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511238 홍보광고학과 이하은
ㅊ
ㅊ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브랜드북
Contents
1. Brand story
2. 브랜드 분석Ⅰ
SCene 3
1. Background
2. 인생 브랜드라고?
01 My story
1. Brand insight3. 브랜드 분석Ⅱ
SCene 1
Intro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 성공요인 및 강점
01 Market
SCene 2
샅샅이 파헤쳐보자!너 누구야?
01 브랜드 요소 - 소비자 분석
03 다양한 활동
- 시장상황 & 경쟁사 분석
02 브랜드 자산
- 브랜드 개성
- 브랜드 공명모델
2. 전략제안
- 브랜드 요소 전략
- 포지셔닝 전략
“ 야 이번에 새로운 영화 개봉 한거 봤어? 완전 귀엽고 재밌어!!”
“ 이거 봐봐"
“ 뭔데?”
“ 애니메이션이네, 디즈니? 픽사가 만든거야? ”
“ 아니 ”
“ 그럼…? 근데 주인공이 누구야? 검은 옷 아저씨? ”
“ 아니 ”
“ 그럼 누군데?”
2013년 어느 고등학교 교실안
“ 얘네 ”
2013년 어느 고등학교 교실안
새로운
녀석들이
나타났다
2 0 1 0 년 개 봉 된 애 니 메 이 션 영 화 ‘ 슈 퍼 배 드 ’
이 영화를 만든 제작사가 불과 10년 만에 오랜 시간
동 안 전 세 계 인 의 동 심 을 지 켜 준 디 즈 니 와 픽 사 를
위협할만한 제작사로 성장했다. 그 제작사의 이름은 바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슈퍼배드’가 개봉될 당시
이 들 이 디 즈 니 와 픽 사 와 경 쟁 할 만 큼
성장할 것이라고 누가 예상할 수 있었을까?
SCene 1
Intro
키덜트(Kidult) 문화열풍
키덜트(Kidult)는 Kid와 adult의 합성어로 ‘아이들 같은
감성을 가진 어른들’을 뜻한다.원래는 철없는 일부 마니아
층의 어른들이 즐기는 비주류 문화로 여겨졌었으나 점차
대중문화에 전반에 큰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하면서
관련산업도 커지고 ㅊ전세계적인 트렌드로 미국과 일본
키덜트 시장의 규모는 각각 12조원, 4조원이며, 국내 키덜트
시장 규모는 아직 성장중 이지만 연간 5000억원을 넘어섰고
해마다 20~30%씩 증가하고 있다. 키덜크 문화는 작은
블록을 끼워 만드는 ‘레고‘와 캐릭터를 작은 사이즈로 축소한
‘피규어’, 무선 조종을 통해 영상촬영을 할 수 있는
‘드론'까지 그 종류는 무척 다양하다. 이러한 키덜트 문화의
급부상 으로 인해 그 바탕이 되는 ‘캐릭터’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잘 만든 캐릭터 하나 열 기업 안 부럽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캐릭터 하나가 가지는 브랜드 파워는
막강하다. 이러한 캐릭터가 탄생하는 배경이 바로 애니메이션
이다.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디즈니와 픽사는(이미
이 둘은 합병되었다) ’토이스토리’, ‘몬스터 하우스, ‘겨울왕국’,
‘인사이드 아 웃’ 등의 작품을 통해 많은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이 제작사의 성공 요인의 중심에는 바로 ‘캐릭터'가 있다.
그렇다면 불과10년 사이 북미 애니메이션 시장에 블루칩으로
급성장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 트'의 성공요인은 과연
무엇일까? 캐릭터일까? 아니면 다른 요인도 있는 것일까?
왜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에 열광할까?
비주류로 여겨졌으며 지금도 여전히 책임감 없는, 철없는
어른들의 정신적 퇴행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는 키덜트 문화가
점점 커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키덜트 족들의 소비심리는
일탈심리, 향수주의, 기획된 소비화로 정리할 수 있다. 각박한
현대사회의 삶으로부터 도피하고 싶은 심리와 어릴 적 감성으로
돌아가고 싶은 그리운 마음과 동심을 회복하고 싶은 욕망의 발현,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누릴 수 있게 기획된 문화에 대한 반응인
것이다. 따라서 경쟁사회, 취업난, 스트레스 등으로 각박한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진지하고 무거운 것 대신
유치할 정도로 천진난만하고 재미있는 키덜트 문화를
소비하면서 정서적인 불안감을 해소하고 있다. 이들을 바라보는
부정 적인 시 각에도 불구하고 모든 소비자는 ‘잠 재적
키덜트’들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어른이 되어서도 어린시절의
향수와 그리운 기억의 흔적들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충족시켜주는 작품을 제작하며 그 작품을 콘텐츠로 만화, 영화,
게임 등의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으로 확장시킨다. 화장품
회사와 콜라보를 진행하기도 하고, 유니버셜 스튜디오에
테마파크를 만들기도 하며, 모바일 게임에 캐릭터를 빌려주기도
한다.’슈퍼배드’의 후속편에 이은 ‘미니언즈'와 ‘마이펫의
이중생활‘ 등의 작품이 연달아 흥행을 거둔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이들의 행보에 대한 궁금증도 풀어보고자 한다.
Kid + Adult = Kidult
SCene 1
Intro 1. Background
SCene 1
Intro
2. 인생 브랜드라고?
“ 너 미니언즈 덕후야? ”
My story
“ 덕후까진 아니고 젤 좋아하는 정도…? ”
“ 그게 그거지…;;”
내가 처음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라는 애니메이션 제작 브랜드를 알게 된 것은 처음으로 무척 좋아하게 된
영화 속 캐릭터 때문이었다. 친구의 추천으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의 데뷔작 ‘슈퍼배드‘ 를 보게 된 이후,
영화 속 캐릭터에게 빠지기 시작했다. 대사가 따로 없이 이상한 소리로만 대화를 하는 영화 속 캐릭터들은 귀여운
모습과는 반대로 정신 없고 유쾌한 행동으로 보는 이들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냈다. 이 캐릭터가 바로 ‘미니언즈’다.
캐릭터가 그려진 물건들을 하나씩 사다 보니 나의 조그만 자취방에는 여행 갔다가 사온 미니언즈 피규어와 손거울
등이 꽤 큰 한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캐릭터와 관련된 물건들로 혼자 사는 집을 꾸미는 일은 조용하고 적적한
원룸에 활력을 불어 넣어 주었다. ‘미니언즈’ 캐릭터는 천하무적의 변화무쌍한 어린아이 같으면서도 반항적이고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영화 속 아이같은 캐릭터처럼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하고 싶을 때가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갈 수록 그렇게 하기가 힘들어진다. ‘미니언즈’ 캐릭터를 내가 좋아하는 이유도
이것과 비슷한 이유인 것 같다. 캐릭터를 좋아하다보니 이 영화를 만든 애니메이션 제작사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들의 작품을 보니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의 영화에는 디즈니와 픽사의 영화와는 다른
무언가가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굳이 영화의 스토리를 따라가지 않아도 화면 속 인물들의 행동만 봐도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지루함이 없었다. 영화의 스토리가 깊이 없이 단순히 ‘재미'만 있다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는 오히려 영화를 보는 내내 웃을 수 있고 스트레스를 깔끔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 제작사의 영화가 기존
애니메이션 영화보다 더 좋았던 것 같다. 그렇게 캐릭터로 시작된 애정이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제작사의
다음작품을 기다리는 팬이 될 만큼 깊어 졌다.
“ 누구나 마음 속에 어린아이가 있다 ”
너 누구야?
“ 우 리 는 태 초 부 터 존 재 해 왔 어 ”
“ 난 슈 퍼 악 당 이 되 는 게 꿈 이 야 “
“ 하루 종일 당신만 기다리며 보낼 것 같죠? ”
슈퍼 배드로 신스틸러처럼 우리 앞에 나타나더니
미니언즈와 마이펫의 이중생활까지 연이어 흥행에
성공했다 .더 이상 주목받는 신생기획사가 아닌
애니메이션의 명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과연 어떤 브랜드일까? 이번 장에서
이들을 샅샅이 파헤쳐보자!
SCene 2~3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미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이다.
애니메이션하면 ‘디즈니’와 ‘픽사’가 익숙한 이들에게는 조금 낯선 이름일 수 있는 이 제작사는
과거 1993년 디즈니 산하의 제작사에서 영화감독을 맡았고, 1998년부터는 20세기
폭스산하의 블루스카이 스튜디오에서 <아이스 에이지> 등의 흥행작을 제작한 ‘크리스
멜러댄드리’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가 폭스에서 독립하여 유니버설 픽쳐스의 투자를 유치하며
설립한 것이 지금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다. 이 신생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설립 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그 필모그래피가 무척이나 화려하다. 처음 애니메이션 시장에서 이들이
선보인 것은 ‘슈퍼배드’였다. 달을 훔치려는 야심에 찬 악당이 우연히 입양 한 세 여자 아이들
때문에 큰 소동에 빠지는 내용의 이 작품은 그해 북미 2억 5000만달러, 세계 5억4000만달러
이상의 수입을 올리면서 업계를 놀라게 만들었다. 특히 미국 지역에선 <토이
스토리3>(4억1500만달러)에 이어 2010년 애니메이션 흥행 2위에 올랐고 드림웍스의
자존심 <슈렉 포에버>(2억3800만달러)를 앞지르는 이변을 연출했다. 이것만으로도 신생
제작사에는 충분한 성공이지만 또 주목해야 할 것은 <슈퍼배드>가 선배 제작사인 블루스카이의
대표작 <아이스 에이지>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할리우드에서 디즈니-픽사와
드림웍스의 작품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수익을 안겨다준 애니메이션영화란 사실이다. 한 편의
영화, 그것도 창립작이었던 <슈퍼배드>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존재감을 알리기 시작했다.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창립작 <슈퍼배드>의 성공 ”
“ 존재감을 알리다 ”
“ 실사 애니메이션 도전의 실패 ”
그런데 <슈퍼밴드>의 성공이 채 식기도 전에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이어서 두 번째 작품인
<바니버디>를 발표하게 된다. <바니버디>는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영화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부활절 토끼가 어느 날 갑자기 드러머가 되기 위해 인간 세계로 넘어오며 벌어지는 소동을
그렸다. 이 영화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통틀어 가장 야심찬 도전이었다. 데뷔작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많은 주목을 받던 제작사가 유행이 지난 실사 애니메이션을 두 번째 작품으로 떡하니 내놓았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도전이었지만 결국 <바니버디>는 기대한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인간 배우가 싸우는 장면은 여전히 어색했고, 애니메이션 세계에서는 자연스러웠던 유머가 인간세계의
배경에서는 자연스럽게 보여지지 못했던 장면들이 아쉬웠다. 흥미로운 도전이었지만 현실세계와
애니메이션 세계는 어쩔 수 없는 불협화음을 만들어냈다. 귀여운 토끼들의 유머는 재미있었지만
<슈퍼배드>만큼의 신선함과 즐거움을 주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바니버디> 역시
제 작 비 를 충 분 히 만 회 할 정 도 로 나 쁘 지 않 는 수 익 을 거 두 었 고 , ‘ 일 루 미 네 이 션 ’ 은
“ 성공 후 이어진 도전 ”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다음해 심혈을 기울여 <로렉스>라는 작품을 발표했다. <로렉스>는 <슈퍼배드>의 크리스 리노드 감독과
<토이스토리2>로 경력을 쌓은 신예 카일 빌다 감독이 함께 연출하였다. 미국의 유명 동화 작가인 닥터 수스의
동화<The Lorax>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모든 것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인공도시인 스니드빌에 ‘진짜
나무’를 심기 위한 주인공들의 모험을 그리면서 환경파괴에 대한 경고를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일루미네이션’은 자신들이 지향하는 바를 확실히 보여준다. <로렉스>는 인공도시 스니드빌과 스니드빌 바깥세상,
스니드빌의 과거 모습인 트러풀라 숲까지 완전히 다른 세 가지 공간에서 10명이 넘는 인물이 등장한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이 캐릭터들이 등장해 과장된 연기를 펼치고 여기에 화려한 뮤지컬신과 추격전, 그리고 대규모 군중의
대치장면까지 등장시켜 이미지적으로 꽉 차다 못해 넘치는 과잉 상태의 구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프로듀서가 “책을
그대로 영화화 했으면 20분만에 끝났을 것”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줄거리는 매우 간단하다. 즉, 심플한 줄거리에
다양한 세부사항을 추가해 매우 ‘산만한'진행을 보여준 것이다.이러한 특징은 분명히 단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짧은 에피소드들이 치고 빠지며 만들어내는 활력을 더해 정신 없지만 신나는 영화를 만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로렉스>에서 뿐만 아니라 돌아보면 <슈머배드>와 <미니언즈>, <바니버디>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정신 없는 산만함 이야말로 ‘일루미네이션’의 가장 큰 색깔이라고 할 수 있다. <로렉스>는 북미 박스오피스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큰 수익을 벌어들여 다시 한번 ‘일루미네이션 엔터 테이먼트’의 성장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성공적인 데뷔작이후로 ‘일루미네이션’의 작품들은 존재감을 알려왔지만, 단연컨대 <미니언즈>를 빼놓고는 이
브랜드의 성공을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미니언즈’ 캐릭터는 <슈퍼배드>가 개봉했을 당시 주연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마침내 2015년, 이들을 주연으로 한 작품이 탄생하게 되었다.
“ 산만함과 과잉의 즐거움 ”
