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53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보건사회연구원 포용복지포럼
209년 12월 5일
이강국
리쓰메이칸대학교 경제학부
일본의 불평등, 그리고 한국
•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
• 일본의 소득불평등의 변화와 현실, 그리고 그 요인들
: 1990년대는 고령화, 2000년대는 임금격차 확대가 중요한 요인
• 자본과 노동 사이의 기능적 소득분배
: 노동생산성에 비해 임금이 정체되어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
• 아베노믹스와 일본의 불평등
: 아베노믹스의 주요 내용과 평가, 아베노믹스와 불평등의 변화
• 한국에 주는 시사점
: 불평등 구조의 비교, 고령화와 경제구조 변화, 정부의 역할
일본의 소득분배 변화와 현실
• 1990년대 이후 시장소득 분배가 계속 악화되었지만, 재분배
이후의 소득분배는 2000년대 이후 안정적인 모습
• 소득재분배조사와 전국소비실태조사 자료
정부의 소득재분배 효과
• 소득재분배조사에 따르면 사회보험 중심으로 약 35%의
지니계수 감소 효과
일본의 소득분배 변화와 현실
• 국민생활기초조사와 가계조사 자료도 유사한 모습을 보임
자산 등 다른 불평등의 변화
• 버블의 붕괴 이후 부동산 소유의 불평등은 낮아졌지만 금융자산 등의
불평등은 심화됨
일본의 불평등의 국제비교
• 국제적으로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은 선진국들 중 중간수준이며 상대적
빈곤율은 높은 수준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
• LIS자료에 기반하여 추정된 SWIID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시장소득 기준의
불평등은 낮은 편이지만,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은 선진국들 중 중간수준
상위소득 집중도의 국제비교
• 국제적으로 상위 1% 집중도는 낮지만 상위 10% 집중도가 높으며 최근 상승해
왔음, 특히 상위 0.1% 집중도는 낮음 (Moriguchi and Saez, 2008)
• 경제의 구조변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세계화 그리고 미국에 비해 낮은
최고경영자 보수 등을 반영
일본의 소득불평등 변화를 둘러싼 논쟁
•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중반 격차사회 논쟁이 나타남
• 1998년 다치바나키 교수는 ‘일본의 경제격차’에서 불평등이 매우
심각하며 일억총중류사회가 붕괴되었다고 주장(橘木俊詔, 1998)
• 그러나 오타케 교수는 그의 주장이 연금을 포함하지 않은 당초소득에
기초한 것이며, 국제적으로 일관된 비교를 해보면 일본의 불평등은
심각하지 않다고 비판(大竹文雄, 2005)
• 특히 오타케 등의 연구는 1984-1999년 사이 불평등 변화의 MLD 분해를
통해 고령화가 불평등 악화를 대부분 설명한다고 보고함(内閣府, 2006;
2009), 그러나 조사자료와 데이터 등에 따라 차이도 존재(이강국, 2017)
• 반면 다치바나키 교수 등은 시장소득 불평등이 유럽보다 심각해졌으며
빈곤 문제가 악화되어 빈부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함(橘木俊詔, 2006)
고령화와 소득불평등 변화
•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소득불평등 악화는 고령화 요인이 가장 중요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그 영향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임
• 오타케, 경제재정백서 등의 연구에 따르면 전국소비실태조사의 소득불평등 변화를
집단구성 변화, 집단내 불평등 변화, 집단간 불평등 변화로 분해하면 불평등 심화에
고령화로 인한 집단구성 변화요인의 효과가 가장 컸고 집단내 불평등은 감소
2000년대 이후 임금격차의 확대와 불평등
• 2000년대 이후에는 불황과 구조조정과 2003년 노동시장 규제완화를 배경으로
노동시장에서 임금격차의 확대가 불평등 악화로 이어졌다고 보고됨
• 임금교섭 변화, 성과주의 도입 등으로 임금격차가 확대(宇仁宏幸, 2008)
• 특히 20-30대 청년층 중심으로 비정규직 확대가 격차확대에 중요한
요인이며(菅原,内野,2017), 정부도 1997년 이후 비정규직 확대가 임금격차 확대에
중요한 요인이라 보고(内閣府, 2009)
• 2000년대 이후에는 이로 인해 동일연령집단 내의 격차 확대가 고령화보다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됨(四方 理人, 2013; 山口雅生, 2014))
• 오타케 교수도 1990년대 후반 이후 불황과 남성 고용률 하락, 그리고 비정규직
증가를 50/10 임금격차와 불평등 확대의 요인으로 지적함(Ohtake et al., 2013)
• 2000년대 중반에는 격차확대에 20대와 고령층 세대의 기여도가 커졌지만,
후반에는 하락(小笠原,2017), 또한 기술의 효과는 불확실
山口雅生(2014), 2인이상 세대, 등가소득 사용
2000년대 이후 임금격차의 확대와 불평등
• 2000년대 이후 청년층 등의 비정규직의 확대를 배경으로 동일연령집단 내에서
특히 50/10 임금격차가 뚜렷하게 확대되었음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격차
90년대 후반 이후 비정규직 확대와 비정규직 고용형태
파트타임 임금 비율과 노동조합 조직률
고령화와 최근의 소득불평등 변화
• 2010년대 이후에는 60대 가구 증가가 둔화되고 70대 가구가 증가함
• 60대의 소득불평등이 가장 높으며 70대의 불평등은 개선되어 보다 최근에는
고령화로 인한 불평등 악화는 약화되었고 따라서 전반적으로 불평등이 안정화
