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주제1 :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사례
1. 들어가며
충현복지관에서 지역사회 자립과 독립생활에 대한 담론의 등장은 중장년 및
노년기 발달장애인에 대한 사업운영을 통해 시작되었다. 발달장애인 자녀가 성인
기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부모의 돌봄과 보호의 울타리에 놓여 있을 수 밖에 없
는 상황속에서 자립과 독립은 부모의 건강악화와 죽음이라는 불가피한 자녀와의
분리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지로 강요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발달장
애인 당사자에게 있어 자립은 기존의 교육과 치료라는 재활패러다임 중심의 서
비스 체계 및 가정을 중심으로 한 돌봄 중심의 체계속에서 생소하고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환경을 접해야만 하는 현실이다. 또한,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 환경
역시 자립을 지원하거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이나 인프라가 전무한 상황으로
인생의 노년을 준비해야 할 시기에 또 다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
이 가득찬 새로운 세상을 맞이해야 하는 위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발달장애
인에게 있어 강요된 선택이 아닌 능동적인 대처로서 당사자와 부모의 자립에 대
한 준비 및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체계 수립은 우리 사회 전체가 풀
어야 할 매우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주거(housing)와 주거지원(housing support)은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과 독립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선결요인으로 다른 시민들과 같
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권리로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Mansell & Beadle-Brown, 2009). 특히, 발달장애인에게 있어 자기결정과 선
택에 의한 주도적 삶의 영위로서 주거적 권리의 확보는 부모, 후견인, 타인의 도
움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여타 장애인의 자립과는 다른 방식으로의 접
근을 요구하게 된다(최성일 외, 2013). 그럼에도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복지와 주거지원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나 최근 들어 다양한 접
근과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점은 매우 환영할 만 일이다.
본 기관에서 주거지원 및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가
치체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상대적 자립’(relative independence)을 적용하고 있다. 상대적 자립
은 모든 것을 통제하고 결정하는 완전한 자립은 불가능할지라도 이전의 생활보
다 상대적으로 더 자립생활이 가능하다면 자립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로 자기결
정에 어려움을 가진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다(Crewe &
Zola, 2001; 박선아, 2012 재인용). 즉, 스스로의 능력에 맞는 생활을 타인의
원조를 통해 스스로 선택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있어 돌봄
이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함을 설명해주는 가치이다(김영란 외, 2015).
둘째는 ‘지원생활’(supported living)의 의미를 채택하고 있다. 지원생활은 자
립생활의 한 유형으로 장애 정도와 관계없이 지역사회에 마련한 자신의 집에서
본인의 욕구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스스로 결정
하면서 생활하는 것을 뜻한다(Kinsella, 2001). 지원생활에 있어서 전제조건으로
는 주거의 선택권이 당사자에게 있음을 강조한다. 즉, 그룹홈과 같은 거주시설이
나 국가 또는 법인소유의 주택이 아닌 주거적 권리주체로서 자신소유의(자가 또
는 임대) 주택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채성현 외, 2017).
이상에서 본 기관에서의 자립생활과 주거지원은 상대적 자립을 기반으로 본인
의 선택권에 기반한 지원생활을 자신의 주거공간에서 영위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가장 기본적인 가치체계로 수립하고 수행해가고 있다.
2. 충현복지관 주거지원 서비스 운영
1) 주거지원 서비스 개요
충현복지관 주거지원 서비스는 발달장애인 당사자 및 보호자의 초기면접을 통
해 전반적인 욕구를 사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안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
인 독립생활을 영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림 2-1]은 주거지원 서비스의 기본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거지원 서비
스 제공과정의 전체 흐름도는 그림 [2-2]와 같다.
[그림 2-1]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 사업 기본방향
○ 대 상 : 독립생활에 대한 욕구 및 실행 계획이 1년 이내에 있는
서울시 거주 성인발달장애인
○ 거주기간 : 6개월 ~ 1년 이내
○ 소 재 지 : 서울시 양천구 신정동(4개홈) / 강남구 역삼동(2개홈)
○ 주거형태 : SH임대주택(서울시 지원) / 충현교회 무상임대
○ 수행인력 : 주거매니저 1명, 상주(숙직)주거코치 3명
[그림 2-2]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과정
주거지원 서비스의 제공과정은 독립에 대한 욕구를 가진 발달장애인과 부모가
신청하면 초기면접,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를 통해 개인별지원계획을 수립하고
필요시 체험형 지원주택 입주를 통하여 독립생활을 체험하게 되며 주택마련 지
원과 함께 각 대상자에 맞는 인력지원계획을 통해 주거지원서비스 영역인 주거,
일상생활, 사회참여, 옹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2) 체험형 지원주택(독립 인큐베이팅홈)
체험형 지원주택(독립 인큐베이팅홈)은 현재 강남권역 2개주택(1인1실 4명)과
양천권역 4개주택(1인1실 8명)에서 운영중이다. 체험형 지원주택의 주요 개요는
아래 표 [2-1]과 같다.
[표 2-1] 체험형 지원주택 개요
○ 추진내용 : 체험형 지원주택 입주 후 주택마련을 통한 지역사회 내 독립
실행 지원
○ 운영특징
- 1인 1실 사용(1채 2명 거주)
- 독립생활체험기회 제공 및 자가주택 마련을 통한 독립실행 지원
- 입주인의 개별 장애특성 및 욕구에 따른 맞춤형 생활패턴 형성 지원
- 독립생활 실행에 대한 보호자의 의지 향상 및 실행 지원
- 독립실행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연계 및 계약체결 지원
○ 입주인 현황 : 6채 / 12명
○ 체험형 지원주택 내부 모습
3) 자가형 지원서비스
자가형 지원서비스는 체험형을 통해 독립한 대상 또는 독립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현재 충현복지관을 거점으로 하는 강남권역, 수서임대아파트 지역
을 거점으로 하는 수서권역, 서울시주거생활지원센터를 거점으로 하는 양천권역,
그 밖의 지역인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여 운영중에 있다. 자가형 지원서비스의 주
요 개요는 아래 [그림 2-3]과 [표 2-2]와 같다.
○ 대 상 : 본인(가족) 소유의 주택 내에서 독립생활을 유지중인
성인 발달장애인
○ 수행인력 : 팀장2, 주거매니저4, 주거코치6명
○ 추진내용 : 지역사회 내 자신의 주택에서 안정적인 독립생활 유지 지원
○ 지원체계 : 거점지역 중심의 운영
○ 운영특징
- 개인별 독립상황 및 욕구에 따른 맞춤형 주거서비스 지원
- 정기적인 주거코치의 가정방문을 통한 개별 맞춤형 주거서비스 지원
- 안정적인 주거마련을 위한 정보제공 및 주택알선
- 지역사회 자원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통합 환경 구축
- 거점권역별 자가형 지원주택 대상자 간의 교류 및 지지체계 구축
○ 대상자 현황 : 18채 / 23명
[그림 2-3] 자가형 지원서비스 체계
[표 2-2] 자가형 지원서비스 개요
4) 주요 지원서비스 내용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독립생활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주거지원 서비스의 개
발은 본 기관의 경험적인 토대를 기반으로 미국 워싱턴 주의 DSHS에서 사용하
는 ‘Alternative living services plan and provider report'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Steps to independence'를 주축으로 한 다양한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하
였다. 또한, 1차로 구성된 내용을 15명의 발달장애분야 학계전문가와 현장전문
가를 통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주거’, ‘일상생활’, ‘사회참여’, ‘옹호’의 총 4가지
영역으로 서비스를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주요 지원서비스 내용은 아래 [표 2-5]
와 같다.