“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다 ”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대박을 터뜨리다 “
<미니언즈>라는 작품은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의 대표작으로, ‘미니언즈'캐릭터가 그들의
마스코트로 자리잡게 해준 영화이다. 당대 최고의 슈퍼 배드를 찾기 위해 떠난 슈퍼 배드 원정대
‘케빈‘,’스튜어트‘,’밥’이란 이름을 가진 미니언들의 모험을 그린 이 작품은 개봉 당시 주말 오프닝 수익
1억 1520만 달러를 기록하며 시리즈 사상 역대 최고의 신기록을 달성하며 전세계 44개국 박스오피스를
석권했다. 이 같은 기록은 디즈니-픽사의 영화 ‘인사이드 아웃‘, ‘겨울 왕국‘,’토이스토리 3’ 등의 오프닝
기록을 뛰어넘은 수치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사상 2번째로 많은 11억 5천만달러의 흥행을
기록하면서 디즈니-픽사에 이어 10억 달러를 넘은 흥행을 거둬들였다. 이 작품을 통해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주목 받는 신생 제작사가 아닌 애니메이션의 명가로 자리매김 하였다. 귀여운 외모와
어리숙한 행동에 영화라는 스토리까지 더해진 이 캐릭터의 파워는 대단했다. 이 캐릭터의 인기에 힙입어
다양한 업체들이 협업을 요청하었고, 향수, 편의점우유, 화장품, 패스트푸드 등등 미니언즈 캐릭터가
들어간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제품은 작년에 시작하여 올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캐릭터
붐으로 인한 소비 트렌드를 타고 많은 키덜트족들에게 사랑받았다. 또한 자신들의 자회사인 ‘유니버셜
스튜디오'에 ‘미니언즈’를 적극 활용하였다. ‘미니언즈 팝콘’과 같은 캐릭터를 활용한 식품과 ‘미니언즈
테마파크’ 등을 만들어 캐릭터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유니버셜 스튜디오'에서 캐릭터와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이건 진짜 대박이야! ”
<미니언즈>의 인기를 이어 발표한 이들의 가장 최신 작품은 <마이펫의 이중생활>이다. 2016년에 발표한 이 작품은
주인이 외출한 이후 얌전히 기다릴 줄 알았던 반려동물들의 반전생활과 모험을 다룬 영화로 동물 특유의 특징과
반전을 살려 역시 흥행에 성공하였다. 북미에서는 3억 6335만 달러(한화 4070억원), 해외에서 4억 4160만
달러(한화 4947억원)을 벌어들이며 총 8억 495만 달러(9018억원)를 기록하여 올해 개봉작 중 흥행 수입 6위를
달성하였다. 이렇게 ‘일루미네이션’은 최근까지 여러 작품들 잇따라 흥행에 성공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들의 영화는 모두 제작비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가성비 갑‘ 영화라는 점이다.
일루미네이션은 저예산 영화를 지향하며, 한 작품 당 약 8000달러 미만의 예산으로 모든 영화를 제작하고 있는데,
이는 동종 업계의 드림웍스 등이 애니메이션 한 작품 당 약 1억 4천만 달러~2억 달러 이상 예산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는 것과 비교해 볼만하다. 현재 ‘일루미네이션’은 자신들이 가장 잘하고 있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매
시퀀스, 매 신에서 다채로운 에피소드들을 가득 채워 넣는 방식, 지나치게 활개치는 정력적인 인물들, 이를
뒷받침하는 다채로운 색상의 과감한 사용과 발랄한 카메라워크, 그리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구현한 밝고 낙천적인
세계, 여기에 톡 쏘는 개성을 추가하는 짓궂은 유머까지. <슈퍼배드>와 <미니언즈>를 계속 시리즈화 시키며 이러한
특징들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디즈니-픽사가 <겨울왕국>, <인사이드아웃>처럼 탄탄한 스토리로
감성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토이스토리 3>와 같이 정적인 순간에 감동을 만든 것과는 확연히 다른 길을 걷고 있다.
지금처럼 꾸준히 자신들의 특징을 살려 새로운 도전을 계속한다면 디즈니-픽사를 뛰어넘는 브랜드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 가성비 갑 영화 “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가성비 갑 ”
“ 우리의 어린시절을 함께했으며 지금도 함께하고
있는 디즈니는 곧 애니메이션의 상징이었다. “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달라진 애니메이션 제작 생태계"
미국의 애니메이션 회사들은 세계 애니메이션 시장의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해
왔다. 그중에서도 단연 디즈니는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의 동심을 밝혀주는 친구로
기억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한때 애니메이션이 곧 디즈니를 말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1990년대 후반 CG애니메이션의 등장과 함께 셀애니메이션 기반의
디즈니의 힘이 약해지자 그 틈을 타고 픽사와 드림웍스가 등장하면서 애니메이션
시장은 3강구조가 형성되었다. 그후 2006년 디즈니가 픽사를 인수하면서 디즈니-
픽사와 드림웍스의 거대 양대 산맥의 구조가 이어졌다. 그러나, 영원한 강자는 없는
법, 2010년 무렵부터 소니픽처스, 블루스카이 스튜디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스튜디오들이 연달아 작품을 흥행시키며
디즈니-픽사와 드림웍스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 엔터테이먼트 중에서도
‘일루미네이션’은 <슈퍼배드>를 시작으로 연이어 놀라운 흥행을 이끌어 단연
주목받는 엔터테이먼트로 떠올랐다. 사실 이러한 중소 규모의 엔터테이먼트들의
흥행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2007년 블루스카이가 <아이스에이지>로 고정된
시장에 한차례 변동을 가져왔었다. 그러나 이들의 흥행성공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반대로 거대 스튜디오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디즈니-픽사는
<주먹왕 랄프>(2012) <메리다와 마법의 숲> 이 나쁘지 않은 성과를 올렸지만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기엔 미흡했고, 그나마 <몬스터 대학교>가 그간 부진했던
명가의 자존심을 살렸다. 드림웍스는 2012년 <가디언즈>의 흥행 참패로 대량해고
사태까지 맞이했다. 그동안 디즈니가 애니메이션 명가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이유는 패쇄적으로 인력자원과 기술의 유출을 통제했기 때문이다.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달라진 애니메이션 제작 생태계"
그러나, CG 애니메이션로의 변화로 모든 스튜디오들이 기술상으로 같은 출발점에 놓이게 된 지금은 얼마든지 새로운 기술을 축적할 수 있으며
인력이동도 과거보다 자유로워졌다. 물론 여전히 세계 애니메이션 계를 주도하는 북미 애니메이션 시장은 디즈니-픽사, 드림웍스와 같은 거대
브랜드들이 흐름을 주도한다. 그러나, 패쇄적인 제작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이들의 평균 제작비가 1억5천만~2억달러인 데 비해 중소
엔터테이먼트들의 경우 각 제작단계를 프로젝트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해 나가는 유연성을 발휘하며 평균 8천만달러 선에서 작품을 완성한다.
반면 수익은 평균 4억달러 내외로 거대 스튜디오와 큰 차이가 없다. 게다가 아직까진 크게 실패한 작품이 거의 없는 만큼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 일루미네이션은 이제 막 관객에게 작품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각인시키고 있다. 그들만의 색깔이 담긴 작품을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는
지금이 그들의 진짜 시작이 아닐까 한다.
<북미 3D 애니메이션 시장의 변화>
(3강 구도) (춘추전국시대)
# 1 글로벌 협업 전략
일루미네이션의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산타모니까에 있으며, 공동 작업할 특수효과 전문 스튜디오인 맥거프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해 있다.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교육수준은 세계최고를 자랑하고 애니메이션 영화와 만화를
좋아하는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숙련된 애니메이션 영화제작기술과 장편 제작의 경험이 풍부하다.
일루미네이션은 본사와 전문스튜디오의 입지적 조건 덕분에 미국과 프랑스에서 우수한 제작인력을 확보할 수
있었고, <슈퍼배드>의 제작 또한 글로벌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일루미네이션은 '아이챗'과 '스카이프' 등의 인터넷통신 시스템을 마련, 전 세계 내로라하는 스토리 작가와 비주얼 개발
아티스트, 색채화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반면, 디즈니-픽사, 드림웍스의 경우
인력자원을 철저히 통제하며, 자신들의 노하우가 유출되는 것을 철저히 막았다. 변화의 흐름을 읽지 못한 거대 제작
브랜드들은 혹독한 대가를 치뤘고, 이 과정에서 회사를 떠난 인력들이 중소 제작사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이는 일루
일루미네이션과 같은 중소 제작사들의 기술이 거대 메이저급 회사와 평준화되는 기회가 되었다.
# 2 고급 인력 유출에 따른 기술 평준화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3 결국은 캐릭터
# 4 제작비 절감 노력
일루미네이션은 작품 전부를 8000만 달러 미만의 예산으로 완성했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슈퍼배드’는 약
6900만 달러의 제작비가 들어갔고 후속작 ‘슈퍼배드2’는 7600만 달러, 스핀오프 ‘미니언즈’는 7400만 달러의
예산으로 제작했다. 동종업계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디즈니, 드림웍스, 블루스카이 등이 작품 한 편 당 약 1억 달러
이상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는 것과 비교된다. 1억 7500만 달러의 제작비가 든 ‘인사이드 아웃’은 전 세계 흥행 수익
8억 5742만 달러를 기록했고, 동시기에 개봉한 ‘미니언즈’는 7400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여 11억 1593만 달러의
누적 수익을 기록, 극장가를 휩쓸었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원동력은 ‘덕심’을 자극할 수 있는 캐릭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캐릭터들이 얼마만큼 ‘덕후’들을
공략할 수 있느냐에 제작사의 생명줄이 달려있다. 일루미네이션 속 등장인물들은 일관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첫
번째 정신없음, 두 번째는 귀여움, 세 번째는 유쾌함이다. 이 귀엽고 정신없고 유쾌한 캐릭터들은 시종일관 웃음을
자아낸다. 일루미네이션의 흥행성공의 일등공신은 단연 ‘미니언'군단 역시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란색의
작은 몸집에 커다란 눈과 고글, 멜빵바지 차림을 한 귀엽고 괴상한 캐릭터는 영화 밖에서도 각종 패러디물로 인기를
더하고 있다. 또한 ‘마이펫의 이중생활’의 캐릭터들은 무척이나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러한 비주얼 이상으로
‘동물 본연의 습성'을 가진 캐릭터라는 독특한 차별점으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냈고, 이
차별점이 캐릭터의 가치가 되어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이는 디즈니-픽사의 <쿵푸팬더>와 <주토피아>의
캐릭터들이 완벽하게 의인화된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1 브랜드 요소
1. Brand Name
: ‘빛, 조명, 채색’을 뜻하는 일루미네이션과 ‘오락’을 뜻하는
엔터테이먼트를 합친 말로 애니메이션 제작사임을 드러내며,
극단적인 선명함을 배제하고 파스텔톤의 연하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 자사의 그래픽 색감의 특징을 반영한 브랜드 네임
3. Brand URL
: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빛, 조명) (오락)+
: http://www.minions2015.kr/
: 브랜드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미니언즈'의 네임을 포함한
브랜드 URL 사용 (2015년 까지만 사용한 듯 하다)
4. Brand Symbol
2. Brand Logo
워드마크(Text)형
: 독특한 형태로 쓰인
회사명이나 등록상표
: 브랜드 이름을 그대로 텍스트로 나타낸 워드마크
형태의 브랜드 로고
: 캐릭터(미니언즈, 스노우볼, 맥스 등)
: 제 작 한 작 품 에 등 장 하 는 주 요 캐 릭 터 들 이
일루미네이션의 브랜드 심볼.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사의 특성상 캐릭터는 브랜드의 강력한 자산이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1 브랜드 요소
요소과
브랜드 요소의 선택 기준 ① 기억용이성 ② 유의미성 ③호감성 ④ 전이성 ⑤ 적용성 ⑥ 법적보호성
① 기억용이성: 발음하기 어렵고 긴 영어단어 네임이라 기억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아쉽다. 그러나 단어의 뜻이 ‘빛,조명’과
오락’이 합해졌다는 의미는 애니메이션 제작사라는 의미를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는 점은 좋은 것 같다.
② 유의미성 : 어떤 애니메이션 제작 브랜드인지, 브랜드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드러나지 않아 아쉽다. ‘귀엽고 유쾌하며
장난스러운 재미를 준다'라는 브랜드 정체성이 드러나는 의미의 브랜드 네임과 로고가 들어가면 좋겠다.
③ 호감성 : 브랜드 요소를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를 강화 시키기에 용이하다. 귀여운 비주얼과 의인화된 브랜드 요소
들은 소비자들의 관심과 호감도를 끌어내기에 충분한 것 같다. 다만, 자체 소비자 조사에서 브랜드 네임에서
‘차갑다’라는 느낌을 받았다는 답변이 있는 것으로 보아 브랜드 네임의 호감성은 애매한 것 같다.
④ 전이성: 브랜드 요소가 비교적 다른 제품군으로의 전이가 쉽고 확장성이 용이하다. 캐릭터라는 강력한 브랜드 요소를
와 향수, 화장품, 모바일 게임, 편의점음식 등 다양한 제품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고 있다.
⑤ 적용성 : 영어단어를 그대도 가져온 네임이기 때문에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⑥ 법적보호성 : 고유명사가 아닌 영어 단어를 그래도 가져온 네임이기 때문에 법적 보호성은 떨어질 것 같다.
그러나 캐릭터라는 브랜드 요소 측면에서는 저작권으로 인해 법적 보호성이 뛰어날 것 같다.
