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창간호/펴낸날 1911년 11월 1일/ 펴낸곳 여성환경연대 사무국/ 펴낸이 여성환경연대 살림꾼 모임
<O~잉 홀!명 얻다〉소식지
창깐호
e캠A1e ’,."쭉 깨tr-을 "."ιg
여성이 새로짜는 세상을 열며
회원의 목소리
북색이력서
회원과의 만남
여성환경논단
샘태여성론의 시각
세계의 여성환경운동
여성흔f명얻대 서울 강남구 도곡동 없-12 가랍빌딩 뼈호 / 전화 3463-m4 / 전송 한6짧 /E뼈 kwen21@chollian.n앉
여성이새로
짜는세십낼열며
여성이 새로짜는서방
o쾌 성이 새로 짜는 세상, 이것은 여성환경
’ 연대 소식지의 이름이다. 공모해서 선
정된 것이 다.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이란 어
떤 세상을 말하는 것인가. 과연 다른 것인가.
〈여성이 세계를 구할 수 있는가〉 우에노 시
즈꼬, 1989-의 글에서 보면 남성 이 구하지 못
하는 세계는 여성이 구할 수 없으며 반대로
여성이 세계를 구할 수 있다면 남성도 구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저자가 말하고 싶어하
는 것은 이러한 당연한 사실이 당연하게 받아
들여지고 있지 못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지적
한다.
복잡한 논리를 떠나서 이 시점에서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점
은 무엇인가. 그 하나는 지금까지 억눌림과
약자로서의 삶을 통해 지니게 된 여성인간군
의 자질이고 또 하나는 여성의 아직까지 주체
적으로 써보지 못한 잠재력일 것이다. 새로
세상을 싼다고 하는 것은 새로운 내일이 올
것을 확신하며 그것의 실현을 위해 헌신하는
것을말한다.
지난 6월 23일 발족한 여성환경연대의 창립
총회기사를 읽고 어떤 환경운동권을 아는 남성
한 분이 여성환경인끼리의 연대는 남성을 역차
별하는 것이 아니냐고 항변한 일이 있다. 이유
인즉슨 환경을 걱정하는 일에 있어서는 여성들
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무슨 새삼스럽게 연
대강화냐는 것이었다. 신선한 충격이다.
2 힘}호
박영숙 / 여성환경연대 60대 으뜸지기
새로 짜는 세상을 위한 여성환경연대의 과
제는 우선 흩어져 활동하고 있는 여성환경인
을 묶어내는 일이다. 그리고 그들의 족적을
집대성하고 경험을 나누는 일을 국내 연대에
서, 아세아로, 그리고 세계연대로 파장을 넓혀
가는 것이다. 우리가 새천년에 꿈꾸고 있는
새로운 세상은 혼자서는 짤 수 없기 때문이
다. 2CXXl년 뉴욕에서 개최 예정인 제 5회 세계
여성대회에서의 한국여성환경인의 역할에 기
대를걸어본다.
우리는 아직 이 연대를 어떠한 방향으로,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해 결정한 바
없다. 그만큼 모든 여성환경인들에게 문호는
열려 있다. 여성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어렵게 보이는 죽음을 생
명으로 전환하는 패러다임 창출에 여성환경
인은도전해야한다.
새로운 세상 짜기는 앉아서 할 수 있는 것
이 아니다. 우리들이 열어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생각한 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
다. 세계여성환경인들이 외치고 있을 ‘말로
아닌 실천, 실천, 실천’ 이라고 하는 이유도 여
기에 있다.
회원의목소리
환경문제와 여성문제는 같은 q빨f
효경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대
1..: 학 1학년 때부터다. 우연히 대자보에서
공단에서 내뿜는 오염물질로 인해 억울하게
고통 당하는 지역주민들에 대한 내용의 글과
사진을 보았다. 자신들의 잘못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게 한 마을 전체가 억울하게 고통을 당
하는 일이 먼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아닌 내
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아직도 일어나고 있
다는사실이 당시 나에게는큰충격이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 환경
문제보다도 주민들에게 대대로 고통을 주는
환경문제를 일으킨 사회에 대한 분노가 일었
다. 그리고 그런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여 기
고 외면하는 우리사회에 대한 실망.
당시 나는 운동권은 아니었지만 운동권선
배나 친구들이 주장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지나면서 운동권 학생들 내부의 부조
리한 모습들을 보게되었다. 말로는 해방이니
자유니 주장하지만 그들 내부에서의 권위적
이고 후배에게 복종을 강요하는 모습들.
과연 무엇이 문제 일까? 고민을 많이 했었
다. 그러다가 결국 모든 문제는 우리사회의
문제가 아닌 인간의 문제임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나의 연약함, 다른 사람의 연약함.
그로인한 우리사회의 연약함을 인정하고 그
위에서 잘못된 것들을 고쳐 나가고자하는 여
유를갖고 일하고 있다.
하지만 가진 자가 없는 자를 업신여기는
홍석분/횡성환경운동연합
것, 권력있는 자가 힘없는 자를 억압하는 것,
어떤 형태로든 인간이 인간을 억압하는 것을
볼때는 여전히 화가 치민다. 여성문제도 마찬
가지다.
환경에 대한 문제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본
다. 가진 자가 없는 자에게 갖는 오만함과 같
이 자연에 대해 갖는 인간의 오만함. 그로인
해 생겨나는 환경파괴로.
지난 6월 창립대회를 갖고 여성환경연대가
꾸려졌다. 여성의 눈으로 여성의 마음으로 우
리사회의 문제, 생태계파괴의 문제를 해결해
보자는 취지라고 생각한다. 여성환경연대가
단지 여성들이 모여서 환경운동을 하는 모임
이 아니라 타인에 대한 배려, 자연에 대한 배
려를 가진 가치관을 확산시키고 실천해가는
모임이 되기를바란다.
£반호 3
-톨캘힘”흩r.s.
4 힘t호
서왕진 회원
환경운동의 일선에 선지 7년이 되었다. 환경정의 시민연
대의 모든 사업총괄 및 그린벨트살리기국민행동 사무국
장을 맡고 있다 여성환경연대의 3명뿐인 남자회원 중 한
명이다. 오랜 환경운동의 경험으로 여성의 힘을 알고 있
기 때문에 주저없이 회원이 되었다.
곽현 회원
환경정의시민연대에서 생명의 물살리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환경운동을 열심히 하다가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가족과 농사를 지으며 사는 게 꿈이다.
최소영 회원
환경운동에 발들인지 이제 6개월이 갓 넘었다 그간 그린
벨트살리기 국민행동 담당간사로 석달간 오로지 그 일에
만 매달렸다. 여성으로서의 환경운동과 ‘즐겁게 사는일’
에 관심이 있다.
문순홍 회원
여성환경연대 40대 으뜸지기이며 여성의 관점으로 보는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 왔다 독일과 호주에서 생
태정치학을 연구하였다.
김제남 회원
88년 나라사랑청년회 창립위원으로 시작하여 푸른한반도
되찾기 시민의 모임을 이끌었고 현재 녹색연합 사무처장
이다. 여성환경연대의 lJ대 살림꾼이고 한 아이의 엄마이
기도하다.
김혜애 회원
1!Rì년부터 녹색연합에서 주로 대안사회에 관한 일을 해
왔다 최근에는 그린벨트 살리기 국민행동운동에서 역할
했다 미래를 준비하는 일중 아이들의 환경교육이 그 어
떤 것보다도 소중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홍혜란
~년 환경운동연합의 전신인 공해추방운동연합의 자원봉
사로 시작된 환경운동과 인연이 질겨 어느덧 10년이다. 그
간 환경련의 총무부장, 교육부장 등을 두루 거쳐 현재 ‘생
명의 숲’ 사무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사랍의 행복의 조건
에 관심이 많다.
한경희 회원
민중당과 한국여성사회교육원의 간사를 거쳐 현제 고양
여성민우회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엄마로서, 주부로
서 사회속의 당당한 여성으로서 더물어 살며 나누는 삶을
살고싶다.
최재숙 회원
91년부터 환경운동연합 자료실에서 일하여 환경자료관리
에 많은 경험과 노동뷰를 갖고 있다 현재는 참여연대와
환경련이 같이 운영하는 철학카페 운영을 맡고 있다 두
살난 아들의 엄마이기도 하다.
%만호 5
함께나누는환경이력서
6 힘I호
유미호 회원
세상을 지으시고 ‘좋다’ 신 하나님을 믿으며 그 아름다움
을 세우기 위해 노력한다. 눈으로 보고 발로 걷고 내 손으
로 일하는 것을 즐긴다 숲과 바다, 단순한 인간의 정직성,
해맑은 웃음을 갈구한다.5 살배기 아들이 세상에 내딛는
힘찬 결음을 기억하고 새힘을 얻곤 한다.
장우주 회원
크리스찬 아카데미에서 젊은 페미니스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에코페미니즘과
관련한 여성들의 힘기르기에 관심을 갖고 있다.
송향섭 회원
사회복지사로 여러 사회복지 분야에서 일하다 l댔년 경
실련 알뜰가게 사무국장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현재 과천
시 의원으로 시의 환경문제와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
다.
이은정 회원
%년부터 대구환경운동연합 교육홍보부 간사활동을 하고
있고 청소년환경캠프, 환경동아리, 생태기행등에 관심이
많다. 생태기행을 진행하면서 자연이 정말 힘이 세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지만 생활, 사회구조가 반환경적이라 한
계를 많이 느낀다. 작년 11월 결혼했다.
김소희 회원
고양시의회 의원이며 사회산업상임위 소속이다.. 쓰레기
감량과 음식물 쓰레기 재 활용부분에 관심을 갖고 정책연
구중이다.
홍미숙회원
현재 고양여성민우회 지역자치위원으로 일하고 있고 물
리적 환경뿐 아니라 모든 환경을 편안하고 살맛나게 하는
데 일조하고싶다
정미옥 회원
자녀들 교육 환경에 관심이 많고 함께 고민할 분들을 만
나고 싶다 생협활동을 통해 바른 먹거리 나누기에도 관
심이 있어 지금 그일을 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가 해야
할 큰 틀 잡기가 잘 이루어졌으면 한다
김미선 회원
생명의 물살리기운동과 더불어 환경운동을 시작한 지 6개
월이 되었다. 언제나 좋아하는 일을 하고 살고 싶다
(0:1엉온!1.:l2!대〉 소식지 쩨효공모에 황에 추신 여러분쩨 진십으로 갑샤드립니다.
다암 같은 분들。l 다뿜 같은 0볕을 응모해 추셨고 획종적으로 쩨효든
'u-.,"tÐ μ"1. 짜응 M’tg’ 으로 쩡하매 되었습니다•
- 박명자(시언) : 숲의성찬/숲길/숲의가장자리/일어서는 나무들
- 이희숙(회원) : 하늘지붕땅마당/하늘호수에 떠 있는 물고기
- 강민정(회원) : 바로서기/사람세상
- 신근정(녹색연합) : 새땅지기
- 서울대 환경동아리 : matrix
- 안상님(회원) : 난대로
했 응모해 주신 분께는 살림꾼 모임에서 마련한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in!호 7
X변,환경,그러고 주부
- 과천의 유문향 회원을 찾아서 -
깐L 천의 가을은 아름답다. 어
- -11 디서나 가을이야 아름다운
계절이지만 하늘을 찌를 듯한 빌
딩 숲사이에서 보는 가을보다는
낮춤한 집들, 롤러 블레이드를 타
고 공원을 누비는 아이들 사이로
떨어지는 노란 잎들에서야 겨우
‘。h가을이구나’ 하고 느낀다.
유문향회원은 과천에서 산지
벌써 15년이 되었다. 큰 딸아이와
나이가 같은 과천녹색가게도 이
제 10년이 되어간다. 출산과 동시
에 직장을 그만두고 참으로 어색하고 막막했
던 때가 이제 아득한 옛일이 되었다. 당시
YWCA 생협의 회원이었던 그는 과천에 있던
생협 공동체의 대표들과 자연스럽게 만나는
자리에서 과천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있었다.92년 당시 일부 백화점과 관청에서는
재활용캠페인의 이름으로 주부들이 신문등을
가져가변 휴지와 바꾸어주는 행사가 자주 열
렸다. 당시 모임을 같이 하던 사람들이 보기
에 이것은 단지 그야말로 단순한 ‘교환’ 으로
보였다. 얼마나 줄이고 그에 따른 생 활의 불
