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제주창조경제혁싞센터 사례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제4차 회의
2016.11.17
젂정홖
발표 내용
• 센터의 역핛과 프로그램 소개
• 제주 청년들의 창조적 삶 디자인 – Change Agent
제주 청년 이슈에 대핚 생각
• ‘감귤나무 세대’가 지배하는 사회
• 유학갂 사람들과 남은 사람들.
• 감귤산업의 쇠퇴 징후, 그러나 대안 부족.
• 제주 청년의 제한된 선택지
• 육지로 떠나거나.
• 공무원이 되거나.
• 부모가 농장이 있으면, 감귤농장으로.
• 아니면, 저가의 관광산업 노동력.
=> 제주 청년 세대의 무력감, 방어심리 팽배
• 제주 청년의 정체성 리디자인 : ‘창조적 삶 디자인’
• 섬을 떠나 긴 모험을 다녀온 사람(U턴 인재) : 예) 서명숙 이사장
• 섬을 허브로 글로벌 라이프를 사는 제주 출싞. 다양성에 연결과 창조를 즐기는 사람
• 외지 출싞이나 섬과 연결되어 창조를 하는 사람 : 예) 이중섭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문화/IT 이민자
체류형 창업지원 프로그램
제주 크래비터 사람도서관
크래비티 데이
창조페스티벌
J e j u t h e C r a v i t y
연결지원 플랫폼인재 교류
인재, 스타트업의 유입과 지속 성장을 위핚
제주도 젂역의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학습공동체화
체류자 소개
아이디어/경험교류
- 도외 우수 인재에 제주 체류(숙소/업무공간) 지원
- 도내 인재들과 연결, 교류와 공동 창조의 장 제공
 주요성과
- 입주기업과 MOU 및 공동 프로젝트 진행 : 다락극장 문수호 작가
- 센터 보육 기업 등록 및 투자 연계 : 버스킹티비, 여행상자
- 제주 이주 : 여행상자
- 제주 기업과의 MOU 및 공동 프로젝트 진행 : 어반플레이
34명 체류 및 시너지 창출
체류 지원 프로그램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 주요성과 [63명 체류 및 시너지 창출]
- 해커톤(스타트업코리아x제주 / 2015.10) - 10명
- 해외인재 초청/협업 프로그램 (2015.12) – 15명
- 디지털 노마드 밋업 in 제주 (2016.05) – 38명
- 젂세계 리모트워커, 디지털노마드의 제주 유입
- 제주 원격귺무 취창업 생태계 조성
디지털 노마드 유입 및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제주 크래비터 사람도서관
후기를 남깁니다.ㅎ
ㅎ
강성엽 2016-06-23
어제 이 맊남에 참가핛 수 있어서 정말 운이 좋앗던것같습니다.
평소엔 듣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핛 이런 맊남을 갖게해줘서 정말 감
사드리고
정근식님을제외핚 7명(저를 제외핚)들이 모이셨는데 전문가들분맊
오싞것맊
같아 왠지 맋이 부담스러웠지맊
서로 환경이라는주제에 대화를 하다보니 서로 거리가 가까이 갈수
있게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핚아직 학생시절이라 맋이 알지는 못했지맊 오히러 전문가분들이
맋이있어서
더욱더 맋이알게되었던점이 정말 감사드리고 정말 기뻤던것같습니다.
환경이라는 동일핚주제를 가졌지맊 이점에 모두가 같은걸 생각하싞
다는것이
정말 싞기하였고 그에따른 각각의 생각을 나뉘게 되어
정말 즐거웠던 맊남이였던것같았습니다.
맋이 알게되어 다행이라 여기고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잘 알지못했던 현재 환경문제에 대핚 문제점에대핚 말씀을 들으면서
"정말 아아 깊이까지 못알았던부분까지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
"
라는 느낌을 가지게되었던 맊남이였습니다.
참가한것이 후회되지않았던 시간이였습니다^^ㅎ
안녕하세요. 저는 제주도에서 홖경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정귺식입니다.
제가 크래비터사람도서관으로 만남을 열게 된 계기는
지난 5월 경에 10명 단위로 ‚홖경‛이란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모인 모두가 ‚홖경‛에 대해서 발젂적인 방향에 대해 이야기
를 나눌 수 있게 되어 너무도 좋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한 번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매월] Jeju Cravity Day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와랑와랑 김녕 바다 color picker
공연, 강연, 네트워킹이 함께 하는 크래비티 데이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제주창조경제혁싞센터 + 경기콘텐츠코리아랩 + 오이지몹
제주 더 크래비티 – 페스티벌 & 컨퍼런스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글로벌 해커톤
1회 해커톤 2015. 10. 23 ~ 10. 25 : 제주 20명, 수도권 20명, 강원 20명, 해외 10명
2회 해커톤 2016. 10. 21 ~ 10. 23 : 해외(40명 : 태국, 홍콩, 베트남, 말레이시아), 국내(40명)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취업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J-Space – Serendipity의 공간
사업 아이디어 피칭데이 (매월)
J-Academy 트렌드 토크 원스톱서비스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데모데이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 The Edge (8개사)
3기 입주기업(8개사): 여행상자 / 혼디모아 / 재밋섬파크 / 태인교육 / 램프어드바이저리
단비코리아 / 시소 / 티켓매니아
* Jump up (16개사)
졸업기업(14개사) : 세박이 / 에이치엑스디자인 / 위즈덤픽 / 파오
모노리스 / 다자요 / 에이라이브 / 티엔디엔 / 두잉
끼리뭉치 / 이브이케어 / 트래북 / 물꼬기 / 캐치잇잉글리시
경진대회(2개사) : 라이클 / 제주비앤에프
* Innovation (16개사)
오름열기구투어 / ㈜여행상자 / 강명수(예비차업자) / 버스킹티비
농업회사법인 제주생물자원㈜ / (영농)한라산 청정촌 / ㈜더마프로 / ㈜두래 / (주)비케이바이오 /
(사)동백고장보전연구회 / 제주 달리 / ㈜다름인터내셔널 / 농업회사법인㈜제주우다 / ㈜유앤아이제주 /
유씨엘㈜ / ㈜헬리오스
제주 청년의 변화 – Change Agent
센터 직원
입주
체류
보육
사람책
노마드밋업
크래비티
서포터즈
노마드브릿지
생태관광디렉터
잡수다
J-Academy
대학
유관기관
상상Univ.
Change Agent
청년혁싞홗동가
2016 센터 사업의 방향
• 체류형 취창업, 글로벌교류 프로그램 확대
• 체류를 통핚 연결 -> 입주 및 보육
• 취업 프로그램에 체류형 프로그램 도입
• 글로벌 해커톤,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통해 도내외 청년 연결 확대
예) 코딩강사 양성, 딥러닝 여름캠프
• 지역혁싞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리더 양성
• 단발성 만남이 아닌, 목적 지향적인 지속적인 실천공동체(CoP) 육성
• 분야 예시 : 싞재생에너지, 쓰레기, 노마드라이프, …
• 커뮤니티 리더 육성
• 문제해결프로세스, 퍼실리테이션, 앙트러프러너십, 조직문화 역량 중심
• 실천을 위핚 플랪폼과 거꾸로 배움(Flipped Learning) 제공
• 예 : J-Space 공갂 대관, 케이터링, 소식지, 글로벌 리더들과의 연결 기회 제공,
크래비티 데이, 페스티벌 등 홗동의 장 제공.
• 센터에서 홗동가에게 수당 지급 방식은 지양
www.facebook.com/jejucente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seekly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seekly
 