<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에 관한 소비자의 브랜드 지식>
연상 네트워크 기억 모델 : 브랜드 지식은 기억 속에서 브랜드와 연결된
다양한 연상들을 지닌 브랜드 노드들로 구성됨.
연상 네트워크 기억 모델
미니언즈
마이펫의 이중생활
유니버셜 스튜디오
노랑색
바나나
옥수수
편의점 우유
슈퍼 배드
귀여움
화장품
3D 애니메이션
콜라보레이션
OST
피규어
바니 버디
정신 없음
유투브 콘텐츠
맥도날드 해피밀
바나나송 쿠키영상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1 브랜드 요소
5. 캐릭터
" 강력한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분석
매부리코를 가진 모태솔로 50대 악당, 파리의 에펠탑’,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등을 훔치는 스케일이 큰 악당.
미니언즈’를 수하로 두고 있으며, 달을 훔치는 과정에서
세 소녀를 입양하게 되면서 변화하는 캐릭터.
슈퍼악당에서 세 소녀를 사랑하는 아빠로 변해가는
과정에서 이 캐릭터의 매력을 알 수 있다.
그 루 미니언즈
슈퍼 악당 ‘그루'의 수하들. 세계최고의
악당을 주인으로 섬기고자 하는 2등신의
노란색 캐릭터. 슈퍼배드는 미니언 보는
재미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영화의 개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상이상으로 유능한
재능을 가졌다,
마고 3자매
슈퍼악당 ‘그루'가 어느 날 갑자기 키우게 된
세 소녀들로 고아원에서 자신들을 입양해줄
사람을 기다리다가 ‘그루’에게 입양 되었다.
처음에 자신들을 대하는 ‘그루’를 싫어했지만
그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고 점차 애정과 신뢰를
가지게 된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분석
" 강력한 브랜드 자산"
길쭉한 체형을 지닌 미니언이며 자존심이 강한 성격.
미니언들이 혼란에 빠졌을 때 이들을 이끄는 리더의
역할. Big brother 포지션으로 밥과 스튜어 트를 돌봐
주는 어른스러운 면이 있다.
짤뚱한 체형을 지닌 오드아이 미니언으로 소심한
성격이며 케빈에게 의지하거나 업혀 다니는
모습을 보여준다. 곰돌이 인형을 언제나 꼭 안고
다니며, 귀여움으로 관객들의 덕심을 유발하는
캐릭터
미니언 중 유일한 외눈박이 . 평범한
체형과 외안을 지닌 미니언으로, 식탐이 꽤
있는 편이며 바나나에 아주 환장한다.
개그캐릭터 포지션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분석
" 강력한 브랜드 자산"
맥스 스노우볼 듀크 멜
강아지 시절 박스에 버려졌으 나
주인 케이티에게 거둬진다. 주인을
매우 좋아하며, 주인이 데려온 다른
유기견 듀크가 집에 들어오면서 변
화하는 캐릭터
새하얗고 조그만 토끼, 귀여워
보이 는 외모와 달리 난폭하고
미친 것 같은 행동을 한다.
일명 돌+아이 토끼
원래 주인이 있었지만 어느 날
집을 찾지 못하고 단속반에
잡혀 보호소 에 갔다가 케이티
에게 분양된다. 몸집이 작은
맥스에게 텃세를 부리 며
갈등하는 캐릭터
등장인물 중 가장 천진난만
하고 긍정적인 캐릭터.
다람쥐를 경쟁상대로
의식하고 짖어 대곤 한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분석
" 강력한 브랜드 자산"
기젯 클로이 팝스
맥스 집 건너편에 사는 개. 맥스를
짝사랑한다.맥스를 직접 구하러
가는 등 당차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작은 덩치에 비해 싸움을
잘한다.
식탐 많은 고양이. 냉장고에 있는
통닭 한 마리를 다 먹어치우고도
케이크에 눈독을 들이는 대식가다.
관심 없는 척 하면서 챙겨주는
츤데레 캐릭터
노익장 애완견. 주인이 오랫동안
집을 비우는 애완견이라 집에서
주인을 기다리는 애완동물들을
모아다 파티를 벌인다. 나이
때문에 다리가 약해 바퀴를 달고
다닌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정신 없고 시끄럽다고?
가볍고 깊이가 없다고?
그게 우리 매력 인걸!!
브랜드와 관련된 인간적인 특성들의 집합:
세련된
똑똑한
장난스러운
유쾌한
가족 지향적창의적인
귀여운
엉뚱하고 바보 같은 행동으로
웃음을 유발하는 일루미네이션
캐릭터는 세력 되고 똑똑하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로렉스’
의 경우 교훈적인 내용이기는
하나 일루미네이션의 대부분의
영화는 교훈적이거나 감동을
주는 이미지와는 차이가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캐릭터와 그래픽
비 주 얼 , 스 토 리 를 창 조 하 는
브랜드이다. 일루미네이션은
짧은 시간 큰 흥행에성공했으며,
대표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디즈니-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 <겨울왕국>과
같은 감성적인 스토리로 가족에 대한
사랑이나 우정 같은 가치를 보여주는
교훈적인 내용의 영화와는 거리가 멀다
이 들 의 영 화 는 스 토 리 보 다 는
캐릭터들의 행동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가족 지향적인 이미지는
다소 약하다.
일루미네이션의 캐릭터들은
시종일관 장난스럽고 유쾌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서로를
놀리는 모습의 미니언즈나
귀여운 모습과는 다르게 반전
있는 모습의 마이펫 캐릭터들
을 보면 알 수 있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영화와 캐릭터들의 가장 큰
특징은“귀여워” 를 연발할
만 큼 짧 고 동 글 동 글 한
비 주 얼 이 다 . 정 신 없 고
바보스러운 행동도 귀여워
보이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 애니메이션 제작사 브랜드 개성은 제작하는 영화와 캐릭터에 의해 대부분 결정된다.”
브랜드 개성
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단계를 모델화 (브랜드자산 피라미드):
현저성
성과 심상
판단 감정
공명
이성적 감성적
재미있고 유쾌한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드는 브랜드
영화 흥행 관객수
저예산으로 수익창출
인기 캐릭터
유쾌함
귀여움
장난스러운 재밌는
유쾌함
귀여움
장난스러운 재밌는
좋아하는 캐릭터
인기있는 영화
캐릭터 덕후
일루미네이션
영화 마니아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브랜드 공명모델
" 강력한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콜라보 제품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화장품 브랜드와의 콜라보
화잘품 로드샵 브랜드 ‘미샤'와의 콜라보를 통해
미니언즈 폼클렌징 , 틴트스틱, 쿠션 등의 제품을
출시하였다 . 또한 1979년 설립된 세계적인 향수
전문업체인 에어발 인터내셔널사와의 콜라보를 통해
미니언즈 오드뚜왈렛를 출시, 왓슨스에서 판매하고 있다.
패스트 푸드와의 콜라보
패스트 푸드 브랜드 ‘맥도날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미니언 슈비 버거, 미니언 옐로 머핀, 바나나맛
맥플러리 등의 메뉴가 있는 미니언 해피밀을 출시하였다.
이는 스폐셜 미니언즈 인기 캐릭터 토이 10종과 함께
선착순으로 판매하였다.
이다
CGV와의 콜라보
영 화 관 C G V와 콜 라 보 를 진 행 하 여
마 이 펫 의 이 중 생 활 에 등 장 하 는
캐 릭 터 들 이 들 어 간 팝 콘 , 콜 라
등을 출시하였다.
통신사 KT가 콜라보를 통해 홈캠 가입자 및 KT
올 레 닷 컴 회 원 에 게 < 마 이 펫 의 이 중 생 황 >
영화예매권을 증정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집에 있는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IOT홈캠의 이미지를 마이펫의 이중생활
캐릭터와 연결지어 마케팅에 활용하였다.
통신사 IOT와의 콜라보
" 강력한 브랜드 자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1) 캐릭터 콜라보 제품
2) 보너스 영상(쿠키영상 & 유투브 콘텐츠 영상)
일루미네이션을 캐릭터를 활용하여 영화의 쿠기 영상을 제작하여 엔딩크레닛 후 관객에게 보여주기도 하고 유투브 등의 채널을 이용해 OST
등의 홍보용 영상을 업로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캐릭터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영화를 보지 않은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너스 영상은 영화 캐릭터의 매력을 어필하기도 하고 사람들에게 영화캐릭터와 관련된 또다른 경험을 제공
하기도 한다.
바나나송 미니언 전구바꾸기
크리스마스 특집
영상
뚜찌빠찌송
OST 보너스 영상
" 강력한 브랜드 자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3) 캐릭터 테마파크
" 강력한 브랜드 자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미니언즈 팝콘통 미니언즈 퍼레이드 미니언 마트
우리가 접수한다.
“ 일루미네이션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설립 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흥행파워와 캐릭터의
인기는 대단하다. 그러나 지금의 인기가 꾸준히
이어지려면 일루미네이션만의 브랜드 자산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장에서 일루미네이션이라는
브랜드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자.
SCene 4
누가
우리를 만들었는지
알아요?
<소비자 Insight>
애니메이션 영화와 제작사?
81.5%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1. Brand Insight 01 소비자 분석
 정량적 조사 : 구글 설문지를 통한 자체 설문조사
Q1.<미니언즈> <슈퍼배드> <마이펫의 이중생활>을
제작한 브랜드가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인’ 것을
알고 계셨나요?
Q2. 그렇다면 어떤 브랜드라고 생각하셨나요?
아니오
예
18.5%
81.5%
아니오(2번으로 이동)
예(3번으로 이동)
디즈니
- 픽사
60%
20%
20%
드림 웍스
기타
디즈니-픽사
드림 웍스
소니 픽처스
블루 스카이
기타
응답(84개) 응답(68개)
소비자들은 일루미네이션의 영화와 캐릭터를 일루미네이션이라는 브랜드와 연결 짓지 못하고 있다.
81.5%
?
“ 캐릭터를 브랜드요소로 활용할 때
다른 브랜드 요소들을 지배하여 브랜드인지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소비자들은 미니언즈, 마이펫의 캐릭터는 기억하지만 일루미네이션은 기억하지 못한다.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1. Brand Insight 01 소비자 분석
Brand Insight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설립 10년 만에 디즈니-픽사를 위협할 정도로 흥행 성공을 거두고 있다.그들이 만든 작품과 캐
터는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두터운 팬층을 확보했다. 일루미네이션은 유니버셜 스튜디오와 같은 테마파크를 통해 캐릭터를
경험하는 장소를 만들기도 하고, 캐릭터의 라이센싱 가치를 이용해 여러 회사, 제품과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그러나 캐릭터라는 하나의 브랜드 요소에만 너무 집중한 나머지 정작 일루미네이션의 브랜드 인지도와 자산을 쌓는
활동은 소홀히 하고 있다. 물론 아직 설립 된지 얼마 되지 않았고, 그들이 내놓은 작품의 수도 많지 않기 때문에 아주 오랫동안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의 대가인 디즈니-픽사와 같은 거대 기업들이 가진 브랜드 자산보다 이들이 가진 것이 적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변화하는 애니메이션 시장의 흐름에 따라 디즈니-픽사와 차별화되는 그들이 잘 할 수 있
는 것들을 꾸준히 잘 해오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거대 기업과 차별화된 그들의 브랜드 자산을 관리한다면 충분히 더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
81.5%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1. Brand Insight 02 전략 제안
1) 브랜드 요소 전략
2) 포지셔닝 전략
: 현재의 자사의 특징을 강화
 디즈니-픽사와 차별화된 포지셔닝으로
브랜드 이미지 형성 강화
- 브랜드 로고 변경: 워드마크 심볼 마크
: 기존의 로고는 기억하기 어렵고 브랜드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를 심볼로 심플하고 기억하기
용이하게 바꾼다.
브랜드 로고와 캐릭터를 함께 노출
: 영화 상영 전뿐만 아니라 일루미네이션
의 모든 동영상 콘텐츠에 브랜드 로고와
인기 캐릭터가 움직이는 모습을 함께 노출시킨다.
진지한
교훈적인
동적인정적인
장난스러운
재밌는
http://www.etnews.com/20160324000393?m=1
http://tapacross.tistory.com/category/Big%20Data%20Connected/%EB%B9%85%EB%8D%B0%EC%9D%B4%ED%84%B0%20%EC%9D%B8%EC%82%AC%EC%9D%B4%ED%8A%B8?page=2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109518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612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붐’, 키덜트족 넘어 화장품계도 섭렵
참고 & 인용
1) 카드 뉴스 ‘키덜트'문화 중심에 서다 (이효성 기자, 전자신문, ETNEWS.03.25)
http://www.etnews.com/20160324000393?m=1
2) 빅데이터 인사이트 33호 – 숨은 행복 찾기 (빅데이터로 살펴본 행복의 조건과 의미.2014. 06.05)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612
3) 나무 위키 백과 – <미니언즈>, <슈퍼배드>
https://namu.wik
4) 디즈니와 픽사를 위협할 일루미네이션(김은지 기자, 뉴스에이드, 2016.08.10
http://www.news-ade.com/?c=news&m=newsview&idx=1000010995
5)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붐’, 키덜트족 넘어 화장품계도 섭렵( 이종은 기자,이뉴스투데이.2015.11.30)
6) 8000억 흥행대박 '슈퍼배드2' 태생이 다르다?(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13.09.21)
[팝콘 사이언스-⑱]‘슈퍼배드2’로 본 달라진 애니메이션 제작 생태계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3091713244324566
7) 뚝심있게, 정신없이 몰아붙인다(씨네 21, 김보연 기자, 2013.09.03)
https://www.linkedin.com/?trk=nav_logo
ㅊ
ㅊ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
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
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Naamah Hill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Kieun Jang
 
