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omputers in
Human Behavior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유현진
x 2015 Spr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Year SCI Impact Factor: 3.047 (2013)
Computers in Human Behavior
제목
1 Correlates of Facebook usage patt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Facebook use, social anxiety symptoms, and brooding
2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self-efficacy and sources of Internet self-efficacy among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3 Visualisation of student learning model in serious games
4 Personality and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5 Learning and navigating in hypertext: Navigational support by hierarchical menu or tag cloud?
6 The effect of multitasking on time perception, enjoyment, and ad evaluation
7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8 Online social networks for health behaviour change: Designing to increase socialization
9 Photo-messaging: Adopter attributes, technology factors and use motives
10 Browse to search, visualize to explore: Who needs an alternative information retrieving model?
11 Text-based communication influences self-esteem more than face-to-face or cellphone communication
12 The post-purchas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supporting online impulse buying
13 Social media and online health services: A health empowerment perspective to online health information
14 “TV no longer commands our full attention”: Effects of second-screen viewing and task relevance on cognitive load and learning from news
15 Reducing the influence of framing on internet consumers’ decisions: The role of elaboration
16
Informational social support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ctors contributing to healthy eating
behavior
17 Out of sight is not out of mind: The impact of restricting wireless mobile device use on anxiety levels among low, moderate and high users
18 Understanding the motivation to use web portals
19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20 Audience design in Twitter: Retweeting behavior between informational value and followers’ interests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컴퓨터 사용 분석
인간 발달, 학습, 인지, 성격, 사회적 인터랙션 측면에서 컴퓨터 활용의 심리학적 효과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SNS과 성격, 심리
e-learning 학습 효과
• Facebook의 사용과 사회적 불안 증상
• Facebook/Twitter의 글과 성격간의 상관관계 분석
• LBS SNS와 성격
• SNS에서의 왕따
정보 추구 동기 • 정보 추출 모델링
• 트위터에서 리트윗을 하는 행위에 대한 동기 분석
• 헬스 인포메이션 정보 찾기 서포트
•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동기 요인
• 시리어스 게임을 활용한 이러닝 학습 방식 모델링
• 청소년을 위한 이러닝 학습 환경 모델링
• 아이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이러닝 학습 효율 증진 요소
인지 방식 • 세컨드 스크린을 활용할 때의 인지적 부담
•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비게이션에 대한 멘탈모델
(계층구조vs.태크 클라우드)
30
40
20
5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SNS과 성격, 심리
e-learning 학습 효과
• Facebook의 사용과 사회적 불안 증상
사용시간-콘텐츠 생산 개수
정보 추구 동기 •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동기 요인
정보 교환 동기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측정(정성, 정량적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이러닝 학습 환경 모델링
청소년 학습에 관련한 요소별 점수화, 효율성 통계 분석
인지 방식 •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비게이션에 대한 멘탈모델
(계층구조vs.태크 클라우드)
학습 효율 아이트래킹, 학습 시간 측정값 등을 통계처리 분석
정성적 연구보다는
정량적 연구
연구방법 중심
심리학적, 내적인 문제를 다루면서도
정량적 연구, 통계적으로 접근함
정성적 연구보다는
정량적 연구
연구방법 중심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SNS과 성격, 심리
e-learning 학습 효과
• Facebook의 사용과 사회적 불안 증상
사용시간-콘텐츠 생산 개수
정보 추구 동기 •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동기 요인
정보 교환 동기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측정(정성, 정량적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이러닝 학습 환경 모델링
청소년 학습에 관련한 요소별 점수화, 효율성 통계 분석
인지 방식 •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비게이션에 대한 멘탈모델
(계층구조vs.태크 클라우드)
학습 효율 아이트래킹, 학습 시간 측정값 등을 통계처리 분석
심리학적, 내적인 문제를 다루면서도
정량적 연구, 통계적으로 접근함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2014 January)
Christina Matschke a, Johannes Moskaliuk b,, Franziska Bokhorst a, Till Sch mmer c, Ulrike Cress a
a Knowledge Media Research Center, Knowledge Construction Lab, Schleichstrasse 4, 72076 Tuebingen, Germany

b Eberhard-Karls-University Tuebingen, Departement for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and Media Psychology, Schleichstrasse 4,
72076 Tuebingen, Germany c FernUniversit t in Hagen, Cooperative Systems, Universit tsstrasse 1, 58084 Hagen, German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social information space
platform
정보를 읽고, 수정하고, 토론하고, 댓글을 남기는 일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Computers in Human Behavio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온라인 상에서 정보 교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정보 교환 동기를 늘리고, 줄이는 요인들
정보 교환 동기 요인을 분류하는 연구에 대한 개요
<study>
2가지 실증 연구: 동기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봄
- Study 1: 잠재적인 사용자들이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한 중요한 동기 부여 요인 질적 인터뷰 연구
- Study 2: 정보 교환에 참여하게 되는 주관적, 객관적 동기의 척도에 관한 양적 연구
<result>
내적인 동기 부여, 명성 획득, 콘텐츠의 양과 질, 절차의 공정성은 참여 유발 요인
시간과 노력에 대한 요구, 개인적 피드백에 대한 압박감은 참여 저해 요인
Abstrac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 Introduction
협력을 통한 학습과 지식의 구축에 있어 정보 교환은 중요한 역할.
