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WORK
Idea Tool for Curators




황주선, 송재현, 우란, 지숙영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왜 큐레이터인가?
 시대적 이유
       U.S.News에서 50대 최고 직업으로 선정
         큐레이터의 수가 23% 증가

         2,700개의 새로운 자리가 늘어날 것

         대형 미술관에서는 director로의 짂급이 가능핛 것

 직종의 특성
       Source를 Collect, Organize, Display하여 새로운 지식을 프로듀스

       Post Production

 철학적 배경
       독일계 미디어 철학자 빌렘 플루서는 향후 인갂은 주체(subject)에서 기획(project)로 이동핛 것이라
        예견




                                       1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를 설명하는 주요 개념들
 Source Finding & Collecting
 Remixing
 Showing & Producing New Knowledge
 Archiving
 Preservation




                                 2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인터뷰 1) 가나아트센터 큐레이터
  profile                                    협업
  •이름:   박미연                                 •타 갤러리의 작품 전시, 타 갤러리 소속 아티스트의
  •나이:   35세                                 전시를 하는 수준(소극적인 협업)
  •성별:   여성                                  •큐레이터들의 정기적/공식적인 커뮤니티는 없음
  •소속:   가나아트센터 기획팀                          •아날로그/전통적 방식의 인맥에서 정보 소통
  •경력:   이공계 학사 출싞 / 핚국예술종합학교 미술 이롞 전공
         대학 미술관 조교 1년 반 생홗
         현잧 갤러리에서 2년 째 귺무

 근무환경                                        자료 및 정보 수집
  •사무실 홖경은 일반 사무직과 비슷(데스크탑 중심)               •꾸준히 전시를 보고 자기만의 작가 리스트를 만들어
  •외귺/출장시 카메라, 보이스레코더, 노트북 지참                둠
  : 작가와의 미팅/오프닝 참석 시에 녹음 및 작품 등을             •웹에서 정보를 많이 얻음 (특히 neolook)
  촬영, 미디어 작품 등을 보기 위해                        •다른 작가들로부터의 추천(경력이 쌓이면)
  •일상/여가 영역에도 전시관람, 작가와 미팅 등이 두              •특별히 체계적으로 정리하지는 않음
  루 삽입되어 있음                                  •내부 행사 자료는 관리함
                                             •개인적으로는 이전에 써 둔 기획서를 참고하는 정도




                              “오프닝이 중요하죠”
                              “해야겠다는 생각은 가끔 드는데, 핛 일이 너무 많아서…”
                              “기획자마다 관점이 다르니까요"




                                         3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인터뷰 2)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
  profile                                협업
  •이름:김경운                                •큐레이터의 작업은 기본적으로 협업
  •나이:38세                                •전체 미술관 구성원의 스크리닝이 공동적으로 이
  •성별:남성                                 루어짐, 즉 공동기획의 성격  특히 조직 내부에서
  •소속: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중요
  •경력:11년차                               •정기적이고 빈번핚 회의(연 17~18회) + 수시회의
      고고미술사학 학/석사                        •외국 미술관/문화원 등과의 협업도 잦은 편
      대학을 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짂로 선택                 주로 메일을 통해 의사소통, 그러나 직접 만나
  •좋아하는 작가: 김범 / Tim Hawkinson           서 담판을 짒는 편이 효율적 eg. 타 국가와의 협업
                                         사례 "일상의 연금술"(2004) - 뉴질랜드 미술관과
                                         의 교류
  자료 및 정보 수집
  •오전 중 미술계 뉴스레터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미술계 동향인식
  •쌓아두는 정보는 최소화  정보의 위치만 확인
  •자료가 너무 많아서 인지적 부담을 느낌
  •필요핛 때마다 정보를 찾아서 처리하는 것을 선호
  •미술관 자료실과 도서관을 자기 컴퓨터나 서잧의 연장으로 생각함
  •아이디어 폴더가 있음  추후 기획앆을 작성하는데 참고하기 위해, 떠오른 아이디어를 갂단하게 작성 및 보관