편함을 감수할 수 있는가와는 거리가 있는 행
사였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과천 지역 주부
들이 직접 조직한 ‘자원재활용 캠페인’으로
아파트 단지에서 정기적으로 재활용품을 수
거하고 장바구니 들기,슈퍼에서 사온 스티로
8 EFl 호
폼 되돌려 주기 운동 등이었다.
당시 서서히 번져 가고 있던 ‘알뜰장’ 에 대
해서도 개념이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
다. 당시 알뜰장은 ‘기 업으로부터 물건을 기
증받아서 ‘싸게 파는’ 바자 정도였다. 과천중
앙공원에서 시작한 알뜰장의 물건들은 철저
히 지역 주민들의 재활용품이었다. 비오는 날
만 빼고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리던 알
뜰장은 좀더 자주, 또는 상설적으로 했으면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를 불러 일으켰다. 이
러한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져 당시 건설
계획 중에 있었던 과천 시민회관의 설계도에
정식으로 과천 녹색가게의 공간이 5평이라는
작은 공간이지만 만들어지게 된다.
과천 녹색가게는 꼭 재활용품이어야 한다
는 것 외에도 철저히 자원봉사자로 사무실을
꾸려간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단, 한번 자원
활동을 하면 쿠폰을 제공하는데 쿠폰이 두장
모이면 구내 식당에서 식사를 할 수 있고 또
그것이 두번이면 문화상품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주부들이 자신만의 문화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배려일뿐 말만 자원봉사이고
사실 일일노동에 불과한 그 많은 국가행사의
자원봉사자와는 다르다.
점차 조금식 성장해 가던 과천 녹색가게는
98년 확장 이전하였고 과천녹색가게를 모범
으로 전국적 으로 많은 녹색가게들이 개설되
는계기를만들었다.
유문향회원은 녹색가게를 통하여 ‘무시무
시한’ 아줌마들의 힘을 절감하였다. 98년 과
천에서 열린 국제민속축제에는 재활용패션쇼
도 자체로 개최하였다. 스카프로 만든 블라우
스, 넥타이로 만든 예쁜 모자 등 녹색가게 자
원활동가주부들은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최대
한의 솜씨를 뽕냈고 그 과정을 비디오에 담아
제작, 판매하기도 했다. 주부들과 일을 하면서
처음엔 양전하고 빼기만 하던 사람이 어느 순
간 아주 딴 사림이 되어가는 것을 자주 본단
다. 지역의 일에 주부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야 한다는 그의 생각은 딸아이들의 학교 운영
위원회일을 2년이나 계속하는 것으로도 드러
난다.
그는 주부들의 자치공동체의 일하는 과정
에서 나타나는 답답함,느림,혼돈스러움은 너
무나 당연할 뿐 아니라 결코 뒤떨어지는 문화
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생각한만큼 실천하고
그 누구도 도태시키지 않는 그 느린 속도감
속에 진정한 생명력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는 결혼 후 사회생활로부터 격리되어 아
이와 집에서 싸우면서(?) 소외감을 느껴가는
후배들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단다. ‘'^}회
생활만이 가치있는 ‘일’ 이고 가정에서 지역
에서 하는 일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회의 가
치개념에 자기를 맡길 필요는 절대 없습니다.
자기와가장 가까운곳에서 정말 중요한 일이
벌어지고 있고 그것을 통해 자신이 성장해 가
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모릅니다
지역과 여성과 환경 .21세기의 화두니 어쩌
니 하는 그 단어들이 그에게는 마치 매일 마
시는 물처럽 자연스러웠다.
글· 사무국
£반호 9
여성환경논단
흩어져 있는 여성공동체 (Diaspora)
φ쾌 성들。1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방식에는
• 남성의 그것과 같지 않은 틀을 발견하
게된다. 남성들이 위계적인 질서 위에서 조직
적으로 행동한다면, 여성들은 다핵적인 연계
망을 형성하면서 비조직적으로 움직이는 특
징들이 그것이다. 이것은 자주 여성 운동 조
직의 비효율성, 비지속성을 낳는 원인으로 그
의미가평가되곤한다.
왜 여성들은 이처럽 비조직적인 방식으로
만나게 되는것일까?
여 성 생 태 공동체 에 관한 책 (Gyn/E∞,logy>
의 저자이기도 한 메리 데일리는 그 이유를
가부장제도에서 찾고 있다. 그것은 여성의 본
성 자체가 위계적이고 통일적인 조직을 싫어
해서가 아니라 성에 따라 다른 역할과 위치를
부여하는 현재의 제도와 문화 때문이라는 것
이다.
우리 사회 안에서 여성들은 대부분 각자의
가정 안에 있다. 아이를 키우고 가족을 뒷바
라지해야 하는 여성들은 자신의 가정안에 고
립되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그렇기
에 남성들처럼 그렇게 집 밖에 그들만의 조직
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전력투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처럼 성별화된 사회에 의해 흩어
져 있을 수 밖에 없는 여성들이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더 나은 공동체
를 찾아가는 과정 또한 “흩어져 있는 상태”에
서 추진될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10 징n!호
허라금/이화여대 여성학과
그렇다고해서, 이런 상황을 곧바로 여성활
동조직을 허약하게 만드는 약점으로 볼 이유
는 없을지 모른다. 이 사회 아웃사이더로 살
아야하는 여성들이, 흩어져 있는 지점 곳곳에
서, 자신의 눈으로 사회문제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추진하는 실천방식은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운동문화와 그로부터 비
롯되는 실행력을 갖게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목표달성의 측면에서
보면 비효율적일지 모르나, 제도와 의식 전반
의 총체적 변화가 요구되는 장기적이고 근본
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는 몇몇 유능한
단체의 활동만으로는 그 한계가 분명하기 때
문이다.
데일리는, 가부장적인 사회제도 때문에 흩
어져 살아가는 여성들(뼈SJX)ra) 이 기존의 남
성 조직과는 다른 연대방식으로, 자연과 더불
어 “흩어져 있는 공동체(DiaspJra)..를 형성할
때, 그것은 오히려 근본적인 변화까지도 가능
케하는 힘을 갖게된다고 격려한다.
하나의 구심점을 중심으로 일사분란하게
조직된 운동단체 대신, 다양한 단체, 다양한
위치에서 환경문제해결을 위해 헌신하는 여
성들이 “흩어져 있는 공동체’ 를 구성한 여성
환경연대의 출발지점에 서 , 데일리가 말했던
그 “흩어져 있는 여성공동체”의 무한한 잠재
력을떠올려본다.
‘
이하 글은 g)년에 씌어진 것으로 에코페미니즘에 관한 기본 인식을 다룬 것입니다. 여성환경운동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한
공부로써 두번에 나누어 싣습니다
여성과 자연의 눈으로 세상보'1 :
생태여성론의 λI각 (1)
^fl 태여성론(혹은 에코페미니즘, 이 글에서
。 두 용어를 같이 사용하고 있음)은 생태학
과 여성론이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여성/
자연 그리고 남성/문화간 동치성에 대한 직시 그
리고 여성이 피지배성과 자연의 피지배성 사이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직시로부터 시작하였다 생태
사상과 여성론의 결합인 에코페미니즘은 이론과
운동에서 각기 개별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사회운동 차원에서 여성운동과 ‘환경’ 운동은
반핵 반군국주의 운동에서 자연스럽게 결합되었
다. 이러한 결합의 예들은 각국에서 쉽게 발견할
수있다. 1973년 프랑스 라작지방의 군사훈련장 건
설 반대운동.1975년 독일 비일 핵발전소 건설반
대운동. 1쨌년 영국 그린햄 콤몬 핵발전소 건설
반대운동. 1쨌1/81년 미국 여성 펜타곤행동집단들
이 그 대표적 사례들이다. 이들 운동에의 여성참
여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결론은 여성의 자연 및
사회에 대한 시각이 남성들과 상이하고, 결과적으
로 여성들의 자연 및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방식
이 친자연적이고 평화지향적이란 점이다.
이론적 측면에서 페미니즘과 생태사상 간의 접
합은 페미니즘 저작들이 그려낸 여성해방의 유토
피안적 대안사회에 그 뿌리를 가지고 있다. 왜냐
하면 이 대안사회의 윤곽이 생태론~}들의 생태공
동체 이미지와 동일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사
성에 대한 인식이 자연스레 에코페미니즘의 맹아
를 만들어 주었다. 생태사상과 여성주의가 그린
대안사회의 자화상은 분권화, 비위계질서, 직접민
문순홍 / 가톨릭대 사회학과
주주의적 구조, 지역의존적 경제, 가부장제적 지
배로부터의 해방 등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었다.
캐롤 머찬트에 따르면 에코페미니즘이란 용어
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드본느의 저서 {여성해방
인가 아니면 죽음인개(1974) 에서 처음으로 등장
하였다. 그녀는 자연파괴와 여성억압적 남성중심
사회를 연결지워, “우리의 삶에 직접적 위협을 가
하는 두가지”는 “인구과잉과 지구자원의 파괴”로
이는 “남성중심적 체제”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하
였다. 그녀에 따르면 이로부터 탈출할 수있는 유
일한 길은 “남성적 권력을 여성이 파괴하는 것”
으로, “생태위기 해결에서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잠
재력만이 유일하게 지구 상에서의 인류생존을 보
장해 줄 수있다. 이후 이 개념은 킹에 의해 1976년
버몽에 사회생태학 연구소를 건설하면서 더욱 발
전되었고, 에코페미니즘의 이론적 논의는 제2의
여성해방물결이 최전성기에 달했던 1970년대 말
경부터 본격화된다.당시 마리댈리의 {여성과 생태
학}(1978). 수잔 그리핀의 {여성과 자연}(1978). 캐
롤머찬트의 {자연의 죽음} 등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들은 후기 에코페미니즘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
을 주었다. 특히 마리텔리의 찌l 코페미니즘은 여
성으로 하여금 자신의 성적 재생산적 생물적 속
성 또는 자연으로부터 단절하길 요구하지 않는
것”이란 정의는 여성해방이론내 본질주의 대 유
물론이란 뿌리갚은 논쟁을 다시한번 더 부활시켰
고, 이 논쟁은 이후 에코페미니즘 논의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에코페미니즘은
창~호 11
33의 여성해방운동이라 칭함을 받을 정도로 장
미빛기대 를 받고있다.
에코떼미나즘의공통된합의점
하나의 사상이 형성되기 위해선 적 어도 1세기
를 필요로 한다. 자유주의는 약 3세기를 지속하
여 왔고, 사회주의는 약 2세기 를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에코페미니즘은 등장한지 불과 10여년 밖
에 되지 않았다. 사상체계로서의 이 역사는 시작
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에코페미니즘은 하나의
사상으로 굳어진 것은 아니고 현재 형성중에 있
으며, 이론적 치밀성과 통합성보다는 분화성, 다
양성, 과정성 등을 자신의 특성으로 가지고 있다.
그럽에도 불구하고 에코페미니즘에는 몇가지
공통의 합의가 있다 그 첫번째는 자연과 여성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동일하다는 합의이다. 즉,