정보 교환 자체로는 의미가 없지만, 정보 교환 이후 발생하는 지식 창출 측면에서 중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정보 교환은 이상적으로 일어나는 편
특수 플랫폼, 포럼, 커뮤니티의 정보 교환을 일반화하기 위해 ‘social information space’ 플랫폼 사용:
온라인 상에서의 정보 교환 행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 교환 동기 요인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동기 측정
social information space
platform
정보를 읽고, 수정하고, 토론하고, 댓글을 남기는 일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 Introduction
기존 연구의 한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지식 교환 동기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지는 않음.
- 실험실 내에서 통제된 조건 하에 실험 진행: 기타 상황적 맥락이 반영되지 않음
- 필드에서 진행된 실험을 보면, 연관성 높은 제한된 수의 동기 요인만 언급하고 있음. 기타 복잡한 상황이 많기 때문.
- 대다수의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정보 교환 맥락에 참여할 것을 강요함,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제약이 있었음.
->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실제로 사람들이 정보 교환을 하는지에 관한 동기 부여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함
기존의 연구 확장
1. 실험 참가자들에게 정보 교환에 대해 참여하라는 의무감을 제공하지 않음
2. 관련 있는 동기 부여 요소들 중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게 무엇인지 밝힘
3. 주관적인 셀프 리포팅을 통한 질적 연구, 로그 파일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를 통해 동기 부여 요인을 다방면에서 살펴봄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 Introduction
RQ
1.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동기 요인이 실제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2. ‘Social Information Space’에서 정보 교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은 무엇인가?
3. ‘Social Information Space’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실질적 참여 행동과 그들의 참여를 어떻게 인지하는가?
문헌 연구 내용
동기부여 요인 34가지를 4개로 클러스터링: 환경적, 개인적, 상호적,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방법
규모가 있고, 정보가 집중되지 않은, 비정부조직의 정보 교환 플랫폼 ‘Social Information Space’활용
Study 1. 잠재적인 사용자와 인터뷰, 문헌 연구에서 확인된 요인으로 결과 비교함
Study 2: 플랫폼을 사용하는 동기에 관한 주관적 감정을 수치화시킴
로그 파일을 활용하여 동기에 대한 객관적 분석 진행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 An overview about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사람들의 정보 교환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
- 성격 특성, 자기 표현 욕구, 협동심 등의 요소는 변화하기 힘든 요소
-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할 시, 최적의 정보 교환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만들 수 없음
- 때문에, 변화가능한 동기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 진행
- 기존 문헌 연구에서 알 수 있는 36개 요인들을 4가지 유형으로 나눔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1 Environmental factors
Qunatity of Content/Quality of Content:
새로운 사용자가 협력적 기술에 engage되는 중요한 동기
유발 요인
사용성, 안정성, 보안성, 프라이버시, 투명성, 법적 권리가 명시
심리적인 동기 유발이 일어나기 위한 기반이 됨
Time Requirements/Effort Requirements
-activity: 정보 생성 및 교환 활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지
-traffic: 생성물에 대한 빠른 응답을 받을 수 있는지
structure
잘 구조화되지 못한 정보는 참여 동기 저해
Externeal reinforcement
실증 연구에서는 초점을 맞추고 있진 않지만
외부적 강요도 동기 상승의 주요 요인(보너스를 주거나 하는 것)
익명성에 대한 두가지 견해
1. 정보 교환 동기 낮춤: 누가 나의 정보를 읽을지 확신이 들지 않음
2. 정보 교환 동기 높임: 모두다 동일한 사람이라고 가정
식별가능성
사용자들이 그 생성물의 저자를 알 수 있어야 한다
