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4 할머니네텃밭 결과보고서환경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 39
(성산1동 249-10)
시민공간 나루 2층
02. 743. 4747 전화
www.eco.or.kr 홈페이지
할머니네
텃밭은
건강해요
2014할머니네텃밭
결과보고서
3
할머니네텃밭
사계절을 소개합니다
편지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1
2
3
2014할머니네텃밭 Time line
Q&A
먹거리 선생님의 편지
할머니의 편지
만남
사진전
어린이 식습관 설문조사 결과
중간평가 설문조사 결과
활동 일정
4
6
8
10
12
15
32
42
59
차례
4 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 지역아동센터 사전방문
· 오리엔테이션
· 제철꾸러미 시작!
· 어린이 먹거리교육
· 공동체 사전방문(총7곳)
생산 공동체
언니네텃밭의 꾸러미 공동체 7곳
(고성, 금소, 다시, 도새울, 순천, 오산, 함안)
할머니댁 캠프
지역아동센터 먹거리수업
12개센터, 총 8회 수업 할머니 서울나들이
· 제철꾸러미 계속
· 어린이 먹거리교육 계속
· 여름캠프
· 제철꾸러미 계속
· 어린이 먹거리교육 마무리
· 부모 먹거리교육
· 조리사 워크숍
· 할머니 서울나들이 시작
· 제철꾸러미 계속
· 할머니 서울나들이
1 할머니네텃밭 사계절을
소개합니다
봄 가을여름 겨울
6 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Q. 할머니네텃밭은 무엇인가요?
Q. 먹거리정의가 뭔가요?
Q. 건강한 먹거리는 어떤 건가요?
Q. 먹거리교육은 왜 필요한가요?
Q. 강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Q. 제철꾸러미가 무엇인가요?
Q. 생산공동체는 무엇인가요?
A. 세상 모든 아이들이 건강한 먹거리를
먹는 ‘먹거리정의’의 실현을 위한 환경정의
다음지킴이본부의 프로젝트입니다. 다양한
만남을 통해 만들어지는 좋은 관계에 기초해
지역아동센터의 먹거리를 전환하고자 합니다.
A. 먹거리가 생산, 유통, 가공, 소비되는 모든
과정이 윤리적이고 불평등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사회 운동입니다.A. 단순히 ‘유기농 밥상’을 말하는 게 아니라
생산과 소비, 요리하고 함께 먹는 과정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관계들이 모두 건강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먹거리는
곧 건강한 관계에서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A. 저소득층 아이들 일수록 라면과 같은
인스턴트 음식에 길들여져 있고, 음식의 맛을
감별하는 미각이 상대적으로 둔감합니다.
아이들이 어린 시절에 좋은 재료로 만든
먹거리를 먹어보고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건강한
투자입니다. 아이들에게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교육을 통해 음식의 소중함과 음식이
내게로 오기까지의 과정을 알려주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A. 환경정의 먹거리 강사 선생님들이 센터와
아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더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안을 만들어 주십니다.
A. 마을 공동체에서 직접 재배, 수확한 제철
농산물을 도시 소비자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만들어진 꾸러미입니다. 생산자인 농민들은
소규모 텃밭에서 직접 생산한 먹을거리를
매주 1회 소비자 회원들께 보내드리고, 도시의
소비자는 매월 지정된 회비로 농민의 생산을
지원합니다. 꾸러미를 통해 여성농민은
농업을 지속할 수 있고 보다 지속가능한
생태농업으로의 전환을 이루어 갈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 회원은 계절마다 다른
다양하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A.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유통구조를 만들기 위해 지역농가들이
모여 만든 농업 공동체를 말합니다.
2014할머니네텃밭은 ‘언니네텃밭’과 함께
했습니다. 언니네텃밭은 대규모 농사와 기업형
농사로 망가진 땅을 살리고, 종의 다양성을
지키는 농사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의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생태농업,
전통농업의 복원. 토종씨앗지키기를 통해
현재의 건강한 먹을거리를 넘어 다음 세대의
건강한 먹을거리 생산기반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1 할머니네텃밭 사계절을
소개합니다
교육활동 요리활동회차
나무목걸이 만들기
장떡, 현미주먹밥
두부버거, 돌돌말이 채소
오이송송이, 가지전,
오미자수박화채
달걀삼각김밥, 건강에너지바
삼색수제비, 감자경단
고추장 만들기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쌀과 우리밀
육류 – 햄과 생명
아이스크림과 당
가공식품 – 가공식품 속 첨가물
컵라면과 인스턴트식품
건강한 먹을거리란?
내 아이가 건강해 지는 먹을거리 2
1
2
3
4
5
6
7
8
8 9
2 편지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안녕! 얘들아, 할머니네 텃밭 요리선생님이야.
올해 할머니네 텃밭 프로그램 하면서 너희들 만나게 되어서 선생님은
무척 반가왔단다.
만날 때마다 반갑게 인사해주는 친구들이 있어서 고마웠고, 열심히
수업 듣는 모습도 대견스러웠고 말야. 평소에 음료수랑 아이스크림
좋아하던 친구들이 우리가 즐겨먹던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첨가물과
색소들을 실험하는 거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먹지~ 하며 걱정하던
모습들이 기억나. 지금쯤은 같이 공부했던 거 다 잊고 다시 열심히 먹고
있는 것은 아니겠지?
그래도 역시 너희들은 이론수업 보다는 직접 너희 손으로
요리하는 수업을 더 재미있어 했던 것 같아. 이론수업할 때는 하품하던
친구들도 요리수업 할 때는 눈이 반짝반짝 해져서 열심히 참여하곤
했으니까.^^ 정말 재미있었던건 평소에 잘 먹지 않던 음식들도 자기
손으로 직접 요리하니까 잘 먹게 되더라는거야. 탕평채 만들 때 파프리카
썰면서 ‘나는 이것 절대로 안먹을거에요.’하던 친구들이 탕평채가 다
완성되자 하나도 남기지 않고 다 먹었을 때는 정말 웃음이 나면서 기분이
좋았단다. 너희들 오이송송이 만들면서 고춧가루 때문에 매운데도 정말
잘 먹었잖아. 직접 해보니 어렵지 않다고 집에 가서도 해본다고 하던
친구들은 집에서 엄마랑 같이 오이송송이 만들어보았니? 엄마랑 같이
요리하면서 수업하면서 배운 내용들도 알려드리고 하면 정말 좋을텐데
말이야. 아직 해보지 않은 친구들은 지금이라도 요리하기에 한번
도전해봐.
햄버거가 먹고 싶을 땐 우리가 했던 두부버거를 만들어먹고,
맛있는 반찬이 없다고 느껴질 땐 주먹밥이나 쌈밥을 만들어 먹어도
좋겠지. 내손으로 만든 음식은 다 맛있는 법이니까 말이야.
내가 직접 음식을 만들어서 엄마아빠께 드리면 더욱 보람 될거야.
우리는 항상 엄마나 어른들이 해주시는 음식을 먹고 있으니까 내가
한번쯤 요리해서 대접해 드려도 좋겠지?
그리고 평소에 음식을 먹을 때나 만들 때면 이 농산물을
생산하느라 애쓰신 분들을 항상 생각하며 감사한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어. 언니네텃밭 공동체 할머니들처럼 다들 정성껏 농사지어서
생산해낸 채소들이니까 말야. 선생님은 발을 다쳐서 캠프에 못 갔지만
너희들은 캠프 가서 농사일 하시느라 수고하시는 할머니들도 만나고
정성껏 음식도 해주셔서 맛있게 먹고 왔지? 재미있게 놀다 왔다는
이야기 들었어. 정말 부러웠단다.
할머니들이 서울 나들이 왔을 때는 너희들이 재미있게 해드리고
잘 대접해드렸니? 센터별로 즐거운 시간들 가졌을 거라고 생각해.
앞으로도 공동체 할머니들께 안부편지도 쓰고 잘 교류해서 내년에도
다시 만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아. 방학 때면 찾아갈 수 있는
시골집 할머니처럼 가까워져서 또 만나면 정말 반가울거야.
요리수업 끝난다고 하니까 서운해 하던 너희들 모습이
떠오르는구나. 한 친구는 서운한 마음에 울어버린 친구도 있었어. 꼭
안아주면서 다시 만나자고 약속했는데 말야. 내년에도 다시 만나게 되는
날을 기다릴게. 그동안 채소, 나물도 골고루 잘 먹고 건강하게 잘 지내렴.
환경정의 소혜순 선생님이
10 11
2 편지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짧은 만남 긴 아쉬움~
남쪽 산골 마을에 보기 드문 눈이 왔습니다. 눈이 이렇게 쌓이면 언니네
텃밭의 왕언니들은 걱정이 앞섭니다. 꾸러미를 낼 일이 걱정이고 배송이
제대로 될지도 걱정입니다. 하지만 모처럼 눈을 만난 아이들은 휴교와
더불어 눈놀이에 열중합니다. 돌담을 돌아오는 골목을 쓸고 모아지는
눈을 모아 눈사람도 만들었습니다. 아이들에게 이렇게 추억이 있다는
것 살면서 두고 두고 기억되는 풍경이겠지요? 모든 아이들이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평화롭게 놀고 맘이 상처받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
아니 상처를 받아도 극복할 힘이 될 뭔가가 있었으면 합니다.
1년 전 처음 만남이 어색하고 서먹서먹했지만 2년째 만난
아이들은 많이 커 있었고 만나는 만큼 정이 들어 반가웠습니다. 아이들이
뭘 좋아하는지, 서울 아이들은 어떤지? 손자들이 있으면서도 할머니들은
첫만남이 설레면서도 어색합니다. 갇힌 도시의 생활을 잠시 접고
열심히 물놀이하며 자연 속에서 뛰어 노는 아이들을 보며 새삼 맘이
흐뭇해집니다. 커다란 눈을 껌벅이며 쳐다보는 소들이 신기해 풀을 뜯어
먹이는 아이들, 돌담골목을 돌아다니며 자연과 하나 되는 아이들은
어느새 자연의 일부가 되어있었습니다. 우리에게 일상이 아이들의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조용한 산골마을에 도시아이들에 소리로 1박2일 마을에
사람소리가 넘쳤습니다. 아이들이 썰물처럼 빠진 곳을 정리하면서
챙겨가지 못하고 남겨진 양말짝들이 덩그러니 남아있습니다 산골
마을에 아이들의 소리가 그리웠을까? 보내고 나면 시원섭섭합니다.
좀 더 잘해줄걸. 좀 더 좋아하는 걸로 먹일걸. 하는 아쉬움이 밀려옵니다.
해의 만남을 이어 두 번째 방문은 가을이 오는 문턱에
이루어졌습니다. 물놀이를 맘껏 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니어서 아쉬워하는
아이들에게 미안한 맘이 들었습니다. 황토에 손수건을 넣고 열심히
조물조물 주물러 건조대에 널었습니다. 바람에 날리는 손수건을 보며
아이들도 바람같이 자유로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사리 손으로 녹두 따고 땅콩 캐고 흙과 노는 아이들. 살면서
고단해도 잠시 다녀간 할머니 텃밭을 생각하고 힘을 얻었으면 합니다.
돌아가는 발걸음이 아쉬워 할머니를 안고 있는 아이들, 잡은 손을
놓아주기가 아쉽기만 합니다. 엄마아빠 줄 거라며 물들인 손수건을 접는
아이들이 예쁘게 잘 커줄 거라 믿습니다.
서울에서 열린 여성농민 가을 추수한마당잔치까지 찾아와 준
아이들, 인사동 거리를 손잡고 걸으며 여기저기 아이들과 눈구경 하고
