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안양시니어문화현황맵핑및세대간문화교류전략수립연구
비매품
9 791195 314874
03600
ISBN 979-11-953148-7-4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14 문화다양성 확산
을 위한 무지개다리 지원사업」 중 안양문화예술재단의‘오버 더 시니어 레인
보우’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습니다.
2014 안양‘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프로젝트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 간 문화교류 전략 수립 연구
연구보고서-150227-표지.indd 1 2015-03-05 오후 1:09:44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 2015-03-07 오전 1:45:37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 2015-03-07 오전 1:45:37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 2015-03-07 오전 1:45:37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 2015-03-07 오전 1:45:37
제출문
연구진
책임연구원 백현주
연구원 이초영
김유진
보조연구원 배혜리
유한회사 별일사무소 대표 이 초 영
(재)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귀하
결과보고를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 간 교류 전략수립연구」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 2015-03-07 오전 1:45:37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 2015-03-07 오전 1:45:37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_ 14
2. 연구내용 및 방법 _ 15
Ⅱ
시니어 문화의 이해
1. 시니어의 이해
1 - 1. 시니어의 개념 _ 20
1 - 2. 시니어에 대한 인식 _ 24
1 - 3. 고령화 시대의 시니어 _ 26
2. 시니어 문화와 문화 정책
2 - 1. 시니어 문화의 정의 _ 30
2 - 2. 시니어 문화 정책 및 사업 현황 _ 33
2 - 3. 시니어 문화 정책의 기본방향 _ 42
목차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 2015-03-07 오전 1:45:37
Ⅲ
안양 시니어 문화 지도
1. 안양 시니어 현황 개요
1 - 1. 안양의 시니어 인구 _ 46
1 - 2. 안양시 시니어 복지기관 현황 _ 49
2. 안양 시니어 7인의 일상과 욕구
2 - 1. 조사 개요 _ 52
2 - 2. 인물별 일상과 욕구 _ 53
3. 안양 시니어의 주요 거점과 주요 활동
3 - 1. 조사 개요 _ 68
3 - 2.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활동 _ 70
3 - 3. 공공공간에서의 활동 _ 95
4. 안양 시니어 문화 지도
4 - 1. 일상 _ 101
4 - 2. 지역과의 관계 _ 103
4 - 3. 문화적 경험과 역량 _ 104
4 - 4. 노년에 대한 인식 _ 105
4 - 5. 정책 수요 및 기대 _ 110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8 2015-03-07 오전 1:45:37
IV
세대 교류 관련 사례 분석
1. 관련 사례 개요 _ 114
2. FGI _ 117
3. 세대 공감 및 교류 시사점 _ 127
V
세대 교류 전략 수립
1. 정책과제 및 핵심전략 _ 132
2. 우선과제에 따른 주요사업 계획 _ 138
3. 세대 간 교류 시범사업 _ 142
부록
1. 안양 시니어 복지기관 현황조사 _ 158
2. 안양 시니어 인물별 활동 현황 인터뷰 면접 및 관찰 기록지 _ 168
참고문헌 154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9 2015-03-07 오전 1:45:37
표 목차
[표 1] 노인의 연령 범위 _ 23
[표 2] 한국노인의 자각연령 _ 23
[표 3] 부처별 시니어 문화 관련 주요정책사업 _ 34
[표 4] 2014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단위사업 현황 _ 36
[표 5] 2014 무지개다리 사업_주요사례 _ 39
[표 6] 시니어 문화관련 정책 사업 요약 _ 41
[표 7] 시니어 문화 정책이 다뤄야 하는 시니어 문화의 내용들 _ 43
[표 8] 2010~2013년 안양시 65세 이상 인구 계 _ 47
[표 9] 안양시 기초노령연금수급자 (2013년 기준) _ 48
[표 10] 2010~2013년 안양시 노령화지수 _ 49
[표 11] 노인시설의 종류 _ 49
[표 12] 2006~2013년 노인여가복지시설 변화 _ 51
[표 13] 안양 시니어 심층면접 조사대상 _ 52
[표 14] 안양시 시니어 활동 거점 조사목록 _ 69
[표 15] 해울학교 프로그램 _ 73
[표 16] 만안구 노인회관 교육프로그램 _ 81
[표 17] 동안구 노인회관 교육프로그램 _ 84
[표 18] 카네이션하우스 프로그램 및 지원 서비스 _ 87
[표 19] 삼덕공원 내 공간 이용행태 _ 97
[표 20] 자유공원 내 공간 이용행태 _ 99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0 2015-03-07 오전 1:45:38
그림 목차
[그림 1] 연구방법 및 과정 _ 17
[그림 2] 이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55
[그림 3] 손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57
[그림 4] 여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59
[그림 5] 장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1
[그림 6] 방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3
[그림 7] 변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5
[그림 8] 오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7
[그림 9] 안양의 시니어 주요 거점 및 해당 활동 _ 107
[그림 10] 안양의 시니어 7인을 통해 본 시니어의 일상 활동 및 반경 _ 108
[그림 11] 안양 시니어 문화 관련 정책수요 및 기대 분석 _ 110
[그림 12] 거점공간 구축을 통한 시니어 담론형성 및 사업실행 _ 136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1 2015-03-07 오전 1:45:38
안양시니어문화현황맵핑및
세대간교류전략수립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2 2015-03-07 오전 1:45:38
Ⅲ
안양 시니어 문화지도
1
연구개요
Ⅰ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3 2015-03-07 오전 1:45:38
1. 연구배경 및 목적
가. 연구배경
•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무지개다리 사업’에
안양문화예술재단의‘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 - 세대 간 문화다양성 발굴
프로젝트’가 선정됨.
• 고령화 사회가 고속화되는 가운데, 안양시는 원도심의 고령화 인구 비율이 더
높고, 신도심의 정주기간도 높아지면서 시니어 준비세대의 비율이 매우 높음.
• 이에 따라 안양문화예술재단의 중장기 세대 간 교류를 위한 문화정책 기초작업
으로서 시니어를 이해하고 새로운 세대와의 교류를 위한 준비 작업이 필요함.
나. 연구목적
• 시니어의 문화적 권리를 바라보는 관점 재정리
- 그동안 우리는 시니어, 노인을 비생산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인식해왔으나,
이는 노인에 대한 직접적 경험 없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된 결과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4 2015-03-07 오전 1:45:38
1514
- 고령화가 제기하는 새로운 도전과 과제를 반영하는 시니어의 개념과 의미
제고 필요
• 안양시 시니어 문화의 이해를 위한 시니어 문화현황 조사 및 공유
- 2015년 이후 안양 시민의 대다수를 차지하게 될 시니어 및 준비세대 삶의
양상과 문화 향유 실태 등을 조사
- 다양한 정책수요와 기대를 충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공유 접근
성 향상
• 지역 세대 간 교류 문화환경 조성 및 지원을 위한 단계적 방안을 수립하여
향후 사업운영의 발판 마련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범위
• 시간 범위 : 2014년 현황 및 2015년 이후의 추진전략 제시
• 공간 범위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및 만안구
• 대상 범위 : 안양 거주 55세 이상 시니어 및 준비세대,이들을 중심으로 한
지역 내 사회문화적 관계들
나. 연구내용
안양 시니어 문화 현황 맵핑
• 시니어 문화에 대한 개념 및 관점
- 고령화 사회,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시니어’개념
- 시니어에 대한 문화적 접근 및 관련 이슈 고찰
• 안양 시니어 문화 현황 및 수요조사
- 안양 시니어 현황 개요
- 관련 기관 프로그램 조사 분석
- 거점별, 인물별 시니어 문화의 특성 파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5 2015-03-07 오전 1:45:38
- 안양 시니어의 관련 수요 및 욕구
- 주요 문제 및 요구, 이슈 도출
세대 간 교류 전략 수립
• 국내외 시니어 문화사업 벤치마킹 연구
- 시니어 문화 관련 정책 및 사업동향 분석
- 시니어 중심, 세대 간 교류 중심 국내외 사례 분석
•세대 간 교류 전략 수립
- 세대 간 교류 문화환경 조성 및 지원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 중장기 핵심전략 및 과제 도출
- 추진 전략 및 정착방안 제시
다. 연구방법 및 과정
문헌연구 및 통계분석
• ‘시니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문화적 접근 방안을 찾기 위한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
• 안양 시니어 현황 파악을 위한 통계자료 및 사업현황 분석
• 시니어 중심, 세대 간 교류 중심의 국내외 벤치마킹 사업 및 사례 분석
관찰 및 면접
• 안양 거주 시니어 세대가 가진 문화적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참여관찰,
그룹 및 일대일 면접 등을 활용
• 사전면접을 통해 보편적 요구를 반영, 조사설계 과정을 점검
• 잠재된 시니어의 요구를 발견하고 향후 전략 및 정책에 반영하는 과정을
함께 기록하여 전반적인 안양 시니어 문화 map으로 제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6 2015-03-07 오전 1:45:38
1716
시니어의 이해
신노년 담론의 이해와 이슈 고찰
시니어 문화의 정의 &
정책방향 도출
문헌연구
시니어 관련 연구
+ 전문가포럼
노년을 노닐다
안양 시니어 관련 기관현황
안양 시니어의 일상과 욕구
노년인식
안양 시니어 문화 지형
정책수요 및 기대 분석
통계분석
질적조사
(참여관찰,
심층면접)
안양 시니어
주요 거점
안양 시니어 7인
세대교류 정책과제 및 핵심전략
주요사업계획
시범사업계획
보고서 작성 자문
시니어 문화사업 관련 동향
세대 교류를 위한 전략
FGI 국내 사례
연구내용 연구방법 대상
[그림 1] 연구방법 및 과정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7 2015-03-07 오전 1:45:38
안양시니어문화현황맵핑및
세대간교류전략수립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8 2015-03-07 오전 1:45:39
Ⅲ
안양 시니어 문화지도
1
시니어 문화의 이해
Ⅱ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9 2015-03-07 오전 1:45:39
1. 시니어의 이해
늙는다는 것, 나이가 든다는 것, 노인이 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그것은 언제
부터 시작되며 어떻게 찾아들고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일까. 그것은
고집불통이고 심술궂고 탐욕스러우며 분별력 없고 쓸모없는 상태나 사람을 말
함인가, 아니면 사려깊고 지혜로우며 존경할 만한 무엇인가. 혹은 이전에 없던
평화와 고요의 시기일 뿐인가.
1 - 1. 시니어의 개념
가. 노화와 노인
• 국어사전에‘늙다’는‘나이를 많이 먹고 한창 때를 지나 쇠퇴하다’라고 표
기되어 있다. 노년기는 신체적으로는 분명히 쇠퇴의 시기이다. 기원전 2500년
철학자이자 시인인 프타호테프는“노인은 매일매일 기력이 쇠해진다. 시력은
약해지고 귀는 들리지 않고, 힘은 쇠퇴하고 심장은 쉴 틈이 없다. 지적인 능력도
감소되어 어제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뼈마디가 아프고 예전에는 즐겁게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0 2015-03-07 오전 1:45:39
2120
열중하던 일들이 이제는 힘겨울 수밖에 없으며 맛을 느끼는 감각도 사라진다.
... 코는 막혀서 더 이상 아무 냄새도 맡을 수가 없다.”고 했다.(보부아르,
2002, p125) Beaver(1983)는 생물학적 노화를“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기
체의 세포, 조직, 기관조직 또는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인 변화”라고
정의했다.(안흥순, 2013, p13)
• 하지만 늙음은 생물학적일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심리적으로는 고령화되면서 감각기관의 기능저하 및 상실로 인해 일어
나는 인식, 성격, 정서 그리고 행동의 변화를, 사회적 노화는 나이가 들어가
면서 사회적 역할을 상실해가는 과정을 주목한다.
• 노인에 대한 정의는 1951년 제2회 국제노년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노인을“인간의 노
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 및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
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 이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이들 노인은
다음의 5가지 특성을 지닌 사람을 의미한다고 밝히고 있다.
-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 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 생체의 자체통합 능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에 쇠퇴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 생체의 적응능력이 점차로 결손되고 있는 사람
-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환경변화에 적응이 제대로 되지 않는 사람 등
• Atchley와 Birren은 노화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을 동시에 고려
하여 노인을“생물학적 및 생리적 퇴화기에 있는 사람, 심리적 측면에서 정
서기능과 성격이 변화하고 있는 사람, 사회적 측면에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
되어 가는 사람”이라고 규정한다. (권중돈 2008, 재인용)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1 2015-03-07 오전 1:45:39
나. 노인의 기준
• 사실 노인이라는 분류 속에 묶여 있는 수많은 사람들은 각자가 살아온 세월
의 무게만큼 서로가 매우 다른 사람들이다. 나이를 먹을수록 살아온 환경,
경험, 건강, 능력 등이 비슷하기보다는 달라진다. 그래서 누가 노인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 우선은 사회가 합의한 법·제도적 연령 기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서구에
서는 대체로 사회보장제도의 급여 수급자격을 기준으로 노인을 65세로 규정
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관련 법규에서는 다음과 같이 노인의 나이를 규정하
고 있다.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_고령자: 55세 이상
- 노인복지법_노인: 65세 이상인 자
- 국민연금법_노인: 60세 이상
- 노인장기요양보험법_노인 등 :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
서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 고령자는 65세 이상, 준고령자는 50~64세
• 노년기가 길어지고 노인 내의 연령 차이에 따른 욕구나 문제도 다르므로 노
인을 조금 더 세부적인 연령집단으로 구분할 필요 또한 제기되면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연령 구분을 하기도 한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2 2015-03-07 오전 1:45:39
2322
• 그밖에 노년은 나이 외에 기능적 연령, 사회적 역할, 개인의 자각을 고려하
여 정해지기도 한다. 즉, 개인이 특정한 업무나 일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이 저하된 경우, 사회적 역할을 상실한 경우,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생각
하는 경우에 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표 1] 노인의 연령 범위
한국 미국인구통계국 Neugarten Brody
연소노인 60-69세
중고령노인 70-75세
고령노인 75-84세
초고령노인 84세
이상
the olders 55-64세
the elders 65-74세
the aged 75-84세
the very old 85세
이상
young-old 55-74세
middle-old 75-84세
old-old 85세 이상
young-old 60-64세
middle-old 65-74세
old-old 75세 이상
출처: 양옥남(2009), 노인복지론, 공동체
[표 2] 한국노인의 자각연령
65~69세 24.1%
70~74세 51.3%
75~79세 10.0%
80~84세 6.5%
출처: 전국 노인실태 조사(2008), 보건복지가족부
다. 시니어, 노인을 대체하는 용어들
• 그런데‘노인’이라 단어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되고 있다며
다른 표현이 제안되기도 한다. 노년(老年), 고령자(高齡者), 어르신, 시니어
등이 그 예이다.
•‘노년’이 인간발달단계의 한 시기를 지칭한다면,‘고령자’는 장년층에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3 2015-03-07 오전 1:45:39
노년층까지 보다 넒은 인구를 통칭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어르신’은
높임말이고, 성별을 구분하거나 친족 내에서는 할아버지, 할머니라고도 한
다. 구미에서는 older, aged, elderly, senior citizen, golden age 등
을, 일본에서는 실버(silver), 중국에서는 長年이나 尊年이라는 용어를 노인
이라는 말과 함께 사용해왔다.
• 최근에는 국내에서도‘시니어(senior)’라는 용어가 보편화되고 있다.
*
나
이가 많다는 의미를 넘어서 인생의 연륜 및 경험까지 나타낼 수 있다는 점,
준고령자까지 커버할 수 있다는 면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을 대체할 수 있는 단어에 대한 의미 있는 탐구와 신중한 선택, 공감
의 과정이 필요하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존중하는 입장에서‘노인’이라는 표
현 대신‘시니어’라는 표현을 사용하되, 역사적인 맥락에서 필요할 경우에
는 노인을 그대로 사용하며 노년 등을 병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니
어는 60세 이상을, 시니어 준비세대는 50세 이상을 일컫는 것으로 한다.
1 - 2. 시니어에 대한 인식
노년의 이미지란 불확실하고 선명하지 않으며 모순적이다. 역사적으로 저마다
의 사회가 시니어들에게 취한 태도, 노년에 대해 만들어낸 이미지는 공경과 차
별, 긍정과 부정의 극단을 오간다. 그리하여 노년은 살아온 생의 기간만큼 풍
부한 연륜을 바탕으로 한 높은 정신을 가진 존경의 이미지거나 아니면 나약하고
의존적이며 비루해서 혐오감이나 경멸 섞인 눈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는 부정적
인 이미지로 나타나곤 했다.
* 2011년 “법률 문장에서‘노인’이라는 용어를‘시니어’로 바꾸자는 노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
안”(의안번호 1814366)의 발의가 있었다. 이 법안의 제안 이유를 보면,“현재 각종 법률에‘노
인’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노인’이라는 용어는 사전적으로‘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이라는 의미 외에 단어 자체가‘무기력하다’,‘병약하다’는 부정적 어감을 주고 있다.”
는 것이다. 그러나 이 법안은 소관위 심사를 거쳐 철회되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4 2015-03-07 오전 1:45:39
2524
가. 전통사회에서 시니어에 대한 태도
• 전통사회에서 노년은 비교적 공경의 대상이었던 것으로 사료들은 전한다. 동
양에서는 공자가 노년을 지혜와 동일시했고, 도교에서는 장수 자체가 하나의
덕이었으며, 노년이란 지고한 형태의 삶이었다. 서양에서도 성경은 노년을
덕으로 표현했으며, 그리스 문명은 노년을 명예와 결부시켰다. 호메로스는
노인은 지혜의 화신이며, 시간은 그에게 경험과 화술을 주었다고 했다.
• 하지만 지난 과거가 노년을 항상 존경어린 시선으로만 바라본 것은 아니다.
그리스의 희극에서 노년은 대체로 조롱의 대상이었고, 중세는 나이든 사람
들의 노쇠현상을 혐오스럽게 여겼으며 육신의 아름다움을 칭송했던 르네상
스 시대는 늙음을, 특히 늙은 여성을 적대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
(보부아르,
2002, p252-301)
• 시니어가 지배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회에서는 노년에 가치가 부여되
었고 그들의 경험이 존중되었다. 중앙집권적 계급사회였던 중국에서, 스파
르타에서, 그리스의 과두정치에서, 예수가 태어나기 2세기 전까지 로마에서
노년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변화 발전 혁명의 시기 동안에는
어떠한 정치적 역할도 하지 못했다.(보부아르, 2002, p252-301)
•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19세기 이전의 노년에 관한 증언들은 상류계급에 국
한한다는 점이다. 장수하는 인구는 극소수였고 그들은 대체로 상층계급에 속
했기 때문이다.
** 같은 시기에도 노년을 바라보는 입장은 달랐다. 스파르타에서 노년은 명예로운 것이었지만, 아
테네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플라톤은 노년을 예찬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노년은 비루하고 관
대함이 부족하며 이기적이고 겁이 많다고 했다. 따라서 플라톤이 정치권력의 핵심을 노인들이 갖
는 것을 이상적으로 생각했다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노인들을 정치에서 격리시키고 그 자리를 젊
은 군인들에게 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5 2015-03-07 오전 1:45:39
1 - 3. 고령화 시대의 시니어
가. 새로운 시니어의 등장과 실제 삶
•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한국사회는 지난 2000년 이미 고령화사회(65세 이
상 노인인구 7%이상)에 도달하였고 고령사회(14%이상)는 2017년, 초고령
사회(20%이상)는 2026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앞으로 우리가
15-20년 가까이 더 긴 시간을 살게 된다는 것, 이제 시니어 세대가 다수가
나. 산업화 이후 시니어에 대한 태도
• 산업화는 수명을 늘려 노년 인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세계는 보다 빠르게 변
화를 받아들이는 젊은이들의 민첩함을 지지하는 대신 퇴직을 제도화했다. 노
인들은 생산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고 쓸모없는 존재로 밀려났다.
• 도시화가 심화될수록 노인은 비생산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이미지를 굳혀
갔다. 살아오면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은 전문화된 지식에 자리를 내주고, 지
혜로운 사람으로서의 노인의 역할을 폄하되었다. 각종 미디어는 젊은이들에
게 최신 트렌드를 알려주지만 기억이나 구전을 통해 내려오는 전통은 전해주
지 않으면서 그러한 이미지를 더 강화했다.
• 불필요한 존재가 된 도시나 시골의 노인들은 가족들에게 버려지고 궁핍에 시
달리는 반면 시골에 큰 땅을 가진 부유한 노인들이나 도시의 상인들은 재산
을 축적해온 핵심으로 가족 내에서 전제적인 권위를 가졌으며 이들의 자식들
은 노년의 부모를 존경으로 대했다.(보부아르, 2002, p278-292)
• 결론적으로 시니어의 권위는 그가 가지고 있는 물질이나 정치적인 자원에 크
게 좌우되었으며 그들의 지위 또한 시니어를 부양하는 데 드는 비용과 그들
이 사회에 기여하는 것 간의 균형에 의해 결정이 됐다. 시니어를 바라보는
관점은 이렇게 그 사회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상이했다고 볼 수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6 2015-03-07 오전 1:45:39
2726
될 거라는 의미이다.
• 하지만 이 시대 우리사회의 시니어 관련 지표는 우울하기만 하다. OECD 회
원국 내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는 한국은 65세 이상 노인
100명 중 26명이 경제·사회 활동이 없는 '고립'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
났고
*
, 노인 빈곤율
**
과 노인 자살률
***
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 뿐만이 아니다. 오늘의 노동자에게 내일의 복지비용을 부담하는 고령화 사회
는 결국 노인인구가 젊은이를 위한 교육 인프라, 문화, 보건, 치안유지 등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잠식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확대 재생산한다. 이로써
시니어와 청년 세대는 서로 지지하고 응원하는 관계에서 견제하고 긴장하는
관계로 향할 가능성이 커졌다.
• 노년세대 안에서 양극화도 심화되어, 특정계층의 노년들은 자산소유자로서
위치를 공고히 하면서, 청년들은 이들 노년층이 가진 자원들을 나눠가지려고
경쟁할 것이라는 전망도 등장한다.(노인으로 산다는 것 p173-188)
* 통계청이 발간한 '2014 한국의 사회동향'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고립'(11.1%)과
'거의 고립'(14.8%)돼 있다고 답한 경우는 25.9%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회활동
(취업, 단체참여, 봉사활동), 사회적 지원(가사일 부탁 가능, 돈 빌릴 사람 있음, 이야기 상대 있
음)에 대한 각각의 물음에서다. 6개 질문 중 하나도 해당 사항이 없으면 '고립'된 상태로 본다.
특히 100명 중 11명은 사회활동이나 말벗, 돈 빌릴 사람이 전혀 없는 모습이다. 전체의 74%만
이 사회활동 또는 사회적 지원을 받고 있는 셈이다.
** 2013년 OECD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8.6%로 일본(19.4%)의
2.5배, OECD 평균(12.4%)의 3.9배로 OECD 최고 수준이다. 한국의 평균 빈곤율은 41~50세
까지는 8.9%로 OECD 평균(9.5%)보다 낮지만 51~65세는 17.3%로 OECD 평균 9.9%를
앞서고, 66~75세에선 45.6%로 급상승, OECD 평균 11%를 크게 웃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00~2010년 사이 한국 노인의 자살률은 OECD국가 평균 4
배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OECD 25개국의 65세 이상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은 2000년
22.5명에서 2010년 20.9명으로 줄어든 반면, 한국은 34.2명(5위)에서 80.3명(1위)으로 늘었
다. 증가율이 2.3배에 달한다. 남성은 2000년 52.2명에서 2010년 125.0명으로 2.4배 늘었
고, 여성은 23.1명에서 49.4명으로 2.1배 증가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7 2015-03-07 오전 1:45:40
• 짐이 되는 노년과 자산을 소유한 노년의 삶이 양 극단에서 존재하는 한편,
‘새로운 노년(New Aging)’의 패러다임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른바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eing)와 생산적 노화
(Productive Ageing)로 표현되는 신 노년층의 등장이다. 이들은 기존의
의존적이고 부정적인 노년 상에 대항하여 노인의 잠재력 개발과 문제 예방을
강조함으로써 노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최희경, 2010, p45-47)
- 활동적 노화: 중장년시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잃어버린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 하며 이 같은 지속적
인 활동이 바람직한 노년의 핵심
- 성공적 노화: 질병과 장애의 부재, 높은 신체적 인지적 기능유지, 삶에 대한
적극적 참여가 성공적 노화의 요인
- 생산적 노화: 노년기에도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노인의 사
회적 역할을 재평가하고 가치 있는 활동에 참여할 것을 강조
• 이전의 무력하고 빈곤한 노인 이미지와는 달리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경제적
으로 여유가 있으며, 사회활동 참여에도 적극적인‘활동적 시니어’의 모습
은 이제 미디어에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노년의 이미지가 되었다.
나. 신노년 담론의 비판
