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6
디지털 인문학(3)
1
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
 프 랑 코 모 레 티 (Franco Moretti) 의 ‘ 멀 리 서
읽기(distant reading)’
 캐 서 린 헤 일 스 (Katherine Hayles) 의 ‘ 기 계
읽기(machine reading)’
 매 튜 자 커 즈 (Matthew Jockers) 의
‘거시분석(macroanalysis)’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Digital Humanities Awards)
 주요 수상작 체험
2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 Franco Moretti (1950~) is an Italian literary historian and
theorist. He has taught at the universities of Salerno (1979–
1983) and Verona (1983–1990); in the US,
at Columbia (1990–2000) and Stanford (2000–2016), where
in 2000 he founded the Center for the Study of the
Novel, and in 2010, with Matthew Jockers, the Stanford
Literary Lab. Moretti has given the Gauss Seminars
at Princeton, the Beckman Lectures at Berkeley, the
Carpenter Lectures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has
been a lecturer and visiting professor in many countries,
including, until the end of 2019, the Digital Humanities
Institute at the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Wikipedia)
• 문학(19C~20C)에 통계학이나 지리학, 진화론과 같은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도입한 정량분석
3
꼼꼼히 읽기 비판 내용
• 엄선된 정전(正典)을 집중적으로 읽고
분석
• 주로 특정 문화권 중심의 작품들을 분
석하여 세계 문학사를 조명
• 분석자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존
• “출판된 문학 가운데 1%도 되지 않는
정전(canon) 중심의 문학 연구가 과연
정당한 것인가?”
• 일부에 불과한 정전에 대한 꼼꼼히 읽
기로는 전체 문학 지형도 파악에 한계
• “더 많이 읽는 게 해답이 될 수 없다.
우리가 읽지 않은 것 중에 위대한 작
품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4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꼼꼼히 읽기
(close reading)
멀리서 읽기
(distant reading)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5
•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을 통해 문학을 이해
• 문학이라는 가장 주관적인 연구 대상을 실증적 방법론으로 접근
• ‘무엇’을 읽을 것인가’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학 텍스트 데이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6
모레티의 대표 저서(1)
• 『멀리서 읽기』, 김용규 옮김, 현암사, 2021
• ‘멀리서 읽기'는 200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텍스트
를 읽지 않는 방법"이라는 의미로 소개
• “Conjectures on world literature”, New Left
review, Vol. 2, No. 1, 2000, pp. 54-68.
• 도발적이고 파격적인 개념은 세계문학 연구에 큰 논
쟁을 불러 일으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7
• 『멀리서 읽기』의 주요 내용
• ‘꼼꼼한 읽기’가 작품 내용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통해 “깊은 이해를 끌어내는 의
미의 층위를 발견하는 읽기
• ‘멀리서 읽기’ 는 “장치와 주제와 비유 혹은 장르와 체계”와 같은 “텍스트보다 훨
씬 작거나 훨씬 큰 단위”에 주목
• ‘멀리서 읽기’개념의 근원적 뿌리
• 러시아 형식주의
• 형식이란 “문학의 반복 가능한 요소”로 간주
• 단일 혹은 여러 텍스트에 일정하게 나타나는 특정 “패턴”을 발견하는 작업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8
• 『멀리서 읽기』의 주요 내용
• ‘멀리서 읽기’의 정량적 분석 방법
• 정량적 분석 방법을 사회 역사에 광범위하게 적용한 프랑스 ‘아날 학파
(Annales School)’에 영향을 받음
• 프랑스 ‘아날 학파‘
• 1929년에 창간된 역사 잡지 <사회경제사 연보>(Annales d’histoire
economique et sociale)를 중심으로 모인 일군의 역사학자 집단을 지칭
(네이버 백과사전)
• 전통사학이 사실주의를 토대로 지나치게 사료에만 집착하는 것을 비판
• 인간의 삶에 관한 모든 학문 분야를 통합해 생활사 중심으로 역사를 기술
하며 1970년대 이후 세계 역사학계의 주류로 자리 잡음
• 정량적 분석 방법은 ‘멀리서 읽기’의 중요한 측면이자 중요한 선례를 차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9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멀리서 읽기』에서 제시한 『햄릿』 등장인물의 소셜 네트워크
10
모레티의 대표 저서(2)
• 『그래프, 지도, 나무』, 이재연 옮김, 문학동네, 2020
• 문학 연구에 정량적 방법을 이용한 특정 패턴의 발견
사례를 자세히 소개
• 문학 분석 모델로 ‘그래프’, ‘지도’, ‘나무’와 같은 다이
어그램을 이용
• 그래프, 지도, 나무는 초거시적 시각을 구성하는
세 개의 축
• 시간, 공간, 시공간에 대한 고민이 반영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1
• 『그래프, 지도, 나무』의 주요 내용
• 그래프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문학사에서의 변화 추이를 보여줌
• 지도는 문학 작품 속 공간을 파악
• 나무 모델은 문학 장르를 계보적으로 제시
• “문학 텍스트 안에서만 개별 작품의 의미, 작품들과 작가의 관계 등을 바라볼 것
이 아니라, 문학 텍스트 밖에서 그것을 바라볼 때 문학 연구자가 완전히 읽어내지
못하는 부분도 포착 가능”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2
• 캐서린 헤일스의 ‘기계 읽기(Machine Reading)’
•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 개념을 확장
