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이기훈, 동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현우성,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김서희,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우리나라의 슬로시티를 위한 라온파니의 도전
목차
1 탐방주제
주제 선정 동기
주제 소개
탐방 목적
2 사전조사
사전 조사
사전 답사
3 탐방계획
국내 탐방계획
국외 탐방계획
4 일정 및 예산
국내탐방 일정 및 예산
국외탐방 일정 및 예산
5 마무리
요약
후기 및 팀원소개
즐거운 달팽이, 라온파니
1탐방주제 주제선정동기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
우리는 인간이 만들어가는 도시 속의 획일화되고 빠르게 돌
아가는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너무나 바쁘게 돌아가는 사
회에서 경쟁하며 치열하게 살다 보니 삶의 의미와 본질을 잃
고, 웃음을 잃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사회 속에서 여가생활,
여행, 여유, 낮잠이라는 단어는 사치처럼 느껴집니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전세계에서 1위가 된 지 오래이고, 날
이 갈수록 증가하여 작년 하루 평균 약 42명이 스스로 목숨
을 끊었습니다. 가정불화, 우울증, 성적비관 등으로 목숨을
끊는 청소년들도 작년에 비해 47%나 증가했고 10~30대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일 정도입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행복하다고 느끼는 국민들도 적습니다.
영국 신경제재단(NEF)이 전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국가별 행복지수에서 68위를 한 우리나라는 기대수명 부문에
선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국민들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와 친
환경 측면에서 중간 정도의 점수를 얻는 데 그쳤습니다. 아래
와 같은 신문, 뉴스의 머리글과 통계 자료가 말해주듯이 많
은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은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자료1]
조금이라도 행복하고 안정된 삶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요. 이 의문에 대한 많은 대답들 중 하나로 택한 것이 바로
‘느리게 사는 것’ 입니다.
농촌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
최근 도시 사람들의 농촌 이주, 즉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
하고 있는 것도 많은 사람들이 바쁜 도시에서 벗어나 느린 삶
을 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국내 귀농 인
구는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습니다. [자료2]
도시에서 사회 생활을 한 386세대가 은퇴 후 안락하고 평안
한 삶을 위해 귀향을 하기도 하고, 아이들을 오염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건강한 먹거리와 함께, 긍정적으로 키우기 위해
농촌을 택하기도 합니다. 자연과 더불어 느리게 살아가기 위
한 노력입니다.
누군가에게 ‘느림’ 이란 단어는 ‘더딤, 게으름, 나태함’ 등의
부정적 의미를 떠올리게 하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느림’ 이
갖는 느긋하고 안정적인 느낌은 탈 도시화를 지향하는 이들
에게는 더 나은, 더 행복한 삶을 위한 돌파구로 다가옵니다.
삶의 화두로 ‘느림’을 택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슬로시티가
있습니다. 슬로시티는 지역 사회 주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
향상을 목표로 하는 마을입니다. 행복, 나눔, 자연과 같은 단
어가 잘 어울리는 슬로시티에서의 삶은 어떠한지, 자연과 더
불어 전통을 지키며 사는 슬로문화는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배우고자 합니다.
[자료1]
880 769 885
1302 1240
1754
2384
2218
408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귀농현황
연도
명
[자료2]
3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1탐방주제 주제소개
‘슬로시티’란
‘슬로시티’란 단어는 아직 대중들에게 생소한 개념입니다. 그러므로 우선
슬로시티에 대한 개념과 철학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슬로
시티의 중요성과 가치를 파악해보고 이번 우리 조의 해외탐방이 왜 필요한
지, 또 그를 통해 어떤 것을 얻을 수 있을 지 알아보겠습니다.
슬로시티(Slowcity)는 이름 그대로 ‘느리게 사는 도시’ 라는 뜻으로, 이탈
리아어 치따슬로(Cittaslow)의 영어 표현입니다. 1999년 10월 이탈리아의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의 전(前) 시장(市長)이었던 파울로
사투르니니(Paolo Saturnini)를 주축으로, 주위의 몇 몇 도시의 시장들이
모여서, 위협받기 시작한 달콤한 인생(La dolce vita)의 미래를 염려하여
슬로시티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슬로시티의 출발은 1989년 시작된 느리게
먹기(Slow food)운동인데 ‘느림’을 음식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도시의 삶
전체에 도입하자는 의도로 확대된 것입니다. 산업화로 인해 속도와 물질주
의에 병들어가는 현재를 탈피하여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대안적 저성장도시
를 만들고자 슬로시티 운동을 선언한 것입니다. 마을을 등에 지고 가는 느
림의 대명사, 작은 달팽이 로고와 ‘자연 속에서 느리게 살자’는 표어를 앞
세운 슬로시티 운동은 이후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전 세계로 확산됐습니
다.
2010년 현재 20개국, 135개의 도시가 ‘Slow City’로 지정되었습니다.
유럽에 121곳, 북아메리카에 5곳, 오세아니아에 3곳, 아시아에 6곳이 있습
니다. 특히 슬로시티의 본고장인 이탈리아는 많은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문화유산과 전통을 간직하여 도시를 옛 모습 그대로 보존하는데 힘
쓰는 국가로 꼽힙니다. 이탈리아 뿐만 아니라 스페인, 영국, 독일 등 많은
선진국에서 자국의 문화와 전통을 지키고 있는 슬로시티를 보유하고 있습
니다.
이 중 ‘빨리빨리 문화’가 만연한 우리나라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슬로
시티를 6개나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2007년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담양군 장평면, 완도군 청산면, 장흥군 유치면이 슬로시티 지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까다로운 인증절차를 걸친 후에 슬로시티국제연
맹에서 인정하는 슬로시티에 지정되었으며 최근에는 2009년 2월 경남 하동
군 악양면과 2009년 9월 충남 예산군 대흥면이 슬로시티에 지정되었습니
다. 4
Cittaslows on Google Maps
All around the world
Korea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1탐방주제 주제소개
슬로시티의 이념과 철학
슬로시티 운동은 인간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오래갈 미래를 위하여 자연
과 전통문화를 잘 보호하면서 경제 살리기를 하여 진짜 사람이 사는 따뜻
한 사회,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국제 슬로시티의 모토는
International network of cities where living is easy로 편한 삶, 즉 삶
의 질을 위한 국제적인 연결망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운동의 주요 지향점은
1 철저한 자연생태보호, 역사적 거리경관 보존
2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
3 천천히 만들어진 슬로푸드 농법
4 지역 특산품, 공예품 지키기
5 지역민이 중심이 되고 진정성 있게 이 운동에 참여하여,
think globally act locally : 지방의 세계화, 즉 세방화(glocalization)
를 통해 나아가 전통적인 그 도시 특유의 문화와 삶을 보존하고 지속가능
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 슬로시티를 도입한 손대현 위원장(한양대 관광학부 교수)은
이렇게 말합니다. “슬로시티는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 향상
을 목표로 하는 운동입니다. 그래서 방문자를 30~50%로 제한하고 있습니
다. 관광학 공부만 40년 넘게 해온 제가 관광객을 유치하지 말라고 하면
다들 이상하게 생각하지만, 슬로시티의 핵심 정신은 개발과 성장에 반대하
는 것이기 때문에 관광객 유치는 꿈도 꾸지 말라고 으름장을 놓습니다. 제
가 생각하는 슬로시티는 사람들이 행복한 도시입니다. 행복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켜 나가는 자세가 기본입니다. 술,
떡, 다방이나 마당 같은 옛 건물 등 삶에 밀착된 것이 바로 슬로시티 정신
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슬로시티의 본원지인 유럽식 생활을 모방해서도 절
대 안 됩니다.”
5
슬로시티의 조건
1 인구 5만명 이하
2 대체 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 개발
3 마을 광장의 네온사인 없애기
4 전통 수공업, 전통 조리법 장려
5 문화유산 지키기
6 차량통행 제한
7 자전거 도로 만들기
8 나무 많이 심기
9 글로벌 브랜드의 대형 체인점 거부
10 외지인의 부동산 거래 금지
11 실외 자판기의 최소화
슬로시티 인증서에 소개된 시
시간의 의미를 되찾은
호기심으로 가득찬 사람들로
생명이 살아 숨쉬는 고장
마당과 극장과 가게와 다방과 식당
영혼이 깃든 장소들이 가득하며
온화한 풍경과 숙련된 장인들이 사는 고장
계절의 변화가 주는 아름다움을 느끼며
맛과 영양 의식의 자발성이 존중되며
산물의 자연성에 율동rhythm을 맞춰
여전히 느림을 알며
사람들이 살아가는 고장…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슬로시티’의 운동방향
1 슬로시티 환경정책
- 에너지 절약 및 대체에너지 사용에 대한 계획
- 유전자 변형 농산물 사용금지
- 빛 오염 관리시스템 및 프로그램 환경운영 시스템
2 슬로시티 기초인프라 정책
- 자가용 사용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보행 및 자전거도로,
대중교통의 통합운영 등
- 공공장소에서의 노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물리치료, 소리도서 등
- 지역의 노약자들을 위한 다용한 복지프로그램
- 공공 구조물의 재정비 및 관리
- 민원실과 슬로시티 활동의 창구 통합
3 슬로시티 도시경관 및 미관 정책
- 친환경 건축을 위한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 친환경적 쓰레기 처리 및 소음지역의 방음조치
4 슬로시티 토산품의 가치화 정책
- 유기농 농산물 개발계획
- 장인의 수공예품과 예술적 가치가 있는 제품의 품질보증 정책
- 소멸위기에 있는 지역생산물, 특산물, 장인의 수예품 보호 프로그램
- 소멸위기에 있는 전통적 작업방식 및 직업의 상품 가치화 정책
- 단체음식점, 학교급식 등에서의 유기농 및 지역특산품 사용을 위한 정책
- 슬로푸드 연맹과의 공조를 통한 의무 교육기관과 기타 교육기관에서의
맛과 음식교육 프로그램
- 지역특산물 판매를 위한 정책적 배려
- 지역문화행사의 가치향상과 보전을 위한 활동
5 슬로시티 관광객 수용 정책
- 주민의 관광 안내 및 친절교육 계획
- 관광객을 위한 안내 및 홍보 계획
6 슬로시티 시민들의 참여 및 인식 확대 정책
- 슬로시티 인식 확산을 위한 대주민 홍보 계획
- 사회적 차원의 대외적 교육 및 협력 프로그램 계획
- 슬로시티 및 슬로푸드 활동의 대외적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
1탐방주제 주제소개
6
슬로라이프 행동강령
1 가급적 자동차 덜 타고 걷기,
지하철, 자전거 타기
2 마음엔 평화, 얼굴엔 웃음 띄기
3 여유로운 식사 즐기기, 30번 씹기
하루 30가지 반찬을 골고루 먹기
4 패스트푸드를 멀리하고 제철에 나는
유기농 슬로푸드 먹기
5 조용한 명상과 긴 침묵시간 갖기
6 TV를 멀리하고 독서하기
7 말 천천히 하기, 일도 느리게 하기
8 아파트, 사무실, 지하철 계단 걷기로 세로
토닌 등 행복호르몬과 친해지기
9 승강기 닫힘 버튼 누르지 않기
10 세상을 여유롭게 보는 재미가 있는
느린 여행하기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슬로시티를 방문하여
우리 ‘라온파니’는 슬로시티의 발상지인 그레베 인 키안티를 포함한 이탈
리아의 슬로시티 6곳을 탐방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각 도시의 지
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른 슬로시티 운동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위에 언
급한 슬로시티의 기능을 어떠한 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또한, 유럽의 상황에 맞춰 시작되고 발전된 슬로시티이므로 우리나라에 맞
는, 한국형 슬로시티가 명확한 본질과 정체성을 가지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 지 고민해볼 것입니다.
아직은 우리나라의 슬로시티만의 정체성이 모호할 수도 있고, 인지도와
정보가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짧은 유행처럼 번져서 테마도시로 전
락해버리거나 지자체의 행정적 전시물로 이용되어 오히려 지역민들에게 피
해를 주고 지역발전에 장애물이 될 우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슬로시티
가 ‘아시아 최초’라는 것에 자부심이 생기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행정의 고
질적 폐해인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무리하게 인증을 받은 것은 아닌지, 관
광객 유치를 위해 경제적인 면에서 활용되는 수단으로 그치고 있지는 않는
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탐방을 통해 그 지역의 전통과 산업, 문화, 역사의 가치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실제로 지역민들의 질 좋은 삶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지역민들의 슬로시티 인식수준은 어떠한지, 관광도시로서의 모습은 적절한