• 그런데 활동적 노화 등이 강조되는 신노년 담론이 실질적인 시니어의 욕구와
이해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실제
노인들의 삶을 가리키고 있는 우울한 지표들과 활력 넘치는 새로운 시니어의
이미지 사이의 간격은 우리에게 혼란스러움을 준다.
• 실제로 최근 몇몇 연구들자들은 신노년 담론이 지나치게 경제적 생산성의 의
미에 집중되어 있어서 사회적 권리로서의 노인복지급여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노인을 배제하는 문화적, 규범적 편협성으로 인해 다양한 조건의 시
니어 욕구와 입장을 반영한 정책 결정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
‘시니어(senior)’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8 2015-03-07 오전 1:45:40
2928
다.(최희경, 2010)
• 조금만 생각해보면 이상화된 시니어들의 활력 넘치는 모습은 대중문화를 통해
그 이미지를 강화하고 활력이 떨어지는 시니어를 패배자로 낙인찍을 수 있음
을 우리는 깨달을 수 있다.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육체적,
정신적 능력과 기회는 모든 노인에게 똑같이 주어지는 게 아니다. 자칫 활동
적이고 성공적인 노인의 이미지의 강조는 노인 전체에 대한 편견을 노인 안
의 특정한 약자 집단에 대한 편견으로 대체하는 새로운 차별을 낳을 수 있다
•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노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이렇게 단순하고 일반화
하려는 관습을 보여준다.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을 거부하는 것 자체가 힘을
얻고 있지만 인생의 황혼기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위해 활동능력이 부족한
노인들의 욕구를 부정한다면 사회는 또 다른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 반면
에 노년을 우호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사회는 건강한 시니어들의 활동마저 위
축시킬 수 있다. 여기가 시니어 문화 정책이 바라보아야 할 지점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9 2015-03-07 오전 1:45:40
2. 시니어 문화와 문화 정책
2 - 1. 시니어 문화의 정의
가. 노년기 생활양식의 총체
• 시니어 문화란 우선 넓은 의미에서‘시니어에 관한 관습 및 생활방식뿐만 아니
라 공유하고 있는 근본적인 가치관, 규범, 신념’이다. 이는 시니어 집단이 시
니어가 아닌 집단과는 다른 무엇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전반적인 생애과
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 시니어 문화는 가족, 친구, 사랑, 성, 여가, 일과 은퇴, 건강, 소비 등 여러 다
양한 내용들로 구성되며 각 요소들은 서로 독립적이기보다는 서로 상호 연계
되어 전체적인 시니어 문화를 구성하며 시니어를 둘러싼 다양한 설명을 제공
해주는 기초적 틀을 형성한다.
• 그런데 청년문화와 같이 노년기를 하나의 동일성으로 묶는 시니어문화가 가능
한가 하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있다. 노년기는 생애과정을 통해 저마다 자
신의 삶을 살아온 만큼 다양성이 가장 큰 시기이므로 청년문화처럼 동일성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집단적인 문화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이
다.(차승은, 2014)
• 또한 시니어 문화는 같은 시기에 태어나 유사한 성장경험과 가치관을 공유하
고 있는 세대문화의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른바 세대효과 또는 코호트 효
과
*
에 따르면 현재 60세인 시니어와 20년 뒤 60세가 되는 시니어는 서로 다른
삶의 경험으로 인해 전혀 다른 색깔의 문화를 보여줄 수 있다.
*   코 호 트 ( c o h o r t ) 란 5 년 또 는 1 0 년 등 으 로 구 분 한 연 령 ( 예 를 들 어 2 0 0 5 ~ 2 0 1 0 년 ,
1990~2000년 기간 내 출생자들) 등 특정한 경험을 공유해 연대를 느끼는 구성원들의 집단ㆍ집
체를 말한다. 때문에 특정 코호트에서는 구성원들에 의해 하나의 트랜드가 형성된다. 코호트는
사회변동의 연구에서 특히 중요한 개념으로, 구성원들은 개인이 경험하는 사회를 나름의 방식으
로 각각 다른 관점에서 받아들이고 이는 사회 변동에 기여한다.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0 2015-03-07 오전 1:45:40
3130
• 현재 시니어들에게서 목격하게 되는 삶의 어려움들은 그들이 살아온 생애
경험의 결과물일 가능성이 크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 과정에서 누
적된 문화부재가 이들의 노년기를 더 힘들게 하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
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비교적 문화적 혜택을 누린 그 이후 세대, 예를 들
면 베이비부머 세대는 노년기를 조금 더 풍요로운 문화적 환경 속에서 보낼
수 있을 것인지, 과연 그들은 불안한 경제와 복지환경 속에서도 그들 세대만
의 새로운 노년기 문화를 꽃피울 수 있을지 질문하게 되는 것이다. (차승은,
2014)
• 보통 역사적·문화적 충격이 가해질 때 세대논쟁이 격렬해지고 이들 세대문화
는 문화변동에 기여한다. 그런 면에서 시니어 문화는 세대문화에 대한 논의와
함께 탐구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시니어 개개인이 가진 삶의 다양한 내용들을
어떻게 시니어 문화라는 경계 안에서 반영할 수 있는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나. 시니어 삶에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 (담론화 과정)
• 붓다는“지금의 내 안에 이미 미래의 노인이 살고 있다”고 했다. 어떤 존재
가 늙는다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한 일이고 나 자신의 문제이다. 하지만 우리
들은 누구나 늙으면 노인이 된다는 이 사실을 쉽게 마주하려 하지 않는다.
젊은 나에게 늙은 나는‘타자’가 되었고 공적인 장에서 진짜 노년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어색한 일이 되었다.
•‘영원한 젊음’의 신화는 기력이 약해지고, 병들고, 죽음에 근접해가는 등의
노년에 고유한 경험에 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는다.
곧 노년담론의 증발이다. 나이 듦에 필연적으로 부수되는 육체적 쇠퇴, 의
존, 죽음 등의 과정에 아무런 도덕적·영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후기
산업사회의 문화는 이제 육체적 쇠락이나 죽음과의 대면 자체를 회피한다. 그
결과 문화가 의미부여를 포기한 늙음과 죽음의 과정은 혼란스러운 개인들이
사적으로 맞이해야 하는 삶의 과정이 된다. (정진웅, 2003)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1 2015-03-07 오전 1:45:40
• 위의 글처럼 노년 담론의 부재가 문제되는 것은 노년이 무엇인지, 그 정체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수용이 없이 결국 늙음과 죽음이라는 삶의 과제가 고스
란히 시니어 개인의 몫으로 맡겨진다는 점이다.(김찬호, 2014) 이렇게 되면
시니어 각자가 가진 자원에 따라 굉장히 차별적인 노년을 맞을 가능성이 커
진다. 모든 면에서 양극화된 노년 세대를 목격하게 되는 것이다.
(차승은, 2014)
• 사실 고령화사회가 대두된 최근 10여 년간 노년 담론은 부재한다기보다는
담론의 공간을 내용적으로 매우 빈약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매우 강력한 힘
을 발휘해온 (담론이 아닌) 어떤 것이 채우고 있었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
이다. 이를 테면 앞서 살펴본 신노년 담론은 담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설명력
이나 성찰성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면서 결국
시니어에 대한 사유를 상투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 담론이라는 것은 행위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고 설명은 이해를 위한 것이다.
또한 그것은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며 나아가 추구해야 할 가치나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행하되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왜 하는지 의문
을 제기하고 성찰적인 이성을 발휘하는 것이 담론이다. 결국 담론이 부재하
다거나 빈약하다는 것은 노년을 살아가고 있지만 그것을 내가 알지 못하다는
것이며 그 의미를 모른다는 것은 결국 불행일 뿐만 아니라 결국 생존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따라서 노년의 노인다움을 자각하고 노년기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
그것을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기획하고 공유하는 과정, 그것이 시니어 문화
를 구성하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2 2015-03-07 오전 1:45:40
3332
2 - 2. 시니어 문화 정책 및 사업 현황
• 현재 시니어를 특정한 문화정책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가 지방
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추진하는‘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과 한국노
인종합복지관협회와 협력사업으로 진행하는‘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유일하다. 하지만 시니어 문화는 시니어에 대한 복지정책, 생애주
기별 교육정책과 분리될 수 없는 문제이고, 나아가 노동과 여가는 물론 도시
및 지역사회의 관계 속에서 고민되어야 할 사안이다.
• 따라서 시니어 문화와 관련된 정책의 범위와 영역은 광범위하고 복잡하다.
2014년을 기점으로 시니어 문화와 관련된 부처별 정책사업 중에서 우선적
으로 문화정책과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정책사업들은 평생교육과 복지
분야의 사업들이었다. 그 목록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 <생애주기별 여가활동 모형 개발(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에 제시된‘부처별 노인여가 관
련 정책’을 참고하였으며, 신규사업을 추가하여 재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후속연구에서는 적어도 경기도권의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와 도서관, 기타 평생
교육시설이 주축이 되는 사업과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3 2015-03-07 오전 1:45:40
담당부처 사업내용
교육
과학
기술부
○ 소외계층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2001~)
- 평생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된 저소득자, 저학력자, 고령자,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평생학습 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지원사업
- 노인을 평생교육정책의 직접적 대상으로 하고 있는 유일한 사업(노인회관,
노인교실)
- 활기차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여가관련 프로그램이 많은 비중을 차지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개발 지원사업
- 평생학습 중심대학 육성사업 중‘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활성화 사업’의 일환
- 은퇴 후 생애설계 교육 중심
보건
복지부
○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 사업
- 노인의 지식, 경험,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자원봉사 프로그램
- 노인의 활력적인 노후생활의 기회를 제공
○ 전국 노인자원봉사 대축제 개최 사업(2006~)
- 노인자원봉사 사진 및 수기 공모전 개최
- 사회발전에 봉사하는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노인상을 제시
- 노인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 및 활동참여 독려
○ 노인복지관 설치・운영사업
- 노인종합복지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
- 시·군·구별로 최소 1개소 이상의 지역실정에 맞는 노인복지관 설치
- 기본제공사업: 평생교육·취미여가사업(사회교육사업), 고용지원(노인일
자리 사업), 기능회복사업, 정서지원사업, 사회참여사업(노인자원봉사활성
화사업), 경로당 운영혁신사업, 노인복지관 운영, 사업관리
[표 3] 부처별 시니어 문화 관련 주요정책사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4 2015-03-07 오전 1:45:40
3534
문화
체육
관광부
○ 생생정책: 이야기할머니 사업(2010~)
-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하여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신청을 받아 선발, 70시간 교육 이수 후 파견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2005~)
- 문화예술교육 지원 및 문화동아리 형성, 문화재능기부 활동지원
- 어르신문화콘텐츠 보존개발 및 문화교류
○ 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2005~)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협력사업
- 문화소외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5개 분야의 프로그램에 전문 예술강사를
지원
- 사회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일환
○ 복지관광사업
- 경제적, 신체적으로 관광에 소외될 수 있는 계층(만 65세 이상 노인 포함)
에 복지차원에서 관광의 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해 국내여행의 경비 일부를
국가가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
- 사회복지관을 통해 1인당 최대 15만원, 복지기관 당 40명 이내로 지원
○ 사랑티켓 사업
- 소외계층대상 문화나눔사업의 하나: 3세~26세 아동·청소년 및 65세
이상 노인 대상
- 서울·경기 및 광역자치단체를 제외한 거주자에게 공연·전시 관람료 일부
를 지원
- 공연은 7천원, 전시는 1천원을 지원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
- 이주민·탈북민·장애인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주체들의 문화를
존중하며 문화적 표출 기회를 제공하고, 주류문화와 소수문화 간의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
• 이 중에서도 시니어문화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상세히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5 2015-03-07 오전 1:45:41
[표 4] 2014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단위사업 현황
어르신
문화학교
- 어르신의 예술적 욕구, 학습수준, 지역성 등을 반영한 맞춤형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 악기, 음악, 연극, 무용 등 예술장르 교육
찾아가는
어르신문화학교
- 어르신강사 또는 전문 강사를 마을회관, 복지회관 등에 파견운영
- 원거리 거주자 참여활성화, 어르신 일자리 창출 등 효과
어르신 문화
나눔 봉사단
- 어르신문화학교 수료생들이 봉사단을 구성, 소외시설·축제 등에
재능기부
- 어르신문화프로그램 수강생 선순환구조 실현
어르신
생활문화전승
- 어르신들이 살아오면서 간직한 근현대적 삶의 원형인 생활문화 자체를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세대 · 지역 간 전승 및 교류
- 어르신들이 자생적, 자발적으로 프로그램 기획부터 전 사업과정에
핵심으로 참여,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주도적 운영
어르신
문화동아리
- 어르신의 문화동아리 활성화 및 적극적 사회참여를 위해 활동비
지원(동아리의 출판, 공연 및 전시회 발표, 문화나눔 봉사 등)
권역별 어르신
문화축제
- 적극적 문화생산과 활동의 주체로서 어르신 세대에 대한 인식 전환을
도모하고 문화 활동 교류의 장인 축제를 통해 어르신 간의 연대와 소
속감,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
농어촌
신바람놀이문화
- 농어촌지역(마을)의 두레문화를 되살리기 위한 풍물 지원 사업
세대공감
한마당(신규)
- 어르신과 젊은 세대 간의 교류를 위한 소통 형 프로그램으로서
어르신, 청장년, 청소년 세대 및 국제결혼이주여성 등이 함께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
- 총 수강 인원 중 60세 이상 어르신이 50% 이상을 권고
어르신
인문학소풍
(신규)
- 마을구성원 전체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으로 어르신, 청장년, 초중고생,
이주여성 등 마을주민 참여로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추진
어르신
인문학소풍
(신규)
- 어르신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지역학(역사, 민속, 지리), 어르신이
경험한 현대사 및 생업기술(향토음식, 과거사진) 등을 기반으로 지역
내 청소년, 일반인, 귀촌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2014)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6 2015-03-07 오전 1:45:41
3736
• 이상의 사업의 성격과 내용을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은 4가지 카테고리로 묶
어볼 수 있다.
• 문화예술콘텐츠를 활용한 여가 복지적 접근
- 지역사회의 복지시설(지역 노인회관, 경로당 등)을 기반으로 하며, 활동
적인 측면에서의 생활체육 및 문화예술, 여행, 자원봉사, 관련 강습 및 체
험 프로그램 지원이 주를 이룬다.
- 교육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과 복지부의 <노인복지관 운영:
평생교육사업>은 취미, 일반교양, 건강관리와 운동, 정보화 관련 프로그
램을 제공하고 문화부 <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노인종합복
지관에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 5개 분야(연극, 무용, 음악, 미술,
사진)의 체험 및 창작, 향유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이들 사업은 노인세대의 주체적 역할을 제시하기보다는‘여가 복지’차원
의 접근 속에서 수동적인 체험이나 학습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이윤경 외, 2013)
• 향유를 넘어서는 능동적 문화 주체 형성
-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 사업>은 노인의 지식, 경험, 기술을 활
용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자원봉사 프로그램으로 상담과
교육을 거쳐 자원동사활동을 하거나 전문 자원봉사동아리 활동을 한다.*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다양한 문화활동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니어들의 사회참여활동 확대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수료
이후 봉사단, 동아리 활동 등 적극적 문화향유자이자 창조자로서 문화활
동의 능동적 주체로서 활동하는 것이 목표이다. 전국 193개 지방문화원
과 16개 시도연합회가 공모지원 형태로 참여한다.
-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일정한 소양을 갖춘 여성 고령인력을 선발하여 소
정의 교육을 이수하게 한 후, 전국의 유아교육기관에 파견하여 선현들의
미담 구연(口演) 프로그램을 운영 지원하는 사업이다.
* P.74 안양시 노인종합복지관의‘자원봉사 및 일자리 프로그램’참조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7 2015-03-07 오전 1:45:41
- 이 3가지 사업은 시니어뿐 아니라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함께 활동하는 프로
그램 으로 확대되고 있다.
• 문화적 교감을 통한 공감 및 교류
- <노인복지관 운영: 경로당 혁신사업>중 일부로 어린이집-경로당 연계, 청소
년수련관-노인복지관 연계를 통한 교감과 소통을 이끌어내는 사업을 전개하
고 있다. 어르신들에게는 현대사회의 문화 경험을 통해 사회적응력을 키우고,
아이들에게는 노인의 경험과 지식을 통한 전통 문화교류로 세대 간 격차를
줄이고자 하는 사업이다. 놀이나 음식, 공동의 창작 등 문화적인 접목을
시도한다.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2014년 신규 추가된 사업들 또한 지역,
마을 단위의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하는 사업들로 이들 사이의 소통과 교류
를 통한 공동체 회복 사업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8 2015-03-07 오전 1:45:41
3938
[표 5] 2014 무지개다리 사업 _주요사례
주관기관&
사업명
사업 및 내용
인천문화재단
- 화교, 중국인 등 외국인과 내국인이 함께 지역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
고 동네 지도를 만들어보는 등 지역을 매개로 함께 교류
부산문화재단
‘아시아 여행자
학교’
- 이주민들이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모국의 문화콘텐츠나 축제를
직접 소개하는 프로그램. 이주민이 한국문화를 받아들이고 동화되어
야 한다는 기존의 발상에서 벗어나 모두가 함께 서로에 대해 배우고
알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문화다양성 사업
성북문화재단
‘경계없는
프로젝트’
- 장애인 예술가의 창작물을 특별한 예술장르로 취급하지 않고 그 창
작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개성과 가능성을 놀이, 음악, 합동 창작,
강의 퍼포먼스 등 다양한 현장 워크숍으로 풀어내고 그 과정을 관객
이 여행을 하듯 경험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는 프로그램
안양문화예술재단
‘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
- 세대 간 문화다양성 발굴을 위한 안양 시니어 세대의 문화환경 조사
연구
- 시니어의 문화적 권리 및 세대 공존에 대한 다각적 관점 발굴 및
공론화
- 향유 프로그램: 시니어 레인보우 극장 - 친구랑!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연계사업: 시니어 영상 자서전 제작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은 이주민·탈북민·장애인 등 우리 사회의 다양
한 문화적 주체들의 문화를 존중하며 문화적 표출 기회를 제공하고 주류문
화와 소수문화 간의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문화다양성 증진을 지향하고자 전국 17개 지역재단
과 함께하는 문화다양성 정책의 대표사업이다.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은 앞의 두 사업이 세대 간 교류에 주목하는 것에
비해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존재와 문화에 대한 존중을 통해 소통과 교류
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2013년도에 이주민에 집중하던 것이 2014
년에는 장애인, 탈북민, 성소수자, 시니어 등 다양한 대상을 포괄하는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9 2015-03-07 오전 1:45:41
프로그램으로 확대되고 있다.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 중 시니어를 대상을 하는 것은 안양문화예술재단
의‘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가 유일하다.
• 시니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중‘어르신 생활문화전승’과‘어르신 인문학 소풍’
은 시니어의 살아온 경험을 지역의 구성원들과 나누면서 상호이해를 도모
하는 사업이다.
- 어르신들이 살아오면서 간직한 근현대적 삶의 원형인 생활문화 자체를 프
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전승 교류하되 프로그램 기획과정에 어르신들이 자
발적으로 참여하게 한 점이 눈에 띈다.
• 4가지 분류를 요약하면 [표 7]과 같다. 취미·교양의 영역에서 세대교류와
사회통합을 고려한 영역까지 다양한 사업이 펼쳐지고 있는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나와 세계를 성찰하면서 인간의 존엄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 노년
이 무엇인지 그 정체를 질문하면서 시니어의 삶을 의미화하는 과정은 상대적
으로 빈약해 보인다. 따라서 향후 시니어를 다루는 문화정책의 방향은 이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0 2015-03-07 오전 1:45:41
4140
[표 6] 시니어 문화관련 정책 사업 요약
구분 사업명 특징 및 성격
문화예술콘텐츠를
활용한 여가 복지
○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
○ 노인복지관 운영: 평생교육사업
○ 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
취미·교양, 체험 등
수동적 학습 프로그램
지원
능동적
문화주체 형성
○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 사업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 이야기할머니 사업(2010~)
향유를 넘어
공동 창작 및 나눔
문화적 교감을
통한 공감 및 교류
○ 경로당혁신사업 중
- 어린이집-경로당 연계사업
- 청소년수련관-노인복지관 연계사업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세대
공감 한마당/우리마을 문화로 가꾸기
○ 무지개다리 사업
상호이해를 통한
사회통합 촉진
시니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 생활문화 전승 사업
- 어르신 인문학소풍 사업
○ 평생교육 프로그램 내 인문학 프로그램
- 인문학하기
- 경험에 기반한 생활
문화, 생활기술의
이해와 습득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1 2015-03-07 오전 1:45:41
Ⅲ
2 - 3. 시니어 문화 정책의 기본방향
• 앞서 본 연구는 시니어 문화를 노년기 생활양식의 총체 또는 노년다움을 자
각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같은 맥락에서 시니어에 대
한 문화 정책은 다양한 개인의 삶의 차원에까지 노년의 삶의 양상들을 촘촘
히 들여다보는 것과 차별받지 않고 각자가 노년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
도록 문화환경을 구축·지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달리 말하면 인간
으로서의 최소한의 존엄과 품격을 유지할 수 있는 노년의 문화적 자원을 확
보하기 위한 토대를 형성하는 일이기도 하다.
• 그런데 앞서 살펴본 관련 문화정책사업의 내용을 보면 이러한 조작적 정의를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들인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본 연구에
서는 시니어 문화의 정의를 토대로 정책이 다뤄야 할 시니어 문화의 내용과
영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다만 각각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본격적인 연
구와 논의 및 검토는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 노년기에는 연령이나 신체의 활력 정도, 사회적 관계와 개인의 세계관에 따라
일상의 시공간을 활용하는 정도, 세계와 관계 맺는 정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
난다. 노년기 삶의 다양성은‘인간’이 보여주는 다양성을 나타낸다는 점에
서 의미 있지만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또한 이
른바 세대효과를 고려해 세대별 경험과 욕구를 반영한 정책의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이들 경험의 단절을 잇고 공감하게 하는 문화적 장치의 발굴이 함께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2 2015-03-07 오전 1:45:41
4342
Ⅲ
[표 7] 시니어 문화 정책이 다뤄야 하는 시니어 문화의 내용들
영역 내용 형식
앎
(정신)
시니어다움의 이해
(정체성: 쇠퇴, 질병, 죽음)
사유, 성찰, 이해
삶의 의미 발견 (주체성: 가치, 존재이유, 목표) 재구성, 창조
타자화된 노년을 마주하기
(화해와 공감)
의례, 창작
삶
(신체)
시간과 관계의 활용 여가: 취미, 친교
주체적인 삶의 기획 노동, 작업, 활동, 쉼
생애과정을 통한 노동, 활동, 여가의 디자인 통합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3 2015-03-07 오전 1:45:42
안양시니어문화현황맵핑및