영역 세부내용 지원내용 상세내용
주
거
주택이해
집 주소 인식 자신의 집 주소를 알고 찾아가도록 교육 및 동행
주택 계약 주택 계약과 관련된 사항 교육
주거지 선택 주거지 탐색 희망 거주지와 주거선정 조건 탐색 지원
이사
부동산 연계 온/오프라인 부동산 연계하여 주택 탐색 지원
이삿짐센터 연계 이사센터 활용 방법 안내 및 연계
전기, 가스, 수도, TV 개통 전기, 가스, 수도, TV 개통 안내 및 직접지원
전입신고 전입신고 안내 및 직접지원
주거관리
및 유지
주거환경 개선 업체 알선 주택환경 파손 및 고장 시 수리 방법 및 업체 안내
일
상
생
활
자기관리
개인위생
씻기, 위생용품 사용, 손·발톱 정리, 양치, 속옷과 양
말 갈아입기 교육 및 직접지원
이·미용 관리
기초화장품 사용, 상황과 날씨에 맞는 옷 입기, 머리
손질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신분증관리 외출 시 신분증 소지 교육
가사관리
수납정리 물건 정리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의복관리 세탁 및 세탁물 관리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장보기 장보기 계획 지원
음식물 보관 음식물 보관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음식물 조리 및 데우기
간단 조리(냉동식품, 라면, 계란후라이 등), 반찬 및
국 조리, 음식 데워먹기 교육 및 직접지원
주방정리 설거지, 음식 만든 후 뒷정리 교육 및 직접지원
쓰레기분리 분리수거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집청소 청소도구 사용하여 집청소 교육 및 직접지원
가전제품 사용 및 관리
생활가전 사용 방법과 고장시 수리 방법 교육 및 직
접지원
보일러 사용 및 관리 보일러 사용과 관리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보건
음식물 관리 상한 음식 파악 및 처분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올바른 식습관 형성
몸에 해로운 음식 인식,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있는 식
단, 적당량의 음식 섭취 점검 및 교육
상비약 관리 구급약통 구비, 복약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병의원 및 약국 이용 병원과 약국 이용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점검 및 교육
개인안전
외출시 점검사항
문단속, 가스·전기·보일러 점검 방법 교육 및 직접지
원
조리도구 안전사용 칼, 가위 등 조리도고 안전 사용방법 교육
비상대응
계획
화재예방교육 가스·전기화재 예방, 대피방법 교육
긴급상황시 신고처 112, 119 신고 방법 교육
응급의료상황 대처 응급의료상황 발생시 도움 요청 방법 교육
금전관리
체크카드 및 현금사용 현금 종류구분, 체크카드 사용방법 교육
은행업무
ATM기기 사용, 통장정리, 은행상담창구 이용, 공과금
납부 교육 및 직접지원
생활비관리 수입, 지출 관리 교육 및 직접지원
금융관련 중요 보안사항
통장·비밀번호·도장 보관, 통장 및 카드 분실시 대처
방법 안내 교육 및 직접지원
[표 2-5] 주요 지원서비스 내용
영역 세부내용 지원내용 상세내용
사
회
참
여
쇼핑 생필품구입 구입처 안내, 합리적 소비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교통수단
대중교통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
교통카드 사용, 택시 이용, 환승, 대중교통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방법 교육 및 동행
여가활동 여가활동 탐색, 계획, 실행 여가활동 탐색 및 선택, 실행 계획 수립, 실행 지원
지역사회
활동
낮활동 기관 이용
(직장생활)
낮활동기관 및 취업 알선, 낮활동 기관 이용 및 직장
생활 에티켓 교육
주민센터이용
주민센터 이용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사회서비스 연계
관계
의사소통방법 자신의 의사표현, 자기소개 방법 교육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 감정 조절, 이웃배려, 시민의 책임과 역할 교육
옹
호
선택
자기 의사에 의한 선택 자기 의사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에
따른 책임에 대해 교육선택과 책임
자기옹호 자신과 타인의 권리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지키는 방법 교육 및 지원
기타 옹호 관련 기관 연계 개인별 상황에 맞는 옹호 기관 연계
[그림 2-4] 성인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 모형
5)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모형
지난 2016년 아산사회복지재단의 지원으로 실행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주
거지원 서비스는 2017년 서울시의 발달장애인 지원주택 시범사업을 통해 확대
되었으며 향후 기관의 주요 서비스로 정착해 가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를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다. 지난 3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한 성인발달장애인의 지
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모형은 아래 [그림 2-4]와 같다.
3. 실제사례
1) 사례 개요
성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가 제공된 과정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사례의 개요는 [표 3-1]과 같다.
사례 성별 연령 장애유형 지역 독립주거유형 독립체험여부 낮활동
사례A 여 40대 지적3급 수서동 공공임대 X 직장활동
사례B 남 40대 지적2급 역삼동 자가마련 O(12개월) 복지관
사례C 남 30대 지적2급 역삼동 자가마련 O(15개월) 복지관
[표 3-1] 주거지원 서비스 주요 사례 개요
사례A는 수서동 영구임대 아파트에서 지적, 지체 중복장애인 남동생과 함께
생활 중이으며, 2017년 1월 사례A의 직장 사회복지사를 통해 정기적인 가정방
문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의뢰되었다. 사례A는 할머니, 남동생과 함께
수서동 공공임대아파트에서 생활하다가 할머니 사망으로 인하여 남동생과 둘이
서 생활하게 되었다. 직장생활에 대한 애착이 강하며, 평일에는 직장생활을 하고
주말에는 교회 다니는 것 외에 다른 활동은 없었다.
사례B는 성인기부터 지속적으로 복지관에서 낮활동을 참여하던 이용인으로
30대에 1년 간 광주 시설에서 생활하다가 다시 원가정으로 복귀하여 2016년 7
월까지 부모와 함께 생활하고 있다.
사례C는 수원에서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다가 어머니 사망으로 인하여 사례C
의 형에 의해 서비스 의뢰되었다. 사례C는 보호작업장에서 20대까지 일을 하다
가 건강 이상 증상으로 어머니와 함께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보냈으며 낮활동으
로 복지관을 이용해본 적은 없다. 사례C의 형 2명이 경제적인 지원과 독립생활
에 대한 상담, 의사결정 등을 하고 있다.
※ 현재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독립을 준비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중 당사자와 보호자의 두려움이 있고 독립을 체험해보고 싶다는
욕구가 있을 경우 독립체험 서비스를 상담 시 소개하고 있음. 독립체험 서비
스는 독립생활 환경과 유사하게 구성한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 일시적(6개
월~1년)으로 생활하여 독립을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앞으
로 살펴볼 사례B와 사례C의 경우 보호자의 자녀 독립에 대한 불안감 및 당사
자의 독립체험에 대한 욕구로 독립체험서비스를 1년 이용하였으며, 이후 역삼
동 지역사회 독립을 실행하였다.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A 서비스 내용
계획단계
서비스 신청 타기관(사례A의 직장)에서의 서비스 의뢰
초기면접
가정방문을 통한 사례A와의 상담 진행
가족관계, 경제상황, 건강관리, 생활적 기술 등을 사
례A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파악
사례A의 독립주거환경탐색을 통한 주택환경조사서 및
사례A와의 상담을 통한 자원조사서 작성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사례A와의 상담 및 초기면접지, 주택환경조사서 및
자원조사서에 따라 주거지원 매니저의 개인별지원계
획서 작성/사례A와의 서비스 계약 진행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전이므로 체크리스
트 진행을 하지 못하였음.
실행단계 서비스 제공
2017년 10월 제공 서비스 영역 및 내용
일상생활_금전관리
[표 3-2] 사례A 주거지원 서비스 단계별 제공 내용
2) 사례 A
사례A는 서비스 신청 시기에 이미 “독립을 실행한 사례”로 일하고 있는 근로 작
업장에서 독립생활에 대한 지원 요청으로 2017년 1월 서비스 의뢰되었으며, 사례
A와의 방문 약속 후 가정방문을 실행하였다. 서비스에 대한 소개 후 서비스에 대
한 신청 의사를 물어본 후 간단한 현재생활 및 주거에 대한 면접을 진행한 후 서비
스를 접수하였다.
서비스 접수 후 필요한 서비스 영역을 살펴보고자 독립을 실행한 주택환경을 조
사하고 자원을 조사하여 독립생활 시 필요한 영역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담을 진행
하였다. 사례 A의 경우 여가활동과 쇼핑에 대한 욕구가 있었으며, 지적장애 남동생
과 함께 생활하기 위하여 하루에 식사를 거르지 않고 건강하게 식사할 수 있는 지
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중이었으므로 사례A의
체크리스트 진행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진행함).
