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다음카카오 사내시스템파트장
(ex-다음커뮤니케이션 경영지원유닛장)
한예종 예술경영 전문사 재학
전정환
WHY
창조산업 기업에
예술적 개입이 필요한가?
중간지대
interspace
inside outside
안정성
정적
조직논리
자율성
역동적
자원부족
interspace
work life
일
품질
일정
협력
결과
개인
친구
취미
가족
과정
interspace
중간지대
interspace
work
life
inside outsideHOTSPOT
interspace
work
life
inside outsideHOTSPOT
interspace
웹툰,스토리볼 작가
문화이민자
IoT동호회
컨텐츠PD
아고라기획자
인터넷문화연구자
스페이스방문자(Daum유저)
사진동호회
음악동호회
makers
예술가
개발자
inside outside
work
life
HOTSPOT
CHANGE
sustainability
<사례 1>
2012 즐거움 연구회
전정환 전수환
민창현
이정주
정부환
백영선
김인웅
김영찬
노익상
2012 즐거움 연구회(파일럿 실험)
권영은
개발자
개발자
개발자
문화제휴마케터
기타연주가
색소폰연주가
예술경영 예술사, ARCOM
다큐 사진 작가, ARTE 파견
예술경영 교수문화전략가
2013.10 - 정부환 - http://bahnsville.tistory.com/879
2014 탱고 - 이정주,김영찬,전수환 - 매주 수요일 저녁 Daum 한남 사옥 카페
전수환
‘창조적 다중 삶’ 디자인
매개자의 지속적 확장(2012~2014~)
전정환
민창현
이정주
정부환
백영선
김인웅
김영찬
노익상
권영은
라퍼커션
서지혜
예술경영 석사
예술경영 교수예술경영 전문사
예술경영 교수
뮤지션
종합아티스트
사진작가
기타연주가
색소폰연주가, 탱고강사
예술경영 예술사, ARCOM
다큐 사진 작가, ARTE 파견
<사례 2>
기업 내 동호회를 통한
자생적 예술적 개입 사례
[인문학 동호회 ‘통통배’ + 웹툰 ‘미생’]
한예종 예술경영 2013 1학기 ‘예술교육’ 수업
발표 자료에서 발췌
Daum 웹툰 ‘미생’ 윤태호 작가
인문학 동호회 ‘통통배’
매주 수요일 점심 시간
회사 취재가 잘 안됨. ‘종합상사’에서 거부.
무식에 대한 공포. 고졸 vs. 대졸.
<미생> 5~6회부터 회사원 연락되어 취재 시작.
윤태호(질문) :
“직장 생활이 ‘뭐가 힘든 거죠?’ 그냥 하라고 하는 일, 되는 일은 하고, 하지말라는 일, 안되는 일
은 안하면 될 것 같은데...”
회사원(대답) :
“제 하루를 묘사하겠습니다.
5시반에 기상합니다. 세면대에서 거울을 보고 한숨을 쉽니다. 회사가기 싫으니까.
(중략)
회사 앞에 도착해서 들어가기 전에 담배를 핍니다. 회사가기 싫으니까.
회사에 도착해서 커피를 마십니다. 바로 일하기 싫으니까.
예열을 한 후, 제가 보고서를 씁니다. ...(중략)... 쓰려고 하면 주지 않습니다.
갑자기 회의에 불려갑니다. 이도저도 아닌 회의가 끝납니다.
보고서 쓰기 위해 다시 커피를 마시고, 예열을 합니다. 외부업체 연락이 와서 흐름이 끊깁니다.
다시 보고서 쓰기 위해 예열을 합니다. 타팀에서 우리 회의에 참석해 조언해달라고 해서 다녀옵
니다.
다시 보고서 쓰기 위해 예열을 합니다. ....”
윤태호 작가의 회사 연구
, .
. . .
. .
6 . . .
2~3 . , . ( )
윤태호 작가의 회사 연구
윤태호 작가의 회사 연구 - 독자 반응
-
- 2013.3.27
<사례3>
연극을 통한 예술적 개입 사례
한예종 예술경영
2013 2학기 ‘기업과 문화예술’ 수업
2014 1학기 ‘문화산업’ 수업
발표 자료에서 발췌
“예술은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다.”
“연극은 매일 매일 사는 삶과 가장 가까운 예술이다.
인간의 경험과 행동을 주제로 삼을 뿐 아니라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일차적 수단으로
인간(배우)을 사용한다.”
“예술은 우리를 매일 매일의 싸움에서 끌어 올려서
우리로 하여금 인간경험을 “신의 눈”으로 보도록 해 준다.”
< Oscar G. Brockett 연극 개론 >
극단 목요일오후한시는 즉흥연극을 전문으로 하는 공연예술단체이다.
2004년에 창단, 매주 목요일 오후 한 시마다 야외 퍼포먼스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으면 "벌써 목요일 오후 한시야?"라고 말하며 이들을 지나쳐 가는 사람도 있었다는 창단 잡설
이 전해지고 있다.
목요일오후한시(이하 목한시)의 즉흥 연극은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er)' 형식을 모태로 하
고 있다. 플레이백 씨어터는 관객의 이야기를 듣고 배우와 악사가 즉석에서 연극으로 표현하는 형식이
다. 목요일오후한시는 이 형식을 팀 고유의 특성을 살려 변형하고 발전시켜 왔다.
어떤 이들은 "즉흥 연극도 연습을 하냐?"고 묻지만 사실 목한시의 배우들은 할 일이 겁나 많다. 기본적
인 연습은 물론이고 이야기 주제에 대한 탐구, 새로운 관객을 만나기 위한 사전 준비에서 일상의 공간
을 목한시만의 극장으로 탈바꿈 시키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목한시인은 이 과정들을 하나하나 즐기
고 있다.
문화기획자, 마임이스트, 연극놀이 강사, 번역가, 연출가, 여성문화연구원 등 다양한 일에 종사 하고 있
는 배우들은 각자의 경험을 살려 한 무대에서 만나고 있다.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 속에 숨은 시를 찾
아가는 이들의 여정은 계속 될 것이다.
한 사람의 이야기가 즉흥 연극을 통해 공동의 경험으로 바뀌는 순간 찾아오는 공감의 웃음과 눈
물, 이것이 극단 목요일오후한시가 관객들을 만나고 있는 이유이다.
출처 : http://thursday1pm.tistory.com
극단 목한시 - 플레이백 씨어터
등록정보 강OO 팀원 / 교육문화팀 경영지원 Unit / 2013-12-18
제목 외로움에 관한 즉흥 연극!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2013년 한 해동안 행복했지만, 아직 외로우세요?
외로움도 함께 나누면 재밌고 유쾌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다음인 여러분의 별별 외로움을 모아모아
재밌고 유쾌하게 연극으로 공연합니다!
연기하는 연극 배우들 조차 서로의 대사를 처음 들으며 연기하는
100% 즉흥 Inspiration Drama!
200% 공감 Interaction Drama!
300% 웃음 Funny Drama!
각자가 느끼는 외로움은 저마다 다르지만
누구나 외로움을 느낀다는 데서 오는 공감대 형성을 통해
진한 여운의 시간을 만나보세요^^
*. 참석하시는 분들은 12시 25분까지 5층 강의장으로 입실해주세요^^
[일시]
2013년 12월 19일(목) 오후 12시 30분 ~ 오후 1시 30분
[장소]
5층 강의장
[신청방법]
친밀한 공감을 위해 친한 동료분들과 함께 오시길 권장드립니다!^_^
신청자 (댓글)
방OO (2013-12-18 10:05:17) DOOOO / 방OO / 카페 Project
윤OO (2013-12-18 10:58:45) DOO / 윤OO / OO개발2팀
이OO (2013-12-18 11:11:29) DOOOO / 이OO / 데이터기획팀
권OO (2013-12-18 11:15:34) DOOOO / 권OO / 카페 Project
이OO (2013-12-18 14:26:08) DOOOO/ 이OO / 자연어처리팀
박OO (2013-12-19 10:29:16) DOOOO /박OO/ 카페프로젝트
나OO (2013-12-19 10:32:25) DOOOO / 나OO / 모바일OO사업팀
김OO (2013-12-19 10:36:52) DOOOO/김OO/OO기술팀
배OO (2013-12-19 10:39:58) 제주에 있어 안타까워요
박OO (2013-12-19 10:42:27) DOOOO / 박OO / OO개발3팀
김OO (2013-12-19 10:48:02) DOOOO / 김OO / OO5기술팀
정OO (2013-12-19 10:55:40) DOOOO / 정OO / 카페 Project
노OO (2013-12-19 11:00:48) DOOOO / 노OO / 비즈OO팀
이OO (2013-12-19 11:02:04) DOOOO / 이OO / OO기술팀
최OO (2013-12-19 11:05:46) DOOOO / 최OO /마플프로젝트
송OO (2013-12-19 11:14:54) DOOOO / 송OO/ OO컨텐츠개발팀
조OO (2013-12-19 11:19:24) DOOOO / 조OO / QE팀
최OO (2013-12-19 11:19:29) DOOOO / 최OO / QE팀
최OO (2013-12-19 12:21:07) DOOOO / 유OO / QE팀
Daum에서 목한시 공연 사례