일반적으로 자연과 여성은 ‘생명출산’ ‘가계를
돌봄’ 등의 속성을 가진 존재로 생각한다는 것이
다 그러나 이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주어진 것 (마
리텔리)일 수도 있고1 사회 적으로 구성된 것(자넷
빌,워렌)일 수도 있다.
두번째로 생태학이란 개념은 그리스어인 @∞
에서 나온 개념으로 생태학과 여성주의를 결합한
에코페미니스트들은 여성적 일의 영역을 Oikæ에
서 도출시켜 가정으로 설정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Oikæ는 생태학의 어원이면서 동시에 경제학의 어
원이기도 하고 정치적 영역인 Pdis 등장의 모체이
기도 해서, 가계인 Oikæ를 여성의 영역으로만 설
정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있다.
세번째는 자연이 인간에 의해 취급되는 방식과
여성이 남성에 의해 취급되는 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 방식은 여러가지 형태로 지적된다. 혹
자는 여성과 자연은 자체에 내재적 가치를 가지
고 있는데, 현재 이 양자는 모두 자신의 가치를 박
12 m호
탈당하고 유용성이란 측면에서만 취급되고 있다
고 주장하고(반다나 쉬바), 혹지는 경제적 논리가
깔려 있는 식민화 방식에 의해 자유재, 원료 상품
등으로 취급받고 있음이 강조되기도 하며(마리아
미스) , 또는 여성과 자연이 지배적인 그 어떤 주
체에 대해 주체성이 상실된 다자’의 위치에 놓
여 있다고(바바라· 홀란드 문즈) 지적되기도 한
다.
네번째는 이 상관성이 가부장제적 개념 구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부장제
적 개념구조는 이원론적 세계관, 차별적이고 차등
적이며 도구주의적인 가치관을 자신의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다섯번째 합의는 대안적 세계와 관련된
것인데, 이 세계는 물론 이원론, 가치차등주의, 도
구주의 등이 극복된 세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선 여성운동과 ‘환경’ 운동 모두 지배구조를 심화
시키는 이 잘못된 세계관과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이를 새로운 세계관과 가치관으로 대체하고자 노
력해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세계관은 자연=여성
이란 공식을 유지함으로써 여성주의적이고 생물
중심주의적인 세계구성을 강조할 수도 있고, 자연
=여성이란 공식을 깨고 자연 속에 새로이 남성
또는 남성적 영역도 포함시켜 자연=인간이란 공
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자의 세계는 이원적
영역을 한 영역으로 축소시켜 획일화하는 우를
범할 수있으나, 후자의 세계는 이원적 세계를 인
정하되 이를 %덕적 경쟁관계로 파악하기 보다는
상보적 협력관계로 파악하고 다만 ‘다름’ 을 이유
로 한 사회적 차별의 원인을 밝혀 이를 극복핸
데 역점을둔다.
4
세계의 여성환경운동
1π위적떤젝쩡환평흘적 ,
χ케 세계에 조직망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L 환경과 발전 단체 인 WEDO(Women’ S
Environment & Development Organization)는
1990년 여성의 환경, 발전, 경제정의 또는 평
화운동 같은 사회 변혁 운동들에 참여하고 있
던 전세계의 여성들(특히 전문가, 연구진, 각
국에서 잘 알려진 활동가들)에 의해 만들어졌
다.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정치적으로 다양한
견해를 가진 이들은 지구가 당면한 문제들을
진단하고 보다 미래지향적이고 건강한 지구
를 위한 것들이 무엇인가를 논의하기 위한 공
통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전세계의 각 지역
의 국제위원회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WEDO
는 국제적이고 범세대적인 팀에 의해 운영되
고 있다. 여성, 환경, 발전 이슈들과 상호연관
된 내용들에 대해 활동하고 있는 WEDO는,
그들의 활동가와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그들을 지지하고 있는 전세계 대중들의
요구와 관심들에 접근해가고 있다. WEDO는
특히 공공정책에 강력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유엔내에 여성 NGO들간의 혁신적인 연대조
직을 건설함에 따라 전지구적으로 광범위하
게 인식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국제재정기구들과 유엔, 국제재정기구들
에 대한감시.
·정치 , 공공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여성
의 평등한 역할을 추구하는 것
·여성들과 환경에 미치는 세계 경제의 부
정적인 영향과 빈곤을 감소시키는 것
·여성, 공동체, 지구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
경적 위해 요소들을 폭로하는 것들이다.
WEDO 의 최근사업
1. 환경오염과 관련된 암예방 캠페인
“예방원칙”에 입각하여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과학적으로 위해하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밝혀지기 전에(이는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적극
적 인 방법들을 요구하는 캠페인. (WEDO는
환경오염과 여성의 유방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와 캠페인등을 벌여왔다J
2. 삼림보호
천연자원을 파괴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케냐, 캘리포니아, 그 외
에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삼림보호 캠페인.
3. 잠복기가 긴 유기 오염물질
(POPs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WEDO에서 하는 일들 여성과 환경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성의 시각으로 정부, 유엔 그리고 국제 POPs에 대한 연구 및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국
재정기구들의 공공정책들을 검토하고 분 제적인 캠페인.
석하는 것 4. 환경과 관련한 출판사업
E만호 13
• “Women Transforrn the Mains4eam" 기
업에 도전하고, 깨끗한 물요구 운동을 벌
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여성의 평
등성을 외치는 여성활동가들에 대한 18가
지 사례모음.
•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on Women and the
Environment" : 여성 과 환경 에 영 향을 미
치는 POPs에 대한 이해
※참고
WEDO으| 홈페이지는 http://www.wedo.org
입니다.
정리 · 이 지영
• 워크삽연기
〈。t상훌!맹얻 CI>싫립푼흩의 전자때월
주소훌알려드립니다.
60대 박영숙 천리안 kesp1
50대 박은경 ekpj@hotmail.com
40대 문순홍 천 리 안 sukimoon
김상회 천리안 민우환경
이혜경 천리안 manyoe
이진아 천리안 jkiml
이상영 천리안 ecomark
김 양회 kyh55@kwominet.or.kr
30대 김 혜 정 kimhj@kfem.or.kr
ID 검제남 천리안 녹색연합
명진숙 천리안 민우환경
장우주 천리안 ecowuju3
20대 박 경 천리안 gynia
지난 9월 11일 계획되었던 워크삽이 좀더 많은 분들과 함께 하기 위해 1월로 연기
되었습니다. 참가를 신청하신 회원들께 죄송합니다. 1월에 구체적 일정이 잡히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서울시 여성환경활동조사사업
여성환경활동의 역사와 경험을 교류하기 위한 조사사업의 1단계로서 서울시여성환
경활동 조사사업을 10월부터 실시하고 있습니다. 큰 단체뿐 아니라 마을에서 열심히
활동하시는 단체와 개인의 활동성과등을 모아 회원여러분과 공유할 것입니다
14 챔F호
여성환경운동에 관한 책들 는 칩코운동을 소개하고 있고 , 프라크리티
여성환경운동에 대한 책은 많이 나와 있지는 즉, 살아있고 창조적인 과정이며 모든 생명이
않습니다만 여성환경운동의 뿌리와 방향성에 시작하는 여성적 원리가 그 근원이라는 것을
대해 함께 생각하는데 도움이 될까하여 소개 말하고 있다.
합니다.
•「다시 꾸며보는 세상 · 샘태여성주의의 대두」
이화여대 출판부
아이린 다이아몬드·글로리아페만오렌
스타인 편저, 정현경 · 황혜숙 옮김, 1996
서구 에코페미니즘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들
을 정리해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씌어진 것으
로 이원론(남/녀,과학/자연 등)에 대한 재고
와 비판, 유기체적 관계망, 불연속성과 영성,
생태학적 감성, 가부장제에 대한 도전으로부
터 출발하여 유기체적인 존재론영성의 회복
을말하고있다.
•「살아남기: 여성,샘태학, 개발」
솔출판사
반다나 쉬바, 강수영옮김, 1998
서구에코페미니즘 비판서이자 제 3세계 여
성의 입장에서 서구가부장제에 의해 행해진
악개발의 기획을 폭로하는 책이다. 고대 인도
의 세계관을 통해 제 3세계 여성들의 영성의
근원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
•「샘명여성주의의 존재론적 탐구. 반야불교와
노자의 마음 개념에 기초한 신인간형의 모색」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회,1998
생태의 개념을 넘어서는 생명의 원리로서
의 여성주의반야불교와 노자의 존재론을 검
토하면서 존재는 곧 생성이고 자유이고 생명
이라는논리를펼친다.
그외,
「여성과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
나라사랑출판부
로지 브라이도티 외, 한국여성 NGO위원회 여성과
환경분과옮김, 1995
rMary Mellor, 1997, Feminism and EcologYJ
rKaren( ed) Warren, 1997, Ecofeminism
Women, Culture, NatureJ
징만호 15
회원 여러분 , 회닙l 보J-H 장~l요 .
〈여성환경연대〉는 회원들이 꾸려가는 우리들의 모임입니다.
1. 회비는 우리의 생각과 뜻을 모아가기 위한 자그마한 행
사들에 소중하게 쓰일 것입니다.
2. 월 1천원 이상이며 보내드리는 지로용지에 정 함, 전
화번호, 몇개월분인가와 금액을 쓰셔서 은
행에 7; 내시면 됩니다.
3. 보내주신 회비에 오차가 있으면 곧 바로 사무국으로 연
락주십시오
회비를 보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외영
홍석분
홍순금
임현주
강민정
정미옥
이명숙
문선경
박정란
이정희
최화연
김인숙
.. 1 만원
.. 1 만원
. 1 만 2천원
•• 2 만원
.. 1 만원
.. 2만원
.. 2천원
... 3 만원
.. 1 만원
.. 3 만원
... 5 천원
... 3 만원
〈여잉l혼f명얻 I메〉의 토론회에 회원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일시 : 11 월 23일(화) 2시 ~5시
장소:종로성당
제 목 · 북경 +5를위한토론첫마당
· 순서
“여성환경운동, 북경여성대회 그 이후”
발제 1 에코페미니즘의 추이와 한국여성환경운동
발제 2 북경대회 이후 한국여성환경운동의 성과
패널토론
전체토론
※ 이 자리에서는 여성환경운동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논의가 풍성하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많은참석 바랍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ecobuddha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ecobuddha
 