사례A와의 상담을 바탕으로 서비스제공을 위한 계약을 진행하고 2017년 9월
주거코치 채용 직전까지 주거지원 매니저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
였다. 2017년 10월부터 주거코치를 파견하여 주 2회 정기적인 방문을 통해 여가
활동, 건강관리를 위한 식사지원(요리, 식단), 쇼핑 동행을 지원하였으며, 수서 군
집 독립가정과 주말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주말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
한 무연고자의 특성에 따라 경제적인 학대 위험에 놓일 가능성과 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신탁의사결정지원센터와 신탁계약을 진행하였으며, 성년후견지원센터를 연계
하였다. 2018년 3월 사례A의 지원계획의 단기목표 달성여부를 파악하였으며
2017년 계획하였던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하여 서비스가 2017년 지원계획 내
용에 따라 제공되고 있으며, 수서 군집 독립가정과의 주말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A 서비스 내용
사회참여_쇼핑, 여가활동
옹호_기타: 자원연계 진행(신탁의사결정지원센터, 성
민성년후견지원센터)
※ 2018년 3월부터 장기목표의 경우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문항으로 정하여 계획을 수립함.
장기목표
1 스스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2 간단한 은행 업무를 스스로 볼 수 있다.
3 스스로 여가시간을 계획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기목표
1_1 필요한 물품을 알고 주변에 요청하여
구매한다.
2_1 통장정리, 계좌이체 업무를 도움을
요청하여 실행한다.
3_1 여가시간에 하고 싶은 일들을 탐색한
다.
평가단계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지원계획 재수립
2018년 3월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 생활할 때 필요한 물품을 주거코치에게 이야기하고
스스로 사러 갈 때가 많아졌음.
- 통장정리는 스스로 할 수 있지만 계좌이체를 어려
워 함.
- 문화체육센터와 연계하여 주2회 수영을 다니고 있
으며 주말에는 수서동 군집 이용인과 함께 여가시
간을 보내고 있음.
※ 금전관리 및 쇼핑, 여가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추가로 진행하고 있음.
2) 사례 B
사례B는 부모의 고령으로 인하여 독립이 준비가 필요하였고, 보호자가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을 통하여 이용인의 독립을 실행하고자 하였음. 서비스 신청은 보호자
의 상담을 통하여 접수하였고, 이후에 계획단계에서는 당사자와 보호자의 면접을
통하여 독립에 대한 욕구와 건강, 경제, 독립에 대한 계획 등 독립에 필요한 정보
를 수집하여 초기면접을 진행하였다.
사례B의 보호자는 서비스 계획단계에서 독립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사례B가 혼자 지역사회 안에서 생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으로 양가감정이 있
는 상황이었고 1년 동안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하기를 원하였다. 이에 체계
적인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준비가 필요하여 필수적이지 않지만 독립생활을 6개
월~1년동안 체험해볼 수 있는 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후 독
립 체험 서비스 이용을 권하였다.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B 서비스 내용
계획단계
서비스 신청
보호자의 고령으로 인하여 사례B의 독립에 대한 욕구
로 인하여 내방을 통한 서비스 신청
초기면접
기관에서의 보호자 및 사례B와의 상담 진행
가족관계, 경제상황, 건강관리, 생활적 기술 등을 사
례B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파악
초기면접 시 사례B의 체계적인 독립 준비에 대한 보
호자 욕구로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신청
[표 3-3] 사례B 주거지원 서비스 단계별 제공 내용
초기면접이후 보호자 및 당사자와의 상담을 통해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후의
지원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지원계획은 일상생활과 사회참여 영역의 세부내용 중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여 홈 퇴소 후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체험 서비스를 내용을 구성하였다. 사례B의 경우 가전제품
활용과 반찬 양 조절의 어려움으로 식단관리에 대한 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체험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이외에 지역사회 안에서의 병원이용과 생활에 필요한 물품
구입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16년 8월부터 2017년 7월까지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생활 후, 퇴소 전 보
호자와 당사자 상담을 진행하여 지역사회에서의 독립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독립준
비를 위하여 주거탐색을 지원함. 주거탐색은 부동산 연계, 부동산 계약 시 보호자,
당사자와의 동행 등의 내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독립할 주거선정 이후 이
사과정 시 필요한 서비스(필요한 물품 구입, 이사지원, 이사 이후 독립주거에의 적
응 등)를 제공하였다. 지역사회 독립실행은 2017년 11월에 진행되었으며, 지역사
회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으로 인하여 주거선정 및 계약까지의 과정에 어려움
이 있었다.
사례B의 독립 후 생활에 대한 지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사례B의 독립할 주거
에 이사 전 보호자와 당사자 지원계획 재수립을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여 욕구를 재
사정하고 독립체험 서비스를 담당하였던 독립인큐베이팅홈 직원과 주거지원 매니
저가 참여하여 회의를 통하여 필요한 서비스 영역 및 내용을 구성하였다. 서비스
계약을 진행하기 위하여 주거지원매니저와 회의를 통하여 월 가정방문 시간과 요
일을 정하고 계약을 진행하였다(※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중이었으므로 사
례B의 체크리스트 진행은 독립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독립 전에는 서비스 영역과
세부내용을 중심으로 개인별지원계획을 수립함).
현재까지 사례B의 주거지원 서비스는 지속되고 있으며, 2018년 5월 6개월 제공서
비스 내용을 검토하여 단기목표 달성여부를 파악하고, 단기목표를 달성했을 경우
필요한 서비스 영역과 내용을 보호자, 당사자와의 상담 및 매니저의 평가에 따라
서비스 지원계획을 재수립하였다.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B 서비스 내용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2016.08.~2017.07.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독립
체험 서비스 이용
2017.07.~11.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후 보호자, 사
례B, 주거지원 매니저가 회의 진행 후 서비스 영역
및 내용을 정함.
실행단계 서비스 제공
2017.07.~11.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전 독립계획
상담 및 주거탐색 과정 지원(주거_주거이해, 이사)
2017.11. 사례B가 독립할 주거로 이사 후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
일상생활_가사관리, 건강관리, 보건
사회참여_여가활동, 쇼핑
※ 2018년 3월부터 장기목표의 경우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문항으로 정하여 계획을 수립함.
장기목표
1 옷 세탁시 적정량의 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함을 알고 있다.
3 균형 있는 식단으로 식사할 수 있다.
4 지역사회가게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
할 수 있다.
단기목표
1_1 옷 세탁시 세제 표지에 있는 세제양
안내에 맞게 세제를 넣을 수 있다.
2_1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과 실외에
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각각 주1회 이상
실시한다.
3_1 밥에 비례하여 적당한 양의 반찬과
국을 섭취한다.
4_1 코치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평가단계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지원계획 재수립
2018년 5월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 혼자서 적정량의 세탁 세제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
이 있어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지속적으로 식단관리 및 운동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지속적으로 서비스 제공하고 있음.
- 쇼핑을 혼자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지속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임
※ 원가정 복귀 시 교통수단 이용에 대한 동행을 하
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내용을 5월부터 추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4) 사례 C
사례C는 모와 함께 생활하다가 모의 사망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지역사회에서
독립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고, 이에 사례C의 형이 내선을 통하여 서비스를 의
뢰하여 접수되었다. 사례C와 형은 내방하여 서비스 신청을 위한 상담을 진행하였
으며, 생활하면서 혼자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는 형의 상담내용으로 독립인큐베
이팅홈의 체험서비스를 소개하였다.
사례C와 형의 서비스 신청 이후 초기면접을 위하여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가족관계, 경제상황 등을 파악하였다. 사례C는 사람
의 눈을 마주치지 않고 말수가 없다는 특성이 있었으며, 지역사회에서의 주거마련
과 독립 시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활적인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독립인큐
베이팅홈 입소를 결정하였다.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전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면접지를 통해
독립인큐베이팅홈 담당직원과 회의를 통하여 일상생활 자기관리, 가사관리, 보건
등과 관련된 전반적 영역을 서비스를 계획하여 독립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17년 1월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후 사례C는 다른 이용인과 다르게 낮활동이
정해져있지 않는 상황이었으며, 충현복지관 외 다른 기관의 낮활동을 알아보았으
며, 충현복지관 평생복지팀의 이용이 가능하여 충현복지관에서 낮활동을 연계하였
다. 2017년 12월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전 보호자와 사례C가 한자리에 모여 지
역사회의 독립계획을 상담하고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사례C가 역삼동에 독립
할 수 있도록 주거탐색(부동산 연계, 주거지 탐색 시 동행)을 지원하고 3월 이사
과정을 지원하였다.