세대간교류전략수립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4 2015-03-07 오전 1:45:42
Ⅲ
안양 시니어 문화지도
1
안양 시니어 문화 지도
Ⅲ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5 2015-03-07 오전 1:45:42
1. 안양 시니어 현황 개요
1 - 1. 안양의 시니어 인구
가. 안양의 시니어 인구
• 안양시 인구는 2010년 대비 2013년 628,831명에서 614,687명으로 감소
하였다. 반면 65세 이상 노인 숫자는 49,014명에서 54,474명으로 늘었다.
• 전체 인구 수 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
*
은 2010년 7.8%, 2011년
8.2%, 2012년 8.6%, 2013년 8.9%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 안양의 전체 인구는 감소 중이나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안양시가 고령화사회
**
로 분류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 노인인구비율 = (65세 이상 인구/전체인구)x100
** 노인인구비율 7% 미만은 일반사회, 7~14%미만 고령화사회, 14~20%미만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화사회로 구분. (UN 기준)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6 2015-03-07 오전 1:45:42
4746
[표 8] 2010~2013년 안양시 65세 이상 인구 계
구분별 2010 2011 2012 2013
세대
합 계 229,848 226,420 224,395 224,441
만안구 103,642 102,113 98,459 97,830
동안구 126,206 124,307 125,936 126,611
인구
계
합 계 628,831 615,639 618,230 614,687
만안구 271,099 263,077 258,166 254,898
동안구 357,732 352,562 360,064 359,789
남
합 계 313,810 307,313 308,269 306,254
만안구 136,665 132,575 130,077 128,387
동안구 177,145 174,738 178,192 177,867
여
합 계 315,021 308,329 309,961 308,433
만안구 134,434 130,502 128,089 126,511
동안구 180,587 177,827 181,872 181,922
세대당 인구 2.7 2.72 2.72 2.73
65세
이상(계)
합 계 49,014 50,587 52,893 54,474
만안구 23,996 -  25,534 25,812
동안구 25,018 - 27,359 28,662
인구밀도 10,757 10,661 10,575 10,507
면적 58.5 58.5 58.5 58.5
출처: 2010~2013년 기준 주민등록인구통계(안양시) 기초로 재가공, 안양시청 웹사이트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7 2015-03-07 오전 1:45:42
나. 노령연금
*
수급자 수
• 생활이 어려운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키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 기초연금제도의 경우, 만 65세 이상, 한국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민등록
이 되어 있는 노인 대상
-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소득 하위 70%)인 노인에게 지급.
-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 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을 합산한 금액.
- 선정기준액은 2014년 7월 기준, 단독가구 870,000원, 부부가구
1,392,000원.
• 안양시의 전체 노인인구 대비 수급자 비율은 남자 44.8%, 여성 62.8%이며
만안구는 59.0%, 동안구는 51.9%이다.
* 2007년 4월 법 제정, 2008년 1월 시행. 2014년 7월 폐지 후 기초연금제도 시행
- 월평균소득 2008년 167만원, 2009년 175만원, 2010년 179만원, 2011년 182만원,
2012년 189만원.
- 지급대상은 2008.1~6월에는 만 70세 이상 노인의 60%, 2008.7~12월에는 만 65세 이상
노인의 60%, 2009.1월 이후에는 만 65세 이상 노인의 70%로 점차 확대
- 재원은 기초 지자체별 노인인구 비율 및 재정자주도 기준으로 40~90% 범위 내 국고에서 차등
보조
- 수급대상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인정액이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액에 미달하는 경
우 가능
[표 9] 안양시 기초노령연금수급자 (2013년 기준)
구분
전체 노인 대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명)
전체 노인 수 급 자 수 수 급 률 (%)
합계 남 여 합계 남 여 합계 남 여
계 52,773 21,652 31,121 29,227 9,693 19,534 55.4 44.8 62.8
만안구 25,452 10,825 14,627 15,032 5,355 9,688 59.0 49.5 66.2
동안구 27,321 10,827 16,494 14,195 4,338 9,846 51.9 40.1 59.7
단위 : 명, %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8 2015-03-07 오전 1:45:42
4948
다. 노령화지수
*
• 안양시의 노령화지수는 2010년 49.9%에서 2013년 62.1%로 꾸준히 증가
하였다.
• 2013년 기준, 유소년인구(0~14세) 100명당 65세 이상 고령자가
62(62.1)명으로, 3년 전인 2010년 50(49.9)명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표 10] 2010~2013년 안양시 노령화지수
구분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65세 이상 49,014 50,587 52,893 54,474
0~14세 98,206 95,848 91,689 87,760
노령화지수 49.9 52.8 57.7 62.1
단위 : 명
1 - 2. 안양의 시니어 복지기관 현황
가. 노인복지시설 종류
[표 11] 노인시설의 종류
종 류 시 설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 노령화지수는 (65세 이상 인구/14세 이하 인구x100)으로 산출하여 일반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9 2015-03-07 오전 1:45:43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경 로 당
노인교실
재가노인복지시설
방문요양 서 비 스
주·야간 보호 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 서비스
재가노인 지원서비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보호 전문기관
*시설의 종류(노인복지법 제31조), 부록 삽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0 2015-03-07 오전 1:45:43
5150
나. 노인여가복지시설
• 안양시에 소재하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노인교실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설립 시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안양시 31개동 전체에 경로당은 244개소, 노인교실은 4개소가 있다.
• 노인복지관은 재단법인 불교안양원에서 운영하는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과
안양시평생학습원에서 운영하는 <만안구 노인회관>과 <동안구 노인회관>이
있다.
• 노인복지관은 노인의 교양·취미생활·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정보 등 문
화 및 사회활동서비스와 건강증진·질병예방과 소득보장·재가복지 그밖에
노인 복지증진에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경로당은 지역노인들이 자율적으로 친목도모, 취미활동, 공동작업장 운영
및 각종 정보교환과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된 형태로 각 노
인지회에서 지원한다.
• 노인교실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전한 취미
생활, 노인건강유지, 소득보장 및 기타 일상생활과 관련된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노인대학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표 12] 2006~2013년 노인여가복지시설 변화
구 분
합 계 노인 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시설수 시설수 종사자수 시설수 시설수
2006 222 3 - 216 3
2007 230 3 - 225 2
2008 232 3 - 227 2
2009 239 3 - 234 2
2010 244 3 - 239 2
2011 246 3 - 241 2
2012 248 3 15 243 2
2013 251 3 18 244 4
단위: 개소, 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1 2015-03-07 오전 1:45:43
2. 안양 시니어 7인의 일상과 욕구
2 - 1. 조사 개요
• 안양 시니어들의 다양한 삶의 탐색을 위해서 안양 내 거주지, 거주기간, 성
(性), 고령화시기가 다른 시니어 7명을 선정,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 여기서는 각 시니어들의 생애사 자체에 주목했다기보다는 이들의 월간, 일간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여 문화적 욕구와 역량을 파악하는 것과 지역에 대한
인식, 노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표 13] 안양 시니어 심층면접 조사대상
이름 성별 나이 거주지 안양 거주 기간 주요 사회적 활동
이OO 여 64세 만안구 석수동 30년 (1984년 이주)
동네통장,
APAP 유급 도슨트
손OO 남 71세 만안구 안양9동 47년 (1967년 이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여OO 여 69세 동안구 평안동 31년 (1983년 이주) 한국무용, 자원봉사
장OO 남 82세 만안구 안양3동 36년 (1978년 이주) 스포츠 댄스
방OO 남 67세 만안구 석수2동 34년 (1980년 이주) 밴드, 공연봉사활동
변OO 여 55세 만안구 석수1동 27년 (1987년 이주) 준고령자
오OO 남 77세 만안구 안양6동 77년 (토박이) 전직 시의원, 하모니카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2 2015-03-07 오전 1:45:43
5352
2 - 2. 인물별 일상과 욕구
1) 이OO
1984년 서울을 벗어나 넓은 수도권의 집을 구하기 위해 안양으로 이주,
41~55세까지 S전자 안양영업소에서 계약직으로 재직하였다. 2005년 퇴직 후
우울감을 이기고자 노인복지관에서 식사봉사를 하다가 더 의미 있는 자원봉사를
찾는 중에 2007년 APAP 도슨트 모집공고를 보고 지원했다. 2010년 유료
도슨트로 전환되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한가할 때는 주로 집에서 뜨개질을 한다. 댄스스포츠를 추러 다녔지만, 허리
수술 이후에는 그만두었다.
- 햇볕이 좋은 날은 관악역에서 경인교대 안양캠퍼스까지 40여분을 걷는다.
- 친구들을 만날 때는 평촌 시내에서 밥을 먹고 영화를 보는 편이다. 사적인
친구들과는 주로 저녁에 만나서 저녁식사를 함께 하고, 좋은 영화가 있을
때는 낮에 만나서 영화를 본 후 저녁을 먹는다.
- 사적인 친구는 학교 동창이 아니라, 딸의 초등학교 때 만났던 학부모들이
며 2개월 1회 모인다.
- 봉사센터에서 알게 된 친구들은 각자 바빠서 일이 있거나 봉사가 있을 때
만 만난다.
- APAP 도슨트는 1개월 3~4회, 관악수목원 안내봉사는 1개월 1회 활동한다.
- 동네 통장을 맡고 있는데 1개월 2회 회의에 참석하고 주민들에게 민방위
통지서 등을 전달한다.
- 평촌 오피스텔 관리단 책임자로 1개월 4회 방문한다.
• 욕구 및 관심사
-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용돈도 벌기 때문에 지금은 행복하기만 하다.
- 꾸준히 일하기 위해서 꾸준히 공부하고 있다.
- 영화, 그림, 사물 등에 관심이 많다.
- 처음엔 예술이 어려웠지만 차츰 내 자신과 예술이 하나됨을 느끼고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3 2015-03-07 오전 1:45:43
예술은 영혼을 맑게 해준다고 믿는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처음 안양에 왔을 때 삭막한 회색빛이었으나, 지금은 제2의 고향이다. 어디
에 무엇이 있는지, 어디에 가면 그 물건이 저렴한지 구석구석 다 알고 있다.
- 안양예술공원 둘레길 조성에 반성하는 이유는‘자연스럽지 않아서’이다.
<거울미로>라는 작품에 주변 풍경이 비춰 보일 때 딱딱한 인공바닥은 어울
리지 않다고 생각해서 민원을 넣었지만‘양해해 달라’는 답변만 받았다.
이런 결정은 시민들에게 물어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4 2015-03-07 오전 1:45:43
5554
도보로 안양예술공원 출근 1시간
기상, 오전 외출준비 2.5시간
안양APAP도슨트(1회) 1.5시간
점심시간 1시간
안양APAP도슨트(2회) 3시간
도보로 안양예술공원 퇴근 1시간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 3시간
휴식3시간
취침 및 수면
7.5시간
휴식3시간
취침 및 수면
7.5시간
AM 08:30
PM 18:00
PM 12:00
[그림 2] 이OO 어르신의 일과표
*
와 사회활동시간표
**
* 일주일 일과 중, 제일 활동적인 날의 일과표를 24시간으로 작성한 결과이다.
** 사회활동시간은 본격적인 활동시간과 함께 이동시간, 온라인카페관리, 모임시간 등을 포함했다.
도보로 안양예술공원출근 1시간
기상, 오전 외출준비 2.5시간
안양APAP도슨트(1회) 1.5시간
점심시간 1시간
안양APAP도슨트(2회) 3시간
도보로 안양예술공원 퇴근 1시간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 3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5 2015-03-07 오전 1:45:43
2) 손OO
1967년 삼덕제지에 입사하며 안양으로 이주, 30년 재직하여 1987년 정년퇴직
하였다. 이후 생명보험설계사 활동을 하다가 그만두고 현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스마트알림단 활동을 하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스마트알림단 사업이 있는 오전에는 9시부터 교육 및 외부활동을 하고 없
는 날은 오전에 동네 공원에서 1시간 가량 운동 후 11시경에 복지관에 나
와서 점심을 먹은 후 오후에 약 2~3시간 정도 헬스운동을 한다. 오후 3시
경에 걸어서 안양 시내를 나가거나 중앙시장을 한 바퀴 돌며 아는 사람을
만나면 이야기를 나누고 간단히 대포 한 잔을 마신다. 보통 오후 6시경에
귀가한다.
-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과 자택은 약 4~5km 떨어져 있다. 아침에 올 때는
걷기에는 먼 편이라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오후에는 가끔 집 방향으로 걷는다.
- 귀가 후, 저녁식사 후 휴대폰으로 게임을 하면서 쉬다가 오후 10시경 취침한다.
- 정기모임으로 협심회, 정심회, 협심산악회, 삼덕제지 동료들과의 모임 등
이 있다. 산악회 모임은 월 1회인데 되도록 참석하는 편이다.
• 욕구 및 관심사
- 젊을 때부터 운동을 좋아하여 관람하거나 직접 하는 것을 즐겼다. 따라서
다른 문화예술프로그램보다 헬스를 하는 것과 여유롭게 하루 일과를 보내
는 것이 만족스럽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을 제2의 고향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주민들을 고려하지 않은 재개
발은 반대하는 입장이다.
- 안양의 공공시설 등에 노인 편의시설은 잘 되어 있는 편이라고 생각한다.
- 평촌 신도시는 쓸쓸해보이고 친근감이 없어서 딴 동네 같다. 평촌은 안양
같지 않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6 2015-03-07 오전 1:45:43
5756
기상, 오전운동, 외출준비 3시간
스마트 알림단 활동 3시간
점심식사 1시간
헬스운동 2시간
귀가하면서 동네산책 마실 3시간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휴식 3시간
취침 및 수면
6시간
AM 09:00
PM 12:00
PM 18:00
휴식 3시간
취침 및 수면
6시간
[그림 3] 손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기상, 오전운동, 외출준비 3시간
스마트 알림단 활동 3시간
점심식사 1시간
헬스운동 2시간
귀가하면서 동네산책 마실 3시간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7 2015-03-07 오전 1:45:44
3) 여OO
1970년 남편의 전근으로 인해 부산에서 군포 당정동으로 이주했다가 1983년
호계1동 아파트로 이사했다. 계속 동안구 안에서 이사를 다녔으며 1990년대 초,
평촌 아파트에 당첨되어 그 때부터 계속 살고 있다. 50대 후반까지 노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공장, 청소도우미, 야쿠르트 배달 등의 직장생활을 했으며 전자
회사 공장에서는 라인 반장을 하기도 했다. 노후자금이 어느 정도 모였다고 생
각해서 직장을 그만두고 자원봉사와 취미활동에 전념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일주일 중 이틀은 오전 9시~정오 12시까지 만안구 소재의 어린이집 두 곳
에서 예절교육강사로 활동하고, 하루는 한림대학교병원 자원봉사를 한다.
- 일주일 중 이틀은 오후 1시 30분부터 4시까지 평안파출소 어머니방범 자
원봉사활동을 한다.
- 일주일의 이틀은 평생학습원에서 한국무용과 우리춤 체조를 배우며, 강습
이 끝난 후 공연봉사 연습을 한다. 강습시간과 연습시간을 합치면 5~6시간
정도이다.
- 오전·오후 스케줄이 없는 날은 주로 개인적인 일을 보거나 휴식을 갖는다.
- 토요일은 집에서 쉴 때도 있고 가끔 남편과 산행을 한다. 일요일은 남편과
맛있는 음식을 해 먹거나 아들 가족을 불러 외식한다.
- 점심식사는 보통 집에 다시 가서 남편과 함께 먹는다. 평소에 남편은 자유
공원으로 장기를 두러 나간다.
• 욕구 및 관심사
- 10여년 넘게 봉사를 하는 이유는 내가 건강하고 무엇인가 할 수 있을 때
남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 예전엔 조조영화를 자주 보러 다녔는데, 요즘엔 바빠서 보러 갈 시간이 없다.
- 집에 있으면 병나는 사람이라 옛날부터 활동하는 것을 무척 좋아했다. 어디든
가면 배울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 무엇이든 보러 자주 다니려고 노력한다.
- 막내로 자라서 아기 보는 것을 워낙 좋아한다. 항상 아기들과 놀고 싶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8 2015-03-07 오전 1:45:44
5958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은 제 2의 고향이다. 부부 모두 노년을 계속 보낼 생각이다.
- 여기가 제일 살기 편안하고 좋은 동네라고 생각한다.
-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는 4번째 넣어서 당첨되었는데 그 기쁨이 아직도 남아 있다.
기상, 오전 외출준비 2시간
예절교육 3시간
집으로 이동 1시간
예절교육강사(어린이집 출근) 1시간
점심식사 후 휴식 2시간
우리춤 체조 수강 2시간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3시간
휴식 3시간
수면
7시간
[그림 4] 여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AM 08:00
PM 12:0
PM 17:00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3시간
휴식 3시간
수면
7시간
기상, 오전 외출준비 2시간
예절교육 3시간
집으로 이동 1시간
예절교육강사(어린이집 출근) 1시간
점심식사 후 휴식 2시간
우리춤 체조 수강 2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9 2015-03-07 오전 1:45:44
4) 장OO
전남 고흥 태생으로 30여년 전 안양으로 이주했다. 19살 가장이 되어 농사를
짓다가 1978년에 서울 독산동으로 올라왔다. 7년간 맡은 동네 통장 업무가 기
회가 되어 서울시내 S구청에 기능직으로 입사하여 61세에 정년퇴직 후, G자동차,
아파트 경비를 11년간 했다. 하지만 70세가 넘자 구조조정을 당해서 그만두었다.
1개월 전 뇌출혈을 일으켜 투병 중이며 아들내외와 손자, 손녀 5명이 대가족을
이뤄 살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뇌출혈 발병 이후 집 앞 놀이터(공원)에서 바람을 쐬러 나간다. 항상 단정
한 모습을 유지하고자 깨끗한 와이셔츠에 정장을 입고 나간다.
- 가장 멀리 가는 게 삼덕공원이다. 공원에서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햇살을
쐬는 게 최고의 낙이다.
- 집 앞 놀이터 인근에는 중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 곳에서 중국
인 친구들을 사귀어, 중국에 대한 지식이 많다.
• 욕구 및 관심사
- 발병 전에 4년간 안양 1동, 4동, 5동, 만안구 노인회관 등을 매일 돌며
1시간 30분씩 스포츠댄스를 수강했고 남부시장 콜라텍에도 종종 나갔다.
- 아프기 전에는 날렵했고 이야기도 재미있게 해서 남녀 할 것 없이 사람이
따랐는데 이제는 기억도 희미하고 지팡이가 없으면 걷지 못한다.
- 아픈 것이 빨리 나았으면 좋겠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10여 군데 이상의 셋방살이를 전전하다가 30년 전에 돈을 조금 모아 집값
이 싼 안양으로 이사를 했다. 그 시절만 생각하면 서럽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0 2015-03-07 오전 1:45:44
6160
점심식사 1시간
기상, 오전휴식 5시간
집앞 놀이터, 삼덕공원산책 5시간
휴식 6시간
수면
6시간
[그림 5] 장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휴식 6시간
수면
6시간
PM 12:00
PM 17:00
점심식사 1시간
기상, 오전휴식 5시간
집앞 놀이터, 삼덕공원산책 5시간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1 2015-03-07 오전 1:45:44
5) 방OO
고향은 충청도 예산. 광명에서 살다가 회사가 부도가 나서 1980년 안양으로 이
주해 설비 일을 시작했다. 석수 2동에서만 30여 년간 사업을 했으며 아직 은퇴
전이다. 60살에 밴드를 시작해서 회사가 위치한 건물 제일 위층에 연습실을 만
들었다. 지역문화 활성화 프로젝트, 공연봉사 등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은퇴 전이기 때문에 오전 9시 출근, 오후 7시 퇴근한다. 회사 대표라서 낮
시간은 비교적 자유롭다.
- 공연 자원봉사, 초청공연은 성수기 때 1개월 5~6회, 비수기 때 1개월
1~2회 간다.
- 평소에 음악봉사공연과 행사에 쓰는 시간이 제일 많다. 행사 관련한 미팅
을 해야 하고 연습하고 장비 수리도 해야 한다.
• 욕구 및 관심사
- 밴드활동, 공연할 때가 제일 행복하다. 내 건강이 허락할 때까지 내가 하
고 싶은 밴드활동을 꾸준히 하며 살고 싶다.
- 여가시간이 생긴다면 부인과 휴양을 목적으로 여행을 가고 싶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에서 이주하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다. 다른 곳에 이사를 했다가도 다시
돌아왔다. 내 평생 안양을 절대 뜨고 싶지 않다.
- 평촌이 안양보다 살기 좋다고 하지만 전혀 못 느낀다. 이 동네는 거의
토박이가 살고 있고 나도 30여년 간 살고 있기 때문에 평촌으로 가서 살 수
있을지 모르겠다.
- 평촌을 안양이라고 인식하지만 심리적으로 멀다고 느낀다.
- 안타깝게도 안양은 서울 주변 도시 중 문화관련 정책 실행은 다소 늦는
느낌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2 2015-03-07 오전 1:45:44
6362
기상,출근준비 2시간
공연준비 1시간
오전공연 2시간
업무(대표결재) 1시간
공연장비 철수 1시간
점심식사 1시간
공연장소 이동 및 준비 2시간
저녁식사 겸 뒷풀이 2시간
오후 공연 3시간
귀가 후 휴식
2시간
수면
7시간
[그림 6] 방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AM 10:00
PM 12:00
PM 20:00
PM 22:00
귀가 후 휴식
2시간
수면
7시간
기상,출근준비2시간
공연준비 1시간
오전공연 2시간
업무(대표결재) 1시간
공연장비 철수 1시간
점심식사 1시간
공연장소 이동 및 준비 2시간
저녁식사 겸 뒷풀이 2시간
오후 공연 3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3 2015-03-07 오전 1:45:45
6) 변OO
남편이 사업에 실패해서 1987년 안양으로 이주했다. 석수3동에서 17년간 반찬
가게를 했고 3년 전 가게를 그만두었다. 직후 건강에 무리가 생겨 1년간 쉬었다.
쉬는 동안 영어와 컴퓨터를 배웠고 2년 전부터 개인 프리랜서 성격을 띤 네트워
크 사업을 하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오전 10시부터 사업을 시작하여 오후 3시경에 마감하며 오전, 오후시간에는
집안일, 컴퓨터 오락 등을 하고 휴식을 취한다.
- 오후에 친구 모임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리 늦어도 오후 8시까지는 귀가하
는 편이다.
- 친구는 고향친구가 아니라, 학부형으로 만난 사이이며 함께 관악산 산행
을 가거나 해외여행을 간다.
- 지난 몇 년간 집 근처에 주말농장을 했다.
• 욕구 및 관심사
- 2년 후, 남편이 은퇴하면 전원주택을 짓고 텃밭에 농사를 지어서 자녀들
에게 공수해주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다.
- 생애 마지막에는 실버타운에 들어가 살 예정이다. 건강 관련해서 케어를
해주니까 자녀들도 걱정이 없다. 꾸준히 준비할 예정이다.
- 노년에 내가 가진 것 나눠주고 도와주고 봉사할 수 있으면 좋겠다.
- 네트워크 사업이 성공해서 가계에 보탬이 되고 다른 엄마에게 희망이 되길
바란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이사를 가고 싶은 생각은 없는데 자녀들이 옮기기를 원한다. 본인은 교통
좋고 산도 있어서 여기가 살기 편하고 생각한다. 자녀들이 출가하면 그냥
여기 안양에서 사는 게 좋다.
- 1990년대 자녀들이 자랄 때 평촌이 교육열이 세져서 아이들 교육시키기
좋았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4 2015-03-07 오전 1:45:45
6564
네트워크 사업 5시간
기상, 오전 집안일 3시간
오후 집안일 저녁준비 3시간
친구 저녁모임 3시간
휴식 3시간
수면
8시간
[그림 7] 변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휴식 3시간
수면
8시간
AM 10:00
PM 15:00
PM 20:00
- 안양에서 사는데 불편함이 없어서 친동생들을 안양으로 이사 오라고 권해
이사를 했고 동기간 다섯 명이 모두 근처에 모여 산다.
- 평촌은 매우 가깝다. 전혀 부담 없이 다니고 있다.
네트워크 사업 5시간
기상, 오전 집안일 3시간
오후 집안일 저녁준비 3시간
친구 저녁모임 3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5 2015-03-07 오전 1:45:45
7) 오OO
대대로 안양에서 살아온 토박이로 관양동에서 태어나 꾸준히 살다가 결혼 후
90년대에 비산동에서 살았고 2000년 즈음에 다시 만안구로 옮겼다. 언론사
기자생활 28년 후,수도권 인근 언론사의 대표를 역임하였다. 지방자치제 실시
시작된 1988년부터 8년간 안양 시의원 2선의 의정활동을 했다. 취미로 하모니
카를 불기 시작하여 7년째 활동 중이며 장애인복지관에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직접 하모니카를 가르치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일주일의 이틀은 하모니카 동호회와 마술동호회 모임에 참여한다. 그 외
오후 시간은 주로 원로회 사무실에 마작 등의 오락을 즐긴다.
- 화, 목, 금요일은 주로 고향친구인 학교 동창들을 1~2명씩 만나는 날이다.
밥도 먹고 놀러 다닌다. 낮에 대공원, 등산을 하고, 마작을 하기도 한다.
- 오후 6시 경에 귀가하며 관련 활동의 온라인 카페 시삽을 맡아 매일 저녁
시간에 직접 관리한다.
- 관양국민학교, 안양중학교 동창회(동창회는 1년에 2회), 고향친구들끼리
모임 2개(이 중에 여행클럽 3개월 1회), 컴퓨터를 같이 배운 사람들과
6년째 3개월 1회씩 모인다.
• 욕구 및 관심사
- 내 철학은‘오늘이 있어야 행복하다’이다. 더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게 행
복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삶에 만족하자.
- 70대가 되고난 후부터는 조금 무리하면 피곤이 온다. 누구한테 야속한 이
야기를 들으면 섭섭하다. 예전엔 그렇지 않았다. 지금은 감수성이 예민해
지고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의욕이 상실된다. 신체
적인 면도 그렇지만 무엇을 알아보고 싶은데 상대가 너무 어린 세대라서
교류가 힘들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과 평촌은 같은 도시이다. 평촌이 개발되고 난 후에 온 사람들은 본도심을 구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6 2015-03-07 오전 1:45:45
6766
(舊) 도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문화도시를 만든건 구(舊)도시 사람들이다.
- 동편마을에서 나오는 도로망과 관련 개발이득금이나 문화시설 등을 만안과
평촌으로 균형있게 세웠으면 좋았을텐데 안타깝다.
- 공해가 없는 벤처기업이 안양에 한 군데 정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림 8] 오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기상, 외출준비 3시간
복지관 하모니카 봉사 15시간
귀가 및 점심식사 15시간
안양원로회청소 및 관리 1시간
오락,마작 즐기기 3시간
휴식 3시간
저녁식사 1시간
마술동호회 모임 2시간
온라인카페관리 2시간
수면
6시간
AM 10:00
PM 19:00
PM 22:00
휴식 3시간
수면
6시간
기상,외출준비 3시간
복지관 하모니카 봉사 15시간
귀가 및 점심식사 15시간
안양원로회청소 및 관리 1시간
오락, 마작 즐기기 3시간
저녁식사 1시간
마술동호회 모임 2시간
온라인카페관리 2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7 2015-03-07 오전 1:45:45
3. 안양 시니어의 주요 거점과 주요 활동
3 - 1. 조사 개요
	
