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61
Download to read offline
행정안전부-사회혁신기업-시민이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미세먼지·사회주택·헬스케어 문제 해결 프로젝트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일
상
을
바
꾸
는
시
민
의
힘
리
빙
랩
운
영
가
이
드
북
행
정
안
전
부
2
0
1
8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행정안전부-사회혁신기업-시민이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미세먼지·사회주택·헬스케어 문제 해결 프로젝트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인사말 | 5
리빙랩은 | 6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8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 13
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 18
사회주택 분야 | 30
헬스케어 분야 | 40
Ⅱ. 내 삶을 바꾼 리빙랩
참여자들에게 듣는 리빙랩 | 54
* 본 프로젝트는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2018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향상 지원사업 기획·운영 용역’ 사업으로 운영되었습니다.
Contents
우리 일상에는 소소한 듯 보이지만 생각보다 복잡해 풀기 어려운 난제들이 많다. 하지만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서로가 머리를 맞대면 쉽게 풀리는 문제들도 있다. 주민들이 겪는
삶의 문제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해가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사회혁신’이다.
지난해 9월 행정안전부에서는 사회혁신추진단을 발족했다. 정부와 민간 전문단체와 함께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사회혁신 사례를 만들고 확산하기 위해서이다. 올해
그 첫 사업으로 ‘2018년 국민 참여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한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향상 지원사업(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은 최근 시민들이 가장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미세먼지, 사회주택, 고령자 헬스케어를
주제로 실험을 진행했다.
미세먼지 문제에서는 초등학생과 학부모, 지역사회가, 사회주택 분야에서는 주택 거주자들이
직접 문제 해결의 당사자로 나섰다. 고령자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지역에 마을건강방을 만들어
주민들 스스로가 건강을 예방하는 방안을 고민했다. 우리는 이 세 가지 실험을 통해 국가 주도
정책 추진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시민사회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지역 공동체·네트
워크를 활용한 새로운 프로세스 도입으로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희망을
발견했다.
무엇보다 이번 실험에서 가장 큰 의미는 모든 과정에 ‘시민’이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기획 단계
부터 운영 전 과정에 시민이 참여하도록 했고, 이 과정에서 행정안전부와 민간전문단체들은
시민의 아이디어가 더 숙성될 수 있도록 예산, 자문, 운영 등을 지원했다.
행정안전부 사회혁신추진단의 모토는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이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변화를
체감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추진단에서는 늘 ‘시민 중심’을 잊지 않으려 한다.
직원들에게도 ‘지원하되 간섭은 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그동안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풀어가는
데 있어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이 다수였다면,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정부는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시민들 스스로 더 잘 문제를 풀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미세먼지, 사회주택, 고령자 헬스케어 세 분야에서 진행한 실험 결과 도출된 긍정적 결과를
향후 시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행정안전부 사회혁신추진단장 김 용 찬
인사말
시민 참여로 사회문제 해결하는 ‘리빙랩’
#서울 북촌 한옥마을은 유명 관광지가 되면서 갈수록 소음, 쓰레기 무단 투기 등 주민 불편이
커졌다. 주민과 관광객이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서울시는 사물인터넷(loT) 기반의 테스트
베트를 구축하는 등 서비스 고도화 작업을 진행했다. ‘스마트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리면 지역
가게에서 사용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거주자가 주차하지 않은 시간을 앱에 등록하고 관광객은
이 앱을 통해 주차 가능한 공간을 찾는 서비스 등이다.
#매년 하천이 범람하던 대전 유성구 갑천에서는 주민이 스마트폰으로 하천 범람 상황을 실시간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무선 IP 카메라, 반응형 모바일웹 등을 설치해 사고
예방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일명 ‘건너유 프로젝트’다.
#서울시 동작구의 성대골은 서울시 에너지자립마을에 선정되면서 태양광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마을주민들이 미니태양광 패널을 직접 개발·보급하는 마을연구원으로 활동한다.
위 3가지 사업의 공통점은 우리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회문제를 시민들이 참여해 풀어낸 생활 실험
들이다. 바로 사회혁신을 통한 문제해결 방법 중 하나인 ‘리빙랩’이다.
일상에서 사회문제 해결해가는 ‘리빙랩’
리빙랩은 말 그대로 ‘일상생활의 실험실’이다.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공공, 기업, 시민이 협력해 일상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참여형(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미국 MIT대의 미첼(W.Mitchell) 교수가 처음
제시했다. 리빙랩은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갈등이나 안전, 환경과 같이 정작 해결이 시급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고민에서 시작됐다. 동네 골목의 쓰레기난과 주차난
에서부터, 도를 넘은 학교 안의 폭력과 따돌림, 갈수록 심해지는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피해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가 풀어가야 할 모든 문제가 이에 해당한다.
리빙랩은
6
리빙랩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력 증대와 동시에 새로운 사회·기술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점이다. 생활 속 특정 공간에서 구현되며 사용자가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는게 원칙이다. 그 외에도
▲능동적 사용자 참여 ▲실제 생활에서의 세팅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
▲공동 창조 등의 성격을 띤다.
또한 리빙랩은 혁신적 정책들의 경향을 반영한 정책 실현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혁신
이나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세계 약 440개 이상 리빙랩 운영, 국내도 다양한 시도 일어나
리빙랩은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사회혁신을 위한 대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해외의 경우 2006년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LL) 출범 이후, 스마트시티·에너지·
교통·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로 전 세계 약 440개 이상의 리빙랩이 운영 중이다. 유럽에서 시행된 후
미국, 아시아 지역에서도 확산되며 다양한 사회 주체의 참여 활성화를 통한 개방형 혁신생태계가 조성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는 물론 지자체, 민간에서 다양하게 리빙랩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국정운영과제에 ‘주민주도의 사회혁신 확산’을 선정하면서 이를 추진할 「사회혁신 추진단」을
지난해 발족했다. 추진단은 ‘시민 주도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정부는 뒷받침하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
구현’을 비전으로 혁신기반 조성과 국민 참여 사회혁신 사업,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등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그 출발로 올해 행정안전부는 국민이 아이디어 제공에서부터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국민
참여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본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도 그 중 하나로 주거,
미세먼지, 고령자 건강 등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문제를 지역공동체-전문기관들과 협력해
시민 참여형으로 해결하는 프로젝트로 정식 사업명은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향상 지원사업’이다.
7리빙랩은
1. 프로젝트 개요
최근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 6호기 재개 여부 공론화 실험 등 직접 참여를 원하는 성숙한 시민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시민조직, 시민사회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국가 주도
전달 체계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시민사회의 주도적 참여로 사회적 약자의 문제 해결에 지역
공동체·네트워크를 활용한 새로운 프로세스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올해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은
국민이 아이디어 제공에서부터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2018년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
젝트’의 일환으로,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해 사회적 약자인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사업이다.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에서는 ▲미세먼지 ▲사회주택 ▲헬스케어 세 분야의 사회문제
를 주제로 추진했다.
① 미세먼지 분야
미세먼지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대구와 서울 2개 지역에서 각각 지역주민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주체로 참여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해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무엇보다 이번 실험에는 미세먼지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들이 직접 실험의
주체로 참여했다는 특징이 있다. 서울과 대구에서 초등학생 60명을 중심으로 ‘녹색어린이단’을
발족했으며, 20~30대, 50~60대로 구분해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을 운영했다. 이들은
미세먼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측정해 미세먼지 지도를 작성했고, 공기청정기 제작 워크샵도
개최했다. 카이스트 연구팀과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서울/대구 녹색소비자연대)가 참여해
사업을 진행했다.
8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② 사회주택 분야
이 프로젝트는 ‘주거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문제’라는 데서 출발했다. 지역
공동체 내의 주거 약자가 주도적으로 사회주택 사업자가 되는, 즉 수요자가 공급자이고, 수요자가
곧 이용자인 새로운 주거 공급모델 개발 실험을 진행했다. 해당 지방자치단체, 사회주택의 공급
관련 공기업, 기타 주택사업 투·융자 관련 금융기관 등이 사회적협의 체계를 구성했으며, 새로운
사회를여는연구원과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함께주택협동조합이 사업을 담당했다.
③ 헬스케어 분야
이 프로젝트는 고령자의 건강 예방을 마을 단위 공동체 중심으로 풀어보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서울 서대문구 가재울에 ‘마을건강방’을 설치했다. ‘가재울 마을건강방’에서는 스마트 건강
관리 전문기업인 ‘(주)헬스브릿지’의 솔루션을 활용해 지역의 건강취약계층에 맞춤형 기구운동,
식단·생활관리 등을 전문가들이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9<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2. 프로젝트 진행 과정
3. 프로젝트 차별성
사업 추진은 먼저 주제별로 선행 연구 조사를 하고 각 분야별로 수행단체들이 기획을 진행한다. 기획
과정에서는 전문가,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각 주제별로 우리
일상에서의 변화를 위한 실험에 돌입한다. 생활, 의식, 변화 등의 관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시민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콘텐츠 등으로 제작해 사회 해결 모델로 제시하고 확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중에서도 ‘리빙랩’은 본 사업의 핵심 과정이다. 시민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아이디어의 효과성을
작은 단위에서 실험하고, 이후 가설이 검증된 솔루션을 정부 및 사회와 함께 전국 범위로 확장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솔루션 검증 단계이기 때문이다.
① 리빙랩 실험을 위해 다양한 수행 주체 참여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관들의 성격은 매우 다양하다. 미세먼지 분야 실험에 참여하는 ‘녹색
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는 올해 창립 22년의 역사와 전국 16개 지부를 갖춘 전국적 규모의 전통적인
시민사회단체다. 헬스케어 분야에 참여한 ‘마을공동체 하.나.의’는 지역적 범위는 좁지만 마을 생활
터에서 강한 결속력으로 삶을 공유하는 마을공동체다. 사회주택, 헬스케어 분야의 ‘함께주택협동
조합’,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헬스브릿지’는 시장에서의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목적
으로 하는 사회적경제조직들이다.
선행연구조사
현황, 여건분석,
사례조사, 진단
실행방안 기획
해법, 실행계획,
관계자회의,
주민행사
생활실험 운영
생활, 의식변화
관찰
평가 및 성과공유
지표화, 체계구축
전국 확산 가능한
전략마련
10
선행연구
조사
공동체
조직 및 기획
리빙랩
운영
시사점 도출
사회해결모델
제시
2 3 4 51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4. 프로젝트 참여기관
[주최기관]
[주관기관]
② 지역적 비교를 통한 시사점 도출
미세먼지 분야는 대구와 서울을, 사회주택 분야는 서울과 전주를, 헬스케어 분야는 서울과 양구군을
비교했다. 이처럼 주제에 따라 도시형, 농촌형 또는 대도심과 중소도시 등 2개 지역에서 실험되어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는 전국적으로 모델을 확산함에 있어 더 나은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③ 다자간 협력으로 새로운 해법 제시
특정한 사회문제의 솔루션 도출을 목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민, 관, 시민사회, 사회적경제기관들을
조직하고 협업·협력의 방식으로 각자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시너지를 발휘하는 그 간의 경험을 바탕
으로 사회문제 해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직접참여를 원하는 성숙한 시민사회의 등장과 함께 복잡하고 다양해진 사회문제로 인해 과거와
같이 국가나 지자체만의 주도로는 문제해결이 어려워지고 기술발전으로 폭넓은 정보공유, 온오프
라인의 참여 범위가 넓어지는 등 문제해결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새로운 방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자 새 정부 들어 정부혁신과
더불어 사회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 사회
혁신 선도사업 추진, 사회적 가치 내재화 및 공유 추진 등의 과제들을 구현해나가고 있다.
청년자립지원센터 브리지사회적협동조합은 취약계층의 자립과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립&성장을 지원
하며, 여러 사회 문제의 지속가능한 솔루션과 변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킴으로써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1<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실행기관]
분야 기관명 기관 소개
미세먼지
카이스트
카이스트는 세계의 중심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최고의 과학기술대학을
지향하며, 국가 발전에 필요한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이공계
연구 중심 대학의 본보기를 제시하기 위해 1971년 설립되었다.
2013년부터는 SK와 함께 ‘카이스트 사회적기업가 MBA’ 과정을 개설
하고 사회혁신가 양성에 나서고 있다 .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올해로 창립 22주년을 맞고 전국 16개 지부를 보유한 대표적인 시민
단체 중 하나로, 지구촌 경제시대를 맞아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지구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함께 환경적인 새로운 생활
양식을 확립해 가는 운동단체다.
사회주택
새로운사회를
여는연구원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2006년 설립된 민간 주도로 정치·사회
분야를 연구하는 민간연구소로, 진보의 입장에서 신자유주의적 발전
전략을 비판하고 한국사회의 새로운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함께주택
협동조합
함께주택협동조합은 한국사회의 기형적인 주거문제를 ‘공동으로 해결
해보자’는 고민에서 2013년 설립됐다. 개인이 아닌 사회가 소유하는
집 형태를 고민하며 주택을 매입해 조합원에게 임대하고 있다. 마포구
성산동과 망원동에 2개 공동주택을 운영 중이다.
민달팽이
주택협동조합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2014년 설립되어 청년들의 주거 빈곤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새로운 주거모델을 제시한 대표 조직이다. 민달팽
이가 보급하는 ‘달팽이집(껍데기가 없는 달팽이라는 말로, 집이 없는
세입자를 뜻한다)’은 공유주택, 쉐어하우스 등과 같이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청년주거사업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달팽이집’은 현재 서울,
부천 등 총 10호까지 공급됐으며, 154명의 청년들이 달팽이집을 통해
주거에 대한 고민을 덜고 있다.
헬스케어
(주)헬스브릿지
강원지역 등에서 만성질환 원격관리 서비스를 10년 이상 수행한 의료
진과 간호사 그룹이 기존의 건강증진 보건 정책 전달 체계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시니어를 비롯한 국민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만든 소셜벤처다.
남가좌동
마을공동체
하.나.의.
하.나.의. 공동체는 남가좌 2동 지역 주민 100여명으로 구성된 지역형
마을 공동체다. 공동육아 및 방과후 교육, 공동체 하우스 건립 등 내부
적 복지 수요를 해결해 왔던 경험이 있다. 지역성에 기반한 네트워크와
실행력을 바탕으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 운영의 주체로서 참여
하며 지역 공동체 생태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2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지난 5월 28일부터 12월 30일까지 7개월간의 미세먼지, 사회주택, 헬스케어 3개 주제에
대한 리빙랩 진행 과정과 그 성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리빙랩 진행 과정
리빙랩 전체 성과
국가 주도 정책 추진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정부-시민조직-사회적 약자가 함께 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리빙랩을 통해 실험하고 가능성 모색
국민 참여와 숙의를 통해 사회 갈등의 해법을 도출하는 경험 제시
사회문제와 사회 갈등 해소에 ‘국민·시민·주민의 참여’를 핵심적인 요소로 주목
시민 참여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혁신이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의 의미를 살린다는 점
재확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노력에 정부는 물론 시민사회와 마을공동체 단위가 직접 나서는 계기
마련
13<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대구녹색어린이단 활동(5회+캠페인)
강사 활동 내용 연구모임(6회)
리빙랩 설계/모집기획/사전 모니터링 등
대구 공기
청정기 워크숍
녹색어린이단 모집 시민모니터링단(5주)
공청회서울 공기
청정기
워크숍서울녹색어린이단 활동(5회)
리빙랩설계/마을건강방 조성
인센티브 설계/공동체 가게 섭외
13주 건강관리 프로그램 진행
인센티브 지급 및 사용/공동체 가게 운영
개소식
회원모집
은빛날개(주민관계형성)
마을건강방 걷기대회
집수리 강좌 집수리 강좌예비사회적기업 전환 논의/신청
토지지원 리츠간담회/LH사회적주택(제기동):비교군/사회투자지원재단 논의(사업비용 지원)/청년주택 기획회의 등
활성화 워크숍 전주 간담회 전주 축제 참여
달팽이집 집사회의/이음이 운영회의/예비조합원 교육/이사회(비영리주택사업논의) 등
세이브 달팽이집 워크숍 조합원 하반기 정기교육
입주공고수요자 의견 반영 실무협의의견수렴의 날
청년누리주택(가좌동) 추진:리빙랩모델과 비교, 대조군 활용
입주자 검토/
선발/워크숍
시민모니터링단(2주)
리빙랩 분야별 성과
① 미세먼지
미세먼지의 나쁜 점을 인지하는데 그치지 않고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시민들이 일상에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공유했다는 점이 큰 성과로 꼽힌다. 또한 이번 실험을 통해 ▲초등학교 미세먼지
교육 프로그램 고도화 필요 ▲시민 참여를 통한 체계적인 미세먼지 데이터 수집 필요성(일자리 창출)
▲통신사 등 대기업과 협력 구조를 토대로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필요성
등의 확장 계획을 도출했다.
② 사회주택
교육 등을 통해 사회주택 관계자의 의식을 전환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거주자가 거주자로 그치는 게
아닌 공급자이자 운영 주체로 개별 조합원의 책임감을 높였다. 서울 마포구 성산동 ‘함께주택 3호’
신규 공급에서는 관심 있는 주민 20명이 참여해 모집 절차 등 주택 공급 전 프로세스에 의견을
개진했다. 이후 건축기획 및 설계, 자금 조달 방안, 주택 관리 방안 등도 직접 결정하는 절차를
갖췄다. 전주 완산동의 사회주택 ‘달팽이집’ 활성화와 기존 ‘사회주택 운영관리’에서도 주민이 참여
하는 실험을 각각 진행했다.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의 경우 소유 개념도 일반 협동조합 형태에서
사회적기업을 거쳐, 장기적으로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자는 동의를 이끌어내는 계기를 마련
했다.
14
시민 모니터링단 일자별 미세먼지 농도 비교(PM2.5)
100.00
80.00
40.00
20.00
0.00
120.00
(ug/m3)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5
11/16
11/17
11/18
11/14
시민모니터링단
에어코리아
2018년 기준
미세먼지
소양
측정도구
대구
시지초
사전응답
대구
시지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3.979 4.656 0.677
정서 3.428 3.979 0.551
기능 3.057 3.922 0.865
행동 2.737 3.815 1.078
*녹색어린이단 활동 이후 미세먼지 소양 증가※시민모니터링단과 공공데이터 측정값 유사
대구시지초녹색어린이단활동전후소양평균과차이
함께주택3호 신규 공급 → 지역공동체 수요자 기반 사회주택 주체 형성
전주달팽이집 활성화 → 사회주택 모델의 지역 확산
기존 사회주택 운영관리 → 기존 참여자 역량강화 & 지원체계 개선
③ 헬스케어
마을건강방은 개인별로 이뤄지던 건강관리를 지역사회와 공동체가 함께 해결해나가는 모델
이다. ‘건강’을 주제로 주민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찾아온 주민들이 자연
스럽게 공동체를 이루면서 서로의 건강관리나 실천을 돕는다. 서비스 개시 3개월 만에 회원
101명이 가입했으며, 90여 명의 주민이 회원가입을 위해 대기 중일 정도로 높은 호응을
끌어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예방중심의 건강실천공간으로서 마을건강방의 가능성을 확인
했으며, 향후 모델 확산 시에는 ▲주민 거주지에 인접하면서 상시 운영으로 언제나 찾을 수
있는 공간 ▲지역 및 사용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민참여형 공간이 적합
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15<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 18
사회주택 분야 | 30
헬스케어 분야 | 40
미세먼지 문제의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를 중심으로 시민 (학부모, 일반 성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미세먼지의 심각성 및 사전 예방법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미세먼
지 데이터 축적 가능여부와 품질 파악을 통해 일상에서 시민이 문제 해결의 주체
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갑니다.
미세먼지 분야
1. 리빙랩 소개
미세먼지 분야
18
1) 배경
2) 목적
3) 개요
4) 추진 과정
2017년 미세먼지의 심각성에 대해 14만여 건이 검색될 정도로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미세먼지는 중국발로만 여기며 국내 미세먼지 발생에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먼지 문제의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를 중심으로 시민(학부모, 일반 성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미세먼지의 심각성 및 사전 예방법을 인식하고, 시민이 모은 데이터의 실질적인 미세먼지 데이터 축적
가능여부와 품질 파악을 통해 직접 문제 해결 및 정책 제언 활용 등 일상에서 시민이 문제 해결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가고자 한다.
●
프로젝트명 : 시민 참여(어린이, 학부모, 일반 시민)를 통한 미세먼지 해결
●
프로젝트 기간 : 2018년 06 ~ 12월
●
프로젝트 범위 :
- 녹색어린이단 활동 : 대구 2개 초등학교(시지초등학교, 효명초등학교) 45명, 서울지역 초등학생
(10명)
-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약 50명) 운영, 지역 주민 간담회, 공기청정기 워크샵 등
●
실행 주체 :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서울/대구 녹색소비자연대), 카이스트
●
참여 단위 : 학교 내 환경 동아리 또는 녹색 어린이단(가칭)을 구성, 미세먼지 조사 전문위원회 구성,
지역 내 대학 또는 연구소의 전문가, 시민단체 활동가, 지자체내의 행정 담당자, 학부모
(아이들의 미세먼지에 관심이 많은 주부 중심), 주민조직(그린커뮤니티, 자전거 출퇴근
라이더 등)
정책제안
BEFORE AFTER
시민
(아동,학부모)
미세먼지측정기
공기청정기 제작
나눔캠페인
시민참여
행동디자인워크숍
DATA
분석
주체 도구 측정 과제 및
해결방안
아이디어
구현
결과
정리
전 과정의 참여를 통한 시민인식 변화 측정
19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5) 미세먼지 해결 리빙랩 가이드
① 대구지역 리빙랩 운영
녹색어린이단 기획 및 준비
녹색어린이단
모집 준비
●
모집 대상 결정 : 지역→학교→모집 대상→학년 순으로 선정 진행
- 효명초등학교 : 왕복 6차선의 차량 통행이 많은 대로에 인접한 학교
- 시지초등학교 : 왕복 10차선이 있는 달구벌대로에서 한 블록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교 앞 불법 주차가 많음. 학교가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 단지 사이에 있음.
●
협조 요청(프로젝트 시작 50일 전 시행) : 학교 협조를 위해 교육청 후원 필요. 교육
청 담당 장학사와 통화하여 절차대로 서류 진행하여 ‘교육청에서 학교에 협조 공문
발송’
●
학교 방문, 교장·교감 선생님 면담 (프로젝트 시작 40일 전) : 녹색어린이단 활동
취지 설명서, 녹색 어린이단 참가 신청서 양식 준비
●
녹색 어린이단 접수 완료(프로젝트 시작 1주일 전): 학교에서 배포된 안내장을
통해 효명초등학교 29명 시작, 시지초등학교 23명 시작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준비
●
미세먼지 측정기 선정 : 초등학생 5, 6학년이 작동하기에 쉽고 편리하고 휴대성이
용이한 제품들을 두 달 전 구매해 여러명 사전 테스트 후 결정
●
미세먼지 측정 환경 변수 사전 체크 : 초등학생들이 미세먼지 측정 시의 주변 환경,
날씨 등의 변수를 사전 테스트를 통해 예측. 이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하루 측정 횟
수, 장소, 측정 방법, 측정 수첩 항목 결정
●
측정기 휴대 방법 : 측정기를 사전 테스트해 본 결과 미세먼지 수첩, 필기도구, 측정
기를 같이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이 필요
미세먼지 수업
(6차) 진행할
주 강사, 보조
강사 준비
●
강사 선정 기준 : 주 강사는 환경 관련 수업 경력이 많고 미세먼지에 대해 관심이 있
는 강사 선정
●
최종 선정 : 학생 30명 기준으로 주 강사 1인, 보조 강사 3인, 기록할 사무국 직원
1인 수업에 배치
●
강사 사전교육 :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 주 강사, 보조 강사 사전 교육
실시(주 강사 모임 3회, 보조 강사 모임 4회, 통합 모임 1회)
수업 환경 준비
●
수업 장소 : 녹색어린이단 구성이 같은 학교 아이들인 것, 학생들의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하여 학교와 상의하여 학교 내 교실 이용
