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HI 2011] Session : Search & Information Seeking




The Information Flaneur
A Fresh Look at Information Seeking



Marian Dork
Sheelagh Carpendale
Carey Williamso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Calgary
flaneur
Flâneur
Gustave Caillebotte, The Bridge of Europe (Le Pont de l’Europe), 1876
도시와 산책자                         19C, Paris


          군중 속에서 혹은 떨어져 나와서
          스스로 움직이며
          또한 유동적인 도시/도시의 구경거리를 즐김




Gustave Caillebotte, The Bridge of Europe (Le Pont de l’Europe), 1876
information space & information flaneur
[CHI 2011] Session : Search & Information Seeking




The Information Flaneur
A Fresh Look at Information Seeking



Marian Dork
Sheelagh Carpendale
Carey Williamso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Calgary
a	
  fresh	
  look	
  
Backgrounds, Objectives, Premises
컴공 & 정보학     새로운 관점
업무 환경 메타포   호기심/비판/상상력...
문화 연구
            flaneur   도시 = 창의적인 탐험의 공간




 컴공 & 정보학                                  새로운 관점
업무 환경 메타포                                호기심/비판/상상력...
접근방법



                      문화 연구
            flaneur   도시 = 창의적인 탐험의 공간




 컴공 & 정보학                                  새로운 관점
업무 환경 메타포                                호기심/비판/상상력...



 문제의식                                      목표지점
Premises


1   정보 공간과 그 인터페이스는 기술적 솔루션 일뿐 아니라
    반성/비평/전유를 위해 열려있는 "문화적 가공물(cultural artefacts)"이다.




2   정보 추구는 특정 문제/필요를 넘어서는
    폭넓은 감정과 동기를 포함하는 복잡한 인간 경험이다.
    - 미학을 분석의 기초로 삼음 (Udsen & Jorgensen, 2005, CS 분야의 미학 연구)
    - 기존에는 Kuhlthau 등의 실용적 접근, 문제 중심의 패러다임이 지배적



3   진행중이고 예상되는 웹의  technological trends는 확장되어 가는
    정보 공간의 탐색을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웹 기반의 시맨틱, 그래픽, 인터랙션 등의 발전: 위키피디아, 리치 인터랙션, 모바일 기기 등
Premises


1   문화적 관점




2   정보 추구 / Holistic Experience / Aesthetics




3   새로운 기술, 새로운 인터페이스
2	
  flaneurs
   Key Concept
The Flaneur #1
Observer & Painter of the Modern City



Curious Explorer
Critical Spectator
Creative Mind
The Flaneur            |   Observer & Painter of the Modern City



하나. Curious Explorer

전에 없이 볼거리로 넘쳐나는 19세기 파리, 도시
특별한 목적없이 도시적 삶의 경험을 목표로 하는 호기심 가득한 도시적 캐릭터, flaneur
광장과 군중 속을 거닐며 시각vision을 획득 (= 시각적 특권을 전유)




둘. Critical Spectator

상업적 스펙터클에 매혹되면서도 그에 수반되는 사회적 현실을 인지함 (모순적)
- 완전히 몰입하기 보다는 한 발짝 떨어져 적당히 거리를 유지하며 걸음
- 상업화와 과속화에 저항하는 문화적 비평가




셋. Creative Mind
일상의 미학화 : 도시 풍경을 읽을 수 있고, 의미있는 것으로 만드는 해석자
급진적인 창의성(radical creativity) : 도시적 형상의 해체, 재조립, 재이미지화 (재구성)
flaneur   도시라는 새로운 공간을 거닐며...

         호기심을 가지고 볼거리를 즐기며
         적당히 거리를 두고 = 비판적으로
         도시의 의미를 자기 안에서 만들어가는 = 재구성해가는
The Flaneur #2
The Flaneur & Information Seeking



Growth
Significance
Conflict
The Flaneur        |    The Flaneur & Information Seeking



                                   19세기 도시 & 오늘날 정보 공간 사이의 유사성


하나. Growth / 확장

점차 확장 => 개인과 거대한 도시/디지털 환경 사이의 중대한 불균형



둘. Significance / 중요성

대부분의 사람들의 일상적 삶의 배경이 됨
- 정보 공간은 일, 놀이, 공동체의 일부가 되어 문화적으로 중대한 현상을 형성



셋. Conflict / 갈등
사회적 투쟁과 협상의 요인
- 도시: 도시의 과속화, 소외 등
- 정보 공간 : 저작권, 네트워크 중립성, 정보 빈곤 등
parallel   건물관리인/경찰관은 엄밀하게 조사하고 심문함
           => 전통적인 검색과 브라우징

           산책자는 탐험exploration과 우연serendipity을 체화
           => 정보 추구 행동을 보는 새로운 관점
human-­‐centered	
  
  perspec7ves
      Related Works
Related Works                [1] Information Behavior