2018년 3월 이사 전 독립인큐베이팅홈 담당직원과 주거지원매니저가 사례C의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생활을 점검하고 향후 독립생활 시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
과 서비스 내용을 파악하여 개인별 주거지원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이후 사례C와
주거지원 매니저가 만나 서비스 계약사항을 설명하고 계약을 진행하였다.
사례C는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생활 중 위생관리(샤워)를 혼자 하는 것이 어
려워 활동보조를 연계하여 위생관리와 복지관 출퇴근을 활동보조와 함께 할 수 있
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건강한 식단관리와 쇼핑, 전자제품이용, 가사관리 등에 어
려움을 느껴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사례C는 역삼동에서 독립생활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2018년 3월
개인별지원계획서에 수립한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6개월 이후
인 2018년 9월 개인별지원계획 장기목표 및 단기목표, 서비스영역과 내용을 점검
하고 계획을 재수립할 예정이다.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C 서비스 내용
계획단계
서비스 신청
모의 사후에 사례C의 지역사회 독립을 위하여 형이
서비스를 의뢰함
초기면접
기관에서의 보호자(형) 및 사례C와의 상담 진행
가족관계, 경제상황, 건강관리, 생활적 기술 등을 사
례C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파악
사례C의 지역사회에서 독립생활을 위한 역량 증진과
독립주거마련을 위해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신청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2016.12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전 보호자와 사례C
와의 상담을 통해 서비스 내용 정리
2018.01.~03.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후 보호자(형),
사례C, 주거지원 매니저가 회의 진행 후 서비스 영역
및 내용을 정함. 활동보조 연계 필요성(위생관리 및
복지관 출퇴근)으로 인하여 활동보조 연계 진행
실행단계 서비스 제공
2017.01~2017.12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독립체험
서비스 이용(홈에서의 생활을 통한 일상생활 및 사회
참여 관련 전반적 서비스 제공)
2018.01.~03.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및 독립계획
상담 및 주거탐색 과정 지원
2018.03. 사례C가 독립할 주거로 이사 후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
일상생활_가사관리, 보건, 자기관리
사회참여_쇼핑, 관계
장기목표
1 청소도구로 집 청소를 할 수 있다.
2 지역사회 가게에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3 규칙적으로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있다.
4. 자신의 현재 기분을 설명 할 수 있다.
5. 균형 있는 식단으로 식사할 수 있다.
단기목표
1_1 청소가 필요한 상황과 장소를 인지한
다.
2_1 코치와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
다.
3_1 주 4회 이상 샤워 또는 목욕을 한다.
4_1 코치에게 자신의 현재 기분과 감정을
설명 할 수 있다.
5_1 반찬과 국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식사
한다.
평가단계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지원계획 재수립
2018.09 개인별지원계획 평가 및 계획 재수립 예정
[표 3-4] 사례C 주거지원 서비스 단계별 제공 내용
4. 맺는말
최근 들어 사회적 돌봄과 커뮤니티 케어가 사회복지계 뿐 아니라 사회적인 조
명을 받고 있다.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과 독립적인 주거생활은 이제 다양
한 선택지 중 한 가지가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다른 기관보다 앞서 지역사회 중심의 주거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 경험한 한계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마련의 어려움으로 서울의 경우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본인이 원
하는 지역에 원하는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주택마련
에 따른 수급권 탈락, 부모사후 재산권 문제 등 으로 인하여 자녀명의의 주택마
련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중산층 가정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주택협동조합이나 사회적협동조합 구성을 시도하였으나 고가의 조합원
출자금과 생활비 부담, 재산권이나 세금문제 등의 사유로 결렬되었다. 이 역시
제도적인 지원과 보완이 병행되어야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미비한 지역사회 인프라이다. 본 기관 양천권역의 경우 체험형 지원주택을
운영하고 있으나 근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발달장애인 대상의 지역의 인프라
가 형성되어있지 못한 현실이다. 특히, 장애특성과 정도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낮활동 기관의 마련이 가장 시급한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셋째, 주거복지 전문가 부족이다. 주거지원은 단순한 주택의 마련과 일상생활의
지원 뿐 아니라 주택의 마련, 유지, 이주, 금전관리, 경제활동, 건강, 여가, 법률
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다
양한 삶의 영역에 대한 지원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거복지 전문가로서 주거매
니저와 주거코치의 양성과 교육이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중심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을 통한 주요 제언으로는
첫째, 성인초기나 아동·청소년기부터 자립생활을 위한 준비와 계획이 요구되어
진다. 그 간의 복지관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는 학교에서 실시되었던 특수교육과
치료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여가활동중심의 사회재활과 돌봄중심의 보호에
편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인 자립생활 영위를 위한 일상생활과 자기결정,
사회참여를 위한 다양한 훈련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삶 중심의 활동으
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별 주거지원 서비스 기관의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주거지원서비스 대상자의 경우 낮활동 기관이 본 기관이 아닐 경우 서비스
제공의 연계성과 지속성, 안정성이나 비상상황 대처 있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
고 있다. 따라서,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 기관을 지역별로 확대하거나 낮활동 제
공기관에서 주거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
리라 사료된다. 끝으로, 조례제정을 통해 발달장애인에게 지원주택을 제공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실제로 서울시에서 발달장애인 대상의 지원주택 사
업을 추진하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부분이긴 하나 특정지역에 특정주택을 마련
하고 특정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로는 근본적인 지역사회 중심의 지원서비스
가 제공되기에 많은 한계점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서울 외곽지역
에 한정되어 연 100호의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주택을 임대한 발달장
애인의 주거비를 추가보조하거나 발달장애인 대상의 주택협동조합이나 사회적
협동조합을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노력이 궁극적으로 지역사
회를 기반으로 하는 정상화 및 사회통합의 이념과도 부합하는 주거복지 실천이
라고 사료된다.
[ 참고 문헌 ]
Kinsella, P. 2001. “Supported Living: The Changing paradigm: from
control to freedom”. Paradigm UK Electronic source: http://www.
paradigm-uk. org Paradigm UK.
Mansell, J. and Beadle-Brown, J. 2009. “Dispersed or clustered housing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ability: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34(4):313-323.
김영란. 김고은. 김소영. 2015.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
련 변인 연구”. 『여성연구』. 88(1):121.
박선아. 2012.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신체
적·정신적 자립생활능력을 중심으로”. 한남대 박사학위논문.
채성현, 강태인, 김미영, 권영지, 박형빈. 2017. “발달장애인 부모가 인지하는 지
역사회 자립생활과 주거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1:
103-129.
최성일·심석순·이선화·간기현. 2013.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방안 연
구: 전환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
[미국 워싱턴주 DSHS]
https://www.dshs.wa.gov/fsa/forms?field_number_value=&title=independe
nt+living+assessment+tool&=Apply
[캐나다 온타리오주 STEPS]
http://dsorntario.ca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채성현_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사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
C.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
C.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
C.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C.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
C.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
C.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
 
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
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
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
C.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
C.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C.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
C.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C.
 

Similar to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채성현_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사례 (20)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송인주_노인과 지원주택의 만남, 어떻게 가능할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서정화_노숙인 임대주택 입주민의 거주 경험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의 '탈시설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지원생활모델의 적응과 함의(2...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서현철_발달장애인의 주거지원 다양화를 위한 ᄌ...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 지원주택 현재와 전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종합토론_염형국_토론주거복지의 대안, 지원주택의 제도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김미옥_발달장애인과 지원생활서비스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시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박가영&황조성_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법사업, 그 후 1년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
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
제5회지원주택컨퍼런스발표자료집.pdf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주연_노숙인 지원주택 서비스 실천 현황과 제안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주연_여성정신질환노숙인 지원ᄌ...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pay it forward_탐방 보고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More from C.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
C.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
C.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
C.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
C.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
C.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
C.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
C.