외로움, 그 드라마에 대하여(부제 : 낯선 외로움 효과)
[무대] 강의장 [배우] 극단 목한시 [관객] 다음인 [희곡] 즉흥극(플레이백 씨어터)
아우구스토 보알의 연극 이론은,
무대와 객석이라는 연극의 틀을 과감하게 깨뜨리고 관객의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참여와 사회이슈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표현 자체가 바로 '연극'이라는
이론입니다.
아우구스토 보알은 연극에서 모든 인간은 관객인 동시에 배우라고 보았습니다.
즉 관객과 배우의 경계를 없애고 관객을 연극의 주체로 세우려하였고, 그 방법론이 바로 '억압당한 사람들의 연극'이
었죠.
그 '억압당한 사람들의 연극' 방법론의 핵심이 바로 토론연극, 즉 포럼연극인 것입니다.
다시말해, 토론연극(포럼연극)을 통해 관객과 배우의 경계를 없애고 관객을 연극의 주체로 변화시킨다는 것이죠.
2014년 6월. 아주아이티 워크샵 프로그램 - 포럼연극
포럼연극은 구체적 갈등이 담긴 짧은 장면을 보여줍니다. 그 극의 문제점을
관객들과 배우들이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면서 직접 결말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포럼연극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들이 직접 '이상적인' 결말을
만들어가며우리들이 살고 있는 현실을 보고, 분석하고, 생각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죠.
출처 : http://blog.klauskorea.com/154
아우구스토 보알의 포럼연극을 활용한
기업 교육 프로그램
[무대] 강의장 [배우] 전문 배우 + 교육 대상자 [관객] 교육 대상자 [희곡] 사전인터뷰 + 현장 참여
Daum 연극 토론 사례
[무대] 회의실 [배우] 참가자 모두 [관객] 참가자 모두 [희곡] 내부인 + 다시 쓰기
배경
2013년 미국에 소재한 포털 A사.
등장인물
• CEO : Donald
• Group Manager : Paul
• Unit Manager : John(주인공), Linda(주인공), David(주인공), Bob
• Team Manager : Chris, Amanda, 팀장1, 팀장2, 팀장3
• Team Senior Member : Alex
Paul은 3개월 전에 그룹장이 되었다. Paul은 유닛장으로 오랜 경험이 있지만,