•    informavore: 정보소비자, 정보를 섭취함으로써 살아남는 정신의 소유자
    (1) Dervin의 sense-making: knowledge gaps => sense-making
    (2) Bates의 berrypicking



•   searching and browsing
    - purposeful/goal-directed vs open/casual
    - 지향하는 목표에 맞는 정보 구조와 인터랙션 기술 제공 필요



•    information search process
    (1) Kuhlthau의 information search process
        - 정보 추구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선형 모델
        - information problem(불확실성/혼란) => 명료해짐/집중/자신감/만족
    (2) 비선형 모델: opening, orientation, consolidation의 인지 과정



•   information foraging: 정보추구자가 정보원 검색 비용과 인지된 정보가(치)를 비교
Related Works               [1] Information Behavior



1 Orientation (a sense of orientation)
  a sense of overview : "지도"와 같이 정보의 지형을 아는 것
  a sense of direction : 어디로부터 와서, 앞으로 어떻게 이동하며, 어떻게 되돌아갈지를 아는 것



2 Serendipity
  때때로 분명하게 찾아다니거나 기대하지 않았는데도 흥미롭고 영감을 주는 정보를 우연히 발견함
  일부 연구에서 적절한 정보와 정보원을 획득하는 핵심 요소임을 발견



3 Exploratory Search
  정보 추구를 simple lookup에서 knowledge building으로 확장하려는 시도
  특정한 질문/과업을 염두에 두지 않고도 "사용자들이 탐험하며,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배워가는 것"



4 Everyday Life
  정보 추구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지식 노동자들의 활동이라고 주로 묘사됨
  그런데 매일의 생활 속에도 다양한 정보 활동들이 벌어짐
  정향적(connecting stage)/실용적(interacting stage) 정보 추구 활동으로 나뉨
Related Works                 [2] Visual Perception



1 Element Detection
  preattentive processing : 시각 특질의 차이에 따라 두드러지는 특정 요소를 신속하게 분간
  inhibition of return : 시각이 새로운 요소를 선호함




2 Visual Momentum
  현재 검색 인터페이스는 VM 수준이 낮아
  연속적인 디스플레이를 관련시키려면 정신적인 노력이 많이 들어감




3 Information Visualization
  정보 시각화는 추상적인 데이터의 computer-supported,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s
  우리의 인지 능력을 활용/증폭
Related Works             [3] Emotion and Motivation



1 Higher Things in Life
  lower thins: 문제, 정보 니즈, knowledge gap, 결핍, 불확실성 등 부정적 개념에서 출발
  higher things: 즐거움 & 심오함 등 상위 레벨에서의 긍정적 인간 현상/경험/활동으로 봄




2 Pleasure and Leisure
  즐거움은 정보 추구에서 특히 과소 평가됨
  즐거움, 열정 등 긍정적 감정이 자신감을 높임




3 Flow and Curiosity
  Flow 이론: 시간의 흐름을 잊을만큼, 충분히 몰입, 조화와 만족을 느끼는 상태
  호기심 모델
    1) exploration: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
    2) absorption: 얻는 것이 있는 경험에 충분히 참여하려는 경향
informa7on	
  flaneur
        Main Ideas
인지적/지각적/정서적 측면에 대한 실증 연구에 기반


                                       인간 중심적 모델




                                     궁극적으로 미래 인터페이스에 대한 새로운 비전


            도시 산책자의 문학적 특성에 영감을 받음
Information Flaneur           |   Poetic Persona


모든 형태의 정보 추구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고
탐험/반성/상상력과 관련된 행동/목표/동기가 있는 특정 그룹에 대한 것


1 Exploration
  자신의 흥미를 추구하기 위해
  자기 주변환경을 모니터하고, 새로운 정보와 조우하며, 계속해서 잘 알고 있으려고 함
  여러 tools과 facets, 단계적인 인터랙션, visualization 등을 사용
  visualization은 정보의 풍경 속에서 salient하고 novel한 요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줌


2 Reflection
  일반적으로 gap/problem/uncertainty를 강조하는 것과 차별됨
  즐겁고 심오한 경험과 같은 삶의 고차원적인 것들을 특히 중시
  우연히 정보와 조우하는 것을 즐김
  "숨겨진 관계성"을 발견하는 전략으로서 "열린, 질문하는 마인드"를 기름


3 Imagination
  "폭넓고 빈번하게 읽"으므로써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음
  친숙하지 않은 정보 공간을 탐험하면서 즐거움이나 개인적 의미를 발견
  새로운 기술을 사용,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며 몰입감(flow)을 느낌
Information Flaneur        |   An Experience-based Interaction Schema




                경험



연속체
                활
                동




  Horizontal exploration             Vertical Immersion
  수평적 탐험                             수직적 몰입