 

More from C. (20)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Darina Maulana(Enviu)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김설아(루트에너지)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Amorpol Huvanandana(Moreloop)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엄소희(키자미테이블)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세션2_Ronaldiaz Hartantyo(MYC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
[글로벌퓨처임팩트컨퍼런스] 기조세션_Enrich Sahan(DEAL)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이호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허민숙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권영실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정찬송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특별세션_제로_청소년을 위한 지원주택.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이아름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수정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김시연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정다운_지원주택을 위한 선언/약속.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정하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김용진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pdf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경석_지원주택의 현재와 나아갈 길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문용훈_지원주택다운 서비스평가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
[제5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연희_지원주택을 위한 생태계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4_채성현_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사례

  • 1. - 주제1 :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사례 1. 들어가며 충현복지관에서 지역사회 자립과 독립생활에 대한 담론의 등장은 중장년 및 노년기 발달장애인에 대한 사업운영을 통해 시작되었다. 발달장애인 자녀가 성인 기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부모의 돌봄과 보호의 울타리에 놓여 있을 수 밖에 없 는 상황속에서 자립과 독립은 부모의 건강악화와 죽음이라는 불가피한 자녀와의 분리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지로 강요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발달장 애인 당사자에게 있어 자립은 기존의 교육과 치료라는 재활패러다임 중심의 서 비스 체계 및 가정을 중심으로 한 돌봄 중심의 체계속에서 생소하고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환경을 접해야만 하는 현실이다. 또한,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 환경 역시 자립을 지원하거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이나 인프라가 전무한 상황으로 인생의 노년을 준비해야 할 시기에 또 다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 이 가득찬 새로운 세상을 맞이해야 하는 위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발달장애 인에게 있어 강요된 선택이 아닌 능동적인 대처로서 당사자와 부모의 자립에 대 한 준비 및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체계 수립은 우리 사회 전체가 풀 어야 할 매우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주거(housing)와 주거지원(housing support)은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과 독립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선결요인으로 다른 시민들과 같 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권리로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Mansell & Beadle-Brown, 2009). 특히, 발달장애인에게 있어 자기결정과 선 택에 의한 주도적 삶의 영위로서 주거적 권리의 확보는 부모, 후견인, 타인의 도 움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여타 장애인의 자립과는 다른 방식으로의 접 근을 요구하게 된다(최성일 외, 2013). 그럼에도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복지와 주거지원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나 최근 들어 다양한 접 근과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점은 매우 환영할 만 일이다. 본 기관에서 주거지원 및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가 치체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상대적 자립’(relative independence)을 적용하고 있다. 상대적 자립 은 모든 것을 통제하고 결정하는 완전한 자립은 불가능할지라도 이전의 생활보 다 상대적으로 더 자립생활이 가능하다면 자립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로 자기결 정에 어려움을 가진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다(Crewe & Zola, 2001; 박선아, 2012 재인용). 즉, 스스로의 능력에 맞는 생활을 타인의 원조를 통해 스스로 선택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있어 돌봄
  • 2. 이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함을 설명해주는 가치이다(김영란 외, 2015). 둘째는 ‘지원생활’(supported living)의 의미를 채택하고 있다. 지원생활은 자 립생활의 한 유형으로 장애 정도와 관계없이 지역사회에 마련한 자신의 집에서 본인의 욕구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스스로 결정 하면서 생활하는 것을 뜻한다(Kinsella, 2001). 지원생활에 있어서 전제조건으로 는 주거의 선택권이 당사자에게 있음을 강조한다. 즉, 그룹홈과 같은 거주시설이 나 국가 또는 법인소유의 주택이 아닌 주거적 권리주체로서 자신소유의(자가 또 는 임대) 주택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채성현 외, 2017). 이상에서 본 기관에서의 자립생활과 주거지원은 상대적 자립을 기반으로 본인 의 선택권에 기반한 지원생활을 자신의 주거공간에서 영위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가장 기본적인 가치체계로 수립하고 수행해가고 있다. 2. 충현복지관 주거지원 서비스 운영 1) 주거지원 서비스 개요 충현복지관 주거지원 서비스는 발달장애인 당사자 및 보호자의 초기면접을 통 해 전반적인 욕구를 사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안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 인 독립생활을 영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림 2-1]은 주거지원 서비스의 기본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거지원 서비 스 제공과정의 전체 흐름도는 그림 [2-2]와 같다. [그림 2-1]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 사업 기본방향
  • 3. ○ 대 상 : 독립생활에 대한 욕구 및 실행 계획이 1년 이내에 있는 서울시 거주 성인발달장애인 ○ 거주기간 : 6개월 ~ 1년 이내 ○ 소 재 지 : 서울시 양천구 신정동(4개홈) / 강남구 역삼동(2개홈) ○ 주거형태 : SH임대주택(서울시 지원) / 충현교회 무상임대 ○ 수행인력 : 주거매니저 1명, 상주(숙직)주거코치 3명 [그림 2-2]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과정 주거지원 서비스의 제공과정은 독립에 대한 욕구를 가진 발달장애인과 부모가 신청하면 초기면접,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를 통해 개인별지원계획을 수립하고 필요시 체험형 지원주택 입주를 통하여 독립생활을 체험하게 되며 주택마련 지 원과 함께 각 대상자에 맞는 인력지원계획을 통해 주거지원서비스 영역인 주거, 일상생활, 사회참여, 옹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2) 체험형 지원주택(독립 인큐베이팅홈) 체험형 지원주택(독립 인큐베이팅홈)은 현재 강남권역 2개주택(1인1실 4명)과 양천권역 4개주택(1인1실 8명)에서 운영중이다. 체험형 지원주택의 주요 개요는 아래 표 [2-1]과 같다. [표 2-1] 체험형 지원주택 개요
  • 4. ○ 추진내용 : 체험형 지원주택 입주 후 주택마련을 통한 지역사회 내 독립 실행 지원 ○ 운영특징 - 1인 1실 사용(1채 2명 거주) - 독립생활체험기회 제공 및 자가주택 마련을 통한 독립실행 지원 - 입주인의 개별 장애특성 및 욕구에 따른 맞춤형 생활패턴 형성 지원 - 독립생활 실행에 대한 보호자의 의지 향상 및 실행 지원 - 독립실행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연계 및 계약체결 지원 ○ 입주인 현황 : 6채 / 12명 ○ 체험형 지원주택 내부 모습 3) 자가형 지원서비스 자가형 지원서비스는 체험형을 통해 독립한 대상 또는 독립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현재 충현복지관을 거점으로 하는 강남권역, 수서임대아파트 지역 을 거점으로 하는 수서권역, 서울시주거생활지원센터를 거점으로 하는 양천권역, 그 밖의 지역인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여 운영중에 있다. 자가형 지원서비스의 주 요 개요는 아래 [그림 2-3]과 [표 2-2]와 같다.
  • 5. ○ 대 상 : 본인(가족) 소유의 주택 내에서 독립생활을 유지중인 성인 발달장애인 ○ 수행인력 : 팀장2, 주거매니저4, 주거코치6명 ○ 추진내용 : 지역사회 내 자신의 주택에서 안정적인 독립생활 유지 지원 ○ 지원체계 : 거점지역 중심의 운영 ○ 운영특징 - 개인별 독립상황 및 욕구에 따른 맞춤형 주거서비스 지원 - 정기적인 주거코치의 가정방문을 통한 개별 맞춤형 주거서비스 지원 - 안정적인 주거마련을 위한 정보제공 및 주택알선 - 지역사회 자원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통합 환경 구축 - 거점권역별 자가형 지원주택 대상자 간의 교류 및 지지체계 구축 ○ 대상자 현황 : 18채 / 23명 [그림 2-3] 자가형 지원서비스 체계 [표 2-2] 자가형 지원서비스 개요 4) 주요 지원서비스 내용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독립생활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주거지원 서비스의 개 발은 본 기관의 경험적인 토대를 기반으로 미국 워싱턴 주의 DSHS에서 사용하 는 ‘Alternative living services plan and provider report'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Steps to independence'를 주축으로 한 다양한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하 였다. 또한, 1차로 구성된 내용을 15명의 발달장애분야 학계전문가와 현장전문 가를 통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주거’, ‘일상생활’, ‘사회참여’, ‘옹호’의 총 4가지 영역으로 서비스를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주요 지원서비스 내용은 아래 [표 2-5] 와 같다.