수업 별 내용에 따라 구매해야 할 교구, 문구 사항을 사전 체크하여 준비
20
녹색어린이단 실행
녹색 어린이단
수업
우리 동네
미세먼지 지도
그리기
일반 측정기의 서버 데이터와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수첩의 수치로 대략적인 우리
동네 미세먼지 지도를 작성 (최저 수치와 최고 수치를 제외한 9월, 10월 각각 평균
값 반영)
미세먼지
캠페인
●
목적 :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교내 알리는 캠페인
●
방식 : 등교시간 학교 앞에서 녹색어린이단이 직접 만든 피켓을 들고 미세먼지
마스크를 나눠주는 캠페인
●
일시/장소 : 2018.11.1(목) 08:00~08:30 대구효명초등학교 후문 앞
2018.11.2(금) 08:00~08:30 대구시지초등학교 정문 앞
날짜/회차 주제
9/8(1회)
녹색 어린이단 활동 소개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미세먼지 측정기
9/15(2회)
미세먼지 측정 내용 공유
미세먼지와 자동차
미세먼지 측정
9/29(3회)
미세먼지 측정 내용 공유
미세먼지와 에너지
태양광미니자동차 만들기
10/13(4회)
미세먼지 측정 내용 공유
생활 속의 미세먼지
(과제)주변 사람들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3가지 질문하기
미세먼지 먹는 이끼 액자
10/20(5회) 미세먼지 캠페인 만들기
11/1, 11/2 효명초등학교, 시지초등학교 캠페인
미세먼지 분야
21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기타 지역주체들 참여
학부모,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
●
목적 : 미세먼지에대한경각심,지역내실시되고있는녹색어린이단프로젝트이해
●
교육 형태 : 공기 청정기 제작 워크샵을 통한 강연과 실습 병행
●
강사 : 조윤석 소장(십년 후 연구소 소장), 송성희 대표(십년 후 연구소 대표)
●
내용 : 기후변화와 미세먼지와의 관계,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원인, 시민이 지역
내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공기 청정기 문제점과 대안
●
일시/장소 : 10/13(토) 10:30~12:30 / 대구시지초등학교/학부모 40명,
10/20(토) 10:00~12:00/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실/지역주민 40명
●
홍보 : 웹 포스터, 학교 내 안내장을 통한 신청, 신문 보도 자료 이용
●
교육 효과 : 지역 내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녹색어린이단 홍보/미세먼지의 심각성
인지로 차후 지역 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시민 활동 기반 마련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대구간담회
●
목적 : 녹색어린이단 활동 공유 및 지역 미세먼지 해결 방향 논의
●
일시/장소 : 12/4(화)/ 르호봇비즈니스센터
●
대상 : 미세먼지에 관심있는 전문가, 행정, 시민
●
내용 :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대구시 저감 정책, 미세먼지 해결 위한 리빙랩 사업
성과와 과제 등
22
② 서울지역 리빙랩 운영
녹색어린이단
활동
●
대구지역과 동일한 프로그램 운영 : 미세먼지에 대한 수업 내용을 이해하고, 미세먼
지 측정을 할 수 있는 2, 4, 5, 6학년 학생 10여명 모집, 6주간 미세먼지 측정 활동
(9/15~10/27)/ 5회차 미세먼지 교육 진행(주강사 1인, 보조강사 2인)
시민
모니터링단
활동
●
목적 : 녹색 어린이단 측정 데이터를 보완하고, 비슷한 지역 내에서 측정된
데이터 비교
●
내용 :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의 경우, 연령대별로 나누어 각 모니터링단별
특징 확인
일반시민 , 가족,
개인을 위한
프로그램
‘공기 청정기 만들기 워크샵’을 진행해 일반 시민 대상 미세먼지 문제 공유
(35명 참석)
구분 50-60대 20-30대
모집
서울 지역 내 거주 성인을 대상
으로 모집하였으며, 녹색소비
자연대 회원 중 50-60대 10여
명 선발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20-
30대)는 서울 지역 내 거주 성인
을 대상으로 SNS을 활용하여 홍
보, 모집하였으며 총 157명의 지
원자 중 40명을 선발
활동
●
9.17-10.22일 5주간 자발적
으로 진행
●
미세먼지에 대한 심각성과 대
처방안, 측정기 사용법과 기
록 방법 등 설명
●
매주 1회 모임을 가져 측정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마지막
주차에 측정 소감과 느낀 점
등 공유
●
11.3-11.18일 2주 가량 자발
적으로 진행
●
시민이 모으는 미세먼지 데이터
의 필요성, 활용 방안 등 설명
●
측정 참여 인센티브의 유무를
1주일씩 나누어 측정을 진행
●
2주차 워크숍에 축적한 데이터
를 활용, 미세먼지 지도를 제작
하고 해결방안 논의
미세먼지 분야
23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1단계
모집 계획 수립
1. 예산의 규모를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 운영 기간과 참여인원을 결정한다.
2. 비용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미세먼지 측정기 구입비, 모니터링단
인건비(활동비), 운영단 인건비, 워크샵 진행비 등
3. 자원봉사자가 있다면 몇 명이 가능하며, 가능 시간은 몇 시간인지 확인한다.
4. 참여 대상과 모니터링 지역을 설정한다.
5단계
워크숍 설계
1. 모니터링단 운영기간 최소 2번의 워크샵을 진행하게 된다.
2. 1차 워크숍에서는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고,
측정기를 배부하고 측정방법과 기록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3. 2차 워크숍에서는 측정한 결과에 대해 표현, 공유, 토론하는 시간으로 구성
된다.
4. 모니터링단 운영 기간이 2주 이상이 되면 이러한 워크숍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2단계
모집 홍보물
외주제작
1. 1단계의 모집 계획 내용을 반영하여 홍보물을 제작한다.
2. 모니터링단 참가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기재한다.
3. 모니터링단에 참여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혜택을 분명하게 표현한다.
6단계
설문 설계
1. 모니터링단 활동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측정 요소로 하는 설문을
설계한다.
2. 활동 전후로 설문을 해 활동의 효과성을 평가하게 되며, 설문의 내용은
시민 모니터링단 활동에 참가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누어 실시
할 수 있다.
3단계
모집 방법 결정
1. 어떤 방법으로 신청을 받을 것인지 결정한다.
2. 모니터링단 참여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내용을 결정한다.
3. 선정 기준을 결정한다.
4. 홍보 방법을 결정한다.
4단계
미세먼지 측정기
선정 및 주의사항
1. 미세먼지 측정기를 선정한다
2. 측정방법을 학습한다.
7단계
모니터링단 운영
1. 6단계까지 준비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모니터링단을 운영한다.
2. 운영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한다.
6)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 운영가이드
2. 숫자로 본 리빙랩 후 참여자 변화
24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환경 소양 비교 분석
- 대구 효명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활동 후 지식과 정서, 기능 영역 향상된 모습을 보임
- 대구 시지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기능 영역에서만 소양 향상을 보임
- 대구 효명초등학교에서만 녹색어린이단 활동 후 환경소양의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고 있음
① 대구 효명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② 대구 시지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미세먼지 분야
환경소양 측정도구 대구 효명초 사전응답 대구 효명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4.005 4.220 0.215
정서 3.964 4.098 0.135
기능 3.708 3.836 0.128
행동 3.759 3.736 변화 없음
환경소양 측정도구 대구 시지초 사전응답 대구 시지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4.202 4.279 변화 없음
정서 4.09 4.177 변화 없음
기능 3.622 3.882 0.26
행동 3.876 3.855 변화 없음
25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미세먼지 소양 비교 분석
- 대구 효명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활동 후 정서, 기능, 행동 영역 향상된 모습을 보임
- 대구 시지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모든 영역에서 소양 향상을 보임
- 두 학교 모두 환경소양에서와 달리 미세먼지 소양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고 있음
① 대구 효명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② 대구 시지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미세먼지 소양 측정도구 대구 효명초 사전응답 대구 효명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4.544 4.5 변화 없음
정서 3.306 3.725 0.419
기능 3.596 3.788 0.192
행동 3.116 3.686 0.57
미세먼지 소양 측정도구 대구 시지초 사전응답 대구 시지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3.979 4.656 0.677
정서 3.428 3.979 0.551
기능 3.057 3.922 0.865
행동 2.737 3.815 1.078
3. [관계자가 전하는 가이드] 리빙랩 이렇게 준비하세요!
26
김은영 _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
신준영 _ (주)케어유 대표/카이스트 연구원
Q. 녹색어린이단 수업 시 사용하는 교안 작성에 대한 팁은.
리빙랩은 문제 해결을 위한 주체가 문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의 인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진행하는 데 중요한 동기 부여가 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주체들이 알게 되는 것이 리빙랩의 전체 내용에서 중요했기에 녹색어린이단에게 이를 전달하는 방법이
매주 토요일 5회차에 걸쳐 2시간 진행한 수업이었다. 교안 내용은 기존 학교에서 진행하던 미세먼지와
관련된 교안들을 참고하고 이 프로젝트가 가진 목적, 어린이가 미세먼지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인지
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했다. 또한 대구에서 환경 교육을 오랫동안 진행했던 주 강사
들과 대구시의 미세먼지 문제, 현 미세먼지 대응책, 다른 나라 미세먼지 대응 사례 등에 대한 사전 스터디와
토론을 통해 교안 전체와 수업 흐름을 작성했다.
Q. 초등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 주체들이 함께하는 방안은.
지역 내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린이, 학부모, 전문가, 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들이
동시에 진행되고 각 자리에서 행동으로 실천한다면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녹색
어린이단 활동은 미세먼지 약자인 학생들이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해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
지만, 녹색 어린이단 활동을 지켜보는 학부모, 학교, 지역 주민에게 미세먼지 문제를 부각시키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중요한 목표였다. 이를 위해 녹색 어린이단 활동 중에 학부모, 지역 주민 대상의 강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대구시 대기관리 담당자, 시민단체들, 미세먼지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간담회를 통해 내년 대구
미세먼지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미세먼지 해결은 시민의 행동도 중요하지만 지역 상황에 맞는
미세먼지 정책,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예산, 시민단체들의 연대, 대구의 미세먼지 발생요인이나 대기
정보에 대한 전문 정보 등 이 모든 것이 필요하고 소통이 되어야 한다.
Q. 준비 과정에서 고려할 점이 있다면.
초등학생이 주체라는 점을 고려해 참여할 학생들 선정 기준, 미세먼지 측정기 선정 등 전반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예로 녹색어린이단에 참여할 초등학생들을 정할 때는 미세먼지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는 나이 또는 미세먼지에 대한 환경 수업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나이를 고려해야 한다. 미세먼지 측정
기를 정할 때도 학생들이 작동하기에 쉽고 편리하고 휴대성이 좋은 걸 선택하는 게 좋다. 몇 가지 제품을
프로젝트 전에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여러 명이 사전 테스트를 거쳐 선정한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손이
작아서 한꺼번에 많은 물건을 손에 쥘 수 없다. 주로 도로에서 측정을 하게 됨으로 인해 안전사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측정 시 짧은 동선을 위해 휴대 가방을 준비하는 게 좋다.
미세먼지 분야
4. 언론에서 본 리빙랩
27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Q. 시민 참여 시 미세먼지 데이터 측정 방법은.
시민 모니터링단이 본 리빙랩을 통해 제공받은 미세먼지 측정기는 에어콕E3이다. 기기의 전원을 켜고
핸드폰과 페어링을 한 상태에서 기기를 약 10초간 안정시킨 후 나온 PM2.5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작성
토록 했다. 측정기의 미세먼지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의 상태, 현재 측정자의 위치 정보, 측정기의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가 연동된 핸드폰의 ‘에어콕 패밀리’앱의 화면에 뜨며, 이때 관련 정보는 에어콕 회사의
DB에 구축된다. 한편, 시민 모니터링단은 연구진이 안내한 구글 설문양식을 통해 직접 미세먼지 수치를
입력하고 측정 당시의 환경을 작성토록 요청받았다. 에어콕과 구글 설문DB의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미세먼지 데이터 수집에 있어 부족한 점(예시. 수치의 정확성, 측정 당시의 상황에 대한
정보)을 보완토록 했다.
심각한 대구지역 미세먼지…초등학생 통학로가 공식측정망보다 수치 높아
대구지역 사회 전반의 다각적 해결 노력 절실…지역 맞춤형 대책도 필요
아이들이 다니는 통학로의 미세먼지·초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측정됨에 따라 생
활 속 대기질 개선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
적이다. 도시대기측정망에서 나타난 수치
보다 통학로의 미세먼지 농도가 대체로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공식 측정치보다 높은 통학로 미세먼지
녹색어린이단이 센서식 간이측정기로 수
집한 학교 주변 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공식 측정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물론 간
이측정기의 특성상 오차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지상과 가까워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남구의 한 초등학교 주변의 경우 9월의 미
세먼지(PM-10) 농도는 29~51㎍/㎥였지
만, 대구시보건환경연구원의 도시대기측
정망 상에서는 23㎍/㎥으로 측정됐다.
10월도 마찬가지였다. 녹색어린이단 측정
치는 15~48㎍/㎥인데 비해 도시대기측정
망은 33㎍/㎥를 기록했다. 초미세먼지도
녹색어린이단은 9월 16.2~35㎍/㎥, 10월
은 18~74㎍/㎥를 기록한 반면, 도시대기
측정망은 각각 12㎍/㎥과 20㎍/㎥으로 나
타났다.
수성구 한 초등학교 주변도 9월 미세먼
지와 초미세먼지가 각각 41~52㎍/㎥과
26.5~57.5㎍/㎥에 머문 반면, 공식측정망
은 21㎍/㎥과 9㎍/㎥을 기록했다.
28
지역별 맞춤형 대책 마련해야
대구녹색소비자연대가 지난 4일 중구 르호
봇비즈니스센터에서 마련한 '미세먼지 해결
을 위한 대구 간담회'에서는 학부모와 시민
단체, 학계에서 다양한 의견과 대책이 쏟아
졌다.
시는 이달 중 환경부 미세먼지 보완대책에
연계한 '미세먼지 관리 조례'를 제정할 방침
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2억원을 들여
노후 1t 경유 화물차의 LPG 차량 전환을 지
원하고, 지역 내 소규모 영세사업장에 미세
먼지 배출 방지시설을 보급하기로 했다.
달구벌대로에서 물을 뿌려 미세먼지 날림
을 줄여주는 '클린로드' 구간도 10km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날 참석자들은 정책적·개인적으로 다각
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
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등을 통해 공단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지역
미세먼지의 성분을 분석하는 등 맞춤형 대
책을 내놔야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은영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은 "정
부와 민간·시민단체 네트워크를 운영해 문
제의 원인과 근본 대책을 찾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밖에도 ▷영세 기업의 화석연료의 LNG
전환 ▷고층빌딩 외관을 담쟁이덩굴 등으로
덮는 경우 혜택 부여 ▷카풀·공유경제 차량
확대 ▷도심 숲 확대 ▷공공교통차량을 활용
한 위치별 미세먼지 실시간 측정 ▷미세먼
지 측정·경보기준 강화 등도 제시됐다.
권숙열 대구시 대기환경팀장은 "재미있고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가 많아 놀랐다. 다
양한 의견을 반영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준헌 매일신문 기자
미세먼지 분야
사회적 약자들 스스로가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나서
주거문제를 해결합니다.
사회주택 분야
1. 리빙랩 소개
사회주택 분야
30
1) 배경
2) 목적
3) 개요
취약계층의 주거문제는 주택이 개인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지역공동체 기반 비영리 주택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동체의 주요 구성원인 지방자치단
체, 입주민, 주택소유자 등의 적극적 역할을 고려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며, 지금까지 공급된 사회
주택들도 공급의 주체인 사업자가 별도로 존재하고 입주자는 단순히 세입자나 소비자의 입장에 머물 때가
있다. 이는 사무국 등 실무자의 부담과 전체 사업비용을 높여 사회주택 공급 및 지속적 운영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사회적 약자 스스로 주거문제를 해결한다.
●
프로젝트명 : 수요자 그룹형 사회주택 모델을 통한 사회적 약자 주거모델 해결
●
프로젝트 기간 : 2018년 06 ~ 12월
●
프로젝트 범위 : 함께주택 1·2·3호(마포구 성산동 및 망원동, 3호 설립 과정 진행),
전주달팽이집 (전주시 완산동), 서울시 및 경기도 부천시의 달팽이집(비교대조군으로 활용)
●
실행 주체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함께주택협동조합
●
주요 내용 :
- 지역공동체에 기반한 수요자그룹형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 사회주택사업(활동)을 통한 각 주체의 인식변화 관찰
- 사회주택 공급을 위한 사회적 협의체계 구축
31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4) 추진 과정
의식전환 및 역량강화
(조합원 교육 등)
집담회, 워크숍 등을 통한
주체성·적극성 강화
지자체 담당부서, 지방공기업, HUG 등 공공기관 및
관련 사회적경제주체 등 지역공동체 구성원과
지속적 협의
기존 입주자
비영리
사회주택공급조직
전환
신규수요자 및
지역공동체 구성원
수요자 기반
사회주택주체 형성
사회주택 관련
공동체형성, 주민자치, 거버넌스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지원 및 사회적 협의체계 검토
사회주택 관련 지원정책 개선
지역공동체 인내자본 등 연대체계 형성
사회주택 입주자 및 지역공동체 구성원
주체적·적극적 참여유도
1단계 지역공동체 내 사회주택에 관심이 높은 주체 탐색
2단계
토지·주택의 공동체적 이용 포럼 진행(※지역공동체 시민협력 플랫폼, 지자체 사회
적경제·마을지원 센터 등)
- 주요 내용 : 토지소유 패러다임 전환의 요건과 주택협동조합 사례의 성과 / 거품
걷어내기 - 사회적 부동산을 위한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토지 이용료 계산 방법 /
토지의 공동체적 이용 가능성 모색 – 공동체 토지 신탁, 토지은행, 토지임대부주
택 등 / 포럼 총정리 및 후속 논의·실행 주체 출범
3단계 정기적 협의체 구성
4단계 협의체 기반 수요자그룹형 사업주체 형성
5단계 사업추진(사회주택 공급)
6단계 사업 확산(사회주택 공급 호수 증대)
5) 수요자 그룹형 사회주택 리빙랩 가이드
① 지역공동체에 기반한 수요자그룹형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
실험지역 및 거점 : 마포구 성산동 일대 함께주택협동조합
●
성과 목표 : 지역공동체에 기반을 둔 사회적 약자가 주도적으로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
실험 방법 및 내용
<수요자그룹형 사회주택사업>을 통한 사회적 약자 주도의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실험
32
- 수요자그룹 주도의 사회주택 기획·운영 워크숍
사회주택 분야
오리엔테이션
(입주예정자 첫 만남,부지검토,
주변확인,가설계안 소개,
워크숍 진행안내, 향후 일정
정하기)
협동조합 가입신청
입주신청확인계약서
(계약금 납입)
견학
(함께주택, 소행주 등)
모집 공고
설계질의서 작성
(간이설계도, 각 공간용도,
희망사항 등)
워크숍 1차
(각 세대 설계질의 내용 종합
검토, 공통사항, 전용사항,
가능여부, 비용, 사무국의견 등)
워크숍 2차
(설계초안 및 대안별
예정비용 확인, 층호선택,
자금조달방식 결정)
건축사,
시공사
선정
워크숍 3차
(협동조합의 개념 및
운영원리 교육)
워크숍 4차
(주택운영관리 개념 및
실무사례 교육)
워크숍 5차
(설계 개선안 및 세대별 비용
확인, 주택운영관리기구 구상,
빈집살이)
워크숍10차
(참여시공 항목 교육 및
수행)
워크숍11차
(상량식)
구조,
외장공사
완료
입주
준공허가
워크숍 6차
(임원선출,
운영관리규약 구상)
워크숍 7차
(주택인테리어 기법,
자재 및 시공사례)
워크숍 8차
(전용공간 간이설계
공유)
워크숍 9차
(전용공간 인테리어
시공 계획-참여시공과
외주시공 항목 검토)
인허가,
자금조달,
착공
33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 사회주택 입주자의 역할분담 표준안
●
평가 지표 : 실험기간 동안 현재의 사회여건에서 어느 단계까지 진행할 수 있었는가?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가? 사업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의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활동능력, 지역에
대한 애착 등)
●
실험 지역 및 거점 : 전주달팽이집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
성과 목표 : 그동안 서울에서 실험된 사회주택모델의 전국적 확산 및 지역의 사회주택 공급주체 형성
활성화
●
실험 방법 및 내용 : 서울 지역과 전주 지역의 주거문제 및 주요 의제의 차이점 분석/ 전주달팽이집을
거점으로 전주 지역의 잠재 수요자·사업자 탐색/ 전주 지역 공동체에 사회주택운영 사례·경험 공유
→ 세미나, 토론회, 워크숍/ 지역공동체 내 사회주택 실행주체 형성 및 전주달팽이집 운영 지역공동
체에 이관
●
평가 지표 : 서울의 사회주택모델이 다른 지역에서도 유효한가? 다른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 어떤
개선이 필요한가? 실험기간 동안 지역공동체 기반의 사업주체를 형성할 수 있었는가? 어떤 난관이
있었는가?
<전주달팽이집>을 통한 사회주택 전국 확산 모델 실험
업무구분 내 용 입주자 공동업무 사무국
주택 건설
건축부지 마련 ○
자금조달계획 초안 마련(주택기금융자 등) ○
자금조달계획 결정2 ○
주택기금융자 신청 등 자금조달 실무 ○
시공사 선정 ○
건축설계 ○
건축허가 등 행정절차 이행 ○
구조·외장공사 ○
내장(인테리어)공사3 ○
사업비용 집행·정산 ○
주택 관리
주택운영관리기구4 최초 구성 ○
주택관리규칙 마련 ○
공용부분(계단, 복도, 커뮤니티 공간 등) 청소 ○
공용공과금(전기, 수도) 수납 및 납부 ○
경미한 수선, 소모품 교체 ○
주택관리 운영예산 확보 ○
중요한 하자, 보수 ○
건축비 융자금 상환 ○
재산세 등 주택 관련 세금 납부 ○
토지임대료 납부 ○
회계·경리 ○
빈 방 관리 및 신규 입주자 모집
주택입주 준비 ○
빈 방 관리 ○
신규 입주자 모집 공고 ○
소득수준 등 입주자격 검증(객관지표) ○
신규 입주자 면접 및 선정(주관지표) ○
신규 입주자 오리엔테이션 ○
생활수칙 등 공동체 규범 마련 ○
34
사회주택 분야
③ 사회주택 공급을 위한 사회적 협의체계 구축
●
성과 목표 : 사회주택과 관련된 사회적 협의체계 구축을 위한 과제 도출
●
실험 방법 및 내용 : 사회투자기금의 연장에 관한 공공기관과의 협의 과정 기록·분석 후 제도적 개선
방안 도출/ 사업주체 내부 및 사업주체-관계기관 간 회의내용 기록 및 DB화(※ 민감한 사항 비식별화
기법 적용)/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주체별·관계기관별 입장(태도) 및 주요 의제 추출
●
평가 지표 : 사업주체와 공공기관 사이에 소통 채널이 있는가? 그 수준은 어떠한가? (민원수리 ~ 중간
지원조직)-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당면과제를 풀 수 있는가?- 당면과제에 대한 공공기관의 인식수준
과 해결능력(관련규정, 권한 등)은 어느 정도인가? - 토픽맵 구축을 통해 주요 의제의 관계·상관성 규명
→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
성과 목표 : 사회주택 (예비)입주자의 사회주택에 대한 이해도 제고- 사회주택 (예비)입주자가 사업
주체로 성장
●
실험 방법 및 내용 : 조합원의 삶의 질과 연관이 높은 프로그램 진행(집수리 사업 등)/ 조합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주거상담사 양성과정, 갈등조정·퍼실리테이팅 등)/ 프로그램 전·후 FGI
를 통해 참여자 인식 변화 분석
●
평가 지표 : 프로그램 전·후 조합원의 주택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프로그램 전·후 조합원
의 주체성과 적극성이 높아졌는가? 프로그램 후 조합원이 주택사업 실무에 얼마나 참여하게 되었는가?
<조합원 역할 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수요자의 주체성·적극성 변화 관찰
② 사회주택사업(활동)을 통한 각 주체의 인식변화 관찰
●
성과 목표 : 비영리 주택사업(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택)에 대한 이해도 제고- 연대와 협동을 통한 주택
공급에 대한 공감대 형성
●
실험 방법 및 내용 : <사회적협동조합 전환 TFT> 가동 → 내부 공론화 및 사무처리를 위한 실무조직
형성/ 내부 공론화 : 학습모임, 교류회, 홍보자료 배포, 입주자 간담회 등 → 사회적협동조합에 관한 공감대
형성/ 사회적협동조합 전환에 대한 조합원 총회 안건 상정 및 의결
●
평가 지표 : 실험 전 주택협동조합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느 정도였는가?- 실험 후 인식의 차이가 좁혀
졌는가?- 총회에서 사회적협동조합 전환에 대해 의결되었는가?
<주택협동조합의 사회적협동조합 전환 과정> 참여자의 인식 변화 관찰
2. 숫자로 본 리빙랩 후 참여자 변화
35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리빙랩 모델과 일반 사회주택 모델의 차이
- 예비조합원 교육 및 조합원 소통 프로그램 등을 강화해 이용자들이 주거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함
리빙랩 모델(교육·소통프로그램)에 따른 관심 주제 변화
- 프로그램 이전에는 주거환경에 대해 좋지 않은 기억과 그에 대한 개선 욕구가 표출됨
- 프로그램 이후에는 주거복지, 사회문제해결, 협동조합의 역할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교육·소통 프로그램 전·후 주제어(상위 15개, TF-IDF 순)
싫 냄새
환기요리 기분
소음
임대료
안전함
집주인
소리 기숙사
밤
무섭
벌레룸메
룸메 직장
기본고생 공기
매력
룸메이트
시끄럽
의사결정
자취 취미
빛
부엌
행복자유
노인 연금
재분배가이드라인
관계망
규정
사유화
고령화
관점
보험료 투표
아동
공동주거
청소년사무국
협동조합 진행
사례리스크
모델
전주
계약서
출자금
방배정
운영 마을
논의
안내
사무국예정
리빙랩 모델에 따른 장기적 의식변화 기대효과
- 일반조합원의 경우 주로 주택환경과 공동체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음
- 리빙랩 모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조합원의 경우 협동조합의 운영에 관심이 높음
※ 일반조합원과 활동조합원의 주제어(상위 15개, TF-IDF 순)
●
예비조합원 교육
일반 모델 2시간 미만
(입주 안내 등)
일반 모델 연 8시간 미만
(분기별 1회)
리빙랩 모델 6~9시간
(예비조합원교육,
입주자워크숍)
리빙랩 모델 월 6시간 이상
(집사회의, 이음이 수다회,
정기교육)
●
조합원교육 및 소통프로그램
전
일반조합원
후
활동조합원
3. [관계자가 전하는 가이드] 리빙랩 이렇게 준비하세요!
강세진 _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정남진 _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사무국장
Q. 리빙랩 실험지역을 정하는 기준은.
생존을 위해서 도심지에 거주해야 하지만 도심지의 높은 주거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사회적 약자가 된다. 따라서 수요자그룹형 사업자의 형성과 사회주택 공급이 절실한
지역은 대도시의 도심지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사회주택의 공급과정을 실험하기 위해서는 사회주택
사업을 실행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주체가 사업을 펼치고 있거나 새롭게 사업을 시도하는 곳이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리빙랩을 진행할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Q. 사회주택의 사무 및 운영 체계 구축에서 고려할 점.
주택을 공급하고 운영했던 실험의 과정에서 조합원들로부터 소통과 절차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 되었다.
조합은 주택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 운영을 위해 체계와 시스템에 대한 필요를 확인하며 사무국
차원에서 개선해보고자 임기 초의 가장 우선순위 사업으로 조합 운영 매뉴얼 작업을 진행했다. 완벽한
형태는 아니지만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달팽이집, 조합원, 교육, 입퇴실 등의 내용을 담아내며 초안-
완성안-개정안을 통해 계속적으로 그 내용을 다듬어나가고 있다. 단지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집에서 먼저 간담회를 열어 매뉴얼에 대한 내용을 입주조합원들과 나누고자 했다. 앞으로 조합이
사업 혹은 운영에 조합원들과 함께 하고자 하는데 각각에 필요한 내용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장치로 작동 될 것이라 기대된다.
Q. 청년주거의 자치적인 운영과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은.
입주조합원들의 의견을 통해 입주 절차에 대한 부분들을 재정비 하고 반상회가 함께 사는 사람들 간 논의