• 안양에 사는 시니어들의 행동패턴, 관심사, 대화방식, 여가 및 오락, 사회적
관계, 관계에 대한 기대와 요구 등 일상과 문화적 욕구를 살펴보고자 안양
내 시니어들의 주요 거점을 선정, 조사하였다. 노인복지시설에서는 이용행
태와 프로그램 선호도, 대상이 다른 시설별 노인들의 욕구 등에 주목하였고
공공공간에서는 시니어들의 이용형태, 다른 세대와의 접촉 및 관계에 주목하
였다.
• 안양 내 대체적인 지형 파악을 위해 시니어들이 많이 모이는 노인복지시설,
평생학습시설, 공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사전 답사를 진행했다.
- 노인복지시설 3곳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만안구 노인회관, 동안구 노인
회관)
- 안양시평생학습원
- 보훈회관
- 공원 3곳 (중앙공원, 자유공원, 삼덕공원)
- 안양대교 밑(안양천)
• 최종 조사대상으로 노인대상 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양시노인종합복
지관, 각 구 단위의 노인복지시설을 대표하는 만안구 노인회관, 동안구 노인
회관 등 노인복지시설 3곳과 여러 세대가 함께 이용하는 자유공원, 삼덕공원
등 공공 공간 2곳을 포함하여 5곳을 우선 선정하였다. 이후 이용 노인의 특
정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독거노인 공동생활가정 안양카네이션하우스와
마을 단위의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율목종합사회복지관 내 경로당을 추
가 선정하였다.
• 선정된 거점 총 7곳을 1~4회 내외로 방문하고 참여관찰 후 이용자 및 관계
자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8 2015-03-07 오전 1:45:45
6968
[표 14] 안양시 시니어 활동 거점 조사목록
구분 이름 성격
방문횟수
/참여관찰시간
노인
복지시설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노인여가복지시설 4회 / 10시간
안양시 만안구 노인회관
노인여가복지시설
평생학습원 위탁운영
3회 / 2시간
안양시 동안구 노인회관
노인여가복지시설
평생학습원 위탁운영
4회 / 6시간
안양카네이션하우스 법적규정 없음 1회 / 4시간
경로당
(율목종합 사회복지관 내)
노인여가복지시설 1회 / 3시간
공공 공간
(오픈스페이스)
자유공원 근린공원 3회 / 8시간
삼덕공원 근린공원 4회 / 10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9 2015-03-07 오전 1:45:45
3 - 2.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활동
1)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가. 개요
일반현황
- 설립: 안양시
- 운영주체: 재단법인 불교안양원
- 설립연도: 2000. 05. 16
- 위치: 동안구 경수대로 665번길 74-30(호계2동 314-3)
- 규모: 대지 4,501㎡(1,362평) 건물 3,161㎡(958평) 본관/별관/신관 3개동
- 직원수: 51명
시설물 현황
- 본관 B1: 보일러실, 기계실
1F: 사무실, 안내실, 강의실, 관장실, 카페
2F: 거실, 특별거실, 휴게실, 주간보호거실, 목욕실, 사회복지사실,
스마트힐링센터, 심리이완통합치료실, 물리치료실
3F: 강당(여가활동실), 이·미용실, 강의실, 노인종합상담실, 서고
- 별관 1F: 장기바둑실, 2F: 자원봉사실, 3F: 컴퓨터실
- 신관 B1: 강의실, 기계실, 전기실, 발전실 1F: 식당, 조리실
2F: 체력단련실, 탈의실, 샤워실 3F: 강당, 방송실 옥상: 텃밭
이용객 현황
- 안양시 거주 중인 만 60세 이상 이용
- 전체등록회원 : 9,202명 (남자 3,912명 (42.5%) / 여자 5,290명 (57.5%))
(2014년 1월 31일 기준)
- 하루 식사이용객 : 350명
- 2014년 10월말 현재 회원 수: 9,484명 (남 4,046명 / 여 5,438명)*
*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에 등록한 누적 회원 수이다. 복지관 회원으로
등록해야 프로그램 수강 및 일자리 사업 등에 참여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사망, 전출 등의 확인
이 어려워 현재 복지관을 실제로 이용하는 노인 수와는 차이가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0 2015-03-07 오전 1:45:46
7170
특이사항
- 민간재단법인이 운영하고 있어서 재직자 모두 재단법인 직원이며 자율성이
높고, 젊은 복지사의 비율도 높은 편임.
- 복지관 자체 3년에 1회, 요구조사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시행.
주변 현황
- 호계 근린공원 내부에 위치하며, 주변은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으며, 호계
중학교, 안양실내게이트볼장, 안양호계체육관과 인접
- 지하철 1호선 명학, 금정역과 4호선 범계역에서 자동차로 약 10여분 거리
- 대중교통 이용 시에는 인근 푸른 마을 삼성래미안 쪽으로 걸어서 올라올 수
있는 출입구가 있음
나. 프로그램
*
및 이용현황
• 평생교육 프로그램‘해울’
-‘해울학교’라는 이름의 강좌형 기본 교육 프로그램이 3개월 단위, 총 4
학기제로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 무료강좌이나 회원들의 요구에 의해 개
설된 유료강의도 있다. 한국어와 외국어, 산수 등의 기본학습과 건강, 컴
퓨터 외에 취미교실 형태의 문화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다.
- 프로그램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이용자대표자모임‘해울리더스
클럽’에서 매월 1회의 회의를 열어 프로그램 제안, 강의평가 등을 한다.
해마다 교육 결과 발표 및 공유의 장으로‘해울 큰잔치’도 열린다.
- 해울체육대회는 2년에 1회 열리며 시니어들의 참여가 매우 적극적이다.
시니어들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이어달리기, 풍선 굴리기, 박 터뜨리기
등의 종목을 겨루며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의료진이 대기한다. 또 노
인들과 같은 속도로 옆에서 함께 뛰는 러닝메이트 자원봉사자 등을 배치하
여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 올해 창단 10주년을 맞은 해울합창단(3개월 15,000원, 유료프로그램)은
*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사업 중, 복지 위주의 서비스사업은 제외하고 문화적 접목이 가능한 사업
위주로 재분류하였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1 2015-03-07 오전 1:45:46
복지관 내에서 자발적, 지속적 활동을 하는 대표적인 동호회로 호평을 받
고 있으며 오랜 공연활동으로 인해 공연기획에 관심을 가져 그 결과‘공연
기획 해울’이 파생되었다.
-‘공연기획 해울’은 평소 노인들이 접하기 어려운 문화공연 소개를 목적
으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지난 8월, 첫 기획공연을 복지관 내에서 개최한
바 있다.
- 시니어들의 자발적인 기획으로 2014년 10월 해울벼룩시장이 처음 개최되
었다. 본인 기증품을 직접 판매하거나 자원봉사 시니어가 협찬품을 판매하
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판매액은 해울체육대회 예산으로 활용하였다.
- 해울벼룩시장 내 판매는 자원봉사 시니어와 복지사가 배치되어 도우며,
노인 판매자보다 복지사가 더욱 적극적으로 판매를 위해 노력한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2 2015-03-07 오전 1:45:46
7372
학
습
교
육
과목 반별
운
동
및
건
강
교
육
과목 반별
문
화
및
예
술
교
육
과목 반별
컴
퓨
터
교
육
과목 반별
영어
탁구
초급
서예
Ⅰ
컴퓨터
초급
생활회화 중급 Ⅱ 중급
산수
우리춤
체조
초급 Ⅲ
태그&스위시
기초(유)
한글 중급 Ⅳ
스위시응용&
동영상(유)
한문
요가
Ⅰ
문인화
Ⅰ 인터넷 활용
일어 Ⅱ Ⅱ 디카 활용
태극권 오카리나(유) 포토샵
단전호흡(유) 실버밴드
태권도 하모니카
실버체조(유) 통기타
신바람
건강교실(유)
사물놀이
GX
(그룹
운동)
1반 가요
2반 난타
3반 라인댄스(유)
고전무용
웰빙댄스(유)
합창(유)
[표 15] 해울학교 프로그램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3 2015-03-07 오전 1:45:46
• 지역연계 및 세대교류 프로그램
- 경로당 활성화 사업 중 하하 1·3동체는 안양지역 경로당과 어린이집을
연계하여 레크리에이션·다도·떡 만들기 등의 여러 체험을 통해 1세대와
3세대 간 교감과 소통을 이끌어내는 경로당 지원서비스이다. 어린이집의
경우 이동거리와 외부활동에 대한 안전사고의 부담감이 있어 하나의 건물
내 경로당과 어린이집이 함께 있는 2개 경로당(평촌 한가람신라아파트 경
로당, 호계3동 대림경로당)에서 진행 중이다.
- 비정기적으로 열렸던 프로그램은 부흥중학교 요리 동아리가 경로당을 돌
면서 노인들에게 요리를 해주고 말벗을 해주기도 했으며 인덕원중학교 댄
스동아리에서 인근 경로당에 방문하여 댄스 공연을 하기도 했다.
- 자원봉사 프로그램 사업으로 만안청소년수련관과 연계하는 1·3세대 통
합 프로그램‘세대공감’은 방학기간 중 일주일동안 청소년과 노인이
1:1 짝을 지어 둘이서 함께 음식을 만들거나 게임을 하며 세대 간극을 좁
히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가지는 프로그램이다.
• 자원봉사 및 일자리 프로그램
- 도미솔 봉사단 : 노인종합복지관 내 일반 자원봉사동아리와 전문 자원봉
사동아리의 네트워크이다. 자원봉사동아리는 자원봉사활동에 관심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이라면 누구나 참여가능하며 상담과 교육을 거쳐 일반
자원봉사활동을 하거나 전문 자원봉사동아리(Silver Star Net) 활동을
하게 된다.
- 일반 자원봉사로는 교통안전지킴이, 독거노인 밑반찬 배달, 도담도담 지
킴이(놀이터 안전관리), 요양원 및 보호작업장 업무 지원 등이 있고 전문
자원봉사동아리에는 파란꿈지킴이(아동대상 인형극 공연), 풍계묻이(요양
원 노인과 N.I.E.활동), 다솜바리스타(바리스트 활동지원), 해울학교 강
사 지원 등이 있다.
- 2014년 6월에는 계원예술대학교 봉사동아리‘모락하노’와 연계하여 노
인 2인 1조로 전래동화를 녹음하고 인형을 제작하여 시각장애 아동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 일자리사업은 안양시 거주 만 65세 이상의 기초노령연금 수급자를 대상으
로 한다. (일부 사업의 경우 만 60세 이상, 기초노령연금 미수급자도 가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4 2015-03-07 오전 1:45:46
7574
능) 연 9개월 동안 월 20~40시간을 활동하며 월 20만원의 활동비를 제공
한다. 공익형, 복지형, 교육형 일자리 사업으로 구분된다.
- 안양시니어클럽은 2008년부터 운영하였으며 시니어들이 노동시장에서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소규모 창업을 지원하거나 업체로의 취업
을 연계하는 노인일자리 창출 전담기관이다. 급여는 시간당 최저임금으로
책정되며, 제조판매(택배/ 도시락, 커피 비누 제조 및 판매), 공동작업(부
품조립, 작물재배) 인력파견(경비, 미화, 실버단역배우) 등의 일자리가 마
련되어 있다.
다. 시니어 이용 특징
• 프로그램 이용
-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빠짐없이 복지관에 나와 거의 모든 강좌를 듣는 회
원도 있고, 10년 이상 이용하는 시니어들도 다수이다.
- 매월 교양강좌도 열리고 있으나 강의형 강좌의 참석율은 저조하고 공연 등
행사형 강좌는 참석율이 높은 편이다. 정보에 관한 호기심은 있으나 공연
등의 볼거리에 비해 적극적으로 소구하지 못하는 편이다. 반면에 인문학
강의 내 최신 트렌드(ex.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로 접근하면 호응이 높다.
- 결과발표에 대한 시니어들의 욕구가 커서 참여 프로그램 중 1개 과정만 선
택하여 발표회에 참여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 2014년 첫번째 열린 해울벼룩시장에는 수업이 없는데도 일부러 방문한
시니어들, 매 수업시간이 끝나고 모여들어 구매하는 시니어들 뿐 아니라
일반 지역주민들도 고객으로 참여했다.
- 염색약 등 시니어에게 특화된 물건의 구매가 활발했다.
• 공간이용
- 장기·바둑실, 체력단련실, 컴퓨터실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
도록 상시적으로 개방하고 있었으며 곳곳에 놓인 바둑판에서 바둑을 두는
노인들을 자주 볼 수 있었다.
- 1일 350명의 식사를 제공하는 식당은 회원에게 1천원에 점심을 제공한
다. 보통 오전 11시부터 줄을 서서 기다리며 남성들은 개별적으로, 여성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5 2015-03-07 오전 1:45:46
들은 친한 사람들이 모여 식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 본관 1층 커피숍인‘다락방 카페’는 시니어클럽에서 바리스타 교육을 받
은 노인들이 근무한다. 오후 시간대에 비교적 연령이 낮은 시니어, 외부
손님들이 주로 이용하며 테이블의 절반 정도가 찬다.
- 카페 내 700여권의 도서를 비치하여‘해울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책을 고르거나 앉아서 독서하는 이용자는 잘 볼 수 없었다.
• 기타
- 복지관에서는 서로를‘할머니’,‘할아버지’라고 부르지 않고‘아줌마’
‘아저씨’의 호칭을 사용한다. 보통 90세가 넘은 노인에게‘할머니, 할아
버지’호칭을 쓰는데 공경의 의미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 자가 차량으로 이용하는 노인들도 많아서 주차장은 늘 만차(滿車)이지만,
이용자들끼리 잘 소통하여 주차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 복지관 내에 공인된 두 쌍의 커플이 있다. 하지만 복지관 내에서 전혀 내
색하지 않으나 안양 시내에서 간간히 복지사와 마주치는 비밀연애 커플도
있다.
,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6 2015-03-07 오전 1:45:46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
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
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NATURE 4EVER
 