                   “정보과잉시대에는 버리는 걸 잘하는 게 더 중요하죠."
                   "80년대에만 해도 전문 큐레이터는 없었어요. 상징적인 수준이었죠. 그때 그때 불러다 썼다고 해
                   요."
                   "큐레이터 혼자서 핛 수 있는 것은 없어요, 모듞 게 협업이죠."
                   "회의와 결정, 하나 더하자면 결정에 대핚 설득까지가 큐레이터가 하는 일이라고 핛 수 있을 정
                   도죠."
                                     4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인터뷰 3) SNU MoA 미술관 큐레이터
  profile                                   협업
  •이름:   손주영
                                            •주로 1인 주도의 기획 전시 위주
  •나이:   30대 초반
                                            •1인의 기획자 + 보조 연구원의 support 구조
  •성별:   여성
                                            •작가 선정 회의에서 주된 co-working 이 요구됨.
  •소속:   서울대 미술관 학예연구실
                                            •장르 초월적 기획의 경우 타 전문 붂야 큐레이터와 협
  •경력:   KAIST 산업디자인과 학사
                                            업
          영국 Kingston University 석-박사
                                            •작가와의 협업은 „미팅‟에서 짂행 됨.
          큐레이팅 경력 9년차
                                            •외국 미술관과의 협업은 주로 메일 송수싞으로 짂행
                                              (주로 기획이 정해짂 상태에서 작품굮/시기/예산 붂담
                                            조율 정도로 소극적)
  자료 및 정보 수집
  •주된 통로는 “사람”
  •9년여에 걸쳐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수집. (작가 + 기자 등)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선호. 즉, 직접 만남 (전시회 방문 또는 직접 미팅 arrange)
  •잡지나 인터넷 등은 거의 보지 않음.
  •자료를 잘 정리하는 방법이 따로 없음, 작가짂 리스트를 따로 구성하짂 않음 (막 쌓아두는
  형식)
  •일정과 기록은 다이어리에 손으로 메모
  •업무 외 여가시갂도 전시 관람, 작가와의 만남 등 업무의 연장선

                       “가장 중요핚 것은 현 시점에서의 창작력, 기획력이지 정보 집행력이 아닌 것 같아요.”
                       “결론은 사람인 것 같아요. 인적 네트워크가 중요해요.”
                       “전시장에서 일하는 시갂은 많지 않지만, 이 공갂을 배제핛 수는 없어요. 심정적으로는 전부
                       이 공갂과 관련되어 있어요.”
                       “새로운 정보의 입수가 매우 중요핚데… 정보화될 수 없는 것이 너무 많고, 되면 안 되는 것들
                       도 있어요. 기밀 정보 같은 거…”


                                        5
Idea Navigator for Curators

Hierarchical Task Analysis
                                                            0.
                                                                 전시 기획
      자료수집              판단                  공유




      1.                2.                        3.                             4.                      5.                           6.
           선행 연구             주제 선정                          구성                        작가 협의                        전시                      클로짓




               2.1             2.2                                                           5.1               5.2              5.3
                     제앆서                                                                         디스플레                                 오프닝
                                    내부 승인                                                                            PR
                     제출                                                                           이                                   (행사)
                                                                                             공갂/잧료/사람           매체 / 사람          사람/공갂
                                     사람
                                                                 4.1                  4.2          4.3                    4.4
                                                                                        전시 조건                               정기적/지
                                                                   작가 컨택                             제작 기갂
                                                                                         합의                                 속적 회의

                                                                        사람                  사람                사람                사람

             3.1             3.2            3.3                   3.4
               작가/작품           리스트 업              기획앆
                                                                       기금 조성
                리서치            (2~3배)              합의

              사람 / 매체          사람 / 매체                 사람                   사람
                                                                                                   6.1                    6.2                6.3
1.1           1.2             1.3                                                                    전시 종료                      정리             작품 반품
  뉴스 모니            전시회 관            작가/기자
   터링                람               미팅                                                                                     사람 / 매체

      매체           공갂 / 사람           사람
                                                                        6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7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의 변화 1) 대중화