할 수 있는 공식적인 테이블임을 계약서 작성 시에 더 강조하고자 했다. 또한 비 정기적으로 조합 사무국의
요청에 따라 이뤄지던 집사, 시설담당자, 회계 회의를 정례화 하여 상시적으로 달팽이집에 대해 상의
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자리를 구축하고자 했다.
자치운영(공동체,주택관리)을 매뉴얼화 한다는 것이 기존에서는 시도하기도 어려운 작업이지만 우리
조합원들의 가능성으로 주택관리에 크게 소비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식과 방향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Q. 사회주택이 사회적협동조합 법인 변경 과정에서 고려점.
비영리 법인의 형태로 공공 사회적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을 진행
중이다. 단지 실무적으로 전환을 하는 것보다 조합원들과 함께 우리가 하고 있는 활동에 대한 해석을
나누었다. 사회적협동조합팀은 지속적으로 학습 모임을 갖고 온오프라인으로 조합원을 만나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낯설음을 조합원들이 충분히 해소하기에는 미흡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사회적협동조합은 비영리라는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의 정체성과 닿아있기에
단발성 사업에 그치지 않고 조합원들과 계속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한다.
36
사회주택 분야
4. 언론에서 본 리빙랩
박종숙 _ 함께주택협동조합 이사장
Q. 이용자 중심의 사회주택 모델인 ‘함께주택 3호’ 구현 방법은.
입주 대상자들의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하여 원하는 면적, 원하는 주택의 형색 등에 대한 수렴 후 희망
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 면적과 세대수를 약간씩 조정해서 입주자 모집 공고문을 작성한다. 이게 계획
대로 된다면 이를 반영한 입주자 모집 공고를 진행한 후 입주자를 확정한다. 입주 선정 후 가지는 첫 번째
입주자 워크샵을 통해 설계 평면 완성, 사업비 최종 확정, 각 세대가 부담해야 하는 주거비용 결정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착공에 들어간다.
“내가 사는 집 우리 손으로”사회주택 거주자들의 도전
공급자 → 이용자 중심의 주택가격 책정 방식으로 전환을 위한 리빙랩
37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청년주거 '자가관리형 모델' 안착화, 지역형
모델 고민
지난달 17일, 달팽이집 2호에서는 생일파티가
열렸다. 청년 공유주택인 이곳에 모여사는 조
합원의 생일날이기 때문이다. 바쁜 일상 속에서
도 관계를 맺고 서로를 챙기는 일은 잊지 않으려
노력한다. 이날 생일파티에 함께 한 조합원은 "살
아보니 만족도가 높다"며 "내 소유는 아니지만 내
집처럼 오래 살 수 있어서 안정감도 있고, 함께
사는 사람들과 규칙, 운영 등을 같이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관계도 형성되는 것 같다”
고 말했다.
청년들을 위한 공유주택 '달팽이집'의 모델을 만
들고 확산해 온‘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최
근 입주자 스스로가 관리하고 운영하는 '자가관
리형 모델'을 제대로 구현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
다. 정남진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사무국장은 "
달팽이집이 단순히 집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같
은 문제와 고민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 관계를 맺
고 입주자들이 스스로 통제권을 가지는 공동체주
택을 지향하기에 이러한 것이 제대로 안착되도
록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지난 6월부
터 청년들이 원하는 사회주택 모델을 논의하고
시뮬레이션 해보는 워크샵 '세이브 더 달팽이집'
을 진행해오고 있다.
또한 지역의 청년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 전
주에 '지역형 달팽이집 모델'을 시작했다. 전주
달팽이집은 지난해 7월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이 전주시의‘전주형 사회주택 공급 사업’에 선
정되면서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지역에
‘달팽이집’을 공급한 사례다. 올해 2월부터 입
주를 시작해 전주시가 소유한 2층짜리 주택(전
주시 완산구 동완산동 435-2번지)에 총 8명의
청년이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를 내고, 20년까지
장기 임대가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주 달팽이집 관계자는 "입주 후 조합원의 손으
로 치워지고 가꿔진 집은 시간이 지날수록 온기
가 느껴지는 집으로 변하고 있다. 함께 밥을 먹
고, 달팽이집을 궁금해 하는 친구들을 초대하고,
다른 지역의 조합원들도 빈방에서 묵고 가면서,
집 안 밖으로 작은 연결고리들이 만들어지고 있
다"며 "사는 사람들의 안정적인 집으로 자리잡
은 후에는 지역의 거점이 되서 주변의 사람들과
재미있는 일들을 작당해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38
사회주택 분야
가격 책정부터 운영까지 조합원 참여↑‘함
께주택 3호’
“설계 단계 전부터 참여해 설명을 듣고 의견을 나
눌 수 있다는 게 낯설면서도 좋은 것 같아요.”
지난 8월 31일, 내년 설립을 준비 중인 '함께주
택 3호'에 관심 있는 이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함께주택 설립에 대한‘의견수렴의 날’이다. 이
날 모인 이들에게 박종숙 함께주택협동조합 이
사장은 "공동주택은 비용도 조합원들과 함께 결
정하는 시스템이라 집 값 상승폭이 낮고 원할 때
까지 거주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고 설명했다.
함께주택은 한국사회의 기형적인 주거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해보자’는 고민에서 설립된 함께
주택협동조합이 만드는 사회주택이다. 사회주택
이란 부담 가능한 비용으로 거주기간에 제한 없
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을 말한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2015년 전국 최초로 조례를
제정하고 사회주택을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20
여개 사회적경제 주체가 약 869세대의 사회주택
을 공급했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임대주택 24
만호 공급을 골자로 한‘서울시 공적임대주택 5
개년 공급계획’을 통해 향후 5년간 총 1만호의
사회주택 공급을 발표한 바 있다.
내년 설립을 준비 중인 함께주택 3호의 경우 토
지는 서울시가 소유하고 건물은 함께주택협동조
합이 소유·이용하는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형태
로 지어질 예정이다. 함께주택 3호는 설계에서
부터 비용 책정, 운영 등 전 과정에 조합원들이
참여하는 구조다.
주택의 설계에 조합원들이 직접 참여하고, 건축
비용 마련은 입주할 조합원이 부담하는 임대보
증금으로 충당한다. 입주자로 참여할 경우 함께
주택협동조합의 조합원이 되며, 총 12차례의 워
크숍에 참여하여 운영·설계 등 전 과정에 참여
해 의견을 개진하게 된다. 호수와 면적의 최종
결정은 선정된 입주자의 참여 워크숍을 통한 상
호협의와 서울시 공공건축가의 동의를 거친 후
결정된다.
거주 비용에 대한 최종 결정도 주거하는 이들이
결정하는 구조다. 이곳의 거주 조건은 인근 전세
시세 대비 80%를 기준으로 보증금 64%, 월임
대료 36%를 적용하지만 자세한 비용은 입주자
회의에서 모두 결정한다. 총 8세대를 모집하며,
전용면적 50㎡(15평)이상은 3인 이상 세대만 가
능하다. 거주 기간은 2년을 시작으로 계속 거주
희망 시 4회에 한하여 재계약 가능하며 최대 10
년 간 거주 가능하다. 함께주택협동조합은 지난
달 30일까지 입주자 모집을 진행했다. 지난달
12일에는 함께주택 3호의 주택 건설사를 조합원
들이 함께 선정하는 회의도 열었다.
박 이사장은“사회주택의 입주자는 단순히 소
비자 또는 세입자가 아니라 주택을 소유하고 운
영하는 주체다”며“공급자 중심의 주택 가격 책
정 방식에서 탈피해 이용자 중심의 주택가격 책
정 방식을 고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
장은“이러한 사회주택이 더 확대되려면 시민의
투자와 참여만큼 행정·제도적 보완도 함께 이
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주택 활성화 하려면 당사자 참여 선결
돼야"
함께주택협동조합,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새
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과 함께 지난 7월부터 3
개월 간 지역공동체 내에서 이용자가 중심이 되
는 새로운 주거 공급 모델을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 실험은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2018년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강세진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는“지금
까지 공급된 사회주택의 경우 공급의 주체인 사
업자가 별도로 존재하고 입주자는 단순히 세입
자나 소비자의 입장에 머물 때가 있다”며“사회
주택이 활성화되려면 사업자를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사회주택과 관련된 지역공동체 당사
자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
이 선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과 두 협동조합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사회주택 수요자 및 지역공동
체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동시에
‘사회주택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협의 체계’
를 검토하고 있다.
라현윤 이로운넷 기자
헬스케어 분야
마을의 건강을 책임지는 공동체 공간을 통해 누구나 건강하게
나이 들어갈 수 있는 마을 만들기, 지역공동체가
함께합니다.
1. 리빙랩 소개
헬스케어 분야
40
1) 배경
2) 목적
3) 개요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의 건강문제가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고 초고령 사회로 진입이 빨라지면서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보다 선제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세계
보건기구(WHO)는 건강은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신체·정신·사회적으로
완전히 안전한 상태”로 정의한다. 이는 단순히 보건·의료적 관점으로만 해결이 아닌, 지역공동체의 활성
화를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고령화, 고독사 문제 등의 증가는 현대사회에서 보다
통합적인 관점으로 건강문제에 대한 접근을 요구한다.
건강한 지역공동체가 마을의 생활공간에 고령자 등 건강취약계층이 신체운동을 할 수 있는 건강 거점
공간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활동을 전개해 누구나 건강하게 나이 들어갈 수 있는 마을 만드는 것이다.
●
프로젝트명 : 건강 공동체 기반 사회적 약자 지원 모델 개발 및 실증
●
프로젝트 기간 : 2018년 06~12월
●
프로젝트 범위 : 서대문구 남가좌 2동 일대(공간), 고령자를 중심으로 한 건강 취약계층(대상)
●
실행 주체 : 지역공동체 하.나.의., 헬스브릿지, 청년자립지원센터 브리지사회적협동조합
건강
공동체
지속가능
건강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모인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하며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건강관리 및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을 설립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관계가 지속하여 상호 돌봄의 활동이
일어나고 공공성을 가진 공간으로
운영 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봄
건강의제 중심
공동체 거점 공간 운영
·지역네트워크
·공동체 형성 경험
·생활문제 해결 경험
(독거노인 돌봄, 공동육아 등)
·고령자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
·원격 건강관리 솔루션 보유마을 공동체
하·나·의 헬스브릿지
건강
공동체
지속가능
건강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모인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하며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건강관리 및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을 설립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관계가 지속하여 상호 돌봄의 활동이
일어나고 공공성을 가진 공간으로
운영 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봄
건강의제 중심
공동체 거점 공간 운영
·지역네트워크
·공동체 형성 경험
·생활문제 해결 경험
(독거노인 돌봄, 공동육아 등)
·고령자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
·원격 건강관리 솔루션 보유마을 공동체
하·나·의 헬스브릿지
41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
지역사회 참여 단위 :
4) 추진 과정
남가좌동 가재울 지역 주민
(마을 건강방 회원)100여 명
•가재울 마을 건강방 서비스 이용, 피드백
•공동체 증진 활동 참여
•지역화폐 사용 및 피드백
남가좌동 통장모임,
남가좌 2동 주민센터
•마을 건강방 참가 회원 추천
•지역사회 홍보 및 공동체 활동 지원
서대문 사회적경제 마을센터
•공동체 활동 공동 기획 진행 지원
•지역 내 논의 구조 형성 지원
가재울 공동체 가게 •지역화폐 실험 참여
문헌조사 지역조사, 사례 및 배경이론 조사
실행 환경 조성
사업 공간 구축, 지역사회 협력 구축
참여 주민 모집
가재울 마을 건강방 운영
진행과정 모니터링, FGI, 워크숍 등 참여형 연구를
통해 반복적 개선작업 진행하여 시사점 도출
효과 확인 설문, 인터뷰 등을 통한 정성적, 정량적 효과 확인
시사점 도출 사업 시사점 도출 및 향후 추진과제 제안
보고서 작성
5) 마을건강방 운영 가이드
●
예방중심 건강실천공간으로서의 마을건강방
- 주민이 지역사회에서 더 오래 건강히 살아가기 위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건강 결정 조건들을 함께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지역사회 1차 건강 접점
참여 내용
세부내용
참여 단위
연구방법
헬스케어 분야
42
① 가재울 마을건강방 조성 및 운영
근약자 맞춤형 건강기구로 고령자들도 맞춤형 근력운동을 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을 통해 신체활동량
측정, 식단 점검 등을 제공
운영 조직팀
구성
주민 참여 촉진
활동
- 지역의 사업 운영 주체인 하.나.의. 공동체 구성원 내부에서 본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참여할 주민을 찾고 참여의 방식을 고민하는 활동
- 가재울 마을건강방에 참여해 건강증진 활동을 할 주민 회원 만남
담당 과업 및 인원 소속
사업 총괄 기획 1인 총괄 사업단
리빙랩 현장운영, 연구 1인
하.나.의. 공동체가재울 마을건강방 상주 건강 코디네이터 1인
지역 공동체 활동 촉진자 1인
신체건강 증진 활동 총괄 1인
헬스 브릿지
신체 활동, 식이 활동 온라인 코치 각 1인
일정 내용및대상
6월 공동체 전체 구성원 대상 프로젝트 소개 홍보
7월
공동체 월례회의에서 보다 구체적인 사업 소개 및 협력, 참여를 독려
공동체 내 지역사회 공동체 포럼을 개최하여 가재울 마을 건강방의
의미와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체 구성원이 지역사회를 위해 실행
할 수 있는 실천 사례를 발표
지역 통장 회의에서 가재울 마을 건강방 주민 회원 모집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 참여 주민 홍보를 독려
43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13주 프로그램
●
온라인 회원관리 시스템 : 회원들이 13주간 운동 습관을 기를
수 있게 전용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출결 관리가 이루어짐
●
위헬스(We Health)어플리케이션 영양관리 서비스 : 회원
들이 식이사진을 촬영하고 ‘위헬스‘앱에 업로드하면 영양사가
식단을 평가하여 1:1 식이 코칭
●
운동 및 영양 미션 제공 : 현장 코디네이터가 매주 마을건강
방 현장에서 게시하는 미션을 수행
거점 공간 조성
공간의
위치 선정
-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의 도보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지역
주민 누구나 ‘지나가는 골목’인 서대문구 남가좌 2동의 주거 밀집
지역 내 공동주택 건물의 1층으로 정함
공간 내부 구성
- 건강방의 면적은 약 60m²로 20평 남짓의 공간이고, 내부에 화장
실과 휴게 공간, 건강약자 맞춤형 운동기구 7대가 비치되어 있다.
건강약자 맞춤형
운동기구
6종(7대)
- 비치된 운동기구들은 자신의 체중을 이용해 부담없이 운동을
할 수 있으면서 전자적 제어에 의해 자신의 신체 능력에 맞게
0~20단계까지 단계별로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마을건강방의 모든 회원은 체성분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기수
가 시작되는 1주차와 끝나는 13주차에 두 차례 체성분을 측정한
다. 이는 운동 전 후의 체중과 체지방, 골격근량등을 비교해 건강
증진 활동의 효과를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개인별 코칭을
통해 건강 증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휴게 공간
- 마을건강방을 오가는 회원들이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시간 외에 마주치는 다른 회원들과 자유롭게 교제하며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 휴게공간도 마련했다. 2 개의 테이블과
7개의 좌석을 비치했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커피와 티백 등
의 다과류가 제공됐다.
주민 참여 촉진
활동
기수별 회원제
운영
1기 회원이 되어 13주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1기-101명 회원으로 운영)
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용
13주 프로그램 운영 기간: 2018년 8월 6일 ~ 2018년 11월 10일
●
운영 시간 :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12-13시 점심시간 이용 불가)
●
운영 인원 : 건강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직원 1인이 상주함
헬스케어 분야
44
② 공동체 관계 형성
마을건강방에서의 일상적 교류를 통한 새로운 이웃 사귀기, 공동체 교육 및 활동을 통한 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진행
공동체 교육
공동체
가을 행사 :
가재울
마을건강방
걷기 대회
●
목적 : 일상적 신체활동을 독려하고 주민 간 만남 주선으로 관계 형성 촉진
●
일시 : 2018년 10월 20일(토), 09:30-14:30
●
장소 : 서대문구 홍제천변 및 안산둘레길 일부
●
참석 : 회원 40여 명
●
내용
- 치매 예방 교육
- 집에서 간단히 활용할 수 있는 마사지 볼 제공
- 마을건강방 이용 후 변화 공유
●
기대효과 : 새로운 관계 형성의 계기 마련
공동체 모임 :
주민 관계 형성
프로그램
‘은빛날개’
●
목적 : 이용자 중 고령자 주민과 젊은 세대가 책을 매개로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세대교류 프로그램
●
제목 : ‘은빛날개’ 프로젝트
●
일시 : 2018년 9월 5일 ~ 2018년 10월 17일
(매주 수요일 오후 2:30부터 1시간 가량 총 5회의 강의를 진행함)
●
장소 : 마을 내 독립서점인 한뼘책방
●
대상 : 가재울 마을에 거주중인 주민 6인(3040세대 3인, 50세 이상 고령자 3인)
●
내용 : 마을공동체 하.나.의.에서 선정된 주민강사가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할머니
들과 만나 책을 함께 읽고, 다양한 방식의 독후활동에 참여하며 문화적인 교육을
비롯한 정서적 교류
일자 프로그램명 세부내용
7/25 회원가입 교육 가재울마을건강방 서비스 활용 및 공동체 교육
9/5 영양 & 신체교육
영양관리교육 <식생활 관리의 중요성>
신체활동교육 <건강한 신체활동>
9/28 생활의 힘 1차 교육
음악도 배우고 친구도 사귀는
“음악으로 만나는 마을 이웃”
10/5 생활의 힘 2차 교육
세대 차이는 줄이고 소통은 늘리는
“어르신 스마트폰 사용 교육”
10/12 생활의 힘 3차 교육
골치 아픈 쓰레기 문제 함께 고민하는
“쓰레기와 재활용”
45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③ 가재울 공동체가게 이용권
마을건강방에서 운동, 공동체 활동을 진행하면 이를 포인트로 환산해 지역의 오래된 이웃들이 이용
하는 상점(약국, 김밥집, 슈퍼 등)에서 사용할 수 았는 공동체가게 이용권을 제공
참고) 헬스케어 서비스 소개
생체정보 관리
(혈압, 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 영양)
위헬스 앱
근력운동기구 제공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공동체 가게
선정
마을건강방이 위치한 남가좌2동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상점들로 지역에서 오랫
동안 운영된 가게이면서 프랜차이즈 가게가 아니며 이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운영하는 가게를 찾아 6곳(약국, 빵집, 슈퍼 등) 선정
공동체가게
이용권 기획
및 제작
●
상품권 형태로 제작되어 회원들의 운동 성과에 따라 마을건강방에서 2주
단위로 지급
●
이용권의 단위는 ‘울’로, 마을건강방의 이름에도 들어간 가재울에서 따옴
●
상품권은 제작 단가와 주민들의 사용 편의를 고려하여 1,000울 단위로
제작, 1000울은 현금 1000원과 화폐가치가 동일하며 실제 원화로 교환
되지는 않음
●
상품권의 디자인은 서대문구 가재울로 주변 지형지물을 참고하여 디자인
●
이용권은 주민들이 가재울 공동체가게에서 사용 후 상품권을 통해 지불할 수
있고 카드, 현금과 함께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점들과 협의
건강방 온라인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코디네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코디네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코디네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
헬스케어 분야
46
2. 숫자로 본 리빙랩 후 참여자 변화
218명
공동체 프로그램 총 참여 횟수
101명
마을건강방 이용자 수
6개 가재울 공동체가게 참여
7,816,000원 3개월 간 총 지급된 건강인센티브
(1인당 건강인센티브 지급액은 77,386울)
383m 마을건강방에서 회원들 생활 근거지까지의 평균 거리
26.6회 3개월 간 회원 1인당 평균 방문 횟수(미 출석 12명 제외)
34.8회 가장 참여율이 높은 세대인 65세 이상 고령자 일인당
방문 횟수
47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97% 마을건강방 종합 만족도
86.6% 마을건강방 이용 후 행복해졌다
82.8% 마을건강방 이용 후
지역에 대한 신뢰가 늘었다
80% 마을건강방 이용 후 건강 증진 체감한다
65% 마을건강방 이용자 건강활동량 증가량
97.4% 마을건강방 이용 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90.3% 가재울 공동체가게 이용권 만족도
77.4% 마을건강방 이용 후 외로움이 줄었는가
76% 마을건강방 이용 후 스트레스 감소
100% 마을건강방 공간 운영자를 신뢰 한다
7.8명 마을건강방 이용으로 맺은 새로운 관계 주민
81.3% 마을건강방 이용 후 마을에 대한 관심이 더 늘었다
97% 마을건강방을 자신의 가족 및 지인에게 추천하겠다
95.2% 마을건강방을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용하겠다
86.6%
82.8%
97%
헬스케어 분야
48
3. [관계자가 전하는 가이드] 리빙랩 이렇게 준비하세요!
송하진 _ 듣는연구소 대표/마을공동체 하.나.의. 연구원
Q. 주민 참여를 잘 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활동은 단기적 관점으로는 이루기 힘든 과정이다. 지역사회에 충분한
시간과 자원이 투여되어야 할 것이다. 너무 짧은 사업기간 내에 성과 지표를 채워야 하거나 사업 초기
부터 독립성과 자립성만을 강조해서는 좋은 성과를 얻기 힘들다. 외부의 주체가 참여해 새로운 사업이
지역사회 내에서 진행된다고 생각한다면 다양한 차원으로 지역사회의 여론을 수렴하고 다양한 층위의
주민들을 만나 협력의 과정과 방법을 조직해 내는 것이 사업의 성패와 연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 이미 지역 내에서 공동체적 활동을 지속해 오면서 사회적 자본을
축척해온 건강한 지역사회 공동체와 협업을 통해서 주도적으로 사업의 운영에 참여할 주체를 발굴 할 수
있다.
Q. 마을건강방 위치 선정 시 고려 지점은.
서비스적 관점에서 지역주민이 만족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중요하다. 매일 지속적으로 운동을 해야
하는 지역의 건강증진 공간은 주민의 생활권과의 근접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가재울 마을
건강방이 위치한 골목은 지역의 중심 상권,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 지역주민 누구나 ‘지나가는
골목’에 위치하고 있다. 때문에 꼭 운동을 하기 위해서 가지 않더라도 시장을 가다가, 머리를 하러
미장원에 가다가, 버스를 타고 출근을 하러 가기 전에 언제든 들를 수 있는 공간에 자리 잡아 있다. 특히
고령자들은 대중교통 보다는 도보로 이동하는 접근성이 더 중요한 세대이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Q. 마을건강방이 공동체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방안은.
마을건강방을 오가는 회원들이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시간 외에 마주치는 다른 회원들과 자유
롭게 교제하며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 휴게공간을 마련했다. 회원들의 마을건강방 활용이 활발해
지면서 운동기구가 가득 차는 시간대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휴게공간에서 담소를 나누며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순서에 따라 운동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정착되기도 했다.
이러한 분위기의 형성에는 마을건강방의 공간 크기도 영향을 미쳤다. 헬스장과 같은 건강증진 공간은
넓은 공간에 다수의 운동기구가 배치되어 충분히 익명성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반면 마을
건강방은 실제 운동공간이 45제곱미터 정도로 운동하는 모든 사람이 서로 얼굴을 보며 인사할 수 있는
수준의 공간이고, 휴게공간과 운동공간이 마주보고 있어 휴식하는 사람과 운동하는 사람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기도 한다.
Q.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팁은.
중도에 운영 시간을 연장했다. 이를 통해 건강 증진 활동에서 소외되기 쉬운 지역 상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
업자 주민 등이 마을건강방을 활용해 건강증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공간 상주 코디네이터로는
지역의 청년들이 참여하여 지역 일자리 창출의 의미를 지님과 동시에 지역 청년과 지역 고령자 어르신들
과의 만남의 계기도 만들 수 있다.
49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Q. 공동체가게 이용권의 의미와 효과성은.
지역화폐의 활성화를 통해 주민들은 상호신뢰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사회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고 외부
경제상황에 영향을 덜 받는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를 확립할 수 있으며, 지역 상권 개선에 기여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바우처로 제공하는 건 스스로가 불쌍한 사람이 되는 것 같아 자존감을 떨어뜨리기 쉽다.
반면 건강실천수당은 건강관리를 잘해서 받는 거라 오히려 자부심을 주고 새로운 동기부여의 기회가
된다.
Q. 기존 보건소랑 마을건강방의 가장 큰 차별성은.
지역의 보건기관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정된 강좌 위주로 주간 시간에 운영되기 때문에 직장인이나
차상위계층의 참여가 어렵다. 일반 건강증진 공간들은 고령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시설이나 장비만을
갖춘곳도 많다. 지속실천이 어려운 이유이다.
Q. 지역별로 마을건강방 모델을 적용할 경우 특징은.
획일화된 모델 보다는 도시와 농촌 등 지역 환경의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인구가 밀집된 도시
지역은 주민들의 생활터 중심으로 보다 깊숙이 들어와 도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건강증진 활동을 촉진
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농촌지역은 인구밀도가 낮고 주거 지역 간 거리가 멀어 지역민들이
보다 익숙하게 잘 알고 있고, 일상적으로 오가는 공공기관 등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
이다. 건강 증진을 위한 자립서비스(스마트폰 사용 관련) 제공과 관련해서도 도시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진 신체활동 및 식이 코칭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을 고려
할 때 지역의 환경과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Q.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유의할 점은.
가재울 마을건강방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서 건강의제 중심의 공동체 거점 공간을 운영할 경우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내 행정과의 협조, 단체와의 협력 등을 염두에 두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방향은 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현재 일반임대로 운영하고 있는 건강방의 공간을
지역의 공공기관, 유휴 공간 자원 중에서 적절한 공간을 저렴하게 임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공간이
지속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서울시와 같은 도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주민참여
예산과 같은 예산 자원을 활용할 수도 있다. 광진구와 같은 곳에서는 지역의 시민사회가 구축한 지역
화폐를 건강거점 공간이 활용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융선 최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actioncan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Donghun Kim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Jaejung Lee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SPACECLOUD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Sang Hyun Park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actioncan
 