[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
[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
[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
여성환경연대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econewsletter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soyean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econewsletter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hofmeisterjang
 
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
ecobuddha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Sang Hyun Park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여성환경연대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
econewsletter
 
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
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
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
여성환경연대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econewsletter
 

What's hot (20)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외국사례모음
 
[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
[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
[대전 여성환경포럼]여성은 지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2004년)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Serveice design 장재호,조화라
 
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정책제안집201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월 10월
 
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
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
주민자치와 여성환경인의 정치적 주체형성 (2000년대 초반)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Similar to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1호 (소식지, 1999)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
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
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여성환경연대
 
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
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
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
여성환경연대
 
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econewsletter
 
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
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
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여성환경연대
 
[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
[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
[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Similar to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1호 (소식지, 1999) (2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5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1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
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
59.지구별을 사랑했던, 문순홍 선생님을 기억하며 이미영
 
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
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
여성이새로짜는세상 49호 (소식지, 2013)
 
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6호 (소식지, 2001)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7월 8월
 
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
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
물과 지역 여성 운동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풀뿌리 여성환경조직의 활성화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4호 (소식지, 2003)
 
[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
[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
[원고]어떤 에코페미니스트의 고민과 지향 그리고...(2003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6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소책자 (2015)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1호 (소식지, 1999)