  폭을 추구하는 유형의 정보 활동                  관심사/호기심에 따라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추구                     더욱 구체적인 수준으로 몰입하는 정보 활동
  상위 레벨에서 정보 공간을 살펴보고 탐색             상위 레벨의 수평적 탐험의 활동을 보완
Information Flaneur      |   Scenario



프랜시스          는 매일 뉴스와 친구들의 상태 업데이트를 즐겨 보는데, 상호작용적인
비주얼라이제이션을 사용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제별 패턴을 본다. 때때로 그녀는 서로 다른 데이터 출
처로부터 날씨와 기분에 대한 정보를 연관시킨다. 그것들은 이따금씩 관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어느 날 비가 오면 사람들이 일에 대해 불평을 덜 한다는 것을 알아챘
다.


프랜시스는 디지털 정보 공간에 매혹을 느끼지만, 정보 공간의 상업화를 비판하고 집중화된 개인
데이터 수집에 반대한다. 그렇지만 환경 오염과 공적 지출에 대한 데이터 개방의 요구에는 매우 적극적
이다. 나아가 그녀는 정보 소비자일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현재의 이슈, 공적 담론, 예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한다. 전문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만든 기본 화면이 그녀가 정보에 접근하는 기본적인 방
식을 제공하지만, 프랜시스는 자신의 취향과 관점에 토대를 둔 자신만의 개인화된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을 즐긴다.


때때로 뉴스를 살펴보다가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에 대한 정보와 조우하기도 한다. 어느
저녁, 그녀가 사는 도시 근처에서 발생한 최근의 기름 유출에 대해 불안한 정보를 발견한다. 그것은 관련된
회사들과 그들의 환경 관련 실적에 대한 상세 정보이다. 약간의 조사를 한 뒤 프랜시스는 연루된 회사 중 하나의
사건 기록을 발견한다. 회사의 환경 관련 활동을 우려하던 직원들이 익명으로 이 기록들을 유
출하여 최근의 몇몇 중대한 사건을 밝혔다. 프랜시스는 그 회사가 일반에 공표하지 않은 사실에 분
개했다. 그녀는 이 주제에 대해 더욱 몰입하여 의견에 대한 글을 쓰고 기름 유출 사진을 가지고 사건 데
이터에 대한 매쉬업 비주얼라이제이션을 만들기로 했다. 자신의 아티클을 환경단체 블로그
에 보내고 나니 어느덧 자정이 훨씬 넘은 것을 알고 놀랐다.
Information Flaneur      |   Scenario



프랜시스          는 매일 뉴스와 친구들의 상태 업데이트를 즐겨 보는데, 상호작용적인
비주얼라이제이션을 사용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제별 패턴을 본다. 때때로 그녀는 서로 다른 데이터 출
처로부터 날씨와 기분에 대한 정보를 연관시킨다. 그것들은 이따금씩 관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어느 날 비가 오면 사람들이 일에 대해 불평을 덜 한다는 것을 알아챘
다.


프랜시스는 디지털 정보 공간에 매혹을 느끼지만, 정보 공간의 상업화를 비판하고 집중화된 개인
데이터 수집에 반대한다. 그렇지만 환경 오염과 공적 지출에 대한 데이터 개방의 요구에는 매우 적극적
이다. 나아가 그녀는 정보 소비자일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현재의 이슈, 공적 담론, 예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한다. 전문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만든 기본 화면이 그녀가 정보에 접근하는 기본적인 방
식을 제공하지만, 프랜시스는 자신의 취향과 관점에 토대를 둔 자신만의 개인화된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을 즐긴다.


때때로 뉴스를 살펴보다가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에 대한 정보와 조우하기도 한다. 어느
저녁, 그녀가 사는 도시 근처에서 발생한 최근의 기름 유출에 대해 불안한 정보를 발견한다. 그것은 관련된
회사들과 그들의 환경 관련 실적에 대한 상세 정보이다. 약간의 조사를 한 뒤 프랜시스는 연루된 회사 중 하나의
사건 기록을 발견한다. 회사의 환경 관련 활동을 우려하던 직원들이 익명으로 이 기록들을 유
출하여 최근의 몇몇 중대한 사건을 밝혔다. 프랜시스는 그 회사가 일반에 공표하지 않은 사실에 분
개했다. 그녀는 이 주제에 대해 더욱 몰입하여 의견에 대한 글을 쓰고 기름 유출 사진을 가지고 사건 데
이터에 대한 매쉬업 비주얼라이제이션을 만들기로 했다. 자신의 아티클을 환경단체 블로그
에 보내고 나니 어느덧 자정이 훨씬 넘은 것을 알고 놀랐다.
Information Flaneur      |   Comparison



1 결핍과 태스크에 기초한 이전 모델들로부터 벗어나고자 함
   - 정보에 대한 니즈, 지식 간극, 불확실성
   - 정보원의 가치는 센스-메이킹 비용 평가