• ‘꼼꼼한 읽기’를 통해서는 접근할 수 없는 디지털
화된 방대한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과 같은 텍스트 분석 기술을 활용하
여 정량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
• “기계 독해라는 새로운 형식은 인간이 읽기에는
그 양이 너 무나 큰 문학 말뭉치에 대한 양적 접근
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연구 영역을 열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캐서린 헤일스 (Katherine Hayles, 1943)
미국의 포스트모던 문학평론가
13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의 역할
• “인문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문학이 전통적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의미의 문제들’이 여전히 핵심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기 때
문입니다. 의미의 문제들은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역시 가장 중요합니다. 이렇게 발생 하는 도전에서 뭔가를 얻기 위해서는 인
문학의 실천, 방법, 이론적 토대를 조금씩 바꾸거나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 “기계 독해(machine reading)라는 새로운 형식은, 인간이 다 읽기에는 그 용량
이 너 무나 방대한 문학이라는 대상에 양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하는 완전히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어 젖혔습니다. 이 기계 독해는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 같은 전통적인 실천을 대체하거나 그 것을 폐기하지 않으며, 대신 전
통적인 읽기 실천들을 보충하면서 이런 기술 없이는 접근 불가능 한 새로운
통찰들로 우리를 인도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4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의 역할
• “인문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문학이 전통적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의미의 문제들’이 여전히 핵심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기 때
문입니다. 의미의 문제들은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역시 가장 중요합니다. 이렇게 발생 하는 도전에서 뭔가를 얻기 위해서는 인
문학의 실천, 방법, 이론적 토대를 조금씩 바꾸거나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 “기계 독해(machine reading)라는 새로운 형식은, 인간이 다 읽기에는 그 용량
이 너 무나 방대한 문학이라는 대상에 양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하는 완전히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어 젖혔습니다. 이 기계 독해는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 같은 전통적인 실천을 대체하거나 그 것을 폐기하지 않으며, 대신 전
통적인 읽기 실천들을 보충하면서 이런 기술 없이는 접근 불가능 한 새로운
통찰들로 우리를 인도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5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저는 전통적 인문학이 심화 주의력, 곧 지루함을 쉽게 느끼지 않으면서 특정 대
상에 깊이 집중해 심도 있는 전문적 지식 같은 결과물을 이끌어내는 역량을 기르
게 하는 데 특별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심화 주의력은 인문학에서의
진지한 작업을 위해 필 수적일 뿐 아니라,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포함은 거의 모
든 종류의 작업을 위해서도 없어서는 안되는 인지 능력입니다. 특히 완전히 집중
해 꼼꼼히 읽어내는 능력으로서의 ‘읽기’는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되는 보편적 기
량입니다. 이러한 특정한 읽기 능력으로부터 인문학이 탄생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는 인문학이 해야 할 특별한 역할이 있다고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기계 독해와 같은 [전통적 인문학과는] 다른 방식의 읽기 형식을 가능하게
만 든 디지털 기술은 인문학 뿐 아니라 다른 학문들에서의 연구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장소를 열어 낼 수 있으리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6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전통적인 인문학 교육을 받은 일부 학자들은 디지털 인문학을 하나의 위협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학자들은 수십 년간 세련된 분석 방식을 갈고 닦아온
사람들인데, 갑자기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게 나타나서 이런 전통 방식을 평가절
하하면서 코드화니 프로그래밍 이니 하는 따위의 이질적 방식들로 그것을 대체하
려는 것처럼 보일 법합니다. 그래서 이들이 새로운 경향에 적대적인 느낌을 갖는
걸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제 의견으로는, 이런 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오독입니다. 제가 텍스트 매체 비교연구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싶었던 이유 중 하나는 전통 인문학과 새로운 디지털 방식들 간에 시너지가 발생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7
• 매튜 자커즈의 ‘거시분석(Macroanalysis)’
•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 개념을 확장
• 캐서린 헤일스의 ‘기계 읽기'와 마찬가지로 ‘꼼꼼
한 읽기’를 통해서는 접근할 수 없는 디지털화된
방대한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같은 텍스트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정
량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