  • 6. 영역 세부내용 지원내용 상세내용 주 거 주택이해 집 주소 인식 자신의 집 주소를 알고 찾아가도록 교육 및 동행 주택 계약 주택 계약과 관련된 사항 교육 주거지 선택 주거지 탐색 희망 거주지와 주거선정 조건 탐색 지원 이사 부동산 연계 온/오프라인 부동산 연계하여 주택 탐색 지원 이삿짐센터 연계 이사센터 활용 방법 안내 및 연계 전기, 가스, 수도, TV 개통 전기, 가스, 수도, TV 개통 안내 및 직접지원 전입신고 전입신고 안내 및 직접지원 주거관리 및 유지 주거환경 개선 업체 알선 주택환경 파손 및 고장 시 수리 방법 및 업체 안내 일 상 생 활 자기관리 개인위생 씻기, 위생용품 사용, 손·발톱 정리, 양치, 속옷과 양 말 갈아입기 교육 및 직접지원 이·미용 관리 기초화장품 사용, 상황과 날씨에 맞는 옷 입기, 머리 손질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신분증관리 외출 시 신분증 소지 교육 가사관리 수납정리 물건 정리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의복관리 세탁 및 세탁물 관리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장보기 장보기 계획 지원 음식물 보관 음식물 보관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음식물 조리 및 데우기 간단 조리(냉동식품, 라면, 계란후라이 등), 반찬 및 국 조리, 음식 데워먹기 교육 및 직접지원 주방정리 설거지, 음식 만든 후 뒷정리 교육 및 직접지원 쓰레기분리 분리수거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집청소 청소도구 사용하여 집청소 교육 및 직접지원 가전제품 사용 및 관리 생활가전 사용 방법과 고장시 수리 방법 교육 및 직 접지원 보일러 사용 및 관리 보일러 사용과 관리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보건 음식물 관리 상한 음식 파악 및 처분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올바른 식습관 형성 몸에 해로운 음식 인식,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있는 식 단, 적당량의 음식 섭취 점검 및 교육 상비약 관리 구급약통 구비, 복약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병의원 및 약국 이용 병원과 약국 이용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점검 및 교육 개인안전 외출시 점검사항 문단속, 가스·전기·보일러 점검 방법 교육 및 직접지 원 조리도구 안전사용 칼, 가위 등 조리도고 안전 사용방법 교육 비상대응 계획 화재예방교육 가스·전기화재 예방, 대피방법 교육 긴급상황시 신고처 112, 119 신고 방법 교육 응급의료상황 대처 응급의료상황 발생시 도움 요청 방법 교육 금전관리 체크카드 및 현금사용 현금 종류구분, 체크카드 사용방법 교육 은행업무 ATM기기 사용, 통장정리, 은행상담창구 이용, 공과금 납부 교육 및 직접지원 생활비관리 수입, 지출 관리 교육 및 직접지원 금융관련 중요 보안사항 통장·비밀번호·도장 보관, 통장 및 카드 분실시 대처 방법 안내 교육 및 직접지원 [표 2-5] 주요 지원서비스 내용
  • 7. 영역 세부내용 지원내용 상세내용 사 회 참 여 쇼핑 생필품구입 구입처 안내, 합리적 소비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교통수단 대중교통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 교통카드 사용, 택시 이용, 환승, 대중교통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방법 교육 및 동행 여가활동 여가활동 탐색, 계획, 실행 여가활동 탐색 및 선택, 실행 계획 수립, 실행 지원 지역사회 활동 낮활동 기관 이용 (직장생활) 낮활동기관 및 취업 알선, 낮활동 기관 이용 및 직장 생활 에티켓 교육 주민센터이용 주민센터 이용 방법 교육 및 직접지원 사회서비스 연계 관계 의사소통방법 자신의 의사표현, 자기소개 방법 교육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 감정 조절, 이웃배려, 시민의 책임과 역할 교육 옹 호 선택 자기 의사에 의한 선택 자기 의사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에 따른 책임에 대해 교육선택과 책임 자기옹호 자신과 타인의 권리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지키는 방법 교육 및 지원 기타 옹호 관련 기관 연계 개인별 상황에 맞는 옹호 기관 연계 [그림 2-4] 성인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 모형 5)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모형 지난 2016년 아산사회복지재단의 지원으로 실행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주 거지원 서비스는 2017년 서울시의 발달장애인 지원주택 시범사업을 통해 확대 되었으며 향후 기관의 주요 서비스로 정착해 가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를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다. 지난 3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한 성인발달장애인의 지 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 모형은 아래 [그림 2-4]와 같다.
  • 8. 3. 실제사례 1) 사례 개요 성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가 제공된 과정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사례의 개요는 [표 3-1]과 같다. 사례 성별 연령 장애유형 지역 독립주거유형 독립체험여부 낮활동 사례A 여 40대 지적3급 수서동 공공임대 X 직장활동 사례B 남 40대 지적2급 역삼동 자가마련 O(12개월) 복지관 사례C 남 30대 지적2급 역삼동 자가마련 O(15개월) 복지관 [표 3-1] 주거지원 서비스 주요 사례 개요 사례A는 수서동 영구임대 아파트에서 지적, 지체 중복장애인 남동생과 함께 생활 중이으며, 2017년 1월 사례A의 직장 사회복지사를 통해 정기적인 가정방 문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의뢰되었다. 사례A는 할머니, 남동생과 함께 수서동 공공임대아파트에서 생활하다가 할머니 사망으로 인하여 남동생과 둘이 서 생활하게 되었다. 직장생활에 대한 애착이 강하며, 평일에는 직장생활을 하고 주말에는 교회 다니는 것 외에 다른 활동은 없었다. 사례B는 성인기부터 지속적으로 복지관에서 낮활동을 참여하던 이용인으로 30대에 1년 간 광주 시설에서 생활하다가 다시 원가정으로 복귀하여 2016년 7 월까지 부모와 함께 생활하고 있다. 사례C는 수원에서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다가 어머니 사망으로 인하여 사례C 의 형에 의해 서비스 의뢰되었다. 사례C는 보호작업장에서 20대까지 일을 하다 가 건강 이상 증상으로 어머니와 함께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보냈으며 낮활동으 로 복지관을 이용해본 적은 없다. 사례C의 형 2명이 경제적인 지원과 독립생활 에 대한 상담, 의사결정 등을 하고 있다. ※ 현재 지역사회 주거지원 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독립을 준비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중 당사자와 보호자의 두려움이 있고 독립을 체험해보고 싶다는 욕구가 있을 경우 독립체험 서비스를 상담 시 소개하고 있음. 독립체험 서비 스는 독립생활 환경과 유사하게 구성한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 일시적(6개 월~1년)으로 생활하여 독립을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앞으 로 살펴볼 사례B와 사례C의 경우 보호자의 자녀 독립에 대한 불안감 및 당사 자의 독립체험에 대한 욕구로 독립체험서비스를 1년 이용하였으며, 이후 역삼 동 지역사회 독립을 실행하였다.