Anime
AnimeAnim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Ian Moreno-Melgar
 
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
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
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
Kohki Miki
 
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
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
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
poko ponmaru
 
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
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
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
Lianne1995
 
The Sub-Genres of Sci-Fi
The Sub-Genres of Sci-FiThe Sub-Genres of Sci-Fi
The Sub-Genres of Sci-Fi
Rachel Williams
 
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
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
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
historia_Inc
 
【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
【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
【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
Unity Technologies Japan K.K.
 
Other Themes in city of god.
Other Themes in city of god. Other Themes in city of god.
Other Themes in city of god. Naamah Hill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
Takehito Gondo
 
「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
「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
「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
IGDA JAPAN
 
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
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
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
Satoru Okubo
 
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
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
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
小林 信行
 
[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 JP
 
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
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
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
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
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
エピック・ゲームズ・ジャパン Epic Games Japan
 
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
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
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
Eunseok Yi
 

What's hot (20)

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
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
04.Micro elements in City of God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NDC2019] 전소현&장기은 - 시나리오 기획자는 대사만 잘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ㅇㅅㅇ
 
Anime
AnimeAnime
Anim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City of God A-Level Film Studies student booklet e-book workbook study guide
 
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
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
エターナらないゲーム開発
 
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
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
Substance Designer の使い方事例
 
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
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
Codes and Conventions of a Sci-fi film
 
The Sub-Genres of Sci-Fi
The Sub-Genres of Sci-FiThe Sub-Genres of Sci-Fi
The Sub-Genres of Sci-Fi
 
City of God Booklet
City of God BookletCity of God Booklet
City of God Booklet
 
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
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
映像屋さんのためのリアルタイムBG制作
 
【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
【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
【Unite Tokyo 2018】ユニティちゃんトゥーンシェーダー2.0使いこなしスペシャル ~こだわりの活用法を紹介します!~
 
Other Themes in city of god.
Other Themes in city of god. Other Themes in city of god.
Other Themes in city of god.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
ガルガンチュア on Oculus Quest - 72FPSへの挑戦 -
 
「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
「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
「乙女ゲームのシナリオ勉強会」講演スライド
 
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
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
UE4で使えるSpatialized Audio Plug-inどう違うの?どれ使えばいいの?
 
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
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
ゲームシナリオ構成法 2015版
 
[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DL輪読会]YOLOv4: Optimal Speed and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
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
ゲーム産業講義2015年1月
 
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
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
エフェクトツール機能の実装例
 
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
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
NDC 2012 이은석 - 고전게임 화이트데이 디렉터 포스트모템
 

Viewers also liked

BLYTHE BRANDBOOK
BLYTHE BRANDBOOK BLYTHE BRANDBOOK
BLYTHE BRANDBOOK
Suyeon Kim
 
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
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
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
혜원 이
 
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
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
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
지영 전
 
브랜드북 김해솔 72초
브랜드북 김해솔 72초브랜드북 김해솔 72초
브랜드북 김해솔 72초
Haesol Kim
 
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
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
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
현지 이
 
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
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
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
기주 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
수현 송
 
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
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
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
혜민 조
 
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
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
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
Jiwon77
 
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
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
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
Hyun Sil Lee
 
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
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
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
Sijin Lee
 
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
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
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
haeji lee
 
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
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
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
seo jeong kim
 
맘스터치 브랜드북
맘스터치 브랜드북맘스터치 브랜드북
맘스터치 브랜드북
주은 정
 
Brand book - Taiwan
Brand book - TaiwanBrand book - Taiwan
Brand book - Taiwan
Jin Namgung
 
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
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
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
소영 장
 
잼있는인생 브랜드북
잼있는인생 브랜드북잼있는인생 브랜드북
잼있는인생 브랜드북
jsssane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
mmmum park
 
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
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
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
Eunbi Kim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설미 박
 

Viewers also liked (20)

BLYTHE BRANDBOOK
BLYTHE BRANDBOOK BLYTHE BRANDBOOK
BLYTHE BRANDBOOK
 
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
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
비욘드클로젯브랜드북 홍보광고학과이혜원
 
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
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
투썸플레이스브랜드북 전지영
 
브랜드북 김해솔 72초
브랜드북 김해솔 72초브랜드북 김해솔 72초
브랜드북 김해솔 72초
 
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
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
숙명여대 홍보광고 이현지 브랜드북 '티머니'
 