  • 1. 창간호/펴낸날 1911년 11월 1일/ 펴낸곳 여성환경연대 사무국/ 펴낸이 여성환경연대 살림꾼 모임 <O~잉 홀!명 얻다〉소식지 창깐호 e캠A1e ’,."쭉 깨tr-을 "."ιg 여성이 새로짜는 세상을 열며 회원의 목소리 북색이력서 회원과의 만남 여성환경논단 샘태여성론의 시각 세계의 여성환경운동 여성흔f명얻대 서울 강남구 도곡동 없-12 가랍빌딩 뼈호 / 전화 3463-m4 / 전송 한6짧 /E뼈 kwen21@chollian.n앉
  • 2. 여성이새로 짜는세십낼열며 여성이 새로짜는서방 o쾌 성이 새로 짜는 세상, 이것은 여성환경 ’ 연대 소식지의 이름이다. 공모해서 선 정된 것이 다.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이란 어 떤 세상을 말하는 것인가. 과연 다른 것인가. 〈여성이 세계를 구할 수 있는가〉 우에노 시 즈꼬, 1989-의 글에서 보면 남성 이 구하지 못 하는 세계는 여성이 구할 수 없으며 반대로 여성이 세계를 구할 수 있다면 남성도 구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저자가 말하고 싶어하 는 것은 이러한 당연한 사실이 당연하게 받아 들여지고 있지 못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지적 한다. 복잡한 논리를 떠나서 이 시점에서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점 은 무엇인가. 그 하나는 지금까지 억눌림과 약자로서의 삶을 통해 지니게 된 여성인간군 의 자질이고 또 하나는 여성의 아직까지 주체 적으로 써보지 못한 잠재력일 것이다. 새로 세상을 싼다고 하는 것은 새로운 내일이 올 것을 확신하며 그것의 실현을 위해 헌신하는 것을말한다. 지난 6월 23일 발족한 여성환경연대의 창립 총회기사를 읽고 어떤 환경운동권을 아는 남성 한 분이 여성환경인끼리의 연대는 남성을 역차 별하는 것이 아니냐고 항변한 일이 있다. 이유 인즉슨 환경을 걱정하는 일에 있어서는 여성들 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무슨 새삼스럽게 연 대강화냐는 것이었다. 신선한 충격이다. 2 힘}호 박영숙 / 여성환경연대 60대 으뜸지기 새로 짜는 세상을 위한 여성환경연대의 과 제는 우선 흩어져 활동하고 있는 여성환경인 을 묶어내는 일이다. 그리고 그들의 족적을 집대성하고 경험을 나누는 일을 국내 연대에 서, 아세아로, 그리고 세계연대로 파장을 넓혀 가는 것이다. 우리가 새천년에 꿈꾸고 있는 새로운 세상은 혼자서는 짤 수 없기 때문이 다. 2CXXl년 뉴욕에서 개최 예정인 제 5회 세계 여성대회에서의 한국여성환경인의 역할에 기 대를걸어본다. 우리는 아직 이 연대를 어떠한 방향으로,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해 결정한 바 없다. 그만큼 모든 여성환경인들에게 문호는 열려 있다. 여성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어렵게 보이는 죽음을 생 명으로 전환하는 패러다임 창출에 여성환경 인은도전해야한다. 새로운 세상 짜기는 앉아서 할 수 있는 것 이 아니다. 우리들이 열어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생각한 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 다. 세계여성환경인들이 외치고 있을 ‘말로 아닌 실천, 실천, 실천’ 이라고 하는 이유도 여 기에 있다.
  • 3. 회원의목소리 환경문제와 여성문제는 같은 q빨f 효경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대 1..: 학 1학년 때부터다. 우연히 대자보에서 공단에서 내뿜는 오염물질로 인해 억울하게 고통 당하는 지역주민들에 대한 내용의 글과 사진을 보았다. 자신들의 잘못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게 한 마을 전체가 억울하게 고통을 당 하는 일이 먼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아닌 내 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아직도 일어나고 있 다는사실이 당시 나에게는큰충격이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 환경 문제보다도 주민들에게 대대로 고통을 주는 환경문제를 일으킨 사회에 대한 분노가 일었 다. 그리고 그런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여 기 고 외면하는 우리사회에 대한 실망. 당시 나는 운동권은 아니었지만 운동권선 배나 친구들이 주장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지나면서 운동권 학생들 내부의 부조 리한 모습들을 보게되었다. 말로는 해방이니 자유니 주장하지만 그들 내부에서의 권위적 이고 후배에게 복종을 강요하는 모습들. 과연 무엇이 문제 일까? 고민을 많이 했었 다. 그러다가 결국 모든 문제는 우리사회의 문제가 아닌 인간의 문제임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나의 연약함, 다른 사람의 연약함. 그로인한 우리사회의 연약함을 인정하고 그 위에서 잘못된 것들을 고쳐 나가고자하는 여 유를갖고 일하고 있다. 하지만 가진 자가 없는 자를 업신여기는 홍석분/횡성환경운동연합 것, 권력있는 자가 힘없는 자를 억압하는 것, 어떤 형태로든 인간이 인간을 억압하는 것을 볼때는 여전히 화가 치민다. 여성문제도 마찬 가지다. 환경에 대한 문제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본 다. 가진 자가 없는 자에게 갖는 오만함과 같 이 자연에 대해 갖는 인간의 오만함. 그로인 해 생겨나는 환경파괴로. 지난 6월 창립대회를 갖고 여성환경연대가 꾸려졌다. 여성의 눈으로 여성의 마음으로 우 리사회의 문제, 생태계파괴의 문제를 해결해 보자는 취지라고 생각한다. 여성환경연대가 단지 여성들이 모여서 환경운동을 하는 모임 이 아니라 타인에 대한 배려, 자연에 대한 배 려를 가진 가치관을 확산시키고 실천해가는 모임이 되기를바란다. £반호 3
  • 4. -톨캘힘”흩r.s. 4 힘t호 서왕진 회원 환경운동의 일선에 선지 7년이 되었다. 환경정의 시민연 대의 모든 사업총괄 및 그린벨트살리기국민행동 사무국 장을 맡고 있다 여성환경연대의 3명뿐인 남자회원 중 한 명이다. 오랜 환경운동의 경험으로 여성의 힘을 알고 있 기 때문에 주저없이 회원이 되었다. 곽현 회원 환경정의시민연대에서 생명의 물살리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환경운동을 열심히 하다가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가족과 농사를 지으며 사는 게 꿈이다. 최소영 회원 환경운동에 발들인지 이제 6개월이 갓 넘었다 그간 그린 벨트살리기 국민행동 담당간사로 석달간 오로지 그 일에 만 매달렸다. 여성으로서의 환경운동과 ‘즐겁게 사는일’ 에 관심이 있다. 문순홍 회원 여성환경연대 40대 으뜸지기이며 여성의 관점으로 보는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 왔다 독일과 호주에서 생 태정치학을 연구하였다.
  • 5. 김제남 회원 88년 나라사랑청년회 창립위원으로 시작하여 푸른한반도 되찾기 시민의 모임을 이끌었고 현재 녹색연합 사무처장 이다. 여성환경연대의 lJ대 살림꾼이고 한 아이의 엄마이 기도하다. 김혜애 회원 1!Rì년부터 녹색연합에서 주로 대안사회에 관한 일을 해 왔다 최근에는 그린벨트 살리기 국민행동운동에서 역할 했다 미래를 준비하는 일중 아이들의 환경교육이 그 어 떤 것보다도 소중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홍혜란 ~년 환경운동연합의 전신인 공해추방운동연합의 자원봉 사로 시작된 환경운동과 인연이 질겨 어느덧 10년이다. 그 간 환경련의 총무부장, 교육부장 등을 두루 거쳐 현재 ‘생 명의 숲’ 사무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사랍의 행복의 조건 에 관심이 많다. 한경희 회원 민중당과 한국여성사회교육원의 간사를 거쳐 현제 고양 여성민우회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엄마로서, 주부로 서 사회속의 당당한 여성으로서 더물어 살며 나누는 삶을 살고싶다. 최재숙 회원 91년부터 환경운동연합 자료실에서 일하여 환경자료관리 에 많은 경험과 노동뷰를 갖고 있다 현재는 참여연대와 환경련이 같이 운영하는 철학카페 운영을 맡고 있다 두 살난 아들의 엄마이기도 하다. %만호 5