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actioncan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Sang Hyun Park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Jaejung Lee
 

What's hot (20)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기업-최융선_20121212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19 지역격차완화 프로젝트 사례집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2020 공감e가득] 충청남도 홍성군
 
Daegu
DaeguDaegu
Daegu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가치를 더하는 약속 함께하는 시민행동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국민과 함께, 행복을_디자인하다 - 2014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사례집
국민과 함께, 행복을_디자인하다 - 2014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사례집국민과 함께, 행복을_디자인하다 - 2014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사례집
국민과 함께, 행복을_디자인하다 - 2014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사례집
 
Brown
BrownBrown
Brown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NSPACE REPORT] 금호1가동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마을활력소 공유공간 기획 및 운영 매뉴얼 워크숍 자료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마을로청년활동가 현황과 과제 151120
 
Kai
KaiKai
Kai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Dsi
DsiDsi
Dsi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4 -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 천안 충남혁신상회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고양무지개연대2.0 정책자료집(정책협약식)
 

Similar to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EPISNU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홍길 김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SIMIN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Jay Kim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태영 이
 
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
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
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seekly
 
100 100프로젝트기획서
100 100프로젝트기획서100 100프로젝트기획서
100 100프로젝트기획서jejuzip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biolbam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actioncan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지원단 마을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actioncan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지원단 마을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센터 지원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Myung Jo Bang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준열 김
 
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
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
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여성환경연대
 
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minwoo
 
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녹색당
 

Similar to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20)

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2 -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녹색교통 제161호
녹색교통 제161호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
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
홍선미 자활사업에서 사례관리 탐색
 
100 100프로젝트기획서
100 100프로젝트기획서100 100프로젝트기획서
100 100프로젝트기획서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준비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19992008)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사업계획 수립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0825 서울시사회적경제활성화정책대화자료집 최종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함께 살아가는 세상 지역자활센터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
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
우리 지구와 도시를 살리는 마을의제21(이창우)
 