그룹장으로서 전체를 총괄하는 것은 처음이다. Paul은 Donald로부터 회사의 위기를

단기간에 극복하여 성과를 내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주인공 John, Linda, David는 유닛장이 된지 1년 되었다. 팀장때보다 더 많은 범위의 일을 맡게 됐다.

특정 분야 전문가이기도 하지만, General Manager로서의 역량도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시간이 지날 수록 맡은 분야의 전문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느낀다.
Chris, Amanda는 맡은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 중 한사람이라고 자부하는 팀장이다.

하지만, 자신의 전문성을 회사에서 충분히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느낀다. 

협업해야 할 부서와 이견이 자주 있는데, 조율이 안될 때는 자신의 한계를 느낀다.

팀장으로 승진한 5년전에는 자신이 인정받는다고 느꼈으나 지금은 솔직히 잘 모르겠고

자신의 미래는 불확실하다고 느낀다. 회사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불만이 자주 떠오르지만, 

그럴 때마다 내 업무영역, 내 할 일이나 잘 하자고 다짐한다.
팀장1, 팀장2, 팀장3은 Amanda의 동료 팀장들이고,

Alex는 해당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시니어팀원이다.
배역
배우1(주인공) : John(유닛장)

배우2(주인공) : Linda(유닛장)

배우3(주인공) : David(유닛장)

배우4(일인 다역) : Paul(그룹장), Bob(유닛장)