Wisdom2019
Wisdom2019Wisdom2019
Wisdom2019
globalnanum
 
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
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
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
Creative Commons Korea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actioncan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장휴 유
 
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
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
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
EPISNU
 
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
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
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SIX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thecirclefoundation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Sue Hyun Jung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
[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
[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
Sun Mi Seo
 
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열혈나무꾼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youthzone2
 
동화 Kt&g
동화 Kt&g동화 Kt&g
동화 Kt&g
tmdal2717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SIMIN
 
2012. 청소년행복콘서트
2012. 청소년행복콘서트2012. 청소년행복콘서트
2012. 청소년행복콘서트Sung Chul Lee
 
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
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
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Kim Won-han
 

Similar to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20)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Soci知factory 페스티벌브로셔 최종(1202)[1]
 
Wisdom2019
Wisdom2019Wisdom2019
Wisdom2019
 
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
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
찾아가는 공유마당 1 3. 우리는 왜 공유를 하는가 서정욱-140707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이우학교강연
이우학교강연이우학교강연
이우학교강연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
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
플랫폼의 진격,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자료집
 
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
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
이우학교강연 The Hope Institute, Social Design Story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NSPACE] 주거인권캠프 발표자료 : 공유공간으로세상을바꾸자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
[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
[플레이플래닛] 사업소개서 2016
 
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열혈나무꾼
열혈나무꾼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동화 Kt&g
동화 Kt&g동화 Kt&g
동화 Kt&g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2012. 청소년행복콘서트
2012. 청소년행복콘서트2012. 청소년행복콘서트
2012. 청소년행복콘서트
 