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2010년 본부계획
2010년 본부계획
 
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140101의정보고서전체
140101의정보고서전체
 

More from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More from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15)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전라북도 남원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경기도 하남시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공감e가득] 서울특별시 관악구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경상남도 하동군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충청북도 음성군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2020 시민안전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Gamin
GaminGamin
Gamin
 
dazzayo
dazzayodazzayo
dazzayo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2020 실패박람회 지역확산 지원 및 사회적 이슈 발굴 기획운영 용역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1 - 마을기업 - 대구 아가쏘잉 협동조합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6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 시흥 청년스테이션, 망상 해뜰책뜰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7 - 지역공동체 활성화 - 효덕동 협치마을 네트워크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08 - 지역혁신포럼 - 원주 카페 더 피플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
지역행복 지역혁신 : 2019 우수사례 10 -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02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 1. 행정안전부-사회혁신기업-시민이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미세먼지·사회주택·헬스케어 문제 해결 프로젝트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일 상 을 바 꾸 는 시 민 의 힘 리 빙 랩 운 영 가 이 드 북 행 정 안 전 부 2 0 1 8
  • 2.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행정안전부-사회혁신기업-시민이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미세먼지·사회주택·헬스케어 문제 해결 프로젝트
  • 3.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인사말 | 5 리빙랩은 | 6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8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 13 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 18 사회주택 분야 | 30 헬스케어 분야 | 40 Ⅱ. 내 삶을 바꾼 리빙랩 참여자들에게 듣는 리빙랩 | 54 * 본 프로젝트는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2018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향상 지원사업 기획·운영 용역’ 사업으로 운영되었습니다. Contents
  • 4. 우리 일상에는 소소한 듯 보이지만 생각보다 복잡해 풀기 어려운 난제들이 많다. 하지만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서로가 머리를 맞대면 쉽게 풀리는 문제들도 있다. 주민들이 겪는 삶의 문제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해가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사회혁신’이다. 지난해 9월 행정안전부에서는 사회혁신추진단을 발족했다. 정부와 민간 전문단체와 함께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사회혁신 사례를 만들고 확산하기 위해서이다. 올해 그 첫 사업으로 ‘2018년 국민 참여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한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향상 지원사업(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은 최근 시민들이 가장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미세먼지, 사회주택, 고령자 헬스케어를 주제로 실험을 진행했다. 미세먼지 문제에서는 초등학생과 학부모, 지역사회가, 사회주택 분야에서는 주택 거주자들이 직접 문제 해결의 당사자로 나섰다. 고령자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지역에 마을건강방을 만들어 주민들 스스로가 건강을 예방하는 방안을 고민했다. 우리는 이 세 가지 실험을 통해 국가 주도 정책 추진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시민사회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지역 공동체·네트 워크를 활용한 새로운 프로세스 도입으로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희망을 발견했다. 무엇보다 이번 실험에서 가장 큰 의미는 모든 과정에 ‘시민’이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기획 단계 부터 운영 전 과정에 시민이 참여하도록 했고, 이 과정에서 행정안전부와 민간전문단체들은 시민의 아이디어가 더 숙성될 수 있도록 예산, 자문, 운영 등을 지원했다. 행정안전부 사회혁신추진단의 모토는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이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변화를 체감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추진단에서는 늘 ‘시민 중심’을 잊지 않으려 한다. 직원들에게도 ‘지원하되 간섭은 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그동안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풀어가는 데 있어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이 다수였다면,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정부는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시민들 스스로 더 잘 문제를 풀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미세먼지, 사회주택, 고령자 헬스케어 세 분야에서 진행한 실험 결과 도출된 긍정적 결과를 향후 시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행정안전부 사회혁신추진단장 김 용 찬 인사말
  • 5. 시민 참여로 사회문제 해결하는 ‘리빙랩’ #서울 북촌 한옥마을은 유명 관광지가 되면서 갈수록 소음, 쓰레기 무단 투기 등 주민 불편이 커졌다. 주민과 관광객이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서울시는 사물인터넷(loT) 기반의 테스트 베트를 구축하는 등 서비스 고도화 작업을 진행했다. ‘스마트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리면 지역 가게에서 사용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거주자가 주차하지 않은 시간을 앱에 등록하고 관광객은 이 앱을 통해 주차 가능한 공간을 찾는 서비스 등이다. #매년 하천이 범람하던 대전 유성구 갑천에서는 주민이 스마트폰으로 하천 범람 상황을 실시간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무선 IP 카메라, 반응형 모바일웹 등을 설치해 사고 예방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일명 ‘건너유 프로젝트’다. #서울시 동작구의 성대골은 서울시 에너지자립마을에 선정되면서 태양광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마을주민들이 미니태양광 패널을 직접 개발·보급하는 마을연구원으로 활동한다. 위 3가지 사업의 공통점은 우리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회문제를 시민들이 참여해 풀어낸 생활 실험 들이다. 바로 사회혁신을 통한 문제해결 방법 중 하나인 ‘리빙랩’이다. 일상에서 사회문제 해결해가는 ‘리빙랩’ 리빙랩은 말 그대로 ‘일상생활의 실험실’이다.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공공, 기업, 시민이 협력해 일상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참여형(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미국 MIT대의 미첼(W.Mitchell) 교수가 처음 제시했다. 리빙랩은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갈등이나 안전, 환경과 같이 정작 해결이 시급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고민에서 시작됐다. 동네 골목의 쓰레기난과 주차난 에서부터, 도를 넘은 학교 안의 폭력과 따돌림, 갈수록 심해지는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피해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가 풀어가야 할 모든 문제가 이에 해당한다. 리빙랩은 6
  • 6. 리빙랩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력 증대와 동시에 새로운 사회·기술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점이다. 생활 속 특정 공간에서 구현되며 사용자가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는게 원칙이다. 그 외에도 ▲능동적 사용자 참여 ▲실제 생활에서의 세팅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 ▲공동 창조 등의 성격을 띤다. 또한 리빙랩은 혁신적 정책들의 경향을 반영한 정책 실현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혁신 이나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세계 약 440개 이상 리빙랩 운영, 국내도 다양한 시도 일어나 리빙랩은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사회혁신을 위한 대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해외의 경우 2006년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LL) 출범 이후, 스마트시티·에너지· 교통·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로 전 세계 약 440개 이상의 리빙랩이 운영 중이다. 유럽에서 시행된 후 미국, 아시아 지역에서도 확산되며 다양한 사회 주체의 참여 활성화를 통한 개방형 혁신생태계가 조성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는 물론 지자체, 민간에서 다양하게 리빙랩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국정운영과제에 ‘주민주도의 사회혁신 확산’을 선정하면서 이를 추진할 「사회혁신 추진단」을 지난해 발족했다. 추진단은 ‘시민 주도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정부는 뒷받침하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 구현’을 비전으로 혁신기반 조성과 국민 참여 사회혁신 사업,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등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그 출발로 올해 행정안전부는 국민이 아이디어 제공에서부터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국민 참여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본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도 그 중 하나로 주거, 미세먼지, 고령자 건강 등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문제를 지역공동체-전문기관들과 협력해 시민 참여형으로 해결하는 프로젝트로 정식 사업명은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삶의 질 향상 지원사업’이다. 7리빙랩은
  • 7. 1. 프로젝트 개요 최근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 6호기 재개 여부 공론화 실험 등 직접 참여를 원하는 성숙한 시민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시민조직, 시민사회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국가 주도 전달 체계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시민사회의 주도적 참여로 사회적 약자의 문제 해결에 지역 공동체·네트워크를 활용한 새로운 프로세스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올해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은 국민이 아이디어 제공에서부터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2018년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 젝트’의 일환으로, 지역의 공동체를 활용해 사회적 약자인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사업이다.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에서는 ▲미세먼지 ▲사회주택 ▲헬스케어 세 분야의 사회문제 를 주제로 추진했다. ① 미세먼지 분야 미세먼지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대구와 서울 2개 지역에서 각각 지역주민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주체로 참여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해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무엇보다 이번 실험에는 미세먼지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들이 직접 실험의 주체로 참여했다는 특징이 있다. 서울과 대구에서 초등학생 60명을 중심으로 ‘녹색어린이단’을 발족했으며, 20~30대, 50~60대로 구분해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을 운영했다. 이들은 미세먼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측정해 미세먼지 지도를 작성했고, 공기청정기 제작 워크샵도 개최했다. 카이스트 연구팀과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서울/대구 녹색소비자연대)가 참여해 사업을 진행했다. 8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8. ② 사회주택 분야 이 프로젝트는 ‘주거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문제’라는 데서 출발했다. 지역 공동체 내의 주거 약자가 주도적으로 사회주택 사업자가 되는, 즉 수요자가 공급자이고, 수요자가 곧 이용자인 새로운 주거 공급모델 개발 실험을 진행했다. 해당 지방자치단체, 사회주택의 공급 관련 공기업, 기타 주택사업 투·융자 관련 금융기관 등이 사회적협의 체계를 구성했으며, 새로운 사회를여는연구원과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함께주택협동조합이 사업을 담당했다. ③ 헬스케어 분야 이 프로젝트는 고령자의 건강 예방을 마을 단위 공동체 중심으로 풀어보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서울 서대문구 가재울에 ‘마을건강방’을 설치했다. ‘가재울 마을건강방’에서는 스마트 건강 관리 전문기업인 ‘(주)헬스브릿지’의 솔루션을 활용해 지역의 건강취약계층에 맞춤형 기구운동, 식단·생활관리 등을 전문가들이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9<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9. 2. 프로젝트 진행 과정 3. 프로젝트 차별성 사업 추진은 먼저 주제별로 선행 연구 조사를 하고 각 분야별로 수행단체들이 기획을 진행한다. 기획 과정에서는 전문가,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각 주제별로 우리 일상에서의 변화를 위한 실험에 돌입한다. 생활, 의식, 변화 등의 관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시민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콘텐츠 등으로 제작해 사회 해결 모델로 제시하고 확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중에서도 ‘리빙랩’은 본 사업의 핵심 과정이다. 시민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아이디어의 효과성을 작은 단위에서 실험하고, 이후 가설이 검증된 솔루션을 정부 및 사회와 함께 전국 범위로 확장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솔루션 검증 단계이기 때문이다. ① 리빙랩 실험을 위해 다양한 수행 주체 참여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관들의 성격은 매우 다양하다. 미세먼지 분야 실험에 참여하는 ‘녹색 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는 올해 창립 22년의 역사와 전국 16개 지부를 갖춘 전국적 규모의 전통적인 시민사회단체다. 헬스케어 분야에 참여한 ‘마을공동체 하.나.의’는 지역적 범위는 좁지만 마을 생활 터에서 강한 결속력으로 삶을 공유하는 마을공동체다. 사회주택, 헬스케어 분야의 ‘함께주택협동 조합’,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헬스브릿지’는 시장에서의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목적 으로 하는 사회적경제조직들이다. 선행연구조사 현황, 여건분석, 사례조사, 진단 실행방안 기획 해법, 실행계획, 관계자회의, 주민행사 생활실험 운영 생활, 의식변화 관찰 평가 및 성과공유 지표화, 체계구축 전국 확산 가능한 전략마련 10 선행연구 조사 공동체 조직 및 기획 리빙랩 운영 시사점 도출 사회해결모델 제시 2 3 4 51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10. 4. 프로젝트 참여기관 [주최기관] [주관기관] ② 지역적 비교를 통한 시사점 도출 미세먼지 분야는 대구와 서울을, 사회주택 분야는 서울과 전주를, 헬스케어 분야는 서울과 양구군을 비교했다. 이처럼 주제에 따라 도시형, 농촌형 또는 대도심과 중소도시 등 2개 지역에서 실험되어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는 전국적으로 모델을 확산함에 있어 더 나은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③ 다자간 협력으로 새로운 해법 제시 특정한 사회문제의 솔루션 도출을 목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민, 관, 시민사회, 사회적경제기관들을 조직하고 협업·협력의 방식으로 각자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시너지를 발휘하는 그 간의 경험을 바탕 으로 사회문제 해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직접참여를 원하는 성숙한 시민사회의 등장과 함께 복잡하고 다양해진 사회문제로 인해 과거와 같이 국가나 지자체만의 주도로는 문제해결이 어려워지고 기술발전으로 폭넓은 정보공유, 온오프 라인의 참여 범위가 넓어지는 등 문제해결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새로운 방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자 새 정부 들어 정부혁신과 더불어 사회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 사회 혁신 선도사업 추진, 사회적 가치 내재화 및 공유 추진 등의 과제들을 구현해나가고 있다. 청년자립지원센터 브리지사회적협동조합은 취약계층의 자립과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립&성장을 지원 하며, 여러 사회 문제의 지속가능한 솔루션과 변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킴으로써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1<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11. [실행기관] 분야 기관명 기관 소개 미세먼지 카이스트 카이스트는 세계의 중심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최고의 과학기술대학을 지향하며, 국가 발전에 필요한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이공계 연구 중심 대학의 본보기를 제시하기 위해 1971년 설립되었다. 2013년부터는 SK와 함께 ‘카이스트 사회적기업가 MBA’ 과정을 개설 하고 사회혁신가 양성에 나서고 있다 .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올해로 창립 22주년을 맞고 전국 16개 지부를 보유한 대표적인 시민 단체 중 하나로, 지구촌 경제시대를 맞아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지구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함께 환경적인 새로운 생활 양식을 확립해 가는 운동단체다. 사회주택 새로운사회를 여는연구원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2006년 설립된 민간 주도로 정치·사회 분야를 연구하는 민간연구소로, 진보의 입장에서 신자유주의적 발전 전략을 비판하고 한국사회의 새로운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함께주택 협동조합 함께주택협동조합은 한국사회의 기형적인 주거문제를 ‘공동으로 해결 해보자’는 고민에서 2013년 설립됐다. 개인이 아닌 사회가 소유하는 집 형태를 고민하며 주택을 매입해 조합원에게 임대하고 있다. 마포구 성산동과 망원동에 2개 공동주택을 운영 중이다. 민달팽이 주택협동조합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2014년 설립되어 청년들의 주거 빈곤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새로운 주거모델을 제시한 대표 조직이다. 민달팽 이가 보급하는 ‘달팽이집(껍데기가 없는 달팽이라는 말로, 집이 없는 세입자를 뜻한다)’은 공유주택, 쉐어하우스 등과 같이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청년주거사업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달팽이집’은 현재 서울, 부천 등 총 10호까지 공급됐으며, 154명의 청년들이 달팽이집을 통해 주거에 대한 고민을 덜고 있다. 헬스케어 (주)헬스브릿지 강원지역 등에서 만성질환 원격관리 서비스를 10년 이상 수행한 의료 진과 간호사 그룹이 기존의 건강증진 보건 정책 전달 체계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시니어를 비롯한 국민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만든 소셜벤처다. 남가좌동 마을공동체 하.나.의. 하.나.의. 공동체는 남가좌 2동 지역 주민 100여명으로 구성된 지역형 마을 공동체다. 공동육아 및 방과후 교육, 공동체 하우스 건립 등 내부 적 복지 수요를 해결해 왔던 경험이 있다. 지역성에 기반한 네트워크와 실행력을 바탕으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 운영의 주체로서 참여 하며 지역 공동체 생태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2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소개