  • 6. 함께나누는환경이력서 6 힘I호 유미호 회원 세상을 지으시고 ‘좋다’ 신 하나님을 믿으며 그 아름다움 을 세우기 위해 노력한다. 눈으로 보고 발로 걷고 내 손으 로 일하는 것을 즐긴다 숲과 바다, 단순한 인간의 정직성, 해맑은 웃음을 갈구한다.5 살배기 아들이 세상에 내딛는 힘찬 결음을 기억하고 새힘을 얻곤 한다. 장우주 회원 크리스찬 아카데미에서 젊은 페미니스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에코페미니즘과 관련한 여성들의 힘기르기에 관심을 갖고 있다. 송향섭 회원 사회복지사로 여러 사회복지 분야에서 일하다 l댔년 경 실련 알뜰가게 사무국장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현재 과천 시 의원으로 시의 환경문제와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 다. 이은정 회원 %년부터 대구환경운동연합 교육홍보부 간사활동을 하고 있고 청소년환경캠프, 환경동아리, 생태기행등에 관심이 많다. 생태기행을 진행하면서 자연이 정말 힘이 세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지만 생활, 사회구조가 반환경적이라 한 계를 많이 느낀다. 작년 11월 결혼했다. 김소희 회원 고양시의회 의원이며 사회산업상임위 소속이다.. 쓰레기 감량과 음식물 쓰레기 재 활용부분에 관심을 갖고 정책연 구중이다.
  • 7. 홍미숙회원 현재 고양여성민우회 지역자치위원으로 일하고 있고 물 리적 환경뿐 아니라 모든 환경을 편안하고 살맛나게 하는 데 일조하고싶다 정미옥 회원 자녀들 교육 환경에 관심이 많고 함께 고민할 분들을 만 나고 싶다 생협활동을 통해 바른 먹거리 나누기에도 관 심이 있어 지금 그일을 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가 해야 할 큰 틀 잡기가 잘 이루어졌으면 한다 김미선 회원 생명의 물살리기운동과 더불어 환경운동을 시작한 지 6개 월이 되었다. 언제나 좋아하는 일을 하고 살고 싶다 (0:1엉온!1.:l2!대〉 소식지 쩨효공모에 황에 추신 여러분쩨 진십으로 갑샤드립니다. 다암 같은 분들。l 다뿜 같은 0볕을 응모해 추셨고 획종적으로 쩨효든 'u-.,"tÐ μ"1. 짜응 M’tg’ 으로 쩡하매 되었습니다• - 박명자(시언) : 숲의성찬/숲길/숲의가장자리/일어서는 나무들 - 이희숙(회원) : 하늘지붕땅마당/하늘호수에 떠 있는 물고기 - 강민정(회원) : 바로서기/사람세상 - 신근정(녹색연합) : 새땅지기 - 서울대 환경동아리 : matrix - 안상님(회원) : 난대로 했 응모해 주신 분께는 살림꾼 모임에서 마련한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in!호 7
  • 8. X변,환경,그러고 주부 - 과천의 유문향 회원을 찾아서 - 깐L 천의 가을은 아름답다. 어 - -11 디서나 가을이야 아름다운 계절이지만 하늘을 찌를 듯한 빌 딩 숲사이에서 보는 가을보다는 낮춤한 집들, 롤러 블레이드를 타 고 공원을 누비는 아이들 사이로 떨어지는 노란 잎들에서야 겨우 ‘。h가을이구나’ 하고 느낀다. 유문향회원은 과천에서 산지 벌써 15년이 되었다. 큰 딸아이와 나이가 같은 과천녹색가게도 이 제 10년이 되어간다. 출산과 동시 에 직장을 그만두고 참으로 어색하고 막막했 던 때가 이제 아득한 옛일이 되었다. 당시 YWCA 생협의 회원이었던 그는 과천에 있던 생협 공동체의 대표들과 자연스럽게 만나는 자리에서 과천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있었다.92년 당시 일부 백화점과 관청에서는 재활용캠페인의 이름으로 주부들이 신문등을 가져가변 휴지와 바꾸어주는 행사가 자주 열 렸다. 당시 모임을 같이 하던 사람들이 보기 에 이것은 단지 그야말로 단순한 ‘교환’ 으로 보였다. 얼마나 줄이고 그에 따른 생 활의 불 편함을 감수할 수 있는가와는 거리가 있는 행 사였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과천 지역 주부 들이 직접 조직한 ‘자원재활용 캠페인’으로 아파트 단지에서 정기적으로 재활용품을 수 거하고 장바구니 들기,슈퍼에서 사온 스티로 8 EFl 호 폼 되돌려 주기 운동 등이었다. 당시 서서히 번져 가고 있던 ‘알뜰장’ 에 대 해서도 개념이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 다. 당시 알뜰장은 ‘기 업으로부터 물건을 기 증받아서 ‘싸게 파는’ 바자 정도였다. 과천중 앙공원에서 시작한 알뜰장의 물건들은 철저 히 지역 주민들의 재활용품이었다. 비오는 날 만 빼고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리던 알 뜰장은 좀더 자주, 또는 상설적으로 했으면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를 불러 일으켰다. 이 러한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져 당시 건설 계획 중에 있었던 과천 시민회관의 설계도에 정식으로 과천 녹색가게의 공간이 5평이라는 작은 공간이지만 만들어지게 된다. 과천 녹색가게는 꼭 재활용품이어야 한다 는 것 외에도 철저히 자원봉사자로 사무실을
  • 9. 꾸려간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단, 한번 자원 활동을 하면 쿠폰을 제공하는데 쿠폰이 두장 모이면 구내 식당에서 식사를 할 수 있고 또 그것이 두번이면 문화상품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주부들이 자신만의 문화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배려일뿐 말만 자원봉사이고 사실 일일노동에 불과한 그 많은 국가행사의 자원봉사자와는 다르다. 점차 조금식 성장해 가던 과천 녹색가게는 98년 확장 이전하였고 과천녹색가게를 모범 으로 전국적 으로 많은 녹색가게들이 개설되 는계기를만들었다. 유문향회원은 녹색가게를 통하여 ‘무시무 시한’ 아줌마들의 힘을 절감하였다. 98년 과 천에서 열린 국제민속축제에는 재활용패션쇼 도 자체로 개최하였다. 스카프로 만든 블라우 스, 넥타이로 만든 예쁜 모자 등 녹색가게 자 원활동가주부들은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최대 한의 솜씨를 뽕냈고 그 과정을 비디오에 담아 제작, 판매하기도 했다. 주부들과 일을 하면서 처음엔 양전하고 빼기만 하던 사람이 어느 순 간 아주 딴 사림이 되어가는 것을 자주 본단 다. 지역의 일에 주부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야 한다는 그의 생각은 딸아이들의 학교 운영 위원회일을 2년이나 계속하는 것으로도 드러 난다. 그는 주부들의 자치공동체의 일하는 과정 에서 나타나는 답답함,느림,혼돈스러움은 너 무나 당연할 뿐 아니라 결코 뒤떨어지는 문화 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생각한만큼 실천하고 그 누구도 도태시키지 않는 그 느린 속도감 속에 진정한 생명력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는 결혼 후 사회생활로부터 격리되어 아 이와 집에서 싸우면서(?) 소외감을 느껴가는 후배들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단다. ‘'^}회 생활만이 가치있는 ‘일’ 이고 가정에서 지역 에서 하는 일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회의 가 치개념에 자기를 맡길 필요는 절대 없습니다. 자기와가장 가까운곳에서 정말 중요한 일이 벌어지고 있고 그것을 통해 자신이 성장해 가 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모릅니다 지역과 여성과 환경 .21세기의 화두니 어쩌 니 하는 그 단어들이 그에게는 마치 매일 마 시는 물처럽 자연스러웠다. 글· 사무국 £반호 9
  • 10. 여성환경논단 흩어져 있는 여성공동체 (Diaspora) φ쾌 성들。1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방식에는 • 남성의 그것과 같지 않은 틀을 발견하 게된다. 남성들이 위계적인 질서 위에서 조직 적으로 행동한다면, 여성들은 다핵적인 연계 망을 형성하면서 비조직적으로 움직이는 특 징들이 그것이다. 이것은 자주 여성 운동 조 직의 비효율성, 비지속성을 낳는 원인으로 그 의미가평가되곤한다. 왜 여성들은 이처럽 비조직적인 방식으로 만나게 되는것일까? 여 성 생 태 공동체 에 관한 책 (Gyn/E∞,logy> 의 저자이기도 한 메리 데일리는 그 이유를 가부장제도에서 찾고 있다. 그것은 여성의 본 성 자체가 위계적이고 통일적인 조직을 싫어 해서가 아니라 성에 따라 다른 역할과 위치를 부여하는 현재의 제도와 문화 때문이라는 것 이다. 우리 사회 안에서 여성들은 대부분 각자의 가정 안에 있다. 아이를 키우고 가족을 뒷바 라지해야 하는 여성들은 자신의 가정안에 고 립되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그렇기 에 남성들처럼 그렇게 집 밖에 그들만의 조직 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전력투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처럼 성별화된 사회에 의해 흩어 져 있을 수 밖에 없는 여성들이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더 나은 공동체 를 찾아가는 과정 또한 “흩어져 있는 상태”에 서 추진될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10 징n!호 허라금/이화여대 여성학과 그렇다고해서, 이런 상황을 곧바로 여성활 동조직을 허약하게 만드는 약점으로 볼 이유 는 없을지 모른다. 이 사회 아웃사이더로 살 아야하는 여성들이, 흩어져 있는 지점 곳곳에 서, 자신의 눈으로 사회문제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추진하는 실천방식은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운동문화와 그로부터 비 롯되는 실행력을 갖게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목표달성의 측면에서 보면 비효율적일지 모르나, 제도와 의식 전반 의 총체적 변화가 요구되는 장기적이고 근본 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는 몇몇 유능한 단체의 활동만으로는 그 한계가 분명하기 때 문이다. 데일리는, 가부장적인 사회제도 때문에 흩 어져 살아가는 여성들(뼈SJX)ra) 이 기존의 남 성 조직과는 다른 연대방식으로, 자연과 더불 어 “흩어져 있는 공동체(DiaspJra)..를 형성할 때, 그것은 오히려 근본적인 변화까지도 가능 케하는 힘을 갖게된다고 격려한다. 하나의 구심점을 중심으로 일사분란하게 조직된 운동단체 대신, 다양한 단체, 다양한 위치에서 환경문제해결을 위해 헌신하는 여 성들이 “흩어져 있는 공동체’ 를 구성한 여성 환경연대의 출발지점에 서 , 데일리가 말했던 그 “흩어져 있는 여성공동체”의 무한한 잠재 력을떠올려본다. ‘