지, 어떠한 지역 특산물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슬로푸드를 지켜가고 있는
지, 자연환경 저해를 최소화 하는 도시 경관, 미관 정책은 어떠한지, 슬로
시티 인증 이후에 어떠한 면이 변했는지 등을 알아볼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슬로시티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며 그 지역에서 지켜지고
있는 전통문화가 오래도록 계승되고 유지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생각해볼
것입니다. 지역민의 행복과 동시에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되고 지속되고 있기를 바랍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탐방을 통해서 많은 이들에게 느리게 사는 미학을 알리
고 우리나라 슬로시티를 홍보하며, 자연과 전통문화를 보존하는 것의 중요
성과 가치를 재고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1탐방주제 탐방목적
7
슬로시티의 기능
1 도시의 전통문화 보존, 계승, 유지
2 도시 특산업의 발전, 특산물 생산 활성화
3 국제적 관광도시로 발전
4 수도권 집중 개발정책, 도시선호 현상의
해결책
5 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인 생활 추구, 빠른
삶에 대항하는 휴식과 여가활동의 방법
6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교육 장려
7 지역민 중심의 공동체 형성
8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발전에 참여
탐방 과정
1 우리나라 슬로시티 방문
2 유지 및 홍보 현황, 지역 주민 인지도 확인
3 슬로시티 운동의 발상지인 이탈리아의
슬로시티 방문
4 각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 슬로푸드 체험
5 한국형 슬로시티를 위한 방안 모색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2사전조사 사전조사
미리 가보는 슬로시티 운동의 발상지, Greve in Chianti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州) 중심에 있는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는 인구 1만
4000여 명의 특별할 것 없는 산촌마을이었습니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이 마을은 인구
와 소득의 감소, 고령화 등 우리나라 농어촌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었습니
다. 마을은 활기가 없었으며 이렇다 할 만한 대표 산업도, 내세울 관광지도 없었습니다. 소
득원은 산간에서 계단식 경작을 하는 포도원과 올리브 농장이 전부였습니다.
당시 시장(市長)이었던 파울로 사투르니니는이 마을을 대도시에 통합시키거나 정반대로
작은 시골마을, 예스러움을 강조하는 두 가지 방향 중 후자를 선택하여 아기자기한 자연,
사람들의 정신적 풍요와 여유, 대도시와 떨어져 있는 점을 지역의 ‘상품’으로 연출하기로
했습니다. 그는 마을의 모든 정책과 행정을 슬로시티에 맞춰 진행했습니다. 토착 상점가
를 살리기 위해 외부 자본의 대형 슈퍼마켓 유입을 막고 외부인의 부동산 소유를 제한했습
니다. 농축산물과 수공예품 생산도 옛날 방식을 고수해줄 것을 당부했는데, 수제품 스파
게티, 전통 방식의 와인 생산 등이 그것입니다. 파울로 시장은 당장 생활이 불편하다는 주
민들을 설득하며 ‘느림’이라는 말은 단순히 속도가 아니라 자연을 이해하고 순리를 기다릴
줄 아는, 자연과 인간에 대한 ‘즐거운 기다림’이라고 했습니다.
그레베 인 키안티 지역은 농업과 관광이 잘 융합되어 새로운 관광도시의 모델을 보여주
고 있습니다. 관광객이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Originality), 진정성(Authenticity),
다양성(Variety)을 느끼고 갈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20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명품 와인을
가지고 있다는 ‘고유성’, 환경이나 기후, 산물 뿐 아니라 오랜 세월 변치 않고 내려오는 정신
이나 인간미 넘치는 분위기 등 이 지역의 ‘진정성’, 언덕과 아름다운 편백나무 숲, 포도원, 성
당, 빌라, 농장, 흰색의 작은 마을, ‘모나리자’의 배경이 된 전원적인 풍경 등을 지닌 ‘다양
성’ 모두를 만끽할 수 있게 되는 곳입니다.
8
1 그레베 인 키안티 지역 전경
2 옛 건축물을 보존하는 성당거리
3 주요 생산품인 와인 전문 판매점,
와인투어 시 방문(그레베 인 키안
티는 세계적 명성을 지닌 와인
Chianti Clasico 의 생산지)
4 저장고에서 숙성중인 와인
5 6 숙성시킨 햄, 프로슈토
(prosciutto)도 유명한 특산품
사진설명
1
2
3 4
5 6
68곳
6곳
양국 슬로시티 분포 비교
Korea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2사전조사 사전답사
태양으로 소금이 천천히 익어가는 보물섬, 신안 증도
2011년 10월 30일~31일 우리 라온파니는 슬로시티 중 한 곳인 전남 신안 증도에 다녀왔
습니다. 올해 지난 3월 말 개통된 증도대교 덕에 증도를 찾기가 수월해졌습니다. 증도
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높은 빌딩이 없어 하늘과 더 가까워
짐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증도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환경을 개략적으로 확인하면서도 느린 여행, 슬로투어리즘
에 걸맞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수단으로 자전거를
택했습니다. 2차선 도로에서 조차 지나가는 차량이 거의 없
어서 안전하게 자전거 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우리가 자전거 일주에서 처음
마주한 것은 죽 늘어선 옛날 모습 그대로의 소금 창고들 이었습니다. 하지만 염전에서
소금을 얻어내는 것은 3월말~10월 초 경이어서 소금밭 체험을 할 수도, 염부의 모습을
구경할 수도 없어서 매우 아쉬웠습니다. 증도 하면 떠오르는 태평염전은 국내 최대의 소
금 생산지이며 그 규모는 140만 평에 이른다고 합니다. 전망대에 올라가서 내려다 본
태평염전은 한 눈에 봐도 어마어마한 규모였습니다.
또한 인상적이었던 곳은 유네스코 갯벌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드넓은 갯벌이었습니
다. 그 위를 도보로 건널 수 있는 140미터의 나무다리인 짱뚱어 다리를 건너다보면 썰물
때는 갯벌에 사는 짱뚱어, 돌게 등을 만날 수 있고 밀물 때는 물위를 걷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재미있는 곳입니다. 8월 경엔 이 갯벌에서 각종 게임
등을 하는 체험, 축제가 있다고 합니다. 갯벌생태계를 체험하
는 동시에 소중함을 알리고 또한 증도의 홍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많은 관광객이 몰릴 경우 오히려 갯벌을
훼손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고 합니다. 슬로시티
의 목적은 관광객유치가 아니라 전통과 생태,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갯벌체험은 인원제한 및 통제가 필요하다고
우리는 의견을 모았습니다.
또한 증도의 남쪽에는 태양에너지 발전소가 있어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청정에
너지 자원을 공급하여 사용하려는 노력을 볼 수 있었습니다.
9
사진설명
전남 신안 증도면
1 인구 : 2233명
2 면적 : 40.03km2
3 구성 : 6개의 유인도(증도, 화도,
병풍도, 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108개의 무인도
총 114개의 섬
4 특징 :
- 국내 최대의 단일염전인 태평염전
- 유네스코 갯벌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드넓은 갯벌
- 자연 그대로 보존된 우전해수욕장
- 최초의 여성 순교자인 문준경 전도
사 순교지
- 국내 최초 최대의 갯벌생태전시관
- 소금박물관
1 소금창고 앞
2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드넓은 염전
3 염전을 배경으로 찍은 단체사진
4 짱뚱어 다리 위에서,
아래엔 드넓은 갯벌
1 2 3
4
태양열 발전소의 모습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2사전조사 사전답사
세계 최고의 갯벌소금, 증도의 자부심
태평염전은 갯벌을 막아 염전으로 개척한 것으로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천일
염이 생산됐다고 합니다. 한때 화학소금에 밀려 천일염이 천대받고 염전과 염부들
이 존폐위기까지 내몰렸으며 염전을 없애고 골프장을 만들자고 한 고위공직자가
있을 정도였지만 청정바다의 미네랄과 영양성분이 가득한 갯벌소금과 다양한 생
물종이 서식하는 보금자리인 갯벌의 가치는 매우 소중한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것이 증도가 슬로시티로 지정 받게 된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슬로시티로 인증 받
은 덕분에 더욱 갯벌생태계가 보호받고 보존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갯벌은 세계 5대 갯벌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최고의 질을
자랑합니다. 또한 세계 5대 갯벌 중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만나는 염전문화가
있는 곳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태평염전에서의 염전체험을 단순히 흥
미로운 체험활동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일한 경험을 하는 기회임을 인
식하고 감사히 여기고 자부심을 느껴야 할 것입니다. 더구나 갯벌천일염은 세계적
으로 0.2%에 불과한 희귀자원이라고 합니다. 특히 증도의 천일염은 미네랄과 영
양성분을 특히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세계적으로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는 갯벌소금을 더욱 확실히 홍보하며 염부의 땀과 정성에 걸맞도록, 높은
질 만큼의 가격을 책정하여 지역경제의 최고의 수입원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소금자체를 하나의 음식이라고 말할 수는 어렵기 때문에 천
일염을 이 곳의 슬로푸드라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슬로푸
드는 고추장, 된장, 김치, 젓갈 등 소금을 매개로 발효되는 전통발효식품들이 주
를 이루기 때문에 소금은 슬로푸드의 뿌리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태평염전을 지나 우리는 우전해수욕장 근처에서 바다와 해송숲을 함께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해송숲 산책로에서는 청량감을 느끼며 여유롭게 걸으며 사색에 잠길
수 있었습니다. 이 해송숲과 짱뚱어다리, 태평염전 일대를 걸어가는 체험을 하는
슬로걷기체험도 증도의 중요한 행사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소금박물관, 갯벌생태전시관, 염생식물원 등을 방문하며 반나절 정도
증도를 돌아보고 우리는 자연과 생태를 보전하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지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슬로시티로 지정된 것이 증도의 고유하며 특색 있는 갯벌과
청정바다를 더욱 철저히 보호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관광화가 되
더라도 반드시 지켜야 할 중요한 자원이라고 여깁니다.
전남산과 수입산 천일염의
주요 미네랄 함량 비교
미네랄 칼슘 칼륨 마그네슘
전남
(한국)
1,429 3,067 9,797
게랑드
(프랑스)
1,493 1,073 3,975
중국산 920 1,042 4,490
베트남
일본
761 837 3,106
호주
멕시코
349 182 100
전남보건환경연구원보, 2007년
단위 : mg/kg
해송숲 전경과 산책로
평화로운 우전해수욕장
- 제10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
『천년의 숲』 부분 우수상 수상
한반도 해송숲
10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3탐방계획 국내탐방계획
11
지리산 섬진강과 자연 야생 녹차의 마을, 하동
살담은 하동 악양은 세 가지의 향(香)이 있습니다. 차(茶香), 문학
(文香), 마을(都香)의 향기입니다. 천 년을 지켜온 차나무와 이 차
나무에 해마다 헌다례를 지내는 하동 사람들을 만나러 갑니다.
햇
고택 처마 끝에 바람이 쉬어가는 마을, 담양
모습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한옥, 담양의 명물 대나무를 이용한 죽
염 장류, 한과 등 다양한 슬로푸드, 여전히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대
동제와 전통놀이의 참맛을 느끼러 갑니다.
옛
- 2009년 7월 슬로시티 선정
- Contact 상황 :
유선으로 완료(9/30), 추후 방문 전 연락요구
경남 하동 악양면
전남 담양 창평면
- 2007년 7월 슬로시티 선정
- Contact 상황 :
E-mail로 완료(9/30)
추후 탐방 일정 확정시 연락요구
하동군청 문화관광과 / 최대성 계장
연락처 : 055)880-2377
홈페이지 : www.hadong.go.kr
방문기관
방문목적
 하동군 만의 슬로시티 정책 및 특색 확인
 “슬로푸드” 인 야생녹차에 대해 향후 사업 방안 확인
 향후 하동군의 슬로시티 방향 모색
 담양군 만의 슬로시티 정책 및 특색 확인
 슬로라이프 / 슬로산업에 의한 관광객 유치 관련 사업 방안 확인
 담양군의 슬로시티의 한계점 모색
담양군 창평 면사무소 / 송명순 과장
연락처 : 061)380-3793
홈페이지 : www.slowcp.com
방문목적
방문기관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3탐방계획 국내탐방계획
12
빙그레 웃는 푸른 산 그리고 바다 지킴이 해녀의 섬, 완도
지막한 지붕, 예스러운 돌담길, 그리고 푸른 바다가 주는 느긋함과
여유, 자연과 하나됨을 느낄 수 있고 가끔씩 밭일 하시며 돌아보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웃음과 수줍은 사투리가 더해져 섬 전체가 하나의 전
래 동화 같은 청산도로 갑니다.
나
- 2009년 7월 슬로시티 선정
- Contact 상황 :
유선으로 완료(11/1)
추후 탐방 일정 확정 시 연락 요구
전남 완도 청산면
국내 탐방의 목표
1
2
3
4
5
6
국내 슬로시티의 장점
지역주민들의 의견
국내 슬로시티의 한계점 / 보완점
이탈리아와 우리의 지역 여건 비교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는 우리만의 “여유” 찾기