2 그렇지만 이전 정보 추구 및 관련 도메인의 연구들을 토대로 하고자 함
   - 세렌디피티, 여가, 일상 정보 추구에 대한 연구들
   - 관심, 욕망, 열린 마음에 의해 촉발됨



3 긍정적인 특성과 정보 실천(practice)으로의 전환
   - 탐험, 반성, 상상력과 같은 긍정적인 태도와 경험으로 개념화




=> 정보 산책자는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의 활동 사이에서 옮겨다니는데
   오늘날의 정보 추구 인터페이스는 이를 지원하고 있지 못함
exploability
   Conclusions
Implications            |   Explorability


탐험가능성exploability
정보 산책자를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원칙을 아우르는 목표로 제시
구체적인 사용성 원칙은 innovation 이후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하도록 함



하나. Orientation
overview와 direction에 대한 감각 확보
situated navigation, faceted navig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등을 통해서 지원될 수 있음


둘. visual momentum
수평적 탐험과 수직적 몰입 사이의 전환이 쉽도록 상위 레벨에서 지원될 필요가 있음
animated transitions, zoomable interfaces, detail-on-demand 등을 통해서 지원될 수 있음


셋. serendipity
정보원을 병치(juxtapose)시킴으로써 세렌디피티의 기회를 증대
Implications   |   From Gaps to Continuities


개별적으로는 일관성없는 정보 공간
반복 발생하는 패턴을 통해 연속적인 정보의 지형으로 표현
두 가지 뷰: 추상적인 본질 & 미리보기의 디테일




                                         하나. Abstraction

                                         conceptual representation 수준
                                         전체적인 정보 공간 visualization
                                         보여지는 자원의 수에는 제약
                                         타임라인, 지도, 그래프 등



                                         둘. Detail

                                         literal presentation 수준
                                         일부 정보원에 대한 상세한 미리보기
                                         썸네일, movie trailer, audio snippet 등
Conclusion        |   Contributions & Limitations



* Contributions
1) 도시 산책자의 도시에 대한 사고방식을 정보 추구에 대한 비유로 처음 사용
2) 정보 추구의 인지/지각/감성적 측면에 대한 학제간(interdisciplinary) 문헌 연구
3) 긍정적인 정보 실천을 위한 인간중심 모델 제시



* Limitations
1) 학제간 연구의 포괄적인 고려
   - 폭넒은 관점을 제공 => 깊이와 완성도 부족할지도
   - 긍정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정보 경험들에 집중하고자 함

2) 문화 연구로부터 flaneur 개념을 빌려옴
   - 비유에 현상 이해 제한 => 다른 풍부한 철학적 관점을 배제하게 됨
   - 정보 산책자의 복잡한 성격을 포괄하려고 애씀
1st Author




http://mariandoerk.de/
FluidViews                          Marian Dörk, Sheelagh Carpendale, and Carey Williamson. Fluid Views: A Zoomable Search Environment.
                                    AVI 2012: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Visual Interfaces, ACM, 8 pages, May 2012.




http://mariandoerk.de/fluidviews/
PivotPaths                          Marian Dörk, Nathalie Henry Riche, Gonzalo Ramos, and Susan Dumais. PivotPaths: Strolling through Faceted Information Spaces.
                                    TVCG: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18(12), pages 2709-2718, Dec 2012.




http://mariandoerk.de/pivotpaths/
Comments


1   강력한 컨셉




2   충실한 선행연구




3   실제적인 활용 고려
fin.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Travelex travel writer5_6
Travelex travel writer5_6Travelex travel writer5_6
Travelex travel writer5_6Sookyoung Ji
 
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Sookyoung Ji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ookyoung Ji
 
SleepTight
SleepTightSleepTight
SleepTight
Sookyoung Ji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Sookyoung Ji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Sookyoung Ji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Nuri Na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A-juAn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Nuri Na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Hyesoo Yoo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Minjoon Kim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A-juAn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Nuri Na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Nuri Na
 
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
Hyunjeong Lee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
Hyunjeong Lee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
Nuri Na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HyukJin Kim
 
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
Nuri Na
 

Viewers also liked (20)

Travelex travel writer5_6
Travelex travel writer5_6Travelex travel writer5_6
Travelex travel writer5_6
 
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Escape from Everyday
Escape from Everyday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SNU UX Lab] Smart Work Driver : A job is a device
 
Travelex ig
Travelex igTravelex ig
Travelex ig
 
SleepTight
SleepTightSleepTight
SleepTight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Log-based User Behavior Analysis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Sharing and Navigating 360 Videos and Maps in Sight Surfers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Ui patterns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Interacting with an Inferred World: the Challenge of Machine Learning for Hum...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healbegobe experience
healbegobe experience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모바일 디자인 패턴 갤러리
 
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2015 f:w ux trend report
2015 f:w ux trend report
 