일본 정부의 소득재분배 역할
• 소득재분배로 인한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 기준의 지니계수 변화는
선진국들 중 중간 수준
일본 정부의 소득재분배 역할
• 사회복지지출은 90년대 이후 빠르게 증가하여 선진국들 중 중간
수준임 (2018년 OECD평균 20.1%, 2015년 일본 21.9%)
생산가능인구에 대한 소득재분배는 미약
• 고령화로 인해 생산가능인구(15-64세) 집단에 대한 소득재분배 역할은
다른 선진국들보다 작음
고령화와 소득재분배의 한계
• 고령화로 인해 사회복지지출 중에서 노인층을 위한 연금지출과
의료지출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 그 이유
사회복지의 재원에서 세금의 비중이 상승
• 사회복지에서 세금의 역할이 높아져서, 2017년 현재 국세와 지방세 등
세금의 비중이 약 35%를 차지함
일본의 노동시장과 임금격차의 특징
• 앞서 보았듯이 정규직/비정규직 사이의 격차가 크고 비정규직
비중이 2018년 현재 약 37.9%로 증가하여, 최근 이를
개혁하기 위해 노력이 나타남
• 한국과 달리 대기업/중소기업 사이의 임금격차는 작으며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낮음
• 2000년대 이후 역할급 확산으로 연공급의 정도가 한국보다
낮으며, 평균 근속연수는 일본은 약 11년, 한국은 약 6년
• 자영업 비중은 OECD 평균 수준이며 한국보다 크게 낮음
• 오랫동안 노동조합 조직률이 하락하고 협상력이 약화됨
일본의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 한국에 비해 대기업-중소기업 사이의 임금격차는 작음
•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 협조적인 대중소기업 관계를 반영
기능적 소득분배: 임금과 생산성의 변화
• 1990년대 후반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
• 1997년 이후 노동생산성(노동시간당 GDP) 또는 생산가능인구
일인당 GDP 증가율은 미국보다는 낮지만 유럽보다는 높음
• 그러나 임금상승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크게 정체됨
• 임금에 비해 기업의 이윤과 배당 등이 증가했지만 투자는 그만큼
늘지 못하고 최근 현금보유가 크게 늘어남
• 기술변화, 세계화, 노동시장 구조변화, 노동자의 협상력 약화,
기업지배구조와 주주자본주의 강화 등의 여러 요인들
• 포스트케인스주의 임금주도성장 모형에 따르면 일본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은 소비에 악영향을 미쳐 총수요와 성장을
저해함(Lee and Neogi, 2019)
1990년대 후반 이후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 감가상각을 제외한 순노동소득분배율은 덜 하락했지만, 전반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크게 하락해 왔음
• 2000년대 이후 기업의
인건비에 비해 이윤과 배당이
크게 증가함
• 아베노믹스 이후 최근 기업의
현금보유가 크게 늘어남
아베노믹스의 내용과 배경
• 아베노믹스란 무엇인가
1) 양적, 질적 완화 통화정책: 인플레이션 2%를 목표로 2013년 4월부터 2년간
국채매입으로 본원통화를 2배로 증가(연간 6-70조 엔), ETF(1조 엔), REITs(300억 엔) 등,
2014년 10월 국채매입(80조 엔)과 ETF, REITs 매입 확대(3배), 공적연금 주식매입 확대 등
2차 금융완화 실시, 2016년 마이너스금리와 수익률곡선 콘트롤 도입
2) 기동적 재정확장: 2013년 경제재건 위해 10.3조 원 재정지출 증가, 10년 동안 100-
200조엔의 재정지출 확장을 계획
3) 투자촉진을 위한 성장전략: 전력, 의료부문 등의 규제개혁과 개방, 국가전략특구와
법인세 인하 등
• 배경은 버블 붕괴 이후 부채를 줄이는 과정에서 나타난 수요부족으로 20년 이상
지속되는 장기불황과 디플레이션 극복과 경제회복을 위한 요구
• 소극적인 통화정책, 비일관적인 재정정책, 구조개혁의 한계 그리고 고령화 등의 문제,
또한 개헌을 위한 보수우익, 리플레이션파 대두와 함께 2012년 12월 아베 재집권
일본의 본원통화와 정책금리
아베노믹스 2단계와 일억총활약플랜
• 2015년 9월, 아베노믹스 2단계 새로운 3개 화살 발표
: 강한 경제(2020년 명목 GDP 600조엔), 육아지원(2026년 출산율 1.8 목표),
안심할 수 있는 사회보장(2026년 간병이직 제로 등)
• 2016년 5월,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여 50년 후에도 인구 1억을 유지하기
위해 노동개혁과 복지확장을 골자로 한 ‘일억총활약플랜’을 발표:
- 비정규직 처우개선과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법제화, 일하는 방식 개혁과
시간외 근로 규제, 최저임금 3% 인상
- 여성의 취업과 근로의욕 촉진, 고령자와 장애인 취업촉진
- 보육서비스와 간병서비스의 공적인 지원과 확대
• 노동공급, 임금총액 증가, 생산성 상승을 통해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추진하는 새로운 구조개혁과 성장전략
• 2019년 10월 2차 소비세 인상과 함께 현재 보육무상화와 고등교육 무상화를
추진하고 있음
일억총활약플랜의
성장-분배 선순환 메카니즘
아베노믹스의 경제적 성과와 한계
• 장기불황으로부터 일본경제를 회복으로 이끌었고 불평등은 악화되지 않았지만,
실질임금 상승과 소비의 부진으로 기대하는 선순환에는 실패
• 실질 GDP 성장은 약한 회복세를 보이고 노동시장은 크게 개선됨
• 그러나 2014년 초 소비세 인상(5%->8%)으로 경기둔화, 2017년 들어 경기회복이
가속화되었지만 2018년은 소비둔화로 부진
일본의 고용증가와 실업률 하락
아베노믹스의 경제적 성과와 한계