미래에 대한 전망
커뮤니티가 곧 문을 닫을 예정인가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2 Personal Factors
변화할 수 없는 고정된 성격 특성 대신에, 변화가능한 개인적 특성이 정보 교환에 영향을 미침
understand the information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 그 정보를 충분히 알고 소통할 수 있어야함
ex. 초등학생에게 근의 공식 설명하기
description difficulties
지식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정보 교환이 어려움
ex. 언어상의 문제
internal motivation
주제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정보 교환의 동기가 일어남
ex. 게임 커뮤니티에서 화장품 관련 정보 교환
self efficacy expectation
내가 효과적인 정보 생성물을 만들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
ex. 댓글 수가 200이 넘는 포스팅을 할 수 있다는 기대
Tool Competence
특정 도구 혹은 유사한 도구에 관련한 경험의 유무
ex. java 관련 정보 공유시 관련 프로그램 사용 경험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Interpersonal factors
direct contact
정보 교환을 하기 쉬워야 함
ex. 정보 전달 과정 자체가 길고 복잡한 경우
interpersonal trust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때의 상호간 신뢰
ex. 중고나라 정보 교환
fear of exploitation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서의 착취에 대한 두려움
ex. 중고나라 사기에 대한 두려움
reciprocity expectation
정보 교환을 통한 win-win 기대
ex. 학회, 포럼 등
fear of the loss of knowledge advantage
정보에서 이익을 얻을 수 없다는 두려움
privilege in information
정보가 주는 특혜
ex. 주식시장
fear of losing face
체면을 구길 수 있다는 두려움
gain of prestige
명성을 얻을 수 있음
ex. 대표 연설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 Socio-cultural factors
group identification
knowlege perceived as organizational good
내가 그룹에 속해있다는 소속감과
정보가 그룹에 유용하다고 인지하는 것
knowlege awareness
상대방이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앎
guidelines for contributions
정보를 생성하는 가이드라인
ex. 형식에 맞춰서 작성하는 폼
organizational culture to exchange info
정보를 교환하는 조직 문화
expectation of others’ cooperativeness
collective efficacy expectation
다른 사람의 협력에 대한 기대
instrumentality for organizational goals
정보교환 플랫폼이 조직적 목표에 유용하다는 생각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 Two empirical studies investigating motivational factors of participation
Study 1
- EKD멤버 16명 대상 구조화된 인터뷰
- Social Information Space가 런칭되기 이전에, 평소에
읽을거리 등록, 편집하기, 수정하기, 토론하기 및 댓글달기와
같은 활동의 동기 요인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
- 인터뷰에서 많이 언급된 동기유발 요인을 카운팅
Study2
- 첫번째 스터디 이후 9개월이 지난 뒤 시행
- Social Information Space 런칭된 이후, 2000명 이상의 유
저 확보를 위해 충분한 시간이 지난 뒤 시행함
- EKD멤버 128명 대상으로 동기 요인의 주관적 척도, 객관적
척도 온라인으로 실험
대상
- Evangelische Kirche in
Deutschland 멤버 (EKD,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 EKD는 규모가 있고, 정보가 집중되
지 않은 비정부기구
- 스텝 멤버가 25만명 staff members
100만명의 자원봉사자들 보유
- 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religious
teachings, social 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1 Study 1 _ Method
EKD 멤버 중 2그룹
1) Focus group 1: 스탭 멤버
2) Focus group 2: EKD 연수생
Group1은 6명의 스탭으로 구성(여성 1, 남성 5, 30~40대:1명, 50~60대: 5명)
Group2는 10명의 연수생으로 구성(여성 4, 남성 6, 25~35세:10명)
프라이버시 이슈가 중요하기 때문에, 나이를 제외한 데모그라픽 데이터 수집하지 않음
Social Information Spaces
웹2.0 인터넷 툴이라고 소개됨. EKD멤버들 간, 각 필드간 전문가와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인터뷰 대상자들은 잠재적인 플랫폼 유저.