Similar to The information flaneur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publiclab
 
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
Haklae Kim
 
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
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
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
Dong Chan Shin
 
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mailcase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MinryungSong
 
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
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
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
Jahee Lee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AlexanderPark28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Myeonggyun Ryu
 
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
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
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Sungkyu Le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Hyunjin Yoo
 
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
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
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
SodamKim14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ssuser2624f71
 
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peptres
 
1515475조은서
1515475조은서1515475조은서
1515475조은서
은서 조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Hansung Universit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Yeseul Song
 
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
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
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조현경
 
월간 Im july 2015
월간 Im july 2015월간 Im july 2015
월간 Im july 2015
M&M Networks
 
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
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
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
KOREA EDS
 

Similar to The information flaneur (20)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Data science (조명대)
Data science (조명대)
 
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
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
User experience Design에 활용되는 각종 용어 정리
 
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
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
Digital literacy era 디지털 숙달 시대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
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
HR(Human Relationship) 3.0시대 지식의 연금술사 : 브리꼴뢰르형 인재를 말하다 - 유영만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
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
The Media Day, Revisited: Rhythm, Place and Hyperlocal Information Environments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
 
1515475조은서
1515475조은서1515475조은서
1515475조은서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
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
Social media 교수연수회강연용
 
월간 Im july 2015
월간 Im july 2015월간 Im july 2015
월간 Im july 2015
 
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
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
20121018 OAK Conference-Presentation
 