  • 9.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A 서비스 내용 계획단계 서비스 신청 타기관(사례A의 직장)에서의 서비스 의뢰 초기면접 가정방문을 통한 사례A와의 상담 진행 가족관계, 경제상황, 건강관리, 생활적 기술 등을 사 례A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파악 사례A의 독립주거환경탐색을 통한 주택환경조사서 및 사례A와의 상담을 통한 자원조사서 작성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사례A와의 상담 및 초기면접지, 주택환경조사서 및 자원조사서에 따라 주거지원 매니저의 개인별지원계 획서 작성/사례A와의 서비스 계약 진행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전이므로 체크리스 트 진행을 하지 못하였음. 실행단계 서비스 제공 2017년 10월 제공 서비스 영역 및 내용 일상생활_금전관리 [표 3-2] 사례A 주거지원 서비스 단계별 제공 내용 2) 사례 A 사례A는 서비스 신청 시기에 이미 “독립을 실행한 사례”로 일하고 있는 근로 작 업장에서 독립생활에 대한 지원 요청으로 2017년 1월 서비스 의뢰되었으며, 사례 A와의 방문 약속 후 가정방문을 실행하였다. 서비스에 대한 소개 후 서비스에 대 한 신청 의사를 물어본 후 간단한 현재생활 및 주거에 대한 면접을 진행한 후 서비 스를 접수하였다. 서비스 접수 후 필요한 서비스 영역을 살펴보고자 독립을 실행한 주택환경을 조 사하고 자원을 조사하여 독립생활 시 필요한 영역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담을 진행 하였다. 사례 A의 경우 여가활동과 쇼핑에 대한 욕구가 있었으며, 지적장애 남동생 과 함께 생활하기 위하여 하루에 식사를 거르지 않고 건강하게 식사할 수 있는 지 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중이었으므로 사례A의 체크리스트 진행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진행함). 사례A와의 상담을 바탕으로 서비스제공을 위한 계약을 진행하고 2017년 9월 주거코치 채용 직전까지 주거지원 매니저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 였다. 2017년 10월부터 주거코치를 파견하여 주 2회 정기적인 방문을 통해 여가 활동, 건강관리를 위한 식사지원(요리, 식단), 쇼핑 동행을 지원하였으며, 수서 군 집 독립가정과 주말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주말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 한 무연고자의 특성에 따라 경제적인 학대 위험에 놓일 가능성과 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신탁의사결정지원센터와 신탁계약을 진행하였으며, 성년후견지원센터를 연계 하였다. 2018년 3월 사례A의 지원계획의 단기목표 달성여부를 파악하였으며 2017년 계획하였던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하여 서비스가 2017년 지원계획 내 용에 따라 제공되고 있으며, 수서 군집 독립가정과의 주말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 10.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A 서비스 내용 사회참여_쇼핑, 여가활동 옹호_기타: 자원연계 진행(신탁의사결정지원센터, 성 민성년후견지원센터) ※ 2018년 3월부터 장기목표의 경우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문항으로 정하여 계획을 수립함. 장기목표 1 스스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2 간단한 은행 업무를 스스로 볼 수 있다. 3 스스로 여가시간을 계획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단기목표 1_1 필요한 물품을 알고 주변에 요청하여 구매한다. 2_1 통장정리, 계좌이체 업무를 도움을 요청하여 실행한다. 3_1 여가시간에 하고 싶은 일들을 탐색한 다. 평가단계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지원계획 재수립 2018년 3월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 생활할 때 필요한 물품을 주거코치에게 이야기하고 스스로 사러 갈 때가 많아졌음. - 통장정리는 스스로 할 수 있지만 계좌이체를 어려 워 함. - 문화체육센터와 연계하여 주2회 수영을 다니고 있 으며 주말에는 수서동 군집 이용인과 함께 여가시 간을 보내고 있음. ※ 금전관리 및 쇼핑, 여가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추가로 진행하고 있음. 2) 사례 B 사례B는 부모의 고령으로 인하여 독립이 준비가 필요하였고, 보호자가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을 통하여 이용인의 독립을 실행하고자 하였음. 서비스 신청은 보호자 의 상담을 통하여 접수하였고, 이후에 계획단계에서는 당사자와 보호자의 면접을 통하여 독립에 대한 욕구와 건강, 경제, 독립에 대한 계획 등 독립에 필요한 정보 를 수집하여 초기면접을 진행하였다. 사례B의 보호자는 서비스 계획단계에서 독립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사례B가 혼자 지역사회 안에서 생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으로 양가감정이 있 는 상황이었고 1년 동안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하기를 원하였다. 이에 체계 적인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준비가 필요하여 필수적이지 않지만 독립생활을 6개 월~1년동안 체험해볼 수 있는 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후 독 립 체험 서비스 이용을 권하였다.
  • 11.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B 서비스 내용 계획단계 서비스 신청 보호자의 고령으로 인하여 사례B의 독립에 대한 욕구 로 인하여 내방을 통한 서비스 신청 초기면접 기관에서의 보호자 및 사례B와의 상담 진행 가족관계, 경제상황, 건강관리, 생활적 기술 등을 사 례B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파악 초기면접 시 사례B의 체계적인 독립 준비에 대한 보 호자 욕구로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신청 [표 3-3] 사례B 주거지원 서비스 단계별 제공 내용 초기면접이후 보호자 및 당사자와의 상담을 통해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후의 지원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지원계획은 일상생활과 사회참여 영역의 세부내용 중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여 홈 퇴소 후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체험 서비스를 내용을 구성하였다. 사례B의 경우 가전제품 활용과 반찬 양 조절의 어려움으로 식단관리에 대한 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체험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이외에 지역사회 안에서의 병원이용과 생활에 필요한 물품 구입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16년 8월부터 2017년 7월까지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생활 후, 퇴소 전 보 호자와 당사자 상담을 진행하여 지역사회에서의 독립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독립준 비를 위하여 주거탐색을 지원함. 주거탐색은 부동산 연계, 부동산 계약 시 보호자, 당사자와의 동행 등의 내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독립할 주거선정 이후 이 사과정 시 필요한 서비스(필요한 물품 구입, 이사지원, 이사 이후 독립주거에의 적 응 등)를 제공하였다. 지역사회 독립실행은 2017년 11월에 진행되었으며, 지역사 회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으로 인하여 주거선정 및 계약까지의 과정에 어려움 이 있었다. 사례B의 독립 후 생활에 대한 지원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사례B의 독립할 주거 에 이사 전 보호자와 당사자 지원계획 재수립을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여 욕구를 재 사정하고 독립체험 서비스를 담당하였던 독립인큐베이팅홈 직원과 주거지원 매니 저가 참여하여 회의를 통하여 필요한 서비스 영역 및 내용을 구성하였다. 서비스 계약을 진행하기 위하여 주거지원매니저와 회의를 통하여 월 가정방문 시간과 요 일을 정하고 계약을 진행하였다(※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개발 중이었으므로 사 례B의 체크리스트 진행은 독립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독립 전에는 서비스 영역과 세부내용을 중심으로 개인별지원계획을 수립함). 현재까지 사례B의 주거지원 서비스는 지속되고 있으며, 2018년 5월 6개월 제공서 비스 내용을 검토하여 단기목표 달성여부를 파악하고, 단기목표를 달성했을 경우 필요한 서비스 영역과 내용을 보호자, 당사자와의 상담 및 매니저의 평가에 따라 서비스 지원계획을 재수립하였다.