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
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
브랜드북 무한도전 1511924 김기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브랜드북 E-MART
 
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
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
브랜드북 한샘(Hanssem)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조혜민
 
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
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
숙명여대 브랜드북 최지원 '배스킨라빈스'
 
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
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
숙명여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수업 과제 브랜드북 : 마이크임팩트
 
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
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
브랜드북 아름다운가게(1415929이시진)
 
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
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
브랜드 북_Beenzino(빈지노)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과제 1410251 이해지
 
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
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
브랜드북 1510768 김서정
 
맘스터치 브랜드북
맘스터치 브랜드북맘스터치 브랜드북
맘스터치 브랜드북
 
Brand book - Taiwan
Brand book - TaiwanBrand book - Taiwan
Brand book - Taiwan
 
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
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
텐바이텐 브랜드북_숙명여대 장소영
 
잼있는인생 브랜드북
잼있는인생 브랜드북잼있는인생 브랜드북
잼있는인생 브랜드북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과제 1411558 박효연
 
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
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
대림미술관 브랜드북 (daerim museum brand book)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북
 

Similar to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브랜드북

나의 동화책 Walt diseny
나의 동화책 Walt diseny나의 동화책 Walt diseny
나의 동화책 Walt disenykimheejeong
 
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
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
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
현지 김
 
세계 애니메이션 제국
세계 애니메이션 제국세계 애니메이션 제국
세계 애니메이션 제국
sketchout
 
Disney brandbook
Disney brandbookDisney brandbook
Disney brandbook
ssuserb38aad
 
Presentation 브로큰테일
Presentation 브로큰테일Presentation 브로큰테일
Presentation 브로큰테일
rlaalswl0106
 
Report
ReportReport
Report
yuanxuezhang
 
Report b9191576
Report b9191576Report b9191576
Report b9191576
yuanxuezhang
 
Character design
Character designCharacter design
Character design
ayoung.joy kim
 
프레젠테이션1[1]
프레젠테이션1[1]프레젠테이션1[1]
프레젠테이션1[1]Yujin Lee
 
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
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
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근우 송
 
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
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
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
종윤 김
 
김채영 컬러배스 최종
김채영 컬러배스 최종김채영 컬러배스 최종
김채영 컬러배스 최종
chaeyeong
 
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
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
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gunhe
 
Mjolnir mood light
Mjolnir mood lightMjolnir mood light
Mjolnir mood light
ssusera3d060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minki43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minki43
 
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
KimDou
 
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
KimDou
 

Similar to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브랜드북 (19)

나의 동화책 Walt diseny
나의 동화책 Walt diseny나의 동화책 Walt diseny
나의 동화책 Walt diseny
 
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
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
디자인과 문화 1214637 김현지
 
세계 애니메이션 제국
세계 애니메이션 제국세계 애니메이션 제국
세계 애니메이션 제국
 
Disney brandbook
Disney brandbookDisney brandbook
Disney brandbook
 
Presentation 브로큰테일
Presentation 브로큰테일Presentation 브로큰테일
Presentation 브로큰테일
 
Report
ReportReport
Report
 
Report b9191576
Report b9191576Report b9191576
Report b9191576
 
Character design
Character designCharacter design
Character design
 
픽사 사례
픽사 사례픽사 사례
픽사 사례
 
프레젠테이션1[1]
프레젠테이션1[1]프레젠테이션1[1]
프레젠테이션1[1]
 
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
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
마법천자문 소개 20130702
 
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
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
Presentation 로그더베어 split_v01
 
김채영 컬러배스 최종
김채영 컬러배스 최종김채영 컬러배스 최종
김채영 컬러배스 최종
 
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
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
선라이즈 동심속의 만화
 
Mjolnir mood light
Mjolnir mood lightMjolnir mood light
Mjolnir mood light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픽사의 역사와 장편작품
 
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드림웍스대픽사
드림웍스대픽사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브랜드북

