-WISC-IV was used to find out the intelligent characteristics 
for each group and Kims Frontal 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was us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function. For 
verification of research, One-Way ANOVA was used through SPSS program 
(Ver. 18.0) to see if there was an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The 
research resulted as following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each group of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on the overall examination of IQ (FSIQ) of 
K-WISC-IC and they all had values of average level. Seco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and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 performance on 
EIQ, which almost reached border line. According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Key Words: Asperger’s Syndrom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gnitive 
Characteristics, K-WISC-Ⅳ, Kims Frontal 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혜원 정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혜원 정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혜원 정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혜원 정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혜원 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혜원 정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혜원 정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혜원 정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혜원 정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혜원 정
 

Similar to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20)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김지연 백용매2007 정상,adhd 기억결함실행기능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이종범2002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력결핍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임상적_특성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 1. 정서․행동장애연구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3, Vol. 29, No. 4, pp. 39~59.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조정숙** ․ 이효신*** < 초 록 > 본 연구는 아스퍼거 장애 아동,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비 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임상심리사에 의해 선별된 아스퍼거 장애 아동 18명과 ADHD 아동 18명 및 일반 아동 18명으로 생활 연령이 10∼15세 해당하는 남아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 지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 웩슬러 아동용 지능 검사-4판(K-WISC-Ⅳ)을 사용하였고, 실행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해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검증은 집단 간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PSS프로그램(Ver. 18.0)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K-WISC-Ⅳ 전체검사 IQ(FSIQ)는 평균 수준으로 통 계적 차이가 없었다. 둘째,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실행지능(EIQ)은 경계선 수준으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핵심 단어: 아스퍼거 장애, ADHD, 인지적 특성, K-WISC-Ⅳ,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 * 본 논문은 2013년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Compar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Focusing on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s.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박사. Dep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Daegu Univ. ***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hyoslee@daegu.ac.kr). Dep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aegu Univ.
  • 2.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Ⅰ. 서 론 - 40 -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최근 임상 및 학교현장에서는 아스퍼거 장애(Asperger syndrome: AS)와 주 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에 대 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이유는 기존의 자폐 장애에서 분리되어 AS가 DSM-Ⅳ(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와 ICD-10(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에 공식적인 장애로 등장하였고, AS의 출현율이 자폐 장애 아동의 출현율에 비해 높다는 연구 결과(Ehlers & Gillberg, 1993)가 보고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DHD는 가장 빈번한 아동기 정신장애로, 학령기 아동의 3~5%가 이 장애 로 진단 받았으며, 이들의 25% 이상에서 성인기까지 그 증상이 지속된다(민성 길, 2006). AS역시, 아동 초기의 문제가 청소년, 성인기까지도 지속되며(윤치연, 최성욱, 2009), Attwood(1998)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AS 아동들 의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진단해야 하며 이들에 대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AS 아동과 ADHD 아동은 감별 진단이 어려운 몇 가지 유사한 특성 을 가지고 있다(Mayes, Calhoun, Mayes, & Molitoris, 2012). Sturm, Fernell과 Gillberg(2004)의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을 유사한 특성으로 밝혔고, Mayes와 Calhoun(2011)은 문제행동을 유사한 특성으로 보고하였다. De boo와 Prins(2007)는 사회적 기술의 어려움이 공통된 증상으로 감별 진단을 어렵게 하 며, Hartley와 Sikora(2009)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으로 인해 AS의 진단이 지 연되거나 AS 아동은 ADHD로 초기 오진을 받는다고 밝혔다. 또한 Mayes 등 (2012)은 ADHD의 증상 외에도, AS 아동과 ADHD(특히 ADHD-혼합형)아동은 많은 유사한 문제가 동반되어 있다고 하였다. 일반 아동에 비해 AS 아동과 ADHD 아동은 지각, 운동통제, 주의력의 결함을 가지며(Sturm et al., 2004), 실 행기능의 결손을 보인다(Corbett, Constantine, Hendren, Rocke, & Ozonoff, 2009; Happe, Booth, Charlton, & Hughes 2006). Mayes와 Calhoun(2007)의 연 구에서는 학습장애, 쓰기장애, 쓰기 표현장애 및 느린 처리속도를 보이며, 정서 적으로 더 많은 짜증과 분노를 표출하거나(Brereton, Tonge, & Einfeld, 2006; Green, Gilchrist, Burton, & Cox, 2000; Mayes, Calhoun, Murray, Ahuja, & Smith, 2011), 행동의 문제를 보인다고 하였다(Mayes & Calhoun, 2011).
