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채식,
선택에서 의무
로
소라 (녹색정치활동가)
2020. 11. 25. 맨땅에 초로록
<언제까지 이렇게 먹을 수 있을까?>
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주
범
출처: 영국 채텀하우스(왕립국제문제연구
소)
축산업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8%를 차지
축산업의 온실가스는
전세계 모든 교통수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보다 많은 양
(출처: 유엔 식량농업기구 “축산업의 긴 그림자”)
축산업은 기후변화의 최대 원인
축산업이 해치는 생물다양성
가축 사료를 위한 대두경작지, 목초지 확보를 위해 일부러 화재를 낸다
전세계 경작 가능한 토지의 35%가 가축의 사료 생산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지구상의 포유동물 중 36%는 인간, 60%는 축산동물, 야생동물은 단 4%
식량 시스템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식단 변화가 2050년의 환경에 끼칠 영향. (B)는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감소량.
HGD는 권장식단, VGT는 채식주의식단, VGN은 완전채식식단이다. PNAS(미국
국립 과학원)
인간이 모두 비건채식을 한다면?
음식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의 70% 가량이 감
소될 것
기후위기 대응에
개인이 할 수 있는 최대의 실천, 채식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프랑스의 주1회 채식 의무제: EGA(EGalim) 🇫🇫 🇷🇷
학교 및 대학 급식 서비스와 보건, 사회 및
의료 사회 시설 및 기타 시설에서 제공되는
식사의 영양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
으로 함.
국가 식량 프로그램(NAP3)의 일환으로, 하
루에 200인분 이상을 배급하는 공공기관에
서는 식물성 단백질을 기본으로 하는 대안
을 포함하여 단백질 다각화의 다년간 계획
을 수립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2019년 11월 1일부터 2년 동안 실험적으로
주 1회 채식 식단을 제공, 2020년까지 급식
재료의 절반을 지역유기농산물로 사용하도
록 하는 방안을 포함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포르투갈의 공공급식 채식선택권 🇵🇵 🇹🇹
비건 메뉴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불법화한 최
초의 국가
2017년 3월 3일 의회 통과, 중앙 및 지방의 모든 공
공기관(학교, 대학, 병원, 교도소 외 모든 공공 건물
들) 구내식당 메뉴에 있어서 모든 일일 메뉴에 적어
도 하나의 채식 옵션이 포함될 것
채식 메뉴는 전문가에 의한 영양소의 보장을 담보해
야 함.
해당 기관에 적절한 식사가 준비될 수 없을 경우,
다른 곳으로 이동이 가능함.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미국의 공공급식 채식선택권 🇺🇺 🇸🇸
유타주(Utah State) 수용소 내 재소자에게 힌두교도
가 먹을 수 있는 비건식 제공 (종교적 신념에 관한
권리 보호)
캘리포니아주(california State)의 병원, 요양소, 수용
시설에서 비건식 옵션을 보장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
는 법안이 2018년 9월 통과됨
뉴욕주(New York State) 내 병원과 요양소에서 환자
에게 추가 비용 없이 완전 채식을 요구할 수 있는 권
리를 부여하는 법안이 2019년 6월 통과됨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이스라엘의 군대 내 비건선택권 🇮🇮 🇱🇱
이스라엘군(IDF) 의 경우 18명 중 1명의 병사가 비
건
2014년 가죽을 사용하지 않은 전투화, 울이 사용되
지 않은 베레모를 도입, 비건 병사들에게 각자 식사
를 구입할 수 있는 비용을 지원]
2017년에는 전투병들을 위한 비건식을 제공하기 시
작. 비건 병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비건 식품을 제공
받고 있음.
한국의 채식권
한국의 채식권
군대 내 채식선택권
2019년 11월 12일, 군대 내 채식선택권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 한 달 식단표를 분석한
결과
육류를 먹지 않는 사람은 28일 중 평균 8.6일
은 쌀밥과 식물성 반찬 하나만 먹을 수 있고,
13.6일은 쌀밥만 먹을 수 있으며,1.6일은 굶어
야 함
국방부, 2020년 급식방침으로 급식소수장병을
위한 급식지원 관련 규정을 개정
채식주의 장병의 지원에 관한 규정을 신설
한국의 채식권
공공급식 채식선택권
2020년 4월 6일, 학교급식 채식선택권, 공공
급식 채식선택권 헌법소원 제기
학교를 포함한 관공서,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비육류 음식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
를 주장
청구인의 사례에는 동물권 옹호, 기후위기 대
응을 위한 실천이 반복적으로 언급됨
2020년 6월 9일, 헌법소원 심판청구 각하
한국의 채식권
울산교육청 채식선택권
생태환경교육의 일환으로 채식급식제 도입
영양(교)사, 조리사를 대상으로 채식관련 연수
진행
월 1회 채식의 날, 주 1회 채식급식제, 채식선
택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채식급식 제공
채식인(채식주의자)에 대한 편견 개선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영양사 비정규직
문제)
기후위기 대응과 채식의 필요성에 관한
교육
채식 레시피 개발
채식 관련 교육자 양성
울산여자고등학교의 채식옵션 급
식
공공급식 채식옵션이 가능하려면
한국의 채식권을 위한 움직임
채식급식 시민연대
2021년 학교 내 채식선택권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교육부 정책제안
채식급식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GO VEGAN!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녹색당