• 엔화의 급격한 절하(달러대비 약 50%)를 배경으로 기업이윤이 빠르게 증가했고
주식시장 활황세가 나타남
일본 기업의 경상이익(금융부문 제외) Nikkei 225 주식시장 지수
인플레이션의 추이와 중앙은행
• 디플레이션은 탈출했지만 2% 인플레이션은 달성은 실패했으며 금융기관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융시장의 중앙은행 의존도가 높아짐
• 비전통적 통화정책과 재정상황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
일본의 소비자물가상승률(%)
아베노믹스와 임금상승의 한계
• 아베 총리와 정부관료들이 수차례 기업들에게 임금인상을 독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계가 큼
• 아베노믹스 이후 6년 중 2년만 실질임금이 상승했고, 올해도 마이너스로 전망
• 여성과 노인 등 저임금 일자리가 많이 생겨났고, 고령화와 함께 정규직의
임금상승은 부진한 반면 비정규직 시간당 임금이 상대적으로 더 상승함
실질임금의 수준은 2012년보다 더 낮음
아베노믹스 이후 고용변화와 비정규직 증가
• 아베노믹스 초기에는 비정규직이 크게 증가했고, 이후 정규직도
증가했지만 비정규직 비율은 더욱 높아짐
4번째 화살, 임금 인상?
• IMF의 소득정책 제언 : 아베노믹스의 4번째 화살로 명목임금 약 5-
10% 인상을 추진해야(IMF, 2016)
• 이를 위한 노사정 합의 추진, 임금인상 기업들에게 대한 세금공제,
혹은 반대의 경우 과세, 공공부문 임금인상, 목표는 재분배가 아니라
인플레의 촉발(목표치 5-10%)
• 최저임금의 인상, 3% 최저임금 인상은 전체 임금 0.5% 인상이
가능하며(Aoyagi, 2016) 2016년 이후 실행됨
• IMF는 Comply or explain 통해 민간부문 임금상승을 소프트타겟으로
삼고 인플레 목표에 맞춰 공공부문 임금인상을 추진하라고 제언
• 정부를 넘어 노동자의 협상력 강화와 시민사회 등의 압력이 필요
• 일본 정부는 ‘일하는 방식의 개혁’ 하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를
2020년부터 실시하기로 함
아베노믹스와 불평등의 변화
• 아베노믹스 이후 최근 수년간 가구소득의 불평등 변화는 미미함
•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은 하락했고 대기업의 이윤과 배당은 크게
증가했으며, 비정규직 비율은 아베노믹스 이전보다 약간 상승
• 2단계 아베노믹스 하에서 복지지출 확대 등의 계획이 제시되었지만,
정부의 세금정책이 역진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됨
: 2014년 소비세 인상 (5%->8%), 2019년 소비세 2차 인상
8->10%)은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커졌음
• 아베노믹스 이후 법인세가 인하되었고, 소득세는 고소득자의 배우자
공제가 부분적으로 축소되었지만 별다른 변동이 없음
• 2015년부터 상속세 공제액을 축소하고 세율을 약간 인상했지만
자산이나 고소득층에 대한 증세는 없어서 재분배기능은 커지지 않음
법인세율과 소비세율의 변화
소득계층별 세금과 사회보험료 부담
• 미국과 유사하게(Saez and Zucman, 2019), 초고소득층의 세금과 사회보험료
부담률이 더욱 낮아서 역진적인 모습을 보임
일본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한국과 일본은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상위 2-9%의 높은 집중도,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급속한 고령화와 심각한 빈곤 문제 등
유사한 점이 많음
• 한국도 고령화가 불평등과 상대적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 연금인상과 노인층 일자리 기회 확대 등
• 일본 정부는 2013년부터 주로 계속고용제 형태로 65세까지
성공적으로 정년연장을 시행했지만, 한국의 정년연장 논의는
임금체계의 개혁과 취약한 노동자의 고용 안정이 없다면 공공부문
등 기득권에게만 도움이 될 우려가 큼
• 고소득층과 자산에 대한 증세, 사회복지와 빈곤층 지원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소득재분배 역할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한국과 일본의 인구(천명)
한국과 일본의 인구 변화(천명)
한국과 일본의 노인부양비율(%)
• 한국이 일본을 쫓아가고 있지만, 고령화의 속도는 더욱 빠르고 이미
출산율은 훨씬 더 낮음(2018년 일본 1.42, 한국 0.98)
일본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양국 모두 임금인상 노력과 취약한 노동자의 협상력 강화가
필요하며, 연공급제도의 개혁과 대중소기업 관계, 동일노동
동일임금 추진은 일본으로부터 배워야
• 아베노믹스의 적극적인 거시경제관리와 최근의 노동개혁과
복지확대의 노력은 한국에도 시사점이 큼
• 적극적인 재정확대와 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이 필요하며, 나아가 경제구조의 진보적인 변화를 고민해야
• 기술변화와 새로운 형태의 고용 확대에 대한 대응도 필요
• 이 모두를 위해 정치의 변화가 필요한데, 한국이 일본보다 더욱
희망적인 상황?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
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
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New Progressive Party of Korea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DaishinSecurities
 