  • 3.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위의 논쟁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현재 임상에서 AS의 진단이 다소 무문별 하 게 내려지는 경향이 있다(신석호, 2008). 그 원인으로는 첫째, 연구자들마다 AS 에 대한 개념과 정의가 서로 다르며 그 진단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자나 임상가들 간의 이견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출현율에 대한 근거 자료 부족, 진단도구의 개발 부족 및 타당성의 문제 등으로 다각적 측면의 평가가 이 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AS가 평균에 가깝거나 평균적인 인지와 언어 발달로 인해 초기 진단 시기를 놓치게 되고 학령기 AS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 징이 ADHD와 유사하여 오진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AS 아동 혹은 그 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통해 지능과 실행기능 영역별로 평가 체계가 구축 되어야할 것이 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근거로 각 개인의 강점과 취약성 패턴에 맞추어 고안된 치료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AS와 ADHD에 대한 지능과 실행기능 평가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 대부분이 지능 검사의 양적 특성 차이만을 밝히 거나 일부 소검사 항목으로 측정된 연구결과들로 일관성이 부족하고, 동일한 점 수체계를 제시하지 못하여 실행기능 검사와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제언점을 바탕으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4판(K-WISC-Ⅳ)과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능 검사를 통해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종 합적으로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 41 - 2. 연구문제 첫째,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지능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실행기능 특성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소아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진단을 받고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임상심리사에 의해 선정된 AS 아동 18명과 ADHD 아동 18명 및 일반 아 동 18명이다. 생활 연령이 10∼15세에 해당하며,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 교, 중학교 남아들이다. 연구 대상의 구체적인 특성은 <표 2-1>과 같다.
  • 4.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표 2-1. 연구 대상의 특성 AS 구분 빈도(명) ADHD 구분 빈도(명) 성별 남 18 성별 남 18 - 42 - 연령 10세 4 연령 10세 5 11세 3 11세 2 13세 5 12세 5 14세 4 13세 3 15세 2 15세 3 학년 초등 12 학년 초등 13 중등 6 중등 5 2. 연구 도구 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4판(K-WISC-Ⅳ) 본 연구에서 집단별 인지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4판(K-WISC-Ⅳ)’이다.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이 6세∼16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의 인지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개별 검 사도구로 기존의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3판(K-WISC-III; Wechsler, 2001)을 개정한 것이다. K-WISC-Ⅳ는 아동의 전체적인 인지 능력을 나타내는 전체검사 IQ(FSIQ)를 제공하며 분리된 인지능력 영역에서의 아동의 기능을 나 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네 가지 합산 점수인 언어이해 지표(VCI), 지각추론 지표 (PRI), 작업기억 지표(WMI), 처리속도 지표(PSI)를 구할 수 있다. 2)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 본 연구에서 집단별 실행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이다. 김홍근(2005)이 만 7세∼15세까지의 아 동들의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성인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아동용으로 개편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검사도구 이다. EIQ(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실행지능지수)는 Stroop 검사, 단어유 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의 총 4개의 소검사 점수들의 합계 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요약점수인 EIQ를 관리기능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EIQ는 연령별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M=100, SD=15인 점수 단위를 사용하여 K-WISC-Ⅳ와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 5.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표 3-1. K-WISC-Ⅳ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별 특성 비교 - 43 - 3. 자료 처리 1) 지능 및 실행기능 검사 본 연구는 측정 및 수집된 자료를 2가지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프로그램 (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수 및 동질성 검사를 토대로 총 점수 및 각 영역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등분산 가정에 따라 사후검정을 Scheffe와 Dunnett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지능 특성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FS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1>과 같다. 영역/집단 AS (n=18) ADHD (n=18) 일반 (n=18) Levene 통계량 F M SD M SD M SD VCI 94.4 11.3 95.6 9.6 106.1 9.2 .548 7.301** PRI 89.4 12.5 97.8 9.8 106.3 10.1 .970 10.833*** WMI 86.3 11.8 80.5 9.3 100.4 9.6 1.134 17.887*** PSI 90.5 12.2 90.0 8.3 106.5 10.1 2.353 14.900*** FSIQ 91.2 8.7 92.1 6.0 105.0 7.1 2.020 19.944*** **p < .01, ***p < .001. 