배우5(일인 다역) : Chris(팀장), Amanda(팀장)
해설자
Scene 2 - Linda의 이야기
Linda(유닛장)와 Chris(팀장)이 최근 Paul(그룹장)이 발의한 프로젝트C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Chris : 저는 프로젝트C를 추가적으로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며 프로젝트A에 팀의 주요 리소스를 모두 넣은 상태인데요.
• Linda : 그러게 말이야. 나도 모르겠어. 어쨌든 Paul이 하자고 하니까 어떻게든 빨리 계획을 잡아서 진도 뽑자구.
• Chris : (울컥하며) 이렇게 이유도 알 수 없이 우선순위가 자꾸 바뀌면 팀원들 데리고 어떻게 일을 하죠? 그러니 회사가 전략이 없다는 소리를 듣죠?
• Linda : (한숨쉬며) 그러게... 전략을 잘 정해서 내려주면 좋은데, 우리 그거 잘 안되는 거 알잖아. 어쨌든 할 일 많으니, 빨리 하자. 수요일 오후 일정이 어
떻게 되지?
• Chris : (따지듯이) 프로젝트C가 얼마나 중요하죠? 1단계까지는 그렇다 치고, 그 다음은 뭔가요?
• Linda : 일단 1단계까지 만들어 놓으면 또 Paul이 얘기하겠지. 하라던지, 접으라던지. 그러니 빨리 만들어 보여주자.
관객 = 배우 @무대
다시 쓰는 연극토론
유닛장의 책임과 권한 토론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 밑줄 부분을 다시 써 주세요.
Scene 1
• Paul : 하겠다는 건가요, 말겠다는 건가요? 그거 코드 몇줄이면 될 것 같은데, (제가 프로그래밍을 한번도 해 보진 않았지만) 저라면 몇시간이면 하겠어요!
• John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Paul : (Paul의 캐릭터는 견지하되 John의 대사에 맞게 응답)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cene 2
• Chris : 저는 프로젝트C를 추가적으로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며 프로젝트A에 팀의 주요 리소스를 모두 넣은 상태인데요.
• Linda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Chris : (Chris의 캐릭터는 견지하되 Linda의 대사에 맞게 응답)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관객 = 희곡작가
배우
희곡
무대
해설자 참가자
대본 다시 쓰기
제 4의 벽 Staff
진행자
“일상을 거리두고 성찰하기”
“내가 상황의 변화 주체임을 깨닫기”
“동료의 노하우를 관찰, 경험하기”
모든 사람이 생산자
참가자가 다음엔 진행자가 된다
배우 = 관객 = 비평가
상황적 학습 이론
Situated Learning Theory
(Lave & Wenger 1991)
core
group
active
group
peripheral group
legitimate
participation
“Learning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과정”
Daum
 토론
 프로그램의
 학습
 이론
작가
진행자
비평가
참가자
관찰자
정 리
1. 연극은 매일 매일 사는 삶과 가장 가까운 예술이
다.
2. 연극사는 20세기 이후에 제4의 벽을 넘어서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3. Daum에서의 연극토론 사례는 “관객=배우=작가
=비평가”가 되는 연극이다.
4. Daum의 토론프로그램은 주변부에서 핵심부로
배움을 통해 이동하는 상황적 학습 방법이다.
사례 4
예술가와 임직원의 콜라보레이션
[다음 스페이스 닷투]
한예종 예술경영 2014 1학기 ‘문화산업’ 수업
발표 자료에서 발췌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
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
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
JeongKyu Park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G2 park
 
Weenu 2011 q2
Weenu 2011 q2Weenu 2011 q2
Weenu 2011 q2okmiho
 
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
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
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
현철 문
 
더플레이랩 소개서
더플레이랩 소개서더플레이랩 소개서
더플레이랩 소개서
the/playlab
 
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
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
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
(주)핑거
 
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
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
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
Ji Lee
 
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
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
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
Daegeun Kim
 
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
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
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
ecubestory
 
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
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
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
Maria Lim
 
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현철 문
 
아로마리 사업 계획서
아로마리 사업 계획서아로마리 사업 계획서
아로마리 사업 계획서Hong Yun Pyo
 
토마킷 사업 소개서
토마킷 사업 소개서토마킷 사업 소개서
토마킷 사업 소개서
현철 문
 
프리마켓 소개서 2016
프리마켓 소개서 2016프리마켓 소개서 2016
프리마켓 소개서 2016
freemarket
 
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
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
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
현철 문
 
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
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
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
Jin Hyuk Kim
 
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
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
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민혜 조
 
150708 사업계획서 최종
150708 사업계획서 최종150708 사업계획서 최종
150708 사업계획서 최종
Seonuk Song
 
사업계획서(컬트클럽)
사업계획서(컬트클럽)사업계획서(컬트클럽)
사업계획서(컬트클럽)
SNS4U
 
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
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
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
Sora Kong
 

Viewers also liked (20)

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
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
전국자전거 지도자협의회 하자센터 자전거공방 운영사례 발제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Weenu 2011 q2
Weenu 2011 q2Weenu 2011 q2
Weenu 2011 q2
 
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
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
공방탐색기사업계획서
 
더플레이랩 소개서
더플레이랩 소개서더플레이랩 소개서
더플레이랩 소개서
 
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
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
Only mobile platform 'free market'
 
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
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
Tech D.I.Y.- 테크놀로지 미래 직업 진로 탐색
 
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
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
FRENDS 발표자료 - 취미 개발기
 
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
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
이큐브 스토리 사업계획서
 
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
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
더불어숲 페어라이프 스토리
 
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Indoor취미를 첫경험 해보는 사람들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아로마리 사업 계획서
아로마리 사업 계획서아로마리 사업 계획서
아로마리 사업 계획서
 
토마킷 사업 소개서
토마킷 사업 소개서토마킷 사업 소개서
토마킷 사업 소개서
 
프리마켓 소개서 2016
프리마켓 소개서 2016프리마켓 소개서 2016
프리마켓 소개서 2016
 
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
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
토마킷사업계획서Pt 2015-09
 