맛난 저녁을 먹었습니다. 다음날 농민집회까지 찾아와 따뜻한 음료로
내려가는 길 까지 배웅 온 아이들. 모두의 아이들입니다. 2년 도시
아이들은 우리의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아이들에게 기억할
뭔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먹거리에서도 차별 받지 안고자 애쓰는
환경정의의 이런 노력에 감사합니다.
함안에서 정은미 언니가
12 1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누가 만났나요?
총 12개 센터, 7 공동체
지역아동센터 공동체
도새울
오산
오산
순천
순천
함안
고성
금소
금소
다시
다시
고성
칠보산청소년방과후지역아동센터
갈현지역아동센터
동그라미지역아동센터
광현지역아동센터
푸른꿈나무지역아동센터
종로푸른학교
도깨비방망이지역아동센터
꾸러기지역아동센터
산지역아동센터
작은사랑서울지역아동센터
작은사랑동작지역아동센터
어린이나라지역아동센터
1
2
3
4
5
6
7
8
9
10
11
12
· 주 1회 / 월 4회 /
· 연 48회 꾸러미 공급
· 학기 중 8회 먹거리 수업
· 여름방학 1박2일 농가방문 캠프
어떻게 만났나요?
공동체센터 날짜
7/28–29
7/29–30
7/30–31
8/4–5
8/13–14
8/18–19
9/19–20
도새울칠보산
안동꾸러기
산
오산갈현
동그라미
나주작은사랑서울
작은사랑동작
고성어린이나라
도깨비방망이
순천광현
푸른꿈나무
함안종로푸른학교
14 1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할머니 서울나들이 가요~’
프로그램 진행
센터명공동체 서울나들이 프로그램
12/10 화성투어버스
비누만들기/
아쿠아리움 방문
다문화박물관/
영화관람
경복궁, 인사동 방문
공연관람
63빌딩 구경
자체프로그램,
경복궁 방문
12/17
12/26 또는
12/29
11/7–8
12/26
12/29
11/20–21
칠보산청소년방과후도새울
오산
순천 광현
푸른꿈나무
갈현
동그라미
종로푸른학교
꾸러기
함안
금소
산
다시
작은사랑동작
작은사랑서울
고성
도깨비방망이
어린이나라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1. 열심히 공부하는 강사모임
3. 2014할머니네텃밭 참여단체
오리엔테이션 그리고 협약식 (4월 29일)
2. 열린특강 첫번째.
음식명상 (3월 13일)
16 1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도깨비방망이지역아동센터
4. 건강한 먹거리교육
광현지역아동센터
갈현지역아동센터
꾸러기지역아동센터
18 1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어린이나라지역아동센터
4. 건강한 먹거리교육
작은사랑동작지역아동센터
산지역아동센터
동그라미지역아동센터
20 2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푸른꿈나무지역아동센터
칠보산청소년방과후지역아동센터
4. 건강한 먹거리교육
종로푸른학교지역아동센터
작은사랑서울지역아동센터
22 2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나주 다시공동체 (8/4~5)
5. 캠프
횡성 도새울공동체 (7/28~29)
고성공동체 (8/13~14)
24 2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5. 캠프
횡성 오산공동체 (7/29~30)
순천 황전공동체 (8/18~19)
26 2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6. 조리사 워크숍
함안공동체 (7/30~31)
5. 캠프
28 2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도새울공동체 (12/10)
7. 할머니서울나들이
고성공동체 (11/20~21)
나주 다시공동체 (12/29)
30 3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7. 할머니서울나들이
안동 금소공동체 (12/26)
횡성 오산공동체 (12/17)
함안공동체 (11/7~8)
32 3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
아침식사를 하나요?
응답자(%)보기
86.4% 216
13.6% 34
250
네
아니오
총계
(명)
답변한 수 250 건너뛴 수 0
Q2
현재까지 프로그램
진행 현황은?
보기
10.93% 27
5.67% 14
12.55%
7.69%
50.61%
12.55%
31
19
125
31
247
1회
2회
3회
4회
5회
하지 않음
총계
답변한 수 247 건너뛴 수 3
응답자(%) (명)
34 3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3
하루에 간식을 얼마나 먹나요?
보기
34.62% 81
28.63% 67
13.25%
3.42%
13.68%
6.41%
31
8
125
15
234
1회
2회
3회
4회
5회
기타
총계
답변한 수 234 건너뛴 수 16
응답자(%) (명)
Q4
간식으로 무얼 먹나요?
답변한 수 229
건너뛴 수 21
씨리얼
떡복이
음료수
아이스크림
날마다 다름
요구르트
초코렛
견과류
불량식품
닭강정
고구마
요플레
36 3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5
학교 앞 불량식품을 먹나요?
응답자(%)보기
67.34% 167
32.66% 81
248
네
아니오
총계
(명)
답변한 수 248 건너뛴 수 2
Q6
일주일에 불량식품을 얼마나 먹나요?
보기
30.92% 77
20.88% 52
9.24%
2.01%
5.62%
31.33%
23
5
14
78
249
1회
2회
3회
4회
5회 이상
먹지 않음
총계
답변한 수 249 건너뛴 수 1
응답자(%) (명)
38 3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7
일주일에 패스트푸드 음식을 얼마나
자주 먹나요?
보기
36.99% 91
26.83% 66
14.23%
3.25%
2.85%
15.85%
35
8
7
39
246
1회
2회
3회
4회
5회 이상
기타
총계
답변한 수 246 건너뛴 수 4
응답자(%) (명)
Q8
일주일에 편의점 음식은 얼마나
자주 먹나요?
보기
35.54% 86
24.38% 59
12.40%
5.79%
4.96%
16.94%
30
14
12
41
242
1회
2회
3회
4회
5회 이상
기타
총계
답변한 수 242 건너뛴 수 8
응답자(%) (명)
40 4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9
좋아하는 음식 세가지만 적어 주세요.
콩나물 돈까스
스테이크
복숭아 비빔밥
삼겹살
스파게티
시금치
아이스크림
떡볶이
패스트푸드
미역국
햄버거
김치찌개
샐러드
Q10
가장 싫어하는 채소 한 가지만 적어 주세요.
브로콜리단호박
샐러드
양배추
파프리카
치커리
랍스타
오징어젓갈
옥수수
김치전
짜장면
돼지 껍데기
불량식품
청국장
된장찌개
쌀국수
바나나
고구마
샌드위치
토마토
양배추
샐러리
도라지
답변한 수 230
건너뛴 수 20
답변한 수 242
건너뛴 수 8
42 4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
어떤 경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나요?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응답자(%)보기
62.5% 5
(명)
12.5% 1
25% 2
0% 0
0% 0
8
서지협
홈페이지
지인의 소개
작년 프로그램의 연계
기타
총계
Q2
현재까지 프로그램
진행 현황은?
보기
100% 8
100% 8
87.5% 7
8
먹거리
캠프
학부모 교육
총계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응답자(%) (명)
44 4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3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가장
기대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보기
62.5% 5
12.5% 1
25% 2
0% 0
0% 0
8
‘언니네 텃밭’ 제철 꾸러미 지원
어린이 먹거리 교육을 통한 식습관 개선
지인의 소개
작년 프로그램의 연계
기타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4
실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예상한 대로의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나요?
보기
66.6% 8
33.3% 4
12
그렇다
무응답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12 건너뛴 수 0
46 4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5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어떤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나요?
답변한 수 7 건너뛴 수 1
1
직접 음식을 만들면서 음식 만드는 과정을
알게되고, 자신이 만든 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좋아하지 않는 음식이라도
먹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캠프 때에는
밥과 반찬을 모두 남김없이 먹어치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2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진행해주시는
먹거리 교육을 통해 의식개선이 있었다면,
농가의 할머니들을 뵙고 자신들이 먹는
식재료들이 자라는 곳을 직접 본 것이 정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은 것 같습니다.
3
1. 건강한 먹거리 교육을 통하여 야채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었다.
2. 캠프를 통해 공동체의 의미와 노고를
알게 되었다.
4
여름 캠프를 통해 음식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음
5
먹거리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바른
먹거리가 어떤 것인지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센터에서도 좀 더 신경써서
제공하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6
아이들이 평소에 접하던 먹거리를 다시
한 번 살펴보게 된 것, 자신이 직접 만든
간식을 양념하나 남기지 않고 먹는 것을
보면서 먹거리의 소중함을 조금이나마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7
아이들이 건강한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직접 생산하시는 분들에 대한 관심
높아짐. 부모교육을 통해 건강한 식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 캠프를 통한
시골생활에 대해 친근감을 느낌.
Q6
‘할머니네텃밭’프로그램 중 가장
만족스러운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보기
62.5% 5
25%
37.5%
2
3
8
먹거리 교육(어린이/부모)
꾸러미 지원
여름캠프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48 4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7