분석결과, FSIQ는 AS 아동(M=91.2), ADHD 아동(M=92.1), 일반 아동 (M=105.0)중 AS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F=19.94, p<.001). FSIQ의 하위영역인 4가지 지표(VCI, PRI, WMI, PSI)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그 중 WMI는 AS 아동(M=86.3), ADHD 아동(M=80.5), 일반 아동(M=100.4) 중 ADHD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6.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F=17.88, p<.001). 그 다음으로는 PSI(F=14.9, p<.001), PRI(F=10.83, p<.001), VCI(F=7.30, p<.01)순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SIQ와 각 지표에 대한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집단 간 차이 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정인 scheffe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3-2>와 같다. 표 3-2. K-WISC-Ⅳ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 간 사후검정 비교 집단구분 평균 차 - 44 - VCI (scheffe) AS ADHD -1.22 일반 -11.67** ADHD AS 1.22 일반 -10.44* PRI (scheffe) AS ADHD -8.39 일반 -16.89*** ADHD AS 8.39 일반 -8.50 WMI (scheffe) AS ADHD 5.83 일반 -14.11** ADHD AS -5.83 일반 -19.94*** PSI (scheffe) AS ADHD .50 일반 -16.00*** ADHD AS -.50 일반 -16.50*** FSIQ (scheffe) AS ADHD -.89 일반 -13.83*** ADHD AS .89 일반 -12.94*** *p < .05, **p < .01, ***p < .001. 분석결과, FSIQ는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고(평균차=-13.83, p<.001),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12.94, p<.001). K-WISC-Ⅳ의 하위영역 지표 중 VCI의 경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평균차 =-11.67, p<.01), ADHD 아동 일반 아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평균차=-10.44, p<.05). PRI의 경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평균차=-16.89, p<.001), ADHD 아동과 일반 아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MI의 경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평균차=-14.11, p<.01), ADHD 아동과 일반 아
  • 7.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19.94, p<.001). PSI의 경 우,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평균차=-16, p<.001),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 균차=-16.50, p<.001). 이상에서 살펴본 전체검사 IQ(FSIQ), 언어이해 지표(VCI), 지각추론 지표 (PRI), 작업기억 지표(WMI), 처리속도 지표(PSI)의 집단 간 차이 유무와 소검사 의 평균 프로파일은 <표 3-3>, <그림 3-1>과 같다. 표 3-3. K-WISC-Ⅳ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 간 차이 유무 요약 K-WISC-Ⅳ 연구대상 지표(소검사) AS vs 일반 ADHD vs 일반 AS vs ADHD - 45 - VCI 공통성 × × × 어휘 × × × 이해 ○ ○ × PRI 토막짜기 × × × 행렬추리 ○ × × 빠진 곳 찾기 ○ ○ ○ WMI 숫자 × × × 순차연결 ○ ○ × PSI 기호쓰기 ○ ○ × 동형찾기 ○ ○ × 주.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연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세 집단 모두 작업기억 지표(WMI)에서 낮아지 는 양상이며, ADHD 아동, AS 아동, 일반 아동 순으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작 업기억은 정보를 의식적으로 인식하면서 능동적으로 유지하고, 연산 또는 조작 을 하고 그것의 결과를 산출해 내는 능력이다. 세 집단이 모두 작업기억에서 수 행이 저하된 것은 개정된 K-WISC-Ⅳ는 작업기억 영역의 측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차연결 문항을 개발하였고, 숫자의 바로 따라하기와 거꾸로 따라하기 에 대한 분리된 규준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곽금주 외, 2011). 일반 아동의 4가지 지표가 평균수준으로 균형적인 인지발달을 보이는데 비해 ADHD 아동의 경우에는 FSIQ 평균 수준(92.1), VCI 평균 수준(95.6), PRI 평균 수준(97.8), WMI 평균하 수준(80.5), PSI 평균 수준(90)으로 불균형한 양상을 보 이며 소검사 항목별로 WMI의 순차연결(M=4.4), PSI의 기호쓰기(M=7.5), VCI의 이해(M=7.8), PRI의 빠진 곳 찾기(M=8.3) 순으로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WMI 의 낮은 수행은 ADDH 아동이 유입되는 자극의 지적 표상을 구성하고 짧은 시 간동안 그것을 유지하고 조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
  • 8.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다. 또한 지적 표상이 빨리 사라지고, 사라진 지적 표상을 대체하기 위해 유입되 는 자극의 비율이 증가하여 주의와 활동의 빠른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나타나 는 주의 산만함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겠다. 그림 3-1. K-WISC-IV의 FSIQ 하위 요인의 집단별 특성 비교 - 46 -