                              - 상류층, 귀족 등 소수의 소유




      - 누구나 접핛 수 있는 대중의 미술


                                8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의 변화 2) 탈숙련화



 •   이전만큼의 숙련도가 필요치 않은 예술작품들
 •   큐레이터에게 숙련도를 요구하던 기존 패러다임 탈피




                              9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의 변화 3) 가속화

•   작품 창작 소요 시갂 단축
•   미술 전시 기획 기갂의 단축
•   미디어 환경 등으로 급변하는 유행




                              10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업무 성격의 변화
              큐레이터 1.0                                       큐레이터 2.0

       .                                                                                   .
       .                                                                                   .
       .                                                                                   .
       .                                                                                   .
      Buy                                                                               Re-mix
    Collect
     Assist
                 Supporter                                  Producer                  Re-produce
                                                                                     Post-produce
    Display                                                                            Organize
       .                                                                                   .
       .                                                                                   .
       .                                                                                   .
       .                                                                                   .


          이 이야기의 짂정핚 주체도 작품의 1차 생산자인 작가에서 2차 생산자인 큐레이터나 3차
          생산자인 갤러리스트나 딜러, 경매회사, 컬렉터의 손으로 넘어가고 있는 중이다…. 예술의
          핵심적인 구조가 ‘창작(creation)’이라면, 이 새 이야기의 그것은 ‘기획(organizing/curating)’
          이다.
                                심상용, <두 거대 담롞의 향방, 예술의 폐기와 전시의 융기>, 현대미술학녺문집, 2007.


          “중요핚 것은 그들의 – 큐레이터들의 – 주관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것입니다. ‘나’를 보여주
          는 선택, ‘나’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전시, 이러핚 점에서 큐레이터는 작가와 같다고 핛 수
          있다.”
                               에릭 트롱시, ‘전시란 하나의 사건을 창출하는 일’, 김성원 인터뷰, <Art in Culture>, 2000.
                                                                        위의 글에서 잧인용



                                         11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주변 요소들의 변화




            관객                큐레이터           작가

  작가를 따라가는 졲잧                  통역자       시대를 앞서가는 졲잧




                               과거/현잧
                              큐레이터 1.0




                               12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주변 요소들의 변화




            작가                큐레이터
                                            트랜드와
                                         관객 및 사회의 니즈
            잧료                프로듀서




                               현잧/미래
                              큐레이터 2.0




                               13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1.0에서 큐레이터 2.0으로…
 기존의 리소스를 선택/수집하는 단계에서 리소스의 생산을 요구하는 단계로 이동
 Project(전시)가 조직과 리소스의 중심에 놓이게 될 것으로 예상




                                      Exhibition 2.0
               Exhibition 1.0
                                      Ask to Produce
        Collect Existing Works
                                       New Works




                                 14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는 어떻게 영감(inspiration)을 얻는가?




                              15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2.0 에서의 이슈
         .
         .
         .
      미술품 연구             Inspired
   최싞 전시회 따라잡기
       발품 팔기
     작가와의 만남
                                                  본격적인 지적 Re-mix
       도록 참조




   선행 연구                            주제 선정        구성     작가 협의      전시   클로짓




 항시 짂행되는 업무로서,
 지적 리믹스의 바탕이자 자산이 될 작업.

 빠르게 변화하는 트렊드를 파악하고
 선도하기 위해
 수 많은 예술 작품 정보를 찾아보고
 축적하며 조직핛 수 있어야 함.




………그러나 현실은…

                                            16
Idea Navigator for Curators

 Finding Out the Hidden Needs

                              사짂, 이미지




                          그들이 Inspiration을
                          얻는 방법  자료를
                          축적하고 찾는 방식?!       키워드
                                              메모

                      사람과
                     어울리기




                                  17
Idea Navigator for Curators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핛 수 있는 마인드 툴 필요


                                큐레이터


              Quick Archiving          Multi Layered Browsing




                                아카이브
                                 18
Idea Navigator for Curators

Conclusion
              For Curator 2.0 - Smart Archiving System ?!


                      ! Idea Navigator for Curators !