우리에게 꼭 맞는, 우리가 추구 해야 할 슬로시티 찾기
양국 슬로시티 비교를 위해 지역적 특징 알아보기
슬로시티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견과 그들이 원하는 슬로시티 찾기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라는 명예에 맞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점 찾기
한국형 슬로시티 제안
방문기관
방문목적
완도군청 관광정책과 / 김광화 과장
연락처 : 061)550-5410
홈페이지 : www.wando.go.kr
 완도군 만의 슬로시티 장점 / 특색 확인
 완도군이 더 발전된 슬로시티가 되기 위해 필요한 점 모색
 지금의 슬로시티에 대한 정책과 향후 정책 확인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3탐방계획 국내탐방계획
13
하동군
악양면
12 / 27 12 / 28 12 / 29 12 / 30 12 / 31
담양군
창평면
완도군
완도군
청산도
광주
(해산)
탐방지역 탐방기관 탐방 활동계획
하동 악양면
• 하동군청
문화관광과
• 쌍계사
• 담당자 인터뷰(문화관광과 최대성계장)
• 악양면 평사리 마을을 중심으로 ‘토지’의 배경인 최참판댁
등 방문
• 지역 주민 호응도 조사
• 매암 차 문화 박물관 방문 및 야생녹차 체험
• 차(茶)를 키워드로 한 다원(茶園)으로의 발전가능성 토의
• 템플 스테이(쌍계사)를 통한 슬로라이프 체험(1박), 체험
결과, 인터뷰 및 조사내용 등 정리
담양 창평면
• 담양군청
관광레저과
• 담양 창평
면사무소
• 담당자 인터뷰(면사무소 송명순 과장)
• 슬로푸드 조사 및 체험
• 지역 주민 호응도 조사
• 달뫼미술관, 가사문학관 방문
• 메타세콰이어 길, 죽녹원, 소쇄원 방문
• 삼지천 마을(한옥마을) 방문 및 한옥체험(1박)
• 인터뷰 내용, 체험결과 정리
완도 청산면
• 완도군청
관광정책과
• 담당자 인터뷰(관광정책과 김광호 과장)
• 지역 주민 호응도 조사
• 해산물 중심의 지역특산물 체험
• 지리적 특이성에 따른 가능성 / 한계점, 장단점 토의
• 인터뷰 내용, 체험결과 정리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3탐방계획 국외탐방계획
롬바르디아주 테글리오 / 티라노
토스카나주 그레베 인 키안티
움브리아주 오르비에토 / 몬테팔코
캄파니아주 아말피
롬바르디아주 테글리오(Teglio)
위치 : piazza S. Eufemia n. 7-2306
홈페이지 : www.comune.teglio.so.it
전화 : 034-278-9011
롬바르디아주 티라노(Tirano)
위치 : Piazza Cavour, 18-23037
홈페이지 : www.comune.tirano.so.it
전화 : 001-498-0147
E-mail : protocllo.teglio@cert.provincia.so.it E-mail : comune.tireno@legalmail.it
마을소개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스위스와 국경선을 맞대고 있다.
그래서 자국민뿐만 아니라 타 국가에서도 많은 관광객 들이 매년 다
녀간다. 그 속에서 어떻게 지역전통을 지킬 수 있는 지 알아본다.
이탈리아 슬로시티
14
마을소개
도시전체가 산맥을 끼고 있는 특이한 슬로시티로써 공기가 맑고 소
박한 산골마을의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마을의 특색의 전통과 슬로
푸드를 가지고 있는 마을..어떤 것들이 있을까?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3탐방계획 국외탐방계획
움브리아주 몬테팔코(Montefalco)
위치 : Via Garibaldi, 30424 Montefalco
홈페이지 : www.comunemontefalco.it
전화 : 074-251-2200
캄파니아주 아말피(Amalfi)
위치 : Questo site e di propcirta del
홈페이지 : www.comune.amalfi.sa.it
전화 : 004-723-2064
토스카나주 그레베 인 키안티
위치 : Via di Montefioralle 3 I-5002
홈페이지 : www.greve-in-chianto.com
전화 : 390-558-5464
움브리아주 오르비에토(Orvieto)
주소 : Via Garibaldi, 805018 - Orvieto
홈페이지 : www.comune.orvieto.tr.it
전화 : 390-763-3061
E-mail : sindaco@comune.amlafi.sa.it
마을소개
나폴리에 위치한 해안마을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죽기 전에 가
봐야 할 곳 11”에 선정될 만큼 아름다운 곳이며 마을 전체에 상큼한
레몬향이 난다. 감미로운 음악이 동절기를 제외하고 언제나 들리는
곳. 그 곳 사람들은 어떻게 여유를 느낄까?
E-mail : montefalco@postacert.umbria.ti
마을소개
송골매가 사는 산이라는 뜻으로 마을 주변에는 광활한 움브리아대
지가 먼 곳까지 보인다. 그 대지에는 포도나무와 올리브나무가 가득
하다. 슬로푸드의 음료 중 최고인 와인으로 유명한 몬테팔코.
과연 그들은 어떻게 와인으로 여유를 느끼는지 알아보자!
E-mail : mail@comune.orvieto.tr.it
마을소개
로마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소도시이지만 연간 200만 명의 관광객
이 몰려드는 유명한 관광지로 단순한 관광객 유치, 도시의 첨단화,
일상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보다는 인간답게 사는 마을을 목표로 친
환경 정책, 유기농에 기반한 산지생산 산지소비로 지역주민과의 의
사통이 잘 되어있다. 친환경 정책과 주민들과의 의사소통 어떻게?
E-mail : enquire@ammonet.com
마을소개
1999년 세계에서 최초로 시작된 슬로혁명의 발상지로써 매년 수 만
명의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20세기 말 과학발전으로 많은 것들
이 바뀌고 있을 무렵 전통문화와 음식을 지키면서 산골마을의 개성
을 살리기 시작했고 이제는 세상에서 가장 느리지만 여유 있는 마을
이 되었다. 최초의 슬로시티는 과연 어떨까?
국제슬로시티연맹
위치 : Palazzo del gusto, Via Ropa Serancia I,16 – 05018 - Orvieto
홈페이지 : www.comunemontefalco.it
전화 : 074-251-2200
E-mail : presidente@cittaslow.net
기관소개
오르비에토에 위치하고 있는 국제슬로시티연맹은 전세계에 슬로라이프와 슬로푸드를 알리며 사람들에게 “느림의 미학”을 전파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20개국 135개의 슬로시티들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새로운 슬로시티를 선정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 Contact
국제슬로시티 연맹 테글리오 티라노 그레베 인 키안티 오르비에토 몬테팔코 아말피  
답신 대기 중 답신 대기 중 답신 대기 중 답신 대기 중세부 일정 협의 중 컨택 완료, 1월초 방문허가 세부 일정 협의 중
15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3탐방계획 국외탐방계획
16
인천 Milano
1 / 3 1 / 4 1 / 5 1 / 6 1 / 7
1 / 12 1 / 91 / 111 / 13
1 / 8
1 / 10
Teglio Tirano
Greve in
chianti
Monte
falco
OrvietoNapoliAmalfiRome인천
탐방지역 탐방기관 탐방 활동계획
Teglio
• 마을주민들의 호응도 조사
• 슬로라이프 체험 / 지역 특성 조사
• 국내 슬로시티와 비교 토의
Tirano
• 고지대 슬로시티의 특성 조사
• 지역 슬로푸드의 활용방법 조사
• 한국 고지대 지역과 지리적 특성 비교, 접목
Greve in Chianti
Greve in Chianti
청사
• 지역 슬로시티 담당자와 인터뷰
• 세계 최초의 슬로시티의 주민들의 인식 조사
• 인터뷰 내용 정리, 와이너리 투어 참여
Montefalco
• 지역 축제 조사
• 지역 슬로푸드인 ‘와인’체험, 홍보 방법 조사
• 체험 활동 정리, 전통 주(酒)의 슬로푸드化에 대한 토의
Orvieto
국제슬로
시티연맹
• 국제슬로시티연맹 방문 / 인터뷰
• 슬로시티 홍보 활동에 대해 국내와 비교
• 인터뷰 내용 정리
Amalfi
Amalfi
청사
• 해안 슬로시티의 장,단점 조사
• 관광객 유치정책에 대해 담당자와 인터뷰
• 국내 슬로시티와 비교 토의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4일정 및 예산 국내탐방일정 및 예산
국내탐방 세부일정 (4박 5일)
날짜 교통수단 탐방일정
12 / 27 버스
하동으로 집결
하동 악양면
12 / 28 버스
하동 - 담양
담양 창평면
12 / 29 버스 담양 - 완도
12 / 30 배
완도군 청산면
(청산도)
12 / 31 배 청산도 - 광주
항목 내역 비용 비고
숙박비
템플스테이
슬로 라이프 숙소
찜질방
30,000원×3명 = 90,000원
60,000원×2일=120,000 (3인 기준)
7,000원×1일×3명 = 21,000원
-
식비 하동, 담양, 완도 9끼×5,000원×3명 = 135,000원 템플스테이 참가시 당일 석식과 익일 조식 무료
교통비 Bus, Ship 18,000원×5일×3명 = 270,000원 교통비의 평균적인 값
Total 636,000원 1인당 예상 경비 : 212,000원
국내탐방 예상 소요 경비
17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4일정 및 예산 국외탐방일정 및 예산
해외탐방 세부일정 (10박 11일)
해외탐방 예상 소요 경비
항목 내역 비용 비고
숙박비
Backpaker
또는 Hostel
25EUR×8일×3명 = 600EUR ≒ 960,000원
1EUR≒1600원으로 계산
식비 이탈리아 10EUR×21끼×3명 = 630EUR ≒ 1,008,000원
교통비
Train
Bus
30EUR×4회×3명 = 360EUR ≒ 576,000원
15EUR×3회×3명 = 135EUR ≒ 216,000원
교통비의 평균적인 가격
항공료
Airplane
(Tax 포함)
1,000,000원×3명 = 3,000,000원
www.whypaymore.co.kr 이용
약 925300원 (케세이퍼시픽항공)
환율, Tax변동 등을 대비 100만원으로 책정
Total 5,760,000원 1인당 예상 경비 : 1,920,000원
날짜 교통수단 탐방일정
1 / 3
Bus 부산-인천
Airplane 이탈리아-Milano
1 / 4 Bus Milano-Sondrio
1 / 5 Train, Bus
Sondrio–Teglio
-Tirano
1 / 6 Train Tirano- Firenze
1 / 7 Train
Firenze
-Greve in Chianti
1 / 8 Bus
-Perugia
-Montefalco
1 / 9 Bus
Montefalco-
Orvieto
1 / 10 Train Orvieto-Napoli
1 / 11 Bus Napoli-Amalfi
1 / 12 Train Amalfi-Rome
1 / 13 Airplane Rome-인천
18
국내외 탐방 총 예상경비 : 6,396,000원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5마무리 요약
19
슬로시티 홍보 활동
블로그 포스팅 / UCC 제작 / 대학생 기자 섭외로 온라인 홍보
1
우리만의 슬로 투어리즘 제안
각 지역 전통 문화와 축제를 접목시켜 계절별 여행법 작성 / 제시
2
한국형 슬로시티 제안
탐방 이후 토의를 거쳐 우리나라에 맞는 슬로시티의 미래 제안
3
국내 외 슬로시티 탐방
INSIGHT 1
각 지역 별 특색과 개성 찾기
INSIGHT 2
장단점 및 한계점 분석
INSIGHT 4
슬로시티 주민들의 인식 확인
INSIGHT 5
관광 정책 및 홍보 현황 확인
INSIGHT 6
지리적, 지역적 특색 및 규모 확인
INSIGHT 3
각 지역 별 슬로푸드 및 전통문화 체험
양국의 현황 비교 분석
시작
탐방 활동
향후 계획
조금 더 행복해지기
위한 방법엔 어떤 것
들이 있을까?!
지역 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
과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운동을 하는 슬로시티?!
슬로시티의 발상지
이탈리아, 우리나라에
도 6 군데나?!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5마무리 후기 및 팀원소개
20
못 다한 이야기들
이 프로젝트의 시작은 한 페이지의 신문 스크랩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올해 6월 5일(토)자 동아일보 주말 에디션에 소개된 이
탈리아의 오르비에토 시(市)에 대한 내용이 담긴 반 페이지짜리 글이 흥미로워서 슬로시티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뜻이 맞
는 친구들과 함께 無에서 有를 창조하는 듯한 이번 기획 과정은 힘들었지만 좋은 기회였습니다. 각기 다른 학과에서 공부하고
있지만 우리가 함께 한 주제를 놓고 여러 가지로 생각해보고 대안을 연구해보고, 답사도 가보고 느낌을 공유하는 활동은 대학
생 때 해볼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이자 공부였습니다.
우리가 느낀 슬로시티는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에 대한 좋은 답이 될 수 있는 곳입니다. 슬로시티는 단순히
현대문물과 배제된 시골마을이 아닙니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해 느리게, 자발적으로 자연과 옛 것을 지키며 사는 곳입니
다. 또한 슬로시티는 흔한 관광도시가 아닙니다. 유적이나 관광명소를 찾아 가는 여행이 아니라 사색을 통해 한 박자 숨을 돌
리고,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곳입니다.
이번 글로벌 프런티어 2011에 도전하여 슬로시티에 대해 알아가면서 우리 스스로도 그 정신의 필요성을 느끼고 배웠습니다.
세상은 빠른 것을 추구하며 급변해가고, 전통과 자연의 가치를 잊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번 탐방으로 겪게 될 다양한 경험
을 통해 슬로라이프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 배워서 느림의 미학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습니다. 더불어 우리 ‘라온파니’ 3명의
청춘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약속합니다.
‘라온파니’ 는
‘라온파니’는 ‘즐거운 달팽이’ 라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저희 ‘라온파니’는 달팽이처럼 느릿한 삶의 리듬과 아름다움을 간직한 채
전통과 자연을 지키며 살고 있는 슬로시티의 모습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 현우성 밥 보다 죽이 좋은 슬로푸드 죽보이
 김서희 ‘느림’하면 둘째 가라면 서러운 여유로운
마음의 소유자, 잘 뛰지도 않음
 이기훈 급한 성질 고치려다 슬로시티에 푹 빠진
‘아직은’ 패스트 보이
팀장 및 국내컨택 :
이기훈
해외컨택 및
에디터:
김서희
일정 및 예산 계획 :
현우성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
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
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seekly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JONGNO-GU Office
 