  • 9.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AS 아동의 경우에도 일반 아동이 4가지 지표가 평균수준으로 균형적인 인지 발달을 보이는데 비해 FSIQ 평균 수준 (91.2), VCI 평균 수준(94.4), PRI 평균하 수준(89.4), WMI 평균하 수준(86.3) PSI 평균 수준(90.5)로 소검사 항목별로 불 균형한 양상을 보이며 소검사 항목별로 WMI의 순차연결(M=5.1), PRI의 빠진 곳 찾기(M=6.6), VCI의 이해(M=7.2), PSI의 기호쓰기(M=7.8)순으로 낮은 수행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이 부호와 같이 의미가 없고 추상적인 시 각적 자극을 재빠르게 지각하여 처리한 후 재산출하거나, 목표자극과 간섭자극 을 변별하여 재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하며 조직적인 학업 과제 및 사회 적 추리를 필요로 하거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사고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어 려움이 있는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다. 집단 간의 유사한 반응 특성으로는 AS 아동과 ADHD 아동은 모두 순차연결 과 이해 소검사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순차연결이 과제를 계 열화 하고 청각적 언어이해 능력을 비중 있게 관여하고 있는 바, AS 아동과 ADHD 아동이 작업기억의 저하로 인해 사회적 상황에서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문맥에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이해문항에서 낮은 수행을 보이는 양상을 설명 할 수 있겠다. 표 3-4.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집단별 EIQ 특성 비교 - 47 - 2. 실행기능 특성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E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3-4>와 같다. 영역/집단 AS (n=18) ADHD (n=18) 일반 (n=18) Levene 통계량 F M SD M SD M SD EIQ 72.6 8.5 78.3 6.0 105.9 4.00 1.599 137.713*** ***p < .001. 분석결과, EIQ는 AS 아동(M=72.6), ADHD 아동(M=78.3), 일반 아동 (M=105.9)중 AS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F=137.71, p<.001).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 후검정인 scheffe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3-5>와 같다.
  • 10.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표 3-5.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집단 간 EIQ 사후검정 비교 집단구분 평균 차 - 48 - EIQ (scheffe) AS ADHD -5.72* 일반 -33.33*** ADHD AS 5.72* 일반 -27.61*** *p < .05, ***p < .001. 분석결과, EIQ의 경우 AS 아동과 ADHD 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평균차=-5.72, p<.05), AS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33.33, p<.001). 또한 ADHD 아동은 일반 아동과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평균차=-27.61, p<.001). 이상에서 살펴본 실행지능 지수(EIQ), Stroop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 도안유 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의 집단 간 차이 유무와 소검사의 평균 프로파일은 <표 3-6>, <그림 3-2>와 같다. 표 3-6.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집단 간 반응특성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 연구대상 소검사 AS vs 일반 ADHD vs 일반 AS vs ADHD 간섭시행 단순시행 ○ ○ × 중간시행 × ○ × 간섭시행 ○ ○ × 단어 유창성 상식 × × × 단어유창성 ○ ○ ○ 도안 유창성 빠진 곳 찾기 ○ ○ × 도안유창성 ○ ○ ○ 인출 효율성 지연재인 ○ ○ × 지연회상 ○ ○ × 주.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연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반 아동의 EIQ 105.9는 평균 수준(90∼109)이 다. 소검사 점수를 살펴보면, Stroop 검사 평균 수준(10.8), 단어유창성 검사 평 균 상 수준(12.4), 도안유창성 검사 평균 상 수준(12), 인출효율성 검사 평균 수 준(11)으로 균형적인 실행기능의 발달을 보였다. 그러나 ADHD 아동의 경우, EIQ 78.3은 경계선 수준(70∼79)이며, 소검사 점 수를 살펴보면, Stroop 검사 평균 하 수준(7.0), 인출효율성 검사 평균 하 수준 (7.7) 단어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9), 도안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6)으
  • 11.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로 ADHD 아동의 실행기능의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다. AS 아동과 다른 소검사 항목 별로 차이를 보이며, 소검사 항목별로 유의한 특성 차이가 있음을 그림 3-2.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의 EIQ 하위 요인의 집단별 특성 비교 - 49 -
  • 12.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발견 할 수 있었다. Stroop 검사 결과, 단순시행, 중간시행과 의존도가 높은 과 제인 간섭시행에서 모두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이 간섭시 행 소검사에서 특히 낮은 수행을 보인 것과 달리 ADHD 아동은 주의자원의 통 제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과제와 실행기능 의존도가 높은 과제에 모두 어려움을 보이며 반응 억제와 자기조절능력의 집단 간 특성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인 출 효율성 검사 수행의 저하는 ADHD 아동이 복잡하지만 관련성이 없는 형태로 부터 관련성이 있는 구조를 추론해 내고 이를 조직화된 방식으로 구성하는 능력 이 부족하며, 체계적인 조직화 능력이 부진함으로 인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 화하여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지연 재인 및 지연 회상 단계 모두 저조한 수 행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AS 아동의 경우, EIQ 72.6은 경계선 수준(70∼79)이다. 소검사 점수를 살펴 보면, 도안유창성 검사 경계선 수준(6.0), Stroop 검사 경계선 수준(6.4), 인출효 율성 검사 평균 하 수준(8.8) 단어유창성 검사 평균 수준(10.1)으로 AS 아동의 실행기능의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다. 이는 AS 아동이 시공간성 인지적 유 연성의 저하로 새로운 도안 형태를 계획하고 조직화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보 속오류를 보이는 특성을 설명할 수 있겠다. 집단 간의 유사한 반응 특성으로는 AS 아동과 ADHD 아동 모두 Stroop 검 사의 간섭시행에서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과 ADHD 아 동이 사회적 상황에서 행동을 통제하거나 억제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며 분노를 통제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그대로 표출하는 문제 행동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다. 또한 정보를 목표에 맞게 조작하고, 다른 인지 기능이 작동할 수 있 도록 인지적 자원을 배분하는 주의집중(focusing attention), 주의분산(dividing attention), 주의전환(switching attention)에도 AS 아동과 ADHD 아동이 어려움 을 보이는 유사한 특성을 설명 할 수 있겠다. Ⅳ. 결론 및 제언 - 50 - 1. 지능 특성 K-WISC-Ⅳ를 통해 지능지수 및 분리된 인지능력 영역에서의 아동의 기능 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네 가지 합산 점수인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지표의 집단 간 특성차이를 비교하였다.