먹거리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응답자(%)보기
12.5% 1
87.5% 7
0% 0
0% 0
0%
0%
0
0
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기타 의견
총계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보기
12.5% 1
25% 2
50% 4
12.5% 1
0%
0%
0
0
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기타 의견
총계
Q8
꾸러미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50 5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9
여름캠프(농가방문)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응답자(%)보기
62.5% 5
0% 0
25% 2
0% 0
12.5%
0%
1
0
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기타 의견
총계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10
‘할머니네텃밭’ 프로그램 중 개선 또는
추가되었으면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1
모종심고 길러보기 등 (개인 화분이
아니라) 그룹별로 시행
(토마토, 상추, 감자 등)
2
자신이 먹는 꾸러미를 직접 싸보거나 직접
수확해 보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1. 농가방문을 2회 이상 하면 2.아이들이
직접 씨를 뿌리고 모종심기를 하여 자란
후 방문하는 것도 살아있는 교육이라
생각함. 3. 그렇게 함으로 농촌에 대한
호기심과 애착심과 추억을 만들수 있으리라
생각함. (여름캠프동안 동네를 둘러보고
자연을 직접 체험할 수 있던 것이 아주
유익하였음)
4
제철 꾸러미 지원되는 물품을 미리
알았으면 좋겠다. 서로 조율할 수
있었으면 한다.
5
여름캠프 장소가 협소했던 것 같습니다.
캠프 장소가 조금 더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6
여름캠프
8
음식 교육의 간소화
7
지금도 좋지만, 꾸러미양이 일정치 않아
식재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때가 있음.
52 5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1
앞으로 남은 프로그램 중 가장
기대되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보기
12.5% 1
62.5% 5
25% 2
조리사 워크숍
할머니 서울 방문
학부모교육
8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12
현재 지역아동센터 어린이 식습관과
먹거리 현황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요?
보기
50% 4
37.5%
12.5%
12.5%
3
1
1
8
편식으로 인한 영양의 불균형
군것질
아침식사
가정에서의 방치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54 5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3
아이들에게 건강한 먹을거리 제공이
전체적인 생활에 어느 정도 중요성을
가진다고 생각하시나요?
보기
66.6% 8
0% 0
0% 0
0%
33.3%
0
4
12
아주 중요하다
보통이다
그저 그렇다
중요하지 않다
무응답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12 건너뛴 수 0
Q14
센터에서 공공급식을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응답자(%) (명)보기
12.5% 1
12.5%
12.5%
25%
37.5%
1
1
2
3
8
예산 부족
식재료 유통의 문제
조리사와의 의견 차이
잔반 처리
기타
총계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56 5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5
어린이 식습관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무엇일까요?
응답자(%)보기
12.5% 1
(명)
37.5% 3
12.5% 1
37.5% 3
8
예산 지원
조리사 교육과 지원
어린이와 학부모, 선생님 대상의
먹거리 교육
불량식품, 편의점 식품 등의 관리
총계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16
센터 아이들의 식습관 중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는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1
아이들이 군것질을 하고 센터에 오거나
집에 가면서 군것질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불량식품을 쉽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해야한다.
2
가정에서의 방치로 아동들이 패스트푸드나
배달음식에 너무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더욱 비만 아동도 많은 것 같습니다.
3
밭에서 나는 식물들을 스스로 먹어야겠다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하는 부분
4
편식
5
편식, 야채를 싫어합니다.
6
가정에서 지켜지지 않는 좋은
먹거리 제공, 편식
8
학교 등하교시 이용하는 군것질은 아이들
미각에 변화를 가져온다. 집이나 학교에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만 먹다보니 편식이
심하다. 음식의 온전한 질감과 맛에 대해
거부감이 크다.
7
학교 앞 불량식품의 유혹과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은 점
58 5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7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
답변한 수 7 건너뛴 수 1
1
큰 변화가 없었더라도 이런 운동 또는
흐름에 동참함으로써 모르고 하는 것과
알고 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동들도 교육을 통해 듣고,
보고, 직접 해 봤음으로 알고 있는
것을 언젠가는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2
환경정의에서 많은 고민과 시간을 들여
프로그램을 진행해주셨지만, 예산에 있어
조금 더 효율적인 집행이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많은 예산이 사용됨에 비해
프로그램 내용 계획이 조금 아쉬웠던 것
같습니다.
3
건강한 먹거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야채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고 공동체에서
보내주었다고하면 한 번 더 먹어보는
모습을 보면서 감사함을 느낍니다.
4
할머니네텃밭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의
편식을 없애고 음식의 소중함을 조금 더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고 꾸러미 유기농
채소를 먹을 수 있어 아이들 영양에 굉장히
좋은 것 같다.
5
날씨의 영향으로 예정된 야외 프로그램이
진행되지 못해 아쉬웠다.
6
환경정의, 할머니네텃밭과 인연 맺게 되어
가을의 추수를 끝낸 농부처럼 풍요로워진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7
새롭게 건강한 프로그램을 만나 소중한
시간이었다. 처음 사업을 진행하면서 센터
내에 시설 부족으로 힘든 부분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내용들이 아이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체험하고 더 많은 시간 함께 할 수 있다면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2월 7월-8월
3월
9월
11월
12월
4월
5월
6월
14–15일 1일
10일
28–29일
29–30일
31일–8/1일
4–5일
13–14일
18–19일
13일
11일
19–20일
27일
8일
19–20일
20–21일
10일
17일
23일
26일
29일
강사워크숍 언니네텃밭 도새울, 오산공동체
사전방문
언니네텃밭 안동공동체 사전방문
여름캠프 (도새울 공동체)
여름캠프 (안동 공동체)
여름캠프 (오산 공동체)
여름캠프 (나주 공동체)
여름캠프 (고성 공동체)
여름캠프 (순천 공동체)
먹거리 특강. 음식명상
사업 설명회_서지협
강사모임 고추장만들기 실습
여름캠프 (함안 공동체)
조리사 워크숍
할머니 서울방문 (함안 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함안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고성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도새울 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오산 공동체)
할머니네텃밭 평가 발표회
할머니 서울방문 (안동 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나주 공동체)
센터 선정을 위한 지역아동센터 방문
지역아동센터 먹거리 교육 시작
사업설명회_언니네텃밭
사업설명회_CLC지역아동센터
2014할머니네텃밭 참여 단체
협약식, 오리엔테이션
공공급식 집담회 발제, 참석
언니네텃밭 순천공동체 사전방문
언니네텃밭 고성공동체 사전방문
언니네텃밭 함안공동체 사전방문
식생활교육박람회
언니네텃밭 나주공동체 사전방문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워크숍
전체
4월부터
2일
4일
29일
30일
5일
17일
18일
19–21일
24일
26–28일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60
어린이의환경권,건강권을지키기위해건강한먹거리와
생활속유해화학물질추방운동을진행하고있습니다.
안티패스트푸드캠페인,어린이가먹어서는안될
식품첨가물5,설탕끊기캠페인,먹거리정의,안심마트
등다양한활동과주부대상교육을통해배출된
환경강사진과함께어린이먹거리바꾸기캠프,어린이가
건강한초록학교만들기,아토피없는가정만들기,기타
학교와학부모대상먹거리교육을진행하고있습니다.
‘차라리아이를굶겨라’(2000년),‘아토피를
잡아라’(2002년),‘차라리아이를굶겨라2’(2004년),
‘광용아햄버거맛있니?(2005년)’‘나쁜식탁VS건강한
밥상(2012)’등의출판을통해어린이환경권에대한
인식을확산하고있습니다.
www.eco.or.kr
지역아동센터12곳
함께만든사람
후원
마을을중심으로구성된여성농민생산자공동체와도시
소비자가텃밭에서생산된제철농산물및1차가공한
먹을거리를직거래하는꾸러미사업을하고있습니다.
도시소비자는지속가능한농업을지킨다는마음과
생산농가를지원한다는의미로회비를지불하고매주
1회,또는월2회제철채소를중심으로구성된꾸러미
상자를받습니다.유기농또는최소한제초제를치지않는
농산물을생산하며,다품종소량생산,토종씨앗지키기를
통해얼굴있는생산자와마음을알아주는소비자의
먹을거리공동체와지역먹을거리체계를확립해나가고자
합니다.
www.sistersgarden.org
환경정의다음지킴이본부는?
전국여성농민회언니네텃밭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마 법사
 