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
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
사업계획서 톨리오 Slideshare
 
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
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
셀프웨딩 사업계획서조민혜
 
150708 사업계획서 최종
150708 사업계획서 최종150708 사업계획서 최종
150708 사업계획서 최종
 
사업계획서(컬트클럽)
사업계획서(컬트클럽)사업계획서(컬트클럽)
사업계획서(컬트클럽)
 
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
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
에코푸르니 창업계획서
 

Similar to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Jeonghwan Jeon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Jeonghwan Jeon
 
7th.lecture.step1.understanding
7th.lecture.step1.understanding7th.lecture.step1.understanding
7th.lecture.step1.understanding
Jeongeun Kwon
 
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
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
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Jinho Jung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
Sumin Yun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Eunseok Yi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팟케스트 세모돌 소개
팟케스트 세모돌 소개팟케스트 세모돌 소개
팟케스트 세모돌 소개
JaeUng Ha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
zeehye25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JUNGEUN KANG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
Minjune Kim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THE LAB h
 
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
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
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
ssuserde69bb
 
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
Jeongeun Kwon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Yi MoonSun
 
[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
[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
[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
SNOW.or.kr
 
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
Jeongeun Kwon
 
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
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
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
Seongmin Choi
 
#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
#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
#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
BaeHyeon Lee
 

Similar to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20)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7th.lecture.step1.understanding
7th.lecture.step1.understanding7th.lecture.step1.understanding
7th.lecture.step1.understanding
 
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
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
일하며 소통하며-꿈꾸며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윤수민)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별도착 여행단_탐방 보고서
 
팟케스트 세모돌 소개
팟케스트 세모돌 소개팟케스트 세모돌 소개
팟케스트 세모돌 소개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함지혜)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소통테이너 오종철 프로필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김민준)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
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
플레이리스트 브랜드북 :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2010366 임다연
 
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20190405
 
shutdownadobe(vol.1)
shutdownadobe(vol.1)shutdownadobe(vol.1)
shutdownadobe(vol.1)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휴먼스 오브 청주(Humans of cheongju) 프로젝트 아카이브
 
[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
[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
[SNOW 노트 지식모둠] 세계를 품은 역문인_최종결과보고서
 
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
5th.Lecture.step1.Understanding.Step2.Observation.20180405
 
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
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
휴먼스오브청주(Humans of cheongju)프로젝트 아카이브(최성민)
 
#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
#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
#휴학맨지식보전프로젝트 06.생존신고와 근황
 

More from Jeonghwan Jeon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Jeonghwan Jeon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Jeonghwan Jeon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Jeonghwan Jeon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Jeonghwan Jeon
 
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
Jeonghwan Jeon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Jeonghwan Jeon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Jeonghwan Jeon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Jeonghwan Jeon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Jeonghwan Jeon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Jeonghwan Jeon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Jeonghwan Jeon
 