  • 1. 1511238 홍보광고학과 이하은 ㅊ ㅊ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브랜드북
  • 2. Contents 1. Brand story 2. 브랜드 분석Ⅰ SCene 3 1. Background 2. 인생 브랜드라고? 01 My story 1. Brand insight3. 브랜드 분석Ⅱ SCene 1 Intro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 성공요인 및 강점 01 Market SCene 2 샅샅이 파헤쳐보자!너 누구야? 01 브랜드 요소 - 소비자 분석 03 다양한 활동 - 시장상황 & 경쟁사 분석 02 브랜드 자산 - 브랜드 개성 - 브랜드 공명모델 2. 전략제안 - 브랜드 요소 전략 - 포지셔닝 전략
  • 3. “ 야 이번에 새로운 영화 개봉 한거 봤어? 완전 귀엽고 재밌어!!” “ 이거 봐봐" “ 뭔데?” “ 애니메이션이네, 디즈니? 픽사가 만든거야? ” “ 아니 ” “ 그럼…? 근데 주인공이 누구야? 검은 옷 아저씨? ” “ 아니 ” “ 그럼 누군데?” 2013년 어느 고등학교 교실안
  • 4. “ 얘네 ” 2013년 어느 고등학교 교실안
  • 5. 새로운 녀석들이 나타났다 2 0 1 0 년 개 봉 된 애 니 메 이 션 영 화 ‘ 슈 퍼 배 드 ’ 이 영화를 만든 제작사가 불과 10년 만에 오랜 시간 동 안 전 세 계 인 의 동 심 을 지 켜 준 디 즈 니 와 픽 사 를 위협할만한 제작사로 성장했다. 그 제작사의 이름은 바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슈퍼배드’가 개봉될 당시 이 들 이 디 즈 니 와 픽 사 와 경 쟁 할 만 큼 성장할 것이라고 누가 예상할 수 있었을까? SCene 1 Intro
  • 6. 키덜트(Kidult) 문화열풍 키덜트(Kidult)는 Kid와 adult의 합성어로 ‘아이들 같은 감성을 가진 어른들’을 뜻한다.원래는 철없는 일부 마니아 층의 어른들이 즐기는 비주류 문화로 여겨졌었으나 점차 대중문화에 전반에 큰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하면서 관련산업도 커지고 ㅊ전세계적인 트렌드로 미국과 일본 키덜트 시장의 규모는 각각 12조원, 4조원이며, 국내 키덜트 시장 규모는 아직 성장중 이지만 연간 5000억원을 넘어섰고 해마다 20~30%씩 증가하고 있다. 키덜크 문화는 작은 블록을 끼워 만드는 ‘레고‘와 캐릭터를 작은 사이즈로 축소한 ‘피규어’, 무선 조종을 통해 영상촬영을 할 수 있는 ‘드론'까지 그 종류는 무척 다양하다. 이러한 키덜트 문화의 급부상 으로 인해 그 바탕이 되는 ‘캐릭터’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잘 만든 캐릭터 하나 열 기업 안 부럽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캐릭터 하나가 가지는 브랜드 파워는 막강하다. 이러한 캐릭터가 탄생하는 배경이 바로 애니메이션 이다.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디즈니와 픽사는(이미 이 둘은 합병되었다) ’토이스토리’, ‘몬스터 하우스, ‘겨울왕국’, ‘인사이드 아 웃’ 등의 작품을 통해 많은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이 제작사의 성공 요인의 중심에는 바로 ‘캐릭터'가 있다. 그렇다면 불과10년 사이 북미 애니메이션 시장에 블루칩으로 급성장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 트'의 성공요인은 과연 무엇일까? 캐릭터일까? 아니면 다른 요인도 있는 것일까? 왜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에 열광할까? 비주류로 여겨졌으며 지금도 여전히 책임감 없는, 철없는 어른들의 정신적 퇴행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는 키덜트 문화가 점점 커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키덜트 족들의 소비심리는 일탈심리, 향수주의, 기획된 소비화로 정리할 수 있다. 각박한 현대사회의 삶으로부터 도피하고 싶은 심리와 어릴 적 감성으로 돌아가고 싶은 그리운 마음과 동심을 회복하고 싶은 욕망의 발현,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누릴 수 있게 기획된 문화에 대한 반응인 것이다. 따라서 경쟁사회, 취업난, 스트레스 등으로 각박한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진지하고 무거운 것 대신 유치할 정도로 천진난만하고 재미있는 키덜트 문화를 소비하면서 정서적인 불안감을 해소하고 있다. 이들을 바라보는 부정 적인 시 각에도 불구하고 모든 소비자는 ‘잠 재적 키덜트’들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어른이 되어서도 어린시절의 향수와 그리운 기억의 흔적들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충족시켜주는 작품을 제작하며 그 작품을 콘텐츠로 만화, 영화, 게임 등의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으로 확장시킨다. 화장품 회사와 콜라보를 진행하기도 하고, 유니버셜 스튜디오에 테마파크를 만들기도 하며, 모바일 게임에 캐릭터를 빌려주기도 한다.’슈퍼배드’의 후속편에 이은 ‘미니언즈'와 ‘마이펫의 이중생활‘ 등의 작품이 연달아 흥행을 거둔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이들의 행보에 대한 궁금증도 풀어보고자 한다. Kid + Adult = Kidult SCene 1 Intro 1. Background
  • 7. SCene 1 Intro 2. 인생 브랜드라고? “ 너 미니언즈 덕후야? ” My story “ 덕후까진 아니고 젤 좋아하는 정도…? ” “ 그게 그거지…;;” 내가 처음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라는 애니메이션 제작 브랜드를 알게 된 것은 처음으로 무척 좋아하게 된 영화 속 캐릭터 때문이었다. 친구의 추천으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의 데뷔작 ‘슈퍼배드‘ 를 보게 된 이후, 영화 속 캐릭터에게 빠지기 시작했다. 대사가 따로 없이 이상한 소리로만 대화를 하는 영화 속 캐릭터들은 귀여운 모습과는 반대로 정신 없고 유쾌한 행동으로 보는 이들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냈다. 이 캐릭터가 바로 ‘미니언즈’다. 캐릭터가 그려진 물건들을 하나씩 사다 보니 나의 조그만 자취방에는 여행 갔다가 사온 미니언즈 피규어와 손거울 등이 꽤 큰 한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캐릭터와 관련된 물건들로 혼자 사는 집을 꾸미는 일은 조용하고 적적한 원룸에 활력을 불어 넣어 주었다. ‘미니언즈’ 캐릭터는 천하무적의 변화무쌍한 어린아이 같으면서도 반항적이고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영화 속 아이같은 캐릭터처럼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하고 싶을 때가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갈 수록 그렇게 하기가 힘들어진다. ‘미니언즈’ 캐릭터를 내가 좋아하는 이유도 이것과 비슷한 이유인 것 같다. 캐릭터를 좋아하다보니 이 영화를 만든 애니메이션 제작사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들의 작품을 보니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의 영화에는 디즈니와 픽사의 영화와는 다른 무언가가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굳이 영화의 스토리를 따라가지 않아도 화면 속 인물들의 행동만 봐도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지루함이 없었다. 영화의 스토리가 깊이 없이 단순히 ‘재미'만 있다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는 오히려 영화를 보는 내내 웃을 수 있고 스트레스를 깔끔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 제작사의 영화가 기존 애니메이션 영화보다 더 좋았던 것 같다. 그렇게 캐릭터로 시작된 애정이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제작사의 다음작품을 기다리는 팬이 될 만큼 깊어 졌다. “ 누구나 마음 속에 어린아이가 있다 ”
  • 8. 너 누구야? “ 우 리 는 태 초 부 터 존 재 해 왔 어 ” “ 난 슈 퍼 악 당 이 되 는 게 꿈 이 야 “ “ 하루 종일 당신만 기다리며 보낼 것 같죠? ” 슈퍼 배드로 신스틸러처럼 우리 앞에 나타나더니 미니언즈와 마이펫의 이중생활까지 연이어 흥행에 성공했다 .더 이상 주목받는 신생기획사가 아닌 애니메이션의 명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과연 어떤 브랜드일까? 이번 장에서 이들을 샅샅이 파헤쳐보자! SCene 2~3
  • 9.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미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이다. 애니메이션하면 ‘디즈니’와 ‘픽사’가 익숙한 이들에게는 조금 낯선 이름일 수 있는 이 제작사는 과거 1993년 디즈니 산하의 제작사에서 영화감독을 맡았고, 1998년부터는 20세기 폭스산하의 블루스카이 스튜디오에서 <아이스 에이지> 등의 흥행작을 제작한 ‘크리스 멜러댄드리’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가 폭스에서 독립하여 유니버설 픽쳐스의 투자를 유치하며 설립한 것이 지금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다. 이 신생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설립 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그 필모그래피가 무척이나 화려하다. 처음 애니메이션 시장에서 이들이 선보인 것은 ‘슈퍼배드’였다. 달을 훔치려는 야심에 찬 악당이 우연히 입양 한 세 여자 아이들 때문에 큰 소동에 빠지는 내용의 이 작품은 그해 북미 2억 5000만달러, 세계 5억4000만달러 이상의 수입을 올리면서 업계를 놀라게 만들었다. 특히 미국 지역에선 <토이 스토리3>(4억1500만달러)에 이어 2010년 애니메이션 흥행 2위에 올랐고 드림웍스의 자존심 <슈렉 포에버>(2억3800만달러)를 앞지르는 이변을 연출했다. 이것만으로도 신생 제작사에는 충분한 성공이지만 또 주목해야 할 것은 <슈퍼배드>가 선배 제작사인 블루스카이의 대표작 <아이스 에이지>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할리우드에서 디즈니-픽사와 드림웍스의 작품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수익을 안겨다준 애니메이션영화란 사실이다. 한 편의 영화, 그것도 창립작이었던 <슈퍼배드>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존재감을 알리기 시작했다.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창립작 <슈퍼배드>의 성공 ” “ 존재감을 알리다 ”
  • 10. “ 실사 애니메이션 도전의 실패 ” 그런데 <슈퍼밴드>의 성공이 채 식기도 전에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이어서 두 번째 작품인 <바니버디>를 발표하게 된다. <바니버디>는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영화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부활절 토끼가 어느 날 갑자기 드러머가 되기 위해 인간 세계로 넘어오며 벌어지는 소동을 그렸다. 이 영화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통틀어 가장 야심찬 도전이었다. 데뷔작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많은 주목을 받던 제작사가 유행이 지난 실사 애니메이션을 두 번째 작품으로 떡하니 내놓았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도전이었지만 결국 <바니버디>는 기대한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인간 배우가 싸우는 장면은 여전히 어색했고, 애니메이션 세계에서는 자연스러웠던 유머가 인간세계의 배경에서는 자연스럽게 보여지지 못했던 장면들이 아쉬웠다. 흥미로운 도전이었지만 현실세계와 애니메이션 세계는 어쩔 수 없는 불협화음을 만들어냈다. 귀여운 토끼들의 유머는 재미있었지만 <슈퍼배드>만큼의 신선함과 즐거움을 주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바니버디> 역시 제 작 비 를 충 분 히 만 회 할 정 도 로 나 쁘 지 않 는 수 익 을 거 두 었 고 , ‘ 일 루 미 네 이 션 ’ 은 “ 성공 후 이어진 도전 ”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11. 다음해 심혈을 기울여 <로렉스>라는 작품을 발표했다. <로렉스>는 <슈퍼배드>의 크리스 리노드 감독과 <토이스토리2>로 경력을 쌓은 신예 카일 빌다 감독이 함께 연출하였다. 미국의 유명 동화 작가인 닥터 수스의 동화<The Lorax>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모든 것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인공도시인 스니드빌에 ‘진짜 나무’를 심기 위한 주인공들의 모험을 그리면서 환경파괴에 대한 경고를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일루미네이션’은 자신들이 지향하는 바를 확실히 보여준다. <로렉스>는 인공도시 스니드빌과 스니드빌 바깥세상, 스니드빌의 과거 모습인 트러풀라 숲까지 완전히 다른 세 가지 공간에서 10명이 넘는 인물이 등장한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이 캐릭터들이 등장해 과장된 연기를 펼치고 여기에 화려한 뮤지컬신과 추격전, 그리고 대규모 군중의 대치장면까지 등장시켜 이미지적으로 꽉 차다 못해 넘치는 과잉 상태의 구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프로듀서가 “책을 그대로 영화화 했으면 20분만에 끝났을 것”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줄거리는 매우 간단하다. 즉, 심플한 줄거리에 다양한 세부사항을 추가해 매우 ‘산만한'진행을 보여준 것이다.이러한 특징은 분명히 단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짧은 에피소드들이 치고 빠지며 만들어내는 활력을 더해 정신 없지만 신나는 영화를 만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로렉스>에서 뿐만 아니라 돌아보면 <슈머배드>와 <미니언즈>, <바니버디>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정신 없는 산만함 이야말로 ‘일루미네이션’의 가장 큰 색깔이라고 할 수 있다. <로렉스>는 북미 박스오피스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큰 수익을 벌어들여 다시 한번 ‘일루미네이션 엔터 테이먼트’의 성장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성공적인 데뷔작이후로 ‘일루미네이션’의 작품들은 존재감을 알려왔지만, 단연컨대 <미니언즈>를 빼놓고는 이 브랜드의 성공을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미니언즈’ 캐릭터는 <슈퍼배드>가 개봉했을 당시 주연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마침내 2015년, 이들을 주연으로 한 작품이 탄생하게 되었다. “ 산만함과 과잉의 즐거움 ” “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다 ”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12. “ 대박을 터뜨리다 “ <미니언즈>라는 작품은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의 대표작으로, ‘미니언즈'캐릭터가 그들의 마스코트로 자리잡게 해준 영화이다. 당대 최고의 슈퍼 배드를 찾기 위해 떠난 슈퍼 배드 원정대 ‘케빈‘,’스튜어트‘,’밥’이란 이름을 가진 미니언들의 모험을 그린 이 작품은 개봉 당시 주말 오프닝 수익 1억 1520만 달러를 기록하며 시리즈 사상 역대 최고의 신기록을 달성하며 전세계 44개국 박스오피스를 석권했다. 이 같은 기록은 디즈니-픽사의 영화 ‘인사이드 아웃‘, ‘겨울 왕국‘,’토이스토리 3’ 등의 오프닝 기록을 뛰어넘은 수치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사상 2번째로 많은 11억 5천만달러의 흥행을 기록하면서 디즈니-픽사에 이어 10억 달러를 넘은 흥행을 거둬들였다. 이 작품을 통해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주목 받는 신생 제작사가 아닌 애니메이션의 명가로 자리매김 하였다. 귀여운 외모와 어리숙한 행동에 영화라는 스토리까지 더해진 이 캐릭터의 파워는 대단했다. 이 캐릭터의 인기에 힙입어 다양한 업체들이 협업을 요청하었고, 향수, 편의점우유, 화장품, 패스트푸드 등등 미니언즈 캐릭터가 들어간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제품은 작년에 시작하여 올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캐릭터 붐으로 인한 소비 트렌드를 타고 많은 키덜트족들에게 사랑받았다. 또한 자신들의 자회사인 ‘유니버셜 스튜디오'에 ‘미니언즈’를 적극 활용하였다. ‘미니언즈 팝콘’과 같은 캐릭터를 활용한 식품과 ‘미니언즈 테마파크’ 등을 만들어 캐릭터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유니버셜 스튜디오'에서 캐릭터와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이건 진짜 대박이야! ”