2018 guide book
2018 guide book2018 guide book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v
Community kitchen ivCommunity kitchen iv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조아모소식 2014 2 all
조아모소식 2014 2 all조아모소식 2014 2 all
조아모소식 2014 2 all
봉조 김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마 법사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Kwon-Jung Ji
 
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
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
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
Kwon-Jung Ji
 
2013 09 도라지꽃
2013 09 도라지꽃2013 09 도라지꽃
2013 09 도라지꽃마 법사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은영 김
 
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
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
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Kwon-Jung Ji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Sang Hyun Park
 
2013년 12월 도라지꽃
2013년 12월 도라지꽃2013년 12월 도라지꽃
2013년 12월 도라지꽃마 법사
 

What's hot (19)

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2018 guide book
2018 guide book2018 guide book
2018 guide book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i
 
Community kitchen iv
Community kitchen ivCommunity kitchen iv
Community kitchen iv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Community kitchen
 
조아모소식 2014 2 all
조아모소식 2014 2 all조아모소식 2014 2 all
조아모소식 2014 2 all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도라지꽃 2014년 03월
도라지꽃 2014년 03월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우리마을프로젝트전시물
 
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
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
부모, 마을을 만들다 서울 부모커뮤니티 이야기
 
2013 09 도라지꽃
2013 09 도라지꽃2013 09 도라지꽃
2013 09 도라지꽃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학부모신문 275호입니다. (20140805)
 
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
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
행복한 공동육아 내지 최종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2013년 12월 도라지꽃
2013년 12월 도라지꽃2013년 12월 도라지꽃
2013년 12월 도라지꽃
 

Viewers also liked

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
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
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여성환경연대
 
다정한밥상 워크북 2
다정한밥상 워크북 2다정한밥상 워크북 2
다정한밥상 워크북 2
여성환경연대
 
푸른마을 만들기
푸른마을 만들기푸른마을 만들기
푸른마을 만들기yuntan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여성환경연대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Bin Go
 
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
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
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봉석 곽
 
신상계초 1강
신상계초 1강신상계초 1강
신상계초 1강봉석 곽
 
Sas 9.2 eg migration v1
Sas 9.2 eg migration v1Sas 9.2 eg migration v1
Sas 9.2 eg migration v1
OptimalBI Limited
 
대학텃밭모임
대학텃밭모임대학텃밭모임
대학텃밭모임봉석 곽
 
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
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
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
Amazon Web Services
 
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
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
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Sohee Shin
 
[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
[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
[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진아 장
 
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
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
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
Hyuna Leean
 
씨앗들 경작 활동
씨앗들 경작 활동씨앗들 경작 활동
씨앗들 경작 활동봉석 곽
 
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
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
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
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
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
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
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Viewers also liked (20)

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
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
할머니네 텃밭 아동용 자료집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할머니네텃밭 _환경정의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지구를 살리는 일곱가지 물건(2014)
 
다정한밥상 워크북 2
다정한밥상 워크북 2다정한밥상 워크북 2
다정한밥상 워크북 2
 
푸른마을 만들기
푸른마을 만들기푸른마을 만들기
푸른마을 만들기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태풍 이후 옥상 텃밭 진단 및 텃밭 관리 방법(2012)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
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
레알텃밭학교소개 (Nx power lite)
 
신상계초 1강
신상계초 1강신상계초 1강
신상계초 1강
 
Sas 9.2 eg migration v1
Sas 9.2 eg migration v1Sas 9.2 eg migration v1
Sas 9.2 eg migration v1
 
대학텃밭모임
대학텃밭모임대학텃밭모임
대학텃밭모임
 
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
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
Writing JavaScript Applications with the AWS SDK (TLS303) | AWS re:Invent 2013
 
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
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
2014 남태령텃밭 by 김성숙선생님
 
[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
[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
[어린이그린리더양성교육 아동용 교재]
 
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
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
생명의숲을 소개합니다!
 