  • 13.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첫째,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FS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 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FSIQ의 하위영역인 4 가지 지표(VCI, PRI, WMI, PSI) 모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그 중 WMI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SI, PRI, VCI 순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S 아동의 경우, FSIQ평균 수준 (91.2), VCI 평균 수준(94.4), PRI 평균 하 수준(89.4), WMI 평균 하 수준(86.3), PSI 평균 수준(90.5)으로 소검사 항목별로 불균형한 양상을 보였다. Klin, Volkmar, Sparrow, Cicchetti와 Rourke(1995)는 AS는 동작성 지능보다 언어성 지능이 더 우수하며 이러한 지능 특성상의 차이 는 AS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보고하였으며, Reitzel과 Szatmari(2003) 역시 시지 각 및 시공간적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AS의 주요한 소견으로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이 비록 같은 진단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 임상양상이 매우 다양 하고 전체 지능이 평균에 가깝거나 평균이더라도 소검사 항목별로 불균형한 양 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는 연구 결과(Manjiviona & Prior, 1999)와 AS 아동 의 지능 프로파일은 고르지 않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강점과 결함을 동시에 보이는 특성으로 인해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보인다고 밝힌 연구 결과(Barnhill, 2001)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단어 의미나 단편적인 지식, 산수 그리고 블록 쌓기 등 사실이나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검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만 이해나 차 례 맞추기, 모양 맞추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 과(Carpentieri & Morgan, 1994)를 지지한다. Barnhill, Hagiwara, Myles와 Simpson(2000)은 37명의 평균지능의 AS 아동들을 대상으로 지능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해 하위점수에서의 낮은 수행은 사회적 판단력의 결함을 시사한다고 하 였다. 또한 토막짜기는 강점을 보였으나 기호쓰기에서 낮은 수행은 시각-운동 협응의 어려움을 보이며, 학교관련 교과에 흥미를 갖지 못하고 시각적 기억에 취약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윤란과 신민섭(1998)이 평균연령 7.2세의 AS를 KEDI-WISC로 평가한 결과 AS가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이 고르게 발달되었다고 밝힌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다. 이는 연구대상의 연령의 차이에 기 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평균에 가까운 지능이나 평균적인 언어 발달이 장 애를 인식하지 못하게 하여 학령기에 접어들기 전까지는 AS의 조기 진단이 어 렵고, 그로 인해 시기에 적절한 중재를 제공 받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음을 설명 할 수 있겠다. 이에 지능검사의 객관적인 결과와 주관적인 반응내용 및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의 지적능력을 이해하고 정서 및 행동평가를 통한 종합적인 심리평가의 필요성을 인식시켜준다. ADHD 아동의 경우, FSIQ 평균 수준(92.1), VCI 평균 수준(95.6), PRI 평균 - 51 -
  • 14.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하 수준(97.8), WMI 평균 하 수준(80.5), PSI 평균 수준(90)으로 검사 항목별로 불균형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Rucklidge와 Tannock (2002)의 연구에서 ADHD 아동이 처리속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는 결과를 지지하며, 기호쓰기와 주의 집중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연구결과(Mayes & Calhoun, 2004)를 지지한다. 이명경(2012)은 ADHD를 대상으로 전체지능 범주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동작 성 지능이 낮은 특성은 지각 조직 능력의 부족보다는 처리속도 지연에서 기인한 다고 밝혔다. 신민섭, 오경자와 홍강의(1990)는 ADHD 아동이 산수, 숫자, 기호 쓰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행을 보이는데, 이는 집중력 저하와 실행기능의 저하 등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ADHD 아동은 WMI가 평균 하 수준 (80.5)으로 세 집단 중 가장 낮은 수행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의 주 증상과 실행기능 결함 간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학자 Barkley(1997)가 ADHD 아동의 핵심 증상인 주의산만이 실행기능의 결함으로부터 야기된다고 보 고하고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의 하위영역 중 작업기억의 문제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Rapport, Chung, Shore, Denney와 Isaacs(2000)는 작업기억 구성 성분이 일반 아동과 ADHD 아동을 구별하는데 매우 기민한 요소 라고 보고 하였으며, ADHD의 주 증상 행동이 감소하고, 전전두엽 피질의 활동이 활발해졌다는 선행 연구(Klingberg, Forssberg, & Westerberg, 2002; Olesen, Westerberg, & Klingberg, 2003)를 바탕으로 한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이 ADHD 치료 프로그램으로 판매되고 있을 정도로 ADHD와 작업기억의 관련성 이 높은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ADHD와 작 업기억 각각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ADHD의 실 행기능의 하위 영역으로써 다른 실행기능과 함께 작업기억을 측정한 연구들(송 찬원, 2009; 이명주, 김귀애, 김상엽, 홍창희, 2004; 장자은, 박권생, 배대석, 서완 석, 구본훈, 2006; 정윤경, 소유경, 홍현주, 2007; 정은정, 2004)로 ADHD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지능 특성과 실 행기능의 종합적인 평가로 특성을 평가함은 물론 작업기억의 중재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52 - 2. 