  • 13. <미니언즈>의 인기를 이어 발표한 이들의 가장 최신 작품은 <마이펫의 이중생활>이다. 2016년에 발표한 이 작품은 주인이 외출한 이후 얌전히 기다릴 줄 알았던 반려동물들의 반전생활과 모험을 다룬 영화로 동물 특유의 특징과 반전을 살려 역시 흥행에 성공하였다. 북미에서는 3억 6335만 달러(한화 4070억원), 해외에서 4억 4160만 달러(한화 4947억원)을 벌어들이며 총 8억 495만 달러(9018억원)를 기록하여 올해 개봉작 중 흥행 수입 6위를 달성하였다. 이렇게 ‘일루미네이션’은 최근까지 여러 작품들 잇따라 흥행에 성공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들의 영화는 모두 제작비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가성비 갑‘ 영화라는 점이다. 일루미네이션은 저예산 영화를 지향하며, 한 작품 당 약 8000달러 미만의 예산으로 모든 영화를 제작하고 있는데, 이는 동종 업계의 드림웍스 등이 애니메이션 한 작품 당 약 1억 4천만 달러~2억 달러 이상 예산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는 것과 비교해 볼만하다. 현재 ‘일루미네이션’은 자신들이 가장 잘하고 있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매 시퀀스, 매 신에서 다채로운 에피소드들을 가득 채워 넣는 방식, 지나치게 활개치는 정력적인 인물들, 이를 뒷받침하는 다채로운 색상의 과감한 사용과 발랄한 카메라워크, 그리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구현한 밝고 낙천적인 세계, 여기에 톡 쏘는 개성을 추가하는 짓궂은 유머까지. <슈퍼배드>와 <미니언즈>를 계속 시리즈화 시키며 이러한 특징들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디즈니-픽사가 <겨울왕국>, <인사이드아웃>처럼 탄탄한 스토리로 감성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토이스토리 3>와 같이 정적인 순간에 감동을 만든 것과는 확연히 다른 길을 걷고 있다. 지금처럼 꾸준히 자신들의 특징을 살려 새로운 도전을 계속한다면 디즈니-픽사를 뛰어넘는 브랜드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 가성비 갑 영화 “ SCene 2 너 누구야? 1. Brand story “ 가성비 갑 ”
  • 14. “ 우리의 어린시절을 함께했으며 지금도 함께하고 있는 디즈니는 곧 애니메이션의 상징이었다. “
  • 15.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달라진 애니메이션 제작 생태계" 미국의 애니메이션 회사들은 세계 애니메이션 시장의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해 왔다. 그중에서도 단연 디즈니는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의 동심을 밝혀주는 친구로 기억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한때 애니메이션이 곧 디즈니를 말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1990년대 후반 CG애니메이션의 등장과 함께 셀애니메이션 기반의 디즈니의 힘이 약해지자 그 틈을 타고 픽사와 드림웍스가 등장하면서 애니메이션 시장은 3강구조가 형성되었다. 그후 2006년 디즈니가 픽사를 인수하면서 디즈니- 픽사와 드림웍스의 거대 양대 산맥의 구조가 이어졌다. 그러나, 영원한 강자는 없는 법, 2010년 무렵부터 소니픽처스, 블루스카이 스튜디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스튜디오들이 연달아 작품을 흥행시키며 디즈니-픽사와 드림웍스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 엔터테이먼트 중에서도 ‘일루미네이션’은 <슈퍼배드>를 시작으로 연이어 놀라운 흥행을 이끌어 단연 주목받는 엔터테이먼트로 떠올랐다. 사실 이러한 중소 규모의 엔터테이먼트들의 흥행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2007년 블루스카이가 <아이스에이지>로 고정된 시장에 한차례 변동을 가져왔었다. 그러나 이들의 흥행성공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반대로 거대 스튜디오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디즈니-픽사는 <주먹왕 랄프>(2012) <메리다와 마법의 숲> 이 나쁘지 않은 성과를 올렸지만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기엔 미흡했고, 그나마 <몬스터 대학교>가 그간 부진했던 명가의 자존심을 살렸다. 드림웍스는 2012년 <가디언즈>의 흥행 참패로 대량해고 사태까지 맞이했다. 그동안 디즈니가 애니메이션 명가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이유는 패쇄적으로 인력자원과 기술의 유출을 통제했기 때문이다.
  • 16.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달라진 애니메이션 제작 생태계" 그러나, CG 애니메이션로의 변화로 모든 스튜디오들이 기술상으로 같은 출발점에 놓이게 된 지금은 얼마든지 새로운 기술을 축적할 수 있으며 인력이동도 과거보다 자유로워졌다. 물론 여전히 세계 애니메이션 계를 주도하는 북미 애니메이션 시장은 디즈니-픽사, 드림웍스와 같은 거대 브랜드들이 흐름을 주도한다. 그러나, 패쇄적인 제작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이들의 평균 제작비가 1억5천만~2억달러인 데 비해 중소 엔터테이먼트들의 경우 각 제작단계를 프로젝트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해 나가는 유연성을 발휘하며 평균 8천만달러 선에서 작품을 완성한다. 반면 수익은 평균 4억달러 내외로 거대 스튜디오와 큰 차이가 없다. 게다가 아직까진 크게 실패한 작품이 거의 없는 만큼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 일루미네이션은 이제 막 관객에게 작품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각인시키고 있다. 그들만의 색깔이 담긴 작품을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는 지금이 그들의 진짜 시작이 아닐까 한다. <북미 3D 애니메이션 시장의 변화> (3강 구도) (춘추전국시대)
  • 17. # 1 글로벌 협업 전략 일루미네이션의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산타모니까에 있으며, 공동 작업할 특수효과 전문 스튜디오인 맥거프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해 있다.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교육수준은 세계최고를 자랑하고 애니메이션 영화와 만화를 좋아하는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숙련된 애니메이션 영화제작기술과 장편 제작의 경험이 풍부하다. 일루미네이션은 본사와 전문스튜디오의 입지적 조건 덕분에 미국과 프랑스에서 우수한 제작인력을 확보할 수 있었고, <슈퍼배드>의 제작 또한 글로벌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일루미네이션은 '아이챗'과 '스카이프' 등의 인터넷통신 시스템을 마련, 전 세계 내로라하는 스토리 작가와 비주얼 개발 아티스트, 색채화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반면, 디즈니-픽사, 드림웍스의 경우 인력자원을 철저히 통제하며, 자신들의 노하우가 유출되는 것을 철저히 막았다. 변화의 흐름을 읽지 못한 거대 제작 브랜드들은 혹독한 대가를 치뤘고, 이 과정에서 회사를 떠난 인력들이 중소 제작사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이는 일루 일루미네이션과 같은 중소 제작사들의 기술이 거대 메이저급 회사와 평준화되는 기회가 되었다. # 2 고급 인력 유출에 따른 기술 평준화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18. # 3 결국은 캐릭터 # 4 제작비 절감 노력 일루미네이션은 작품 전부를 8000만 달러 미만의 예산으로 완성했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슈퍼배드’는 약 6900만 달러의 제작비가 들어갔고 후속작 ‘슈퍼배드2’는 7600만 달러, 스핀오프 ‘미니언즈’는 7400만 달러의 예산으로 제작했다. 동종업계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디즈니, 드림웍스, 블루스카이 등이 작품 한 편 당 약 1억 달러 이상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는 것과 비교된다. 1억 7500만 달러의 제작비가 든 ‘인사이드 아웃’은 전 세계 흥행 수익 8억 5742만 달러를 기록했고, 동시기에 개봉한 ‘미니언즈’는 7400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여 11억 1593만 달러의 누적 수익을 기록, 극장가를 휩쓸었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원동력은 ‘덕심’을 자극할 수 있는 캐릭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캐릭터들이 얼마만큼 ‘덕후’들을 공략할 수 있느냐에 제작사의 생명줄이 달려있다. 일루미네이션 속 등장인물들은 일관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첫 번째 정신없음, 두 번째는 귀여움, 세 번째는 유쾌함이다. 이 귀엽고 정신없고 유쾌한 캐릭터들은 시종일관 웃음을 자아낸다. 일루미네이션의 흥행성공의 일등공신은 단연 ‘미니언'군단 역시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란색의 작은 몸집에 커다란 눈과 고글, 멜빵바지 차림을 한 귀엽고 괴상한 캐릭터는 영화 밖에서도 각종 패러디물로 인기를 더하고 있다. 또한 ‘마이펫의 이중생활’의 캐릭터들은 무척이나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러한 비주얼 이상으로 ‘동물 본연의 습성'을 가진 캐릭터라는 독특한 차별점으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냈고, 이 차별점이 캐릭터의 가치가 되어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이는 디즈니-픽사의 <쿵푸팬더>와 <주토피아>의 캐릭터들이 완벽하게 의인화된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SCene 2 너 누구야? 2. 브랜드 분석Ⅰ
  • 19.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1 브랜드 요소 1. Brand Name : ‘빛, 조명, 채색’을 뜻하는 일루미네이션과 ‘오락’을 뜻하는 엔터테이먼트를 합친 말로 애니메이션 제작사임을 드러내며, 극단적인 선명함을 배제하고 파스텔톤의 연하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 자사의 그래픽 색감의 특징을 반영한 브랜드 네임 3. Brand URL :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빛, 조명) (오락)+ : http://www.minions2015.kr/ : 브랜드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미니언즈'의 네임을 포함한 브랜드 URL 사용 (2015년 까지만 사용한 듯 하다) 4. Brand Symbol 2. Brand Logo 워드마크(Text)형 : 독특한 형태로 쓰인 회사명이나 등록상표 : 브랜드 이름을 그대로 텍스트로 나타낸 워드마크 형태의 브랜드 로고 : 캐릭터(미니언즈, 스노우볼, 맥스 등) : 제 작 한 작 품 에 등 장 하 는 주 요 캐 릭 터 들 이 일루미네이션의 브랜드 심볼.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사의 특성상 캐릭터는 브랜드의 강력한 자산이다.
  • 20.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1 브랜드 요소 요소과 브랜드 요소의 선택 기준 ① 기억용이성 ② 유의미성 ③호감성 ④ 전이성 ⑤ 적용성 ⑥ 법적보호성 ① 기억용이성: 발음하기 어렵고 긴 영어단어 네임이라 기억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아쉽다. 그러나 단어의 뜻이 ‘빛,조명’과 오락’이 합해졌다는 의미는 애니메이션 제작사라는 의미를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는 점은 좋은 것 같다. ② 유의미성 : 어떤 애니메이션 제작 브랜드인지, 브랜드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드러나지 않아 아쉽다. ‘귀엽고 유쾌하며 장난스러운 재미를 준다'라는 브랜드 정체성이 드러나는 의미의 브랜드 네임과 로고가 들어가면 좋겠다. ③ 호감성 : 브랜드 요소를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를 강화 시키기에 용이하다. 귀여운 비주얼과 의인화된 브랜드 요소 들은 소비자들의 관심과 호감도를 끌어내기에 충분한 것 같다. 다만, 자체 소비자 조사에서 브랜드 네임에서 ‘차갑다’라는 느낌을 받았다는 답변이 있는 것으로 보아 브랜드 네임의 호감성은 애매한 것 같다. ④ 전이성: 브랜드 요소가 비교적 다른 제품군으로의 전이가 쉽고 확장성이 용이하다. 캐릭터라는 강력한 브랜드 요소를 와 향수, 화장품, 모바일 게임, 편의점음식 등 다양한 제품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고 있다. ⑤ 적용성 : 영어단어를 그대도 가져온 네임이기 때문에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⑥ 법적보호성 : 고유명사가 아닌 영어 단어를 그래도 가져온 네임이기 때문에 법적 보호성은 떨어질 것 같다. 그러나 캐릭터라는 브랜드 요소 측면에서는 저작권으로 인해 법적 보호성이 뛰어날 것 같다.