금융.경제이슈(2016.06월)
금융.경제이슈(2016.06월)금융.경제이슈(2016.06월)
금융.경제이슈(2016.06월)Yeojin Choi
 
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
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
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fffs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DaishinSecurities
 
[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
[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
[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sulhoon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DaishinSecurities
 
금융.경제이슈(2015.07월)
금융.경제이슈(2015.07월)금융.경제이슈(2015.07월)
금융.경제이슈(2015.07월)Yeojin Choi
 
금융.경제이슈(2015.06월)
금융.경제이슈(2015.06월)금융.경제이슈(2015.06월)
금융.경제이슈(2015.06월)Yeojin Choi
 
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
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
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New Progressive Party of Korea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DaishinSecurities
 
금융.경제이슈(2015.10월)
금융.경제이슈(2015.10월)금융.경제이슈(2015.10월)
금융.경제이슈(2015.10월)Yeojin Choi
 
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
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
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Youngwon Lee
 
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
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
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fffs
 
금융.경제이슈(2015.04월)
금융.경제이슈(2015.04월)금융.경제이슈(2015.04월)
금융.경제이슈(2015.04월)Yeojin Choi
 
금융.경제이슈(2014.11월)
금융.경제이슈(2014.11월)금융.경제이슈(2014.11월)
금융.경제이슈(2014.11월)Yeojin Choi
 
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Kitchel Park
 
금융.경제이슈(2015.09월)
금융.경제이슈(2015.09월)금융.경제이슈(2015.09월)
금융.경제이슈(2015.09월)Yeojin Choi
 
금융.경제이슈(2014.12월)
금융.경제이슈(2014.12월)금융.경제이슈(2014.12월)
금융.경제이슈(2014.12월)Yeojin Choi
 

What's hot (20)

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
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
20110406 고물가의 원인과 대책(야4당연구소)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305
 
금융.경제이슈(2016.06월)
금융.경제이슈(2016.06월)금융.경제이슈(2016.06월)
금융.경제이슈(2016.06월)
 
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
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
국가 부도위기 막으려면, 재정준칙 빨리 법제화화라 건전재정포럼 8차토론회_20131120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
대신리포트_마켓 브라우저_140421
 
[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
[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
[설훈의원실] 폭증하는 국가부채 대책과 재정정책의 방향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13
 
금융.경제이슈(2015.07월)
금융.경제이슈(2015.07월)금융.경제이슈(2015.07월)
금융.경제이슈(2015.07월)
 
금융.경제이슈(2015.06월)
금융.경제이슈(2015.06월)금융.경제이슈(2015.06월)
금융.경제이슈(2015.06월)
 
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
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
20110215 물가폭등 재벌을 위한 고환율 정책 탓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31206
 
금융.경제이슈(2015.10월)
금융.경제이슈(2015.10월)금융.경제이슈(2015.10월)
금융.경제이슈(2015.10월)
 
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
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
2011년 세계경제 기상도(Two Speed World의 리스크와 기회)
 
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
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
대통령 당선자, 재정 지출 시스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검토하라 건전재정포럼 4차토론회_20121127
 
금융.경제이슈(2015.04월)
금융.경제이슈(2015.04월)금융.경제이슈(2015.04월)
금융.경제이슈(2015.04월)
 
금융.경제이슈(2014.11월)
금융.경제이슈(2014.11월)금융.경제이슈(2014.11월)
금융.경제이슈(2014.11월)
 
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15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금융.경제이슈(2015.09월)
금융.경제이슈(2015.09월)금융.경제이슈(2015.09월)
금융.경제이슈(2015.09월)
 
물가문제 유종일
물가문제 유종일물가문제 유종일
물가문제 유종일
 
금융.경제이슈(2014.12월)
금융.경제이슈(2014.12월)금융.경제이슈(2014.12월)
금융.경제이슈(2014.12월)
 

Similar to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이강국-포럼토론1102.pptx
이강국-포럼토론1102.pptx이강국-포럼토론1102.pptx
이강국-포럼토론1102.pptxKang-Kook Lee
 