Curriculum V
Curriculum VCurriculum V
Curriculum V
yudi hanafi
 
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
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
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
별일사무소
 
The Ultimate Image Of Success
The Ultimate Image Of SuccessThe Ultimate Image Of Success
The Ultimate Image Of SuccessNATURE 4EVER
 
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
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
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
TOPMESHAY
 
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
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
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Maqbool Ahmed
 
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
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
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Francis Raymond
 
5060 창업로드 최종
5060 창업로드 최종5060 창업로드 최종
5060 창업로드 최종
김 유정
 
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
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
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
은성 서
 

Viewers also liked (10)

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
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
White Americans The Future Minority
 
Curriculum V
Curriculum VCurriculum V
Curriculum V
 
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
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
서울 속 마을여행 '광희문 달빛로드 스토리 자원조사'
 
C.pdf4
C.pdf4C.pdf4
C.pdf4
 
The Ultimate Image Of Success
The Ultimate Image Of SuccessThe Ultimate Image Of Success
The Ultimate Image Of Success
 
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
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
Compare mesh top contract round bistro table finish hammered white size 36
 
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
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
Change Management Project (Army Welfare Trust)
 
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
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
Weststar Shipping-Job Appointment Letter
 
5060 창업로드 최종
5060 창업로드 최종5060 창업로드 최종
5060 창업로드 최종
 
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
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
디미컨레포트 비둘기조 서은성 도유진 정지수
 

Similar to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C.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SIMIN
 
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
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
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세형 이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Jeong Eun Kim
 
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1강 공유
1강 공유1강 공유
1강 공유dolmin
 
프로포절 특강(2013)
프로포절 특강(2013)프로포절 특강(2013)
프로포절 특강(2013)
경상북도노인보호전문기관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Seongho Park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Geum Ham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홍길 김
 
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
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
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
경상북도노인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프로포절 3.0
사회복지프로포절 3.0사회복지프로포절 3.0
사회복지프로포절 3.0
경상북도노인보호전문기관
 
There's no limit to longevity
There's no limit to longevityThere's no limit to longevity
There's no limit to longevity
Jahee Lee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여성환경연대
 
Dream card
Dream cardDream card
Dream card
Jongshik Jeon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
 

Similar to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노답이_탐방계획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2 복지세상 뉴스레터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현장지식 x 좋은연구> 대화 & 그 너머
 
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
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
따뜻한동행 복지사업 리포트(4~5월) 공유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2014 행복한우리마을 건강3.0 서비스디자인 - 경상북도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심형) - 보건복지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
 
1강 공유
1강 공유1강 공유
1강 공유
 
프로포절 특강(2013)
프로포절 특강(2013)프로포절 특강(2013)
프로포절 특강(2013)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도시재생대학 강의자료 사회혁신(김홍길)
 
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
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
사회복지프로포절 특강(100% 선정되기)
 
사회복지프로포절 3.0
사회복지프로포절 3.0사회복지프로포절 3.0
사회복지프로포절 3.0
 
There's no limit to longevity
There's no limit to longevityThere's no limit to longevity
There's no limit to longevity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3호 (소식지, 2000)
 
Dream card
Dream cardDream card
Dream card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More from 별일사무소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
별일사무소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별일사무소
 
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
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
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
별일사무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별일사무소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별일사무소
 
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
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
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
별일사무소
 
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
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
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
별일사무소
 
Betty's korea toxic tour
Betty's korea toxic tourBetty's korea toxic tour
Betty's korea toxic tour
별일사무소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
별일사무소
 
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
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
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
별일사무소
 
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
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
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
별일사무소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
별일사무소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
별일사무소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
별일사무소
 
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
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
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
별일사무소
 

More from 별일사무소 (15)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5기 창업팀 홍보 콘텐츠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활동노년 예술워크숍 및 대화모임 '노년을 준비하고 이해하다'
 
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
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
서울댄스프로젝트 2015 '춤추는 시민을 기록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
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
미세먼지 위험, 이대로 괜찮을까?
 