  • 21. <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에 관한 소비자의 브랜드 지식> 연상 네트워크 기억 모델 : 브랜드 지식은 기억 속에서 브랜드와 연결된 다양한 연상들을 지닌 브랜드 노드들로 구성됨. 연상 네트워크 기억 모델 미니언즈 마이펫의 이중생활 유니버셜 스튜디오 노랑색 바나나 옥수수 편의점 우유 슈퍼 배드 귀여움 화장품 3D 애니메이션 콜라보레이션 OST 피규어 바니 버디 정신 없음 유투브 콘텐츠 맥도날드 해피밀 바나나송 쿠키영상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1 브랜드 요소
  • 22. 5. 캐릭터 " 강력한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분석 매부리코를 가진 모태솔로 50대 악당, 파리의 에펠탑’,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등을 훔치는 스케일이 큰 악당. 미니언즈’를 수하로 두고 있으며, 달을 훔치는 과정에서 세 소녀를 입양하게 되면서 변화하는 캐릭터. 슈퍼악당에서 세 소녀를 사랑하는 아빠로 변해가는 과정에서 이 캐릭터의 매력을 알 수 있다. 그 루 미니언즈 슈퍼 악당 ‘그루'의 수하들. 세계최고의 악당을 주인으로 섬기고자 하는 2등신의 노란색 캐릭터. 슈퍼배드는 미니언 보는 재미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영화의 개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상이상으로 유능한 재능을 가졌다, 마고 3자매 슈퍼악당 ‘그루'가 어느 날 갑자기 키우게 된 세 소녀들로 고아원에서 자신들을 입양해줄 사람을 기다리다가 ‘그루’에게 입양 되었다. 처음에 자신들을 대하는 ‘그루’를 싫어했지만 그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고 점차 애정과 신뢰를 가지게 된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 23. 1) 캐릭터 분석 " 강력한 브랜드 자산" 길쭉한 체형을 지닌 미니언이며 자존심이 강한 성격. 미니언들이 혼란에 빠졌을 때 이들을 이끄는 리더의 역할. Big brother 포지션으로 밥과 스튜어 트를 돌봐 주는 어른스러운 면이 있다. 짤뚱한 체형을 지닌 오드아이 미니언으로 소심한 성격이며 케빈에게 의지하거나 업혀 다니는 모습을 보여준다. 곰돌이 인형을 언제나 꼭 안고 다니며, 귀여움으로 관객들의 덕심을 유발하는 캐릭터 미니언 중 유일한 외눈박이 . 평범한 체형과 외안을 지닌 미니언으로, 식탐이 꽤 있는 편이며 바나나에 아주 환장한다. 개그캐릭터 포지션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 24. 1) 캐릭터 분석 " 강력한 브랜드 자산" 맥스 스노우볼 듀크 멜 강아지 시절 박스에 버려졌으 나 주인 케이티에게 거둬진다. 주인을 매우 좋아하며, 주인이 데려온 다른 유기견 듀크가 집에 들어오면서 변 화하는 캐릭터 새하얗고 조그만 토끼, 귀여워 보이 는 외모와 달리 난폭하고 미친 것 같은 행동을 한다. 일명 돌+아이 토끼 원래 주인이 있었지만 어느 날 집을 찾지 못하고 단속반에 잡혀 보호소 에 갔다가 케이티 에게 분양된다. 몸집이 작은 맥스에게 텃세를 부리 며 갈등하는 캐릭터 등장인물 중 가장 천진난만 하고 긍정적인 캐릭터. 다람쥐를 경쟁상대로 의식하고 짖어 대곤 한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 25. 1) 캐릭터 분석 " 강력한 브랜드 자산" 기젯 클로이 팝스 맥스 집 건너편에 사는 개. 맥스를 짝사랑한다.맥스를 직접 구하러 가는 등 당차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작은 덩치에 비해 싸움을 잘한다. 식탐 많은 고양이. 냉장고에 있는 통닭 한 마리를 다 먹어치우고도 케이크에 눈독을 들이는 대식가다. 관심 없는 척 하면서 챙겨주는 츤데레 캐릭터 노익장 애완견. 주인이 오랫동안 집을 비우는 애완견이라 집에서 주인을 기다리는 애완동물들을 모아다 파티를 벌인다. 나이 때문에 다리가 약해 바퀴를 달고 다닌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 28. 브랜드와 관련된 인간적인 특성들의 집합: 세련된 똑똑한 장난스러운 유쾌한 가족 지향적창의적인 귀여운 엉뚱하고 바보 같은 행동으로 웃음을 유발하는 일루미네이션 캐릭터는 세력 되고 똑똑하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로렉스’ 의 경우 교훈적인 내용이기는 하나 일루미네이션의 대부분의 영화는 교훈적이거나 감동을 주는 이미지와는 차이가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캐릭터와 그래픽 비 주 얼 , 스 토 리 를 창 조 하 는 브랜드이다. 일루미네이션은 짧은 시간 큰 흥행에성공했으며, 대표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디즈니-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 <겨울왕국>과 같은 감성적인 스토리로 가족에 대한 사랑이나 우정 같은 가치를 보여주는 교훈적인 내용의 영화와는 거리가 멀다 이 들 의 영 화 는 스 토 리 보 다 는 캐릭터들의 행동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가족 지향적인 이미지는 다소 약하다. 일루미네이션의 캐릭터들은 시종일관 장난스럽고 유쾌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서로를 놀리는 모습의 미니언즈나 귀여운 모습과는 다르게 반전 있는 모습의 마이펫 캐릭터들 을 보면 알 수 있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 영화와 캐릭터들의 가장 큰 특징은“귀여워” 를 연발할 만 큼 짧 고 동 글 동 글 한 비 주 얼 이 다 . 정 신 없 고 바보스러운 행동도 귀여워 보이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 애니메이션 제작사 브랜드 개성은 제작하는 영화와 캐릭터에 의해 대부분 결정된다.” 브랜드 개성
  • 29. 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단계를 모델화 (브랜드자산 피라미드): 현저성 성과 심상 판단 감정 공명 이성적 감성적 재미있고 유쾌한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드는 브랜드 영화 흥행 관객수 저예산으로 수익창출 인기 캐릭터 유쾌함 귀여움 장난스러운 재밌는 유쾌함 귀여움 장난스러운 재밌는 좋아하는 캐릭터 인기있는 영화 캐릭터 덕후 일루미네이션 영화 마니아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2 브랜드 자산 브랜드 공명모델
  • 30. " 강력한 브랜드 자산" 1) 캐릭터 콜라보 제품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화장품 브랜드와의 콜라보 화잘품 로드샵 브랜드 ‘미샤'와의 콜라보를 통해 미니언즈 폼클렌징 , 틴트스틱, 쿠션 등의 제품을 출시하였다 . 또한 1979년 설립된 세계적인 향수 전문업체인 에어발 인터내셔널사와의 콜라보를 통해 미니언즈 오드뚜왈렛를 출시, 왓슨스에서 판매하고 있다. 패스트 푸드와의 콜라보 패스트 푸드 브랜드 ‘맥도날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미니언 슈비 버거, 미니언 옐로 머핀, 바나나맛 맥플러리 등의 메뉴가 있는 미니언 해피밀을 출시하였다. 이는 스폐셜 미니언즈 인기 캐릭터 토이 10종과 함께 선착순으로 판매하였다.
  • 31. 이다 CGV와의 콜라보 영 화 관 C G V와 콜 라 보 를 진 행 하 여 마 이 펫 의 이 중 생 활 에 등 장 하 는 캐 릭 터 들 이 들 어 간 팝 콘 , 콜 라 등을 출시하였다. 통신사 KT가 콜라보를 통해 홈캠 가입자 및 KT 올 레 닷 컴 회 원 에 게 < 마 이 펫 의 이 중 생 황 > 영화예매권을 증정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집에 있는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IOT홈캠의 이미지를 마이펫의 이중생활 캐릭터와 연결지어 마케팅에 활용하였다. 통신사 IOT와의 콜라보 " 강력한 브랜드 자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1) 캐릭터 콜라보 제품
  • 32. 2) 보너스 영상(쿠키영상 & 유투브 콘텐츠 영상) 일루미네이션을 캐릭터를 활용하여 영화의 쿠기 영상을 제작하여 엔딩크레닛 후 관객에게 보여주기도 하고 유투브 등의 채널을 이용해 OST 등의 홍보용 영상을 업로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캐릭터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영화를 보지 않은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너스 영상은 영화 캐릭터의 매력을 어필하기도 하고 사람들에게 영화캐릭터와 관련된 또다른 경험을 제공 하기도 한다. 바나나송 미니언 전구바꾸기 크리스마스 특집 영상 뚜찌빠찌송 OST 보너스 영상 " 강력한 브랜드 자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 33. 3) 캐릭터 테마파크 " 강력한 브랜드 자산" SCene 3 샅샅이 파헤쳐 보자! 2. 브랜드 분석Ⅱ 03 다양한 활동 미니언즈 팝콘통 미니언즈 퍼레이드 미니언 마트
  • 34. 우리가 접수한다. “ 일루미네이션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설립 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흥행파워와 캐릭터의 인기는 대단하다. 그러나 지금의 인기가 꾸준히 이어지려면 일루미네이션만의 브랜드 자산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장에서 일루미네이션이라는 브랜드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자. SCene 4
  • 36. 81.5%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1. Brand Insight 01 소비자 분석  정량적 조사 : 구글 설문지를 통한 자체 설문조사 Q1.<미니언즈> <슈퍼배드> <마이펫의 이중생활>을 제작한 브랜드가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인’ 것을 알고 계셨나요? Q2. 그렇다면 어떤 브랜드라고 생각하셨나요? 아니오 예 18.5% 81.5% 아니오(2번으로 이동) 예(3번으로 이동) 디즈니 - 픽사 60% 20% 20% 드림 웍스 기타 디즈니-픽사 드림 웍스 소니 픽처스 블루 스카이 기타 응답(84개) 응답(68개) 소비자들은 일루미네이션의 영화와 캐릭터를 일루미네이션이라는 브랜드와 연결 짓지 못하고 있다.
  • 37. 81.5% ? “ 캐릭터를 브랜드요소로 활용할 때 다른 브랜드 요소들을 지배하여 브랜드인지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소비자들은 미니언즈, 마이펫의 캐릭터는 기억하지만 일루미네이션은 기억하지 못한다.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1. Brand Insight 01 소비자 분석
  • 38. Brand Insight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설립 10년 만에 디즈니-픽사를 위협할 정도로 흥행 성공을 거두고 있다.그들이 만든 작품과 캐 터는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두터운 팬층을 확보했다. 일루미네이션은 유니버셜 스튜디오와 같은 테마파크를 통해 캐릭터를 경험하는 장소를 만들기도 하고, 캐릭터의 라이센싱 가치를 이용해 여러 회사, 제품과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그러나 캐릭터라는 하나의 브랜드 요소에만 너무 집중한 나머지 정작 일루미네이션의 브랜드 인지도와 자산을 쌓는 활동은 소홀히 하고 있다. 물론 아직 설립 된지 얼마 되지 않았고, 그들이 내놓은 작품의 수도 많지 않기 때문에 아주 오랫동안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의 대가인 디즈니-픽사와 같은 거대 기업들이 가진 브랜드 자산보다 이들이 가진 것이 적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이먼트는 변화하는 애니메이션 시장의 흐름에 따라 디즈니-픽사와 차별화되는 그들이 잘 할 수 있 는 것들을 꾸준히 잘 해오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거대 기업과 차별화된 그들의 브랜드 자산을 관리한다면 충분히 더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
  • 39. 81.5% SCene 4 우리가 접수한다. 1. Brand Insight 02 전략 제안 1) 브랜드 요소 전략 2) 포지셔닝 전략 : 현재의 자사의 특징을 강화  디즈니-픽사와 차별화된 포지셔닝으로 브랜드 이미지 형성 강화 - 브랜드 로고 변경: 워드마크 심볼 마크 : 기존의 로고는 기억하기 어렵고 브랜드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를 심볼로 심플하고 기억하기 용이하게 바꾼다. 브랜드 로고와 캐릭터를 함께 노출 : 영화 상영 전뿐만 아니라 일루미네이션 의 모든 동영상 콘텐츠에 브랜드 로고와 인기 캐릭터가 움직이는 모습을 함께 노출시킨다. 진지한 교훈적인 동적인정적인 장난스러운 재밌는
  • 40. http://www.etnews.com/20160324000393?m=1 http://tapacross.tistory.com/category/Big%20Data%20Connected/%EB%B9%85%EB%8D%B0%EC%9D%B4%ED%84%B0%20%EC%9D%B8%EC%82%AC%EC%9D%B4%ED%8A%B8?page=2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109518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612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붐’, 키덜트족 넘어 화장품계도 섭렵 참고 & 인용 1) 카드 뉴스 ‘키덜트'문화 중심에 서다 (이효성 기자, 전자신문, ETNEWS.03.25) http://www.etnews.com/20160324000393?m=1 2) 빅데이터 인사이트 33호 – 숨은 행복 찾기 (빅데이터로 살펴본 행복의 조건과 의미.2014. 06.05)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612 3) 나무 위키 백과 – <미니언즈>, <슈퍼배드> https://namu.wik 4) 디즈니와 픽사를 위협할 일루미네이션(김은지 기자, 뉴스에이드, 2016.08.10 http://www.news-ade.com/?c=news&m=newsview&idx=1000010995 5)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붐’, 키덜트족 넘어 화장품계도 섭렵( 이종은 기자,이뉴스투데이.2015.11.30) 6) 8000억 흥행대박 '슈퍼배드2' 태생이 다르다?(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13.09.21) [팝콘 사이언스-⑱]‘슈퍼배드2’로 본 달라진 애니메이션 제작 생태계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3091713244324566 7) 뚝심있게, 정신없이 몰아붙인다(씨네 21, 김보연 기자, 2013.09.03) https://www.linkedin.com/?trk=nav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