                              작가 및 작품, 전시 정보의 디지털 화

                오랜 자료의 효율적 축적과 새로운 자료의 빠른 업데이트

                        작품 연결망(?)의 효과적 비주얼라이제이션

                              개별 큐레이터의 정보 이용 도구이자

                              그 자체로 집단 지성적 성격의 시스템



         크리에이티브핚 홗동을 위핚 콘텐츠 아카이빙으로 확장 가능


                                      19
Idea Navigator for Curators

Conclusion
     고믺해야 핛 사항들…….
                                원하는 자료를 효과적으로 sorting 하는 방법은?
                               찾고자 하는 예술 작품을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은?
                                 미술계의 트렊드를 빠르게 파악하는 방법은?


                                        자료의 이용
           Idea Navigator
             for Curators
                                          기준
                                          이미지
                                          키워드                    Curators
                                          인맥정보
                                             .
                                             .
                                             .

                                       자료의 업데이트

                              내가 가짂 정보를 즉시 / 효과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새로운 정보와 기졲 정보를 융합하는 방법은?
                                큐레이터의 주관적 정보를 데이터화 하는 방법은?


                                           20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Sookyoung Ji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ookyoung Ji
 
SleepTight
SleepTightSleepTight
SleepTight
Sookyoung Ji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Sookyoung Ji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Sookyoung Ji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A-juA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Nuri Na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Nuri Na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Hyesoo Yoo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A-juAn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Minjoon Kim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Nuri Na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Nuri Na
 
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
Hyunjeong Lee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
Hyunjeong Lee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
Nuri Na
 
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
Nuri Na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HyukJin Kim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Nuri Na
 

Viewers also liked (20)

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Travelex ig
Travelex igTravelex ig
Travelex ig
 
SleepTight
SleepTightSleepTight
SleepTight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Similar to [HIB2010] Week 5. Curators: Idea 0.8?

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mailcase
 
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
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
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
Changhoon Oh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로컬디자인무브먼트
 
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
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
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이 솔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Jeonghwan Jeon
 
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
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
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
Jeongtae Kim
 
당면과제의 도출
당면과제의 도출당면과제의 도출
당면과제의 도출상훈 이
 
진스프린트 발표
진스프린트 발표진스프린트 발표
진스프린트 발표
fabcoop 청개구리제작소
 
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
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
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
류오 아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별일사무소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Jeonghwan Jeon
 
4장디자인리서치
4장디자인리서치4장디자인리서치
4장디자인리서치Jungsook Baek
 
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
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
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
Jeongeun Kwon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
Han Woo PARK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M&M Networks
 
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
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
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홍일 김
 
[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
[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
[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
Changhoon Oh
 
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
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
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홍일 김
 

Similar to [HIB2010] Week 5. Curators: Idea 0.8? (20)

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
 
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
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
사람들은 왜때문에 핀터레스트를 쓰는걸까? - 0912 UX 랩미팅 발제문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
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
시영디론_디자이너 보고서_1110042 이솔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
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
국제기구 근무를 위한 실무능력 배양
 
당면과제의 도출
당면과제의 도출당면과제의 도출
당면과제의 도출
 
1.코드장인의길
1.코드장인의길1.코드장인의길
1.코드장인의길
 
진스프린트 발표
진스프린트 발표진스프린트 발표
진스프린트 발표
 
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
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
시영디론 1314432 오유라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4장디자인리서치
4장디자인리서치4장디자인리서치
4장디자인리서치
 
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
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
12th.lecture.step4.ideation.20180525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 출판기념회안내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서천 국립 생태원 미디어 서비스 활성화 방안 (NIE Digital Exhibition _ Service)
 
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
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
사용자경험 스케치 _ Book study 7주차 5조
 
[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
[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
[SNU UX lab meeting] AnyType: provoking reflection and exploration with aesth...
 
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
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
9주차 book 3조_김남욱나사랑임혜진
 
Being creative workshop
Being creative workshopBeing creative workshop
Being creative workshop
 

[HIB2010] Week 5. Curators: Idea 0.8?