• 자커즈는 모레티와 함께 2010년에 스탠퍼드 대학
교에 스탠퍼드 문학 실험실(Stanford Literary Lab)
을 설립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학작품 분석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고 정기적으로 ‘팸플릿’이라
는 이름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매튜 자커즈(Matthew Jockers)
18
• 매튜 자커즈는 디지털 인문학과 문학 텍스트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관련 중요한 저
서들을 발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19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개괄
• 매년 초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발표된 디지
털 인문학 연구 결과물을 대상으로 한 행사
• 시상 후보 등록은 매년 초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
• 등록된 사례에서 시상 후보 지명은 디지털 인
문학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로 구성된 ‘국제
지 명 위 원 회 ’(International Nominations
Committee)의 논의를 거쳐 진행
• 지명된 사례들에 대한 평가는 사용자들의 투
표를 통해 진행
• 투표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20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평가는 왜 사용자들의 투표로 진행되는가?
• 새로운 연구 분야로서 디지털 인문학 자원에 대한 관심을 환기
•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전문 연구자나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 관심을 둔 일반 대중을 대상
으로 한 커뮤니티 참여를 제고
• 독특한 시상 분야
• 10년간 이루어진 시상 분야는 대략 8가지로 정리
• 각각의 분야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근본적 특징을 반영
• 즐거움(Use of DH for Fun)
• 도구(DH Tool or Suite of Tools)
• 시각화(DH Visualization or Infographic)
• 웹 간행(DH blog/Article or Short Publication)
• 대중성(DH Project for Public Audiences)
• 교육(Professional Resources for Learning about or Doing DH Work)
• 실패(Exploration of DH Failure)
• 데이터(DH Dataset)
21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사이트 둘러보기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사이트 살펴보기
• http://dhawards.org/
22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주요 시상 분야에 대한 상세 설명
시상 분야 상세 설명
즐거움(Use of DH for Fun) • 아날로그 인문학의 ‘경직성’을 비판
• ‘재미’와 ‘즐거움’을 강조
• 디지털 인문학의 방향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지표
도구(DH Visualization or Infographic) • 디지털 인문학 연구 수행을 위한 적합한 도구를 개발,
공유한 사례를 시상
•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 개발과 공유가 디지
털 인문학에서 중요한 지점
시각화(DH Visualization or Infographic) • 텍스트 형태의 결과를 보완
• 시각화 구현 결과의 중요성
웹 간행(DH blog/Article or Short Publication) • 인문학 자료나 지식을 블로그와 기사, 단편 간행물 등
웹 자원으로 편찬한 사례를 시상하기 위한 분야
• 인문학 자원의 확장성을 강조
대중성(DH Project for Public Audiences) • 일반 대중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은 사례를 시상하기
위한 분야
• 개인의 전문성에 의존하는 전통적 인문 연구와는 다른
차별적 지점
23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주요 시상 분야에 대한 상세 설명
시상 분야 상세 설명
실패(failure) •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유 또는 연구를 진
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잘 다룬 보고서를 시상
• 결과물 산출에 실패한 이유를 찾고 개선하기 위한 단서
로서의 의미
데이터셋(Dataset) • 잘 구축한 인문학 데이터셋에 대한 시상 분야
• 데이터셋 구축과 공유는 디지털 인문학의 중요한 학술
적 과업
24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 http://dhawards.org/dhawards2020/results/
시상 분야 후보작
BEST DH BLOG POST OR SERIES OF
POSTS
Ticha Project, 2020 Blog Series(winner)외 14편
BEST DH DATA VISUALIZATION COVID19 Cartography(winner) 외 15편
BEST DH DATASET Newspaper Navigator Dataset(winner) 외 15편
BEST DH TOOL OR SUITE OF TOOLS Documentos y colecciones especiales – Red de bibliotecas del
Banco de la República(winner) 외 16편
BEST EXPLORATION OF DH
FAILURE/LIMITATIONS
History, Digitized(winner)외 7편
BEST USE OF DH FOR FUN Climatophosis by Yohanna Joseph Waliya(winner)외 11편
BEST USE OF DH FOR PUBLIC
ENGAGEMENT
The Resemblage Project(winner)외 30편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25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체험
•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중 <조선시대표류기록시각화>(2019)와 <지암일
기 디지털 인문학 연구>(2020)가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분야에 수상
후보로 지명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독편가 Ppt자료
독편가 Ppt자료독편가 Ppt자료
독편가 Ppt자료Jun Hee Lee
 