읽을거리 등록, 댓글 달기, 수정하기 등등의 활동에 대한 동기 유발 요인에 대한 구조화 인터뷰 진행
인터뷰 내용은 Table 1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함.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2 Study 1 _ Results and discussion
Environmental factors
1. 콘텐츠의 수
2. 사용성
3. 시간
Personal factors
1. 내적 관심
2. 자기 효능감
3. 도구 숙련도
Interpersonal factors
1. 정보교환가치
2. 명성
3. 체면
Socio-cultural factors
1. 타인의 협력 기대
3. 지식 인식
기타 - 다른 사람의 피드백
- 직급이나 등급
- 절차의 공정성
언급되지 않은 요인 제외하고
그 외 언급된 3가지 동기 요인 포함해서 Study 2 진행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2.1 Study 2 _ Method
EKD의 ‘Social Information Space’에 등록된 유저들 128명 (여성 43, 남성 83, 평균 41~50세)
스텝 66명, 연수생 중 지원자 60명, 2명은 중도포기
온라인 실험 진행
- 주관적인 측정: 글 올리기, 수정, 토론하기, 코멘트 남기는 행위에 대해서 7점 척도 점수화(1=전혀안함, 7=많이함)
(M=2.09, SD=1.47)
- 객관적인 측정: 로그 파일 기반으로 활동 공유 수, 협력적 액티비티, 수동적 액티비티
- 공유 (M=2.09, SD=1.47)
- 협력적 활동(M=1.29, SD=13.46) : 정보 수정하기, 토론하기, 코멘트 남기기
- 수동적 활동(M=8.5, SD=24.6): 로그인 날 기반으로 아무런 활동 없음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2.1 Study 2 _ Results and discussion
EKD의
주관적 참여 동기와 객관적인 참여 동기(공유, 협력적 활동)간의 상관성 분석
주관적인 참여 동기가 협력적인 활동 동기와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남
이처럼, 주관적 참여 동기가 항상 협력 동기로 나타나는 것은 아님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2.1 Study 2 _ Results and discussion
3가지 새로운 요인(다른 사람의 피드백, 직급/등급, 절차의 공정성)
절차적 공정석은 참여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사람이 어떤 피드백을 줄 것인지에 대한 두려움은 참여와 별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플랫폼 내에서의 직급이나 등급은 study2에서 주요한 동기 요인으로 적용되지는 못함
결론
- 정보 교환 동기 요인은, 개인적인 정보 교환활동에서는 유효하지만 협력적 활동에서는 유효하지 않음
- 참여 동기 요인은 주관적 측정, 객관적 측정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주관적 참여 동기와 협력적인 참여 동기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다른 패턴이 나타나는 것은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을 조합해서
분석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임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 Conclusion
4.1 1. 언급된 34가지 동기 요인이 실제 상황에서도 자발적으로 참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
문헌연구에서 조사된 34가지 정보 교환 동기 요인에서 빠진 것이 있을 수 있다.
‘Social Information Space’플랫폼을 사용하는 상황, 맥락이 다를 수 있고, 사용자 군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집단, 필드 등에서 동기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동기가 적은 사람은 실험에 참여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동기 유발 저해 요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 Conclusion
4.1 2. ‘Social Information Space’에서 정보 교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은 무엇인가?
정보 교환 동기 유발 요소
내적인 동기 유발 (내적 관심에 의해)
정보의 질과 양이 좋은 경우
정보 교환 동기 저해 요소
정보 교환 참여 비용이 큰 경우(시간과 비용)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을 설계할 때
디자인 임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 Conclusion
4.1 3. ‘Social Information Space’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실질적 참여 행동과 그들의 참여를 어떻게 인지하는가?
3번째 연구문제는 방법론적인 것이었음.
내적으로 벌어지는 ‘동기’에 관한 이슈를 주관적 수치화/객관적 수치화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인가의 문제
사람들은 실제로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자신을 더 활동적이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음.
주관적인 참여 7점 스케일 평가에서, 위의 내용이 영향을 미쳤을 것.
이후 연구에 있어서는 주관적/객관적 수치화 기준에 있어서 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할 것.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실험참가자의 대표성 문제 :
Study1에서는 EKD 연수생이었고, Study2에서는 실질적인 플랫폼 이용자였음.
Study1에서는 정보교환 상황을 ‘가정’만 한 것이었기에, 둘 사이에 정보 교환 동기는 다를 수 있음.