The information flaneur

  • 1. [CHI 2011] Session : Search & Information Seeking The Information Flaneur A Fresh Look at Information Seeking Marian Dork Sheelagh Carpendale Carey Williamso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Calgary
  • 4. Gustave Caillebotte, The Bridge of Europe (Le Pont de l’Europe), 1876
  • 5. 도시와 산책자 19C, Paris 군중 속에서 혹은 떨어져 나와서 스스로 움직이며 또한 유동적인 도시/도시의 구경거리를 즐김 Gustave Caillebotte, The Bridge of Europe (Le Pont de l’Europe), 1876
  • 6. information space & information flaneur
  • 7. [CHI 2011] Session : Search & Information Seeking The Information Flaneur A Fresh Look at Information Seeking Marian Dork Sheelagh Carpendale Carey Williamso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Calgary
  • 8. a  fresh  look   Backgrounds, Objectives, Premises
  • 9. 컴공 & 정보학 새로운 관점 업무 환경 메타포 호기심/비판/상상력...
  • 10. 문화 연구 flaneur 도시 = 창의적인 탐험의 공간 컴공 & 정보학 새로운 관점 업무 환경 메타포 호기심/비판/상상력...
  • 11. 접근방법 문화 연구 flaneur 도시 = 창의적인 탐험의 공간 컴공 & 정보학 새로운 관점 업무 환경 메타포 호기심/비판/상상력... 문제의식 목표지점
  • 12. Premises 1 정보 공간과 그 인터페이스는 기술적 솔루션 일뿐 아니라 반성/비평/전유를 위해 열려있는 "문화적 가공물(cultural artefacts)"이다. 2 정보 추구는 특정 문제/필요를 넘어서는 폭넓은 감정과 동기를 포함하는 복잡한 인간 경험이다. - 미학을 분석의 기초로 삼음 (Udsen & Jorgensen, 2005, CS 분야의 미학 연구) - 기존에는 Kuhlthau 등의 실용적 접근, 문제 중심의 패러다임이 지배적 3 진행중이고 예상되는 웹의 technological trends는 확장되어 가는 정보 공간의 탐색을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웹 기반의 시맨틱, 그래픽, 인터랙션 등의 발전: 위키피디아, 리치 인터랙션, 모바일 기기 등
  • 13. Premises 1 문화적 관점 2 정보 추구 / Holistic Experience / Aesthetics 3 새로운 기술, 새로운 인터페이스
  • 14. 2  flaneurs Key Concept
  • 15. The Flaneur #1 Observer & Painter of the Modern City Curious Explorer Critical Spectator Creative Mind
  • 16. The Flaneur | Observer & Painter of the Modern City 하나. Curious Explorer 전에 없이 볼거리로 넘쳐나는 19세기 파리, 도시 특별한 목적없이 도시적 삶의 경험을 목표로 하는 호기심 가득한 도시적 캐릭터, flaneur 광장과 군중 속을 거닐며 시각vision을 획득 (= 시각적 특권을 전유) 둘. Critical Spectator 상업적 스펙터클에 매혹되면서도 그에 수반되는 사회적 현실을 인지함 (모순적) - 완전히 몰입하기 보다는 한 발짝 떨어져 적당히 거리를 유지하며 걸음 - 상업화와 과속화에 저항하는 문화적 비평가 셋. Creative Mind 일상의 미학화 : 도시 풍경을 읽을 수 있고, 의미있는 것으로 만드는 해석자 급진적인 창의성(radical creativity) : 도시적 형상의 해체, 재조립, 재이미지화 (재구성)
  • 17. flaneur 도시라는 새로운 공간을 거닐며... 호기심을 가지고 볼거리를 즐기며 적당히 거리를 두고 = 비판적으로 도시의 의미를 자기 안에서 만들어가는 = 재구성해가는
  • 18. The Flaneur #2 The Flaneur & Information Seeking Growth Significance Conflict
  • 19. The Flaneur | The Flaneur & Information Seeking 19세기 도시 & 오늘날 정보 공간 사이의 유사성 하나. Growth / 확장 점차 확장 => 개인과 거대한 도시/디지털 환경 사이의 중대한 불균형 둘. Significance / 중요성 대부분의 사람들의 일상적 삶의 배경이 됨 - 정보 공간은 일, 놀이, 공동체의 일부가 되어 문화적으로 중대한 현상을 형성 셋. Conflict / 갈등 사회적 투쟁과 협상의 요인 - 도시: 도시의 과속화, 소외 등 - 정보 공간 : 저작권, 네트워크 중립성, 정보 빈곤 등
  • 20. parallel 건물관리인/경찰관은 엄밀하게 조사하고 심문함 => 전통적인 검색과 브라우징 산책자는 탐험exploration과 우연serendipity을 체화 => 정보 추구 행동을 보는 새로운 관점
  • 21. human-­‐centered   perspec7ves Related Works
  • 22. Related Works [1] Information Behavior • informavore: 정보소비자, 정보를 섭취함으로써 살아남는 정신의 소유자 (1) Dervin의 sense-making: knowledge gaps => sense-making (2) Bates의 berrypicking • searching and browsing - purposeful/goal-directed vs open/casual - 지향하는 목표에 맞는 정보 구조와 인터랙션 기술 제공 필요 • information search process (1) Kuhlthau의 information search process - 정보 추구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선형 모델 - information problem(불확실성/혼란) => 명료해짐/집중/자신감/만족 (2) 비선형 모델: opening, orientation, consolidation의 인지 과정 • information foraging: 정보추구자가 정보원 검색 비용과 인지된 정보가(치)를 비교