씨앗들 경작 활동
씨앗들 경작 활동씨앗들 경작 활동
씨앗들 경작 활동
 
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
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
발제1 국내 미세먼지 취약 직업군의 근무현황 및 실태
 
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
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
환경정의강의2015 05-15인쇄용
 
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
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
2015년9월21일아동급식정책토론회내용정리
 
안심 마트 만들기 기자회견
안심 마트 만들기 기자회견안심 마트 만들기 기자회견
안심 마트 만들기 기자회견
 

Similar to 할머니네 텃밭 어른용 자료집

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
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
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
은영 김
 
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
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
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
은영 김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봉조 김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Min No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econewsletter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Min No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econewsletter
 
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
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
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
Min No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econewsletter
 
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
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
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
Min No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econewsletter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여성환경연대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seoulgreentrust
 
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
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
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
창업 에듀
 
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
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
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
Nongchon(http://blog.naver.com/jazzjb)
 
allmykids annual report 2015
allmykids annual report 2015allmykids annual report 2015
allmykids annual report 2015
allmykids0824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은영 김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경희 배
 
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
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
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
봉조 김
 
Icook ppt
Icook pptIcook ppt
Icook ppt
LEEGYEONGEUN
 

Similar to 할머니네 텃밭 어른용 자료집 (20)

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
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
학부모신문 272호(201405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
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
학부모신문 269호 입니다. (20140205)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관문초 조아모 소식지 2015년 12월.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2018 사업결과보고서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푸드포체인지 푸릇 캠페인 사업 결과보고서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
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
푸드포체인지 연차보고서(2012-2016)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
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
오랩 2017결과보고서시안 최종_0124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아토피친화학교 운영사례와 확대방안(200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서울그린트러스트] 하나투어 한강공원입양 임팩트리포트(2014~2018)
 
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
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
2013년 비즈쿨 우수사례집
 
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
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
농사펀드-조관희 농부님 고래실논쌀 6월 소식지
 
allmykids annual report 2015
allmykids annual report 2015allmykids annual report 2015
allmykids annual report 201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학부모신문280호(20150105)
 
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
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
조아모소식 2014년 12월 - 4호
 
Icook ppt
Icook pptIcook ppt
Icook ppt
 

More from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9th cmej
29th cmej29th cmej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페이지[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페이지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Cf] 그 날 책 (1)
[Cf] 그 날 책 (1)[Cf] 그 날 책 (1)
Guide book of healthy food
Guide book of healthy foodGuide book of healthy food
Guide book of healthy food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More from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20)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7년 총회자료집(최종)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8 총회자료집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1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2019 총회자료집 환경정의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평가한 현 정부 기후·환경·에너지 정책 전문가 설문 분석
 
29th cmej
29th cmej29th cmej
29th cmej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29th cmej file29th cmej file
29th cmej file
 
[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페이지[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페이지
 
[Cf] 그 날 책 (1)
[Cf] 그 날 책 (1)[Cf] 그 날 책 (1)
[Cf] 그 날 책 (1)
 
Guide book of healthy food
Guide book of healthy foodGuide book of healthy food
Guide book of healthy food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1대총선환경정책제안_환경민주주의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2020 환경정의 제28차 총회 자료집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정책 제안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정책 기업평가 보고서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소형화물차량 친환경 전환을 위한 제도제선 토론회, 2018.12.19
 