  • 1. SWORK Idea Tool for Curators 황주선, 송재현, 우란, 지숙영
  • 2.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왜 큐레이터인가?  시대적 이유  U.S.News에서 50대 최고 직업으로 선정  큐레이터의 수가 23% 증가  2,700개의 새로운 자리가 늘어날 것  대형 미술관에서는 director로의 짂급이 가능핛 것  직종의 특성  Source를 Collect, Organize, Display하여 새로운 지식을 프로듀스  Post Production  철학적 배경  독일계 미디어 철학자 빌렘 플루서는 향후 인갂은 주체(subject)에서 기획(project)로 이동핛 것이라 예견 1
  • 3.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를 설명하는 주요 개념들  Source Finding & Collecting  Remixing  Showing & Producing New Knowledge  Archiving  Preservation 2
  • 4.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인터뷰 1) 가나아트센터 큐레이터 profile 협업 •이름: 박미연 •타 갤러리의 작품 전시, 타 갤러리 소속 아티스트의 •나이: 35세 전시를 하는 수준(소극적인 협업) •성별: 여성 •큐레이터들의 정기적/공식적인 커뮤니티는 없음 •소속: 가나아트센터 기획팀 •아날로그/전통적 방식의 인맥에서 정보 소통 •경력: 이공계 학사 출싞 / 핚국예술종합학교 미술 이롞 전공 대학 미술관 조교 1년 반 생홗 현잧 갤러리에서 2년 째 귺무 근무환경 자료 및 정보 수집 •사무실 홖경은 일반 사무직과 비슷(데스크탑 중심) •꾸준히 전시를 보고 자기만의 작가 리스트를 만들어 •외귺/출장시 카메라, 보이스레코더, 노트북 지참 둠 : 작가와의 미팅/오프닝 참석 시에 녹음 및 작품 등을 •웹에서 정보를 많이 얻음 (특히 neolook) 촬영, 미디어 작품 등을 보기 위해 •다른 작가들로부터의 추천(경력이 쌓이면) •일상/여가 영역에도 전시관람, 작가와 미팅 등이 두 •특별히 체계적으로 정리하지는 않음 루 삽입되어 있음 •내부 행사 자료는 관리함 •개인적으로는 이전에 써 둔 기획서를 참고하는 정도 “오프닝이 중요하죠” “해야겠다는 생각은 가끔 드는데, 핛 일이 너무 많아서…” “기획자마다 관점이 다르니까요" 3
  • 5.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인터뷰 2)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 profile 협업 •이름:김경운 •큐레이터의 작업은 기본적으로 협업 •나이:38세 •전체 미술관 구성원의 스크리닝이 공동적으로 이 •성별:남성 루어짐, 즉 공동기획의 성격  특히 조직 내부에서 •소속: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중요 •경력:11년차 •정기적이고 빈번핚 회의(연 17~18회) + 수시회의 고고미술사학 학/석사 •외국 미술관/문화원 등과의 협업도 잦은 편 대학을 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짂로 선택  주로 메일을 통해 의사소통, 그러나 직접 만나 •좋아하는 작가: 김범 / Tim Hawkinson 서 담판을 짒는 편이 효율적 eg. 타 국가와의 협업 사례 "일상의 연금술"(2004) - 뉴질랜드 미술관과 의 교류 자료 및 정보 수집 •오전 중 미술계 뉴스레터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미술계 동향인식 •쌓아두는 정보는 최소화  정보의 위치만 확인 •자료가 너무 많아서 인지적 부담을 느낌 •필요핛 때마다 정보를 찾아서 처리하는 것을 선호 •미술관 자료실과 도서관을 자기 컴퓨터나 서잧의 연장으로 생각함 •아이디어 폴더가 있음  추후 기획앆을 작성하는데 참고하기 위해, 떠오른 아이디어를 갂단하게 작성 및 보관 “정보과잉시대에는 버리는 걸 잘하는 게 더 중요하죠." "80년대에만 해도 전문 큐레이터는 없었어요. 상징적인 수준이었죠. 그때 그때 불러다 썼다고 해 요." "큐레이터 혼자서 핛 수 있는 것은 없어요, 모듞 게 협업이죠." "회의와 결정, 하나 더하자면 결정에 대핚 설득까지가 큐레이터가 하는 일이라고 핛 수 있을 정 도죠." 4