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
storyjeju
 
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storyjeju
 
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storyjeju
 
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
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
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
storyjeju
 
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storyjeju
 
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
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
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Heeseo Park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여성환경연대
 

What's hot (10)

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
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
지역축제서 국제박람회로의 발전현황 및 과제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
 
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하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선흘1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
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
2016년 (주)제주생태관광 추진한 생태관광 현황 및 성과
 
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2016년 저지리 생태관광마을 만들기
 
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
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
여주세종추모공원 단체용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하천살리기와 지역공동체의 복원 (2000년대 중반)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1호 (소식지, 2007년)
 

Similar to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SEO YUN MI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Rotary International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seekly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
sustaintour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seekly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seekly
 
종로사랑 (448호)
종로사랑 (448호)종로사랑 (448호)
종로사랑 (448호)
JONGNO-GU Office
 
Lets Be Slow 20100226
Lets Be Slow 20100226Lets Be Slow 20100226
Lets Be Slow 20100226
Re-
 
제주올레소개
제주올레소개제주올레소개
제주올레소개
Seongeun An
 
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
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
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
성훈 김
 
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
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
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융선 최
 
광주 - 청년문화허브
광주 - 청년문화허브광주 - 청년문화허브
광주 - 청년문화허브
Younghwan Cheon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seekly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seekly
 
mim 기업소개서
mim 기업소개서mim 기업소개서
mim 기업소개서민지 김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
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
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
Tomorrow's Tabl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seekly
 

Similar to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20)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4.윤리적소비와 여행(나효우)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출력용
 
종로사랑 (448호)
종로사랑 (448호)종로사랑 (448호)
종로사랑 (448호)
 
Lets Be Slow 20100226
Lets Be Slow 20100226Lets Be Slow 20100226
Lets Be Slow 20100226
 
제주올레소개
제주올레소개제주올레소개
제주올레소개
 
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
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
0830 맛의방주미디어데이(보도)자료
 
1팀
1팀1팀
1팀
 
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
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
행궁동마을만들기 안산마을포럼발표자료(0830)
 
광주 - 청년문화허브
광주 - 청년문화허브광주 - 청년문화허브
광주 - 청년문화허브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
 
mim 기업소개서
mim 기업소개서mim 기업소개서
mim 기업소개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벗 (B.U.T)_탐방 보고서
 