  • 12. 지난 5월 28일부터 12월 30일까지 7개월간의 미세먼지, 사회주택, 헬스케어 3개 주제에 대한 리빙랩 진행 과정과 그 성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리빙랩 진행 과정 리빙랩 전체 성과 국가 주도 정책 추진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정부-시민조직-사회적 약자가 함께 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리빙랩을 통해 실험하고 가능성 모색 국민 참여와 숙의를 통해 사회 갈등의 해법을 도출하는 경험 제시 사회문제와 사회 갈등 해소에 ‘국민·시민·주민의 참여’를 핵심적인 요소로 주목 시민 참여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혁신이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의 의미를 살린다는 점 재확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노력에 정부는 물론 시민사회와 마을공동체 단위가 직접 나서는 계기 마련 13<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대구녹색어린이단 활동(5회+캠페인) 강사 활동 내용 연구모임(6회) 리빙랩 설계/모집기획/사전 모니터링 등 대구 공기 청정기 워크숍 녹색어린이단 모집 시민모니터링단(5주) 공청회서울 공기 청정기 워크숍서울녹색어린이단 활동(5회) 리빙랩설계/마을건강방 조성 인센티브 설계/공동체 가게 섭외 13주 건강관리 프로그램 진행 인센티브 지급 및 사용/공동체 가게 운영 개소식 회원모집 은빛날개(주민관계형성) 마을건강방 걷기대회 집수리 강좌 집수리 강좌예비사회적기업 전환 논의/신청 토지지원 리츠간담회/LH사회적주택(제기동):비교군/사회투자지원재단 논의(사업비용 지원)/청년주택 기획회의 등 활성화 워크숍 전주 간담회 전주 축제 참여 달팽이집 집사회의/이음이 운영회의/예비조합원 교육/이사회(비영리주택사업논의) 등 세이브 달팽이집 워크숍 조합원 하반기 정기교육 입주공고수요자 의견 반영 실무협의의견수렴의 날 청년누리주택(가좌동) 추진:리빙랩모델과 비교, 대조군 활용 입주자 검토/ 선발/워크숍 시민모니터링단(2주)
  • 13. 리빙랩 분야별 성과 ① 미세먼지 미세먼지의 나쁜 점을 인지하는데 그치지 않고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시민들이 일상에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공유했다는 점이 큰 성과로 꼽힌다. 또한 이번 실험을 통해 ▲초등학교 미세먼지 교육 프로그램 고도화 필요 ▲시민 참여를 통한 체계적인 미세먼지 데이터 수집 필요성(일자리 창출) ▲통신사 등 대기업과 협력 구조를 토대로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필요성 등의 확장 계획을 도출했다. ② 사회주택 교육 등을 통해 사회주택 관계자의 의식을 전환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거주자가 거주자로 그치는 게 아닌 공급자이자 운영 주체로 개별 조합원의 책임감을 높였다. 서울 마포구 성산동 ‘함께주택 3호’ 신규 공급에서는 관심 있는 주민 20명이 참여해 모집 절차 등 주택 공급 전 프로세스에 의견을 개진했다. 이후 건축기획 및 설계, 자금 조달 방안, 주택 관리 방안 등도 직접 결정하는 절차를 갖췄다. 전주 완산동의 사회주택 ‘달팽이집’ 활성화와 기존 ‘사회주택 운영관리’에서도 주민이 참여 하는 실험을 각각 진행했다.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의 경우 소유 개념도 일반 협동조합 형태에서 사회적기업을 거쳐, 장기적으로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자는 동의를 이끌어내는 계기를 마련 했다. 14 시민 모니터링단 일자별 미세먼지 농도 비교(PM2.5) 100.00 80.00 40.00 20.00 0.00 120.00 (ug/m3)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5 11/16 11/17 11/18 11/14 시민모니터링단 에어코리아 2018년 기준 미세먼지 소양 측정도구 대구 시지초 사전응답 대구 시지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3.979 4.656 0.677 정서 3.428 3.979 0.551 기능 3.057 3.922 0.865 행동 2.737 3.815 1.078 *녹색어린이단 활동 이후 미세먼지 소양 증가※시민모니터링단과 공공데이터 측정값 유사 대구시지초녹색어린이단활동전후소양평균과차이 함께주택3호 신규 공급 → 지역공동체 수요자 기반 사회주택 주체 형성 전주달팽이집 활성화 → 사회주택 모델의 지역 확산 기존 사회주택 운영관리 → 기존 참여자 역량강화 & 지원체계 개선
  • 14. ③ 헬스케어 마을건강방은 개인별로 이뤄지던 건강관리를 지역사회와 공동체가 함께 해결해나가는 모델 이다. ‘건강’을 주제로 주민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찾아온 주민들이 자연 스럽게 공동체를 이루면서 서로의 건강관리나 실천을 돕는다. 서비스 개시 3개월 만에 회원 101명이 가입했으며, 90여 명의 주민이 회원가입을 위해 대기 중일 정도로 높은 호응을 끌어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예방중심의 건강실천공간으로서 마을건강방의 가능성을 확인 했으며, 향후 모델 확산 시에는 ▲주민 거주지에 인접하면서 상시 운영으로 언제나 찾을 수 있는 공간 ▲지역 및 사용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민참여형 공간이 적합 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15<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진행 과정 및 성과
  • 15. 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 18 사회주택 분야 | 30 헬스케어 분야 | 40
  • 16. 미세먼지 문제의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를 중심으로 시민 (학부모, 일반 성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미세먼지의 심각성 및 사전 예방법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미세먼 지 데이터 축적 가능여부와 품질 파악을 통해 일상에서 시민이 문제 해결의 주체 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갑니다. 미세먼지 분야
  • 17. 1. 리빙랩 소개 미세먼지 분야 18 1) 배경 2) 목적 3) 개요 4) 추진 과정 2017년 미세먼지의 심각성에 대해 14만여 건이 검색될 정도로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미세먼지는 중국발로만 여기며 국내 미세먼지 발생에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먼지 문제의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를 중심으로 시민(학부모, 일반 성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미세먼지의 심각성 및 사전 예방법을 인식하고, 시민이 모은 데이터의 실질적인 미세먼지 데이터 축적 가능여부와 품질 파악을 통해 직접 문제 해결 및 정책 제언 활용 등 일상에서 시민이 문제 해결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가고자 한다. ● 프로젝트명 : 시민 참여(어린이, 학부모, 일반 시민)를 통한 미세먼지 해결 ● 프로젝트 기간 : 2018년 06 ~ 12월 ● 프로젝트 범위 : - 녹색어린이단 활동 : 대구 2개 초등학교(시지초등학교, 효명초등학교) 45명, 서울지역 초등학생 (10명) -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약 50명) 운영, 지역 주민 간담회, 공기청정기 워크샵 등 ● 실행 주체 :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서울/대구 녹색소비자연대), 카이스트 ● 참여 단위 : 학교 내 환경 동아리 또는 녹색 어린이단(가칭)을 구성, 미세먼지 조사 전문위원회 구성, 지역 내 대학 또는 연구소의 전문가, 시민단체 활동가, 지자체내의 행정 담당자, 학부모 (아이들의 미세먼지에 관심이 많은 주부 중심), 주민조직(그린커뮤니티, 자전거 출퇴근 라이더 등) 정책제안 BEFORE AFTER 시민 (아동,학부모) 미세먼지측정기 공기청정기 제작 나눔캠페인 시민참여 행동디자인워크숍 DATA 분석 주체 도구 측정 과제 및 해결방안 아이디어 구현 결과 정리 전 과정의 참여를 통한 시민인식 변화 측정
  • 18. 19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5) 미세먼지 해결 리빙랩 가이드 ① 대구지역 리빙랩 운영 녹색어린이단 기획 및 준비 녹색어린이단 모집 준비 ● 모집 대상 결정 : 지역→학교→모집 대상→학년 순으로 선정 진행 - 효명초등학교 : 왕복 6차선의 차량 통행이 많은 대로에 인접한 학교 - 시지초등학교 : 왕복 10차선이 있는 달구벌대로에서 한 블록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교 앞 불법 주차가 많음. 학교가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 단지 사이에 있음. ● 협조 요청(프로젝트 시작 50일 전 시행) : 학교 협조를 위해 교육청 후원 필요. 교육 청 담당 장학사와 통화하여 절차대로 서류 진행하여 ‘교육청에서 학교에 협조 공문 발송’ ● 학교 방문, 교장·교감 선생님 면담 (프로젝트 시작 40일 전) : 녹색어린이단 활동 취지 설명서, 녹색 어린이단 참가 신청서 양식 준비 ● 녹색 어린이단 접수 완료(프로젝트 시작 1주일 전): 학교에서 배포된 안내장을 통해 효명초등학교 29명 시작, 시지초등학교 23명 시작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준비 ● 미세먼지 측정기 선정 : 초등학생 5, 6학년이 작동하기에 쉽고 편리하고 휴대성이 용이한 제품들을 두 달 전 구매해 여러명 사전 테스트 후 결정 ● 미세먼지 측정 환경 변수 사전 체크 : 초등학생들이 미세먼지 측정 시의 주변 환경, 날씨 등의 변수를 사전 테스트를 통해 예측. 이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하루 측정 횟 수, 장소, 측정 방법, 측정 수첩 항목 결정 ● 측정기 휴대 방법 : 측정기를 사전 테스트해 본 결과 미세먼지 수첩, 필기도구, 측정 기를 같이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이 필요 미세먼지 수업 (6차) 진행할 주 강사, 보조 강사 준비 ● 강사 선정 기준 : 주 강사는 환경 관련 수업 경력이 많고 미세먼지에 대해 관심이 있 는 강사 선정 ● 최종 선정 : 학생 30명 기준으로 주 강사 1인, 보조 강사 3인, 기록할 사무국 직원 1인 수업에 배치 ● 강사 사전교육 : 프로젝트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 주 강사, 보조 강사 사전 교육 실시(주 강사 모임 3회, 보조 강사 모임 4회, 통합 모임 1회) 수업 환경 준비 ● 수업 장소 : 녹색어린이단 구성이 같은 학교 아이들인 것, 학생들의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하여 학교와 상의하여 학교 내 교실 이용 수업 별 내용에 따라 구매해야 할 교구, 문구 사항을 사전 체크하여 준비
  • 19. 20 녹색어린이단 실행 녹색 어린이단 수업 우리 동네 미세먼지 지도 그리기 일반 측정기의 서버 데이터와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수첩의 수치로 대략적인 우리 동네 미세먼지 지도를 작성 (최저 수치와 최고 수치를 제외한 9월, 10월 각각 평균 값 반영) 미세먼지 캠페인 ● 목적 :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교내 알리는 캠페인 ● 방식 : 등교시간 학교 앞에서 녹색어린이단이 직접 만든 피켓을 들고 미세먼지 마스크를 나눠주는 캠페인 ● 일시/장소 : 2018.11.1(목) 08:00~08:30 대구효명초등학교 후문 앞 2018.11.2(금) 08:00~08:30 대구시지초등학교 정문 앞 날짜/회차 주제 9/8(1회) 녹색 어린이단 활동 소개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미세먼지 측정기 9/15(2회) 미세먼지 측정 내용 공유 미세먼지와 자동차 미세먼지 측정 9/29(3회) 미세먼지 측정 내용 공유 미세먼지와 에너지 태양광미니자동차 만들기 10/13(4회) 미세먼지 측정 내용 공유 생활 속의 미세먼지 (과제)주변 사람들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3가지 질문하기 미세먼지 먹는 이끼 액자 10/20(5회) 미세먼지 캠페인 만들기 11/1, 11/2 효명초등학교, 시지초등학교 캠페인 미세먼지 분야
  • 20. 21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기타 지역주체들 참여 학부모,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 ● 목적 : 미세먼지에대한경각심,지역내실시되고있는녹색어린이단프로젝트이해 ● 교육 형태 : 공기 청정기 제작 워크샵을 통한 강연과 실습 병행 ● 강사 : 조윤석 소장(십년 후 연구소 소장), 송성희 대표(십년 후 연구소 대표) ● 내용 : 기후변화와 미세먼지와의 관계,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원인, 시민이 지역 내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공기 청정기 문제점과 대안 ● 일시/장소 : 10/13(토) 10:30~12:30 / 대구시지초등학교/학부모 40명, 10/20(토) 10:00~12:00/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실/지역주민 40명 ● 홍보 : 웹 포스터, 학교 내 안내장을 통한 신청, 신문 보도 자료 이용 ● 교육 효과 : 지역 내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녹색어린이단 홍보/미세먼지의 심각성 인지로 차후 지역 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시민 활동 기반 마련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대구간담회 ● 목적 : 녹색어린이단 활동 공유 및 지역 미세먼지 해결 방향 논의 ● 일시/장소 : 12/4(화)/ 르호봇비즈니스센터 ● 대상 : 미세먼지에 관심있는 전문가, 행정, 시민 ● 내용 :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대구시 저감 정책, 미세먼지 해결 위한 리빙랩 사업 성과와 과제 등
  • 21. 22 ② 서울지역 리빙랩 운영 녹색어린이단 활동 ● 대구지역과 동일한 프로그램 운영 : 미세먼지에 대한 수업 내용을 이해하고, 미세먼 지 측정을 할 수 있는 2, 4, 5, 6학년 학생 10여명 모집, 6주간 미세먼지 측정 활동 (9/15~10/27)/ 5회차 미세먼지 교육 진행(주강사 1인, 보조강사 2인) 시민 모니터링단 활동 ● 목적 : 녹색 어린이단 측정 데이터를 보완하고, 비슷한 지역 내에서 측정된 데이터 비교 ● 내용 :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의 경우, 연령대별로 나누어 각 모니터링단별 특징 확인 일반시민 , 가족, 개인을 위한 프로그램 ‘공기 청정기 만들기 워크샵’을 진행해 일반 시민 대상 미세먼지 문제 공유 (35명 참석) 구분 50-60대 20-30대 모집 서울 지역 내 거주 성인을 대상 으로 모집하였으며, 녹색소비 자연대 회원 중 50-60대 10여 명 선발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20- 30대)는 서울 지역 내 거주 성인 을 대상으로 SNS을 활용하여 홍 보, 모집하였으며 총 157명의 지 원자 중 40명을 선발 활동 ● 9.17-10.22일 5주간 자발적 으로 진행 ● 미세먼지에 대한 심각성과 대 처방안, 측정기 사용법과 기 록 방법 등 설명 ● 매주 1회 모임을 가져 측정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마지막 주차에 측정 소감과 느낀 점 등 공유 ● 11.3-11.18일 2주 가량 자발 적으로 진행 ● 시민이 모으는 미세먼지 데이터 의 필요성, 활용 방안 등 설명 ● 측정 참여 인센티브의 유무를 1주일씩 나누어 측정을 진행 ● 2주차 워크숍에 축적한 데이터 를 활용, 미세먼지 지도를 제작 하고 해결방안 논의 미세먼지 분야
  • 22. 23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1단계 모집 계획 수립 1. 예산의 규모를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 운영 기간과 참여인원을 결정한다. 2. 비용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미세먼지 측정기 구입비, 모니터링단 인건비(활동비), 운영단 인건비, 워크샵 진행비 등 3. 자원봉사자가 있다면 몇 명이 가능하며, 가능 시간은 몇 시간인지 확인한다. 4. 참여 대상과 모니터링 지역을 설정한다. 5단계 워크숍 설계 1. 모니터링단 운영기간 최소 2번의 워크샵을 진행하게 된다. 2. 1차 워크숍에서는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고, 측정기를 배부하고 측정방법과 기록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3. 2차 워크숍에서는 측정한 결과에 대해 표현, 공유, 토론하는 시간으로 구성 된다. 4. 모니터링단 운영 기간이 2주 이상이 되면 이러한 워크숍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2단계 모집 홍보물 외주제작 1. 1단계의 모집 계획 내용을 반영하여 홍보물을 제작한다. 2. 모니터링단 참가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기재한다. 3. 모니터링단에 참여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혜택을 분명하게 표현한다. 6단계 설문 설계 1. 모니터링단 활동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측정 요소로 하는 설문을 설계한다. 2. 활동 전후로 설문을 해 활동의 효과성을 평가하게 되며, 설문의 내용은 시민 모니터링단 활동에 참가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누어 실시 할 수 있다. 3단계 모집 방법 결정 1. 어떤 방법으로 신청을 받을 것인지 결정한다. 2. 모니터링단 참여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내용을 결정한다. 3. 선정 기준을 결정한다. 4. 홍보 방법을 결정한다. 4단계 미세먼지 측정기 선정 및 주의사항 1. 미세먼지 측정기를 선정한다 2. 측정방법을 학습한다. 7단계 모니터링단 운영 1. 6단계까지 준비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모니터링단을 운영한다. 2. 운영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한다. 6) 시민 미세먼지 모니터링단 운영가이드
  • 23. 2. 숫자로 본 리빙랩 후 참여자 변화 24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환경 소양 비교 분석 - 대구 효명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활동 후 지식과 정서, 기능 영역 향상된 모습을 보임 - 대구 시지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기능 영역에서만 소양 향상을 보임 - 대구 효명초등학교에서만 녹색어린이단 활동 후 환경소양의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고 있음 ① 대구 효명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② 대구 시지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미세먼지 분야 환경소양 측정도구 대구 효명초 사전응답 대구 효명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4.005 4.220 0.215 정서 3.964 4.098 0.135 기능 3.708 3.836 0.128 행동 3.759 3.736 변화 없음 환경소양 측정도구 대구 시지초 사전응답 대구 시지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4.202 4.279 변화 없음 정서 4.09 4.177 변화 없음 기능 3.622 3.882 0.26 행동 3.876 3.855 변화 없음
  • 24. 25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미세먼지 소양 비교 분석 - 대구 효명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활동 후 정서, 기능, 행동 영역 향상된 모습을 보임 - 대구 시지초등학교 녹색어린이단은 모든 영역에서 소양 향상을 보임 - 두 학교 모두 환경소양에서와 달리 미세먼지 소양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고 있음 ① 대구 효명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② 대구 시지초 녹색어린이단 활동 전후 소양 평균과 차이 미세먼지 소양 측정도구 대구 효명초 사전응답 대구 효명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4.544 4.5 변화 없음 정서 3.306 3.725 0.419 기능 3.596 3.788 0.192 행동 3.116 3.686 0.57 미세먼지 소양 측정도구 대구 시지초 사전응답 대구 시지초 사후응답 활동후 소양 향상정도 지식 3.979 4.656 0.677 정서 3.428 3.979 0.551 기능 3.057 3.922 0.865 행동 2.737 3.815 1.078
  • 25. 3. [관계자가 전하는 가이드] 리빙랩 이렇게 준비하세요! 26 김은영 _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 신준영 _ (주)케어유 대표/카이스트 연구원 Q. 녹색어린이단 수업 시 사용하는 교안 작성에 대한 팁은. 리빙랩은 문제 해결을 위한 주체가 문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의 인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진행하는 데 중요한 동기 부여가 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주체들이 알게 되는 것이 리빙랩의 전체 내용에서 중요했기에 녹색어린이단에게 이를 전달하는 방법이 매주 토요일 5회차에 걸쳐 2시간 진행한 수업이었다. 교안 내용은 기존 학교에서 진행하던 미세먼지와 관련된 교안들을 참고하고 이 프로젝트가 가진 목적, 어린이가 미세먼지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인지 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했다. 또한 대구에서 환경 교육을 오랫동안 진행했던 주 강사 들과 대구시의 미세먼지 문제, 현 미세먼지 대응책, 다른 나라 미세먼지 대응 사례 등에 대한 사전 스터디와 토론을 통해 교안 전체와 수업 흐름을 작성했다. Q. 초등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 주체들이 함께하는 방안은. 지역 내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린이, 학부모, 전문가, 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들이 동시에 진행되고 각 자리에서 행동으로 실천한다면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녹색 어린이단 활동은 미세먼지 약자인 학생들이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해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 지만, 녹색 어린이단 활동을 지켜보는 학부모, 학교, 지역 주민에게 미세먼지 문제를 부각시키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중요한 목표였다. 이를 위해 녹색 어린이단 활동 중에 학부모, 지역 주민 대상의 강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대구시 대기관리 담당자, 시민단체들, 미세먼지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간담회를 통해 내년 대구 미세먼지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미세먼지 해결은 시민의 행동도 중요하지만 지역 상황에 맞는 미세먼지 정책,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예산, 시민단체들의 연대, 대구의 미세먼지 발생요인이나 대기 정보에 대한 전문 정보 등 이 모든 것이 필요하고 소통이 되어야 한다. Q. 준비 과정에서 고려할 점이 있다면. 초등학생이 주체라는 점을 고려해 참여할 학생들 선정 기준, 미세먼지 측정기 선정 등 전반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예로 녹색어린이단에 참여할 초등학생들을 정할 때는 미세먼지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는 나이 또는 미세먼지에 대한 환경 수업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나이를 고려해야 한다. 미세먼지 측정 기를 정할 때도 학생들이 작동하기에 쉽고 편리하고 휴대성이 좋은 걸 선택하는 게 좋다. 몇 가지 제품을 프로젝트 전에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여러 명이 사전 테스트를 거쳐 선정한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손이 작아서 한꺼번에 많은 물건을 손에 쥘 수 없다. 주로 도로에서 측정을 하게 됨으로 인해 안전사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측정 시 짧은 동선을 위해 휴대 가방을 준비하는 게 좋다. 미세먼지 분야