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
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
당신을 위한 마스크-팩 사용법
 
Betty's korea toxic tour
Betty's korea toxic tourBetty's korea toxic tour
Betty's korea toxic tour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
 
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
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
목소리로 읽는 신당동 2014ㅣLog In 신당ㅣ
 
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
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
가족, 친구, 이웃이 즐거워지는ㅣ품품박스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온라인 콘텐츠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인터뷰 레터ㅣ들음ㅣ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일하는 방식ㆍ문화개선 매뉴얼
 
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
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
생활 속 유해물질 가이드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간 문화교류 전략

  • 1. 안양시니어문화현황맵핑및세대간문화교류전략수립연구 비매품 9 791195 314874 03600 ISBN 979-11-953148-7-4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14 문화다양성 확산 을 위한 무지개다리 지원사업」 중 안양문화예술재단의‘오버 더 시니어 레인 보우’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습니다. 2014 안양‘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프로젝트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 간 문화교류 전략 수립 연구 연구보고서-150227-표지.indd 1 2015-03-05 오후 1:09:44
  • 6. 제출문 연구진 책임연구원 백현주 연구원 이초영 김유진 보조연구원 배혜리 유한회사 별일사무소 대표 이 초 영 (재)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귀하 결과보고를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안양 시니어 문화현황 맵핑 및 세대 간 교류 전략수립연구」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 2015-03-07 오전 1:45:37
  • 8.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_ 14 2. 연구내용 및 방법 _ 15 Ⅱ 시니어 문화의 이해 1. 시니어의 이해 1 - 1. 시니어의 개념 _ 20 1 - 2. 시니어에 대한 인식 _ 24 1 - 3. 고령화 시대의 시니어 _ 26 2. 시니어 문화와 문화 정책 2 - 1. 시니어 문화의 정의 _ 30 2 - 2. 시니어 문화 정책 및 사업 현황 _ 33 2 - 3. 시니어 문화 정책의 기본방향 _ 42 목차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 2015-03-07 오전 1:45:37
  • 9. Ⅲ 안양 시니어 문화 지도 1. 안양 시니어 현황 개요 1 - 1. 안양의 시니어 인구 _ 46 1 - 2. 안양시 시니어 복지기관 현황 _ 49 2. 안양 시니어 7인의 일상과 욕구 2 - 1. 조사 개요 _ 52 2 - 2. 인물별 일상과 욕구 _ 53 3. 안양 시니어의 주요 거점과 주요 활동 3 - 1. 조사 개요 _ 68 3 - 2.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활동 _ 70 3 - 3. 공공공간에서의 활동 _ 95 4. 안양 시니어 문화 지도 4 - 1. 일상 _ 101 4 - 2. 지역과의 관계 _ 103 4 - 3. 문화적 경험과 역량 _ 104 4 - 4. 노년에 대한 인식 _ 105 4 - 5. 정책 수요 및 기대 _ 110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8 2015-03-07 오전 1:45:37
  • 10. IV 세대 교류 관련 사례 분석 1. 관련 사례 개요 _ 114 2. FGI _ 117 3. 세대 공감 및 교류 시사점 _ 127 V 세대 교류 전략 수립 1. 정책과제 및 핵심전략 _ 132 2. 우선과제에 따른 주요사업 계획 _ 138 3. 세대 간 교류 시범사업 _ 142 부록 1. 안양 시니어 복지기관 현황조사 _ 158 2. 안양 시니어 인물별 활동 현황 인터뷰 면접 및 관찰 기록지 _ 168 참고문헌 154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9 2015-03-07 오전 1:45:37
  • 11. 표 목차 [표 1] 노인의 연령 범위 _ 23 [표 2] 한국노인의 자각연령 _ 23 [표 3] 부처별 시니어 문화 관련 주요정책사업 _ 34 [표 4] 2014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단위사업 현황 _ 36 [표 5] 2014 무지개다리 사업_주요사례 _ 39 [표 6] 시니어 문화관련 정책 사업 요약 _ 41 [표 7] 시니어 문화 정책이 다뤄야 하는 시니어 문화의 내용들 _ 43 [표 8] 2010~2013년 안양시 65세 이상 인구 계 _ 47 [표 9] 안양시 기초노령연금수급자 (2013년 기준) _ 48 [표 10] 2010~2013년 안양시 노령화지수 _ 49 [표 11] 노인시설의 종류 _ 49 [표 12] 2006~2013년 노인여가복지시설 변화 _ 51 [표 13] 안양 시니어 심층면접 조사대상 _ 52 [표 14] 안양시 시니어 활동 거점 조사목록 _ 69 [표 15] 해울학교 프로그램 _ 73 [표 16] 만안구 노인회관 교육프로그램 _ 81 [표 17] 동안구 노인회관 교육프로그램 _ 84 [표 18] 카네이션하우스 프로그램 및 지원 서비스 _ 87 [표 19] 삼덕공원 내 공간 이용행태 _ 97 [표 20] 자유공원 내 공간 이용행태 _ 99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0 2015-03-07 오전 1:45:38
  • 12. 그림 목차 [그림 1] 연구방법 및 과정 _ 17 [그림 2] 이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55 [그림 3] 손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57 [그림 4] 여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59 [그림 5] 장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1 [그림 6] 방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3 [그림 7] 변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5 [그림 8] 오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_ 67 [그림 9] 안양의 시니어 주요 거점 및 해당 활동 _ 107 [그림 10] 안양의 시니어 7인을 통해 본 시니어의 일상 활동 및 반경 _ 108 [그림 11] 안양 시니어 문화 관련 정책수요 및 기대 분석 _ 110 [그림 12] 거점공간 구축을 통한 시니어 담론형성 및 사업실행 _ 136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1 2015-03-07 오전 1:45:38
  • 15. 1. 연구배경 및 목적 가. 연구배경 •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무지개다리 사업’에 안양문화예술재단의‘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 - 세대 간 문화다양성 발굴 프로젝트’가 선정됨. • 고령화 사회가 고속화되는 가운데, 안양시는 원도심의 고령화 인구 비율이 더 높고, 신도심의 정주기간도 높아지면서 시니어 준비세대의 비율이 매우 높음. • 이에 따라 안양문화예술재단의 중장기 세대 간 교류를 위한 문화정책 기초작업 으로서 시니어를 이해하고 새로운 세대와의 교류를 위한 준비 작업이 필요함. 나. 연구목적 • 시니어의 문화적 권리를 바라보는 관점 재정리 - 그동안 우리는 시니어, 노인을 비생산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인식해왔으나, 이는 노인에 대한 직접적 경험 없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된 결과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4 2015-03-07 오전 1:45:38
  • 16. 1514 - 고령화가 제기하는 새로운 도전과 과제를 반영하는 시니어의 개념과 의미 제고 필요 • 안양시 시니어 문화의 이해를 위한 시니어 문화현황 조사 및 공유 - 2015년 이후 안양 시민의 대다수를 차지하게 될 시니어 및 준비세대 삶의 양상과 문화 향유 실태 등을 조사 - 다양한 정책수요와 기대를 충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공유 접근 성 향상 • 지역 세대 간 교류 문화환경 조성 및 지원을 위한 단계적 방안을 수립하여 향후 사업운영의 발판 마련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범위 • 시간 범위 : 2014년 현황 및 2015년 이후의 추진전략 제시 • 공간 범위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및 만안구 • 대상 범위 : 안양 거주 55세 이상 시니어 및 준비세대,이들을 중심으로 한 지역 내 사회문화적 관계들 나. 연구내용 안양 시니어 문화 현황 맵핑 • 시니어 문화에 대한 개념 및 관점 - 고령화 사회,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시니어’개념 - 시니어에 대한 문화적 접근 및 관련 이슈 고찰 • 안양 시니어 문화 현황 및 수요조사 - 안양 시니어 현황 개요 - 관련 기관 프로그램 조사 분석 - 거점별, 인물별 시니어 문화의 특성 파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5 2015-03-07 오전 1:45:38
  • 17. - 안양 시니어의 관련 수요 및 욕구 - 주요 문제 및 요구, 이슈 도출 세대 간 교류 전략 수립 • 국내외 시니어 문화사업 벤치마킹 연구 - 시니어 문화 관련 정책 및 사업동향 분석 - 시니어 중심, 세대 간 교류 중심 국내외 사례 분석 •세대 간 교류 전략 수립 - 세대 간 교류 문화환경 조성 및 지원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 중장기 핵심전략 및 과제 도출 - 추진 전략 및 정착방안 제시 다. 연구방법 및 과정 문헌연구 및 통계분석 • ‘시니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문화적 접근 방안을 찾기 위한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 • 안양 시니어 현황 파악을 위한 통계자료 및 사업현황 분석 • 시니어 중심, 세대 간 교류 중심의 국내외 벤치마킹 사업 및 사례 분석 관찰 및 면접 • 안양 거주 시니어 세대가 가진 문화적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참여관찰, 그룹 및 일대일 면접 등을 활용 • 사전면접을 통해 보편적 요구를 반영, 조사설계 과정을 점검 • 잠재된 시니어의 요구를 발견하고 향후 전략 및 정책에 반영하는 과정을 함께 기록하여 전반적인 안양 시니어 문화 map으로 제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6 2015-03-07 오전 1:45:38
  • 18. 1716 시니어의 이해 신노년 담론의 이해와 이슈 고찰 시니어 문화의 정의 & 정책방향 도출 문헌연구 시니어 관련 연구 + 전문가포럼 노년을 노닐다 안양 시니어 관련 기관현황 안양 시니어의 일상과 욕구 노년인식 안양 시니어 문화 지형 정책수요 및 기대 분석 통계분석 질적조사 (참여관찰, 심층면접) 안양 시니어 주요 거점 안양 시니어 7인 세대교류 정책과제 및 핵심전략 주요사업계획 시범사업계획 보고서 작성 자문 시니어 문화사업 관련 동향 세대 교류를 위한 전략 FGI 국내 사례 연구내용 연구방법 대상 [그림 1] 연구방법 및 과정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7 2015-03-07 오전 1:45:38
  • 20. Ⅲ 안양 시니어 문화지도 1 시니어 문화의 이해 Ⅱ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19 2015-03-07 오전 1:45:39
  • 21. 1. 시니어의 이해 늙는다는 것, 나이가 든다는 것, 노인이 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그것은 언제 부터 시작되며 어떻게 찾아들고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일까. 그것은 고집불통이고 심술궂고 탐욕스러우며 분별력 없고 쓸모없는 상태나 사람을 말 함인가, 아니면 사려깊고 지혜로우며 존경할 만한 무엇인가. 혹은 이전에 없던 평화와 고요의 시기일 뿐인가. 1 - 1. 시니어의 개념 가. 노화와 노인 • 국어사전에‘늙다’는‘나이를 많이 먹고 한창 때를 지나 쇠퇴하다’라고 표 기되어 있다. 노년기는 신체적으로는 분명히 쇠퇴의 시기이다. 기원전 2500년 철학자이자 시인인 프타호테프는“노인은 매일매일 기력이 쇠해진다. 시력은 약해지고 귀는 들리지 않고, 힘은 쇠퇴하고 심장은 쉴 틈이 없다. 지적인 능력도 감소되어 어제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뼈마디가 아프고 예전에는 즐겁게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0 2015-03-07 오전 1:45:39
  • 22. 2120 열중하던 일들이 이제는 힘겨울 수밖에 없으며 맛을 느끼는 감각도 사라진다. ... 코는 막혀서 더 이상 아무 냄새도 맡을 수가 없다.”고 했다.(보부아르, 2002, p125) Beaver(1983)는 생물학적 노화를“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기 체의 세포, 조직, 기관조직 또는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인 변화”라고 정의했다.(안흥순, 2013, p13) • 하지만 늙음은 생물학적일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심리적으로는 고령화되면서 감각기관의 기능저하 및 상실로 인해 일어 나는 인식, 성격, 정서 그리고 행동의 변화를, 사회적 노화는 나이가 들어가 면서 사회적 역할을 상실해가는 과정을 주목한다. • 노인에 대한 정의는 1951년 제2회 국제노년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노인을“인간의 노 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 및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 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 이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이들 노인은 다음의 5가지 특성을 지닌 사람을 의미한다고 밝히고 있다. -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 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 생체의 자체통합 능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에 쇠퇴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 생체의 적응능력이 점차로 결손되고 있는 사람 -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환경변화에 적응이 제대로 되지 않는 사람 등 • Atchley와 Birren은 노화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을 동시에 고려 하여 노인을“생물학적 및 생리적 퇴화기에 있는 사람, 심리적 측면에서 정 서기능과 성격이 변화하고 있는 사람, 사회적 측면에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 되어 가는 사람”이라고 규정한다. (권중돈 2008, 재인용)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1 2015-03-07 오전 1:45:39
  • 23. 나. 노인의 기준 • 사실 노인이라는 분류 속에 묶여 있는 수많은 사람들은 각자가 살아온 세월 의 무게만큼 서로가 매우 다른 사람들이다. 나이를 먹을수록 살아온 환경, 경험, 건강, 능력 등이 비슷하기보다는 달라진다. 그래서 누가 노인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 우선은 사회가 합의한 법·제도적 연령 기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서구에 서는 대체로 사회보장제도의 급여 수급자격을 기준으로 노인을 65세로 규정 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관련 법규에서는 다음과 같이 노인의 나이를 규정하 고 있다.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_고령자: 55세 이상 - 노인복지법_노인: 65세 이상인 자 - 국민연금법_노인: 60세 이상 - 노인장기요양보험법_노인 등 :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 서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 고령자는 65세 이상, 준고령자는 50~64세 • 노년기가 길어지고 노인 내의 연령 차이에 따른 욕구나 문제도 다르므로 노 인을 조금 더 세부적인 연령집단으로 구분할 필요 또한 제기되면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연령 구분을 하기도 한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2 2015-03-07 오전 1:45:39
  • 24. 2322 • 그밖에 노년은 나이 외에 기능적 연령, 사회적 역할, 개인의 자각을 고려하 여 정해지기도 한다. 즉, 개인이 특정한 업무나 일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이 저하된 경우, 사회적 역할을 상실한 경우,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생각 하는 경우에 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표 1] 노인의 연령 범위 한국 미국인구통계국 Neugarten Brody 연소노인 60-69세 중고령노인 70-75세 고령노인 75-84세 초고령노인 84세 이상 the olders 55-64세 the elders 65-74세 the aged 75-84세 the very old 85세 이상 young-old 55-74세 middle-old 75-84세 old-old 85세 이상 young-old 60-64세 middle-old 65-74세 old-old 75세 이상 출처: 양옥남(2009), 노인복지론, 공동체 [표 2] 한국노인의 자각연령 65~69세 24.1% 70~74세 51.3% 75~79세 10.0% 80~84세 6.5% 출처: 전국 노인실태 조사(2008), 보건복지가족부 다. 시니어, 노인을 대체하는 용어들 • 그런데‘노인’이라 단어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되고 있다며 다른 표현이 제안되기도 한다. 노년(老年), 고령자(高齡者), 어르신, 시니어 등이 그 예이다. •‘노년’이 인간발달단계의 한 시기를 지칭한다면,‘고령자’는 장년층에서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3 2015-03-07 오전 1:45:39
  • 25. 노년층까지 보다 넒은 인구를 통칭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어르신’은 높임말이고, 성별을 구분하거나 친족 내에서는 할아버지, 할머니라고도 한 다. 구미에서는 older, aged, elderly, senior citizen, golden age 등 을, 일본에서는 실버(silver), 중국에서는 長年이나 尊年이라는 용어를 노인 이라는 말과 함께 사용해왔다. • 최근에는 국내에서도‘시니어(senior)’라는 용어가 보편화되고 있다. * 나 이가 많다는 의미를 넘어서 인생의 연륜 및 경험까지 나타낼 수 있다는 점, 준고령자까지 커버할 수 있다는 면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을 대체할 수 있는 단어에 대한 의미 있는 탐구와 신중한 선택, 공감 의 과정이 필요하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존중하는 입장에서‘노인’이라는 표 현 대신‘시니어’라는 표현을 사용하되, 역사적인 맥락에서 필요할 경우에 는 노인을 그대로 사용하며 노년 등을 병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니 어는 60세 이상을, 시니어 준비세대는 50세 이상을 일컫는 것으로 한다. 1 - 2. 시니어에 대한 인식 노년의 이미지란 불확실하고 선명하지 않으며 모순적이다. 역사적으로 저마다 의 사회가 시니어들에게 취한 태도, 노년에 대해 만들어낸 이미지는 공경과 차 별, 긍정과 부정의 극단을 오간다. 그리하여 노년은 살아온 생의 기간만큼 풍 부한 연륜을 바탕으로 한 높은 정신을 가진 존경의 이미지거나 아니면 나약하고 의존적이며 비루해서 혐오감이나 경멸 섞인 눈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는 부정적 인 이미지로 나타나곤 했다. * 2011년 “법률 문장에서‘노인’이라는 용어를‘시니어’로 바꾸자는 노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 안”(의안번호 1814366)의 발의가 있었다. 이 법안의 제안 이유를 보면,“현재 각종 법률에‘노 인’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노인’이라는 용어는 사전적으로‘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이라는 의미 외에 단어 자체가‘무기력하다’,‘병약하다’는 부정적 어감을 주고 있다.” 는 것이다. 그러나 이 법안은 소관위 심사를 거쳐 철회되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4 2015-03-07 오전 1:45:39
  • 26. 2524 가. 전통사회에서 시니어에 대한 태도 • 전통사회에서 노년은 비교적 공경의 대상이었던 것으로 사료들은 전한다. 동 양에서는 공자가 노년을 지혜와 동일시했고, 도교에서는 장수 자체가 하나의 덕이었으며, 노년이란 지고한 형태의 삶이었다. 서양에서도 성경은 노년을 덕으로 표현했으며, 그리스 문명은 노년을 명예와 결부시켰다. 호메로스는 노인은 지혜의 화신이며, 시간은 그에게 경험과 화술을 주었다고 했다. • 하지만 지난 과거가 노년을 항상 존경어린 시선으로만 바라본 것은 아니다. 그리스의 희극에서 노년은 대체로 조롱의 대상이었고, 중세는 나이든 사람 들의 노쇠현상을 혐오스럽게 여겼으며 육신의 아름다움을 칭송했던 르네상 스 시대는 늙음을, 특히 늙은 여성을 적대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 (보부아르, 2002, p252-301) • 시니어가 지배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회에서는 노년에 가치가 부여되 었고 그들의 경험이 존중되었다. 중앙집권적 계급사회였던 중국에서, 스파 르타에서, 그리스의 과두정치에서, 예수가 태어나기 2세기 전까지 로마에서 노년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변화 발전 혁명의 시기 동안에는 어떠한 정치적 역할도 하지 못했다.(보부아르, 2002, p252-301) •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19세기 이전의 노년에 관한 증언들은 상류계급에 국 한한다는 점이다. 장수하는 인구는 극소수였고 그들은 대체로 상층계급에 속 했기 때문이다. ** 같은 시기에도 노년을 바라보는 입장은 달랐다. 스파르타에서 노년은 명예로운 것이었지만, 아 테네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플라톤은 노년을 예찬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노년은 비루하고 관 대함이 부족하며 이기적이고 겁이 많다고 했다. 따라서 플라톤이 정치권력의 핵심을 노인들이 갖 는 것을 이상적으로 생각했다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노인들을 정치에서 격리시키고 그 자리를 젊 은 군인들에게 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5 2015-03-07 오전 1:45:39
  • 27. 1 - 3. 고령화 시대의 시니어 가. 새로운 시니어의 등장과 실제 삶 •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한국사회는 지난 2000년 이미 고령화사회(65세 이 상 노인인구 7%이상)에 도달하였고 고령사회(14%이상)는 2017년, 초고령 사회(20%이상)는 2026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앞으로 우리가 15-20년 가까이 더 긴 시간을 살게 된다는 것, 이제 시니어 세대가 다수가 나. 산업화 이후 시니어에 대한 태도 • 산업화는 수명을 늘려 노년 인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세계는 보다 빠르게 변 화를 받아들이는 젊은이들의 민첩함을 지지하는 대신 퇴직을 제도화했다. 노 인들은 생산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고 쓸모없는 존재로 밀려났다. • 도시화가 심화될수록 노인은 비생산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이미지를 굳혀 갔다. 살아오면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은 전문화된 지식에 자리를 내주고, 지 혜로운 사람으로서의 노인의 역할을 폄하되었다. 각종 미디어는 젊은이들에 게 최신 트렌드를 알려주지만 기억이나 구전을 통해 내려오는 전통은 전해주 지 않으면서 그러한 이미지를 더 강화했다. • 불필요한 존재가 된 도시나 시골의 노인들은 가족들에게 버려지고 궁핍에 시 달리는 반면 시골에 큰 땅을 가진 부유한 노인들이나 도시의 상인들은 재산 을 축적해온 핵심으로 가족 내에서 전제적인 권위를 가졌으며 이들의 자식들 은 노년의 부모를 존경으로 대했다.(보부아르, 2002, p278-292) • 결론적으로 시니어의 권위는 그가 가지고 있는 물질이나 정치적인 자원에 크 게 좌우되었으며 그들의 지위 또한 시니어를 부양하는 데 드는 비용과 그들 이 사회에 기여하는 것 간의 균형에 의해 결정이 됐다. 시니어를 바라보는 관점은 이렇게 그 사회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상이했다고 볼 수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6 2015-03-07 오전 1:45:39
  • 28. 2726 될 거라는 의미이다. • 하지만 이 시대 우리사회의 시니어 관련 지표는 우울하기만 하다. OECD 회 원국 내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는 한국은 65세 이상 노인 100명 중 26명이 경제·사회 활동이 없는 '고립'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 났고 * , 노인 빈곤율 ** 과 노인 자살률 *** 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 뿐만이 아니다. 오늘의 노동자에게 내일의 복지비용을 부담하는 고령화 사회 는 결국 노인인구가 젊은이를 위한 교육 인프라, 문화, 보건, 치안유지 등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잠식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확대 재생산한다. 이로써 시니어와 청년 세대는 서로 지지하고 응원하는 관계에서 견제하고 긴장하는 관계로 향할 가능성이 커졌다. • 노년세대 안에서 양극화도 심화되어, 특정계층의 노년들은 자산소유자로서 위치를 공고히 하면서, 청년들은 이들 노년층이 가진 자원들을 나눠가지려고 경쟁할 것이라는 전망도 등장한다.(노인으로 산다는 것 p173-188) * 통계청이 발간한 '2014 한국의 사회동향'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고립'(11.1%)과 '거의 고립'(14.8%)돼 있다고 답한 경우는 25.9%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회활동 (취업, 단체참여, 봉사활동), 사회적 지원(가사일 부탁 가능, 돈 빌릴 사람 있음, 이야기 상대 있 음)에 대한 각각의 물음에서다. 6개 질문 중 하나도 해당 사항이 없으면 '고립'된 상태로 본다. 특히 100명 중 11명은 사회활동이나 말벗, 돈 빌릴 사람이 전혀 없는 모습이다. 전체의 74%만 이 사회활동 또는 사회적 지원을 받고 있는 셈이다. ** 2013년 OECD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8.6%로 일본(19.4%)의 2.5배, OECD 평균(12.4%)의 3.9배로 OECD 최고 수준이다. 한국의 평균 빈곤율은 41~50세 까지는 8.9%로 OECD 평균(9.5%)보다 낮지만 51~65세는 17.3%로 OECD 평균 9.9%를 앞서고, 66~75세에선 45.6%로 급상승, OECD 평균 11%를 크게 웃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00~2010년 사이 한국 노인의 자살률은 OECD국가 평균 4 배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OECD 25개국의 65세 이상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은 2000년 22.5명에서 2010년 20.9명으로 줄어든 반면, 한국은 34.2명(5위)에서 80.3명(1위)으로 늘었 다. 증가율이 2.3배에 달한다. 남성은 2000년 52.2명에서 2010년 125.0명으로 2.4배 늘었 고, 여성은 23.1명에서 49.4명으로 2.1배 증가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7 2015-03-07 오전 1:45:40
  • 29. • 짐이 되는 노년과 자산을 소유한 노년의 삶이 양 극단에서 존재하는 한편, ‘새로운 노년(New Aging)’의 패러다임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른바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eing)와 생산적 노화 (Productive Ageing)로 표현되는 신 노년층의 등장이다. 이들은 기존의 의존적이고 부정적인 노년 상에 대항하여 노인의 잠재력 개발과 문제 예방을 강조함으로써 노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최희경, 2010, p45-47) - 활동적 노화: 중장년시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잃어버린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 하며 이 같은 지속적 인 활동이 바람직한 노년의 핵심 - 성공적 노화: 질병과 장애의 부재, 높은 신체적 인지적 기능유지, 삶에 대한 적극적 참여가 성공적 노화의 요인 - 생산적 노화: 노년기에도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노인의 사 회적 역할을 재평가하고 가치 있는 활동에 참여할 것을 강조 • 이전의 무력하고 빈곤한 노인 이미지와는 달리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경제적 으로 여유가 있으며, 사회활동 참여에도 적극적인‘활동적 시니어’의 모습 은 이제 미디어에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노년의 이미지가 되었다. 나. 신노년 담론의 비판 • 그런데 활동적 노화 등이 강조되는 신노년 담론이 실질적인 시니어의 욕구와 이해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실제 노인들의 삶을 가리키고 있는 우울한 지표들과 활력 넘치는 새로운 시니어의 이미지 사이의 간격은 우리에게 혼란스러움을 준다. • 실제로 최근 몇몇 연구들자들은 신노년 담론이 지나치게 경제적 생산성의 의 미에 집중되어 있어서 사회적 권리로서의 노인복지급여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노인을 배제하는 문화적, 규범적 편협성으로 인해 다양한 조건의 시 니어 욕구와 입장을 반영한 정책 결정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 ‘시니어(senior)’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8 2015-03-07 오전 1:45:40
  • 30. 2928 다.(최희경, 2010) • 조금만 생각해보면 이상화된 시니어들의 활력 넘치는 모습은 대중문화를 통해 그 이미지를 강화하고 활력이 떨어지는 시니어를 패배자로 낙인찍을 수 있음 을 우리는 깨달을 수 있다.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육체적, 정신적 능력과 기회는 모든 노인에게 똑같이 주어지는 게 아니다. 자칫 활동 적이고 성공적인 노인의 이미지의 강조는 노인 전체에 대한 편견을 노인 안 의 특정한 약자 집단에 대한 편견으로 대체하는 새로운 차별을 낳을 수 있다 •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노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이렇게 단순하고 일반화 하려는 관습을 보여준다.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을 거부하는 것 자체가 힘을 얻고 있지만 인생의 황혼기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위해 활동능력이 부족한 노인들의 욕구를 부정한다면 사회는 또 다른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 반면 에 노년을 우호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사회는 건강한 시니어들의 활동마저 위 축시킬 수 있다. 여기가 시니어 문화 정책이 바라보아야 할 지점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29 2015-03-07 오전 1:45:40
  • 31. 2. 시니어 문화와 문화 정책 2 - 1. 시니어 문화의 정의 가. 노년기 생활양식의 총체 • 시니어 문화란 우선 넓은 의미에서‘시니어에 관한 관습 및 생활방식뿐만 아니 라 공유하고 있는 근본적인 가치관, 규범, 신념’이다. 이는 시니어 집단이 시 니어가 아닌 집단과는 다른 무엇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전반적인 생애과 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 시니어 문화는 가족, 친구, 사랑, 성, 여가, 일과 은퇴, 건강, 소비 등 여러 다 양한 내용들로 구성되며 각 요소들은 서로 독립적이기보다는 서로 상호 연계 되어 전체적인 시니어 문화를 구성하며 시니어를 둘러싼 다양한 설명을 제공 해주는 기초적 틀을 형성한다. • 그런데 청년문화와 같이 노년기를 하나의 동일성으로 묶는 시니어문화가 가능 한가 하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있다. 노년기는 생애과정을 통해 저마다 자 신의 삶을 살아온 만큼 다양성이 가장 큰 시기이므로 청년문화처럼 동일성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집단적인 문화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이 다.(차승은, 2014) • 또한 시니어 문화는 같은 시기에 태어나 유사한 성장경험과 가치관을 공유하 고 있는 세대문화의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른바 세대효과 또는 코호트 효 과 * 에 따르면 현재 60세인 시니어와 20년 뒤 60세가 되는 시니어는 서로 다른 삶의 경험으로 인해 전혀 다른 색깔의 문화를 보여줄 수 있다. *   코 호 트 ( c o h o r t ) 란 5 년 또 는 1 0 년 등 으 로 구 분 한 연 령 ( 예 를 들 어 2 0 0 5 ~ 2 0 1 0 년 , 1990~2000년 기간 내 출생자들) 등 특정한 경험을 공유해 연대를 느끼는 구성원들의 집단ㆍ집 체를 말한다. 때문에 특정 코호트에서는 구성원들에 의해 하나의 트랜드가 형성된다. 코호트는 사회변동의 연구에서 특히 중요한 개념으로, 구성원들은 개인이 경험하는 사회를 나름의 방식으 로 각각 다른 관점에서 받아들이고 이는 사회 변동에 기여한다.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0 2015-03-07 오전 1:45:40