More from Jeonghwan Jeon (11)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 1.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다음카카오 사내시스템파트장 (ex-다음커뮤니케이션 경영지원유닛장) 한예종 예술경영 전문사 재학 전정환
  • 9. 전정환 전수환 민창현 이정주 정부환 백영선 김인웅 김영찬 노익상 2012 즐거움 연구회(파일럿 실험) 권영은 개발자 개발자 개발자 문화제휴마케터 기타연주가 색소폰연주가 예술경영 예술사, ARCOM 다큐 사진 작가, ARTE 파견 예술경영 교수문화전략가
  • 10. 2013.10 - 정부환 - http://bahnsville.tistory.com/879
  • 11. 2014 탱고 - 이정주,김영찬,전수환 - 매주 수요일 저녁 Daum 한남 사옥 카페
  • 12. 전수환 ‘창조적 다중 삶’ 디자인 매개자의 지속적 확장(2012~2014~) 전정환 민창현 이정주 정부환 백영선 김인웅 김영찬 노익상 권영은 라퍼커션 서지혜 예술경영 석사 예술경영 교수예술경영 전문사 예술경영 교수 뮤지션 종합아티스트 사진작가 기타연주가 색소폰연주가, 탱고강사 예술경영 예술사, ARCOM 다큐 사진 작가, ARTE 파견
  • 13. <사례 2> 기업 내 동호회를 통한 자생적 예술적 개입 사례 [인문학 동호회 ‘통통배’ + 웹툰 ‘미생’] 한예종 예술경영 2013 1학기 ‘예술교육’ 수업 발표 자료에서 발췌
  • 14. Daum 웹툰 ‘미생’ 윤태호 작가 인문학 동호회 ‘통통배’ 매주 수요일 점심 시간
  • 15. 회사 취재가 잘 안됨. ‘종합상사’에서 거부. 무식에 대한 공포. 고졸 vs. 대졸. <미생> 5~6회부터 회사원 연락되어 취재 시작. 윤태호(질문) : “직장 생활이 ‘뭐가 힘든 거죠?’ 그냥 하라고 하는 일, 되는 일은 하고, 하지말라는 일, 안되는 일 은 안하면 될 것 같은데...” 회사원(대답) : “제 하루를 묘사하겠습니다. 5시반에 기상합니다. 세면대에서 거울을 보고 한숨을 쉽니다. 회사가기 싫으니까. (중략) 회사 앞에 도착해서 들어가기 전에 담배를 핍니다. 회사가기 싫으니까. 회사에 도착해서 커피를 마십니다. 바로 일하기 싫으니까. 예열을 한 후, 제가 보고서를 씁니다. ...(중략)... 쓰려고 하면 주지 않습니다. 갑자기 회의에 불려갑니다. 이도저도 아닌 회의가 끝납니다. 보고서 쓰기 위해 다시 커피를 마시고, 예열을 합니다. 외부업체 연락이 와서 흐름이 끊깁니다. 다시 보고서 쓰기 위해 예열을 합니다. 타팀에서 우리 회의에 참석해 조언해달라고 해서 다녀옵 니다. 다시 보고서 쓰기 위해 예열을 합니다. ....” 윤태호 작가의 회사 연구
  • 16. , . . . . . . 6 . . . 2~3 . , . ( ) 윤태호 작가의 회사 연구
  • 17. 윤태호 작가의 회사 연구 - 독자 반응
  • 19.
  • 20. <사례3> 연극을 통한 예술적 개입 사례 한예종 예술경영 2013 2학기 ‘기업과 문화예술’ 수업 2014 1학기 ‘문화산업’ 수업 발표 자료에서 발췌
  • 21. “예술은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다.” “연극은 매일 매일 사는 삶과 가장 가까운 예술이다. 인간의 경험과 행동을 주제로 삼을 뿐 아니라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일차적 수단으로 인간(배우)을 사용한다.” “예술은 우리를 매일 매일의 싸움에서 끌어 올려서 우리로 하여금 인간경험을 “신의 눈”으로 보도록 해 준다.” < Oscar G. Brockett 연극 개론 >
  • 22. 극단 목요일오후한시는 즉흥연극을 전문으로 하는 공연예술단체이다. 2004년에 창단, 매주 목요일 오후 한 시마다 야외 퍼포먼스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으면 "벌써 목요일 오후 한시야?"라고 말하며 이들을 지나쳐 가는 사람도 있었다는 창단 잡설 이 전해지고 있다. 목요일오후한시(이하 목한시)의 즉흥 연극은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er)' 형식을 모태로 하 고 있다. 플레이백 씨어터는 관객의 이야기를 듣고 배우와 악사가 즉석에서 연극으로 표현하는 형식이 다. 목요일오후한시는 이 형식을 팀 고유의 특성을 살려 변형하고 발전시켜 왔다. 어떤 이들은 "즉흥 연극도 연습을 하냐?"고 묻지만 사실 목한시의 배우들은 할 일이 겁나 많다. 기본적 인 연습은 물론이고 이야기 주제에 대한 탐구, 새로운 관객을 만나기 위한 사전 준비에서 일상의 공간 을 목한시만의 극장으로 탈바꿈 시키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목한시인은 이 과정들을 하나하나 즐기 고 있다. 문화기획자, 마임이스트, 연극놀이 강사, 번역가, 연출가, 여성문화연구원 등 다양한 일에 종사 하고 있 는 배우들은 각자의 경험을 살려 한 무대에서 만나고 있다.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 속에 숨은 시를 찾 아가는 이들의 여정은 계속 될 것이다. 한 사람의 이야기가 즉흥 연극을 통해 공동의 경험으로 바뀌는 순간 찾아오는 공감의 웃음과 눈 물, 이것이 극단 목요일오후한시가 관객들을 만나고 있는 이유이다. 출처 : http://thursday1pm.tistory.com 극단 목한시 - 플레이백 씨어터