정성적+정량적 방법을 통한 누락된 정보 보완 문제:
Study1에서는 정성적+ Study 2에서는 정량적 방식을 사용하긴 했으나
Study2에서 로그데이터 분석에서 누락된 맥락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지 못한 것 아쉬움
실험 방법론에서의 구체적인 정보:
데이터 수집 기간, 실험참가자 표집 근거 등등, 그룹 분류 기준 등이 명시되지 못함
Computers in Human Behavior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현재 정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현재 정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Han Woo PARK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Han Woo PARK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Han Woo PARK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Han Woo PARK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소셜러닝(Social learning)소셜러닝(Social learning)
소셜러닝(Social learning)
SeokWon Yoo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Chulho Choi
 
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
kang Anthony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MinryungSong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인식 유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YoungSik Jeong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Becky Kim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Kyubok Cho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arpark
 
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
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
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
yoonjungwon
 
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
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
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
Jay Cho
 
정보탐색과 특강 Ver1.5
정보탐색과 특강 Ver1.5정보탐색과 특강 Ver1.5
정보탐색과 특강 Ver1.5
진호 안
 
피알세미나 정리본
피알세미나 정리본피알세미나 정리본
피알세미나 정리본suy_lee
 

Similar to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2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소셜러닝(Social learning)소셜러닝(Social learning)
소셜러닝(Social learning)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방송문화연구_2013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일본문부과학성(2023) 생성AI 가이드라인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
 
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
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
Trust in product review blogs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popularity
 
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
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
성공적인 공공기관 페이스북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 및 성공 사례
 
정보탐색과 특강 Ver1.5
정보탐색과 특강 Ver1.5정보탐색과 특강 Ver1.5
정보탐색과 특강 Ver1.5
 
피알세미나 정리본
피알세미나 정리본피알세미나 정리본
피알세미나 정리본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 1. Computers in Human Behavior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유현진 x 2015 Spring
  • 2. Computers in Human Behavio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Year SCI Impact Factor: 3.047 (2013)
  • 3. Computers in Human Behavior 제목 1 Correlates of Facebook usage patt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Facebook use, social anxiety symptoms, and brooding 2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self-efficacy and sources of Internet self-efficacy among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3 Visualisation of student learning model in serious games 4 Personality and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5 Learning and navigating in hypertext: Navigational support by hierarchical menu or tag cloud? 6 The effect of multitasking on time perception, enjoyment, and ad evaluation 7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8 Online social networks for health behaviour change: Designing to increase socialization 9 Photo-messaging: Adopter attributes, technology factors and use motives 10 Browse to search, visualize to explore: Who needs an alternative information retrieving model? 11 Text-based communication influences self-esteem more than face-to-face or cellphone communication 12 The post-purchas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supporting online impulse buying 13 Social media and online health services: A health empowerment perspective to online health information 14 “TV no longer commands our full attention”: Effects of second-screen viewing and task relevance on cognitive load and learning from news 15 Reducing the influence of framing on internet consumers’ decisions: The role of elaboration 16 Informational social support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ctors contributing to healthy eating behavior 17 Out of sight is not out of mind: The impact of restricting wireless mobile device use on anxiety levels among low, moderate and high users 18 Understanding the motivation to use web portals 19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20 Audience design in Twitter: Retweeting behavior between informational value and followers’ interests