  • 32. 3130 • 현재 시니어들에게서 목격하게 되는 삶의 어려움들은 그들이 살아온 생애 경험의 결과물일 가능성이 크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 과정에서 누 적된 문화부재가 이들의 노년기를 더 힘들게 하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 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비교적 문화적 혜택을 누린 그 이후 세대, 예를 들 면 베이비부머 세대는 노년기를 조금 더 풍요로운 문화적 환경 속에서 보낼 수 있을 것인지, 과연 그들은 불안한 경제와 복지환경 속에서도 그들 세대만 의 새로운 노년기 문화를 꽃피울 수 있을지 질문하게 되는 것이다. (차승은, 2014) • 보통 역사적·문화적 충격이 가해질 때 세대논쟁이 격렬해지고 이들 세대문화 는 문화변동에 기여한다. 그런 면에서 시니어 문화는 세대문화에 대한 논의와 함께 탐구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시니어 개개인이 가진 삶의 다양한 내용들을 어떻게 시니어 문화라는 경계 안에서 반영할 수 있는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나. 시니어 삶에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 (담론화 과정) • 붓다는“지금의 내 안에 이미 미래의 노인이 살고 있다”고 했다. 어떤 존재 가 늙는다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한 일이고 나 자신의 문제이다. 하지만 우리 들은 누구나 늙으면 노인이 된다는 이 사실을 쉽게 마주하려 하지 않는다. 젊은 나에게 늙은 나는‘타자’가 되었고 공적인 장에서 진짜 노년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어색한 일이 되었다. •‘영원한 젊음’의 신화는 기력이 약해지고, 병들고, 죽음에 근접해가는 등의 노년에 고유한 경험에 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는다. 곧 노년담론의 증발이다. 나이 듦에 필연적으로 부수되는 육체적 쇠퇴, 의 존, 죽음 등의 과정에 아무런 도덕적·영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후기 산업사회의 문화는 이제 육체적 쇠락이나 죽음과의 대면 자체를 회피한다. 그 결과 문화가 의미부여를 포기한 늙음과 죽음의 과정은 혼란스러운 개인들이 사적으로 맞이해야 하는 삶의 과정이 된다. (정진웅, 2003)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1 2015-03-07 오전 1:45:40
  • 33. • 위의 글처럼 노년 담론의 부재가 문제되는 것은 노년이 무엇인지, 그 정체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수용이 없이 결국 늙음과 죽음이라는 삶의 과제가 고스 란히 시니어 개인의 몫으로 맡겨진다는 점이다.(김찬호, 2014) 이렇게 되면 시니어 각자가 가진 자원에 따라 굉장히 차별적인 노년을 맞을 가능성이 커 진다. 모든 면에서 양극화된 노년 세대를 목격하게 되는 것이다. (차승은, 2014) • 사실 고령화사회가 대두된 최근 10여 년간 노년 담론은 부재한다기보다는 담론의 공간을 내용적으로 매우 빈약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매우 강력한 힘 을 발휘해온 (담론이 아닌) 어떤 것이 채우고 있었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 이다. 이를 테면 앞서 살펴본 신노년 담론은 담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설명력 이나 성찰성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면서 결국 시니어에 대한 사유를 상투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 담론이라는 것은 행위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고 설명은 이해를 위한 것이다. 또한 그것은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며 나아가 추구해야 할 가치나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행하되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왜 하는지 의문 을 제기하고 성찰적인 이성을 발휘하는 것이 담론이다. 결국 담론이 부재하 다거나 빈약하다는 것은 노년을 살아가고 있지만 그것을 내가 알지 못하다는 것이며 그 의미를 모른다는 것은 결국 불행일 뿐만 아니라 결국 생존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따라서 노년의 노인다움을 자각하고 노년기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 그것을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기획하고 공유하는 과정, 그것이 시니어 문화 를 구성하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2 2015-03-07 오전 1:45:40
  • 34. 3332 2 - 2. 시니어 문화 정책 및 사업 현황 • 현재 시니어를 특정한 문화정책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가 지방 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추진하는‘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과 한국노 인종합복지관협회와 협력사업으로 진행하는‘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유일하다. 하지만 시니어 문화는 시니어에 대한 복지정책, 생애주 기별 교육정책과 분리될 수 없는 문제이고, 나아가 노동과 여가는 물론 도시 및 지역사회의 관계 속에서 고민되어야 할 사안이다. • 따라서 시니어 문화와 관련된 정책의 범위와 영역은 광범위하고 복잡하다. 2014년을 기점으로 시니어 문화와 관련된 부처별 정책사업 중에서 우선적 으로 문화정책과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정책사업들은 평생교육과 복지 분야의 사업들이었다. 그 목록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 <생애주기별 여가활동 모형 개발(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에 제시된‘부처별 노인여가 관 련 정책’을 참고하였으며, 신규사업을 추가하여 재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후속연구에서는 적어도 경기도권의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와 도서관, 기타 평생 교육시설이 주축이 되는 사업과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3 2015-03-07 오전 1:45:40
  • 35. 담당부처 사업내용 교육 과학 기술부 ○ 소외계층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2001~) - 평생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된 저소득자, 저학력자, 고령자,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평생학습 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지원사업 - 노인을 평생교육정책의 직접적 대상으로 하고 있는 유일한 사업(노인회관, 노인교실) - 활기차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여가관련 프로그램이 많은 비중을 차지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개발 지원사업 - 평생학습 중심대학 육성사업 중‘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활성화 사업’의 일환 - 은퇴 후 생애설계 교육 중심 보건 복지부 ○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 사업 - 노인의 지식, 경험,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자원봉사 프로그램 - 노인의 활력적인 노후생활의 기회를 제공 ○ 전국 노인자원봉사 대축제 개최 사업(2006~) - 노인자원봉사 사진 및 수기 공모전 개최 - 사회발전에 봉사하는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노인상을 제시 - 노인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 및 활동참여 독려 ○ 노인복지관 설치・운영사업 - 노인종합복지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 - 시·군·구별로 최소 1개소 이상의 지역실정에 맞는 노인복지관 설치 - 기본제공사업: 평생교육·취미여가사업(사회교육사업), 고용지원(노인일 자리 사업), 기능회복사업, 정서지원사업, 사회참여사업(노인자원봉사활성 화사업), 경로당 운영혁신사업, 노인복지관 운영, 사업관리 [표 3] 부처별 시니어 문화 관련 주요정책사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4 2015-03-07 오전 1:45:40
  • 36. 3534 문화 체육 관광부 ○ 생생정책: 이야기할머니 사업(2010~) -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하여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신청을 받아 선발, 70시간 교육 이수 후 파견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2005~) - 문화예술교육 지원 및 문화동아리 형성, 문화재능기부 활동지원 - 어르신문화콘텐츠 보존개발 및 문화교류 ○ 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2005~)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협력사업 - 문화소외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5개 분야의 프로그램에 전문 예술강사를 지원 - 사회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일환 ○ 복지관광사업 - 경제적, 신체적으로 관광에 소외될 수 있는 계층(만 65세 이상 노인 포함) 에 복지차원에서 관광의 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해 국내여행의 경비 일부를 국가가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 - 사회복지관을 통해 1인당 최대 15만원, 복지기관 당 40명 이내로 지원 ○ 사랑티켓 사업 - 소외계층대상 문화나눔사업의 하나: 3세~26세 아동·청소년 및 65세 이상 노인 대상 - 서울·경기 및 광역자치단체를 제외한 거주자에게 공연·전시 관람료 일부 를 지원 - 공연은 7천원, 전시는 1천원을 지원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 - 이주민·탈북민·장애인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주체들의 문화를 존중하며 문화적 표출 기회를 제공하고, 주류문화와 소수문화 간의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 • 이 중에서도 시니어문화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상세히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5 2015-03-07 오전 1:45:41
  • 37. [표 4] 2014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단위사업 현황 어르신 문화학교 - 어르신의 예술적 욕구, 학습수준, 지역성 등을 반영한 맞춤형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 악기, 음악, 연극, 무용 등 예술장르 교육 찾아가는 어르신문화학교 - 어르신강사 또는 전문 강사를 마을회관, 복지회관 등에 파견운영 - 원거리 거주자 참여활성화, 어르신 일자리 창출 등 효과 어르신 문화 나눔 봉사단 - 어르신문화학교 수료생들이 봉사단을 구성, 소외시설·축제 등에 재능기부 - 어르신문화프로그램 수강생 선순환구조 실현 어르신 생활문화전승 - 어르신들이 살아오면서 간직한 근현대적 삶의 원형인 생활문화 자체를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세대 · 지역 간 전승 및 교류 - 어르신들이 자생적, 자발적으로 프로그램 기획부터 전 사업과정에 핵심으로 참여,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주도적 운영 어르신 문화동아리 - 어르신의 문화동아리 활성화 및 적극적 사회참여를 위해 활동비 지원(동아리의 출판, 공연 및 전시회 발표, 문화나눔 봉사 등) 권역별 어르신 문화축제 - 적극적 문화생산과 활동의 주체로서 어르신 세대에 대한 인식 전환을 도모하고 문화 활동 교류의 장인 축제를 통해 어르신 간의 연대와 소 속감,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 농어촌 신바람놀이문화 - 농어촌지역(마을)의 두레문화를 되살리기 위한 풍물 지원 사업 세대공감 한마당(신규) - 어르신과 젊은 세대 간의 교류를 위한 소통 형 프로그램으로서 어르신, 청장년, 청소년 세대 및 국제결혼이주여성 등이 함께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 - 총 수강 인원 중 60세 이상 어르신이 50% 이상을 권고 어르신 인문학소풍 (신규) - 마을구성원 전체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으로 어르신, 청장년, 초중고생, 이주여성 등 마을주민 참여로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추진 어르신 인문학소풍 (신규) - 어르신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지역학(역사, 민속, 지리), 어르신이 경험한 현대사 및 생업기술(향토음식, 과거사진) 등을 기반으로 지역 내 청소년, 일반인, 귀촌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2014)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6 2015-03-07 오전 1:45:41
  • 38. 3736 • 이상의 사업의 성격과 내용을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은 4가지 카테고리로 묶 어볼 수 있다. • 문화예술콘텐츠를 활용한 여가 복지적 접근 - 지역사회의 복지시설(지역 노인회관, 경로당 등)을 기반으로 하며, 활동 적인 측면에서의 생활체육 및 문화예술, 여행, 자원봉사, 관련 강습 및 체 험 프로그램 지원이 주를 이룬다. - 교육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과 복지부의 <노인복지관 운영: 평생교육사업>은 취미, 일반교양, 건강관리와 운동, 정보화 관련 프로그 램을 제공하고 문화부 <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노인종합복 지관에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 5개 분야(연극, 무용, 음악, 미술, 사진)의 체험 및 창작, 향유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이들 사업은 노인세대의 주체적 역할을 제시하기보다는‘여가 복지’차원 의 접근 속에서 수동적인 체험이나 학습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이윤경 외, 2013) • 향유를 넘어서는 능동적 문화 주체 형성 -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 사업>은 노인의 지식, 경험, 기술을 활 용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자원봉사 프로그램으로 상담과 교육을 거쳐 자원동사활동을 하거나 전문 자원봉사동아리 활동을 한다.*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은 다양한 문화활동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니어들의 사회참여활동 확대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수료 이후 봉사단, 동아리 활동 등 적극적 문화향유자이자 창조자로서 문화활 동의 능동적 주체로서 활동하는 것이 목표이다. 전국 193개 지방문화원 과 16개 시도연합회가 공모지원 형태로 참여한다. -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일정한 소양을 갖춘 여성 고령인력을 선발하여 소 정의 교육을 이수하게 한 후, 전국의 유아교육기관에 파견하여 선현들의 미담 구연(口演) 프로그램을 운영 지원하는 사업이다. * P.74 안양시 노인종합복지관의‘자원봉사 및 일자리 프로그램’참조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7 2015-03-07 오전 1:45:41
  • 39. - 이 3가지 사업은 시니어뿐 아니라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함께 활동하는 프로 그램 으로 확대되고 있다. • 문화적 교감을 통한 공감 및 교류 - <노인복지관 운영: 경로당 혁신사업>중 일부로 어린이집-경로당 연계, 청소 년수련관-노인복지관 연계를 통한 교감과 소통을 이끌어내는 사업을 전개하 고 있다. 어르신들에게는 현대사회의 문화 경험을 통해 사회적응력을 키우고, 아이들에게는 노인의 경험과 지식을 통한 전통 문화교류로 세대 간 격차를 줄이고자 하는 사업이다. 놀이나 음식, 공동의 창작 등 문화적인 접목을 시도한다.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2014년 신규 추가된 사업들 또한 지역, 마을 단위의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하는 사업들로 이들 사이의 소통과 교류 를 통한 공동체 회복 사업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8 2015-03-07 오전 1:45:41
  • 40. 3938 [표 5] 2014 무지개다리 사업 _주요사례 주관기관& 사업명 사업 및 내용 인천문화재단 - 화교, 중국인 등 외국인과 내국인이 함께 지역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 고 동네 지도를 만들어보는 등 지역을 매개로 함께 교류 부산문화재단 ‘아시아 여행자 학교’ - 이주민들이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모국의 문화콘텐츠나 축제를 직접 소개하는 프로그램. 이주민이 한국문화를 받아들이고 동화되어 야 한다는 기존의 발상에서 벗어나 모두가 함께 서로에 대해 배우고 알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문화다양성 사업 성북문화재단 ‘경계없는 프로젝트’ - 장애인 예술가의 창작물을 특별한 예술장르로 취급하지 않고 그 창 작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개성과 가능성을 놀이, 음악, 합동 창작, 강의 퍼포먼스 등 다양한 현장 워크숍으로 풀어내고 그 과정을 관객 이 여행을 하듯 경험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는 프로그램 안양문화예술재단 ‘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 - 세대 간 문화다양성 발굴을 위한 안양 시니어 세대의 문화환경 조사 연구 - 시니어의 문화적 권리 및 세대 공존에 대한 다각적 관점 발굴 및 공론화 - 향유 프로그램: 시니어 레인보우 극장 - 친구랑!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연계사업: 시니어 영상 자서전 제작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은 이주민·탈북민·장애인 등 우리 사회의 다양 한 문화적 주체들의 문화를 존중하며 문화적 표출 기회를 제공하고 주류문 화와 소수문화 간의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문화다양성 증진을 지향하고자 전국 17개 지역재단 과 함께하는 문화다양성 정책의 대표사업이다.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은 앞의 두 사업이 세대 간 교류에 주목하는 것에 비해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존재와 문화에 대한 존중을 통해 소통과 교류 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2013년도에 이주민에 집중하던 것이 2014 년에는 장애인, 탈북민, 성소수자, 시니어 등 다양한 대상을 포괄하는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39 2015-03-07 오전 1:45:41
  • 41. 프로그램으로 확대되고 있다. - <무지개다리 지원사업> 중 시니어를 대상을 하는 것은 안양문화예술재단 의‘오버 더 시니어 레인보우’가 유일하다. • 시니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중‘어르신 생활문화전승’과‘어르신 인문학 소풍’ 은 시니어의 살아온 경험을 지역의 구성원들과 나누면서 상호이해를 도모 하는 사업이다. - 어르신들이 살아오면서 간직한 근현대적 삶의 원형인 생활문화 자체를 프 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전승 교류하되 프로그램 기획과정에 어르신들이 자 발적으로 참여하게 한 점이 눈에 띈다. • 4가지 분류를 요약하면 [표 7]과 같다. 취미·교양의 영역에서 세대교류와 사회통합을 고려한 영역까지 다양한 사업이 펼쳐지고 있는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나와 세계를 성찰하면서 인간의 존엄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 노년 이 무엇인지 그 정체를 질문하면서 시니어의 삶을 의미화하는 과정은 상대적 으로 빈약해 보인다. 따라서 향후 시니어를 다루는 문화정책의 방향은 이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0 2015-03-07 오전 1:45:41
  • 42. 4140 [표 6] 시니어 문화관련 정책 사업 요약 구분 사업명 특징 및 성격 문화예술콘텐츠를 활용한 여가 복지 ○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 ○ 노인복지관 운영: 평생교육사업 ○ 노인대상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 취미·교양, 체험 등 수동적 학습 프로그램 지원 능동적 문화주체 형성 ○ 전문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 사업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 이야기할머니 사업(2010~) 향유를 넘어 공동 창작 및 나눔 문화적 교감을 통한 공감 및 교류 ○ 경로당혁신사업 중 - 어린이집-경로당 연계사업 - 청소년수련관-노인복지관 연계사업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세대 공감 한마당/우리마을 문화로 가꾸기 ○ 무지개다리 사업 상호이해를 통한 사회통합 촉진 시니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 어르신문화 프로그램 지원사업 중 - 생활문화 전승 사업 - 어르신 인문학소풍 사업 ○ 평생교육 프로그램 내 인문학 프로그램 - 인문학하기 - 경험에 기반한 생활 문화, 생활기술의 이해와 습득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1 2015-03-07 오전 1:45:41
  • 43. Ⅲ 2 - 3. 시니어 문화 정책의 기본방향 • 앞서 본 연구는 시니어 문화를 노년기 생활양식의 총체 또는 노년다움을 자 각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같은 맥락에서 시니어에 대 한 문화 정책은 다양한 개인의 삶의 차원에까지 노년의 삶의 양상들을 촘촘 히 들여다보는 것과 차별받지 않고 각자가 노년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 도록 문화환경을 구축·지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달리 말하면 인간 으로서의 최소한의 존엄과 품격을 유지할 수 있는 노년의 문화적 자원을 확 보하기 위한 토대를 형성하는 일이기도 하다. • 그런데 앞서 살펴본 관련 문화정책사업의 내용을 보면 이러한 조작적 정의를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들인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본 연구에 서는 시니어 문화의 정의를 토대로 정책이 다뤄야 할 시니어 문화의 내용과 영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다만 각각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본격적인 연 구와 논의 및 검토는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 노년기에는 연령이나 신체의 활력 정도, 사회적 관계와 개인의 세계관에 따라 일상의 시공간을 활용하는 정도, 세계와 관계 맺는 정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 난다. 노년기 삶의 다양성은‘인간’이 보여주는 다양성을 나타낸다는 점에 서 의미 있지만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또한 이 른바 세대효과를 고려해 세대별 경험과 욕구를 반영한 정책의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이들 경험의 단절을 잇고 공감하게 하는 문화적 장치의 발굴이 함께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2 2015-03-07 오전 1:45:41
  • 44. 4342 Ⅲ [표 7] 시니어 문화 정책이 다뤄야 하는 시니어 문화의 내용들 영역 내용 형식 앎 (정신) 시니어다움의 이해 (정체성: 쇠퇴, 질병, 죽음) 사유, 성찰, 이해 삶의 의미 발견 (주체성: 가치, 존재이유, 목표) 재구성, 창조 타자화된 노년을 마주하기 (화해와 공감) 의례, 창작 삶 (신체) 시간과 관계의 활용 여가: 취미, 친교 주체적인 삶의 기획 노동, 작업, 활동, 쉼 생애과정을 통한 노동, 활동, 여가의 디자인 통합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3 2015-03-07 오전 1:45:42
  • 46. Ⅲ 안양 시니어 문화지도 1 안양 시니어 문화 지도 Ⅲ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5 2015-03-07 오전 1:45:42
  • 47. 1. 안양 시니어 현황 개요 1 - 1. 안양의 시니어 인구 가. 안양의 시니어 인구 • 안양시 인구는 2010년 대비 2013년 628,831명에서 614,687명으로 감소 하였다. 반면 65세 이상 노인 숫자는 49,014명에서 54,474명으로 늘었다. • 전체 인구 수 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 * 은 2010년 7.8%, 2011년 8.2%, 2012년 8.6%, 2013년 8.9%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 안양의 전체 인구는 감소 중이나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안양시가 고령화사회 ** 로 분류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 노인인구비율 = (65세 이상 인구/전체인구)x100 ** 노인인구비율 7% 미만은 일반사회, 7~14%미만 고령화사회, 14~20%미만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화사회로 구분. (UN 기준)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6 2015-03-07 오전 1:45:42
  • 48. 4746 [표 8] 2010~2013년 안양시 65세 이상 인구 계 구분별 2010 2011 2012 2013 세대 합 계 229,848 226,420 224,395 224,441 만안구 103,642 102,113 98,459 97,830 동안구 126,206 124,307 125,936 126,611 인구 계 합 계 628,831 615,639 618,230 614,687 만안구 271,099 263,077 258,166 254,898 동안구 357,732 352,562 360,064 359,789 남 합 계 313,810 307,313 308,269 306,254 만안구 136,665 132,575 130,077 128,387 동안구 177,145 174,738 178,192 177,867 여 합 계 315,021 308,329 309,961 308,433 만안구 134,434 130,502 128,089 126,511 동안구 180,587 177,827 181,872 181,922 세대당 인구 2.7 2.72 2.72 2.73 65세 이상(계) 합 계 49,014 50,587 52,893 54,474 만안구 23,996 -  25,534 25,812 동안구 25,018 - 27,359 28,662 인구밀도 10,757 10,661 10,575 10,507 면적 58.5 58.5 58.5 58.5 출처: 2010~2013년 기준 주민등록인구통계(안양시) 기초로 재가공, 안양시청 웹사이트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7 2015-03-07 오전 1:45:42
  • 49. 나. 노령연금 * 수급자 수 • 생활이 어려운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키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 기초연금제도의 경우, 만 65세 이상, 한국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민등록 이 되어 있는 노인 대상 -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소득 하위 70%)인 노인에게 지급. -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 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을 합산한 금액. - 선정기준액은 2014년 7월 기준, 단독가구 870,000원, 부부가구 1,392,000원. • 안양시의 전체 노인인구 대비 수급자 비율은 남자 44.8%, 여성 62.8%이며 만안구는 59.0%, 동안구는 51.9%이다. * 2007년 4월 법 제정, 2008년 1월 시행. 2014년 7월 폐지 후 기초연금제도 시행 - 월평균소득 2008년 167만원, 2009년 175만원, 2010년 179만원, 2011년 182만원, 2012년 189만원. - 지급대상은 2008.1~6월에는 만 70세 이상 노인의 60%, 2008.7~12월에는 만 65세 이상 노인의 60%, 2009.1월 이후에는 만 65세 이상 노인의 70%로 점차 확대 - 재원은 기초 지자체별 노인인구 비율 및 재정자주도 기준으로 40~90% 범위 내 국고에서 차등 보조 - 수급대상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인정액이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액에 미달하는 경 우 가능 [표 9] 안양시 기초노령연금수급자 (2013년 기준) 구분 전체 노인 대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명) 전체 노인 수 급 자 수 수 급 률 (%) 합계 남 여 합계 남 여 합계 남 여 계 52,773 21,652 31,121 29,227 9,693 19,534 55.4 44.8 62.8 만안구 25,452 10,825 14,627 15,032 5,355 9,688 59.0 49.5 66.2 동안구 27,321 10,827 16,494 14,195 4,338 9,846 51.9 40.1 59.7 단위 : 명, %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8 2015-03-07 오전 1:45:42
  • 50. 4948 다. 노령화지수 * • 안양시의 노령화지수는 2010년 49.9%에서 2013년 62.1%로 꾸준히 증가 하였다. • 2013년 기준, 유소년인구(0~14세) 100명당 65세 이상 고령자가 62(62.1)명으로, 3년 전인 2010년 50(49.9)명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표 10] 2010~2013년 안양시 노령화지수 구분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65세 이상 49,014 50,587 52,893 54,474 0~14세 98,206 95,848 91,689 87,760 노령화지수 49.9 52.8 57.7 62.1 단위 : 명 1 - 2. 안양의 시니어 복지기관 현황 가. 노인복지시설 종류 [표 11] 노인시설의 종류 종 류 시 설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 노령화지수는 (65세 이상 인구/14세 이하 인구x100)으로 산출하여 일반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49 2015-03-07 오전 1:45:43
  • 51.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경 로 당 노인교실 재가노인복지시설 방문요양 서 비 스 주·야간 보호 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 서비스 재가노인 지원서비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보호 전문기관 *시설의 종류(노인복지법 제31조), 부록 삽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0 2015-03-07 오전 1:45:43
  • 52. 5150 나. 노인여가복지시설 • 안양시에 소재하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노인교실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설립 시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안양시 31개동 전체에 경로당은 244개소, 노인교실은 4개소가 있다. • 노인복지관은 재단법인 불교안양원에서 운영하는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과 안양시평생학습원에서 운영하는 <만안구 노인회관>과 <동안구 노인회관>이 있다. • 노인복지관은 노인의 교양·취미생활·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정보 등 문 화 및 사회활동서비스와 건강증진·질병예방과 소득보장·재가복지 그밖에 노인 복지증진에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경로당은 지역노인들이 자율적으로 친목도모, 취미활동, 공동작업장 운영 및 각종 정보교환과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된 형태로 각 노 인지회에서 지원한다. • 노인교실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전한 취미 생활, 노인건강유지, 소득보장 및 기타 일상생활과 관련된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노인대학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표 12] 2006~2013년 노인여가복지시설 변화 구 분 합 계 노인 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시설수 시설수 종사자수 시설수 시설수 2006 222 3 - 216 3 2007 230 3 - 225 2 2008 232 3 - 227 2 2009 239 3 - 234 2 2010 244 3 - 239 2 2011 246 3 - 241 2 2012 248 3 15 243 2 2013 251 3 18 244 4 단위: 개소, 명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1 2015-03-07 오전 1:45:43