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
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
맛의방주와 소농 그리고 농업의 미래 토론회 (2016102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More fro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More fro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 1. 이기훈, 동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현우성,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김서희,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우리나라의 슬로시티를 위한 라온파니의 도전
  • 2. 목차 1 탐방주제 주제 선정 동기 주제 소개 탐방 목적 2 사전조사 사전 조사 사전 답사 3 탐방계획 국내 탐방계획 국외 탐방계획 4 일정 및 예산 국내탐방 일정 및 예산 국외탐방 일정 및 예산 5 마무리 요약 후기 및 팀원소개 즐거운 달팽이, 라온파니
  • 3. 1탐방주제 주제선정동기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 우리는 인간이 만들어가는 도시 속의 획일화되고 빠르게 돌 아가는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너무나 바쁘게 돌아가는 사 회에서 경쟁하며 치열하게 살다 보니 삶의 의미와 본질을 잃 고, 웃음을 잃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사회 속에서 여가생활, 여행, 여유, 낮잠이라는 단어는 사치처럼 느껴집니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전세계에서 1위가 된 지 오래이고, 날 이 갈수록 증가하여 작년 하루 평균 약 42명이 스스로 목숨 을 끊었습니다. 가정불화, 우울증, 성적비관 등으로 목숨을 끊는 청소년들도 작년에 비해 47%나 증가했고 10~30대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일 정도입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행복하다고 느끼는 국민들도 적습니다. 영국 신경제재단(NEF)이 전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국가별 행복지수에서 68위를 한 우리나라는 기대수명 부문에 선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국민들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와 친 환경 측면에서 중간 정도의 점수를 얻는 데 그쳤습니다. 아래 와 같은 신문, 뉴스의 머리글과 통계 자료가 말해주듯이 많 은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은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자료1] 조금이라도 행복하고 안정된 삶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요. 이 의문에 대한 많은 대답들 중 하나로 택한 것이 바로 ‘느리게 사는 것’ 입니다. 농촌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 최근 도시 사람들의 농촌 이주, 즉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 하고 있는 것도 많은 사람들이 바쁜 도시에서 벗어나 느린 삶 을 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국내 귀농 인 구는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습니다. [자료2] 도시에서 사회 생활을 한 386세대가 은퇴 후 안락하고 평안 한 삶을 위해 귀향을 하기도 하고, 아이들을 오염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건강한 먹거리와 함께, 긍정적으로 키우기 위해 농촌을 택하기도 합니다. 자연과 더불어 느리게 살아가기 위 한 노력입니다. 누군가에게 ‘느림’ 이란 단어는 ‘더딤, 게으름, 나태함’ 등의 부정적 의미를 떠올리게 하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느림’ 이 갖는 느긋하고 안정적인 느낌은 탈 도시화를 지향하는 이들 에게는 더 나은, 더 행복한 삶을 위한 돌파구로 다가옵니다. 삶의 화두로 ‘느림’을 택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슬로시티가 있습니다. 슬로시티는 지역 사회 주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 향상을 목표로 하는 마을입니다. 행복, 나눔, 자연과 같은 단 어가 잘 어울리는 슬로시티에서의 삶은 어떠한지, 자연과 더 불어 전통을 지키며 사는 슬로문화는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배우고자 합니다. [자료1] 880 769 885 1302 1240 1754 2384 2218 408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귀농현황 연도 명 [자료2] 3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4. 1탐방주제 주제소개 ‘슬로시티’란 ‘슬로시티’란 단어는 아직 대중들에게 생소한 개념입니다. 그러므로 우선 슬로시티에 대한 개념과 철학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슬로 시티의 중요성과 가치를 파악해보고 이번 우리 조의 해외탐방이 왜 필요한 지, 또 그를 통해 어떤 것을 얻을 수 있을 지 알아보겠습니다. 슬로시티(Slowcity)는 이름 그대로 ‘느리게 사는 도시’ 라는 뜻으로, 이탈 리아어 치따슬로(Cittaslow)의 영어 표현입니다. 1999년 10월 이탈리아의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의 전(前) 시장(市長)이었던 파울로 사투르니니(Paolo Saturnini)를 주축으로, 주위의 몇 몇 도시의 시장들이 모여서, 위협받기 시작한 달콤한 인생(La dolce vita)의 미래를 염려하여 슬로시티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슬로시티의 출발은 1989년 시작된 느리게 먹기(Slow food)운동인데 ‘느림’을 음식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도시의 삶 전체에 도입하자는 의도로 확대된 것입니다. 산업화로 인해 속도와 물질주 의에 병들어가는 현재를 탈피하여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대안적 저성장도시 를 만들고자 슬로시티 운동을 선언한 것입니다. 마을을 등에 지고 가는 느 림의 대명사, 작은 달팽이 로고와 ‘자연 속에서 느리게 살자’는 표어를 앞 세운 슬로시티 운동은 이후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전 세계로 확산됐습니 다. 2010년 현재 20개국, 135개의 도시가 ‘Slow City’로 지정되었습니다. 유럽에 121곳, 북아메리카에 5곳, 오세아니아에 3곳, 아시아에 6곳이 있습 니다. 특히 슬로시티의 본고장인 이탈리아는 많은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문화유산과 전통을 간직하여 도시를 옛 모습 그대로 보존하는데 힘 쓰는 국가로 꼽힙니다. 이탈리아 뿐만 아니라 스페인, 영국, 독일 등 많은 선진국에서 자국의 문화와 전통을 지키고 있는 슬로시티를 보유하고 있습 니다. 이 중 ‘빨리빨리 문화’가 만연한 우리나라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슬로 시티를 6개나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2007년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담양군 장평면, 완도군 청산면, 장흥군 유치면이 슬로시티 지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까다로운 인증절차를 걸친 후에 슬로시티국제연 맹에서 인정하는 슬로시티에 지정되었으며 최근에는 2009년 2월 경남 하동 군 악양면과 2009년 9월 충남 예산군 대흥면이 슬로시티에 지정되었습니 다. 4 Cittaslows on Google Maps All around the world Korea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5. 1탐방주제 주제소개 슬로시티의 이념과 철학 슬로시티 운동은 인간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오래갈 미래를 위하여 자연 과 전통문화를 잘 보호하면서 경제 살리기를 하여 진짜 사람이 사는 따뜻 한 사회,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국제 슬로시티의 모토는 International network of cities where living is easy로 편한 삶, 즉 삶 의 질을 위한 국제적인 연결망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운동의 주요 지향점은 1 철저한 자연생태보호, 역사적 거리경관 보존 2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 3 천천히 만들어진 슬로푸드 농법 4 지역 특산품, 공예품 지키기 5 지역민이 중심이 되고 진정성 있게 이 운동에 참여하여, think globally act locally : 지방의 세계화, 즉 세방화(glocalization) 를 통해 나아가 전통적인 그 도시 특유의 문화와 삶을 보존하고 지속가능 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 슬로시티를 도입한 손대현 위원장(한양대 관광학부 교수)은 이렇게 말합니다. “슬로시티는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 향상 을 목표로 하는 운동입니다. 그래서 방문자를 30~50%로 제한하고 있습니 다. 관광학 공부만 40년 넘게 해온 제가 관광객을 유치하지 말라고 하면 다들 이상하게 생각하지만, 슬로시티의 핵심 정신은 개발과 성장에 반대하 는 것이기 때문에 관광객 유치는 꿈도 꾸지 말라고 으름장을 놓습니다. 제 가 생각하는 슬로시티는 사람들이 행복한 도시입니다. 행복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켜 나가는 자세가 기본입니다. 