  • 11. 이하 글은 g)년에 씌어진 것으로 에코페미니즘에 관한 기본 인식을 다룬 것입니다. 여성환경운동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한 공부로써 두번에 나누어 싣습니다 여성과 자연의 눈으로 세상보'1 : 생태여성론의 λI각 (1) ^fl 태여성론(혹은 에코페미니즘, 이 글에서 。 두 용어를 같이 사용하고 있음)은 생태학 과 여성론이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여성/ 자연 그리고 남성/문화간 동치성에 대한 직시 그 리고 여성이 피지배성과 자연의 피지배성 사이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직시로부터 시작하였다 생태 사상과 여성론의 결합인 에코페미니즘은 이론과 운동에서 각기 개별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사회운동 차원에서 여성운동과 ‘환경’ 운동은 반핵 반군국주의 운동에서 자연스럽게 결합되었 다. 이러한 결합의 예들은 각국에서 쉽게 발견할 수있다. 1973년 프랑스 라작지방의 군사훈련장 건 설 반대운동.1975년 독일 비일 핵발전소 건설반 대운동. 1쨌년 영국 그린햄 콤몬 핵발전소 건설 반대운동. 1쨌1/81년 미국 여성 펜타곤행동집단들 이 그 대표적 사례들이다. 이들 운동에의 여성참 여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결론은 여성의 자연 및 사회에 대한 시각이 남성들과 상이하고, 결과적으 로 여성들의 자연 및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방식 이 친자연적이고 평화지향적이란 점이다. 이론적 측면에서 페미니즘과 생태사상 간의 접 합은 페미니즘 저작들이 그려낸 여성해방의 유토 피안적 대안사회에 그 뿌리를 가지고 있다. 왜냐 하면 이 대안사회의 윤곽이 생태론~}들의 생태공 동체 이미지와 동일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사 성에 대한 인식이 자연스레 에코페미니즘의 맹아 를 만들어 주었다. 생태사상과 여성주의가 그린 대안사회의 자화상은 분권화, 비위계질서, 직접민 문순홍 / 가톨릭대 사회학과 주주의적 구조, 지역의존적 경제, 가부장제적 지 배로부터의 해방 등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었다. 캐롤 머찬트에 따르면 에코페미니즘이란 용어 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드본느의 저서 {여성해방 인가 아니면 죽음인개(1974) 에서 처음으로 등장 하였다. 그녀는 자연파괴와 여성억압적 남성중심 사회를 연결지워, “우리의 삶에 직접적 위협을 가 하는 두가지”는 “인구과잉과 지구자원의 파괴”로 이는 “남성중심적 체제”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하 였다. 그녀에 따르면 이로부터 탈출할 수있는 유 일한 길은 “남성적 권력을 여성이 파괴하는 것” 으로, “생태위기 해결에서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잠 재력만이 유일하게 지구 상에서의 인류생존을 보 장해 줄 수있다. 이후 이 개념은 킹에 의해 1976년 버몽에 사회생태학 연구소를 건설하면서 더욱 발 전되었고, 에코페미니즘의 이론적 논의는 제2의 여성해방물결이 최전성기에 달했던 1970년대 말 경부터 본격화된다.당시 마리댈리의 {여성과 생태 학}(1978). 수잔 그리핀의 {여성과 자연}(1978). 캐 롤머찬트의 {자연의 죽음} 등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들은 후기 에코페미니즘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 을 주었다. 특히 마리텔리의 찌l 코페미니즘은 여 성으로 하여금 자신의 성적 재생산적 생물적 속 성 또는 자연으로부터 단절하길 요구하지 않는 것”이란 정의는 여성해방이론내 본질주의 대 유 물론이란 뿌리갚은 논쟁을 다시한번 더 부활시켰 고, 이 논쟁은 이후 에코페미니즘 논의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에코페미니즘은 창~호 11
  • 12. 33의 여성해방운동이라 칭함을 받을 정도로 장 미빛기대 를 받고있다. 에코떼미나즘의공통된합의점 하나의 사상이 형성되기 위해선 적 어도 1세기 를 필요로 한다. 자유주의는 약 3세기를 지속하 여 왔고, 사회주의는 약 2세기 를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에코페미니즘은 등장한지 불과 10여년 밖 에 되지 않았다. 사상체계로서의 이 역사는 시작 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에코페미니즘은 하나의 사상으로 굳어진 것은 아니고 현재 형성중에 있 으며, 이론적 치밀성과 통합성보다는 분화성, 다 양성, 과정성 등을 자신의 특성으로 가지고 있다. 그럽에도 불구하고 에코페미니즘에는 몇가지 공통의 합의가 있다 그 첫번째는 자연과 여성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동일하다는 합의이다. 즉, 일반적으로 자연과 여성은 ‘생명출산’ ‘가계를 돌봄’ 등의 속성을 가진 존재로 생각한다는 것이 다 그러나 이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주어진 것 (마 리텔리)일 수도 있고1 사회 적으로 구성된 것(자넷 빌,워렌)일 수도 있다. 두번째로 생태학이란 개념은 그리스어인 @∞ 에서 나온 개념으로 생태학과 여성주의를 결합한 에코페미니스트들은 여성적 일의 영역을 Oikæ에 서 도출시켜 가정으로 설정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Oikæ는 생태학의 어원이면서 동시에 경제학의 어 원이기도 하고 정치적 영역인 Pdis 등장의 모체이 기도 해서, 가계인 Oikæ를 여성의 영역으로만 설 정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있다. 세번째는 자연이 인간에 의해 취급되는 방식과 여성이 남성에 의해 취급되는 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 방식은 여러가지 형태로 지적된다. 혹 자는 여성과 자연은 자체에 내재적 가치를 가지 고 있는데, 현재 이 양자는 모두 자신의 가치를 박 12 m호 탈당하고 유용성이란 측면에서만 취급되고 있다 고 주장하고(반다나 쉬바), 혹지는 경제적 논리가 깔려 있는 식민화 방식에 의해 자유재, 원료 상품 등으로 취급받고 있음이 강조되기도 하며(마리아 미스) , 또는 여성과 자연이 지배적인 그 어떤 주 체에 대해 주체성이 상실된 다자’의 위치에 놓 여 있다고(바바라· 홀란드 문즈) 지적되기도 한 다. 네번째는 이 상관성이 가부장제적 개념 구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부장제 적 개념구조는 이원론적 세계관, 차별적이고 차등 적이며 도구주의적인 가치관을 자신의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다섯번째 합의는 대안적 세계와 관련된 것인데, 이 세계는 물론 이원론, 가치차등주의, 도 구주의 등이 극복된 세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선 여성운동과 ‘환경’ 운동 모두 지배구조를 심화 시키는 이 잘못된 세계관과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이를 새로운 세계관과 가치관으로 대체하고자 노 력해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세계관은 자연=여성 이란 공식을 유지함으로써 여성주의적이고 생물 중심주의적인 세계구성을 강조할 수도 있고, 자연 =여성이란 공식을 깨고 자연 속에 새로이 남성 또는 남성적 영역도 포함시켜 자연=인간이란 공 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자의 세계는 이원적 영역을 한 영역으로 축소시켜 획일화하는 우를 범할 수있으나, 후자의 세계는 이원적 세계를 인 정하되 이를 %덕적 경쟁관계로 파악하기 보다는 상보적 협력관계로 파악하고 다만 ‘다름’ 을 이유 로 한 사회적 차별의 원인을 밝혀 이를 극복핸 데 역점을둔다. 4