  • 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컴퓨터 사용 분석 인간 발달, 학습, 인지, 성격, 사회적 인터랙션 측면에서 컴퓨터 활용의 심리학적 효과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SNS과 성격, 심리 e-learning 학습 효과 • Facebook의 사용과 사회적 불안 증상 • Facebook/Twitter의 글과 성격간의 상관관계 분석 • LBS SNS와 성격 • SNS에서의 왕따 정보 추구 동기 • 정보 추출 모델링 • 트위터에서 리트윗을 하는 행위에 대한 동기 분석 • 헬스 인포메이션 정보 찾기 서포트 •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동기 요인 • 시리어스 게임을 활용한 이러닝 학습 방식 모델링 • 청소년을 위한 이러닝 학습 환경 모델링 • 아이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이러닝 학습 효율 증진 요소 인지 방식 • 세컨드 스크린을 활용할 때의 인지적 부담 •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비게이션에 대한 멘탈모델 (계층구조vs.태크 클라우드) 30 40 20 5
  • 5.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SNS과 성격, 심리 e-learning 학습 효과 • Facebook의 사용과 사회적 불안 증상 사용시간-콘텐츠 생산 개수 정보 추구 동기 •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동기 요인 정보 교환 동기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측정(정성, 정량적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이러닝 학습 환경 모델링 청소년 학습에 관련한 요소별 점수화, 효율성 통계 분석 인지 방식 •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비게이션에 대한 멘탈모델 (계층구조vs.태크 클라우드) 학습 효율 아이트래킹, 학습 시간 측정값 등을 통계처리 분석 정성적 연구보다는 정량적 연구 연구방법 중심 심리학적, 내적인 문제를 다루면서도 정량적 연구, 통계적으로 접근함
  • 6. 정성적 연구보다는 정량적 연구 연구방법 중심 Computers in Human Behavior Journal SNS과 성격, 심리 e-learning 학습 효과 • Facebook의 사용과 사회적 불안 증상 사용시간-콘텐츠 생산 개수 정보 추구 동기 •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교환 동기 요인 정보 교환 동기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측정(정성, 정량적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이러닝 학습 환경 모델링 청소년 학습에 관련한 요소별 점수화, 효율성 통계 분석 인지 방식 •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네비게이션에 대한 멘탈모델 (계층구조vs.태크 클라우드) 학습 효율 아이트래킹, 학습 시간 측정값 등을 통계처리 분석 심리학적, 내적인 문제를 다루면서도 정량적 연구, 통계적으로 접근함
  • 7.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2014 January) Christina Matschke a, Johannes Moskaliuk b,, Franziska Bokhorst a, Till Sch mmer c, Ulrike Cress a a Knowledge Media Research Center, Knowledge Construction Lab, Schleichstrasse 4, 72076 Tuebingen, Germany
 b Eberhard-Karls-University Tuebingen, Departement for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and Media Psychology, Schleichstrasse 4, 72076 Tuebingen, Germany c FernUniversit t in Hagen, Cooperative Systems, Universit tsstrasse 1, 58084 Hagen, German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8.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in social information spaces social information space platform 정보를 읽고, 수정하고, 토론하고, 댓글을 남기는 일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9. Computers in Human Behavior 온라인 상에서 정보 교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정보 교환 동기를 늘리고, 줄이는 요인들 정보 교환 동기 요인을 분류하는 연구에 대한 개요 <study> 2가지 실증 연구: 동기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봄 - Study 1: 잠재적인 사용자들이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한 중요한 동기 부여 요인 질적 인터뷰 연구 - Study 2: 정보 교환에 참여하게 되는 주관적, 객관적 동기의 척도에 관한 양적 연구 <result> 내적인 동기 부여, 명성 획득, 콘텐츠의 양과 질, 절차의 공정성은 참여 유발 요인 시간과 노력에 대한 요구, 개인적 피드백에 대한 압박감은 참여 저해 요인 Abstract
  • 10.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 Introduction 협력을 통한 학습과 지식의 구축에 있어 정보 교환은 중요한 역할. 정보 교환 자체로는 의미가 없지만, 정보 교환 이후 발생하는 지식 창출 측면에서 중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정보 교환은 이상적으로 일어나는 편 특수 플랫폼, 포럼, 커뮤니티의 정보 교환을 일반화하기 위해 ‘social information space’ 플랫폼 사용: 온라인 상에서의 정보 교환 행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 교환 동기 요인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동기 측정 social information space platform 정보를 읽고, 수정하고, 토론하고, 댓글을 남기는 일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
  • 11.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 Introduction 기존 연구의 한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지식 교환 동기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지는 않음. - 실험실 내에서 통제된 조건 하에 실험 진행: 기타 상황적 맥락이 반영되지 않음 - 필드에서 진행된 실험을 보면, 연관성 높은 제한된 수의 동기 요인만 언급하고 있음. 기타 복잡한 상황이 많기 때문. - 대다수의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정보 교환 맥락에 참여할 것을 강요함,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제약이 있었음. ->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실제로 사람들이 정보 교환을 하는지에 관한 동기 부여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함 기존의 연구 확장 1. 실험 참가자들에게 정보 교환에 대해 참여하라는 의무감을 제공하지 않음 2. 관련 있는 동기 부여 요소들 중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게 무엇인지 밝힘 3. 주관적인 셀프 리포팅을 통한 질적 연구, 로그 파일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를 통해 동기 부여 요인을 다방면에서 살펴봄