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Inho Cho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Han Woo PARK
 
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
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
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ssuser2624f71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Baro Kim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Han Woo PARK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Han Woo PARK
 
웹보메트릭스04 2
웹보메트릭스04 2웹보메트릭스04 2
웹보메트릭스04 2Inho Cho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Han Woo PARK
 
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
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
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Baro Kim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Han Woo PARK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Hansung University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Han Woo PARK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MinryungSong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daumfoundation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AlexanderPark28
 
The information flaneur
The information flaneurThe information flaneur
The information flaneurSookyoung Ji
 
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
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
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ssuser4b1f48
 
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KirenKim
 

Similar to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20)

독편가 Ppt자료
독편가 Ppt자료독편가 Ppt자료
독편가 Ppt자료
 
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3 2
 
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
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
디지털인문학 5차시.pptx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3주차 1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4 2
 
웹보메트릭스04 2
웹보메트릭스04 2웹보메트릭스04 2
웹보메트릭스0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0 2
 
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
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
김현 디지털인문학(2014082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1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The information flaneur
The information flaneurThe information flaneur
The information flaneur
 
Library 2.0 1
Library 2.0 1Library 2.0 1
Library 2.0 1
 
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
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
NS-CUK Summer School: Jul 6th, 2023: Digitization of Historical Data: the Ann...
 
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
 

More from ssuser2624f71

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
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
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ssuser2624f71
 
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
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
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ssuser2624f71
 
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
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
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ssuser2624f71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ssuser2624f71
 
디지털인문학9차시.pptx
디지털인문학9차시.pptx디지털인문학9차시.pptx
디지털인문학9차시.pptxssuser2624f71
 
디지털인문학8차시.pptx
디지털인문학8차시.pptx디지털인문학8차시.pptx
디지털인문학8차시.pptxssuser2624f71
 
디지털인문학7차시.pptx
디지털인문학7차시.pptx디지털인문학7차시.pptx
디지털인문학7차시.pptxssuser2624f71
 
디지털인문학6차시.pptx
디지털인문학6차시.pptx디지털인문학6차시.pptx
디지털인문학6차시.pptxssuser2624f71
 
디지털인문학4차시.pptx
디지털인문학4차시.pptx디지털인문학4차시.pptx
디지털인문학4차시.pptxssuser2624f71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ssuser2624f71
 