실행기능 특성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를 통해 실행지능 지수(EIQ)와 다면적 관 리기능을 나타내는 Stroop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를 통해 실행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15.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첫째, 실행지능 점수인 EIQ에서 AS 아동과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의 EIQ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 다. 분석결과, AS 아동이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AS 아동과 ADHD 아동, AS 아동과 일반 아동, ADHD 아동은 일반 아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S 아동의 경우, EIQ 72.6은 경계선 수준(70∼79)이다. 소검사 점수를 살펴 보면, 도안유창성 검사 경계선 수준(6), Stroop 검사 경계선 수준(6.4), 인출효율 성 검사 평균 하 수준(8.8), 단어유창성 검사 평균 수준(10.1)으로 AS 아동의 실 행기능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며, 각각 소검사 항목별로 유의한 특성 차이 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ADHD 아동의 경우, EIQ 78.3은 경계선 수준(70∼79)이다. 소검사 점수를 살 펴보면, Stroop 검사 평균 하 수준(7.0), 인출효율성 검사 평균 하 수준(7.7), 단 어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9), 도안유창성 검사 평균 하 수준(8.6)으로 ADHD 아동의 실행기능의 저하를 입증해 주는 결과이며, AS 아동과 다른 소검 사 항목 별로 차이를 보이며 유의한 특성 차이가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S 아동과 ADHD 아동이 주어진 과제를 조직화하고 체계화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나 일을 순차적으로 신중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저 조하며, 불필요한 자극에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여 충동적으로 행 동하는 것으로 보이며, 제한된 정보처리 용량, 분할 주의력 결함, 주의유지 어려 움 등이 두드러져 전반적으로 주의자원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활용하는데도 문 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Happe 등(2006)이 8∼10세, 11 ∼16세 두 집단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AS포함), ADHD 집단, 일반집단 의 실행기능 및 연령, 일상생활의 문제(부모 교사의 평가)의 관계를 조사한 결 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과 ADHD 집단은 전반적으로 상당한 실행기능의 장애를 보였는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은 인식평가 과제에서의 반응선택과 모니터링의 낮은 수행을 보였고, ADHD 집단은 억제기능의 저하와 공간 작업기 억, 계획능력의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연령 관계 개선은 ADHD 보다 자폐 스펙 트럼 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에서 명확하게 드러났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와 일맥 상통한다. 또한 Semrud-Clikeman, Walkowiak, Wilkinson과 Butcher(2010)는 ADHD혼합형과 부주의형, AS를 대상으로 실행기능을 분석한 결과, AS 집단이 ADHD 집단에 비해 감정조절, 행동조절과 유동적 추론, 자기조절 능력이 저하되 었으며, AS 집단, ADHD 집단, 일반집단 순으로 실행기능의 저하된 양상을 보 였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Margaret, Jenifer, Alison과 Brianne(2010)는 실 - 53 -
  • 16.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행기능의 행동 평가와 신경심리학적 평가를 위해 AS 집단과 ADHD 집단 그리 고 통제 집단을 비교였다. 연구결과, AS 집단이 ADHD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 해 감정조절, 행동통제, 유동적 추론하기, 계획능력에서 월등히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고 밝히면서 유동적 추론은 문제 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며, 계획능력의 저 하는 집중력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주의력의 평가가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이 며, 실행기능의 결함의 맥락에서 특정 사회적인 문제를 분석하는 것 또한 중요 하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AS 집단과 ADHD 집단 그리고 일반 집단의 인지기능의 하위영역 에서 특성차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의 수가 적은 편으로 본 연구결과 를 일반화시키기에 다소 제한이 있으며 사례 수 제한으로 인해 ADHD 아동을 세 하위 유형으로 나누지 못하였다. 현재 ADHD의 하위 유형간의 인지 및 정 서․행동적 특징의 차이가 제기되면서 이들 간의 수행 차이를 밝힌 연구들이 이 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AS 아동 집단과 ADHD 하위 유형 집 단 간의 지능 특성 및 실행기능 특성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제언점을 바탕으로 국내 표준화된 검사 도 구를 사용하여 AS 아동과 ADHD 아동의 지능 및 실행기능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러나 현재 AS와 ADHD의 감별진단 및 공존장애의 연구가 전무하며, AS의 중재 방안 연구의 다양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AS 아동과 ADHD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국 내․외의 다양한 중재기법들을 분석한 연구 활용성의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 54 -