글쓰기2_소논문.pdf
글쓰기2_소논문.pdf글쓰기2_소논문.pdf
글쓰기2_소논문.pdf
ssuser12341e
 
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
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
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
印鑰 智哉 INYAKU Tomoya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성훈 김
 
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
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
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JINI Jung
 
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
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
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
JINI Jung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여성환경연대
 
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
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
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
keilab2016
 

Similar to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녹색당 (7)

글쓰기2_소논문.pdf
글쓰기2_소논문.pdf글쓰기2_소논문.pdf
글쓰기2_소논문.pdf
 
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
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
유전자 조작과 생물 다양성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
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
내가먹는것이바로나 허남혁
 
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
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
내가 먹는것이 바로 나-허남혁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
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
2015 식용곤충 Keil 해외동향보고서
 

More from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
[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
[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ssuser129d67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
ssuser129d67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
ssuser129d67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
ssuser129d67
 

More from ssuser129d67 (19)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디스토피아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채식한끼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밀레니얼 여성의 현주소와 미래
 
[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
[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
[N개의 공론장] 여성의 정신건강과 보건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주거·안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
[N개의 공론장] 밀레니얼우먼스: 여성의 커리어와 사회적 지위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명화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양혜지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정수안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
2020 N개의 공론장 차별 발제 김우희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박의석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우야 (혜영)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이동현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하인혜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황지수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송다미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신민준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
N개의 공론장 총학생회 발제: 심민우
 