  • 26. 4. 언론에서 본 리빙랩 27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미세먼지 분야 Q. 시민 참여 시 미세먼지 데이터 측정 방법은. 시민 모니터링단이 본 리빙랩을 통해 제공받은 미세먼지 측정기는 에어콕E3이다. 기기의 전원을 켜고 핸드폰과 페어링을 한 상태에서 기기를 약 10초간 안정시킨 후 나온 PM2.5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작성 토록 했다. 측정기의 미세먼지 농도와 미세먼지 농도의 상태, 현재 측정자의 위치 정보, 측정기의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가 연동된 핸드폰의 ‘에어콕 패밀리’앱의 화면에 뜨며, 이때 관련 정보는 에어콕 회사의 DB에 구축된다. 한편, 시민 모니터링단은 연구진이 안내한 구글 설문양식을 통해 직접 미세먼지 수치를 입력하고 측정 당시의 환경을 작성토록 요청받았다. 에어콕과 구글 설문DB의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미세먼지 데이터 수집에 있어 부족한 점(예시. 수치의 정확성, 측정 당시의 상황에 대한 정보)을 보완토록 했다. 심각한 대구지역 미세먼지…초등학생 통학로가 공식측정망보다 수치 높아 대구지역 사회 전반의 다각적 해결 노력 절실…지역 맞춤형 대책도 필요 아이들이 다니는 통학로의 미세먼지·초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측정됨에 따라 생 활 속 대기질 개선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 적이다. 도시대기측정망에서 나타난 수치 보다 통학로의 미세먼지 농도가 대체로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공식 측정치보다 높은 통학로 미세먼지 녹색어린이단이 센서식 간이측정기로 수 집한 학교 주변 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공식 측정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물론 간 이측정기의 특성상 오차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지상과 가까워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남구의 한 초등학교 주변의 경우 9월의 미 세먼지(PM-10) 농도는 29~51㎍/㎥였지 만, 대구시보건환경연구원의 도시대기측 정망 상에서는 23㎍/㎥으로 측정됐다. 10월도 마찬가지였다. 녹색어린이단 측정 치는 15~48㎍/㎥인데 비해 도시대기측정 망은 33㎍/㎥를 기록했다. 초미세먼지도 녹색어린이단은 9월 16.2~35㎍/㎥, 10월 은 18~74㎍/㎥를 기록한 반면, 도시대기 측정망은 각각 12㎍/㎥과 20㎍/㎥으로 나 타났다. 수성구 한 초등학교 주변도 9월 미세먼 지와 초미세먼지가 각각 41~52㎍/㎥과 26.5~57.5㎍/㎥에 머문 반면, 공식측정망 은 21㎍/㎥과 9㎍/㎥을 기록했다.
  • 27. 28 지역별 맞춤형 대책 마련해야 대구녹색소비자연대가 지난 4일 중구 르호 봇비즈니스센터에서 마련한 '미세먼지 해결 을 위한 대구 간담회'에서는 학부모와 시민 단체, 학계에서 다양한 의견과 대책이 쏟아 졌다. 시는 이달 중 환경부 미세먼지 보완대책에 연계한 '미세먼지 관리 조례'를 제정할 방침 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2억원을 들여 노후 1t 경유 화물차의 LPG 차량 전환을 지 원하고, 지역 내 소규모 영세사업장에 미세 먼지 배출 방지시설을 보급하기로 했다. 달구벌대로에서 물을 뿌려 미세먼지 날림 을 줄여주는 '클린로드' 구간도 10km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날 참석자들은 정책적·개인적으로 다각 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 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등을 통해 공단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지역 미세먼지의 성분을 분석하는 등 맞춤형 대 책을 내놔야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은영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은 "정 부와 민간·시민단체 네트워크를 운영해 문 제의 원인과 근본 대책을 찾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밖에도 ▷영세 기업의 화석연료의 LNG 전환 ▷고층빌딩 외관을 담쟁이덩굴 등으로 덮는 경우 혜택 부여 ▷카풀·공유경제 차량 확대 ▷도심 숲 확대 ▷공공교통차량을 활용 한 위치별 미세먼지 실시간 측정 ▷미세먼 지 측정·경보기준 강화 등도 제시됐다. 권숙열 대구시 대기환경팀장은 "재미있고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가 많아 놀랐다. 다 양한 의견을 반영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준헌 매일신문 기자 미세먼지 분야
  • 28. 사회적 약자들 스스로가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나서 주거문제를 해결합니다. 사회주택 분야
  • 29. 1. 리빙랩 소개 사회주택 분야 30 1) 배경 2) 목적 3) 개요 취약계층의 주거문제는 주택이 개인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지역공동체 기반 비영리 주택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동체의 주요 구성원인 지방자치단 체, 입주민, 주택소유자 등의 적극적 역할을 고려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며, 지금까지 공급된 사회 주택들도 공급의 주체인 사업자가 별도로 존재하고 입주자는 단순히 세입자나 소비자의 입장에 머물 때가 있다. 이는 사무국 등 실무자의 부담과 전체 사업비용을 높여 사회주택 공급 및 지속적 운영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사회적 약자 스스로 주거문제를 해결한다. ● 프로젝트명 : 수요자 그룹형 사회주택 모델을 통한 사회적 약자 주거모델 해결 ● 프로젝트 기간 : 2018년 06 ~ 12월 ● 프로젝트 범위 : 함께주택 1·2·3호(마포구 성산동 및 망원동, 3호 설립 과정 진행), 전주달팽이집 (전주시 완산동), 서울시 및 경기도 부천시의 달팽이집(비교대조군으로 활용) ● 실행 주체 :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함께주택협동조합 ● 주요 내용 : - 지역공동체에 기반한 수요자그룹형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 사회주택사업(활동)을 통한 각 주체의 인식변화 관찰 - 사회주택 공급을 위한 사회적 협의체계 구축
  • 30. 31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4) 추진 과정 의식전환 및 역량강화 (조합원 교육 등) 집담회, 워크숍 등을 통한 주체성·적극성 강화 지자체 담당부서, 지방공기업, HUG 등 공공기관 및 관련 사회적경제주체 등 지역공동체 구성원과 지속적 협의 기존 입주자 비영리 사회주택공급조직 전환 신규수요자 및 지역공동체 구성원 수요자 기반 사회주택주체 형성 사회주택 관련 공동체형성, 주민자치, 거버넌스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지원 및 사회적 협의체계 검토 사회주택 관련 지원정책 개선 지역공동체 인내자본 등 연대체계 형성 사회주택 입주자 및 지역공동체 구성원 주체적·적극적 참여유도 1단계 지역공동체 내 사회주택에 관심이 높은 주체 탐색 2단계 토지·주택의 공동체적 이용 포럼 진행(※지역공동체 시민협력 플랫폼, 지자체 사회 적경제·마을지원 센터 등) - 주요 내용 : 토지소유 패러다임 전환의 요건과 주택협동조합 사례의 성과 / 거품 걷어내기 - 사회적 부동산을 위한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토지 이용료 계산 방법 / 토지의 공동체적 이용 가능성 모색 – 공동체 토지 신탁, 토지은행, 토지임대부주 택 등 / 포럼 총정리 및 후속 논의·실행 주체 출범 3단계 정기적 협의체 구성 4단계 협의체 기반 수요자그룹형 사업주체 형성 5단계 사업추진(사회주택 공급) 6단계 사업 확산(사회주택 공급 호수 증대) 5) 수요자 그룹형 사회주택 리빙랩 가이드 ① 지역공동체에 기반한 수요자그룹형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 실험지역 및 거점 : 마포구 성산동 일대 함께주택협동조합 ● 성과 목표 : 지역공동체에 기반을 둔 사회적 약자가 주도적으로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 실험 방법 및 내용 <수요자그룹형 사회주택사업>을 통한 사회적 약자 주도의 사회주택 사업자 형성 실험
  • 31. 32 - 수요자그룹 주도의 사회주택 기획·운영 워크숍 사회주택 분야 오리엔테이션 (입주예정자 첫 만남,부지검토, 주변확인,가설계안 소개, 워크숍 진행안내, 향후 일정 정하기) 협동조합 가입신청 입주신청확인계약서 (계약금 납입) 견학 (함께주택, 소행주 등) 모집 공고 설계질의서 작성 (간이설계도, 각 공간용도, 희망사항 등) 워크숍 1차 (각 세대 설계질의 내용 종합 검토, 공통사항, 전용사항, 가능여부, 비용, 사무국의견 등) 워크숍 2차 (설계초안 및 대안별 예정비용 확인, 층호선택, 자금조달방식 결정) 건축사, 시공사 선정 워크숍 3차 (협동조합의 개념 및 운영원리 교육) 워크숍 4차 (주택운영관리 개념 및 실무사례 교육) 워크숍 5차 (설계 개선안 및 세대별 비용 확인, 주택운영관리기구 구상, 빈집살이) 워크숍10차 (참여시공 항목 교육 및 수행) 워크숍11차 (상량식) 구조, 외장공사 완료 입주 준공허가 워크숍 6차 (임원선출, 운영관리규약 구상) 워크숍 7차 (주택인테리어 기법, 자재 및 시공사례) 워크숍 8차 (전용공간 간이설계 공유) 워크숍 9차 (전용공간 인테리어 시공 계획-참여시공과 외주시공 항목 검토) 인허가, 자금조달, 착공
  • 32. 33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 사회주택 입주자의 역할분담 표준안 ● 평가 지표 : 실험기간 동안 현재의 사회여건에서 어느 단계까지 진행할 수 있었는가?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가? 사업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의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활동능력, 지역에 대한 애착 등) ● 실험 지역 및 거점 : 전주달팽이집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 성과 목표 : 그동안 서울에서 실험된 사회주택모델의 전국적 확산 및 지역의 사회주택 공급주체 형성 활성화 ● 실험 방법 및 내용 : 서울 지역과 전주 지역의 주거문제 및 주요 의제의 차이점 분석/ 전주달팽이집을 거점으로 전주 지역의 잠재 수요자·사업자 탐색/ 전주 지역 공동체에 사회주택운영 사례·경험 공유 → 세미나, 토론회, 워크숍/ 지역공동체 내 사회주택 실행주체 형성 및 전주달팽이집 운영 지역공동 체에 이관 ● 평가 지표 : 서울의 사회주택모델이 다른 지역에서도 유효한가? 다른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 어떤 개선이 필요한가? 실험기간 동안 지역공동체 기반의 사업주체를 형성할 수 있었는가? 어떤 난관이 있었는가? <전주달팽이집>을 통한 사회주택 전국 확산 모델 실험 업무구분 내 용 입주자 공동업무 사무국 주택 건설 건축부지 마련 ○ 자금조달계획 초안 마련(주택기금융자 등) ○ 자금조달계획 결정2 ○ 주택기금융자 신청 등 자금조달 실무 ○ 시공사 선정 ○ 건축설계 ○ 건축허가 등 행정절차 이행 ○ 구조·외장공사 ○ 내장(인테리어)공사3 ○ 사업비용 집행·정산 ○ 주택 관리 주택운영관리기구4 최초 구성 ○ 주택관리규칙 마련 ○ 공용부분(계단, 복도, 커뮤니티 공간 등) 청소 ○ 공용공과금(전기, 수도) 수납 및 납부 ○ 경미한 수선, 소모품 교체 ○ 주택관리 운영예산 확보 ○ 중요한 하자, 보수 ○ 건축비 융자금 상환 ○ 재산세 등 주택 관련 세금 납부 ○ 토지임대료 납부 ○ 회계·경리 ○ 빈 방 관리 및 신규 입주자 모집 주택입주 준비 ○ 빈 방 관리 ○ 신규 입주자 모집 공고 ○ 소득수준 등 입주자격 검증(객관지표) ○ 신규 입주자 면접 및 선정(주관지표) ○ 신규 입주자 오리엔테이션 ○ 생활수칙 등 공동체 규범 마련 ○
  • 33. 34 사회주택 분야 ③ 사회주택 공급을 위한 사회적 협의체계 구축 ● 성과 목표 : 사회주택과 관련된 사회적 협의체계 구축을 위한 과제 도출 ● 실험 방법 및 내용 : 사회투자기금의 연장에 관한 공공기관과의 협의 과정 기록·분석 후 제도적 개선 방안 도출/ 사업주체 내부 및 사업주체-관계기관 간 회의내용 기록 및 DB화(※ 민감한 사항 비식별화 기법 적용)/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주체별·관계기관별 입장(태도) 및 주요 의제 추출 ● 평가 지표 : 사업주체와 공공기관 사이에 소통 채널이 있는가? 그 수준은 어떠한가? (민원수리 ~ 중간 지원조직)-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당면과제를 풀 수 있는가?- 당면과제에 대한 공공기관의 인식수준 과 해결능력(관련규정, 권한 등)은 어느 정도인가? - 토픽맵 구축을 통해 주요 의제의 관계·상관성 규명 →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 성과 목표 : 사회주택 (예비)입주자의 사회주택에 대한 이해도 제고- 사회주택 (예비)입주자가 사업 주체로 성장 ● 실험 방법 및 내용 : 조합원의 삶의 질과 연관이 높은 프로그램 진행(집수리 사업 등)/ 조합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주거상담사 양성과정, 갈등조정·퍼실리테이팅 등)/ 프로그램 전·후 FGI 를 통해 참여자 인식 변화 분석 ● 평가 지표 : 프로그램 전·후 조합원의 주택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프로그램 전·후 조합원 의 주체성과 적극성이 높아졌는가? 프로그램 후 조합원이 주택사업 실무에 얼마나 참여하게 되었는가? <조합원 역할 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수요자의 주체성·적극성 변화 관찰 ② 사회주택사업(활동)을 통한 각 주체의 인식변화 관찰 ● 성과 목표 : 비영리 주택사업(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택)에 대한 이해도 제고- 연대와 협동을 통한 주택 공급에 대한 공감대 형성 ● 실험 방법 및 내용 : <사회적협동조합 전환 TFT> 가동 → 내부 공론화 및 사무처리를 위한 실무조직 형성/ 내부 공론화 : 학습모임, 교류회, 홍보자료 배포, 입주자 간담회 등 → 사회적협동조합에 관한 공감대 형성/ 사회적협동조합 전환에 대한 조합원 총회 안건 상정 및 의결 ● 평가 지표 : 실험 전 주택협동조합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느 정도였는가?- 실험 후 인식의 차이가 좁혀 졌는가?- 총회에서 사회적협동조합 전환에 대해 의결되었는가? <주택협동조합의 사회적협동조합 전환 과정> 참여자의 인식 변화 관찰
  • 34. 2. 숫자로 본 리빙랩 후 참여자 변화 35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리빙랩 모델과 일반 사회주택 모델의 차이 - 예비조합원 교육 및 조합원 소통 프로그램 등을 강화해 이용자들이 주거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함 리빙랩 모델(교육·소통프로그램)에 따른 관심 주제 변화 - 프로그램 이전에는 주거환경에 대해 좋지 않은 기억과 그에 대한 개선 욕구가 표출됨 - 프로그램 이후에는 주거복지, 사회문제해결, 협동조합의 역할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교육·소통 프로그램 전·후 주제어(상위 15개, TF-IDF 순) 싫 냄새 환기요리 기분 소음 임대료 안전함 집주인 소리 기숙사 밤 무섭 벌레룸메 룸메 직장 기본고생 공기 매력 룸메이트 시끄럽 의사결정 자취 취미 빛 부엌 행복자유 노인 연금 재분배가이드라인 관계망 규정 사유화 고령화 관점 보험료 투표 아동 공동주거 청소년사무국 협동조합 진행 사례리스크 모델 전주 계약서 출자금 방배정 운영 마을 논의 안내 사무국예정 리빙랩 모델에 따른 장기적 의식변화 기대효과 - 일반조합원의 경우 주로 주택환경과 공동체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음 - 리빙랩 모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조합원의 경우 협동조합의 운영에 관심이 높음 ※ 일반조합원과 활동조합원의 주제어(상위 15개, TF-IDF 순) ● 예비조합원 교육 일반 모델 2시간 미만 (입주 안내 등) 일반 모델 연 8시간 미만 (분기별 1회) 리빙랩 모델 6~9시간 (예비조합원교육, 입주자워크숍) 리빙랩 모델 월 6시간 이상 (집사회의, 이음이 수다회, 정기교육) ● 조합원교육 및 소통프로그램 전 일반조합원 후 활동조합원
  • 35. 3. [관계자가 전하는 가이드] 리빙랩 이렇게 준비하세요! 강세진 _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정남진 _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사무국장 Q. 리빙랩 실험지역을 정하는 기준은. 생존을 위해서 도심지에 거주해야 하지만 도심지의 높은 주거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사회적 약자가 된다. 따라서 수요자그룹형 사업자의 형성과 사회주택 공급이 절실한 지역은 대도시의 도심지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사회주택의 공급과정을 실험하기 위해서는 사회주택 사업을 실행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주체가 사업을 펼치고 있거나 새롭게 사업을 시도하는 곳이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리빙랩을 진행할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Q. 사회주택의 사무 및 운영 체계 구축에서 고려할 점. 주택을 공급하고 운영했던 실험의 과정에서 조합원들로부터 소통과 절차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 되었다. 조합은 주택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 운영을 위해 체계와 시스템에 대한 필요를 확인하며 사무국 차원에서 개선해보고자 임기 초의 가장 우선순위 사업으로 조합 운영 매뉴얼 작업을 진행했다. 완벽한 형태는 아니지만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달팽이집, 조합원, 교육, 입퇴실 등의 내용을 담아내며 초안- 완성안-개정안을 통해 계속적으로 그 내용을 다듬어나가고 있다. 단지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집에서 먼저 간담회를 열어 매뉴얼에 대한 내용을 입주조합원들과 나누고자 했다. 앞으로 조합이 사업 혹은 운영에 조합원들과 함께 하고자 하는데 각각에 필요한 내용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장치로 작동 될 것이라 기대된다. Q. 청년주거의 자치적인 운영과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은. 입주조합원들의 의견을 통해 입주 절차에 대한 부분들을 재정비 하고 반상회가 함께 사는 사람들 간 논의 할 수 있는 공식적인 테이블임을 계약서 작성 시에 더 강조하고자 했다. 또한 비 정기적으로 조합 사무국의 요청에 따라 이뤄지던 집사, 시설담당자, 회계 회의를 정례화 하여 상시적으로 달팽이집에 대해 상의 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자리를 구축하고자 했다. 자치운영(공동체,주택관리)을 매뉴얼화 한다는 것이 기존에서는 시도하기도 어려운 작업이지만 우리 조합원들의 가능성으로 주택관리에 크게 소비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식과 방향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Q. 사회주택이 사회적협동조합 법인 변경 과정에서 고려점. 비영리 법인의 형태로 공공 사회적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을 진행 중이다. 단지 실무적으로 전환을 하는 것보다 조합원들과 함께 우리가 하고 있는 활동에 대한 해석을 나누었다. 사회적협동조합팀은 지속적으로 학습 모임을 갖고 온오프라인으로 조합원을 만나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낯설음을 조합원들이 충분히 해소하기에는 미흡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사회적협동조합은 비영리라는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의 정체성과 닿아있기에 단발성 사업에 그치지 않고 조합원들과 계속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한다. 36 사회주택 분야
  • 36. 4. 언론에서 본 리빙랩 박종숙 _ 함께주택협동조합 이사장 Q. 이용자 중심의 사회주택 모델인 ‘함께주택 3호’ 구현 방법은. 입주 대상자들의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하여 원하는 면적, 원하는 주택의 형색 등에 대한 수렴 후 희망 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 면적과 세대수를 약간씩 조정해서 입주자 모집 공고문을 작성한다. 이게 계획 대로 된다면 이를 반영한 입주자 모집 공고를 진행한 후 입주자를 확정한다. 입주 선정 후 가지는 첫 번째 입주자 워크샵을 통해 설계 평면 완성, 사업비 최종 확정, 각 세대가 부담해야 하는 주거비용 결정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착공에 들어간다. “내가 사는 집 우리 손으로”사회주택 거주자들의 도전 공급자 → 이용자 중심의 주택가격 책정 방식으로 전환을 위한 리빙랩 37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사회주택 분야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리빙랩 운영 가이드북 청년주거 '자가관리형 모델' 안착화, 지역형 모델 고민 지난달 17일, 달팽이집 2호에서는 생일파티가 열렸다. 청년 공유주택인 이곳에 모여사는 조 합원의 생일날이기 때문이다. 바쁜 일상 속에서 도 관계를 맺고 서로를 챙기는 일은 잊지 않으려 노력한다. 이날 생일파티에 함께 한 조합원은 "살 아보니 만족도가 높다"며 "내 소유는 아니지만 내 집처럼 오래 살 수 있어서 안정감도 있고, 함께 사는 사람들과 규칙, 운영 등을 같이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관계도 형성되는 것 같다” 고 말했다. 청년들을 위한 공유주택 '달팽이집'의 모델을 만 들고 확산해 온‘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최 근 입주자 스스로가 관리하고 운영하는 '자가관 리형 모델'을 제대로 구현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 다. 정남진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사무국장은 " 달팽이집이 단순히 집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같 은 문제와 고민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 관계를 맺 고 입주자들이 스스로 통제권을 가지는 공동체주 택을 지향하기에 이러한 것이 제대로 안착되도 록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지난 6월부 터 청년들이 원하는 사회주택 모델을 논의하고 시뮬레이션 해보는 워크샵 '세이브 더 달팽이집' 을 진행해오고 있다. 또한 지역의 청년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 전 주에 '지역형 달팽이집 모델'을 시작했다. 전주 달팽이집은 지난해 7월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이 전주시의‘전주형 사회주택 공급 사업’에 선 정되면서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지역에 ‘달팽이집’을 공급한 사례다. 올해 2월부터 입 주를 시작해 전주시가 소유한 2층짜리 주택(전 주시 완산구 동완산동 435-2번지)에 총 8명의 청년이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를 내고, 20년까지 장기 임대가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주 달팽이집 관계자는 "입주 후 조합원의 손으 로 치워지고 가꿔진 집은 시간이 지날수록 온기 가 느껴지는 집으로 변하고 있다. 함께 밥을 먹 고, 달팽이집을 궁금해 하는 친구들을 초대하고, 다른 지역의 조합원들도 빈방에서 묵고 가면서, 집 안 밖으로 작은 연결고리들이 만들어지고 있 다"며 "사는 사람들의 안정적인 집으로 자리잡 은 후에는 지역의 거점이 되서 주변의 사람들과 재미있는 일들을 작당해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 37. 38 사회주택 분야 가격 책정부터 운영까지 조합원 참여↑‘함 께주택 3호’ “설계 단계 전부터 참여해 설명을 듣고 의견을 나 눌 수 있다는 게 낯설면서도 좋은 것 같아요.” 지난 8월 31일, 내년 설립을 준비 중인 '함께주 택 3호'에 관심 있는 이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함께주택 설립에 대한‘의견수렴의 날’이다. 이 날 모인 이들에게 박종숙 함께주택협동조합 이 사장은 "공동주택은 비용도 조합원들과 함께 결 정하는 시스템이라 집 값 상승폭이 낮고 원할 때 까지 거주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고 설명했다. 함께주택은 한국사회의 기형적인 주거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해보자’는 고민에서 설립된 함께 주택협동조합이 만드는 사회주택이다. 사회주택 이란 부담 가능한 비용으로 거주기간에 제한 없 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을 말한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2015년 전국 최초로 조례를 제정하고 사회주택을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20 여개 사회적경제 주체가 약 869세대의 사회주택 을 공급했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임대주택 24 만호 공급을 골자로 한‘서울시 공적임대주택 5 개년 공급계획’을 통해 향후 5년간 총 1만호의 사회주택 공급을 발표한 바 있다. 내년 설립을 준비 중인 함께주택 3호의 경우 토 지는 서울시가 소유하고 건물은 함께주택협동조 합이 소유·이용하는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형태 로 지어질 예정이다. 함께주택 3호는 설계에서 부터 비용 책정, 운영 등 전 과정에 조합원들이 참여하는 구조다. 주택의 설계에 조합원들이 직접 참여하고, 건축 비용 마련은 입주할 조합원이 부담하는 임대보 증금으로 충당한다. 입주자로 참여할 경우 함께 주택협동조합의 조합원이 되며, 총 12차례의 워 크숍에 참여하여 운영·설계 등 전 과정에 참여 해 의견을 개진하게 된다. 호수와 면적의 최종 결정은 선정된 입주자의 참여 워크숍을 통한 상 호협의와 서울시 공공건축가의 동의를 거친 후 결정된다. 거주 비용에 대한 최종 결정도 주거하는 이들이 결정하는 구조다. 이곳의 거주 조건은 인근 전세 시세 대비 80%를 기준으로 보증금 64%, 월임 대료 36%를 적용하지만 자세한 비용은 입주자 회의에서 모두 결정한다. 총 8세대를 모집하며, 전용면적 50㎡(15평)이상은 3인 이상 세대만 가 능하다. 거주 기간은 2년을 시작으로 계속 거주 희망 시 4회에 한하여 재계약 가능하며 최대 10 년 간 거주 가능하다. 함께주택협동조합은 지난 달 30일까지 입주자 모집을 진행했다. 지난달 12일에는 함께주택 3호의 주택 건설사를 조합원 들이 함께 선정하는 회의도 열었다. 박 이사장은“사회주택의 입주자는 단순히 소 비자 또는 세입자가 아니라 주택을 소유하고 운 영하는 주체다”며“공급자 중심의 주택 가격 책 정 방식에서 탈피해 이용자 중심의 주택가격 책 정 방식을 고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 장은“이러한 사회주택이 더 확대되려면 시민의 투자와 참여만큼 행정·제도적 보완도 함께 이 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주택 활성화 하려면 당사자 참여 선결 돼야" 함께주택협동조합,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은 새 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과 함께 지난 7월부터 3 개월 간 지역공동체 내에서 이용자가 중심이 되 는 새로운 주거 공급 모델을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 실험은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2018년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강세진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는“지금 까지 공급된 사회주택의 경우 공급의 주체인 사 업자가 별도로 존재하고 입주자는 단순히 세입 자나 소비자의 입장에 머물 때가 있다”며“사회 주택이 활성화되려면 사업자를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사회주택과 관련된 지역공동체 당사 자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 이 선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과 두 협동조합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사회주택 수요자 및 지역공동 체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동시에 ‘사회주택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협의 체계’ 를 검토하고 있다. 라현윤 이로운넷 기자