술, 떡, 다방이나 마당 같은 옛 건물 등 삶에 밀착된 것이 바로 슬로시티 정신 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슬로시티의 본원지인 유럽식 생활을 모방해서도 절 대 안 됩니다.” 5 슬로시티의 조건 1 인구 5만명 이하 2 대체 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 개발 3 마을 광장의 네온사인 없애기 4 전통 수공업, 전통 조리법 장려 5 문화유산 지키기 6 차량통행 제한 7 자전거 도로 만들기 8 나무 많이 심기 9 글로벌 브랜드의 대형 체인점 거부 10 외지인의 부동산 거래 금지 11 실외 자판기의 최소화 슬로시티 인증서에 소개된 시 시간의 의미를 되찾은 호기심으로 가득찬 사람들로 생명이 살아 숨쉬는 고장 마당과 극장과 가게와 다방과 식당 영혼이 깃든 장소들이 가득하며 온화한 풍경과 숙련된 장인들이 사는 고장 계절의 변화가 주는 아름다움을 느끼며 맛과 영양 의식의 자발성이 존중되며 산물의 자연성에 율동rhythm을 맞춰 여전히 느림을 알며 사람들이 살아가는 고장…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6. ‘슬로시티’의 운동방향 1 슬로시티 환경정책 - 에너지 절약 및 대체에너지 사용에 대한 계획 - 유전자 변형 농산물 사용금지 - 빛 오염 관리시스템 및 프로그램 환경운영 시스템 2 슬로시티 기초인프라 정책 - 자가용 사용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보행 및 자전거도로, 대중교통의 통합운영 등 - 공공장소에서의 노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물리치료, 소리도서 등 - 지역의 노약자들을 위한 다용한 복지프로그램 - 공공 구조물의 재정비 및 관리 - 민원실과 슬로시티 활동의 창구 통합 3 슬로시티 도시경관 및 미관 정책 - 친환경 건축을 위한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 친환경적 쓰레기 처리 및 소음지역의 방음조치 4 슬로시티 토산품의 가치화 정책 - 유기농 농산물 개발계획 - 장인의 수공예품과 예술적 가치가 있는 제품의 품질보증 정책 - 소멸위기에 있는 지역생산물, 특산물, 장인의 수예품 보호 프로그램 - 소멸위기에 있는 전통적 작업방식 및 직업의 상품 가치화 정책 - 단체음식점, 학교급식 등에서의 유기농 및 지역특산품 사용을 위한 정책 - 슬로푸드 연맹과의 공조를 통한 의무 교육기관과 기타 교육기관에서의 맛과 음식교육 프로그램 - 지역특산물 판매를 위한 정책적 배려 - 지역문화행사의 가치향상과 보전을 위한 활동 5 슬로시티 관광객 수용 정책 - 주민의 관광 안내 및 친절교육 계획 - 관광객을 위한 안내 및 홍보 계획 6 슬로시티 시민들의 참여 및 인식 확대 정책 - 슬로시티 인식 확산을 위한 대주민 홍보 계획 - 사회적 차원의 대외적 교육 및 협력 프로그램 계획 - 슬로시티 및 슬로푸드 활동의 대외적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 1탐방주제 주제소개 6 슬로라이프 행동강령 1 가급적 자동차 덜 타고 걷기, 지하철, 자전거 타기 2 마음엔 평화, 얼굴엔 웃음 띄기 3 여유로운 식사 즐기기, 30번 씹기 하루 30가지 반찬을 골고루 먹기 4 패스트푸드를 멀리하고 제철에 나는 유기농 슬로푸드 먹기 5 조용한 명상과 긴 침묵시간 갖기 6 TV를 멀리하고 독서하기 7 말 천천히 하기, 일도 느리게 하기 8 아파트, 사무실, 지하철 계단 걷기로 세로 토닌 등 행복호르몬과 친해지기 9 승강기 닫힘 버튼 누르지 않기 10 세상을 여유롭게 보는 재미가 있는 느린 여행하기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7. 슬로시티를 방문하여 우리 ‘라온파니’는 슬로시티의 발상지인 그레베 인 키안티를 포함한 이탈 리아의 슬로시티 6곳을 탐방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각 도시의 지 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른 슬로시티 운동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위에 언 급한 슬로시티의 기능을 어떠한 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또한, 유럽의 상황에 맞춰 시작되고 발전된 슬로시티이므로 우리나라에 맞 는, 한국형 슬로시티가 명확한 본질과 정체성을 가지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 지 고민해볼 것입니다. 아직은 우리나라의 슬로시티만의 정체성이 모호할 수도 있고, 인지도와 정보가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짧은 유행처럼 번져서 테마도시로 전 락해버리거나 지자체의 행정적 전시물로 이용되어 오히려 지역민들에게 피 해를 주고 지역발전에 장애물이 될 우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슬로시티 가 ‘아시아 최초’라는 것에 자부심이 생기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행정의 고 질적 폐해인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무리하게 인증을 받은 것은 아닌지, 관 광객 유치를 위해 경제적인 면에서 활용되는 수단으로 그치고 있지는 않는 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탐방을 통해 그 지역의 전통과 산업, 문화, 역사의 가치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실제로 지역민들의 질 좋은 삶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지역민들의 슬로시티 인식수준은 어떠한지, 관광도시로서의 모습은 적절한 지, 어떠한 지역 특산물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슬로푸드를 지켜가고 있는 지, 자연환경 저해를 최소화 하는 도시 경관, 미관 정책은 어떠한지, 슬로 시티 인증 이후에 어떠한 면이 변했는지 등을 알아볼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슬로시티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며 그 지역에서 지켜지고 있는 전통문화가 오래도록 계승되고 유지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생각해볼 것입니다. 지역민의 행복과 동시에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되고 지속되고 있기를 바랍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탐방을 통해서 많은 이들에게 느리게 사는 미학을 알리 고 우리나라 슬로시티를 홍보하며, 자연과 전통문화를 보존하는 것의 중요 성과 가치를 재고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1탐방주제 탐방목적 7 슬로시티의 기능 1 도시의 전통문화 보존, 계승, 유지 2 도시 특산업의 발전, 특산물 생산 활성화 3 국제적 관광도시로 발전 4 수도권 집중 개발정책, 도시선호 현상의 해결책 5 인간적이고 친환경적인 생활 추구, 빠른 삶에 대항하는 휴식과 여가활동의 방법 6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교육 장려 7 지역민 중심의 공동체 형성 8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발전에 참여 탐방 과정 1 우리나라 슬로시티 방문 2 유지 및 홍보 현황, 지역 주민 인지도 확인 3 슬로시티 운동의 발상지인 이탈리아의 슬로시티 방문 4 각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 슬로푸드 체험 5 한국형 슬로시티를 위한 방안 모색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8. 2사전조사 사전조사 미리 가보는 슬로시티 운동의 발상지, Greve in Chianti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州) 중심에 있는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는 인구 1만 4000여 명의 특별할 것 없는 산촌마을이었습니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이 마을은 인구 와 소득의 감소, 고령화 등 우리나라 농어촌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었습니 다. 마을은 활기가 없었으며 이렇다 할 만한 대표 산업도, 내세울 관광지도 없었습니다. 소 득원은 산간에서 계단식 경작을 하는 포도원과 올리브 농장이 전부였습니다. 당시 시장(市長)이었던 파울로 사투르니니는이 마을을 대도시에 통합시키거나 정반대로 작은 시골마을, 예스러움을 강조하는 두 가지 방향 중 후자를 선택하여 아기자기한 자연, 사람들의 정신적 풍요와 여유, 대도시와 떨어져 있는 점을 지역의 ‘상품’으로 연출하기로 했습니다. 그는 마을의 모든 정책과 행정을 슬로시티에 맞춰 진행했습니다. 토착 상점가 를 살리기 위해 외부 자본의 대형 슈퍼마켓 유입을 막고 외부인의 부동산 소유를 제한했습 니다. 농축산물과 수공예품 생산도 옛날 방식을 고수해줄 것을 당부했는데, 수제품 스파 게티, 전통 방식의 와인 생산 등이 그것입니다. 파울로 시장은 당장 생활이 불편하다는 주 민들을 설득하며 ‘느림’이라는 말은 단순히 속도가 아니라 자연을 이해하고 순리를 기다릴 줄 아는, 자연과 인간에 대한 ‘즐거운 기다림’이라고 했습니다. 그레베 인 키안티 지역은 농업과 관광이 잘 융합되어 새로운 관광도시의 모델을 보여주 고 있습니다. 관광객이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Originality), 진정성(Authenticity), 다양성(Variety)을 느끼고 갈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20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명품 와인을 가지고 있다는 ‘고유성’, 환경이나 기후, 산물 뿐 아니라 오랜 세월 변치 않고 내려오는 정신 이나 인간미 넘치는 분위기 등 이 지역의 ‘진정성’, 언덕과 아름다운 편백나무 숲, 포도원, 성 당, 빌라, 농장, 흰색의 작은 마을, ‘모나리자’의 배경이 된 전원적인 풍경 등을 지닌 ‘다양 성’ 모두를 만끽할 수 있게 되는 곳입니다. 8 1 그레베 인 키안티 지역 전경 2 옛 건축물을 보존하는 성당거리 3 주요 생산품인 와인 전문 판매점, 와인투어 시 방문(그레베 인 키안 티는 세계적 명성을 지닌 와인 Chianti Clasico 의 생산지) 4 저장고에서 숙성중인 와인 5 6 숙성시킨 햄, 프로슈토 (prosciutto)도 유명한 특산품 사진설명 1 2 3 4 5 6 68곳 6곳 양국 슬로시티 분포 비교 Korea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9. 2사전조사 사전답사 태양으로 소금이 천천히 익어가는 보물섬, 신안 증도 2011년 10월 30일~31일 우리 라온파니는 슬로시티 중 한 곳인 전남 신안 증도에 다녀왔 습니다. 올해 지난 3월 말 개통된 증도대교 덕에 증도를 찾기가 수월해졌습니다. 증도 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높은 빌딩이 없어 하늘과 더 가까워 짐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증도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환경을 개략적으로 확인하면서도 느린 여행, 슬로투어리즘 에 걸맞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수단으로 자전거를 택했습니다. 2차선 도로에서 조차 지나가는 차량이 거의 없 어서 안전하게 자전거 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우리가 자전거 일주에서 처음 마주한 것은 죽 늘어선 옛날 모습 그대로의 소금 창고들 이었습니다. 하지만 염전에서 소금을 얻어내는 것은 3월말~10월 초 경이어서 소금밭 체험을 할 수도, 염부의 모습을 구경할 수도 없어서 매우 아쉬웠습니다. 증도 하면 떠오르는 태평염전은 국내 최대의 소 금 생산지이며 그 규모는 140만 평에 이른다고 합니다. 전망대에 올라가서 내려다 본 태평염전은 한 눈에 봐도 어마어마한 규모였습니다. 또한 인상적이었던 곳은 유네스코 갯벌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드넓은 갯벌이었습니 다. 그 위를 도보로 건널 수 있는 140미터의 나무다리인 짱뚱어 다리를 건너다보면 썰물 때는 갯벌에 사는 짱뚱어, 돌게 등을 만날 수 있고 밀물 때는 물위를 걷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재미있는 곳입니다. 8월 경엔 이 갯벌에서 각종 게임 등을 하는 체험, 축제가 있다고 합니다. 