할머니네 텃밭 어른용 자료집

  • 1. 2014 할머니네텃밭 결과보고서환경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26길 39 (성산1동 249-10) 시민공간 나루 2층 02. 743. 4747 전화 www.eco.or.kr 홈페이지 할머니네 텃밭은 건강해요 2014할머니네텃밭 결과보고서
  • 2. 3 할머니네텃밭 사계절을 소개합니다 편지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1 2 3 2014할머니네텃밭 Time line Q&A 먹거리 선생님의 편지 할머니의 편지 만남 사진전 어린이 식습관 설문조사 결과 중간평가 설문조사 결과 활동 일정 4 6 8 10 12 15 32 42 59 차례 4 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 지역아동센터 사전방문 · 오리엔테이션 · 제철꾸러미 시작! · 어린이 먹거리교육 · 공동체 사전방문(총7곳) 생산 공동체 언니네텃밭의 꾸러미 공동체 7곳 (고성, 금소, 다시, 도새울, 순천, 오산, 함안) 할머니댁 캠프 지역아동센터 먹거리수업 12개센터, 총 8회 수업 할머니 서울나들이 · 제철꾸러미 계속 · 어린이 먹거리교육 계속 · 여름캠프 · 제철꾸러미 계속 · 어린이 먹거리교육 마무리 · 부모 먹거리교육 · 조리사 워크숍 · 할머니 서울나들이 시작 · 제철꾸러미 계속 · 할머니 서울나들이 1 할머니네텃밭 사계절을 소개합니다 봄 가을여름 겨울
  • 3. 6 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Q. 할머니네텃밭은 무엇인가요? Q. 먹거리정의가 뭔가요? Q. 건강한 먹거리는 어떤 건가요? Q. 먹거리교육은 왜 필요한가요? Q. 강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Q. 제철꾸러미가 무엇인가요? Q. 생산공동체는 무엇인가요? A. 세상 모든 아이들이 건강한 먹거리를 먹는 ‘먹거리정의’의 실현을 위한 환경정의 다음지킴이본부의 프로젝트입니다. 다양한 만남을 통해 만들어지는 좋은 관계에 기초해 지역아동센터의 먹거리를 전환하고자 합니다. A. 먹거리가 생산, 유통, 가공, 소비되는 모든 과정이 윤리적이고 불평등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사회 운동입니다.A. 단순히 ‘유기농 밥상’을 말하는 게 아니라 생산과 소비, 요리하고 함께 먹는 과정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관계들이 모두 건강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먹거리는 곧 건강한 관계에서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A. 저소득층 아이들 일수록 라면과 같은 인스턴트 음식에 길들여져 있고, 음식의 맛을 감별하는 미각이 상대적으로 둔감합니다. 아이들이 어린 시절에 좋은 재료로 만든 먹거리를 먹어보고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건강한 투자입니다. 아이들에게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교육을 통해 음식의 소중함과 음식이 내게로 오기까지의 과정을 알려주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A. 환경정의 먹거리 강사 선생님들이 센터와 아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더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안을 만들어 주십니다. A. 마을 공동체에서 직접 재배, 수확한 제철 농산물을 도시 소비자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만들어진 꾸러미입니다. 생산자인 농민들은 소규모 텃밭에서 직접 생산한 먹을거리를 매주 1회 소비자 회원들께 보내드리고, 도시의 소비자는 매월 지정된 회비로 농민의 생산을 지원합니다. 꾸러미를 통해 여성농민은 농업을 지속할 수 있고 보다 지속가능한 생태농업으로의 전환을 이루어 갈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 회원은 계절마다 다른 다양하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A.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유통구조를 만들기 위해 지역농가들이 모여 만든 농업 공동체를 말합니다. 2014할머니네텃밭은 ‘언니네텃밭’과 함께 했습니다. 언니네텃밭은 대규모 농사와 기업형 농사로 망가진 땅을 살리고, 종의 다양성을 지키는 농사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의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생태농업, 전통농업의 복원. 토종씨앗지키기를 통해 현재의 건강한 먹을거리를 넘어 다음 세대의 건강한 먹을거리 생산기반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1 할머니네텃밭 사계절을 소개합니다 교육활동 요리활동회차 나무목걸이 만들기 장떡, 현미주먹밥 두부버거, 돌돌말이 채소 오이송송이, 가지전, 오미자수박화채 달걀삼각김밥, 건강에너지바 삼색수제비, 감자경단 고추장 만들기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쌀과 우리밀 육류 – 햄과 생명 아이스크림과 당 가공식품 – 가공식품 속 첨가물 컵라면과 인스턴트식품 건강한 먹을거리란? 내 아이가 건강해 지는 먹을거리 2 1 2 3 4 5 6 7 8 8 9 2 편지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안녕! 얘들아, 할머니네 텃밭 요리선생님이야. 올해 할머니네 텃밭 프로그램 하면서 너희들 만나게 되어서 선생님은 무척 반가왔단다. 만날 때마다 반갑게 인사해주는 친구들이 있어서 고마웠고, 열심히 수업 듣는 모습도 대견스러웠고 말야. 평소에 음료수랑 아이스크림 좋아하던 친구들이 우리가 즐겨먹던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첨가물과 색소들을 실험하는 거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먹지~ 하며 걱정하던 모습들이 기억나. 지금쯤은 같이 공부했던 거 다 잊고 다시 열심히 먹고 있는 것은 아니겠지? 그래도 역시 너희들은 이론수업 보다는 직접 너희 손으로 요리하는 수업을 더 재미있어 했던 것 같아. 이론수업할 때는 하품하던 친구들도 요리수업 할 때는 눈이 반짝반짝 해져서 열심히 참여하곤 했으니까.^^ 정말 재미있었던건 평소에 잘 먹지 않던 음식들도 자기 손으로 직접 요리하니까 잘 먹게 되더라는거야. 탕평채 만들 때 파프리카 썰면서 ‘나는 이것 절대로 안먹을거에요.’하던 친구들이 탕평채가 다 완성되자 하나도 남기지 않고 다 먹었을 때는 정말 웃음이 나면서 기분이 좋았단다. 너희들 오이송송이 만들면서 고춧가루 때문에 매운데도 정말 잘 먹었잖아. 직접 해보니 어렵지 않다고 집에 가서도 해본다고 하던 친구들은 집에서 엄마랑 같이 오이송송이 만들어보았니? 엄마랑 같이 요리하면서 수업하면서 배운 내용들도 알려드리고 하면 정말 좋을텐데 말이야. 아직 해보지 않은 친구들은 지금이라도 요리하기에 한번 도전해봐. 햄버거가 먹고 싶을 땐 우리가 했던 두부버거를 만들어먹고, 맛있는 반찬이 없다고 느껴질 땐 주먹밥이나 쌈밥을 만들어 먹어도 좋겠지. 내손으로 만든 음식은 다 맛있는 법이니까 말이야. 내가 직접 음식을 만들어서 엄마아빠께 드리면 더욱 보람 될거야. 우리는 항상 엄마나 어른들이 해주시는 음식을 먹고 있으니까 내가 한번쯤 요리해서 대접해 드려도 좋겠지? 그리고 평소에 음식을 먹을 때나 만들 때면 이 농산물을 생산하느라 애쓰신 분들을 항상 생각하며 감사한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어. 언니네텃밭 공동체 할머니들처럼 다들 정성껏 농사지어서 생산해낸 채소들이니까 말야. 선생님은 발을 다쳐서 캠프에 못 갔지만 너희들은 캠프 가서 농사일 하시느라 수고하시는 할머니들도 만나고 정성껏 음식도 해주셔서 맛있게 먹고 왔지? 재미있게 놀다 왔다는 이야기 들었어. 정말 부러웠단다. 할머니들이 서울 나들이 왔을 때는 너희들이 재미있게 해드리고 잘 대접해드렸니? 센터별로 즐거운 시간들 가졌을 거라고 생각해. 앞으로도 공동체 할머니들께 안부편지도 쓰고 잘 교류해서 내년에도 다시 만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아. 방학 때면 찾아갈 수 있는 시골집 할머니처럼 가까워져서 또 만나면 정말 반가울거야. 요리수업 끝난다고 하니까 서운해 하던 너희들 모습이 떠오르는구나. 한 친구는 서운한 마음에 울어버린 친구도 있었어. 꼭 안아주면서 다시 만나자고 약속했는데 말야. 내년에도 다시 만나게 되는 날을 기다릴게. 그동안 채소, 나물도 골고루 잘 먹고 건강하게 잘 지내렴. 환경정의 소혜순 선생님이
  • 4. 10 11 2 편지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짧은 만남 긴 아쉬움~ 남쪽 산골 마을에 보기 드문 눈이 왔습니다. 눈이 이렇게 쌓이면 언니네 텃밭의 왕언니들은 걱정이 앞섭니다. 꾸러미를 낼 일이 걱정이고 배송이 제대로 될지도 걱정입니다. 하지만 모처럼 눈을 만난 아이들은 휴교와 더불어 눈놀이에 열중합니다. 돌담을 돌아오는 골목을 쓸고 모아지는 눈을 모아 눈사람도 만들었습니다. 아이들에게 이렇게 추억이 있다는 것 살면서 두고 두고 기억되는 풍경이겠지요? 모든 아이들이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평화롭게 놀고 맘이 상처받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 아니 상처를 받아도 극복할 힘이 될 뭔가가 있었으면 합니다. 1년 전 처음 만남이 어색하고 서먹서먹했지만 2년째 만난 아이들은 많이 커 있었고 만나는 만큼 정이 들어 반가웠습니다. 아이들이 뭘 좋아하는지, 서울 아이들은 어떤지? 손자들이 있으면서도 할머니들은 첫만남이 설레면서도 어색합니다. 갇힌 도시의 생활을 잠시 접고 열심히 물놀이하며 자연 속에서 뛰어 노는 아이들을 보며 새삼 맘이 흐뭇해집니다. 커다란 눈을 껌벅이며 쳐다보는 소들이 신기해 풀을 뜯어 먹이는 아이들, 돌담골목을 돌아다니며 자연과 하나 되는 아이들은 어느새 자연의 일부가 되어있었습니다. 우리에게 일상이 아이들의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조용한 산골마을에 도시아이들에 소리로 1박2일 마을에 사람소리가 넘쳤습니다. 아이들이 썰물처럼 빠진 곳을 정리하면서 챙겨가지 못하고 남겨진 양말짝들이 덩그러니 남아있습니다 산골 마을에 아이들의 소리가 그리웠을까? 보내고 나면 시원섭섭합니다. 좀 더 잘해줄걸. 좀 더 좋아하는 걸로 먹일걸. 하는 아쉬움이 밀려옵니다. 해의 만남을 이어 두 번째 방문은 가을이 오는 문턱에 이루어졌습니다. 물놀이를 맘껏 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니어서 아쉬워하는 아이들에게 미안한 맘이 들었습니다. 황토에 손수건을 넣고 열심히 조물조물 주물러 건조대에 널었습니다. 바람에 날리는 손수건을 보며 아이들도 바람같이 자유로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사리 손으로 녹두 따고 땅콩 캐고 흙과 노는 아이들. 살면서 고단해도 잠시 다녀간 할머니 텃밭을 생각하고 힘을 얻었으면 합니다. 돌아가는 발걸음이 아쉬워 할머니를 안고 있는 아이들, 잡은 손을 놓아주기가 아쉽기만 합니다. 엄마아빠 줄 거라며 물들인 손수건을 접는 아이들이 예쁘게 잘 커줄 거라 믿습니다. 서울에서 열린 여성농민 가을 추수한마당잔치까지 찾아와 준 아이들, 인사동 거리를 손잡고 걸으며 여기저기 아이들과 눈구경 하고 맛난 저녁을 먹었습니다. 다음날 농민집회까지 찾아와 따뜻한 음료로 내려가는 길 까지 배웅 온 아이들. 모두의 아이들입니다. 2년 도시 아이들은 우리의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아이들에게 기억할 뭔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먹거리에서도 차별 받지 안고자 애쓰는 환경정의의 이런 노력에 감사합니다. 함안에서 정은미 언니가 12 1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누가 만났나요? 총 12개 센터, 7 공동체 지역아동센터 공동체 도새울 오산 오산 순천 순천 함안 고성 금소 금소 다시 다시 고성 칠보산청소년방과후지역아동센터 갈현지역아동센터 동그라미지역아동센터 광현지역아동센터 푸른꿈나무지역아동센터 종로푸른학교 도깨비방망이지역아동센터 꾸러기지역아동센터 산지역아동센터 작은사랑서울지역아동센터 작은사랑동작지역아동센터 어린이나라지역아동센터 1 2 3 4 5 6 7 8 9 10 11 12 · 주 1회 / 월 4회 / · 연 48회 꾸러미 공급 · 학기 중 8회 먹거리 수업 · 여름방학 1박2일 농가방문 캠프 어떻게 만났나요? 공동체센터 날짜 7/28–29 7/29–30 7/30–31 8/4–5 8/13–14 8/18–19 9/19–20 도새울칠보산 안동꾸러기 산 오산갈현 동그라미 나주작은사랑서울 작은사랑동작 고성어린이나라 도깨비방망이 순천광현 푸른꿈나무 함안종로푸른학교