Lee minimumwage-snu-0525
Lee minimumwage-snu-0525Lee minimumwage-snu-0525
Lee minimumwage-snu-0525Kang-Kook Lee
 
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
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
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Kang-Kook Lee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welfarestate
 
금융.경제이슈(2015.05월)
금융.경제이슈(2015.05월)금융.경제이슈(2015.05월)
금융.경제이슈(2015.05월)Yeojin Choi
 
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
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
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더불어 삶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Kunwoo Kim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New Progressive Party of Korea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saymi76 lee
 
금융.경제이슈(2014.9월)
금융.경제이슈(2014.9월)금융.경제이슈(2014.9월)
금융.경제이슈(2014.9월)Yeojin Choi
 
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
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
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성엽 한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Gori Communication
 
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
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
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fffs
 
금융.경제이슈(2016.02월)
금융.경제이슈(2016.02월)금융.경제이슈(2016.02월)
금융.경제이슈(2016.02월)Yeojin Choi
 
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
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
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Eun-Ji Kim
 
[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iambaeba1
 

Similar to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20)

이강국-포럼토론1102.pptx
이강국-포럼토론1102.pptx이강국-포럼토론1102.pptx
이강국-포럼토론1102.pptx
 
Lee minimumwage-snu-0525
Lee minimumwage-snu-0525Lee minimumwage-snu-0525
Lee minimumwage-snu-0525
 
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
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
악화되는 세계경제, 각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경제정책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보고서 초고
보고서 초고보고서 초고
보고서 초고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진보신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금융.경제이슈(2015.05월)
금융.경제이슈(2015.05월)금융.경제이슈(2015.05월)
금융.경제이슈(2015.05월)
 
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
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
한국 조세불평등의 역사(2014 10 30)완료_수정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늘릴 여유는 없다 | 2014.02.17
 
P bond 20141118_daewoo_1608066571
P bond 20141118_daewoo_1608066571P bond 20141118_daewoo_1608066571
P bond 20141118_daewoo_1608066571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금융.경제이슈(2014.9월)
금융.경제이슈(2014.9월)금융.경제이슈(2014.9월)
금융.경제이슈(2014.9월)
 
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
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
2014년 9월 경제 금융 이슈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
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
대한민국 복지지출, 과연 올바로 쓰이고 있나 건전재정포럼 11차토론회_20141023
 
금융.경제이슈(2016.02월)
금융.경제이슈(2016.02월)금융.경제이슈(2016.02월)
금융.경제이슈(2016.02월)
 
생계형 자영업
생계형 자영업생계형 자영업
생계형 자영업
 
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
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
캡스톤 디자인 11주차 레포트
 
[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2014] 복지국가-3
[2014] 복지국가-3
 

More from Kang-Kook Lee

lee-infcovid2022.docx
lee-infcovid2022.docxlee-infcovid2022.docx
lee-infcovid2022.docxKang-Kook Le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Kang-Kook Lee
 
불평등과 경제발전
불평등과 경제발전불평등과 경제발전
불평등과 경제발전Kang-Kook Lee
 
Lee piketty-0520-snu
Lee piketty-0520-snuLee piketty-0520-snu
Lee piketty-0520-snuKang-Kook Lee
 
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
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
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Kang-Kook Lee
 

More from Kang-Kook Lee (6)

lee-prosperAI.pptx
lee-prosperAI.pptxlee-prosperAI.pptx
lee-prosperAI.pptx
 
lee-infcovid2022.docx
lee-infcovid2022.docxlee-infcovid2022.docx
lee-infcovid2022.docx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Income-Led Growth of the Moon Government in K...
 
불평등과 경제발전
불평등과 경제발전불평등과 경제발전
불평등과 경제발전
 
Lee piketty-0520-snu
Lee piketty-0520-snuLee piketty-0520-snu
Lee piketty-0520-snu
 