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
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
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ssuser2624f71
 
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
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
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ssuser2624f71
 

More from ssuser2624f71 (20)

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
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
Vector and Matrix operationsVector and Matrix operations
 
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
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
240219_RNN, LSTM code.pptxdddddddddddddddd
 
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
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
Sparse Graph Attention Networks 2021.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9_9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8_8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7_7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6_6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2_5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1_4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20_3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9_2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
인공지능 로봇 윤리_1218_1차시.pptx
 
디지털인문학9차시.pptx
디지털인문학9차시.pptx디지털인문학9차시.pptx
디지털인문학9차시.pptx
 
디지털인문학8차시.pptx
디지털인문학8차시.pptx디지털인문학8차시.pptx
디지털인문학8차시.pptx
 
디지털인문학7차시.pptx
디지털인문학7차시.pptx디지털인문학7차시.pptx
디지털인문학7차시.pptx
 
디지털인문학6차시.pptx
디지털인문학6차시.pptx디지털인문학6차시.pptx
디지털인문학6차시.pptx
 
디지털인문학4차시.pptx
디지털인문학4차시.pptx디지털인문학4차시.pptx
디지털인문학4차시.pptx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pptx
 
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
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
GraRep: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s with Global Structural Information.pptx
 
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
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
COARFORMER: TRANSFORMER FOR LARGE GRAPH VIA GRAPH COARSENING.pptx
 