  • 5. 14 1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할머니 서울나들이 가요~’ 프로그램 진행 센터명공동체 서울나들이 프로그램 12/10 화성투어버스 비누만들기/ 아쿠아리움 방문 다문화박물관/ 영화관람 경복궁, 인사동 방문 공연관람 63빌딩 구경 자체프로그램, 경복궁 방문 12/17 12/26 또는 12/29 11/7–8 12/26 12/29 11/20–21 칠보산청소년방과후도새울 오산 순천 광현 푸른꿈나무 갈현 동그라미 종로푸른학교 꾸러기 함안 금소 산 다시 작은사랑동작 작은사랑서울 고성 도깨비방망이 어린이나라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1. 열심히 공부하는 강사모임 3. 2014할머니네텃밭 참여단체 오리엔테이션 그리고 협약식 (4월 29일) 2. 열린특강 첫번째. 음식명상 (3월 13일) 16 1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도깨비방망이지역아동센터 4. 건강한 먹거리교육 광현지역아동센터 갈현지역아동센터 꾸러기지역아동센터
  • 6. 18 1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어린이나라지역아동센터 4. 건강한 먹거리교육 작은사랑동작지역아동센터 산지역아동센터 동그라미지역아동센터 20 2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푸른꿈나무지역아동센터 칠보산청소년방과후지역아동센터 4. 건강한 먹거리교육 종로푸른학교지역아동센터 작은사랑서울지역아동센터
  • 7. 22 2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나주 다시공동체 (8/4~5) 5. 캠프 횡성 도새울공동체 (7/28~29) 고성공동체 (8/13~14) 24 2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5. 캠프 횡성 오산공동체 (7/29~30) 순천 황전공동체 (8/18~19)
  • 8. 26 2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6. 조리사 워크숍 함안공동체 (7/30~31) 5. 캠프 28 2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도새울공동체 (12/10) 7. 할머니서울나들이 고성공동체 (11/20~21) 나주 다시공동체 (12/29)
  • 9. 30 3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7. 할머니서울나들이 안동 금소공동체 (12/26) 횡성 오산공동체 (12/17) 함안공동체 (11/7~8) 32 3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 아침식사를 하나요? 응답자(%)보기 86.4% 216 13.6% 34 250 네 아니오 총계 (명) 답변한 수 250 건너뛴 수 0 Q2 현재까지 프로그램 진행 현황은? 보기 10.93% 27 5.67% 14 12.55% 7.69% 50.61% 12.55% 31 19 125 31 247 1회 2회 3회 4회 5회 하지 않음 총계 답변한 수 247 건너뛴 수 3 응답자(%) (명)
  • 10. 34 3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3 하루에 간식을 얼마나 먹나요? 보기 34.62% 81 28.63% 67 13.25% 3.42% 13.68% 6.41% 31 8 125 15 234 1회 2회 3회 4회 5회 기타 총계 답변한 수 234 건너뛴 수 16 응답자(%) (명) Q4 간식으로 무얼 먹나요? 답변한 수 229 건너뛴 수 21 씨리얼 떡복이 음료수 아이스크림 날마다 다름 요구르트 초코렛 견과류 불량식품 닭강정 고구마 요플레 36 3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5 학교 앞 불량식품을 먹나요? 응답자(%)보기 67.34% 167 32.66% 81 248 네 아니오 총계 (명) 답변한 수 248 건너뛴 수 2 Q6 일주일에 불량식품을 얼마나 먹나요? 보기 30.92% 77 20.88% 52 9.24% 2.01% 5.62% 31.33% 23 5 14 78 249 1회 2회 3회 4회 5회 이상 먹지 않음 총계 답변한 수 249 건너뛴 수 1 응답자(%) (명)
  • 11. 38 3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7 일주일에 패스트푸드 음식을 얼마나 자주 먹나요? 보기 36.99% 91 26.83% 66 14.23% 3.25% 2.85% 15.85% 35 8 7 39 246 1회 2회 3회 4회 5회 이상 기타 총계 답변한 수 246 건너뛴 수 4 응답자(%) (명) Q8 일주일에 편의점 음식은 얼마나 자주 먹나요? 보기 35.54% 86 24.38% 59 12.40% 5.79% 4.96% 16.94% 30 14 12 41 242 1회 2회 3회 4회 5회 이상 기타 총계 답변한 수 242 건너뛴 수 8 응답자(%) (명) 40 4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9 좋아하는 음식 세가지만 적어 주세요. 콩나물 돈까스 스테이크 복숭아 비빔밥 삼겹살 스파게티 시금치 아이스크림 떡볶이 패스트푸드 미역국 햄버거 김치찌개 샐러드 Q10 가장 싫어하는 채소 한 가지만 적어 주세요. 브로콜리단호박 샐러드 양배추 파프리카 치커리 랍스타 오징어젓갈 옥수수 김치전 짜장면 돼지 껍데기 불량식품 청국장 된장찌개 쌀국수 바나나 고구마 샌드위치 토마토 양배추 샐러리 도라지 답변한 수 230 건너뛴 수 20 답변한 수 242 건너뛴 수 8
  • 12. 42 4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 어떤 경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나요?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응답자(%)보기 62.5% 5 (명) 12.5% 1 25% 2 0% 0 0% 0 8 서지협 홈페이지 지인의 소개 작년 프로그램의 연계 기타 총계 Q2 현재까지 프로그램 진행 현황은? 보기 100% 8 100% 8 87.5% 7 8 먹거리 캠프 학부모 교육 총계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응답자(%) (명) 44 4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3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가장 기대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보기 62.5% 5 12.5% 1 25% 2 0% 0 0% 0 8 ‘언니네 텃밭’ 제철 꾸러미 지원 어린이 먹거리 교육을 통한 식습관 개선 지인의 소개 작년 프로그램의 연계 기타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4 실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예상한 대로의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나요? 보기 66.6% 8 33.3% 4 12 그렇다 무응답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12 건너뛴 수 0
  • 13. 46 4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5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어떤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나요? 답변한 수 7 건너뛴 수 1 1 직접 음식을 만들면서 음식 만드는 과정을 알게되고, 자신이 만든 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좋아하지 않는 음식이라도 먹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캠프 때에는 밥과 반찬을 모두 남김없이 먹어치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2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진행해주시는 먹거리 교육을 통해 의식개선이 있었다면, 농가의 할머니들을 뵙고 자신들이 먹는 식재료들이 자라는 곳을 직접 본 것이 정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은 것 같습니다. 3 1. 건강한 먹거리 교육을 통하여 야채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었다. 2. 캠프를 통해 공동체의 의미와 노고를 알게 되었다. 4 여름 캠프를 통해 음식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음 5 먹거리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바른 먹거리가 어떤 것인지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센터에서도 좀 더 신경써서 제공하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6 아이들이 평소에 접하던 먹거리를 다시 한 번 살펴보게 된 것, 자신이 직접 만든 간식을 양념하나 남기지 않고 먹는 것을 보면서 먹거리의 소중함을 조금이나마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7 아이들이 건강한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직접 생산하시는 분들에 대한 관심 높아짐. 