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
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
Income-Led Growth in Korea: Evaluation and Prospects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 1.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보건사회연구원 포용복지포럼 209년 12월 5일 이강국 리쓰메이칸대학교 경제학부
  • 2. 일본의 불평등, 그리고 한국 • 일본의 소득분배 흐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 • 일본의 소득불평등의 변화와 현실, 그리고 그 요인들 : 1990년대는 고령화, 2000년대는 임금격차 확대가 중요한 요인 • 자본과 노동 사이의 기능적 소득분배 : 노동생산성에 비해 임금이 정체되어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 • 아베노믹스와 일본의 불평등 : 아베노믹스의 주요 내용과 평가, 아베노믹스와 불평등의 변화 • 한국에 주는 시사점 : 불평등 구조의 비교, 고령화와 경제구조 변화, 정부의 역할
  • 3. 일본의 소득분배 변화와 현실 • 1990년대 이후 시장소득 분배가 계속 악화되었지만, 재분배 이후의 소득분배는 2000년대 이후 안정적인 모습 • 소득재분배조사와 전국소비실태조사 자료
  • 4. 정부의 소득재분배 효과 • 소득재분배조사에 따르면 사회보험 중심으로 약 35%의 지니계수 감소 효과
  • 5. 일본의 소득분배 변화와 현실 • 국민생활기초조사와 가계조사 자료도 유사한 모습을 보임
  • 6. 자산 등 다른 불평등의 변화 • 버블의 붕괴 이후 부동산 소유의 불평등은 낮아졌지만 금융자산 등의 불평등은 심화됨
  • 7. 일본의 불평등의 국제비교 • 국제적으로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은 선진국들 중 중간수준이며 상대적 빈곤율은 높은 수준
  • 8.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 • LIS자료에 기반하여 추정된 SWIID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시장소득 기준의 불평등은 낮은 편이지만,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은 선진국들 중 중간수준
  • 9. 상위소득 집중도의 국제비교 • 국제적으로 상위 1% 집중도는 낮지만 상위 10% 집중도가 높으며 최근 상승해 왔음, 특히 상위 0.1% 집중도는 낮음 (Moriguchi and Saez, 2008) • 경제의 구조변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세계화 그리고 미국에 비해 낮은 최고경영자 보수 등을 반영
  • 10. 일본의 소득불평등 변화를 둘러싼 논쟁 •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중반 격차사회 논쟁이 나타남 • 1998년 다치바나키 교수는 ‘일본의 경제격차’에서 불평등이 매우 심각하며 일억총중류사회가 붕괴되었다고 주장(橘木俊詔, 1998) • 그러나 오타케 교수는 그의 주장이 연금을 포함하지 않은 당초소득에 기초한 것이며, 국제적으로 일관된 비교를 해보면 일본의 불평등은 심각하지 않다고 비판(大竹文雄, 2005) • 특히 오타케 등의 연구는 1984-1999년 사이 불평등 변화의 MLD 분해를 통해 고령화가 불평등 악화를 대부분 설명한다고 보고함(内閣府, 2006; 2009), 그러나 조사자료와 데이터 등에 따라 차이도 존재(이강국, 2017) • 반면 다치바나키 교수 등은 시장소득 불평등이 유럽보다 심각해졌으며 빈곤 문제가 악화되어 빈부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함(橘木俊詔, 2006)
  • 11. 고령화와 소득불평등 변화 •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소득불평등 악화는 고령화 요인이 가장 중요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그 영향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임 • 오타케, 경제재정백서 등의 연구에 따르면 전국소비실태조사의 소득불평등 변화를 집단구성 변화, 집단내 불평등 변화, 집단간 불평등 변화로 분해하면 불평등 심화에 고령화로 인한 집단구성 변화요인의 효과가 가장 컸고 집단내 불평등은 감소
  • 12. 2000년대 이후 임금격차의 확대와 불평등 • 2000년대 이후에는 불황과 구조조정과 2003년 노동시장 규제완화를 배경으로 노동시장에서 임금격차의 확대가 불평등 악화로 이어졌다고 보고됨 • 임금교섭 변화, 성과주의 도입 등으로 임금격차가 확대(宇仁宏幸, 2008) • 특히 20-30대 청년층 중심으로 비정규직 확대가 격차확대에 중요한 요인이며(菅原,内野,2017), 정부도 1997년 이후 비정규직 확대가 임금격차 확대에 중요한 요인이라 보고(内閣府, 2009) • 2000년대 이후에는 이로 인해 동일연령집단 내의 격차 확대가 고령화보다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됨(四方 理人, 2013; 山口雅生, 2014)) • 오타케 교수도 1990년대 후반 이후 불황과 남성 고용률 하락, 그리고 비정규직 증가를 50/10 임금격차와 불평등 확대의 요인으로 지적함(Ohtake et al., 2013) • 2000년대 중반에는 격차확대에 20대와 고령층 세대의 기여도가 커졌지만, 후반에는 하락(小笠原,2017), 또한 기술의 효과는 불확실
  • 14. 2000년대 이후 임금격차의 확대와 불평등 • 2000년대 이후 청년층 등의 비정규직의 확대를 배경으로 동일연령집단 내에서 특히 50/10 임금격차가 뚜렷하게 확대되었음
  • 16. 90년대 후반 이후 비정규직 확대와 비정규직 고용형태
  • 17. 파트타임 임금 비율과 노동조합 조직률