디지털인문학3차시.pptx

  • 2. 1 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  프 랑 코 모 레 티 (Franco Moretti) 의 ‘ 멀 리 서 읽기(distant reading)’  캐 서 린 헤 일 스 (Katherine Hayles) 의 ‘ 기 계 읽기(machine reading)’  매 튜 자 커 즈 (Matthew Jockers) 의 ‘거시분석(macroanalysis)’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Digital Humanities Awards)  주요 수상작 체험
  • 3. 2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 Franco Moretti (1950~) is an Italian literary historian and theorist. He has taught at the universities of Salerno (1979– 1983) and Verona (1983–1990); in the US, at Columbia (1990–2000) and Stanford (2000–2016), where in 2000 he founded the Center for the Study of the Novel, and in 2010, with Matthew Jockers, the Stanford Literary Lab. Moretti has given the Gauss Seminars at Princeton, the Beckman Lectures at Berkeley, the Carpenter Lectures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has been a lecturer and visiting professor in many countries, including, until the end of 2019, the Digital Humanities Institute at the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Wikipedia) • 문학(19C~20C)에 통계학이나 지리학, 진화론과 같은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도입한 정량분석
  • 4. 3 꼼꼼히 읽기 비판 내용 • 엄선된 정전(正典)을 집중적으로 읽고 분석 • 주로 특정 문화권 중심의 작품들을 분 석하여 세계 문학사를 조명 • 분석자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존 • “출판된 문학 가운데 1%도 되지 않는 정전(canon) 중심의 문학 연구가 과연 정당한 것인가?” • 일부에 불과한 정전에 대한 꼼꼼히 읽 기로는 전체 문학 지형도 파악에 한계 • “더 많이 읽는 게 해답이 될 수 없다. 우리가 읽지 않은 것 중에 위대한 작 품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5. 4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꼼꼼히 읽기 (close reading) 멀리서 읽기 (distant reading)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6. 5 •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을 통해 문학을 이해 • 문학이라는 가장 주관적인 연구 대상을 실증적 방법론으로 접근 • ‘무엇’을 읽을 것인가’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학 텍스트 데이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7. 6 모레티의 대표 저서(1) • 『멀리서 읽기』, 김용규 옮김, 현암사, 2021 • ‘멀리서 읽기'는 200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텍스트 를 읽지 않는 방법"이라는 의미로 소개 • “Conjectures on world literature”, New Left review, Vol. 2, No. 1, 2000, pp. 54-68. • 도발적이고 파격적인 개념은 세계문학 연구에 큰 논 쟁을 불러 일으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8. 7 • 『멀리서 읽기』의 주요 내용 • ‘꼼꼼한 읽기’가 작품 내용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통해 “깊은 이해를 끌어내는 의 미의 층위를 발견하는 읽기 • ‘멀리서 읽기’ 는 “장치와 주제와 비유 혹은 장르와 체계”와 같은 “텍스트보다 훨 씬 작거나 훨씬 큰 단위”에 주목 • ‘멀리서 읽기’개념의 근원적 뿌리 • 러시아 형식주의 • 형식이란 “문학의 반복 가능한 요소”로 간주 • 단일 혹은 여러 텍스트에 일정하게 나타나는 특정 “패턴”을 발견하는 작업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9. 8 • 『멀리서 읽기』의 주요 내용 • ‘멀리서 읽기’의 정량적 분석 방법 • 정량적 분석 방법을 사회 역사에 광범위하게 적용한 프랑스 ‘아날 학파 (Annales School)’에 영향을 받음 • 프랑스 ‘아날 학파‘ • 1929년에 창간된 역사 잡지 <사회경제사 연보>(Annales d’histoire economique et sociale)를 중심으로 모인 일군의 역사학자 집단을 지칭 (네이버 백과사전) • 전통사학이 사실주의를 토대로 지나치게 사료에만 집착하는 것을 비판 • 인간의 삶에 관한 모든 학문 분야를 통합해 생활사 중심으로 역사를 기술 하며 1970년대 이후 세계 역사학계의 주류로 자리 잡음 • 정량적 분석 방법은 ‘멀리서 읽기’의 중요한 측면이자 중요한 선례를 차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0. 9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멀리서 읽기』에서 제시한 『햄릿』 등장인물의 소셜 네트워크
  • 11. 10 모레티의 대표 저서(2) • 『그래프, 지도, 나무』, 이재연 옮김, 문학동네, 2020 • 문학 연구에 정량적 방법을 이용한 특정 패턴의 발견 사례를 자세히 소개 • 문학 분석 모델로 ‘그래프’, ‘지도’, ‘나무’와 같은 다이 어그램을 이용 • 그래프, 지도, 나무는 초거시적 시각을 구성하는 세 개의 축 • 시간, 공간, 시공간에 대한 고민이 반영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2. 11 • 『그래프, 지도, 나무』의 주요 내용 • 그래프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문학사에서의 변화 추이를 보여줌 • 지도는 문학 작품 속 공간을 파악 • 나무 모델은 문학 장르를 계보적으로 제시 • “문학 텍스트 안에서만 개별 작품의 의미, 작품들과 작가의 관계 등을 바라볼 것 이 아니라, 문학 텍스트 밖에서 그것을 바라볼 때 문학 연구자가 완전히 읽어내지 못하는 부분도 포착 가능”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3. 12 • 캐서린 헤일스의 ‘기계 읽기(Machine Reading)’ •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 개념을 확장 • ‘꼼꼼한 읽기’를 통해서는 접근할 수 없는 디지털 화된 방대한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과 같은 텍스트 분석 기술을 활용하 여 정량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 • “기계 독해라는 새로운 형식은 인간이 읽기에는 그 양이 너 무나 큰 문학 말뭉치에 대한 양적 접근 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연구 영역을 열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캐서린 헤일스 (Katherine Hayles, 1943) 미국의 포스트모던 문학평론가