  • 13. 세계의 여성환경운동 1π위적떤젝쩡환평흘적 , χ케 세계에 조직망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L 환경과 발전 단체 인 WEDO(Women’ S Environment & Development Organization)는 1990년 여성의 환경, 발전, 경제정의 또는 평 화운동 같은 사회 변혁 운동들에 참여하고 있 던 전세계의 여성들(특히 전문가, 연구진, 각 국에서 잘 알려진 활동가들)에 의해 만들어졌 다.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정치적으로 다양한 견해를 가진 이들은 지구가 당면한 문제들을 진단하고 보다 미래지향적이고 건강한 지구 를 위한 것들이 무엇인가를 논의하기 위한 공 통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전세계의 각 지역 의 국제위원회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WEDO 는 국제적이고 범세대적인 팀에 의해 운영되 고 있다. 여성, 환경, 발전 이슈들과 상호연관 된 내용들에 대해 활동하고 있는 WEDO는, 그들의 활동가와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그들을 지지하고 있는 전세계 대중들의 요구와 관심들에 접근해가고 있다. WEDO는 특히 공공정책에 강력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유엔내에 여성 NGO들간의 혁신적인 연대조 직을 건설함에 따라 전지구적으로 광범위하 게 인식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국제재정기구들과 유엔, 국제재정기구들 에 대한감시. ·정치 , 공공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여성 의 평등한 역할을 추구하는 것 ·여성들과 환경에 미치는 세계 경제의 부 정적인 영향과 빈곤을 감소시키는 것 ·여성, 공동체, 지구의 건강을 위협하는 환 경적 위해 요소들을 폭로하는 것들이다. WEDO 의 최근사업 1. 환경오염과 관련된 암예방 캠페인 “예방원칙”에 입각하여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과학적으로 위해하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밝혀지기 전에(이는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적극 적 인 방법들을 요구하는 캠페인. (WEDO는 환경오염과 여성의 유방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와 캠페인등을 벌여왔다J 2. 삼림보호 천연자원을 파괴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케냐, 캘리포니아, 그 외 에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삼림보호 캠페인. 3. 잠복기가 긴 유기 오염물질 (POPs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WEDO에서 하는 일들 여성과 환경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성의 시각으로 정부, 유엔 그리고 국제 POPs에 대한 연구 및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국 재정기구들의 공공정책들을 검토하고 분 제적인 캠페인. 석하는 것 4. 환경과 관련한 출판사업 E만호 13
  • 14. • “Women Transforrn the Mains4eam" 기 업에 도전하고, 깨끗한 물요구 운동을 벌 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여성의 평 등성을 외치는 여성활동가들에 대한 18가 지 사례모음. •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on Women and the Environment" : 여성 과 환경 에 영 향을 미 치는 POPs에 대한 이해 ※참고 WEDO으| 홈페이지는 http://www.wedo.org 입니다. 정리 · 이 지영 • 워크삽연기 〈。t상훌!맹얻 CI>싫립푼흩의 전자때월 주소훌알려드립니다. 60대 박영숙 천리안 kesp1 50대 박은경 ekpj@hotmail.com 40대 문순홍 천 리 안 sukimoon 김상회 천리안 민우환경 이혜경 천리안 manyoe 이진아 천리안 jkiml 이상영 천리안 ecomark 김 양회 kyh55@kwominet.or.kr 30대 김 혜 정 kimhj@kfem.or.kr ID 검제남 천리안 녹색연합 명진숙 천리안 민우환경 장우주 천리안 ecowuju3 20대 박 경 천리안 gynia 지난 9월 11일 계획되었던 워크삽이 좀더 많은 분들과 함께 하기 위해 1월로 연기 되었습니다. 참가를 신청하신 회원들께 죄송합니다. 1월에 구체적 일정이 잡히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서울시 여성환경활동조사사업 여성환경활동의 역사와 경험을 교류하기 위한 조사사업의 1단계로서 서울시여성환 경활동 조사사업을 10월부터 실시하고 있습니다. 큰 단체뿐 아니라 마을에서 열심히 활동하시는 단체와 개인의 활동성과등을 모아 회원여러분과 공유할 것입니다 14 챔F호
  • 15. 여성환경운동에 관한 책들 는 칩코운동을 소개하고 있고 , 프라크리티 여성환경운동에 대한 책은 많이 나와 있지는 즉, 살아있고 창조적인 과정이며 모든 생명이 않습니다만 여성환경운동의 뿌리와 방향성에 시작하는 여성적 원리가 그 근원이라는 것을 대해 함께 생각하는데 도움이 될까하여 소개 말하고 있다. 합니다. •「다시 꾸며보는 세상 · 샘태여성주의의 대두」 이화여대 출판부 아이린 다이아몬드·글로리아페만오렌 스타인 편저, 정현경 · 황혜숙 옮김, 1996 서구 에코페미니즘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들 을 정리해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씌어진 것으 로 이원론(남/녀,과학/자연 등)에 대한 재고 와 비판, 유기체적 관계망, 불연속성과 영성, 생태학적 감성, 가부장제에 대한 도전으로부 터 출발하여 유기체적인 존재론영성의 회복 을말하고있다. •「살아남기: 여성,샘태학, 개발」 솔출판사 반다나 쉬바, 강수영옮김, 1998 서구에코페미니즘 비판서이자 제 3세계 여 성의 입장에서 서구가부장제에 의해 행해진 악개발의 기획을 폭로하는 책이다. 고대 인도 의 세계관을 통해 제 3세계 여성들의 영성의 근원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 •「샘명여성주의의 존재론적 탐구. 반야불교와 노자의 마음 개념에 기초한 신인간형의 모색」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회,1998 생태의 개념을 넘어서는 생명의 원리로서 의 여성주의반야불교와 노자의 존재론을 검 토하면서 존재는 곧 생성이고 자유이고 생명 이라는논리를펼친다. 그외, 「여성과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 나라사랑출판부 로지 브라이도티 외, 한국여성 NGO위원회 여성과 환경분과옮김, 1995 rMary Mellor, 1997, Feminism and EcologYJ rKaren( ed) Warren, 1997, Ecofeminism Women, Culture, NatureJ 징만호 15
  • 16. 회원 여러분 , 회닙l 보J-H 장~l요 . 〈여성환경연대〉는 회원들이 꾸려가는 우리들의 모임입니다. 1. 회비는 우리의 생각과 뜻을 모아가기 위한 자그마한 행 사들에 소중하게 쓰일 것입니다. 2. 월 1천원 이상이며 보내드리는 지로용지에 정 함, 전 화번호, 몇개월분인가와 금액을 쓰셔서 은 행에 7; 내시면 됩니다. 3. 보내주신 회비에 오차가 있으면 곧 바로 사무국으로 연 락주십시오 회비를 보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외영 홍석분 홍순금 임현주 강민정 정미옥 이명숙 문선경 박정란 이정희 최화연 김인숙 .. 1 만원 .. 1 만원 . 1 만 2천원 •• 2 만원 .. 1 만원 .. 2만원 .. 2천원 ... 3 만원 .. 1 만원 .. 3 만원 ... 5 천원 ... 3 만원 〈여잉l혼f명얻 I메〉의 토론회에 회원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일시 : 11 월 23일(화) 2시 ~5시 장소:종로성당 제 목 · 북경 +5를위한토론첫마당 · 순서 “여성환경운동, 북경여성대회 그 이후” 발제 1 에코페미니즘의 추이와 한국여성환경운동 발제 2 북경대회 이후 한국여성환경운동의 성과 패널토론 전체토론 ※ 이 자리에서는 여성환경운동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논의가 풍성하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많은참석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