  • 17.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참 고 문 헌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 K-WISC-Ⅳ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김홍근 (2005).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 - 55 - 출판 신경심리. 민성길 (2006). 최신정신의학 (제5판). 서울: 일조각. 양윤란, 신민섭 (1998). 아스퍼거 장애와 비전형 자폐 장애 아동의 KEDI-WISC 와 BGT 수행의 비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9(2), 165-173. 윤치연, 최성욱 (2009). 국내․외 아스퍼거 장애 관련 연구 동향 분석: 1997-2007 년 문헌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10(2), 285-305. 이명경 (2012). 우울 동반 주의력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아동․청소년의 지적 특성: K-WISC-Ⅲ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3(1), 99-111. 이명주, 김귀애, 김상엽, 홍창희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제 능 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5(1), 82-90. 송찬원 (2009). 학습장애와 ADHD 아동 및 일반아의 실행기능 특성. 특수교육저 널: 이론과 실천, 10(4), 565-590.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0).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 아․청소년정신의학, 1(1), 55-64. 신석호 (2008). 아스퍼거증후군의 진단과 관련된 혼돈들. 한국 신경심리학회, 47(3), 230-238. 장자은, 박권생, 배대석, 서완석, 구본훈 (2006). ADHD 하위유형에 따른 관리기 능 결함양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275-299. 정윤경, 소유경, 홍현주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임상, 경북 경주. 정은정 (200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s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Attwood, T. (1998). Asperger syndrom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Barnhill, G. P. (2001). Social attribution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ith
  • 18.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Asperger syndrome.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1), 46-53. Barnhill, G. P., Hagiwara, T., Myles, B. S., & Simpson, R. L. (2000). Asperger syndrome a study of the cognitive profiles of 37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3), 146-153. Brereton, A. V., Tonge, B. J., & Einfeld, S. L. (2006).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compared to you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7), 863-870. Carpentieri, S., & Morgan S. B. (1994). Adaptive and intellectual functioning in autistic and no nautistic retarded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6(6), 611-620. Corbett, B. A., Constantine, L. J., Hendren, R., Rocke, D., & Ozonoff, S. (2009). Examining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ypical development. Psychiatry research, 166(2), 210-222. De boo, G. M., & Prins, P. J. (2007). Social incompetence in children with ADHD: Possible moderators and mediators in social-skills training.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1), 78-97. Ehlers, S., & Gillberg, C. (1993). The epidemiology of Asperger syndrome: A total population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8), 1327-1350. Green, J., Gilchrist, A., Burton, D., & Cox, A. (2000). Social and psychiatric functioning in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compared with conduct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0(4), 279-293. Happe, F., Booth, R., Charlton, R., & Hughes, C. (2006).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xamining profiles across domains and ages. Brain and Cognition. 61(1), 25–39. Hartley, S. L., & Sikora, D. M. (2009). Which DSM-Ⅳ-TR criteria best differentiate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ADHD and anxiety disorders in older children?. Autism, 13(5), 485-509. - 56 -
  • 19.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Klin, A., Volkmar, F. R., Sparrow, S. S., Cicchetti, D. V., & Rourke, B. P. (1995). Validity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sperger syndrome: Convergence with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syndrom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6(7), 1127-1140. Klingberg, T.,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2).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6), 781-791. Manjiviona, J., & Prior, M. (1999).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nd autism. Autism, 3(4), 327-356. Mayes, S. D., & Calhoun, S. L. (2004).