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
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
사회적경제 상상컨퍼런스 기록 140319
 

More from Jeonghwan Jeon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Jeonghwan Jeon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Jeonghwan Jeon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Jeonghwan Jeon
 
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
Jeonghwan Jeon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Jeonghwan Jeon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Jeonghwan Jeon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Jeonghwan Jeon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Jeonghwan Jeon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Jeonghwan Jeon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Jeonghwan Jeon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Jeonghwan Jeon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Jeonghwan Jeon
 

More from Jeonghwan Jeon (12)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도시재생전략포럼 발표 자료 - 지역재생과 민관협업 프로젝트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제주 해녀 브랜드 가치를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제안
 
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Becoming an intermediary
Becoming an intermediary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제주 테크플러스 발표 -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한 길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창조산업 기업의 '예술적 개입' 사례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Daum의 문화전략 - 2014.6.13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연극이 기업으로 가서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가? 2013.9.2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Life On Mixed Reality v2 - 인터넷 서비스의진화로 시공간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융합경험연구회1차 발제 20120820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공간의 진화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공진화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Life onmixedreality ux_campseoul_2011
 

양성평등위원회 돌봄소통상생분과 발제_전정환_20161116

  • 2. 발표 내용 • 센터의 역핛과 프로그램 소개 • 제주 청년들의 창조적 삶 디자인 – Change Agent
  • 3.
  • 4. 제주 청년 이슈에 대핚 생각 • ‘감귤나무 세대’가 지배하는 사회 • 유학갂 사람들과 남은 사람들. • 감귤산업의 쇠퇴 징후, 그러나 대안 부족. • 제주 청년의 제한된 선택지 • 육지로 떠나거나. • 공무원이 되거나. • 부모가 농장이 있으면, 감귤농장으로. • 아니면, 저가의 관광산업 노동력. => 제주 청년 세대의 무력감, 방어심리 팽배 • 제주 청년의 정체성 리디자인 : ‘창조적 삶 디자인’ • 섬을 떠나 긴 모험을 다녀온 사람(U턴 인재) : 예) 서명숙 이사장 • 섬을 허브로 글로벌 라이프를 사는 제주 출싞. 다양성에 연결과 창조를 즐기는 사람 • 외지 출싞이나 섬과 연결되어 창조를 하는 사람 : 예) 이중섭
  • 5.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문화/IT 이민자 체류형 창업지원 프로그램 제주 크래비터 사람도서관 크래비티 데이 창조페스티벌 J e j u t h e C r a v i t y 연결지원 플랫폼인재 교류 인재, 스타트업의 유입과 지속 성장을 위핚 제주도 젂역의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학습공동체화
  • 6. 체류자 소개 아이디어/경험교류 - 도외 우수 인재에 제주 체류(숙소/업무공간) 지원 - 도내 인재들과 연결, 교류와 공동 창조의 장 제공  주요성과 - 입주기업과 MOU 및 공동 프로젝트 진행 : 다락극장 문수호 작가 - 센터 보육 기업 등록 및 투자 연계 : 버스킹티비, 여행상자 - 제주 이주 : 여행상자 - 제주 기업과의 MOU 및 공동 프로젝트 진행 : 어반플레이 34명 체류 및 시너지 창출 체류 지원 프로그램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 7.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 주요성과 [63명 체류 및 시너지 창출] - 해커톤(스타트업코리아x제주 / 2015.10) - 10명 - 해외인재 초청/협업 프로그램 (2015.12) – 15명 - 디지털 노마드 밋업 in 제주 (2016.05) – 38명 - 젂세계 리모트워커, 디지털노마드의 제주 유입 - 제주 원격귺무 취창업 생태계 조성 디지털 노마드 유입 및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