  • 18. 고령화와 최근의 소득불평등 변화 • 2010년대 이후에는 60대 가구 증가가 둔화되고 70대 가구가 증가함 • 60대의 소득불평등이 가장 높으며 70대의 불평등은 개선되어 보다 최근에는 고령화로 인한 불평등 악화는 약화되었고 따라서 전반적으로 불평등이 안정화
  • 19. 일본 정부의 소득재분배 역할 • 소득재분배로 인한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 기준의 지니계수 변화는 선진국들 중 중간 수준
  • 20. 일본 정부의 소득재분배 역할 • 사회복지지출은 90년대 이후 빠르게 증가하여 선진국들 중 중간 수준임 (2018년 OECD평균 20.1%, 2015년 일본 21.9%)
  • 21. 생산가능인구에 대한 소득재분배는 미약 • 고령화로 인해 생산가능인구(15-64세) 집단에 대한 소득재분배 역할은 다른 선진국들보다 작음
  • 22. 고령화와 소득재분배의 한계 • 고령화로 인해 사회복지지출 중에서 노인층을 위한 연금지출과 의료지출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 그 이유
  • 23. 사회복지의 재원에서 세금의 비중이 상승 • 사회복지에서 세금의 역할이 높아져서, 2017년 현재 국세와 지방세 등 세금의 비중이 약 35%를 차지함
  • 24. 일본의 노동시장과 임금격차의 특징 • 앞서 보았듯이 정규직/비정규직 사이의 격차가 크고 비정규직 비중이 2018년 현재 약 37.9%로 증가하여, 최근 이를 개혁하기 위해 노력이 나타남 • 한국과 달리 대기업/중소기업 사이의 임금격차는 작으며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낮음 • 2000년대 이후 역할급 확산으로 연공급의 정도가 한국보다 낮으며, 평균 근속연수는 일본은 약 11년, 한국은 약 6년 • 자영업 비중은 OECD 평균 수준이며 한국보다 크게 낮음 • 오랫동안 노동조합 조직률이 하락하고 협상력이 약화됨
  • 25. 일본의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 한국에 비해 대기업-중소기업 사이의 임금격차는 작음 •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 협조적인 대중소기업 관계를 반영
  • 26.
  • 27. 기능적 소득분배: 임금과 생산성의 변화 • 1990년대 후반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 • 1997년 이후 노동생산성(노동시간당 GDP) 또는 생산가능인구 일인당 GDP 증가율은 미국보다는 낮지만 유럽보다는 높음 • 그러나 임금상승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크게 정체됨 • 임금에 비해 기업의 이윤과 배당 등이 증가했지만 투자는 그만큼 늘지 못하고 최근 현금보유가 크게 늘어남 • 기술변화, 세계화, 노동시장 구조변화, 노동자의 협상력 약화, 기업지배구조와 주주자본주의 강화 등의 여러 요인들 • 포스트케인스주의 임금주도성장 모형에 따르면 일본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은 소비에 악영향을 미쳐 총수요와 성장을 저해함(Lee and Neogi, 2019)
  • 28.
  • 29. 1990년대 후반 이후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 감가상각을 제외한 순노동소득분배율은 덜 하락했지만, 전반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크게 하락해 왔음
  • 30. • 2000년대 이후 기업의 인건비에 비해 이윤과 배당이 크게 증가함 • 아베노믹스 이후 최근 기업의 현금보유가 크게 늘어남
  • 31. 아베노믹스의 내용과 배경 • 아베노믹스란 무엇인가 1) 양적, 질적 완화 통화정책: 인플레이션 2%를 목표로 2013년 4월부터 2년간 국채매입으로 본원통화를 2배로 증가(연간 6-70조 엔), ETF(1조 엔), REITs(300억 엔) 등, 2014년 10월 국채매입(80조 엔)과 ETF, REITs 매입 확대(3배), 공적연금 주식매입 확대 등 2차 금융완화 실시, 2016년 마이너스금리와 수익률곡선 콘트롤 도입 2) 기동적 재정확장: 2013년 경제재건 위해 10.3조 원 재정지출 증가, 10년 동안 100- 200조엔의 재정지출 확장을 계획 3) 투자촉진을 위한 성장전략: 전력, 의료부문 등의 규제개혁과 개방, 국가전략특구와 법인세 인하 등 • 배경은 버블 붕괴 이후 부채를 줄이는 과정에서 나타난 수요부족으로 20년 이상 지속되는 장기불황과 디플레이션 극복과 경제회복을 위한 요구 • 소극적인 통화정책, 비일관적인 재정정책, 구조개혁의 한계 그리고 고령화 등의 문제, 또한 개헌을 위한 보수우익, 리플레이션파 대두와 함께 2012년 12월 아베 재집권
  • 32.
  • 34. 아베노믹스 2단계와 일억총활약플랜 • 2015년 9월, 아베노믹스 2단계 새로운 3개 화살 발표 : 강한 경제(2020년 명목 GDP 600조엔), 육아지원(2026년 출산율 1.8 목표), 안심할 수 있는 사회보장(2026년 간병이직 제로 등) • 2016년 5월,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여 50년 후에도 인구 1억을 유지하기 위해 노동개혁과 복지확장을 골자로 한 ‘일억총활약플랜’을 발표: - 비정규직 처우개선과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법제화, 일하는 방식 개혁과 시간외 근로 규제, 최저임금 3% 인상 - 여성의 취업과 근로의욕 촉진, 고령자와 장애인 취업촉진 - 보육서비스와 간병서비스의 공적인 지원과 확대 • 노동공급, 임금총액 증가, 생산성 상승을 통해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추진하는 새로운 구조개혁과 성장전략 • 2019년 10월 2차 소비세 인상과 함께 현재 보육무상화와 고등교육 무상화를 추진하고 있음