  • 12.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 Introduction RQ 1.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동기 요인이 실제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2. ‘Social Information Space’에서 정보 교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은 무엇인가? 3. ‘Social Information Space’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실질적 참여 행동과 그들의 참여를 어떻게 인지하는가? 문헌 연구 내용 동기부여 요인 34가지를 4개로 클러스터링: 환경적, 개인적, 상호적,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방법 규모가 있고, 정보가 집중되지 않은, 비정부조직의 정보 교환 플랫폼 ‘Social Information Space’활용 Study 1. 잠재적인 사용자와 인터뷰, 문헌 연구에서 확인된 요인으로 결과 비교함 Study 2: 플랫폼을 사용하는 동기에 관한 주관적 감정을 수치화시킴 로그 파일을 활용하여 동기에 대한 객관적 분석 진행
  • 13.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 An overview about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사람들의 정보 교환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 - 성격 특성, 자기 표현 욕구, 협동심 등의 요소는 변화하기 힘든 요소 -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할 시, 최적의 정보 교환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만들 수 없음 - 때문에, 변화가능한 동기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 진행 - 기존 문헌 연구에서 알 수 있는 36개 요인들을 4가지 유형으로 나눔
  • 14.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1 Environmental factors Qunatity of Content/Quality of Content: 새로운 사용자가 협력적 기술에 engage되는 중요한 동기 유발 요인 사용성, 안정성, 보안성, 프라이버시, 투명성, 법적 권리가 명시 심리적인 동기 유발이 일어나기 위한 기반이 됨 Time Requirements/Effort Requirements -activity: 정보 생성 및 교환 활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지 -traffic: 생성물에 대한 빠른 응답을 받을 수 있는지 structure 잘 구조화되지 못한 정보는 참여 동기 저해 Externeal reinforcement 실증 연구에서는 초점을 맞추고 있진 않지만 외부적 강요도 동기 상승의 주요 요인(보너스를 주거나 하는 것) 익명성에 대한 두가지 견해 1. 정보 교환 동기 낮춤: 누가 나의 정보를 읽을지 확신이 들지 않음 2. 정보 교환 동기 높임: 모두다 동일한 사람이라고 가정 식별가능성 사용자들이 그 생성물의 저자를 알 수 있어야 한다 미래에 대한 전망 커뮤니티가 곧 문을 닫을 예정인가
  • 15.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2 Personal Factors 변화할 수 없는 고정된 성격 특성 대신에, 변화가능한 개인적 특성이 정보 교환에 영향을 미침 understand the information 사회적 정보 공간에서 그 정보를 충분히 알고 소통할 수 있어야함 ex. 초등학생에게 근의 공식 설명하기 description difficulties 지식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정보 교환이 어려움 ex. 언어상의 문제 internal motivation 주제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정보 교환의 동기가 일어남 ex. 게임 커뮤니티에서 화장품 관련 정보 교환 self efficacy expectation 내가 효과적인 정보 생성물을 만들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 ex. 댓글 수가 200이 넘는 포스팅을 할 수 있다는 기대 Tool Competence 특정 도구 혹은 유사한 도구에 관련한 경험의 유무 ex. java 관련 정보 공유시 관련 프로그램 사용 경험
  • 16.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Interpersonal factors direct contact 정보 교환을 하기 쉬워야 함 ex. 정보 전달 과정 자체가 길고 복잡한 경우 interpersonal trust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때의 상호간 신뢰 ex. 중고나라 정보 교환 fear of exploitation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서의 착취에 대한 두려움 ex. 중고나라 사기에 대한 두려움 reciprocity expectation 정보 교환을 통한 win-win 기대 ex. 학회, 포럼 등 fear of the loss of knowledge advantage 정보에서 이익을 얻을 수 없다는 두려움 privilege in information 정보가 주는 특혜 ex. 주식시장 fear of losing face 체면을 구길 수 있다는 두려움 gain of prestige 명성을 얻을 수 있음 ex. 대표 연설
  • 17.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 Socio-cultural factors group identification knowlege perceived as organizational good 내가 그룹에 속해있다는 소속감과 정보가 그룹에 유용하다고 인지하는 것 knowlege awareness 상대방이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앎 guidelines for contributions 정보를 생성하는 가이드라인 ex. 형식에 맞춰서 작성하는 폼 organizational culture to exchange info 정보를 교환하는 조직 문화 expectation of others’ cooperativeness collective efficacy expectation 다른 사람의 협력에 대한 기대 instrumentality for organizational goals 정보교환 플랫폼이 조직적 목표에 유용하다는 생각
  • 18.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 Two empirical studies investigating motivational factors of participation Study 1 - EKD멤버 16명 대상 구조화된 인터뷰 - Social Information Space가 런칭되기 이전에, 평소에 읽을거리 등록, 편집하기, 수정하기, 토론하기 및 댓글달기와 같은 활동의 동기 요인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 - 인터뷰에서 많이 언급된 동기유발 요인을 카운팅 Study2 - 첫번째 스터디 이후 9개월이 지난 뒤 시행 - Social Information Space 런칭된 이후, 2000명 이상의 유 저 확보를 위해 충분한 시간이 지난 뒤 시행함 - EKD멤버 128명 대상으로 동기 요인의 주관적 척도, 객관적 척도 온라인으로 실험 대상 - Evangelische Kirche in Deutschland 멤버 (EKD,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 EKD는 규모가 있고, 정보가 집중되 지 않은 비정부기구 - 스텝 멤버가 25만명 staff members 100만명의 자원봉사자들 보유 - 이들의 주요 관심사는 religious teachings, social work
  • 19.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1 Study 1 _ Method EKD 멤버 중 2그룹 1) Focus group 1: 스탭 멤버 2) Focus group 2: EKD 연수생 Group1은 6명의 스탭으로 구성(여성 1, 남성 5, 30~40대:1명, 50~60대: 5명) Group2는 10명의 연수생으로 구성(여성 4, 남성 6, 25~35세:10명) 프라이버시 이슈가 중요하기 때문에, 나이를 제외한 데모그라픽 데이터 수집하지 않음 Social Information Spaces 웹2.0 인터넷 툴이라고 소개됨. EKD멤버들 간, 각 필드간 전문가와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인터뷰 대상자들은 잠재적인 플랫폼 유저. 읽을거리 등록, 댓글 달기, 수정하기 등등의 활동에 대한 동기 유발 요인에 대한 구조화 인터뷰 진행 인터뷰 내용은 Table 1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함.