  • 23. 등록정보 강OO 팀원 / 교육문화팀 경영지원 Unit / 2013-12-18 제목 외로움에 관한 즉흥 연극!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2013년 한 해동안 행복했지만, 아직 외로우세요? 외로움도 함께 나누면 재밌고 유쾌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다음인 여러분의 별별 외로움을 모아모아 재밌고 유쾌하게 연극으로 공연합니다! 연기하는 연극 배우들 조차 서로의 대사를 처음 들으며 연기하는 100% 즉흥 Inspiration Drama! 200% 공감 Interaction Drama! 300% 웃음 Funny Drama! 각자가 느끼는 외로움은 저마다 다르지만 누구나 외로움을 느낀다는 데서 오는 공감대 형성을 통해 진한 여운의 시간을 만나보세요^^ *. 참석하시는 분들은 12시 25분까지 5층 강의장으로 입실해주세요^^ [일시] 2013년 12월 19일(목) 오후 12시 30분 ~ 오후 1시 30분 [장소] 5층 강의장 [신청방법] 친밀한 공감을 위해 친한 동료분들과 함께 오시길 권장드립니다!^_^ 신청자 (댓글) 방OO (2013-12-18 10:05:17) DOOOO / 방OO / 카페 Project 윤OO (2013-12-18 10:58:45) DOO / 윤OO / OO개발2팀 이OO (2013-12-18 11:11:29) DOOOO / 이OO / 데이터기획팀 권OO (2013-12-18 11:15:34) DOOOO / 권OO / 카페 Project 이OO (2013-12-18 14:26:08) DOOOO/ 이OO / 자연어처리팀 박OO (2013-12-19 10:29:16) DOOOO /박OO/ 카페프로젝트 나OO (2013-12-19 10:32:25) DOOOO / 나OO / 모바일OO사업팀 김OO (2013-12-19 10:36:52) DOOOO/김OO/OO기술팀 배OO (2013-12-19 10:39:58) 제주에 있어 안타까워요 박OO (2013-12-19 10:42:27) DOOOO / 박OO / OO개발3팀 김OO (2013-12-19 10:48:02) DOOOO / 김OO / OO5기술팀 정OO (2013-12-19 10:55:40) DOOOO / 정OO / 카페 Project 노OO (2013-12-19 11:00:48) DOOOO / 노OO / 비즈OO팀 이OO (2013-12-19 11:02:04) DOOOO / 이OO / OO기술팀 최OO (2013-12-19 11:05:46) DOOOO / 최OO /마플프로젝트 송OO (2013-12-19 11:14:54) DOOOO / 송OO/ OO컨텐츠개발팀 조OO (2013-12-19 11:19:24) DOOOO / 조OO / QE팀 최OO (2013-12-19 11:19:29) DOOOO / 최OO / QE팀 최OO (2013-12-19 12:21:07) DOOOO / 유OO / QE팀 Daum에서 목한시 공연 사례
 외로움, 그 드라마에 대하여(부제 : 낯선 외로움 효과) [무대] 강의장 [배우] 극단 목한시 [관객] 다음인 [희곡] 즉흥극(플레이백 씨어터)
  • 24. 아우구스토 보알의 연극 이론은, 무대와 객석이라는 연극의 틀을 과감하게 깨뜨리고 관객의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참여와 사회이슈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표현 자체가 바로 '연극'이라는 이론입니다. 아우구스토 보알은 연극에서 모든 인간은 관객인 동시에 배우라고 보았습니다. 즉 관객과 배우의 경계를 없애고 관객을 연극의 주체로 세우려하였고, 그 방법론이 바로 '억압당한 사람들의 연극'이 었죠. 그 '억압당한 사람들의 연극' 방법론의 핵심이 바로 토론연극, 즉 포럼연극인 것입니다. 다시말해, 토론연극(포럼연극)을 통해 관객과 배우의 경계를 없애고 관객을 연극의 주체로 변화시킨다는 것이죠. 2014년 6월. 아주아이티 워크샵 프로그램 - 포럼연극 포럼연극은 구체적 갈등이 담긴 짧은 장면을 보여줍니다. 그 극의 문제점을 관객들과 배우들이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면서 직접 결말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포럼연극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들이 직접 '이상적인' 결말을 만들어가며우리들이 살고 있는 현실을 보고, 분석하고, 생각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죠. 출처 : http://blog.klauskorea.com/154 아우구스토 보알의 포럼연극을 활용한 기업 교육 프로그램 [무대] 강의장 [배우] 전문 배우 + 교육 대상자 [관객] 교육 대상자 [희곡] 사전인터뷰 + 현장 참여
  • 25. Daum 연극 토론 사례 [무대] 회의실 [배우] 참가자 모두 [관객] 참가자 모두 [희곡] 내부인 + 다시 쓰기
  • 26. 배경 2013년 미국에 소재한 포털 A사. 등장인물 • CEO : Donald • Group Manager : Paul • Unit Manager : John(주인공), Linda(주인공), David(주인공), Bob • Team Manager : Chris, Amanda, 팀장1, 팀장2, 팀장3 • Team Senior Member : Alex Paul은 3개월 전에 그룹장이 되었다. Paul은 유닛장으로 오랜 경험이 있지만,
 그룹장으로서 전체를 총괄하는 것은 처음이다. Paul은 Donald로부터 회사의 위기를
 단기간에 극복하여 성과를 내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주인공 John, Linda, David는 유닛장이 된지 1년 되었다. 팀장때보다 더 많은 범위의 일을 맡게 됐다.