갯벌생태계를 체험하 는 동시에 소중함을 알리고 또한 증도의 홍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많은 관광객이 몰릴 경우 오히려 갯벌을 훼손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고 합니다. 슬로시티 의 목적은 관광객유치가 아니라 전통과 생태,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갯벌체험은 인원제한 및 통제가 필요하다고 우리는 의견을 모았습니다. 또한 증도의 남쪽에는 태양에너지 발전소가 있어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청정에 너지 자원을 공급하여 사용하려는 노력을 볼 수 있었습니다. 9 사진설명 전남 신안 증도면 1 인구 : 2233명 2 면적 : 40.03km2 3 구성 : 6개의 유인도(증도, 화도, 병풍도, 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108개의 무인도 총 114개의 섬 4 특징 : - 국내 최대의 단일염전인 태평염전 - 유네스코 갯벌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드넓은 갯벌 - 자연 그대로 보존된 우전해수욕장 - 최초의 여성 순교자인 문준경 전도 사 순교지 - 국내 최초 최대의 갯벌생태전시관 - 소금박물관 1 소금창고 앞 2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드넓은 염전 3 염전을 배경으로 찍은 단체사진 4 짱뚱어 다리 위에서, 아래엔 드넓은 갯벌 1 2 3 4 태양열 발전소의 모습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0. 2사전조사 사전답사 세계 최고의 갯벌소금, 증도의 자부심 태평염전은 갯벌을 막아 염전으로 개척한 것으로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천일 염이 생산됐다고 합니다. 한때 화학소금에 밀려 천일염이 천대받고 염전과 염부들 이 존폐위기까지 내몰렸으며 염전을 없애고 골프장을 만들자고 한 고위공직자가 있을 정도였지만 청정바다의 미네랄과 영양성분이 가득한 갯벌소금과 다양한 생 물종이 서식하는 보금자리인 갯벌의 가치는 매우 소중한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것이 증도가 슬로시티로 지정 받게 된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슬로시티로 인증 받 은 덕분에 더욱 갯벌생태계가 보호받고 보존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갯벌은 세계 5대 갯벌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최고의 질을 자랑합니다. 또한 세계 5대 갯벌 중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만나는 염전문화가 있는 곳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태평염전에서의 염전체험을 단순히 흥 미로운 체험활동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일한 경험을 하는 기회임을 인 식하고 감사히 여기고 자부심을 느껴야 할 것입니다. 더구나 갯벌천일염은 세계적 으로 0.2%에 불과한 희귀자원이라고 합니다. 특히 증도의 천일염은 미네랄과 영 양성분을 특히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세계적으로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는 갯벌소금을 더욱 확실히 홍보하며 염부의 땀과 정성에 걸맞도록, 높은 질 만큼의 가격을 책정하여 지역경제의 최고의 수입원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소금자체를 하나의 음식이라고 말할 수는 어렵기 때문에 천 일염을 이 곳의 슬로푸드라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슬로푸 드는 고추장, 된장, 김치, 젓갈 등 소금을 매개로 발효되는 전통발효식품들이 주 를 이루기 때문에 소금은 슬로푸드의 뿌리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태평염전을 지나 우리는 우전해수욕장 근처에서 바다와 해송숲을 함께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해송숲 산책로에서는 청량감을 느끼며 여유롭게 걸으며 사색에 잠길 수 있었습니다. 이 해송숲과 짱뚱어다리, 태평염전 일대를 걸어가는 체험을 하는 슬로걷기체험도 증도의 중요한 행사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소금박물관, 갯벌생태전시관, 염생식물원 등을 방문하며 반나절 정도 증도를 돌아보고 우리는 자연과 생태를 보전하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지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슬로시티로 지정된 것이 증도의 고유하며 특색 있는 갯벌과 청정바다를 더욱 철저히 보호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관광화가 되 더라도 반드시 지켜야 할 중요한 자원이라고 여깁니다. 전남산과 수입산 천일염의 주요 미네랄 함량 비교 미네랄 칼슘 칼륨 마그네슘 전남 (한국) 1,429 3,067 9,797 게랑드 (프랑스) 1,493 1,073 3,975 중국산 920 1,042 4,490 베트남 일본 761 837 3,106 호주 멕시코 349 182 100 전남보건환경연구원보, 2007년 단위 : mg/kg 해송숲 전경과 산책로 평화로운 우전해수욕장 - 제10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 『천년의 숲』 부분 우수상 수상 한반도 해송숲 10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1. 3탐방계획 국내탐방계획 11 지리산 섬진강과 자연 야생 녹차의 마을, 하동 살담은 하동 악양은 세 가지의 향(香)이 있습니다. 차(茶香), 문학 (文香), 마을(都香)의 향기입니다. 천 년을 지켜온 차나무와 이 차 나무에 해마다 헌다례를 지내는 하동 사람들을 만나러 갑니다. 햇 고택 처마 끝에 바람이 쉬어가는 마을, 담양 모습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한옥, 담양의 명물 대나무를 이용한 죽 염 장류, 한과 등 다양한 슬로푸드, 여전히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대 동제와 전통놀이의 참맛을 느끼러 갑니다. 옛 - 2009년 7월 슬로시티 선정 - Contact 상황 : 유선으로 완료(9/30), 추후 방문 전 연락요구 경남 하동 악양면 전남 담양 창평면 - 2007년 7월 슬로시티 선정 - Contact 상황 : E-mail로 완료(9/30) 추후 탐방 일정 확정시 연락요구 하동군청 문화관광과 / 최대성 계장 연락처 : 055)880-2377 홈페이지 : www.hadong.go.kr 방문기관 방문목적  하동군 만의 슬로시티 정책 및 특색 확인  “슬로푸드” 인 야생녹차에 대해 향후 사업 방안 확인  향후 하동군의 슬로시티 방향 모색  담양군 만의 슬로시티 정책 및 특색 확인  슬로라이프 / 슬로산업에 의한 관광객 유치 관련 사업 방안 확인  담양군의 슬로시티의 한계점 모색 담양군 창평 면사무소 / 송명순 과장 연락처 : 061)380-3793 홈페이지 : www.slowcp.com 방문목적 방문기관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2. 3탐방계획 국내탐방계획 12 빙그레 웃는 푸른 산 그리고 바다 지킴이 해녀의 섬, 완도 지막한 지붕, 예스러운 돌담길, 그리고 푸른 바다가 주는 느긋함과 여유, 자연과 하나됨을 느낄 수 있고 가끔씩 밭일 하시며 돌아보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웃음과 수줍은 사투리가 더해져 섬 전체가 하나의 전 래 동화 같은 청산도로 갑니다. 나 - 2009년 7월 슬로시티 선정 - Contact 상황 : 유선으로 완료(11/1) 추후 탐방 일정 확정 시 연락 요구 전남 완도 청산면 국내 탐방의 목표 1 2 3 4 5 6 국내 슬로시티의 장점 지역주민들의 의견 국내 슬로시티의 한계점 / 보완점 이탈리아와 우리의 지역 여건 비교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는 우리만의 “여유” 찾기 우리에게 꼭 맞는, 우리가 추구 해야 할 슬로시티 찾기 양국 슬로시티 비교를 위해 지역적 특징 알아보기 슬로시티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견과 그들이 원하는 슬로시티 찾기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라는 명예에 맞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점 찾기 한국형 슬로시티 제안 방문기관 방문목적 완도군청 관광정책과 / 김광화 과장 연락처 : 061)550-5410 홈페이지 : www.wando.go.kr  완도군 만의 슬로시티 장점 / 특색 확인  완도군이 더 발전된 슬로시티가 되기 위해 필요한 점 모색  지금의 슬로시티에 대한 정책과 향후 정책 확인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3. 3탐방계획 국내탐방계획 13 하동군 악양면 12 / 27 12 / 28 12 / 29 12 / 30 12 / 31 담양군 창평면 완도군 완도군 청산도 광주 (해산) 탐방지역 탐방기관 탐방 활동계획 하동 악양면 • 하동군청 문화관광과 • 쌍계사 • 담당자 인터뷰(문화관광과 최대성계장) • 악양면 평사리 마을을 중심으로 ‘토지’의 배경인 최참판댁 등 방문 • 지역 주민 호응도 조사 • 매암 차 문화 박물관 방문 및 야생녹차 체험 • 차(茶)를 키워드로 한 다원(茶園)으로의 발전가능성 토의 • 템플 스테이(쌍계사)를 통한 슬로라이프 체험(1박), 체험 결과, 인터뷰 및 조사내용 등 정리 담양 창평면 • 담양군청 관광레저과 • 담양 창평 면사무소 • 담당자 인터뷰(면사무소 송명순 과장) • 슬로푸드 조사 및 체험 • 지역 주민 호응도 조사 • 달뫼미술관, 가사문학관 방문 • 메타세콰이어 길, 죽녹원, 소쇄원 방문 • 삼지천 마을(한옥마을) 방문 및 한옥체험(1박) • 인터뷰 내용, 체험결과 정리 완도 청산면 • 완도군청 관광정책과 • 담당자 인터뷰(관광정책과 김광호 과장) • 지역 주민 호응도 조사 • 해산물 중심의 지역특산물 체험 • 지리적 특이성에 따른 가능성 / 한계점, 장단점 토의 • 인터뷰 내용, 체험결과 정리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4. 3탐방계획 국외탐방계획 롬바르디아주 테글리오 / 티라노 토스카나주 그레베 인 키안티 움브리아주 오르비에토 / 몬테팔코 캄파니아주 아말피 롬바르디아주 테글리오(Teglio) 위치 : piazza S. Eufemia n. 7-2306 홈페이지 : www.comune.teglio.so.it 전화 : 034-278-9011 롬바르디아주 티라노(Tirano) 위치 : Piazza Cavour, 18-23037 홈페이지 : www.comune.tirano.so.it 전화 : 001-498-0147 E-mail : protocllo.teglio@cert.provincia.so.it E-mail : comune.tireno@legalmail.it 마을소개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스위스와 국경선을 맞대고 있다. 그래서 자국민뿐만 아니라 타 국가에서도 많은 관광객 들이 매년 다 녀간다. 그 속에서 어떻게 지역전통을 지킬 수 있는 지 알아본다. 이탈리아 슬로시티 14 마을소개 도시전체가 산맥을 끼고 있는 특이한 슬로시티로써 공기가 맑고 소 박한 산골마을의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마을의 특색의 전통과 슬로 푸드를 가지고 있는 마을..어떤 것들이 있을까?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5. 