  • 20.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2 Study 1 _ Results and discussion Environmental factors 1. 콘텐츠의 수 2. 사용성 3. 시간 Personal factors 1. 내적 관심 2. 자기 효능감 3. 도구 숙련도 Interpersonal factors 1. 정보교환가치 2. 명성 3. 체면 Socio-cultural factors 1. 타인의 협력 기대 3. 지식 인식 기타 - 다른 사람의 피드백 - 직급이나 등급 - 절차의 공정성 언급되지 않은 요인 제외하고 그 외 언급된 3가지 동기 요인 포함해서 Study 2 진행
  • 21.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2.1 Study 2 _ Method EKD의 ‘Social Information Space’에 등록된 유저들 128명 (여성 43, 남성 83, 평균 41~50세) 스텝 66명, 연수생 중 지원자 60명, 2명은 중도포기 온라인 실험 진행 - 주관적인 측정: 글 올리기, 수정, 토론하기, 코멘트 남기는 행위에 대해서 7점 척도 점수화(1=전혀안함, 7=많이함) (M=2.09, SD=1.47) - 객관적인 측정: 로그 파일 기반으로 활동 공유 수, 협력적 액티비티, 수동적 액티비티 - 공유 (M=2.09, SD=1.47) - 협력적 활동(M=1.29, SD=13.46) : 정보 수정하기, 토론하기, 코멘트 남기기 - 수동적 활동(M=8.5, SD=24.6): 로그인 날 기반으로 아무런 활동 없음
  • 22.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2.1 Study 2 _ Results and discussion EKD의 주관적 참여 동기와 객관적인 참여 동기(공유, 협력적 활동)간의 상관성 분석 주관적인 참여 동기가 협력적인 활동 동기와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남 이처럼, 주관적 참여 동기가 항상 협력 동기로 나타나는 것은 아님
  • 23.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2.1 Study 2 _ Results and discussion 3가지 새로운 요인(다른 사람의 피드백, 직급/등급, 절차의 공정성) 절차적 공정석은 참여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사람이 어떤 피드백을 줄 것인지에 대한 두려움은 참여와 별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플랫폼 내에서의 직급이나 등급은 study2에서 주요한 동기 요인으로 적용되지는 못함 결론 - 정보 교환 동기 요인은, 개인적인 정보 교환활동에서는 유효하지만 협력적 활동에서는 유효하지 않음 - 참여 동기 요인은 주관적 측정, 객관적 측정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주관적 참여 동기와 협력적인 참여 동기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다른 패턴이 나타나는 것은 주관적 동기 측정, 객관적 동기 측정을 조합해서 분석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임
  • 24.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 Conclusion 4.1 1. 언급된 34가지 동기 요인이 실제 상황에서도 자발적으로 참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 문헌연구에서 조사된 34가지 정보 교환 동기 요인에서 빠진 것이 있을 수 있다. ‘Social Information Space’플랫폼을 사용하는 상황, 맥락이 다를 수 있고, 사용자 군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집단, 필드 등에서 동기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동기가 적은 사람은 실험에 참여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동기 유발 저해 요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25.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 Conclusion 4.1 2. ‘Social Information Space’에서 정보 교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은 무엇인가? 정보 교환 동기 유발 요소 내적인 동기 유발 (내적 관심에 의해) 정보의 질과 양이 좋은 경우 정보 교환 동기 저해 요소 정보 교환 참여 비용이 큰 경우(시간과 비용)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을 설계할 때 디자인 임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 26.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 Conclusion 4.1 3. ‘Social Information Space’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실질적 참여 행동과 그들의 참여를 어떻게 인지하는가? 3번째 연구문제는 방법론적인 것이었음. 내적으로 벌어지는 ‘동기’에 관한 이슈를 주관적 수치화/객관적 수치화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인가의 문제 사람들은 실제로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자신을 더 활동적이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음. 주관적인 참여 7점 스케일 평가에서, 위의 내용이 영향을 미쳤을 것. 이후 연구에 있어서는 주관적/객관적 수치화 기준에 있어서 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할 것.
  • 27.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실험참가자의 대표성 문제 : Study1에서는 EKD 연수생이었고, Study2에서는 실질적인 플랫폼 이용자였음. Study1에서는 정보교환 상황을 ‘가정’만 한 것이었기에, 둘 사이에 정보 교환 동기는 다를 수 있음. 정성적+정량적 방법을 통한 누락된 정보 보완 문제: Study1에서는 정성적+ Study 2에서는 정량적 방식을 사용하긴 했으나 Study2에서 로그데이터 분석에서 누락된 맥락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지 못한 것 아쉬움 실험 방법론에서의 구체적인 정보: 데이터 수집 기간, 실험참가자 표집 근거 등등, 그룹 분류 기준 등이 명시되지 못함
  • 28. Computers in Human Behavior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