  • 53. 2. 안양 시니어 7인의 일상과 욕구 2 - 1. 조사 개요 • 안양 시니어들의 다양한 삶의 탐색을 위해서 안양 내 거주지, 거주기간, 성 (性), 고령화시기가 다른 시니어 7명을 선정,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 여기서는 각 시니어들의 생애사 자체에 주목했다기보다는 이들의 월간, 일간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여 문화적 욕구와 역량을 파악하는 것과 지역에 대한 인식, 노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표 13] 안양 시니어 심층면접 조사대상 이름 성별 나이 거주지 안양 거주 기간 주요 사회적 활동 이OO 여 64세 만안구 석수동 30년 (1984년 이주) 동네통장, APAP 유급 도슨트 손OO 남 71세 만안구 안양9동 47년 (1967년 이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여OO 여 69세 동안구 평안동 31년 (1983년 이주) 한국무용, 자원봉사 장OO 남 82세 만안구 안양3동 36년 (1978년 이주) 스포츠 댄스 방OO 남 67세 만안구 석수2동 34년 (1980년 이주) 밴드, 공연봉사활동 변OO 여 55세 만안구 석수1동 27년 (1987년 이주) 준고령자 오OO 남 77세 만안구 안양6동 77년 (토박이) 전직 시의원, 하모니카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2 2015-03-07 오전 1:45:43
  • 54. 5352 2 - 2. 인물별 일상과 욕구 1) 이OO 1984년 서울을 벗어나 넓은 수도권의 집을 구하기 위해 안양으로 이주, 41~55세까지 S전자 안양영업소에서 계약직으로 재직하였다. 2005년 퇴직 후 우울감을 이기고자 노인복지관에서 식사봉사를 하다가 더 의미 있는 자원봉사를 찾는 중에 2007년 APAP 도슨트 모집공고를 보고 지원했다. 2010년 유료 도슨트로 전환되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한가할 때는 주로 집에서 뜨개질을 한다. 댄스스포츠를 추러 다녔지만, 허리 수술 이후에는 그만두었다. - 햇볕이 좋은 날은 관악역에서 경인교대 안양캠퍼스까지 40여분을 걷는다. - 친구들을 만날 때는 평촌 시내에서 밥을 먹고 영화를 보는 편이다. 사적인 친구들과는 주로 저녁에 만나서 저녁식사를 함께 하고, 좋은 영화가 있을 때는 낮에 만나서 영화를 본 후 저녁을 먹는다. - 사적인 친구는 학교 동창이 아니라, 딸의 초등학교 때 만났던 학부모들이 며 2개월 1회 모인다. - 봉사센터에서 알게 된 친구들은 각자 바빠서 일이 있거나 봉사가 있을 때 만 만난다. - APAP 도슨트는 1개월 3~4회, 관악수목원 안내봉사는 1개월 1회 활동한다. - 동네 통장을 맡고 있는데 1개월 2회 회의에 참석하고 주민들에게 민방위 통지서 등을 전달한다. - 평촌 오피스텔 관리단 책임자로 1개월 4회 방문한다. • 욕구 및 관심사 -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용돈도 벌기 때문에 지금은 행복하기만 하다. - 꾸준히 일하기 위해서 꾸준히 공부하고 있다. - 영화, 그림, 사물 등에 관심이 많다. - 처음엔 예술이 어려웠지만 차츰 내 자신과 예술이 하나됨을 느끼고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3 2015-03-07 오전 1:45:43
  • 55. 예술은 영혼을 맑게 해준다고 믿는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처음 안양에 왔을 때 삭막한 회색빛이었으나, 지금은 제2의 고향이다. 어디 에 무엇이 있는지, 어디에 가면 그 물건이 저렴한지 구석구석 다 알고 있다. - 안양예술공원 둘레길 조성에 반성하는 이유는‘자연스럽지 않아서’이다. <거울미로>라는 작품에 주변 풍경이 비춰 보일 때 딱딱한 인공바닥은 어울 리지 않다고 생각해서 민원을 넣었지만‘양해해 달라’는 답변만 받았다. 이런 결정은 시민들에게 물어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4 2015-03-07 오전 1:45:43
  • 56. 5554 도보로 안양예술공원 출근 1시간 기상, 오전 외출준비 2.5시간 안양APAP도슨트(1회) 1.5시간 점심시간 1시간 안양APAP도슨트(2회) 3시간 도보로 안양예술공원 퇴근 1시간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 3시간 휴식3시간 취침 및 수면 7.5시간 휴식3시간 취침 및 수면 7.5시간 AM 08:30 PM 18:00 PM 12:00 [그림 2] 이OO 어르신의 일과표 * 와 사회활동시간표 ** * 일주일 일과 중, 제일 활동적인 날의 일과표를 24시간으로 작성한 결과이다. ** 사회활동시간은 본격적인 활동시간과 함께 이동시간, 온라인카페관리, 모임시간 등을 포함했다. 도보로 안양예술공원출근 1시간 기상, 오전 외출준비 2.5시간 안양APAP도슨트(1회) 1.5시간 점심시간 1시간 안양APAP도슨트(2회) 3시간 도보로 안양예술공원 퇴근 1시간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 3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5 2015-03-07 오전 1:45:43
  • 57. 2) 손OO 1967년 삼덕제지에 입사하며 안양으로 이주, 30년 재직하여 1987년 정년퇴직 하였다. 이후 생명보험설계사 활동을 하다가 그만두고 현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스마트알림단 활동을 하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스마트알림단 사업이 있는 오전에는 9시부터 교육 및 외부활동을 하고 없 는 날은 오전에 동네 공원에서 1시간 가량 운동 후 11시경에 복지관에 나 와서 점심을 먹은 후 오후에 약 2~3시간 정도 헬스운동을 한다. 오후 3시 경에 걸어서 안양 시내를 나가거나 중앙시장을 한 바퀴 돌며 아는 사람을 만나면 이야기를 나누고 간단히 대포 한 잔을 마신다. 보통 오후 6시경에 귀가한다. -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과 자택은 약 4~5km 떨어져 있다. 아침에 올 때는 걷기에는 먼 편이라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오후에는 가끔 집 방향으로 걷는다. - 귀가 후, 저녁식사 후 휴대폰으로 게임을 하면서 쉬다가 오후 10시경 취침한다. - 정기모임으로 협심회, 정심회, 협심산악회, 삼덕제지 동료들과의 모임 등 이 있다. 산악회 모임은 월 1회인데 되도록 참석하는 편이다. • 욕구 및 관심사 - 젊을 때부터 운동을 좋아하여 관람하거나 직접 하는 것을 즐겼다. 따라서 다른 문화예술프로그램보다 헬스를 하는 것과 여유롭게 하루 일과를 보내 는 것이 만족스럽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을 제2의 고향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주민들을 고려하지 않은 재개 발은 반대하는 입장이다. - 안양의 공공시설 등에 노인 편의시설은 잘 되어 있는 편이라고 생각한다. - 평촌 신도시는 쓸쓸해보이고 친근감이 없어서 딴 동네 같다. 평촌은 안양 같지 않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6 2015-03-07 오전 1:45:43
  • 58. 5756 기상, 오전운동, 외출준비 3시간 스마트 알림단 활동 3시간 점심식사 1시간 헬스운동 2시간 귀가하면서 동네산책 마실 3시간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휴식 3시간 취침 및 수면 6시간 AM 09:00 PM 12:00 PM 18:00 휴식 3시간 취침 및 수면 6시간 [그림 3] 손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기상, 오전운동, 외출준비 3시간 스마트 알림단 활동 3시간 점심식사 1시간 헬스운동 2시간 귀가하면서 동네산책 마실 3시간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7 2015-03-07 오전 1:45:44
  • 59. 3) 여OO 1970년 남편의 전근으로 인해 부산에서 군포 당정동으로 이주했다가 1983년 호계1동 아파트로 이사했다. 계속 동안구 안에서 이사를 다녔으며 1990년대 초, 평촌 아파트에 당첨되어 그 때부터 계속 살고 있다. 50대 후반까지 노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공장, 청소도우미, 야쿠르트 배달 등의 직장생활을 했으며 전자 회사 공장에서는 라인 반장을 하기도 했다. 노후자금이 어느 정도 모였다고 생 각해서 직장을 그만두고 자원봉사와 취미활동에 전념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일주일 중 이틀은 오전 9시~정오 12시까지 만안구 소재의 어린이집 두 곳 에서 예절교육강사로 활동하고, 하루는 한림대학교병원 자원봉사를 한다. - 일주일 중 이틀은 오후 1시 30분부터 4시까지 평안파출소 어머니방범 자 원봉사활동을 한다. - 일주일의 이틀은 평생학습원에서 한국무용과 우리춤 체조를 배우며, 강습 이 끝난 후 공연봉사 연습을 한다. 강습시간과 연습시간을 합치면 5~6시간 정도이다. - 오전·오후 스케줄이 없는 날은 주로 개인적인 일을 보거나 휴식을 갖는다. - 토요일은 집에서 쉴 때도 있고 가끔 남편과 산행을 한다. 일요일은 남편과 맛있는 음식을 해 먹거나 아들 가족을 불러 외식한다. - 점심식사는 보통 집에 다시 가서 남편과 함께 먹는다. 평소에 남편은 자유 공원으로 장기를 두러 나간다. • 욕구 및 관심사 - 10여년 넘게 봉사를 하는 이유는 내가 건강하고 무엇인가 할 수 있을 때 남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 예전엔 조조영화를 자주 보러 다녔는데, 요즘엔 바빠서 보러 갈 시간이 없다. - 집에 있으면 병나는 사람이라 옛날부터 활동하는 것을 무척 좋아했다. 어디든 가면 배울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 무엇이든 보러 자주 다니려고 노력한다. - 막내로 자라서 아기 보는 것을 워낙 좋아한다. 항상 아기들과 놀고 싶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8 2015-03-07 오전 1:45:44
  • 60. 5958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은 제 2의 고향이다. 부부 모두 노년을 계속 보낼 생각이다. - 여기가 제일 살기 편안하고 좋은 동네라고 생각한다. -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는 4번째 넣어서 당첨되었는데 그 기쁨이 아직도 남아 있다. 기상, 오전 외출준비 2시간 예절교육 3시간 집으로 이동 1시간 예절교육강사(어린이집 출근) 1시간 점심식사 후 휴식 2시간 우리춤 체조 수강 2시간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3시간 휴식 3시간 수면 7시간 [그림 4] 여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AM 08:00 PM 12:0 PM 17:00 귀가 후 저녁준비 식사,3시간 휴식 3시간 수면 7시간 기상, 오전 외출준비 2시간 예절교육 3시간 집으로 이동 1시간 예절교육강사(어린이집 출근) 1시간 점심식사 후 휴식 2시간 우리춤 체조 수강 2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59 2015-03-07 오전 1:45:44
  • 61. 4) 장OO 전남 고흥 태생으로 30여년 전 안양으로 이주했다. 19살 가장이 되어 농사를 짓다가 1978년에 서울 독산동으로 올라왔다. 7년간 맡은 동네 통장 업무가 기 회가 되어 서울시내 S구청에 기능직으로 입사하여 61세에 정년퇴직 후, G자동차, 아파트 경비를 11년간 했다. 하지만 70세가 넘자 구조조정을 당해서 그만두었다. 1개월 전 뇌출혈을 일으켜 투병 중이며 아들내외와 손자, 손녀 5명이 대가족을 이뤄 살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뇌출혈 발병 이후 집 앞 놀이터(공원)에서 바람을 쐬러 나간다. 항상 단정 한 모습을 유지하고자 깨끗한 와이셔츠에 정장을 입고 나간다. - 가장 멀리 가는 게 삼덕공원이다. 공원에서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햇살을 쐬는 게 최고의 낙이다. - 집 앞 놀이터 인근에는 중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 곳에서 중국 인 친구들을 사귀어, 중국에 대한 지식이 많다. • 욕구 및 관심사 - 발병 전에 4년간 안양 1동, 4동, 5동, 만안구 노인회관 등을 매일 돌며 1시간 30분씩 스포츠댄스를 수강했고 남부시장 콜라텍에도 종종 나갔다. - 아프기 전에는 날렵했고 이야기도 재미있게 해서 남녀 할 것 없이 사람이 따랐는데 이제는 기억도 희미하고 지팡이가 없으면 걷지 못한다. - 아픈 것이 빨리 나았으면 좋겠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10여 군데 이상의 셋방살이를 전전하다가 30년 전에 돈을 조금 모아 집값 이 싼 안양으로 이사를 했다. 그 시절만 생각하면 서럽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0 2015-03-07 오전 1:45:44
  • 62. 6160 점심식사 1시간 기상, 오전휴식 5시간 집앞 놀이터, 삼덕공원산책 5시간 휴식 6시간 수면 6시간 [그림 5] 장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휴식 6시간 수면 6시간 PM 12:00 PM 17:00 점심식사 1시간 기상, 오전휴식 5시간 집앞 놀이터, 삼덕공원산책 5시간 귀가 후 저녁식사 1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1 2015-03-07 오전 1:45:44
  • 63. 5) 방OO 고향은 충청도 예산. 광명에서 살다가 회사가 부도가 나서 1980년 안양으로 이 주해 설비 일을 시작했다. 석수 2동에서만 30여 년간 사업을 했으며 아직 은퇴 전이다. 60살에 밴드를 시작해서 회사가 위치한 건물 제일 위층에 연습실을 만 들었다. 지역문화 활성화 프로젝트, 공연봉사 등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은퇴 전이기 때문에 오전 9시 출근, 오후 7시 퇴근한다. 회사 대표라서 낮 시간은 비교적 자유롭다. - 공연 자원봉사, 초청공연은 성수기 때 1개월 5~6회, 비수기 때 1개월 1~2회 간다. - 평소에 음악봉사공연과 행사에 쓰는 시간이 제일 많다. 행사 관련한 미팅 을 해야 하고 연습하고 장비 수리도 해야 한다. • 욕구 및 관심사 - 밴드활동, 공연할 때가 제일 행복하다. 내 건강이 허락할 때까지 내가 하 고 싶은 밴드활동을 꾸준히 하며 살고 싶다. - 여가시간이 생긴다면 부인과 휴양을 목적으로 여행을 가고 싶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에서 이주하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다. 다른 곳에 이사를 했다가도 다시 돌아왔다. 내 평생 안양을 절대 뜨고 싶지 않다. - 평촌이 안양보다 살기 좋다고 하지만 전혀 못 느낀다. 이 동네는 거의 토박이가 살고 있고 나도 30여년 간 살고 있기 때문에 평촌으로 가서 살 수 있을지 모르겠다. - 평촌을 안양이라고 인식하지만 심리적으로 멀다고 느낀다. - 안타깝게도 안양은 서울 주변 도시 중 문화관련 정책 실행은 다소 늦는 느낌이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2 2015-03-07 오전 1:45:44
  • 64. 6362 기상,출근준비 2시간 공연준비 1시간 오전공연 2시간 업무(대표결재) 1시간 공연장비 철수 1시간 점심식사 1시간 공연장소 이동 및 준비 2시간 저녁식사 겸 뒷풀이 2시간 오후 공연 3시간 귀가 후 휴식 2시간 수면 7시간 [그림 6] 방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AM 10:00 PM 12:00 PM 20:00 PM 22:00 귀가 후 휴식 2시간 수면 7시간 기상,출근준비2시간 공연준비 1시간 오전공연 2시간 업무(대표결재) 1시간 공연장비 철수 1시간 점심식사 1시간 공연장소 이동 및 준비 2시간 저녁식사 겸 뒷풀이 2시간 오후 공연 3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3 2015-03-07 오전 1:45:45
  • 65. 6) 변OO 남편이 사업에 실패해서 1987년 안양으로 이주했다. 석수3동에서 17년간 반찬 가게를 했고 3년 전 가게를 그만두었다. 직후 건강에 무리가 생겨 1년간 쉬었다. 쉬는 동안 영어와 컴퓨터를 배웠고 2년 전부터 개인 프리랜서 성격을 띤 네트워 크 사업을 하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오전 10시부터 사업을 시작하여 오후 3시경에 마감하며 오전, 오후시간에는 집안일, 컴퓨터 오락 등을 하고 휴식을 취한다. - 오후에 친구 모임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리 늦어도 오후 8시까지는 귀가하 는 편이다. - 친구는 고향친구가 아니라, 학부형으로 만난 사이이며 함께 관악산 산행 을 가거나 해외여행을 간다. - 지난 몇 년간 집 근처에 주말농장을 했다. • 욕구 및 관심사 - 2년 후, 남편이 은퇴하면 전원주택을 짓고 텃밭에 농사를 지어서 자녀들 에게 공수해주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다. - 생애 마지막에는 실버타운에 들어가 살 예정이다. 건강 관련해서 케어를 해주니까 자녀들도 걱정이 없다. 꾸준히 준비할 예정이다. - 노년에 내가 가진 것 나눠주고 도와주고 봉사할 수 있으면 좋겠다. - 네트워크 사업이 성공해서 가계에 보탬이 되고 다른 엄마에게 희망이 되길 바란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이사를 가고 싶은 생각은 없는데 자녀들이 옮기기를 원한다. 본인은 교통 좋고 산도 있어서 여기가 살기 편하고 생각한다. 자녀들이 출가하면 그냥 여기 안양에서 사는 게 좋다. - 1990년대 자녀들이 자랄 때 평촌이 교육열이 세져서 아이들 교육시키기 좋았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4 2015-03-07 오전 1:45:45
  • 66. 6564 네트워크 사업 5시간 기상, 오전 집안일 3시간 오후 집안일 저녁준비 3시간 친구 저녁모임 3시간 휴식 3시간 수면 8시간 [그림 7] 변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휴식 3시간 수면 8시간 AM 10:00 PM 15:00 PM 20:00 - 안양에서 사는데 불편함이 없어서 친동생들을 안양으로 이사 오라고 권해 이사를 했고 동기간 다섯 명이 모두 근처에 모여 산다. - 평촌은 매우 가깝다. 전혀 부담 없이 다니고 있다. 네트워크 사업 5시간 기상, 오전 집안일 3시간 오후 집안일 저녁준비 3시간 친구 저녁모임 3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5 2015-03-07 오전 1:45:45
  • 67. 7) 오OO 대대로 안양에서 살아온 토박이로 관양동에서 태어나 꾸준히 살다가 결혼 후 90년대에 비산동에서 살았고 2000년 즈음에 다시 만안구로 옮겼다. 언론사 기자생활 28년 후,수도권 인근 언론사의 대표를 역임하였다. 지방자치제 실시 시작된 1988년부터 8년간 안양 시의원 2선의 의정활동을 했다. 취미로 하모니 카를 불기 시작하여 7년째 활동 중이며 장애인복지관에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직접 하모니카를 가르치고 있다. • 일과 및 사회활동 - 일주일의 이틀은 하모니카 동호회와 마술동호회 모임에 참여한다. 그 외 오후 시간은 주로 원로회 사무실에 마작 등의 오락을 즐긴다. - 화, 목, 금요일은 주로 고향친구인 학교 동창들을 1~2명씩 만나는 날이다. 밥도 먹고 놀러 다닌다. 낮에 대공원, 등산을 하고, 마작을 하기도 한다. - 오후 6시 경에 귀가하며 관련 활동의 온라인 카페 시삽을 맡아 매일 저녁 시간에 직접 관리한다. - 관양국민학교, 안양중학교 동창회(동창회는 1년에 2회), 고향친구들끼리 모임 2개(이 중에 여행클럽 3개월 1회), 컴퓨터를 같이 배운 사람들과 6년째 3개월 1회씩 모인다. • 욕구 및 관심사 - 내 철학은‘오늘이 있어야 행복하다’이다. 더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게 행 복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삶에 만족하자. - 70대가 되고난 후부터는 조금 무리하면 피곤이 온다. 누구한테 야속한 이 야기를 들으면 섭섭하다. 예전엔 그렇지 않았다. 지금은 감수성이 예민해 지고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의욕이 상실된다. 신체 적인 면도 그렇지만 무엇을 알아보고 싶은데 상대가 너무 어린 세대라서 교류가 힘들다. • 안양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안양과 평촌은 같은 도시이다. 평촌이 개발되고 난 후에 온 사람들은 본도심을 구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6 2015-03-07 오전 1:45:45
  • 68. 6766 (舊) 도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문화도시를 만든건 구(舊)도시 사람들이다. - 동편마을에서 나오는 도로망과 관련 개발이득금이나 문화시설 등을 만안과 평촌으로 균형있게 세웠으면 좋았을텐데 안타깝다. - 공해가 없는 벤처기업이 안양에 한 군데 정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림 8] 오OO 어르신의 일과표와 사회활동시간표 기상, 외출준비 3시간 복지관 하모니카 봉사 15시간 귀가 및 점심식사 15시간 안양원로회청소 및 관리 1시간 오락,마작 즐기기 3시간 휴식 3시간 저녁식사 1시간 마술동호회 모임 2시간 온라인카페관리 2시간 수면 6시간 AM 10:00 PM 19:00 PM 22:00 휴식 3시간 수면 6시간 기상,외출준비 3시간 복지관 하모니카 봉사 15시간 귀가 및 점심식사 15시간 안양원로회청소 및 관리 1시간 오락, 마작 즐기기 3시간 저녁식사 1시간 마술동호회 모임 2시간 온라인카페관리 2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7 2015-03-07 오전 1:45:45
  • 69. 3. 안양 시니어의 주요 거점과 주요 활동 3 - 1. 조사 개요 • 안양에 사는 시니어들의 행동패턴, 관심사, 대화방식, 여가 및 오락, 사회적 관계, 관계에 대한 기대와 요구 등 일상과 문화적 욕구를 살펴보고자 안양 내 시니어들의 주요 거점을 선정, 조사하였다. 노인복지시설에서는 이용행 태와 프로그램 선호도, 대상이 다른 시설별 노인들의 욕구 등에 주목하였고 공공공간에서는 시니어들의 이용형태, 다른 세대와의 접촉 및 관계에 주목하 였다. • 안양 내 대체적인 지형 파악을 위해 시니어들이 많이 모이는 노인복지시설, 평생학습시설, 공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사전 답사를 진행했다. - 노인복지시설 3곳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만안구 노인회관, 동안구 노인 회관) - 안양시평생학습원 - 보훈회관 - 공원 3곳 (중앙공원, 자유공원, 삼덕공원) - 안양대교 밑(안양천) • 최종 조사대상으로 노인대상 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양시노인종합복 지관, 각 구 단위의 노인복지시설을 대표하는 만안구 노인회관, 동안구 노인 회관 등 노인복지시설 3곳과 여러 세대가 함께 이용하는 자유공원, 삼덕공원 등 공공 공간 2곳을 포함하여 5곳을 우선 선정하였다. 이후 이용 노인의 특 정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독거노인 공동생활가정 안양카네이션하우스와 마을 단위의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율목종합사회복지관 내 경로당을 추 가 선정하였다. • 선정된 거점 총 7곳을 1~4회 내외로 방문하고 참여관찰 후 이용자 및 관계 자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8 2015-03-07 오전 1:45:45
  • 70. 6968 [표 14] 안양시 시니어 활동 거점 조사목록 구분 이름 성격 방문횟수 /참여관찰시간 노인 복지시설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노인여가복지시설 4회 / 10시간 안양시 만안구 노인회관 노인여가복지시설 평생학습원 위탁운영 3회 / 2시간 안양시 동안구 노인회관 노인여가복지시설 평생학습원 위탁운영 4회 / 6시간 안양카네이션하우스 법적규정 없음 1회 / 4시간 경로당 (율목종합 사회복지관 내) 노인여가복지시설 1회 / 3시간 공공 공간 (오픈스페이스) 자유공원 근린공원 3회 / 8시간 삼덕공원 근린공원 4회 / 10시간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69 2015-03-07 오전 1:45:45
  • 71. 3 - 2.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활동 1)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가. 개요 일반현황 - 설립: 안양시 - 운영주체: 재단법인 불교안양원 - 설립연도: 2000. 05. 16 - 위치: 동안구 경수대로 665번길 74-30(호계2동 314-3) - 규모: 대지 4,501㎡(1,362평) 건물 3,161㎡(958평) 본관/별관/신관 3개동 - 직원수: 51명 시설물 현황 - 본관 B1: 보일러실, 기계실 1F: 사무실, 안내실, 강의실, 관장실, 카페 2F: 거실, 특별거실, 휴게실, 주간보호거실, 목욕실, 사회복지사실, 스마트힐링센터, 심리이완통합치료실, 물리치료실 3F: 강당(여가활동실), 이·미용실, 강의실, 노인종합상담실, 서고 - 별관 1F: 장기바둑실, 2F: 자원봉사실, 3F: 컴퓨터실 - 신관 B1: 강의실, 기계실, 전기실, 발전실 1F: 식당, 조리실 2F: 체력단련실, 탈의실, 샤워실 3F: 강당, 방송실 옥상: 텃밭 이용객 현황 - 안양시 거주 중인 만 60세 이상 이용 - 전체등록회원 : 9,202명 (남자 3,912명 (42.5%) / 여자 5,290명 (57.5%)) (2014년 1월 31일 기준) - 하루 식사이용객 : 350명 - 2014년 10월말 현재 회원 수: 9,484명 (남 4,046명 / 여 5,438명)* *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에 등록한 누적 회원 수이다. 복지관 회원으로 등록해야 프로그램 수강 및 일자리 사업 등에 참여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사망, 전출 등의 확인 이 어려워 현재 복지관을 실제로 이용하는 노인 수와는 차이가 있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0 2015-03-07 오전 1:45:46
  • 72. 7170 특이사항 - 민간재단법인이 운영하고 있어서 재직자 모두 재단법인 직원이며 자율성이 높고, 젊은 복지사의 비율도 높은 편임. - 복지관 자체 3년에 1회, 요구조사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시행. 주변 현황 - 호계 근린공원 내부에 위치하며, 주변은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으며, 호계 중학교, 안양실내게이트볼장, 안양호계체육관과 인접 - 지하철 1호선 명학, 금정역과 4호선 범계역에서 자동차로 약 10여분 거리 - 대중교통 이용 시에는 인근 푸른 마을 삼성래미안 쪽으로 걸어서 올라올 수 있는 출입구가 있음 나. 프로그램 * 및 이용현황 • 평생교육 프로그램‘해울’ -‘해울학교’라는 이름의 강좌형 기본 교육 프로그램이 3개월 단위, 총 4 학기제로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 무료강좌이나 회원들의 요구에 의해 개 설된 유료강의도 있다. 한국어와 외국어, 산수 등의 기본학습과 건강, 컴 퓨터 외에 취미교실 형태의 문화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다. - 프로그램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이용자대표자모임‘해울리더스 클럽’에서 매월 1회의 회의를 열어 프로그램 제안, 강의평가 등을 한다. 해마다 교육 결과 발표 및 공유의 장으로‘해울 큰잔치’도 열린다. - 해울체육대회는 2년에 1회 열리며 시니어들의 참여가 매우 적극적이다. 시니어들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이어달리기, 풍선 굴리기, 박 터뜨리기 등의 종목을 겨루며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의료진이 대기한다. 또 노 인들과 같은 속도로 옆에서 함께 뛰는 러닝메이트 자원봉사자 등을 배치하 여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 올해 창단 10주년을 맞은 해울합창단(3개월 15,000원, 유료프로그램)은 * 안양시노인종합복지관 사업 중, 복지 위주의 서비스사업은 제외하고 문화적 접목이 가능한 사업 위주로 재분류하였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1 2015-03-07 오전 1:45:46
  • 73. 복지관 내에서 자발적, 지속적 활동을 하는 대표적인 동호회로 호평을 받 고 있으며 오랜 공연활동으로 인해 공연기획에 관심을 가져 그 결과‘공연 기획 해울’이 파생되었다. -‘공연기획 해울’은 평소 노인들이 접하기 어려운 문화공연 소개를 목적 으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지난 8월, 첫 기획공연을 복지관 내에서 개최한 바 있다. - 시니어들의 자발적인 기획으로 2014년 10월 해울벼룩시장이 처음 개최되 었다. 본인 기증품을 직접 판매하거나 자원봉사 시니어가 협찬품을 판매하 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판매액은 해울체육대회 예산으로 활용하였다. - 해울벼룩시장 내 판매는 자원봉사 시니어와 복지사가 배치되어 도우며, 노인 판매자보다 복지사가 더욱 적극적으로 판매를 위해 노력한다.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2 2015-03-07 오전 1:45:46
  • 74. 7372 학 습 교 육 과목 반별 운 동 및 건 강 교 육 과목 반별 문 화 및 예 술 교 육 과목 반별 컴 퓨 터 교 육 과목 반별 영어 탁구 초급 서예 Ⅰ 컴퓨터 초급 생활회화 중급 Ⅱ 중급 산수 우리춤 체조 초급 Ⅲ 태그&스위시 기초(유) 한글 중급 Ⅳ 스위시응용& 동영상(유) 한문 요가 Ⅰ 문인화 Ⅰ 인터넷 활용 일어 Ⅱ Ⅱ 디카 활용 태극권 오카리나(유) 포토샵 단전호흡(유) 실버밴드 태권도 하모니카 실버체조(유) 통기타 신바람 건강교실(유) 사물놀이 GX (그룹 운동) 1반 가요 2반 난타 3반 라인댄스(유) 고전무용 웰빙댄스(유) 합창(유) [표 15] 해울학교 프로그램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3 2015-03-07 오전 1:45:46
  • 75. • 지역연계 및 세대교류 프로그램 - 경로당 활성화 사업 중 하하 1·3동체는 안양지역 경로당과 어린이집을 연계하여 레크리에이션·다도·떡 만들기 등의 여러 체험을 통해 1세대와 3세대 간 교감과 소통을 이끌어내는 경로당 지원서비스이다. 어린이집의 경우 이동거리와 외부활동에 대한 안전사고의 부담감이 있어 하나의 건물 내 경로당과 어린이집이 함께 있는 2개 경로당(평촌 한가람신라아파트 경 로당, 호계3동 대림경로당)에서 진행 중이다. - 비정기적으로 열렸던 프로그램은 부흥중학교 요리 동아리가 경로당을 돌 면서 노인들에게 요리를 해주고 말벗을 해주기도 했으며 인덕원중학교 댄 스동아리에서 인근 경로당에 방문하여 댄스 공연을 하기도 했다. - 자원봉사 프로그램 사업으로 만안청소년수련관과 연계하는 1·3세대 통 합 프로그램‘세대공감’은 방학기간 중 일주일동안 청소년과 노인이 1:1 짝을 지어 둘이서 함께 음식을 만들거나 게임을 하며 세대 간극을 좁 히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가지는 프로그램이다. • 자원봉사 및 일자리 프로그램 - 도미솔 봉사단 : 노인종합복지관 내 일반 자원봉사동아리와 전문 자원봉 사동아리의 네트워크이다. 자원봉사동아리는 자원봉사활동에 관심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이라면 누구나 참여가능하며 상담과 교육을 거쳐 일반 자원봉사활동을 하거나 전문 자원봉사동아리(Silver Star Net) 활동을 하게 된다. - 일반 자원봉사로는 교통안전지킴이, 독거노인 밑반찬 배달, 도담도담 지 킴이(놀이터 안전관리), 요양원 및 보호작업장 업무 지원 등이 있고 전문 자원봉사동아리에는 파란꿈지킴이(아동대상 인형극 공연), 풍계묻이(요양 원 노인과 N.I.E.활동), 다솜바리스타(바리스트 활동지원), 해울학교 강 사 지원 등이 있다. - 2014년 6월에는 계원예술대학교 봉사동아리‘모락하노’와 연계하여 노 인 2인 1조로 전래동화를 녹음하고 인형을 제작하여 시각장애 아동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 일자리사업은 안양시 거주 만 65세 이상의 기초노령연금 수급자를 대상으 로 한다. (일부 사업의 경우 만 60세 이상, 기초노령연금 미수급자도 가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4 2015-03-07 오전 1:45:46
  • 76. 7574 능) 연 9개월 동안 월 20~40시간을 활동하며 월 20만원의 활동비를 제공 한다. 공익형, 복지형, 교육형 일자리 사업으로 구분된다. - 안양시니어클럽은 2008년부터 운영하였으며 시니어들이 노동시장에서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소규모 창업을 지원하거나 업체로의 취업 을 연계하는 노인일자리 창출 전담기관이다. 급여는 시간당 최저임금으로 책정되며, 제조판매(택배/ 도시락, 커피 비누 제조 및 판매), 공동작업(부 품조립, 작물재배) 인력파견(경비, 미화, 실버단역배우) 등의 일자리가 마 련되어 있다. 다. 시니어 이용 특징 • 프로그램 이용 -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빠짐없이 복지관에 나와 거의 모든 강좌를 듣는 회 원도 있고, 10년 이상 이용하는 시니어들도 다수이다. - 매월 교양강좌도 열리고 있으나 강의형 강좌의 참석율은 저조하고 공연 등 행사형 강좌는 참석율이 높은 편이다. 정보에 관한 호기심은 있으나 공연 등의 볼거리에 비해 적극적으로 소구하지 못하는 편이다. 반면에 인문학 강의 내 최신 트렌드(ex.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로 접근하면 호응이 높다. - 결과발표에 대한 시니어들의 욕구가 커서 참여 프로그램 중 1개 과정만 선 택하여 발표회에 참여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 2014년 첫번째 열린 해울벼룩시장에는 수업이 없는데도 일부러 방문한 시니어들, 매 수업시간이 끝나고 모여들어 구매하는 시니어들 뿐 아니라 일반 지역주민들도 고객으로 참여했다. - 염색약 등 시니어에게 특화된 물건의 구매가 활발했다. • 공간이용 - 장기·바둑실, 체력단련실, 컴퓨터실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 도록 상시적으로 개방하고 있었으며 곳곳에 놓인 바둑판에서 바둑을 두는 노인들을 자주 볼 수 있었다. - 1일 350명의 식사를 제공하는 식당은 회원에게 1천원에 점심을 제공한 다. 보통 오전 11시부터 줄을 서서 기다리며 남성들은 개별적으로, 여성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5 2015-03-07 오전 1:45:46
  • 77. 들은 친한 사람들이 모여 식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 본관 1층 커피숍인‘다락방 카페’는 시니어클럽에서 바리스타 교육을 받 은 노인들이 근무한다. 오후 시간대에 비교적 연령이 낮은 시니어, 외부 손님들이 주로 이용하며 테이블의 절반 정도가 찬다. - 카페 내 700여권의 도서를 비치하여‘해울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책을 고르거나 앉아서 독서하는 이용자는 잘 볼 수 없었다. • 기타 - 복지관에서는 서로를‘할머니’,‘할아버지’라고 부르지 않고‘아줌마’ ‘아저씨’의 호칭을 사용한다. 보통 90세가 넘은 노인에게‘할머니, 할아 버지’호칭을 쓰는데 공경의 의미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 자가 차량으로 이용하는 노인들도 많아서 주차장은 늘 만차(滿車)이지만, 이용자들끼리 잘 소통하여 주차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 복지관 내에 공인된 두 쌍의 커플이 있다. 하지만 복지관 내에서 전혀 내 색하지 않으나 안양 시내에서 간간히 복지사와 마주치는 비밀연애 커플도 있다. , 연구보고서-1500306-내지.indd 76 2015-03-07 오전 1:4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