  • 14. 13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의 역할 • “인문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문학이 전통적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의미의 문제들’이 여전히 핵심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기 때 문입니다. 의미의 문제들은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역시 가장 중요합니다. 이렇게 발생 하는 도전에서 뭔가를 얻기 위해서는 인 문학의 실천, 방법, 이론적 토대를 조금씩 바꾸거나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 “기계 독해(machine reading)라는 새로운 형식은, 인간이 다 읽기에는 그 용량 이 너 무나 방대한 문학이라는 대상에 양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하는 완전히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어 젖혔습니다. 이 기계 독해는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 같은 전통적인 실천을 대체하거나 그 것을 폐기하지 않으며, 대신 전 통적인 읽기 실천들을 보충하면서 이런 기술 없이는 접근 불가능 한 새로운 통찰들로 우리를 인도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5. 14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의 역할 • “인문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문학이 전통적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의미의 문제들’이 여전히 핵심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기 때 문입니다. 의미의 문제들은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역시 가장 중요합니다. 이렇게 발생 하는 도전에서 뭔가를 얻기 위해서는 인 문학의 실천, 방법, 이론적 토대를 조금씩 바꾸거나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 “기계 독해(machine reading)라는 새로운 형식은, 인간이 다 읽기에는 그 용량 이 너 무나 방대한 문학이라는 대상에 양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하는 완전히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어 젖혔습니다. 이 기계 독해는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 같은 전통적인 실천을 대체하거나 그 것을 폐기하지 않으며, 대신 전 통적인 읽기 실천들을 보충하면서 이런 기술 없이는 접근 불가능 한 새로운 통찰들로 우리를 인도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6. 15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저는 전통적 인문학이 심화 주의력, 곧 지루함을 쉽게 느끼지 않으면서 특정 대 상에 깊이 집중해 심도 있는 전문적 지식 같은 결과물을 이끌어내는 역량을 기르 게 하는 데 특별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심화 주의력은 인문학에서의 진지한 작업을 위해 필 수적일 뿐 아니라,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포함은 거의 모 든 종류의 작업을 위해서도 없어서는 안되는 인지 능력입니다. 특히 완전히 집중 해 꼼꼼히 읽어내는 능력으로서의 ‘읽기’는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되는 보편적 기 량입니다. 이러한 특정한 읽기 능력으로부터 인문학이 탄생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는 인문학이 해야 할 특별한 역할이 있다고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기계 독해와 같은 [전통적 인문학과는] 다른 방식의 읽기 형식을 가능하게 만 든 디지털 기술은 인문학 뿐 아니라 다른 학문들에서의 연구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장소를 열어 낼 수 있으리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7. 16 • 온라인 저널 <파이버컬쳐 저널> 23호에 실린 캐서린 헤일스의 인터뷰 주요 내용 • “전통적인 인문학 교육을 받은 일부 학자들은 디지털 인문학을 하나의 위협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학자들은 수십 년간 세련된 분석 방식을 갈고 닦아온 사람들인데, 갑자기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게 나타나서 이런 전통 방식을 평가절 하하면서 코드화니 프로그래밍 이니 하는 따위의 이질적 방식들로 그것을 대체하 려는 것처럼 보일 법합니다. 그래서 이들이 새로운 경향에 적대적인 느낌을 갖는 걸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제 의견으로는, 이런 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오독입니다. 제가 텍스트 매체 비교연구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싶었던 이유 중 하나는 전통 인문학과 새로운 디지털 방식들 간에 시너지가 발생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18. 17 • 매튜 자커즈의 ‘거시분석(Macroanalysis)’ •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 개념을 확장 • 캐서린 헤일스의 ‘기계 읽기'와 마찬가지로 ‘꼼꼼 한 읽기’를 통해서는 접근할 수 없는 디지털화된 방대한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같은 텍스트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정 량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 • 자커즈는 모레티와 함께 2010년에 스탠퍼드 대학 교에 스탠퍼드 문학 실험실(Stanford Literary Lab) 을 설립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학작품 분석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고 정기적으로 ‘팸플릿’이라 는 이름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매튜 자커즈(Matthew Jockers)