  • 23. Related Works [1] Information Behavior 1 Orientation (a sense of orientation) a sense of overview : "지도"와 같이 정보의 지형을 아는 것 a sense of direction : 어디로부터 와서, 앞으로 어떻게 이동하며, 어떻게 되돌아갈지를 아는 것 2 Serendipity 때때로 분명하게 찾아다니거나 기대하지 않았는데도 흥미롭고 영감을 주는 정보를 우연히 발견함 일부 연구에서 적절한 정보와 정보원을 획득하는 핵심 요소임을 발견 3 Exploratory Search 정보 추구를 simple lookup에서 knowledge building으로 확장하려는 시도 특정한 질문/과업을 염두에 두지 않고도 "사용자들이 탐험하며,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배워가는 것" 4 Everyday Life 정보 추구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지식 노동자들의 활동이라고 주로 묘사됨 그런데 매일의 생활 속에도 다양한 정보 활동들이 벌어짐 정향적(connecting stage)/실용적(interacting stage) 정보 추구 활동으로 나뉨
  • 24. Related Works [2] Visual Perception 1 Element Detection preattentive processing : 시각 특질의 차이에 따라 두드러지는 특정 요소를 신속하게 분간 inhibition of return : 시각이 새로운 요소를 선호함 2 Visual Momentum 현재 검색 인터페이스는 VM 수준이 낮아 연속적인 디스플레이를 관련시키려면 정신적인 노력이 많이 들어감 3 Information Visualization 정보 시각화는 추상적인 데이터의 computer-supported,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s 우리의 인지 능력을 활용/증폭
  • 25. Related Works [3] Emotion and Motivation 1 Higher Things in Life lower thins: 문제, 정보 니즈, knowledge gap, 결핍, 불확실성 등 부정적 개념에서 출발 higher things: 즐거움 & 심오함 등 상위 레벨에서의 긍정적 인간 현상/경험/활동으로 봄 2 Pleasure and Leisure 즐거움은 정보 추구에서 특히 과소 평가됨 즐거움, 열정 등 긍정적 감정이 자신감을 높임 3 Flow and Curiosity Flow 이론: 시간의 흐름을 잊을만큼, 충분히 몰입, 조화와 만족을 느끼는 상태 호기심 모델 1) exploration: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 2) absorption: 얻는 것이 있는 경험에 충분히 참여하려는 경향
  • 26. informa7on  flaneur Main Ideas
  • 27. 인지적/지각적/정서적 측면에 대한 실증 연구에 기반 인간 중심적 모델 궁극적으로 미래 인터페이스에 대한 새로운 비전 도시 산책자의 문학적 특성에 영감을 받음
  • 28. Information Flaneur | Poetic Persona 모든 형태의 정보 추구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고 탐험/반성/상상력과 관련된 행동/목표/동기가 있는 특정 그룹에 대한 것 1 Exploration 자신의 흥미를 추구하기 위해 자기 주변환경을 모니터하고, 새로운 정보와 조우하며, 계속해서 잘 알고 있으려고 함 여러 tools과 facets, 단계적인 인터랙션, visualization 등을 사용 visualization은 정보의 풍경 속에서 salient하고 novel한 요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줌 2 Reflection 일반적으로 gap/problem/uncertainty를 강조하는 것과 차별됨 즐겁고 심오한 경험과 같은 삶의 고차원적인 것들을 특히 중시 우연히 정보와 조우하는 것을 즐김 "숨겨진 관계성"을 발견하는 전략으로서 "열린, 질문하는 마인드"를 기름 3 Imagination "폭넓고 빈번하게 읽"으므로써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음 친숙하지 않은 정보 공간을 탐험하면서 즐거움이나 개인적 의미를 발견 새로운 기술을 사용,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며 몰입감(flow)을 느낌
  • 29. Information Flaneur | An Experience-based Interaction Schema 경험 연속체 활 동 Horizontal exploration Vertical Immersion 수평적 탐험 수직적 몰입 폭을 추구하는 유형의 정보 활동 관심사/호기심에 따라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추구 더욱 구체적인 수준으로 몰입하는 정보 활동 상위 레벨에서 정보 공간을 살펴보고 탐색 상위 레벨의 수평적 탐험의 활동을 보완
  • 30. Information Flaneur | Scenario 프랜시스 는 매일 뉴스와 친구들의 상태 업데이트를 즐겨 보는데, 상호작용적인 비주얼라이제이션을 사용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제별 패턴을 본다. 때때로 그녀는 서로 다른 데이터 출 처로부터 날씨와 기분에 대한 정보를 연관시킨다. 그것들은 이따금씩 관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어느 날 비가 오면 사람들이 일에 대해 불평을 덜 한다는 것을 알아챘 다. 프랜시스는 디지털 정보 공간에 매혹을 느끼지만, 정보 공간의 상업화를 비판하고 집중화된 개인 데이터 수집에 반대한다. 그렇지만 환경 오염과 공적 지출에 대한 데이터 개방의 요구에는 매우 적극적 이다. 나아가 그녀는 정보 소비자일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현재의 이슈, 공적 담론, 예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한다. 전문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만든 기본 화면이 그녀가 정보에 접근하는 기본적인 방 식을 제공하지만, 프랜시스는 자신의 취향과 관점에 토대를 둔 자신만의 개인화된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을 즐긴다. 때때로 뉴스를 살펴보다가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에 대한 정보와 조우하기도 한다. 어느 저녁, 그녀가 사는 도시 근처에서 발생한 최근의 기름 유출에 대해 불안한 정보를 발견한다. 그것은 관련된 회사들과 그들의 환경 관련 실적에 대한 상세 정보이다. 약간의 조사를 한 뒤 프랜시스는 연루된 회사 중 하나의 사건 기록을 발견한다. 회사의 환경 관련 활동을 우려하던 직원들이 익명으로 이 기록들을 유 출하여 최근의 몇몇 중대한 사건을 밝혔다. 프랜시스는 그 회사가 일반에 공표하지 않은 사실에 분 개했다. 그녀는 이 주제에 대해 더욱 몰입하여 의견에 대한 글을 쓰고 기름 유출 사진을 가지고 사건 데 이터에 대한 매쉬업 비주얼라이제이션을 만들기로 했다. 자신의 아티클을 환경단체 블로그 에 보내고 나니 어느덧 자정이 훨씬 넘은 것을 알고 놀랐다.