부모교육을 통해 건강한 식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 캠프를 통한 시골생활에 대해 친근감을 느낌. Q6 ‘할머니네텃밭’프로그램 중 가장 만족스러운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보기 62.5% 5 25% 37.5% 2 3 8 먹거리 교육(어린이/부모) 꾸러미 지원 여름캠프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48 4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7 먹거리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응답자(%)보기 12.5% 1 87.5% 7 0% 0 0% 0 0% 0% 0 0 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기타 의견 총계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보기 12.5% 1 25% 2 50% 4 12.5% 1 0% 0% 0 0 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기타 의견 총계 Q8 꾸러미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 14. 50 51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9 여름캠프(농가방문)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가요? 응답자(%)보기 62.5% 5 0% 0 25% 2 0% 0 12.5% 0% 1 0 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기타 의견 총계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10 ‘할머니네텃밭’ 프로그램 중 개선 또는 추가되었으면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1 모종심고 길러보기 등 (개인 화분이 아니라) 그룹별로 시행 (토마토, 상추, 감자 등) 2 자신이 먹는 꾸러미를 직접 싸보거나 직접 수확해 보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1. 농가방문을 2회 이상 하면 2.아이들이 직접 씨를 뿌리고 모종심기를 하여 자란 후 방문하는 것도 살아있는 교육이라 생각함. 3. 그렇게 함으로 농촌에 대한 호기심과 애착심과 추억을 만들수 있으리라 생각함. (여름캠프동안 동네를 둘러보고 자연을 직접 체험할 수 있던 것이 아주 유익하였음) 4 제철 꾸러미 지원되는 물품을 미리 알았으면 좋겠다. 서로 조율할 수 있었으면 한다. 5 여름캠프 장소가 협소했던 것 같습니다. 캠프 장소가 조금 더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6 여름캠프 8 음식 교육의 간소화 7 지금도 좋지만, 꾸러미양이 일정치 않아 식재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때가 있음. 52 53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1 앞으로 남은 프로그램 중 가장 기대되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보기 12.5% 1 62.5% 5 25% 2 조리사 워크숍 할머니 서울 방문 학부모교육 8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12 현재 지역아동센터 어린이 식습관과 먹거리 현황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요? 보기 50% 4 37.5% 12.5% 12.5% 3 1 1 8 편식으로 인한 영양의 불균형 군것질 아침식사 가정에서의 방치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 15. 54 55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3 아이들에게 건강한 먹을거리 제공이 전체적인 생활에 어느 정도 중요성을 가진다고 생각하시나요? 보기 66.6% 8 0% 0 0% 0 0% 33.3% 0 4 12 아주 중요하다 보통이다 그저 그렇다 중요하지 않다 무응답 총계 응답자(%) (명) 답변한 수 12 건너뛴 수 0 Q14 센터에서 공공급식을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응답자(%) (명)보기 12.5% 1 12.5% 12.5% 25% 37.5% 1 1 2 3 8 예산 부족 식재료 유통의 문제 조리사와의 의견 차이 잔반 처리 기타 총계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56 57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5 어린이 식습관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무엇일까요? 응답자(%)보기 12.5% 1 (명) 37.5% 3 12.5% 1 37.5% 3 8 예산 지원 조리사 교육과 지원 어린이와 학부모, 선생님 대상의 먹거리 교육 불량식품, 편의점 식품 등의 관리 총계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Q16 센터 아이들의 식습관 중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는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답변한 수 8 건너뛴 수 0 1 아이들이 군것질을 하고 센터에 오거나 집에 가면서 군것질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불량식품을 쉽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해야한다. 2 가정에서의 방치로 아동들이 패스트푸드나 배달음식에 너무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더욱 비만 아동도 많은 것 같습니다. 3 밭에서 나는 식물들을 스스로 먹어야겠다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하는 부분 4 편식 5 편식, 야채를 싫어합니다. 6 가정에서 지켜지지 않는 좋은 먹거리 제공, 편식 8 학교 등하교시 이용하는 군것질은 아이들 미각에 변화를 가져온다. 집이나 학교에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만 먹다보니 편식이 심하다. 음식의 온전한 질감과 맛에 대해 거부감이 크다. 7 학교 앞 불량식품의 유혹과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은 점
  • 16. 58 59 2014할머니네텃밭결과보고서할머니네텃밭은건강해요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Q17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 답변한 수 7 건너뛴 수 1 1 큰 변화가 없었더라도 이런 운동 또는 흐름에 동참함으로써 모르고 하는 것과 알고 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동들도 교육을 통해 듣고, 보고, 직접 해 봤음으로 알고 있는 것을 언젠가는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2 환경정의에서 많은 고민과 시간을 들여 프로그램을 진행해주셨지만, 예산에 있어 조금 더 효율적인 집행이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많은 예산이 사용됨에 비해 프로그램 내용 계획이 조금 아쉬웠던 것 같습니다. 3 건강한 먹거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야채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고 공동체에서 보내주었다고하면 한 번 더 먹어보는 모습을 보면서 감사함을 느낍니다. 4 할머니네텃밭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의 편식을 없애고 음식의 소중함을 조금 더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고 꾸러미 유기농 채소를 먹을 수 있어 아이들 영양에 굉장히 좋은 것 같다. 5 날씨의 영향으로 예정된 야외 프로그램이 진행되지 못해 아쉬웠다. 6 환경정의, 할머니네텃밭과 인연 맺게 되어 가을의 추수를 끝낸 농부처럼 풍요로워진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7 새롭게 건강한 프로그램을 만나 소중한 시간이었다. 처음 사업을 진행하면서 센터 내에 시설 부족으로 힘든 부분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내용들이 아이들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체험하고 더 많은 시간 함께 할 수 있다면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2월 7월-8월 3월 9월 11월 12월 4월 5월 6월 14–15일 1일 10일 28–29일 29–30일 31일–8/1일 4–5일 13–14일 18–19일 13일 11일 19–20일 27일 8일 19–20일 20–21일 10일 17일 23일 26일 29일 강사워크숍 언니네텃밭 도새울, 오산공동체 사전방문 언니네텃밭 안동공동체 사전방문 여름캠프 (도새울 공동체) 여름캠프 (안동 공동체) 여름캠프 (오산 공동체) 여름캠프 (나주 공동체) 여름캠프 (고성 공동체) 여름캠프 (순천 공동체) 먹거리 특강. 음식명상 사업 설명회_서지협 강사모임 고추장만들기 실습 여름캠프 (함안 공동체) 조리사 워크숍 할머니 서울방문 (함안 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함안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고성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도새울 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오산 공동체) 할머니네텃밭 평가 발표회 할머니 서울방문 (안동 공동체) 할머니 서울방문 (나주 공동체) 센터 선정을 위한 지역아동센터 방문 지역아동센터 먹거리 교육 시작 사업설명회_언니네텃밭 사업설명회_CLC지역아동센터 2014할머니네텃밭 참여 단체 협약식, 오리엔테이션 공공급식 집담회 발제, 참석 언니네텃밭 순천공동체 사전방문 언니네텃밭 고성공동체 사전방문 언니네텃밭 함안공동체 사전방문 식생활교육박람회 언니네텃밭 나주공동체 사전방문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워크숍 전체 4월부터 2일 4일 29일 30일 5일 17일 18일 19–21일 24일 26–28일 3 2014할머니네텃밭 들여다보기 60 어린이의환경권,건강권을지키기위해건강한먹거리와 생활속유해화학물질추방운동을진행하고있습니다. 안티패스트푸드캠페인,어린이가먹어서는안될 식품첨가물5,설탕끊기캠페인,먹거리정의,안심마트 등다양한활동과주부대상교육을통해배출된 환경강사진과함께어린이먹거리바꾸기캠프,어린이가 건강한초록학교만들기,아토피없는가정만들기,기타 학교와학부모대상먹거리교육을진행하고있습니다. ‘차라리아이를굶겨라’(2000년),‘아토피를 잡아라’(2002년),‘차라리아이를굶겨라2’(2004년), ‘광용아햄버거맛있니?(2005년)’‘나쁜식탁VS건강한 밥상(2012)’등의출판을통해어린이환경권에대한 인식을확산하고있습니다. www.eco.or.kr 지역아동센터12곳 함께만든사람 후원 마을을중심으로구성된여성농민생산자공동체와도시 소비자가텃밭에서생산된제철농산물및1차가공한 먹을거리를직거래하는꾸러미사업을하고있습니다. 도시소비자는지속가능한농업을지킨다는마음과 생산농가를지원한다는의미로회비를지불하고매주 1회,또는월2회제철채소를중심으로구성된꾸러미 상자를받습니다.유기농또는최소한제초제를치지않는 농산물을생산하며,다품종소량생산,토종씨앗지키기를 통해얼굴있는생산자와마음을알아주는소비자의 먹을거리공동체와지역먹을거리체계를확립해나가고자 합니다. www.sistersgarden.org 환경정의다음지킴이본부는? 전국여성농민회언니네텃밭