  • 38. 헬스케어 분야 마을의 건강을 책임지는 공동체 공간을 통해 누구나 건강하게 나이 들어갈 수 있는 마을 만들기, 지역공동체가 함께합니다.
  • 39. 1. 리빙랩 소개 헬스케어 분야 40 1) 배경 2) 목적 3) 개요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의 건강문제가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고 초고령 사회로 진입이 빨라지면서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보다 선제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세계 보건기구(WHO)는 건강은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신체·정신·사회적으로 완전히 안전한 상태”로 정의한다. 이는 단순히 보건·의료적 관점으로만 해결이 아닌, 지역공동체의 활성 화를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고령화, 고독사 문제 등의 증가는 현대사회에서 보다 통합적인 관점으로 건강문제에 대한 접근을 요구한다. 건강한 지역공동체가 마을의 생활공간에 고령자 등 건강취약계층이 신체운동을 할 수 있는 건강 거점 공간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활동을 전개해 누구나 건강하게 나이 들어갈 수 있는 마을 만드는 것이다. ● 프로젝트명 : 건강 공동체 기반 사회적 약자 지원 모델 개발 및 실증 ● 프로젝트 기간 : 2018년 06~12월 ● 프로젝트 범위 : 서대문구 남가좌 2동 일대(공간), 고령자를 중심으로 한 건강 취약계층(대상) ● 실행 주체 : 지역공동체 하.나.의., 헬스브릿지, 청년자립지원센터 브리지사회적협동조합 건강 공동체 지속가능 건강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모인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하며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건강관리 및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을 설립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관계가 지속하여 상호 돌봄의 활동이 일어나고 공공성을 가진 공간으로 운영 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봄 건강의제 중심 공동체 거점 공간 운영 ·지역네트워크 ·공동체 형성 경험 ·생활문제 해결 경험 (독거노인 돌봄, 공동육아 등) ·고령자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 ·원격 건강관리 솔루션 보유마을 공동체 하·나·의 헬스브릿지 건강 공동체 지속가능 건강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모인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하며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건강관리 및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을 설립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관계가 지속하여 상호 돌봄의 활동이 일어나고 공공성을 가진 공간으로 운영 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봄 건강의제 중심 공동체 거점 공간 운영 ·지역네트워크 ·공동체 형성 경험 ·생활문제 해결 경험 (독거노인 돌봄, 공동육아 등) ·고령자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 ·원격 건강관리 솔루션 보유마을 공동체 하·나·의 헬스브릿지
  • 40. 41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 지역사회 참여 단위 : 4) 추진 과정 남가좌동 가재울 지역 주민 (마을 건강방 회원)100여 명 •가재울 마을 건강방 서비스 이용, 피드백 •공동체 증진 활동 참여 •지역화폐 사용 및 피드백 남가좌동 통장모임, 남가좌 2동 주민센터 •마을 건강방 참가 회원 추천 •지역사회 홍보 및 공동체 활동 지원 서대문 사회적경제 마을센터 •공동체 활동 공동 기획 진행 지원 •지역 내 논의 구조 형성 지원 가재울 공동체 가게 •지역화폐 실험 참여 문헌조사 지역조사, 사례 및 배경이론 조사 실행 환경 조성 사업 공간 구축, 지역사회 협력 구축 참여 주민 모집 가재울 마을 건강방 운영 진행과정 모니터링, FGI, 워크숍 등 참여형 연구를 통해 반복적 개선작업 진행하여 시사점 도출 효과 확인 설문, 인터뷰 등을 통한 정성적, 정량적 효과 확인 시사점 도출 사업 시사점 도출 및 향후 추진과제 제안 보고서 작성 5) 마을건강방 운영 가이드 ● 예방중심 건강실천공간으로서의 마을건강방 - 주민이 지역사회에서 더 오래 건강히 살아가기 위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건강 결정 조건들을 함께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지역사회 1차 건강 접점 참여 내용 세부내용 참여 단위 연구방법
  • 41. 헬스케어 분야 42 ① 가재울 마을건강방 조성 및 운영 근약자 맞춤형 건강기구로 고령자들도 맞춤형 근력운동을 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을 통해 신체활동량 측정, 식단 점검 등을 제공 운영 조직팀 구성 주민 참여 촉진 활동 - 지역의 사업 운영 주체인 하.나.의. 공동체 구성원 내부에서 본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참여할 주민을 찾고 참여의 방식을 고민하는 활동 - 가재울 마을건강방에 참여해 건강증진 활동을 할 주민 회원 만남 담당 과업 및 인원 소속 사업 총괄 기획 1인 총괄 사업단 리빙랩 현장운영, 연구 1인 하.나.의. 공동체가재울 마을건강방 상주 건강 코디네이터 1인 지역 공동체 활동 촉진자 1인 신체건강 증진 활동 총괄 1인 헬스 브릿지 신체 활동, 식이 활동 온라인 코치 각 1인 일정 내용및대상 6월 공동체 전체 구성원 대상 프로젝트 소개 홍보 7월 공동체 월례회의에서 보다 구체적인 사업 소개 및 협력, 참여를 독려 공동체 내 지역사회 공동체 포럼을 개최하여 가재울 마을 건강방의 의미와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체 구성원이 지역사회를 위해 실행 할 수 있는 실천 사례를 발표 지역 통장 회의에서 가재울 마을 건강방 주민 회원 모집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 참여 주민 홍보를 독려
  • 42. 43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13주 프로그램 ● 온라인 회원관리 시스템 : 회원들이 13주간 운동 습관을 기를 수 있게 전용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출결 관리가 이루어짐 ● 위헬스(We Health)어플리케이션 영양관리 서비스 : 회원 들이 식이사진을 촬영하고 ‘위헬스‘앱에 업로드하면 영양사가 식단을 평가하여 1:1 식이 코칭 ● 운동 및 영양 미션 제공 : 현장 코디네이터가 매주 마을건강 방 현장에서 게시하는 미션을 수행 거점 공간 조성 공간의 위치 선정 -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의 도보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지역 주민 누구나 ‘지나가는 골목’인 서대문구 남가좌 2동의 주거 밀집 지역 내 공동주택 건물의 1층으로 정함 공간 내부 구성 - 건강방의 면적은 약 60m²로 20평 남짓의 공간이고, 내부에 화장 실과 휴게 공간, 건강약자 맞춤형 운동기구 7대가 비치되어 있다. 건강약자 맞춤형 운동기구 6종(7대) - 비치된 운동기구들은 자신의 체중을 이용해 부담없이 운동을 할 수 있으면서 전자적 제어에 의해 자신의 신체 능력에 맞게 0~20단계까지 단계별로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마을건강방의 모든 회원은 체성분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기수 가 시작되는 1주차와 끝나는 13주차에 두 차례 체성분을 측정한 다. 이는 운동 전 후의 체중과 체지방, 골격근량등을 비교해 건강 증진 활동의 효과를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개인별 코칭을 통해 건강 증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휴게 공간 - 마을건강방을 오가는 회원들이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시간 외에 마주치는 다른 회원들과 자유롭게 교제하며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 휴게공간도 마련했다. 2 개의 테이블과 7개의 좌석을 비치했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커피와 티백 등 의 다과류가 제공됐다. 주민 참여 촉진 활동 기수별 회원제 운영 1기 회원이 되어 13주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1기-101명 회원으로 운영) 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용 13주 프로그램 운영 기간: 2018년 8월 6일 ~ 2018년 11월 10일 ● 운영 시간 :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12-13시 점심시간 이용 불가) ● 운영 인원 : 건강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직원 1인이 상주함
  • 43. 헬스케어 분야 44 ② 공동체 관계 형성 마을건강방에서의 일상적 교류를 통한 새로운 이웃 사귀기, 공동체 교육 및 활동을 통한 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진행 공동체 교육 공동체 가을 행사 : 가재울 마을건강방 걷기 대회 ● 목적 : 일상적 신체활동을 독려하고 주민 간 만남 주선으로 관계 형성 촉진 ● 일시 : 2018년 10월 20일(토), 09:30-14:30 ● 장소 : 서대문구 홍제천변 및 안산둘레길 일부 ● 참석 : 회원 40여 명 ● 내용 - 치매 예방 교육 - 집에서 간단히 활용할 수 있는 마사지 볼 제공 - 마을건강방 이용 후 변화 공유 ● 기대효과 : 새로운 관계 형성의 계기 마련 공동체 모임 : 주민 관계 형성 프로그램 ‘은빛날개’ ● 목적 : 이용자 중 고령자 주민과 젊은 세대가 책을 매개로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세대교류 프로그램 ● 제목 : ‘은빛날개’ 프로젝트 ● 일시 : 2018년 9월 5일 ~ 2018년 10월 17일 (매주 수요일 오후 2:30부터 1시간 가량 총 5회의 강의를 진행함) ● 장소 : 마을 내 독립서점인 한뼘책방 ● 대상 : 가재울 마을에 거주중인 주민 6인(3040세대 3인, 50세 이상 고령자 3인) ● 내용 : 마을공동체 하.나.의.에서 선정된 주민강사가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할머니 들과 만나 책을 함께 읽고, 다양한 방식의 독후활동에 참여하며 문화적인 교육을 비롯한 정서적 교류 일자 프로그램명 세부내용 7/25 회원가입 교육 가재울마을건강방 서비스 활용 및 공동체 교육 9/5 영양 & 신체교육 영양관리교육 <식생활 관리의 중요성> 신체활동교육 <건강한 신체활동> 9/28 생활의 힘 1차 교육 음악도 배우고 친구도 사귀는 “음악으로 만나는 마을 이웃” 10/5 생활의 힘 2차 교육 세대 차이는 줄이고 소통은 늘리는 “어르신 스마트폰 사용 교육” 10/12 생활의 힘 3차 교육 골치 아픈 쓰레기 문제 함께 고민하는 “쓰레기와 재활용”
  • 44. 45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③ 가재울 공동체가게 이용권 마을건강방에서 운동, 공동체 활동을 진행하면 이를 포인트로 환산해 지역의 오래된 이웃들이 이용 하는 상점(약국, 김밥집, 슈퍼 등)에서 사용할 수 았는 공동체가게 이용권을 제공 참고) 헬스케어 서비스 소개 생체정보 관리 (혈압, 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 영양) 위헬스 앱 근력운동기구 제공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공동체 가게 선정 마을건강방이 위치한 남가좌2동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상점들로 지역에서 오랫 동안 운영된 가게이면서 프랜차이즈 가게가 아니며 이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이 운영하는 가게를 찾아 6곳(약국, 빵집, 슈퍼 등) 선정 공동체가게 이용권 기획 및 제작 ● 상품권 형태로 제작되어 회원들의 운동 성과에 따라 마을건강방에서 2주 단위로 지급 ● 이용권의 단위는 ‘울’로, 마을건강방의 이름에도 들어간 가재울에서 따옴 ● 상품권은 제작 단가와 주민들의 사용 편의를 고려하여 1,000울 단위로 제작, 1000울은 현금 1000원과 화폐가치가 동일하며 실제 원화로 교환 되지는 않음 ● 상품권의 디자인은 서대문구 가재울로 주변 지형지물을 참고하여 디자인 ● 이용권은 주민들이 가재울 공동체가게에서 사용 후 상품권을 통해 지불할 수 있고 카드, 현금과 함께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점들과 협의 건강방 온라인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코디네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코디네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코디네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이터 건강방 온라인 생체정보 관리 [혈압·혈당] 건강정보 관리 [신체활동·영양] 바우어 소아스 레그링크 체스트링크 숄더링크 근력기구 제공 걸음수 2,827 000380 < < 혈당 건강정보 혈압 복약 운동 금연 식여 절주 전체 그룹 현재 0 P 입니다. 나의 포인트나의 생활습관 양호합니다 하루의 신체활동 평가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돕습니다. 유병100세의 건강한 생활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건강은 강화시키고, 좋은 건강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건강생활습관 리모델링 위헬스 (We Health) 홈 운동 식여 혈압 혈당 나의 생활습관 걸음수 운동량 오늘 걸음수 목표 8,000 걸음 0걸음 2,827 404 5 이번주 누적 걸음수 이번주 평균 걸음수 주간 목표 달성률(%) 스마트 개인 건강기록 위 헬스 앱
  • 45. 헬스케어 분야 46 2. 숫자로 본 리빙랩 후 참여자 변화 218명 공동체 프로그램 총 참여 횟수 101명 마을건강방 이용자 수 6개 가재울 공동체가게 참여 7,816,000원 3개월 간 총 지급된 건강인센티브 (1인당 건강인센티브 지급액은 77,386울) 383m 마을건강방에서 회원들 생활 근거지까지의 평균 거리 26.6회 3개월 간 회원 1인당 평균 방문 횟수(미 출석 12명 제외) 34.8회 가장 참여율이 높은 세대인 65세 이상 고령자 일인당 방문 횟수
  • 46. 47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97% 마을건강방 종합 만족도 86.6% 마을건강방 이용 후 행복해졌다 82.8% 마을건강방 이용 후 지역에 대한 신뢰가 늘었다 80% 마을건강방 이용 후 건강 증진 체감한다 65% 마을건강방 이용자 건강활동량 증가량 97.4% 마을건강방 이용 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90.3% 가재울 공동체가게 이용권 만족도 77.4% 마을건강방 이용 후 외로움이 줄었는가 76% 마을건강방 이용 후 스트레스 감소 100% 마을건강방 공간 운영자를 신뢰 한다 7.8명 마을건강방 이용으로 맺은 새로운 관계 주민 81.3% 마을건강방 이용 후 마을에 대한 관심이 더 늘었다 97% 마을건강방을 자신의 가족 및 지인에게 추천하겠다 95.2% 마을건강방을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용하겠다 86.6% 82.8% 97%
  • 47. 헬스케어 분야 48 3. [관계자가 전하는 가이드] 리빙랩 이렇게 준비하세요! 송하진 _ 듣는연구소 대표/마을공동체 하.나.의. 연구원 Q. 주민 참여를 잘 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활동은 단기적 관점으로는 이루기 힘든 과정이다. 지역사회에 충분한 시간과 자원이 투여되어야 할 것이다. 너무 짧은 사업기간 내에 성과 지표를 채워야 하거나 사업 초기 부터 독립성과 자립성만을 강조해서는 좋은 성과를 얻기 힘들다. 외부의 주체가 참여해 새로운 사업이 지역사회 내에서 진행된다고 생각한다면 다양한 차원으로 지역사회의 여론을 수렴하고 다양한 층위의 주민들을 만나 협력의 과정과 방법을 조직해 내는 것이 사업의 성패와 연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 이미 지역 내에서 공동체적 활동을 지속해 오면서 사회적 자본을 축척해온 건강한 지역사회 공동체와 협업을 통해서 주도적으로 사업의 운영에 참여할 주체를 발굴 할 수 있다. Q. 마을건강방 위치 선정 시 고려 지점은. 서비스적 관점에서 지역주민이 만족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중요하다. 매일 지속적으로 운동을 해야 하는 지역의 건강증진 공간은 주민의 생활권과의 근접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가재울 마을 건강방이 위치한 골목은 지역의 중심 상권,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 지역주민 누구나 ‘지나가는 골목’에 위치하고 있다. 때문에 꼭 운동을 하기 위해서 가지 않더라도 시장을 가다가, 머리를 하러 미장원에 가다가, 버스를 타고 출근을 하러 가기 전에 언제든 들를 수 있는 공간에 자리 잡아 있다. 특히 고령자들은 대중교통 보다는 도보로 이동하는 접근성이 더 중요한 세대이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Q. 마을건강방이 공동체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방안은. 마을건강방을 오가는 회원들이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시간 외에 마주치는 다른 회원들과 자유 롭게 교제하며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내부에 휴게공간을 마련했다. 회원들의 마을건강방 활용이 활발해 지면서 운동기구가 가득 차는 시간대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휴게공간에서 담소를 나누며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순서에 따라 운동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정착되기도 했다. 이러한 분위기의 형성에는 마을건강방의 공간 크기도 영향을 미쳤다. 헬스장과 같은 건강증진 공간은 넓은 공간에 다수의 운동기구가 배치되어 충분히 익명성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반면 마을 건강방은 실제 운동공간이 45제곱미터 정도로 운동하는 모든 사람이 서로 얼굴을 보며 인사할 수 있는 수준의 공간이고, 휴게공간과 운동공간이 마주보고 있어 휴식하는 사람과 운동하는 사람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기도 한다. Q.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팁은. 중도에 운영 시간을 연장했다. 이를 통해 건강 증진 활동에서 소외되기 쉬운 지역 상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 업자 주민 등이 마을건강방을 활용해 건강증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공간 상주 코디네이터로는 지역의 청년들이 참여하여 지역 일자리 창출의 의미를 지님과 동시에 지역 청년과 지역 고령자 어르신들 과의 만남의 계기도 만들 수 있다.
  • 48. 49Ⅰ. 리빙랩 운영 매뉴얼 헬스케어 분야 Q. 공동체가게 이용권의 의미와 효과성은. 지역화폐의 활성화를 통해 주민들은 상호신뢰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사회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고 외부 경제상황에 영향을 덜 받는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를 확립할 수 있으며, 지역 상권 개선에 기여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바우처로 제공하는 건 스스로가 불쌍한 사람이 되는 것 같아 자존감을 떨어뜨리기 쉽다. 반면 건강실천수당은 건강관리를 잘해서 받는 거라 오히려 자부심을 주고 새로운 동기부여의 기회가 된다. Q. 기존 보건소랑 마을건강방의 가장 큰 차별성은. 지역의 보건기관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정된 강좌 위주로 주간 시간에 운영되기 때문에 직장인이나 차상위계층의 참여가 어렵다. 일반 건강증진 공간들은 고령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시설이나 장비만을 갖춘곳도 많다. 지속실천이 어려운 이유이다. Q. 지역별로 마을건강방 모델을 적용할 경우 특징은. 획일화된 모델 보다는 도시와 농촌 등 지역 환경의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인구가 밀집된 도시 지역은 주민들의 생활터 중심으로 보다 깊숙이 들어와 도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건강증진 활동을 촉진 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농촌지역은 인구밀도가 낮고 주거 지역 간 거리가 멀어 지역민들이 보다 익숙하게 잘 알고 있고, 일상적으로 오가는 공공기관 등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 이다. 건강 증진을 위한 자립서비스(스마트폰 사용 관련) 제공과 관련해서도 도시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진 신체활동 및 식이 코칭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을 고려 할 때 지역의 환경과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Q.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유의할 점은. 가재울 마을건강방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서 건강의제 중심의 공동체 거점 공간을 운영할 경우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내 행정과의 협조, 단체와의 협력 등을 염두에 두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방향은 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현재 일반임대로 운영하고 있는 건강방의 공간을 지역의 공공기관, 유휴 공간 자원 중에서 적절한 공간을 저렴하게 임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공간이 지속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서울시와 같은 도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주민참여 예산과 같은 예산 자원을 활용할 수도 있다. 광진구와 같은 곳에서는 지역의 시민사회가 구축한 지역 화폐를 건강거점 공간이 활용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