  • 12.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B 서비스 내용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2016.08.~2017.07.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독립 체험 서비스 이용 2017.07.~11.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후 보호자, 사 례B, 주거지원 매니저가 회의 진행 후 서비스 영역 및 내용을 정함. 실행단계 서비스 제공 2017.07.~11.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전 독립계획 상담 및 주거탐색 과정 지원(주거_주거이해, 이사) 2017.11. 사례B가 독립할 주거로 이사 후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 일상생활_가사관리, 건강관리, 보건 사회참여_여가활동, 쇼핑 ※ 2018년 3월부터 장기목표의 경우 독립주거역량 체크리스트 문항으로 정하여 계획을 수립함. 장기목표 1 옷 세탁시 적정량의 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함을 알고 있다. 3 균형 있는 식단으로 식사할 수 있다. 4 지역사회가게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 할 수 있다. 단기목표 1_1 옷 세탁시 세제 표지에 있는 세제양 안내에 맞게 세제를 넣을 수 있다. 2_1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과 실외에 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각각 주1회 이상 실시한다. 3_1 밥에 비례하여 적당한 양의 반찬과 국을 섭취한다. 4_1 코치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평가단계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지원계획 재수립 2018년 5월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 혼자서 적정량의 세탁 세제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 이 있어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지속적으로 식단관리 및 운동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지속적으로 서비스 제공하고 있음. - 쇼핑을 혼자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지속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임 ※ 원가정 복귀 시 교통수단 이용에 대한 동행을 하 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내용을 5월부터 추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13. 4) 사례 C 사례C는 모와 함께 생활하다가 모의 사망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지역사회에서 독립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고, 이에 사례C의 형이 내선을 통하여 서비스를 의 뢰하여 접수되었다. 사례C와 형은 내방하여 서비스 신청을 위한 상담을 진행하였 으며, 생활하면서 혼자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는 형의 상담내용으로 독립인큐베 이팅홈의 체험서비스를 소개하였다. 사례C와 형의 서비스 신청 이후 초기면접을 위하여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가족관계, 경제상황 등을 파악하였다. 사례C는 사람 의 눈을 마주치지 않고 말수가 없다는 특성이 있었으며, 지역사회에서의 주거마련 과 독립 시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활적인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독립인큐 베이팅홈 입소를 결정하였다.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전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면접지를 통해 독립인큐베이팅홈 담당직원과 회의를 통하여 일상생활 자기관리, 가사관리, 보건 등과 관련된 전반적 영역을 서비스를 계획하여 독립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17년 1월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후 사례C는 다른 이용인과 다르게 낮활동이 정해져있지 않는 상황이었으며, 충현복지관 외 다른 기관의 낮활동을 알아보았으 며, 충현복지관 평생복지팀의 이용이 가능하여 충현복지관에서 낮활동을 연계하였 다. 2017년 12월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전 보호자와 사례C가 한자리에 모여 지 역사회의 독립계획을 상담하고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사례C가 역삼동에 독립 할 수 있도록 주거탐색(부동산 연계, 주거지 탐색 시 동행)을 지원하고 3월 이사 과정을 지원하였다. 2018년 3월 이사 전 독립인큐베이팅홈 담당직원과 주거지원매니저가 사례C의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생활을 점검하고 향후 독립생활 시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 과 서비스 내용을 파악하여 개인별 주거지원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이후 사례C와 주거지원 매니저가 만나 서비스 계약사항을 설명하고 계약을 진행하였다. 사례C는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생활 중 위생관리(샤워)를 혼자 하는 것이 어 려워 활동보조를 연계하여 위생관리와 복지관 출퇴근을 활동보조와 함께 할 수 있 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건강한 식단관리와 쇼핑, 전자제품이용, 가사관리 등에 어 려움을 느껴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사례C는 역삼동에서 독립생활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2018년 3월 개인별지원계획서에 수립한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6개월 이후 인 2018년 9월 개인별지원계획 장기목표 및 단기목표, 서비스영역과 내용을 점검 하고 계획을 재수립할 예정이다.
  • 14. 구분 서비스 단계 사례C 서비스 내용 계획단계 서비스 신청 모의 사후에 사례C의 지역사회 독립을 위하여 형이 서비스를 의뢰함 초기면접 기관에서의 보호자(형) 및 사례C와의 상담 진행 가족관계, 경제상황, 건강관리, 생활적 기술 등을 사 례C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파악 사례C의 지역사회에서 독립생활을 위한 역량 증진과 독립주거마련을 위해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신청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2016.12 독립인큐베이팅홈 입소 전 보호자와 사례C 와의 상담을 통해 서비스 내용 정리 2018.01.~03.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후 보호자(형), 사례C, 주거지원 매니저가 회의 진행 후 서비스 영역 및 내용을 정함. 활동보조 연계 필요성(위생관리 및 복지관 출퇴근)으로 인하여 활동보조 연계 진행 실행단계 서비스 제공 2017.01~2017.12 독립인큐베이팅홈에서의 독립체험 서비스 이용(홈에서의 생활을 통한 일상생활 및 사회 참여 관련 전반적 서비스 제공) 2018.01.~03. 독립인큐베이팅홈 퇴소 및 독립계획 상담 및 주거탐색 과정 지원 2018.03. 사례C가 독립할 주거로 이사 후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 일상생활_가사관리, 보건, 자기관리 사회참여_쇼핑, 관계 장기목표 1 청소도구로 집 청소를 할 수 있다. 2 지역사회 가게에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3 규칙적으로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있다. 4. 자신의 현재 기분을 설명 할 수 있다. 5. 균형 있는 식단으로 식사할 수 있다. 단기목표 1_1 청소가 필요한 상황과 장소를 인지한 다. 2_1 코치와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 다. 3_1 주 4회 이상 샤워 또는 목욕을 한다. 4_1 코치에게 자신의 현재 기분과 감정을 설명 할 수 있다. 5_1 반찬과 국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식사 한다. 평가단계 개인별 지원계획 평가 지원계획 재수립 2018.09 개인별지원계획 평가 및 계획 재수립 예정 [표 3-4] 사례C 주거지원 서비스 단계별 제공 내용
  • 15. 4. 맺는말 최근 들어 사회적 돌봄과 커뮤니티 케어가 사회복지계 뿐 아니라 사회적인 조 명을 받고 있다.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과 독립적인 주거생활은 이제 다양 한 선택지 중 한 가지가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다른 기관보다 앞서 지역사회 중심의 주거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 경험한 한계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마련의 어려움으로 서울의 경우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본인이 원 하는 지역에 원하는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주택마련 에 따른 수급권 탈락, 부모사후 재산권 문제 등 으로 인하여 자녀명의의 주택마 련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중산층 가정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주택협동조합이나 사회적협동조합 구성을 시도하였으나 고가의 조합원 출자금과 생활비 부담, 재산권이나 세금문제 등의 사유로 결렬되었다. 이 역시 제도적인 지원과 보완이 병행되어야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미비한 지역사회 인프라이다. 본 기관 양천권역의 경우 체험형 지원주택을 운영하고 있으나 근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발달장애인 대상의 지역의 인프라 가 형성되어있지 못한 현실이다. 특히, 장애특성과 정도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낮활동 기관의 마련이 가장 시급한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셋째, 주거복지 전문가 부족이다. 주거지원은 단순한 주택의 마련과 일상생활의 지원 뿐 아니라 주택의 마련, 유지, 이주, 금전관리, 경제활동, 건강, 여가, 법률 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다 양한 삶의 영역에 대한 지원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거복지 전문가로서 주거매 니저와 주거코치의 양성과 교육이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중심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을 통한 주요 제언으로는 첫째, 성인초기나 아동·청소년기부터 자립생활을 위한 준비와 계획이 요구되어 진다. 그 간의 복지관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는 학교에서 실시되었던 특수교육과 치료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여가활동중심의 사회재활과 돌봄중심의 보호에 편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인 자립생활 영위를 위한 일상생활과 자기결정, 사회참여를 위한 다양한 훈련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삶 중심의 활동으 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별 주거지원 서비스 기관의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주거지원서비스 대상자의 경우 낮활동 기관이 본 기관이 아닐 경우 서비스 제공의 연계성과 지속성, 안정성이나 비상상황 대처 있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 고 있다. 따라서, 주거지원 서비스 제공 기관을 지역별로 확대하거나 낮활동 제 공기관에서 주거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 리라 사료된다. 끝으로, 조례제정을 통해 발달장애인에게 지원주택을 제공할 수
  • 16.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실제로 서울시에서 발달장애인 대상의 지원주택 사 업을 추진하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부분이긴 하나 특정지역에 특정주택을 마련 하고 특정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로는 근본적인 지역사회 중심의 지원서비스 가 제공되기에 많은 한계점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서울 외곽지역 에 한정되어 연 100호의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주택을 임대한 발달장 애인의 주거비를 추가보조하거나 발달장애인 대상의 주택협동조합이나 사회적 협동조합을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노력이 궁극적으로 지역사 회를 기반으로 하는 정상화 및 사회통합의 이념과도 부합하는 주거복지 실천이 라고 사료된다. [ 참고 문헌 ] Kinsella, P. 2001. “Supported Living: The Changing paradigm: from control to freedom”. Paradigm UK Electronic source: http://www. paradigm-uk. org Paradigm UK. Mansell, J. and Beadle-Brown, J. 2009. “Dispersed or clustered housing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ability: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34(4):313-323. 김영란. 김고은. 김소영. 2015.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 련 변인 연구”. 『여성연구』. 88(1):121. 박선아. 2012.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신체 적·정신적 자립생활능력을 중심으로”. 한남대 박사학위논문. 채성현, 강태인, 김미영, 권영지, 박형빈. 2017. “발달장애인 부모가 인지하는 지 역사회 자립생활과 주거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1: 103-129. 최성일·심석순·이선화·간기현. 2013.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방안 연 구: 전환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 [미국 워싱턴주 DSHS] https://www.dshs.wa.gov/fsa/forms?field_number_value=&title=independe nt+living+assessment+tool&=Apply [캐나다 온타리오주 STEPS] http://dsorntario.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