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 (WISC-Ⅲ) profiles: Support for subtest analysis in clinical referrals.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8(4), 559-572. Mayes, S. D., & Calhoun, S. L. (2007). Learning, attention, writing, and processing speed in typic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DHD, autism, anxiety, depression, and oppositional-defiant disorder. Child Neuropsychology, 13(6), 469-493. Mayes, S. D., & Calhoun, S. L. (2011). Impact of IQ, age, SES, gender, and race on autistic symptom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5(2), 749-757. Mayes, S. D., Calhoun, S. L., Mayes, R. D., & Molitoris, S. (2012). Autism and ADHD: Overlapping and discriminating symptom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1), 277-285. Mayes, S. D., Calhoun, S. L., Murray, M. J., Ahuja, M., & Smith, L. A. (2011). Anxiety, depression, and irrit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relative to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typical development.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5(1), 474-485. Olesen, P. J., Westerberg, H., & Klingberg, T. (2003).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Nature Neuroscience, 7(1), 75-79. Rapport, M. D., Chung, K. M., Shore, G., Denney, C. B., & Isaacs, P. (2000). Upgrad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assessment and diagnosis: Laboratory and clinic-based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4), 555-568. - 57 -
  • 20. 정서․행동장애연구(제29권 제4호) Reitzel, J., & Szatmari, P. (2003). Cognitive and academic problems.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Asperger syndrome. New York: Guilford Press. Rucklidge, J. J., & Tannock, R. (2002).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ADHD: Effects of reading difficulties and gend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8), 988-1003. Semrud-Clikeman, M., Walkowiak, J., Wilkinson, A., & Butcher, B. (2010).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DHD-combined type, ADHD-predominately inattentive type, and control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0(8), 1017-1027. Sturm, H., Fernell, E., & Gillberg, C. (2004).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ldren with normal intellectual levels: associated impairments and subgroup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6(7), 444-44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10th ed.). Geneva: Author. 【논문 접수: 2013. 10. 14. / 수정본 접수: 2013. 12. 3. / 게재 승인: 2013. 12. 16.】 - 58 -
  • 21.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 비교 : 지능과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 59 - Abstract Compar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Focusing on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s Cho, Jung Suk ․ Lee, Hyo Sh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among normal children,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The subject was 18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18 children with ADHD and 18 normal children whose chronological ages are between 10 and 15 and they were selected by clinical psychologist. K-WISC-IV was used to find out the intelligent characteristics for each group and Kims Frontal 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was us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function. For verification of research, One-Way ANOVA was used through SPSS program (Ver. 18.0) to see if there was an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The research resulted as following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each group of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on the overall examination of IQ (FSIQ) of K-WISC-IC and they all had values of average level. Seco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and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 performance on EIQ, which almost reached border line. According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Key Words: Asperger’s Syndrom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gnitive Characteristics, K-WISC-Ⅳ, Kims Frontal 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