3탐방계획 국외탐방계획 움브리아주 몬테팔코(Montefalco) 위치 : Via Garibaldi, 30424 Montefalco 홈페이지 : www.comunemontefalco.it 전화 : 074-251-2200 캄파니아주 아말피(Amalfi) 위치 : Questo site e di propcirta del 홈페이지 : www.comune.amalfi.sa.it 전화 : 004-723-2064 토스카나주 그레베 인 키안티 위치 : Via di Montefioralle 3 I-5002 홈페이지 : www.greve-in-chianto.com 전화 : 390-558-5464 움브리아주 오르비에토(Orvieto) 주소 : Via Garibaldi, 805018 - Orvieto 홈페이지 : www.comune.orvieto.tr.it 전화 : 390-763-3061 E-mail : sindaco@comune.amlafi.sa.it 마을소개 나폴리에 위치한 해안마을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죽기 전에 가 봐야 할 곳 11”에 선정될 만큼 아름다운 곳이며 마을 전체에 상큼한 레몬향이 난다. 감미로운 음악이 동절기를 제외하고 언제나 들리는 곳. 그 곳 사람들은 어떻게 여유를 느낄까? E-mail : montefalco@postacert.umbria.ti 마을소개 송골매가 사는 산이라는 뜻으로 마을 주변에는 광활한 움브리아대 지가 먼 곳까지 보인다. 그 대지에는 포도나무와 올리브나무가 가득 하다. 슬로푸드의 음료 중 최고인 와인으로 유명한 몬테팔코. 과연 그들은 어떻게 와인으로 여유를 느끼는지 알아보자! E-mail : mail@comune.orvieto.tr.it 마을소개 로마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소도시이지만 연간 200만 명의 관광객 이 몰려드는 유명한 관광지로 단순한 관광객 유치, 도시의 첨단화, 일상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보다는 인간답게 사는 마을을 목표로 친 환경 정책, 유기농에 기반한 산지생산 산지소비로 지역주민과의 의 사통이 잘 되어있다. 친환경 정책과 주민들과의 의사소통 어떻게? E-mail : enquire@ammonet.com 마을소개 1999년 세계에서 최초로 시작된 슬로혁명의 발상지로써 매년 수 만 명의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20세기 말 과학발전으로 많은 것들 이 바뀌고 있을 무렵 전통문화와 음식을 지키면서 산골마을의 개성 을 살리기 시작했고 이제는 세상에서 가장 느리지만 여유 있는 마을 이 되었다. 최초의 슬로시티는 과연 어떨까? 국제슬로시티연맹 위치 : Palazzo del gusto, Via Ropa Serancia I,16 – 05018 - Orvieto 홈페이지 : www.comunemontefalco.it 전화 : 074-251-2200 E-mail : presidente@cittaslow.net 기관소개 오르비에토에 위치하고 있는 국제슬로시티연맹은 전세계에 슬로라이프와 슬로푸드를 알리며 사람들에게 “느림의 미학”을 전파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20개국 135개의 슬로시티들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새로운 슬로시티를 선정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 Contact 국제슬로시티 연맹 테글리오 티라노 그레베 인 키안티 오르비에토 몬테팔코 아말피   답신 대기 중 답신 대기 중 답신 대기 중 답신 대기 중세부 일정 협의 중 컨택 완료, 1월초 방문허가 세부 일정 협의 중 15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6. 3탐방계획 국외탐방계획 16 인천 Milano 1 / 3 1 / 4 1 / 5 1 / 6 1 / 7 1 / 12 1 / 91 / 111 / 13 1 / 8 1 / 10 Teglio Tirano Greve in chianti Monte falco OrvietoNapoliAmalfiRome인천 탐방지역 탐방기관 탐방 활동계획 Teglio • 마을주민들의 호응도 조사 • 슬로라이프 체험 / 지역 특성 조사 • 국내 슬로시티와 비교 토의 Tirano • 고지대 슬로시티의 특성 조사 • 지역 슬로푸드의 활용방법 조사 • 한국 고지대 지역과 지리적 특성 비교, 접목 Greve in Chianti Greve in Chianti 청사 • 지역 슬로시티 담당자와 인터뷰 • 세계 최초의 슬로시티의 주민들의 인식 조사 • 인터뷰 내용 정리, 와이너리 투어 참여 Montefalco • 지역 축제 조사 • 지역 슬로푸드인 ‘와인’체험, 홍보 방법 조사 • 체험 활동 정리, 전통 주(酒)의 슬로푸드化에 대한 토의 Orvieto 국제슬로 시티연맹 • 국제슬로시티연맹 방문 / 인터뷰 • 슬로시티 홍보 활동에 대해 국내와 비교 • 인터뷰 내용 정리 Amalfi Amalfi 청사 • 해안 슬로시티의 장,단점 조사 • 관광객 유치정책에 대해 담당자와 인터뷰 • 국내 슬로시티와 비교 토의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7. 4일정 및 예산 국내탐방일정 및 예산 국내탐방 세부일정 (4박 5일) 날짜 교통수단 탐방일정 12 / 27 버스 하동으로 집결 하동 악양면 12 / 28 버스 하동 - 담양 담양 창평면 12 / 29 버스 담양 - 완도 12 / 30 배 완도군 청산면 (청산도) 12 / 31 배 청산도 - 광주 항목 내역 비용 비고 숙박비 템플스테이 슬로 라이프 숙소 찜질방 30,000원×3명 = 90,000원 60,000원×2일=120,000 (3인 기준) 7,000원×1일×3명 = 21,000원 - 식비 하동, 담양, 완도 9끼×5,000원×3명 = 135,000원 템플스테이 참가시 당일 석식과 익일 조식 무료 교통비 Bus, Ship 18,000원×5일×3명 = 270,000원 교통비의 평균적인 값 Total 636,000원 1인당 예상 경비 : 212,000원 국내탐방 예상 소요 경비 17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8. 4일정 및 예산 국외탐방일정 및 예산 해외탐방 세부일정 (10박 11일) 해외탐방 예상 소요 경비 항목 내역 비용 비고 숙박비 Backpaker 또는 Hostel 25EUR×8일×3명 = 600EUR ≒ 960,000원 1EUR≒1600원으로 계산 식비 이탈리아 10EUR×21끼×3명 = 630EUR ≒ 1,008,000원 교통비 Train Bus 30EUR×4회×3명 = 360EUR ≒ 576,000원 15EUR×3회×3명 = 135EUR ≒ 216,000원 교통비의 평균적인 가격 항공료 Airplane (Tax 포함) 1,000,000원×3명 = 3,000,000원 www.whypaymore.co.kr 이용 약 925300원 (케세이퍼시픽항공) 환율, Tax변동 등을 대비 100만원으로 책정 Total 5,760,000원 1인당 예상 경비 : 1,920,000원 날짜 교통수단 탐방일정 1 / 3 Bus 부산-인천 Airplane 이탈리아-Milano 1 / 4 Bus Milano-Sondrio 1 / 5 Train, Bus Sondrio–Teglio -Tirano 1 / 6 Train Tirano- Firenze 1 / 7 Train Firenze -Greve in Chianti 1 / 8 Bus -Perugia -Montefalco 1 / 9 Bus Montefalco- Orvieto 1 / 10 Train Orvieto-Napoli 1 / 11 Bus Napoli-Amalfi 1 / 12 Train Amalfi-Rome 1 / 13 Airplane Rome-인천 18 국내외 탐방 총 예상경비 : 6,396,000원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19. 5마무리 요약 19 슬로시티 홍보 활동 블로그 포스팅 / UCC 제작 / 대학생 기자 섭외로 온라인 홍보 1 우리만의 슬로 투어리즘 제안 각 지역 전통 문화와 축제를 접목시켜 계절별 여행법 작성 / 제시 2 한국형 슬로시티 제안 탐방 이후 토의를 거쳐 우리나라에 맞는 슬로시티의 미래 제안 3 국내 외 슬로시티 탐방 INSIGHT 1 각 지역 별 특색과 개성 찾기 INSIGHT 2 장단점 및 한계점 분석 INSIGHT 4 슬로시티 주민들의 인식 확인 INSIGHT 5 관광 정책 및 홍보 현황 확인 INSIGHT 6 지리적, 지역적 특색 및 규모 확인 INSIGHT 3 각 지역 별 슬로푸드 및 전통문화 체험 양국의 현황 비교 분석 시작 탐방 활동 향후 계획 조금 더 행복해지기 위한 방법엔 어떤 것 들이 있을까?! 지역 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 과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운동을 하는 슬로시티?! 슬로시티의 발상지 이탈리아, 우리나라에 도 6 군데나?!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
  • 20. 5마무리 후기 및 팀원소개 20 못 다한 이야기들 이 프로젝트의 시작은 한 페이지의 신문 스크랩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올해 6월 5일(토)자 동아일보 주말 에디션에 소개된 이 탈리아의 오르비에토 시(市)에 대한 내용이 담긴 반 페이지짜리 글이 흥미로워서 슬로시티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뜻이 맞 는 친구들과 함께 無에서 有를 창조하는 듯한 이번 기획 과정은 힘들었지만 좋은 기회였습니다. 각기 다른 학과에서 공부하고 있지만 우리가 함께 한 주제를 놓고 여러 가지로 생각해보고 대안을 연구해보고, 답사도 가보고 느낌을 공유하는 활동은 대학 생 때 해볼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이자 공부였습니다. 우리가 느낀 슬로시티는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에 대한 좋은 답이 될 수 있는 곳입니다. 슬로시티는 단순히 현대문물과 배제된 시골마을이 아닙니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해 느리게, 자발적으로 자연과 옛 것을 지키며 사는 곳입니 다. 또한 슬로시티는 흔한 관광도시가 아닙니다. 유적이나 관광명소를 찾아 가는 여행이 아니라 사색을 통해 한 박자 숨을 돌 리고,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곳입니다. 이번 글로벌 프런티어 2011에 도전하여 슬로시티에 대해 알아가면서 우리 스스로도 그 정신의 필요성을 느끼고 배웠습니다. 세상은 빠른 것을 추구하며 급변해가고, 전통과 자연의 가치를 잊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번 탐방으로 겪게 될 다양한 경험 을 통해 슬로라이프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 배워서 느림의 미학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습니다. 더불어 우리 ‘라온파니’ 3명의 청춘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약속합니다. ‘라온파니’ 는 ‘라온파니’는 ‘즐거운 달팽이’ 라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저희 ‘라온파니’는 달팽이처럼 느릿한 삶의 리듬과 아름다움을 간직한 채 전통과 자연을 지키며 살고 있는 슬로시티의 모습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 현우성 밥 보다 죽이 좋은 슬로푸드 죽보이  김서희 ‘느림’하면 둘째 가라면 서러운 여유로운 마음의 소유자, 잘 뛰지도 않음  이기훈 급한 성질 고치려다 슬로시티에 푹 빠진 ‘아직은’ 패스트 보이 팀장 및 국내컨택 : 이기훈 해외컨택 및 에디터: 김서희 일정 및 예산 계획 : 현우성 글로벌 프런티어 2011 해외 탐방 계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