  • 31. Information Flaneur | Scenario 프랜시스 는 매일 뉴스와 친구들의 상태 업데이트를 즐겨 보는데, 상호작용적인 비주얼라이제이션을 사용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제별 패턴을 본다. 때때로 그녀는 서로 다른 데이터 출 처로부터 날씨와 기분에 대한 정보를 연관시킨다. 그것들은 이따금씩 관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어느 날 비가 오면 사람들이 일에 대해 불평을 덜 한다는 것을 알아챘 다. 프랜시스는 디지털 정보 공간에 매혹을 느끼지만, 정보 공간의 상업화를 비판하고 집중화된 개인 데이터 수집에 반대한다. 그렇지만 환경 오염과 공적 지출에 대한 데이터 개방의 요구에는 매우 적극적 이다. 나아가 그녀는 정보 소비자일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현재의 이슈, 공적 담론, 예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한다. 전문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만든 기본 화면이 그녀가 정보에 접근하는 기본적인 방 식을 제공하지만, 프랜시스는 자신의 취향과 관점에 토대를 둔 자신만의 개인화된 화면을 만들어내는 것을 즐긴다. 때때로 뉴스를 살펴보다가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에 대한 정보와 조우하기도 한다. 어느 저녁, 그녀가 사는 도시 근처에서 발생한 최근의 기름 유출에 대해 불안한 정보를 발견한다. 그것은 관련된 회사들과 그들의 환경 관련 실적에 대한 상세 정보이다. 약간의 조사를 한 뒤 프랜시스는 연루된 회사 중 하나의 사건 기록을 발견한다. 회사의 환경 관련 활동을 우려하던 직원들이 익명으로 이 기록들을 유 출하여 최근의 몇몇 중대한 사건을 밝혔다. 프랜시스는 그 회사가 일반에 공표하지 않은 사실에 분 개했다. 그녀는 이 주제에 대해 더욱 몰입하여 의견에 대한 글을 쓰고 기름 유출 사진을 가지고 사건 데 이터에 대한 매쉬업 비주얼라이제이션을 만들기로 했다. 자신의 아티클을 환경단체 블로그 에 보내고 나니 어느덧 자정이 훨씬 넘은 것을 알고 놀랐다.
  • 32. Information Flaneur | Comparison 1 결핍과 태스크에 기초한 이전 모델들로부터 벗어나고자 함 - 정보에 대한 니즈, 지식 간극, 불확실성 - 정보원의 가치는 센스-메이킹 비용 평가 2 그렇지만 이전 정보 추구 및 관련 도메인의 연구들을 토대로 하고자 함 - 세렌디피티, 여가, 일상 정보 추구에 대한 연구들 - 관심, 욕망, 열린 마음에 의해 촉발됨 3 긍정적인 특성과 정보 실천(practice)으로의 전환 - 탐험, 반성, 상상력과 같은 긍정적인 태도와 경험으로 개념화 => 정보 산책자는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의 활동 사이에서 옮겨다니는데 오늘날의 정보 추구 인터페이스는 이를 지원하고 있지 못함
  • 33. exploability Conclusions
  • 34. Implications | Explorability 탐험가능성exploability 정보 산책자를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원칙을 아우르는 목표로 제시 구체적인 사용성 원칙은 innovation 이후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하도록 함 하나. Orientation overview와 direction에 대한 감각 확보 situated navigation, faceted navig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등을 통해서 지원될 수 있음 둘. visual momentum 수평적 탐험과 수직적 몰입 사이의 전환이 쉽도록 상위 레벨에서 지원될 필요가 있음 animated transitions, zoomable interfaces, detail-on-demand 등을 통해서 지원될 수 있음 셋. serendipity 정보원을 병치(juxtapose)시킴으로써 세렌디피티의 기회를 증대
  • 35. Implications | From Gaps to Continuities 개별적으로는 일관성없는 정보 공간 반복 발생하는 패턴을 통해 연속적인 정보의 지형으로 표현 두 가지 뷰: 추상적인 본질 & 미리보기의 디테일 하나. Abstraction conceptual representation 수준 전체적인 정보 공간 visualization 보여지는 자원의 수에는 제약 타임라인, 지도, 그래프 등 둘. Detail literal presentation 수준 일부 정보원에 대한 상세한 미리보기 썸네일, movie trailer, audio snippet 등
  • 36. Conclusion | Contributions & Limitations * Contributions 1) 도시 산책자의 도시에 대한 사고방식을 정보 추구에 대한 비유로 처음 사용 2) 정보 추구의 인지/지각/감성적 측면에 대한 학제간(interdisciplinary) 문헌 연구 3) 긍정적인 정보 실천을 위한 인간중심 모델 제시 * Limitations 1) 학제간 연구의 포괄적인 고려 - 폭넒은 관점을 제공 => 깊이와 완성도 부족할지도 - 긍정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정보 경험들에 집중하고자 함 2) 문화 연구로부터 flaneur 개념을 빌려옴 - 비유에 현상 이해 제한 => 다른 풍부한 철학적 관점을 배제하게 됨 - 정보 산책자의 복잡한 성격을 포괄하려고 애씀
  • 38. FluidViews Marian Dörk, Sheelagh Carpendale, and Carey Williamson. Fluid Views: A Zoomable Search Environment. AVI 2012: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Visual Interfaces, ACM, 8 pages, May 2012. http://mariandoerk.de/fluidviews/
  • 39. PivotPaths Marian Dörk, Nathalie Henry Riche, Gonzalo Ramos, and Susan Dumais. PivotPaths: Strolling through Faceted Information Spaces. TVCG: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18(12), pages 2709-2718, Dec 2012. http://mariandoerk.de/pivotpaths/
  • 40. Comments 1 강력한 컨셉 2 충실한 선행연구 3 실제적인 활용 고려
  • 41. 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