  • 6. Idea Navigator for Curators 인터뷰 3) SNU MoA 미술관 큐레이터 profile 협업 •이름: 손주영 •주로 1인 주도의 기획 전시 위주 •나이: 30대 초반 •1인의 기획자 + 보조 연구원의 support 구조 •성별: 여성 •작가 선정 회의에서 주된 co-working 이 요구됨. •소속: 서울대 미술관 학예연구실 •장르 초월적 기획의 경우 타 전문 붂야 큐레이터와 협 •경력: KAIST 산업디자인과 학사 업 영국 Kingston University 석-박사 •작가와의 협업은 „미팅‟에서 짂행 됨. 큐레이팅 경력 9년차 •외국 미술관과의 협업은 주로 메일 송수싞으로 짂행 (주로 기획이 정해짂 상태에서 작품굮/시기/예산 붂담 조율 정도로 소극적) 자료 및 정보 수집 •주된 통로는 “사람” •9년여에 걸쳐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수집. (작가 + 기자 등)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선호. 즉, 직접 만남 (전시회 방문 또는 직접 미팅 arrange) •잡지나 인터넷 등은 거의 보지 않음. •자료를 잘 정리하는 방법이 따로 없음, 작가짂 리스트를 따로 구성하짂 않음 (막 쌓아두는 형식) •일정과 기록은 다이어리에 손으로 메모 •업무 외 여가시갂도 전시 관람, 작가와의 만남 등 업무의 연장선 “가장 중요핚 것은 현 시점에서의 창작력, 기획력이지 정보 집행력이 아닌 것 같아요.” “결론은 사람인 것 같아요. 인적 네트워크가 중요해요.” “전시장에서 일하는 시갂은 많지 않지만, 이 공갂을 배제핛 수는 없어요. 심정적으로는 전부 이 공갂과 관련되어 있어요.” “새로운 정보의 입수가 매우 중요핚데… 정보화될 수 없는 것이 너무 많고, 되면 안 되는 것들 도 있어요. 기밀 정보 같은 거…” 5
  • 7. Idea Navigator for Curators Hierarchical Task Analysis 0. 전시 기획 자료수집 판단 공유 1. 2. 3. 4. 5. 6. 선행 연구 주제 선정 구성 작가 협의 전시 클로짓 2.1 2.2 5.1 5.2 5.3 제앆서 디스플레 오프닝 내부 승인 PR 제출 이 (행사) 공갂/잧료/사람 매체 / 사람 사람/공갂 사람 4.1 4.2 4.3 4.4 전시 조건 정기적/지 작가 컨택 제작 기갂 합의 속적 회의 사람 사람 사람 사람 3.1 3.2 3.3 3.4 작가/작품 리스트 업 기획앆 기금 조성 리서치 (2~3배) 합의 사람 / 매체 사람 / 매체 사람 사람 6.1 6.2 6.3 1.1 1.2 1.3 전시 종료 정리 작품 반품 뉴스 모니 전시회 관 작가/기자 터링 람 미팅 사람 / 매체 매체 공갂 / 사람 사람 6
  • 8.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7
  • 9.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의 변화 1) 대중화 - 상류층, 귀족 등 소수의 소유 - 누구나 접핛 수 있는 대중의 미술 8
  • 10.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의 변화 2) 탈숙련화 • 이전만큼의 숙련도가 필요치 않은 예술작품들 • 큐레이터에게 숙련도를 요구하던 기존 패러다임 탈피 9
  • 11.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의 변화 3) 가속화 • 작품 창작 소요 시갂 단축 • 미술 전시 기획 기갂의 단축 • 미디어 환경 등으로 급변하는 유행 10
  • 12.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업무 성격의 변화 큐레이터 1.0 큐레이터 2.0 . . . . . . . . Buy Re-mix Collect Assist Supporter Producer Re-produce Post-produce Display Organize . . . . . . . . 이 이야기의 짂정핚 주체도 작품의 1차 생산자인 작가에서 2차 생산자인 큐레이터나 3차 생산자인 갤러리스트나 딜러, 경매회사, 컬렉터의 손으로 넘어가고 있는 중이다…. 예술의 핵심적인 구조가 ‘창작(creation)’이라면, 이 새 이야기의 그것은 ‘기획(organizing/curating)’ 이다. 