  • 36. 아베노믹스의 경제적 성과와 한계 • 장기불황으로부터 일본경제를 회복으로 이끌었고 불평등은 악화되지 않았지만, 실질임금 상승과 소비의 부진으로 기대하는 선순환에는 실패 • 실질 GDP 성장은 약한 회복세를 보이고 노동시장은 크게 개선됨 • 그러나 2014년 초 소비세 인상(5%->8%)으로 경기둔화, 2017년 들어 경기회복이 가속화되었지만 2018년은 소비둔화로 부진
  • 37.
  • 39. 아베노믹스의 경제적 성과와 한계 • 엔화의 급격한 절하(달러대비 약 50%)를 배경으로 기업이윤이 빠르게 증가했고 주식시장 활황세가 나타남 일본 기업의 경상이익(금융부문 제외) Nikkei 225 주식시장 지수
  • 40. 인플레이션의 추이와 중앙은행 • 디플레이션은 탈출했지만 2% 인플레이션은 달성은 실패했으며 금융기관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융시장의 중앙은행 의존도가 높아짐 • 비전통적 통화정책과 재정상황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 일본의 소비자물가상승률(%)
  • 41. 아베노믹스와 임금상승의 한계 • 아베 총리와 정부관료들이 수차례 기업들에게 임금인상을 독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계가 큼 • 아베노믹스 이후 6년 중 2년만 실질임금이 상승했고, 올해도 마이너스로 전망 • 여성과 노인 등 저임금 일자리가 많이 생겨났고, 고령화와 함께 정규직의 임금상승은 부진한 반면 비정규직 시간당 임금이 상대적으로 더 상승함
  • 43. 아베노믹스 이후 고용변화와 비정규직 증가 • 아베노믹스 초기에는 비정규직이 크게 증가했고, 이후 정규직도 증가했지만 비정규직 비율은 더욱 높아짐
  • 44. 4번째 화살, 임금 인상? • IMF의 소득정책 제언 : 아베노믹스의 4번째 화살로 명목임금 약 5- 10% 인상을 추진해야(IMF, 2016) • 이를 위한 노사정 합의 추진, 임금인상 기업들에게 대한 세금공제, 혹은 반대의 경우 과세, 공공부문 임금인상, 목표는 재분배가 아니라 인플레의 촉발(목표치 5-10%) • 최저임금의 인상, 3% 최저임금 인상은 전체 임금 0.5% 인상이 가능하며(Aoyagi, 2016) 2016년 이후 실행됨 • IMF는 Comply or explain 통해 민간부문 임금상승을 소프트타겟으로 삼고 인플레 목표에 맞춰 공공부문 임금인상을 추진하라고 제언 • 정부를 넘어 노동자의 협상력 강화와 시민사회 등의 압력이 필요 • 일본 정부는 ‘일하는 방식의 개혁’ 하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를 2020년부터 실시하기로 함
  • 45.
  • 46. 아베노믹스와 불평등의 변화 • 아베노믹스 이후 최근 수년간 가구소득의 불평등 변화는 미미함 •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은 하락했고 대기업의 이윤과 배당은 크게 증가했으며, 비정규직 비율은 아베노믹스 이전보다 약간 상승 • 2단계 아베노믹스 하에서 복지지출 확대 등의 계획이 제시되었지만, 정부의 세금정책이 역진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됨 : 2014년 소비세 인상 (5%->8%), 2019년 소비세 2차 인상 8->10%)은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커졌음 • 아베노믹스 이후 법인세가 인하되었고, 소득세는 고소득자의 배우자 공제가 부분적으로 축소되었지만 별다른 변동이 없음 • 2015년부터 상속세 공제액을 축소하고 세율을 약간 인상했지만 자산이나 고소득층에 대한 증세는 없어서 재분배기능은 커지지 않음
  • 47.
  • 49. 소득계층별 세금과 사회보험료 부담 • 미국과 유사하게(Saez and Zucman, 2019), 초고소득층의 세금과 사회보험료 부담률이 더욱 낮아서 역진적인 모습을 보임
  • 50. 일본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한국과 일본은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상위 2-9%의 높은 집중도,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급속한 고령화와 심각한 빈곤 문제 등 유사한 점이 많음 • 한국도 고령화가 불평등과 상대적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 연금인상과 노인층 일자리 기회 확대 등 • 일본 정부는 2013년부터 주로 계속고용제 형태로 65세까지 성공적으로 정년연장을 시행했지만, 한국의 정년연장 논의는 임금체계의 개혁과 취약한 노동자의 고용 안정이 없다면 공공부문 등 기득권에게만 도움이 될 우려가 큼 • 고소득층과 자산에 대한 증세, 사회복지와 빈곤층 지원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소득재분배 역할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51.
  • 52. 한국과 일본의 인구(천명) 한국과 일본의 인구 변화(천명) 한국과 일본의 노인부양비율(%) • 한국이 일본을 쫓아가고 있지만, 고령화의 속도는 더욱 빠르고 이미 출산율은 훨씬 더 낮음(2018년 일본 1.42, 한국 0.98)
  • 53. 일본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양국 모두 임금인상 노력과 취약한 노동자의 협상력 강화가 필요하며, 연공급제도의 개혁과 대중소기업 관계, 동일노동 동일임금 추진은 일본으로부터 배워야 • 아베노믹스의 적극적인 거시경제관리와 최근의 노동개혁과 복지확대의 노력은 한국에도 시사점이 큼 • 적극적인 재정확대와 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이 필요하며, 나아가 경제구조의 진보적인 변화를 고민해야 • 기술변화와 새로운 형태의 고용 확대에 대한 대응도 필요 • 이 모두를 위해 정치의 변화가 필요한데, 한국이 일본보다 더욱 희망적인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