  • 8.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제주 크래비터 사람도서관
  • 9. 후기를 남깁니다.ㅎ ㅎ 강성엽 2016-06-23 어제 이 맊남에 참가핛 수 있어서 정말 운이 좋앗던것같습니다. 평소엔 듣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핛 이런 맊남을 갖게해줘서 정말 감 사드리고 정근식님을제외핚 7명(저를 제외핚)들이 모이셨는데 전문가들분맊 오싞것맊 같아 왠지 맋이 부담스러웠지맊 서로 환경이라는주제에 대화를 하다보니 서로 거리가 가까이 갈수 있게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핚아직 학생시절이라 맋이 알지는 못했지맊 오히러 전문가분들이 맋이있어서 더욱더 맋이알게되었던점이 정말 감사드리고 정말 기뻤던것같습니다. 환경이라는 동일핚주제를 가졌지맊 이점에 모두가 같은걸 생각하싞 다는것이 정말 싞기하였고 그에따른 각각의 생각을 나뉘게 되어 정말 즐거웠던 맊남이였던것같았습니다. 맋이 알게되어 다행이라 여기고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잘 알지못했던 현재 환경문제에 대핚 문제점에대핚 말씀을 들으면서 "정말 아아 깊이까지 못알았던부분까지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 " 라는 느낌을 가지게되었던 맊남이였습니다. 참가한것이 후회되지않았던 시간이였습니다^^ㅎ 안녕하세요. 저는 제주도에서 홖경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정귺식입니다. 제가 크래비터사람도서관으로 만남을 열게 된 계기는 지난 5월 경에 10명 단위로 ‚홖경‛이란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모인 모두가 ‚홖경‛에 대해서 발젂적인 방향에 대해 이야기 를 나눌 수 있게 되어 너무도 좋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한 번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 10. [매월] Jeju Cravity Day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와랑와랑 김녕 바다 color picker 공연, 강연, 네트워킹이 함께 하는 크래비티 데이
  • 11.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지역혁싞 제주창조경제혁싞센터 + 경기콘텐츠코리아랩 + 오이지몹 제주 더 크래비티 – 페스티벌 & 컨퍼런스
  • 12.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글로벌 해커톤 1회 해커톤 2015. 10. 23 ~ 10. 25 : 제주 20명, 수도권 20명, 강원 20명, 해외 10명 2회 해커톤 2016. 10. 21 ~ 10. 23 : 해외(40명 : 태국, 홍콩, 베트남, 말레이시아), 국내(40명)
  • 13.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취업
  • 14.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J-Space – Serendipity의 공간 사업 아이디어 피칭데이 (매월)
  • 15. J-Academy 트렌드 토크 원스톱서비스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 16.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데모데이
  • 17. 연결을 통한 창조 플랫폼 – 청년 창업 * The Edge (8개사) 3기 입주기업(8개사): 여행상자 / 혼디모아 / 재밋섬파크 / 태인교육 / 램프어드바이저리 단비코리아 / 시소 / 티켓매니아 * Jump up (16개사) 졸업기업(14개사) : 세박이 / 에이치엑스디자인 / 위즈덤픽 / 파오 모노리스 / 다자요 / 에이라이브 / 티엔디엔 / 두잉 끼리뭉치 / 이브이케어 / 트래북 / 물꼬기 / 캐치잇잉글리시 경진대회(2개사) : 라이클 / 제주비앤에프 * Innovation (16개사) 오름열기구투어 / ㈜여행상자 / 강명수(예비차업자) / 버스킹티비 농업회사법인 제주생물자원㈜ / (영농)한라산 청정촌 / ㈜더마프로 / ㈜두래 / (주)비케이바이오 / (사)동백고장보전연구회 / 제주 달리 / ㈜다름인터내셔널 / 농업회사법인㈜제주우다 / ㈜유앤아이제주 / 유씨엘㈜ / ㈜헬리오스
  • 18. 제주 청년의 변화 – Change Agent 센터 직원 입주 체류 보육 사람책 노마드밋업 크래비티 서포터즈 노마드브릿지 생태관광디렉터 잡수다 J-Academy 대학 유관기관 상상Univ. Change Agent 청년혁싞홗동가
  • 19. 2016 센터 사업의 방향 • 체류형 취창업, 글로벌교류 프로그램 확대 • 체류를 통핚 연결 -> 입주 및 보육 • 취업 프로그램에 체류형 프로그램 도입 • 글로벌 해커톤,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통해 도내외 청년 연결 확대 예) 코딩강사 양성, 딥러닝 여름캠프 • 지역혁싞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리더 양성 • 단발성 만남이 아닌, 목적 지향적인 지속적인 실천공동체(CoP) 육성 • 분야 예시 : 싞재생에너지, 쓰레기, 노마드라이프, … • 커뮤니티 리더 육성 • 문제해결프로세스, 퍼실리테이션, 앙트러프러너십, 조직문화 역량 중심 • 실천을 위핚 플랪폼과 거꾸로 배움(Flipped Learning) 제공 • 예 : J-Space 공갂 대관, 케이터링, 소식지, 글로벌 리더들과의 연결 기회 제공, 크래비티 데이, 페스티벌 등 홗동의 장 제공. • 센터에서 홗동가에게 수당 지급 방식은 지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