 특정 분야 전문가이기도 하지만, General Manager로서의 역량도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시간이 지날 수록 맡은 분야의 전문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느낀다. Chris, Amanda는 맡은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 중 한사람이라고 자부하는 팀장이다.
 하지만, 자신의 전문성을 회사에서 충분히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느낀다. 
 협업해야 할 부서와 이견이 자주 있는데, 조율이 안될 때는 자신의 한계를 느낀다.
 팀장으로 승진한 5년전에는 자신이 인정받는다고 느꼈으나 지금은 솔직히 잘 모르겠고
 자신의 미래는 불확실하다고 느낀다. 회사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불만이 자주 떠오르지만, 
 그럴 때마다 내 업무영역, 내 할 일이나 잘 하자고 다짐한다. 팀장1, 팀장2, 팀장3은 Amanda의 동료 팀장들이고,
 Alex는 해당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시니어팀원이다. 배역 배우1(주인공) : John(유닛장)
 배우2(주인공) : Linda(유닛장)
 배우3(주인공) : David(유닛장)
 배우4(일인 다역) : Paul(그룹장), Bob(유닛장)
 배우5(일인 다역) : Chris(팀장), Amanda(팀장) 해설자
  • 27. Scene 2 - Linda의 이야기 Linda(유닛장)와 Chris(팀장)이 최근 Paul(그룹장)이 발의한 프로젝트C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Chris : 저는 프로젝트C를 추가적으로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며 프로젝트A에 팀의 주요 리소스를 모두 넣은 상태인데요. • Linda : 그러게 말이야. 나도 모르겠어. 어쨌든 Paul이 하자고 하니까 어떻게든 빨리 계획을 잡아서 진도 뽑자구. • Chris : (울컥하며) 이렇게 이유도 알 수 없이 우선순위가 자꾸 바뀌면 팀원들 데리고 어떻게 일을 하죠? 그러니 회사가 전략이 없다는 소리를 듣죠? • Linda : (한숨쉬며) 그러게... 전략을 잘 정해서 내려주면 좋은데, 우리 그거 잘 안되는 거 알잖아. 어쨌든 할 일 많으니, 빨리 하자. 수요일 오후 일정이 어 떻게 되지? • Chris : (따지듯이) 프로젝트C가 얼마나 중요하죠? 1단계까지는 그렇다 치고, 그 다음은 뭔가요? • Linda : 일단 1단계까지 만들어 놓으면 또 Paul이 얘기하겠지. 하라던지, 접으라던지. 그러니 빨리 만들어 보여주자. 관객 = 배우 @무대
  • 28. 다시 쓰는 연극토론 유닛장의 책임과 권한 토론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 밑줄 부분을 다시 써 주세요. Scene 1 • Paul : 하겠다는 건가요, 말겠다는 건가요? 그거 코드 몇줄이면 될 것 같은데, (제가 프로그래밍을 한번도 해 보진 않았지만) 저라면 몇시간이면 하겠어요! • John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Paul : (Paul의 캐릭터는 견지하되 John의 대사에 맞게 응답)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cene 2 • Chris : 저는 프로젝트C를 추가적으로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며 프로젝트A에 팀의 주요 리소스를 모두 넣은 상태인데요. • Linda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Chris : (Chris의 캐릭터는 견지하되 Linda의 대사에 맞게 응답)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관객 = 희곡작가
  • 29. 배우 희곡 무대 해설자 참가자 대본 다시 쓰기 제 4의 벽 Staff 진행자 “일상을 거리두고 성찰하기” “내가 상황의 변화 주체임을 깨닫기” “동료의 노하우를 관찰, 경험하기” 모든 사람이 생산자
  • 31. 배우 = 관객 = 비평가
  • 32. 상황적 학습 이론 Situated Learning Theory (Lave & Wenger 1991) core group active group peripheral group legitimate participation “Learning은 주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과정” Daum
  • 37. 정 리 1. 연극은 매일 매일 사는 삶과 가장 가까운 예술이 다. 2. 연극사는 20세기 이후에 제4의 벽을 넘어서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3. Daum에서의 연극토론 사례는 “관객=배우=작가 =비평가”가 되는 연극이다. 4. Daum의 토론프로그램은 주변부에서 핵심부로 배움을 통해 이동하는 상황적 학습 방법이다.
  • 38. 사례 4 예술가와 임직원의 콜라보레이션 [다음 스페이스 닷투] 한예종 예술경영 2014 1학기 ‘문화산업’ 수업 발표 자료에서 발췌
  • 40.
  • 41. 다음인과 예술가가 함께 외치는 “세상을 즐겁게~~~!!!” 2014.4.11 - 다음 스페이스닷투 오픈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