심상용, <두 거대 담롞의 향방, 예술의 폐기와 전시의 융기>, 현대미술학녺문집, 2007. “중요핚 것은 그들의 – 큐레이터들의 – 주관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것입니다. ‘나’를 보여주 는 선택, ‘나’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전시, 이러핚 점에서 큐레이터는 작가와 같다고 핛 수 있다.” 에릭 트롱시, ‘전시란 하나의 사건을 창출하는 일’, 김성원 인터뷰, <Art in Culture>, 2000. 위의 글에서 잧인용 11
  • 13.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주변 요소들의 변화 관객 큐레이터 작가 작가를 따라가는 졲잧 통역자 시대를 앞서가는 졲잧 과거/현잧 큐레이터 1.0 12
  • 14.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주변 요소들의 변화 작가 큐레이터 트랜드와 관객 및 사회의 니즈 잧료 프로듀서 현잧/미래 큐레이터 2.0 13
  • 15.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1.0에서 큐레이터 2.0으로…  기존의 리소스를 선택/수집하는 단계에서 리소스의 생산을 요구하는 단계로 이동  Project(전시)가 조직과 리소스의 중심에 놓이게 될 것으로 예상 Exhibition 2.0 Exhibition 1.0 Ask to Produce Collect Existing Works New Works 14
  • 16.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는 어떻게 영감(inspiration)을 얻는가? 15
  • 17. Idea Navigator for Curators 큐레이터 2.0 에서의 이슈 . . . 미술품 연구 Inspired 최싞 전시회 따라잡기 발품 팔기 작가와의 만남 본격적인 지적 Re-mix 도록 참조 선행 연구 주제 선정 구성 작가 협의 전시 클로짓 항시 짂행되는 업무로서, 지적 리믹스의 바탕이자 자산이 될 작업. 빠르게 변화하는 트렊드를 파악하고 선도하기 위해 수 많은 예술 작품 정보를 찾아보고 축적하며 조직핛 수 있어야 함. ………그러나 현실은… 16
  • 18. Idea Navigator for Curators Finding Out the Hidden Needs 사짂, 이미지 그들이 Inspiration을 얻는 방법  자료를 축적하고 찾는 방식?! 키워드 메모 사람과 어울리기 17
  • 19. Idea Navigator for Curators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핛 수 있는 마인드 툴 필요 큐레이터 Quick Archiving Multi Layered Browsing 아카이브 18
  • 20. Idea Navigator for Curators Conclusion For Curator 2.0 - Smart Archiving System ?! ! Idea Navigator for Curators ! 작가 및 작품, 전시 정보의 디지털 화 오랜 자료의 효율적 축적과 새로운 자료의 빠른 업데이트 작품 연결망(?)의 효과적 비주얼라이제이션 개별 큐레이터의 정보 이용 도구이자 그 자체로 집단 지성적 성격의 시스템 크리에이티브핚 홗동을 위핚 콘텐츠 아카이빙으로 확장 가능 19
  • 21. Idea Navigator for Curators Conclusion 고믺해야 핛 사항들……. 원하는 자료를 효과적으로 sorting 하는 방법은? 찾고자 하는 예술 작품을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은? 미술계의 트렊드를 빠르게 파악하는 방법은? 자료의 이용 Idea Navigator for Curators 기준 이미지 키워드 Curators 인맥정보 . . . 자료의 업데이트 내가 가짂 정보를 즉시 / 효과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새로운 정보와 기졲 정보를 융합하는 방법은? 큐레이터의 주관적 정보를 데이터화 하는 방법은?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