  • 19. 18 • 매튜 자커즈는 디지털 인문학과 문학 텍스트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관련 중요한 저 서들을 발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독법(reading)
  • 20. 19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개괄 • 매년 초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발표된 디지 털 인문학 연구 결과물을 대상으로 한 행사 • 시상 후보 등록은 매년 초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 • 등록된 사례에서 시상 후보 지명은 디지털 인 문학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로 구성된 ‘국제 지 명 위 원 회 ’(International Nominations Committee)의 논의를 거쳐 진행 • 지명된 사례들에 대한 평가는 사용자들의 투 표를 통해 진행 • 투표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 21. 20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평가는 왜 사용자들의 투표로 진행되는가? • 새로운 연구 분야로서 디지털 인문학 자원에 대한 관심을 환기 •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전문 연구자나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 관심을 둔 일반 대중을 대상 으로 한 커뮤니티 참여를 제고 • 독특한 시상 분야 • 10년간 이루어진 시상 분야는 대략 8가지로 정리 • 각각의 분야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근본적 특징을 반영 • 즐거움(Use of DH for Fun) • 도구(DH Tool or Suite of Tools) • 시각화(DH Visualization or Infographic) • 웹 간행(DH blog/Article or Short Publication) • 대중성(DH Project for Public Audiences) • 교육(Professional Resources for Learning about or Doing DH Work) • 실패(Exploration of DH Failure) • 데이터(DH Dataset)
  • 22. 21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사이트 둘러보기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사이트 살펴보기 • http://dhawards.org/
  • 23. 22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주요 시상 분야에 대한 상세 설명 시상 분야 상세 설명 즐거움(Use of DH for Fun) • 아날로그 인문학의 ‘경직성’을 비판 • ‘재미’와 ‘즐거움’을 강조 • 디지털 인문학의 방향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지표 도구(DH Visualization or Infographic) • 디지털 인문학 연구 수행을 위한 적합한 도구를 개발, 공유한 사례를 시상 •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 개발과 공유가 디지 털 인문학에서 중요한 지점 시각화(DH Visualization or Infographic) • 텍스트 형태의 결과를 보완 • 시각화 구현 결과의 중요성 웹 간행(DH blog/Article or Short Publication) • 인문학 자료나 지식을 블로그와 기사, 단편 간행물 등 웹 자원으로 편찬한 사례를 시상하기 위한 분야 • 인문학 자원의 확장성을 강조 대중성(DH Project for Public Audiences) • 일반 대중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은 사례를 시상하기 위한 분야 • 개인의 전문성에 의존하는 전통적 인문 연구와는 다른 차별적 지점
  • 24. 23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의 내용과 그 의의 • 주요 시상 분야에 대한 상세 설명 시상 분야 상세 설명 실패(failure) •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유 또는 연구를 진 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잘 다룬 보고서를 시상 • 결과물 산출에 실패한 이유를 찾고 개선하기 위한 단서 로서의 의미 데이터셋(Dataset) • 잘 구축한 인문학 데이터셋에 대한 시상 분야 • 데이터셋 구축과 공유는 디지털 인문학의 중요한 학술 적 과업
  • 25. 24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 http://dhawards.org/dhawards2020/results/ 시상 분야 후보작 BEST DH BLOG POST OR SERIES OF POSTS Ticha Project, 2020 Blog Series(winner)외 14편 BEST DH DATA VISUALIZATION COVID19 Cartography(winner) 외 15편 BEST DH DATASET Newspaper Navigator Dataset(winner) 외 15편 BEST DH TOOL OR SUITE OF TOOLS Documentos y colecciones especiales – Red de bibliotecas del Banco de la República(winner) 외 16편 BEST EXPLORATION OF DH FAILURE/LIMITATIONS History, Digitized(winner)외 7편 BEST USE OF DH FOR FUN Climatophosis by Yohanna Joseph Waliya(winner)외 11편 BEST USE OF DH FOR PUBLIC ENGAGEMENT The Resemblage Project(winner)외 30편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 26. 25 •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 체험 •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중 <조선시대표류기록시각화>(2019)와 <지암일 기 디지털 인문학 연구>(2020)가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분야에 수상 후보로 지명 디지털 인문학 어워드 2022년 후보작 및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