[N개의 공론장] 맨땅에 초로록: 녹색당

  • 1. 채식, 선택에서 의무 로 소라 (녹색정치활동가) 2020. 11. 25. 맨땅에 초로록 <언제까지 이렇게 먹을 수 있을까?>
  • 2. 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주 범 출처: 영국 채텀하우스(왕립국제문제연구 소) 축산업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8%를 차지 축산업의 온실가스는 전세계 모든 교통수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보다 많은 양 (출처: 유엔 식량농업기구 “축산업의 긴 그림자”) 축산업은 기후변화의 최대 원인
  • 3. 축산업이 해치는 생물다양성 가축 사료를 위한 대두경작지, 목초지 확보를 위해 일부러 화재를 낸다 전세계 경작 가능한 토지의 35%가 가축의 사료 생산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지구상의 포유동물 중 36%는 인간, 60%는 축산동물, 야생동물은 단 4%
  • 4. 식량 시스템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식단 변화가 2050년의 환경에 끼칠 영향. (B)는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감소량. HGD는 권장식단, VGT는 채식주의식단, VGN은 완전채식식단이다. PNAS(미국 국립 과학원) 인간이 모두 비건채식을 한다면? 음식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의 70% 가량이 감 소될 것
  • 5. 기후위기 대응에 개인이 할 수 있는 최대의 실천, 채식
  • 6.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 7.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프랑스의 주1회 채식 의무제: EGA(EGalim) 🇫🇫 🇷🇷 학교 및 대학 급식 서비스와 보건, 사회 및 의료 사회 시설 및 기타 시설에서 제공되는 식사의 영양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 으로 함. 국가 식량 프로그램(NAP3)의 일환으로, 하 루에 200인분 이상을 배급하는 공공기관에 서는 식물성 단백질을 기본으로 하는 대안 을 포함하여 단백질 다각화의 다년간 계획 을 수립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2019년 11월 1일부터 2년 동안 실험적으로 주 1회 채식 식단을 제공, 2020년까지 급식 재료의 절반을 지역유기농산물로 사용하도 록 하는 방안을 포함
  • 8.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포르투갈의 공공급식 채식선택권 🇵🇵 🇹🇹 비건 메뉴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불법화한 최 초의 국가 2017년 3월 3일 의회 통과, 중앙 및 지방의 모든 공 공기관(학교, 대학, 병원, 교도소 외 모든 공공 건물 들) 구내식당 메뉴에 있어서 모든 일일 메뉴에 적어 도 하나의 채식 옵션이 포함될 것 채식 메뉴는 전문가에 의한 영양소의 보장을 담보해 야 함. 해당 기관에 적절한 식사가 준비될 수 없을 경우, 다른 곳으로 이동이 가능함.
  • 9.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미국의 공공급식 채식선택권 🇺🇺 🇸🇸 유타주(Utah State) 수용소 내 재소자에게 힌두교도 가 먹을 수 있는 비건식 제공 (종교적 신념에 관한 권리 보호) 캘리포니아주(california State)의 병원, 요양소, 수용 시설에서 비건식 옵션을 보장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 는 법안이 2018년 9월 통과됨 뉴욕주(New York State) 내 병원과 요양소에서 환자 에게 추가 비용 없이 완전 채식을 요구할 수 있는 권 리를 부여하는 법안이 2019년 6월 통과됨
  • 10. 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해외의 채식 관련 정책 사례 이스라엘의 군대 내 비건선택권 🇮🇮 🇱🇱 이스라엘군(IDF) 의 경우 18명 중 1명의 병사가 비 건 2014년 가죽을 사용하지 않은 전투화, 울이 사용되 지 않은 베레모를 도입, 비건 병사들에게 각자 식사 를 구입할 수 있는 비용을 지원] 2017년에는 전투병들을 위한 비건식을 제공하기 시 작. 비건 병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비건 식품을 제공 받고 있음.
  • 12. 한국의 채식권 군대 내 채식선택권 2019년 11월 12일, 군대 내 채식선택권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 한 달 식단표를 분석한 결과 육류를 먹지 않는 사람은 28일 중 평균 8.6일 은 쌀밥과 식물성 반찬 하나만 먹을 수 있고, 13.6일은 쌀밥만 먹을 수 있으며,1.6일은 굶어 야 함 국방부, 2020년 급식방침으로 급식소수장병을 위한 급식지원 관련 규정을 개정 채식주의 장병의 지원에 관한 규정을 신설
  • 13. 한국의 채식권 공공급식 채식선택권 2020년 4월 6일, 학교급식 채식선택권, 공공 급식 채식선택권 헌법소원 제기 학교를 포함한 관공서,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비육류 음식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 를 주장 청구인의 사례에는 동물권 옹호, 기후위기 대 응을 위한 실천이 반복적으로 언급됨 2020년 6월 9일, 헌법소원 심판청구 각하
  • 14. 한국의 채식권 울산교육청 채식선택권 생태환경교육의 일환으로 채식급식제 도입 영양(교)사, 조리사를 대상으로 채식관련 연수 진행 월 1회 채식의 날, 주 1회 채식급식제, 채식선 택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채식급식 제공
  • 15. 채식인(채식주의자)에 대한 편견 개선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영양사 비정규직 문제) 기후위기 대응과 채식의 필요성에 관한 교육 채식 레시피 개발 채식 관련 교육자 양성 울산여자고등학교의 채식옵션 급 식 공공급식 채식옵션이 가능하려면
  • 16. 한국의 채식권을 위한 움직임 채식급식 시민연대 2021년 학교 내 채식선택권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교육부 정책제안 채식급식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